KR20190118022A -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 - Google Patents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022A
KR20190118022A KR1020180041120A KR20180041120A KR20190118022A KR 20190118022 A KR20190118022 A KR 20190118022A KR 1020180041120 A KR1020180041120 A KR 1020180041120A KR 20180041120 A KR20180041120 A KR 20180041120A KR 20190118022 A KR20190118022 A KR 20190118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aster prevention
prevention shelter
shelt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7370B1 (en
Inventor
김용성
김정면
임창수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370B1/en
Publication of KR2019011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0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3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8Earthquake withstanding she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a precaution against natural disaster,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semi-arc frames having a fully curved proximal portion and forming one side of an upper frame; a plurality of lower frames supporting the semi-arc frame; and a connector binding the semi-arc frames to the lower frames to form a cross-sectional surface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with a combination of the semi-arc frames and the lower frames. Moreover, a pair of the semi-arc frames are bound based on the connector to form a crown portion in a closed structure.

Description

자연재난 대비를 위한 방재 쉘터{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

본 발명은 자연재난 대비를 위한 방재 쉘터에 관한 것으로서, 주택 내에 조립 설치가 가능한 방재 쉘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 preparedness, and to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that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in a house.

자연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국내·외에서 다양한 자연재난 대피관련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로 정보전달시스템 분야에 치중되어 있으며 대피시설, 대피기구와 같은 실제 자연재난 발생시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제품개발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서는 지진 및 산사태 발생을 사전에 감지하여 주민들에게 학교, 마을회관, 관공서 등 사전에 지정한 대피소로 이동을 유도하고 있지만 대피소의 거리가 멀 경우 노인, 어린이 등 재해약자들은 대피를 포기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In order to minimize casualties due to natural disasters, various natural disaster evacuation-related technologie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t home and abroad, but are mainly focu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ield, and the lives and safety of residents in the event of actual natural disasters such as evacuation facilities and evacuation devices. The development of products that can protect the company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Currently, in Korea, earthquake and landslides are detected in advance to encourage residents to move to pre-designated shelters such as schools, town halls, and government offices. I wear it frequently.

이러한 배경으로, 국가적 차원의 관제시스템과 더불어 주민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대피기구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자연재난 중 실제적으로 인명피해의 우려가 큰 지진 및 산사태에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자기주도적인 대피기구 중 하나로, 가정 내에 조립 설치되어 붕괴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방재 쉘터가 있다. 방재 쉘터와 관련된 종래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635088호는 조립식 간이 피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주택용 방재쉘터는 보관, 이동, 조립의 편의 등의 사용성과 붕괴물의 하중을 견딜수 있는 안전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재 쉘터는 사용성이 고려된 경우, 산사태와 같은 자연재해의 환경에서 골격이 쉽게 깨져버리게 되어 안전성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또는, 종래의 방재 쉘터가 우수한 강도의 골조로 제공되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경우, 골조 프레임이 지나치게 무겁고 조립이 어려워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Against this backdrop,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elf-directed evacuation system that can help the residents practically along with the national control system, and to realize this, earthquakes and There is a need to focus on landslides. One of the self-directed evacuation devices is a disaster shelter that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in a home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decay. Korean Patent No. 1635088 discloses a prefabricated simple evacuation device. Disaster shelters for home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ir usability in storage, transport and assembly, and for their safety to withstand the load of decay. 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saster prevention shelter, when the usability is considered, the skeleton is easily broken in the environment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and thus does not satisfy safety. Alternatively, when the conventional disaster prevention shelter is provided with a frame of excellent strength and safety is ens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ame frame is too heavy and difficult to assemble, resulting in poor usability.

이에 본 출원인은 주택용 피난기구의 설계에 있어서, 사용성과 안전성의 트레이드 오프적인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방재 쉘터를 고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ised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that can satisfy the trade-off characteristics of usability and safety in the design of the evacuation mechanism for homes.

한국등록특허 제1635088호Korean Patent No. 1635088

본 발명은 가정 내에서 보관 및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되, 지진이나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 붕괴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방재 쉘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that can be stored and easily installed in the home, withstand the load of natural disaster collapse such as earthquake or landsl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연재난 대비를 위한 방재 쉘터에 있어서, 근위부가 만곡되고 상부 골격의 일측을 형성하는 반호 프레임; 상기 반호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및 복수개의 상기 반호 프레임과 복수개의 상기 하부 프레임의 조합으로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반호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결속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호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를 기반으로 한 쌍이 결속되어 폐합 구조로 천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aster shelter for natural disaster preparedness, a half-call frame that is curved proximal part and forms one side of the upper skeleton; A lower frame supporting the half call frame; And a connector for binding the half frame and the lower frame to form a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half frame and the plurality of lower frames, wherein the half frame includes a pair of the half frame based on the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top end with a closed structure.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재 쉘터는 상기 반호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이 조합되어 형성한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은 마제형일 수 있다.Preferably, in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med by combining the half frame and the lower frame may be a horseshoe type.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재 쉘터는 상기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 간 종방향 간격을 형성하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를 기반으로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을 결속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inforcement frame forming a longitudinal gap between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the reinforcement frame may bind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based on the connector.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를 통해서 상기 반호 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되는 하부 측벽 프레임; 및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하부 측벽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를 통해서 상기 하부 측벽 프레임과 연결되는 하부 바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ower frame includes a lower side wall fram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alf call frame through the connec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lower bottom frame connected to the lower sidewall frame through the connect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perpendicular to the lower sidewall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방재 쉘터 골격의 마디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형성 되어 상기 반호 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부에 관입되는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or is a body portion forming a node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skeleton; An extension portion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inserted into an end portion of the half frame or the lower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된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에 사용되는 상기 연장부가 3개 형성된 3-노드 커넥터; 및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 중 전면 또는 후면을 제외하여 종방향 간격마다 배치되는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에 사용되는 상기 연장부가 4개 형성된 4-노드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or comprises a three-node connector having three extension parts for use in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located in the front or rear; And a four-node connector having four extension parts for use in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disposed at longitudinal intervals except for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바람직하게, 상기 반호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듀랄루민 소재일 수 있고, 이 경우 Preferably, the half call frame and the bottom frame may be made of duralumin material, in this case

바람직하게, 상기 반호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직경이 39~41mm이고, 두께가 2.8~3.2mm일 수 있다.Preferably, the half arc frame and the lower frame may have a diameter of 39 to 41 mm and a thickness of 2.8 to 3.2 mm.

바람직하게, 상기 반호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아연도 강관 소재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반호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직경이 38~39mm이고, 두께가 1.8~2.2mm이다.Preferably, the half arc frame and the lower frame may be a galvanized steel pipe material, in this case, the half arc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38 to 39 mm in diameter and 1.8 to 2.2 mm in thickness.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재 쉘터는 복수개의 상기 반호 프레임과 복수개의 상기 하부 프레임의 조합으로 조립된 방재 쉘터의 골격에 씌워지는 멤브레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 부재는 토목섬유의 소재일 수 있다.Preferably,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membrane member which is covered on the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assembl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the half-frame and a plurality of the lower frame, the membrane member may be a material of geotextile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반호 프레임이 방재 쉘터 중앙을 기준으로 폐합되어 천단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단부 골조는 호 모양의 단일 프레임으로 천단부를 구성하는 골조에 비하여 하중의 분산이 뛰어나고 프레임 변형이 적으며,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half call frames are closed on the basis of the center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to form a top end. The top end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load distribution is excellent, the frame deformation is less, and the assembly is easier than the frame constituting the top end in the arc-shaped single fra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재 쉘터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은 반호 프레임, 하부 측벽 프레임 및 하부 바닥 프레임의 3종이고, 이를 조합하는 커넥터는 2종으로서 별도의 설명서가 없어도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며, 보관 및 이동의 편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forming the frame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is three kinds of half-frame, the lower side wall frame and the lower floor frame, the connector is a combination of the two kinds can be easily assembled without a separate manual, storage And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convenience of move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치해석을 통한 부재 적정성 평가로 프레임의 소재(아연도 강관, 두랄루민) 별 직경과 두께, 골조의 종방향 간격을 최적화하여 안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ptimizing the member adequacy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safety by optimizing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frame material (zinc steel pipe, duralumin), the longitudinal spacing of the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종의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실측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실측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를 가제작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가제작된 방재 쉘터의 3-노드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가제작된 방재 쉘터의 4-노드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실험례에 따른 두랄루민 강관 부재의 밴딩 모멘텀 평가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실험례에 따른 아연도 강관 부재의 밴딩 모멘텀 평가 모습을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two types of conne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3 shows a connector measured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connector measur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provisional manufacturing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FIG. 6 illustrates a three-node connector of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prefabric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7 illustrates a four-node connector of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prefabric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8 shows the evaluation of the bending momentum of the duralumin steel pip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9 shows the bending momentum evaluation of the galvanized steel pip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member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turally understood or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재 쉘터(1)는 반호 프레임(131), 하부 프레임(133), 커넥터(135, 136), 보강 프레임(134) 및 멤브레인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는 반호 프레임(131)과 하부 프레임(133)이 조합되어 형성한 횡단면 골격(13, 15)이 마제형을 이룬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may include a half call frame 131, a lower frame 133, connectors 135 and 136, a reinforcing frame 134, and a membrane member 30. In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keletons 13 and 15 formed by combining the half call frame 131 and the lower frame 133 form a horseshoe shape.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는 주택붕괴 및 낙하물에 견딜수 있는 고강도 강관을 확용한 조립식 골조시스템(Frame system)(10) 및 이와 연동하여 하중 분산 및 토사유입을 막을 수 있는 고강도 섬유를 활용한 멤브레인 시스템(Membrane system)(30)으로 구성된다. 골조시스템의 주재료인 고강도 강관은 농업시설물 및 구조용 재료로 널리 활용되는 아연도 강관과 텐트 및 타프의 구조용 재료로 쓰이고 있는 알루미늄 합금인 두랄루민으로 실시예가 개시된다.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tilizes a prefabricated frame system 10 that expands high-strength steel pipes that can withstand housing collapse and falling objects, and high-strength fibers that can prevent load distribution and soil inflow in conjunction with the prefabricated frame system 10. It consists of a membrane system 30. The high-strength steel pipe which is the main material of the frame system is disclosed as duralumin, which is a galvanized steel pipe widely used for agricultural facilities and structural materials, and an aluminum alloy used as a structural material for tents and tarps.

두랄루민은 아연도 강관에 비해 고가이나 무게가 가벼워 사용성 측면에서 우수한 반면 아연도 강관의 경우 두랄루민과 비교하여 무게가 무거워 설치 및 해체, 이동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나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고강도 재료 선정시 재료 수급이 원활하고 제작시 가공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활용성과 골조(10)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아연도 강관 및 두랄루민 소재를 선정하였다. Although duralumin is expensive in terms of usability due to its high cost and light weight compared to galvanized steel pipes, duralumi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dismantle, and move due to its heavier weight than duralumin, but has excellent advantages in terms of economy.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ly and demand of high-strength material is smooth and excellent in workability during manufacturing, and the galvanized steel pipe and duralumin material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usability and the safety of the frame 10.

후술하게 될 멤브레인 부재(30)의 주재료인 고강도 섬유는 토목공사 시 널리 사용되는 고강도 토목섬유인 PET Mat을 선정하였다. 또한, 골조의 구조는 지진 및 산사태로 인한 주택붕괴, 낙하물과 같은 외력에도 견딜수 있는 구조적으로 안정한 마제형의 Barrel shell 구조로 선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의 횡단면 골조(13, 15)는 폭 1.5m, 길이 2.0m, 높이 1.25m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가구당 1~2인이 거주하는 주택이 대부분인 점과 2인의 사용이 가능하되 조립이 용이한 크기를 고려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는 주택의 방, 거실 등의 실내에 설치되는 것을 목적한 것으로 위험이 예상되는 시기에 설치했다가 해체가 용이하도록 조립식으로 구현됨에 주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는 온돌 및 침대를 사용하는 가정에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침대에도 호환이 가능한 구조(10)를 갖는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의 세부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a high strength fiber that is a main material of the membrane member 30 to be described later, PET Mat, which is a high strength civil fiber, is widely used in civil engineering. In addition, the frame structure was selected as a structurally stable barrel shell structure that can withstand external forces such as house collapse and falling objects due to earthquakes and landslides. The cross-sectional frameworks 13 and 15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esigned to have a width of 1.5m, a length of 2.0m, and a height of 1.25m, which is the point that most houses inhabit one or two people per household. It is possible to use two people, but the size is easy to assemble. Note that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tended to be installed in a room, a living room, or the like of a house, and is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so as to be easily dismantled after a risk is expected.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10) compatible with the bed to increase usability in homes using ondol and bed.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반호 프레임(131)은 근위부가 만곡되고 상부 골격의 일측을 형성한다. 반호 프레임(131)은 커넥터(135, 136)를 기반으로 한 쌍이 결속되어 폐합 구조로 천단부를 형성한다. 방재 쉘터(1)는 복수개의 횡단면 골격(13, 15)이 종방향으로 결합된 구조체로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재 쉘터(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한 횡단면 골격을 도면부호 13으로 정의하고, 방재 쉘터(1)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횡단면 골격을 도면부호 15로 정의한다.The half call frame 131 is curved proximal and forms one side of the upper skeleton. The half call frame 131 is coupled to a pair based on the connectors 135 and 136 to form a top end in a closed structure.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may be understood 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ross-sectional skeletons 13 and 15 are longitudinally coupl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ross-sectional skeleton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is defined by reference numeral 13, and a cross-sectional skeleton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is defined by reference numeral 15.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는 상부 골격인 천단부가 2개의 반호 프레임(131(a), 131(b))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에 주목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천단부는 호 형상의 단일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호 형상의 단일 프레임의 상부 골조는 반호 프레임(131)이 횡단면 골격(13)의 중앙을 기준으로 결합된 상부 골조에 비하여 하중 지지력이 우수하지 못하며, 조립 구성품의 부피가 커서 사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는 반호 프레임(131(a), 131(b))의 한 쌍이 커넥터(135, 136)에 결합되어 중앙 상단에 멤브레인 부재(30)의 결찰부를 형성하기에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커넥터(135, 136)를 통해 후술하게 될 보강 프레임(134)과 양측의 반호 프레임(131(a), 131(b))의 3군대로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안전성을 우수하게 한다. Note that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wo half arc frames 131 (a) and 131 (b) having a top end of the upper skeleton. In general, the top end is conventionally composed of a single frame having an arc shape. The upper frame of the arc-shaped single fram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oad supporting capacity is not superior to the upper frame in which the half arc frame 131 is coupl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al skeleton 13, and the usability of the assembly component is large and the usability is inferior. . Accordingly, in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the half call frames 131 (a) and 131 (b) is coupled to the connectors 135 and 136 to form a ligation portion of the membrane member 30 at the top of the center. At the same time,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to three groups of the reinforcement frame 134 and the half-arc frames 131 (a) and 131 (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nnectors 135 and 136. To be excellent.

하부 프레임(133)은 반호 프레임(131)을 지지한다. 하부 프레임(133)은 하부 측벽 프레임(1331)과 하부 바닥 프레임(133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측벽 프레임(1331)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커넥터(135, 135)를 통해서 반호 프레임(131)의 일단과 연결된다. 하부 바닥 프레임(1333)은 지면과 평행하고 하부 측벽 프레임(1331)과 수직한 방향으로 커넥터(135, 135)를 통해서 하부 측벽 프레임(1331)과 연결된다. The lower frame 133 supports the half call frame 131. The lower frame 133 may include a lower sidewall frame 1331 and a lower bottom frame 1333. The lower sidewall frame 133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alf frame 131 through the connectors 135 and 13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lower bottom frame 1333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wall frame 1331 through the connectors 135 and 135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perpendicular to the lower sidewall frame 1331.

커넥터(135, 136)는 복수개의 반호 프레임(131)과 복수개의 하부 프레임(133)의 조합으로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13, 15)을 형성하도록 반호 프레임(131)과 하부 프레임(133)을 결속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종의 커넥터(135, 135)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실측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실측도를 나타낸다.The connectors 135 and 136 form the half arc frame 131 and the lower frame 133 to form the cross-sectional skeletons 13 and 15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by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half arc frames 131 and the plurality of lower frames 133. Unite. 2 shows two connectors 135 and 135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connector measured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connector measur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강 프레임(134)은 방재 쉘터(1)의 횡단면 골격(13, 15) 간 종방향 간격을 형성한다. 보강 프레임(134)은 상부 골조인 천단부에서 반호 프레임(131)과 수직하게 결속될 수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134)은 하부 골조인 측벽에서 하부 프레임(133)과 수직하게 결속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frame 134 forms a longitudinal gap between the cross-sectional skeletons 13 and 15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The reinforcement frame 134 may be vertically engaged with the half-armor frame 131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frame 134 may be vertically engaged with the lower frame 133 at the sidewall which is the lower frame.

본 실시예로, 보강 프레임(134)의 축방향 길이는 200mm 내지 500mm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보강 프레임(134)의 축방향 길이는 200mm 내지 250mm일 수 있다. 보강 프레임(134)은 방재 쉘터(1)의 종방향 간격을 결정하며, 종방향 간격은 방재 쉘터(1)의 하중지지 안전성과 관련된 주요 설계 변수중 하나이다. 종방향 간격(Skeleton spacing)이 되는 보강 프레임(134)의 길이 선정은 본 실험례에 의한 수치해석의 안전성 테스트를 반영한 것으로, 후술하게 될 실험례가 참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xial length of the reinforcing frame 134 may be formed from 200mm to 500mm. More preferably, the axial length of the reinforcement frame 134 may be 200 mm to 250 mm. The reinforcement frame 134 determines the longitudinal spacing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which is one of the major design variables related to the load bearing safety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Selection of the length of the reinforcement frame 134, which is a vertical spacing (Skeleton spacing) reflects the safety test of the nume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is experimental example, can be referred to the experimental example to be described later.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135, 136)는 방재 쉘터 골격의 마디를 형성하는 몸체부(1351, 1361)와 몸체부(1351, 1361)로부터 연장형성 되어 반호 프레임(131) 또는 하부 프레임(133)의 단부에 관입되는 연장부(1353, 1363)를 구비한다. 커넥터(135, 136)의 상면에는 멤브레인 부재(30)가 골조 위에 덧씌워지도록 멤브레인 부재(30)를 고정하는 결찰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2 to 4, the connectors 135 and 136 extend from the body portions 1351 and 1361 and the body portions 1351 and 1361 forming the nodes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skeleton, and thus the half arc frame 131 or the lower portion. Extensions 1353 and 1363 penetrating the ends of the frame 133 are provided. Ligation means for fixing the membrane member 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connectors 135 and 136 so that the membrane member 30 is overlaid on the framework.

커넥터(135, 136)로는 3-노드 커넥터(135)와 4-노드 커넥터(136)의 2종이 포함될 수 있다. 3-노드 커넥터(135)는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된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13)에 사용되며, 연장부(1353)가 3개 형성된다. 4-노드 커넥터(136)는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13, 15) 중 전면 또는 후면을 제외하여 종방향 간격마다 배치되는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15)에 사용되며, 연장부(1353)가 4개 형성된다. The connectors 135 and 136 may include two kinds of three-node connectors 135 and four-node connectors 136. The three-node connector 135 is used for the cross-sectional skeleton 13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located in the front or rear, three extensions 1353 are formed. The four-node connector 136 is used for the cross-sectional skeleton 15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disposed at longitudinal intervals except for the front or rear of the cross-sectional skeletons 13 and 15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and the extension 1353 is 4 Dogs are formed.

이상에서 설명된 반호 프레임(131), 하부 프레임(133), 보강 프레임(134) 및 커넥터(135, 136)를 헤아려 보면, 방재 쉘터(1) 골격의 각 마디마다 최소 3개의 강관 프레임이 커넥터(135, 136)를 통해 결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부 골조의 경우 2개의 반호 프레임(131(a), 131(b))과 1개의 보강 프레임(134)이 천단부의 하중을 지지한다. 측벽 골조의 경우 1개의 반호 프레임(131)과 1개의 하부 측벽 프레임(1331) 및 1개의 보강 프레임(134)이 상부의 하중을 지지한다. 바닥 골조의 경우 1개의 하부 측벽 프레임(1331)과 1개의 하부 바닥 프레임(1333) 및 1개의 보강 프레임(134)이 상부의 하중을 지지한다. 결국, 반호 프레임(131)이 형성하고 있는 천단부의 폐합 구조와 하부 프레임(133) 및 보강 프레임(134)이 형성하고 있는 골조는 호 형상의 단일 프레임으로 천단부를 구성한 골조에 비하여 균일하고 안정된 하중 분산이 가능한 구조체로 제공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Considering the half frame 131, the lower frame 133, the reinforcing frame 134, and the connectors 135 and 136 described above, at least three steel pipe frames are provided for each node of the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135, 136) can be confirmed that the binding. In the case of the upper frame, two half arc frames 131 (a) and 131 (b) and one reinforcement frame 134 support the load at the top end. In the case of the side wall frame, one half arc frame 131, one lower side wall frame 1331, and one reinforcing frame 134 support the upper load. In the case of the bottom frame, one lower side wall frame 1331, one lower bottom frame 1333, and one reinforcing frame 134 support the upper load. As a result, the closed structure of the top end formed by the half call frame 131 and the frame formed by the lower frame 133 and the reinforcement frame 134 have a uniform and stable load distribution as compared to the frame formed by the top end with a single arc-shaped frame. It is understood that this is provided as a possible structure.

본 실시예로, 반호 프레임(131)과 하부 프레임(133)은 듀랄루민 소재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호 프레임(131)과 하부 프레임(133)은 직경이 39~41mm이고, 두께가 2.8~3.2mm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재 쉘터(1)는 소재의 선정, 소재의 직경, 두께 및 종방향 간격이 골조의 안전성을 결정하는 주요 설계 변수가 된다. 이 경우, 소재의 특성 마다 프레임의 직경 및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로서, 강관 프레임인 반호 프레임(131), 하부 프레임(133)은 두랄루민 소재인 경우 직경이 39~41mm이고, 두께가 2.8~3.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 프레임(134) 역시 두랄루민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직경이 39~41mm이고, 두께가 2.8~3.2mm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두랄루민 소재 특성을 반영한 강관의 직경과 두께는 본 실험례에 의한 수치해석의 안전성 테스트를 반영한 것으로, 후술하게 될 실험례가 참조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lf call frame 131 and the lower frame 133 are preferably made of duralumi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alf frame 131 and the lower frame 133 have a diameter of 39 to 41 mm and a thickness of 2.8 to 3.2 mm. As described above, in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the diameter, the thickness, and the longitudinal spacing of the material are the main design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safety of the frame. In this case,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frame may vary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lf-armor frame 131 and the lower frame 133, which are steel pipe frames, have a diameter of 39 to 41 mm and a thickness of 2.8 to 3.2 mm in the case of duralumin. In addition, the reinforcing frame 134 may also be provided with a duralumin material, the diameter is 39 ~ 41mm, may be provided with a thickness of 2.8 ~ 3.2mm.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steel pipe reflecting the properties of the duralumin material reflect the safety test of the nume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is experimental example, which may be referred to the experimental example to be described later.

다른 실시예로, 반호 프레임(131)과 하부 프레임(133)은 아연도 강관 소재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호 프레임(131)과 하부 프레임(133)은 직경이 38~39mm이고, 두께가 1.8~2.2mm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 프레임(134) 역시 아연도 강관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직경이 38~39mm이고, 두께가 1.8~2.2mm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아연도 강관 소재 특성을 반영한 강관의 직경과 두께는 본 실험례에 의한 수치해석의 안전성 테스트를 반영한 것으로, 후술하게 될 실험례가 참조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half call frame 131 and the lower frame 133 is preferably a galvanized steel pipe material.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alf call frame 131 and the lower frame 133 have a diameter of 38 to 39 mm and a thickness of 1.8 to 2.2 mm. In addition, the reinforcing frame 134 may also be provided as a galvanized steel pipe material, the diameter is 38 ~ 39mm, may be provided with a thickness of 1.8 ~ 2.2mm.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steel pip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lvanized steel pipe material reflects the safety test of the nume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which may be referred to the experimental example to be described later.

멤브레인 부재(30)는 복수개의 반호 프레임(131)과 복수개의 하부 프레임(133)의 조합으로 조립된 방재 쉘터의 골격(13, 15)에 씌워진다. 본 실시예로, 멤브레인 부재(30)는 토목섬유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고, 그 두께는 0.8mm 내지 1.2mm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토목섬유의 멤브레인 부재(30)는 1mm의 두께로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를 가제작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가제작된 방재 쉘터(1‘의 3-노드 커넥터(135’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가제작된 방재 쉘터(1‘의 4-노드 커넥터(136‘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제작된 방재 쉘터(1’는 천단부가 반호 프레임(131‘의 조합으로 구성됨에 따라 하부 바닥 프레임(1333’이상의 부피와 무게를 갖는 강관 프레임이 없다. 따라서, 성인용 남성의 운반 및 조립이 충분히 가능하여 필요시에 따라 조립 또는 해체가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방제 쉘터(1‘의 모델에 수치 해석을 통한 안전성을 확인한 실험례는 하기와 같다. The membrane member 30 is covered on the skeletons 13 and 15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assembl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half call frames 131 and the plurality of lower frames 133. In this embodiment, the membrane member 30 may be provided as a material of geotextiles, the thickness of which may be designed to 0.8mm to 1.2mm. More preferably, the membrane member 30 of the geotextile may be designed to a thickness of 1mm. Fig. 5 shows a prefabricated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Fig. 6 shows a three-node connector 135' of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prefabric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Figure 7 shows a four-node connector 136 'of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prefabric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5. Referring to Figures 5-7, the prefabricated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 There is no steel pipe frame with a volume and weight greater than the bottom floor frame 1333 'as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additional half call frames 13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rry and assemble an adult male enough to easily assemble or dismantle as needed. The experimental example of confirming the safety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to the control shelter (1 ') model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1. One. 실험례Experimental Example : 방제  : Control 쉘터의Shelter 작용하중 분석 Working load analysis

주택용 방재 쉘터에 작용하는 하중은 시방기준이나 지침 등이 정립된 것이 없어 이를 고려하여 산지재해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하중과 지진시 주택붕괴에 따른 하중을 선행연구 및 문헌 등을 분석하여 대피기구에 작용하는 하중을 선정하였다. 주택용 방재쉘터에 작용하는 하중으로는 급경사지 붕괴 및 산사태와 같은 산지재해의 경우 충격을 포함한 집중하중과 분포하중으로 대별되며, 지진시 발생되는 하중은 주로 진동으로 인한 주택붕괴로 발생되는 하중으로 구분할 수 있다.As the load acting on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the house has no established standards or guidelines, it is applied to evacuation mechanisms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s on various loads that may occur in mountain disasters and loads due to housing collapse during earthquakes. A load was selected. The load acting on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home is divided into the concentrated load and the distribution load including impact in case of mountain disaster such as steep slope collapse and landslide.The loads generated during earthquake can be divided into the loads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housing due to vibration. Can be.

급경사지 붕괴 및 산사태 하중은 집중하중으로써 국내 국도 주변 275개소에 대한 낙석을 조사한 결과, 낙석의 평균 중량은 4kN이나, 낙석방지시설 설계시에는 보통 1kN~30kN을 기준으로 낙석 하중을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 (Kim et al., 2016). 분포하중은 토석류로 인한 충격하중으로 최근 2006년~2011년 사이에 발생한 국내 산사태 중 25개소의 실측한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토석류에 의해 구조물이 받은 충격압력의 범위는 21.57~214.11kPa 이며, 손상된 건축 구조물은 평균 95.36kPa의 충격 압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손상된 구조물의 최대 충격력 작용 시 토석류의 평균속도는 6.12m/sec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Kim et al., 2016). The steep collapse and landslide loads are concentrated loads. The average weight of rocks is 4kN. However, when designing a rockfall prevention facility, rockfall loads are generally reflected in the design based on 1kN ~ 30kN. have. (Kim et al., 2016). The distribution load is the impact load due to the soil,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25 measured data of landslides occurring between 2006 and 2011, the impact pressure received by the structure was 21.57 to 214.11 kPa. It was analyzed that the structure was subjected to an impact pressure of 95.36 kPa on average, and that the average velocity of the soil was generated at 6.12 m / sec when the maximum impact force of the damaged structure was applied (Kim et al., 2016).

지진 시 주택의 붕괴하중은 고정하중인 지붕하중과 등분포하중인 적재하중으로 구분되며, 건축물 하중기준 및 해설(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0)에 따르면 지붕하중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두께 0.2m를 기준으로 5.0kN/m2의 하중이 발생한다. 적재하중은 건물의 입주자나 집기류 등 건물의 점유에 관련된 하중으로 정의된다. 보통 적재하중은 수시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분포하중을 계산하기 어려우며, 자연재난 시 피난 등 예기치 않은 하중을 초래할 우려도 있지만 적재물이 거의 없는 주택으로 설정하였다. The collapse load of a house during an earthquake is divided into fixed load roof load and equal load load load, and according to the building load standard and commentar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0), the roof load is based on 0.2m of reinforced concrete slab thickness. A load of 5.0 kN / m 2 is generated. Loading load is defined as the load related to occupancy of the building, such as occupants or appliances of the building.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exact distribution load because the loading load is likely to move from time to time, and it is set as a house with little load, although it may cause unexpected load such as evacuation during natural disaster.

주택용 방재쉘터의 작융하중 선정은 다음과 같다. 급경사지 붕괴 및 산사태 하중은 낙석하중, 비콘크리트 건물이 파괴된 후 작용하중 등을 고려하여 분포하중 15kN/m2과 토석류가 밀려와 일반 주택의 실내 높이 약 2.0m까지 토사에 매몰된 경우를 고려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이 선정하였다. 또한, 지진발생 시 작용하는 하중은 고정하중인 지붕하중과 유동성이 있는 적재하중 등을 고려하여 10kN/m2으로 선정하였다.The working load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home is as follows. The steep slope collapse and landslide loads take into account the distribution load of 15kN / m 2 and the soil loads up to 2.0m indoor height of general houses, considering the falling load, the working load after the non-concrete building is destroyed, etc. It was selec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the load acting during the earthquake was selected as 10kN / m 2 in consideration of the fixed roof load and the fluid load.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본 실시예에 따른 방재 쉘터(1) 부재 적정성 해석을 위한 수치해석 프로그램은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ap20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3D frame 및 membrane 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을 위한 모델링은 멤브레인 부재(30)의 소재가 토목섬유이고, 강관 프레임의 소재가 두랄루민 또는 아연도 강관으로 구성한 단면을 3차원 Membrane 요소와 Frame 입체요소로 각각 모델링 하였으며, 각 부재는 20~25cm의 요소 부재로 구성하였다. Numerical analysis program for disaster adequacy shelter (1) member adequacy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as performed using the Sap2000 program that is widely used for 3D frame and membrane element analysis. In the modeling for analysis, the material of the membrane member 30 is geotextile, and the section of the steel pipe frame is composed of duralumin or galvanized steel pipe as a 3D Membrane element and a frame solid element, and each member is 20-25 cm. It consisted of the absence of elements.

재료 물성치와 관련하여 방재 쉘터(1)에 사용되는 재료는 토목섬유, 두랄루민, 아연도 강관으로 모두 KS D에서 규정한 동등이상의 품질을 만족하는 기성제품이다. 토목섬유의 경우 PET Mat 중 인장강도 400kN/m 이상의 물성치를 적용하였으며, 두랄루민은 구조물의 뼈대 구조에 적합한 2XXX계열대, 아연도 강관은 SPVH 재료중 안전성, 사용성, 경제성 등을 만족시키는 환봉 형상의 재료를 선정한 후 일반적인 기계적 성질인 탄성계수, 인장강도, 신율 등은 기존 자료의 값을사용하여 작용하중에 안전하도록 3차원 수치해석에 사용하였다.In relation to the material properties, the materials used in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are geotextiles, duralumin, and galvanized steel pipes. In the case of geotextiles, the properties of tensile strength over 400kN / m were applied among PET Mats.Duralumin is a 2XXX series suitable for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and galvanized steel pipe is a round bar material that satisfies the safety, us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among SPVH After selecting, general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modulus of elasticity,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used for 3D numerical analysis to be safe under working load using the values of existing data.

안전성 기준과 관련하여, 주택용 방재 쉘터(1) 안전성 판정에 대한 기준은 현재 정립된 기준이 없으므로 허용응력법을 기준으로 하여 안전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설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토목 구조물에서 강재의 안전계수는 1.5~2.2 정도로 사용하고 있지만 방재 쉘터(1)는 항상 응력이 작용하는 구조물이 아니고 특정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하중이 작용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 재료의 항복응력의 66.7%에 해당하는 안전계수 1.5를 적용하여 허용응력에 대한 안정성 기준 값을 하기의 [표 2]와 같이 선정하였다. Regarding safety standards, there are no standards currently established for the safety shelter for hom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Therefore, the criteria for safety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allowable stress method. Generally, the safety factor of steel is 1.5 ~ 2.2 in buildings or civil structures, but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is not always a structure in which stress is applied, but a load acts temporarily in a specific state, so yielding each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is By applying a safety factor of 1.5, which corresponds to 66.7% of stress, the stability criteria for allowable stresses were selected as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또한, 허용변위 기준은 부재응력이 허용 응력이내에 있으면서 최대의 변위를 허용하는 값은 연성거동을 하는 재료와 같이 부재 치수의 5%의 변위에 대한 기준으로 하기의 [표 3]과 같이 설정하였다.In addition, the allowable displacement criterion was set as shown in Table 3 below as a reference for 5% displacement of the member dimension such as a material having ductile behavior while the member stress was within the allowable stress.

[표 3]TABLE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방재 쉘터(1) 부재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외력 대부분에 대하여 저항하는 골조를 이루고 있는 두랄루민과 아연도 강관의 직경(D), 두께(T), 종방향 부재간격(C.T.C)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재 쉘터(1)는 안전성도 만족하여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사용자가 쉽게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사용성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종방향 간격이 좁고, 부재 직경이 클수록 안전성 측면에서는 더욱 큰 효과가 발휘되나, 부재수가 불필요하게 많으면 경제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본 실험례에서는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부재의 제원을 바탕으로 토목섬유과 두랄루민, 토목섬유와 아연도 강관의 직경, 두께, 종방향 간격을 달리하여 부재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adequacy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member,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diameter (D), thickness (T), and longitudinal member spacing (CTC) of the duralumin and galvanized steel pipes that are resistant to most external forces. Do.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should also satisfy the safety, but above all, the user should also consider the usability aspects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easily. The narrower the longitudinal spacing and the larger the member diameter, the greater the effect in terms of safety. However, if the number of members is unnecessarily large,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y and usability. Therefore, in this test example, the member adequacy evaluation was performed by varying the diameters, thicknesses, and longitudinal spacings of geotextiles, duralumins, geotextiles, and galvanized steel pipes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members currently on the market.

2-1. 토목섬유+두랄루민 부재 평가2-1. Geotextile + Duralumin Absence Assessment

하기의 [표 4]는 하중의 케이스 별 두랄루민 소재의 직경, 두께 및 종방향 간격을 달리한 모델을 나타낸다. [표 4]에서 case1 과 case2는 지진시 하중을 적용한 모델이고, case3 과 case 4는 산사태 하중을 적용한 모델이다.Table 4 below shows a model in which the diameter, thickness, and longitudinal spacing of the duralumin material per case of the loads are different. In Table 4, case1 and case2 are models using earthquake loads, and case3 and case 4 are landslide load models.

[표 4]TABLE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하기의 [표 5]는 [표 4]의 케이스 모델 별 수치해석 결과를 정리한 것을 나타낸다. 토목섬유와 두랄루민이 결합된 방재 쉘터(1)의 부재직경(D), 두께(t), 종방향 간격(Skeleton spacing)별 부재 적정성 검토 결과, 천단부(crown)에서 응력과 변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Table 5 below shows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for each case model of Table 4 belo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dequacy of member diameter (D), thickness (t), and vertical spacing (Skeleton spacing) of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combined with geotextile and duralumin, stress and displacement were the largest at the crown. .

[표 5]TABLE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도 8은 본 실험례에 따른 두랄루민 강관 부재의 밴딩 모멘텀 평가 모습을 나타낸다. [표 5]를 참조하면, case1과 case2의 경우에는 골격을 이루고 있는 두랄루민 보다 토목섬유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중 발생시 두랄루민으로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토목섬유가 하중에 저항하는 결과로, 두랄루민 종방향 간격이 길어서 발생되는 현성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case2의 경우에는 종방향 간격이 case1에 비해 좁으나 응력 및 변위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종방향 간격보다는 부재의 직경 및 두께가 부재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8 shows the evaluation of the bending momentum of the duralumin steel pip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Referring to [Table 5], in case 1 and case 2, stress was concentrated in geotextiles more than duralumin, which is a skeleton. This is a result of geosynthetic fiber that plays a role of dispersing the load to duralumin when the load is generated and resists the load. In addition, in case2, the longitudinal spacing is narrower than case1, but the stress and displacement are large, which indicates that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member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he member force than the longitudinal spacing.

반면, 산사태 하중을 적용한 case3, case4는 토목섬유보다 두랄루민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두랄루민 부재의 종방향 간격이 좁아 토목섬유가 하중에 저항하기 보다는 하중을 분산시켜 강도가 큰 두랄루민 부재로 응력이 전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ase3 and case4, which applied landslide load, were found to concentrate stress on duralumin rather than geotextile, which is narrow in the longitudinal distance of duralumin member, so that the geotextile disperses the load rather than resists the duralumin member. It can be seen that the stress is transferred.

2-2. 토목섬유+아연도 강관 부재 평가2-2. Geosynthetic + Zinc Duct Steel Pipe Evaluation

[표 4]를 참조하여, 토목섬유와 아연도 강관 직경(D)=38.1mm, 두께(t)=2.0mm에 대하여 종방향 간격을 변화시켜 수치해석을 통한 안전성 검토결과는 하기의 [표 6]과 같다. 도 9는 본 실험례에 따른 아연도 강관 부재의 밴딩 모멘텀 평가 모습을 나타낸다.Referring to [Table 4], the results of the safety review through numerical analysis by varying the longitudinal interval for the geotextile and galvanized steel pipe diameter (D) = 38.1 mm and thickness (t) = 2.0 mm are shown in Table 6 below. ] Is the same. 9 shows the bending momentum evaluation of the galvanized steel pip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표 6]TABLE 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토목섬유+두랄루민 결과와 유사하게 천단부에서 최대응력과 변위가 발생하였으며, 토목섬유는 하중에 저항하기 보다는 아연도 강관으로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시 주택붕괴 하중을 적용한 case1 및 case2의 경우 부재 종방향 간격이 100mm 증가시 응력 및 변위는 약 25%감소되었으나, 지진시 하중보다 3.2배 큰 산사태 하중을 적용한 case3, case4의 경우에는 부재 종방향 간격을 50mm 감소시 응력과 변위가 약20%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낫다. 이는 작용 하중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부재 수를 증가시켜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안전성 측면에서 우술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Similar to the result of geosynthetic + duralumin, the maximum stress and displacement occurred at the top end, and geosynthesis disperses the load in galvanized steel pipe rather than resisting it. In case 1 and case 2 with housing collapse load during earthquake, the stress and displacement decreased by about 25% when the length of member longitudinal spacing increased by 100 mm, but in case 3 and case 4 with landslide load 3.2 times larger than the load in earthquake A 50 mm gap decreases the stress and displacement by about 20%.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safety precaution in the case of a relatively large working load,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members and disperses stress.

3. 3. 실험례의Experimental 결과 result

토목섬유는 외력에 저항하기 보다는 하중을 분산시켜 주 부재 재료인 두랄루민과 아연도 강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나, 토목섬유의 두께(T) 및 인장강도 증가보다는 두랄루민과 아연도 강관의 종방향 부재간격 조정을 통한 효과적인 하중분산이 방재 쉘터의 안전성 향상에 지배적인 것으로 판단된다.Geosynthetics disperses the load rather than resisting external forces, so that the load is concentrated in the duralumin and galvanized steel pipes, which are the main member materials, and the longitudinal member of the duralumin and galvanized steel pipe is increased rather than increasing the thickness (T) and tensile strength of the geotextile. Effective load distribution through spacing adjustment seems to be the dominant factor in improving the safety of disaster shelter.

토목섬유와 두랄루민이 결합된 방재 쉘터(1)의 경우 골조를 이루고 있는 두랄루민의 종방향 간격이 넓을수록 토목섬유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나, 종방향 간격보다는 두랄루민의 직경(D), 두께(T)가 부재력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목섬유와 아연도 강관이 결합된 방재쉘터의 경우 작용하중이 큰 경우가 작을 때보다 종방향 부재간격이 부재력 및 응력저감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작용하중이 큰 경우에는 부재수를 증가시켜 응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In the case of disaster prevention shelter (1) combined with geotextile and duralumin, the longitudinal spacing of duralumin, which constitutes the framework, is more concentrated in the geotextile, and the diameter (D) and thickness (T) of duralumin than the longitudinal spacing. ) Seems to have more influence on absence force. In case of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ombined with geotextile and galvanized steel pipe, longitudinal member spacing has a greater effect on member force and stress reduction effect than when small working load is large. It is thought that it is effective to disperse the stress.

두랄루민, 아연도 강관 재료는 안전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주택용 방재쉘터 주부재 재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방재 쉘터 제작시에는 재난의 복합성을 고려하여 작용 하중이 큰 산사태 하중을 적용하여 안전성이 만족되는 부재의 제원을 결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실험례를 통해 가장 높은 외력이 작용되는 case3, case4에서 case3인 두랄루민의 직경 40mm, 두께가 3mm이며 종방향 간격이 250mm인 모델이, case4 대비 천단부의 하중과 측벽의 하중을 보다 우수하게 견딜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uralumin and galvanized steel pipe materials can be used as main materials for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housing in terms of safety and usability.In manufacturing disaster prevention shelter,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landslide load with a large working loa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xity of disasters to ensure safety. It would be reasonable to decide on this. Accordingly, the model of caseal and case4 where the highest external force is applied is 40mm in diameter, 3mm thick and 250mm longitudinally spaced apart from the case 3, and the longitudinal end and sidewall loads are superior to case4.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endur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1: 방제 쉘터
10: 방제 쉘터의 골조 시스템
13, 15: 횡단면 골격
131: 반호 프레임
133: 하부 프레임
134: 보강 프레임
135: 3-노드 커넥터
136: 4-노드 커넥터
1351, 1361: 몸체부
1353, 1363: 연장부
30: 멤브레인 부재
1: control shelter
10: framework of control shelter
13, 15: cross-sectional skeleton
131: half call frame
133: lower frame
134: reinforcement frame
135: three-node connector
136: four-node connector
1351, 1361: body part
1353, 1363: extension
30: membrane member

Claims (11)

자연재난 대비를 위한 방재 쉘터에 있어서,
근위부가 만곡되고 상부 골격의 일측을 형성하는 반호 프레임;
상기 반호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및
복수개의 상기 반호 프레임과 복수개의 상기 하부 프레임의 조합으로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을 형성하도록 상기 반호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결속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호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를 기반으로 한 쌍이 결속되어 폐합 구조로 천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For disaster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
A half arc frame having a proximal portion curved and forming one side of the upper skeleton;
A lower frame supporting the half call frame; And
And a connector for coupling the half frame and the lower frame to form a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half frame and the plurality of lower frames.
The half call frame is a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is bound based on the connector to form a top end in a closed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호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이 조합되어 형성한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은 마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The method of claim 1,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med by combining the half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a horseshoe ty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 간 종방향 간격을 형성하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를 기반으로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frame to form a longitudinal gap between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The reinforcement fram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for binding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based on the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를 통해서 상기 반호 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되는 하부 측벽 프레임; 및
지면과 평행하고 상기 하부 측벽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를 통해서 상기 하부 측벽 프레임과 연결되는 하부 바닥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frame,
A lower sidewall fram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alf call frame through the connec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nd a bottom bottom frame connected to the bottom side wall frame through the connect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ide wall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방재 쉘터 골격의 마디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형성 되어 상기 반호 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부에 관입되는 연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Body portion forming a node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skeleton;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penetrate the end of the half frame or the lower fra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된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에 사용되는 상기 연장부가 3개 형성된 3-노드 커넥터; 및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 중 전면 또는 후면을 제외하여 종방향 간격마다 배치되는 방재 쉘터의 횡단면 골격에 사용되는 상기 연장부가 4개 형성된 4-노드 커넥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or,
A three-node connector in which the three extensions are used for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located at the front or the rear; And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four-node connector formed of the four extension parts used in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disposed at every longitudinal interval except the front or rear of the cross-sectional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호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듀랄루민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half call frame and the lower fram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haracterized by duralumin materi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호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직경이 39~41mm이고, 두께가 2.8~3.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alf call frame and the lower fram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s 39 ~ 41mm, the thickness is 2.8 ~ 3.2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호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아연도 강관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half call frame and the lower fram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haracterized by the galvanized steel pipe materi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호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직경이 38~39mm이고, 두께가 1.8~2.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The method of claim 9,
The half call frame and the lower fram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s 38 ~ 39mm, the thickness is 1.8 ~ 2.2mm.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반호 프레임과 복수개의 상기 하부 프레임의 조합으로 조립된 방재 쉘터의 골격에 씌워지는 멤브레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 부재는 토목섬유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쉘터.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membrane member which is covered on the skelet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helter assembl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aid half frame and a plurality of said lower frames,
Disaster prevention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rane member is a material of geotextile.
KR1020180041120A 2018-04-09 2018-04-09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 KR102177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20A KR102177370B1 (en) 2018-04-09 2018-04-09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20A KR102177370B1 (en) 2018-04-09 2018-04-09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22A true KR20190118022A (en) 2019-10-17
KR102177370B1 KR102177370B1 (en) 2020-11-11

Family

ID=6842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120A KR102177370B1 (en) 2018-04-09 2018-04-09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37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856A (en) * 1995-01-27 1996-08-06 Masakatsu Takahashi Emergency tent
JP3115937U (en) * 2005-05-19 2005-11-24 仁 高橋 Seismic shelter for home use
KR101635088B1 (en) 2015-02-24 2016-06-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ssembly type escap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937B2 (en) * 1992-04-23 2000-12-11 松下電工株式会社 Screw tightening 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856A (en) * 1995-01-27 1996-08-06 Masakatsu Takahashi Emergency tent
JP3115937U (en) * 2005-05-19 2005-11-24 仁 高橋 Seismic shelter for home use
KR101635088B1 (en) 2015-02-24 2016-06-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ssembly type escap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370B1 (en)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mes et al. Seismic resistance of earth construction in Portugal
CN205875395U (en) Prestressing force is from restoring to throne assembled concrete frame beam column node
Massone et al. Load–Deformation responses of slender structural steel reinforced concrete walls
CN205669255U (en) A kind of industrialization preprocessing regenerative structural system
Kawamura et al. Seismic isolation retrofit in Japan
Kumar et al. Analysis of residential building with STAAD. Pro & ETABS
WO2016122302A1 (en) Prefabricated system for floor slabs and roofs with structural bamboo
Sorace et al. A viable base isolation strategy for the advanced seismic retrofit of an R/C building
KR20190118022A (en) Disaster prevention shelter for natural disasters
Fukuyama Application of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for damage mitigation of building structures case study on damage mitigation of RC buildings with soft first story
JP4861096B2 (en) Seismic reinforcement frame using tend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dham Earthquake failures on buildings and the role of architect on building safety
JP3224177U (en) Stee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uildings
Farag et al.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JP2004052494A (en) Rc beam damper
JP2006022572A (en) Outer frame type a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existing building
Eroğlu Seismic design optimization and seismic performance of tall buildings and seismic performance
JP4568109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CN212427248U (en) Shock absorption protec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elevator impact load settlement
Pradhan et al. Retrofitting Design of Kathmandu University Staff Quarter Block 32 ‘A’after Gorkha Earthquake 2015
Bhagat Optimization of a Multistorey-building by Optimum Positioning of shear wall
Raju Structural design and drawing: Reinforced concrete and steel
Upreti Behavior of Foundation Beam for Shear Wall Structural System with Coupling Beams
Hussain et al. Multistory Academic Buildings in High Seismic Zone-An Economical and Sustainable Solution to Land Scarcity
Parsa et al. Situation of the yukarıköy’s traditional stone masonry houses affected by 2017 ayvacık earthquak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