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80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806A
KR20190116806A KR1020180039850A KR20180039850A KR20190116806A KR 20190116806 A KR20190116806 A KR 20190116806A KR 1020180039850 A KR1020180039850 A KR 1020180039850A KR 20180039850 A KR20180039850 A KR 20180039850A KR 20190116806 A KR20190116806 A KR 20190116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
messag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random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164B1 (ko
Inventor
정병훈
아닐 아기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164B1/ko
Priority to US16/376,296 priority patent/US11039325B2/en
Priority to US16/376,172 priority patent/US10924945B2/en
Priority to EP19782253.9A priority patent/EP3777427B1/en
Priority to PCT/KR2019/004078 priority patent/WO2019194644A1/en
Priority to EP23181814.7A priority patent/EP4255031A3/en
Priority to CN201980023488.0A priority patent/CN111937475B/zh
Publication of KR2019011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806A/ko
Priority to US17/346,859 priority patent/US1194364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04W68/025Indirect p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에 관한 것으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 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메시지는, C-RNTI(cell-network temporary identifier) MAC(media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또는 BFR(beam failure recovery) MAC 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의 경우, 효과적인 빔포밍을 위해 적절한 빔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최적의 빔을 선택,추적(tracking), 또는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이징에 대한 모니터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 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메시지는, C-RNTI(cell-network temporary identifier) MAC(media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또는 BFR(beam failure recovery) MAC 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 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메시지는, C-RNTI MAC CE 또는 BFR MAC 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프리앰블 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메시지는, C-RNTI MAC CE 또는 BFR MAC 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리앰블 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메시지는, C-RNTI MAC CE 또는 BFR MAC 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를 생성하는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의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빔 실패 회복(beam failure recovery, BFR)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C-RNTI(cell-network temporary identifier)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 CE를 생성하는 단말의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의 또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BFR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C-RNTI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 CE를 생성하는 단말의 또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의 또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타입(type)1 BFR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타입2 BFR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C-RNTI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 CE를 생성하는 단말의 또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모니터링 기회(occasion)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PO(paging occasion)의 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모니터링 기회의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PO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위한 상향링크 정보 제공 및 논리적(logical) 채널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을 예시한다. 도 1은 하나의 기지국만을 도시하나, 기지국 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들 120, 13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 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 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3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 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 120 및 단말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 120 및 단말 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3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110 및 단말들 120, 130은 빔 탐색(beam search) 또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 112, 113, 121, 131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빙 빔들 112, 113, 121, 131이 선택된 후, 이후 통신은 서빙 빔들 112, 113, 121, 131을 송신한 자원과 QCL(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의 광범위한(large-scale) 특성들이 제2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로부터 추정될(inferred) 수 있다면, 제1 안테나 포트 및 제2 안테나 포트는 QCL 관계에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특성들은 지연 스프레드(delay spread), 도플러 스프레드(doppler spread),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 평균 이득(average gain), 평균 지연(average delay), 공간적 수신 파라미터(spatial receiver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 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무선통신부 210, 백홀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2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2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220은 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 230은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30은 제어부 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240은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무선통신부 2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2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40은 저장부 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토콜 스텍은 무선통신부 2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40은 기지국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은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를 포함한다.
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3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3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320은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320은 제어부 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330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3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3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톨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3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의 일부 및 제어부 3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330은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의 통신부 3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4c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의 통신부 310의 일부로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예시한다.
도 4a를 참고하면, 무선통신부 210 또는 통신부 310은 부호화 및 변조부 402, 디지털 빔포밍부 404,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를 포함한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볼루션(convoluation) 코드, 폴라(polar)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성상도 맵핑(con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벌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디지털 신호(예: 변조 심벌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변조 심벌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프리코더(precod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는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벌들을 출력한다. 이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 심벌들은 다중화되거나,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동일한 변조 심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 CP(cyclic prefix) 삽입부, DAC, 상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FBMC(filter bank multi-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다수의 스트림(stream)들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단, 구현 방식에 따라,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아날로그 신호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및 안테나들 간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는 도 4b 또는 도 4c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로 입력된 신호들은 위상/크기 변환, 증폭의 연산을 거쳐,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이때, 각 경로의 신호는 서로 다른 안테나 집합들 즉, 안테나 어레이들을 통해 송신된다. 첫번째 경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살펴보면, 신호는 위상/크기 변환부들 412-1-1 내지 412-1-M에 의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위상/크기를 가지는 신호열로 변환되고, 증폭기들 414-1-1 내지 414-1-M에 의해 증폭된 후,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도 4c를 참고하면,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로 입력된 신호들은 위상/크기 변환, 증폭의 연산을 거쳐,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이때, 각 경로의 신호는 동일한 안테나 집합, 즉,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송신된다. 첫번째 경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살펴보면, 신호는 위상/크기 변환부들 412-1-1 내지 412-1-M에 의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위상/크기를 가지는 신호열로 변환되고, 증폭기들 414-1-1 내지 414-1-M에 의해 증폭된다. 그리고,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송신되도록, 증폭된 신호들은 안테나 요소를 기준으로 합산부들 416-1-1 내지 416-1-M에 의해 합산된 후,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도 4b는 송신 경로 별 독립적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되는 예를, 도 4c 송신 경로들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공유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일부 송신 경로들은 독립적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고, 나머지 송신 경로들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공유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송신 경로들 및 안테나 어레이들 간 스위치 가능한(switchable)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폰 등의 도래로 인해, 사용자의 무선 통신망 및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단말 및 기지국이 다중 빔을 사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하는 도중에 사용 중이던 빔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 단말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이 설명된다. 이러한 빔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는 ‘빔 실패(beam failure)’라 지칭될 수 있고, 이를 회복하기 위한 절차는 ‘빔 실패 회복’이라 지칭될 수 있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Connected) 상태의 단말은 하나 이상의 서빙 빔을 이용해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빙 빔은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reference signal) 또는 SS(synchronization signal) 블록(block)과 연관되어 측정/관측되고 보고될 수 있다.
만약 CSI-RS 기반의 서빙 빔이 사용된다면, 망(network)은 이러한 서빙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를 위하여 단말에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각각 서로 다른 빔과 매핑되는) 고유 프리앰블(preamble) 및/또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자원(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resource)을 하나 이상 설정하고, 신호 전송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설정 정보는 어떠한 망이 단말에게 제공하는 하향링크 RRC/ MAC(media access control)/ PHY(physical) 신호 내에 있는 어떠한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예를 들면 BeamFailureRecoveryConfig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자원은 상기 설정된 어떠한 고유 CSI-RS 와 동일한 빔 방향을 사용하여 기지국이 수신하는 빔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만약 SS 블록 기반의 서빙 빔이 사용된다면, 망은 이러한 서빙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를 위하여 단말에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각각 서로 다른 빔과 매핑되는) 고유 프리앰블(preamble) 및/또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자원(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resource)을 하나 이상 설정하고 신호 전송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설정 정보는 어떠한 망이 단말에게 제공하는 하향링크 RRC/ MAC/ PHY 신호 내에 있는 어떠한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예를 들면 BeamFailureRecoveryConfig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자원은 상기 설정된 어떠한 고유 SS 블록 와 동일한 빔 방향을 사용하여 기지국이 수신하는 빔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설정된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자원과 연동되어 있는 어떠한 CSI-RS 또는 SS 블록 빔들의 측정 채널 품질도 망이 기 설정한 특정 문턱값(beamFailureCandidateBeamThreshold)을 초과하지 못한다면, 단말은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를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자원을 이용해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설정된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자원과 연동되어 있는 어떠한 CSI-RS 또는 SS 블록 빔들의 측정 채널 품질이 망이 기 설정한 특정 문턱값(beamFailureCandidateBeamThreshold)을 초과하면, 단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자원을 선택하여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 단말은 가장 채널 품질이 좋은 빔을 사용 가능한 자원을 선택하여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채널 품질이 좋은 빔들을 가지는 자원들을 순서대로 K 개 선택하여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를 K 개의 자원들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K는 망이 설정하고 제공하는 하향링크 신호(RRC/MAC/PHY) 에 포함된 어떠한 설정 값 일 수 있다.
상기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를 위하여 설정되어 있는 자원 및 이와 연동 되어 있는 어떠한 빔(예: SS 블록)들의 경우 상기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를 위하여 설정되어 있는 자원 및 이와 연동되어 있는 어떠한 빔(예: CSI-RS) 들과 다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상기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를 위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할 자원을 상기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자원과 연동 되어 있는 빔들만을 측정하고 결정해야 한다.
그 결과, 상기 단말은 빔 실패 복구를 위하여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예: 측정 빔 품질이 문턱값 이하이거나 자원이 제대로 할당되지 아니한 경우). 경쟁 기반 랜덤 엑세스를 사용하더라도 서로 다른 빔 연동 관계 때문에 제대로 된 빔 정보(CSI-RS ID(identifier) 및 측정 값)을 망에게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쟁 기반 랜덤 엑세스 자원이 연동 되어 있는 SS 블록 이 어떠한 단말이 고려하는 후보 CSI-RS 와 1대 1 관계에 있고 이를 망과 단말이 모두 안다면 이는 해결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자주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SS 블록 기반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자원과 CSI-RS 기반 비 경쟁 기반 랜덤 엑세스 자원이 공존하는 경우 이러한 자원들 및 빔 들 관의 상관관계는 일 대 일 만이 아닌 다 대 일(다수 CSI-RS 대 단일 SS 블록, 또는 단일 CSI-RS 대 다수 SS 블록)이 될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경쟁 기반 랜덤 엑세스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망에게 정확한 후보 빔 정보를 제공할 방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망의 하향링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여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메시지(예: Msg3) 내에 이러한 단말의 정보(예: C-RNTI) 및 빔 정보(예: CSI-RS ID, CSI-RS 측정)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상술한 정보를 전송하는 실시 예들 및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안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단말 1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501 단계에서, 단말은 단말은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hannel, CB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503 단계에서, 단말은 전송한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random access response, RAR)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505 단계에서, 단말은 RAR이 지정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메시지(예: Msg3) 내에 C-RNTI MAC-CE 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어, 507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initiated)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었으면, 509 단계에서, 단말은 사용 가능한(어떠한 임계치 이상의 측정 값을 갖는) CSI-RS 자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즉,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었고, 적절한(suitable) CSI-RS 자원이 가용한지 판단한다. 만일,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었고, CSI-RS 자원이 가용하면, 511 단계에서, 단말은 후속(subsequent) 상향링크 전송에 CSI-RS 자원의 ID를 포함하는 BFR MAC-CE를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송할 Msg3 내에 CSI-RS 자원의 ID를 포함하는 BFR MAC-CE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후, 513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RAR로부터 할당된 자원을 이용해 Msg3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Msg3는 C-RNTI MAC-CE 및 CSI-RS 자원의 ID를 포함하는 BFR MAC-CE를 모두 포함한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Msg3는 MAC 서브헤더(subheader) 602, C-RNTI MAC CE 604, MAC 서브해더 606, BRF MAC CE 60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MAC CE를 생성하기 위한 논리적인 채널 우선순위(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는 이하 도 7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를 생성하는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701 단계에서, 단말은 우선 C-RNTI MAC-CE를 추가한다. 703 단계에서, 단말은, 만약 가능하면, BFR MAC-CE를 추가한다. 705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허여(uplink grant)가 남아있으면(remains), 다른 MAC CE들을 추가한다. 다시 말해, 용량이 남는다면, 단말은 기타 MAC-CE들을 추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의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단말 1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801 단계에서, 단말은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hannel, CB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803 단계에서, 단말은 전송한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random access response, RAR)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RAR이 지정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Msg3 어떠한 MAC-CE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805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initiated)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었으면, 807 단계에서, 단말은 사용 가능한(어떠한 임계치 이상의 측정 값을 갖는) CSI-RS 자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즉,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었고, 적절한(suitable) CSI-RS 자원이 가용한지 판단한다.
만일,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지 아니하였거나, 또는, CSI-RS 자원이 가용하지 아니하면, 809 단계에서, 단말은 C-RNTI MAC-CE를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시킨다. 반면,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고, CSI-RS 자원이 가용하면, 811 단계에서, 단말은 CSI-RS 자원의 ID를 포함하는 BFR MAC-CE를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시킨다. 이후, 813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RAR로부터 할당된 자원을 이용해 Msg3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 모든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즉, 811 단계에 따라 Msg3에 포함되는 BFR MAC-CE는 이하 도 9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BFR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MAC-CE는 MAC 서브헤더 902, BRF MAC CE 9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을 때, 즉 809 단계에 따라 Msg3에 포함되는 C-RNTI MAC-CE는 이하 도 10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C-RNTI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MAC-CE는 MAC 서브헤더 1002, C-RNTI MAC CE 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MAC CE를 생성하기 위한 논리적인 채널 우선순위는 이하 도 1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 CE를 생성하는 단말의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1101 단계에서, 단말은 우선 C-RNTI MAC-CE 또는 BFR MAC-CE 중 하나를 조건에 따라 추가한다. 이어, 1103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허여(uplink grant)가 남아있으면(remains), 다른 MAC CE들을 추가한다. 다시 말해, 용량이 남는다면, 단말은 기타 MAC-CE들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의 또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단말 1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1201 단계에서, 단말은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hannel, CB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1203 단계에서, 단말은 전송한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random access response, RAR)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RAR 이 지정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Msg3 어떠한 MAC-CE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1205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initiated)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었으면, 1207 단계에서, 단말은 사용 가능한(어떠한 임계치 이상의 측정 값을 갖는) CSI-RS 자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즉,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었고, 적절한(suitable) CSI-RS 자원이 가용한지 판단한다.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지 아니한 경우, 1209 단계에서, 단말은 C-RNTI MAC-CE를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은 C-RNTI MAC-CE를 Msg3에 포함시킬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 되었고, 사용가능한(어떠한 threshold 이상의 측정 값을 갖는) CSI-RS 자원이 없다면, 1211 단계에서, 단말은 전송할 CSI-RS 정보는 없고 C-RNTI를 포함한 BFR MAC-CE를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은 Msg3 내에 CSI-RS 정보 없이 C-RNTI 만을 포함한 BFR MAC-CE를 포함시킬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회복 절차에 의하여 시작 되었고, 사용가능한(어떠한 threshold 이상의 측정 값을 갖는) CSI-RS 자원이 있다면, 1213 단계에서, 단말은 CSI-RS 정보와 C-RNTI를 모두 포함하는 BFR MAC-CE를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은 Msg3 내에 CSI-RS 정보와 C-RNTI 를 모두 포함한 BFR MAC-CE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후, 1215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RAR로부터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Msg3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2의 실시 예에서. 빔 실패 회복에 의한 RACH 전송 중 Msg3에 포함되는 BFR MAC-CE는 아래와 도 1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BFR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Msg3는 MAC 서브헤더 1202, BFR MAC-CE 12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BFR MAC-CE가 CSI-RS에 관한 정보(예: ID)를 포함하고 있는지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1 비트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2의 실시 예에서, 어떠한 조건도 만족되지 않았을 때, 즉, 1209 단계에 따른 Msg3에 포함되는 C-RNTI MAC-CE는 도 1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C-RNTI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고하면, Msg3는 MAC 서브헤더 1402, C-RNTI MAC CE 14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MAC CE를 생성하기 위한 논리적인 채널 우선순위는 이하 도 15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 CE를 생성하는 단말의 또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고하면, 1501 단계에서, 단말은 우선 C-RNTI MAC-CE 또는 BFR MAC-CE 중 하나를 조건에 따라 추가한다. 이어, 1503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허여(uplink grant)가 남아있으면(remains), 다른 MAC CE들을 추가한다. 다시 말해, 용량이 남는다면, 단말은 기타 MAC-CE들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의 또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단말 1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1601 단계에서, 단말은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hannel, CB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1603 단계에서, 단말은 전송한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random access response, RAR)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RAR 이 지정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Msg3 어떠한 MAC-CE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1605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initiated)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었으면, 1607 단계에서, 단말은 사용 가능한(어떠한 임계치 이상의 측정 값을 갖는) CSI-RS 자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즉, 단말은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었고, 적절한(suitable) CSI-RS 자원이 가용한지 판단한다.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되지 아니한 경우, 1609 단계에서, 단말은 C-RNTI MAC-CE를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은 C-RNTI MAC-CE를 Msg3에 포함시킬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실패 회복에 의하여 시작 되었고, 사용가능한(어떠한 threshold 이상의 측정 값을 갖는) CSI-RS 자원이 없다면, 1611 단계에서, 단말은 타입(Type)2 BFR MAC-CE를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송할 Msg3 내에 타입2 BFR MAC-CE를 포함시킬 수 있다.
재 진행중인 CB RACH 전송 절차가 빔 회복 절차에 의하여 시작 되었고, 사용가능한(어떠한 threshold 이상의 측정 값을 갖는) CSI-RS 자원이 있다면, 1613 단계에서, 단말은 타입1 BFR MAC-CE를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송할 Msg3 내에 타입1 BFR MAC-CE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후, 1615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RAR로부터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Msg3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의 실시 예에서, RACH 전송 중 Msg3에 포함하는 타입1 BFR MAC-CE는 도 17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타입1 BFR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Msg3는 MAC 서브헤더 1702, 타입1 BFR MAC CE 17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BFR MAC-CE는 CSI-RS에 관한 정보(예: ID) 및 C-RNTI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실시 예에서, RACH 전송 중 Msg3에 포함하는 타입2 BFR MAC-CE는 도 18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타입2 BFR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고하면, Msg3는 MAC 서브헤더 1802, 타입2 BFR MAC CE 18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BFR MAC-CE는 CSI-RS에 관한 정보(예: ID)를 포함하지 아니하며, C-RNTI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실시 예에서, 어떠한 조건도 만족되지 않았을 때, 즉 1609 단계에 따른 Msg3에 포함되는 C-RNTI MAC-CE는 도 19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sg3에 포함되는 C-RNTI MAC-CE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고하면, Msg3는 MAC 서브헤더 1902, C-RNTI MAC CE 19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MAC CE를 생성하기 위한 논리적인 채널 우선순위는 이하 도 20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AC CE를 생성하는 단말의 또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0을 참고하면, 2001 단계에서, 단말은 우선 BFR MAC-CE Type 1 또는 BFR MAC-CE Type2 중 하나를 조건에 따라 추가한다. 이어, 2003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허여(uplink grant)가 남아있으면(remains), 다른 MAC CE들을 추가한다. 다시 말해, 용량이 남는다면, 단말은 기타 MAC-CE들을 추가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 중 빔 실패 회복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기지국은 빔 실패 회복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빔 실패 회복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은 빔 실패 회복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빔 실패 회복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망은 단말에게 사전에 어떠한 타이머(timer) 정보를 하향링크 신호(예: RRC 신호, MAC 신호, PHY 신호 등)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빔 실패 회복 동작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타이머는 단말이 빔 실패 문제(beam failure problem)을 검출(detect)하면 시작될 수 있다.
√ 상기 빔 실패 문제의 검출은 MAC/PHY/RRC 에서 일정 시간 내 한 번 이상의 지시(indication)/ 사건(incident) 발생 시 인지할 수 있다.
- 타이머가 만기되기 전 까지 단말은 새로운 후보 빔을 검색할 수 있다.
√ 만약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후보 빔이 발견되면, 빔 실패 회복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 또는 만약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후보 빔이 발견되어도, 단말은 모든 빔 실패 회복 시도, 예를 들면 비 경쟁 기반 랜덤 엑세스 및/또는 경쟁 기반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지 않으며, 정해진 시간 동안 더 좋은 빔을 검색할 수 있다.
√ 만약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후보 빔이 발견되지 않으면, 단말은 모든 빔 실패 회복 시도, 예를 들면, 비 경쟁 기반 랜덤 엑세스 및/또는 경쟁 기반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 상기 타이머 가 만료되면 단말은 아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만약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후보 빔이 발견되었다면, 새로운 빔을 이용한 비 경쟁 기반 랜덤 엑세스 또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를 상술한 동작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 만약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후보 빔이 발견되지 않으면, 단말은 모든 빔 실패 회복 시도를 중단하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 하고 관련된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 또는 만약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후보 빔이 발견되지 않으면, 단말은 모든 빔 실패 회복 시도를 중단하고, RLF(radio link failure)를 선언하고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 절차에 착수할 수도 있다
이하, DRX(discontinuous receive) 동작 페이징 기회(paging occasion, PO) 설정에 관한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DRX 동작 중, 단말은 매 DRX 사이클마다 하나의 PO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러한 PO 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이 되는 프레임과 PO를 결정하는 규칙이 필요하다. 본 개시는 SS 블록 개수와 CORESET(control resource se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규칙을 만들어내는 실시 예들을 제안한다.
먼저 기준이 되는 프레임은 이하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SFN은 서브프레임 번호, offset은 기준 프레임에 대한 오프셋, T는 단말의 DRX 사이클, N은 T 및 nB 중 최소 값, UE_ID는 단말의 식별 정보, nB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일부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구성될(configured) 수 있다. 예를 들어, T는 상위 계층에서 허락 시, 단말 고유 DRX 값과 망 시스템 정보 내 방송되는 기본 DRX 값 중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단말 고유 DRX 값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망 시스템 정보 내 방송되는 기본 DRX 값을 T로서 설정할 수 있다. UE_ID는 ‘IMSI(Mobile Subscriber Identity) mod 1024’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인덱스(index) i_s를 이하 <수학식 2>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i_s는 단말이 모니터링할 PO를 지시하는 인덱스, UE_ID는 단말의 식별 정보, N은 T 및 nB 중 최소 값, T는 단말의 DRX 사이클, nB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i_s가 0이면, 단말은 첫번째(1st) PO를 모니터링한다. i_s가 1이면, 단말은 2번째(2nd) PO를 모니터링한다. i_s가 2이면, 단말은 3번?(3rd) PO를 모니터링한다. i_s가 3이면, 단말은 4번째(4th) PO를 모니터링한다.
망은 파라미터 Monitoring-periodicity-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lot, Monitoring-offset-PDCCH-slot 및 Monitoring-symbols-PDCCH-within-slot 등으로 구성된 페이징 검색 공간을 시스템 정보 내 설정하고, 방송할 수 있다. 단말은 PDCCH 모니터링 구간을 슬롯 내의 PDCCH 모니터링 주기(Monitoring-periodicity-PDCCH-slot), PDCCH 모니터링 오프셋(Monitoring-offset-PDCCH-slot) 및 PDCCH 모니터링 패턴(Monitoring-symbols-PDCCH-within-slot)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만약 이하 <수학식 3>이 만족되면, 라디오 프레임 y 내의 슬롯 x 내에 PDCCH 모니터링 구간이 존재한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서, y는 PDCCH 모니터링 구간을 포함하는 라디오 프레임 번호, x는 PDCCH 모니터링 구간을 포함하는 슬롯 번호, Monitoring-offset-PDCCH-slot는 PDCCH 모니터링을 위한 오프셋, Monitoring-periodicity-PDCCH-slot은 PDCCH 모니터링을 위한 주기를 의미한다.
슬롯 x 내의 PDCCH 모니터링 구간의 시작 심볼은 Monitoring-symbols-PDCCH-within-slot로 주어진다. PDCCH 모니터링 구간의 길이(예: 심볼 단위)는 검색 공간(search space)와 연관 관계에 있는 CORESET 내에 주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페이징(paging) 검색 구간 설정에 따라, 단말은 1번째 PDCCH 모니터링 구간을 결정한다. 여기서 시작한 PDCCH 모니터링 구간들은 해당 기준 프레임(reference frame) 내에서 연속적으로 0부터 인덱스가 설정(numbering)된다. 첫번째 PO(예: i_s = 0에 대응하는 PO)는 0번째 부터 S-1번째까지의 PDCCH 모니터링 구간들이며, 여기서, S는 SS 블록 개수이다. 2번째 PO(예: i_s = 1에 대응하는 PO)는 S번째 부터 2S-1번째 까지의 PDCCH 모니터링 구간들이다. 3번째 PO(예: i_s = 2에 대응하는 PO)는 2S번째 부터 3S-1번째 까지의 PDCCH 모니터링 구간들이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인덱스 설정이 수행된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모니터링 기회(occasion)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도 21의 예에서, Monitoring-periodicity-PDCCH-slot는 4, Monitoring-offset-PDCCH-slot는 0, Monitoring-symbols-PDCCH-within-slot는 01000000000000, 심볼들 내에서 PDCCH CORESET 길이(PDCCH CORESET Length in symbols)는 4로 예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이 결정한 기준 프레임이 SFN #0 이고, 결정된 i_s 값이 0이라고 하자. 또한 SS 블록들의 개수가 4(즉, S = 4)라고 하자. 이 경우, 첫 번째 PDCCH 모니터링 구간은 슬롯 0 내의 심볼들 2 부터 5가 된다. 다음 PDCCH 모니터링 구간은 슬롯 4 내의 심볼들 2 부터 5가 된다. 유사하게, 다음 PDCCH 모니터링 구간들이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의 인덱스 i_s 가 0이므로, 도 22와 같이, 단말은 PDCCH 모니터링 구간 0, 1, 2, 3으로 구성된 1번째 PO를 관측한다. 정리하면, PDCCH 모니터링 구간들은 이하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PDCCH monitor occasion 0 = SFN 0, slot 0, symbols 2 to 5
PDCCH monitor occasion 1 = SFN 0, slot 4, symbols 2 to 5
PDCCH monitor occasion 2 = SFN 0, slot 8, symbols 2 to 5
PDCCH monitor occasion 3 = SFN 1, slot 2, symbols 2 to 5
도 2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모니터링 기회의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페이징 검색 구성(paging search configuration)의 다른 예로서, Monitoring-periodicity-PDCCH-slot는 1, Monitoring-offset-PDCCH-slot은 0, Monitoring-symbols-PDCCH-within-slot는 01000000000000, 심볼을 내의 PDCCH CORESET 길이는 4 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23의 실시 예에서, 단말이 결정한 기준 프레임이 SFN #0 이고 결정된 i_s 값이 0이라고 하자. 또한 SS 블록들의 개수가 6(즉, S = 6)라고 하자. 이 경우, 1번째 PDCCH 모니터링 구간은 슬롯 0 내의 심볼들 2 부터 5가 된다. 다음 PDCCH 모니터링 구간은 구간은 슬롯 1 내의 심볼들 2 부터 5가 된다. 유사하게, 다음 PDCCH 모니터링 구간들이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의 인덱스 i_s 가 0이므로, 도 24와 같이, 단말은 PDCCH 모니터링 구간 0, 1, 2, 3, 4, 5 로 구성된 첫 번째 PO 를 관측한다. 정리하면, PDCCH 모니터링 구간들은 이하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PDCCH monitor occasion 0 = SFN 0, slot 0, symbols 2 to 5
PDCCH monitor occasion 1 = SFN 0, slot 1, symbols 2 to 5
PDCCH monitor occasion 2 = SFN 0, slot 2, symbols 2 to 5
PDCCH monitor occasion 3 = SFN 0, slot 3, symbols 2 to 5
PDCCH monitor occasion 4 = SFN 0, slot 4, symbols 2 to 5
PDCCH monitor occasion 5 = SFN 0, slot 5, symbols 2 to 5
이하 <표 3>은 i_s 및 Ns의 값에 따른 PO의 예들을 나타낸다.
Ns i_s=0 i_s=1 i_s=2 i_s=3
1 1st PO i.e. 0 to S-1th PDCCH monitoring ocassions. N/A N/A N/A
2 1st PO i.e. 0 to S-1th PDCCH monitoring ocassions 2nd PO i.e. S to 2S-1th PDCCH monitoring ocassions N/A N/A
3 1st PO i.e. 0 to S-1th PDCCH monitoring ocassions
2nd PO i.e. S to 2S-1th PDCCH monitoring ocassions 3rd PO i.e. 2S to 3S-1th PDCCH monitoring ocassions 2nd PO i.e. 3 to 4S-1th PDCCH monitoring ocassions
이하,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내 온-디맨드(on-demand) 시스템 정보 수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방안에 대한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이하, 단말이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인지해야 할,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데 사용하는 자원의 할당 방안이 설명된다.
단말은 경쟁 기반, 또는 비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수행을 이용하여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를 망에게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보다 일반적인 비 경쟁 기반의 단말 동작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망의 설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 Msg1 ) 기반 온- 디맨드 시스템 정보 요청(on-demand SI request)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망에게 전송함으로써, 해당 단말이 필요로 하는 온 디맨드 시스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설정 정보는 이하 <표 4>와 같이 망이 제공하는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의 최대 개수를 의미하는 파라미터 maxSI-Message 수만큼 설정 받을 수 있다. 상기 maxSI-Message 파라미터는 망에 의하여 RRC 메시지, MAC 메시지, 또는 PHY 메시지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I-Request-Config ::= SEQUENCE(SIZE(1..maxSI-Message)) OF SI-Request-Resources
만약 상기 리스트에 오직 하나의 설정만 존재한다면, 해당 설정은 망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각각의 설정들은 schedulingInfoList 내에 존재하는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에게 순차적으로 1 대 1 로 적용된다. schedulingInfoList는 셀이 지원하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주기, 매핑된 SIB(system information block)들, on-demand SI 메시지 방송(broadcast) 상태 등의 전송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schedulingInfoList 및 SI-Request-Config는 SIB1을 통해 방송될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내 신호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이러한 schedulingInfoList 및 SI-Request-Config는 단말이 망 접속 시 수신하고 설정받는 RRC 신호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SIB 또는 다른 MAC 또는 PHY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SI-Request-Resources는 이하 <표 5> preamble index list 및 SSB occasion mask index들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SI-Request-Resources::= SEQUENCE {
ra-PreambleIndexList SEQUENCE(SIZE(1.. maximum number of SSB per Rach Ocassion)) OF INTEGER(0..63),
ra-ssb-OccasionMaskIndex INTEGER(0..15) OPTIONAL
}
schedulingInfoList 및 SI-Request-Config를 설정받은 단말은 SI-Request-Resources 내 포함된 ra-PreambleIndexList 와 System Information 내 RACH 설정 속에 포함되어 있는 # of SSBs per RACH occasion에 기반하여 후술되는 방법에 따라 망에게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를 요청할을 수 있다.
a) ‘# of SSBs per RACH occasion(N)‘ 값이 1보다 작은 경우,
i. ra-PreambleIndexList 의 크기는 1이고, 단말은 각각의 ra-PreambleIndexList 내 preamble 들과 각 RACH occasion 이 연관관계에 있는 SSB index가 1 대 1 매핑 관계에 있음을 인지한다.
b) ‘# of SSBs per RACH occasion(N)‘ 값이 1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i. ra-PreambleIndexList 의 크기는 # of SSBs per RACH occasion(N)와 같고, 단말은 각각의 ra-PreambleIndexList 내 preamble 들과 각 RACH occasion 이 연관관계에 있는 SSB index가 1 대 N 매핑 관계에 있음을 인지한다. 이때, 프리앰블 인덱스 리스트(Preamble index list)인 ra- PreambleIndexList 내의 i 번째 프리앰블은 각각의 SS 블록 인덱스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mod(SSB_index, # of preambles in the list) = i-1
또는,
c) ‘# of SSBs per RACH occasion(N)‘ 값이 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i. ra-PreambleIndexList 의 크기는 1이고, 단말은 각각의 ra-PreambleIndexList 내 preamble 들과 각 RACH occasion 이 연관관계에 있는 SSB index가 1 대 1 매핑 관계에 있음을 인지한다.
d) ‘# of SSBs per RACH occasion(N)‘ 값이 1보다 큰 경우,
i. ra-PreambleIndexList 의 크기는 # of SSBs per RACH occasion(N)와 같고, 단말은 각각의 ra-PreambleIndexList 내 preamble 들과 각 RACH occasion 이 연관관계에 있는 SSB index가 1 대 N 매핑 관계에 있음을 인지한다. 이때, 프리앰블 인덱스 리스트(Preamble index list) 인 ra- PreambleIndexList 내의 i 번째 프리앰블은 각각의 SS 블록 인덱스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mod(SSB_index, # of preambles in the list) = i-1
상술한 같은 규칙을 이용하여 단말은 ra-PreambleIndexList 내의 각각의 프리앰블들이 <표 6>과 같이 SS 블록 인덱스들과 연관 관계에 있음을 알게 된다.
1st preamble in list corresponds to SSB Index 0, N, 2N, 3N and so on.
2nd preambe in list corresponds to SSB Index 1, N+1, 2N+1, 3N+1 and so on
3rd preambe in list corresponds to SSB Index 2, N+2, 2N+2, 3N+2 and so on
To generalise: ith preamble in the list corresponds to SSB index j*N+(i-1) where j = 0, 1, 2, and so on.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은 ra-PreambleIndexList 내 속해 있는 프리앰블들의 개수를 N으로 정의하고, 위와 같은 SS 블록 인덱스와의 상관관계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은 maxSI-Message 내 속해 있는 메시지들의 개수를 N으로 정의하고, 위와 같은 SS 블록 인덱스와의 상관관계를 적용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표 4>의 SI-Request-Config 내에 1 보다는 크고, maxSI-Message 개수 보다는 작은 수의 설정들이 존재한다고 하자. schedulingInfoList 내에 존재하는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의 수를 N1이라고 하고, SI-Request-Config 내에 설정된 SI-Request-Resources 수를 N2 라고 할 때, 해당 설정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schedulingInfoList 내의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 방법 1: 단말은 N1/ N2 개씩 나누어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1 이 6개 이고 N2 가 3개 인 경우, 단말은 schedulingInfoList 내에 존재하는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을 순차적으로 N1/N2 = 6/3 = 2 개 씩 묶어서 SI-Request-Config 내에 설정된 SI-Request-Resources들을 적용할 수 있다. 만약 N1/N2가 정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단말은 내림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1/N2 = 7/3 = 2.333 인 경우, 단말은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을 2 개 씩 묶어서 적용할 수도 있다.
- 방법 2: 단말은 N1 개의 schedulingInfoList 내에 존재하는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 중 N2개의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에 대해서는 순차적으로 N2 개의 SI-Request-Config 내에 설정된 SI-Request-Resources 들을 적용하고, 나머지 N1-N2 개의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들에 대해서는 가장 처음, 또는 가장 마지막에 SI-Request-Config 내에 설정된 SI-Request-Resources 를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 방법 3: 단말은 N1 개의 schedulingInfoList 내에 존재하는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 중 N2개의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에 대해서는 순차적으로 N2 개의 SI-Request-Config 내에 설정된 SI-Request-Resources들을 적용하고, 나머지 N1-N2 개의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들 중 N2개에 대해서 또 순차적으로 순차적으로 N2 개의 SI-Request-Config 내에 설정된 SI-Request-Resources들을 적용하여 총 N1개를 모두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1 = 6, N2 = 4 인 경우, 단말은 처음 4 개의 schedulingInfoList 내의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들에게 SI-Request-Config 내에 설정된 SI-Request-Resources 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나머지 2 개의 schedulingInfoList 내의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들에게 SI-Request-Config 내에 설정된 SI-Request-Resources 들 중 처음 두 개를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방법 4: 단말은 SI-Request-Config 내에 이하 <표 7>과 같이 해당 설정을 적용할 schedulingInfoList 내의 온-디맨드 시스템 정보들의 리스트, sImessageIndexList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SI-Request-Resources::= SEQUENCE {
ra-PreambleIndexList SEQUENCE(SIZE(1.. maximum number of SSB per Rach Ocassion)) OF INTEGER(0..63),
ra-ssb-OccasionMaskIndex INTEGER(0..15) OPTIONAL,
sImessageIndexList SEQUENCE(SIZE(1.. maxSI-Message)) OF INTEGER(0.. maxSI-Message-1),
}
일 실시 예에 따라,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수신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SIB1을 제외한 다른 SIB 타입의 시스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SIB1은 이러한 SIB들과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간의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각 SIB는 오직 하나의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다.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시간 축의 어떠한 시스템-정보 윈도우(system information-window) 내에서 전송된다. 망은 각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 번호, 예를 들면 'Wn' 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같은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 번호, 'Wn'을 갖는 서로 다른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은 동일한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 번호는 암묵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망과 단말은 SIB1 내에서 'n' 번째 순서로 제공되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의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 번호가 'n'임을 알고, n 에 해당하는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에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각 시스템 정보 메시지 및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의 주기 역시 망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주기 정보는 MSI(minimum system information), SIB1 과 같은 방송(broadcast)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단말 요청에 대한 응답이나 핸드오버 명령 (handover command)와 같은 하향링크 전용(dedicated) 신호 전송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 번호, 시스템 정보 메시지 주기, 그리고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 길이를 이용하여, 단말은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할 시스템 정보 수신 윈도우를 설정할 수 있다. 차세대 시스템에서 단말은 이러한 시스템 정보 수신 윈도우 내에서 시스템 정보 메시지 수신을 위하여 PDCCH 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없다.
망과 단말의 상기 정보 공유 동작은 다음과 같다.
단계 1: 단말이 수신하고자 하는 특정 시스템 정보 메시지의 시스템 정보 윈도우 번호 'Wn'을 결정한다. 'Wn'은 망에 의하여 각각의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 포함되어 전송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 번호는 암묵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망과 단말은 SIB1 내에서 'n' 번째 순서로 제공되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의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 번호가 'n'임을 알고, n 에 해당하는 시스템 정보 전송 윈도우에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단계 2: 단말은 시스템 정보 수신 윈도우의 길이를 양의 정수 X = (Wn-1)*w 로 결정한다. 여기서, w 는 시스템 정보 윈도우의 길이 이며 슬롯의 단위로 표현 가능하다.
단계 3: 단말은 시스템 정보 수신 윈도우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해당 시작 시점은 라디오 프레임 N2 번 안의 슬롯 N1 번으로, [N2*(number of slots in a radio frame) + N1 + Offset) mod T = X;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T 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 주기 이며 슬롯의 단위이며 RMSI(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remained system information)(예: SIB1)내 포함되어 제공된다. Offset은 슬롯의 단위이며 RMSI(예: SIB1) 내 포함되어 제공된다.
라디오 프레임 내 속하는 슬롯의 개수는 해당 시스템이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스페이싱(sub carrier spacing, SCS) 에 의해 사전에 결정되며, 이 SCS 정보는 MIB/SIB1 내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수신 윈도우는 ‘w’ 슬롯 길이만큼 지속되며 이후 종료된다..
단계 4: 시스템 정보 수신 윈도우 내에서 단말은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 를 수신하기 위하여 PDCCH를 관측한다. 단말은 다른 시스템 정보(OSI) 검색 공간(search space) 설정 에 따라 PDCCH 관측 일정(occasion)을 결정한다. 만약 다른 시스템 정보(OSI) 검색 공간 설정이 정해진 시스템 정보 수신 윈도우 내에서 설정되지 않았거나,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은 RMSI를 위하여 설정된 PDCCH 관측 일정을 사용하여 PDCCH 를 해당 일정에서 관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 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C-RNTI(cell-network temporary identifier) MAC(media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또는 BFR(beam failure recovery) MAC 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RNTI MAC CE는, C-RNTI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FR MAC CE는, C-RNTI 또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reference signal)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C-RNTI MAC CE, 상기 BFR MAC CE, 다른 적어도 하나의 MAC CE의 순서로 정의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생성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BFR을 수행하기 위한 타이머(timer)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앰블 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C-RNTI(cell-network temporary identifier) MAC(media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또는 BFR(beam failure recovery) MAC 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RNTI MAC CE는, C-RNTI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BFR MAC CE는, C-RNTI 또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reference signal)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C-RNTI MAC CE, 상기 BFR MAC CE, 다른 적어도 하나의 MAC CE의 순서로 정의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생성되는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단말로 BFR을 수행하기 위한 타이머(timer)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프리앰블 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C-RNTI(cell-network temporary identifier) MAC(media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또는 BFR(beam failure recovery) MAC 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리앰블 신호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C-RNTI(cell-network temporary identifier) MAC(media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또는 BFR(beam failure recovery) MAC 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39850A 2018-04-05 2018-04-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4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850A KR102546164B1 (ko) 2018-04-05 2018-04-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6/376,296 US11039325B2 (en) 2018-04-05 2019-04-05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376,172 US10924945B2 (en) 2018-04-05 2019-04-05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782253.9A EP3777427B1 (en) 2018-04-05 2019-04-05 Apparatus and method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9/004078 WO2019194644A1 (en) 2018-04-05 2019-04-05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181814.7A EP4255031A3 (en) 2018-04-05 2019-04-05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980023488.0A CN111937475B (zh) 2018-04-05 2019-04-05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波束故障恢复的装置和方法
US17/346,859 US11943642B2 (en) 2018-04-05 2021-06-14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850A KR102546164B1 (ko) 2018-04-05 2018-04-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806A true KR20190116806A (ko) 2019-10-15
KR102546164B1 KR102546164B1 (ko) 2023-06-22

Family

ID=6809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850A KR102546164B1 (ko) 2018-04-05 2018-04-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039325B2 (ko)
EP (2) EP4255031A3 (ko)
KR (1) KR102546164B1 (ko)
CN (1) CN111937475B (ko)
WO (1) WO20191946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325A1 (en) * 2020-03-27 2021-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ioritizing random access for multimedia priority and mission critical services and apparatu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4523A1 (en) * 2018-08-09 2021-06-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ging occasion reallocation of incapable user equipment
US11658783B2 (en) * 2018-08-10 2023-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SB transmissions in unlicensed spectrum
CN109565753B (zh) * 2018-10-29 2022-06-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波束失败恢复流程的方法及装置
EP3910896A4 (en) * 2019-01-10 2022-06-29 Fujitsu Limite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d determining paging opportunity
US11903069B2 (en) 2019-08-16 2024-02-13 Intel Corporation Beam failure recovery in secondary cells
US11785632B2 (en) * 2019-10-02 2023-10-10 Ofinno, Llc On demand system informa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US11695465B2 (en) * 2019-10-11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High reliability transmission mode for 2-step secondary cell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CN114615726B (zh) * 2019-11-18 2023-09-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及装置
CN114208342A (zh) * 2019-11-22 2022-03-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及装置
US11570637B2 (en) * 2020-09-15 2023-01-31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beam failure recovery using digital beamformi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877B1 (ko) * 2012-09-28 2016-12-22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e-pdcch를 위한 pucch 자원 할당
CN105340334B (zh) * 2013-04-03 2019-03-15 谷歌技术控股有限责任公司 用于小区发现的方法和设备
US9883480B2 (en) 2014-07-11 2018-01-30 Apple Inc. Enhanced paging schemes and connected-state DRX
MX367998B (es) * 2015-05-13 2019-09-13 Ericsson Telefon Ab L M Coordinación de localización entre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y nodo de red de núcleo.
CN106572533B (zh) * 2015-10-10 2020-09-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寻呼处理方法及装置
US11096143B2 (en) 2015-11-04 2021-08-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of paging procedures for reduced bandwidth WTRUs
KR20180010076A (ko) * 2016-07-20 2018-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랜덤액세스 방법 및 장치
US10027456B2 (en) 2016-09-16 2018-07-17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itching and recovery
KR102111727B1 (ko) * 2017-02-01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MY197833A (en) * 2017-04-13 2023-07-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CN110892664A (zh) * 2017-06-15 2020-03-17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基于波束的下行链路控制信令
US10687352B2 (en) * 2017-06-23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clustered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US10820299B2 (en) * 2017-11-13 2020-10-27 Qualcomm Incorporated Radio resource management configuration for user equipment with wake-up signal receivers
US10993248B2 (en) * 2017-11-17 2021-04-27 Qualcomm Incorporated Designs for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RMSI) control resource set (CORESET) and other system information (OSI) coreset
KR102371035B1 (ko) * 2017-11-29 2022-03-07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유저장치
US10912129B2 (en) * 2018-02-08 2021-02-02 Qualcomm Incorporated SSB multiplexing and RMSI monitoring in NR-U
US20220225135A1 (en) * 2021-01-12 2022-07-1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Control
US20220264475A1 (en) * 2021-02-16 2022-08-18 Ofinno, Llc Pathloss Determination for Beam Management Sounding Reference Signals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02085* *
3GPP R2-1802976 *
3GPP R2-1803198* *
3GPP R2-1803578 *
3GPP R2-180364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325A1 (en) * 2020-03-27 2021-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ioritizing random access for multimedia priority and mission critical services and apparatus thereof
US11606812B2 (en) 2020-03-27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ioritizing random access for multimedia priority and mission critical services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39325B2 (en) 2021-06-15
EP3777427A1 (en) 2021-02-17
EP4255031A3 (en) 2023-11-29
CN111937475A (zh) 2020-11-13
US11943642B2 (en) 2024-03-26
EP4255031A2 (en) 2023-10-04
EP3777427B1 (en) 2023-08-09
WO2019194644A1 (en) 2019-10-10
US10924945B2 (en) 2021-02-16
CN111937475B (zh) 2024-05-17
EP3777427A4 (en) 2021-08-25
US20190313263A1 (en) 2019-10-10
US20190313461A1 (en) 2019-10-10
US20210306880A1 (en) 2021-09-30
KR102546164B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16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315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2716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using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358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5094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226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43417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无线资源的装置和方法
US110962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data
US201903801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uplink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097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526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ndwid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0471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6783840A (zh) 对多trp场景中波束组报告的增强
KR2021000728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drx 설정 정보에 따라 pdcch을 모니터링하고, srs 및 csi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177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보고 및 제어 채널의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8973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219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