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735A -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735A
KR20190116735A KR1020180039715A KR20180039715A KR20190116735A KR 20190116735 A KR20190116735 A KR 20190116735A KR 1020180039715 A KR1020180039715 A KR 1020180039715A KR 20180039715 A KR20180039715 A KR 20180039715A KR 20190116735 A KR20190116735 A KR 20190116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circuit breaker
signal
time
dis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진
신현정
장현진
박세환
변해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39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6735A/ko
Publication of KR2019011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7Testing of electronic pro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5Fault detection or status ind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변전소에 설치된 지능형 전자 장치(IED)를 이용하여 차단기의 개폐시간 및 개폐횟수를 측정하도록 한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및 차단기와 지능형 전자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한 신호를 근거로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개폐시간 측정부 및 개폐시간 측정부에서 측정한 차단기 개폐시간과 설정 시간을 근거로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고, 개폐시간 측정부는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차단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를 수신한 시점 사이의 시간을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CIRCUIT BREAKER USING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전소에 설치되는 지능형 전자 장치(IED)를 이용하여 차단기를 진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배전선로에 설치되며, 배전선로의 고장시 배전선로를 차단한다. 차단기는 배전선로의 고장시 지능형 전자 장치(IED)에서 발생하는 트립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배전선로를 개방한다.
차단기는 트립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내에 동작하여 배전선로를 개방해야하는데, 다양한 문제로 인해 차단기의 지연동작 또는 부동작이 발생할 경우 배전선로에 정전이 발생한다. 차단기의 지연동작 또는 부동작에 의한 정전은 2016년 이후 발생한 정전 고장 중 대략24.5% 정도를 차지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서, 차단기의 개폐시간 및 개폐횟수를 측정하고, 개폐시간 및 개폐횟수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차단기에 대한 유지보수를 수행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차단기의 투입 상태 및 개방 상태시 자동으로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장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배전선로를 휴전시킨 후에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배전선로를 휴전시킨 후에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기 때문에, 구간별 정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측정을 위한 점검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차단기의 휴전조작 후에 차단기 개폐시간을 측정하기 때문에 초기 동작시간을 측정하지 못해 차단기의 개폐성능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차단기의 동작 카운터에서 측정한 개폐횟수가 조건별(무부하시, 부하시, 고장시) 개폐횟수에 도달할 경우 정밀검사를 시행한다. 하지만, 현재 차단기에 설치된 카운터는 조건별로 구분하여 개폐횟수를 카운트하지 못하기 때문에, 점검대상이 누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차단기에 기계식 동작 카운터가 설치되는데, 잦은 고장으로 인해 설비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20923호(명칭: IED61850 기반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에서 온라인 IED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변전소에 설치된 지능형 전자 장치(IED)를 이용하여 차단기의 개폐시간 및 개폐횟수를 측정하도록 한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는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및 차단기와 지능형 전자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한 신호를 근거로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개폐시간 측정부 및 개폐시간 측정부에서 측정한 차단기 개폐시간과 설정 시간을 근거로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고, 개폐시간 측정부는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차단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를 수신한 시점 사이의 시간을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한다.
신호 검출부는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및 차단기에서 지능형 전자 장치로 입력되는 투입 신호 및 개방 신호를 검출하고,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차단기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개폐시간 측정부는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차단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를 수신한 시점까지의 시간인 차단기 제어 시간을 측정하는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 지능형 전자 장치의 제어 신호 및 차단기의 동작 신호에 대한 지능형 전자 장치의 내부 연산 시간을 측정하는 IED 연산 시간 측정 모듈 및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에서 측정한 차단기 제어 시간에서 IED 연산 시간 측정 모듈에서 측정한 지능형 전자 장치의 내부 연산 시간을 감산하여 차단기 개폐시간을 산출하는 차단기 동작 시간 산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은 측정중인 차단기 제어 시간이 상태 피드백 에러 시간을 초과하면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를 출력하고, 차단기 제어 시간의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은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및 차단기와 지능형 전자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신호를 근거로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한 차단기 개폐시간과 설정 시간을 근거로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차단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를 수신한 시점 사이의 시간을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한다.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내부 처리가 완료되거나, 계전 동작 설정 시간이 지나면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를 처리하면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을 종료하는 단계, 지능형 전자 장치의 내부 연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차단기 제어 시간에서 지능형 전자 장치의 내부 연산 시간을 감산하여 차단기 개폐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연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지능형 전자 장치의 PLC 시퀀스 처리 시작을 측정하는 단계, 지능형 전자 장치의 보조 릴레이 응동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차단기에서 출력된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에 대한 지능형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차단기 제어 시간이 상태 피드백 에러 시간을 초과하면,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을 종료하는 단계에서는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가 출력되면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을 종료할 수 있다.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에서는 차단기 개폐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는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보호 계전기 및 차단기에서 지능형 전자 장치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한 동작 신호를 근거로 차단기의 조건별 개폐횟수를 측정하는 개폐횟수 측정부 및 개폐횟수 측정부에서 측정한 차단기 개폐횟수 및 설정 횟수를 근거로 점검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한다.
신호 검출부는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및 차단기에서 지능형 전자 장치로 입력되는 투입 신호 및 개방 신호를 검출하고, 보호 계전기에서 지능형 전자 장치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 및 미동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개폐횟수 측정부는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및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가 검출되면 차단기의 무부하 조건으로 판단하고, 제1 단로기 및 제2 단로기로부터 투입 신호가 검출되고,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가 검출되고, 보호 계전기로부터 미동작 신호가 검출되면 차단기의 부하 조건으로 판단하고, 제1 단로기 및 제2 단로기로부터 투입 신호가 검출되고,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가 검출되고, 보호 계전기로부터 동작 신호가 검출되면 차단기의 고장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개폐횟수 측정부는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한 동작 신호를 근거로 무부하 조건, 부하 조건 및 고장 조건 중 하나를 차단기의 조건으로 판단하는 조건 판단 모듈 및 차단기의 조건을 근거로 조건별 차단횟수를 증가시키는 횟수 측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경보 발생부는 무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무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고장 조건의 개폐횟수가 고장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면 차단기 점검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은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보호 계전기 및 차단기에서 지능형 전자 장치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동작 신호를 근거로 차단기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검출한 동작 신호를 근거로 차단기의 조건별 개폐횟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한 차단기 개폐횟수 및 설정 횟수를 근거로 차단기 점검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로기 및 제2 단로기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면 차단기의 무부하 조건으로 판단하고,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로기 및 제2 단로기로부터 투입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계전기로부터 미동작 신호를 수신하면 차단기의 부하 조건으로 판단하고,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로기 및 제2 단로기로부터 투입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계전기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면 차단기의 고장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단기의 조건별 개폐횟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차단기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무부하 조건으로 판단하면 무부하 조건의 개폐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차단기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부하 조건으로 판단하면 부하 조건의 개폐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차단기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고장 조건으로 판단하면 고장 조건의 개폐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점검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에서는 무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무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고장 조건의 개폐횟수가 고장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면 차단기 점검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차단기 개폐시간 자동측정 및 자가진단을 통해 원방, 현장, 고장시 차단기 투입/개방 시간 자동측정으로 상시 차단기 성능 진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차단기 성능확인을 위한 휴전, 장비, 인력 불필요하고, 변압기 고장예방 및 점검인력 투입감소로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차단기 개폐에 관련된 데이터 누적 값을 이용한 차단기 개폐시간 트랜드 분석이 가능하고, 고장 예측기술 확보로 파급고장 방지 및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차단기 조건별 개폐횟수 자동산출 및 점검대상 도래시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조건별(무부하시, 부하시, 고장시) 개폐회수 산출 및 경보발생으로 점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설비 관리의 지능화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차단기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개폐시간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개폐횟수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중 차단기 개폐시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중 차단기 개폐횟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차단기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개폐시간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개폐횟수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제1 모선에 설치된 제1 단로기(20), 제2 모선에 설치된 제2 단로기(30) 및 차단기(50)로부터 수신한 동작 신호 및 차단기(50) 제어를 위해 출력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차단기(50)의 개폐시간 및 개폐횟수를 측정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의 투입 신호 및 개방 신호, IED(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차단기(50) 개폐시간을 측정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측정한 개폐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한다. 이때,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의 조건별로 개폐시간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차단기(50)의 조건은 무부하시, 부하시, 고장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급전분소, HMI에서 차단기(50) 제어를 위해 출력하는 IED(10) 제어 신호를 수신 및 제어하는 시점에서부터 차단기(50)의 투입, 개방 동작 후 차단기(50) 접점 신호를 IED(10)에서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을 차단기(50) 개폐 시간으로 측정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배전선로의 고장 발생시 차단기(50)의 개방 신호 또는 투입 신호를 수신 및 동작하는 시점에서부터 차단기(50)의 투입, 개방 동작 후 차단기(50) 접점 신호를 IED(10)에서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을 차단기(50) 개폐 시간으로 측정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측정한 개폐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제1 모선에 설치된 제1 단로기(20), 제2 모선에 설치된 제2 단로기(30), 보호 계전기(40) 및 차단기(50)에서 출력되는 투입 신호 및 개방 신호, IED(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차단기(50) 개폐횟수를 측정한다. 이때,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의 조건별로 개폐횟수를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차단기(50)의 조건은 무부하시, 부하시, 고장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측정한 차단기(50) 개폐시간 및 차단기(50) 개폐횟수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단기(50) 점검 여부를 판단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 개폐시간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차단기(50) 점검으로 판단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 개폐횟수가 설정 횟수를 초과하면 점검 경보를 발생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에 대한 점검이 완료되면 개폐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지능형 전자 장치(10; 이하, IED(10)) 내에 설치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성되어, IED(10) 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IED(10)와 분리되어 독립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신호 검출부(110), 개폐시간 측정부(130), 개폐횟수 측정부(150), 경보 발생부(170) 및 저장부(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 진단 장치(100)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신호 검출부(110), 개폐시간 측정부(130), 개폐횟수 측정부(150), 경보 발생부(170) 및 저장부(190)가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어 하기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의 개폐시간 및 개폐횟수를 모두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단기(50)의 개폐시간 및 개폐횟수 중 하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개폐시간 측정부(130) 및 개폐횟수 측정부(150)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급전분소 또는 HMI에서 휴전조작을 위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IED(10)는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및 차단기(50)의 투입 또는 개방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및 차단기(50)는 IED(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투입 또는 개방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및 차단기(50)는 고장 발생시 발생하는 트립(Trip) 신호에 따라 투입 또는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및 차단기(50)는 투입 동작시 투입 신호를 IED(10)로 전송한다.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및 차단기(50)는 개방 동작시 개방 신호를 IED(10)로 전송한다. 보호 계전기(40)는 배전선로의 고장시 동작하고, 동작 신호를 IED(10)로 전송한다. 보호 계전기(40)는 배전선로가 정상 상태이면 소정 주기로 미동작 신호를 IED(10)로 전송한다.
신호 검출부(110)는 상술한 IED(10)와 보호기기(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보호 계전기(40), 차단기(5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한다. 즉, 신호 검출부(110)는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보호 계전기(40) 및 차단기(50)로부터 IED(10)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검출한다. 신호 검출부(110)는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및 차단기(50)에서 IED(10)로 입력되는 투입 신호 및 개방 신호를 검출한다. 신호 검출부(110)는 보호 계전기(40)에서 IED(10)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 및 미동작 신호를 검출한다. 수신부는 IED(10)에서 차단기(50)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검출한다.
개폐시간 측정부(130)는 신호 검출부(110)에서 검출한 신호들을 근거로 차단기(50)의 개폐시간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시간 측정부(130)는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132), IED 연산 시간 측정 모듈(134) 및 차단기 동작 시간 산출 모듈(136)을 포함한다.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132)은 IED(10)에서 차단기(50) 제어 신호의 수신 시점에서 시간 측정을 시작한다. 즉,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132)은 급전분소 또는 HMI에서 IED(10)로 차단기(50) 제어 신호를 입력한 후 IED(10)에서 제어 신호에 대한 내처 처리가 완료된 시점부터 시간 측정을 시작한다.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132)은 배전선로의 고장으로 트립 신호를 출력한 시점에서 시간 측정을 시작할 수도 있다. 즉,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132)은 배전선로의 고장시 IED(10)에서 계전 동작을 판단한 후 트립 신호를 출력한 시점(즉, 계전 동작 설정 시간이 지난 시점)부터 시간 측정을 시작한다.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132)은 IED(10)로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가 입력되면 시간 측정을 종료한다.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132)은 IED 연산 시간 측정 모듈(134)에서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 처리 시간의 측정이 완료되면 시간 측정을 종료한다.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132)은 차단기(50) 제어 시간이 상태 피드백 에러 시간을 초과하면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를 출력한다.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132)은 차단기(50) 제어 시간 측정을 종료한다.
IED 연산 시간 측정 모듈(134)은 제어 신호 및 동장 신호에 대한 IED(10)의 내부 연산 시간을 측정한다. IED 연산 시간 측정 모듈(134)은 IED(10) 자체의 PLC 시퀀스 처리 시간, IED(10) 내부의 보조 릴레이 응동 시간,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에 대한 IED(10) 자체의 신호 처리 시간 등을 측정한다.
차단기 동작 시간 산출 모듈(136)은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132)에서 차단기(50) 제어 시간의 측정이 종료되면 차단기(50) 동작시간(즉, 차단기(50) 개폐시간)을 산출한다. 차단기 동작 시간 산출 모듈(136)은 차단기(50) 제어 시간에서 IED(10)의 내부 연산 시간을 감산하여 차단기(50) 동작시간을 산출한다.
개폐횟수 측정부(150)는 신호 검출부(110)에서 검출한 신호들을 근거로 차단기(50)의 개폐횟수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횟수 측정부(150)는 조건 판단 모듈(152) 및 횟수 측정 모듈(154)을 포함한다.
조건 판단 모듈(152)은 신호 검출부(110)에서 검출한 신호들을 근거로 차단기(50)의 조건을 판단한다. 조건 판단 모듈(152)은 동작 신호들을 근거로 무부하, 부하, 고장 중 하나를 차단기(50) 조건으로 판단한다. 조건 판단 모듈(152)은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및 차단기(50)의 개방 신호가 검출되면 차단기(50)의 무부하 조건으로 판단한다. 조건 판단 모듈(152)은 차단기(50)의 개방 신호가 검출되고, 제1 단로기(20) 및 제2 단로기(30)의 투입 신호가 검출되고, 보호 계전기(40)의 미동작 신호가 검출되면 차단기(50)의 부하 조건으로 판단한다. 조건 판단 모듈(152)은 차단기(50)의 개방 신호가 검출되고, 제1 단로기(20) 및 제2 단로기(30)의 투입 신호가 검출되고, 보호 계전기(40)의 동작 신호가 검출되면 차단기(50)의 고장 조건으로 판단한다.
횟수 측정 모듈(154)은 조건 판단 모듈(152)에서 판단한 차단기(50)의 조건을 근거로 개폐횟수를 측정한다. 즉, 횟수 측정 모듈(154)은 조건 판단 모듈(152)에서 무부하 조건으로 판단하면 무부하 조건의 개폐횟수를 증가시킨다. 횟수 측정 모듈(154)은 조건 판단 모듈(152)에서 부하 조건으로 판단하면 부하 조건의 개폐횟수를 증가시킨다. 횟수 측정 모듈(154)은 조건 판단 모듈(152)에서 고장 조건으로 판단하면 고장 조건의 개폐횟수를 증가시킨다.
경보 발생부(170)는 개폐시간 측정부(130)에서 측정한 차단기(50)의 개폐시간 및 설정 시간을 비교하여 차단기(50)의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한다. 경보 발생부(170)는 차단기(50)의 개폐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하면 차단기(50)의 지연 동작으로 판단한다. 경보 발생부(170)는 차단기(50)의 지연 동작으로 판단하면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한다.
경보 발생부(170)는 개폐횟수 측정부(150)에서 측정한 차단기(50)의 개폐횟수 및 설정 횟수를 비교하여 차단기(50) 점검 경보를 발생한다. 경보 발생부(170)는 조건별 개폐횟수와 조건별 설정 횟수를 비교하여 차단기(50) 점거 경보를 발생한다. 경보 발생부(170)는 무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무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고장 조건의 개폐횟수가 고장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면 차단기(50) 점검 경보를 발생한다.
경보 발생부(170)는 작업자에 의해 차단기(50)에 대한 점검이 완료되면 지연 동작 경보 및 차단기(50) 점검 경보를 해제한다. 경보 발생부(170)는 점검 경보가 해제된 후 차단기(50)의 개폐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차단기(50)의 개폐시간을 저장한다. 저장부(190)는 차단기(50)의 개폐시간을 조건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저장부(190)는 차단기(50)의 무부하시, 부하시 및 고장시별로 개폐시간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차단기(50)의 조건별 개폐횟수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90)는 차단기(50)의 무부하시 개폐횟수, 부하시 개폐횟수, 고장시 개폐횟수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90)는 차단기(50)의 에러 발생을 저장할 수도 있다. 즉, 개폐시간 측정부(130)에서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를 출력하면 저장부(190)는 차단기(50)의 에러 발생으로 저장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 진단 장치(100)를 이용한 차단기(50) 진단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6에서는 차단기(50)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차단기(50) 진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IED(10)와 보호기기들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한다(S100). 즉,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IED(10)와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보호 계전기(40), 차단기(5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동작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검출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IED(10)의 차단기(50) 제어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근거로 개폐시간 측정 개시 여부를 판단한다. 즉, IED(10)는 원방 또는 현장의 휴전 제어시 급전분소 또는 HMI를 통해 입력되는 차단기(50) 제어 신호의 입력받는다. IED(10)는 배전선로 고장시 계전 동작을 판단한 후 트립(Trip) 신호를 출력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IED(10)에서 차단기(50)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내부 처리가 완료된 시점, 또는 계전 동작 설정 시간이 지나면 차단기(50)의 개폐시간 측정 개시로 판단한다. 개폐시간 측정 개시로 판단하면(S105; 예),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 제어 시간 측정을 시작한다(S110). 이때,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ms의 정밀도를 갖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차단기(50) 제어 시간을 측정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IED(10) 자체의 PLC 시퀀스 처리 시간을 측정한다(S115). 이때, IED(10) 자체의 PLC 시퀀스 처리 시간은 대략 4ms 정도인 것을 일례로 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IED(10) 내부의 보조 릴레이 응동 시간을 측정한다(S120). 이때, IED(10) 내부의 보조 릴레이 응동 시간은 대략 10ms 이하인 것을 일례로 한다.
차단기(50)는 IED(10)의 제어 신호 또는 트립 신호에 따라 개방 또는 투입 동작을 수행한다. 차단기(50)는 동작이 완료되면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를 출력한다. 차단기(50)는 개방 동작이 완료되면 차단기(50) 개방 접점 신호를 출력한다. 차단기(50)는 투입 동작이 완료되면 차단기(50) 투입 접점 신호를 출력한다.
차단기(50)에서 출력된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를 IED(10)에서 수신하면(S125; 예),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에서 출력된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에 대한 IED(10) 자체의 신호 처리 시간을 측정한다(S130). 즉,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IED(10) 자체 PLC 시퀀스에서 차단기(50) 투입 접점 신호 또는 차단기(50) 개방 접점 신호를 처리하는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 처리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 처리 시간은 대략 4ms 정도인 것을 일례로 한다.
한편, IED(10)에서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측정 중인 차단기(50) 제어 시간이 상태 피드백 에러 시간을 초과하면(S135; 예),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를 출력한다(S140).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 처리 시간의 측정이 완료되거나,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를 출력하면 차단기(50) 제어 시간 측정을 종료한다(S145).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측정한 차단기(50) 제어 시간과 IED(10) 자체 내부 연산 시간을 이용하여 차단기(50) 동작 시간을 산출한다(S150).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 제어 시간에서 IED(10) 자체 내부 연산 시간을 감산하여 차단기(50) 동작 시간을 산출한다. 여기서, IED(10) 자체 내부 연산 시간은 PLC 시퀀스 처리 시간, 보조 릴레이 응동 시간 및 차단기(50) 상태 접점 신호 처리 시간을 포함한다.
산출한 차단기(50) 동작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S155; 예),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의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한다(S160).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산출한 차단기(50) 동작 시간이 설정시간 이하이면 차단기(50) 제어 시간을 저장한다(S165). 이때,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를 출력한 경우 에러 발생을 저장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 진단 장치(100)를 이용한 차단기(50) 진단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7에서는 차단기(50) 개폐횟수를 측정하는 차단기(50) 진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보호기기에서 IED(10)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검출한다(S210). 즉,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IED(10)와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보호 계전기(40), 차단기(5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동작 신호 및 제어 신호를 검출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제1 단로기(20), 제2 단로기(30) 및 차단기(50)의 투입 신호 또는 개방 신호를 입력받는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보호 계전기(40)의 동작 신호 또는 미동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검출한 동작 신호들을 근거로 차단기(50)의 조건을 판단한다(S220).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동작 신호들을 근거로 무부하, 부하, 고장 중 하나를 차단기(50) 조건으로 판단한다. 이때,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로기(20) 및 제2 단로기(30)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면 차단기(50)의 무부하 조건으로 판단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로기(20) 및 제2 단로기(30)로부터 투입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계전기(40)로부터 미동작 신호를 수신하면 차단기(50)의 부하 조건으로 판단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로기(20) 및 제2 단로기(30)로부터 투입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계전기(40)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면 차단기(50)의 고장 조건으로 판단한다.
S220 단계에서 무부하 조건으로 판단하면(S230; 예),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무부하 조건의 개폐횟수를 1 증가시킨다(S235)
S220 단계에서 부하 조건으로 판단하면(S240; 예),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부하 조건의 개폐횟수를 1 증가시킨다(S245).
S220 단계에서 고장 조건으로 판단하면(S250; 예),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고장 조건의 개폐횟수를 1 증가시킨다(S255).
조건별 차단기(50) 개폐횟수가 조건별 설정 횟수를 초과하면(S260; 예),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차단기(50) 점검 경보를 발생한다(S265). 즉,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무부하 조건 설정 횟수, 부하 조건 설정 횟수 및 고장 조건 설정 횟수를 기저장한다.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무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무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고장 조건의 개폐횟수가 고장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면 차단기(50) 점검 경보를 발생한다.
한편, 차단기 진단 장치(100)는 개폐횟수 리셋기능을 통해 차단기(50)에 대한 정밀 검사 후 조건별 개폐횟수를 초기화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차단기 개폐시간 자동측정 및 자가진단을 통해 원방,현장,고장시 차단기 투입/개방 시간 자동측정으로 상시 차단기 성능 진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차단기 성능확인을 위한 휴전, 장비, 인력 불필요하고, 변압기 고장예방 및 점검인력 투입감소로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차단기 개폐에 관련된 데이터 누적 값을 이용한 차단기 개폐시간 트랜드 분석이 가능하고, 고장 예측기술 확보로 파급고장 방지 및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은 차단기 조건별 개폐횟수 자동산출 및 점검대상 도래시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조건별(무부하시, 부하시, 고장시) 개폐회수 산출 및 경보발생으로 점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설비 관리의 지능화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지능형 전자 장치(IED) 20: 제1 단로기
30: 제2 단로기 40: 보호 계전기
50: 차단기 100: 차단기 진단 장치
110: 신호 검출부 130: 개폐시간 측정부
132: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 134: IED 연산 시간 측정 모듈
136: 차단기 동작 시간 산출 모듈 150: 개폐횟수 측정부
152: 조건 판단 모듈 154: 횟수 측정 모듈
170: 경보 발생부 190: 저장부

Claims (18)

  1.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및 차단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로기, 상기 제2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와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개폐시간 측정부; 및
    상기 개폐시간 측정부에서 측정한 차단기 개폐시간과 설정 시간을 근거로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시간 측정부는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상기 차단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상기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를 수신한 시점 사이의 시간을 상기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단로기, 상기 제2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에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로 입력되는 투입 신호 및 개방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상기 차단기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시간 측정부는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상기 차단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상기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를 수신한 시점까지의 시간인 차단기 제어 시간을 측정하는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의 제어 신호 및 상기 차단기의 동작 신호에 대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의 내부 연산 시간을 측정하는 IED 연산 시간 측정 모듈; 및
    상기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에서 측정한 차단기 제어 시간에서 상기 IED 연산 시간 측정 모듈에서 측정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의 내부 연산 시간을 감산하여 차단기 개폐시간을 산출하는 차단기 동작 시간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 모듈은 측정중인 차단기 제어 시간이 상태 피드백 에러 시간을 초과하면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단기 제어 시간의 측정을 종료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5.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및 차단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에 있어서,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단로기, 상기 제2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와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검출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측정한 차단기의 개폐시간과 설정 시간을 근거로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상기 차단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상기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를 수신한 시점 사이의 시간을 상기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내부 처리가 완료되거나, 계전 동작 설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에서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를 처리하면 상기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의 내부 연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차단기 제어 시간에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의 내부 연산 시간을 감산하여 차단기 개폐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연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의 PLC 시퀀스 처리 시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의 보조 릴레이 응동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차단기에서 출력된 차단기 상태 접점 신호에 대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의 신호 처리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개폐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차단기 제어 시간이 상태 피드백 에러 시간을 초과하면,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을 종료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상태 피드백 에러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차단기 제어 시간 측정을 종료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단기 개폐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지연 동작 경보를 발생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10.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보호 계전기 및 차단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로기, 상기 제2 단로기, 상기 보호 계전기 및 상기 차단기에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한 동작 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의 조건별 개폐횟수를 측정하는 개폐횟수 측정부; 및
    상기 개폐횟수 측정부에서 측정한 차단기 개폐횟수 및 설정 횟수를 근거로 점검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단로기, 상기 제2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에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로 입력되는 투입 신호 및 개방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보호 계전기에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 및 미동작 신호를 검출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횟수 측정부는,
    상기 제1 단로기, 상기 제2 단로기 및 상기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차단기의 무부하 조건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단로기 및 상기 제2 단로기로부터 투입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보호 계전기로부터 미동작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차단기의 부하 조건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단로기 및 상기 제2 단로기로부터 투입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보호 계전기로부터 동작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차단기의 고장 조건으로 판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횟수 측정부는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한 동작 신호를 근거로 무부하 조건, 부하 조건 및 고장 조건 중 하나를 상기 차단기의 조건으로 판단하는 조건 판단 모듈; 및
    상기 차단기의 조건을 근거로 조건별 차단횟수를 증가시키는 횟수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부는 무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무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고장 조건의 개폐횟수가 고장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면 차단기 점검 경보를 발생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15. 제1 단로기, 제2 단로기, 보호 계전기 및 차단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에 있어서,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단로기, 상기 제2 단로기, 상기 보호 계전기 및 상기 차단기에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로 입력되는 동작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검출한 동작 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검출한 동작 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단기의 조건별 개폐횟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기 진단 장치에 의해, 상기 측정한 차단기 개폐횟수 및 설정 횟수를 근거로 차단기 점검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로기 및 상기 제2 단로기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단기의 무부하 조건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로기 및 상기 제2 단로기로부터 투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보호 계전기로부터 미동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단기의 부하 조건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단기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로기 및 상기 제2 단로기로부터 투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보호 계전기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단기의 고장 조건으로 판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조건별 개폐횟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기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무부하 조건으로 판단하면 무부하 조건의 개폐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차단기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부하 조건으로 판단하면 부하 조건의 개폐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단기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고장 조건으로 판단하면 고장 조건의 개폐횟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점검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에서는,
    무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무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부하 조건의 개폐횟수가 부하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거나, 고장 조건의 개폐횟수가 고장 조건 설정 횟수를 초과하면 차단기 점검 경보를 발생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방법.
KR1020180039715A 2018-04-05 2018-04-05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90116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715A KR20190116735A (ko) 2018-04-05 2018-04-05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715A KR20190116735A (ko) 2018-04-05 2018-04-05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735A true KR20190116735A (ko) 2019-10-15

Family

ID=6820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715A KR20190116735A (ko) 2018-04-05 2018-04-05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673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635A (ko) * 2019-11-25 2021-06-02 한국전력공사 비접지 배전계통 보호 장치
CN113504465A (zh) * 2021-07-08 2021-10-1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压断路器故障的诊断方法及装置
KR20220011052A (ko) *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원프레딕트 차단기 고장 진단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16148657A (zh) * 2023-04-21 2023-05-23 浙江威利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式漏电断路器运行监测诊断方法
KR20230097402A (ko) 2021-12-24 2023-07-03 한국전력공사 개폐장치 성능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923B1 (ko) 2007-01-30 2008-04-1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Iec61850 기반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에서 온라인ied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923B1 (ko) 2007-01-30 2008-04-1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Iec61850 기반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에서 온라인ied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635A (ko) * 2019-11-25 2021-06-02 한국전력공사 비접지 배전계통 보호 장치
KR20220011052A (ko) *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원프레딕트 차단기 고장 진단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13504465A (zh) * 2021-07-08 2021-10-1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压断路器故障的诊断方法及装置
CN113504465B (zh) * 2021-07-08 2023-06-0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压断路器故障的诊断方法及装置
KR20230097402A (ko) 2021-12-24 2023-07-03 한국전력공사 개폐장치 성능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CN116148657A (zh) * 2023-04-21 2023-05-23 浙江威利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式漏电断路器运行监测诊断方法
CN116148657B (zh) * 2023-04-21 2023-07-07 浙江威利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式漏电断路器运行监测诊断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6735A (ko)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1638051B (zh) 一种刀闸状态在线监测及故障预判方法
US6434715B1 (en) Method of detecting systemic fault conditions in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CN107315151B (zh) 用于测试绝缘监控设备的功能的方法和设备
EP3367527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testing responses to electrical condition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KR102034894B1 (ko)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US20180241193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power distribution systems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CN104483567A (zh) 500kV线路继电保护装置检测方法和系统
KR100777828B1 (ko) 배전선 고장감시 기능을 갖는 전자식 전력량계 및 고장감시방법
CN101523680A (zh) 电气故障限制系统
CA3051436A1 (en) Method for coordinating switches in multiple reclosers in a distribution feeder line in response to detection of a fault
CN108462141B (zh) 功率分配系统以及在其中执行区域选择性联锁的方法
KR101535923B1 (ko) 전력 케이블 탄화 및 전력기기 접속 방전 상태 감시를 통한 전력 품질 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422420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귀장치를 포함하는 리셋형 전원 스위치
US10797479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ground fault detection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CN115664033A (zh) 一种电气汇控柜状态监测方法及系统
CN114285165A (zh) 一种智能断路器系统
KR100368425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동작상태 감시진단 방법
KR20210133056A (ko) 자기고장 진단 개폐기 및 자기고장 진단 조치 방법
KR102539108B1 (ko) 진단 및 감시 기능을 가지는 지능형 전자 장치
EP3595110B1 (en) Method for locating an electrical arc fault and electrical installation protection device implementing such a method
KR102089090B1 (ko) 전력계통에서 상태 검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2330825B1 (ko) Rmu의 고장 검출 시스템 및 방법
EP3367531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zone selective interlocking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JPH0819133A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の監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