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007A - Safety cover for drone - Google Patents

Safety cover for drone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007A
KR20190116007A KR1020180039396A KR20180039396A KR20190116007A KR 20190116007 A KR20190116007 A KR 20190116007A KR 1020180039396 A KR1020180039396 A KR 1020180039396A KR 20180039396 A KR20180039396 A KR 20180039396A KR 20190116007 A KR20190116007 A KR 20190116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assembly
protection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6655B1 (en
Inventor
정창화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창화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55B1/en
Publication of KR2019011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0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B64D45/06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safely protects an unmanned aerial vehicle to prevent destruction or damage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prevents life injuries caused by destru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adv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assembly bars having an insertion hole at both ends or one end; and a joint connected to at least two assembly bars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and having a protruding part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wherein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are formed in a net shape. A part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is coupl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escription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SAFETY COVER FOR DRONE}Unmanned Vehicle Protection Device {SAFETY COVER FOR DRONE}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 비행체에 결합 가능하며 무인 비행체의 보호가 가능한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that can be coupled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apable of protect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 비행체는 조종사가 직접 탑승하지 않고 원격으로 조종하여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를 일컫는데, 최근에는 드론(Drone)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무인 비행체는 일반 비행체와는 달리 조종사를 위한 공간과 안전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며, 개발 초기에는 대부분 군사용으로 활용되었다. 예를 들면, 사람이 접근이 어려운 곳의 정보 수집과 정찰을 위한 정찰용, 미니 폭탄을 지닌 공격용, 생화학 감지기를 장착한 화생방용, 적군의 통신을 마비시키는 전자전용 등이 있다.An unmanned aerial vehicle is a vehicle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a pilot instead of boarding it. Recently, it is also called a drone. Unlike unmanned aerial vehicles, such unmanned aerial vehicles can be miniaturized and lightened because they do not have separate spaces and safety devices for pilots. Most of them were used for military purposes early in development. Examples include reconnaissance for information gathering and reconnaissance where people are difficult to access, attacks with mini-bombs, biological defense with biochemical sensors, and electronics to paralyze enemy communications.

그러나 최근에는 일반 생활에서도 무인 비행체(드론)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같은 세계적 기업들은 최근 몇 년 새 무인 비행체 기술을 개발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아마존은 2013년 12월 ‘프라임에어’라는 새로운 배송 시스템을 공개했다. 아마존은 재고 관리와 유통시스템을 자동화하는 데 기술 투자를 하고 있다. 아마존 프라임에어는 택배직원이 했던 일을 무인 비행체가 대신하는 유통 서비스다. 아마존은 이를 위해 무인 비행체를 개발하는 연구원을 대거 고용했다. 아마존은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허가를 기다리는 중이며, 법적인 규제가 풀리는대로 드론 배달 서비스를 내놓을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In recent years, however, the use of drones in general life is increasing, and global companies such as Google, Facebook, and Amazon have been keen to develop new unmanned aerial vehicle technology in recent years. Amazon unveiled a new delivery system called Prime Air in December 2013. Amazon is investing in technology to automate inventory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s. Amazon Prime Air is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does what couriers do. Amazon hired a large number of researchers to develop drones for this. Amazon is awaiting approval from the US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and is known to launch drone delivery services as soon as legal regulations are lifted.

지금까지는 조종사의 운영 기술, 현지 상황 파악을 통한 이성적 판단, 경우에 따라서는 조종사의 감각 등을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를 조종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무인 비행체의 수량 증가와, 동호회 및 애호가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무인 비행체의 비행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 이와 같은 상황이 급반전될 수 있는데, 무인 비행체의 활용 분야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용도와 특수 목적을 중심으로 그 활용이 바뀌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Until now, it is common to maneuver unmanned aerial vehicles by using pilot's operational skills, rational judgment through local situation detection, and sometimes pilot's sense. However,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drones and the interest of fellowships and enthusiasts, the flight of drone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is situation can be reversed. This is because its use is changing at the center.

특히, 무인 비행체의 비행은 안전을 담보로 이루어지지만, 아직까지는 안전에 대한 설비가 빈약한 상황이기 때문에 종종 예기치 않은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비행 조종의 미숙함에 의한 제어권을 이탈하여 나무, 건물, 심지어 사람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많다. 또 무인 비행체의 파괴는 재산상의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 상해까지 이어지는 등, 이와 같은 다양한 사고는 무인 비행체에 대한 많은 사회적인 문제를 낳고 있다. 또한 전문가가 조종하더라도 순간 실수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secured with security, but since the facilities for safety are still poor, it often leads to an unexpected accident. In many cases, the control of the immaturity of flight control can be displaced, causing catastrophic damage to trees, buildings, and even people. In addition, various accidents, such as destruc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not only property damage, but also personal injury, have caused many social problem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In addition, even if the expert maneuver may cause the above problems by a momentary mistake.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36797호(공개일: 2012. 12. 20)이 있다.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136797 (published: 2012. 12. 20).

KR 10-2012-0136797 A (2012. 12. 20.)KR 10-2012-0136797 A (Dec. 20, 20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인 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무인 비행체의 파괴나 손상을 방지하고, 무인 비행체의 파괴로 인한 인명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fely protec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prevent the destruction or damag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o prevent the injury of human life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t is to provide an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that can be prevente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바; 및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적어도 두 개의 조립바와 연결되고, 상기 끼움홀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조립바가 망 형태를 이루며,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가 무인 비행체에 결합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assembly bars are formed at both ends or one end fitting holes; And a joint connected to at least two assembly bars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and having a protrusion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wherein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form a mesh,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are unmanned. There are technical features to the coupling to the aircraft.

또한 상기 조인트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및/또는 돌출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도록 연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body; And at least two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nd / or the protrusion portion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lighting module coupl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무인 비행체 또는 상기 조명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 and may further comprise a battery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r the lighting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무인 비행체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amera module coupl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 or coupl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가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ba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egs, the connection bar may be coupl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의 상기 연결바에는 상기 무인 비행체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ar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egs are se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의 조립바 내부에는 발열체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assembly bar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element, the joint may be made of metal.

또한 상기 조립바는 외부커버; 상기 외부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는 발열체; 및 상기 외부커버와 상기 발열체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피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가 상기 조립바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y bar is an outer cover; A heating element formed inside the outer cover; And a heating coating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heating element, and the joint may be fitted to both ends or one end of the assembly bar.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외부의 구조나 물체(벽, 나무, 기둥 등)에 의한 무인 비행체의 파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인 비행체의 파괴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인명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protec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prevent destruction or damag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an external structure or object (wall, tree, pillar, etc.). In addition, human injury can be prevented by preventing the destruction or damag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명모듈을 탑재하기 쉬운 구조를 가지며, 조명모듈의 탑재에 의해 야간이나 어두운 실내에서 무인 비행체의 조종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mount the lighting module, it is easy to control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t night or in a dark room by mounting the lighting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상·하·좌·우·전·후방에 카메라를 탑재하기 쉬운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mount the camera on the top, bottom, left, right, front, re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추가적인 배터리모듈의 탑재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무인 비행체를 오랫동안 조종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mount the additional battery modu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operated for a long time unmanned aerial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와의 탈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쉽게 무인 비행체에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를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moved and detached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user can easily combine or releas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와 무인 비행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바와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와 무인 비행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바와 조인트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y bar and th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unmanned vehicle protection apparatus and the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cross section of the assembly bar and th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와 무인 비행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와 결합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있어서,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홀(110)이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바(100); 및 다수의 조립바(100) 중 적어도 두 개의 조립바(100)와 연결되고, 끼움홀(110)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220)가 형성되는 조인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unmanned air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ssembly bars 100 having a fitting hole 110 formed at both ends or one end of an unmanned air vehicle protection device coupled to an unmanned air vehicle; And a joint 200 connected to at least two assembly bars 100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100 and having protrusions 220 fitted to the fitting holes 110.

이때 다수의 조립바(100)는 전체적으로 망 형태(메쉬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다수의 조립바(100)중 일부의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100 preferably form a mesh form (mesh form) as a whole. In addition, at this time, some of the assembly bar 100 of the assembly bar 100 may be coupl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and fix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바와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립바(100)는 일단 또는 양단에 끼움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200)는 몸체부(210) 및 몸체부(210)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돌출부(220)가 끼움홀(110) 끼움 결합됨으로써 조립바(100)와 조인트(200)가 결합될 수 있다.2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y bar and th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he assembly bar 100 may have fitting holes 110 formed at one or both ends thereof. In addition, the joint 200 may include a body 210 and at least one protrusion 220 protruding from the body 210. In this configuration, the protrusion 220 may be fitted to the fitting hole 110, so that the assembly bar 100 and the joint 2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도 2에는 6개의 돌출부(220)가 몸체부(21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돌출부(220)가 끼움홀(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FIG. 2, six protrusions 22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body portion 210, which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protrusions 220 are fitted into the fitting holes 110.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combined.

이때 조인트(200)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돌출부(220)가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조인트(200) 즉, 몸체부(210)와 돌출부(220) 모두 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돌출부(220)를 몸체부(210)로부터 휘어지도록 하여(구부려) 다수의 조립바(100)와 조인트(2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돌출부(220)만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돌출부(220)의 일부만 구부려 결합이 가능해진다.At this time, the joint 2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220 can be bent. For example, the joint 200, that is, the body portion 210 and the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of a plastic that can be deformed. In this case,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protrusion 220 is bent from the body portion 210. By (bending) a plurality of assembly bars 100 and the joint 200 can be combined. Unlike this, only the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In this case, only a part of the protrusion 220 may be bent and coupled.

위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조립바(100)와 조인트(200)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손쉽게 조립바(100)와 조인트(200)를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By using the assembly bar 100 and the joint 200 having the technical feature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combine the assembly bar 100 and the joint 200 to complete the unmanned aircraft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호환성에 매우 높은 장점이 있는데, 조립바(100)와 조인트(200)의 조립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무인 비행체에도 적용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high advantage in compatibility, because the assembly can be completed in the desired form by the assembly of the assembly bar 100 and the joint 200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f various sizes or shapes Application is possible.

또한 조인트(200)가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무인 비행체(D)와의 결합 이후에도 외형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무인 비행체(D) 또는 조립바(100)에 새로운 추가 구성을 부가하여 결합할 때 매우 유용하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무인 비행체(D)에 카메라모듈(미도시)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소정 조립바(100)에 힘을 가하여 형태를 변형하여 공간을 확보한 다음 카메라모듈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의 설치가 완성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다시 소정 조립바(100)에 힘을 가하여 형태를 원래대로 복원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joint 20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appearance of the joint 200 may be changed even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This configuration is very useful when combined by adding a new additional configura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or the assembly bar (100). 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install a camera module (not shown)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for photographing, the user applies a force to a predetermined assembly bar 100 to deform the shape to secure space and then install the camera module. Easy to install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camera module is completed, the user may apply a force to the predetermined assembly bar 100 again to restore the form to its original form, and may transform it to another form as necessa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200)는 몸체부(210)에 보조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홀(230)은 조립바(100)와 조인트(200)의 결합을 해제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조인트(200)이 경우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조작하기 힘든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몸체부(210)에 보호홀(230)이 형성됨으로써 끝이 뾰족한 도구(예를 들어 송곳)를 보조홀(230)에 끼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이 훨씬 편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joi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hole 230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0. The auxiliary hole 230 may be usefully used when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assembly bar 100 and the joint 200. If the joint 200 is small in size, the user may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The protection hole 230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0 to form a sharp tip tool (for example, awl). Since the opera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hole 230, the user's operation may be much easi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몸체 또는 다리에 결합될 수 있다. 무인 비행체(D)는 몸체, 날개, 그리고 몸체와 날개를 연결하는 다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몸체 또는 다리에 결합될 수 있는데, 안정성을 고려하면 무인 비행체(D)의 다리 특히 무인 비행체(D)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assembly bar 100 body or leg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is generally composed of a body, a wing, and a bridge connecting the body and the w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assembly bar 100 or the body or leg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considering the stability of the leg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in particular the botto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legs Is preferably bound to.

무인 비행체(D)는 안정적으로 비행하기 위해 보통 4개 혹은 그 이상의 날개를 가지는데, 각각의 날개와 몸체를 연결하기 위해 날개의 갯수 만큼 다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무인 비행체(D)의 안정적 비행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D)의 다리 각각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usually has four or more wings in order to fly stably, and bridges are formed by the number of wings to connect each wing and the body. Therefo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tabl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is preferably coupled to each of the leg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만일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몸체에 결합된다면 무인 비행체(D)가 비행할 때 균형을 맞추어 비행하기 어려울 수 있고, 무게 중심이 기울어진다면 사용자의 조종의 난이도가 상승할 수 있고, 균형을 잡기 위해 미세한 동작이 많아져 배터리 소모가 빨리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다리에 결합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If the assembly bar 100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it may be difficult to balance the flight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is flying, and if the center of gravity is tilted, the difficulty of the user's manipulation may increase.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fine operation is increased to balance battery consumption. Howev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by being coupled to the leg of the assembly bar 100 unmanned aerial vehicle (D).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와 무인 비행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대해 계속 살펴본다.3 to 6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unmanned vehicle protection apparatus and the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6 will continue to look at the unmanned vehicle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D)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바(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bar 30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leg as shown in FIG. 3.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다리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조립바(100)가 무인 비행체(D)의 다리에 결합되려면 사용자에게 조립의 난이도가 상승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bar 100 may be coupled to a le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However, when the assembly bar 100 is coupled to the le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the difficulty of assembly may increase to the user.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가 무인 비행체(D)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바(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면 사용자의 결합 난이도를 하향시킬 수 있다. 연결바(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일자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하나의 연결바(300)가 좌측의 전후에 위치한 다리 하단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바(300)가 우측의 전후에 위치한 다리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bar 30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leg can lower the coupling difficulty of the user. The connection bar 300 may have a long straight shape as shown in FIG. 3, and one connection bar 30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eg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eft side, and the other connection bar 300 is the right side.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egs located before and af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연결바(300)에 형성되는 안착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착부(400)는 무인 비행체(D) 다리 하단이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안착부(400)가 연결바(300)에 형성됨으로써 무인 비행체(D) 다리와 연결바(300)의 결합이 더욱 용이해지고, 이는 사용자에게는 조립의 난이도가 하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eating portion 400 formed in the connection bar (300). The seating unit 400 is a component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leg is seated, and the seating unit 400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ar 300 to further combin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leg and the connection bar 300. The ease of assembly can be lowered for the user.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연결바(300)가 없을 때보다 쉽게 조립바(100)를 연결바(300)에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바(300)는 조인트(200)와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조립바(100)와 달리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이로 인해 무인 비행체(D)와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unmanned air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assembly bar 100 to the connection bar 300 more easily than when there is no connection bar 300.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bar 300 is not coupled to the joint 200, unlike the assembly bar 100, the connection bar 300 is not easily deformed by external force, and thus,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more firmly. It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명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야간이나 어두운 건물 내부에서는 조명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 특히 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기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여 건물 내부의 조명이 망가져 어두울 수 있고, 기타 연기에 의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조명모듈(500)을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설치하여 활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lighting module 500. Lighting may be necessary at night or inside dark buildings. In particular, in case of an accident such as a fire, a problem may occur in the electric system, and the lighting inside the building may be broken, and the vision may not be secured by other smoke. At this time, by installing the lighting module 500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can be secured to the field of view.

예를 들어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조명이 모두 망가지고 연기에 의해 시야가 전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인명을 구조하거나 수색을 해야 하는 경우 각종 장애물이나 약해진 구조물에 의해 사람이 직접 수색을 하는 것에는 한계기 있을 수밖에 없다. 이때 무인 비행체(D)를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수색을 할 수 있는데, 단순히 무인 비행체(D)만을 이용하면 시야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벽이나 예기치 못한 구조물이나 장애물에 의해 무인 비행체(D)가 손상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and all the lights are broken and the view is not secured by the smoke, it is difficult to search people directly by various obstacles or weak structures. There is no choice but to be. In this cas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can be used to search efficiently. By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view,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is prevented by walls or unexpected structures or obstacles inside the building. Can be damaged.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조명모듈(500)이 설치된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를 무인 비행체(D)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시야 확보는 물론 예기치 못한 구조물이나 장애물에 의해 무인 비행체(D)가 손상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수색을 진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nmanned vehicle protection device in which the lighting module 500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unexpected structures or obstacles. You can efficiently searc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배터리모듈(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모듈(600)은 무인 비행체(D) 또는 조명모듈(50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무인 비행체(D)의 조종 시간 또는 조명모듈(500)의 사용 시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battery module 600, such a battery module 60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or lighting module 500 unmanned The steering time of the vehicle D or the use time of the lighting module 500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D)를 촬영 또는 영상(이미지)획득을 위해 카메라모듈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모듈은 무인 비행체(D)에 카메라모듈이 없는 경우에 활용하거나, 무인 비행체(D)에 카메라모듈이 있더라도 무인 비행체(D)에 카메라모듈이 고장난 경우에 보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하·좌·우·전·후방에 카메라를 탑재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installed with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or to obtain an image (image). Such a camera module may be used when there is no camera module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or may be used auxiliary when the camera module is broken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even if the camera module is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At this time, the camera module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ount the camera up, down, left, right, front, rear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설치하여 거리를 감지하거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주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습도센서를 설치하여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gyro sensor. Ultrasonic sensors or infrared sensors can be install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to detect distance or obstacles, and a temperature sensor can be installed to measure the ambient temperature, and a humidity sensor can be installed to measure the ambient humidity. have.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무인 비행체(D)에 결합되어 건물과 같은 실내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데,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무인 비행체(D)의 비행시 벽까지의 거리나 예기치 못한 장애물을 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and is suitable for use in a room, such as a building. The distance to the wall during th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indoors by using an ultrasonic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However, unexpected obstacles can be detected,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be measured using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자이로센서를 설치하여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여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가 뒤집히거나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신호를 보내 사용자가 원격으로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gyro sensor to measure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to send a signal to the user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is inverted or tilted to either side, the user remotely unmanned aerial vehicle It can help to control the protection device stabl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바와 조인트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는 조립바(100) 내부에 발열체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200)의 몸체부(210) 및 돌출부(220)가 금속으로 구성됨으로써 발열체에 전기를 가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7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cross section of the assembly bar and th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eating element in the assembly bar 100. At this time, since the body portion 210 and the protrusion 220 of the joint 200 are made of metal, heat may be generated by applying electricity to the heating element.

구체적으로 조립바(100)가 외부커버(101); 외부커버(101)의 내부에 형성되는 발열체(102); 및 외부커버(101)와 발열체(102)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피복(10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돌출부(210)가 조립바(100)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발열체(102)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가해주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배터리모듈(600)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assembly bar 100 has an outer cover 101; A heating element 102 formed inside the outer cover 101; And a heating coating 103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over 101 and the heating element 102, and the protrusions 210 may be fitted to both ends or one end of the assembly bar 100. At this time, in order to stably apply electricity to the heating element 102,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 module 600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립바(100)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렇게 발생된 열을 자연스럽게 무인 비행체(D)에 전달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assembly bar 100 may generate heat, and the heat generated in this way may be naturally transmitt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예를 들어 높은 상공에서 무인 비행체(D)를 운행하는 경우 급격한 주변 온도의 하강으로 무인 비행체(D)의 동작이 힘들어지거나 오작동의 위험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가 결합된 경우라면 조립바(100)가 발생시키는 열에 의해 무인 비행체(D)가 높은 상공에서도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per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at high altitude,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becomes difficult or a risk of malfunction occurs due to a sudden drop in the ambient temperatur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ramen assembly bar 10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may be stably operated even in a high sky.

또 다른 예를 들면, 추운 지역 또는 지면으로 인양된 배의 내부를 탐색할 때에는 주변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무인 비행체(D)의 동작이 힘들어지거나 오작동의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가 결합되면 이러한 경우에도 조립바(100)가 발생시키는 열에 의해 무인 비행체(D)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In another example, when searching the inside of a ship lifted to a cold area or the ground because the ambient temperature is very low,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is difficult or there is a fear of malfunction. However,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even in such a cas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 can be stably oper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assembly bar 100.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not by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조립바 101: 외부커버
102: 발열체 103: 발열피복
110: 결합홀 200: 조인트
210: 몸체부 220: 돌출부
230: 보조홀 300: 연결바
400: 안착부 500: 조명모듈
600: 배터리모듈
100: assembly bar 101: outer cover
102: heating element 103: heating coating
110: coupling hole 200: joint
210: body portion 220: protrusion
230: auxiliary hole 300: connecting bar
400: seating portion 500: lighting module
600: battery module

Claims (7)

무인 비행체와 결합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에 있어서,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바; 및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적어도 두 개의 조립바와 연결되고, 상기 끼움홀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조립바가 망 형태를 이루며,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가 상기 무인 비행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combined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plurality of assembly bars having fitting holes formed at both ends or one end thereof; And
A joint connected to at least two assembly bars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and having a protrusion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form a network, unmanned vehicl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ome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are coupled to the unmanned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및/또는 돌출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도록 연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joint is
Body portion; And
At least two protrusions protruding out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nd / or the protrusion portion ar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 조명모듈,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t least one of a camera module, an illumination module,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gyro sensor coupl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가 상기 다수의 조립바 중 일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ba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egs,
And the connection bar is coupl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ba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에 상기 무인 비행체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Unmanned vehicl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portion is further formed on the connection bar is seated unmanned aerial vehicle le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바 내부에 발열체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가 열전도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heating element is included in the assembly bar, and the joint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바는
외부커버;
상기 외부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는 발열체; 및
상기 외부커버와 상기 발열체 사이에 개재되는 발열피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가 상기 조립바 양단 또는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보호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assembly bar is
Outer cover;
A heating element formed inside the outer cover;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ting coating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heating element,
And the joint is fitted to both ends or one end of the assembly bar.
KR1020180039396A 2018-04-04 2018-04-04 Safety cover for drone KR102086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396A KR102086655B1 (en) 2018-04-04 2018-04-04 Safety cover for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396A KR102086655B1 (en) 2018-04-04 2018-04-04 Safety cover for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07A true KR20190116007A (en) 2019-10-14
KR102086655B1 KR102086655B1 (en) 2020-03-10

Family

ID=6817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396A KR102086655B1 (en) 2018-04-04 2018-04-04 Safety cover for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6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5256A1 (en) * 2021-01-13 2022-07-21 Hardshell Labs, Inc. External cag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797A (en) 2011-06-10 2012-12-20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Safety cover for unmanned vehicle
JP2015123918A (en) * 2013-12-27 2015-07-06 株式会社原子力エンジニアリング Ground traveling flying object
KR20160145254A (en) * 2015-06-09 2016-12-20 박희민 Low power heating controller for stable driving multicopter dron
KR20170034237A (en) *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이디 Drone having rotor protection function
KR20170119802A (en)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다온코리아 Impact protection device for unmanned aircraf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797A (en) 2011-06-10 2012-12-20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Safety cover for unmanned vehicle
JP2015123918A (en) * 2013-12-27 2015-07-06 株式会社原子力エンジニアリング Ground traveling flying object
KR20160145254A (en) * 2015-06-09 2016-12-20 박희민 Low power heating controller for stable driving multicopter dron
KR20170034237A (en) * 2015-09-18 2017-03-28 주식회사 이디 Drone having rotor protection function
KR20170119802A (en)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다온코리아 Impact protection device for unmanned aircraf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5256A1 (en) * 2021-01-13 2022-07-21 Hardshell Labs, Inc. External cag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655B1 (en)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hlstrom et al. Introduction to UAV systems
Clarke Understanding the drone epidemic
US8386095B2 (en) Performing corrective action on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one axis of three-axis magnetometer
WO2020041325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safety and functionality of craft having one or more rotors
ES2613310B1 (en) BIOMIMETIC AND ZOOSEMIOTIC UNMISSED AIR VEHICLE DIRECTED BY AUTOMATIC PILOT FOR PRECISION FLIGHTS AND / OR PERSECUTION
CN106347694B (en) A kind of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based near space floating platform
RU2381959C1 (en) Aircraft system of rescue operations support
KR102086655B1 (en) Safety cover for drone
Liardon et al. Lake imaging and monitoring aerial drone
Stark et al. Concept of operations for personal remote sensing unmanned aerial systems
Nott Design considerations and practical results with long duration systems for manned world flights
Seharwat Historical introduction and technology used in drones
JP6735424B1 (en) Recognition markers and air vehicles
Pasztor et al. Drone Regulators Struggle to Keep Up With the Rapidly Growing Technology
Aldemir Evolution of Unmanned Aerial Systems and Inconsistencies Between Strategies, Concepts, and Technology
Um et al. Drone Flight Ready
Gangishetty Design and Analysis of Tilt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or Optimal Flight Endurance and Payload Lift Capacity
Jadloc SAFE AND EFFECTIVE CLOSE AIR SUPPORT: LEVERAGING COTS PRODUCTS FOR MANEUVERABLE AERIAL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Stuart Stabilizing MEMS system lifts hovering vehicle's chances
KR20220081147A (en) Platform system for controlling drone
Khanke et al. Quadcopter to Locate & Assist Endangered Person in a Place of Fire
Cassidy Future of war- Role of unmanned vehicles
Gubler Army Aviation's new decade of growth
Munro et al. A Design Approach for Low Cost," Expendable" UAV Systems
Nathan Beware: There's a Storm Co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