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465A - 다수의 타입들의 프리앰블 그룹들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 - Google Patents

다수의 타입들의 프리앰블 그룹들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465A
KR20190115465A KR1020197026090A KR20197026090A KR20190115465A KR 20190115465 A KR20190115465 A KR 20190115465A KR 1020197026090 A KR1020197026090 A KR 1020197026090A KR 20197026090 A KR20197026090 A KR 20197026090A KR 20190115465 A KR20190115465 A KR 20190115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group
wireless device
grouping
pream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버그스트룀
마그누스 스타틴
리카 수시타이발
오스카 올손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9011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하나에 따라 그룹화된다.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125)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된다. 무선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의 그룹들(135) 중에서,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135)을 선택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선택된 그룹(135)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기지국(105)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한다.

Description

다수의 타입들의 프리앰블 그룹들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 방법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많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에서,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에서 전용 자원을 갖지 않고 (예를 들어, eNodeB 또는 다른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핸들링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가 업링크에서 전용 자원을 갖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지국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랜덤 액세스 절차가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이 절차의 제1 메시지는 통상적으로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로서 알려진 랜덤 액세스를 위해 예약된 특수 자원 상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다. PRACH 송신에 사용 가능한 자원들은 브로드캐스트되는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서(또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의 경우에는, 전용 RRC 시그널링의 일부로서) UE들에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장치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 및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 중 하나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된다.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그룹화 방식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들 중에서, 결정된 그룹화 방식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을 선택한다. 그 후, 무선 디바이스는 선택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한다.
예를 들어, 제1 그룹화 방식은 그룹의 선택이 적어도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계류 중인 송신의 사이즈에 따르는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될 수 있는 반면, 제2 그룹화 방식은 그룹의 선택이 무선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따르는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그룹화되는 방식의 결정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가 특히 적절한 그룹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의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한다.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된다. 방법은 결정된 그룹화 방식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들 중에서, 결정된 그룹화 방식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은 선택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액세스 노드로부터 복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은 그룹의 선택이 적어도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계류 중인 송신의 사이즈, 및 무선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coverage enhancement level)에 각각 따르는 개개의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된 제1 그룹화 방식 및 제2 그룹화 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2개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의 비교에 기초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2개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의 비교는 sizeOfRA-PreamblesGroupA 파라미터와 numberOfRA-Preambles 파라미터의 비교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특정 예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sizeOfRA-PreamblesGroupA 파라미터가 numberOfRA-Preambles 파라미터와 동일한지 여부에 각각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제1 그룹화 방식 또는 제2 그룹화 방식에 따라 그룹화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서, 결정된 그룹화 방식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고, 결정된 그룹화 방식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 자원들은 상이한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과 연관되고, 선택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선택되었던 그룹에 대응하는 PRACH 자원 상에서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제2 그룹화 방식에 따라 그룹화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그룹들 각각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은 복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2개에 의해 지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의 특정 예에서, 복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2개는 firstPreamble 파라미터 및 lastPreamble 파라미터이다.
상기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결정된 그룹화 방식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은 송신 사이즈에 기초하고, 결정된 그룹화 방식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계류 중인 송신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결정된 그룹화 방식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들 중에서, 결정된 그룹화 방식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선택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라디오 디바이스는 결정 모듈, 선택 모듈 및 랜덤 액세스 모듈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모듈은 결정된 그룹화 방식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들 중에서, 결정된 그룹화 방식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랜덤 액세스 모듈은 선택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들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포함한다.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라디오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예로서 예시되며,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대상을 참조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지만, 예시된 엘리먼트의 특정 인스턴스에 대한 논의는 그에 대한 문자 지정을 추가할 것이다(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예시된 그룹화 방식들(125a, 125b)의 특정 인스턴스들에 대한 논의와 대조적인 그룹화 방식(125)의 논의).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의 자원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지원에서 무선 디바이스와 기지국 간에 교환되는 신호들을 예시하는 시그널링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장치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 및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프리앰블들은 그룹 A와 그룹 B로 지칭되는 2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된다. 그룹 A의 프리앰블들은 통상적으로 더 작은 사이즈의 패킷들, 또는 열악한 라디오 조건들에서 더 큰 사이즈의 패킷들을 위해 사용된다. 그룹 B의 프리앰블들은 통상적으로 양호한 라디오 조건들에서 더 큰 사이즈의 패킷들을 위해 사용된다. 적절한 그룹으로부터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이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는 기지국이 업링크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필요로 되는 자원들을 계산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은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 중 하나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으며,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된다.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그룹화 방식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들 중에서, 결정된 그룹화 방식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을 선택한다. 그 후, 무선 디바이스는 선택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을 예시한다. 이 예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은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행되며, 무선 디바이스(110)는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기지국(105)(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한다. 이 예에 따르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은 그룹화 방식(125a)에 따라 그룹화된 복수의 프리앰블 그룹들(135a-c) 중 하나인 프리앰블 그룹(135c)으로부터 선택된다. 그룹화 방식(125a)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그룹화될 수 있는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a-b) 중 하나이다. 이 예에서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그룹화 방식(125a)에 따라 그룹화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그 자신의 프리앰블 그룹들(135d-f)을 갖는) 그룹화 방식(125b)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그룹화 방식(도시 생략)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그룹화 방식들(125a-b) 각각은 무선 디바이스(110)가 적절한 프리앰블 그룹(135)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상이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그룹화 방식(125a)은 그룹(135)의 선택이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계류 중인 송신의 사이즈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로 손실량에 따르는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될 수 있는 반면, 그룹화 방식(125b)은 그룹(135)의 선택이 무선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coverage enhancement level)에 따르는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화 방식(125a)은 그룹(135a)과 그룹(135b) 중에 선택하기 위한 소정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될 수 있는데, 여기서 그룹(135a)의 선택은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계류 중인 송신의 사이즈가 임계값 messageSizeGroupA보다 크고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로 손실이 임계값 Pcmax,c보다 작을 때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프리앰블 그룹들(135a-c)에서의 프리앰블들(즉,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그룹화 방식(125a)에 따라 그룹화될 때)은 무선 디바이스(110)가 각각 소형, 중형 및 대형의 계류 중인 송신들을 가질 때 사용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다른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된 그룹화 방식(125)을 포함하고, 임의의 수의 대응하는 그룹들(13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리앰블 그룹(135d-f)에서의 프리앰블들(즉,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그룹화 방식(125b)에 따라 그룹화될 때)은 무선 디바이스(110)가 개개의 강화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에 있을 때 사용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상기와 상이하거나 이에 추가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화 방식(125)을 포함한다.
커버리지 강화를 예로 들면, 이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형태들의 반복 및 재송신을 통해 달성되어, 다운링크 및 업링크 모두에서 수신 측에서의 에너지 축적을 허용한다. 무선 단말기(110)에/로부터 송신되는 물리적 신호들 및 채널들의 반복량은 무선 단말기의 커버리지 상황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양호한 커버리지 상황들에서보다는 열악한 커버리지 상황들에서 더 많이 반복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기지국(105)의 정상 범위 밖에 있기 때문에 강화된 커버리지에 있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동안, 필요한 커버리지 강화량(즉, 자신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기지국(105)에 지시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버리지 강화 레벨 선택 기준들에 따라 그룹화되고 기지국(105)으로의 랜덤 액세스 송신에 포함되는 적절한 프리앰블 그룹(135d-f)으로부터 프리앰블(120)을 선택하면 이 지시를 기지국(105)에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지국(105)은, 프리앰블들(130)이 어떻게 그룹화되는지를 고려하여, 무선 디바이스(110)가 선택한 프리앰블(120)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식별 가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 사이즈 선택 기준들에 따라 그룹화되고 기지국(105)으로의 랜덤 액세스 송신에 포함되는 프리앰블 그룹(135a-c)으로부터 프리앰블(120)을 선택하면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계류 중인 송신의 사이즈에 대한 지시를 기지국(105)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10)의 프리앰블 선택기(115)가 프리앰블(120)을 선택한다.
중요하게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룹화 방식(125a)에 따라 프리앰블들(130)을 그룹화하면 다른 타입의 그룹들(135d-f)의 사용을 방해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그룹화 방식(125b)에 따라 프리앰블들(130)을 그룹화하면 그룹들(135a-c)의 사용을 방해한다. 예를 들어, 송신될 데이터량의 차이가 그룹들(135a-c) 중 하나로부터 프리앰블을 선택함으로써 지시되는 경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그룹화 방식(125b)에 따라 그룹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커버리지 강화 레벨이 선택 및/또는 지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a-b)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에 대한 결정에 기초하여 프리앰블(120)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프리앰블들(130)을 다른 방식들로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들은 공존하는 그룹화 방식들(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프리앰블들(130)의 일 부분은 제1 그룹화 방식(125a)에 따라 그룹화되고, 프리앰블들(130)의 상이한 부분은 제2 그룹화 방식(125b)에 따라 그룹화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부분들의 프리앰블들(13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부분들의 프리앰블들(130)은 교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임의의 복잡성의 프리앰블들(130)의 상이한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a-b)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이 결정은 파라미터 sizeOfRA-PreamblesGroupA와 numberOfRA-Preambles 간의 비교에 기초한다.
특히, 무선 디바이스(110)는, sizeOfRA-PreamblesGroupA가 numberOfRA-Preambles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 B가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izeOfRA-PreamblesGroupA가 numberOfRA-Preambles와 동일하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 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110)는 각각의 그룹이 상이한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과 연관되는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LTE MAC 규격에서 상기의 내용이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의 예가 다음과 같다.
sizeOfRA - PreamblesGroupAnumberOfRA -Preambles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 B가 존재하여, 위와 같이 계산되고,
그렇지 않으면:
- 각각의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에 포함되는 프리앰블들이, 존재하는 경우, 프리앰블 firstPreamble 내지 lastPreamble이다.
상기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 A의 프리앰블들의 수가 프리앰블들의 수(예를 들어, 특히, 비-전용 프리앰블들의 수)를 지시하는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작은 경우, 무선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 B가 존재한다고 결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무선 디바이스(110)는 대신에 각각의 기존의 강화된 커버리지 레벨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이 존재한다고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그룹화 방식(125a)에 따라 정의된 제1 그룹(135c)과 제2 그룹화 방식(125b)에 따라 정의된 제2 그룹(135d)의 교차점인 것으로 결정된 프리앰블 그룹(135g)으로부터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무선 디바이스(110)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a-b)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을, 즉, 그룹화 방식(125a-b) 중 어느 것 하에서도 적절하게 될 프리앰블(120)을 선택함으로써 회피하게 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110)는 프리앰블 그룹(135c)을 선택하고, 이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송신이 수행될 때 프리앰블(120)이 선택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들로부터 제1 프리앰블 그룹에 대한 제1 선택을 수행할 것이며, 예를 들어, 그룹들(135a-c) 중에서 선택하며, 여기서 이들 그룹들 각각은 그룹화 방식(125a)에 따른 타입에 따라 그룹화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제2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들로부터 제2 프리앰블 그룹에 대한 제2 선택을 수행할 것이며, 예를 들어, 그룹들(135d-f) 중에서 선택하며, 여기서 이들 그룹들 각각은 그룹화 방식(125b)에 따른 타입에 따라 그룹화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룹화 방식(125a)은 계류 중인 송신 사이즈와 연관될 수 있고, 그룹화 방식(125b)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될 수 있다. 그룹들(135c-d) 각각으로부터의 선택은 임의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그룹(135c) 및 그룹(135d)으로부터의 프리앰블들의 교차점인 프리앰블 그룹(135g)을 결정하고, 결정된 그룹(135g)으로부터 선택된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프리앰블 송신을 수행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기지국(105)으로의 업링크에서 전용 자원이 부족하더라도, 무선 디바이스(110)가 기지국(105)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참여하기 위해 프리앰블(120)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절차의 제1 메시지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로서 알려진 랜덤 액세스를 위해 예약된 특수 자원 상에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PRACH 송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자원들은 브로드캐스트되는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서(또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의 경우에는, 전용 RRC 시그널링의 일부로서) 무선 디바이스(11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특히, (예를 들어) LTE를 포함하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05)과 무선 디바이스(110) 간의 라디오 통신은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 걸친 라디오 자원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이한 통신 시스템들은 상이한 대역폭들 및/또는 시간 프레임들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LTE는 일반적으로 최대 20MHz의 송수신 대역폭을 지원하고, 10ms의 라디오 프레임들을 사용한다. 주파수 도메인은 복수의 서브캐리어들을 지원한다. 라디오 프레임들은 (통상적으로) 10개의 동일한 사이즈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되며, 서브프레임 각각은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의 자원들은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PRB)들로 집성될 수 있다. 통상적인 PRB는 폭은 12개의 서브캐리어이고, 길이는 1개의 슬롯이다.
LTE의 Rel-13은 머신 타입 통신들(machine type communications)(MTC)을 위한 배터리 수명, 디바이스 비용/복잡성 및 커버리지 최적화들을 도입한다. MTC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무선 디바이스(110))은 때때로 LTE 네트워크 롤아웃들이 전체 커버리지에 대해 치수화되지 않은 도전적인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미터들은 종종 빌딩 지하실들에 배치되며, 때로는 금속 인클로저들에 포함되기도 하고, 마찬가지로, 스마트 농업 사용 사례들에서는, 디바이스들이 시골의 분리된 지역들에 위치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비용/복잡성 감소는 다양한 기술들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LTE Rel-13에서 도입된 하나의 중요한 기술은 UE의 송수신 대역폭을 20MHz로부터 1.4MHz로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감소된 대역폭은 무선 디바이스(110)가 송신하거나 수신할 때 사용 가능한 자원 당 물리적 자원 블록들이 더 적어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LTE에서 통상적인 최대 100개의 PRB 대신에, 각각 180kHz에서 최대 6개의 물리적 자원 블록(PRB)).
도 3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선택된 프리앰블(120)의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기지국(105)으로의 송신을 지원하는 업링크 상의 송신 자원들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는 10ms 길이의 라디오 프레임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각각이 1ms 길이인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특정 업링크의 자원들에는 폭이 6개의 PRB이고 길이가 1개의 서브프레임인 유닛들로 할당된다. 자원들 중 일부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반면, 다른 자원들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송신을 위해 예약된다(예를 들어, PRACH 자원이라고도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기지국(105)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송신을 위해 어떤 자원이 예약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별도의 PRACH 자원들이 상이한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을 위해 사용된다. 즉, 무선 디바이스(110)는 자신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대응하는 PRACH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특정 PRACH 자원 상에서 프리앰블(120)을 송신하면 무선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을 기지국(105)에 지시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다수의 상이한 이유들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은, 예를 들어, 초기 액세스(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가 LTE_IDLE 또는 LTE_DETACHED 상태들에 있을 때), 착신 핸드오버, 업링크의 재동기화, 스케줄링 요청(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가 기지국(105)에 접속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자원을 할당받지 않았을 때) 및/또는 위치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LTE에서 사용되는 경쟁-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300)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경쟁-기반 랜덤 액세스에 사용 가능한 프리앰블들(130)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기지국(105)에 대해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을 통해 MSG1에서 송신함으로써 랜덤 액세스 절차(300)를 시작한다(단계(320)).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10)는 기지국(105)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이전 시스템 정보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송신을 위해 예약된 자원을 알 수 있다(단계(310)).
기지국(105)은 프리앰블(120), 업링크 공유 채널 상에서 사용되는 초기 승인, 임시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Temporary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TC-RNTI), 및 PRACH 상에서 기지국(105)에 의해 측정된 프리앰블(120)의 타이밍 오프셋에 기초한 시간 정렬(time alignment)(TA) 업데이트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MSG2)을 송신함으로써 프리앰블(120)에 확인응답한다(단계 330). MSG2는 다운링크에서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된다.
응답을 수신할 때, 무선 디바이스(110)는 승인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는 라디오 자원 제어의 확립을 트리거하고 부분적으로는 셀의 공통 채널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11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메시지(MSG3)를 송신한다.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제공된 타이밍 정렬 커맨드가 MSG3에서의 업링크 송신에 적용된다(단계(340)). 기지국(105)은 TC-RNTI와 스크램블링된 업링크 승인을 전송함으로써 MSG3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 블록들을 변경할 수 있다.
C-RNTI가 무선 디바이스(110)에 이전에 할당된 경우, (경쟁 해결을 위한) MSG4는 C-RNTI로 스크램블링된 자신의 PDCCH를 갖는다. 그렇지 않으면, PDCCH는 TC-RNTI로 스크램블링된다. 절차는 기지국(105)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프리앰블 경쟁(즉,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110)이 동일한 프리앰블을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을 해결하는 것으로 종료된다. 이것은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110)가 프리앰블(120)을 언제 송신할지 및 어떤 프리앰블(120)을 사용할지를 랜덤으로 선택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110)이 PRACH를 통한 송신을 위해 동일한 프리앰블(120)을 사용하는 경우, 경쟁 해결 메시지(MSG4)를 통해 해결될 필요가 있는 경쟁이 존재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무선 디바이스(110)가 MSG3를 재송신할 때에도, 무선 디바이스(110)가 현재 커버리지 강화 레벨과 연관된 프리앰블(120)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게 보장된다. 이에 의해 랜덤 액세스 장애를 회피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라디오 링크 장애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통상적인 A/B 그룹화들에 따라 그룹화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 모두의 구성, 및 상이한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과 연관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들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유리하게 가능하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5는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행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의 예시적인 방법(500)을 예시한다. 방법(500)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블록(510))를 포함한다.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125)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된다. 방법(500)은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의 그룹들(135) 중에서,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135)을 선택하는 단계(블록(520))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500)은 선택된 그룹(135)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기지국(105)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블록(530))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6은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행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의 다른 예시적인 방법(600)을 예시한다. 방법(600)은, 제1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들(135a-c) 중에서, 제1 타입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프리앰블 그룹(135c)을 선택하는 단계(블록(610))를 포함한다. 제1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들(135a-c)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의 분리된 그룹들을 포함한다. 방법(600)은, 제2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들(135d-f) 중에서, 제2 타입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프리앰블 그룹(135d)을 선택하는 단계(블록(620))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들(135d-f)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의 범위들을 포함한다. 방법(600)은 제1 및 제2 프리앰블 그룹들(135c-d) 간의 교차점(135g)을 결정하는 단계(블록(630)), 및 교차점(135g)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기지국(105)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블록(640))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UE)는 임의의 기능적 수단들 또는 유닛들을 구현함으로써 도 5 및/또는 도 6의 방법들 및 본 명세서의 임의의 다른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도 5 및/또는 도 6에 도시된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개개의 회로들 또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들 또는 회로부는 메모리와 함께 특정 기능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데 전용되는 회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 랜덤-액세스 메모리,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광 저장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타입들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를 채택하는 실시예들에서,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도 7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무선 디바이스(110)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10)는 프로세싱 회로부(710) 및 통신 회로부(720)를 포함한다. 통신 회로부(720)는, 예를 들어, 임의의 통신 기술을 통해 기지국(105)에 및/또는 기지국(105)으로부터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부(710)는 메모리(7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등에 의해, 예를 들어, 도 5 및/또는 도 6에서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싱 회로부(710)는 특정 기능적 수단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무선 디바이스(110)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도 7의 프로세싱 회로부(710)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통해 다양한 기능적 수단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러한 기능적 수단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 또는 모듈(810) -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125)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됨 - 을 포함한다. 또한,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그룹들(135) 중에서,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135)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유닛 또는 모듈(820)이 포함된다. 또한, 선택된 그룹(135)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기지국(105)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유닛 또는 모듈(830)이 포함된다.
도 7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무선 디바이스(110)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도 7의 프로세싱 회로부(710)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통해 다양한 기능적 수단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러한 기능적 수단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은 (예를 들어) 제1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들(135a-c) 중에서, 제1 타입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프리앰블 그룹(135c)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 유닛 또는 모듈(910)을 포함한다. 제1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들(135a-c)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의 분리된 그룹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2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들(135d-f) 중에서, 제2 타입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프리앰블 그룹(135d)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 유닛 또는 모듈(920)이 포함된다. 제2 타입의 프리앰블 그룹들(135d-f)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의 범위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프리앰블 그룹들(135c-d) 간의 교차점(135g)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 또는 모듈(930)이 포함된다. 또한, 교차점(135g)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기지국(105)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유닛 또는 모듈(940)이 포함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추가로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110)로 하여금, 위에서 설명된 개개의 프로세싱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은 위에서 설명된 수단들 또는 유닛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라디오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또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저장 또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되고, 노드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노드로 하여금,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라디오 신호들을 통해 기지국(105)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노드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사용자 장비(UE), 머신-대-머신(machine-to-machine)(M2M) 디바이스, 머신-타입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s)(MTC) 디바이스, NB-IoT 디바이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UE"는 반드시 디바이스를 소유하고/하거나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개개인의 관점에서 "사용자"를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라디오 디바이스, 라디오 통신 디바이스, 무선 단말기 또는 단순히 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으며, 문맥상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이들 용어들 중 임의의 용어의 사용은 디바이스-대-디바이스 UE들 또는 디바이스들, 머신-타입 디바이스들 또는 머신-대-머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들, 무선 디바이스가 장착된 센서들, 무선-가능형 테이블 컴퓨터들, 모바일 단말기들, 스마트폰들, 랩탑-임베드형 장비(laptop-embedded equipped)(LEE), 랩탑-마운트형 장비(laptop-mounted equipment)(LME), USB 동글들, 무선 고객 댁내 장치(customer-premises equipment)(CPE) 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논의에서는, 머신-대-머신(M2M) 디바이스, 머신-타입 통신(MTC) 디바이스, 무선 센서 및 센서의 용어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들은 UE들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인간 상호 작용 없이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시나리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110)는 모니터링 또는 측정들을 수행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또는 측정 결과들을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머신 또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머신들의 특정 예들은 파워 미터(power meter)들, 산업 기계, 또는 가정용 또는 개인용 기기들, 예를 들어, 냉장고들, 텔레비전들, 시계들과 같은 개인용 웨어러블들 등이 있다.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차량에 포함될 수 있고, 차량의 동작 상태 또는 차량과 연관된 다른 기능들의 모니터링 및/또는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들은 아래의 열거된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예들의 양태들을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아래의 부록들에 상세히 설명되는 예들의 양태들을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이, 반드시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등의 사용을 포함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 논의된 프로세싱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은 프로그램 명령어들로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아닌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들 및 각각과 연관된 엔지니어링 트레이드오프들은 숙력된 전문가에 의해 용이하게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밖에 있는 시스템-레벨 요구 사항들에 의존할 수 있는 다양한 하드웨어 접근법들에 대한 설계 및 비용 트레이드오프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하드웨어 구현들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들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과 다른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모든 면들에서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의미 및 등가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화들이 그 안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또는 방법들의 단계들이 시퀀스 또는 시간 순서인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을 수 있지만, 임의의 이러한 프로세스들 또는 방법들의 단계들은, 달리 지시가 없는 한, 임의의 특정 시퀀스 또는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이러한 프로세스들 또는 방법들의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여전히 있으면서 다양한 상이한 시퀀스들 및 순서들로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7)

  1.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행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 선택 방법으로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510) -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125)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됨 -;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의 그룹들(135) 중에서,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135)을 선택하는 단계(520); 및
    상기 선택된 그룹(135)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기지국(105)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530)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액세스 노드(105)로부터 복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은 그룹(135)의 선택이 적어도 상기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계류 중인 송신의 사이즈,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coverage enhancement level)에 각각 따르는 개개의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된 제1 그룹화 방식(125a) 및 제2 그룹화 방식(125b)을 포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상기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2개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의 비교에 기초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2개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의 비교는 sizeOfRA-PreamblesGroupA 파라미터와 numberOfRA-Preambles 파라미터의 비교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상기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sizeOfRA-PreamblesGroupA 파라미터가 상기 numberOfRA-Preambles 파라미터와 동일한지 여부에 각각 기초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상기 제1 그룹화 방식(125a) 또는 상기 제2 그룹화 방식(125b)에 따라 그룹화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은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고,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135)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135)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이한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 자원들은 상이한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과 연관되고, 상기 선택된 그룹(135)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105)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이 선택되었던 그룹(135)에 대응하는 PRACH 자원 상에서 상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상기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상기 제2 그룹화 방식(125b)에 따라 그룹화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들(135) 각각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은 상기 복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2개에 의해 지시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성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2개는 firstPreamble 파라미터 및 lastPreamble 파라미터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은 송신 사이즈에 기초하고,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135)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계류 중인 송신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135)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무선 디바이스(110)로서,
    프로세서(710) 및 메모리(730)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730)는 상기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고 -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125)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됨 -,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의 그룹들(135) 중에서,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135)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135)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기지국(105)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110).
  11. 제10항에 있어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9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12.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 선택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110)로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고 -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125)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됨 -,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의 그룹들(135) 중에서,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135)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135)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기지국(105)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13. 제12항에 있어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9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14.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 선택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110)로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이 복수의 그룹화 방식들(125) 중 어느 것에 따라 그룹화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810) - 상이한 그룹화 방식들(125)은 상이한 타입들의 그룹 선택 기준들과 연관됨 -;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에 따라 정의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130)의 그룹들(135) 중에서, 상기 결정된 그룹화 방식(125)과 연관된 타입의 그룹 선택 기준들에 기초하여 그룹(135)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모듈(820); 및
    상기 선택된 그룹(135)으로부터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120)을 사용하여 기지국(105)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구성되는 랜덤 액세스 모듈(830)
    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10).
  15. 제14항에 있어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9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10).
  16.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7. 캐리어로서,
    제16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로서, 상기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라디오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인 캐리어.
KR1020197026090A 2017-02-10 2018-02-12 다수의 타입들의 프리앰블 그룹들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 KR201901154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57770P 2017-02-10 2017-02-10
US62/457,770 2017-02-10
PCT/SE2018/050125 WO2018147795A1 (en) 2017-02-10 2018-02-12 Random access preamble selection from multiple types of preamble group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465A true KR20190115465A (ko) 2019-10-11

Family

ID=6124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090A KR20190115465A (ko) 2017-02-10 2018-02-12 다수의 타입들의 프리앰블 그룹들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64531B2 (ko)
EP (1) EP3580990B1 (ko)
JP (1) JP2020508001A (ko)
KR (1) KR20190115465A (ko)
CN (1) CN110583088B (ko)
CA (1) CA3052944A1 (ko)
WO (1) WO2018147795A1 (ko)
ZA (1) ZA20190516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936A (ko) * 2016-06-15 2022-01-04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차세대 네트워크들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3562A (zh) * 2018-09-27 2021-05-18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网络优化的ue信息传输的方法和装置
WO2022000506A1 (zh) * 2020-07-03 2022-0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资源配置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190115B (zh) * 2020-07-14 2023-11-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11800564B2 (en) * 2020-08-10 2023-10-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layered preambles
WO2023068994A1 (en) * 2021-10-21 2023-04-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748B1 (ko) * 2008-08-07 2015-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KR20120123997A (ko) * 2011-05-02 2012-11-12 주식회사 팬택 랜덤 액세스 장치 및 방법
WO2013043008A2 (ko) * 2011-09-23 201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CN104186010B (zh) * 2012-03-16 2018-09-2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系统中的随机接入过程
US9451639B2 (en) 2013-07-10 2016-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age enhancement for a random access process
EP2903378A1 (en) * 2014-01-30 2015-08-05 Alcatel Lucent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s
GB2530566A (en) * 2014-09-26 2016-03-30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N107734714B (zh) * 2016-08-12 2023-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随机接入方法和装置、用户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936A (ko) * 2016-06-15 2022-01-04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차세대 네트워크들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2944A1 (en) 2018-08-16
EP3580990A1 (en) 2019-12-18
US11064531B2 (en) 2021-07-13
EP3580990B1 (en) 2022-08-24
JP2020508001A (ja) 2020-03-12
WO2018147795A1 (en) 2018-08-16
CN110583088B (zh) 2023-06-23
CN110583088A (zh) 2019-12-17
ZA201905164B (en) 2021-02-24
US20200022187A1 (en)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7308B2 (en) Two-step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over radio resources in LAA
US11818080B2 (en) Random access with bandwidth part switch
CN110537392B (zh) 执行随机接入过程的方法及其设备
KR102409728B1 (ko) 업링크 신호 송신 방법 및 사용자 장치
US114051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13678567B (zh) 与随机接入信道操作相关的技术
US11064531B2 (en) Random access preamble selection from multiple types of preamble groups
KR20200034651A (ko) 2 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다수의 메시지 a(msga) 크기 및 ul 커버리지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5112A (ko) 무선 통신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56933A (ko) 랜덤 액세스에서 자원을 예결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US10869339B2 (en) Method,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and carrier for random access
EP357647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08243497B (zh) 用于自主上行链路信号传输的方法以及相应的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1803681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utonomous Determination of Uplink Resources by User Equipment
CN111465112B (zh) 接入控制信令的处理方法及装置
WO2015066916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user equipment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KR102507300B1 (ko) 메시지 송신, 메시지 구성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