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269A - Flexible sampler for groundwater - Google Patents

Flexible sampler for ground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269A
KR20190115269A KR1020180038092A KR20180038092A KR20190115269A KR 20190115269 A KR20190115269 A KR 20190115269A KR 1020180038092 A KR1020180038092 A KR 1020180038092A KR 20180038092 A KR20180038092 A KR 20180038092A KR 20190115269 A KR20190115269 A KR 20190115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container
sample
flexible
well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우현
윤상웅
이진용
권기덕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269A/en
Publication of KR20190115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2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underground water sampl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underground water sampler which can flexibly enter a straight well and a curved well, and can be stretched to reduce volume to improve storage and moving convenience. More specifically, the flexible underground water sampler comprises: a water intake container (100) including an internal space (110) to collect a sample of a well and having an air hole unit (140) drilled on an upper end thereof, and an opening part (120) coupled to a lower end thereof to become a passage to allow the sample to flow into and out of the internal space (110); a spherical member (200) arranged in the internal space (110) of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part (120) and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pening part (120) to selectively come in contact with the opening part (120); and a partition member (130) in the internal space (110) of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to allow the sample to pass therethrough.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is flexible and longitudinally stretchable.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is flexible and longitudinally stretchable by a corrugated form, or a wire (400) can b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lexible groundwater sampler to pull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out of the well after collecting the sample by lowering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into the well.

Description

유연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Flexible sampler for groundwater}Flexible sampler for groundwater

본 발명은 유연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곧은 직선형의 관정뿐 아니라 기역자 모양을 비롯한 다양하게 굴곡진 관정에도 유연하게 출입할 수 있고, 길이 신축이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그 이동 및 보관에 편리성이 증대된 지하수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groundwater sampler. Specifically, the groundwater can be flexibly entered and exited from various straight curved wells including straight straight wells, and can be stretched and retracted to reduce volum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movement and storage. It relates to a sampler.

지하수 관정에서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곧고 단단한 베일러 또는 양수기(펌프)등을 이용한다.Sampling from groundwater wells usually uses straight, rigid balers or water pumps.

하지만 우리나라 소형 관정은 학술 및 연구용 관측정을 제외한 대부분 농업용 관정으로 그 입구가 기역자 모양으로 꺾여 있어 곧고 단단한 종래 장비로서는 시료를 채취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곧고 단단한 베일러 또는 양수기(펌프)로서는 굴곡진 형태의 관정에 출입하기가 어렵고, 설령 출입이 가능하더라도 관정 내부에서 그 움직임이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However, Korean small wells are mostly agricultural wells except for academic and research wells, and their entrances are bent in the shape of translators. That is, it is difficult to enter a curved well with a straight rigid baler or water pump (pump), and even if the entry is possible, the movement inside the well is very limited.

또한, 베일러는 수질 분석에 대한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관정에서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이고, 그 길이는 약 1.2m, 구경 30mm여서, 대량으로 창고나 차량에 보관 및 이동케 하거나 휴대하여 이동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aler is a disposable one-time use in a single well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for water quality analysis, and its length is about 1.2m and a diameter of 30mm. There was inconvenience in moving.

또한, 양수기는 별도의 동력원(배터리 또는 발전기 등)과 호스(케이블)와 같은 기타 장비가 필요하여 운용 및 관리에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water pump was troublesome to operate and manage because it required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or generator) and other equipment such as a hose (cable).

선행특허문헌1, KR 10-2011-0060694 A, (2011. 06. 08.), 지하수 또는 CO2 채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채취 시스템에는, 채수관은 합성 고무 재질의 외피재 및 내피재 사이에 레이온 섬유막을 포함하는 3중막 구조를 갖는 점, 채수관과 채수관을 잇는 연결관은 자바라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채수장치의 굴곡에 용이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하고, 채수관을 단위로 하여 연결관으로 채수관을 연달아 이을 수 있도록 하여 길이를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기재되어 있다.Prior Patent Document 1, KR 10-2011-0060694 A, (2011. 06. 08.), groundwater or CO2 harvesting device and the harves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collection pipe is a rayon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shell of the synthetic rubber material The point having a triple layer structure including a fiber membrane, and the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water collecting pipe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is provided in bellows shape so that it can easily correspond to the bending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It is described that the length of the pipe can be changed flexibly by allowing the water pipes to be connected one after another.

또한, 상기 선행특허문헌1는, 원하는 심도 이외의 심도가 존재하는 지하수가 채취기 내부로 스며들어 시료 채수가 원활히 수행되지 못하는 점, 양수 또는 수중펌프만으로는 20m~수백m의 심도에서는 시료채취가 불가능하다는 점,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자 하는 경우에 심도 800m에서 포집을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장치의 규모 및 중량이 증가되어 장치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고 있다.In addition, the prior patent document 1, the groundwater having a depth other than the desired depth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collector and the sampling is not performed smoothly, it is impossible to sample at a depth of 20m to hundreds of meters with only pumping or underwater pump In the case of collecting point and carbon dioxide, it may be necessary to collect at a depth of 800m. In this case, the size and weight of the device are increas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ove and install the device.

이에, 상기 선행특허문헌1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채수관의 부피를 최소화하고자 지름을 최소화 하고, 심부에 들어가더라도 원하는 심도 이외의 심도에 존재하는 지하수가 채취기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는 소재를 사용하여 채수관을 제조하며, 양수 펌프 또는 수중 펌프 보다 효율이 뛰어난 소형 수중 모터를 사용하여 지하 20m~수백m의 심부 지하수 또는 이산화탄소를 빠르게 채취하여 샘플을 다량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채수관 단위 유닛을 잇거나 줄여 이동 및 설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Thu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ior patent document 1 minimizes the diameter in order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water collection pipe, and uses a material that does not penetrate into the collector in the groundwater existing in the depth other than the desired depth even if entering the core The water pipe is manufactured by using a small submersible motor that is more efficient than a pump or submersible pump, so that deep underground water or carbon dioxide of 20m to hundreds of meters can be quickly collected to obtain a large amount of samples. To reduce the cost of movement and installation.

본 발명과 상기 선행특허문헌1을 비교해보면, 양 발명 모두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 등에 목적 또는 그 구성이 유사한 면이 없지 않으나, 상기 선행특허문헌1은 원하는 심도 외 다른 심도의 시료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깊은 심도에서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소형 수중모터를 부착하고 채수관을 복수 개로 연결하여 길이를 조절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굴곡진 관정에도 출입이 가능하게끔 하기 위하여 유연한 소재에 제조되고, 나아가 보관 및 이동에 용이하게끔 하고자 길이 신축이 가능하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양 발명의 주요 구성은 전혀 상이할뿐더러,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선행특허문헌1로부터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또한, 상기 선행특허문헌1에는, 채수관과 채수관을 잇는 이음쇠가 자바라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고 개시되어있으나, 채수관 자체는 유연하지 못한 것으로 굴곡진 관정에 침투하기 어렵다는 점, 이음쇠가 자바라 형태이고 길이 신축이 어려워 부피를 최소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Compar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patent document 1, both the invention is for taking groundwater samples, the length can be adjusted, etc. There is no similar purpose or configuration, but the prior patent document 1 has a desired depth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sample from other depths from penetrating, and attaches a small submersible motor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at a deep depth, and adjusts the length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water pipes. Its feature is that it is made of flexible material to allow entry and exit, and furthermore, its length can be stretched to facilitate storage and movement. Therefore, the main constitutions of the two inventions are completely different, and the constit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disclosed at all from the foregoing Patent Document 1. In addition, although the prior 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the fittings connecting the water collecting pipes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s are provided in bellows shape, the water collecting pipes themselves are inflexible and difficult to penetrate the curved pipe, and the fittings are bellows type. It is difficult to stretch the length, so there is a limit to minimize the volume.

선행특허문헌2, KR 10-2014-0092782 A, (2014. 07. 24.), 휴대용 지하수 관측 장치에는, 방수케이블을 이용하여 탐침봉을 지하수 관측공 안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되어 있으며, 케이블이 감기는 드럼 및 그 다리 등을 구비하며, 상기 탐침봉은 수심센서, 수온 센서, 전도도 센서, pH 센서 등을 포함하는 것임을 개시하고 있다.Prior Patent Document 2, KR 10-2014-0092782 A, (2014. 07. 24.), Portable groundwater observation device, a material that is flexible to be easy to carry as it is to install the probe rod in the groundwater observation hole using a waterproof cable And a drum to which a cable is wound, a leg thereof, and the like, and the probe rod is disclosed to include a depth sensor, a water temperature sensor, a conductivity sensor, a pH sensor,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특허문헌2는, 지하수의 수질, 즉 수온, 전도도, 진동, 수위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종래 각각의 장치를 하나하나 삽입하여, 시차를 두고 번갈아가면서 측정하게 되어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는 점, 케이블의 표면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관리자가 케이블의 눈금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별도의 관측 시트에 직접 기재하는 방식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아, 휴대가 가능하고, 상기 수질 등을 자동으로 일시에 측정하고 저장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Specifically, in the prior patent document 2, in order to measure the water quality of the groundwater, that is, water temperature, conductivity, vibration, water level, etc., each of the conventional devices are inserted one by one, and the measurement is carried out alternately with a time difference, so that accurate data cannot be obtained. The scales ar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dots and cables,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scales of the cables with the naked eye or write them on a separate observation sheet.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storing at one time is disclosed.

본 발명과 상기 특허문헌2는, 시료를 채취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그 목적 또는 용도가 유사한 면이 없지 아니하나, 상기 선행특허문헌2는 자동으로 일시에 각종 수질 정보를 탐침봉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데 그 특징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굴곡진 관정에도 출입이 가능하게끔 하기 위하여 유연한 소재에 제조되고, 나아가 보관 및 이동에 용이하게끔 하고자 길이 신축이 가능하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양 발명의 주요 구성은 전혀 상이할뿐더러,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선행특허문헌2로부터 전혀 개시된 바 없다. 게다가 상기 선행특허문헌2의 방수케이블의 경우, 관정을 이동할 때마다 기름 등 여타 오염 물질에 의해 상기 방수케이블이 더럽혀질 수 있는데, 다른 관정에 삽입하기 전에 오염 물질을 닦아내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요하는 등 그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내포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tent document 2, although the purpose or use is not similar in that it is intended to take a sample, the prior patent document 2 automatically measures various water quality information at a time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the probe rod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order to allow access to a curved well, and can be stretched to make it easier to store and move. Therefore, the main structure of both inventions differs at all, and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not disclosed at all from the said patent document 2 at all.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aterproof cable of the prior patent document 2, the waterproof cable may be soiled by other pollutants such as oil each time the well is moved, which requires a cumbersome procedure such as wiping off the pollutant before inserting it into another well. This implies that the management is difficult.

선행특허문헌3, KR 20-0480346 Y1, (2016. 05. 09.), 지하수 시료 채취용 접이식 다단 용기에는, 바텀 파이프 내에 배치된 미들 파이프와 바텀 파이프 간의 내부 공간에 개폐 볼을 배치하여 지하수 시료 채취용 접이식 다단 용기가 지하수에 담겨짐에 따라 부유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유입부재를 오픈하고, 지하수 시료 채취용 접이식 다단 용기가 지하수에서 들어올려짐에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유입부재를 클로즈시켜 지하수 유출을 차단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Prior Art Document 3, KR 20-0480346 Y1, (2016. 05. 09.), in the folding multi-stage container for ground water sampling, the ground water sample by placing an opening and closing ball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middle pipe and the bottom pipe disposed in the bottom pipe As the foldable multistage container for collection is contained in the groundwater, the inflow member is opened to float and the groundwater flows in, and as the foldable multistage container for the groundwater sampling is lifted from the groundwater, it is dropped by its own weight and closes the inflow member to drain the groundwater.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for blocking.

상기 선행특허문헌3은, 지하수가 시추공의 깊이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그 깊이에서 원상태 그대로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종래 지하수 채취장치는 취수 장치를 삽입한 후 양수펌프를 사용하여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거나 채취 용기를 시추공에 삽입하여 두레박 형식으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게 되면서 목적하는 깊이에서 원상태 그대로 채취할 수 없었다는 점, 종래 지하수 채취장치는 약 1m 길이의 용기로 인해 보관 또는 이동시 번거로움이 있었다는 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고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patent document 3,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groundwater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borehole, and it is important that the groundwater sample is collected as it is, and the conventional groundwater sampling device uses a pump to pump the groundwater sample after inserting the intake device. As the groundwater sample was collected in the form of a gourd by inserting or collecting a container into the borehole, the groundwater sampler was not able to be collected as it is at the desired depth. The conventional groundwater collecting device was troublesome when storing or moving due to a container about 1 m long. As a task to solve.

위와 같은 과제 인식을 기반으로, 상기 선행특허문헌3은, 탑, 미들, 바텀 파이프가 다단식으로 구성되며, 개폐 볼을 상기 바텀 파이프 내에 배치된 미들 파이프와 상기 바텀 파이프 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게끔 하여, 상기 개폐볼이 유입부를 클로즈시켜 지하수 유출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들이 다단식으로 구성되어 보관이나 이동시 다단으로 접어 보관 및 이동에 있어서 그 번거로움을 줄이는 효과를 줄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On the basis of the above problem recognition, the prior patent document 3, the tower, the middle, the bottom pipe is composed of a multi-stag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ball is arranged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middle pipe and the bottom pipe disposed in the bottom pipe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ball closes the inlet to block the outflow of the groundwater, and the pipes are configured in a multi-stage to fold in multiple stages during storage or movement to reduce the hassle in storage and movement.

상기 선행특허문헌3과 본 발명이, 보관과 이동에 그 편리성을 증대하기 위한다점에서 그 목적이 유사한 면이 없지 아니하나, 본 발명은 굴곡진 관정에도 출입이 가능하게끔 하기 위하여 유연한 소재에 제조되고, 나아가 보관 및 이동에 용이하게끔 하고자 길이 신축이 가능하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양 발명의 주요 구성은 전혀 상이할뿐더러,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선행특허문헌3로부터 전혀 개시된 바 없다.Although the prior patent document 3 and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ilar in many respects in order to increase their convenience in storage and move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order to allow access to a curved well. Its feature is that it can be stretched to make it easier to store and move. Therefore, the main structure of both inventions differs at all, and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not disclosed at all from the said prior patent document 3.

선행특허문헌4, KR 10-1493350 B1, (2015. 02. 09.),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에는, 개구공의 부유 및 차단에 의해 채취된 시료의 유입과 유출이 조절된다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Prior Patent Document 4, KR 10-1493350 B1, (2015. 02. 09.), discloses that the inflow and outflow of a sample collected by floating and blocking opening holes is controlled.

상기 선행특허문헌4에서는, 채취된 시료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개구부를 차단하고 있는 상기 개구공을 위로 밀어올려야 하는 데, 상기 개구공을 밀어올리기 위해 하측에서 막대를 집어넣음과 동시에 유출되는 시료들은 상기 막대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혹은 실험자의 손에 묻은 이물질에 오염되어 정확한 데이터 수집 또는 분석이 불가능하고, 아울러 상기 막대를 분실하는 경우 교차오염의 염려의 이유로 교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막대를 구할 때까지 시료 채취가 지연되어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으면서, 상기 막대를 대신하여 별도의 개폐구동부를 형성하되, 상기 개폐구동부는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연장부재를 이동케 하여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조작노브를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삼고 있다.In the prior patent document 4, in order to flow out the sample collected to the outside to push the opening hole blocking the opening up, the sample flowing out at the same time to put the rod from the bottom to push up the opening hole When the rod is contaminated with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rod or foreign matter on the tester's hand, accurate data collection or analysis is impossible, and if the rod is lost, the rod can be prevented due to cross contamination. Sampling is delayed until the task to solve the inconvenience, while forming a separate opening and closing drive portion in place of the rod,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portion to act as a handle by moving the hinged extension member to be rotatable The operation knob which can be used as the solution of the said subject is made.

상기 선행특허문헌4를 본 발명과 비교해보면, 상기 선행특허문헌4와 본 발명은 그 목적 또는 용도가 지하수 시료 채취라는 점, 지하수 시료의 유출 및 유입의 원리가 개구공의 부유 및 낙하에 의한 차단이라는 점에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료 채취 방식은 지하수 시료 채취 장치 관련 업계에서는 흔한 방식이어서 양 발명의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은 굴곡진 관정에도 출입이 가능하게끔 하기 위하여 유연한 소재에 제조되고, 나아가 보관 및 이동에 용이하게끔 하고자 길이 신축이 가능하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양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이나 구성 또는 효과가 상이하다.Comparing the prior patent document 4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or patent document 4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urpose or use of groundwater sample collection, the principle of outflow and inflow of groundwater sample is blocked by the floating and falling of the opening hole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However, such a sampling method is a common method in the groundwater sampling device-related industry, and thus cannot be said to be an essential part of both inventions.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on a flexible material to allow access to a curved well, and further storag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can be stretch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Therefore, the specific object, structure, or effect of both inventions differ.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 설치된 소형 관정은 학술 및 연구용 관측정을 제외한 대부분 농업용 관정으로 기역자 형상의 굴곡진 것인데,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져 굴곡진 관정에도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고, 길아 신축이 가능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한 결과, 그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는 현재까지 개시된 바 없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통해 앞서 지적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As such, the small wells installed in Korea are agricultural wells except for academic and research wells, which are curved in the shape of transitors, and are made of flexible materials that can easily penetrate curved wells and are long and stretchable to minimize their volume. As a result, the groundwater sampler, which is easy to store and move, has not been disclosed so far, and the present inventors inten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KR 10-2011-0060694 A, (2011. 06. 08.), 지하수 또는 CO2 채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채취 시스템KR 10-2011-0060694 A, (2011. 06. 08.), Groundwater or CO2 harvesting device and harves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 10-2014-0092782 A, (2014. 07. 24.), 휴대용 지하수 관측 장치KR 10-2014-0092782 A, (2014. 07. 24.), portable groundwater observation device KR 20-0480346 Y1, (2016. 05. 09.), 지하수 시료 채취용 접이식 다단 용기KR 20-0480346 Y1, (2016. 05. 09.), folding multi-stage container for groundwater sampling KR 10-1493350 B1, (2015. 02. 09.),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KR 10-1493350 B1, (2015. 02. 09.), retractable water collector

(없음)(none)

우리나라 소형 관정은 학술 및 연구용 관측정을 제외한 대부분 농업용 관정으로 기역자와 같은 굴곡진 형태의 관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종래 지하수 시료 채취기는 곧은 직선 형태를 이루고 있어서 곧은 직선형의 관정에는 그 출입이 용이한 반면, 기역자와 같은 굴곡진 형태의 관정에는 그 출입이 어렵거나 불가한 제약이 있었다.Most small wells in Korea are agricultural wells except academic and research wells, and consist of curved wells such as tracers. Conventional groundwater samplers form straight lines, so that they are easy to enter and exit. Curved forms of courts, such as translators, were difficult or impossible to access.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즉 굴곡진 관정에 출입이 가능하게끔 하기 위하여 직경이 작은 얇고 긴 케이블(호스)을 이용하는 장비가 있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케이블을 감고 푸는 별도의 장비나 그 동력원 등 기타 장비를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In order to overcome this, that is, there was a device using a thin, long cable (hose) with a small diameter in order to allow access to a curved well, but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carry a separate device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cable or other equipment such as a power source. The discomfort followed.

또한, 종래 장비는 부피가 클뿐더러 부피 최소화에 한계가 있어 창고나 차량에 보관, 적재 및 그 이동에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quipment is not only bulky, but also limited in minimizing the volume, which is inconvenient for storage, loading, and movement in a warehouse or a vehicle.

더욱이 일회용이 아닌 장비는 어느 하나의 관정에서 시료를 채취한 뒤, 다른 관정에서 다시금 시료를 채취하면 교차 오염의 가능성이 있었고, 이와 같은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관정에 투입된 장비를 세척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이 요구되었다.Moreover, for non-disposable equipment, sampling from one well and then again from another well had the potential for cross-contamination. Was requir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과제, 즉 곧은 형태의 관정뿐만 아니라 굴곡진 형태의 관정에서도 그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별도의 장비를 구비할 필요 없으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적재 및 이동에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저가의 비용으로 일회용으로 제작할 수 있어 재사용하지 않아 교차 오염 등의 염려를 크게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entry and exit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at is, in the form of a straight well as well as curved wells, and does not have to be equipped with additional equipment, and minimizes the volume to increase convenience in storage, loading and moving. It can be manufactured as a single-use at low cost and can not be reused, which greatly reduces the risk of cross contamin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정의 시료를 채취하도록 일정한 내부공간(110)을 구비하고, 상단부에 기공부(140)가 뚫려 있고, 하단부에 상기 시료가 상기 내부공간(110)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하는 통로가 되는 개구부(120)가 결합된 취수통(100); 상기 개구부(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취수통(100)의 내부공간(110)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12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20)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구형부재(200); 상기 취수통(100)의 내부공간(110)에는 상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격벽부재(1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취수통(100)은, 유연하고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110 to collect a sample of the well, a pore portion 140 is drilled at the upper end, the lower end of the sample to the internal space 110 Intake container 100 is coupled to the opening 120 which is a passage for inflow or outflow;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10 of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120 and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pening 120 to selectively contact with the opening 120 Spherical member 200; The inner space 110 of the intake container 100, the partition member 130 through which the sample can pass; consisting of, the intake container 100, flexible groundwater, characterized in that flexible and stretchable length Provide a samp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취수통(100)은, 주름진 형태에 의해 유연하고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를 제공한다.Preferably, the intake container 100 provides a flexible groundwater sampler, characterized in that flexible and stretchable length by the corrugated form.

또 달리 바람직하게는, 상기 취수통(100)은, 그 상단에 상기 취수통(100)을 상기 관정의 내부로 하강하여 상기 시료를 채취한 후 상기 취수통(100)을 관정의 외부로 끌어낼 수 있는 와이어(400)와 결합된 지하수 시료 채취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intake container 100, by lowering the intake container 100 to the inside of the well at the top of the sample to collect the sample can be pulled out of the intake container 100 to the outside of the well There is provided a groundwater sampler coupled with the wire 400.

본 발명에 따른 제1효과는, 유연한 소재로 휘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곧고 직선형태의 관정에서 뿐만 아니라, 기역자 관정 등 굴곡진 관정에서도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lexible material can be bent, it is easy to enter and exit not only in straight and straight wells, but also in curved wells such as maneuver wells.

본 발명에 따른 제2효과는, 별도의 장비를 구비할 필요도 없고, 길이 신축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경우 그 보관, 적재 및 이동에 편리성이 증대된다.The second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equipped with a separate equipment, and can be stretched in length, and when the volume is minimized, the convenience of storage, loading and moving is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른 제3효과는, 일회용으로 어느 하나의 관정에서 시료 채취한 후 다른 관정에 재사용하기 위해 세척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고 여타 이물질 등 또는 교차 오염의 염려가 없다.The thir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go through a cumbersome procedure such as taking a sample in one well for single use and washing it for reuse in another well, and there is no fear of other foreign substances or cross contamin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in more detail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지하수를 채취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vention.
Figure 2 shows that the length can be stretched.
Figure 3 illustrates the process of collecting ground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유연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거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flexible groundwater sam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ensure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l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아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unless there is an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t has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m will be omitted.

지하수는 땅속의 지층이나 암석 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물이다.Groundwater is water that fills or fills the gaps between layers and rocks in the ground.

한편 관정(管井)은, 지하수를 이용하는 일종의 수리시설인데,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전국에 파악된 관정은 약 2만3천여개에 이른다.On the other hand, the well is a kind of repair facility that uses groundwater, and according to the Rural Water Information System, there are about 23,000 wells nationwide.

지하수는 생활, 공업 및 농업 등의 목적 상업적 목적 및 학술적, 연구적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므로 지하수의 주기적인 관리 또는 시료 채취가 필수적이라고 할 것이고, 이러한 관리 또는 채취를 위해서 관정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수질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하다고 할 것이다.Since groundwater is widely used for commercial, academic, and research purposes such as life, industry, and agriculture, periodic management or sampling of groundwater is essential. Collecting information will be indispensable.

그러나 우리나라에 설치된 소형 관정은 기역자와 같이 꺾인 형태의 관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곧고 단단한 직선 형태의 종래 지하수 시료 채취기로서는 곧은 일직선의 관정에는 이용할 수 있을지언정 기역자와 같이 꺾인, 굴곡진 형태의 관정에는 이용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small wells installed in Korea occupy most of the wells in the shape of bends.For the straight and rigid wells of groundwater samplers, they can be used for straight straight wells.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이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 케이블(호스) 장비를 이용하는 것도 등장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케이블을 감고 풀 수 있는 타래와 같은 도구나 그 동력원을 함께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부피 및 무게로 인해 보관, 적재 및 이동에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아울러 관정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호스) 장비가 오염되어 다른 관정에서 재사용하기 전에 세척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요하였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use of conventional cable (hose) equipment has appeared, but even in this case, it must be provided with a tool such as a coil that can wind and unwind the cable or its power source. It was limited. In addition, the cable (hose) equipment was contaminated in the process of entering and exiting the well, which required cumbersome procedures such as cleaning before reuse in another well.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 즉 기역자를 비롯한 다양하게 굴곡진 형태의 관정에도 투입이 가능한 것으로서, 교차 오염 등의 우려를 방지하기 위한 일회용이며, 보관 및 이동에 편리성이 증대된 지하수 시료 채취기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Therefore, starting from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are able to input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variety of curved forms including the trac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 disposable to prevent concerns such as cross contamination, Invented a groundwater sampler with increased convenience for storage and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관정의 시료를 채취하도록 일정한 내부공간(110)을 구비하고, 상단부에 기공부(140)가 뚫려 있고, 하단부에 상기 시료가 상기 내부공간(110)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하는 통로가 되는 개구부(120)가 결합된 취수통(100); 상기 개구부(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취수통(100)의 내부공간(110)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12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구형부재(200); 상기 취수통(100)의 내부공간(110)에는 상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격벽부재(1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취수통(100)은, 유연하고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110 to collect a sample of a well, a pore 140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sample is lowered to the internal space 110 at a lower end thereof. Intake container 100 is coupled to the opening 120 which is a passage for inflow or outflow;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10 of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120 and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pening 120 to selectively contact with the opening 120 Spherical member 200; The inner space 110 of the intake container 100, the partition member 130 through which the sample can pass; consisting of, the intake container 100, flexible groundwater, characterized in that flexible and stretchable length Provide a sampler.

본 발명은, 관정(管井)의 시료를 채취하도록 일정한 내부공간(110)을 구비하고, 하단부에 상기 시료가 상기 내부공간(110)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하는 통로가 되는 개구부(120)가 결합된 취수통(100)과; 상기 개구부(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취수통(100)의 내부공간(110)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12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구형부재(200)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취수통(100)의 내부공간(110)에는 상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격벽부재(1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취수통(100)은 길이 변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stant internal space 110 to collect a sample of the well (pipe),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opening 120 which is a passage for allowing the sample to enter or exit the internal space 110 is coupled Intake container 10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10 of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120 and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pening 120 to selectively contact with the opening 120 As the spherical member 200 is provided; An inner space 110 of the intake container 10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member 130 through which the sample can pass; The intake container 100 is a flexible groundwater samp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can be changed.

상기 구형부재(200)는 외면이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취수통(100)의 상기 내부공간(110)에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게끔 구비되는 부재로서, 상기 취수통(100)을 관측정의 내부로 유입시에 부력에 의하여 부상되도록 하여 상기 개구부(120)에서 이탈되어 상기 개구부(120)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120)를 통하여 상기 취수통(100)의 상기 내부공간(110)으로 관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spherical member 200 is a member having an outer surfac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so as to be able to move freely in the inner space 110 of the intake container 100, the intake container 100 is introduced into the observation well. When floating by the buoyancy at the time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120 to open the opening 120 through the opening 120 through the opening 1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110 of the intake container 100 Make sure

이를 위하여, 상기 구형부재(200)는 상기 시료의 밀도보다 작은 밀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To this end, the spherical member 200 is effective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density less than the density of the sample.

상기 시료 채취가 완료된 후에 상기 관정에서 상기 취수통(100)을 빼내면 상기 취수통(100)의 상기 내부공간(110)에 담겨진 시료의 일부가 상기 취수통(100)의 외부로 유출되면서 상기 구형부재(200)도 함께 상기 개구부(120)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취수통(100)의 상기 내부공간(110)에 시료를 채취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sampling is completed, when the intake container 100 is removed from the well, a portion of the sample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110 of the intake container 100 flows out of the intake container 100 while being spherical. The member 200 also moves to the opening 120 side to close the opening 120 so that the sample can be collected and transported to the internal space 110 of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상기 격벽부재(130)는, 상기 취수통(100)의 내부공간(110)에 상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격벽부재(130)가 설치된다.The partition member 13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member 130 through which the sample can pass in the internal space 110 of the intake container 100.

상기 격벽부재(130)는 상기 취수통(100)의 내면과 접촉되게 설치되는 고리 형상의 링형부재(131)와, 링형부재(13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호 교체되게 배치되어 링형부재(131)에 고정 결합되는 교차부재(132)로 구성되어 있다.The partition member 130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ing-shaped ring member 131 and the ring-shaped member 131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are ring-shaped member 131 Consists of a cross member 132 is fixedly coupled to.

상기 교차부재(132)의 폭은 상기 구형부재(200)가 상기 교차부재(132)와 상기 링형부재(131)로 둘러싸여 개구된 면을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 member 132 may have a width such that the spherical member 200 cannot pass through an open surface surrounded by the cross member 132 and the ring member 131.

상기 기공부(140)은, 상기 내부공간(110)에 시료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단부에 구멍을 뚫어놓은 것이다.The pore 140 is a hole in the upper end to adjust the air pressure so that the sample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110.

한편, 상기 취수통(100)은 유연한 소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휘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찢어지거나 터지는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take container 100 may be manufactured by a flexible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reduce the risk of tearing or bursting as it can be bent.

이를 위해서는, 상기 취수통의 소재는 플렉서블 플라스틱의 재질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E) 등의 소재로 함이 적합하다.To this end, the material of the intake container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plastic, it is suitable to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P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E).

만약 상기 취수통(100)을 고무 재질의 얇은 외피로 하는 경우에는 굴곡진 관정을 출입하는 과정에서, 관정의 굴곡진 면(또는 모서리)에 의해 어느 한쪽이 눌려지게 되면 다른 쪽에 과한 압력이 생기게 되어 터지거나 찢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시료가 유출될 염려가 있다. If the intake container 100 is made of a thin sheath of rubber material, in the cours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curved well, if one side is pressed by the curved surface (or edge) of the well, excessive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other side. It may burst or tear, causing the sample to leak.

따라서 상기 취수통(100)은 고무 재질의 얇은 외피를 갖되, 일 측면에 찢어지거나 긁히는 등 파손을 방지하도록 강화된 외피를 덧댈 수도 있다.Therefore, the intake container 100 may have a thin outer sheath of rubber material, and may have an outer sheath reinforced to prevent breakage such as being torn or scratched on one side thereof.

한편, 상기 취수통(100)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드(PETE)와 같이 저비용의 플라스틱 재질로 대량 생산하는 경우 단가가 낮아져,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take container 100, when mass production in low-cost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P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E) is lower in unit price, can be used for single use.

일회용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취수통(100)의 일면에 잔류되는 오염물질 등으로 인해 채취된 시료가 오염될 염려가 없게 되고, 재사용하기 위해 세척 과정 등 번거로운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게 된다.When used for single use, there is no risk of contamination of the sample taken due to the contaminants remaining on one surface of the intake container 100, and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cumbersome procedures such as a washing process for reuse.

또한 상기 취수통(100)은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take container 100 is capable of stretching the length.

선행특허문헌들에서는 길이 조절을 위해 방수케이블을 감는 드럼이 필요하여 여타 불가피한 장비들이 필요하다거나, 다단식으로 접었다 폈다 하더라도 파이프의 최소 길이까지만 압축되는 등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한계로 인하여 보관 또는 이동에 불편함이 따랐다.In the prior patent literature, there is a limit such as the need for a drum to wind the waterproof cable to adjust the length, other inevitable equipment is required, even if folded in a multi-stage to only the minimum length of the pipe. And these limitations caused inconvenience in storage or transport.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취수통(100)이 길이가 신축되게끔 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창고나 차량에 보관 또는 적재, 이동에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is configured to have a length and stretch, it can increase the ease of storage or loading, movement in the warehouse or vehic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취수통(100)은, 주름진 형태에 의해 유연하고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시료 채취기를 제공한다.Preferably, the intake container 100 provides a groundwater sampler, characterized in that flexible and stretchable length by the corrugated form.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취수통(100)이 주름진 형태를 가지고 있어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intake container 100 has a corrugated shape, and thus the length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100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취수통(100)이 주름진 형태에 의해 유연하고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intake container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lexible and stretchable length by the corrugated form.

상기 취수통(100)이 주름진 형태를 가짐으로써 신축이 가능한데, 완전히 압축되는 경우 전체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The intake container 100 can be stretched by having a corrugated form, and when fully compressed, the total volu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이를테면, 주름부채 또는 주름진 미술용 고무물통과 같이, 상기 취수통(100)을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형태를 가질 경우, 주름진 형태를 통해 길이 변화를 주어 최대로 신장된 길이에서부터, 이를 접어 최소화된 길이까지 다양한 길이 변화를 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has a pleated form in a zigzag form, such as a wrinkled limb or a wrinkled articulated rubber bucket, the length is changed through the pleated form to the maximum length by folding it to a minimized length. Various length variations can be made.

특히 최소화된 길이, 즉 최대한 접어 압축하여 부피를 줄인 경우에는 차량이나 창고 또는 그로부터 관정이 설치된 곳까지 가볍고 손쉽게 보관, 이동이 용이하고, 부피가 최소화되어 많은 양의 채취기를 적재하거나 옮길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inimizing the length, that is, by compressing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it is light and easy to store and move easily from the vehicle or the warehouse or the well installed, and the volume is minimized so that a large amount of harvesters can be loaded or moved.

또한, 상기 취수통(100)은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설치된 싱크대나 세면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주름진 형태의 수도꼭지와 같이, 자유자재로 움직이면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ake container 100 can move freely while moving freely, such as a pleated faucet frequently found in a sink or washbasin installed at home or a restaurant.

이러한 유연성에 의해, 본 발명은 곧은 직선형의 관정뿐 아니라 기역자를 비롯하여 다양하게 굴곡진 형태의 관정에 출입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Due to this flexibility,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very easy to enter and exit various types of curved wells, including not only straight straight wells but also tracers.

참고로, 이와 같이 주름진 형태를 ‘자바라’라고 하는데,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동일한 의미를 갖는 ‘주름’으로 순화하여 사용하도록 권하고 있어, 사실상 ‘주름’과 ‘자바라’는 동일한 것을 지칭한다. For reference, this wrinkled form is called 'zabara', and according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t is recommended to use it as a 'wrinkle' that has the same meaning, and in fact, 'wrinkle' and 'zabara' refer to the same thing.

또한 달리 바람직하게는, 상기 취수통(100)은, 그 상단에 상기 취수통(100)을 상기 관정의 내부로 하강하여 상기 시료를 채취한 후 상기 취수통(100)을 관정의 외부로 끌어낼 수 있는 와이어(400)와 결합된 지하수 시료 채취기를 제공한다(도 3에서 실제 시료 채취되는 예를 도시하였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intake container 100, by lowering the intake container 100 to the inside of the well at the top of the sample can be taken out of the intake well 100 after collecting the sample There is provided a groundwater sampler combined with a wire 400 (shown in FIG. 3 is an example of actual sampling).

상기 와이어(400)는 전동 모터가 구비된 와이어 감개에 의해 풀리거나 감길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도 풀리거나 감길 수 있다.The wire 400 may be unwound or wound by a wire reel having an electric motor. It can also be unwound or rolled up manually.

100: 취수통
110: 내부공간
120: 개구부
130: 격벽부재
131: 교차부재
132: 링형부재
140: 기공부
200: 구형부재
400: 와이어
100: inlet
110: interior space
120: opening
130: partition member
131: cross member
132: ring-shaped member
140: pore
200: spherical member
400: wire

Claims (3)

관정의 시료를 채취하도록 일정한 내부공간(110)을 구비하고, 상단부에 기공부(140)가 뚫려 있고, 하단부에 상기 시료가 상기 내부공간(110)으로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하는 통로가 되는 개구부(120)가 결합된 취수통(100);
상기 개구부(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취수통(100)의 내부공간(110)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12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구형부재(200);
상기 취수통(100)의 내부공간(110)에는 상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격벽부재(1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취수통(100)은, 유연하고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
An opening 12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110 to collect a sample of the well, and having a pore 140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passage for allowing the sample to enter or exit the internal space 110 at a lower end thereof. ) Is combined with the sump (10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10 of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120 and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pening 120 to selectively contact with the opening 120 Spherical member 200;
As the inner space 110 of the intake container 100, the partition member 130 through which the sample can pass;
The intake container 100 is a flexible groundwater sampler, characterized in that flexible and stretchable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통(100)은, 주름진 형태에 의해 유연하고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ake container 100 is a flexible groundwater sampler, characterized in that flexible and stretchable length by the corrugated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통(100)은, 그 상단에 상기 취수통(100)을 상기 관정의 내부로 하강하여 상기 시료를 채취한 후 상기 취수통(100)을 관정의 외부로 끌어낼 수 있는 와이어(400)와 결합된 유연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intake container 100 to the inside of the well to collect the sample and the wire 400 that can pull out the intake well 100 to the outside of the well and Combined flexible groundwater sampler.
KR1020180038092A 2018-04-02 2018-04-02 Flexible sampler for groundwater KR201901152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92A KR20190115269A (en) 2018-04-02 2018-04-02 Flexible sampler for ground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92A KR20190115269A (en) 2018-04-02 2018-04-02 Flexible sampler for ground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69A true KR20190115269A (en) 2019-10-11

Family

ID=6821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092A KR20190115269A (en) 2018-04-02 2018-04-02 Flexible sampler for ground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26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902A (en) * 2021-08-06 2023-0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Sampler for groundwa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694A (en) 2009-11-30 2011-06-0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icking apparatus of underground water or co2 and system include thereof
KR20140092782A (en)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인포월드 Apparatus for observation underground water
KR101493350B1 (en) 2013-09-24 2015-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Inserting type sampler
KR200480346Y1 (en) 2016-03-23 2016-05-13 주식회사 지오그린21 Folding type miltistage pipe for collecting an underground water samp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694A (en) 2009-11-30 2011-06-0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icking apparatus of underground water or co2 and system include thereof
KR20140092782A (en) 2013-01-16 2014-07-24 주식회사 인포월드 Apparatus for observation underground water
KR101493350B1 (en) 2013-09-24 2015-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Inserting type sampler
KR200480346Y1 (en) 2016-03-23 2016-05-13 주식회사 지오그린21 Folding type miltistage pipe for collecting an underground water sampl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902A (en) * 2021-08-06 2023-0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Sampler for groundw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921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liquid and gas from soil
CN105823650B (en) A kind of closed soil sampler of cutting ring combination baffle and its application
KR20190107942A (en) A Water Collecting Device
KR102010249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water to test using drones
KR20190115269A (en) Flexible sampler for groundwater
CN112964512A (en) Portable electric deepwater layered water collection device and water collection method thereof
KR200480346Y1 (en) Folding type miltistage pipe for collecting an underground water sample
JP2009293224A (en) Water sampling device and water sampling method
JP2005325615A (en) Sampling device and sampling method
JP5229814B2 (en) Water sampler
CN211263438U (en) Portable water public security water pollution detector
CN111610062A (en) River water quality detection sampler for hydraulic engineering
CN208688846U (en) A kind of Soil K+adsorption sampler
US5902940A (en) Disposable fluid sampling apparatus or bailer
KR101585172B1 (en) Water sampling device
CN116539362A (en) Sampling ship automatic sampl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WO2011107633A1 (en) Oceanographic device for collecting plankton samples, suitable for oceanographic rosettes
KR102657143B1 (en) A Storage Device Of Vinyl Roll For Portable
US7000491B1 (en) Aqueous vertical sampler
CN210487368U (en) Device for collecting sewage
CN217277140U (en) Synchronous collection device of sewage and sediment sample for drainage inspection well
US6408691B1 (en) Well monitoring system
CN107014644B (en) Urban road surface runoff collection system
CN213875108U (en) Water turbidity detection device
CN218097931U (en)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for oil field ground metering flow metering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