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779A -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779A
KR20190114779A KR1020190031616A KR20190031616A KR20190114779A KR 20190114779 A KR20190114779 A KR 20190114779A KR 1020190031616 A KR1020190031616 A KR 1020190031616A KR 20190031616 A KR20190031616 A KR 20190031616A KR 20190114779 A KR20190114779 A KR 20190114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lip
unit
type
reflection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260B1 (ko
Inventor
박지훈
이나라
Original Assignee
박지훈
이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훈, 이나라 filed Critical 박지훈
Priority to PCT/KR2019/00335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90124A1/ko
Publication of KR2019011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입술 미용 장치에 관한 것이며, 입술 미용 장치는 피검자의 입술 부위가 접촉되는 전면을 갖는 몸체부; 상기 전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입술 부위를 향하여 자기장을 조사하는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해 상기 입술 부위에 대응하는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Description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IP BEAUTY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원은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 개선과 관련된 의료/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뷰티 디바이스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피부관리, 헤어 케어를 넘어 입술 필러, 입술 문신 등과 같이 입술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현재까지는 입술 미용에 대한 그 니즈를 충족시킬만한 마땅한 뷰티 디바이스가 없는 실정이다.
종래에 약물을 이용한 입술 미용은 반영구 색소나 약물을 주입하여 색 또는 볼륨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이는 효과가 즉각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이물질 주입에 따른 생리적/심리적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일예로, 반영구 색소는 색소 주입 후 주변 피부색과의 이질감이 생길 수 있고 염료와의 염증 반응으로 인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필러 시술은 입술조직 내에 약물을 주입하여 입술을 팽창시키는 시술로서, 이는 알러지, 부종, 멍 등 필러 시술 자체의 부작용 외에도 팽창된 만큼 혈관을 압박하거나 표피가 늘어남으로 인해 추후에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입술 상태의 개선은 단순한 미용의 관점이 아니라 치료 관점에서의 해석도 필요하다. 입술은 피부조직이 얇고 미세혈관이 분포하고 있어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 붉은 색을 띠지만, 체질, 생활습관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입술 내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길 경우 입술 색이 옅어지거나, 주름과 각질이 발생하는 등 심미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혈액순환의 문제는 너무나 많은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히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393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색소 주입이나 약물 주입과 같은 침습적 입술 미용 기술이 아닌, 비침습적(non-invasive)으로 입술에 자기장을 조사하여 입술의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입술 표면의 붉은 색감과 생기를 보완(개선)할 수 있는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색이 뚜렷하지 않은 입술 혹은 주름이나 각질이 많은 입술에 대하여 그 증상을 개선(호전)시킬 수 있는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측면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는, 피검자의 입술 부위가 접촉되는 전면을 갖는 몸체부; 상기 전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입술 부위를 향하여 자기장을 조사하는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해 상기 입술 부위에 대응하는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2측면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은, 피검자의 입술 부위가 접촉되는 몸체부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입술 부위를 향하여 자기장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해 상기 입술 부위에 대응하는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3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비침습적(non-invasive)으로 자기장을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조사함으로써, 자기장을 통해 입술의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입술 표면의 붉은 색감과 생기를 보완(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입술 부위에 조사된 자기장에 의해 입술 부위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킴에 따라, 색이 뚜렷하지 않은 입술 혹은 주름이나 각질이 많은 입술에 대하여 그 증상을 개선(호전)시킴과 더불어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가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적용되는 경우의 사시도(a)와 측면도(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가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적용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평면도(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에 포함된 자기장 발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에서 고려되는 자기장 자극 모드의 유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가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적용되는 경우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위치 조절부에 의한 위치 조절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에 의한 입술 미용 효과의 실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의 입술의 표면은 상대적으로 얇고 투명한 피부로 덮여있기 때문에 내부에 흐르는 혈액이 비쳐 붉게 보인다. 입술은 혈액의 상태, 혈액순환 질환, 잦은 흡연 또는 선천적인 이유 등으로 검거나 푸른 색을 띄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건강 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문제로서 불편을 야기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원은 입술 색(톤)을 회복 및 개선시킬 수 있는 입술 미용 장치에 대하여 제안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가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적용되는 경우의 사시도(a)와 측면도(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의 전체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가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적용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평면도(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몸체부(110), 자기장 발생부(120), 제어부(130), 반사강도 측정부(140), 온열 자극부(150), 상태 표시부(160) 및 고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피검자(1, 대상체)의 입술 부위(2)가 접촉되는 전면(fs)을 가질 수 있다. 본 장치(100)의 전면(fs)은 입술 부위(2)의 접촉 등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도록, 일예로 메탈(metal, 금속) 소재(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면(fs)은 오염 방지를 위한 다양한 소재(재질)가 적용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피검자(1, 대상체)의 입술 부위(2)가 접촉되는 전면(fs)과 측면(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ss1, ss2)은 도 4b의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면인 제1 측면(ss1) 및 우측면인 제2 측면(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ss1)은 제1 고정부(171)가 연결되는 몸체부(110)의 일 측면을 의미하고, 제2 측면(ss2)은 제2 고정부(172)가 연결되는 몸체부(110)의 타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서는 도 4b의 도면을 기준으로, 6시 방향에서 바라본 면을 전면, 12시 방향에서 바라본 면을 후면, 8시 방향에서 바라본 면을 좌측면, 4시 방향에서 바라본 면을 우측면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의 일예에서는 도 4(b)의 도면을 기준으로, 6시 방향을 전방향, 12시 방향을 후측 방향, 9시 방향을 좌측 방향, 3시 방향을 우측 방향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6시-12시 방향은 전후방향, 9시-3시 방향은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전면(fs)은 중간 위치(p)가 몸체부(110)의 양 측면(ss1, ss2)을 기준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되, 중간 위치(p)로부터 양 측면(ss1, ss2) 각각까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전면(fs)은 제1 측면(ss1)으로부터 제2 측면(ss2)까지 중간 위치(p)를 경유하여 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fs)은 중간 위치(p)로부터 양 측면(ss1, ss2)까지 후측 방향으로 함몰된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서는 전면(fs) 영역의 크기는 피검자(1)의 입술 부위(2)의 영역 전체를 커버 가능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본 장치(100)는 도4(b)의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너비)가 일예로 5.5cm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하방향으로의 길이(높이, 두께)가 일예로 2.5cm 이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치 값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전면(fs)이 피검자(사용자)의 입술 형태(입술의 곡면 형태)에 따라 곡면 형상을 이루고 피검자(1)의 입술 부위(2)의 영역 전체를 커버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짐에 따라, 피검자(1)의 입술 부위(2) 전체를 감싸며(커버하며) 접촉되어 자기장이 입술 부위(2) 전체에 고루 조사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될 소형 크기로 인해 휴대가 간편하도록 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20)는 일면이 전면(fs)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입술 부위(2)를 향하여 자기장을 조사할 수 있다. 특히, 자기장 발생부(120)는 자기장 발생부(120)에 포함된 자성체(123)가 전면(fs)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조사되는 자기장에 의해, 피검자(1)의 입술 부위(2)에 대응하는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20)는 자기장 자극부, 자기장 조사 프로브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자기장 발생부(120)를 통해 피검자(1)의 입술 부위(2)에 자기장을 조사함으로써, 피검자(1)의 입술 부위(2)의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혈액순환의 촉진을 통해 입술 표면의 붉은 색감과 생기를 보완(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입술 부위(2)에 대한 자기장 조사를 통해, 색이 뚜렷하지 않은 입술 혹은 주름이나 각질이 많은 입술에 대하여 그 증상을 개선(호전)시킬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은 일예로 펄스 전자기장(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PEMF)일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은 정자계이거나 약 1 내지 300 가우스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미약 자기장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자기장 발생부(120)를 통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자속밀도 범위는 일예로 0mT 내지 100mT (1000 gauss)일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20)를 통한 자극원은 전자기장일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20)는 자계(Static electromagnetic field) 또는 저주파 영역의 시변자계(0kHz 내지 1kHz)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자계는 자기장 발생부(120)에 정전류(DC)를 인가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을 의미하고, 시변자계는 펄스(Pulse), 정현파(sine wave)의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자기장 자극을 생성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은, 예를 들어 사인파(Sinewave)와 구형파(Squarwave)(즉, 단상(Monophasic) 유형 또는 이상(biphasic) 유형), 및 펄스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 중 패턴(달리 말해, 펄스 형태)에는 monophasic, biphasic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자기장의 유형으로서 자기장의 세기(자속밀도), 주파수, 시간 및 패턴(펄스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자기장의 유형으로서 자기장 자극 모드가 제어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는 바람직하게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자기장의 주파수가 1.5kHz이고, 자기장의 패턴(펄스 형태)가 Biphasic이고, 자기장의 세기(자속밀도)가 1.5 mT인 자기장이 조사될 수 있다.
자기장 자극 모드의 설정 관련 정보는 몸체부(110)의 일 영역에 구비된 버튼(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본 장치(1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20)의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자기장 자극 모드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에 포함된 자기장 발생부(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5의 (a)는 일예로 자기장 발생부(120)의 전체 결합도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자기장 발생부(12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자기장 발생부(120)는 2개의 코일 가이드(121, 122), 자성체(123) 및 코일(124)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코일 가이드(121, 122)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할 수 있으며, 일예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자성체(123)는 2 개의 코일 가이드(121, 122) 각각과 직교하도록 2개의 코일 가이드(121, 1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자성체(123)는 2개의 코일 가이드(121, 122) 각각의 중앙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자성체(123)는 자화력이 강한 강자성체일 수 있으며, 일예로 페라이트(ferrite) 등일 수 있다. 또한, 자성체(123)는 일예로 SM45C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성체(123)의 일면은 몸체부(110)의 전면(fs) 일영역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성체(123)의 직경은 일예로 2mm 내지 5mm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코일 가이드(121, 122)의 직경은 일예로 자성체(123)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10mm 내지 25mm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코일 가이드(121, 122)의 직경은 자성체(123)의 직경의 크기에 비례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예에서 2개의 코일 가이드(121, 122) 사이의 거리 혹은 자성체(123)의 길이는, 코일 가이드(121, 122) 또는 자성체(123)의 직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코일(124)은 자성체(123)에 감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코일(124)은 일예로 솔레노이드 코일(Solenoid Coil)일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 구체적인 수치 등의 예시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에서 "직경"이라는 용어는 원 형상의 지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좁게 해석되기보다는, 다양한 형상의 폭(너비)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술 미용 장치(100)에 포함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자기장 발생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으로서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으로서 자기장 자극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에서 고려되는 자기장 자극 모드의 유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으로서 자기장 자극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자기장 자극 모드에는 N 펄스 자극(N pulse 자극) 모드, S 펄스 자극(S pulse 자극) 모드, N 펄스와 S펄스의 교번 자극(N/S 자극) 모드, N 펄스 연속 자극(N 연속자극) 모드 및 S 펄스 연속 자극(S 연속자극)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자기장 발생부(120)가 N 펄스 자극 모드, S 펄스 자극 모드, N펄스와 S 펄스의 교번 자극 모드, N 펄스 연속 자극 모드 및 S 펄스 연속 자극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120)는 N 펄스 자극 모드에 대응하는 자기장, S 펄스 자극 모드에 대응하는 자기장, N펄스와 S 펄스의 교번 자극 모드에 대응하는 자기장, N 펄스 연속 자극 모드에 대응하는 자기장 및 S 펄스 연속 자극 모드에 대응하는 자기장 중 어느 하나의 자기장을 입술 부위(2)를 향하여 조사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자기장 발생부(120)는 N 펄스 자극 모드에 대응하는 자기장 조사를 통해 N 펄스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키고, S 펄스 자극 모드에 대응하는 자기장 조사를 통해 S 펄스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120)는 N펄스와 S 펄스의 교번 자극 모드에 대응하는 자기장 조사를 통해 N/S 교번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120)는 N 펄스 연속 자극 모드에 대응하는 자기장 조사를 통해 N 펄스 연속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키고, S 펄스 연속 자극 모드에 대응하는 자기장 조사를 통해 S 펄스 연속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자기장 발생부(120)의 전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N/S 교번 자기장 자극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자기장 발생부(120)는 전류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 N 펄스 자극을 발생시키고, 전류 방향이 제1 방향과는 반대되는 제2 방향인 경우 S 펄스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패턴(달리 말해, 펄스 형태), 자기장 자극 모드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사강도 측정부(140)는 전면(fs)에 구비되고, 레이저 스캐닝으로 입술 부위(2)에 대한 반사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강도라 함은 입술 부위(2)를 향하여 조사된 레이저가 반사되는 정도(반사 정도, 반사량)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반사강도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반사강도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이상인 경우,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으로서 15Hz 미만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반사강도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미만인 경우,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2 유형으로서 15 Hz 이상 30Hz 이하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는 제1 반사강도 값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기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미만이면, 피검자(1)의 입술 부위(2)의 색상이 뚜렷하지 않은 입술(탁하거나 옅은 색상의 입술)인 것으로 판단하여, 측정된 반사강도 수준이 기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이상인 경우에 조사되는 자기장(즉, 제1 유형의 자기장)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의 자기장(즉, 제2 유형의 자기장)이 조사되도록 자기장 발생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30)는 측정된 반사강도 수준이 기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이상이면, 입술 부위(2)의 색상이 뚜렷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2 유형의 자기장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의 자기장(즉, 제1 유형의 자기장)이 조사되도록 자기장 발생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의 자기장(제2 유형의 자기장)이라 함은, 측정된 반사강도 수준이 기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이상인 경우에 조사되는 자기장(제1 유형의 자기장)과 대비하여 자기장의 세기 값, 주파수 값 및 시간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큰 값을 갖는 경우의 자기장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유형의 자기장은 주파수 값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5Hz 미만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값을 가질 수 있다. 반편, 제2 유형의 자기장은 주파수 값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5 Hz 이상 30Hz 이하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값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어부(130)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하는 경우 자기장의 주파수 값을 15Hz 미만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30)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제어하는 경우, 제1 유형의 주파수 값(15Hz 미만의 주파수 값)보다 상대적으로 큰 자기장의 주파수 값으로서, 15 Hz 이상 30Hz 이하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원에서는 일예로 1 유형의 자기장이 15Hz 미만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값을 갖고, 제2 유형의 자기장이 15 Hz 이상 30Hz 이하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값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유형과 제2 유형에서의 자기장 주파수 값의 설정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유형의 자기장은 시간 값으로서 예시적으로 1분 이상 3분 이하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제2 유형의 자기장은 시간 값으로서 3분 초과 5분 이하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원의 일 예에서는 자기장의 시간 설정이 분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서의 자기장의 시간 단위는 초, 분, 시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유형의 자기장은 자기장의 세기 값으로서 1 가우스 이상 150 가우스 미만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제2 유형의 자기장은 자기장의 세기 값으로서 제1 유형의 자기장 세기 값보다 큰 값인 150 가우스 초과 300 가우스 이하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30)는 반사강도 측정부(140)를 통해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를 기준으로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달리 제어(즉,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이상이면 입술 부위(2)의 색상이 뚜렷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하는 한편,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미만이면 입술 부위(2)의 색상이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보다 강한 강도를 갖는 제2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피검자(1)의 입술 부위(2)의 색상이 뚜렷한지 여부(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입술 색상의 뚜렷한지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유형의 자기장을 입술 부위(2)에 조사함으로써, 피검자별 입술 부위의 색감과 생기가 피검자별 입술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개선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온열 자극부(150)는 전면(fs)의 내측에 구비되고, 입술 부위(2)에 대하여 온열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온열 자극부(150)는 입술 부위(2)에 대하여 열을 방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 방출부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온열 자극부(150)는 일예로 전류를 통해 열이 발생되는 열선(hot wire)과 같은 형태로 전면(fs)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온열 자극부(150)는 다양한 형태 내지 재료로 이루어진 발열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온열 자극부(150)는 일예로 'ㄹ'과 같은 지그재그 형태로 전면(fs)의 내측(혹은 하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온열 자극부(150)의 배치 형태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장치(100)의 전면(fs) 전체에 열이 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배치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온열 자극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온열 자극의 유형으로서 온열 자극부(150)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방출 온도,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반사강도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미리 설정된 반사강도 이상인 경우, 입술 부위(2)에 각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온열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온열 자극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각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미리 설정된 반사강도(이하 제2 반사강도 값이라 함)는, 앞서 설명한 입술 색상이 뚜렷한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즉, 제1 반사강도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각질은 일반적으로 하얗거나 반투명한 색상을 띄므로, 입술 부위(2)에 각질이 있는 경우에는 입술 부위(2)에 각질이 없는 경우와 대비하여 입술 부위(2)에 조사된 레이저(빛)가 더 많이 반사될 수 있다. 즉, 입술 부위(2)에 각질이 있는 경우에는 반사강도(즉, 반사 정도, 반사량)의 수준이 각질이 없는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나, 각질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반사강도의 값은 더 큰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치(100)에서는 제2 반사강도 값이 제2 반사강도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반사강도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미리 설정된 반사강도(제2 반사강도 값) 이상인 경우 온열 자극의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하고,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미리 설정된 반사강도 미만인 경우 온열 자극의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형의 온열 자극은 제2 유형의 온열 자극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의 온열 자극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의 온열 자극(제1 유형의 온열 자극)이라 함은, 제2 유형의 온열 자극과 대비하여 열의 방출 온도 값 및 시간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큰 값을 갖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유형의 온열 자극은 열의 방출 온도 값으로서 1도 이상 10 이하의 온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 값을 가질 수 있다. 반편, 제2 유형의 온열 자극은 열의 방출 온도 값으로서 10도 초과 20도 이하의 온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 값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어부(130)는 온열 자극의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하는 경우 온열 자극부(150)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온도를 1도 이상 10도 이하의 온도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30)는 온열 자극의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제어하는 경우 온열 자극부(150)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온도를 10도 초과 20도 이하의 온도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유형의 온열 자극은 열의 방출 시간 값으로서 예시적으로 1분 이상 3분 이하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제2 유형의 온열 자극은 열의 방출 시간 값으로서 3분 초과 5분 이하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원의 일 예에서는 열의 방출 시간 설정이 분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서의 열의 방출 시간 단위는 초, 분, 시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미도시), 및 몸체부(110)의 전면(fs)에 구비되어 입술 부위(2)를 향하여 소정의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 분사부(미도시)는 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물 중 소정의 물(소정량의 물,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을 입술 부위(2)에 분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미리 설정된 반사강도(제2 반사강도 값) 이상인 경우, 각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입술 부위(2)를 향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물 분사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후 온열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온열 자극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입술 부위(2)에 대한 온열 자극을 통해 입술 부위에 대응하는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입술 부위에 대한 미용 효과(예를 들어, 입술 표면의 붉은 색감과 생기 보완, 주름이나 각질 등의 증상 개선 등)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장치(100)는 문 분사 및 온열 자극의 조합을 통해 입술 부위(2)에 있는 각질을 불려 각질이 피검자(1)의 입술로부터 상처 없이 쉽게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160)는 본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160)는 자기장 발생부(12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전면(fs)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광원(161, 16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61, 162)은 LED 발광부, 발광소자, 저출력 LED부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상태 표시부(160)에 포함된 광원의 개수, 구비 형태(배치 위치) 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태 표시부(16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본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광원(161, 16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발광 유형으로서 발광 색상(컬러), 발광 밝기, 발광 시간, 및 발광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30)는 본 장치(100)의 동작 상태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배터리부(180)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잔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2개의 광원(161, 162)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빨간색의 광이 방출되도록 상태 표시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30)는 본 장치(100)의 동작 상태와 관련하여 자기장 발생부(120)로부터 자기장이 조사 중인 경우, 2개의 광원(161, 162)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파란색의 광이 방출되도록 상태 표시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제어부(130)는 본 장치(100)의 동작 상태와 관련하여 온열 자극부(150)로부터 온열 자극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2개의 광원(161, 162)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녹색의 광이 방출되도록 상태 표시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30)는 본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2개의 광원(161, 162)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발광 유형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서는 본 장치(100)의 동작 상태 표시를 위한 2개의 광원(161, 162)을 포함하는 상태 표시부(160)가 자기장 발생부(120)와 이웃하여 몸체부(110)의 전면(fs)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상태 표시부(160)는 1개의 광원을 포함하되 몸체부(110)의 후면 중 일영역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0)는 본 장치(100)의 동작 상태 표시를 위한 광을 방출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상태 표시부(160)와는 달리, 입술 부위(2)에 대하여 광 치료를 위한 광을 방출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치료용 광 조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장치(100)에서 1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상태 표시부(160)는 몸체부(110)의 후면 중 일영역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본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치료용 광 조사부(미도시)는 자기장 발생부(120)와 이웃하여 몸체부(110)의 전면(fs)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입술 부위(2)에 대하여 광 치료를 위한 광을 방출시킬 수 있다. 치료용 광 조사부(미도시)는 자기장 발생부(120)의 자성체(123)의 위치를 기준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전면(fs)에 배치되는 2개의 광원(한 쌍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조사부(미도시)는 전면(fs)에 구비된 2개의 광원으로부터 입술 부위(2)에 대하여 광 치료를 위한 광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때, 광 조사부(미도시)는 광 치료를 위해 방출되는 광의 유형으로서, 광의 파장, 광의 방출 시간, 광의 방출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광 조사부(미도시)는 2개의 광원을 동시에 통합적으로 제어하거나 혹은 2개의 광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광 조사부(미도시)는 광 치료의 치료 유형에 따라 입술 부위(2)에 조사되는 광의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 유형에는 예시적으로 제1 치료 유형(여드름 치료), 제2 치료 유형(염증 치료), 제3 치료 유형(자외선 치료), 제4 치료 유형(흉터 치료), 제5 치료 유형(색소 침착 치료)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치료 유형은 일예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설정)될 수 있다.
광 조사부(미도시)는 일예로 제1 치료 유형인 경우 405nm 이상 630 nm 미만의 파장 중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갖는 광을 입술 부위(2)를 향하여 방출시킬 수 있다. 광 조사부(미도시)는 일예로 제2 치료 유형인 경우 630nm 이상 660 nm 미만의 파장 중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갖는 광을 입술 부위(2)를 향하여 방출시킬 수 있다. 광 조사부(미도시)는 일예로 제3 치료 유형인 경우 660nm 이상 970 nm 미만의 파장 중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갖는 광을 입술 부위(2)를 향하여 방출시킬 수 있다. 광 조사부(미도시)는 일예로 제4 치료 유형인 경우 805nm 이상 970 nm 미만의 파장 중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갖는 광을 입술 부위(2)를 향하여 방출시킬 수 있다. 광 조사부(미도시)는 일예로 제5 치료 유형인 경우 870nm 이상 970 nm 미만의 파장 중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갖는 광을 입술 부위(2)를 향하여 방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광 조사부(미도시)는 치료 유형에 따라 입술 부위(2)를 향하여 조사되는 광의 유형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고정부(170)는 본 장치(100)를 피검자(1)의 입술 부위(2)에 고정시키기 위해 몸체부(110)의 측면(ss1, ss2)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70)는 제1 측면(ss1)에 연결되는 제1 고정부(171) 및 제2 측면(ss1)에 연결되는 제2 고정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71)의 일단은 제1 측면(ss1)에 연결되고, 제1 고정부(171)의 타단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71)는 피검자(1)의 일측 귀(예를 들어, 좌측 귀)에 걸리도록 착용(장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172)의 일단은 제2 측면(ss2)에 연결되고, 제2 고정부(172)의 타단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72)는 피검자(1)의 타측 귀(예를 들어, 우측 귀)에 걸리도록 착용(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장치(100)의 전면(fs)은 일측 귀의 뒤쪽으로 배치되는 제1 고정부(171)의 타단에 연결된 무게추 및 타측 귀의 뒤쪽으로 배치되는 제2 고정부(172)의 타단에 연결된 무게추에 의해, 피검자(1)의 입술 부위(2)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170)에 포함된 제1 고정부(171) 및 제2 고정부(172)는 일예로 끈, 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부(170)는 실리콘 밴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는 피검자(1)가 입으로 물 수 있는 형태(피검자의 입과 물릴 수 있는 형태)의 구조로 전면(fs)에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피검자(1)는 고정부를 입으로 물음으로써, 본 장치(100)의 전면(fs)이 피검자(1)의 입술 부위(2)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배터리부(180) 및 충전 단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180)는 유선 통신(즉, 외부의 전원 등) 및/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부(180)는 일예로 몸체부(110) 내 후측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단자(181)는 배터리부(180)의 충전을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배터리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배터리부(180)는 몸체부(110)에 배치된 충전 단자(181)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배터리부(180)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 본 장치)와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 본 장치)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 본 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가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적용되는 경우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몸체부(110), 자기장 발생부(120), 제어부(130), 반사강도 측정부(140), 온열 자극부(150), 상태 표시부(160), 고정부(170) 및 위치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 자기장 발생부(120), 제어부(130), 반사강도 측정부(140), 온열 자극부(150), 상태 표시부(160) 및 고정부(17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몸체부(110)는 피검자(1)의 입술 부위(2) 중 제1 부위(2a)가 접촉되는 제1 면(fs1)을 포함하는 제1 유닛(111), 및 피검자(1)의 입술 부위(2) 중 제2 부위(2b)가 접촉되는 제2 면(fs2)을 포함하는 제2 유닛(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위(2a)는 입술 부위(2) 중 윗 입술(달리 표현해, 상순) 부위를 의미하고, 제2 부위(2b)는 입술 부위(2) 중 아랫 입술(달리 표현해, 하순)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20)는 제1 면(fs1)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제1 자기장 발생부(120a), 및 제2 면(fs2)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제2 자기장 발생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기장 발생부(120a)는 제1 부위(2a)에 대하여 자기장을 조사하고, 제2 자기장 발생부(120b)는 제2 부위(2b)에 대하여 자기장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제1 자기장 발생부(120a)로부터 조사되는 자기장은 제1 자기장, 제2 자기장 발생부(120b)로부터 조사되는 자기장은 제2 자기장이라 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는 일예로 자기장 발생부(120)가 1개 구비되는 반면, 본 장치(100')에서는 자기장 발생부(120a, 120b)가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앞서 자기장 발생부(12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자기장 발생부(121, 122)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반사강도 측정부(140)에 의해 측정된 제1 부위(2a) 및 제2 부위(2b) 각각에 대한 반사강도의 수준을 고려하여, 제1 자기장 발생부(120a) 및 제2 자기장 발생부(120b)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각기 개별적으로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30)는 제1 부위(2a)에 대한 반사강도의 수준이 제2 부위(2a)에 대한 반사강도의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자기장 발생부(120a)로부터 조사되는 자기장(제1 자기장)이 제2 자기장 발생부(120b)로부터 조사되는 자기장(제2 자기장) 대비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의 자기장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의 자기장(제1 자기장)이라 함은, 제2 자기장과 대비하여 자기장의 세기 값, 주파수 값 및 시간 값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큰 값을 갖는 경우의 자기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0')는, 피검자(1)의 입술 부위(2) 중 제1 부위(윗 입술 부위, 2a) 및 제2 부위(아랫 입술 부위, 2b) 각각에 대한 반사강도의 수준에 따라, 제1 자기장 발생부(120a)로부터 제1 부위(2a)를 향해 조사되는 자기장(제1 자기장)의 유형 및 제2 자기장 발생부(120b)로부터 제2 부위(2b)를 향해 조사되는 자기장(제2 자기장)의 유형을 서로 다른 유형으로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자기장 발생부(120a)가 N 펄스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경우, 제2자기장 발생부(120b)가 S펄스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1자기장 발생부(120a) 및 제2자기장 발생부(120b)가 N펄스 자기장 자극 및 S 펄스 자기장 자극을 교대로 발생시키도록(즉, N/S 교번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키도록) 제1자기장 발생부(120a) 및 제2자기장 발생부(120b)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주기는 예를 들어, 3초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조절부(미도시)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의 위치 조절부(미도시)에 의한 위치 조절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8에서 (a)는 제2 유닛(112)이 제1 유닛(111)보다 상대적으로 후측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이루어진 예를 나타내고, (b)는 제2 유닛(112)이 제1 유닛(111)보다 상대적으로 전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이루어진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위치 조절부(미도시)는 몸체부(110)의 전면(fs)에 수직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제1 유닛(111)에 대한 제2 유닛(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위치 조절부(미도시)는 제1 유닛(11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의 제2 유닛(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위치 조절부(미도시)에 의하면, 제1 유닛(111) 대비 제2 유닛(112)의 상대적인 위치의 이동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위치 조절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일예로 도 8의 (a)와 같이 제2 유닛(112)이 제1 유닛(111)보다 상대적으로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위치 조절을 수행할지 혹은 도 8의 (b)와 같이 제2 유닛(112)이 제1 유닛(111)보다 상대적으로 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위치 조절을 수행할지를 설정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30)는 몸체부(110)의 일 영역에 구비된 버튼(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30)는 본 장치(100')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피검자(사용자)마다 입술 부분의 구조가 다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피검자의 옆모습을 기준으로 했을 때, 어느 사용자는 윗 입술이 아랫 입술보다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어느 사용자는 윗 입술이 아랫 입술보다 함몰된(들어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어느 사용자는 윗 입술과 아랫 입술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피검자(사용자)마다 윗 입술 대비 아랫 입술의 상대적인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위치 조절부(미도시)를 통해 제1 유닛(111)에 대한 제2 유닛(11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각기 다른 입술 구조를 갖는 피검자(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맞춤형으로 전면(fs1, fs2)이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피검자(사용자)마다의 입술 구조에 맞추어 전면(fs1, fs2) 전체가 피검자의 입술에 닿도록 조절할 수 있어, 피검자에 대하여 자기장 자극 내지 온열 자극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서는 위치 조절부(미도시)가 제1 유닛(111)에 대한 제2 유닛(112)의 상대적인 위치만 조절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위치 조절부(미도시)는 제1 자기장 발생부(120a)와 제2 자기장 발생부(120b) 사이의 간격(거리)을 조절할 수 있다. 위치 조절부(미도시)는 도 7의 도면을 기준으로, 제1 자기장 발생부(120a)와 제2 자기장 발생부(120b) 각각을 상하방향(6시-12시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두 자기장 발생부(120a, 120b) 각각의 위치 내지 두 자기장 발생부(120a, 120b)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절부(미도시)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제1 유닛(111)과 제2 유닛(112) 간의 거리(간격)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는 일예로 제1 유닛(111)과 제2 유닛(112)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유닛(111)과 제2 유닛(112)은 위치 조절부(미도시)에 의한 상하방향으로의 거리(간격) 조절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닛(111)과 제2 유닛(112) 간의 상하방향으로의 거리(간격) 조절 및 두 자기장 발생부(120a, 120b) 간의 거리(간격) 조절은, 전후방향으로의 위치 조절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0)는 전면(fs)에 배치되어 입술 부위(2)의 수분도를 측정하는 수분도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분도 측정부(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수분도가 기 설정된 수분도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입술 부위(2)가 건조한 것으로 판단하여, 물 분사부(미도시)를 통해 소정의 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0)는 입술 부위(2)에 대하여 유분, 수분, 탄성도(탄력도), 모공량, 주름, 색소침착도 등 입술 부위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에 의한 입술 미용 효과의 실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9는 본 장치(100)에 의한 자기장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자극전)과 자기장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자극후)의 입술 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장치(100)에 의한 입술 부위의 자기장 자극을 통해, 피검자의 입술 색상이 자극전 대비 자극후가 보다 뚜렷해질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비침습적(non-invasive)으로 자기장을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조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00)는 입술의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입술 표면의 붉은 색감과 생기를 효과적으로 개선(보완)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험예에서는 일예로 복수의 사용자들(예를 들어, 13명의 사용자들)의 입술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본 장치(100)를 이용한 자기장 자극을 수행하는 테스트를 진행하고, 자기장 자극의 전/후 대비 입술 색상의 붉기(붉은 정도) 변화, 탄성도 변화 및 수분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장치(100)의 사용 전/후 대비, 평균적으로 입술 색상의 붉기는 대략 24.44% 증가하고, 탄성도는 3.14% 증가하고, 수분도는 6.0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시스템(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시스템(200)은 입술 미용 장치(100, 본 장치)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술 미용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 본 장치)일 수도 있고, 또한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100', 본 장치)일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획득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획득되는 제어 신호에는, 자기장의 유형 관련 제어 신호(자기장 자극 모드 설정 관련 제어 신호 포함), 온열 자극의 유형 관련 제어 신호, 위치 조절부(미도시)에 의한 위치 조절 관련 제어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이러한 제어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네트워크 통신(400)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과 네트워크 통신(400)으로 연결(연동)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400)은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의 유/무선 통신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획득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휴대 가능한 크기(소형의 크기)를 가짐에 따라 피검자(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입술 미용을 수행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본 장치(100)를 통한 입술 미용 관련 스케줄 관리나 효과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본 장치(100)와 연동되는 뷰티 솔루션 앱(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뷰티 솔루션 앱을 통해 피검자(사용자)가 사용하는 본 장치(100)와 관련된 가이드 정보(즉, 본 장치의 사용 방법, 스케줄 관리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피검자(사용자)에 의한 본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 정보(사용 이력, 사용 기록)를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정보에는 본 장치(100)의 동작 시간, 동작(작동) 유형, 피검자의 입술 상태 및 효과에 관한 실시간 측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측정 정보라 함은 반사강도 측정부(140)에 의한 반사강도의 수준, 수분도 측정부(미도시)에 의한 수분도 등의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피검자의 입술 상태 및 효과 관련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미도시)는 본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 정보를 피검자(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미도시)는 본 장치(100)를 사용하는 피검자와 관련하여, 본 장치(100)의 사용 시간, 입술 미용 효과, 실시간 입술 상태 등을 포함하는 사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미도시)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뷰티 솔루션 앱 제공을 통해, 피검자가 자신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개개인에 맞춤화된 치료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미도시)는 본 장치(100)의 사용에 따른 피검자의 상태 변화(치료 효과 변화)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데이터(즉, 복수의 피검자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개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뷰티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자기장 자극 모드의 설정 관련 정보나 위치 조절부(미도시)에 의한 위치 조절 관련 정보 등에 관한 입력이 일예로 본 장치(100) 자체에 마련되는 버튼(즉, 몸체부의 일 영역에 자체 구비된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이러한 입력을 위한 버튼(물리적인 버튼)은 본 장치(100)와 연결되는 본체부(미도시)에 마련되는 버튼(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장치(100)의 동작 제어와 관련된 신호를 입력받는 버튼(물리적인 버튼)은 일예로 자기장이 조사되는 자기장 발생부(120)가 구비된 본 장치(100)의 몸체부(110)에 자체 구비(즉,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0)의 동작 제어와 관련된 신호를 입력받는 버튼(물리적인 버튼)은 자기장이 조사되는 자기장 발생부(120)가 구비된 몸체부(110)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본체부(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0)와 본체부(미도시) 간에는 제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선, 끈 등으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와 본체부(미도시) 간에 연결된 선(끈)은 일예로 본체부(미도시) 내 롤러에 감긴 형태로 마련되어, 본 장치(100)를 본체부(미도시)로부터 잡아당기는 등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선이 롤러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와 본체부(미도시) 간에 연결된 선은 본체부(미도시) 내 롤러에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우, 본체부(미도시)는 자기장 발생부(120)가 구비된 몸체부(110)에 대하여 연장 가능한 선 형태로 몸체부(110)와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은 본 장치(100)를 통해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펄스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입술 부위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세포를 자극하여 입술 생리를 개선시키는 동시에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원은 본 장치(100)에 의한 혈액순환의 촉진(혈류 개선)을 통해 피검자의 입술의 톤(밝기) 개선이나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주기적인 사용을 통해 영구적으로 미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립 인헨서(lips enhancer), 립 케어 디바이스(PEMF 기반의 립 케어 디바이스), 립 뷰티 디바이스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본 장치(100)는 피검자(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이용할 수 있는 핸디 타입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0)는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고정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밴드 타입, 마스크 타입 등의 형상일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입술에 대한 자기장 조사를 통해 입술 부위의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이를 통해 입술 부위의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입술 표면의 붉은 색감과 생기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매우 낮은 주파수의 펄스 자기장의 인가를 통해, 피부나 근육 등에 해가 없이 입술 부위의 혈류의 흐름만을 증가시킬 수 있어 자연스럽게 입술 생리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피검자의 입술의 생리적 문제를 개선함과 동시에 미적인 부분까지 개선할 수 있다. 즉, 본원은 입술 부위의 혈류를 개선시켜 입술의 톤과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은 부작용이 큰 입술 필러, 문신 등의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PEMF 기반의 입술 미용(치료) 기술로서 종래의 미용기기 대비 부작용이 없고 개선 효과가 크다.
본원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IOT 기반의 뷰티 디바이스로서 본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뷰티 디바이스의 경우 대개 수 분 이상 사용해야 하는바, 크기와 무게, 편의성 등이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원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작고 가벼운 크기로 형성되는 본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원은 상태 표시부(160)의 광원(LED)을 통해 본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본 장치의 사용 상태가 피검자(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본 장치(100)의 사용 관련 정보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 상에 제공되는 뷰티 솔루션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뷰티 솔루션 앱에서는 타이머, 자기장 자극 모드 선택 등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뷰티 솔루션 앱 기반의 제어를 통해 본 장치(1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본 장치(100)의 사용 기록을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은 본 장치(100)의 동작을 원격(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0, 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0, 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제어부(130)는, 피검자의 입술 부위가 접촉 되는 몸체부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의 전면은 중간 위치가 몸체부의 양 측면을 기준으로(양 측면 대비) 함몰되도록 형성되되, 중간 위치로부터 양 측면 각각까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계S11에서 제어부는,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으로서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은 단계S11 이전에, 반사강도 측정부를 통해 레이저 스캐닝으로 입술 부위에 대한 반사강도를 측정하는 단계(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계S10이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1에서 제어부(130)는, 단계S10에서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단계S10에서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이상인 경우,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으로서 15Hz 미만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단계S10에서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미만인 경우, 자기장의 유형을 제2 유형으로서 15 Hz 이상 30Hz 이하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자기장 발생부(120)는, 단계S11에서의 제어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입술 부위를 향하여 자기장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입술 부위를 향하여 조사된 자기장에 의해,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대응하는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은 단계S12 이후에, 단계S10에서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미리 설정된 반사강도 이상인 경우, 입술 부위에 각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온열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온열 자극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계S13이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은 단계S13 이후에, 온열 자극부를 통해 입술 부위에 대하여 온열 자극을 제공하는 단계(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계S14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1은 상태 표시부를 통해 입술 미용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1에서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위치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조절부는 제1 유닛에 대한 제2 유닛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및 S12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 입술 미용 장치
110: 몸체부
120: 자기장 발생부
130: 제어부
140: 반사강도 측정부
150: 온열 자극부
160: 상태 표시부
170: 고정부

Claims (14)

  1. 입술 미용 장치로서,
    피검자의 입술 부위가 접촉되는 전면을 갖는 몸체부;
    상기 전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입술 부위를 향하여 자기장을 조사하는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해 상기 입술 부위에 대응하는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으로서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에 구비되고, 레이저 스캐닝으로 상기 입술 부위에 대한 반사강도를 측정하는 반사강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달리 제어하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이상인 경우, 상기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으로서 15Hz 미만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기 설정된 기준 반사강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자기장의 유형을 제2 유형으로서 15 Hz 이상 30Hz 이하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제어하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입술 부위에 대하여 온열 자극을 제공하는 온열 자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반사강도의 수준이 미리 설정된 반사강도 이상인 경우, 상기 입술 부위에 각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온열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온열 자극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면은,
    중간 위치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을 기준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양 측면 각각까지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미용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표시부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면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미용 장치를 상기 피검자의 입술 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입술 미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피검자의 입술 부위 중 제1 부위가 접촉되는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피검자의 입술 부위 중 제2 부위가 접촉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위는 상기 입술 부위 중 윗 입술 부위이고,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입술 부위 중 아랫 입술 부위인 것인, 입술 미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상기 제1 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제1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제2 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제2 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 각각에 대한 반사강도의 수준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제2 자기장 발생부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각기 개별적으로 달리 제어하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기장 발생부가 N 펄스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가 S펄스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가 N펄스 자기장 자극 및 S 펄스 자기장 자극을 교대로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에 수직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유닛에 대한 상기 제2 유닛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위치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
  13.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피검자의 입술 부위가 접촉되는 몸체부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입술 부위를 향하여 자기장을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해 상기 입술 부위에 대응하는 미세혈관 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는 것인, 입술 미용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031616A 2018-03-30 2019-03-20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53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3358 WO2019190124A1 (ko) 2018-03-30 2019-03-22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7195 2018-03-30
KR1020180037195 2018-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779A true KR20190114779A (ko) 2019-10-10
KR102053260B1 KR102053260B1 (ko) 2019-12-06

Family

ID=6820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16A KR102053260B1 (ko) 2018-03-30 2019-03-20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2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299B1 (ko) * 2020-03-30 2020-12-22 김은지 살균램프가 구비된 립 플럼퍼
KR102193298B1 (ko) * 2020-03-30 2020-12-23 김은지 립 플럼퍼
WO2021132790A1 (ko) * 2019-12-26 2021-07-01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입술용 엘이디 미용 장치
KR20210083518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노드 비염치료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10094855A (ko) * 2020-01-22 2021-07-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환상통 개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06120A (ko) * 2020-02-20 2021-08-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근골격계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36653A (ko) * 2020-05-08 2021-11-17 한국광기술원 피부 부착형 플렉서블 스마트 광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광 케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085A (ko) * 2010-11-08 2012-05-16 권오규 엘이디 패치를 구비하는 미용 마스크
KR101445687B1 (ko) * 2013-10-30 2014-10-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광 및 자기장을 이용한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광 및 자기장을 발생하는 장치
JP2015037584A (ja) * 2014-10-10 2015-02-2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美容器具
KR20160065536A (ko) * 2014-12-01 2016-06-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의료용 복합 자극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085A (ko) * 2010-11-08 2012-05-16 권오규 엘이디 패치를 구비하는 미용 마스크
KR101445687B1 (ko) * 2013-10-30 2014-10-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광 및 자기장을 이용한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광 및 자기장을 발생하는 장치
JP2015037584A (ja) * 2014-10-10 2015-02-2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美容器具
KR20160065536A (ko) * 2014-12-01 2016-06-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의료용 복합 자극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2790A1 (ko) * 2019-12-26 2021-07-01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입술용 엘이디 미용 장치
KR20210083518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노드 비염치료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10094855A (ko) * 2020-01-22 2021-07-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환상통 개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06120A (ko) * 2020-02-20 2021-08-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근골격계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93299B1 (ko) * 2020-03-30 2020-12-22 김은지 살균램프가 구비된 립 플럼퍼
KR102193298B1 (ko) * 2020-03-30 2020-12-23 김은지 립 플럼퍼
KR20210136653A (ko) * 2020-05-08 2021-11-17 한국광기술원 피부 부착형 플렉서블 스마트 광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광 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260B1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260B1 (ko)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633595B2 (en) System for variably configurable, adaptable electrode arrays and effectuating software
KR102218065B1 (ko) 경두개 자기장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10290155A1 (en) Neuromodulation method and system for sleep disorders
CN103830841B (zh) 可穿戴的经皮肤的电刺激设备及其使用方法
US9333346B1 (en) Multi-mode microcurrent stimulus system with safety circuitry and related methods
US10639229B2 (en) Three-dimensional negative pressure stimulato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customized composite stimulation for improvement of skin functions
US20150174418A1 (en) Device and Methods for Noninvasive Neuromodulation Using Targeted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JP2024050694A (ja) 電場および磁場の周波数走査を使用する組織刺激方法
US20160206871A1 (en) Variably configurable, adaptable electrode arrays and effectuating software, methods, and systems
US20220062634A1 (en) Microcurrent-stimulation-therapy apparatus and method
KR102137865B1 (ko) 휴대용 다기능 피부 미용 치료기
US20150375008A1 (en) Portable illuminating device for manipulating the circadian clock of a subject
KR20190099371A (ko) 피부 미용 및 치료 시스템
US20220126093A1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hair growth and/or preventing hair loss
KR102493679B1 (ko) 자기장 및 음파 인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8071426A1 (en) System for variably configurable, adaptable electrode arrays and effectuating software
KR20140102879A (ko) 전기 침술 시스템
KR102458963B1 (ko) 자기장 인가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453464B1 (ko) 자기장 발생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425773B1 (ko) 환부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40071636A (ko)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WO2019190124A1 (ko) 입술 미용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7490558B2 (ja) 電場および磁場の周波数走査を使用する組織刺激方法
CN102371031A (zh) 利用光能量激发脑波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