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672A - QoE 리포트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동적 제어 - Google Patents

QoE 리포트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동적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672A
KR20190114672A KR1020180037746A KR20180037746A KR20190114672A KR 20190114672 A KR20190114672 A KR 20190114672A KR 1020180037746 A KR1020180037746 A KR 1020180037746A KR 20180037746 A KR20180037746 A KR 20180037746A KR 20190114672 A KR20190114672 A KR 20190114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oe
network
user terminal
content data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아이앤아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앤아이소프트 filed Critical (주)아이앤아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80037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4672A/ko
Priority to PCT/KR2019/003718 priority patent/WO2019190268A1/ko
Publication of KR20190114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dia content delivery, e.g. audio, video or 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1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network conditions
    • H04L67/3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QoE 동적 제어 시스템은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복제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QoE(Quality of Experience) 서버로 대역 외 채널(Out-of-Band Channel)을 통해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QoE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QoE 리포트 응답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QoE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QoE 리포트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동적 제어{A DYNAMIC CONTROL OF CONTENTS DATA DELIVERY BASED ON QoE REPORT}
본 명세서는 QoE(Quality of Experience) 리포트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동적 제어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용자들이 모바일 단말기,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동영상 등의 대용량 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및 재생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컨텐츠 제공자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위해서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끊김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복제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컨텐츠 제공자는 적어도 일부 컨텐츠를 복제 서버에 미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은 복제 서버로부터 미리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이 있다. 복제 서버를 통한 컨텐츠 전송 방법은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서비스를 포함한다. 복제 서버는, 예를 들어, 캐시 서버, 고스트 서버, 에지 서버 또는 미러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DN 서비스는 복수의 CDN 복제 서버들 중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CDN 복제 서버 또는 최적의 접속 경로를 가진 CDN 복제 서버에 대한 접속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은 해당 CDN 복제 서버로부터 스트리밍(Streaming)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서로 다른 비용으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능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CDN 서비스 제공자가 존재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예를 들어, 지역별로 또는 컨텐츠 별로 복수의 CDN 서비스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가 복수의 CDN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중에 최초 접속한 CDN(또는 해당 CDN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경로)에 장애가 발생해도 계속해서 해당 CDN에 접속 시도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 최초 접속한 CDN의 장애와 무관하게, 사용자 단말의 컨텐츠 데이터 수신 중에 컨텐츠 제공자의 필요에 따라 CDN 서비스 제공자를 변경할 필요성도 있으나 종래의 방법으로는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
종래 기술의 컨텐츠 제공자가 CDN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QoE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여도 해당 CDN에 계속 접속 시도를 하는 문제점에 대해서, QoE 동적 제어 관리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가 복수의 CDN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QoE를 저하시키지 않는 복수의 CDN 서비스 제공자를 통한 경제적인 컨텐츠 데이터 제공 방법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QoE 동적 제어 시스템은 복제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QoE(Quality of Experience) 서버로 대역 외 채널(Out-of-Band Channel)을 통해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QoE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QoE 리포트 응답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QoE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및 그 밖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 항목에 따른 네트워크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상기 QoE 리포트 응답은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한 QoE 리포트를 상기 QoE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은 Local GW(Gateway)로의 Round Trip Time, 무선 신호 강도 및 특정 인터넷 주소에 대한 Trace rout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신호는 상기 QoE 리포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새로운 CDN 복제 서버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 또는 컨텐츠 데이터 수신을 위한 대역폭(Bandwidth) 변경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데이터 수신 중에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신호에 따라 새로운 CDN 복제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QoE 리포트는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QoE 관리 서버는 상기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초기 버퍼링이 끝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새로운 CDN 복제 서버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가 포함된 QoE 리포트 응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새로운 CDN 복제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전송 정책은 이전 CDN 복제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전송 정책과 다를 수 있다. 상기 QoE 리포트 응답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코드(Code)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컨텐츠 데이터 수신의 제어와 관련된 코드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QoE 관리 서버를 제시한다. 상기 QoE 관리 서버는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복제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과 대역 외 채널(Out-of-Band Channel)을 확립하고, 상기 대역 외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QoE(Quality of Experience)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네트워크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QoE 리포트의 분석 대상 여부를 판단하고 전 처리하는 QoE 리포트 전 처리부 및 전 처리된 QoE 리포트에 포함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QoE 리포트 응답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QoE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E 관리 서버 및 그 밖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복수의 CDN 복제 서버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신호는 상기 QoE 리포트를 분석한 결과 및 상기 복수의 CDN 복제 서버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새로운 CDN 복제 서버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 또는 컨텐츠 데이터 수신을 위한 대역폭(Bandwidth) 변경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E 리포트 전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QoE 리포트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종단 네트워크 품질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분석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상기 QoE 제어부는 상기 QoE 리포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의 QoE를 가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Local GW(Gateway)로의 Round Trip Time, 무선 신호 강도 및 특정 인터넷 주소에 대한 Trace route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포함한 QoE 리포트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의 QoE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사용자 단말이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복제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QoE(Quality of Experience) 관리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역 외 채널(Out-of-Band Channel)을 확립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역 외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QoE 리포트를 상기 QoE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QoE 관리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QoE 리포트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E 관리 방법 및 그 밖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E 리포트 응답은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한 QoE 리포트를 상기 QoE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컨텐츠 데이터 재생 중에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신호에 따라 새로운 CDN 복제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데이터 수신 대역폭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의하면, CDN 서비스 제공자로 인한 품질 저하 시 새로운 CDN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의 QoE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CDN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QoE를 저하시키지 않고도 복수의 CDN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경제적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도 1은 QoE 동적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컨텐츠 데이터 수신 상태에 따른 요구 비트레이트(Bitrate)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림이다.
도 3은 QoE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 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의 QoE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QoE(Quality of Experience) 관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 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QoE 리포트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 동적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컨텐츠 전송 동적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400) 및 QoE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에 유선/무선으로 연결되어 QoE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400)은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뿐만 아니라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유선 네트워크,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사설 네트워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용 광역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SM) 네트워크, 범용 패킷 무선 네트워크(general packet radio network; GPRS),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거대도시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셀룰러 네트워크, 공중 전화 교환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개인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Wi-Fi Direct), 근거리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초 광 대역(UltraWide band), 이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 등으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에 대한 컨텐츠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접속 정보에 따른 CDN 복제 서버(100)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400)은 QoE 관리 서버(300)로부터 컨텐츠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컨텐츠 제공자는 네임 서버(미도시)를 통해 컨텐츠 제공을 위한 IP 어드레스를 질의 받으면 QoE 관리 서버(300)로 리 디렉션(Re-direction) 하고, QoE 관리 서버(300)는 요청한 사용자 단말(400)의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CDN 서비스 제공자 중에서 적절한 CDN 서비스 제공자를 판단하여 해당 접속 경로를 사용자 단말(400)로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400)은 미리 저장된 QoE 관리 서버(300)의 IP 어드레스로 접속해 컨텐츠 제공 요청을 할 수 있고, QoE 관리 서버(300)는 요청한 사용자 단말(400)의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CDN 서비스 제공자를 판단하여 해당 접속 경로를 사용자 단말(400)로 알려줄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400)은 CDN 복제 서버(100)와 컨텐츠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역 내 채널(In-bound Channel)을 확립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방식은, 예를 들어, 리얼 타임 메시징 프로토콜(RTMP: Real Time Messaging Protocol), HTTP 기반 프로토콜(예를 들어, HLS/HDS, Smooth Streaming, Dynamic Streaming, MPEG DASH 등) 등일 수 있으나, 특별히 그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400)은 CDN 복제 서버(100)와의 대역내 채널 이외에 QoE 관리 서버(300)와 대역 외 채널(Out-of-bound Channel)을 확립할 수 있다. 상기 대역 외 채널의 확립은 상기 OoE 관리 서버와 컨텐츠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대역 외 채널은, 컨텐츠 제공자가 직접 사용자 단말과 컨텐츠 전송을 위한 연결이 수립되지 않고 네트워크 내 다양한 형태의 복제 서버를 통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자 또는 그 밖의 다른 서비스 제공자를 위하여 운용되는 상기 QoE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대역 외 채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의 컨텐츠 재생 및 관리 프로그램의 관리 범위에 속하지 않은 소프트웨어가 구조, 구현, 업데이트, 또는 오류와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어 대역 내 채널로 제어 정보가 교환되기 곤란한 경우,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그 밖의 다른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어 정보 등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대역 외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QoE 관리 서버(300)로 QoE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대역 외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실행 코드를 상기 대역 외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400)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대역 내 채널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의 운영체제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에이전트에 해당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일 실시예로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 적용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및 재생하는 경우 키 로테이션(Key Rotation)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키에 해당하는 RO(Right Object, 컨텐츠의 사용 권한에 관한 정보를 보관)를 전송 받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 체제의 Android Media DRM은 Request/Response 방식만 지원하므로, 만약 사용자 단말(400)이 DRM/CAS RO를 대역 내 채널로 단방향 Push 형태로 수신하는 경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내의 DRM 에이전트에 전달할 수 없다. 따라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400)이 QoE 리포트 전송을 위해 QoE 관리 서버(300)와 확립한 대역 외 채널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QoE 리포트 전송 시점에 RO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하여 전송하면 QoE 관리 서버(300)는 다음 차례 키의 사용시간 및 RO를 QoE 리포트에 대한 응답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QoE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과 대역 외 채널을 통해 안정적으로 QoE 리포트를 수신하거나 이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고, QoE 리포트뿐만 아니라 DRM 컨텐츠 라이선스 관리 등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도 해당 채널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QoE 관리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400)에서 실행 가능하고, 컨텐츠 데이터 수신의 제어와 관련된 실행 코드(Executable Code)를 컨텐츠 데이터 수신 중이더라도 동적으로 QoE 리포트 응답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oE 품질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코드를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하여금 스스로 QoE 품질 저하를 판단하게 하고, QoE 품질이 낮은 경우 관련된 네트워크 정보를 측정하여 QoE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해당 QoE 품질 상태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코드를 QoE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QoE 리포트는 디바이스 정보(사용자 단말(400)과 컨텐츠 플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재생 정보(컨텐츠 재생과 관련한 정보로서 재생 시작 시각, 버퍼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트랙 정보(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 컨텐츠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QoE 품질 및 사용자의 동작 히스토리도 포함할 수 있다.
QoE 리포트는 부하에 따라 손쉽게 확장 및 변경 가능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고, QoE 관리 서버(300)가 QoE 리포트의 형식을 스크립트로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한 QoE 리포트를 QoE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은 사용자 단말(400)에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또는, QoE 관리 서버(300)로부터 QoE 리포트에 대한 응답으로 받을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은 상기 사용자 단말(400)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600)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상의 Local GW(Gateway)(500)로의 Round Trip Time,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무선 신호 강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내부 또는 외부에 속한 특정 인터넷 주소에 대한 Trace route 정보, 기타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을 통해 수집될 수 있는 정보, 이동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UE-BS 간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에 따른 한 개 이상의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측정하고 QoE 리포트에 포함하여 QoE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의 컨텐츠 데이터 수신에 대한 QoE 품질 좋은 상태라면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측정 또는 전송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QoE 관리 서버(300)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사용자 단말(400)들(노드들)은 컨텐츠 데이터 재생 중에, 미리 설정되거나 QoE 관리 서버(300)로부터 동적으로 지시 받은 QoE 판단 기준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QoE 품질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QoE 품질 판단 결과, QoE 품질이 좋지 않은 상태라면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의 네트워크 환경의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측정하여 QoE 리포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400)은 특정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및 재생 중인 경우에는 항상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측정하여 QoE 리포트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의 유형, 사용자 단말(4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지역, 네트워크 사업자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이 A 지역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B 지역에 위치한 CDN 복제 서버(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중인 경우, 사용자 단말(400)이 특정 C 사업자의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중인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400)이 공용 WiFi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중인 경우에는 항상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측정하여 QoE 리포트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조건은 네트워크와 관련된 조건 이외의 경우에도, QoE 관리 서버(300)가 동적으로 변경 가능함을 주지해야 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QoE 관리 서버(300)로 QoE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주기는 미리 설정되거나 QoE 관리 서버(300)의 부하에 따라 QoE 관리 서버(300)에서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QoE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QoE 리포트를 수신하면 해당 QoE 리포트를 분석하여 QoE 리포트 응답을 생성한다. QoE 리포트 응답은 사용자 단말(400)로 하여금 측정해야 할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된 QoE 리포트에 포함된 재생 정보 분석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400)이 컨텐츠 데이터 수신을 시작한 이후 QoE 관리 서버(300)의 예상보다 버퍼링 속도가 느린 것으로 판단할 경우, QoE 관리 서버(300)는 QoE 리포트 응답에 Local GW(Gateway)로의 Round Trip Time, 무선 신호 강도, 특정 인터넷 주소에 대한 Trace route 정보 또는 패킷 손실률 등 네트워크 관련 정보 항목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 관련 정보 항목이 포함된 QoE 리포트 응답을 수신하면, 해당 항목에 따른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측정한 결과를 QoE 리포트에 포함시켜 다음 주기의 QoE 리포트 전송 시 QoE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네트워크 관리 정보 항목은 사용자 단말(400)의 재생 에이전트 설정으로 미리 등록되어 있고, QoE 관리 서버(300)는 단순히 네트워크 관리 정보 분석 요청이 포함된 QoE 리포트 응답을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QoE 관리 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 관리 정보 분석 요청이 포함된 QoE 리포트 응답을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 항목에 따라 네트워크 관련 정보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QoE 리포트에 포함시켜 QoE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QoE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 관련 정보가 포함된 QoE 리포트를 수신하면, 해당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400)의 QoE 저하 원인을 판단하고 해당 원인에 적합한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QoE 리포트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QoE 관리 서버(300)는 QoE 저하 원인 판단에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00)들로부터 수신한 QoE 리포트를 학습한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QoE 리포트에 포함된 각 항목 정보들에 가중치를 두어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고, 해당 가중치는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머신 러닝으로 학습된 모델이라면 교사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교사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교사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등 그 모델 생성 방법을 한정하지 않으며, 딥러닝(Deep Learning)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 실시예로서, QoE 리포트를 분석한 결과 컨텐츠 복제 서버로부터의 응답 시간이 비 정상적으로 길다고 판단되면, QoE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 제어 신호로서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를 QoE 리포트 응답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은 전송 받은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는 동일한 CDN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다른 지역의 복제 서버이거나, 다른 CDN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CDN 복제 서버일 수 있다. 다른 CDN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CDN 복제 서버일 경우, 기존 CDN 복제 서버(100)의 네트워크 정책(대역폭, 접속 포트, 과금 체계 등)과 다른 네트워크 정책으로 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QoE 관리 서버(300)는 CDN 복제 서버(10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400)들이 많지 않거나 또는 너무 많다고 판단하면, 사용자 단말(400)들에게 대역폭 변경을 지시하는 정보를 QoE 리포트 응답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400)의 QoE 리포트를 분석한 결과 QoE 품질이 저하된 것은 아니지만,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컨텐츠 데이터의 초기 버퍼링이 끝난 것으로 판단할 경우, 다른 CDN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CDN 복제 서버(200)로 접속 가능한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를 QoE 리포트 응답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컨텐츠 데이터 수신 시 시간 도과에 따른 요구 비트레이트(Bitrate)(210)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림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서비스의 특성상 사용자 단말(400)이 컨텐츠 데이터 수신 초기(220)에 필요한 버퍼를 채우는 시점 까지만 높은 성능이 필요하고, 이후 연속 재생 시(230)에는 동영상 인코딩(Encoding) 비트레이트 정도의 성능만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QoE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의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하여금 초기 버퍼링 기간에는 고성능 CDN 서비스를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고, 초기 버퍼링이 끝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최소 성능을 만족하는 다른 CDN 서비스로 변경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QoE 관리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 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QoE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부(310), QoE 리포트 전 처리부(320) 및 QoE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31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부(310)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등의 무선 통신모듈과 이더넷(Ethernet) 등의 유선 랜(LAN)과 같은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310)는 사용자 단말(400)과 대역 외 채널(Out-of-bound)을 확립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QoE 리포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QoE 리포트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디바이스 정보(사용자 단말(400)과 컨텐츠 플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재생 정보(컨텐츠 재생과 관련한 정보로서 재생 시작 시각, 버퍼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트랙 정보(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 컨텐츠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 QoE 품질 정보 또는 사용자의 동작 히스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QoE 리포트는 Local GW(Gateway)로의 Round Trip Time, 무선 신호 강도, 특정 인터넷 주소에 대한 Trace route 정보 또는 패킷 손실률 등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QoE 리포트 전 처리부(32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QoE 리포트의 분석 대상 여부를 판단하여 전 처리(Pre-process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oE 리포트에 포함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판단하여 CDN 복제 서버(100)의 장애나 문제가 접속 경로에 따른 QoE 품질 저하 문제가 아니고, 사용자 단말(400)의 종단 네트워크 품질 저하의 문제라고 판단하는 경우 QoE 제어부(330)의 분석 대상에서 이를 제외시킬 수 있다.
QoE 제어부(330)는 분석 대상인 QoE 리포트에 포함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QoE 품질 저하의 원인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 때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00)들로부터 수신한 QoE 리포트를 학습한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QoE 제어부(330)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CDN 복제 서버(100)의 장애, 성능 저하 또는 부하 증가 등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네트워크 제어 신호로서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를 QoE 리포트 응답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400)은 전송 받은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QoE 관리 서버(300)는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복수의 CDN 복제 서버(100~200)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의 QoE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QoE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400)이 CDN 복제 서버(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 수행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400)이 처음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 또는 QoE 관리 서버(300)에 컨텐츠 제공 요청을 하고 컨텐츠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접속 정보에 따른 CDN 복제 서버(100)로 컨텐츠 데이터 전송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컨텐츠 제공자는 네임 서버(미도시)를 통해 컨텐츠 제공을 위한 IP 어드레스를 질의 받으면 QoE 관리 서버(300)로 리 디렉션(Re-direction) 하고, QoE 관리 서버(300)는 요청한 사용자 단말(400)의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CDN 서비스 제공자 중에서 적절한 CDN 서비스 제공자를 판단하여 해당 접속 경로를 사용자 단말(400)로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400)은 미리 저장된 QoE 관리 서버(300)의 IP 어드레스로 접속해 컨텐츠 제공 요청을 할 수 있고, QoE 관리 서버(300)는 요청한 사용자 단말(400)의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CDN 서비스 제공자를 판단하여 해당 접속 경로를 사용자 단말(400)로 알려줄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400)은 CDN 복제 서버(100)와 컨텐츠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역 내 채널(In-bound Channel)을 확립(S410)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S420)할 수 있다.
아래에서, QoE 관리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400) 사이의 QoE 리포트 및 QoE 리포트 응답에 관해서 설명한다(S431~S434). QoE 리포트 및 QoE 리포트 응답의 전송은 그 횟수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도 4에서 4회로 표현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400)은 CDN 복제 서버(100)와의 대역내 채널 이외에 QoE 관리 서버(300)와 대역 외 채널(Out-of-bound Channel)을 확립하고, 주기적으로 QoE 관리 서버(300)로 QoE 리포트를 전송(S431)할 수 있다.
상기 QoE 리포트는 디바이스 정보(사용자 단말(400)과 컨텐츠 플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재생 정보(컨텐츠 재생과 관련한 정보로서 재생 시작 시각, 버퍼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트랙 정보(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 컨텐츠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QoE 품질 및 사용자의 동작 히스토리도 포함할 수 있다.
QoE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QoE 리포트를 수신하면 해당 QoE 리포트를 분석하여 QoE 리포트 응답을 생성한다. QoE 리포트 응답은 사용자 단말(400)로 하여금 측정해야 할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QoE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된 QoE 리포트에 포함된 재생 정보 분석 또는 사용자 단말(400)이 미리 설정되거나 QoE 관리 서버(300)로부터 동적으로 지시 받은 QoE 판단 기준을 이용하여 판단한 QoE 품질 결과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관련 정보 항목을 포함한 QoE 리포트 응답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S432)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 관련 정보 항목이 포함된 QoE 리포트 응답을 수신하면, 해당 항목에 따른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측정한 결과를 QoE 리포트에 포함시켜 다음 주기의 QoE 리포트 전송 시 QoE 관리 서버(300)로 전송(S433)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네트워크 관리 정보 항목은 사용자 단말(400)의 재생 에이전트 설정으로 미리 등록되어 있고, QoE 관리 서버(300)는 단순히 네트워크 관리 정보 분석 요청이 포함된 QoE 리포트 응답을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S432)할 수도 있다.
QoE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 관련 정보가 포함된 QoE 리포트를 수신(S433)하면, 해당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400)의 QoE 저하 원인을 판단하고 해당 원인에 적합한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QoE 리포트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S434)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QoE 리포트를 분석한 결과 컨텐츠 복제 서버로부터의 응답 시간이 비 정상적으로 길다고 판단되면, QoE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 제어 신호로서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 또는 대역폭을 변경하는 등의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포함한 QoE 리포트 응답을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S434)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400)은 전송 받은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S440)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기존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에 이어서 수신(S450)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QoE 리포트의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 단말(400)에서 컨텐츠 데이터의 초기 버퍼링이 끝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른 CDN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CDN 복제 서버로 접속 가능한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를 QoE 리포트 응답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S434)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는 동일한 CDN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다른 지역의 복제 서버이거나, 다른 CDN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CDN 복제 서버일 수 있다. 다른 CDN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CDN 복제 서버일 경우, 기존 CDN 복제 서버(100)의 네트워크 정책(대역폭, 접속 포트, 과금 체계 등)과 다른 네트워크 정책으로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전송 받은 QoE 리포트 응답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 수신을 위한 대역폭을 변경(S460)할 수도 있고, 이는 항상 새로운 CDN 복제 서버(200)로 접속을 변경하는 것과 함께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단독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본 명세서의 실시예 중에서 사용자 단말이 새로운 CDN 서비스 제공자의 CDN 복제 서버로 연결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이어 받는 것은 복수의 CDN 서비스 제공자 경우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동일 CDN 서비스 제공자가 복수의 CDN 복제 서버를 운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의 기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4)

  1.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복제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QoE(Quality of Experience) 서버로 대역 외 채널(Out-of-Band Channel)을 통해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QoE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QoE 리포트 응답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QoE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 항목에 대응되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QoE 리포트 응답은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한 QoE 리포트를 상기 QoE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은 Local GW(Gateway)로의 Round Trip Time, 무선 신호 강도 및 특정 인터넷 주소에 대한 Trace route 정보를 포함하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신호는 상기 QoE 리포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새로운 CDN 복제 서버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 또는 컨텐츠 데이터 수신을 위한 대역폭(Bandwidth) 변경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데이터 수신 중에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신호에 따라 새로운 CDN 복제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대역폭을 변경하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QoE 리포트는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QoE 관리 서버는 상기 컨텐츠 재생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초기 버퍼링이 끝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새로운 CDN 복제 서버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가 포함된 QoE 리포트 응답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새로운 CDN 복제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전송 정책은 이전 CDN 복제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전송 정책과 다른 QoE 동적 제어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QoE 리포트 응답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코드(Code)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컨텐츠 데이터 수신의 제어와 관련된 코드인 QoE 동적 제어 시스템.
  8.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복제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과 대역 외 채널(Out-of-Band Channel)을 확립하고, 상기 대역 외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QoE(Quality of Experience)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네트워크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QoE 리포트의 분석 대상 여부를 판단하고 전 처리하는 QoE 리포트 전 처리부; 및
    전 처리된 QoE 리포트에 포함된 네트워크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QoE 리포트 응답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QoE 제어부를 포함하는 QoE 관리 서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복수의 CDN 복제 서버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신호는 상기 QoE 리포트를 분석한 결과 및 상기 복수의 CDN 복제 서버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새로운 CDN 복제 서버 접속을 위한 주소 변경 정보 또는 컨텐츠 데이터 수신을 위한 대역폭(Bandwidth) 변경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QoE 관리 서버.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QoE 리포트 전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QoE 리포트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종단 네트워크 품질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는 QoE 관리 서버.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QoE 제어부는 상기 QoE 리포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의 QoE를 가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Local GW(Gateway)로의 Round Trip Time, 무선 신호 강도 및 특정 인터넷 주소에 대한 Trace route 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포함한 QoE 리포트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QoE 관리 서버.
  12. 사용자 단말이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복제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QoE(Quality of Experience) 관리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대역 외 채널(Out-of-Band Channel)을 확립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역 외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QoE 리포트를 상기 QoE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QoE 관리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QoE 리포트 응답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의 QoE 관리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QoE 리포트 응답은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관련 정보의 항목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포함한 QoE 리포트를 상기 QoE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의 QoE 관리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컨텐츠 데이터 재생 중에 상기 네트워크 제어 신호에 따라 새로운 CDN 복제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데이터 수신 대역폭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QoE 동적 제어 시스템의 QoE 관리 방법.
KR1020180037746A 2018-03-30 2018-03-30 QoE 리포트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동적 제어 KR20190114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746A KR20190114672A (ko) 2018-03-30 2018-03-30 QoE 리포트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동적 제어
PCT/KR2019/003718 WO2019190268A1 (ko) 2018-03-30 2019-03-29 Qoe 리포트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동적 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746A KR20190114672A (ko) 2018-03-30 2018-03-30 QoE 리포트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동적 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672A true KR20190114672A (ko) 2019-10-10

Family

ID=6806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746A KR20190114672A (ko) 2018-03-30 2018-03-30 QoE 리포트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동적 제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14672A (ko)
WO (1) WO20191902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478A (ko) * 2021-11-12 2023-05-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82B1 (ko) * 2010-09-02 2011-10-06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cdn 서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제어 장치
EP2724515B1 (en) * 2011-06-22 2018-09-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content delivery control
KR102137730B1 (ko) * 2014-04-17 2020-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네트워크 중심의 QoE 프로비저닝 방법 및 장치
JP6263443B2 (ja) * 2014-05-30 2018-01-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品質推定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488169B (zh) * 2015-08-28 2019-09-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系统以及相关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478A (ko) * 2021-11-12 2023-05-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0268A1 (ko)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730B1 (ko) 모바일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네트워크 중심의 QoE 프로비저닝 방법 및 장치
KR101504809B1 (ko)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액세스 네트워크 어웨어 프레즌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87930B1 (ko)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작용들의 히스토리의 저장 및 공유 방법
US11924650B2 (en) System, method and service product for content delivery
US10523723B2 (en) Method, system and various components of such a system for selecting a chunk identifier
CA2910079C (en) Transmitting information across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200288212A1 (en) Multipath policy decisions for encrypted video streams
US9544201B2 (en) Quality of experience in communication networks
US20230021708A1 (en) Connection Manager
US10116761B2 (en) Multi-delivery-method policy-controlled client proxy
WO2013017165A1 (en) Shaping media traffic based on manifest file in http adaptive streaming
KR101306374B1 (ko) 다중 비트율의 콘텐츠를 사용한 VoD 서비스 방법
EP3108641A1 (en) ASSESSING QoE OF A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270748B2 (en) Method for content delivery involving a policy database
US20070043863A1 (en) Resource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451051B1 (en) Method and procedure to improve delivery and performance of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over a wireless network
KR20190114672A (ko) QoE 리포트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전송의 동적 제어
US9413821B2 (en) Method for allowing device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user-determined manner
US20150103754A1 (en) Base station conditions resource adaptation
Dräxler et al. SmarterPhones: Anticipatory download scheduling for wireless video streaming
KR20230031912A (ko) 단말 디바이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및 방법들
US8661078B2 (en) Application of unreliable transfer mechanisms
KR101869360B1 (ko) 미디어 버퍼 제어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선 네트워크 스트리밍 중계 엔진 시스템
KR101360772B1 (ko) 핸드오버를 고려한 모바일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805048B1 (en) Dynamic network metric sharing and application metric based network path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