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548A -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548A
KR20190114548A KR1020180037444A KR20180037444A KR20190114548A KR 20190114548 A KR20190114548 A KR 20190114548A KR 1020180037444 A KR1020180037444 A KR 1020180037444A KR 20180037444 A KR20180037444 A KR 20180037444A KR 20190114548 A KR20190114548 A KR 20190114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information
similar section
cont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982B1 (ko
Inventor
백승혜
박지은
한승오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3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9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연결관계가 있는 일련의 콘텐츠에서 특정 콘텐츠의 재생 시 유사 구간으로 이동 또는 상기 유사 구간을 스킵(Skip)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하는 유사 구간 결정부; 상기 유사 구간을 공지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어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어 명령 또는 상기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상기 유사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게 시청하길 원하는 특정 구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특정 구간을 찾는 번거로움이 없고,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게 시청하길 원하지 않는 특정 구간을 스킵하여 사용자가 특정 구간을 스킵하고 다음 구간을 찾는 번거로움이 없는 편리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콘텐츠 제어 이력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이룬다.

Description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OR CONT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특정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에 의해 스트리밍에 의한 영상 콘텐츠의 전달이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통신에 의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를 비롯하여 VOD(Video on Demand) 및 OTT(Over The Top)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보급되고 있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는 광대역 연결 상에서 양방향성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디지털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이다.
VoD(Video on Demand)는 쌍방향 인터넷 서비스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
OTT(Over The Top) 서비스는 TV 프로그램, 영화 및 UGC(User??Generated Contents)를 포함하는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인터넷 망을 통해 셋탑 박스의 유무를 떠나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기 방송된 콘텐츠를 언제든지 시청할 수 있고, 상호 연결관계가 있는 일련의 콘텐츠를 이어서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사용자 개인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일반적인 영상 콘텐츠는 오프닝 구간과 엔딩 구간을 포함하여 구성이 되고, 다수의 차수로 구성된 일련의 콘텐츠는 이전 이야기와 다음 이야기(예고)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의 시청 상황에 따라 오프닝 구간, 엔딩 구간, 이전 이야기 및 다음 이야기 중 어느 하나를 시청하지 않고 건너뛰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련의 콘텐츠의 다수의 콘텐츠를 이어서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미 시청한 콘텐츠의 내용을 요약한 이전 이야기를 시청하지 않고 건너뛰거나 이어서 시청할 콘텐츠의 내용을 예고하는 다음 이야기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있다.
또한, 일련의 콘텐츠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오프닝 구간 또는 엔딩 구간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콘텐츠의 오프닝 구간 또는 엔딩 구간을 보지 않기를 원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특정 인물, 특정 물건 등의 특정 객체가 나오는 장면을 찾아서 (재)시청하길 원하는 경우도 다수 있지만 특정 객체가 나오는 장면을 찾기 위해 해당 콘텐츠를 처음부터 시청하며 찾아야되는 번거로움도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69948호(2011. 01. 2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텐츠의 특정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특정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는 맞춤형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시청하길 원하는 특정 구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시청하길 원하지 않는 특정 구간을 스킵하는 맞춤형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콘텐츠 제어 이력을 기반으로 자동 맞춤형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연결관계가 있는 일련의 콘텐츠에서 특정 콘텐츠의 재생 시 유사 구간으로 이동 또는 상기 유사 구간을 스킵(Skip)하도록 하는 장치는, 상기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하는 유사 구간 결정부; 상기 유사 구간을 공지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어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어 명령 또는 상기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상기 유사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연결관계가 있는 일련의 콘텐츠에서 특정 콘텐츠의 재생 시 유사 구간으로 이동 또는 상기 유사 구간을 스킵(Skip)하도록 하는 방법은, 상기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유사 구간을 공지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 또는 상기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상기 유사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게 시청하길 원하는 특정 구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특정 구간을 찾는 번거로움이 없고,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게 시청하길 원하지 않는 특정 구간을 스킵하여 사용자가 특정 구간을 스킵하고 다음 구간을 찾는 번거로움이 없는 편리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콘텐츠 제어 이력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편의상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특정 콘텐츠의 재생 시 유사 구간으로 이동 또는 유사 구간을 스킵(Skip)하도록 발명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발명이나,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상호 연결관계가 있는 일련의 콘텐츠를 그 대상으로 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콘텐츠 제어 장치(1)는 유사 구간 결정부(11), 인터페이스부(13), 사용자 정보 관리부(15) 및 콘텐츠 제어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사 구간 결정부(11)는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사 구간 결정부(11)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일련의 콘텐츠들을 전송하는 서버(미 도시함)에서는 해당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에 대한 정보를 미리 등록해 놓았다고,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유사 구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 구간에 대한 정보는 각 콘텐츠마다 매칭된 개별 정보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일련의 콘텐츠 묶음으로 통합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유사 구간에 대한 정보는 각 콘텐츠와 구별되는 별개의 정보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 콘텐츠 내에 포함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유사 구간 결정부(1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일련의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는 스스로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이용하여 유사 구간을 지정할 수 있고, 이때 유사 구간 결정부(11)는 시청자가 지정한 리모컨의 특정 버튼 신호 감지에 따라 유사 콘텐츠들의 특정 구간을 유사 구간으로 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써, 유사 구간 결정부(11)는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 구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유사 구간 결정부(11)는 일련의 콘텐츠의 특징 정보를 학습하거나 특정 콘텐츠를 일련의 콘텐츠 중 다른 콘텐츠와 비교 분석하여 유사 구간을 결정한다.
여기서 학습은 패턴 인식, 기계 학습 및 딥러닝을 포함한 선행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일련의 콘텐츠는 다수의 차수로 구성된 콘텐츠를 의미하여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다큐멘터리(documentary) 및 시리즈 영화 등을 포함한 콘텐츠이다.
여기서 특징 정보는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문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오디오 정보는 오디오 음원과 소리 크기의 패턴 변화에 대한 정보 또는 특정 오디오 음원을 포함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콘텐츠 내 특정 구간에 대한 오디오 관련 정보이다. 일 예로, 음원이 하향하면서 소리가 감소하는 정보, 음역대가 확장하면서 소리가 커지다가 급감하는 정보 등이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콘텐츠의 특정 순간의 이미지의 패턴 또는 특정 구간의 이미지 변화 패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일 예로, 이미지 정보는 특정 구간의 밝기가 급 밝아지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정보는 프로덕션(production) 및 후원사/인에 대한 상표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문구 정보는 "이전 이야기", "다음 이야기", "예고", "에필로그" 및 "다음 시간에" 등과 같은 특정 구간을 나타내는 문구 정보를 포함하고, 프로덕션(production) 및 후원사/인에 대한 문구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사 구간은 "오프닝(opening) 구간", "엔딩(ending) 구간", "이전 이야기", "다음 이야기" 및 "특정 객체가 포함된 특정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하며, 여기서 "오프닝 구간"은 해당 콘텐츠의 시작 구간으로 일반적으로는 해당 콘텐츠의 명칭을 포함한 구간이거나 차수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구간이다. 여기서 "엔딩 구간"은 해당 콘텐츠의 마지막 구간으로 일반적으로는 해당 콘텐츠의 내용이 끝났음을 알리는 구간으로 프로덕션 및 후원사/인에 대한 공지를 포함한 공지사항을 전달하는 구간이기도 하다. 여기서 "이전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해당 콘텐츠의 이전 차수에 해당하는 콘텐츠 내용을 요약하여 전달하는 구간이고, 여기서 "다음 이야기"는 해당 콘텐츠에 이어 다음 차수에 해당하는 콘텐츠의 내용을 예고로 알려주는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객체가 포함된 특정 구간"은 특정 객체가 해당 콘텐츠에 등장 및 나타나는 구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특정 객체는 연예인, 가수, 배우 및 정치인 등의 사람이며, 가방, 악세사리 등과 같은 특정 물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사 구간 결정부(11)가 일련의 콘텐츠의 특징 정보를 학습하여 유사 구간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일 예로, 특정 객체의 객체 정보와 일련의 콘텐츠를 비교하여 객체 정보가 추출되는 특정 구간을 유사 구간으로 결정한다.
유사 구간 결정부(11)가 특정 콘텐츠를 일련의 콘텐츠 중 다른 콘텐츠와 비교 분석하여 유사 구간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일 예로, 특정 객체의 객체 정보와 일련의 콘텐츠를 비교하여 객체 정보가 추출되는 특정 구간을 유사 구간으로 결정한다.
또한, 유사 구간 결정부(11)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타 일련의 콘텐츠에 대해 결정한 유사 구간을 기초로 특정 콘텐츠의 특징 정보를 학습하여 특정 콘텐츠의 유사 구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콘텐츠는 하나의 차수로 구성된 단독 콘텐츠이다.
인터페이스부(13)는 유사 구간을 공지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특정 콘텐츠의 재생 시, 특정 콘텐츠 내 유사 구간으로 이동 또는 유사 구간을 스킵(Skip)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명령/신호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한 터치 선택, 리모컨 버튼 입력, 리모컨 마우스 기능을 이용한 선택 등을 하여 발생한 제어 명령이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는 인터페이스를 유사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제공할 수 있으며, (기 학습된)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인터페이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3)는 특정 유사 구간을 스킵할지 물어보는 문구를 특정 유사 구간 이전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여 해당 유사 구간을 스킵할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에는 일련의 콘텐츠에서 해당 유사 구간을 모두 스킵할지의 여부를 물어보는 문구를 공지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13)는 유사 구간 이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차후에 시청하는 일련의 콘텐츠에 있어서 방금 시청한 특정 구간을 스킵할지 여부를 물어보는 문구를 인터페이스에 공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 패턴 정보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5)가 제어 명령을 기초로 학습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로, 사용자가 특정 유사 구간으로 이동을 요청했는지 사용자가 특정 유사 구간을 스킵하는지의 누적된 정보를 사용자 정보 관리부(15)가 패턴화하여 사용자마다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 또는 사용자와 일련의 콘텐츠마다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한 정보이다.
콘텐츠 제어부(17)는 제어 명령 또는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유사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하며, 제어 명령이 사용 패턴 정보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이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어부(17)는 (기 학습된)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유사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하지만, 인터페이스부(13)가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콘텐츠 제어부(17)는 제어 명령을 기초로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유사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련의 콘텐츠의 특징 정보를 학습하거나 특정 콘텐츠를 일련의 콘텐츠 중 다른 콘텐츠와 비교 분석하여 유사 구간을 결정한다(S101). 예를 들어, 특정 객체의 객체 정보와 일련의 콘텐츠를 비교하여 객체 정보가 추출되는 특정 구간을 유사 구간으로 결정하거나 특정 객체의 객체 정보와 일련의 콘텐츠를 비교하여 객체 정보가 추출되는 특정 구간을 유사 구간으로 결정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타 일련의 콘텐츠에 대해 결정한 유사 구간을 기초로 특정 콘텐츠의 특징 정보를 학습하여 특정 콘텐츠의 유사 구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콘텐츠는 하나의 차수로 구성된 단독 콘텐츠이다.
유사 구간을 공지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S103).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유사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제공할 수 있으며, (기 학습된)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인터페이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유사 구간을 스킵할지 물어보는 문구를 특정 유사 구간 이전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여 해당 유사 구간을 스킵할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에는 일련의 콘텐츠에서 해당 유사 구간을 모두 스킵할지의 여부를 물어보는 문구를 공지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유사 구간 이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차후에 시청하는 일련의 콘텐츠에 있어서 방금 시청한 특정 구간을 스킵할지 여부를 물어보는 문구를 인터페이스에 공지할 수도 있다.
제어 명령을 기초로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유사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한다(S105).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유사 구간을 결정(S201)하고, 유사 구간을 공지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S203). 유사 구간 결정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설명하면서 서술하였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명령을 기초로 사용자가 특정 유사 구간으로 이동을 요청했는지 사용자가 특정 유사 구간을 스킵하는지의 누적된 정보를 패턴화하여 사용자마다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 또는 사용자와 일련의 콘텐츠마다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한다(S205).
제어 명령을 기초로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유사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한다(S207).
여기서 S205는 백그라운드로 진행되어 명시된 순서와 상관없이 S207과 동등하게 실행되거나 S207이후에 실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유사 구간을 결정하며(S301), 여기서 유사 구간 결정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설명하면서 서술하였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 학습한)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유사 구간 스킵 여부를 제어한다(S303). 사용자가 특정 유사 구간으로 이동을 요청했는지 사용자가 특정 유사 구간을 스킵하는지의 누적된 정보를 패턴화하여 사용자마다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 또는 사용자와 일련의 콘텐츠마다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유사 구간 스킵 여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콘텐츠 제어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콘텐츠 제어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콘텐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콘텐츠 제어 장치
11: 유사 구간 결정부
13: 인터페이스부
15: 사용자 정보 관리부
17: 콘텐츠 제어부

Claims (21)

  1. 상호 연결관계가 있는 일련의 콘텐츠에서 특정 콘텐츠의 재생 시 유사 구간으로 이동 또는 상기 유사 구간을 스킵(Skip)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하는 유사 구간 결정부;
    상기 유사 구간을 공지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어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어 명령 또는 상기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상기 유사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구간 결정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상기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획득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구간 결정부는 상기 일련의 콘텐츠의 특징 정보를 학습하거나 상기 특정 콘텐츠를 상기 일련의 콘텐츠 중 다른 콘텐츠와 비교 분석하여 유사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구간은 오프닝 구간, 엔딩 구간, 이전 이야기, 다음 이야기 및 특정 객체가 포함된 특정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는 오디오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문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유사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터페이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구간 결정부는 특정 객체의 객체 정보와 상기 일련의 콘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객체 정보가 추출되는 특정 구간을 상기 유사 구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구간 결정부는 상기 일련의 콘텐츠의 각 특정 콘텐츠의 특징 정보를 학습하여 특징 정보가 유사한 특정 구간을 유사 구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10. 상호 연결관계가 있는 일련의 콘텐츠에서 특정 콘텐츠의 재생 시 유사 구간으로 이동 또는 상기 유사 구간을 스킵(Skip)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유사 구간을 공지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어 명령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 명령 또는 상기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사 구간으로 이동 여부 또는 상기 유사 구간의 스킵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상기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획득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일련의 콘텐츠들에 대한 유사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일련의 콘텐츠의 특징 정보를 학습하거나 상기 특정 콘텐츠를 상기 일련의 콘텐츠 중 다른 콘텐츠와 비교 분석하여 유사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구간은 오프닝 구간, 엔딩 구간, 이전 이야기, 다음 이야기 및 특정 객체가 포함된 특정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는 오디오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문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유사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터페이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특정 객체의 객체 정보와 상기 일련의 콘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객체 정보가 추출되는 특정 구간을 상기 유사 구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일련의 콘텐츠의 각 특정 콘텐츠의 특징 정보를 학습하여 특징 정보가 유사한 특정 구간을 유사 구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텐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0.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텐츠 제어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21.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텐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37444A 2018-03-30 2018-03-30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2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44A KR102124982B1 (ko) 2018-03-30 2018-03-30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44A KR102124982B1 (ko) 2018-03-30 2018-03-30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548A true KR20190114548A (ko) 2019-10-10
KR102124982B1 KR102124982B1 (ko) 2020-06-19

Family

ID=6820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444A KR102124982B1 (ko) 2018-03-30 2018-03-30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9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209A1 (ko) * 2020-04-29 2021-11-04 엠랩 주식회사 동영상 내부의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145939A1 (ko) * 2021-01-04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61A (ko) * 2000-06-12 2000-09-05 박성환 비디오 인덱싱 방식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비디오검색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60116624A (ko) * 2005-05-11 2006-11-15 주식회사 케이티 명장면 체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WO2011069948A1 (de) 2009-12-08 2011-06-16 Heinrich Heine Universität Düsseldorf Verfahren zum überwachen und/oder regeln von brennstoffzellen
KR20110114384A (ko) * 2010-04-13 2011-10-19 주식회사 소프닉스 동영상 내의 자동 객체화 방법 및 객체 서비스 저작 장치
KR20150022088A (ko) *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텍스트 기반 브이오디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브이오디 검색 방법
KR20170029933A (ko) * 2015-09-08 2017-03-16 네이버 주식회사 동영상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61A (ko) * 2000-06-12 2000-09-05 박성환 비디오 인덱싱 방식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비디오검색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60116624A (ko) * 2005-05-11 2006-11-15 주식회사 케이티 명장면 체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WO2011069948A1 (de) 2009-12-08 2011-06-16 Heinrich Heine Universität Düsseldorf Verfahren zum überwachen und/oder regeln von brennstoffzellen
KR20110114384A (ko) * 2010-04-13 2011-10-19 주식회사 소프닉스 동영상 내의 자동 객체화 방법 및 객체 서비스 저작 장치
KR20150022088A (ko) *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텍스트 기반 브이오디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브이오디 검색 방법
KR20170029933A (ko) * 2015-09-08 2017-03-16 네이버 주식회사 동영상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영상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209A1 (ko) * 2020-04-29 2021-11-04 엠랩 주식회사 동영상 내부의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145939A1 (ko) * 2021-01-04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982B1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38211A1 (en) Approximate template matching for natural language queries
US11778249B2 (en) Rewinding replacement television advertisements inserted by a smart television
US1014258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ynching supplemental audio content to video content
US117924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vailable bandwidth in a household
GB253583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a negation statement applies to a current or past query
KR20100122486A (ko)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법
US20140109020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B2530871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SR in the presence of heterographs
US20160309214A1 (en) Method of synchronizing alternate audio content with video content
US202001868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mification of real-time instructional commentating
US119684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supplemental content according to skip likelihood
US202104098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mproved skip and delay functionality in media assets
JP2019521532A (ja) ユーザの軌跡に基づく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推奨
KR20190114548A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17227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selection of pause points
US20240089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supplemental content according to skip likelihood
KR102429582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277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media to a user
US119172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selection of pause points
EP3340637A1 (en) Automatic alert to start an audio/visual program
WO20230698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selection of pause points
KR2022002345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3878A (ko) 관련 미디어 자산들의 동적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