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28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287A
KR20190114287A KR1020180036769A KR20180036769A KR20190114287A KR 20190114287 A KR20190114287 A KR 20190114287A KR 1020180036769 A KR1020180036769 A KR 1020180036769A KR 20180036769 A KR20180036769 A KR 20180036769A KR 20190114287 A KR20190114287 A KR 20190114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ase
air
defrost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244B1 (ko
Inventor
이인섭
서국정
김대환
노희열
전정민
정영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244B1/ko
Priority to PCT/KR2019/001970 priority patent/WO2019190055A1/ko
Priority to US17/041,149 priority patent/US11644230B2/en
Publication of KR2019011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12Removing frost by hot-fluid circulating system separate from the refrigerant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제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상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증발기와, 냉각 운전 시, 공기가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도록 공기를 제1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와, 제상 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제상히터와, 제상 운전 시, 공기를 증발기 주위로 순환시키도록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2유로와, 제상히터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제2유로를 통해 증발기 주위로 순환되도록 마련되는 팬과, 제1방향으로의 유로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제2유로에 마련되는 유로 저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상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여 보관한다. 냉장고의 저장실은 대략 섭씨 영상 3도 정도로 유지되어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영하 20도 정도로 유지되어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저압 저온의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내부에 구비하여 저장실의 실내 공기와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이 경우, 상온의 실외에서 고내로 유입된 수증기 또는 고내에 저장된 식품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한 수증기는 온도차에 의하여 낮은 온도의 증발기 외표면에 성에로 착상되었다.
이러한, 증발기의 표면에 착상된 성에는 열 교환 효율을 저하시켜, 냉장고의 냉각 효율을 떨어뜨리고 소비전력의 증대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장치가 냉장고에 구비되었다.
제상 장치는, 히터를 이용하여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히터는 증발기 하단에 위치하여 증발기 상단과 온도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인해 필요 이상의 에너지를 투입하게 되어 제상에너지가 증가하며 냉장고 소비전력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저장실 내 온도를 상승시켜 식품 보관 성능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상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제상 시간을 단축하여 제상 에너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제상열에 의한 저장실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식품 보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증발기; 냉각 운전 시, 공기가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도록 공기를 제1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 제상 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제상히터; 제상 운전 시, 공기를 상기 증발기 주위로 순환시키도록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2유로; 상기 제상히터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상기 제2유로를 통해 증발기 주위로 순환되도록 마련되는 팬; 상기 제1방향으로의 유로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2유로에 마련되는 유로 저항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유로는, 냉각 운전시, 상기 증발기로 열을 전달한 공기를 상기 저장실로 안내하도록 마련되고, 제상 운전시, 상기 제상히터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를 상기 제2유로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유로 저항부는, 상기 제2유로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유로는, 제상 운전시, 상기 제1유로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2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유로 저항부는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상기 제2유로의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경사지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삼각형, 유선형, 웨이브, 다각형, 반구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교번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상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상 케이스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상 케이스는 상기 팬이 설치되도록 마련된 팬 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상 케이스는, 상기 제상히터의 열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후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와,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 쪽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상기 제상 케이스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증발기; 냉각 운전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팬; 제상을 하도록 마련되는 제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 장치는, 제상 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제상히터; 상기 제상히터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상기 증발기 주위로 순환되도록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상 케이스; 상기 제상 케이스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 상기 제1유로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2유로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2팬; 상기 제2유로 내에 마련되는 복수의 유로 저항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유로 저항부재는, 상기 제상 케이스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제1유로는, 냉각 운전시 상기 증발기로 열을 전달한 공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유로 저항부재는 냉각 운전 시, 공기가 상기 제2유로로 바이패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유로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으로 마련되며, 서로 교번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상 시간을 단축하여 제상 에너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상 효율을 향상시키며,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상열에 의한 저장실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식품 보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기술 대비 댐퍼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저장실 내용적 개선 및 재료비 절감, 설치 공간 및 구조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 냉각 운전 시에는 유동 저항이 크고, 제상 운전 시에는 유동 저항이 작은 비대칭 유로 형상을 적용하여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분이 제상유로로 바이패스(Bypass)되어 발생하는 손실은 최소화하고 제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가 마련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의 유로 저항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에 의한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되는 제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되는 제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되는 제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되는 제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되는 제상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된 제상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상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에 의한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가 마련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의 유로 저항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에 의한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본체(10),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냉동실(20), 냉장실(30)), 저장실(20,30)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30)을 형성하는 내상(10b)과, 내상(10b)의 외측에 결합되어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0a), 내상(10b)과 외상(10a) 사이에 배치되어 저장실(20,30)을 단열하는 단열재(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30)은 중간 격벽(11)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20)과 하측의 냉동실(30)로 구획될 수 있다. 냉장실(20)은 대략 영상 3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고, 냉동실(30)은 대략 영하 18.5℃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다. 냉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과 식품을 보관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박스(24)가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20)과 냉동실(30)은 각각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가지고, 냉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도어(21,21a,21b)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동실(3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대해 선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미도시)가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마련된다.
저장실(20,30)의 내측 후방에는 저장실(20,30)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40)가 설치되고, 증발기(40)의 상측에는 저장실(20,30)의 내부로 냉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이하, 제1팬(51))이 설치되며, 제1팬(51)에 의해 유도된 냉기를 저장실(20,30)로 안내하여 저장실(20,30)로 토출시키는 냉기 덕트(50)가 마련된다.
증발기(40)의 하측에는 증발기(40)에 착상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70)가 마련된다. 제상 히터(70)는 증발기(40)와 냉기 덕트(50)에 마련되는 토출구(미도시) 등에 발생하는 결빙이나 서리 등을 제거하여 저장실(20,30)로 냉기가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상 히터(70)는 시즈 히터(sheath heater), 코드 히터(cord heater), 사이클 자체의 고온 가스(gas), 히트 펌프 사이클(heat pump cyc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냉기 덕트(50)는 저장실(20,30)의 후방에 마련되어 증발기(40)에 의해 생성된 냉기 즉, 증발기(40)로 열을 전달한 공기가 저장실(20,30)로 공급되도록 유도한다.
냉기 덕트(50)에는 증발기(40) 및 제1팬(51)이 장착된다. 냉기 덕트(50)에는 증발기(40)에 의해 생성된 냉기가 저장실(20,30)로 공급되도록 냉기 토출구(52)가 형성될 수 있다. 냉기 토출구(5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냉기 덕트(50)에는 냉각 운전 시, 증발기(40)에서 생성된 냉기가 제1팬(51)에 의해 저장실(20,30)로 공급되도록 제1유로(210)가 마련된다.
제1유로(210)는 냉각 운전 시, 증발기(40)로 열을 전달한 공기를 저장실(20,30)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증발기(40)로 열을 전달한 공기는 제1팬(51)에 의해 제1유로(21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이하, 제1방향(A))으로 이동한다. 증발기(40)로 열을 전달한 냉기는 제1유로(210)의 제1방향(A)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증발기(40)는 저장실(20,30)의 후방에 마련되어 하측에서 상측으로 냉기가 이동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증발기는 저장실의 하면 또는 상면에 배치되어 각각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제상을 하도록 마련되는 제상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상 장치(100)는 제상 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제상 히터(70)를 포함한다. 제상 히터(70)는 증발기(4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상 히터(7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대류에 의해 상승되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냉기 덕트(50) 및 제1유로(210)는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어 제상 히터(7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하측에서 상측(제1방향(A))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냉각 덕트 및 증발기는 저장실의 하면 또는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상 히터는 제빙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빙 히터는 증발기의 상단 또는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상 장치(100)는 증발기(4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상 장치(100)는 증발기(40)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상 장치(100)는 본체(10)의 내상(10b)에 설치될 수 있다. 제상 장치(100)는 본체(10)의 내상(10b)과 외상(1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상 장치(100)는 본체(10)의 내상(10b)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상 장치(100)는 내상(10b)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상 장치(100)는 제상 케이스(110)와, 제상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제상팬(이하, 제2팬(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상 장치(100)는 제상 히터(70)에 의해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대류에 의해 제1유로(210)의 제1방향(A)으로 이동되면, 제1유로(210)를 지난 제상 히터(70)에 의해 열을 전달 받은 공기를 제2유로(220)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제2유로(220)는 제상 운전 시,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증발기(40) 주위로 순환되도록 마련된다.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제2유로(220)로 순환될 수 있도록 제2팬(120)이 설치될 수 있다. 제2팬(120)은 제1유로(210)를 지난 공기가 제2유로(2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1팬(51)과 제2팬(12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된다.제상 케이스(110)는 제1케이스(110a)와 제2케이스(110b)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10a)와 제2케이스(110b)는 케이스 결합부(13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a)에는 제1케이스 결합부(131)가 마련되고, 제2케이스(110b)에는 제2케이스 결합부(132)가 마련된다. 제2케이스 결합부(132)는 제1케이스 결합부(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케이스 결합부(131)와 제2케이스 결합부(132)는 볼트 또는 후크 등의 부재를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a)와 제2케이스(110b) 사이에는 제2유로(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a)는 본체(10)의 내상(10b)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상 케이스(110)는 본체(10)의 내상(10b)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상장치 설치부(12)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상 케이스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내상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제상 케이스의 적어도 일 측면은 단열재(10c)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제상 케이스(110)에는 제상 히터(70)의 열이 증발기(40)를 통과한 후 제2유로(220)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흡입구(111)와, 제2유로(220)를 통과한 공기가 증발기(40) 쪽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112)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11)와 배출구(112)는 각각 제2케이스(110b)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11)는 제2케이스(110b)의 상측에 배치되고 배출구(112)는 제2케이스(110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입구와 배출구는 제2케이스(110b)에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팬(120)은 제1케이스(110a)와 제2케이스(1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제상 케이스(110)는 제2팬(120)이 설치되기 위한 팬 설치부(114)를 포함한다. 팬 설치부(114)는 제상 케이스(110)의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2유로(220)로 안내하도록 제상 케이스(110)의 흡입구(111)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팬 설치부(114)는 제상 케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팬 설치부(114)는 제2케이스(110b)의 상측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설치부(114)는 흡입구(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팬 설치부(114)는 흡입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제1유로(210)를 지나 제2팬(120)에 의해 제상 케이스(110)의 흡입구(111)로 유입되어 제2유로(220)로 안내되고, 흡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는 제2유로(220)의 제2방향(B)으로 안내되어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다.
제2유로(220)의 배출구(112)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제상 히터(70) 쪽으로 이동하여 제상 히터(70)에 의해 열을 전달 받아 뜨거워지고, 뜨거워진 공기는 다시 증발기(40)로 이동하여 제상 열이 누설되지 않고 순환된다.
한편, 제2유로(220)는 냉각 운전 시,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바이패스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유로 저항부(140)를 포함한다.
유로 저항부(140)는 제2유로(22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저항부(140)는 제2유로(220) 내부에서 비대칭 유동 저항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유로 저항부(140)는 냉각 운전 시에는 공기의 유동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이기 때문에 상부 방향으로의 저항이 크게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의 저항은 적게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로 저항부(140)는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141)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유로 저항 부재(141)는 제2유로(220)의 평면에 비대칭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삼각 형상으로 제2유로(2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제1두께(t1)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제1부재(141a)와, 제1부재(141a)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부재(141b)를 포함한다. 제2부재(141b)는 제1부재(141a)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부재(141b)와 제1부재(141a)는 서로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제2유로(220)의 하부에 적어도 한 줄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제2유로(220)의 하부에 비대칭을 구현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제2유로(220)의 하부 방향 유동 저항을 줄이고, 상부 방향 유동 저항을 증대하도록 마련된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제1케이스(110a)와 제2케이스(1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제상 케이스(11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제1케이스(110a)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제2케이스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7 은 냉장고(1)의 냉각 운전과 제상 운전 시, 제상 장치(100)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냉장고(1)의 냉각 운전 시, 증발기(40)는 냉매의 열 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하며, 증발기(40)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증발기(40) 상부에 마련된 제1팬(51)에 의해 제1방향(A)으로 이동하며, 냉기 덕트(50)로 안내되어 각각의 저장실(20,30)로 공급된다.
이때, 제상 장치(100)의유로 저항부(140)는 상부 방향 유동 저항을 증대시켜, 증발기(40)로부터 열을 전달한 공기가 제2유로(220)로 바이패스 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냉장고(1)의 제상 운전 시, 제상 장치(100)의 제상 히터(70)가 동작된다. 제상 히터(70)에 의해 가열된 뜨거운 공기는 대류에 의해 상승한다.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공기는 증발기(40)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고, 제1유로(210)를 지나 제2팬(120)에 의해 제2유로(220)로 유입된다.
이때, 제1팬(51)과 제2팬(1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작될 수 있다.
제2팬(120)에 의해 제2유로(220)로 유입된 제상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는 제2방향(B)으로 이동하여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구(112)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제상 히터(70)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기(40)로 이동하여 순환된다.
이때, 제2유로(220)에 마련된 유로 저항부(140)는 하부 방향으로의 유동 저항을 저하시켜,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가열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마련된다.
반대로, 제2유로(220)에 마련된 유로 저항부(140)는 상부 방향으로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켜 냉각 운전 시 제2유로(220)에 의해 바이 패스되는 냉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는 냉각 운전시에는 제2유로(220)의 냉기의 유동 저항을 크게 하고, 제상 운전시에는 가열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저하시켜, 냉각 운전시 제2유로(220)로의 냉기의 바이 패스에 의한 냉기 손실은 최소화하고, 가열된 공기 순환에 의한 제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상 에너지를 개선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되는 제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A)는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141A)를 포함한다.
유로 저항 부재(141A)는 제2유로(220)의 평면에 비대칭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A)는 제상 케이스(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A)는 제1케이스(110a)와 제2케이스(1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A)는 제1케이스(110a)에 형성되는 제1저항부재(141Aa)와 제2케이스(110b)에 형성되는 제2저항부재(141A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항부재(141Aa)와 제2저항부재(141Ab)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저항부재(141Aa)와 제2저항부재(141Ab)는 각각 제1케이스(110a)와 제2케이스(110b)에 제1각도(θ1)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저항부재(141Aa)는 그 상단이 제1케이스(110a)에 대해 제1각도(θ1)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저항부재(141Ab)는 그 상단이 제2케이스(110b)에 대해 제1각도(θ1)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유로 저항 부재(141A)는 제2유로(220)의 하부에 비대칭을 구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A)는 제2유로(220)의 하부 방향 유동 저항을 줄이고, 상부 방향 유동 저항을 증대하도록 마련된다. 유로 저항 부재(141A)는 제상 케이스(110A)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A)의 제1저항부재(141Aa)는 제1케이스(110a)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A)의 제2저항부재(141Ab)는 제2케이스(110b)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유로(220)에 마련된 유로 저항부(140A)는 냉각 운전 시, 상부 방향 유동 저항을 증대시켜, 제2유로(220)에 의해 바이패스 되는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제상 운전 시, 유로 저항부(140A)는 하부 방향의 유동 저항을 저하시켜,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가열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된다. 즉,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A)는 냉각 운전시에는 냉기의 유동 저항을 크게 하고, 제상 운전시에는 가열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저하시켜, 냉각 운전 시 제2유로(220)로의 냉기의 바이 패스에 의한 손실은 최소화하고 제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상 에너지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유로(220)의 유로 저항부(140A)에 의한 공기의 흐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되는 제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B)는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141B)를 포함한다.
유로 저항 부재(141B)는 제2유로(220)의 평면에 비대칭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B)는 제상 케이스(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B)는 제1케이스(110a)와 제2케이스(1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B)는 제1케이스(110a)에 형성되는 제1저항부재(141Ba)와 제2케이스(110b)에 형성되는 제2저항부재(141B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항부재(141Ba)와 제2저항부재(141Bb)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저항부재(141Ba)와 제2저항부재(141Bb)는 각각 제1케이스(110a)와 제2케이스(110b)에 제2각도(θ2)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저항부재(141Ba)는 그 상단이 제1케이스(110a)에 대해 제2각도(θ2)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저항부재(141Bb)는 그 상단이 제2케이스(110b)에 대해 제2각도(θ2)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유로 저항 부재(141B)는 제2유로(220)의 하부에 비대칭을 구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B)는 제2유로(220)의 하부 방향 유동 저항을 줄이고, 상부 방향 유동 저항을 증대하도록 마련된다. 유로 저항 부재(141B)는 제상 케이스(110B)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B)는 냉각 운전시에는 제2유로(220)의 냉기의 유동 저항을 크게 하고, 제상 운전시에는 가열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저하시켜, 냉각 운전시 제2유로(220)로의 냉기의 바이 패스에 의한 냉기 손실은 최소화하고, 가열된 공기 순환에 의한 제상 시간을 단축하여 제상 에너지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유로(220)의 유로 저항부(140B)에 의한 공기의 흐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되는 제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한다.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C)는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141C)를 포함한다.
유로 저항 부재(141C)는 제2유로(220)의 평면에 비대칭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C)는 삼각 형상으로 제2유로(22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C)는 제2유로(220)의 하부에 적어도 한 줄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C)는 제2유로(220)의 하부에 비대칭을 구현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1부재(141Ca)와, 제1부재(141Ca)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부재(141Cb)와, 제2부재(141Cb)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부재(141Cc)를 포함한다.
제1부재(141Ca)와 제2부재(141Cb), 그리고 제3부재(141Cc)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부재(141Ca)는 제2,3 부재(141Cb,141Cc) 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부재(141Cb)는 제3부재(141Cc) 보다 크게 형성된다. 동일한 형상으로 크기가 다르게 마련되는 유로 저항 부재(141C)의 배치를 다양하게 변경 함으로써 비대칭 유동 저항을 구현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C)는 제2유로(220)의 하부 방향 유동 저항을 줄이고, 상부 방향 유동 저항을 증대하도록 마련된다. 유로 저항 부재(141C)는 제상 케이스(11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C)는 냉각 운전시에는 제2유로(220)의 냉기의 유동 저항을 크게 하고, 제상 운전시에는 가열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저하시켜, 냉각 운전시 제2유로(220)로의 냉기의 바이 패스에 의한 냉기 손실은 최소화하고, 가열된 공기 순환에 의한 제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상 에너지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유로(220)의 유로 저항부(140C)에 의한 공기의 흐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되는 제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한다.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D)는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141D)를 포함한다.
유로 저항 부재(141D)는 제2유로(220)의 평면에 비대칭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D)는 유선 형상으로 제2유로(22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D)는 제2유로(220)의 하부에 적어도 한 줄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D)는 제2유로(220)의 하부에 비대칭을 구현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D)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제1저항부재(141Da)과, 제1저항부재(141Da)와 연결되어 곡선으로 형성되는 제2저항부재(141D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항부재(141Da)와 제2저항부재(141Db)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D)는 제2유로(220)의 하부 방향 유동 저항을 줄이고, 상부 방향 유동 저항을 증대하도록 마련된다. 유로 저항 부재(141D)는 제상 케이스(11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D)는 냉각 운전시에는 제2유로(220)의 냉기의 유동 저항을 크게 하고, 제상 운전시에는 가열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저하시켜, 냉각 운전시 제2유로(220)로의 냉기의 바이 패스에 의한 냉기 손실은 최소화하고, 가열된 공기 순환에 의한 제상 시간을 단축하여 제상 에너지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유로(220)의 유로 저항부(140D)에 의한 공기의 흐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되는 제상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저항부가 마련된 제상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한다.
도 12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상 장치(100E)는 제상 케이스(110E)를 포함한다. 제상 케이스(110E)는 제1케이스(110Ea)와 제2케이스(110Eb)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10Ea)와 제2케이스(110Eb)는 케이스 결합부(130E)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 결합부(131E)는 제1케이스(110Ea)에 마련된다. 제2케이스(110Eb)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케이스(110Eb)는 제1케이스(110Ea)의 케이스 결합부(131E)에 결합된다.
제1케이스(110Ea)와 제2케이스(110Eb) 사이에는 제2유로(220E)가 형성된다. 제1케이스(110Ea)에는 제상 히터(70)의 열이 증발기(40)를 통과한 후 제2유로(220E)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흡입구(111E)와, 제2유로(220E)를 통과한 공기가 증발기(40) 쪽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112E)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11E)와 배출구(112E)는 각각 제1케이스(110Ea)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11E)는 제1케이스(110Ea)의 상측에 배치되고 배출구(112E)는 제1케이스(110E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Ea)는 제2팬(120E)이 설치되기 위한 팬 설치부(114E)를 포함한다. 팬 설치부(114E)는 흡입구(111E)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2유로(220E)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제1유로(210)를 지나 제2팬(120E)에 의해 제상 케이스(110E)의 흡입구(111E)로 유입되어 제2유로(220E)로 안내되고, 흡입구(111E)로 유입된 공기는 제2유로(220E)의 제2방향(B)으로 안내되어 배출구(112E)를 통해 배출된다.
제2유로(220E)의 배출구(112E)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제상 히터(70) 쪽으로 이동하여 제상 히터(70)에 의해 열을 전달 받아 뜨거워지고, 뜨거워진 공기는 다시 증발기(40)로 이동하여 제상 열이 누설되지 않고 순환된다.
한편, 제2유로(220E)는 냉각 운전 시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저장실(20,30) 측으로 바이패스(Bypass)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로 저항을 발생시키는 유로 저항부(140E)를 포함한다.
유로 저항부(140E)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저항부(140E)는 비대칭 유동 저항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유로 저항부(140E)는 냉각 운전 시에는 유동이 상부 방향이기 때문에 상부 방향의 저항이 크게 형성되고, 하부 방향의 저항은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저항부(140E)는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141E)를 포함한다. 유로 저항 부재(141E)는 제2유로(220E)의 평면에 비대칭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E)는 곡선 형상으로 제2유로(220E)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E)는 제2유로(220E)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E)는 유선 형상으로 상단은 제1케이스(110Ea) 및 제2케이스(110Eb)에 각각 고정된다. 유로 저항 부재(141E)의 하단은 제1케이스(110Ea) 및 제2케이스(110Eb)로부터 이격되어 마련된다.
유로 저항 부재(141E)는 제2유로(220E)의 하부에 적어도 한 줄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E)는 제2유로(220)의 하부 방향 유동 저항을 줄이고, 상부 방향 유동 저항을 증대하도록 마련된다. 유로 저항 부재(141E)는 제1케이스(110Ea)와 제2케이스(110E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E)는 제1케이스(110Ea)에 마련되는 제1부재(141Ea)와 제2케이스(110Eb)에 마련되는 제2부재(141E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141Ea)와 제2부재(141Eb)는 서로 이격되어, 교차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저항 부재(141E)는 제상 케이스(110E)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E)는 냉각 운전시에는 제2유로(220)의 냉기의 유동 저항을 크게 하고, 제상 운전시에는 가열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저하시켜, 냉각 운전시 제2유로(220)로의 냉기의 바이 패스에 의한 냉기 손실은 최소화하고, 가열된 공기 순환에 의한 제상 시간을 단축하여 제상 에너지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유로(220E)의 유로 저항부(140E)에 의한 공기의 흐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상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상 장치에 의한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한다.
도 14 내지 도 15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상 장치(100F)는 제1케이스(110Fa)와 제2케이스(110Fb)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10Fa)와 제2케이스(110Fb)는 케이스 결합부(130E)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Fa)와 제2케이스(110Fb) 사이에는 제2유로(220F)가 형성된다. 제2케이스(110Fb)에는 제상 히터(70)의 열이 증발기(40)를 통과한 후 제2유로(220F)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흡입구(111F)와, 제2유로(220F)를 통과한 공기가 증발기(40) 쪽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112F)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케이스(110Fb)는 제2팬(120F)이 설치되기 위한 팬 설치부(114F)를 포함한다. 팬 설치부(114F)는 흡입구(111F)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2유로(220F)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팬 설치부(114F)는 제2팬(120F)이 제3각도(θ3)로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팬(120F)은 제3각도(θ3)로 설치될 수 있다. 제2팬(120F)을 통해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제1유로(210)를 지나 제상 케이스(110F)의 흡입구(111F)로 유입되어 제2유로(220F)로 안내되고, 제2유로(220F)의 제2방향(B)으로 안내되어 배출구(112F)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제2유로(220F)의 배출구(112F)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제상 히터(70) 쪽으로 이동하여 제상 히터(70)에 의해 열을 전달 받아 뜨거워지고, 뜨거워진 공기는 다시 증발기(40)로 이동하여 제상 열이 누설되지 않고 순환될 수 있다.
제2팬(120F)은 제2유로(120F)내에 소정 각도를 갖도록 설치 가능하여 제2유로(120F)의 제상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유로(220F)는 냉각 운전 시 제상 히터(70)로부터 열을 전달 받은 공기가 저장실(20,3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력에 의해 닫히고 제2팬(120F)의 동작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열릴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160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부재(160F)는 제2유로(220F)의 배출구(112F)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 부재(160F)는 냉각 운전 시 증발기(40)로 열을 전달한 공기가 제2유로(220F)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개폐부재(160F)는 댐퍼 또는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상 장치(100)의 유로 저항부(140F)는 냉각 운전시에는 제2유로(220)의 냉기의 유동 저항을 크게 하고, 제상 운전시에는 가열된 공기의 유동 저항을 저하시켜, 냉각 운전 시 제2유로(220)로의 냉기의 바이 패스에 의한 냉기 손실은 최소화하고, 가열된 공기 순환에 의한 제상 시간을 단축하여 제상 에너지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유로(220)의 유로 저항부(140F)에 의한 공기의 흐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10 : 본체
11 : 격벽 20 : 냉장실
30 : 냉동실 40 : 증발기
50 : 냉기 덕트 51 : 제1팬
52 : 냉기 토출구 70 : 제상 히터
100 : 제상 장치 110 : 제상 케이스
120 : 제2팬 130 : 케이스 결합부
140 : 유로 저항부 141 : 유로 저항 부재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증발기;
    냉각 운전 시, 공기가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도록 공기를 제1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
    제상 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제상히터;
    제상 운전 시, 공기를 상기 증발기 주위로 순환시키도록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2유로;
    상기 제상히터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공기가 상기 제2유로를 통해 증발기 주위로 순환되도록 마련되는 팬;
    상기 제1방향으로의 유로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2유로에 마련되는 유로 저항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냉각 운전시, 상기 증발기로 열을 전달한 공기를 상기 저장실로 안내하도록 마련되고,
    제상 운전시, 상기 제상히터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공기를 상기 제2유로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저항부는,
    상기 제2유로 하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는,
    제상 운전시, 상기 제1유로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2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저항부는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상기 제2유로의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되는 냉장고.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삼각형, 유선형, 웨이브, 다각형, 반구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교번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냉장고.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상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상 케이스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케이스는 상기 팬이 설치되도록 마련된 팬 설치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케이스는,
    상기 제상히터의 열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후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와,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 쪽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상기 제상 케이스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냉장고.
  15.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증발기;
    냉각 운전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팬;
    제상을 하도록 마련되는 제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 장치는,
    제상 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제상히터;
    상기 제상히터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공기가 상기 증발기 주위로 순환되도록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상 케이스;
    상기 제상 케이스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 상기 제1유로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2유로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2팬;
    상기 제2유로 내에 마련되는 복수의 유로 저항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저항부재는, 상기 제상 케이스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냉장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냉각 운전시 상기 증발기로 열을 전달한 공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저항부재는 냉각 운전 시, 공기가 상기 제2유로로 바이패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유로 하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 저항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으로 마련되며, 서로 교번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냉장고.
KR1020180036769A 2018-03-29 2018-03-29 냉장고 KR102532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69A KR102532244B1 (ko) 2018-03-29 2018-03-29 냉장고
PCT/KR2019/001970 WO2019190055A1 (ko) 2018-03-29 2019-02-19 냉장고
US17/041,149 US11644230B2 (en) 2018-03-29 2019-02-1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69A KR102532244B1 (ko) 2018-03-29 2018-03-29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87A true KR20190114287A (ko) 2019-10-10
KR102532244B1 KR102532244B1 (ko) 2023-05-16

Family

ID=6805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69A KR102532244B1 (ko) 2018-03-29 2018-03-29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44230B2 (ko)
KR (1) KR102532244B1 (ko)
WO (1) WO201919005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525B1 (ko) * 2021-08-06 2022-03-1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외단열 시스템 평가에 사용되는 장기 제상 시스템
KR20220065609A (ko) * 2020-11-13 2022-05-20 조병재 냉동탑차용 샌드위치 축냉 패널 냉동기
US11359855B2 (en) 2018-11-30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579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그릴팬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839A (ja) * 1994-07-27 1996-02-16 Noritz Corp 連続燃焼装置
KR20100085228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제상 장치
US20180259239A1 (en) * 2017-03-10 2018-09-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353B1 (ko) * 1998-11-28 2001-10-20 구자홍 냉장고의하부구조
KR20020015242A (ko) 2000-08-21 2002-02-27 구자홍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100526603B1 (ko) 2003-07-08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제어 방법
US7735522B2 (en) 2005-12-23 2010-06-15 Bioquiddity, Inc. Fluid flow control device
KR20080074434A (ko) 2007-02-09 200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47213B1 (ko) 2013-10-21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CN107003057B (zh) * 2014-12-05 2020-03-06 豪威株式会社 冷水产生罐和配备有冷水产生罐的水冷却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839A (ja) * 1994-07-27 1996-02-16 Noritz Corp 連続燃焼装置
KR20100085228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제상 장치
US20180259239A1 (en) * 2017-03-10 2018-09-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9855B2 (en) 2018-11-30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20065609A (ko) * 2020-11-13 2022-05-20 조병재 냉동탑차용 샌드위치 축냉 패널 냉동기
KR102375525B1 (ko) * 2021-08-06 2022-03-1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외단열 시스템 평가에 사용되는 장기 제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44230B2 (en) 2023-05-09
US20210010740A1 (en) 2021-01-14
WO2019190055A1 (ko) 2019-10-03
KR102532244B1 (ko)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9071B2 (en) Refrigerator
KR100889821B1 (ko)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US20200284493A1 (en) Refrigerator
CN107289707B (zh) 风冷冰箱
KR102532244B1 (ko) 냉장고
US8261572B2 (en) Food heat-exchan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408527B2 (en) Refrigerator
US10634418B2 (en) Refrigerator
EP3637020A1 (en) Heat conduction unit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EP2778577B1 (en) Refrigerator
KR10212640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102492165B1 (ko) 냉장고
US8302424B2 (en) Refrigerator
RU2422737C1 (ru) Холодильник
JP6563273B2 (ja) 冷蔵庫
CN113074491A (zh) 一种风冷冰箱
KR101698101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30016987A (ko) 냉각 선반이 장착된 냉장고
KR101811496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US20160370087A1 (en) Cooled-air circula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7475869B2 (ja) 冷蔵庫
KR20220010197A (ko) 냉장고
JP6865349B2 (ja) 冷蔵庫
US20200011584A1 (en) Refrigerator and Support Device for Refrigerator
KR20210153479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