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278A -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 Google Patents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278A
KR20190114278A KR1020180036744A KR20180036744A KR20190114278A KR 20190114278 A KR20190114278 A KR 20190114278A KR 1020180036744 A KR1020180036744 A KR 1020180036744A KR 20180036744 A KR20180036744 A KR 20180036744A KR 20190114278 A KR20190114278 A KR 2019011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ressing member
prevent
burn
elastic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근
Original Assignee
오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근 filed Critical 오종근
Priority to KR1020180036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4278A/ko
Publication of KR2019011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38Flexibility, stretchability or elasticity
    • A61F13/0003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57Wound bandages for burns or skin trans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Wound bandages applying of mechanical pressure; passive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87Plasters use skin protection
    • A61F2013/00391Plasters use skin protection from irradiation, e.g. su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519Plasters use for treating bu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74Plasters form or structure shaped as a body p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공하여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Pressing band for burn area to prevent skin deformation and skin color change in burn area}
본 발명은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공하여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에 관한 것이다.
화상은 높은 온도의 기체, 액체, 고체, 화염 따위에 데었을 때에 일어나는 피부의 손상으로서, 경증(輕症)은 피부가 벌겋게 된 상태, 제 1도는 물집이 생긴 상태, 제 2도는 피부가 익어서 갈색이 된 상태, 제 3도는 숯덩이 같이 된 상태로 화상의 면적이 온몸의 30%에 이르면 생명이 위험한 질환이다.
화상을 입으면 상처는 일시적으로 혈관이 수축되다가 자체 염증시기로 넘어가 붓고 진물이 나기 시작하며, 이후 혈관과 상피(표피)가 재생되기 시작하고 3-5일 후부터 새살(콜라겐)이 차고 수축하면서 상처가 줄어들기 시작한다.
하지만, 재생된 새살(콜라겐 흉터 조직)은 정상 피부보다 많이 형성되고 규칙적인 배열이 아닌 뒤엉킨 구조를 하고 있어 쉽게 쪼이고 튀어 올라오게 되며, 콜라겐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 주위의 피부장력에 의해 쉽게 벌어지고, 주위 피부장력이 강한 부위나 생성된 흉터가 피부장력을 이기지 못하면 이에 대항하기 위해 흉터를 많이 만들어내므로 비후성 흉터(떡살)가 생기게 되며, 흉터가 수축되면서 주위의 피부를 당겨 주위조직에 변형을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화상의 치료로는 상처를 정기적으로 청결히 소독 또는 세척하고 화상 연고를 도포한 후 거즈를 덮고 붕대로 감아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며, 이때 얼굴 부위는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 주로 노출시켜서 치료한다.
이후, 상기 감염의 위험이 모두 사라지고, 피부의 변형이 발생하는 재생단계에서는 붕대가 아닌, 압박 의복 등을 착용하게 된다.
상기 화상의 치료로도 사용되는 상기 붕대는 일반적인 상처에도 사용되는 붕대가 사용되며, 이러한 붕대의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4914는 나노실버가 함유된 붕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인용기술은 살균효과가 종래에 알려진 은나노(나노실버) 입자를 부직포나 면 섬유 등에 혼합시킨 붕대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상처로부터 발생하는 고름 등과 같은 삼출물은 면 또는 부직포 등에 흡착된 후 마르면서 창상과 부착되고 그로 인해 붕대 교환시 출혈이나 통증이 심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상 환부에 화상 치료제를 바르는 경우 거즈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붕대에 포함된 은나노 입자는 거즈 등에 의하여 환부에 직접 접촉을 할 수 없으므로, 은나노 입자에 의한 살균효과는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더 나아가, 화상 환부 중 감염의 위험이 있는 일부 국소만을 위하여 상기 인용기술에 따른 은 나노 붕대를 사용하는 경우, 재생단계에서 이미 콜라겐의 돌출이 현저하게 발생하는 피부 변형의 방지를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반대로, 종래의 압박 의복을 사용하는 경우 재생단계가 아닌 화상부위에서의 2차 감염의 염려가 있다.
따라서, 화상 환자가 가지는 특수성 등을 고려한 붕대 및 압박 밴드는 현재까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각각 살균효과 또는 성형효과의 일 측면을 강조하는 기술만이 개시되어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피부에 자극이 없고 시술 치료제 병행 사용에 불편함이 없는 인체 부위별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91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공하여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조함에 있어,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과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2면의 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혹은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의 양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마감 박음질은 두줄 박음질로 수행함으로써, 압박부재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조함에 있어, 화상 직후에 사용하기 위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화상 치료시 사용하기 위하여 비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화상 치유 단계에 따른 선택 맞춤형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는,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인체 소정 부위를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압박시키는 탄력성 압박부재(100)와,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의 일측에 봉제되어 인체 소정 부위 착용 후, 슬라이더(210)를 통해 개폐시켜 탄력성 압박부재(100)를 인체 소정 부위에 밀착시키는 자크부재(200)와,
상기 자크부재(20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자크부재의 내면이 인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크접촉방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가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제공함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는,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공하여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조함에 있어,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과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2면의 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혹은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의 양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마감 박음질은 두줄 박음질로 수행함으로써, 압박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상승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조함에 있어, 화상 직후에 사용하기 위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화상 치료시 사용하기 위하여 비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화상 치유 단계에 따른 선택 맞춤형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를 제공하는 상승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착용 예시도이며, 도 3은 두 줄 박음질 예시도이며, 도 4는 두 줄 박음질의 확대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가 손 부위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6은 팔목부터 팔까지의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발가락부터 발목까지의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10은 발바닥부터 종아리까지의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11 내지 도 12는 종아리 부위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반바지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16 내지 도 17은 반나시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18은 인체 전체에 탄력성 압박부재를 착용한 예시도이며, 도 19 내지 도 20은 턱부위 및 얼굴 부위 감싸는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는,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인체 소정 부위를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압박시키는 탄력성 압박부재(100)와,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의 일측에 봉제되어 인체 소정 부위 착용 후, 슬라이더(210)를 통해 개폐시켜 탄력성 압박부재(100)를 인체 소정 부위에 밀착시키는 자크부재(200)와,
상기 자크부재(20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자크부재의 내면이 인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크접촉방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가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는,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인체 소정 부위를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압박시키는 탄력성 압박부재(100)와,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의 일측에 봉제되어 인체 소정 부위 착용 후, 슬라이더(210)를 통해 개폐시켜 탄력성 압박부재(100)를 인체 소정 부위에 밀착시키는 자크부재(200)와,
상기 자크부재(20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자크부재의 내면이 인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크접촉방지부재(300)와,
상기 자크부재의 끝단에 설치 구성되어 자크부재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밸크로테이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가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100)는,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과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2면의 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혹은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의 양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상기 마감 박음질은 두 줄 박음질(150a, 150b)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100)는,
인체 부위가 손 부위일 경우에 손 형상, 인체 부위가 팔 부위일 경우에 팔 형상, 인체 부위가 발 부위일 경우에 발 형상, 인체 부위가 종아리 부위일 경우에 종아리 형상, 인체 부위가 허벅지 부위일 경우에 반바지 형상, 인체 부위가 상체 부위일 경우에 반나시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화상 부위별 해당 부위에 맞는 형상의 탄력성 압박부재를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100)는,
화상 직후에 사용하기 위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원단으로 제조하거나,
화상 치료시 사용하기 위하여 비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2원단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착용 예시도이며, 도 3은 두 줄 박음질 예시도이며, 도 4는 두 줄 박음질의 확대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는 탄력성 압박부재(100)와, 자크부재(200)와, 자크접촉방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100)는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인체 소정 부위를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압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의 경우에는 탄력성 압박부재가 손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며, 화상 부위에 압박을 가하기 위하여 탄력성이 있는 재질의 압박부재를 사용하게 된다.
압박부재에 사용되는 재질은 예를 들어,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 합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탄력을 제공하는 어떠한 재질이라도 상관없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크부재(200)는 탄력성 압박부재(100)의 일측에 봉제되어 인체 소정 부위 착용 후, 슬라이더(210)를 통해 개폐시켜 탄력성 압박부재(100)를 인체 소정 부위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자크부재를 구성하지 않게 되면 탄력성 압박부재의 내부로 화상 부위가 접촉되게 되므로 통증을 유발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슬라이더를 개방 위치에 놓은 후 손을 탄력성 압박부재의 내부로 삽입한 후 슬라이더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켜 손 부위에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크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면 화상 부위에 착용이 쉽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크부재의 내측면이 화상 부위와 직접 닿게 되면 자크부재에 의해 화상 부위에 상처를 유발할 수 있게 되므로 가급적 인체와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자크접촉방지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인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크부재(200)의 내면을 열처리하여 자크부재의 압박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자크부재의 내면에 열에 의해 녹는 테이프를 접착시킨 후, 열처리장치(예, 스팀다리미 등)를 이용하여 녹는 테이프를 열처리하게 되면 테이핑 처리에 의한 코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크부재의 내면이 인체에 접촉되어 자크 압박에 따라 고통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핑 처리를 통해 울퉁불퉁한 자크부재의 내면을 어느 정도 부드럽게 변형시키게 되는 1차 처리를 수행하고, 다시 자크접촉방지부재(300)를 자크부재(200)의 내측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자크에 의해 눌려저 통증을 유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통해, 탄력성 압박부재가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keloid란, 피부 손상 후 발생하는 상처 치유과정에서 비정상적으로 섬유조직이 밀집되게 성장하는 질환으로 본래 상처나 염증 발생부위의 크기를 넘어서 주변으로 자라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주위의 정상 피부로 침윤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자크부재의 끝단에 설치 구성되어 자크부재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밸크로테이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크부재의 끝단에 밸크로테이프(400)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자크부재를 슬라이딩시켜 완전히 폐쇄시킨 후, 밸크로테이프로 단단히 고정시켜 착용 후, 활동하다가 자크부재가 개방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자크부재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100)는,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과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2면의 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혹은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의 양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상기 마감 박음질은 두 줄 박음질(150a, 150b)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동이 활발한 신체 부위의 경우에는 일상 활동을 하다보면 탄력성 압박부재가 터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과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2면의 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혹은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의 양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상기 마감 박음질은 두 줄 박음질(150a, 150b)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 부위의 경우에는 자주 사용하는 신체 부위이기 때문에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130a)과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2면(130b)의 끝단을 마감 박음질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두 줄 박음질(150a, 150b)로 수행함으로써, 탄력성 압박부재의 터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손 부위에 대하여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조할 경우에 하나의 면을 가지고 마감 박음질을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의 양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상기 마감 박음질은 두 줄 박음질(150a, 150b)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활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신체 부위의 경우에는 마감 박음질을 두 줄 박음질을 수행하게 되어 탄력성 압박부재의 터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가 손 부위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6은 팔목부터 팔까지의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발가락부터 발목까지의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10은 발바닥부터 종아리까지의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11 내지 도 12는 종아리 부위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반바지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16 내지 도 17은 반나시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며, 도 18은 인체 전체에 탄력성 압박부재를 착용한 예시도이며, 도 19 내지 도 20은 턱부위 및 얼굴 부위 감싸는 형상을 가진 예시도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력성 압박부재(100)는 인체 부위별 해당 인체 부위에 압박을 가하기 위하여 해당 부위별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에는 인체 부위가 손 부위일 경우에 탄력성 압박부재는 손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5 내지 도 6은 인체 부위가 팔 부위일 경우에 탄력성 압박부재는 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7 내지 도 10은 인체 부위가 발 부위일 경우에 탄력성 압박부재는 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11 내지 도 12는 인체 부위가 종아리 부위일 경우에 탄력성 압박부재는 종아리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인체 부위가 허벅지 부위일 경우에 탄력성 압박부재는 반바지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16 내지 도 17은 인체 부위가 상체 부위일 경우에 탄력성 압박부재는 반나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화상이 전신에 발생하였다면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한 각각의 인체 부위별 형상을 가지고 있는 탄력성 압박부재를 착용하게 되는데, 이를 도 18에 도시하였다.
또한, 얼굴의 경우에는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력성 압박부재를 형성하고 이를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자크부재(200)를 탄력성 압박부재의 양측에 봉제시켜 양측의 자크부재에 형성된 슬라이더를 통해 개폐시켜 양측으로 인체 소정 부위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아리 부위에 착용되는 탄력성 압박부재의 양측에 자크부재를 각각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슬라이더를 폐쇄시키게 되면 도 11과 같이, 종아리 부위에 더욱 밀착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종아리 부위 혹은 팔 부위의 경우에는 어느 한 끝단만 압박하게 되면 일상 생활 속에서 흘러 내리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양측으로 단단히 밀착시키기 위하여 자크부재를 양측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밸크로테이프(40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구멍부(450a)와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부(450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크로테이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크로테이프(400)의 어느 일측에 고정구멍부(450a)를 구성하고, 타측에 고정고리부(450b)를 구성하게 되며, 고정구멍부에 고정고리부를 삽입하게 되면 더욱 단단하게 압박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100)는,
화상 직후에 사용하기 위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1원단으로 제조하거나,
화상 치료시 사용하기 위하여 비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2원단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환자들이 선택적으로 착용하기 위하여 제1원단으로 만들어진 탄력성 압박부재, 제2원단으로 만들어진 탄력성 압박부재 중 화상 시점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 도 10 내지 도 11, 도 15,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조함에 있어, 화상 직후에 사용하기 위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화상 치료시 사용하기 위하여 비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화상 치유 단계에 따른 선택 맞춤형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를 제공하는 상승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5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손 화상 직후에는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한 탄력성 압박부재를 사용하게 되며, 손 화상 치료시에는 비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한 탄력성 압박부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는 PN 재질로서, 중량비로는 폴리에스테르 89 중량비, 스판 11 중량비로 제조된 것이며, 비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는 2WAY 재질로서, 중량비로는 폴리우레탄 89 중량비, 스판 11 중량비로 제조된 원단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한 원단을 이용하게 되면 압박 기능이 우수하며, 자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하여 일상 생활에서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공하여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조함에 있어,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과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2면의 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혹은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의 양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마감 박음질은 두줄 박음질로 수행함으로써, 압박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상승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탄력성 압박부재를 제조함에 있어, 화상 직후에 사용하기 위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화상 치료시 사용하기 위하여 비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화상 치유 단계에 따른 선택 맞춤형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를 제공하는 상승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탄력성 압박부재
200 : 자크부재
300 : 자크접촉방지부재
400 : 밸크로테이프

Claims (3)

  1.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에 있어서,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인체 소정 부위를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압박시키는 탄력성 압박부재(100)와,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의 일측에 봉제되어 인체 소정 부위 착용 후, 슬라이더(210)를 통해 개폐시켜 탄력성 압박부재(100)를 인체 소정 부위에 밀착시키는 자크부재(200)와,
    상기 자크부재(20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자크부재의 내면이 인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크접촉방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가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2.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에 있어서,
    인체 소정 부위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인체 소정 부위를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압박시키는 탄력성 압박부재(100)와,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의 일측에 봉제되어 인체 소정 부위 착용 후, 슬라이더(210)를 통해 개폐시켜 탄력성 압박부재(100)를 인체 소정 부위에 밀착시키는 자크부재(200)와,
    상기 자크부재(20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자크부재의 내면이 인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크접촉방지부재(300)와,
    상기 자크부재의 끝단에 설치 구성되어 자크부재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밸크로테이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가 화상 부위를 감싸면서 압박시킴으로써, 화상 및 외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후, 외과 수술이나 피부 이식을 수행할 경우에 keloid를 억제시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자외선 차단을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성 압박부재(100)는,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과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2면의 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혹은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된 제 1면의 양끝단을 마감 박음질할 경우, 상기 마감 박음질은 두 줄 박음질(150a, 150b)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KR1020180036744A 2018-03-29 2018-03-29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KR20190114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44A KR20190114278A (ko) 2018-03-29 2018-03-29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44A KR20190114278A (ko) 2018-03-29 2018-03-29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78A true KR20190114278A (ko) 2019-10-10

Family

ID=6820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44A KR20190114278A (ko) 2018-03-29 2018-03-29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42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369A (ko) * 2021-06-01 2022-12-08 근로복지공단 화상 안면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914Y1 (ko) 2004-11-02 2005-02-07 양원동 나노실버가 함유된 붕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914Y1 (ko) 2004-11-02 2005-02-07 양원동 나노실버가 함유된 붕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369A (ko) * 2021-06-01 2022-12-08 근로복지공단 화상 안면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3961B2 (en) Fabrics, compression garments and compression garment systems
AU782619B2 (en) Tubular compression orthosis for immobilising a lower limb after a venous surgical procedure
US20070271680A1 (en) Adjustable sock for people with diabetes and injuries
US20160151211A1 (en) Garment
JP5128473B2 (ja) カルボキシメチル化セルロース系創傷包帯ガーメント
WO2011143489A2 (en) Variable compression stockings
US20160051413A1 (en) Wound care foot wrap
US20100082007A1 (en) Post-operative garmen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st-operative leakage
KR20190114278A (ko) 화상 부위의 피부 변형과 피부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 부위용 압박 밴드
AU2015309662A1 (en) Wound care mask
CA2661075C (en) Medical instrument for applying compressing force to body trunk and extremities
WO2001021119A1 (en) Sock or stocking for therapeutic use
US20170175310A1 (en) Fabrics, compression garments and compression garment systems
KR101759074B1 (ko) 수술용 압박스타킹 및 이의 권취방법
KR102105406B1 (ko) 대퇴부용 지혈 보조 기구
Hampton Elvarex compression garments in the management of lymphoedema
KR20090077307A (ko) 화상치료용 압박 섬유 및 이를 이용한 화상치료용 의복
US20130267882A1 (en) Amputation dressings
CN221083899U (zh) 一种可重复使用长期卧床患者防足跟压疮护理用具
CN211065171U (zh) 一种股沟穿刺止血手术裤
JP3225814U (ja) ショーツ
CN214432058U (zh) 下肢血管疾病介入治疗专用手术裤
CN217219382U (zh) 一种梯度压力袜
CN209347215U (zh) 一次性关节镜手术治疗巾
KR200334450Y1 (ko) 의료용 속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