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226A -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226A
KR20190114226A KR1020180036611A KR20180036611A KR20190114226A KR 20190114226 A KR20190114226 A KR 20190114226A KR 1020180036611 A KR1020180036611 A KR 1020180036611A KR 20180036611 A KR20180036611 A KR 20180036611A KR 20190114226 A KR20190114226 A KR 20190114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hannel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perf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3349B1 (en
Inventor
정봉수
기성종
진용숙
황중섭
이존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8003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349B1/en
Publication of KR20190114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7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with ventilating mean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erosol generation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 which is capable of increasing cooling effect for main stream smok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erosol generation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 comprises: an aerosol generation base part; a first channel-type stream transfer element adjacent to the aerosol generation base part to be placed in a downstream of the aerosol generation base part; a second channel-type stream transfer element adjacent to the first channel-type stream transfer element to be placed in a downstream of the first channel-type stream transfer element; an end filter adjacent to the second channel-type stream transfer element to be placed in a downstream of the second channel-type stream transfer element; and a packaging material covering the aerosol generation base part, the first and second channel-type stream transfer elements, and the end filter. The second channel-type stream transfer element has a greater inn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rst channel-type stream transfer element, and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position spaced 12 to 24 mm apart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end filter toward an upstream direction in the packaging material.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천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 효과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천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One or more embodiments relate to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t least one aperture for a cooling effect.

근래에 일반적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를 가열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lternative method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common aerosol-generating articles. For examp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erosol-generating methods by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i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rather than burn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to produce an aerosol. Accordingly, research on heated aerosol-generating articles or heated aerosol-generating devic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연소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비연소식(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에 포함된 특정 성분을 필터링하거나, 에어로졸을 냉각시키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 근래에, 필터를 구성하는 성분을 변경하거나 필터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Combustion aerosol-generating articles or non-combustible (heating) aerosol-generating articles include filters for filtering certain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erosol or for cooling the aerosol. In recent years, research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filter by changing the component which comprises a filter, or the structure of a filter is ongoing.

종래 기술로서 비연소식(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이용되는 궐련은 궐련에서 발생되는 주류연을 냉각시키기 위해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구비한 필터를 구비한다.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구비한 필터는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의 구조와 재료적 특성을 이용하여 주류연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적절한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Cigarettes used in conjunction with non-combustible (heated) aerosol-generating devices in the prior art have a filter with a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to cool the mainstream smoke generated in the cigarette. A filter having a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can cool the mainstream smoke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the user to inhale using the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of the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하지만 종래의 궐련의 필터에 구비되는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는 냉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특정 형태와 구조로 제조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구비하는 필터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고, 제조 단가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궐련의 필터와 같은 냉각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필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 단가를 감소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 However, the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provided in the filter of the conventional cigarette needs to be manufactured in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in order to enhance the cooling effect, and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lter including the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can be complicated. 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lter and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while maintaining the cooling effect as a conventional cigarette filter.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천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One or more embodiments provide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t least one apertu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technical problems can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와 접경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와 접경하여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와 접경하여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하류에 위치하는 말단 필터;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상기 말단 필터를 감싸는 포장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는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이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말단 필터의 하류 말단으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12mm 내지 24mm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A first channel-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located downstream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and bordering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A second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first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djacent to the first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n end filter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butting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nd a packaging material surrounding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the first channel type air flow transfer element, the second channel type air flow transfer element, and the end filter, wherein the second channel type air flow transfer element is the first channel type air flow. It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 transfer element and at least one perforat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position spaced 12 mm to 24 mm upstream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end filter in the packaging.

사용자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흡연 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를 통과하는 주류연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와 혼합됨으로써 냉각될 수 있다.When a user smokes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the mainstream smoke generat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is introduced into the at least one aperture. It can be cooled by mixing with air.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흡연 시,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말단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When smok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end filter may be cooled by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t least one aperture. have.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은 상기 포장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4개 내지 10개의 홀(hole)을 구비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erfora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have 4 to 10 hole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의 길이는 11mm 내지 13mm이고,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길이는 9mm 내지 11mm이고,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길이는 13mm 내지 15mm이고, 상기 말단 필터의 길이는 11mm 내지 13mm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은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를 감싸는 부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is 11mm to 13mm, the length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is 9mm to 11mm, the length of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is 13mm to 15mm, the length of the end filter 11 mm to 13 mm, wherein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surrounding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은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말단 필터의 하류 말단으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15mm 내지 22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erfora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end filter by 15 mm to 22 mm in the packaging material.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포장재의 사이에 다공성 권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further comprise a porous wrappe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packaging material.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내경은 2.0mm 내지 4.5mm이고,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내경은 3.0mm 내지 5.5mm일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may be 2.0 mm to 4.5 mm,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may be 3.0 mm to 5.5 mm.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내경은 3.4mm이고,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내경은 4.0mm일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may be 3.4 mm,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may be 4.0 mm.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nd the second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internal perforation.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말단 필터 및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말단 필터를 감싸는 포장재를 구비할 수 있다. 천공이 포장재에 위치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외부로부터 천공을 통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부로 유동한 외부 공기는 주류연과 혼합될 수 있다.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includes an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a first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a second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an end filter and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portion, a first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a second channel type. It may be provided with a wrapping material surrounding the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end filter. As the perforation is located in the packaging material, outside air can flow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erforation into the interior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be mixed with the mainstream smoke.

외부 공기의 온도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부에서 유동하고 있는 주류연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부에서 주류연의 냉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와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내경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제 1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와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공동내에서 유동하는 주류연이 확산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may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mainstream smoke flowing in the interior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which may result in the cooling effect of the mainstream smoke insid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n addition, since the inner diameters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tting element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tting elem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instream smoke flowing in the cavity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tting element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tting element can be diffused. .

확산된 주류연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류 방향으로의 편향성이 감소됨에 따라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내부로 유동하는 외부 공기와 확산된 주류연 간에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류연의 냉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As the deflection of the diffused mainstream smoke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is reduced, the contact area and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diffused mainstream smoke and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cooling effect of the mainstream smoke can be improved.

또한 냉각 효과를 위한 냉각 구조물의 형태가 간소화될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에어로졸 발생물품의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cooling structure for the cooling effect can be simplifie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can be reduced.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의 주류연과 외부 공기의 유동이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 central axis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 central ax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showing the flow of mainstream smoke and external air i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 central axis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 central axis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below is intended to be specific to the embodiments, and not to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can be interpret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righ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비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comprise' or 'comprise' a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Should not be included, or should be construed to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or 'second' as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실시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to select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embodiments, rather than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담배(궐련), 시가 등과 같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판상엽 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refer to a substance capable of generating an aerosol, such as tobacco (cigarette), cigars and the lik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comprise an aerosol-generating substance or an aerosol-forming substrate.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may also include a solid material based on tobacco raw material, such as leaf tobacco, vinegar, reconstituted tobacco. Aerosols can include volatile compounds.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류' 또는 '상류 방향'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을 흡연하는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 또는 '하류 방향'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을 흡연하는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는 제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상류 또는 상류 방향에 위치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pstream' or 'upstream direction' means a direction away from the user's bend smok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nd 'downstream' or 'downstream direction' means smok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Means the direction closer to the user's bend. For example, i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shown in FIG. 1,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is located upstream or upstream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 central axis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와 접경하여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와 접경하여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와 접경하여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하류에 위치하는 말단 필터(40) 및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를 감싸는 포장재(50)를 구비할 수 있다.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first channel-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20 located downstream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in contact with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and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located downstream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in contact with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 end filter 40 and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first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20, and second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downstream of second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30 It may be provided with a wrapper 50 surrounding the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그 내부에 함유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삽입되고 가열되어 주류연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means a portion that contains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therein and is inserted in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heated to generate mainstream smoke.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lycerin,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and oleyl alcohol.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는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길이는 다양한 데, 약 7 내지 15mm일 수 있고, 예를 들면 12mm일수 있다. The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may have a long elongated cylindrical shape, the length of which may vary from about 7 to 15 mm, for example 12 mm.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의 직경은 7 내지 9mm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약 7.9mm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may be 7 to 9 mm, for example about 7.9 mm.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아세테이트 화합물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미제는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isosweet),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윤제는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may contain other additive materials such as flavoring agents, wetting agents and / or acetate compounds. For example, the flavoring agent is licorice, sucrose, fructose syrup, isosweet, cocoa, lavender, cinnamon, cardamom, celery, fenugreek, cascarilla, sandalwood, bergamot, geranium, honey essence, rose oil, Vanilla, lemon oil, orange oil, mint oil, cinnamon, caraway, cognac, jasmine, chamomile, menthol, cinnamon, ylang-ylang, sage, spearmint, ginger, coriander or coffee and the like. Wetting agents may also include glycerin or propylene glycol and the like.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는 담배 원료를 분쇄한 후 용매 및 다양한 첨가물을 혼합하여 슬러리로 형태로 제조 후 건조시켜 시트를 형성후, 이러한 시트를 가공하여 막대등과 같은 조각을 갖는 재구성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is prepared by pulverizing tobacco raw materials, mixing solvents and various additives, preparing them in a slurry form, and drying them to form sheets, and then processing such sheets to form reconstituted tobacco materials having pieces such as rods. It may include.

예를 들면,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는 복수 개의 담배 물질 가닥을 포함하고, 이러한 가닥 1개는 길이가 10~14mm(예를 들면, 12mm), 폭이 0.8 내지 1.2mm(예를 들면, 1mm) 및 두께가 0.08mm 내지 0.12mm(예를 들면, 0.1mm)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includes a plurality of tobacco material strands, each of which has a length of 10-14 mm (eg, 12 mm) and a width of 0.8-1.2 mm (eg, 1 mm) and a thickness of 0.08 mm to 0.12 mm (eg 0.1 mm).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가 넓은 담배 시트 형태를 가공한 복수의 가닥 물질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에 충전된 담배 물질의 밀도가 증가됨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이 증가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의 제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By allowing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to include a plurality of strand materials processed into a wide tobacco sheet form, aerosol generation can be increased as the density of the tobacco material filled in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is increased, and the aerosol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may be improved.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는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를 감싸는 권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may include a wrapper surrounding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는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에 접경하고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may have a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bordering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and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Can be located downstream.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직경은 7mm 내지 9mm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약 7.9mm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may be between 7 mm and 9 mm, for example about 7.9 mm.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한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중공의 단면의 형상은 다각형 또는 원일 수 있으나 중공의 크기 및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may be tubular in shape including a hollow therein.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hollow cross section may be a polygon or a circle, but the size and shape of the hollow is not limited thereto.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길이는 약 9mm 내지 11mm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0mm일 수 있다.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내경은 약 2.0mm 내지 4.5m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4mm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may be between about 9 mm and 11 mm, for example about 10 mm.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may be about 2.0 mm to 4.5 mm, for example 3.4 mm.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는 외부의 기체가 외부로부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재는 복수 개의 재료의 혼합물일 수 있다. 소재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일 수 있다. The first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may include a material through which external gas may flow into the hollow of the first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from the outside, and the material may be a mixture of a plurality of materials. have. The material may be, for example, cellulose acetate tow.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에 접경하고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may have a second channeled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bordering the first channeled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first channel. It may be located downstream of the mold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직경은 7mm 내지 9mm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약 7.9mm일 수 있다.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한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중공의 단면의 형상은 다각형 또는 원일 수 있으나 중공의 크기 및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diameter of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may be between 7 mm and 9 mm, for example about 7.9 mm.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may be tubular in shape including a hollow therein.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hollow cross section may be a polygon or a circle, but the size and shape of the hollow is not limited thereto.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길이는 약 13mm 내지 15mm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4mm 수 있다.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내경은 약 3.0mm 내지 5.5m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4.0mm일 수 있다. 이 때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내경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may be about 13 mm to 15 mm, for example about 14 mm.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may be about 3.0 mm to 5.5 mm, for example 4.0 mm. 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와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내경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제 1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와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공동내에서 유동하는 주류연이 확산될 수 있다. 확산된 주류연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하류 방향으로의 편향성이 감소됨에 따라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내부로 유동하는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 및 시간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주류연의 냉각 효과는 향상될 수 있다. Since the inner diameters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The mainstream smoke flowing in the cavity may diffuse. The diffused mainstream smoke increases the area and time of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s the deflection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decreases. Accordingly, the cooling effect of the mainstream smoke can be improved.

외부 공기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내로의 유동으로 인한 주류연의 냉각 과정을 이하 도 3을 참조하여상세히 설명할 것이다.The cooling process of the mainstream smoke due to the flow of outside air into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는 외부의 기체가 외부로부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재는 복수 개의 재료의 혼합물일 수 있다. 소재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일 수 있다.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may include a material through which external gas may flow into the hollow of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from the outside, and the material may be a mixture of a plurality of materials. have. The material may be, for example, cellulose acetate tow.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말단 필터(40)을 구비할 수 있는데, 말단 필터(40)는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에 접경하고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may have an end filter 40, which is bound to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nd downstream of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Can be located.

말단 필터(40)은 에어로졸 발생 기질(10)에서 발생한 주류연을 사용자가 흡입하기 직전 통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말단 필터(40)의 길이는 약 11mm 내지 13m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2mm일 수 있다. 말단 필터(4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d filter 40 may be an area that passes through the mainstream smoke generated in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10 just before the user inhales. The length of the end filter 40 may be about 11 mm to 13 mm, for example about 12 mm. The end filter 4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include cellulose acetate.

말단 필터(40)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말단 필터(40)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한 튜브 형상일 수 있다. 단면의 형상은 다각형 또는 원일 수 있으나 중공의 크기 및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end filter 40 may be cylindrical. In other embodiments, the end filter 40 may be tubular in shape with a hollow therein.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may be a polygon or a circle, but the size and shape of the hollow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 중 적어도 하나에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a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nd an end filter 40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It can contain capsules.

예를 들어, 말단 필터(40)는 캡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말단 필터(40)에 구비된 캡슐(미도시)은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end filter 40 may comprise a capsule (not shown). The capsule (not shown) provided in the end filter 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iquid containing a fragrance is wrapped with a film, for example, may have a spherical or cylindrical shape.

또한 이러한 말단 필터(40)에 구비된 캡슐(미도시)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는 전분 및/또는 겔화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겔화제로서는 젤란 검이나 젤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미도시)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겔화 조제(助劑)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겔화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칼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미도시)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가소제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가소제로서는 글리세린 및/또는 소르비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미도시)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착색료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forming the film of the capsule (not shown) provided in the end filter 40 may be a starch and / or a gelling agent. For example, gelling gum or gelatin may be used as the gelling agent. In addition, a gelling aid may further be used as a material for forming a film of the capsule (not shown). Here, calcium chloride can be used as the gelling aid, for example. In addition, a plasticizer may be further used as a material for forming a film of the capsule (not shown). Here, glycerin and / or sorbitol may be used as the plasticizer. Moreover, a coloring agent may further be used as a material which forms the film of a capsule (not shown).

예를 들어, 캡슐(미도시)의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로서는 멘톨, 식물의 정유(精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MCT)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은 색소, 유화제(乳化劑), 증점제(增粘劑) 등의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For example, menthol, essential oil of a plant, etc. can be used as a fragrance contained in the capsule liquid (not shown). Moreover, as a solvent of the fragrance | flavor contained in a liquid content, medium chain fatty acid triglyceride (MCT) can be used, for example. In addition, the content solution may contain other additives such as a dye, an emulsifier, and a thickener.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를 감싸는 포장재(50)를 구비할 수 있는데, 포장재(50)의 내면은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의 외면들을 대면한다.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has an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a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a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nd a packaging 50 surrounding the end filter 40.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50 may face the outer surfaces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do.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포장재(50)는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의 외면들로부터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포장재(50)와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의 외면은 서로 접촉하여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packaging material 50 shown in FIGS. 1 to 5 has an outer surface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Although show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bov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packaging material 50 and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end filter 40 may contact each other to form a contact surface.

포장재(50)의 길이는 약 44mm 내지 52m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48mm일 수 있다. 포장재(50)의 길이는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 각각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포장재(5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펄프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packaging material 50 may be about 44 mm to 52 mm, for example about 48 mm. The length of the packaging material 50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each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 The packaging material 5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include cellulose pulp fibers.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포장재(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은 말단 필터(40)의 하류 말단으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12mm 내지 24mm,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22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은 말단 필터(40)의 하류 말단으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약 15mm 이격된 위치, 20mm 이격된 위치 및 22mm 이격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perforation 55 may be formed in the packaging 50.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12 mm to 24 mm, preferably 15 mm to 22 mm in the upstream direction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end filter 40.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about 15 mm apart, 20 mm apart and 22 mm apart locations upstream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end filter 40.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은 4개 내지 10개의 홀(hole)을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4개, 6개 또는 8개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포장재(5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의 예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may have four to ten holes, for example four, six or eight. Hereinafter, an example of at least one perforation 55 formed in the packaging 50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예시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포장재(50)에서 말단 필터(40)의 하류 말단으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약 22mm 이격되어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를 감싸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은 4개의 홀(hole)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은 포장재(50)에서 말단 필터(40)의 하류 말단으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약 12mm 내지 24mm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은 4개 내지 10개의 홀(hole)을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4개, 6개 또는 8개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2,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s spaced about 22 mm in an upstream direction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end filter 40 in the packaging 50 to separate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n example is shown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rapping portion. As shown in FIG. 2,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may have four hol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position spaced about 12 mm to 24 mm in an upstream direction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end filter 40 in the packaging 50.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may have four to ten holes, for example four, six or eight.

홀(hole)들은 포장재(5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홀들은 각각에 대하여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의 직경은 0.02mm 내지 0.08mm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5mm일 수 있다.Holes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50, and the hol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diameter of the hole may be 0.02 mm to 0.08 mm, for example 0.05 mm.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포장재(5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packaging 50 through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and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Can be contacted.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의 온도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냉각시킬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s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 flow transfer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 type air flow transfer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Can be lower. Accordingly, the outside air may cool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도 3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에서의 주류연과 외부 공기의 유동이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showing the flow of mainstream smoke and external air i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을 흡연시,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가 가열되어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에서 주류연이 발생될 수 있다. 주류연은 사용자의 흡입 작용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하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mokes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may be heated to generate mainstream smoke in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The mainstream smoke may flow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by the inhalation action of the user.

발생된 주류연은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의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 내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의 하류 방향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The generated mainstream smoke may flow in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toward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이어서 주류연은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의 하류 말단에서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공동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The mainstream smoke may then flow towards the cavity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공동으로 유동한 주류연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내에서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하류 방향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The co-flowing mainstream smok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may flow in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toward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포장재(50) 내로 유동할 수 있다. 포장재(5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 중 일부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내로 유동할 수 있다.Outside air may flow into the packaging 50 through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Some of the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package 50 may flow into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내부에서 유동하고 있는 주류연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내부에서 혼합될 수 있다.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mainstream smoke flowing inside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may be mixed inside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의 온도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내부에서 유동하고 있는 주류연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내부에서 주류연의 냉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first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may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mainstream smoke flowing in the first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thereby causing the first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 The cooling effect of the mainstream smoke may occur inside 20).

이어서 주류연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공동의 하류 말단에서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공동 방향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The mainstream smoke may then flow toward the cavity direction of the second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cavity of the first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내경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내경의 크기와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내경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공동을 통과한 주류연의 흐름이 변화될 수 있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in one embodiment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Therefore, since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re different, the mainstream smoke passing through the cavity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is different. The flow of can be changed.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공동으로 유동한 주류연은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공동의 상류 말단 부분에서 확산될 수 있다. 주류연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내면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Commonly flowing mainstream smoke of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may diffuse at an upstream end portion of the cavity of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stream smoke may flow toward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확산된 주류연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하류 방향으로의 편향성이 감소됨에 따라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내부로 유동하는 외부 공기와 확산된 주류연 간에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류연의 냉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As the deflection of the diffused mainstream smoke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decreases, the contact area and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diffused mainstream smoke and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re increased. Can be. Accordingly, the cooling effect of the mainstream smoke can be improved.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포장재(50) 내로 유동할 수 있다. 포장재(5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 중 일부는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내로 유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side air may flow into the packaging 50 through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Some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package 50 may flow into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3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와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공동 내에서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중심축이 향하는 방향 중 하류 방향을 향하여 유동하는 주류연은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내부에서 혼합될 수 있다.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in the cavity of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is directed to the downstream direction. The mainstream smoke flowing toward can be mixed inside the second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의 온도는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내부에서 유동하고 있는 주류연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내부에서 주류연의 냉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may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mainstream smoke flowing in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thereby causing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 The cooling effect of the mainstream smoke may occur inside the 30).

이어서 주류연은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공동의 하류 말단에서 말단 필터(40)로 유동할 수 있다.The mainstream smoke may then flow into the end filter 40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cavity of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포장재(50) 내로 유동할 수 있다. 포장재(5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 중 일부는 말단 필터(40) 내로 유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side air may flow into the packaging 50 through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Some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packaging 50 may flow into the end filter 40.

말단 필터(4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와 말단 필터(40)의 내부에서 유동하고 있는 주류연은 말단 필터(40) 내부에서 혼합될 수 있다.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end filter 40 and the mainstream smoke flowing inside the end filter 40 may be mixed inside the end filter 40.

말단 필터(40)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의 온도는 말단 필터(40) 내부에서 유동하고 있는 주류연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말단 필터(40)의 내부에서 주류연의 냉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end filter 40 may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mainstream smoke flowing inside the end filter 40, which may result in the cooling effect of the mainstream smoke inside the end filter 40.

포장재(5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과 접촉한다.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은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다.The other portion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package 5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may be cooled by external air.

주류연은 말단 필터(40)을 통하여 사용자의 구부로 흡입될 수 있다.The mainstream smoke may be sucked into the user's bend through the end filter 40.

상술한 냉각 효과로 인하여 사용자는 적당한 온도로 냉각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Due to the cooling effect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inhale the aerosol cool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 central axis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와 접경하여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10)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와 접경하여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와 접경하여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하류에 위치하는 말단 필터(40) 및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를 감싸는 포장재(50)을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is connected to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and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10. 20, a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a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in contact with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 An end filter 40 and a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a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nd an end filter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in contact with 30). The packaging material 50 surrounding the 40 may be provided.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와 포장재(50) 사이에 다공성 권지(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는 다공성 권지(60)가 제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와 포장재(5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공성 권지(60)는 제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와 포장재(50)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제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와 포장재(50) 사이 및 제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와 포장재(50) 사이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공성 권지(60)의 위치는 앞선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wrap 60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nd the packaging material 50. In FIG. 4, a porous wrapper 60 is shown between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20 and the packaging material 50, but the porous wrapper 60 is formed with the first channel-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20.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ckaging material 50, and may be provided between both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packaging material 50 and between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packaging material 50. . The position of the porous wrapper 60 is not limited to the foregoing example.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 중 다공성 권지(6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및 효과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과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orous wrapper 60,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Since it is the same as, the detailed description 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다공성 권지(60)는 포장재(50)과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orous wrapper 60 is positioned between the packaging material 50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to form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delivery elements 30.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을 흡연 시,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포장재(50) 내로 유동할 수 있다. 다공성 권지(60)의 기공률은 포장재(50)의 기공률보다 높을 수 있다. 포장재(50)의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 중 일부가 다공성 권지(60)를 통과할 수 있다.When a user smokes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outside air may flow into the packaging 50 through the at least one aperture 55. The porosity of the porous wrapper 60 may be higher than the porosity of the packaging material 50. Some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of the packaging material 50 may pass through the porous wrapper 60.

포장재(5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 중 일부는 다공성 권지(60)를 통과하여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Some of the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packaging 50 may pass through the porous wrapper 60 to flow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have.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냉각효과에 관하여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The cooling effect that may occur inside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포장재(50) 내로 유동한 외부 공기 중 다른 일부는 다공성 권지(60)를 통과하여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과 접촉한다. The other portion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packaging 50 passes through the porous wrapper 60 to pas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In contact with one outer surface.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은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다공성 권지(60)에 포획될 수 있어,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및 말단 필터(4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may be cooled by external air. The outside air may be trapped in the porous wrapper 60 to more effectively cool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the end filter 40. You can.

다공성 권지(60)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기 때문에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는 안정적으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권지(60)에 의해서 감싸지는 구성 요소들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because the porous wrapper 60 surrounds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30.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30 can stably maintain its shape. In addition, the components wrapped by the porous wrapper 60 may be stably coupled.

아래 표 1은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포함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기존 궐련과 일부 실시예들에 관한 24000cu의 기공률을 갖는 다공성 권지(60)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천공이 개방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은 말단 필터(40)로부터 15mm 또는 22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폐쇄된 경우도 비교의 대상으로 포함되었다. Table 1 below is a graph compar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with a conventional cigarette having a filter comprising a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and a porous wrapper 60 having a porosity of 24000 cu for some embodiments. In the embodiment where the perforations are open,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s formed 15 mm or 22 mm away from the end filter 40. 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s clo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was also included in the comparison.

기존 궐련Existing cigarette 천공이 폐쇄된 실시예Embodiments with Closed Perforation 천공이 개방된 실시예Embodiments with Open Perforation 15mm 위치15 mm position 22mm 위치22 mm position 4개 홀4 holes 6개 홀6 holes 8개 홀8 holes 4개 홀4 holes 6개 홀6 holes 8개 홀8 holes 말단 필터(40)의 하류 단부 온도(°C)Downstream end temperature (° C) of the end filter 40 66.666.6 73.173.1 71.171.1 67.067.0 63.163.1 69.269.2 63.863.8 60.560.5 말단 필터(40)을 통과한 주류연의 온도(°C)Temperature of mainstream smoke passing through end filter 40 (° C) 52.052.0 50.650.6 49.849.8 54.054.0 54.154.1 50.350.3 49.449.4 53.653.6 말단 필터(40)의 외면의 온도(°C)Temperature (° C)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filter 40 71.571.5 60.960.9 60.960.9 58.758.7 59.059.0 68.268.2 62.862.8 61.061.0

표 1을 참조하면, 말단 필터(40)의 하류 단부의 온도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구비하는 홀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end filter 40 is lowered as the number of holes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ncreases.

또한 말단 필터(40)의 외면의 온도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개방된 경우가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폐쇄된 경우 및 자사의 기존 궐련의 경우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형성된 위치가 말단 필터(40)으로부터 가까울수록 말단 필터(40)의 외면의 냉각 효과가 더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filter 40 is lower when the at least one aperture 55 is open than when the at least one aperture 55 is closed and its existing cigarette. It can be seen that the closer the position where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s formed from the end filter 40, the more efficient the cooling effec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filter 40 is.

아래 표 2는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냉각부로서 구비하는 자사의 기존 궐련과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를 냉각부로서 구비하는 실시예의 흡인 특성들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는 24000cu의 기공률을 갖는 다공성 권지(60)를 구비하고 홀의 크기는 0.05mm이다.Table 2 below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the s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having a conventional airflow cooling element as a cooling unit and a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s a cooling unit. The embodiment has a porous wrapper 60 having a porosity of 24000 cu and the hole size is 0.05 mm.

표 1을 참조하면, 말단 필터(40)의 하류 단부의 온도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구비하는 홀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end filter 40 is lowered as the number of holes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ncreases.

또한 말단 필터(40)의 외면의 온도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개방된 경우가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폐쇄된 경우 및 자사의 기존 궐련의 경우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형성된 위치가 말단 필터(40)으로부터 가까울수록 말단 필터(40)의 외면의 냉각 효과가 더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filter 40 is lower when the at least one aperture 55 is open than when the at least one aperture 55 is closed and its existing cigarette. It can be seen that the closer the position where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s formed from the end filter 40, the more efficient the cooling effec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filter 40 is.

아래 표 2는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냉각부로서 구비하는 자사의 기존 궐련과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를 냉각부로서 구비하는 실시예의 흡인 특성들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는 24000cu의 기공률을 갖는 다공성 권지(60)를 구비하고 홀의 크기는 0.05mm이다.Table 2 below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the s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having a conventional airflow cooling element as a cooling unit and a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s a cooling unit. The embodiment has a porous wrapper 60 having a porosity of 24000 cu and the hole size is 0.05 mm.

냉각부 구분Cooling unit division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천공위치/개수Drilling position / count 미적용Unapplied 22mm/6홀22mm / 6 holes 15mm/6홀15 mm / 6 holes 미적용Unapplied 22mm/6홀22mm / 6 holes 15mm/6홀15 mm / 6 holes 캡슐 여부Capsule or not 말단 필터(40)에 적용Applied to the end filter 40 말단 필터(40)에 미적용Not applied to end filter 40 EPD (mmH2O)EPD (mmH2O) 6363 5555 UPD (mmH2O)UPD (mmH2O) 6060 5454 5252 5252 4343 4141 공기희석율 (%)Air dilution rate (%) 5.25.2 16.316.3 20.120.1 5.55.5 21.321.3 24.024.0

표 2를 참조하면, 흡인 특성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폐쇄하였을 때의 흡인 저항인 EPD(encapsulated pressure drop)는 기존 궐련과 일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에서 동일하다. 또한 흡인 특성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개방되었을 때의 흡인 저항인 UPD(unencapsulated pressure drop)는 일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에서 기존 궐련에 비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as one of the suction characteristics, the encapsulated pressure drop (EPD), which is the suction resistance when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s closed, is the same i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for the existing cigarette and in some embodiments. Do. In addition, as one of the suction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unencapsulated pressure drop (UPD), which is a suction resistance when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s opened, is reduced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cigarettes in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have.

또한,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이 적용됨에 따라 공기 희석율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외부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통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 내로 유입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It can also be seen that the air dilution rate is increased as at least one perforation 55 is applied. This is determined because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through at least one perforation 55.

아래 표 3은 필터 내에 캡슐이 적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연기 성분과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냉각부로 구비하는 기존의 궐련의 각 성분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에에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은 말단 필터(40)로부터 15mm 및 22mm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었다.Table 3 below compares the differences in the constituents of the conventional cigarettes with a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and a smoke component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with a capsule applied within the filter and having at least one aperture 55. The graph shown. 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perforation 55 was formed 15 mm and 22 mm from the end filter 40.

구분division TPM
(㎎/8puff)
TPM
(Mg / 8puff)
Tar
(㎎/8puff)
Tar
(Mg / 8puff)
Nic.
(㎎/8puff)
Nic.
(Mg / 8puff)
PG
(㎎/8puff)
PG
(Mg / 8puff)
Gly.
(㎎/8puff)
Gly.
(Mg / 8puff)
수분
(㎎/8puff)
moisture
(Mg / 8puff)
냉각부Cooling section 천공boring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미적용Unapplied 45.7945.79 14.8814.88 0.890.89 0.470.47 3.093.09 30.0230.02 튜브필터Tube filter 22㎜22 mm 42.8342.83 12.2712.27 0.850.85 0.420.42 2.962.96 29.7129.71 15㎜15 mm 45.1645.16 12.8312.83 0.810.81 0.410.41 2.742.74 31.5231.52

(흡연조건 : HC 조건 (Puff Vol. 55ml, Puff duration 2s, Puff Interval 30s))(Smoking condition: HC condition (Puff Vol. 55ml, Puff duration 2s, Puff Interval 30s))

표 3을 참조하면, 냉각부로서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구비하는 자사의 기존의 궐련의 연기의 각 성분량과 냉각부로서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를 구비하는 실시예에의 연기의 각 성분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3, the amount of each component of the smoke of the company's existing cigarette having a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as the cooling unit and the amount of each component of the smoke in the embodiment having the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s the cooling uni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You can see that it does not look.

아래 표 4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가스상 성분 및 입자상 성분이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냉각부로 구비하는 기존의 궐련의 가스상 성분 및 입자상 성분에 비하여 감소된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Table 4 below shows that the gaseous and particulate components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having at least one perforation 55 are reduced compared to the gaseous and particulate components of existing cigarettes having a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as a cooling section. It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구분division TarTar NOxNOx HCNHCN NNNNNN BenzeneBenzene TolueneToluene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냉각부로 구비하는 궐련 대비Compared to a cigarette having a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as a cooling unit 17.5% 감소17.5% decrease 31.9% 감소31.9% decrease 41.8% 감소41.8% decrease 19.9% 감소19.9% decrease 21.1% 감소21.1% decrease 35.2% 감소35.2% reduction

표 4를 참조하면,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냉각부로 구비하는 기존의 궐련의 가스상 성분 및 입자상 성분에 비하여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가스상 성분 및 입자상 성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4, it can be seen that the gaseous and particulate components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reduced compared to the gaseous and particulate components of the existing cigarette having the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as a cooling unit. .

표 1 내지 표 4에 따르면,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이 갖는 냉각 효과는 기존의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를 냉각부로서 구비하는 기존 궐련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존 궐련에 이용되는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는 냉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특정 형태와 구조로 제조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과다할 수 있다. According to Tables 1 to 4, it can be seen that the cooling effect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remains substantially the same as compared to a conventional cigarette having a conventional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as a cooling section. have. However, the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s used in existing cigarettes need to be manufactured in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in order to increase the cooling effect, and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may be excessive.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중공형 기류 냉각요소 대신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천공을 포함하는 포장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감소되고, 제조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s a packaging comprising a channeled airflow transfer element and at least one perforation instead of a hollow airflow cooling element. Thus,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 central axis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 중 내부 천공(7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및 효과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과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perforation 70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Since it is the same as, the detailed description 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적어도 하나의 내부 천공(70)이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으로부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연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내부 천공(70)은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외면으로부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의 내면으로 연장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외면으로부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의 내면으로 연장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At least one inner perforation 70 is formed from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 It may be positioned extending into at least one of the mold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inner perforation 70 may be located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It may be located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mission element 3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외부 공기는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천공(55)을 통과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으로 유동할 수 있고,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천공(70)을 통과하여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The outside air may flow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t least one aperture 55 and flow into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100, and then through the at least one inner aperture 70 to pass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20 and It may flow in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s 30.

내부 천공(70)을 통하여 외부 공기는 더 빠르게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내로 유입될 수 있어, 신속한 냉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Through the inner perforation 70, the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20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more quickly, so that a rapid cooling effect can occur.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및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20) 및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3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냉각 과정 및 냉각 효과에 관하여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s 20 and the second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30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s 30. The cooling process and the cooling effect that can occur at one outer surface are the same as the above.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embodiments.

Claims (10)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질와 접경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와 접경하여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와 접경하여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하류에 위치하는 말단 필터;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상기 말단 필터를 감싸는 포장재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는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이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말단 필터의 하류 말단으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12mm 내지 24mm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portion;
A first channel-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located downstream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A second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located downstream of the first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bordering the first channel-lik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n end filter located downstream of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butting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nd
A packaging material surrounding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end filter,
The second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has a larger internal diameter than the first channel-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At least one perforat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position spaced 12 mm to 24 mm in an upstream direction from a downstream end of the end filter in the packag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흡연 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를 통과하는 주류연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와 혼합됨으로써 냉각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The method of claim 1,
When a user smokes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the mainstream smoke generat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delivery element is introduced into the at least one aperture.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that is cooled by mixing with air.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흡연 시,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상기 말단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The method of claim 1,
When a user smokes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end filter is caused by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t least one aperture.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that is coo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은 상기 포장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4개 내지 10개의 홀(hole)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perforation comprises four to ten hole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질부의 길이는 11mm 내지 13mm이고,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길이는 9mm 내지 11mm이고,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길이는 13mm 내지 15mm이고, 상기 말단 필터의 길이는 11mm 내지 13mm이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은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를 감싸는 부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gth of the aerosol-generating substrate portion is 11mm to 13mm, the length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is 9mm to 11mm, the length of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is 13mm to 15mm, the length of the end filter 11mm to 13mm,
Wherein said at least one perforat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surrounding the second channel-like airflow delivery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천공은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말단 필터의 하류 말단으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15mm 내지 22m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aid at least one perfora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15 mm to 22 mm in an upstream direction from a downstream end of said end filter in said packag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포장재의 사이에 다공성 권지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further comprises a porous wrapper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packag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내경은 2.0mm 내지 4.5mm이고,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내경은 3.0mm 내지 5.5mm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is 2.0 mm to 4.5 mm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is 3.0 mm to 5.5 m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내경은 3.4mm이고,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의 내경은 4.0mm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The method of claim 8,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of claim 1,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is 3.4 mm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channel type airflow transmission element is 4.0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및 상기 제 2 채널형 기류 전달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천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nneled airflow delivery element and the second channeled airflow transport element comprises at least one internal perforation.
KR1020180036611A 2018-03-29 2018-03-29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 KR102343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11A KR102343349B1 (en) 2018-03-29 2018-03-29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11A KR102343349B1 (en) 2018-03-29 2018-03-29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26A true KR20190114226A (en) 2019-10-10
KR102343349B1 KR102343349B1 (en) 2021-12-24

Family

ID=6820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611A KR102343349B1 (en) 2018-03-29 2018-03-29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3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0322A1 (en) * 2021-08-31 2023-03-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perforations in ventilation zone
WO2024003194A1 (en) * 2022-06-30 2024-01-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perforated hollow tubular substrate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0839B1 (en) 2023-02-07 2024-03-19 Dimitry Boss Cigarette loading machines and method therefo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063A (en) 2011-12-30 2014-10-0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Smoking article with front-plug and method
KR20160016924A (en) * 2013-07-03 2016-02-15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ter for cigarette and cigarette with filter
KR20170041797A (en) * 2014-08-07 2017-04-1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Cigarette with fi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063A (en) 2011-12-30 2014-10-0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Smoking article with front-plug and method
KR20160016924A (en) * 2013-07-03 2016-02-15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ter for cigarette and cigarette with filter
KR20170041797A (en) * 2014-08-07 2017-04-1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Cigarette with fil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0322A1 (en) * 2021-08-31 2023-03-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perforations in ventilation zone
WO2024003194A1 (en) * 2022-06-30 2024-01-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perforated hollow tubular substrat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349B1 (en)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930B1 (en) Method for making a rod of aerosol-forming substrate
JP5417166B2 (en) Smoking articles with limiters
KR102001352B1 (en) Plug space plug filter with flavor bead
JP7120715B2 (en) cigarette
US20210127741A1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KR102382015B1 (en) Cigarrets
KR102022909B1 (en) A smoking article with technology modifying sidestream and a smoking article case including the same
EP3818840B1 (en) Cigarette
US20220132913A1 (en) A smoking article comprising a tube filt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43349B1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at least one perforation
KR102583905B1 (en) A cooling structure and a smoking article including the same
KR20210107039A (en) Aerosol-generating articles with ventilated hollow segments
KR20210102283A (en) Aerosol-generating articles having ventilation cavities
KR20230028736A (en) An aerosol generating rod comprising cigarette strands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KR20180088400A (en) A smoking article comprising a filter with improved flavor release
KR20200030369A (en) An aerosol forming rod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330289B1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2788959B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generating device
KR102370654B1 (en) An aerosol forming rod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414660B1 (en) An aerosol forming rod comprising a wrapper to which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230102092A (en) Smoking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