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156A - 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using divided block - Google Patents

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using divided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156A
KR20190114156A KR1020180036400A KR20180036400A KR20190114156A KR 20190114156 A KR20190114156 A KR 20190114156A KR 1020180036400 A KR1020180036400 A KR 1020180036400A KR 20180036400 A KR20180036400 A KR 20180036400A KR 20190114156 A KR20190114156 A KR 20190114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nitive function
blocks
function test
assembly blocks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3151B1 (en
Inventor
한인석
손경순
윤병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티
Priority to KR1020180036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151B1/en
Publication of KR2019011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1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y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of testing a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of testing a cognitive ability comprises: a cognitive ability testing model including a plurality of divided assembly blocks, wherein the assembly blocks are formed to be connected into a predetermined model shape by connecting the assembly blocks in a correct position; magnets disposed correspondingly on portions of the assembly blocks, facing each other, and configured to allow the assembly block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a magnetic force; location sensors disposed correspondingly on portions of the assembly blocks, facing each other, so that when the assembly block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magnets, the location sensors ar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assembly blocks are connect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rrect position connection signals outputted from the location sensors, calculate the number of the inputted correct position connection signals and a time consumed until each corre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is inputted, and determine a cognitive ability of a subject based on scoring criteria determined for each cognitive ability testing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est a cognitive ability of a subject easily and accurately.

Description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USING DIVIDED BLOCK}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USING DIVIDED BLOCK}

본 발명은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using split assembly blocks.

치매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인지훈련 및 인지재활에 대한 연구 및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As interest in dementia increases, research and interest in cognitive training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are increasing.

최근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노령과 관련된 인지기능의 저하 또는 치매가 큰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구나 치매 치료약제의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를 낳으면서 치매의 조기발견 및 예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아울러 치매에 대한 예방 및 치료의 일환으로 인지훈련 및 인지재활을 발전시키고 활성화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Recently,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ected to be a major problem of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 related to old age or dementia. Moreover, as the effects of dementia treatments are not as good as expected,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dementia,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activating cognitive training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as part of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mentia.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143096호에는 치매 검사 장치, 치매 검사 서버, 치매 검사 클라이언트 및 치매 검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한자가 나타내는 색과, 그 한자를 나타내고 있는 색의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단한다는 주의분배 능력만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난이도가 낮아 평이한 결과밖에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나아가, 문자와 색채만을 이용함에 따라 인지기능을 검사하는 피검사자들에게 흥미를 느끼게 해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다수의 피검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As a relate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43096 discloses a technique related to a dementia testing apparatus, a dementia testing server, a dementia testing client, and a dementia testing system. 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only the distributing ability of judging the match or disagreement between the color of the Chinese character and the color representing the Chinese charact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ifficulty is low and only a plain result can be obtained. Furthermore, there was a drawback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make the testees interested in the cognitive function by using only letters and colors, and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a quick and accurate test could not be performed on a plurality of testee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개의 형태(예를 들어 모형 맞추기 난이도에 따라 간단한 도형에서 복잡한 도형, 또는 평면 도형에서 입체 도형 등)로 준비된 모형에 대하여 다수 개로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준비하고, 이들을 하나의 모형으로 맞추는 작업에 필요한 시간 및 정 위치로 연결된 조각블록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지루하지 않으면서 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인지기능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of blocks for a model prepared in a number of forms (e.g., simple to complex, or planar to three-dimensional)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fitting the model. It provides a cognitive function test device tha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nspected without boring the subject's cognitive fun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ime required to prepare and fit them into one model and the number of fragment blocks connected to the exact position. Is in.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동시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인지기능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다수의 피검사자 각각의 조각블록으로부터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통합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인지기능 검사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는 인지기능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cognitive function test for a plurality of subjects at the same time or in a predetermined order,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o connect the exact position from the fragment block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by transmitting the detected signal to the integrated serv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gnitive function test device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and use of cognitive function test informatio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는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조각블록들을 정 위치로 연결하여 미리 정해진 모형 형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지기능 검사모형;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 구비되며,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조각블록들을 접촉 연결시키는 마그넷; 상기 조각블록들이 상기 마그넷에 의해 상호 접촉하여 연결될 때,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주하여 설치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출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 및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using the divided assembly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pieces blocks, connecting the pieces block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predetermined model shape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formed to be connectable; A magnet provid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rough a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the magnet connecting and contacting the carving blocks with a magnetic force; A position sensor installed to fac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rough a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fragment blocks so that the fragment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core determined for each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by receiving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sensor, calculating the number of input positions and the time required until each of the position connection signals are inpu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cognitive function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scoring criteria.

이때,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서 교체 가능하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sensor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replaced detachably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rough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또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길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length through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또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양단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좌우 양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 각각은 상기 위치 센서와 동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s are disposed at least one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fragment blocks,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s disposed at both end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sensor at equal intervals.

또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일정한 단면 크기를 갖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가장자리 측에서, 상기 마그넷의 단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상기 가장자리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연장되는 가로방향 연장돌기와, 상기 가로방향 연장돌기가 돌출되는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가로방향 연장돌기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세로방향 연장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 is provided in a bar shape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ize through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at the edge side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magnet is relatively reduced to the edge side It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extension protrusion extending to protrude toward, and a longitudinal extension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starting point from which the horizontal extension protrusion protrudes to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horizontal extension protrusion.

여기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입 홈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position sensor may include an insertion body which is inserted through an indentation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from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그리고 상기 삽입몸체는, 둘레 면을 통해 적어도 한 쌍이 탄성 지지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지지 볼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지지 볼은 상기 내입 홈의 벽면에 마련된 반구 형상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The insertion body may include an elastic support ball that is at least one pair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rotrudes outward, and the elastic support ball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a hemispherical groove provid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indentation groove.

그리고 상기 위치 센서의 전방에는 일정한 크기의 스페이스를 두고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와 나란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개폐 가능한 차폐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posi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hielding plate that is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fragment blocks in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as needed.

그리고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에는 일정한 두께로 코팅 처리되어 상기 조각블록들 간의 접촉 연결 시 마찰을 저감하는 표면마찰저감코팅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표면마찰저감코팅부는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외측 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The surface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is coat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urther reduce the surface friction coating to reduce the friction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engraving blocks, the surface friction reducing coating is also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ielding plate It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개의 형태(예를 들어 모형 맞추기 난이도에 따라 간단한 도형에서 복잡한 도형, 또는 평면 도형에서 입체 도형 등)로 준비된 모형에 대하여 다수 개로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준비하되, 이들 조각블록들마다 접촉하는 부위를 통해 마그넷을 배치하고, 서로 간의 연결 위치를 판단하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모형 맞추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조각블록들 간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준비된 모형으로 맞추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정 위치로 연결된 조각블록들의 개수를 손쉽게 파악하여 피검사자가 지루하지 않으면서도 인지기능을 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ragment blocks are prepared for a model prepared in a plurality of forms (for example, a simple figure to a complex figure, or a planar figure to a three-dimensional figure, etc.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fitting a model). By placing the magnet through the contacting area every time, and having a sensor for determining the connection position between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check the time required to fit the model and whether the correct connection between the pieces block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cognitive function easily and accurately without boring the examinee by easily grasp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work to fit the prepared model and the number of pieces blocks connected to the correct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동시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인지기능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다수의 피검사자 각각의 조각블록으로부터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통합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인지기능 검사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는 인지기능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피검사자마다 주어진 서로 다른 넘버링을 갖는 조각블록들에 대해 모형 맞추기 작업이 동시에 실시되고, 이들 서로 다른 넘버링을 갖는 조각블록들을 통해 검출된 정보들을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여러 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서로 간의 인지기능을 실시간으로 비교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erforming the cognitive function test for a plurality of subjects simultaneously or in a predetermined order, whether or not to connect the exact position from the fragment block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integrated ser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capable of managing and utilizing cognitive function test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For example, a model matching opera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on pieces of blocks having different numberings for a plurality of examinees using various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s, and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pieces of blocks having different numbe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receiving through the channel,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gnitive function test for several people to compare and determine the cognitive functions of each other in real tim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specific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검사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각블록들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각블록들이 서로 마주하여 연결되는 경우 정 위치 연결 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에 입력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각블록 내에 위치 센서와 마그넷이 설치된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인지기능 검사모형의 일 예로서 다수 개의 조각블록들로 분할된 사과모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다수 개의 조각블록들이 피검사자에 의해 하나의 사과모형으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인지기능 검사모형의 다른 예로서 다수 개의 조각블록들로 분할된 자동차모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다수 개의 조각블록들이 피검사자에 의해 하나의 자동차모형으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인지기능 검사모형으로 활용 가능한 다른 형상으로서 다양한 조각모형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ck blocks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is output and input to the controller when the fragment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region IV of FIG. 2.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sensor and the magnet is installed in the engrav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apple model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ragment blocks as an example of a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FIG. 7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fragment blocks shown in FIG. 6 connected to one apple model by an examine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obile model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ragment blocks as another example of a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fragment blocks shown in FIG. 8 connected to one vehicle model by an examinee.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various pieces of the model as another shape that can be used as a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are not limited in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interposed"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by subdividing the component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is a plurality of devices or modules It can also be implemented sepa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검사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인지기능 검사모형을 구성하는 조각블록들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조각블록들이 정 위치로 연결되는 경우 위치 센서로부터 정 위치 연결 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에 입력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briefly showing a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gment blocks constituting the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is separated.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position sensor and input to the controller when the fragment blocks are connected to the correct posi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검사 장치는 인지기능 검사모형(100), 마그넷(131, 132, 133, 134), 그리고 위치 센서(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1243)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100, magnets (131, 132, 133, 134), and position sensors 1211, 1212, 1221, 1222, 1223 , 1231, 1232, 1241, 1242, 1243.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은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은 사과모형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다른 예로서, 도 8 및 도 9에는 자동차모형(300)이 나타나 있으며, 도 10에는 다양한 형상의 조각모형들이 나타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인지기능 검사모형(100)(300)은 이에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녀, 공, 말, 얼굴 등 다양한 모형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조각모형들의 형상 역시 원, 타원, 다각형 등으로 변경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예시적인 형상으로 사과모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fragment blocks 111, 112, 113, and 114. For example, the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100 shown in FIG. 1 is shown as an apple mod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automobile model 300 i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and the sculpture models of various shapes are illustrated in FIG. 10. In addition, such a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100, 300) may be used in a variety of other forms. For example, various models such as a girl, a ball, a horse, and a face may be used, and the shapes of the sculptural models shown in FIG. 10 may also be used by changing them into circles, ellipses, polygons,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apple mode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shape.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은 미리 정해진 위치(이하, '정 위치'라 함)에서 마주하여 접촉 연결되어, 사과모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ngraving blocks 111, 112, 113, and 114 may be connec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sition') and may be connected in an apple shape.

마그넷(131, 132, 133, 134)은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 구비될 수 있다.The magnets 131, 132, 133, and 134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rough the facing portions of the pieces blocks 111, 112, 113, and 114, respectively.

마그넷(131, 132, 133, 134)은 영구자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할 때 인력이 발생되도록 서로 반대되는 극끼리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마주하여 정 위치로 배치되는 조각블록들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magnets 131, 132, 133, and 134 mean permanent magnets, and may be arranged to face opposite poles so that attraction force is generated when facing each other. As a result, the pieces blocks disposed in the opposite positions facing each other may be coupled by a magnetic force.

위치 센서(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1243)는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이 마그넷(131, 132, 133, 134)에 의해 상호 접촉하여 연결될 때,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 각각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The position sensors 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and 1243 have pieces blocks 111, 112, 113, and 114 interlocked by magnets 131, 132, 133, and 134. When connec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refers to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each of the pieces blocks (111, 112, 113, 114) is connected in place.

예컨대, 서로 정해진 위치상에 마주할 때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비 접촉 방식의 관용적으로 알려진 센서라면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 광학 센서,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any conventionally known sensor of a non-contact type that generates an output signal when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it can be selected and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proximity sensor, optical sensor, ultrasonic sensor.

이러한 위치 센서(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1243)는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주하여 설치될 수 있다. The position sensors 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and 1243 face each other through the facing portions of the fragment blocks 111, 112, 113, and 114. Can be install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 센서(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1243)는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길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position sensors 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and 1243 may be centered left and right through the facing portions of the pieces blocks 111, 112, 113, and 114,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at.

도 2를 참조하면, 2개의 조각블록들(111, 112, 도 2 참조) 각각에 대해 하나의 위치 센서(1211, 1221)를 좌우 중심 위치에 배치한다. 이로써,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2개의 조각블록들(111, 112, 도 2 참조) 간의 위치 정렬 상태를 센터를 기준으로 하여 쉽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이러한 위치 센서는 각 조각블록들의 대면 부위마다 반드시 하나만 배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2개 이상 배치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one position sensor 1211 and 1221 is disposed at left and right center positions for each of the two fragment blocks 111 and 112 (see FIG. 2).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 alignment state between the two pieces blocks 111 and 112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detected based on the center.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such a position sensor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sposed only for each facing portion of each piece block, it may be arranged two or more.

마그넷(131, 132)은 조각블록들(111, 112)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양단에 적어도 하나씩, 즉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양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 각각(131, 132)은 위치 센서(1211, 1221)와 동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에 마그넷(131, 132)이 복수 개로 배치됨에 따라 2개의 조각블록들(111, 112, 도 2 참조)을 손쉽게 서로 간에 인력이 발생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위치 센서(1211, 1221)에 간섭을 주지 않아 정 위치 연결 신호 발생에 오차를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least one of the magnets 131 and 132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magnet blocks 131 and 132 through the facing portions of the pieces blocks 111 and 112. Here, the plurality of magnets 131 and 132 disposed at both end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sensors 1211 and 1221 at equal intervals. As the magnets 131 and 132 are arranged in plural in such a position, two pieces of blocks 111 and 112 (see FIG. 2) can be easily attract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1221)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error in the generation of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위치 센서(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1243)로부터 출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S1, 도 3 참조)를 입력 받을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3, the control unit 200 outputs the positive position connection signals S1 and 3 output from the position sensors 1211, 1212, 1221, 1222, 1223, 1231, 1232, 1241, 1242, and 1243. Can be entered).

그리고 제어부(200)는 이렇게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와, 피검사자가 검사를 받기 시작한 후로부터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이렇게 산출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 및 소요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지기능 검사모형(100)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해 낼 수 있다. The controller 200 may calculate the number of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s input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time required until each of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s is input from the test subject starting to receive the test. 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the examinee's cognitive function based on the score scoring criteria determined for each cognitive test model 100 using the calculated number and time information of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이를 위한 세부적인 구성으로서, 제어부(200)는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210),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220), 인지기능 결과 출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this, th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positive position connection signal input unit 210, a cognitive function score calculation unit 220, a cognitive function result output unit 230.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1211, 1221)에서 서로 마주하여 연결되는 조각블록들이 정 위치로 연결되었음을 감지하여 정 위치 연결 신호(S1)를 출력한다.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210)는 위치 센서(1211, 1221)에서 출력된 신호(S1)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position sensors 1211 and 1221 sense that the pieces blocks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the correct position and output the corre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S1. The position connection signal input unit 210 may receive a signal S1 output from the position sensors 1211 and 1221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220)는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와 함께,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산출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220)는 이렇게 산출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 및 소요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지기능 검사모형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가 획득한 인지기능 점수를 연산할 수 있다.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calculator 220 may calculate the time required for each of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s to be input, together with the number of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s input from the positive position connection signal input unit 210.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calculation unit 220 may calculate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obtained by the examinee based on the score scoring criteria determined for each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and time required of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s. Can be.

인지 기능 결과 출력부(230)는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220)에서 연산된 피검사자가 획득한 인지기능 점수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인지기능 기준 값과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을 갖는 사과 모양의 인지기능 모형(100)을 이용하여 인지기능을 검사한다고 할 때, 검사 제한 시간이 주어지고 피검사자는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와 소요시간에 따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인지기능 기준 값을 기준으로 점수를 획득하게 되며, 피검사자가 획득한 점수를 통해 피검사자의 인지기능 수준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사과 모양이 아니라, 소녀, 자동차, 말, 공, 얼굴 등 점차 형상이 복잡해지거나 조각블록들의 분할된 개수가 증가되는 경우, 이에 대한 인지기능 점수는 더 많아지도록 점수채점기준이 정해질 수 있다. The cognitive function result output unit 230 determines the subject's cognitive function by comparing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obtained by the subject to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calculation unit 220 with the cognitive function reference value databased in advance, and outputs the determined result. can do. For example, when an cognitive function is tested using an apple-shaped cognitive model 100 having four divided fragment blocks 111, 112, 113, and 114, a test time limit is given and the examinee is given a test time limit. The score is obtained based on the cognitive function reference value pre-database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ime required for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and the cognitive function level of the examine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score obtained by the examinee. If the shape of the girl, the car, the horse, the ball, the face, etc. gradually become more complicated or the divided number of blocks is increased, the scoring score may be set to increase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한편,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에는 다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도록 다수의 피검사자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번호가 사전에 부여될 수 있다. 즉, 피검사자마다 검사에 사용되는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에 미리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어떤 피검사자가 어떤 고유식별번호의 모형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100 may be previously given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ident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to perform the test for a plurality of subjects. That is, by assign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100 used for each examinee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 real time which model is using which model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구체적인 예로서, 서로 다른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된 각각의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에서 감지된 정 위치 연결 신호는 미리 할당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210)로 무선 전송될 수 있어, 검사를 주관하는 감독자는 다수의 피검사자에 대한 인지기능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detected by each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100 assigned with different 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input unit 210 through a pre-assigned frequency channel. For example, supervisors who administer tests can have the advantag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cognitive tests on multiple subjects.

한편, 이러한 인지기능 검사모형(100)은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을 포함하는데,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은 평면 구조로 2차원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은 물론, 입체 구조로 3차원적으로 연결되는 방식까지 구현 가능하다. Meanwhile, the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fragment blocks 111, 112, 113, and 114, and the plurality of divided fragment blocks 111, 112, 113, and 114 have a planar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two-dimensional conne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connection method a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더 나아가, 이들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111, 112, 113, 114)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 가능한 형상 및 색상의 조합을 통해 정 위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ivided pieces blocks 111, 112, 113, and 114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connected in posi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shapes and colors tha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검사 장치에서, 위치 센서 및 마그넷 위치 및 결합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ext, in the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and the magnet position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2의 Ⅳ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마그넷(131)은 조각블록(111)의 대면 부위(즉, 접촉 면(111a)을 의미함)에서 일정한 단면 크기를 갖는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IV of FIG. 2. Referring to FIG. 4, the magnet 131 has a constant cross-sectional size at a facing portion of the engraving block 111 (that is, the contact surface 111a). It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having.

구체적인 예로서, 마그넷(131)은 조각블록(111)의 가장자리 측(즉, 도 4의 우측 테두리를 의미함)에서, 마그넷(131)의 단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가장자리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가로방향 연장돌기(131a)를 포함한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magnet 131 on the edge side of the engraving block 111 (that is, the right edge of Figure 4),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magnet 131 is relatively reduc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edge It includes a horizontal extending projection (131a) extending.

이와 함께, 가로방향 연장돌기(131a)가 돌출되는 시작 지점으로부터 가로방향 연장돌기(131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세로방향 연장돌기(131b, 13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extension protrusions 131b and 131c may further be provid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horizontal extension protrusions 131a from the starting point at which the horizontal extension protrusions 131a protrude.

가로방향 연장돌기(131a)는 마그넷(131)의 기본 몸체에 비해 좁은 단면을 갖도록 연장되며, 조각블록(111)의 테두리로부터 a만큼의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위치한다.The horizontal extension protrusion 131a extends to have a narrower cross section than the main body of the magnet 13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carving block 111 by a distance.

그리고 세로방향 연장돌기(131b)의 말단은 조각블록(111)의 상부 면과 b만큼의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The ends of the longitudinal extension protrusions 131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ngraving block 111 by b.

이와 같이, 세로방향 연장돌기(131b, 131c)는 가로방향 연장돌기(131a)와 함께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십(十)자 형상을 이루며, 각각의 말단이 설정된 크기로 이루어진 이격 간격(a, b)을 두고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마그넷(131)의 자기력이 증가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며, 마그넷(131) 간의 연결 위치가 더욱 구체적으로 한정됨으로써 위치 정렬 상 유리한 장점이 있다. As such, the longitudinal extension protrusions 131b and 131c are provided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extension protrusions 131a to form a cross shape as a whole, and spaced apart intervals a and b of which each end has a set size. By being formed so as to 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31 is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in position alignment by being more specifically defined the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magnets (13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각블록 내에 위치 센서와 마그넷이 설치된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sensor and the magnet is installed in the engrav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조각블록(111)의 접촉 면(111a)에 대향하여 마그넷(131)과 위치 센서(1211)가 배치된다. 마그넷(131)의 선단부는 접촉 면(111a)을 향하여 평탄한 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마그넷(131)의 미단부(131d)는 마그넷(131)보다 확장된 단면을 갖는 홀더(1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마그넷(131)은 홀더(150)의 지지 고정 효과에 의해 반복 사용 시에도 설치된 위치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magnet 131 and the position sensor 1211 are disposed to face the contact surface 111a of the engraving block 111 show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magnet 131 is disposed to form a flat surface toward the contact surface 111a, and the distal end portion 131d of the magnet 131 may be inserted into the holder 150 having an extended cross section than the magnet 131. have.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magnet 13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r detached from the installed position even when it is repeatedly used by the support fixing effect of the holder 150,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위치 센서(1211)는 조각블록(111)의 대면 부위, 즉 접촉 면(111a)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내입 홈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몸체(1211a)를 포함한다. The position sensor 1211 includes an insertion body 1211a that is inserted through an indentation groove which is recessed inwardly at the facing portion of the engraving block 111, that is, the contact surface 111a.

삽입몸체(1211a)는 둘레 면을 통해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된 탄성지지 볼(1211b)을 구비하는데, 이 탄성지지 볼(1211b)은 내입 홈의 벽면에 마련된 반구 형상의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insertion body 1211a has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support balls 1211b formed through a circumferential surface, which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a hemispherical groove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indentation groove.

즉, 위치 센서(1211)를 설치하기 위해 삽입몸체(1211a)를 내입 홈에 삽입시킬 때에는 탄성지지 볼(1211b)이 스프링 수축 작용에 의해 삽입몸체(1211a)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그리고 한편, 정해진 위치까지 삽입된 다음에는 스프링 복원 작용에 의해 삽입몸체(1211a)의 둘레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반구 형상의 홈에 끼워져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위치 센서(1211)의 교체 작업이 간편하며, 고장 및 수리를 위해 탈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탈거 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파지 끈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hat is, when the insertion body 1211a is inserted into the inlet groove for installing the position sensor 1211, the elastic support ball 1211b is received into the insertion body 1211a by the spring contracting action. On the other hand, after being inserted up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projected out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1211a by the spring restoring action can be fitted into the hemispherical groove can be fixed. As such, the replacement of the position sensor 1211 is easy,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removed for failure and repair.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a gripping strap may be further provided to facilitate gripping when removing the grating.

한편, 위치 센서(1211)의 전방에는 일정한 크기의 스페이스(145)를 두고 조각블록(111)의 대면 부위, 즉 접촉면(111a)과 나란하게 결합되는 차폐 플레이트(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차폐 플레이트(140)는 투명한 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위치 센서(1211)가 광학 센서로 구성될 경우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먼지 또는 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센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차폐 플레이트(140)는 필요에 따라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조각블록(111)의 접촉 면(111a)을 통해 마련된 직선 가이드 홈을 통해 정해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차폐 플레이트(140)의 교체가 가능하며, 위치 센서(1211)의 교체를 위해 설치 홈의 개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of the position sensor 12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hielding plate 140 which is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surface portion, that is, the contact surface 111a of the piece block 111 with a space 145 of a predetermined size. The shielding plate 14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When the position sensor 1211 is configured as an optical sensor, the shielding plate 140 may prevent external force from being applied and protect the sensor from dust or moisture. have. In addition, the shielding plate 140 may be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s needed, for example, a shape capable of sliding opening and clos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rough a straight guide groove provided through the contact surface 111a of the engraving block 111. Can have As such, the shielding plate 140 may be replaced, and the installation groove may be opened to replace the position sensor 1211.

이에 더하여, 조각블록(111)의 대면 부위, 즉 접촉 면(111a)에는 일정한 두께로 코팅 처리된 표면마찰저감코팅부(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표면마찰저감코팅부(190)는 조각블록들 간의 접촉 시 서로 간의 접촉 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등을 줄여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부드럽게 슬립 될 수 있도록 하여, 접촉 면 사이의 마모 손상 등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표면마찰저감코팅부(190)는 차폐 플레이트(140)의 외측 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engraving block 111, that is, the contact surface 111a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urface friction reducing coating 190 coat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urface friction reducing coating unit 190 reduces th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of each other when the pie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can slip smooth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reducing wear damage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There is this. In addition, the surface friction reducing coating 19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ielding plate 14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다수 개의 형태(예를 들어 모형 맞추기 난이도에 따라 간단한 도형에서 복잡한 도형, 또는 평면 도형에서 입체 도형 등)로 준비된 모형에 대하여 다수 개로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준비하되, 이들 조각블록들마다 접촉하는 부위를 통해 마그넷을 배치하고, 서로 간의 연결 위치를 판단하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모형 맞추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조각블록들 간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준비된 모형으로 맞추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정 위치로 연결된 조각블록들의 개수를 손쉽게 파악하여 피검사자가 지루하지 않으면서도 인지기능을 쉽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ragment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for a model prepared in a plurality of forms (for example, a simple figure to a complex figure or a three-dimensional figure to a planar figure, etc.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fitting a model) Prepare the blocks, and arrange the magnets through the contact areas for each of these pieces of blocks, and have a senso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each other. can do.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 that can easily and accurately check the cognitive function without boring the examinee by easily grasp the time required for the work to fit the prepared model and the number of pieces blocks connected to the correct position.

나아가, 다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동시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인지기능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다수의 피검사자 각각의 조각블록으로부터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통합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인지기능 검사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performing the cognitive function test for a plurality of subjects simultaneously or in a predetermined order, the cognitive function test is detected by detecting whether a connection is made from a fragment block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jects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signal to the integrated server. Information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예컨대,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피검사자마다 주어진 서로 다른 넘버링을 갖는 조각블록들에 대해 모형 맞추기 작업이 동시에 실시되고, 이들 서로 다른 넘버링을 갖는 조각블록들을 통해 검출된 정보들을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여러 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서로 간의 인지기능을 실시간으로 비교 판단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For example, a model matching opera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on fragment blocks having different numberings given to a plurality of examinees using various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s, and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fragment blocks having different numberings is used to display different channels. By receiving through, there is an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 that can perform a cognitive function test for multiple people to compare and determine the cognitive function between each other in real tim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even if 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the effect of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effect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is also to be recognized.

100: 인지기능 검사모형
110: 다수의 조각블록들
111, 112, 113, 114: 조각블록
1211, 1212, 1221, 1222, 1223: 위치 센서
1211a: 삽입몸체
1211b: 탄성지지 볼
131, 132, 133, 134: 마그넷
131a: 가로방향 연장돌기
131b, 131c: 세로방향 연장돌기
140: 차폐 플레이트
145: 스페이스
150: 홀더
190: 표면마찰저감코팅부
200: 통합 제어부
210: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
220: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
230: 인기기능 결과 출력부
100: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110: multiple fragment blocks
111, 112, 113, 114: sculpture blocks
1211, 1212, 1221, 1222, 1223: position sensor
1211a: body insertion
1211b: elastic support ball
131, 132, 133, 134: magnet
131a: horizontal extension protrusion
131b, 131c: longitudinal extension protrusion
140: shielding plate
145: space
150: holder
190: surface friction reducing coating
200: integrated control unit
210: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input unit
220: cognitive function score calculation unit
230: Popular function result output unit

Claims (8)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조각블록들을 정 위치로 연결하여 미리 정해진 모형 형상으로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지기능 검사모형;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 구비되며,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조각블록들을 접촉 연결시키는 마그넷;
상기 조각블록들이 상기 마그넷에 의해 상호 접촉하여 연결될 때,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정 위치 연결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주하여 설치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출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 및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서 교체 가능하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A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including a plurality of divided pieces of blocks, the pieces of which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model shape;
A magnet provid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rough a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the magnet connecting and contacting the carving blocks with a magnetic force;
A position sensor installed to fac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rough a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fragment blocks so that the fragment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Receiving a score determined for each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by receiving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sensor, calculating the number of input positions and the time required until each of the position connection signals are inpu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cognitive function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criteria.
The position sensor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replaceable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rough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using split assembly blo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길이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좌우 양단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좌우 양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 각각은 상기 위치 센서와 동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on senso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length through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The magnet is disposed at least one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s disposed at both ends are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sensor at the same distance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using split assembly block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를 통해 일정한 단면 크기를 갖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가장자리 측에서, 상기 마그넷의 단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상기 가장자리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연장되는 가로방향 연장돌기와, 상기 가로방향 연장돌기가 돌출되는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가로방향 연장돌기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세로방향 연장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magnet,
Is provided in a bar shape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ize through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On the edge side of each of the pieces block, the cross-sectional extension of the magnet is relatively reduced in the horizontal extension projections protruding toward the edge and extending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rojections to the horizontal extension proje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ngitudinal extension protrusion protruding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using split assembly block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입 홈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osit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body is inserted through the indentation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from the facing portion of each of the fragment blocks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using split assembly block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블록들 각각의 대면 부위에는 일정한 두께로 코팅 처리되어 상기 조각블록들 간의 접촉 연결 시 마찰을 저감하는 표면마찰저감코팅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rface portion of each of the engraving blocks is coat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urther reduce the surface friction coating to reduce the friction when the contact connection between the carving blocks
Cognitive function test device using split assembly blo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출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를 입력 받는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 위치 연결 신호의 개수와 함께,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각각이 입력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 별로 정해진 점수채점기준을 기초로 하여 피검사자가 획득한 인지기능 점수를 연산하는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 및
상기 인지기능 점수 연산부에서 연산된 피검사자가 획득한 인지기능 점수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인지기능 기준 값과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인지기능을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출력하는 인지기능 결과 출력부;
를 포함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positive position connecting signal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positive position connecting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sensor;
The examinee calculates the time required for inputting each of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s together with the number of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s inputted from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input unit. A cognitive function score calculator for calculating the acquired cognitive function score; And
A cognitive function result output unit which determine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xaminee by comparing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obtained by the examinee calculated by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calculator with a previously databased cognitive reference value and outputs the determined result;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using split assembly blocks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에는, 다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도록 상기 다수의 피검사자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번호가 사전에 부여되고,
상기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된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에서 감지된 정 위치 연결 신호는 미리 할당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정 위치 연결 신호 입력부로 무선 전송됨에 따라 다수의 피검사자에 대한 인지기능 검사가 동시에 수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ident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examinees is pre-assigned to perform a test for a plurality of examinees.
Since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to whic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exact position connection signal input unit through a pre-assigned frequency channel, the cognitive function test for a plurality of subjects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Characterized by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using split assembly blo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기능 검사모형은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 개의 분할된 조각블록들은, 평면 또는 입체 구조로 상호 연결되어 미리 정해진 평면 또는 입체 모형 형상으로 연결 가능하며,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 가능한 형상 및 색상의 조합을 통해 정 위치 연결 여부를 판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블록들을 이용한 인지기능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gnitive function test model includes a plurality of divided fragment blocks,
The plurality of divided block block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lanar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lanar or three-dimensional model shape, and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to connect in-situ through a combination of shapes and colors tha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Characteristic which can be judged
Cognitive function test apparatus using split assembly blocks.
KR1020180036400A 2018-03-29 2018-03-29 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using divided block KR102143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400A KR102143151B1 (en) 2018-03-29 2018-03-29 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using divided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400A KR102143151B1 (en) 2018-03-29 2018-03-29 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using divided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156A true KR20190114156A (en) 2019-10-10
KR102143151B1 KR102143151B1 (en) 2020-08-10

Family

ID=6820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400A KR102143151B1 (en) 2018-03-29 2018-03-29 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using divided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15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921A (en) * 2004-02-11 2005-08-18 박경화 Plaything and book with puzzle
JP2009011838A (en) * 2007-07-03 2009-01-22 G-Time Electronic Co Ltd Intellectual training game system and its method
KR20100080041A (en) * 2008-12-31 2010-07-08 엔에이치엔(주) Method for clipping puzzle piece of jigsaw puzzle game, jigsaw puzzle game method and jigsaw puzzle game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108005A (en) * 2009-03-27 2010-10-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zzle pieces for a village making, civilian opinion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312367B1 (en) * 2011-06-14 2013-09-27 안준범 Magnetic puzzle
KR101526508B1 (en) * 2014-12-03 2015-06-09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puzzle system interlocked with external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921A (en) * 2004-02-11 2005-08-18 박경화 Plaything and book with puzzle
JP2009011838A (en) * 2007-07-03 2009-01-22 G-Time Electronic Co Ltd Intellectual training game system and its method
KR20100080041A (en) * 2008-12-31 2010-07-08 엔에이치엔(주) Method for clipping puzzle piece of jigsaw puzzle game, jigsaw puzzle game method and jigsaw puzzle game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108005A (en) * 2009-03-27 2010-10-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zzle pieces for a village making, civilian opinion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312367B1 (en) * 2011-06-14 2013-09-27 안준범 Magnetic puzzle
KR101526508B1 (en) * 2014-12-03 2015-06-09 엠텍씨앤케이주식회사 puzzle system interlocked with exter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151B1 (en)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5014422D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nalysis of a liquid
PT1745464E (en)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an information signal
ATE272377T1 (en) EVALUATION METHOD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TE520366T1 (en) DEVICE FOR STORING A TRAJECTORY OF A SURGICAL NAVIGATION SYSTEM
TW357078B (en) Organism state measuring device and relaxation instructing device
DE69423896D1 (en) TEST DEVICE WITH CAPTURED PARTICLE REAGENT
WO2005109017A3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US20150199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face recognition performance of service robot using ultra high definition facial video database
CN107303668A (en) Fitter's bench with position determining means
EP1329687A3 (en) An improved optical dilatometer
KR20190114156A (en) 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using divided block
CN105987806A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turning lens
WO2002004946A3 (en) Methods for identifying combinations of drugs
CN106226740B (en) Far field sonic location system and method
DE602005023329D1 (en) METHOD FOR DIAGNOSIS OF NON-SMALL CELL LUNG CARCINOMAS USING URLC8'S TRNA DIHYDROURIDINE SYNTHASE ACTIVITY
DE50009175D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MEASURING POSITIONS FOR MEASURING AN OBJECT OR A PART THEREOF
DE50105654D1 (en) ARRANGEMENT FOR SHARPENING FOR MICROSCOPES
ATE422050T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TEST ELEMENT
JP2006122458A (en) Probe holder of near-infrared light imaging device
DE50112159D1 (en) Analysis of a data transmission system
ATE469345T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 MEASUREMENT ON A CLAW CLUTCH
CN108074458A (en) A kind of teaching optical imagery principle demonstration frame
EA200800675A1 (en) DEVICE FOR DETERMINATION OF MUTUAL POSITION OF TWO, IN ESSENCE, FLAT ELEMENTS
Bradshaw et al. On the development of an enhanced optical mouse sensor for odometry and mobile robotics education
PT1297342E (en) METHOD OF DIAGNOSIS FOR ALZHEIMER'S DISEASE BASED ON HOLO-TRANSCOBALAMIN 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