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550A - Method for recognizing things and communicating with things automatically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cognizing things and communicating with things automatical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3550A KR20190113550A KR1020190021035A KR20190021035A KR20190113550A KR 20190113550 A KR20190113550 A KR 20190113550A KR 1020190021035 A KR1020190021035 A KR 1020190021035A KR 20190021035 A KR20190021035 A KR 20190021035A KR 20190113550 A KR20190113550 A KR 201901135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ing
- terminal
- tone
- information
- progra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101100172132 Mus musculus Eif3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40 feed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18 wa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단말기가 사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단말기를 가진 사용자가 손쉽게 사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in which a wireless terminal automatically recognizes an object and performs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in which a user having a wireless terminal can easily receive a service from an object.
현재까지의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충돌 제어는 스케쥴링과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스케쥴링은 주로 이동통신 기지국이 단말에게 자원을 충돌 없이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CSMA/CA 는 WIFI 같은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며, 여러 STA 가 AP 와 통신하기 위한 경쟁을 벌일 때 사용된다. 두 방식 모두 중앙 제어국이 있는 통신 환경이다.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date, scheduling an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CSMA / CA) schemes are mainly used. Scheduling is mainly used f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o efficiently allocate resources to a terminal without collision. CSMA / CA is used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and is used when several STAs compete to communicate with an AP. Both methods are communication environments with a central control station.
반면, 무선 분산 통신 환경에서는 대규모 연결을 위한 효율적인 충돌 회피 방법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대규모 고정 단말이 아닌 대규모 이동 단말을 대상으로 한 통신 환경에서의 충돌 회피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environment, an efficient collision avoidance method for a large scale connection does not yet exist. In particular, collision avoidance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argeting a large mobile terminal rather than a large fixed terminal is very difficult.
대규모 연결이 필요한 무선 분산 시스템은 충돌 회피가 가능해야만 상용화 될 수 있다. 무선 분산 시스템에서는 제어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국에 의한 스케줄링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CSMA/CA 는 비동기 방식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동기 방식에서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CSMA/CA 를 사용하는 WIFI 는 50명 이상이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통상적으로 WIFI의 AP는 사무실에서 20~25 명 정도를 예상해서 설치되고 있다.Wireless distributed systems that require large-scale connectivity can be commercialized only if collision avoidance is available. Since there is no control station in the wireless distributed system, scheduling by the control station may not be possible. In addition, since CSMA / CA is used in an asynchronous manner, it may not be appropriate in a synchronous manner.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for more than 50 people to use WIFI simultaneously using CSMA / CA. Typically, WIFI APs are installed in offices with an estimated 20-25 people.
이에 따라, 수천, 수만 명의 대규모 연결이 필요한 동기된 무선 분산 통신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avoid collisions in a synchronized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environment requiring large numbers of thousands or tens of thousands of connections.
본 발명은 단말이 자동으로 사물을 인식하여 단말이 즉시 사물과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automatically recognizes a thing and the terminal immediately communicates with the thing.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인식하여 제어하는 사물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hing that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and controls.
또한, 본 발명은 사물에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이를 무선으로 사물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ethod of embedding a driver or program in a thing and downloading it from the thing wirelessly.
또한, 본 발명은 톤 채널 및 톤 슬롯 패턴을 이용하여 사물이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n object at low power using a tone channel and a tone slot pattern.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이 내장한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for updating a driver or a program embedded in a th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자동으로 사물을 인식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자동으로 사물을 인식하여 제어하는 방법은 사물을 인식하고 제어하기 위한 파일을 내장하는 단계, 단말이 사물로부터 내장한 파일을 무선 통신을 통하여 다운로드 받는 단계, 단말이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사용하여 사물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may automatically provide a method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controlling a thing. In this case, a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controlling an object may include: embedding a file for recognizing and controlling an object, downloading a file embedded by th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using a file downloaded by the terminal. It may include the step of recognizing the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이전에 인식되었던 사물을 재인식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이 사물을 재인식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단말이 무선으로 깨움 톤 신호, 톤 슬롯 패턴 또는 깨움 톤 신호와 톤 슬롯 패턴 모두를 전송하는 단계, 단말이 무선으로 사물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 결과 사물이 존재하면 해당 사물을 제어하고, 검색 결과 사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를 포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may provide a method of performing control by re-recognizing a previously recognized object. The terminal re-recognizes a thing to perform a control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wirelessly transmits a wake tone signal, a tone slot pattern, or both a wake tone signal and a tone slot pattern, the terminal wirelessly searching for the thing, the search result This control may include controlling the thing if it exists and giving up control if the thing does not exist as a result of the search.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사물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방법은 신호의 수신 파워 또는 경로 손실을 계산하는 단계, 수신 파워가 임계치보다 크거나, 경로 손실이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만 사물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wirelessly controls the th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hing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A method of controlling a thing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includes calculating a received power or path loss of the signal, and allowing to control the thing only if the received power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or the path loss is less than the threshold.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사물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경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물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물에 단말의 송신 ID를 등록하는 단계, 단말이 자신의 ID와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함께 송신하는 단계, 제어 신호를 수신한 사물이 수신한 ID가 등록된 ID이면 제어를 허용하고, 등록되지 않은 정보이면 제어를 허용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wirelessly controls the thing, it may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hing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method of controlling a thing may include registering a transmission ID of the terminal to the thing,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thing by the terminal with its ID, 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If the ID is allowed to control, if the information is not registered may include the step of not allowing the control.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은 자동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통신을 수행하는바, 해당 사물에 대한 서비스를 빠르고 쉽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automatically recognizes a thing and performs communication, so that a service for the thing can be provided quickly and easily.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기존 방식과 제안하는 방식의 비교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은 사물이 자동 인식되기 위한 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단말이 사물로부터 드라이버 혹은 프로그램을 직접 다운로드 받아 인식하고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도 4은 단말이 잠든 사물을 깨우고 인식하는 순서도이다.
도 5은 단말이 잠든 사물을 깨우기 위하여 톤 슬롯 패턴을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할 사물을 선택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사물이 제어를 허용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사용자 단말이 이미 인식한 사물을 검색하여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도 9은 사용자 단말이, 사물이 내장한 인식과 제어를 위한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사용자 입장에서 경험하는 기존의 사물 인식 제어 단계와 본 발명이 적용될 때의 사물 인식 단계를 비교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conventional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and a proposed method.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n object.
3 is a flowchart in which a terminal directly downloads a driver or a program from a thing and recognizes and controls the same.
4 is a flowchart of waking up and recognizing a sleeping objec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tone slot pattern to wake up a sleepy object.
6 is a flowchart for selecting an object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program.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in which a thing receiving a control signal allows control.
8 is a flowchart of searching for and controlling a thing already recognized by a user terminal.
9 is a flowchart in which a user terminal updates a file for recognition and control embedded in a thing.
FIG. 10 is a flowchart comparing a conventional object recognition control step experienced by a user and an object recognition step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1 is a view showing the devic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structure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parts.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in which another component exists in between. It may also include.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ncludes" or "having"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nother component,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the importance between the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ccording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likewise, a second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also be called.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o clearly describe each feature,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mponents are separated.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on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and formed into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Therefore, even if not mentioned otherwise, such integrated or distribut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components, and some of them may be optional components. Therefore, an embodiment consisting of a subset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mbodiments including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존의 CSMA/CA는 비동기 통신 시스템에서만 사용될 수 있었다. 이때, 본 발명의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는 CSMA/CA를 동기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경쟁 대행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주 채널과 부 채널이 하나의 쌍을 이룰 수 있다. 본래의 데이터 채널은 수 MHz 단위의 광대역의 밴드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주 통신 밴드는 그대로 데이터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경쟁을 하는 채널은 협대역의 신호를 사용한다. 협대역의 신호로서 주파수 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파수 톤은 수 kHz 에서 수십 kHz 의 밴드폭을 가지기 때문에, 광대역 대역폭의 1/100 이하의 대역폭을 가진다. 일 예로, 10kHz 의 톤 채널과 990kHz의 데이터 채널로 1MHz 대역이 구성된다면, 충돌이 없다는 가정하에서 최대 데이터 채널 사용률은 99%가 된다. 이는 같은 밴드에서 CSMA/CA를 사용할 경우, 최대 채널 사용률이 50% 인 것에 비하여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부 채널은 주 채널과 바로 인접하게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부 채널은 주 채널과 떨어진 상태로 할당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CSMA / CA could only be used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In this case, in the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ion substitute channel may be used so that the CSMA / CA may be used in the synchronization system. For example, the primary channel and the secondary channel may be paired. The original data channel may have a wide bandwidth of several MHz. In this case, the main communication band may be used as the data channel as it is. Competing channels use narrowband signals. A frequency tone can be used as a narrow band signal, and since the frequency tone has a bandwidth of several kHz to several tens of kHz, it has a bandwidth less than 1/100 of the broadband bandwidth. As an example, if the 1MHz band is configured with a 10kHz tone channel and a 990kHz data channel, the maximum data channel utilization is 99%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no collision. This can be very advantageous when using CSMA / CA in the same band, compared to 50% maximum channel utilization.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secondary channel may be allocat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primary channel.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subchannel may be allocated away from the main channel,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복수(e.g 수천 또는 수만)의 단말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복수의 단말들이 경쟁을 수행하는 채널을 데이터 전송 채널과 다르게 설정하도록 함으로서, 주파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at is, in an environment where a plurality of terminals (e.g. thousands or tens of thousands) of terminals coexist, the channel efficiency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may be set differently from that of the data transmission channel, thereby improving frequency efficiency.
또한, 일 예로, 사용할 슬롯의 앞 슬롯에서 단말들은 사전에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A가 주 채널의 s번 슬롯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단말 A는 경쟁 대행 채널인 s-1번 슬롯에서 미리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 A는 경쟁 대행 채널의 슬롯 내의 부슬롯 번호를 N 이라고 하면, 선택된 부슬롯의 이전 부슬롯까지 캐리어 센싱(carrier sensing)을 수행할 수 있다. 수행 결과 검출된 신호가 없으면, 선택한 부슬롯부터 마지막 부슬롯까지 경쟁 톤 신호를 전송하고, 주 채널의 슬롯 s번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일 예로, 단말 A가 수행 결과 검출된 신호가 있는 경우, 단말 A는 경쟁(contention)에서 진 것으로 결정하고, 톤 채널과 주(main) 채널에서 아무런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부슬롯 할당은 하나의 일 실시예일뿐, 특정 숫자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장 낮은 수의 부슬롯을 할당받은 단말은 캐리어 센싱 이후에 경쟁 신호를 전송하고, 주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UEs may compete in a slot before a slot to be used. In more detail, if UE A decides to use slot s of the primary channel, UE A may perform competition in advance in slot s-1, which is a competition agency channel. At this time, the terminal A, if the subslot number in the slot of the contention channel is N, it can perform carrier sensing (carrier sensing) to the previous subslot of the selected subslot. If there is no signal detected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a contention ton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lected subslot to the last subslot and data is transmitted in slot s of the main channel. In this case, as an example, when there is a signal detected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of the terminal A, the terminal A may determine that it is lost in contention and may not transmit any signal in the tone channel and the main channel. However, the above-described sub slot allocation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That is, the terminal allocated the lowest number of subslots may transmit a contention signal after carrier sensing and perform data transmission on the primary channel.
이때, 일 예로, 이러한 경쟁 대행 채널의 신호는 주파수 톤 신호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주파수 밴드를 가장 적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하기부터는 경쟁 신호를 톤 신호로 가정하여 지칭한다. 다만, 경쟁 신호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경쟁을 통해, 동일한 슬롯을 선택한 단말들은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상황에서는 500개 중에서 같은 슬롯을 선택한 단말들이 다시 충돌을 피할 수 있었다.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signal of the competition agency channel may use a frequency tone signal, and in this case, the frequency band may be used the least. In this case, hereinafter, the contention signal is assumed to be a tone signal. However, the competition signal may be set differently,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etition, terminals selected the same slot can avoid collision.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situation, the UEs having selected the same slot among 500 could avoid collision again.
본 발명에 슬롯 클리어링이라 함은 단말이 슬롯 s 를 지속적으로 충돌 없이 사용하기 위하여, 경쟁 대행 채널의 이전 슬롯 s-1 에서 부슬롯 0번부터 경쟁 신호를 송신하여 주변 단말들이 해당 슬롯 s를 사용하려는 시도를 막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를 전제로 관련 내용을 서술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lot clearing means that a terminal continuously transmits a contention signal starting from
또한, 일 예로, 많은 전자 및 전기 제품들이 스마트 디바이스와 같은 통합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스마트 디바이스와 같은 통합 단말과 사물을 연결하는 과정은 복잡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와 사물이 서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무선 인터페이스가 결정될 필요성이 있다. 이때, 주로 WIFI 나 블루투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는 해당 사물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새물을 인식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연결 후에 사물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사물을 인식하는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의 유저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e.g. 사용자가 사물의 매뉴얼을 숙지한 후에 사물의 단말 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한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유저는 사물의 특성 및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추가 동작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유저들은 수행해야 할 단계들이 많을 수 있으며, 사용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Also, for example, many electronic and electrical products may be connected with integrated terminals such as smart devices. However, a process of connecting an object with an integrated terminal such as a smart device may be complicated. For example, in order for a smart device and a thing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 wireless interface needs to be determined. At this time, mainly WIFI or Bluetooth may be used. Also, as an example, the smart device needs to search for an application for the thing and install the application. In addition, the smart device may execute the application and wait for the application to recognize the bird and then control the object after the connection. Here, when the application recognizes the thing,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needs to control the smart device (eg, after the user has read the manual of the thing, the user must press the terminal button of the thing several times). The user of the device needs to perform an additional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ng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Therefore, the users of the smart device may have many steps to perform, and the usage efficiency may be reduced.
또 다른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는 WIFI나 블루투스로 연결된 후에 사물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의 유저는 WIFI나 블루투스를 수동으로 연결해야 하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스마트 디바이스가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한 사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연결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서술한다.As another example, the smart device may control the thing after being connected via WIFI or Bluetooth. That is, the user of the smart device needs to perform an operation of manually connecting WIFI or Bluetooth. In view of the forego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smart device to a service for providing a service may be required, which will be described.
일 예로, 이동성을 가진 단말이 주변의 사물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연결되어 사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단말과 사물이 직접 통신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단말은 사물과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기존의 WIFI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for a mobile terminal to immediately recognize a nearby object and be connected and receive a service from the object, there is a need for the terminal and the thing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thing in various ways. As an example, the terminal may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using the existing WIFI or Bluetooth.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 및 참고 문헌 1(출원번호 10-2017-0026778, 접수번호 1-1-2017-0207822-47, 동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충돌 회피 방법, 한국)에 기초하여 단말은 경쟁 방식을 사용하는 분산 통신을 통해 사물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과 사물은 공통의 통신 모뎀을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은 공통의 통신 모뎀에 기초하여 사물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 및 참고 문헌 2(출원번호 10-2018-0014682, 접수번호 1-1-2018-0131792-95, 동기식 TDMA 시스템에서 복수 채널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한국)에 기초하여 분산 통신을 통해 사물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상술한 바에 기초한 슬롯과 채널을 통해 사물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하기에서 단말이 사물을 인식함은 단말이 사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필요한 사전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단말이 해당 사물과 통신을 수행하고, 사물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을 설치한 경우, 단말은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terminal is competing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nd reference 1 (Application No. 10-2017-0026778, Reception No. 1-1-2017-0207822-47, Collision Avoidance Method in 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orea). Distributed communication using a method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a thing. For example, the terminal and the thing have a common communication modem, and the terminal may search for the thing based on the common communication modem. In addition, as an example, distribut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nd reference 2 (Application No. 10-2018-0014682, Application No. 1-1-2018-0131792-95, Service method using multiple channels in a synchronous TDMA system, Korea) You can search for things through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search for the thing through the slot and the channel based on the above. In addition, as an example, when the terminal recognizes a thing in the following, it may mean that the terminal prepares necessary preparation for receiving a service from the thing. That is, when the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thing and installs a driver or program suitable for controlling the thing,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e thing.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해당 사물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물로부터 무선으로 직접 단말이 해당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파일, 프로그램 파일 또는 프로그램 설치 파일을 수신할 필요성이 있다. 다만, 사물들은 자신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드라이버 또는 프로그램을 무선으로 직접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예로, 사물이 자신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또는 프로그램을 무선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큰 용량의 반도체 메모리와 무선 통신을 위한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사물들은 상술한 구성들을 구비하지 못하였는바, 무선으로 드라이버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직접 제공할 수 없었다. 다만, 일 예로, 메모리 및 무선 통신 모뎀의 비용을 고려하여 사물에도 상술한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사물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모뎀을 구비하고, 사물 인식에 필요한 정보(e.g. 드라이버 파일, 프로그램 파일, 프로그램 설치 파일)을 내장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무선 통신을 통해 사물로 해당 파일을 요청하는 경우, 사물은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In more detail, in order for the terminal to immediately recognize the object, it is necessary to directly receive a driver file, a program file, or a program installation file for controlling the object by the wireless device directly from the object. However, things may not directly provide a driver or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mselves. For example, in order to wirelessly provide a driver or a program for controlling things by a thing, a large capacity semiconductor memory and a 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required. That is, the existing objects do not hav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thus, they cannot directly provide information about a driver or a program by wireless. However, as an example,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the th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st of the memory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em. That is, the objects may include a mod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embed information (e.g. driver file, program file, program installation file) necessary for object recognition. 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requests the corresponding file to the thing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thing may provide the corresponding fil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구체적으로, 도 1(a)를 참조하면, 기존에 단말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물에 접근할 수 있다. (S111) 이때, 단말은 해당 사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112) 일 예로, 해당 사물에 대한 정보는 제품 이름, 종류 및 모델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단말은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물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유저가 사물에 접근해서 모델명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그 후, 단말은 통신망(e.g. 인터넷 앱스토어, 인터넷 웹페이지)을 통해 해당 사물에 대한 정보(e.g. 드라이버 파일, 프로그램 파일, 프로그램 설치 파일)를 수신할 수 있다. (S113) 일 예로, 단말의 유저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또는 해당 모델의 설치 파일을 검색하여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14) 그 후,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다. (S115) 이때, 단말은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사물 조작 및 매뉴얼을 확인하여 해당 사물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절차처럼 다수의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a), the terminal may access a thing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check information on the thing.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thing may be at least one or more of a product name, a type, and a model nam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e information about the thing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 other words, the user needs to check the model name by accessing the object. Thereafter, the terminal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e.g. driver file, program file, program installation fil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e.g. internet app store, internet web page). For example, the user of the terminal may receive related information by searching an application or searching an installation file of a corresponding model. Thereafter, the terminal may download and install the application or the installation file.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check an object operation and a manual for recognizing the object and perform control on the object. That is, a plurality of procedures may be necessary as described above.
이때, 일 예로, 사물에 사물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 단말은 해당 사물을 검색하여 (S121) 해당 사물에 대한 정보(e.g. 드라이버 파일, 프로그램 파일, 프로그램 설치 파일)를 수신할 수 있다. (S122) 즉, 사물은 해당 사물을 인식하고 제어하기 위한 파일을 메모리에 내장하고 있다가 이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및 사물은 공통된 통신 모뎀과 이를 제어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은 자신이 저장한 파일들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장치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내장된 파일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물에 대한 정보에 대한 파일로서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파일, 프로그램 파일 또는 프로그램 설치 파일일 수 있다.At this time, as an example, when the thing-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th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terminal searches for the thing (S121)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hing (eg driver file, program file, program installation file). can do. That is, the thing may embed the file for recognizing and controlling the thing in the memory and provide the same to the terminal.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and the thing may include a common communication modem and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same. In addition, the thing may also include a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the files stored therein. The embedded files may be a driver file, a program file, or a program installation file for controlling the thing as a file for information on the thing as described above.
일 예로, 드라이버 파일은 단말에 설치된 기본 프로그램 또는 OS가 필요로 하는 드라이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에 해당 드라이버가 설치되는 경우, 단말은 기존 프로그램으로부터 해당 사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에 리모콘 기본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 단말이 에어컨으로부터 드라이버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주변 사물에 대한 검색 (S311)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에어컨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에어컨 선택 후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S312) 이 후, 단말은 리모콘 기본 프로그램과 해당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에어컨을 제어할 수 있다. (S313)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에어컨을 기준으로 서술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른 사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driver file may provide a driver required by a basic program or an OS installed in the terminal. In this case, when a corresponding driver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may receive a service for the corresponding object from an existing program. As a specific example, referring to FIG. 3, when the remote controller basic program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may receive a driver from the air conditioner.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search for surrounding objects (S311), and may select an air conditioner therefrom. The terminal may download and install a driver after selecting the air conditioner and may automatically recognize it. Thereafter, the terminal may control the air conditioner using the remote controller basic program and the corresponding driv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ir conditioner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ir conditioner,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the same may be applied to other object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다음으로, 단말에 관련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해당 사물로부터 무선으로 프로그램 파일 또는 프로그램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설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로서 드론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 뿐, 다른 사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드론은 드론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드론으로부터 무선으로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주변 사물로서 드론을 검색할 수 있다. (S321) 이때, 단말은 해당 드론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직접 다운로드 받고 이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S322) 그 후, 단말은 해당 드론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S323) 일 예로, 단말과 드론은 공통의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범용 드론 제어 단말이 있다면, 이 범용 제어 단말기는 해당 드론으로부터 쉽게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해당 드론을 제어할 수 있다.Next, when the related program is not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may wirelessly download the program file or the program installation file from the corresponding object and install the program fil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b), a drone may be considered as a terminal.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may be equally applied to other objects. In this case, the drone may embe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drone.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directly downloa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drone wirelessly from the drone. In detail, the terminal may search for a drone as a surrounding object.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directly download the program from the corresponding drone and install it and automatically recognize the program. Thereafter, the terminal may select and control the corresponding drone. For example, the terminal and the drone may include a common modem. In addition, as an example, if there is a general purpose drone control terminal, the general purpose control terminal can easily download the installation file from the corresponding drone to control the drone.
또한, 일 예로, 단말이 자동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제어하는 경우, 단말은 먼저 단말이 주변 사물을 무선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주변 사물을 검색하는 경우, 단말은 검색된 사물 중에서 연결될 사물이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된 사물로부터 사물에 대한 정보(e.g. 드라이버 파일, 프로그램 파일, 프로그램 설치 파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사물은 사물에 대한 정보를 방송할 수 있으며, 단말은 방송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when the terminal automatically recognizes and controls an object, the terminal may first wirelessly search for neighboring objects. 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searches for neighboring objects, the terminal may select a thing to be connected from among the found ones. The terminal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thing (e.g. driver file, program file, program installation file) from the selected thing.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thing may broadcast information about the thing, and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e thing by using the broadcasting information.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 및 참고 문헌 3(출원번호 10-2018-0021100, 접수번호 1-1-2018-0187211-36, 동기식 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톤 채널을 이용한 단말 동작 방법, 한국)에 기초하여 깨움 톤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가 장착된 사물은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사물은 잠든 상태(sleep mode)를 유지하다가 깨움 톤 신호에 기초하여 어웨이크될 수 있다. 이때, 깨움 톤 채널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톤 채널 중에서 사물을 어웨이크시키기 위한 톤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톤 채널의 용도가 사물의 어웨이크로 사용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어웨이크된 사물은 자신의 정보를 사전에 설정된 무선 채널로 방송하거나 자신에게 전달된 패킷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어웨이크된 사물이 사물의 정보를 방송하는 경우, 단말은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as described above and reference 3 (Application No. 10-2018-0021100, Application No. 1-1-2018-0187211-36,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using a tone channel in a 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Korea) A wake up tone channel can be used on the basis. For example, an object equipped with a battery may be efficiently operated at low power.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object may be awake based on a wake tone signal while maintaining a sleep mode. In this case, the wake tone channel may mean a tone channel for awakening an object from among the tone channels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case where the use of the tone channel is used as the awake of the thing can be considered. In this case, the awakened object may broadcast its information on a preset wireless channel or check whether there is a packet delivered to the awakened object. In this case, when the awakened thing broadcasts the information of the thing,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e thing by receiving the broadcast information.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깨움 톤을 전송할 수 있다. (S411)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깨움 톤 채널을 통해 사물로 깨움 톤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사물이 어웨이크될 수 있다. 사물이 어웨이크된 경우, 사물은 사물에 대한 정보를 무선 채널로 방송할 수 있다. (S412) 이때, 사물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정보일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방송되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413)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terminal may transmit a wake tone.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wake tone to the thing through the wake tone channel, and the thing may be awake based on the wake tone channel. When the thing is awake, the thing may broadcast information about the thing through a wireless channel.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thing may be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hereafter, the terminal may receive the information about the broadcasted thing and acquire the thing information. (S413)
또한, 일 예로, 단말은 깨움 톤을 전송 한 후, 근원 주소(source address)를 자신의 주소로 설정하고, 어웨이크된 사물의 주소를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로 설정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어웨이크된 사물은 수신한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자신의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수신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검색 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응답 패킷에는 사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단말은 이를 통해 사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은 깨움 톤을 깨움 톤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S421) 이때, 단말은 자신의 주소를 근원 주소로 하고, 어웨이크된 단말의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S422) 이때, 사물은 자신을 목적지 주소로 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S423) 그 후, 사물은 수신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S424) 그 후, 단말은 응답 패킷을 통해 사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S425)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terminal may transmit a packet in which the source address is set as its own address and the address of the awakened object is set as the destination address after transmitting the wake tone. . In this case, the awakened object may transmit a response packet for the received packet to the search terminal when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received packet matches its own address. In this case, the response packe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hing, and the terminal may obtain the information about the thing.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b), the terminal may transmit a wake tone through the wake tone channel.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transmit a packet having its own address as a source address and an address of the awakened terminal as a destination address. In this case, the thing may receive a packet having itself as a destination address. Thereafter, the thing may transmit a response packet to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hereafter, the terminal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thing through the response packet, and may operate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S425)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단말이 사물을 검색하는 경우, 단말은 복수 개의 사물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검색하고자 하는 사물 이외에도 다른 사물들이 깨어나서 미리 정한 시간동안 자신의 정보를 방송하고 자신에게 전달되는 패킷이 없는지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제어를 의도하지 않는 사물은 배터리를 불필요하게 소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 및 참고 문헌 3에서 기술된 깨움 톤 채널을 이용하는 경우, 톤 슬롯 패턴을 이용하여 원하는 사물만 어웨이크 시킬 수 있다. 참고 문헌 3에서, 톤 슬롯 패턴은 경쟁 대행 채널, 즉 경쟁 톤 채널의 0번 부슬롯을 제외한 다른 부슬롯들에 정보를 실어 보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0번 부슬롯은 슬롯 클리어링에 사용된다. 다만, 상술한 바처럼 깨움 톤 채널은 0 번 부슬롯을 제외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경쟁 톤 채널이 아닌 깨움 톤 채널에서 0번 부슬롯을 포함한 전체 부슬롯에서 톤 슬롯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톤 슬롯 패턴은 참고 문헌 4(출원번호 10-2018-0027675, 접수번호 1-1-2018-0236883-25,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 톤 채널 이용 방법, 한국)에 기술된 경쟁 톤 채널, 혹은 참고 문헌 3에서 기술된 깨움 톤 채널 혹은 참고 문헌 3에서 기술된 슬롯 및 부슬롯에 의미가 부여된 톤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사물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 톤 채널을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정 사물만 인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searches for a thing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rminal may search for a plurality of things.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thing that the terminal wants to search, other things may wake up to broadcast their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perform an operation on whether there are no packets delivered to the user. Therefore, a thing that the terminal does not intend to control may consume the battery unnecessarily. For example, when using the wake tone channel described above and in
구체적으로, 단말은 깨움 톤을 전송하고, 톤 슬롯 패턴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a)를 참조하면, 깨움 톤 신호는 1초 길이의 프레임 동안 계속해서 송신될 수 있다. 다만, 깨움 톤 신호는 다른 형태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단말은 깨움 톤 신호가 전송된 후, 톤 슬롯 패턴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물은 깨움 톤 신호를 수신한 후, 추가로 톤 슬롯 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사물은 깨움 톤 신호 이후에 톤 슬롯 패턴이 자신과 관련된 톤 슬롯 패턴인 경우에만 어웨이크되어 사물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거나, 단말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In detail,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wake up tone and transmit a signal based on the tone slot pattern.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5A, the wake tone signal may be continuously transmitted during a frame of 1 second in length. However, the wake tone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another form,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tone slot pattern after the wake tone signal is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object may further receive a tone slot pattern after receiving the wake tone signal. After the wake-up tone signal, the thing may be awake only when the tone slot pattern is a tone slot pattern associated with itself to broadcast information about the thing, or may receive a packet from the terminal.
구체적인 일 예로, 단말은 깨움 톤 신호 전송 후에 사물로서 에어컨과 관련된 톤 슬롯 패턴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전송하는 깨움 톤을 복수 개의 사물이 수신할 수 있지만, 복수 개의 사물 중 톤 슬롯 패턴이 동일한 에어컨만 에웨이크되어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에어컨은 에어컨의 정보를 방송하거나 단말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tone slot pattern associated with the air conditioner as an object after the wake up tone signal is transmitted. In this case, although the plurality of things may receive the wake ton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only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tone slot pattern among the plurality of things may be awakened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That is, the air conditioner may broadcast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or receive a packet from the terminal.
일 예로, 도 5(b)를 참조하면, 단말은 깨움 톤 신호 전송 후에 에어컨과 관련된 톤 슬롯 패턴을 전송할 수 있다. (S511) 이후, 에어컨은 깨움 톤 이후에 수신되는 톤 슬롯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S512) 이때, 톤 슬롯 패턴이 에어컨의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에어컨은 어웨이크되어 에어컨의 정보를 방송하거나 수신되는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513) 또한, 일 예로, 주변 사물로서 TV의 경우에는 도 5(c)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단말은 깨움 톤 신호 전송 후에 에어컨과 관련된 톤 슬롯 패턴을 전송할 수 있다. (S521) 이때, TV는 깨움 톤 이후에 수신되는 톤 슬롯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S522) TV는 자신의 패턴과 톤 슬롯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바, 잠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깨움 톤 신호 전송 후 해당 사물을 식별하기 위한 톤 슬롯 패턴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주변에는 복수 개의 사물이 존재할 수 있는바, 단말은 톤 슬롯 패턴을 통해 특정 사물을 식별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b), the terminal may transmit a tone slot pattern related to an air conditioner after transmitting a wake tone signal. Thereafter, the air conditioner may check the tone slot pattern received after the wake up tone. In this case, when the tone slot pattern coincides with the pattern of the air conditioner, the air conditioner may be awake to check whether there is a packet that broadcasts or receives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V as a peripheral object, it may operate as shown in FIG. 5C.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tone slot pattern associated with the air conditioner after transmitting the wake tone signal. In this case, the TV may check the tone slot pattern received after the wake up tone. (S522) Since the TV does not match its pattern and tone slot pattern, the TV may remain asleep. That is, the terminal may transmit a tone slot pattern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object after transmitting the wake tone signal.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ings may exist around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may identify a specific thing through a tone slot pattern.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이 사물에 대한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을 이미 설치한 경우에도 사물을 어웨이크시키고 제어하기 위해 깨움 톤 신호 및 톤 슬롯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사물과 직접 통신을 통해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사물을 통해 항상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바, 서비스에 대한 활성 여부를 지시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단말의 유저는 단말을 제어하여 사물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깨움 톤 신호 및 톤 슬롯 패턴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even when the terminal acquires relevant information about a thing and already installs a driver or a program, a wake tone signal and a tone slot pattern may be used to awake and control the thing.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need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thing. Specifically, the terminal may not always provide a service through the thing, so it is necessary to indicate whether the service is active. For example, the user of the terminal may control the terminal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thing.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operate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wake tone signal and the tone slot pattern.
또한, 일 예로, 단말은 복수 개의 사물 중 제어할 사물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상위 계층(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설정에 기초하여 사물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에는 사전에 기설정된 프로그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사물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자동으로 동물에 먹이를 주거나 식물에 물을 주는 기계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의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자동적으로 사물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주기적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S611) 일 예로, 도 6에서는 먹이주기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먹이주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면, 이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단말은 깨움 톤을 깨움 톤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S612) 즉, 단말의 프로그램은 깨움 톤을 이용하여 해당 사물을 주기적으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 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톤 슬롯 패턴은 상술한 주기에 기초하여 송신되고, 따라서 상술한 주기로 사물이 어웨이크될 수 있다. 즉, 톤 슬롯 패턴은 주기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고, 주기 정보가 고려된 톤 슬롯 패턴을 통해 해당 사물은 기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어웨이크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깨움 톤 신호를 수신한 사물은 어웨이크되어 자신의 정보를 방송하거나 자신의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13) 즉, 먹이 주는 기계 및 주변 사물이 어웨이크되어 자신의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방송되는 사물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사물(또는 사물들)을 선택할 수 있다. (S614) 즉, 단말이 방송되는 사물 정보를 수신한 후 먹이 주는 기계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직접 통신을 통해 해당 사물(또는 사물들)을 제어할 수 있다. (S615) 즉, 단말은 먹이 주는 기계에게 먹이 주기에 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사물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as an example, the terminal may automatically select a thing to control from among a plurality of things. The terminal may automatically select a thing based on a higher layer (program or application) setting. For example, a preset program may exist in the terminal, and an object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based on the preset program. For example, when there is a machine that automatically feeds an animal or waters a plant, the program of the terminal may automatically select and control an object periodically.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the terminal may set the program to be executed periodically. For example, in FIG. 6, if the feeding program automatically performs a feeding operation,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after,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wake up tone through the wake up tone channel. That is, the program of the terminal may periodically change the corresponding object to the awake state by using the wake tone. Also, as an example, the tone slot pattern is transmitt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period, and thus, the thing may be awakened in the above-described period. That is, the tone slot pattern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eriod, and the thing may be awakened based on a preset period through the tone slot pattern in which the period information is considered,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after, the object that has received the wake tone signal may be awake to broadcast its own information or check whether its own packet exists. That is, the feeding machine and the surrounding objects may be awake to broadcast their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receive the broadcasted thing information and then select the corresponding thing (or things). That is, the terminal may select a feeding machine after receiving the broadcasted object information. Thereafter, the terminal may control the thing (or objects)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That is, the terminal may transmit a command for feeding the feeding machine to the feeding machin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hing based on this.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파일을 무선으로 사물로부터 다운로드한 후에, 해당 파일을 이용하여 인식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에 필요한 작업은 주로 해당 사물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을 단말에 설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사물을 인식하여 제어하는 것은 다운로드 하여 설치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프로그램을 모두 다운로드 하는 것보다는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즉, 단말에는 범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 드라이버를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범용 리모콘 프로그램이 단말에 설치되어 있으면, 에어컨으로부터는 에어컨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서 에어컨을 작동시킬 수 있고, TV 로부터는 TV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서 TV를 작동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may wirelessly download a file from an object and then perform a task required for recognition using the file. For example, a task required for recognition may mean installing a driver or program suitable for controlling a corresponding object in a terminal. Here, although the terminal recognizes and controls the thing, it may be performed by using the downloaded and installed program, but it may be more efficient to download the driver than to download all the programs. That is, a general-purpose program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the driver downloaded and installed therein can be applied to the program to perform control. For example, if a universal remote control program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air conditioner driver can be downloaded from the air conditioner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and the TV driver can be operated by downloading the TV driver from the TV.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경우, 사물 인식 과정에서 인증 또는 비밀 번호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사물이 인증 받지 않은 다른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에 보안 및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이 사물에게 사물이 내장한 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 사물은 해당 단말에게 비밀 번호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사물을 제어하는 패킷에 비밀 번호를 포함시켜 무선으로 전송하고, 사물은 패킷에 비밀 번호를 검사하여 인증된 경우에만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즉, 단말과 사물은 인증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사물의 제어 권한이 단말에게 주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사물을 인식하는 것은 모든 단말이 가능할 수 있으나, 해당 사물을 제어하는 것은 인증받은 특정 단말만 가능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when operating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authentication or password setting may be required in the object recognition process. For example, security and other problems may occur when a thing is controlled by another terminal that is not authenticated. To this end, when the terminal requests the thing to download a file embedded in the thing, the thing may request a password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addition, the terminal includes a password in a packet controlling the thing and transmits it wirelessly, and the thing may allow control only when the password is checked and authenticated in the packet. That is, the terminal and the thing may perform a procedure for authentication, and control authority of the thing may be given to the terminal only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For example, all terminals may recognize the thing, but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thing may be possible only by a specific terminal authenticated.
또한, 일 예로, 보안을 유지하는 방법은 비밀 번호 자체를 전송하는 것도 있지만,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보내는 정보를 PN 코드로 혼화(scramble)을 시키면 더 강화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보안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가 사물을 구입한 이후, 초기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비밀번호 이외의 다른 보안 또는 인증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f a method of maintaining security, the password itself may be transmitted, but if the information transmitted using the password is scrambled with the PN code, the security may be further enhanced. Also,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the form of security. Specifically, after the user purchases the thing, when the initial password is set, other security or authentication methods other than the password may be required.
이때, 일 예로서, 사물이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파워 또는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사물의 제어 허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은 수신한 신호에 대한 수신 파워 또는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사물은 계산한 수신 파워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또는 경로 손실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만 사물의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즉, 사물은 신호를 이용하여 사물과 일정 거리 또는 근접한 단말에 대해서는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의 범위는 단말 또는 사물이 위치하는 영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유저 또는 시스템에서는 일정 거리까지의 신호에 대해서만 제어 권한을 부여하여 사용 범위를 결정하고 할 수 있다. 일 예로, 다른 집의 거주자가 내 집의 TV를 제어하려는 경우, TV에 도착하는 제어 신호의 수신 파워가 임계치보다 작아서 TV를 제어할 수 없다. 이때, 사물의 유저로서 TV를 구입한 사용자가 TV에 수신 파워 임계치나 혹은 경로 손실 임계치를 설정하여 다른 사람에 의한 제어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a)를 참조하면, 사물은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711) 이때, 사물은 수신한 제어 신호의 수신 파워 또는 경로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S712) 그 후, 수신 파워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또는 경로 손실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S713), 사물은 근접한 단말로 판단하고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S714) 또한, 일 예로, 수신 파워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또는 경로 손실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S713), 사물은 제어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S715)In this case, as an example, whether to allow the control of the thing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ception power or the path loss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thing. More specifically, the thing may calculate the received power or path loss for the received signal. In this case, the thing may allow control of the thing only when the calculated received power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or when the path loss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at is, the thing may allow control of a terminal that is at a certain distance or close to the thing by using a signal. For example, the range of the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may be set wider than the area where the terminal or the thing is located. However, the user or system of the terminal can determine the range of use by granting control authority only to signals up to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when a resident of another house wants to control a TV of my home, the reception power of a control signal arriving at the TV is smaller than a threshold so that the TV cannot be controlled. At this time, a user who purchases a TV as a user of an object may set a reception power threshold or a path loss threshold on the TV to prevent control by another person.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A, a thing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a terminal. In this case, the object may calculate a received power or a path loss of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f the received power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or if the path loss is less than the threshold (S713), the thing may be determined to be a nearby terminal and allow control. For example, when the reception power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or the path loss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S713), the thing may not allow control. (S715)
또 다른 일 예로, 사물의 제어는 단말 ID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사물에 단말 ID가 등록될 수 있다. 즉, 사물에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의 ID를 등록하면, 단말은 자신의 ID가 포함된 무선 패킷을 사물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물은 수신된 패킷의 ID 정보를 통해 해당 패킷이 인증된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b)를 참조하면, 사물에 제어 가능한 단말 ID가 등록될 수 있다. (S721) 사물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S722), 사물은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가 정보가 등록된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723) 이때, 제어 신호에 등록된 ID가 포함되는 경우, 사물은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S724) 반면, 제어 신호에 등록된 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물은 제어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S725)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of the th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terminal ID. For example, the terminal ID may be registered in the thing. That is, if an ID of a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thing is registered in the thing, the terminal may transmit a wireless packet including its ID to the thing. Through this, the thing may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packet is an authenticated terminal through ID information of the received packet, and may allow control based on the I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B, a controllable terminal ID may be registered in a thing. (S721) When the thing receives the control signal (S722), the thing may determine whether the ID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coincides with the ID in which the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is case, when the ID registered in the control signal includes the thing, the thing may allow the control. On the other hand, when the ID registered in the control signal does not include, the thing may not allow the control. (S725)
또한, 일 예로, 사물의 초기 등록을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c)를 참조하면, 사물이 처음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731) 일 예로, 유저가 사물을 처음 구입하거나 사물이 리셋된 후에 처음 사용되는 경우, 사물은 처음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은 수신한 제어 정보에 포함된 단말의 ID를 자동으로 제어 허용 단말 등록 ID로 등록할 수 있다. (S732) 즉, 처음 사용자를 인식하여 등록함으로서 유저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물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S733), 사물은 제어 신호에 포함된 ID가 정보가 등록된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734) 이때, 제어 신호에 등록된 ID가 포함되는 경우, 사물은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S735) 반면, 제어 신호에 등록된 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물은 제어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S736)Also, as an example, initial registration of a thing may be consider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C, an object may first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example, when a user first purchases an object or is used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object is reset, the object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the first time. Here, the thing may automatically register the ID of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received control information as the control permission terminal registration I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er use by recognizing and registering the first user. At this time, when the thing receives the control signal (S733), the thing may determine whether the ID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matches the ID registered with the information. In this case, when an ID registered in the control signal is included, the thing may allow control. On the other hand, when the ID registered in the control signal does not include, the thing may not allow the control. (S736)
또한, 일 예로, 단말은 사물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사물에 대한 추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사물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현재 사물의 상태도 자동으로 전달 받아서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의 유저에게 사물의 상태 정보 및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lso, as an example, the terminal may perform additional control on the thing as well as the recognition of the thing.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automatically execute a program related to the thing, and automatically receive the current state of the thing and display it on the interface screen of the program.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service of the thing to the user of the terminal.
구체적으로, 단말은 한번 인식된 사물에 대해서 사물에 내장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필요 없이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이미 인식된 사물에 대한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S811) 즉, 단말의 유저는 단말을 통해 이미 인식된 사물에 대한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무선으로 주변 사물을 검색할 수 있다. (S812) 이때, 사물이 존재하는 경우 (S813), 단말은 해당 사물에 대한 제어 권한을 획득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814) 반면, 사물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S813), 단말은 유저에게 서비스 불가 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S815) 여기서, 해당 사물을 검색하는 방법은 처음으로 사물을 인식하기 위하여 사물을 검색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erminal may recognize and control the object once recognized without having to download a file embedded in the object. In detail, referring to FIG. 8, the terminal may request control of an already recognized object. 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may request control of a thing already recognized through the terminal. Thereafter, the terminal can search for the surrounding objects by wireless. In this case, when the thing exists (S813), the terminal may obtain a control right for the thing and provide a servi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ng does not exist (S813), the terminal may provide service unavailable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erminate the service. Here, the method of searching for the thing may use the same method as the method of searching for the thing in order to recognize the thing for the first time.
또 다른 일 예로, 사물에 내장된 정보(e.g. 드라이버, 프로그램)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는 사물뿐만 아니라 단말도 연결되어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사물로부터 정보(e.g. 드라이버, 프로그램)에 대한 버전을 요청하여 버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수신한 버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기존 통신망 또는 다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물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무선으로 수신한 사물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사물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물은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드라이버 또는 프로그램 파일을 업데이트하여 내장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formation (e.g. driver, program) embedded in a thing may be updated. At this time, the update needs to be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as well as the thing.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receive a version information by requesting a version of the information (e.g. driver, program) from the thing. Thereafter,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o updat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by using the received vers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receive updated information about the thing by using an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 or another communication network. The terminal may transmit update information about the thing wirelessly received to the thing. The thing may update the driver or program file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embed it.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주변 사물로부터 버전 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911) 이때, 단말은 수신된 버전 정보가 최신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912) 이때, 수신한 정보가 최신 정보인 경우, 단말은 업데이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은 수신한 버전 정보가 최신 정보가 아닌 경우, 단말은 사물에게 드라이버 또는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다. (S913) 일 예로, 단말은 다른 서버가 장치로부터 해당 사물에 대한 최신 드라이버 또는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사물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사물은 전송 받은 드라이버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존 파일을 업데이트하여 내장할 수 있다. (S914)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the terminal can receive version information by requesting version information from surrounding objects.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check whether the received version information is the latest information. In this case, if the received information is the latest information, the terminal may end the update procedure. 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version information is not the latest information, the terminal may transmit a driver or program to the thing.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receive the latest driver or program for the corresponding object from the device, and may transmit the same to the thing. Thereafter, the thing may update and embed the existing file by using the received driver or program. (S914)
또한, 일 예로, 단말이 무선으로 사물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은 사물로부터 일정한 형식에 기초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수신한 수신한 사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물에 대한 유형을 판단하고, 사물에 대한 인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사물에 대한 초기 검색을 수행하고, 초기 검색에 기초하여 사물 초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물 초기 정보에는 사물의 이름, 사물의 종류, 사물의 모델명, 사물의 제품 번호, 내장 파일들의 종류, 사용 가능한 무선 통신 정보,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기본 프로그램 종류, 버전, 현재 제품 상태 정보 및 지원되는 언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내장 파일들의 종류는 사물이 내장한 드라이버나 프로그램 등을 지칭하는 것이고, 사용 가능한 무선 통신 정보는 본 사물이 제공하는 통신 수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사물은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바, 사용 가능한 무선 통신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사물의 제품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해당 사물의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해당 제품 번호에 기초하여 제품 번호가 설치된 프로그램에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다.Also, as an example, when the terminal wirelessly searches for a thing, the terminal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thing based on a certain format.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thing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thing, and perform a recognition procedure for the thing.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perform an initial search for the thing and may obtain the thing ini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itial search. For example, the initial object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of the thing, the type of the thing, the model name of the thing, the product number of the thing, the types of the internal files, the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the basic program type associated with the user terminal, the version, the current product state information, and the lik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upported languag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types of embedded files refer to a driver or a program embedded in the thing, and the usable wirel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means provided by the thing.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thing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means, and available wirel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be utilized. For example, the product number of the thing may be used. In this case, after the terminal installs the driver or the program of the object, the terminal may be automatically registered in the program in which the product number is installed.
또한, 일 예로, 각각의 사물에 내장된 파일은 각국의 언어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프로그램이 설치되면, 프로그램 메뉴가 해당 국가의 언어로 보여질 수 있다. 다만, 어떤 사물의 경우에는 다수의 언어가 지원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때, 일 예로, 지원되는 언어의 개수만큼 드라이버 또는 프로그램 파일이 사물에 내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사물에 드라이버 또는 프로그램 파일을 언어와 상관없이 공통으로 제작하여 내장하고, 지원되는 언어 개수만큼 언어 관련 파일들을 추가로 사물에 내장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를 통해 메모리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단말은 사물에 대한 드라이버 또는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언어 관련 파일도 함께 다운로드 받아서 각국의 언어를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원하는 언어로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files embedded in each thing may be produced in languages of each country. In particular, when the program is installed, the program menu may be displayed in the language of the corresponding country. For some things, however, multiple languages will need to be supported. In this case, for example, as many drivers or program files as the number of supported languages may be embedded in the thing. As another example, a driver or a program file may be commonly created and embedded in a thing regardless of a language, and language-related files may be additionally embedded in the thing as many as the number of supported languages. 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size may be effectively reduced. Can be. That is, when the terminal receives a driver or a program for a thing, the terminal may also download a language-related file and support the languages of each country. This allows the user to view the program in the desired language.
또 다른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단말이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존에는 단말이 서비스를 받기 원하는 사물에 접근하고(S1011), 사물에 대한 제품 이름, 종류, 모뎀명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었다. (S1012) 그 후, 단말은 통신망(e.g.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스토아 또는 웹페이지)을 통해 사물에 대한 파일을 제공 받을 수 있다. (S1013) 이때, 일 예로, 단말은 통신망을 통해 해당 파일을 검색한 후(S1014), 대상 파일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후에 설치할 수 있다. (S1015) 그 후, 단말은 사물을 인식시키기 위한 조작 및 매뉴얼을 확인하고(S1016), 로그인과 같은 인증을 통해 사물에 접근할 수 있다. (S1017) 그 후, 단말은 사물의 제품 번호를 등록하고(S1018), 제품 설정을 위한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1019)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10, the terminal may provide a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conventionally, the terminal needs to access a thing that a user wants to receive a service (S1011), and check the product name, type, and modem name of the thing. Thereafter, the terminal may receive a file about the thing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e.g., an internet application store or a web page).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terminal may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fil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S1014) and then install the target file or application after downloading. Thereafter, the terminal checks an operation and a manual for recognizing the object (S1016), and accesses the object through authentication such as a login. Thereafter, the terminal may register a product number of the thing (S1018) and perform an additional operation for product setting. (S1019)
반면, 상술한 바처럼 사물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경우, 단말은 도 10(b)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주변 사물을 검색하고(S1021), 선택된 사물 중에서 사물을 선택할 수 있다. (S1022) 이때, 단말은 관련 파일을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고 (S1023), 자동으로 사물을 인식하여 제품 번호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S1024) 또한, 일 예로, 단말은 제품 설정을 위한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S1025)On the other hand, when the objec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may operate based on FIG. 10 (b).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search for nearby objects (S1021) and select a thing from the selected thing.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automatically install a related file (S1023), and automatically recognize a thing and register a product number,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terminal may perform an additional task for product setting, as described above. (S1025)
도 11은 단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단말 장치(100)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10),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0) 및 송신부(110)와 수신부(120)를 제어하는 프로세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는 다른 단말 장치, 기지국 또는 그 밖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The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슬롯을 선택하고,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은 프로세서(130)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구성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일 수 있으며, 추가 구성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selects a slot and performs an operation based on the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단말 장치는 드론, 차량, IoT 디바이스 및 기타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기초하여 드론 간 충돌 회피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본 발명에 기초하여 차량 간 통신에 기초하여 차량 간의 충돌 회피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가전 기기로서 복수의 기기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a smartphone as a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may be one of a drone, a vehicle, an IoT device, and other devices. For example, collision avoidance between drone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for example, collision avoidance between vehicles may be performed based on inter-vehicle communication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s an example, a collision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avoided as the home applianc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oth the object invention and the method invention ar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both inventions may be supplementarily applied as necessary.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단말
110 : 송신부
120 : 수신부
130 : 프로세서100: terminal
110: transmitter
120: receiver
130: processor
Claims (1)
상기 단말이 사물로부터 상기 사물에 내장된 파일을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수신한 사물에 내장된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제어 방법.In the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recognizes and controls a thing,
Receiving, by the terminal, a file embedded in the thing from the thing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d recognizing, by the terminal, the thing based on a file embedded in the received 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5762 | 2018-03-28 | ||
KR1020180035762A KR20180058669A (en) | 2018-03-28 | 2018-03-28 | Method for recognizing things and communicating with things automatical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3550A true KR20190113550A (en) | 2019-10-08 |
KR102674103B1 KR102674103B1 (en) | 2024-06-12 |
Family
ID=626348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5762A KR20180058669A (en) | 2018-02-22 | 2018-03-28 | Method for recognizing things and communicating with things automatically |
KR1020190021035A KR102674103B1 (en) | 2018-03-28 | 2019-02-22 | Method for recognizing things and communicating with things automatically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5762A KR20180058669A (en) | 2018-02-22 | 2018-03-28 | Method for recognizing things and communicating with things automatical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80058669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3505A (en) * | 2012-08-16 | 2014-02-27 | 주식회사 케이티 |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ppliances of home network |
KR20160032659A (en) * | 2014-09-16 | 2016-03-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of wake-up packet, wake-up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
KR20170142209A (en) * | 2015-06-18 | 2017-12-27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Embedded wake-up signaling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01291B2 (en) | 2015-07-30 | 2021-12-14 | Sichuan Knowledge Express Institute For Innovative Technologies Co., Ltd | Organic molecules having two non-conjugated bridges between a donor and an acceptor for effective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for use in optoelectronic devices |
KR20170026778A (en) | 2015-08-27 | 2017-03-09 | 한국화학연구원 | Method of preparing PTFE hollow fiber membrane having porosity |
KR20180014682A (en) | 2016-06-13 | 2018-02-09 |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Touch detection circuit, fingerprint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842788B1 (en) | 2016-09-05 | 2018-03-27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Polypropylene resine material for blow molding with high softness and transparency and preparing method same |
-
2018
- 2018-03-28 KR KR1020180035762A patent/KR20180058669A/en unknown
-
2019
- 2019-02-22 KR KR1020190021035A patent/KR10267410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3505A (en) * | 2012-08-16 | 2014-02-27 | 주식회사 케이티 |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ppliances of home network |
KR20160032659A (en) * | 2014-09-16 | 2016-03-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of wake-up packet, wake-up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
KR20170142209A (en) * | 2015-06-18 | 2017-12-27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Embedded wake-up signal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8669A (en) | 2018-06-01 |
KR102674103B1 (en) | 2024-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56824B2 (en) | Network controller, node device and mesh network system thereof | |
KR101687340B1 (en) | Method for setting home network operating environment and apparatus therefor | |
JP2005051523A5 (en) | ||
CN110381490B (en) |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earphone,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equipment | |
JP6254747B2 (en) |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KR10189638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ervice | |
JP2015512586A5 (en) | ||
KR20220050799A (en) | Receiver-assisted listen before talk for new radio unlicensed spectrum | |
KR2013005365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device to device communition service system | |
EP2328303A2 (en) |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network | |
JP2023162230A (en) | Terminal operation control method in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 |
JP6682541B2 (en) | Method, device, object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ssociating an object with a user | |
CN105264917A (en) | White space database discovery | |
JP2024056942A (en) | Acquiring current time in network | |
US20140162715A1 (en) | Channe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nnel information providing database server, and channe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 |
CN105915416B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 |
JPWO2020136851A5 (en) | Terminal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communication methods | |
KR102674103B1 (en) | Method for recognizing things and communicating with things automatically | |
AU201230244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 in system performing inter-device direct communication | |
US20180167969A1 (en) | Channel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omodating multiple nodes in sensor network | |
US10849087B2 (en) | Coexistence of WiFi and TDMA communications within an access point in an IoT network | |
WO2015196698A1 (en) | Paging method, system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CN105142230A (en) | Wireless network and method | |
JP6407118B2 (en) |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 |
JP6257339B2 (en) | Power fee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