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994A -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994A
KR20190112994A KR1020180035064A KR20180035064A KR20190112994A KR 20190112994 A KR20190112994 A KR 20190112994A KR 1020180035064 A KR1020180035064 A KR 1020180035064A KR 20180035064 A KR20180035064 A KR 20180035064A KR 20190112994 A KR20190112994 A KR 20190112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data
search word
log
lo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559B1 (ko
Inventor
김대희
이종호
양재석
임병수
장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넛
Priority to KR1020180035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55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은,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검색을 요청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여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로그 기반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분산시켜 적절한 지역 서버에 배치 및 저장할 수 있어 네트워크 지연에 따른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METHOD FOR MANAGING DATA PLACEMENT BASED USER LOG DATA,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검색 로그(Log)를 기반으로 검색 추이를 분석하여 분석된 검색 추이를 토대로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데이터를 검색 요청 지역의 서버로 전송시켜 배치 및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데이터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저장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은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하고 빠른 속도로 데이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대용량의 정보를 다수의 시스템에 분산시켜 저장하는 시스템의 구현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네트워크 분야에 CDN(Content Delivery Network)과 샤딩(Sharding)이라는 개념이 상용화되었다. 여기서,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end user)에게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지역의 데이터 서버에 데이터를 분산시켜 저장하는 시스템을 의미하고, 샤딩(Sharding)은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수평 분할하여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곳에 분산시켜 저장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하지만, 종래 검색 콘텐츠 제공 방법은 단일 데이터 센터에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므로 한꺼번에 많은 사용자가 특정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의 엑세스 또한 함께 증가하게 되어 이 과정에서 심각한 병목 현상과 네트워크 지연(latency)을 초래되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전체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CDN(Content Delivery Network)과 샤딩(Sharding)은 데이터를 어떤 기준으로 어느 위치에 분산시켜 저장하는지에 대한 개념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데이터의 위치가 결정되거나 상기 데이터의 위치가 사용자 및 데이터노드 간의 물리적 위치나 데이터 노드에서 현재 제공할 수 있는 성능 등과는 무관하게 임의적으로 결정되므로 네트워크 자원 관리의 비효율성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검색 요청 시 사용자의 검색 로그(Log)를 기반으로 검색 추이를 분석하며, 분석된 검색 추이를 토대로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검색 빈도수가 많은 지역의 서버에 배치 및 저장함으로써,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의 출발지와 목적지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검색 로그로부터 검색어별 빈도수가 급격히 변화된 급상승 검색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검색 요청이 많이 발생되는 지역을 확인하여 상기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지역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검색 요청시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까지 소요되는 검색 시간 비용과 네트워크 지연 현상을 줄이기 위한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지역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 로그 기반으로 데이터를 배치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검색을 요청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며,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검색어와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에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 로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 및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어를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과정을 통해서 검색어별 빈도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검색어별 빈도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서 검색 빈도수가 급격히 변화된 급상승 검색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 및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검색 로그와,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 검색을 요청하여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검색을 요청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검색어 및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과 매칭시켜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며,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검색어와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에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혹은,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지역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는, 상기 검색어를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과정을 통해서 검색어별 빈도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검색어별 빈도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서 검색 빈도수가 급격히 변화된 급상승 검색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 및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검색 로그와,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는,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판단함으로써 상기 지역 서버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은,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검색을 요청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여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 로그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 및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검색 요청 데이터를 상기 검색어 및 상기 위치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검색어 및 위치데이터를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과 매칭시켜 상기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상기 검색어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 그룹핑된 검색어를 상기 위치 데이터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어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검색어별 빈도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검색어별 빈도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서 검색 빈도수가 급격히 변화된 급상승 검색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는, 사용자 로그 기반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분산시켜 적절한 지역 서버에 배치 및 저장할 수 있어 네트워크 지연에 따른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는,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데이터가 출력되기까지 소요되는 검색 시간 비용과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어 네트워크 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는, 사용자의 검색 로그를 바탕으로 검색어 및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를 지역 서버를 통해 제공하기 때문에, 지역별 검색 추이가 파악이 되며 이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데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시스템(100)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를 위한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용자의 검색 로그를 분석하는 단계(S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의 지역 서버로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의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의 지역 서버로 전송 여부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연관데이터를 배치하는 단계(S4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사용자 검색 로그 기반으로 연관데이터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사양을 갖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시스템(100)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시스템(100)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 및 지역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망(40)을 통해 지역 서버(30)의 웹 서버에 각각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지역 서버(30)의 웹 서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웹페이지(Web Page)를 가져와 화면에 디스플레이(Display)될 수 있도록 통상의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구비되어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의 내부에는 통신망(40)에 접속되어 다수의 웹 사이트, 예를 들면, 지역 서버(30)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그로부터 전송되는 웹페이지를 검색하여 보거나 해당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망(40)은 사용자 단말(10),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 및 지역 서버(3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망(4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40) 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망(40)을 통해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 및 지역 서버(3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검색 로그 기반으로 검색 결과를 제공받기 위한 모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지역 서버(30)의 웹 서버가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한 검색어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인 연관데이터를 지역 서버(30)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연관데이터는 지역 서버(30)가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로부터 수신받아 획득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지역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은 검색 이벤트에 대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검색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통신망(4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 및 지역 서버(3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검색 로그 기반으로 검색어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인 연관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모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어느 지역에서 특정 검색어가 많이 검색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지역의 지역 서버(30)에 상기 특정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인 연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검색을 요청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며,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검색어와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한다. 여기서, 검색 로그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검색 요청 수신 시간 및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검색 요청 지역에 대한 정보인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검색 로그를 검색어와 위치 데이터 순으로 그룹핑시켜 저장한다.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생성 및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검색어와 위치 데이터 기준으로 그룹핑한 결과에 기초하여,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역 서버(30)에 배치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지역은 검색 서비스 범위에 따라 국가 또는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상기 검색어 그룹핑 결과에서 검색어별 빈도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서 검색 빈도수가 급격히 변화된 급상승 검색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검색어 그룹핑 결과를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룹핑한 결과를 통해 상기 급상승 검색어가 어느 지역에서 많이 검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어느 지역의 지역 서버(30)에 배치할 것인지 결정하고, 결정된 지역 서버(30)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배치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역 서버(30)는 사용자가 단말(10)을 이용하여 요구하는 모든 컨텐츠를 제공하며, 데이터베이스에는 지역 서버(30)가 제공하는 모든 컨텐츠를 미리 저장 및 관리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할 경우 미리 저장된 검색요청에 따른 연관데이터가 있는 지를 확인하여 해당 연관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사용자 단말(10)에 통신망(40)을 통해 즉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검색요청에 따른 연관데이터를 즉시 전송할 수 있으므로 통신망(4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 서버(30)에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검색요청에 따른 연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야만 상기 검색요청에 따른 연관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검색요청에 따른 연관데이터가 없을 경우를 대비하여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가 대신 상기 검색요청에 따른 연관데이터를 저장 및 획득하며 이를 적절한 지역 서버(30)로 전송시켜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검색요청에 따른 연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역 서버(30)는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예컨대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의 인덱스 정보를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의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의 인덱스 정보, 즉 저장 위치 정보, 시작 정보 및 종료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의 조회 요청 및 접속에 의해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검색 요청 시 사용자의 검색 로그(Log)를 기반으로 검색 추이를 분석하며, 분석된 검색 추이를 토대로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검색 빈도수가 많은 지역의 지역 서버(30)에 배치 및 저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의 출발지와 목적지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10)을 통해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데이터를 출력받기까지 소요되는 검색 시간 비용과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어 네트워크 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통신부(21), 제어부(22) 및 저장부(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2)는 로그 생성 모듈(22a), 로그 분석 모듈(22b), 위치 판단 모듈(22c) 및 데이터 배치 모듈(22d)을 포함하고, 저장부(23)는 검색 로그(23b) 및 연관데이터(23b)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는 통신망(4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 및 지역 서버(3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검색 로그 기반으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2)는 운영 체제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는 통신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검색을 요청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22)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했을 때 검색 요청 데이터를 검색어 및 검색을 요청한 지역에 대한 위치 데이터로 각각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는 통신부(21)를 통해 제주도에 있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한라산 눈" 이라는 검색 요청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였다면, '한라산', '눈'은 검색어에 해당하며, '제주도'는 검색을 요청한 지역(위치 데이터)에 해당한다. 이때, 제어부(22)는 검색어 및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여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어 및 위치데이터는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과 매칭되어 검색 로그로 생성될 수 있다. 즉, 검색 로그는 검색어, 검색 요청 수신 시간 그리고,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검색 요청 지역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2)는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검색어와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한다. 이때, 제어부(22)는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검색어 기준으로 그룹핑하고, 검색어별로 그룹핑된 결과를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시 그룹핑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2)는 검색 로그를 검색어별로 그룹핑하는 과정을 통해서 검색어별 빈도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검색어별 빈도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서 검색 빈도수가 급격히 변화된 급상승 검색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는 검색어별로 그룹핑된 결과를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시 그룹핑함으로써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여 어느 지역에서 많이 검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2)는 어느 지역에서 급상승 검색어가 많이 검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는 급상승 검색어가 많이 검색되는 지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역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는 판단 결과, 상기 확인된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역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저장부(23)로부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획득하여 통신부(21)를 통해 확인된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역 서버(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2)는 상기 확인된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역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제어부(22)는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적절한 지역의 지역 서버(30)에 제대로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저장부(23)로부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획득하지 않고 또한, 이를 통신부(21)를 통해 확인된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역 서버(300)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부(22)는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인 검색 결과를 급상승 검색어가 많이 검색되는 지역의 지역 서버(30)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22)는 로그 생성 모듈(22a), 로그 분석 모듈(22b), 위치 판단 모듈(22c) 및 데이터 배치 모듈(22d)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로그 생성 모듈(22a)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를 검색어와 검색 요청 지역(위치 데이터)으로 분리하고 검색 요청 수신 시간과 매칭시켜 검색 로그로 생성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로그 분석 모듈(22b)은 로그 생성 모듈(22a)을 통해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검색어와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위치 판단 모듈(22c)은 로그 분석 모듈(22b)을 통해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가 많이 검색되는 지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역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배치 모듈(22d)은 위치 판단 모듈(22c)을 통해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획득하여 확인된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역 서버(30)로 전송하여 연관데이터를 배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저장부(23)는 제어부(22)의 기능 실행에 따른 모든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23)는 사용자 별로 검색 요청과 관련된 검색 요청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수집된 검색 요청 데이터를 검색어 및 위치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는 프로그램, 분리된 검색 요청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는 프로그램, 생성된 검색 로그를 검색어별로 그리고 위치 데이터별로 그룹핑하는 프로그램,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배치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3)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 그리고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검색 요청 지역(위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검색 로그(23a)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23b)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를 위한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도 3의 사용자의 검색 로그를 분석하는 단계(S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3의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의 지역 서버로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도 3의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의 지역 서버로 전송 여부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연관데이터를 배치하는 단계(S4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검색을 요청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한다(S10). 여기서,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를 검색어 및 검색을 요청한 지역에 대한 위치 데이터로 분리하고, 분리된 검색어 및 위치 데이터를 검색 요청 수신 시간과 매칭시켜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단계 S10에서 생성 및 저장된 검색 로그를 검색어 및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분석한다(S20). 단계 S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생성 및 저장된 검색 로그를 검색어 기준으로 그룹핑하고(S21), 단계 S21에 의한 검색어별로 그룹핑된 결과를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시 그룹핑을 수행한다(S22). 단계 S21을 통해서,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검색어별 빈도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검색어별 빈도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서 검색 빈도수가 급격히 변화된 급상승 검색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2를 통해서,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단계 S21에서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가 어느 지역에서 많이 검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단계 S10에서 수행된 검색 로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단계 S21에서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단계 S11에서 확인된 지역의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단계 S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단계 S21과 단계 S22에서 수행된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단계 S21에서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확인한다(S31). 여기서, 연관데이터는 검색어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를 의미한다. 그리고,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단계 S22를 통해 확인된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
이후,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단계 S32에서 판단된 결과에 근거하여 단계 S22를 통해 확인된 지역(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30)에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배치한다(S40). 단계 S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단계 S22를 통해 확인된 지역(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30)에 있는지 판단한다(S41). 이때,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단계 S22를 통해 확인된 지역(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30)에 직접 접속하여 지역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거나, 지역 서버(30)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있는지를 조회 요청을 함으로써 단계 S22를 통해 확인된 지역(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30)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단계 S22를 통해 확인된 지역(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면,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20)는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적절한 지역의 지역 서버(30)에 제대로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지역 서버(300)로 전송하지 않는다(S43). 즉,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의 이동이 없다.
판단 결과,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단계 S22를 통해 확인된 지역(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지역(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30)로 전송(S42)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지역 서버(30)에 배치 및 저장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검색 요청 시 사용자의 검색 로그(Log)를 기반으로 검색 추이를 분석하며, 분석된 검색 추이를 토대로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검색 빈도수가 많은 지역의 서버에 배치 및 저장함으로써,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의 출발지와 목적지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별 검색 추이가 파악이 되며 이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데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데이터가 출력되기까지 소요되는 검색 시간 비용과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하고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검색 로그(Log)를 기반으로 검색 추이를 분석하여 분석된 검색 추이를 토대로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데이터를 검색 요청 지역의 서버로 전송시켜 배치 및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된 연관데이터가 출력되기까지 네트워크 지연에 따른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검색 로그를 바탕으로 검색어 및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지역의 서버에 제공하기 때문에, 지역별 검색 추이가 파악이 되며 이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데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검색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엔진 관련 기업들을 상대로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 사용자 단말 20 :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
21 : 통신부 22 : 제어부
22a : 로그 생성 모듈 22b : 로그 분석 모듈
22c : 위치 판단 모듈 22d : 데이터 배치 모듈
23 : 저장부 23a : 검색 로그
23b : 연관데이터 30 : 지역 서버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지역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 로그 기반으로 데이터를 배치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검색을 요청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며,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검색어와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에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로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 및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어를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과정을 통해서 검색어별 빈도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검색어별 빈도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서 검색 빈도수가 급격히 변화된 급상승 검색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 및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검색 로그와,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
  7.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 검색을 요청하여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검색을 요청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검색어 및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과 매칭시켜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며,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검색어와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에 배치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혹은,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지역 서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는, 상기 검색어를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과정을 통해서 검색어별 빈도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검색어별 빈도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서 검색 빈도수가 급격히 변화된 급상승 검색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 및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검색 로그와,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는,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판단함으로써 상기 지역 서버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시스템.
  11.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검색 요청 데이터로부터 검색을 요청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여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로그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 및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검색 요청 데이터를 상기 검색어 및 상기 위치 데이터로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검색어 및 위치데이터를 상기 검색 요청의 수신 시간과 매칭시켜 상기 검색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저장된 검색 로그를 토대로, 상기 검색어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및
    그룹핑된 검색어를 상기 위치 데이터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기준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검색어별 빈도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검색어별 빈도수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서 검색 빈도수가 급격히 변화된 급상승 검색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17. 제1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치 관리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급상승 검색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KR1020180035064A 2018-03-27 2018-03-27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078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64A KR102078559B1 (ko) 2018-03-27 2018-03-27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64A KR102078559B1 (ko) 2018-03-27 2018-03-27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994A true KR20190112994A (ko) 2019-10-08
KR102078559B1 KR102078559B1 (ko) 2020-02-19

Family

ID=6820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064A KR102078559B1 (ko) 2018-03-27 2018-03-27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83B1 (ko) 2020-06-09 2020-11-05 이창근 기업 데이터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19576A (ko) * 2020-08-10 2022-02-17 네이버 주식회사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489A2 (en) * 2008-09-11 2010-03-18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for resource location and migration across data cent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489A2 (en) * 2008-09-11 2010-03-18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for resource location and migration across data cent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83B1 (ko) 2020-06-09 2020-11-05 이창근 기업 데이터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19576A (ko) * 2020-08-10 2022-02-17 네이버 주식회사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559B1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27766B (zh) 一种请求处理方法、装置和代理服务器
WO2018024057A1 (zh) 用于访问业务的方法和装置
US10839038B2 (en) Genera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obtaining web resources
US994039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athing analysis
US201302827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ery suggestion
CN103064863A (zh) 一种提供推荐信息的方法与设备
WO2009062424A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recherche
CN103685583A (zh) 一种域名解析的方法和系统
US20180225384A1 (en) Contextual based search suggestion
CN109408696A (zh) 一种用于搜索寄宿程序的方法与设备
US8195660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order search results in view of identified information of interest
US201802488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malicious websit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17000761A1 (zh) 一种终端设备的特征信息的提取方法及装置
CN104298675B (zh) 用于缓存管理的方法和装置
CN103279516A (zh) 网络爬虫识别方法
KR102078559B1 (ko) 사용자 로그 기반 데이터 배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N102323937A (zh) 一种提供搜索结果的方法与设备
US20130031539A1 (en) Signature-based update management
CN106776983A (zh) 搜索引擎优化装置和方法
CN104618388A (zh) 快速注册登录方法及对应的重置服务器、信息服务器
JPWO2013175611A1 (ja) データの分散検索システム、データの分散検索方法及び管理計算機
JP5859074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サーチ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100059516A (ko)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다수의 검색 키워드에 기초하여 연관 검색 키워드를 추출,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2867056A (zh) 关键词搜索方法及系统
CN105009122A (zh) 允许域名服务器处理自然语言查询并确定背景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