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438A -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438A
KR20190112438A KR1020180034434A KR20180034434A KR20190112438A KR 20190112438 A KR20190112438 A KR 20190112438A KR 1020180034434 A KR1020180034434 A KR 1020180034434A KR 20180034434 A KR20180034434 A KR 20180034434A KR 20190112438 A KR20190112438 A KR 20190112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management
intelligent energy
home appliance
portable terminal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인수
Original Assignee
신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2438A/ko
Publication of KR2019011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콘센트 기능을 적용시켜 등록된 사용자가 실내로 진입하면 전자기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실내에서 나가고 일정 시간동안 실내로 재진입하지 않으면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밀번호 또는 인증정보가 입력된 후 도어락이 해제되면 도어락 해제신호를 송출하고, 도어가 열렸다가 닫히면 도어락 잠금신호를 송출하는 스마트 도어락;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정된 휴대용 단말기와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 정보를 등록시켜 둔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도어락 해제신호가 입력되고 휴대용 단말기와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가전기기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 상기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에 응하여 AC 상용전원이 해당 가전기기로 공급되도록 스위칭되는 스마트 콘센트; 및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와 페어링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하고,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들을 선택가능하도록 서비스하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절전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콘센트 기능을 적용시켜 등록된 사용자가 실내로 진입하면 전자기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실내에서 나가고 일정 시간동안 실내로 재진입하지 않으면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기기들은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하는 기능 및 원격으로 전원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자기기가 동작하는 동작 전력과 별개로 사용자의 입력 등을 대기하는 대기 전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전력 소비량이 증가되어 국가 및 사용자에게 부담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분리 및 연결하여야 하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초래되는 바, 최근 대기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22696 호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발맞추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콘센트 기능을 적용시켜 등록된 사용자가 실내로 진입하면 전자기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실내에서 나가고 일정 시간동안 실내로 재진입하지 않으면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비밀번호 또는 인증정보가 입력된 후 도어락이 해제되면 도어락 해제신호를 송출하고, 도어가 열렸다가 닫히면 도어락 잠금신호를 송출하는 스마트 도어락;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정된 휴대용 단말기와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 정보를 등록시켜 둔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도어락 해제신호가 입력되고 휴대용 단말기와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가전기기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 상기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에 응하여 AC 상용전원이 해당 가전기기로 공급되도록 스위칭되는 스마트 콘센트; 및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와 페어링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하고,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들을 선택가능하도록 서비스하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는, 상기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페어링 정보 및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 페어링 정보 및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정보들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켜 관리하고, 통신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페어링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도어락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정보들을 읽어들여 해당 가전기기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 출력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 상기 스마트 콘센트,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는,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가전기기 이용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사용자의 가전기기 미래 이용정보들을 생성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전기기 자동제어 서비스를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콘센트 기능을 적용시켜 등록된 사용자가 실내로 진입하면 전자기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실내에서 나가고 일정 시간동안 실내로 재진입하지 않으면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절전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지능형 에너지 관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지능형 에너지 관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도어락(100), 지능형 에너지 관리 장치(200), 스마트 콘센트(300), 휴대용 단말기(400), 데이터 통신망(500)으로 이루어진다.
스마트 도어락(100)은 비밀번호 또는 인증정보가 입력된 후 도어락이 해제되면 도어락 해제신호를 송출하고, 도어가 열렸다가 닫히면 도어락 잠금신호를 송출한다.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200)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정된 휴대용 단말기(400)와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 정보를 등록시켜 둔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100)의 도어락 해제신호가 입력되고 휴대용 단말기(400)와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가전기기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한다.
스마트 콘센트(300)는 상기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에 응하여 AC 상용전원이 해당 가전기기로 공급되도록 스위칭된다.
휴대용 단말기(400)는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와 페어링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하고,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들을 선택가능하도록 서비스하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다.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페어링 정보 및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10)와, 상기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 페어링 정보 및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정보들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시켜 관리하고, 통신부(23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페어링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100)의 도어락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정보들을 읽어들여 해당 가전기기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스마트 콘센트(300)로 출력하는 컨트롤러(220)와, 상기 스마트 도어락(100), 상기 스마트 콘센트(300),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와의 데이터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통신부(230)로 이루어진다.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200)는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가전기기 이용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사용자의 가전기기 미래 이용정보들을 생성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의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전기기 자동제어 서비스를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탑재시키고, 탑재된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400)와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200)를 온라인 상태로 연결시킨 후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하고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이렇게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능형 에너지 관리 서비스 과정이 종료되면 지능형 에너지 관리 장치(200)의 컨트롤러(220)는 이 모든 정보들을 저장부(210)에 저장시키고, 지능형 에너지 관리 모드로 전환된다.
지능형 에너지 관리 장치(200)의 컨트롤러(220)는 스마트 도어락(100)으로부터 도어락 해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도어락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220)는 통신부(230)를 통해 페어링 정보에 의해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400)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페어링 정보에 의해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400)가 존재하면 컨트롤러(22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 정보들을 읽어들이고, 해당 가전기기에 구동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스마트 콘센트(3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스마트 콘센트(300)는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에 응하여 상용전원이 해당 가전기기로 공급되도록 스위칭 절환된다.
한편, 컨트롤러(220)는 통신부(230)를 통해 지속적으로 스마트 도어락(100)에서 도어락 잠금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도어락 잠금신호가 수신되면 페어링 서비스에 의해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400)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휴대용 단말기(400)가 존재하면 가전기기로 구동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휴대용 단말기(400)가 존재하지 않으면 가전기기로 공급되던 구동전원을 차단시켜 전원절전모드로 전환시킨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도어락
200 :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
300 : 스마트 콘센트
400 : 휴대용 단말기
500 : 데이터 통신망

Claims (3)

  1. 비밀번호 또는 인증정보가 입력된 후 도어락이 해제되면 도어락 해제신호를 송출하고, 도어가 열렸다가 닫히면 도어락 잠금신호를 송출하는 스마트 도어락;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정된 휴대용 단말기와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 정보를 등록시켜 둔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도어락 해제신호가 입력되고 휴대용 단말기와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가전기기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
    상기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에 응하여 AC 상용전원이 해당 가전기기로 공급되도록 스위칭되는 스마트 콘센트; 및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와 페어링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하고,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들을 선택가능하도록 서비스하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
    를 포함하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는,
    상기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페어링 정보 및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 페어링 정보 및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정보들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켜 관리하고, 통신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페어링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도어락 해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전원 자동제어 가전기기정보들을 읽어들여 해당 가전기기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동전원 공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 출력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 상기 스마트 콘센트,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통신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에너지 관리장치는,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가전기기 이용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사용자의 가전기기 미래 이용정보들을 생성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지능형 에너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전기기 자동제어 서비스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0180034434A 2018-03-26 2018-03-26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90112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34A KR20190112438A (ko) 2018-03-26 2018-03-26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34A KR20190112438A (ko) 2018-03-26 2018-03-26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38A true KR20190112438A (ko) 2019-10-07

Family

ID=6842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434A KR20190112438A (ko) 2018-03-26 2018-03-26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24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696B1 (ko) 2015-03-19 2017-04-1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홈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696B1 (ko) 2015-03-19 2017-04-11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홈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4084B2 (en) Contactless 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AU2013254454B2 (en) Energy saving and/or safety device
CN103076867B (zh) 具备电源按键动作识别功能的云终端处理方法和系统
CN106774210A (zh) 一种智能插座、家电控制系统及智能插座控制方法
EP3594397A1 (en) Remote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CN108215905B (zh) 一种高压动力电池包应用系统唤醒系统
CN106444454A (zh) 用电系统的能源控制方法及控制装置
WO2015155250A1 (en) Modular power controller
CN110728777A (zh) 一种酒店智能化无卡入住方法
CN102662386A (zh) 一种控制模式可切换的智能短信温度开关
US9160199B2 (en) System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CN107566234A (zh) 智能家居控制系统及通信组网方法
CN207301673U (zh) 中控设备及智能家居控制系统
KR20190112438A (ko)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00030485A (ko) 발전 수단을 갖는 대기 상태 제어장치
CN207301672U (zh) 智能家居控制系统
CN103345170B (zh) 成像装置及其供电控制方法、电源唤醒装置和控制系统
KR20100129664A (ko)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31921Y1 (ko) 무선 리모콘 이용 전원어댑터 시스템
CN207301783U (zh) 基于射频识别的中控设备及智能家居控制系统
CN201113958Y (zh) 定时开关机装置
CN113495503A (zh) 插座的断电控制方法及装置、插座
CN104698903A (zh) 一种电器待机启动装置及电视机与电脑电源
CN105323364B (zh) 电源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8628219A (zh) 一种服务器远程控制方法和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