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716A - Pants Capable of Assisting Extensor of Knee - Google Patents

Pants Capable of Assisting Extensor of Kn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716A
KR20190111716A KR1020180090759A KR20180090759A KR20190111716A KR 20190111716 A KR20190111716 A KR 20190111716A KR 1020180090759 A KR1020180090759 A KR 1020180090759A KR 20180090759 A KR20180090759 A KR 20180090759A KR 20190111716 A KR20190111716 A KR 20190111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band
lowers
assistance
ext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6014B1 (en
Inventor
박형순
이한길
채상훈
한정석
이현수
변영민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1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Disclosed are pants capable of assisting a knee extensor, alleviating knee pain due to a knee joint disease or compensating for the loss of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due to disease or aging. The pants capable of assisting a knee ext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upper part and a pair of legs, wherein the upper part includes a waist anchor band. Each of the pair of legs includes a lateral elastic band and a medial elastic band, and each of the pair of legs is formed with an anchor hole that can be fitted with a heel.

Description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Pants Capable of Assisting Extensor of Knee}Pants Capable of Assisting Extensor of Knee}

본 발명은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관절 질환으로 인한 무릎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질병 또는 노화로 인한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하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nee extensor muscle lowe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pants that can alleviate knee pain due to knee disease or compensate for muscle strength reduction of knee extensor muscle due to disease or aging.

뇌졸증과 퇴행성 관절염은 치매, 고혈압, 당뇨와 함께 5대 노인성 질환에 속한다. 특히, 국민건강 보험공단에 따르면 2015년 국내 퇴행성 관절염 환자 수는 약 350만 명인데, 이는 국내 노인 인구의 약 80%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 여가 활동과 스포츠 활동이 증가하면서 40-50대의 비교적 젊은 사람들에게도 퇴행성 관절염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Stroke and degenerative arthritis, along with dementia, hypertension and diabetes, are among the five major senile diseases.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in Korea was about 3.5 million in 2015, which is about 80% of the domestic elderly population. In addition, degenerative arthritis frequently occurs in relatively young people in their 40s and 50s with the recent increase in leisure and sports activities.

관절염, 무릎 연골판 파열 등과 같은 슬관절 질환으로 인한 무릎 통증은 물론이고 뇌졸증, 하지 근무력증 등과 같은 질병 또는 노화로 인한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 역시도 스포츠 활동을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생활도 어렵게 만든다.Not only knee pain caused by arthritis, knee cartilage rupture, knee pain, as well as diseases such as stroke, lower leg work history or muscle strength reduction of the knee extensor muscle due to aging also makes sports activities impossible and normal life difficult.

무릎 보조기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무릎 신전근을 보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사용자가 상기 보조 도구를 별도로 준비하고 착용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있고, 시각적으로도 좋지 못하며, 보조 도구의 사용이 타인에게 노골적으로 드러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도 만족할만한 수준이 못되었다.Attempts have been made to assist the knee extensor muscles using tools such as a knee brace, but the user is inconvenient to prepare and wear the accessory separately, which is not good visually, and the use of the aid is exposed to others. Not only were there problems, the effects were not satisfactory.

보조 도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탄성 밴드가 부착된 기능성 하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제까지 제안된 기능성 하의들은, (i) 탄성 밴드들의 부착 위치와 부착 방향이 부적절하고 (ii) 무릎 굽힘 동작(knee bending motion) 및/또는 무릎 폄 동작(knee stretching motion)시 하의가 탄성 밴드의 신장 또는 수축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탄성 밴드의 탄성 활용을 극대화할 수 없었고, 그 결과, 저하된 무릎 신전근 근력을 충분히 보완할 수 없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uxiliary tool, functional pants with elastic bands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e functional bottoms proposed so far are: (i)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ttachment of the elastic bands are inadequate, and (ii) the bottom elastic bands at knee bending motion and / or knee stretching motion. Because of its movement in the elongation or contraction direction of, the elastic utilization of the elastic band could not be maximized, and as a result, the deteriorated knee extensor muscle strength could not be sufficiently compens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nee extensor muscle support pants that can avoid problems caused by the above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of the related art.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탄성 밴드의 부착 위치 및 부착 방향을 최적화하고 탄성 밴드의 신장 또는 수축 방향으로 하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무릎 신전근 보조를 위한 원동력인 탄성 밴드의 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하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ptimizing the attachment position and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elastic band and preventing the bottom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r contraction of the elastic band bottoms that can maximize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and which is the driving force for the support of the knee extensor To provide.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or from such descrip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로서,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허리 앵커 밴드(waist anchor band)를 포함하는 제1 말단을 갖는 상부(upper part); 및 상기 제1 말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상부의 제2 말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다리부들(a pair of legs)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 각각은, 전면부(front part);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된 배면부(rear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제1 기본원단(basic fabric); 무릎영역(knee area)에 배치된 무릎 패드; 허리라인과 평행한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를 향해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외측 경계(lateral border)의 제1 지점까지 연장된 외측 탄성 밴드(lateral elastic band); 및 상기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를 향해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내측 경계(medial border)의 제1 지점까지 연장된 내측 탄성 밴드(medial elastic band)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부는 발뒤꿈치(heel)가 끼워질 수 있는 앵커홀(anchor hole)을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bove, the upper part having a first end including a waist anchor band that can compress the waist as knee extension muscle support; And a pair of legs, each coupled to a second end of the upper portion opposite the first end, each of the pair of legs comprising: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coupled to the front part, wherein the front part comprises: a first basic fabric; Knee pads disposed in the knee area; Lateral elastic band extending from the knee region to the first point of the lateral border of the front and back portions at an angle of 60 to 70 ° with respect to the kneeline parallel to the waistline band); And a medial elastic band extending from the knee region to the first point of the medial border of the front and back portions at an angle of 60 to 70 ° with respect to the knee line. And the back portion is provided with knee extensor muscle support lower, having an anchor hole into which a heel can be fitted.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The outer elastic band and the inner elastic band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respectively.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 각각은 봉제를 통해 상기 제1 기본원단에 결합된 탄성 직물 밴드(elastic fabric band)일 수 있다.Each of the outer elastic band and the inner elastic band may be an elastic fabric band coupled to the first base fabric through sewing.

상기 제1 기본원단은 상기 무릎영역에서 제1 및 제2 층들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double-layered structure)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무릎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층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basic fabric may have a double-layered structure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layers in the knee region, and the knee pad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ayers.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 시 상기 무릎패드의 변형율(strain)은 0.15 내지 0.2 %일 수 있다.In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knee joint, the strain of the knee pad may be 0.15 to 0.2%.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The knee pad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1500 to 2500 N / m.

상기 무릎패드는 원단일 수 있다.The knee pad may be a fabric.

상기 무릎패드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The knee pad may comprise silicone or rubber.

상기 무릎패드는 중앙홀(center hole)을 가질 수 있다.The knee pad may have a center hole.

상기 무릎패드는 착용자의 무릎에 밀착될 수 있는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The knee pad may have a curved portion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knee.

상기 제1 기본원단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basic fabric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50 to 150 N / m, the outer elastic band and the inner elastic band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respectively, the knee pad is 1500 To have an elastic modulus of 2500 N / m.

상기 전면부는, 상기 내측 탄성 밴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외측 경계의 제2 지점까지 연장된 제1 전방 종아리 밴드(front calf band); 및 상기 외측 탄성 밴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계의 제2 지점까지 연장된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부는, 제2 기본원단; 상기 외측 경계의 제2 지점으로부터 비복근 영역(gastrocnemius area)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1 후방 종아리 밴드(rear calf band); 및 상기 내측 경계의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비복근 영역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includes: a first front calf band position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inner elastic band and extending from the knee region to a second point of the outer boundary; And a second front calf band position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outer elastic band and extending from the knee region to a second point of the inner boundary, wherein the back portion comprises: a second basic fabric; A first rear calf band extending from a second point of the outer boundary to a point just below the gastrocnemius area; And a second posterior calf band extending from a second point of the medial border to a point just below the gastrocnemius region.

상기 전면부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와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사이에 위치하며 대퇴 사두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면 테이프(front tape); 상기 제1 기본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릎 패드와 중첩하는 중앙부와 상기 무릎라인을 따라 연장된 띠부를 포함하는 제2 전면 테이프; 및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로부터 상기 앵커홀까지 연장된 제1 배면 테이프(rear tape);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제2 배면 테이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배면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front tap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elastic band and the inner elastic band and extending along the muscle fiber direction of the quadriceps quadriceps; A second front tape comprising a central portion overlapping the knee pad with the first basic fabri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band extending along the knee line; And at least one third front tape disposed above or below the second front tape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knee line, wherein the back portion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rear calf bands. A first rear tape extending from the anchor hole to the anchor hole; A second back ta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ont tape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knee line; And at least one third back ta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hird front tape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knee line.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면 테이프들과 상기 제1, 제2 및 제3 배면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asic fabrics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50 to 150 N / m, the outer elastic band, the inner elastic band, the first and second anterior calf bands, and the first and second The two posterior calf bands may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the knee pad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1500 to 25000 N / m,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tape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back tapes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200 to 400 N / m, respectively.

상기 전면부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와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들 - 상기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들 중 하나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내측 경계에 인접한 상기 다리부의 상단까지 연장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내측 탄성 밴드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외측 경계에 인접한 상기 다리부의 상단까지 연장됨 -; 및 상기 제1 기본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릎 패드와 중첩하는 중앙부와 상기 무릎라인을 따라 연장된 띠부를 포함하는 제2 전면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로부터 상기 앵커홀까지 연장된 제1 배면 테이프; 및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제2 배면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front tape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elastic band and the inner elastic band, wherein one of the pair of first front tapes is adjacent to the inner boundary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elastic band. Extends to the top of the leg and the other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elastic band to the top of the leg adjacent the outer boundary; And a second front tape including a center portion overlapping the knee pad with the first basic fabri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band portion extending along the knee line, wherein the back portion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tapes. A first back tape extending from the rear calf bands to the anchor hole; And a second back ta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ont tape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knee line.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전면 테이프들과 상기 제1 및 제2 배면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asic fabrics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50 to 150 N / m, the outer elastic band, the inner elastic band, the first and second anterior calf bands, and the first and second The two posterior calf bands may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and the knee pad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1500 to 2500 N / m, the first and second front tapes and the first modulus. The first and second backing tapes may each have a modulus of elasticity of 200 to 400 N / m.

상기 상부는 봉제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과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pair of legs through sewing.

상기 상부는, 상기 제1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말단을 향해 둔부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된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hip elastic bands)을 포함할 수 있다.The top may include a pair of hip elastic bands extending across the buttocks region from the first end towards the second end.

상기 상부는, 상기 둔부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앵커 테이프(anchor tape); 및 상기 제2 말단 상에 배치된 제2 앵커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may include: a first anchor tape disposed above the buttock region; And a second anchor tape disposed on the second end.

상기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The pair of buttock elastic bands may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and the first and second anchor tapes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200 to 400 N / m, respectively.

상기 상부는 치골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말단을 향해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제3 앵커 테이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third anchor tapes extending toward the second end fro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ubis.

상기 제3 앵커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The third anchor tapes may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200 to 400 N / m.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 각각은, 적어도 발의 앞부분(fore-foot)이 통과할 수 있는 풋홀(foot hole)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legs may have a foot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fore-foot of the foot can pass.

위와 같은 일반적 서술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or explain the invention, and to provid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the claims.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무릎 신전근 보조 기능을 접목시킴으로써 무릎 보조기와 같은 별도의 도구 사용에 따른 번거로움 없이도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orporating the function of the knee extensor muscle support to the garment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the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muscle without the hassle of using a separate tool such as a knee brace.

본 발명의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는, 무릎의 굽힘 및 폄 동작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는 탄성 밴드를 포함함으로써, 슬관절 질환으로 인한 무릎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질병 또는 노화로 인한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Knee extensor muscle support und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band that can be stretched or contracted according to the bending and squeezing of the knee, thereby relieving knee pain due to knee disease or reducing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muscle due to disease or aging. It can be supplemented.

또한, 본 발명의 하의는 무릎 자체에 가해지는 체중을 줄여줌으로써 무릎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릎 신전근의 근력 저하로 인한 낙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otto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duce the weight applied to the knees themselves, thereby preventing knee diseases as well as reducing the risk of falling due to muscle strength reduction of the knee extenso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밴드의 부착 위치 및 부착 방향을 최적화함으로써 무릎 폄 동작(대부분의 일상 생활에서 무릎 신전근의 근력이 요구되는 동작: 예를 들어, 계단을 오르거나 의자에 앉았다 일어날 때)시 이용될 수 있는 상기 탄성 밴드의 탄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저하된 무릎 신전근 근력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신전근 보조 기능의 저하 없이도 하의에 부착되어야 할 탄성 밴드의 개수가 최소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능성 하의의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ee squeezing motion by optimizing the attachment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attachment of the elastic band (movement requiring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muscle in most daily life: for example, when climbing a staircase or sitting on a chai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and that can be used at the time and can fully compensate for the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ded. Therefore, the number of elastic bands to be attached to the lower part can be minimized without deterioration of the knee extensor muscle assist function, thereby improving the fit of the functional lower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밴드의 신장 또는 수축 방향으로 하의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무릎 신전근 보조를 위한 원동력인 탄성 밴드의 탄성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elastic band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r contraction can be maximize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and which is the driving force for the knee extension muscle support.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릎 패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V-V' 라인을 따른 전면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배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측면도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cluded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orm a part of the specification, to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1 is a front view of the bottom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the botto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side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p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portion along the VV ′ line of FIG. 1;
6 is a front view of the bottom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the botto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the botto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목적으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to help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의의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1 to 3 are front, rear and side views of the bottom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의(1000)는 상부(upper part)(1100)와 한 쌍의 다리부들(a pair of legs)(1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3, the botto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art 1100 and a pair of legs 1200.

본 발명의 상기 상부(1100)는 허리 앵커 밴드(waist anchor band)(1110)를 포함하는 제1 말단 및 상기 제1 말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말단을 갖는다. 상기 허리 앵커 밴드(1110)는 착용자의 허리를 압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착용자가 고관절 및/또는 슬관절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상부(1100)의 제1 말단이 초기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허리 앵커 밴드(1110)는 후술하는 외측 및 내측 탄성 밴드들(1213, 1214)의 탄성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중요한 인자들 중 하나이다.The upper portion 1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end including a waist anchor band 1110 and a second end located opposite the first end. The waist anchor band 1110 is configured to compress the waist of the wearer so that the first end of the upper portion 1100 deviates from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wearer performs an operation of bending or straightening the hip and / or the knee joint. It can prevent. Therefore, the waist anchor band 1110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maximize the elastic force of the outer and inner elastic bands 1213 and 121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은 상기 상부(1100)의 제2 말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110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조된 후 봉제라인(sewing line)(SL)을 따라 봉제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봉제를 통한 결합은 제조 공정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의 이용과 같이 다른 방식을 통해 상기 상부(1100)가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110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이 결합되어 있다고 함은 상기 상부(110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air of legs 120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ends of the upper portion 1100.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1100 and the pair of leg portions 1200 may be independently manufactured and then coupled to each other by sewing along a sewing line SL. Bonding through such sewing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1100 may be coupled to the pair of legs 1200 in other ways, such as with the use of adhesive or adhesive tap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1100 and the pair of leg parts 1200 are coupled to include the case where the upper part 1100 and the pair of leg parts 1200 are integrally formed. Should be interpreted.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 각각은, 적어도 발 앞부분(fore-foot)이 통과할 수 있는 풋홀(foot hole)(FH)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legs 1200 may have a foot hole FH through which at least a fore-foot may pass.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1200) 각각은, 전면부(front part)(1210);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된 배면부(rear part)(122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air of leg portions 1200 includes a front part 1210; And a rear part 1220 coupled to the front p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1210)는 제1 기본원단(basic fabric)(1211), 외측 탄성 밴드(lateral elastic band)(1213), 및 내측 탄성 밴드(medial elastic band)(121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front portion 1210 includes a first basic fabric 1211, a lateral elastic band 1213, and a medial elastic band 1214. ).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은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서 나일론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스판덱스 섬유를 혼직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basic fabric 1211 may be manufactured by mixing nylon and / or polyester fibers and spandex fibers as a stretchable fabr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는 무릎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됨으로써 무릎 신전근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착용자가 무릎을 굽혀 의자에 앉을 때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가 신장됨에 따라 이들의 상기 밴드들(1213, 1214)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이어서, 의자에서 일어나기 위하여 무릎 신전근의 근력이 요구될 때 상기 탄성 밴드들(1213, 1214))의 탄성 에너지가 활용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무릎 신전근 근력만으로도 착용자가 용이하게 의자에서 일어날 수 있게 된다.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ssist the knee extensor muscle by stretching or contracting according to the bending or extending the knee. Specifically, elastic energy is accumulated in the bands 1213 and 1214 as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are stretched when the wearer sits on the chair by bending the knee. Subsequently, the elastic energy of the elastic bands 1213 and 1214 is utilized when the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muscle is required to get out of the chair, so that the wearer can easily rise in the chair with only relatively small knee extensor muscle strength.

무릎을 펴는 동작에 필요한 근력을 제공하는 근육(즉, 무릎 신전근) 중 주된 근육은 대퇴사두근(Quadriceps Femoris)이며, 그 중에서도 외측 광근(vastus lateralis)과 내측 광근(vastus medialis)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는 개략적으로 외측 광근과 내측 광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다.Among the muscles that provide the muscle strength needed for straightening (ie knee extensor) are the quadriceps quadriceps (Quadriceps Femoris), among which the lateral muscles (vastus lateralis) and medial muscles (vastus medialis) play an important role. Accordingly,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roughly along the muscle fibers directions of the outer and inner optical roots, respectively.

한편, 무릎 신전근의 근력을 보조할 수 있는 상기 탄성 밴드들(1213, 1214)의 탄성 에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착용자가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날 때 상기 밴드들(1213, 1214)의 변형율(strain)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밴드들(1213, 1214)이 부착 위치 및 부착 방향이 최적화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변형율'이라는 용어는 초기 길이(l0)에 대한 길이 변화량(Δl)의 비(%)를 의미한다.Meanwhile, in order to maximize the elastic energy of the elastic bands 1213 and 1214 that can assist the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the strains of the bands 1213 and 1214 when the wearer sits on the chair and rises In order to maximize the elastic bands 1213 and 1214, the attachment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attachment should be optimized. The term 'strain'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ratio (%) of the length change amount Δl to the initial length l 0 .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밴드들(1213, 1214)의 변형율이 최대가 될 수 있는 부착 위치 및 부착 방향이 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결정되었다. 즉, 실험용으로 제작한 신축성 하의의 무릎과 엉덩이 부분에 적외선 발광 마커들을 각각 부착한 후 기립 상태와 앉은 상태 각각에서 상기 마커들의 위치들을 파악함으로써, 고관절의 굴곡/신전 및 슬관절의 굴곡/신전 시 밴드들(1213, 1214)의 변형율이 최대가 될 수 있는 방향(즉, 최대 장력 방향)을 예측하여 상기 밴드들(1213, 1214)을 부착할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였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position and the attachment direction in which the strains of the bands 1213 and 1214 can be maximized have been scientifically determined through experiments. That is, by attaching infrared luminescent markers to the knee and hip portion of the elastic underneath prepared for the experiment, and grasping the positions of the markers in the standing and sitting states, respectively, flexion / extension of the hip joint and flexion / extension band of the knee joi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ains of the fields 1213 and 1214 can be maximized (ie, the maximum tension direction) was predicted to determine the position and direction to attach the bands 1213 and 1214 to.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해 얻어진 본 발명의 외측 탄성 밴드(1213)는, 허리라인과 평행한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무릎영역(knee area)으로부터 상기 상부(1100)를 향해 상기 전면부(1210)와 배면부(1220)의 외측 경계(lateral border)(1231)의 제1 지점(1231a)까지 연장된다.The outer elastic band 1213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 experiment, the front surface toward the upper portion 1100 from the knee area (knee area) at an angle of 60 to 70 ° with respect to the knee line parallel to the waist line. It extends to the first point 1231a of the lateral border 1231 of the portion 1210 and the back portion 1220.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내측 탄성 밴드(1214)는, 상기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1100)를 향해 상기 전면부(1210)와 배면부(1220)의 내측 경계(medial border)(1232)의 제1 지점(1232a)까지 연장된다.Similarly, the inner elastic band 121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ront portion 1210 and the rear portion 1220 toward the upper portion 1100 from the knee region, at an angle of 60 to 70 ° with respect to the knee line. Extends to a first point 1232a of medial border 1232.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는 상기 제1 기본원단(1211)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have a higher modulus of elasticity than the first basic fabric 1211. For example, the first basic fabric 1211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50 to 150 N / m, and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may be 300 to 550 N / m. It may have a modulus of elasticity, respectively.

본 발명의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갖는 것인 한 그 재질이나 구조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 각각은 70 내지 90 중량%의 나일론과 10 내지 30 중량%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탄성 직물 밴드(elastic fabric band)이거나 고무 밴드일 수도 있다.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For example, each of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is an elastic fabric band comprising 70 to 90 weight percent nylon and 10 to 30 weight percent polyurethane or rubber It may be a ba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 각각은 봉제를 통해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부착 수단이 봉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밴드들(1213, 1214)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 접착제를 포함하여 그 어떠한 부착 수단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asic fabric 1211 through sewing. However, the attachment means is not limited to sewing, and any attachment means can be employed, including adhesives, as long as they do not interfere with the function of the bands 1213 and 1214.

본 발명의 한 쌍의 다리부들(1200) 각각의 전면부(1210)는 무릎영역(knee area)에 배치된 무릎 패드(1212)를 더 포함한다. 무릎 폄 동작 시(즉, 슬관절 신전 시) 슬개골은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무릎을 펼 수 있게 해주는데, 이러한 슬개골에 대응하는 상기 무릎영역에 탄성을 갖는 무릎 패드(1212)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내측 탄성 밴드(1214)에 대한 앵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무릎의 안정감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무릎 패드(1212)는 무릎의 곡면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무릎 패드(1212)는 무릎의 곡선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앵커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릎 패드(1212)는 중앙홀(center hole)(CH1)을 가질 수 있다.The front portion 1210 of each of the pair of leg portions 1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knee pad 1212 disposed in a knee area. The knee patella acts as a support point of the lever to extend the knee with little force during knee squeezing operation (i.e., at the knee extension), by placing an elastic knee pad 1212 in the kne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atella. The anchor function for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can be performed and the stability of the knee can be enhanced. The knee pad 1212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knee. That is, the knee pad 1212 may have a curved por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rve of the knee. In order to maximize the anchor function, as illustrated in FIG. 4, the knee pad 1212 may have a center hole CH1.

상기 무릎 패드(1212)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 및 내측 탄성 밴드(1214)보다 높은 탄성 계수(예를 들어, 1500 내지 2500 N/m)를 갖고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 시 0.15 내지 0.2 %의 변형율(strain)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릎 패드(1212)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릎 패드(1212)는 제직을 통해 형성된 고탄성계수(1500 내지 2500 N/m)의 원단일 수 있다.The knee pad 1212 has a higher modulus of elasticity (eg, 1500 to 2500 N / m) than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and has 0.15 to 0.2% in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knee joint. It can have a strain. For example, the knee pad 1212 may include silicone or rubber. In addition, the knee pad 1212 may be a fabric having a high elastic modulus (1500 to 2500 N / m) formed through weaving.

상기 무릎 패드(1212)는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의 외면(outer surface) 상에 부착되어 외부에 노출되거나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의 내면(inner surface) 상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무릎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knee pad 1212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ase fabric 1211 and exposed to the outside or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ase fabric 1211 to be worn on the wearer's knee. It may be arrang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대안적으로, 도 1의 V-V' 라인을 따른 전면부(1210)의 단면도인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은 상기 무릎영역에서 제1 및 제2 층들(1211a, 1211b)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double-layered structure)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무릎패드(1212)는 상기 제1 및 제2 층들(1211a, 121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무릎 패드(1212)가 상기 제1 기본원단(1211)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의도된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내측 및 외측 탄성 밴드들(1213, 1214)에 연결되어 앵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5,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portion 1210 along the VV ′ line of FIG. 1, the first base fabric 1211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layers 1211a, 1211a, in the knee region. It may have a double-layered structure (1211b) and the knee pad 1212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ayers 1211a, 1211b. Through this structure, the knee pad 121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ase fabric 1211 or departing from the intended position, and connected to the inner and outer elastic bands 1213 and 1214. To act as an ancho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면부(1220)는 발뒤꿈치(heel)가 끼워질 수 있는 앵커홀(anchor hole)(AH)을 갖는다. 상기 배면부(1220)의 앵커홀(AH)이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착용자가 고관절 및/또는 슬관절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다리부들(1200)이 다리를 따라 위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배면부(1220)의 앵커홀(AH)은 전술한 허리 앵커 밴드(1110) 및 무릎 패드(1212)와 함께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의 최대 변형율을 담보함으로써 탄성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중요한 인자이다.As shown in FIG. 2, the rear part 12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chor hole AH through which a heel can be fitted. The anchor holes AH of the rear part 1220 are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heel of the wearer, so that the legs 1200 are rolled up along the leg when the wearer performs an operation of bending or extending the hip and / or the knee joint.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anchor hole AH of the rear part 1220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waist anchor band 1110 and the knee pad 1212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maximum strain of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Collateral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maximize the elastic force.

본 발명의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은 보조 밴드들을 선택적 구성(optional elements)으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부(1210)는,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외측 경계(1231)의 제2 지점(1231b)까지 연장된 제1 전방 종아리 밴드(front calf band)(1215), 및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계(1232)의 제2 지점(1232b)까지 연장된 제2 전방 종아리 밴드(121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부(1220)는, 제2 기본원단(1221), 상기 외측 경계(1231)의 제2 지점(1231b)으로부터 비복근 영역(gastrocnemius area)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1 후방 종아리 밴드(rear calf band)(1222), 및 상기 내측 경계(1232)의 제2 지점(1232b)으로부터 상기 비복근 영역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2 후방 종아리 밴드(1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legs 1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uxiliary bands as optional elements. For example, the front portion 1210 is locat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inner elastic band 1214 and extends from the knee region to the second point 1231b of the outer boundary 1231 to the first front calf band. (front calf band) 1215, and a second front calf band 1216 located on an extension of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extending from the knee region to a second point 1232b of the medial border 1232. The back portion 1220 may extend from the second base 1221, the second point 1231b of the outer boundary 1231 to a point just below the gastrocnemius area. A first posterior calf band 1222, and a second posterior calf band 1223 extending from a second point 1232b of the medial border 1232 to a point just below the gastrocnemius region. Can be.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1215, 1216)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밴드일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과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와 더불어 무릎 신전근의 근력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은 고관절 및/또는 슬관절의 굴곡 시 비복근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다리부들(1200)이 위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앵커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ront calf bands 1215 and 1216 and the first and second rear calf bands 1222 and 1223 may be one b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 addition to the inner elastic band 1214 may perform a function to complement the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posterior calf bands 1222 and 1223 may also be anchored to the gastrocnemius muscle during flexion of the hip and / or knee joint to prevent the legs 1200 from curling up. .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1215, 1216)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은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과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와 동일한 재질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과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와 동일 또는 유사한 탄성계수(즉, 300 내지 550 N/m)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ront calf bands 1215 and 1216 and the first and second rear calf bands 1222 and 1223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And an elastic modulus (ie, 300 to 550 N / m)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1215, 1216)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은 접착제 또는 봉제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1211, 1221)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부착 수단이 접착제 또는 봉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밴드들(1215, 1216, 1222, 1223)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 그 어떠한 부착 수단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nterior calf bands 1215 and 1216 and the first and second posterior calf bands 1222 and 1223 are formed by the adhesive or sewing the first and second basic fabrics 1211 and 1221. Can be attached to each). However, the attachm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dhesive or sewing, and any attachment means may be adopted as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unction of the bands 1215, 1216, 1222, 1223.

또한, 본 발명의 한 쌍의 다리부들(1200)은 선택적 구성으로서 탄성 테이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ir of legs 1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elastic tapes as an optional configuration.

예를 들어, 상기 전면부(1210)는,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와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 사이에 위치하며 대퇴 사두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면 테이프(front tape)(1217), 상기 제1 기본 원단(12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릎 패드와 중첩하는 중앙부(1218a)와 상기 무릎라인을 따라 연장된 띠부(1218b)를 포함하는 제2 전면 테이프(1218), 및/또는 상기 제2 전면 테이프(1218)의 위 및/또는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1219)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면부(1220)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제1 배면 테이프(rear tape)(1224), 상기 제2 전면 테이프(121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제2 배면 테이프(1225),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1219)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배면 테이프(1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 portion 1210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and extends along the muscle fiber direction of the quadriceps, as illustrated in FIGS. At least one first front tape 1217, a central portion 1218a overlapping the knee pad with the first basic fabric 121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band portion 1218b extending along the knee line. And a second front tape 1218 comprising at least one third front tape 1219 disposed above and / or below the second front tape 1218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knee line. The back portion 1220 may include a first rear tape 122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ar calf bands 1222 and 1223, and the second rear calf band 1224 and the second rear calf bands 1222 and 1223. A length parallel to the knee line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tape 1218. A second backing tape 1225 having a scent, and / or at least one third backing tape dispos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hird frontal tape 1219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knee line ( 1226)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1 배면 테이프(1224)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1222, 1223)로부터 상기 앵커홀(AH)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rear tape 1224 may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ar calf bands 1222 and 1223 to the anchor hole AH.

대퇴 사두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제1 전면 테이프(1217)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1213)과 상기 내측 탄성 밴드(1214)와 더불어 무릎 신전근의 근력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3 전면 테이프들(1218, 1219)과 상기 제1 내지 제3 배면 테이프들(1224, 1225, 1226)은 고관절 및/또는 슬관절의 굴곡 시 상기 다리부들(1200)이 위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앵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front tape 1217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muscle fibers of the quadriceps muscle may serve to complement the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muscle along with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The second and third front tapes 1218 and 1219 and the first to third back tapes 1224, 1225 and 1226 prevent the legs 1200 from curling up upon flexion of the hip and / or knee joint. Anchor function to prevent.

상기 제1 내지 제3 전면 테이프들(1217, 1218, 1219)과 상기 제1 내지 제3 배면 테이프들(1224, 1225, 1226)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1211, 1221)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부착 수단이 접착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테이프들(1217, 1218, 1219, 1224, 1225, 1226)의 무릎 신전근 보조 기능 및 앵커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 그 어떠한 부착 수단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front tapes 1217, 1218, and 1219 and the first to third back tapes 1224, 1225, and 1226 may be bonded to the first and second base fabrics 1211 and 1221 by an adhesive. Can be attached to each). However, the attachm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dhesive, and any attachment means may be used so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knee extensor support function and anchor function of the tapes 1217, 1218, 1219, 1224, 1225, 1226. Can be adop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들(1217, 1218, 1219, 1224, 1225, 1226)은, 그 재질의 차이로 인해, 상기 기본원단들(1211, 1221)의 탄성계수(예를 들어, 50 내지 150 N/m)보다는 높고 상기 밴드들(1213, 1214, 1215, 1216, 1222, 1223)의 탄성계수(예를 들어, 300 내지 550 N/m)보다는 낮은 탄성계수(예를 들어, 200 내지 400 N/m)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apes 1217, 1218, 1219, 1224, 1225, 1226,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material, the elastic modulus of the base fabrics (1211, 1221) (for example , Modulus higher than 50 to 150 N / m and lower than the modulus of elasticity (eg, 300 to 550 N / m) of the bands 1213, 1214, 1215, 1216, 1222, 1223. 200 to 400 N / m).

상기 테이프들(1217, 1218, 1219, 1224, 1225, 1226)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갖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apes 1217, 1218, 1219, 1224, 1225, and 1226 may be formed of polyurethane having an elastic modulus of 200 to 400 N / m,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상기 상부(1100)도 탄성 밴드 및/또는 탄성 테이프를 선택적 구성으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1100)는, 고관절 신전근의 근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말단을 향해 둔부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된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hip elastic bands)(11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관절 굴곡 시 상기 둔부 탄성 밴드들이 늘어나 탄성 에너지가 축적되고, 이 탄성 에너지가 고관절 신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1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and and / or elastic tape as an optional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1100 is a pair of hip elastic bands extending across the buttocks region from the first end toward the second end to complement the muscle strength of the hip extensor. 1120. The hip elastic bands are stretched when the hip is flexed, and elastic energy is accumulated, and the elastic energy may be utilized for hip extension.

상기 둔부 탄성 밴드들(1120)은 70 내지 90 중량%의 나일론과 10 내지 30 중량%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탄성 직물 밴드(elastic fabric band)이거나 고무 밴드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uttock elastic bands 1120 may be an elastic fabric band or rubber band including 70 to 90 wt% nylon and 10 to 30 wt% polyureth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추가적 앵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1100)는 상기 둔부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앵커 테이프(anchor tape)(1130) 및 상기 제2 말단 상에 배치된 제2 앵커 테이프들(1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in order to provide additional anchoring function, the upper portion 1100 may include a first anchor tape 1130 disposed on top of the buttocks region and second anchor tapes disposed on the second end. 114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1130, 1140)은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and second anchor tapes 1130 and 1140 may be formed of polyurethan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1120)은 상기 다리부들(1200)의 탄성 밴드들(1213, 1214, 1215, 1216, 1222, 1223)과 마찬가지로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1130, 1140)은 상기 다리부들(1200)의 탄성 테이프들(1217, 1218, 1219, 1224, 1225, 1226)과 마찬가지로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다.The pair of buttock elastic bands 1120 may have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like the elastic bands 1213, 1214, 1215, 1216, 1222, and 1223 of the leg portions 1200,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anchor tapes 1130 and 1140 may be elastically 200 to 400 N / m, like the elastic tapes 1217, 1218, 1219, 1224, 1225 and 1226 of the leg portions 1200. Each can have a coeffici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1100)의 둔부 탄성 밴드들(1120)과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1130, 1140)은 상기 상부(100)의 기본 원단에 봉제 및 접착제를 통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부착 수단이 접착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둔부 탄성 밴드들(1120)과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1130, 1140)의 고관절 신전근 보조 기능 및 앵커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한, 그 어떠한 부착 수단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ck elastic bands 1120 and the first and second anchor tapes 1130 and 1140 of the upper portion 1100 are sewn and glued to the base fabric of the upper portion 100. Each can be attached through. However, the attachm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dhesive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ip extension support and anchor function of the hip elastic bands 1120 and the first and second anchor tapes 1130 and 1140. However, any means of attachment may be employed.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의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Hereinafter, bottom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탄성 테이프들과 관련하여 일부 상이한 점들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 elastic tapes.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하의(2000)의 상부(2100)는 추가적 앵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치골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제2 말단을 향해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제3 앵커 테이프들(2150)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하의(1000)의 상부(1100)와 동일하다.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S. 6-8, the upper portion 2100 of the bottom 2000 of the second embodiment extends long toward the second end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ubis to provide additional anchoring function. Same as the top 1100 of the bottom 1000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third anchor tapes 215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의(2000)의 다리부들(2200) 각각의 전면부(2210)는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2217)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그 방향 측면에서 제1 실시예의 제1 전면 테이프(1217)와 상이하다. 즉, 대퇴 사두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실시예의 제1 전면 테이프(2217)와 달리, 제2 실시예의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2217) 중 하나는 외측 탄성 밴드(1213)의 중앙부로부터 내측 경계(1232)에 인접한 다리부(2220) 상단까지 연장되며 다른 하나는 내측 탄성 밴드(1214)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경계(1231)에 인접한 다리부(2220) 상단까지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2217)는 외측 탄성 밴드(1213)와 내측 탄성 밴드(1214) 사이에서 크로스됨으로써 고관절 및/또는 슬관절의 굴곡 시 상기 다리부들(2200)이 위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강력한 앵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리부(2200)의 전면부(2210) 및 배면부(2220)에서는 제1 실시예의 제3 전면 테이프(1219) 및 제3 배면 테이프(1226)가 생략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2210 of each of the leg portions 2200 of the bottom 20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first front tape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2217,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front tape 1217 of the first embodiment in terms of its direction. That is, unlike the first front tape 2217 of the first embodiment extending along the muscle fiber direction of the quadriceps, one of the pair of first front tapes 2217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elastic band 1213.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elastic band 1214 to the top of the leg 2220 adjacent to the outer border 1231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elastic band 1214. The pair of first front tapes 2217 are crossed between the outer elastic band 1213 and the inner elastic band 1214 to prevent the legs 2200 from curling up upon bending of the hip and / or knee joint. It can perform powerful anchor function. Thus, as illustrated in FIGS. 6 to 8, the front and rear portions 2210 and 2220 of the leg portion 2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third front tape 1219 and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hree back tapes 1226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3 앵커 테이프(2150) 및 제1 전면 테이프(2217)는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질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rd anchor tape 2150 and the first front tape 2217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200 to 400 N / m, and may be formed of polyurethan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no.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부(1100)가 제2 실시예의 다리부들(2200)과 결합되거나, 제2 실시예의 상부(2100)와 제1 실시예의 다리부들(1200)이 결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upper portion 110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the legs 2200 of the second embodiment, or the upper portion 2100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legs 120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ombined. It may be.

1000, 2000: 하의 1100, 2100: 상부
1110: 허리 앵커 밴드 1120: 둔부 탄성 밴드
1130: 제1 앵커 테이프 1140: 제2 앵커 테이프
2150: 제3 앵커 테이프 1200, 2200: 다리부
1210, 2210: 전면부 1211: 제1 기본원단
1212: 무릎 패드 1213: 외측 탄성 밴드
1214: 내측 탄성 밴드 1215: 제1 전방 종아리 밴드
1216: 제2 전방 종아리 밴드 1217, 2217: 제1 전면 테이프
1218: 제2 전면 테이프 1219: 제3 전면 테이프
1220, 2220: 배면부 1221: 제2 기본원단
1222: 제1 후방 종아리 밴드 1223: 제2 후방 종아리 밴드
1224: 제1 배면 테이프 1225: 제2 배면 테이프
1226: 제3 배면 테이프
FH: 풋홀 AH: 앵커홀
1000, 2000: Bottom 1100, 2100: Top
1110: waist anchor band 1120: hip elastic band
1130: first anchor tape 1140: second anchor tape
2150: third anchor tape 1200, 2200: leg portion
1210, 2210: Front part 1211: First basic fabric
1212: knee pad 1213: outer elastic band
1214: medial elastic band 1215: first anterior calf band
1216: Second anterior calf band 1217, 2217: First front tape
1218: second front tape 1219: third front tape
1220, 2220: rear part 1221: second basic fabric
1222: first posterior calf band 1223: second posterior calf band
1224: first backing tape 1225: second backing tape
1226: third backing tape
FH: Foothole AH: Anchorhole

Claims (22)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에 있어서,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허리 앵커 밴드(waist anchor band)를 포함하는 제1 말단을 갖는 상부(upper part); 및
상기 제1 말단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상부의 제2 말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다리부들(a pair of legs)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 각각은,
전면부(front part); 및
상기 전면부와 결합된 배면부(rear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제1 기본원단(basic fabric);
무릎영역(knee area)에 배치된 무릎 패드;
허리라인과 평행한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를 향해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외측 경계(lateral border)의 제1 지점까지 연장된 외측 탄성 밴드(lateral elastic band); 및
상기 무릎라인에 대하여 60 내지 70 °의 각도로,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를 향해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내측 경계(medial border)의 제1 지점까지 연장된 내측 탄성 밴드(medial elastic band)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부는 발뒤꿈치(heel)가 끼워질 수 있는 앵커홀(anchor hole)을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In knee extensor support lowers,
An upper part having a first end including a waist anchor band capable of compressing the waist; And
A pair of legs, each coupled to a second end of the upper portion opposite the first end,
Each of the pair of legs,
Front part; And
A rear part coupled with the front part,
The front portion,
First basic fabric;
Knee pads disposed in the knee area;
Lateral elastic band extending from the knee region to the first point of the lateral border of the front and back portions at an angle of 60 to 70 ° with respect to the kneeline parallel to the waistline band); And
A median elastic band extending from the knee region to the first point of the medial border of the front and back portions at an angle of 60 to 70 ° with respect to the knee line; ,
The rear portion has an anchor hole through which the heel can be fitted,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elastic band and the inner elastic band, each having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 각각은 봉제를 통해 상기 제1 기본원단에 결합된 탄성 직물 밴드(elastic fabric band)인,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outer elastic band and the inner elastic band is an elastic fabric band bonded to the first base fabric through sewing,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원단은 상기 무릎영역에서 제1 및 제2 층들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double-layered structure)를 가지며,
상기 무릎패드는 상기 제1 및 제2 층들 사이에 위치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asic fabric has a double-layered structure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layers in the knee region,
The knee pad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ayers,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항에 있어서,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 시 상기 무릎패드의 변형율은 0.15 내지 0.2 %인,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
Knee pad strain during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knee joint is 0.15 to 0.2%,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 N/m의 탄성계수를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knee pad has an elastic modulus of 1500 to 2500 N / m,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패드는 원단인,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6,
The knee pad is a fabric,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패드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knee pad comprises silicone or rubber,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패드는 중앙홀(center hole)을 갖고,
상기 무릎패드는 착용자의 무릎에 밀착될 수 있는 곡면부를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knee pad has a center hole,
The knee pad has a curved portion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knee,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원단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갖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및 상기 내측 탄성 밴드는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가지며,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 N/m의 탄성계수를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asic fabric has an elastic modulus of 50 to 150 N / m,
The outer elastic band and the inner elastic band has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respectively,
The knee pad has an elastic modulus of 1500 to 2500 N / m,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내측 탄성 밴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외측 경계의 제2 지점까지 연장된 제1 전방 종아리 밴드(front calf band); 및
상기 외측 탄성 밴드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릎영역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계의 제2 지점까지 연장된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는,
제2 기본원단;
상기 외측 경계의 제2 지점으로부터 비복근 영역(gastrocnemius area)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1 후방 종아리 밴드(rear calf band); 및
상기 내측 경계의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비복근 영역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연장된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를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portion,
A first front calf band position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inner elastic band and extending from the knee region to a second point of the outer boundary; And
A second anterior calf band position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outer elastic band and extending from the knee region to a second point of the inner boundary,
The rear portion,
Second basic fabric;
A first rear calf band extending from a second point of the outer boundary to a point just below the gastrocnemius area; And
A second posterior calf band extending from a second point of the medial border to a point just below the gastrocnemius region,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와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사이에 위치하며 대퇴 사두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면 테이프(front tape);
상기 제1 기본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릎 패드와 중첩하는 중앙부와 상기 무릎라인을 따라 연장된 띠부를 포함하는 제2 전면 테이프; 및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로부터 상기 앵커홀까지 연장된 제1 배면 테이프(rear tape);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제2 배면 테이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배면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1,
The front portion,
At least one first front tap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elastic band and the inner elastic band and extending along the muscle fiber direction of the quadriceps;
A second front tape comprising a central portion overlapping the knee pad with the first basic fabri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band extending along the knee line; And
At least one third front tape disposed above or below the second front tape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knee line;
The rear portion,
A first rear tape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rear calf bands to the anchor hole;
A second back ta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ont tape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knee lin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third back ta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third front tape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knee line;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갖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고,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면 테이프들과 상기 제1, 제2 및 제3 배면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and second basic fabrics have an elastic modulus of 50 to 150 N / m,
The outer elastic band, the inner elastic b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calf bands, and the first and second rear calf bands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The knee pad has an elastic modulus of 1500 to 25000 N / m,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tape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back tapes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200 to 400 N / m,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와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들 - 상기 한 쌍의 제1 전면 테이프들 중 하나는 상기 외측 탄성 밴드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내측 경계에 인접한 상기 다리부의 상단까지 연장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내측 탄성 밴드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외측 경계에 인접한 상기 다리부의 상단까지 연장됨 -; 및
상기 제1 기본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무릎 패드와 중첩하는 중앙부와 상기 무릎라인을 따라 연장된 띠부를 포함하는 제2 전면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로부터 상기 앵커홀까지 연장된 제1 배면 테이프; 및
상기 제2 전면 테이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무릎라인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제2 배면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1,
The front portion,
A pair of first front tape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elastic band and the inner elastic band, wherein one of the pair of first front tapes is at the top of the leg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boundary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elastic band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elastic band to the top of the leg adjacent the outer boundary; And
And a second front tape including a central portion overlapping the knee pad with the first basic fabric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band extending along the knee line.
The rear portion,
A first back tape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rear calf bands to the anchor hole; And
And a second back ta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ont tape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knee line;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본원단들은 50 내지 150 N/m의 탄성계수를 갖고,
상기 외측 탄성 밴드, 상기 내측 탄성 밴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종아리 밴드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후방 종아리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고,
상기 무릎패드는 1500 내지 25000 N/m의 탄성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전면 테이프들과 상기 제1 및 제2 배면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and second basic fabrics have an elastic modulus of 50 to 150 N / m,
The outer elastic band, the inner elastic b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calf bands, and the first and second rear calf bands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The knee pad has an elastic modulus of 1500 to 25000 N / m,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ront tapes and the first and second back tapes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200 to 400 N / m,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봉제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과 결합된,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pair of legs through sewing,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제1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말단을 향해 둔부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된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hip elastic bands)을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6,
The upper portion includes a pair of hip elastic bands extending across the buttocks region from the first end towards the second end,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둔부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앵커 테이프(anchor tape); 및
상기 제2 말단 상에 배치된 제2 앵커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7,
The upper part,
A first anchor tape disposed on the buttock region;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nchor tape disposed on the second end,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둔부 탄성 밴드들은 300 내지 55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앵커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8,
The pair of buttock elastic bands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300 to 550 N / m,
The first and second anchor tapes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200 to 400 N / m,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치골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말단을 향해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제3 앵커 테이프들을 더 포함하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8,
The upper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air of third anchor tapes extending elongated toward the second end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ubis;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앵커 테이프들은 200 내지 400 N/m의 탄성계수를 각각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20,
The third anchor tapes each have an elastic modulus of 200 to 400 N / m,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들 각각은, 적어도 발의 앞부분(fore-foot)이 통과할 수 있는 풋홀(foot hole)을 갖는,
무릎 신전근 보조 하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air of legs has a foot hole through which at least the fore-foot of the foot can pass,
Knee extensor assistance lowers.
KR1020180090759A 2018-03-23 2018-08-03 Pants Capable of Assisting Extensor of Knee KR1023460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081 2018-03-23
KR20180034081 2018-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716A true KR20190111716A (en) 2019-10-02
KR102346014B1 KR102346014B1 (en) 2022-01-03

Family

ID=6842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759A KR102346014B1 (en) 2018-03-23 2018-08-03 Pants Capable of Assisting Extensor of Kn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0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776A (en) * 2020-11-09 2022-05-18 (주)메디위너 Knitted fabric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with cosmetotextile
KR20230065604A (en) * 2021-11-05 2023-05-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ompression pants for in-toeing corre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523A (en) * 2006-12-28 2008-07-17 Advancing:Kk Inner wear
JP2011144484A (en) * 2010-01-15 2011-07-28 Charle Co Ltd Lower limb correcting garment
WO2017177285A1 (en) * 2016-04-14 2017-10-19 Skins International Trading Ag Compression gar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523A (en) * 2006-12-28 2008-07-17 Advancing:Kk Inner wear
JP2011144484A (en) * 2010-01-15 2011-07-28 Charle Co Ltd Lower limb correcting garment
WO2017177285A1 (en) * 2016-04-14 2017-10-19 Skins International Trading Ag Compression gar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776A (en) * 2020-11-09 2022-05-18 (주)메디위너 Knitted fabric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with cosmetotextile
KR20230065604A (en) * 2021-11-05 2023-05-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ompression pants for in-toeing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014B1 (en)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1287C (en) S t s (sub-talar stabilizer) ankle brace
US20230201017A1 (en) Support brace
EP2552555B1 (en) Physical fitness garments
US8048014B2 (en) Neuromusculoskeletal knee support device
JP4294598B2 (en) tights
EP3518857A1 (en) Personal augmentation suit and method for assisted human motion
JP2016522698A (en) Orthopedic foot aid
JP4495674B2 (en) Clothing with crotch
KR20190111716A (en) Pants Capable of Assisting Extensor of Knee
US20210212852A1 (en) Devise for the Support of Movement and Lifting Movement of the Human Body
US6182380B1 (en) Demi pointe equalizer, exerciser, and tensioning device
WO2020189777A1 (en) Exercise clothing
US10548802B2 (en) Mechanical lower limb assistive device
US20110138659A1 (en) Shoe Sole for Losing Weight and Shoe Having the Same
JP4472577B2 (en) spats
JP2018011903A (en) Supporter for lower extremity
JP2006274510A (en) Garment with crotch
US20230000203A1 (en) Footwear
JP2019123952A (en) Socks-type supporter
KR102013061B1 (en) Plantar fasciitis brace
JP2005279153A (en) Walking corrector
KR200202448Y1 (en) Mandler Foot brace
KR200351861Y1 (en) The Lower part of the body Sports Elastic force Band of Ordinary Worn Possible
JP5513716B2 (en) Bottom clothing
US20240090616A1 (en)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