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326A -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자판 배열과 입력 방식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자판 배열과 입력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326A
KR20190111326A KR1020180033331A KR20180033331A KR20190111326A KR 20190111326 A KR20190111326 A KR 20190111326A KR 1020180033331 A KR1020180033331 A KR 1020180033331A KR 20180033331 A KR20180033331 A KR 20180033331A KR 20190111326 A KR20190111326 A KR 20190111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vowel
swipe
enter
dir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영
Original Assignee
박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영 filed Critical 박세영
Priority to KR1020180033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1326A/ko
Publication of KR2019011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글 모음 입력 방식에 관한 것이다.
한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모음 8개(‘ㅓ’, ‘ㅏ’, ‘ㅜ’, ‘ㅗ’, ‘ㅔ’, ‘ㅐ’, ‘ㅡ’, ‘ㅣ’)를 사용하여 키패드를 만들고 특정한 방식으로 배열한 후, 터치스크린의 동작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총 21개의 한글 모음 입력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한글 모음 형성 원리의 유기적인 관련성을 고려한 키패드 배치를 통해 직관적인 입력 방식을 발명하여, 사용자가 키패드의 모음 구현 방법을 기억 하지 않아도 쉽게 입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키패드 8개를 사용하여, 단 한 번의 터치 동작으로 21개의 한글 모음 입력을 모두 구현할 수 있어 빠른 입력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자판 배열과 입력 방식{Hangul vowel keyboard arrangement and input method used on touchscreen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와 같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글 모음 입력 방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모음 8개로 터치스크린 위에 키패드를 만들어 특정한 방식으로 배열한 후, 터치스크린의 동작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구현하는 한글 모음 입력 방식에 관한 것이다.
현대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터치스크린 방식의 단말기에서는 키패드의 탭 동작 뿐만 아니라 더블터치, 트리플터치, 멀티터치, 롱터치, 드래그, 스와이프 동작 등을 활용한 다양한 한글 모음 입력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자음에 비해 좀 더 복잡한 한글 모음 구성 원리로 인하여,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쉽도록 개발된 한글 모음 입력 방식은 키패드가 작아 오타가 많거나(쿼티 자판) 이중모음 입력 시 터치 횟수가 많아져(천지인 자판) 입력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고, 빠른 입력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한글 모음 입력 방식은 직관성이 부족하여 사용하기 어렵고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한글 모음 입력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모음 8개를 직관적이고 유기적인 방식의 특정한 순서로 배치하고, 터치스크린의 동작 인식 기능인 탭(Tap, 키패드를 눌렀다 떼는) 동작과 스와이프(Swipe, 키패드를 특정한 방향으로 쓸어내는) 동작을 활용하여, 사용하기 쉬우면서도 입력 속도가 빠른 한글 모음 입력 방식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위에 8개의 한글 모음(‘ㅓ’, ‘ㅏ’, ‘ㅜ’, ‘ㅗ’, ‘ㅔ’, ‘ㅐ’, ‘ㅡ’, ‘ㅣ’) 키패드를 만들어 모음과 모음을 특정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방식을 발명하고, 탭(Tap) 동작 및 스와이프(Swipe) 동작을 활용함으로써, 입력 방법을 기억하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유도하여 사용하기 쉽게 하였고, 단 한 번의 터치로 총 21개(‘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의 한글 모음 입력을 모두 구현할 수 있게 하여 입력 속도가 빠른 한글 모음 입력 방식이라는 과제를 해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터치스크린에 8개의 한글 모음 키패드 ‘ㅓ’, ‘ㅏ’, ‘ㅜ’, ‘ㅗ’, ‘ㅔ’, ‘ㅐ’, ‘ㅡ’, ‘ㅣ’ 를 만든 후,
키패드‘ㅜ’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ㅓ’를 배치하고,
키패드‘ㅜ’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ㅔ’를 배치하고,
키패드‘ㅜ’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ㅣ’를 배치하고,
키패드‘ㅗ’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ㅏ’를 배치하고,
키패드‘ㅗ’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ㅐ’를 배치하고,
키패드‘ㅗ’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ㅣ’를 배치하고,
키패드‘ㅡ’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ㅣ’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배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한글 모음 키패드 배열을 만든다.
다음으로, 키패드‘ㅜ’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ㅜ’ 가 입력되고,
키패드‘ㅜ’위치에서, 키패드‘ㅓ’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ㅝ’가 입력되고,
키패드‘ㅜ’위치에서, 키패드‘ㅔ’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ㅞ’가 입력되고,
키패드‘ㅜ’위치에서, 키패드‘ㅣ’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ㅟ’가 입력되고,
키패드‘ㅜ’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ㅠ’가 입력되도록 구현한다.
다음으로, 키패드‘ㅗ’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ㅗ’ 가 입력되고,
키패드‘ㅗ’위치에서, 키패드‘ㅏ’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ㅘ’가 입력되고,
키패드‘ㅗ’위치에서, 키패드‘ㅐ’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ㅙ’가 입력되고,
키패드‘ㅗ’위치에서, 키패드‘ㅣ’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ㅚ’ 가 입력되고,
키패드‘ㅗ’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ㅛ’가 입력되도록 구현한다.
다음으로, 키패드‘ㅡ’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ㅡ’ 가 입력되고,
키패드‘ㅡ’위치에서, 키패드‘ㅣ’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ㅢ’ 가 입력되도록 구현한다.
다음으로, 키패드‘ㅣ’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ㅣ’ 가 입력되도록 구현한다.
다음으로, 키패드‘ㅓ’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ㅓ’ 가 입력되고,
키패드‘ㅓ’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ㅕ’가 입력되도록 구현한다.
다음으로, 키패드‘ㅏ’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ㅏ’ 가 입력되고,
키패드‘ㅏ’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ㅑ’가 입력되도록 구현한다.
다음으로, 키패드‘ㅔ’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ㅔ’ 가 입력되고,
키패드‘ㅔ’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ㅖ’가 입력되도록 구현한다.
다음으로, 키패드‘ㅐ’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ㅐ’ 가 입력되고,
키패드‘ㅐ’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ㅒ’가 입력되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방식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입력 방법을 기억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므로, 사용하기 쉽고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둘째, 총 21개의 한글 모음을 단 한 번의 터치(탭 혹은 스와이프) 동작으로 모두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 속도가 빨라진다.
셋째, 적은 수의 키패드를 사용하므로 키패드 크기를 키울 수 있어 화면이 작은 단말기에 적용하면 오타가 줄어든다.
넷째, 21개의 한글 모음이 각각 개별적으로 입력되는 방식이므로, 두 개의 단모음을 연달아 입력 할 때, 의도하지 않게 이중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연속된 두 개의 단모음을 각각 구분해서 구현하고자 할 때, 입력 대기 시간이 필요 없으므로 입력 속도가 빨라진다.
[도 1] 제1도는 위쪽 방향 스와이프 동작을 통한 모음 입력 구현 예시도
[도 2] 제2도는 아래쪽 방향 스와이프 동작을 통한 모음 입력 구현 예시도
[도 3] 제3도는 오른쪽 방향 스와이프 동작을 통한 모음 입력 구현 예시도
[도 4] 제4도는 왼쪽 방향 스와이프 동작을 통한 모음 입력 구현 예시도
[도 5] 제5도는 탭 동작과 스와이프 동작으로 구현되는 총 21개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을 도식화한 예시도
본 발명을 통한 한글 모음 입력 방식에 있어서, 구체적인 모음 키패드 배열 방법은 여러 가지 이지만, 그 중 [대표도]에 도시한 배열 방법을 기준으로 키패드를 만들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키패드란, 터치스크린 단말기 화면에 가상의 버튼을 만든 후, 이 버튼을 직접 터치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가상 버튼을 의미한다.
탭(Tap) 동작이란, 키패드를 눌렀다 떼는 동작을 의미한다.
스와이프(Swipe) 동작이란, 키패드를 특정한 방향으로 쓸어 내는 동작을 의미한다.
첫째, [대표도]에 있는 기본 키패드로 구성된 8개 모음(‘ㅓ’, ‘ㅏ’, ‘ㅜ’, ‘ㅗ’, ‘ㅔ’, ‘ㅐ’, ‘ㅡ’, ‘ㅣ’)의 입력은, 각각의 모음에 해당하는 키패드를 탭하여 구현한다.
둘째, 위쪽 방향 스와이프 동작을 통한 모음 입력 구현은 다음과 같다. ([도 1] 참고, 화살표는 스와이프하는 방향을 뜻함)
‘ㅜ’키패드 위치에서 ‘ㅓ’키패드가 있는 위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ㅝ’를 구현한다. 이는 스와이프의 방향이 ‘ㅜ’에서 ‘ㅓ’가 합쳐져 ‘ㅝ’가 되는 모음 형성의 원리와 일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으므로, 스와이프 방향을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ㅗ’키패드 위치에서 ‘ㅏ’키패드가 있는 위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ㅘ’를 구현한다. 이는 스와이프의 방향이 ‘ㅗ’에서 ‘ㅏ’가 합쳐져 ‘ㅘ’가 되는 모음 형성의 원리와 일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으므로, 스와이프 방향을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ㅡ’키패드 위치에서 ‘ㅣ’키패드가 있는 위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ㅢ’를 구현한다. 이는 스와이프의 방향이 ‘ㅡ’에서 ‘ㅣ’가 합쳐져 ‘ㅢ’가 되는 모음 형성의 원리와 일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으므로, 스와이프 방향을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아래쪽 방향 스와이프 동작을 통한 모음 입력 구현은 다음과 같다. ([도 2] 참고, 화살표는 스와이프하는 방향을 뜻함)
‘ㅜ’키패드 위치에서 ‘ㅔ’키패드가 있는 아래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ㅞ’를 구현한다. 이는 스와이프의 방향이 ‘ㅜ’에서 ‘ㅔ’가 합쳐져 ‘ㅞ’가 되는 모음 형성의 원리와 일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으므로, 스와이프 방향을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ㅗ’키패드 위치에서 ‘ㅐ’키패드가 있는 아래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ㅙ’를 구현한다. 이는 스와이프의 방향이 ‘ㅗ’에서 ‘ㅐ’가 합쳐져 ‘ㅙ’가 되는 모음 형성의 원리와 일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으므로, 스와이프 방향을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넷째, 오른쪽 방향 스와이프 동작을 통한 모음 입력 구현은 다음과 같다. ([도 3] 참고, 화살표는 스와이프하는 방향을 뜻함)
‘ㅜ’키패드 위치에서 ‘ㅣ’키패드가 있는 오른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ㅟ’를 구현한다. 이는 스와이프의 방향이 ‘ㅜ’에서 ‘ㅣ’가 합쳐져 ‘ㅟ’가 되는 모음 형성의 원리와 일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으므로, 스와이프 방향을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ㅗ’키패드 위치에서 ‘ㅣ’키패드가 있는 오른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ㅚ’를 구현한다. 이는 스와이프의 방향이 ‘ㅗ’에서 ‘ㅣ’가 합쳐져 ‘ㅚ’가 되는 모음 형성의 원리와 일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으므로, 스와이프 방향을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다섯째, 왼쪽 방향 스와이프 동작을 통한 모음 입력 구현은 다음과 같다. ([도 4] 참고, 화살표는 스와이프하는 방향을 뜻함)
‘ㅓ’키패드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ㅕ’를 구현한다.
‘ㅏ’키패드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ㅑ’를 구현한다.
‘ㅜ’키패드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ㅠ’를 구현한다.
‘ㅗ’키패드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ㅛ’를 구현한다.
‘ㅔ’키패드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ㅖ’를 구현한다.
‘ㅐ’키패드 위치에서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모음 ‘ㅒ’를 구현한다.
키패드 위의 ‘ㅓ’, ‘ㅏ’, ‘ㅜ’, ‘ㅗ’, ‘ㅔ’, ‘ㅐ’ 등 6개 모음의 획 추가는 모두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동작으로 구현되므로 규칙적이고 일관성이 있어 스와이프 방향을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여섯째, 탭 동작과 상하좌우 방향의 스와이프 동작으로 구현되는 총 21개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을 정리하여 도식화하면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본 한글 모음 입력 방식은, 스와이프의 방향이 모음 형성의 원리와 일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 할 수 있고, 규칙적이고 일관된 획 추가 방법으로 구현되므로, 스와이프 방향을 기억하지 않아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이다.
본 한글 모음 입력 방식은, 21개의 모음을 단 한 번의 터치 동작으로 모두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입력 속도가 빨라지는 방식이다.
본 한글 모음 입력 방식에 덧붙여, 이에 적절한 한글 자음 입력 방식을 함께 구성하여 한글 자모 입력 자판을 만들면, 다양한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사용하기 쉽고 입력 속도가 빠른 한글 입력 자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9)

  1.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한글 모음 입력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8개의 한글 모음 키패드 ‘ㅓ’, ‘ㅏ’, ‘ㅜ’, ‘ㅗ’, ‘ㅔ’, ‘ㅐ’, ‘ㅡ’, ‘ㅣ’ 를 만든 후,
    키패드‘ㅜ’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ㅓ’를 배치하고,
    키패드‘ㅜ’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ㅔ’를 배치하고,
    키패드‘ㅜ’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ㅣ’를 배치하고,
    키패드‘ㅗ’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ㅏ’를 배치하고,
    키패드‘ㅗ’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ㅐ’를 배치하고,
    키패드‘ㅗ’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ㅣ’를 배치하고,
    키패드‘ㅡ’의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에 키패드 ‘ㅣ’를 배치하는 방식으로서,
    상기 배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모든 경우의 한글 모음 배열 방식.
  2. 제1항에 있어서,
    키패드‘ㅜ’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ㅜ’ 가 입력되고,
    키패드‘ㅜ’위치에서, 키패드‘ㅓ’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ㅝ’가 입력되고,
    키패드‘ㅜ’위치에서, 키패드‘ㅔ’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ㅞ’가 입력되고,
    키패드‘ㅜ’위치에서, 키패드‘ㅣ’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ㅟ’가 입력되고,
    키패드‘ㅜ’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ㅠ’가 입력되는 방식.
  3. 제1항에 있어서,
    키패드‘ㅗ’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ㅗ’ 가 입력되고,
    키패드‘ㅗ’위치에서, 키패드‘ㅏ’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ㅘ’가 입력되고,
    키패드‘ㅗ’위치에서, 키패드‘ㅐ’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ㅙ’가 입력되고,
    키패드‘ㅗ’위치에서, 키패드‘ㅣ’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ㅚ’ 가 입력되고,
    키패드‘ㅗ’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ㅛ’가 입력되는 방식.
  4. 제1항에 있어서,
    키패드‘ㅡ’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ㅡ’ 가 입력되고,
    키패드‘ㅡ’위치에서, 키패드‘ㅣ’가 있는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ㅢ’ 가 입력되는 방식.
  5. 제1항에 있어서,
    키패드‘ㅣ’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ㅣ’ 가 입력되는 방식.
  6. 제1항에 있어서,
    키패드‘ㅓ’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ㅓ’ 가 입력되고,
    키패드‘ㅓ’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ㅕ’가 입력되는 방식.
  7. 제1항에 있어서,
    키패드‘ㅏ’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ㅏ’ 가 입력되고,
    키패드‘ㅏ’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ㅑ’가 입력되는 방식.
  8. 제1항에 있어서,
    키패드‘ㅔ’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ㅔ’ 가 입력되고,
    키패드‘ㅔ’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ㅖ’가 입력되는 방식.
  9. 제1항에 있어서,
    키패드‘ㅐ’위치에서, 탭(Tap)하면 모음 ‘ㅐ’ 가 입력되고,
    키패드‘ㅐ’위치에서, 상하좌우 네 가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모음 ‘ㅒ’가 입력되는 방식.
KR1020180033331A 2018-03-22 2018-03-22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자판 배열과 입력 방식 KR20190111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331A KR20190111326A (ko) 2018-03-22 2018-03-22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자판 배열과 입력 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331A KR20190111326A (ko) 2018-03-22 2018-03-22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자판 배열과 입력 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26A true KR20190111326A (ko) 2019-10-02

Family

ID=6842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331A KR20190111326A (ko) 2018-03-22 2018-03-22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자판 배열과 입력 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13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6339B (zh) 一种输入方法以及设置有虚拟键盘的电子设备
CN102169391A (zh) 触摸设备输入装置和输入方法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CN104331245A (zh) 基于触摸屏的点击输入方法、汉字输入方法
CN102841752B (zh) 一种人机交互设备的字符输入方法和装置
CN103268195A (zh) 一种基于具有触摸感应设备输入的虚拟键盘及其实现系统
CN106168880B (zh) 一种输入控制的方法及终端
CN106201003B (zh) 一种基于触摸屏设备的虚拟键盘及其输入方法
CN104461046A (zh) 一种适用于触屏设备的划动汉字输入方法
KR20190111326A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한글 모음 자판 배열과 입력 방식
CN103677303A (zh) 一种智能手机触屏虚拟键盘布局设计及字母输入方案
JP5650345B2 (ja) 子音英字キーからの母音英字及び仮名によるフリック操作方法。
KR20090047257A (ko)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190042263A (ko) 자모 변환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CN106201004B (zh) 一种基于触摸屏设备的虚拟键盘及其输入方法
KR20100133350A (ko) 문자 입력을 위한 12 키 만능 병음 자판
WO2017086396A1 (ja) タッチ操作による文字入力装置・方法・プログラム
KR20130100765A (ko) 전자장치에서 문자 입력할 때 간단한 오타 수정 방법 등
CN103425269B (zh) 一种利用方向操作输入字符的方法和装置
KR101194119B1 (ko) 문자표시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KR2014011243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6204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드래그 방식 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
KR101550140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509571B1 (ko)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CN104317421A (zh) 按键手写手机汉字输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