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190A -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 Google Patents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190A
KR20190111190A KR1020180032978A KR20180032978A KR20190111190A KR 20190111190 A KR20190111190 A KR 20190111190A KR 1020180032978 A KR1020180032978 A KR 1020180032978A KR 20180032978 A KR20180032978 A KR 20180032978A KR 20190111190 A KR20190111190 A KR 20190111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chip
air
liquid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420B1 (ko
Inventor
윤영현
Original Assignee
윤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현 filed Critical 윤영현
Priority to KR102018003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42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8Tanks, chassis or related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2Special arrangements for delivering the liquid directly into the soil
    • A01C23/023Special arrangements for delivering the liquid directly into the soil for liquid or gas fert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장시간 효과적으로 온실을 난방할 수 있고 기름,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난방비를 비약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Greenhouse System for Growing Crops Using Aerobic Microbes}
본 발명은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호기성 미생물과 목재 칩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을 이용하여 온실을 난방하는 다양한 방법이 기존에 시도되었다.
기존에 미생물과 목재 칩을 이용하여 열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를 온실 등의난방 용도로 사용하는 방법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목재 칩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공기와 접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목재 칩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 열이 발생하지만 내부에 매립된 부분의 목재 칩은 공기와 접촉하기 어려워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이 저하되어 열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둘째, 목재 칩을 적재하여 둔 윗부분으로는 용이하게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으나 목재 칩이 적재된 내측까지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미생물의 활동에 의한 열 발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온실과 같은 장소를 난방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속적으로 열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은, 외부와 공기가 차단되는 구조의 하우스 형태로 형성되는 제1온실; 하우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온실 내부에 배치되고 농작물이 재배되는 제2온실; 상기 제1온실과 제2온실의 사이의 지면에 배치되고, 혐기성 미생물에 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목재 칩이 적재되는 칩 적재부; 상기 칩 적재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칩 적재부의 하부에 매설되는 공기 공급관과, 상기 공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펌프를 구비하는 공기 공급 유닛; 및 상기 칩 적재부에 호기성 미생물이 포함된 미생물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칩 적재부에 매설되는 액비 공급관과, 상기 액비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미생물 배양액이 저장되는 액비 탱크를 구비하는 액비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장시간 효과적으로 온실을 난방할 수 있고, 기름,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난방비를 비약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은 제1온실(10)과 제2온실(20)과 칩 적재부(30)와 공기 공급 유닛(40)과 액비 공급 유닛(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온실(10)과 제2온실(20)은 모두 일반적인 하우스 형태의 온실 형태로 구성된다. 즉, 제1온실(10) 및 제2온실(20)은 외부 공기를 차단하여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햇빛을 투과시켜 태양 복사열에 의해 내부를 따듯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온실(10) 및 제2온실(20)은 비닐 하우스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유리 온실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온실(20)은 제1온실(10)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된다. 제2온실(20)은 제1온실(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2온실(20)에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화분(21) 등이 배치되거나 제2온실(20) 내부의 지면에 직접 농작물이 식재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온실(10)과 제2온실(20)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제2온실(20)은 외부 공기로부터 이중으로 단열되고 보온된다.
제1온실(10)과 제2온실(20)의 사이 즉, 제1온실(10)의 내부이면서 동시에 제2온실(20)의 외부 공간 지면에는 칩 적재부(3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칩 적재부(30)는 지면을 파서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용기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칩 적재부(30)에는 목재 칩(31)이 적재된다. 목재 칩(31)은 혐기성 미생물에 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로부터 칩 적재부(30)에 공급되는 혐기성 미생물은 목재 칩(31)의 유기물을 부패시키면서 열을 발생시킨다.
공기 공급 유닛(40)은 공기 공급관(42)과 공기 펌프(41)를 구비한다. 공기 펌프(41)는 공기 공급관(42)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 공급관(42)은 칩 적재부(30)의 하부에 매설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기 공급 유닛(40)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공기 공급관(42)을 구비한다. 공기 공급관(42)에는 다수의 공기 공급 구멍(421)이 형성된다. 공기 펌프(41)의 압력에 의해 공급된 공기는 공기 공급 구멍(421)을 통해 배출되어 칩 적재부(30)에 고르게 공기를 공급한다. 칩 적재부(30) 내부의 목재 칩(31)에 기생하는 호기성 미생물은 공기 공급관(42)의 공기 공급 구멍(421)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한다. 공기 공급관(42)은 칩 적재부(30)의 하부에 매설되므로, 공기 공급 구멍(421)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칩 적재부(30)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면서 칩 적재부(30) 내부의 목재 칩(31)과 고르게 접촉하게 된다.
액비 공급 유닛(50)은, 칩 적재부(30)의 목재 칩(31)에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액비 공급 유닛(50)은 액비 공급관(52)과 액비 탱크(51)를 구비한다.
액비 탱크(51)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포함된 미생물 배양액이 저장된다. 액비 공급관(52)은 액비 탱크(51)에 연결되어 미생물 배양액을 칩 적재부(30)로 공급한다. 액비 공급관(52)은 칩 적재부(30)에 매설되어 액비 탱크(51)의 미생물 배양액을 목재 칩(31)에 공급한다. 액비 공급관(52)에는 다수의 액비 공급 구멍(521)이 형성된다. 액비 공급관(52)으로 공급된 미생물 배양액은 액비 공급 구멍(521)을 통해 칩 적재부(30) 내부의 목재 칩(31)에 공급된다. 액비 공급관(52)은 칩 적재부(30) 내부의 목재 칩(31)에 균일하게 미생물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액비 공급관(52)은 칩 적재부(30)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경유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액비 공급 관을 2개 구비한다. 또한 2개의 액비 공급관(52)은 칩 적재부(30) 내에 높이를 달리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액비 공급관(52)을 통해 공급된 미생물 배양액은 주변 목재 칩(31)을 적시면서 하측으로 흐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칩 적재부(30) 내부의 목재 칩(31)을 균일하게 적시게 되어, 미생물 배양액을 고르게 공급한다.
미생물 배양액은 액비 탱크(51)의 압력에 의해 액비 공급관(52)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액비 탱크(51)와 액비 공급관(52)의 사이에 밸브를 설치하여 미생물 배양액의 공급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은 칩 적재부(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2온실(20)로 공급하기 위한 열 교환 유닛(60)을 구비한다. 열 교환 유닛(60)은 흡열관(62)과 순환관(64)과 라디에이터(65)와 순환 펌프(61)를 포함한다.
흡열관(62)은 칩 적재부(30)에 매설되어 칩 적재부(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집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두 세트의 흡열관(62)을 구비한다. 흡열관(62)은 칩 적재부(30)를 다양한 경로로 경유하여 칩 적재부(30)의 열을 균일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흡열관(62)은 나선형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하 나란하게 배치된 두 세트의 흡열관(62)이 각각 지그재그로 구부러지면서 연장되어 칩 적재부(30)를 경유하도록 구성된다. 두 세트의 흡열관(62)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앞에서 설명한 두 세트의 액비 공급관(52)과 교대로 상하 배치되어 칩 적재부(30) 내에 배치된다. 흡열관(62)에는 각각 흡열 탱크(63)가 설치되어 흡열관(62)을 경유하는 온수가 충분한 용량으로 저장되면서 가열되도록 한다. 흡열관(62)에서 가열된 온수는 제2온실(20) 내부에 설치된 라디에이터(65)로 전달되어 제2온실(20) 내부로 열을 배출한다. 흡열관(62)과 라디에이터(65)는 순환관(64)에 의해 연결되어 온수가 흡열관(62)과 라디이에터 사이를 순환하도록 한다. 순환관(64)에는 순환 펌프(61)가 설치되어 온수의 순환을 돕는다.
제2온실(20) 내부의 지면에는 바로 농작물이 식재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화분(21)이 배치되고 그 화분(21)에 농작물이 식재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액배 탱크에 저장된 미생물 배양액은 액비 공급관(52)을 통해 칩 적재부(30)로 전달되고 액비 공급 구멍(521)을 통해 배출되어 칩 적재부(30)의 목재 칩(31)을 적시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액비 공급관(52)은 상하 2단으로 칩 적재부(30)에 두개가 배치되어 있고, 액비 공급관(52)은 나선형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미생물 배양액은 칩 적재부(30) 내부의 목재 칩(31)에 고르게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
미생물 배양액에 포함된 호기성 미생물은 목재 칩(31)에 포함된 유기물을 양분 삼아 부패 과정을 진행하면서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기 공급 유닛(40)의 구성에 의해 칩 적재부(30) 내부의 목재 칩(31)에 균일하면서도 연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기 펌프(41)의 작동에 의해 공기 공급관(42)의 압력이 상승하면 공기 공급 구멍(421)을 통해 공기가 칩 적재부(30)의 내부로 공급된다. 앞에서 설명하고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기 공급관(42)은 칩 적재부(30)의 가장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기 공급 구멍(421)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칩 적재부(30)의 내부의 목재 칩(31)과 고르게 접촉하면서 위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칩 적재부(30) 내부의 목재 칩(31)에 기생하는 호기성 미생물에 전체적으로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구성들과 달리 본 실시예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은 칩 적재부(30) 내부에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호기성 미생물의 생화학적 반응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미생물의 활동에 의한 열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 공급 유닛(40)과 액비 공급 유닛(50)의 작동에 의해 목재 칩(31)의 미생물이 발생시킨 열은 칩 적재부(30) 주위의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온실(10)과 제2온실(20) 사이의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고온의 공기층이 제2온실(20)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2온실(20) 내부의 온도도 상승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은 제1온실(10)과 제2온실(20)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1온실(10)과 제2온실(20) 사이의 공기가 외부 공기와 제2온실(20) 내부의 공기를 차단하고 단열하는 효과와, 칩 적재부(3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제2온실(20)을 가열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칩 적재부(30)에서 호기성 미생물이 생화학적 반응을 하면서 발생시키는 가스 중에 제2온실(20)의 농작물에 이롭지 않은 가스와 농작물의 직접적인 접촉을 제2온실(20)에 의해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쉽게 얻을 수 있는 액비와 공기 및 목재 칩(31) 만으로 지속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제2온실(20)을 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우 저렴한 난방비로 제2온실(20)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외부 기온이 매우 낮은 겨울철에도 가스,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온실의 온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액비는 돼지, 소 등의 가축을 키우는 축사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가축 분류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축사에서 발생하는 가축 분료는 수질 오염의 주원인이 되는데, 그와 같은 가축 분료를 이용하여 액비를 생산하고 이를 본 실시예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에 사용함으로써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 에너지 절감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축산업과 농업의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만으로도 제2온실(20)을 난방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으나, 앞에서 설명한 열 교환 유닛(60)의 구성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제2온실(20)을 난방할 수 있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열 교환 유닛(60)의 순환 펌프(61)와 순환관(64) 및 흡열관(62)의 구성에 의해 칩 적재부(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2온실(20)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열관(62)은 상하 2단으로 배치되면서 동시에 액비 공급관(52)과 상하 교대로 배치된다. 흡열관(62)은 칩 적재부(30)의 목재 칩(31)을 고르게 경유하면서 목재 칩(31)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열관(62)에 설치된 흡열 탱크(63)에 더욱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흡열관(62)과 흡열 탱크(63)를 온수가 경유하는 시간을 늘림으로써 흡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가열되는 온수의 양도 증가시킬 수 있다. 흡열관(62)에서 가열된 온수는 순환 펌프(61)의 작용에 의해 순환관(64)을 거쳐서 제2온실(20) 내부에 배치된 라디에이터(65)로 전달된다. 라디에이터(65)는 그 일반적인 구조에 따라 제2온실(20) 내부의 공기와 넓은 면적으로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열관(62)에서 가열된 온수는 제2온실(20) 내부의 공기를 덥히면서 온도가 낮아진다. 라디에이터(65)를 경유한 온수는 다시 흡열관(62)으로 순환하여 칩 적재부(30) 내부에서 가열된다. 흡열관(62)은 주름관 형태로 구성하여 주변과의 접촉 면적을 늘리고 흡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열 교환 유닛(60)의 순환관(64)에 난방관을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난방관은 주택의 보일러에 연결되어 주택을 난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주택에서 사용하는 온수를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바이오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일반 주택의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략 2~3 미터 깊이에 반경 1~2미터로 형성된 칩 적재부(30)에 목재 칩(31)을 적재하는 경우, 약 2년간 60제곱미터 이상의 제2온실(20)을 농작물 재배에 충분한 수준으로 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은 온실 재배하는 농가의 난방비를 비약적으로 절감하고 농가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칩 적재부(30)에 적재하여 장기한 사용한 목재 칩(31)은 퇴비로 활용할 수 있다. 미생물 배양액에 적당하게 적셔진 상태이면서 동시에 미생물에 의해 충분히 부패가 진행된 상태의 목재 칩(31)은 최상 품질의 퇴비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은 가축 분료 등을 미생물 배양액으로 활용하여 토질 및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부산물을 퇴비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온실의 난방비 절감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도 매우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공기 공급관(42), 액비 공급관(52), 흡열관(62)의 형상과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칩 적재부에 배치되는 공기 공급관, 액비 공급관, 흡열관의 배치 순서와 상대적 위치 역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액비 탱크에 저장된 미생물 배양액을 제2온실의 내부로 전달하여 제2온실 내부의 토양 또는 화분에 분무하는 구성이 추가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 유닛에 별도의 배관(난방관)을 연결하여 흡열관에서 가열된 온수를 주택 난방용으로 공급하는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칩 적재부(30)의 구조와 형상 역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다양한 형태로 목재 칩을 적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10: 제1온실 20: 제2온실
30: 칩 적재부 31: 목재 칩
40: 공기 공급 유닛 41: 공기 펌프
42: 공기 공급관 421: 공기 공급 구멍
50: 액비 공급 유닛 51: 액비 탱크
52: 액비 공급관 521: 액비 공급 구멍
60: 열 교환 유닛 61: 순환 펌프
62: 흡열관 63: 흡열 탱크
64: 순환관 65: 라디에이터

Claims (5)

  1. 외부와 공기가 차단되는 구조의 하우스 형태로 형성되는 제1온실;
    하우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온실 내부에 배치되고 농작물이 재배되는 제2온실;
    상기 제1온실과 제2온실의 사이의 지면에 배치되고, 혐기성 미생물에 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목재 칩이 적재되는 칩 적재부;
    상기 칩 적재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칩 적재부의 하부에 매설되는 공기 공급관과, 상기 공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펌프를 구비하는 공기 공급 유닛; 및
    상기 칩 적재부에 호기성 미생물이 포함된 미생물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칩 적재부에 매설되는 액비 공급관과, 상기 액비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미생물 배양액이 저장되는 액비 탱크를 구비하는 액비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비 공급 유닛의 액비 공급관은, 나선형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다수의 액비 공급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공급 유닛의 공기 공급관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공기 공급관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공기 공급 구멍이 형성되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칩 적재부에 매설되어 상기 칩 적재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수집하는 흡열관과, 상기 제2온실 내부에 배치되어 열을 상기 제2온실 내부로 배출하는 라디에이터와, 상기 흡열관과 라디에이터를 연결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상기 흡열관과 라디에이터로 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열 교환 유닛;을 더 포함하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유닛은, 상기 흡열관에 연결되어 상기 칩 적재부에 매설되는 온수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 유닛의 흡열관은 나선형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비 공급 유닛의 액비 공급관 및 상기 열 교환 유닛의 흡열관은 각각 복수 세트로 마련되어 상기 칩 적재부에 교번하여 적층되고,
    상기 공기 공급 유닛의 공기 공급관은 상기 액비 공급관 및 흡열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KR1020180032978A 2018-03-22 2018-03-22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KR102074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78A KR102074420B1 (ko) 2018-03-22 2018-03-22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78A KR102074420B1 (ko) 2018-03-22 2018-03-22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190A true KR20190111190A (ko) 2019-10-02
KR102074420B1 KR102074420B1 (ko) 2020-02-06

Family

ID=6842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978A KR102074420B1 (ko) 2018-03-22 2018-03-22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0536A (zh) * 2020-11-22 2021-02-26 陈荣 一种用于高坡度地段的果树种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546B1 (ko) 2020-12-11 2021-05-20 박성언 스마트팜 탄소제로 일체 자가용 태양광 온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172A (ko) 2005-01-13 2005-02-02 김재인 발효에너지를 이용한 난방시스템 및 퇴비 제조방법
KR20060007966A (ko) * 2004-07-23 2006-01-26 주식회사 성우크린테크 농업용 공조장치
KR20100006043A (ko) 2008-07-08 2010-01-18 서순택 복합미생물의 발효열을 이용한 표토 난방방법 및 작물재배방법
JP2015015966A (ja) 2014-10-27 2015-01-29 株式会社東信花木 ハウス栽培施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966A (ko) * 2004-07-23 2006-01-26 주식회사 성우크린테크 농업용 공조장치
KR20050013172A (ko) 2005-01-13 2005-02-02 김재인 발효에너지를 이용한 난방시스템 및 퇴비 제조방법
KR20100006043A (ko) 2008-07-08 2010-01-18 서순택 복합미생물의 발효열을 이용한 표토 난방방법 및 작물재배방법
JP2015015966A (ja) 2014-10-27 2015-01-29 株式会社東信花木 ハウス栽培施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0536A (zh) * 2020-11-22 2021-02-26 陈荣 一种用于高坡度地段的果树种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420B1 (ko)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11649A1 (en) Pressurized flexible tubing system for producing Algae
CN103195270B (zh) 一种种植、养殖、青储综合循环系统及方法
US20160113214A1 (en) Solar bio-greenhouse
KR102074420B1 (ko)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용 온실 시스템
KR102027652B1 (ko) 신재생에너지의 복합 이용과 부산물을 순환 이용하는 스마트 신재생 복합 배양플랜트
CN201418312Y (zh) 农业微生态零排放共生系统
CN209468338U (zh) 一种农业生态循环系统
CN203985389U (zh) 一种设施蔬菜土壤起垄埋槽式无土栽培装置
CN114149895B (zh) 一种农林废弃物耦合养殖粪便好氧发酵热回收利用设备
RU2446672C1 (ru) Биоэнергет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CN109247230A (zh) 楼房无土栽培与燃气发电机组结合的设施
CN104488585A (zh) 自供能源现代化立体农业培育系统
KR101407638B1 (ko) 발효열을 이용한 온상설비
KR20100006043A (ko) 복합미생물의 발효열을 이용한 표토 난방방법 및 작물재배방법
CN108128894A (zh) 一种奶牛和生猪养殖场粪污低成本高效发酵处理系统
CN209806696U (zh) 一种便于水、肥、热管理的植物栽培盆
CN211064379U (zh) 一种温室发酵供热系统
CN204069939U (zh) 一种内设沼气池的立体种植日光大棚
DE69922379T2 (de) Faulanlage
CN203407312U (zh) 介质潮汐栽培设备
JP5823685B2 (ja) 園芸温室栽培用の水タンク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の育成方法
CN205567163U (zh) 一种禽类养殖生态循环系统
KR101207017B1 (ko) 퇴비발효기
CN106922442B (zh) 一种生态大棚及农田结构
RU69698U1 (ru) Биокомплек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