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860A - Method for Converting Planed Display Contents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verting Planed Display Contents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860A
KR20190110860A KR1020180032835A KR20180032835A KR20190110860A KR 20190110860 A KR20190110860 A KR 20190110860A KR 1020180032835 A KR1020180032835 A KR 1020180032835A KR 20180032835 A KR20180032835 A KR 20180032835A KR 20190110860 A KR20190110860 A KR 20190110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unction
cylindrical display
cylindrica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3749B1 (en
Inventor
권재현
Original Assignee
(주) 올림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올림플래닛 filed Critical (주) 올림플래닛
Priority to KR102018003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749B1/en
Publication of KR2019011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8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7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062Panospheric to cylindrical image transformation
    • G06T3/1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verting content for a flat display to content for a cylinder, and a system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n authoring tool interface for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cylindrical display device comprises the steps of: analyzing, at one or more user terminals, flat display content; determining a condition for converting the analyzed flat display content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 converting the flat display content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condition;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cylindrical display content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via a network. The step of converting the flat display content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is for an authoring function which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output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n real time.

Description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Method for Converting Planed Display Contents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s}How to convert content for flat panel display to cylinder content {Method for Converting Planed Display Contents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s}

본 발명은 360도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공간 및 용도에 적합한 콘텐츠를 제작 및 제어할 수 있는 저작 도구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horing tool interface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360 degree spa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uthoring tool capable of producing and controlling content suitable for the space and use of a cylindrical displa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content for flat panel display to content for cylinders.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BACKGROUND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are being developed. In particular, portable display devices such as TVs, PCs, laptop computers, tablet computers, mobile phones, and MP3 players are widely used. Recently,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users who want new and various functions,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display devices in newer forms. That's what's called the next-generation display.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일 예로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가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란 마치 종이처럼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로서,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얻을 수 있는 소비자 지향적인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이다.An example of the next generation display is a flexible display. The flexible display is a display having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transformed like a paper, and is a consumer-oriented future display technology that can search and obtain desired information anytime and anywhere.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상 밴딩(Bending)될 수 있고, 밴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다양한 각도(예컨대, 360도)로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처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다양한 각도로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각도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상기 각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나 새로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Such a flexible display may be b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may be fixed while being bent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at various angles (eg, 360 degrees). In the case of providing a,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isplay optimized for the angle at which the user looks at the flexible display, and furthermore, in order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gle, a new user interface (UI) or a new user experience ( User eXperience (UX) needs to be provided.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소형의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일정 공간을 차지하는 대형의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공간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is not only used as a user terminal having a small cylindrical display but also used as a large cylindrical display taking up a certain spac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isplay method that provides appropriate contents according to the space and use of the flexible display.

이에 따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반의 콘텐츠에 대한 저작 니즈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누구나 손쉽게 저작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콘텐츠 저작 도구가 필요한 시점이다.Accordingly, authoring needs for cylindrical display-based content are increasing, and it is time for a content authoring tool having an intuitive user interface to easily author and use various contents.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콘텐츠의 크기 및 용도에 적합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suitable for the size and use of the content compared to the existing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60도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uthoring tool interfa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can participate and control in a 360 degree sp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텐츠의 사용자에게 하여금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반의 콘텐츠를 쉽고 직관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저작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horing tool that enables users of content to easily and intuitively author a cylindrical display-based cont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objects (objective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objective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objectives)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are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who have knowledg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전환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출력될 수 있다.A method for converting flat display content into cylinder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ing: analyzing flat display content at one or more user terminals; Determining a condition for converting the analyzed planar display content in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condition, converting the flat display content in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 Transmitting the converted cylindrical display content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converting the planar display content in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is an authoring function that is determined based on an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is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may be output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n real ti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전환 기능에 관한 명령에 의하여 단일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Preferably,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may be a step of performing an authoring function on a single content by an instruction regarding a content switching function received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have.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는,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user device may be at least one of a PC,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또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소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오브젝트 출력, 이미지 왜곡 보정 및 감성 콘텐츠 저작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n object output, image distortion correction, and emotional content authoring fun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small. Can be.

또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대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대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끊김없이 표현하는 기능 및 화면 분할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large, the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is that the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large. If it is determined tha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unction of seamlessly displaying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the screen division function.

또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회전, 확대, 축소, 피사심계도(DO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may include a function of setting at least one of movement, rotation, enlargement, reduction, and depth-of-field (DOF) of an object constituting the content.

또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그림자를 이용한 곡률 표현, 다중 레이어에 따른 레이어별 설정, 콘텐츠의 내부 깊이 표현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at least one of curvature expression using shadows of objects constituting the content, setting per layer according to multiple layers, and internal depth expression function of the content. can do.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일 수 있다.A method for converting flat display content into cylinder content, the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an authoring function on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cylindrical display device in at least one user device;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performed authoring function to a server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is an authoring function that is determined based on an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ntent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the cylinder in real time. The content may be output on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에 있어서, 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관하여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일 수 있다.In a method for converting flat display content into cylinder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request is performed by a server to perform an authoring function on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cylindrical display device from one or more user devices. Receiving a signal; Performing an authoring function on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with respect to content stored in the server; Transmitting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performed authoring function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Wherein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is an authoring function that is determined based on an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ntent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the cylinder in real time. The content may be output on a display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에서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obtained the effect described below. However, effects obtain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content display method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and use of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360도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Secon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horing tool interface system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a 360 degree space can be provided.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반의 콘텐츠를 쉽고 직관적으로 저작할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display-based content can be easily and intuitively authored.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평면형 디스플레이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들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ylindrical display and the fla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show examples of cylindrical displays that can be appli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0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content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hrough 12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content authoring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flat display content in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which will be given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expla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only.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the core functions of the structures and devices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comprising" (or including) a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do.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Furthermore, "a" or "an", "one", and the like shall be,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ngular and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or is clearly contradicted by the context. It can be used as a meaning including.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us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se of this specific terminology may be modifi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which will be given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expla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본 발명에서는, 360도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안하기로 하며, 특히 실린더형(cylindrical)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용도에 따른 저작도구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먼저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평면형(planed) 디스플레이간의 차이점을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uthoring tool interface system that allows a plurality of users to participate in a 360 degree space can be controlled. In particular, an authoring tool interface according to the size and use of a cylindrical display will be proposed. Accordingly,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ylindrical display and the planar display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평면형 디스플레이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ylindrical display and the fla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 및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은 관찰자의 시각적인 지각의 연속성 측면에서 차이점이 발생할 수 있다.The movement of an object on a flat panel display and the movement of the object on a cylindrical display may differ in terms of the continuity of the viewer's visual perception.

먼저 도1을 참고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일 오브젝트가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위치 1로부터 위치 2로 즉, 전체의 1/4만큼 이동하는 경우와, (2)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위치 1'로부터 위치 2'로 전체의 1/4(90도)만큼 이동하는 경우, 만약 관찰자가 위치 A에 있다고 전제하면 오른쪽으로 오브젝트가 움직인 것으로 지각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1, as shown in FIG. 1, (1) when one object moves from position 1 to position 2, i.e., 1/4 of the whole, on a flat display, and (2) on a cylindrical display. If you move from position 1 'to position 2' by a quarter (90 degrees) of the whole, you can perceive that the object has moved to the right, assuming the observer is at position A.

이와 같이 오브젝트가 움직이는 범위가 작은 경우(예를 들어, 전체의 1/4 범위 이하 또는 90도 이하의 범위 등)에는, 관찰자 입장에서 볼 때,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 간 별다른 차이를 인지할 수 없을 수도 있다.Whe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object is small in this way (for example, the range of less than a quarter or less than 90 degrees, etc.), the movement of the object on the flat display and the cylindrical display when viewed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You may not notice any difference between the movements of objects on the screen.

다만,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커진 경우 즉, 상기 오브젝트가 움직이는 범위가 큰 경우(예를 들어, 전체의 1/4 범위 이상 또는 90도 이상의 범위 등)에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볼 때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 각각을 서로 다른 움직임으로 지각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large, that is, when the movement range of the object is large (for example, over a quarter of the whole or over 90 degrees or more), the planar display is viewed from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The motion of the object and the motion of the object on the cylindrical display may be perceived as different movements.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특정 오브젝트가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3으로부터 위치 4로 전체의 1/4이상만큼 이동하는 경우 및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위치 3'로부터 위치 4'로 전체의 1/2(180도)만큼 이동하는 경우로서, 만약 관찰자가 위치 B에 있다고 전제하면, 사용자(또는 관찰자)로서는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은 시각적으로 끊김없이(seamless) 지각할 수 있으나,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반대편으로 움직인 것으로 인식되어, 일정 시점 이후에는 관찰자의 시각에서 벗어나는 차이가 발생한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if a particular object moves by at least a quarter of the whole from position 3 to position 4 on the flat panel display and on the cylindrical display the specific object is moved from position 3 'to position 4'. If you move by 1/2 (180 degrees), assuming that the viewer is in position B, the user (or observer) can visually perceive the movement of the object on the flat display seamlessly, On the cylindrical display, it is recognized that the object has moved to the opposite side, and after a certain point of time, a deviation occurs from the observer's perspective.

추가적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더 커진 경우에는 다시 관찰자의 시각 범위 내로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가 위치 4'로부터 위치 3'로 움직이는 경우, B의 위치에 있는 사용자(또는 관찰자)는 방금 전 시각에서 벗어났던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다시 지각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object becomes larger on the cylindrical display, it may return to the observer's visual range again. For example, if an object moves from position 4 'to position 3', the user (or observer) at position B may re-perceive the particular object that was just out of sigh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 디스플레이와는 다르게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360도 관찰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른 현상으로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일 부분만 지각할 수 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unlike a flat panel display, a cylindrical display device can observe 360 degrees, and as a result, only a part of the cylindrical display can be perceived according to a viewer's position. May occur.

즉, 관찰자는 위치 A, B, C 및 D 중 어느 쪽에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콘텐츠를 인지할 수 있다. 즉, 관찰자가 위치 A에 있는 경우와 위치 B에 있는 경우 서로 중첩되는 콘텐츠가 있을 수 있으며, 위치 A에서 위치 D에 가까운 영역의 콘텐츠는 관찰자의 위치 B에서는 인지할 수 없고, 위치 B에서 위치 C에 가까운 영역의 콘텐츠는 관찰자의 위치 A에서 인지할 수 없게 된다.That is, the observer can perceive different content depending on which of the positions A, B, C and D is looking at the cylindrical display. That is, if the observer is at position A and at position B, there may be overlapping content, and the content of the area close to position D at position A is not recognized at observer's position B, and position C at position B The contents of the area close to are not recognized at the viewer's position A.

또한, 깊이감(depth)의 표현에 있어서도 평면형 디스플레이 및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평면형 디스플레이에서는 깊이에 대한 표현으로 안쪽으로 무한히 표현(연출)할 수 있는 반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에서 내부 표현 시에는 지름만큼 제한적으로 깊이를 표현해야 실제적인 공간감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at panel display and the cylindrical display may also occur in the expression of depth. In the flat display, the depth can be expressed indefinitely as the expression of depth, whereas in the cylindrical display, the depth is limited only by the diameter to express the actual spa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 디스플레이상에서는 컴퓨터 그래픽(Computer Graphic; CG) 출력물의 전체가 관찰자의 시각(시야) 범위 내에 들어오는 반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상에서는 360도 시각 범위 전체를 한 눈에 볼 수 없는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평면형 디스플레이상의 약 44%정도만 관찰자가 볼 수 있다고 한다.As shown in FIG. 3, on a flat-panel display, the entire Computer Graphic (CG) output falls within the observer's field of view, whereas on a cylindrical display, the entire 360-degree field of view cannot be seen at a glance. Constraints may arise. According to a related study, only about 44% of viewers see a flat display.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는 그 크기에 따라서 소형 및 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소형 및 대형의 분류 기준은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임의로 정의한 것으로써,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Cylindrical display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small and large according to their siz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mall and large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rbitrarily defin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는 하기 표 1과 같이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형과 대형을 구분하는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어서, 아래의 기준보다 더 크거나 작은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and the large cylindrical display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lain the characteristics thereof as shown in Table 1 below. As described above, the size for dividing the small and the large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set in larger or smaller units than the following criteria.

분류Classification 소형small type 대형large 크기size 18인치 - 110mm18 inches-110 mm 77인치77 inches 위치location 가변(이동, 회전 가능형)Variable (movable, rotatable) 고정(설치형)Fixed (mounting type) 사용자user 개인미디어 / 1인기준Personal media / per person 공용 미디어, 다중 사용자Public media, multi-user 콘텐츠 특징Content feature -메인 정보의 표시 영역 제어-시선 위치에 따른 출력 방향 동기화
-360도 회전, 방향 감지로
실린더 형태 부각
-개인적, 감성적 콘텐츠
Control of display area of main information-Synchronize output direction according to line of sight
-360 degree rotation, direction detection
Cylinder shape incidence
Personal and emotional content
-출력 결과물 이미지의 연속성
-이미지 출력 면 분할 제어
-360도 다중 사용이 가능한
시각 표현 및 왜곡 보정
-압도감, 몰입감 있는 콘텐츠
Continuity of the output image
-Image output side split control
-360 degree multi-use
Visual representation and distortion correction
Overwhelming, immersive content
공간지각 특징Spatial Perception -이동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처리-사용자 및 실린더간 위치에 따른
공간 지각
-DOF, 왜곡 등 후처리를 통한 입체감
-Real time image processing by movement-According to the position between user and cylinder
Space perception
-Dimensional effect through post processing such as DOF, distortion
-실린더 형태 인식을 통한 공간 지각
-원통 속의 깊이 표현
-다중 레이어 적용을 통한 표현
Spatial Perception through Cylinder Shape Recognition
Depth representation in the cylinder
-Expression through applying multiple layers
저작 도구 특징Authoring Tool Features -큰 곡률에 적합한 이미지 생성 및왜곡 보정
-이동에 따른 출력 결과 제어
-개인화 맞춤형 콘텐츠 기능
Image generation and distortion correction for large curvature
-Control output result by movement
Personalized custom content features
- 끊김없는(Seamless) 360도 출력
-사용자 인원에 따른 출력 면 제어
-곡률(지름)에 따른 출력 결과 제어
-Seamless 360 degree output
Output surface control according to user number
-Control output result according to curvature (diameter)

상기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의 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약 110mm내지 18인치 크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형 스마트폰 또는 실린더형 전자 앨범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n the case of a small cylindrical display may be a display device having a size of about 110mm to 18 inches. For example, a cylindrical smartphone or a cylindrical electronic album may correspond to this.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약 77인치 정도 이상의 기기일 수 있으며, 건물 등의 기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In the case of a large cylindrical display device, the device may be about 77 inches or more, and may be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a pillar of a building.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크기의 유리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또는 휴대할 수 있고, 회전 등의 조작이 가능한 반면,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건물 기둥 등에 설치가 되거나, 대형 조형물로서 일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mall cylindrical display, the user can move or carry it, and the user can rotate or operate it according to the advantage of the size, while in the case of a large cylindrical display, it is installed in a building pillar or a large sculpture in one space. Can be fixed.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개인 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으며, 1인 또는 2인이 사용할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를 2인이 사용하는 경우에 도출 가능한 특징은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case of a small cylindrical display, personal media content can be provided and used by one or two people. Features that can be derived when two persons use a small cylindrical display will be described later.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그 크기적 특징에 따라, 개인 뿐만 아니라 다수를 위한 공용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2인 이상의 다중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Large cylindrical displays can, depending on their size, provide public media content for many as well as individuals and output to two or more multi-users.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간에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메인 정보의 표시 영역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시선 위치에 따라 출력 방향을 동기화 할 수 있다. 또한 360도 회전 및 방향 감지가 가능함에 따라 실린더 형태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개인적 또는 감성적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t is possible to display content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and the large cylindrical display. That is, in the case of 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the display area of the main information can be controlled, and the output direction can be synchronized according to the gaze position. In addition, the 360-degree rotation and direction can be detected to further highlight the shape of the cylinder, there is a feature that can utilize personal or emotional content.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출력 결과물이 시각적인 연속성을 가지며, 출력 면을 분할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360도 다중 사용이 가능한 시각 표현뿐만 아니라 왜곡을 보정할 수도 있으며, 압도감 또는 몰입감이 있는 콘텐츠를 활용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large cylindrical displays, the output results have visual continuity and can be controlled by dividing the output plane. You can also correct distortion as well as visual representation with 360-degree multi-use, and take advantage of overwhelming or immersive content.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간에는 서로 다른 공간 지각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처리가 가능하며, 사용자 및 실린더 간 위치에 따라 공간 지각을 제공할 수 있다. DOF(Depth Of Field), 왜곡 보정 등 후처리(post-processing) 등을 통하여 입체감을 구현할 수도 있다.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and the large cylindrical display may have different spati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mall cylindrical display, real-time imag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splay, and spatial percep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position between a user and a cylinder. The three-dimensional effect may be implemented through post-processing such as depth of field (D DOF) and distortion correction.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실린더 형태 인식을 통한 공간 지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원통 속의 깊이(depth)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레이어(multi-layer) 적용을 통한 공간을 표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large cylindrical display, it is possible to provide spatial perception through cylinder shape recognition and to express depth in a cylind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ress a space through a multi-layer application.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간에는 서로 다른 저작 도구 기능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큰 곡률을 가지므로, 이에 적합한 이미지 생성 및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에 따른 출력 결과를 제어할 수 있고, 개인 맞춤형 콘텐츠 기능 등의 구현이 가능하다.There may be different authoring tool functional features between 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and the large cylindrical display. In the case of a small cylindrical display, it has a large curvature, so that image generation and distortion can be corrected according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put result according to the moveme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personalized content function.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끊김없는(seamless) 360도 출력이 가능하며, 사용자 인원에 따라서 출력 면을 분할 제어할 수 있다. 곡률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지름에 따른 출력 결과 제어가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In the case of large cylindrical displays, seamless 360-degree output is possible, and the output plane can be divid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Since the curvature is relatively small, the output result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ameter.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큰 곡률을 가지기 때문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소형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에 동일 크기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소형에서는 실린더 옆 및 뒤로 밀려나는 이미지 왜곡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mall cylindrical display, since it has a large curvature, distortion of the output image may occur. When displaying objects of the same size on small and large cylindrical displays, the image distortion that is pushed by and behind the cylinder may be large in the small size.

따라서, 큰 곡률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왜곡 현상을 평면처럼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휘어진 특징을 활용하여 실린더형의 조형을 살린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that can be utilized as a content utilizing a cylindrical shape by utilizing a curved feature, rather than correcting image distortion caused by a large curvature like a plane.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서로 다른 크기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경우에도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큰 오브젝트의 경우, 디스플레이 전체에 걸쳐 단일 오브젝트가 적절히 표현될 수 있도록 출력물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심한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출력물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표현 의도가 변질되지 않고 정보 전달의 정확성도 제고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In the case of a small cylindrical display, distortion may occur even when objects of different sizes are displayed. For large objects, severe distortion can be avoided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output so that a single object can be properly represented throughout the display.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output,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presentation intent is not altered and the accurac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can be improved.

이러한 왜곡 현상은 오브젝트의 가로 면적에 따라서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가로 면적이 큰 경우에 비해 가로 면적이 작은 경우에 콘텐츠 왜곡 현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 및 저작 도구 기능 상에 오브젝트의 가로 면적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Such distortion may also occur depending on the horizontal area of the object. It can be seen that content distortion is reduced when the horizontal area is small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horizontal area of the object is large. Therefore, the content creation and authoring tool func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horizontal area of the object.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 및 디스플레이 기기 간의 위치에 따라 가변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를 변경 내지 조작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세밀한 시각적 표현이 요구되며,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출력 결과물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에 쥐고 움직이는 경우에는 거리 또는 방향에 따라서 콘텐츠가 다르게 보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it may have a variable feature depending on the posi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device. As the user may change or manipulate the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detailed visual expression is required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is close, and the output result may be rotated by the user's rotation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moves in the hand, the content may look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stance or direction.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출력물 또한 다르게 인지될 수 있다. 메인 오브젝트와 같은 주요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선 정면에 위치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놓인 위치 및 방향에서 보여지는 각도에 따라 콘텐츠 표현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having a size that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 the displayed output may also be per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user's gaze direction. The main image, such as the main object, can implement a function that can be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gaze, and the content can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angle viewed from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placed.

또한, 사용자가 메인 오브젝트를 위에서(상) 또는 아래에서(하) 바라보는 경우에 따라 결과물을 다르게 표현함으로써 실린더형이 가지는 끊김없는 조형적 특징을 표현할 수 있다. 최종 시각 결과물 콘텐츠에 대하여 회전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경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자체가 회전하는 연출을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expressing the resul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user looks at the main object from above (up) or from below (down), it is possible to express a seamless formative feature of the cylinder. When the rotation animation effect is applied to the final visual output content, the cylindrical display itself may be rotated.

본 발명에 따르는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개인 미디어 콘텐츠를 2인 사용으로 확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sonal media content can be extended to two persons.

기존의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의 시각 범위(가시 영역)가 평면형 디스플레이의 44% 정도에 제한됨에도 불구하고, 1인의 시각에 맞추어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정면을 기준으로 할 때, 180도 위치의 반대편 면에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2인 모두를 충족시키는 개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small cylindrical display, although the user's viewing range (visible area) is limited to about 44% of the flat display, the content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one person's view.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ront of 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by providing different content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180-degree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personal media content that satisfies both.

즉, 제한된 출력 범위 내에서 이미지를 각각 1/2로 분할하여 시각화 함으로써, 2분할 된 2면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2인이 동시에 사용 경험을 충족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by dividing the image into half and visualizing each within a limited output range, by providing the same or different content on the two divided sides,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wo people can meet the use experience at the same tim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전용 360도 시청각 콘텐츠를 저작하는 도구(tool)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tool for authoring a cylindrical display-dedicated 360-degree audiovisu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4 to 5 show examples of cylindrical displays that can be appli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360도 콘텐츠 저작 도구로서, 단일 디바이스 형태로서 안정성 및 호환성을 지원하여야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외부 또는 내부 디스플레이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360도 콘텐츠의 저작이 가능하다.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360-degree content authoring tool optimized for a cylindrical display, and should support stability and compatibility as a single device form. As shown in FIG. 4, the content authoring tool is commonly applied to an external or internal display of a cylinder. Possible 360-degree content authoring is possible.

또한, 이러한 콘텐츠 저작 도구는 콘텐츠에 관한 주체별 니즈를 수용하는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contents creator), 퍼블리셔(publisher), 프로슈머(prosumer) 및 컨슈머(consumer) 등 다양한 대상에게 범용적이면서 실용성을 가지는 저작도구로서 자리잡을 수 있다.In addition, such content authoring tools may have extensibility to accommodate subject-specific needs for content. It can be established as a general purpose and practical authoring tool for a variety of objects such as content creator, publisher, consumer, and consumer.

콘텐츠 저작 도구는 인터페이스의 편의성, 기능의 전문성 및 결과의 완성도 등 복합적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콘텐츠 저작 도구로서, 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로서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tool is a content authoring tool for meeting complex needs such as convenience of an interface, professionalism of a function, and completeness of a result. As shown in FIG. 5, a content authoring tool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content can be authored in various sizes. have.

이하에서는, 콘텐츠 저작 도구로서의 화면 구성 등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콘텐츠 저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the content auth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as a content authoring tool.

본 발명에 따른 360도 실린더 디스플레이 기반 콘텐츠 저작 도구는 모바일 및 데스크탑 등의 기기에 맞게 UI/UX를 디자인하고 적합한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저작 도구에 대한 이해, UI/UX의 정의 및 트렌드에 관한 조사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서, UI/UX를 분석하여 저작도구 전반적인 컨셉 및 시나리오를 개발하여야 한다.Content creation tool based on 360-degree cylinder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imed to design UI / UX and develop suitable scenarios for devices such as mobile and desktop.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an understanding of authoring tools, definition of UI / UX, and research on trends are required. Accordingly, the concept and scenario of authoring tools should be developed by analyzing UI / UX.

먼저, 본 발명에서의 콘텐츠 저작 도구(Contents Authoring Tool)는 다양한 콘텐츠를 누구나 손쉽게 저작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로서, 다양한 플랫폼에서 다양한 기능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First, the contents authoring tool (Contents Authoring Too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ftware development tool having an intuitive user interface that allows anyone to easily author and use a variety of content, means a service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various functions on various platforms can do.

이러한 콘텐츠 저작 도구는 다양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첫째, 사용이 쉬어야 한다. 처음 접하는 비전문가도 쉽게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저작자에게 절차적인 언어를 요구해서는 안된다. 저작자는 프로그래머 (programmer)가 아니기 때문에 결과물을 만드는데 절차 언어를 요구해서는 안된다. 셋째, 특수효과 기능이 다양해야 한다.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장면전환 디졸브(dessolve), 파티클(particle) 등의 다양한 특수 효과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그래픽, 문자, 애니메이션 등 비디오의 종합 저작 도구이어야 한다. 다섯째, 360도 영상으로서, 기존의 평면 디스플레이 기반의 콘텐츠의 저작 도구와는 차이가 있어야 한다. 여섯째, 저작하는 저작물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프로그래밍을 지원하여야 한다.Such content authoring tools can satisfy various conditions. First, it should be easy to use. Even non-experts who are new to it should be able to easily author content. Second, procedural language should not be required from the author. Since authors are not programmers, they should not require a procedural language to produce their output. Third, the special effects function should be diverse. You need to be able to support a variety of special effects such as fade-in, fade-out, cutaway dissolve, and particles. Fourth, it should be a comprehensive authoring tool for video such as graphics, text, and animation. Fifth, as a 360-degree image, there should be a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authoring tool of flat display-based content. Sixth, real-time programming that can confirm the authoring work in real time should be supported.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다양한 유형을 가질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hypertext)를 기반으로 하는 문서 방식, 카드 방식의 도구를 이용하는 페이지 방식 및 플로우차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플로우차트 방식은 다시 아이콘 방식 및 타임라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types. The hypertext-based document method, the card method, the page method, and the flowchart method can be classified, and the flowchart method can be divided into the icon method and the timeline method.

이 중에서 카드 방식의 저작도구는 저작 과정에 내부 언어(embedded-language), 즉 스크립트(script) 언어를 이용하여 상호 작용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플로우차트 방식과 구분될 수 있다.The card-based authoring tool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flowchart method in that it provides interactivity using an embedded language, that is, a script language, in the authoring process.

문서 방식의 경우, 하이퍼텍스트 계열의 저작도구로서 대부분 그래픽 편집 기능은 포함하지 않으며, 주로 텍스트 미디어만을 다룰 수 있다. 색인(indexing) 기능 및 검색(searching)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서 책과 같은 콘텐츠의 저작에 적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ocument method, the hypertext-based authoring tool does not include most graphic editing functions, and mainly deals with text media. It includes an indexing function and a searching function, and may be suitable for authoring content such as a book.

페이지 방식은 모든 정보를 카드 단위로 표현하며, 여러 개의 카드의 묶음은 스택(stack)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카드는 텍스트 및 그래픽을 포함하며 사운드 및 비디오의 경우는 버튼으로 표시되어 버튼을 누를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The page method expresses all information in units of cards, and a bundle of several cards may be defined as a stack. One card contains text and graphics and in the case of sound and video is marked as a button and can be executed when the button is pressed.

아이콘 방식에서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아이콘을 이용하여 순서도(flowchart)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아이콘 방식은 프로그램의 전개 과정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하나의 아이콘은 그림, 사운드, 비디오 등 미디어 데이터를 표현하며, 사용자와의 대화 기능 역시 아이콘으로 표현할 수 있다.In the icon method, the flow of a program can be represented in a flowchart form using an icon. The icon method can easily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ogram, and one icon expresses media data such as pictures, sounds, and video, and the conversation function with the user can also be represented by an icon.

타임라인 방식은 시간 축(time-axis)에 따라 각 미디어의 실행 순서를 나열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미디어 파일들 간의 동기 관계를 프레임(frame) 단위로 기술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이 방식은 사용자의 입력이 많지 않고, 화려한 화면 효과나 오디오가 필요한 제품 홍보 저작물에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The timeline method is a method of arranging the execution order of each media according to the time-axis, and ha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synchronization relationship between media files can be described in units of frames, compared to other methods. This can be convenient for product promotions that don't require much user input and require spectacular screen effects or audio.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의 메뉴 구성은 저작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고, 비전문가도 저작이 가능하도록 쉽게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menu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author type, provide a UI that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nd can be easily provided so that a non-expert can also auth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의 UI/UX 구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UX(User eXperience)란, 사람의 행위와 태도 및 하나의 특정한 제품, 시스템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험을 말하는 것으로서, 실제, 경험, 감정, 의미 및 인간-컴퓨터의 인터랙션 소유권과 가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Hereinafter, the UI / UX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User eXperience (UX) refers to the behavior and attitude of a person and the experience of using a particular product, system or service, which includes real, experience, emotion, meaning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ownership and value. Concept.

또한, UI(User Interface)는 일반적으로 디자인의 형식이기도 하지만 사용자 및 사물간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으로 상호작용, 즉 소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복잡한 사이트에서 사용자 및 콘텐츠, 해석자 및 가이드 간의 중계자 역할로서, 보다 사용하기 편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사용자의 인지적 측면에서 디자인하고 사용편리성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a user interface (UI) is generally a form of design, it may mean that the user and an object interact, that is, communicate with a computer program or system. As a relay between users and content, interpreters, and guides on complex sites, it can be thought of as designing and evaluating the user's ease of use in order to make the system easier to use.

또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기기 및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돕는 시각적인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라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정보라고 가정하였을 때, 이 보이지 않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보고 느끼고 사용할 수 있게 각 기기 정보에 맞는 그래픽으로 변환, 화면에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방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may refer to a visual graphical interface that facilitates interaction and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user. When a system called an interface is assumed to be information that is not visible to the user, this invisible interface is converted into a graphic suitable for each devic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see, feel, and use the screen. It may be a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서, 트렌디(trendy)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trendy manner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최근 고성능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로 콘텐츠 수요가 급증하면서 콘텐츠 저작 비용 및 저작 시간 절감을 위해 콘텐츠 저작도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콘텐츠 저작도구는 콘텐츠 저작자에게 편의성, 경제적 효율성의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크로스 플랫폼에서 호환 가능한 콘텐츠 저작을 요구하는 추세이며, 저작에서 유통까지 지원하는 통합 솔루션의 모델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content increases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high-performance smart devices, the need for a content authoring tool is increasing to reduce content authoring cost and authoring time. The content authoring tool is used as a means of providing a content creator with added value of convenience and economic efficiency. Currently, there is a trend to require compatible content authoring on a cross platform, and a model of an integrated solution supporting authoring to distribution is required.

따라서, 향후에 콘텐츠 저작 도구는 디바이스의 다양화에 따른 콘텐츠 시장의 활성화로 인하여 지속적인 규모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관련 연구에 따르면, 글로벌 마켓의 경우, 2014년 1조 8,899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5,70%의 성장세를 토대로 2017년 2조 2,409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내 시장의 경우, 2014년 47조 2,359억원에서 2017년 53조 5,175억원으로, 연평균 약 4.2%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future, the content authoring tool is expected to grow continuously du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content market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devices, and according to a related study, the global market, the annual average of $ 1.8989 billion in 2014 Based on the growth rate of 5,70%, it is expected to grow to $ 2.24 trillion in 2017. The domestic market is expected to grow at an average annual rate of about 4.2% from 47 trillion 253 billion won in 2014 to 53 trillion and 557.5 billion won in 2017.

이하에서는, 도면을 예시로 하여, 데스크탑 및 모바일에서 콘텐츠 저작 도구로서의 화면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en as a content authoring tool in the desktop and mobile will be described.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6 to 10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content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desktop) 상에 지원될 수 있다. 화면 구성은 크게 도구 메뉴(A), 기록 메뉴(B), 색상 메뉴(C), 저작 라이브러리 메뉴(D) 및 레이어 메뉴(E)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on a desktop, as shown in FIG. 6. The screen configuration can be largely composed of a tool menu (A), a recording menu (B), a color menu (C), an authoring library menu (D), and a layer menu (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과는 달리 모바일 상에 지원될 수 있다. 화면 구성은 크게 네비게이터(A), 콘텐츠 영역(B) 및 탭 바(C)로 구성될 수 있다. 첫 메인메뉴와 이미지 선택시 네비게이터 아래 콘텐츠 선택 구간에서 콘텐츠가 선택되면 다음 단계로 이동할 수 있고, 콘텐츠가 선택된 뒤에는 저작이 가능한 저작 구간이 표시되고, 여기에 탭 바가 형성되고, 저작 도구를 선택 및 적용할 수 있도록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on a mobile, unlike the desktop. The screen configuration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navigator A, a content area B, and a tab bar C. FIG. When content is selected in the content selection section under the navigator during the first main menu and image selection,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next step.After the content is selected, the authoring section that can be edited is displayed, a tab bar is formed, and the authoring tool is selected and applied. The screen can be configured to do so.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상단에 가로로 메뉴를 열거하여 선택시에 하단으로 세부 메뉴가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모바일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데스크탑용에 비해 생략된 기능을 한번에 열거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배치 설정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8, the content authoring tool on the desktop may be set to enumerate the menu horizontally at the top to output a detailed menu at the bottom when selected, the content authoring tool on the mobile is omitted compared to the desktop It can be arranged to enumerate selected functions at once.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파일열기 아이콘 이미지를 선택후 열기 및 닫기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모바일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이미지를 선택시 바로 다음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content authoring tool on the desktop may be set to proceed to the next by clicking the open and close button after selecting the file open icon image, the content authoring tool on the mobile immediately upon selecting the image It may be set to proceed to the next.

추가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탑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효과의 적용이 세부 단위(예, 0.1 단위)까지 조절이 가능하도록 화면이 구성될 수 있으며, 모바일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기설정된 템플릿에서 선택된 이후에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content authoring tool on the desktop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pplication of the effect may be adjusted to a detailed unit (eg, 0.1 unit), and the content authoring tool on the mobile may be configured in a preset template. The screen may be configured to be set in detail after being selected.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1 through 12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100)는 데스크탑과 같은 PC(1110) 또는 모바일(1120)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PC(1110) 또는 모바일(1120)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에 의해서 저작된 콘텐츠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100)에 전송되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1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1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networked with a PC 1110 or mobile 1120 device such as a desktop. Content authored by the content authoring tool on the PC 1110 or the mobile 1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1100 and display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1100.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한 실시간 원격 저작 시스템은 OSC(Open Sound Contr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서 하드웨어로의 원격 컨트롤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 사용자는 PC 환경 또는 모바일에서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작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Real-time remote authoring system through such network communication can be built as a remote control system from software to hardware using the OSC (Open Sound Control) protocol. The user may perform the authoring activity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in a PC environment or a mobi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저작 시스템에서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기기 컨트롤로 모바일 또는 PC에서 저작하는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미리 볼 수 있고, 단일 콘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유저가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동시에 저작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real-time remote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iew in advance the content that is authored on the mobile or PC by the device control via software in real time through the cylindrical display, a plurality of users for a single cont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authoring at the same time by acces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원격 저작 시스템은 PC 환경 또는 모바일에서 저작된 콘텐츠를 곧바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동되도록 설정하여, 추가적인 파일 전송 과정없이도 바로 시각화가 가능하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The real-time remote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contents authored in a PC environment or a mobile device can be directly linked with a cylindrical display device, so that visualizatio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without additional file transfer process.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200)는 데스크탑과 같은 PC(1210) 또는 모바일(1220)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PC(1210) 또는 모바일(1220)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에 의해서 저작된 콘텐츠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200)에 전송되어,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2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1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etworked with a PC 1210 or mobile 1220 device such as a desktop. Content authored by the content authoring tool on the PC 1210 or mobile 1220 may be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1200 and display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1200.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실시간 원격 저작 시스템은 서버(12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30)는 PC(1210) 또는 모바일(1220) 상의 콘텐츠 저작 도구에 의해서 저작된 콘텐츠를 저장 또는 가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200)로 전송하여,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2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time remote authoring system may additionally include a server 1230. The server 1230 may serve to store or process the content authored by a content authoring tool on the PC 1210 or the mobile 1220, and transmit the content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1200 to transmit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at 1200.

특히, 서버(123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중 접속 방식의 실시간 편집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단일 콘텐츠를 저작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셜 미디어 저작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서버(123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여, 장소, 시간, 파일 전송 등에 제약받지 않는 저작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1230 may support real-time editing of a multiple access method. It is advantageous for social media authoring by allowing multiple users to author a single content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server 1230 may provide a cloud service to support an authoring process that is not restricted by place, time, file transfer,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VR(Virtual Reality) 및 360도 콘텐츠 생태계 조성 및 장치 보급이 가속화됨에 따라 저작 인프라가 형성되고, 상용화가 진행됨에 따라, 360도 파노라마 기반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된 영상을 스티칭(stitching)하고 편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uthoring infrastructure is formed as the creation of VR (Virtual Reality) and 360-degree content ecosystem is accelerated, and commercialization is progressed, and as the commercialization proceeds, the image taken through a 360-degree panorama-based camera It can provide services that can be stitched and edit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 또는 PC 등 다양한 컨트롤러로 디스플레이를 공유하는 저작 작업으로서 기존의 기술들과 차이점을 가지며, 저작된 결과물에 대한 추가적인 파일 전송 없이 디스플레이에서 바로 시각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작업 흐름을 기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In more detail, 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horing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is shared by various controllers such as a mobile device or a PC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hich has a difference from existing technologies, and is displayed without additional file transfer for the result of the authored work. The ability to visualize directly at is a beneficial effect of expecting an efficient workflow.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들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content authoring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OSC 프로토콜에 의해서 로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의 입출력에 관한 제어 기능 및 동기화 확인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content author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suppor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local data by an OSC protocol constituting a network system.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function and synchronization check function for the input and output of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키보드 입력, 터치스크린 입출력, 자이로(gyro) 센서, 색상 인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interface system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board input, a touch screen input / output, a gyro sensor, and a color recognition fun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등의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로딩 시스템, 저장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database system, and may be applied to a loading system, a storage system, and the like as well as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images, sounds, and video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다양한 엔진 프로그램을 통해서 새로운 저작물을 저작할 수 있다. 먼저, 물리 엔진(Physics Engine) 모듈을 통해서 변형(Transform) 기능, 충돌체(collider) 기능, 3D 공간 시스템, 애니메이션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uthor a new work through various engine programs. First, it can be applied to transform function, collider function, 3D space system, animation system, etc. through a physics engine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음향 엔진(Sound Engine) 모듈을 통해서, 배경 음악 재생 기능, 볼륨 제어, 사운드 효과 기능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background music playing function, a volume control, a sound effect function, and the like through a sound engine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저작 기능은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끊김없는(Seamless) 표현 기능, 곡면 표현, 원형 표현 등 다양한 입체적 디스플레이 기능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three-dimensional display functions such as seamless expression, curved surface representation, and circular representation on a cylindrical display.

상기의 과정을 거쳐서 저작된 콘텐츠 데이터는 입출력 송수신, 데이터 송수신 등의 메인 제어 시스템을 거쳐 시각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시각화 시스템의 예로는, UI, 카메라, 렌더링(Rendering), 효과(Effect), 조명, 음영 등 다양한 시각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Content data cre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may be applied to a visualization system through a main control system such as input / output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nd the like. Examples of visualization systems may include various visualization systems such as a UI, a camera, rendering, effects, lighting, and shadows.

시각화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해상도 설정, 모니터 설정 등의 디스플레이 제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The visualized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output to the user through display control such as resolution setting and monitor setting.

본 발명에서의 콘텐츠 저작 도구는 상기 설명한 기능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tool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functions including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먼저, 하기 표 2와 같이,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저작 도구 기능을 정리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Table 2, it can be summarized the authoring tool functions that can be applied on 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항목Item 분류Classification 기능function 설명Explanation 소형small type 오브젝트 출력
크기··위치··방향 제어
Object output
Size, position, direction control
출력 면적 제어Output area control 오브젝트의 출력 가로 면적 제어(전경, 배경 분리)Output horizontal area control of objects (foreground, background separation)
출력 위치 제어Output position control 출력 위치 좌··우 이동 제어
(실린더 디스플레이에서는 360도 회전으로 표현)
Output position left and right movement control
(360 degree rotation on cylinder display)
리셋reset 설정 된 값 복귀 기능Set value return function 이미지(정보)
왜곡 보정
Image (information)
Distortion correction
활성/비활성Active / inactive 이미지 왜곡 보정 활성··비활성 기능Image distortion correction activated / deactivated
실린더 지름 설정Cylinder diameter setting 실린더의 지름 수치 입력 기능Diameter value input function of cylinder 왜곡 보정Distortion correction 지름에 따른 왜곡 자동화 왜곡 보정 기능Distortion Automated Distortion by Diameter 소형 화면
제약사항 보완
Small screen
Constraints Completion
부분 크기 제어Part size control 메인 이미지 확대··축소 기능Main image zoom in / out function
전체 크기 제어Full size control 전체 이미지 확대··축소··이동 기능Zoom in / out of the whole image 리셋reset 설정 된 값 복귀 기능Set value return function 감성 콘텐츠
저작 기능
(입자 생성)
Emotional content
Authoring function
(Particle generation)
설정(활성/비활성)Settings (active / inactive) 입자 생성 기능 활성/비활성Enable / disable particle generation function
모양 설정Shape settings 입자 시뮬레이션 형태 선택 기능Particle Simulation Shape Selection Function 방사 양Radiation quantity 입자 생성 방사 양 조절 기능Particle generation radiation amount adjustment function 방사 시간Spinning time 입자 지속 시간 설정 기능Particle Duration Setting Function 방사 힘Radiation force 입자 시작점 방사 힘 설정 기능Particle Start Point Radiation Force Setting Function 방사 크기Radiation size 입자 시작점 방사 크기 설정 기능Particle Start Point Radiation Size Setting Function 방사 지연시간Radiation delay 입자 방사 지연 시간 설정 기능Particle emission delay time setting function 방사 반복Radiation repeat 입자 반복 생성 설정 기능Particle Repeat Generation Setting Function 방사 회전Radial rotation 입자 방사 회전 X, Y, Z 축 제어 기능Particle Radiation Rotation X, Y, Z Axis Control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 입자 방사 방향 X, Y, Z 축 제어 기능Particle Radial Direction X, Y, Z Axis Control 방사 가속도Radiation acceleration 입자 방사 X, Y, Z 축 가속도 제어 기능Particle Radiation X, Y, Z Axis Acceleration Control 방사 마찰Radial friction 입자 속도 감속(마찰) 수치 설정 기능Particle speed deceleration (friction) numerical setting function 방사 위치Radiation position 입자 생성 X, Y 위치 이동 기능Particle generation X, Y position movement function 방사 크기 변화Radiation size change 시간 변화에 따른 입자 크기 변화 제어 기능Particle size change control with time 방사 색상 변화Emission color change 시간 변화에 따른 입자 생성 변화 설정Set particle generation change with time 방사 이미지 설정Radiation Image Settings 입자 이미지 선택/설정 기능Particle Image Selection / Setting Function

다음으로, 하기 표 3과 같이,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저작 도구 기능을 정리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Table 3, it is possible to summarize the authoring tool functions that can be applied on a large cylindrical display.

항목Item 분류Classification 기능function 설명Explanation 대형large SeamlessSeamless 활성/비활성Active / inactive Seamless 기능 활성/비활성 기능Seamless / Active function 예시 연출Example production Seamless 기능 적용 확인을 위한 예시 연출 실행/종료 기능Example production execution / shutdown function to confirm Seamless function application 화면 분할
2인이상 사용
Split screen
2 or more people
사용자 설정 입력Enter user setting 1/2/3/4인 설정 입력 기능1/2/3/4 setting input function
화면 분할 기능Split screen function 설정 입력 값에 따라 시각면 자동 분할 기능Visual divis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etting input value 화면 동기화 설정Screen sync settings 화면 이미지 출력 동기화 활성/비활성 기능Screen image output synchronization enable / disable function 화면 동기화 기능Screen sync function 분할된 면 이미지 동기화 또는 비동기화 기능(비활성시 360도 위치에 맞는 이미지 자동 시각화)Split face image synchronization or asynchronous function (automatic visualization of image in 360-degree position when inactive)

다음으로는, 하기 표 4와 같이, 소형 및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상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저작 도구 기능을 정리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Table 4, it is possible to summarize the authoring tool functions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on the small and large cylindrical display.

항목Item 분류Classification 기능function 설명Explanation 소형
대형
공통
small type
large
common
파노라마 이미지Panoramic image 기능 설정Feature setting 파노라마 이미지 시각화 활성/비활성 기능Enable / disable panoramic image visualization
이미지 선택Image selection 파노라마 이미지 선택 기능Panorama image selection function 이미지 위치Image location 파노라마 이미지 X축(가로) 위치 이동 기능Panorama image X-axis (horizontal) position shift function 이미지 크기Image size 파노라마 이미지 X축(가로) 시각 범위 설정 기능Panoramic image X-axis (horizontal) viewing range setting function 애니메이션animation 이미지 이동 애니메이션 활성/비활성 기능Enable / disable image movement animation 속도, 방향Speed, direction 이미지 애니메이션 방향 및 속도 제어 기능Image animation direction and speed control 360도 이미지360 degree image 기능 설정Feature setting 360 이미지 시각화 활성/비활성 기능360 image visualization enabled / disabled 이미지 선택Image selection 360 이미지 선택 기능360 image selection function 이미지 위치Image location 반구형(equirectangular) 360 이미지 시각화 기능Equirectangular 360 image visualization 이미지 크기Image size 360 이미지 X, Y축(평행, 수직) 방향 전환 기능360 image X, Y axis (parallel, vertical) direction change function 애니메이션animation 360 이미지 애니메이션 회전 활성/비활성Enable / disable 360 image animation rotation 속도, 방향Speed, direction 360 이미지 애니메이션 회전 방향 및 속도 제어360 image animation rotation direction and speed control 텍스트text 기능 설정Feature setting 텍스트 입력 기능Text input function 텍스트 크기Text size 텍스트 크기 제어 기능Text size control 텍스트 색상Text color 텍스트 색상 설정 기능Text color setting function 텍스트 위치Text position 텍스트 생성 위치 기능Text generation position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하기 표 5와 같은 UI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ort a UI function as shown in Table 5 below.

항목Item 분류Classification 기능function 설명Explanation UI기능UI function ButtonButton ClickClick 버튼 클릭 기능 동작Button click function behavior HoverHover 마우스 커서를 버튼에 올려 놓을 경우 기능 동작Function behavior when the mouse cursor is over the button ReleaseRelease 마우스 커서가 버튼에서 벗어날 경우 기능 동작Function behavior when mouse cursor leaves the button FadeFade 사라지는 시간 또는 변화되는 양 조절Adjusting Disappearing Time or Changing Amount ColorColor 버튼 색상 변경Change button color TextText 버튼 텍스 삽입 / 변경Insert / change button text ImageImage 버튼 이미지 삽입 / 변경 / 조정Insert / change / adjust button image ScaleScale 버튼 크기 조정Resize button Pop-UpPop-up ShowShow 360 이미지 시각화 활성/비활성 기능360 image visualization enabled / disabled CloseClose 360 이미지 선택 기능360 image selection function Auto CloseAuto Close 반구형(equirectangular) 360 이미지 시각화 기능Equirectangular 360 image visualization TransformTransform 360 이미지 X, Y축(평행, 수직) 방향 전환 기능360 image X, Y axis (parallel, vertical) direction change function Tool-TipTool-tip ActivationActivation 커서 위치 인식을 통한 툴팁 활성 / 비활성Enable / disable tooltips by recognizing cursor position ShowShow 툴팁 시각화 (텍스트 / 이미지)Tooltip visualization (text / image) TextText Text InputText Input UI 상태에서 텍스트 입력 기능Text input function in UI state Text SaveText save UI 상태에서 입력된 텍스트 저장 기능Save text input in UI state Drop & DownDrop & Down ActivationActivation 드롭 다운 메뉴 열기(실행)Open drop down menu (Run) HoverHover 마우스 커서를 메뉴에 올려 놓을 경우 실행Execute when the mouse cursor is over the menu ScrollScroll 스크롤을 이용한 메뉴 접근 기능Menu access function using scroll SelectSelect 드롭 다운 항목 선택 시 기능 실행Run a function when selecting a dropdown item ShowShow 선택된 항목 표시 기능Selected item display function SwitchSwitch On / OffOn / Off 스위치 on / off 선택Switch on / off selection ActivationActivation 스위치 on / off 선택 시 기능 활성화 기능Function activation function when switch on / off is selected AnimationAnimation 스위치 on / off 변화 시각화 애니메이션Switch on / off change visualization animation SliderSlider VisualizationVisualization 슬라이더 / 조절 바 표시Show Slider / Control Bar ActivationActivation 슬라이더 바 조정(클릭시) 활성화 기능Slider bar adjustment (on click) activation RangeRange 슬라이딩 범위를 지정하는 기능Ability to specify sliding range AdjustmentAdjustment 슬라이더 바 이동을 통한 수치 조정 기능Numerical adjustment function by moving the slider bar ShowShow 슬라이딩 된 값 표시 기능Sliding value display function Range SliderRange slider VisualizationVisualization 슬라이더 / 조절 바 2개 표시Show 2 sliders / control bar RangeRange 슬라이딩 범위를 min~max로 지정하는 기능Function to specify sliding range from min to max AdjustmentAdjustment 2개의 슬라이드 바를 조정하는 기능Ability to adjust two slide bars ShowShow 2개의 슬라이딩 값 표시 기능2 sliding value display SpinnerSpinner VisualizationVisualization 업 & 다운 버튼 시각화Up & Down Button Visualization AdjustmentAdjustment 업 & 다운 버튼에 의한 수치 조절 기능Numerical adjustment function by up & down button ShowShow 조절된 수치 표시 기능Adjusted numerical display function Tab MenuTab menu VisualizationVisualization 탭 형태의 multi - Window UI 시각화Tabbed multi-window UI visualization AdjustmentAdjustment 각각의 탭 클릭 시 변화되는 UI 기능UI features that change on each tab click IN / OUTIN / OUT AnimationAnimation 활성화된 UI in & out 애니메이션Active UI in & out animation ViewerViewer VisualizationVisualization 실린더 디스플레이에 보여지는 이미지 확인 창Image confirmation window shown on the cylinder display UI BoxUI Box AnimationAnimation UI Window In / Out 애니메이션UI Window In / Out Animation PalettePalette RGBRGB RGB 색상 선택을 위한 UI 시각화UI visualization for RGB color selection HSVHSV HSV 색상 선택을 위한 UI 시각화UI visualization for HSV color selection AlphaAlpha 알파(농도) 선택 및 활성화 기능Alpha selection and activation PickerPicker 색상 선택 피킹 기능Color picking function ShowShow 선택된 색상 및 수치 값 표시 기능Selected color and numerical value display function Check-BoxCheck-Box ActivationActivation Check 활성 / 비활성Check active / inactive ShowShow Check 항목 표시 시각화Visualize Check Item Display Tree ViewTree view ActivationActivation 하위 구조 확장 / 축소Expand / Collapse Substructure SelectSelect 하위구조 항목 선택/해제 기능Substructure item selection / release function UI 시스템UI system 반응형 UIResponsive UI Auto ScaleAuto scale 화면 크기에 따라 비율적으로 이미지 및 텍스트의 크기가 자동으로 확대 / 축소 되는 기능The ability to automatically enlarge / reduce the size of images and text proportionally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Auto PositionAuto Position 화면 비율에 따라 이미지 및 텍스트의 위치가
비율에 따라 자동 변하는 기능
The image and text position depends on the aspect ratio.
Automatically change with pro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하기 표6과 같은 저작 도구 부가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ort an authoring tool additional function as shown in Table 6 below.

항목Item 분류Classification 기능function 설명Explanation 사운드sound BGMBGM SelectSelect 배경음악 선택 기능Background music selection function PlayPlay 배경음악 재생 기능Background music playback function PausePause 배경음악 일시 정지 기능Background music pause StopStop 배경음악 멈춤 기능Background music stop function VolumeVolume 배경음악 출력 볼륨 조정 기능Background music output volume adjustment EffectEffect ActivationActivation 효과음 발생Sound effect generation VolumeVolume 효과음 출력 볼륨 조정 기능Sound effect volume adjustment 디스플레이display 화면 제어Screen control 해상도 설정Resolution setting 저작도구 화면 해상도 설정 기능Authoring tool screen resolution setting function 창 설정Window settings 저작도구 전체화면/원도우 화면 설정 기능Authoring tool full screen / window screen setting function 크기 설정Size settings 저작도구 화면 크기 조정 기능Authoring tool screen resize function 해상도 설정Resolution setting 실린더 디스플레이 해상도 설정 기능Cylinder display resolution setting function 미리보기
(모바일
제외)
Preview
(mobile
except)
출력 결과
미리보기 출력
Output
Preview output
기능 설정Feature setting 저작 도구 제어에 따른 결과 미리보기 기능 활성/비활성Enabling / disabling the results preview feature under authoring tool control
모든 전환All conversions 평면 출력과 실린더 출력 미리보기 형태 전환 기능Functions to switch between planar output and cylinder output preview 화면 회전Screen rotation 실린더 결과 미리보기 화면 회전 기능Cylinder Result Preview Screen Rotation Function 인터페이스interface 인풋 인터페이스Input interface 키보드keyboard 키보드 인풋 인터페이스 기능Keyboard input interface function 마우스mouse 마우스 인풋 인터페이스 기능Mouse input interface function 터치Touch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 기능Touch based interface features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모바일 자이로 센서 인터페이스 기능Mobile Gyro Sensor Interface Function 가상화 키보드Virtualized keyboard 모바일 가상화 키보드 입력 인터페이스 기능Mobile virtualized keyboard input interface function 언어 인터페이스Language interface 언어language 한글 / 영문 텍스트 지원Korean / English text support 네트워크network 네트워크
연동 기능
network
Interlock function
설정Settings 네트워크 통신 IP 설정 기능Network communication IP setting function
확인Confirm 연결 상태 확인 기능Connection status check function 저장Save 설정 네트워크 정보 저장 기능Setting network information storage function 이미지저장
모바일제외
Image storage
Exclude Mobile
스크린샷screenshot 저장 기능Storage function 저작 이미지 결과물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기능Ability to save authoring image output to hard disk
경로 지정Specify path 이미지 저장 경로 지정 기능Image storage path designation function 프로그램
구동 기본
program
Driving basics
프로그램program Tool ResetTool Reset 저작 프로그램 리셋Authoring program reset
Cylinder ResetCylinder reset 실린더 프로그램 리셋Reset cylinder program Tool QuitTool Quit 저작 프로그램 종료Quit Authoring Program Cylinder QuitCylinder quit 실린더 프로그램 종료End cylinder program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작 도구는 하기 표7과 같은 공간 지각형 콘텐츠 저작 도구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다.The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ort a spatial perceptual content authoring tool function as shown in Table 7 below.

항목Item 분류Classification 기능function 설명Explanation 소형small type 위치관계에 따른
시각 제어
According to positional relationship
Visual control
수평 축 회전Horizontal axis rotation 메인 오브젝트 수직 축 기준 360도 회전 제어 기능Main object 360-degree rotation control about the vertical axis
수직 축 회전Vertical axis rotation 메인 오브젝트 수평 축 기준 180도 이내 회전 제어 기능Rotation control within 180 degrees of the main object horizontal axis 출력면 자동 제어Output side automatic control 메인 오브젝트 시각 방향에 따른 출력 위치 자동 제어Automatic control of output position according to the main object visual direction 출력 결과
이미지제어
Output
Image control
이미지 회전Image rotation 출력 결과물 전체 이미지 회전 (seamless 기능연동)Rotating the entire output image (seamless function linkage)
속도, 방향 제어Speed, direction control 전체 이미지 회전 속도 제어 (역회전 포함)Full image rotation speed control (including reverse rotation) 피사심계도Depth of field 기능 설정Feature setting DOF(피사심계도) 활성/비활성 기능DOF (depth of field) active / inactive function 거리 설정Distance setting 카메라 포커스(초점) 거리 설정 기능Camera focus distance setting function 수치 조정Numerical adjustment 포커스 아웃 정도 수치 설정 제어 기능Focus out precision numerical setting control function 구현 기능Implementation function 초점거리 및 정도 설정에 의한 자동기능 구현 기능Auto function implementation by setting focal length and accuracy 대형large 그림자를 활용한
곡률 표현
Shadowed
Curvature representation
기능 설정Feature setting 그림자 곡률 기능 활성/비활성 기능Shadow Curvature Feature Enable / Disable Feature
수치 설정Numerical setting 실린더 지름 입력 설정 기능Cylinder diameter input setting function 구현 기능Implementation function 실린더 지름에 따른 그림자 왜곡 현상 자동 구현 기능Automatic implementation of shadow distortion according to cylinder diameter 다중 레이어Multiple layers 기능 설정Feature setting 레이어 이미지 회전 활성/비활성 기능Enable / disable layer image rotation 이미지 선택Image selection 레이어별(전경,메인,배경) 이미지 선택 기능Image selection function by layer (foreground, main, background) 속도 설정Speed setting 레이어별(전경,메인,배경) 이미지 회전속도 제어기능Image rotation speed control function for each layer (foreground, main, background) 내부깊이 표현Internal depth representation 기능 설정Feature setting 실린더 내부 공간 이미지 시각화 기능In-cylinder spatial image visualization 기능 설정Feature setting 실린더 외부 공간 이미지 시각화 기능Out-of-cylinder spatial image visualization 기능 구현Feature implementation 실린더 회전에 따른 이미지 방향 전환 기능Image orientation change by cylinder rotation 기능 구현Feature implementation 실린더 지름 설정 값에 따라 오브젝트 Z축(깊이) 이동 제약 구현 기능Object Z axis (depth) movement constraint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cylinder diameter setting valu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포터블 장치, 디지털 장치,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다른 유사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물리적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능이 필요하지 않을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장치의 내부에 수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이동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s shown in FIG. 14,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100 may be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110.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a mobile device, a portable device, a digital device,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computer, or other similar type of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110. The display device 100 uses the flexible display 110 that can be physically deformed, and thus, when the display function is not required, the display device 100 can store the flexible display 110 inside the device to increase the mobility of the display device 100. Has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센서부(120), 제어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선택적(optional) 구성으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flexible display 110, a sensor unit 120, a controller 140,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the user interface 130 as an optional configura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밴딩되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지칭한다. 여기서, 밴딩(bending)은 일반 밴딩, 폴딩, 롤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때, 일반 밴딩(normal bend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일반 밴딩은 구부러진 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폴딩 및 롤링과 차이가 있다. 그리고, 폴딩(fold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롤링(rolling)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말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롤링은 밴딩으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앞면과 뒷면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롤링을 총괄하여 롤링이라 칭한다.The flexible display 110 refers to a display that can be bent by external pressure and its shape can be modified. Here, bending is a concept including general bending, folding, and rolling. In this case, normal bending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10 is bent. This general banding differs from folding and rolling in that the curved surfaces do not contact each other. In addition, folding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10 is folded, and rolling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10 is rolled up. In addition, rolling may be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lexible display 110 contact each other due to bending. In this specification, these various types of rolling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rolling.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예컨대,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 (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기초 소재는, 예를 들면, PI(Polyimide), PC(Polycarboni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implemented as a plastic substrate (eg, a polymer film) that may be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Here, the plastic substrate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rrier coating is treated on both sides of a base film. In this case, the base material may be formed of various resins such as, for example, polyimide (PI), polycarbonateite (PC), 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polyethersulfone (PES), polyethylenenaphthalate (PEN), and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have. In addition, the barrier coating is performed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base material, and an organic film or an inorganic film may be used to maintain flexibility.

다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플라스틱 기판이 아닌 다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유기발광다이오드,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a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other than a plastic substrate. For example,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such as thin glass or metal foil. 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implement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an 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n electrochromic display (EC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AM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 the like. It may be.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밴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예컨대, 고정 가능한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롤링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밴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다양한 각도(예컨대, 원통형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360도)로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a flexible display 110 (eg, a fixed bendable display, a foldable display, a rollable display, etc.) that may be fixed in a bent state. It may be a cylindrical display that can be fixed preferably in a rolled state.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fixed in a bent state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at various angles (eg, 360 degrees in the case of a cylindrical display).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은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은 다양한 각도의 축(예컨대, 수평 축 또는 수직 축)으로 다양한 개수(예컨대, 2개, 3개 등)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밴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에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롤링된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예컨대, 원통형 디스플레이의 형태인 경우)에 분할될 수 있다.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divided. For example,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divided into various numbers (eg, two, three, etc.) in various angle axes (eg, horizontal axis or vertical axis). In one embodiment,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divided when the flexible display 110 is fixed in a bent state. For example,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divided when the flexible display 110 is fixed in a rolled state (eg,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display).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 표면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110 may be a touch sensitive display including a touch sensor.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100 may detect a user's touch inpu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110.

센서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으로서, 예를 들면, 싱글 터치 입력, 더블 터치 입력, 멀티 터치 입력, 다양한 형태의 제스처 입력(예컨대, 터치 제스처 입력, 모션 제스처 입력 등) 또는 다른 유사한 형태의 입력일 수 있다.The sensor unit 120 may detect a user input to the flexible display 110 and transmi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140. In this case, the user input is a control inpu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100. For example, a single touch input, a double touch input, a multi touch input, various types of gesture inputs (for example, a touch gesture input, a motion gesture input, etc.). ) Or other similar forms of input.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2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모션 입력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120 may detect a user input using one or more sensors.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20 may detect a user input using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user's touch input, a motion sensor that senses a motion input, or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120 may detect a user input for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110. In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unit 120 may sense a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130 of the flexible display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의 중단을 손에 쥔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13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interac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user. In an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130 may be locat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flexible display 110. In this way, the user may control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a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130 in a state where the user stops the display apparatus 100.

통신부(15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타 기기와 유무선 통신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소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법을 이용하여,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타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perform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100 with other devices. In the case of the small cylindrical display,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other devices by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 such as Wi-Fi or Bluetooth. In the case of a large cylindrical display, it is possible to send and receive data with other devices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통신부(15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가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서버에 저장되거나 가공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다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allow the display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a server.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receive content stored or processed in the server and transmit the displayed content to the server again.

또한 통신부(15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기는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의 사용자 기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면 본 발명의 사용자 기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넓게 해석해야 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user devices, and the one or more devices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PC,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user device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as that of the PC, the smartphone, and the tablet PC corresponds to the us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as being.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기기(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40)는 상술한 각 구성들을 제어하며, 각 구성들간의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at least one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may control data transmission and / or reception between the components.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일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authoring function on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cylindrical display device in one or more user devices, and transmits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performed authoring function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through a network. And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is an authoring function that is determined based on an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ntent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the cylindrical type in real time. The content may be set to be content output on the display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복수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저작 기능에 대하여 수신된 명령에 의하여 단일 콘텐츠에 관하여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Preferably, performing the authoring function on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may be set to perform the authoring function on the single content by a command received for the authoring function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는,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user device may be at least one of a PC,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또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소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오브젝트 출력, 이미지 왜곡 보정 및 감성 콘텐츠 저작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n object output, image distortion correction, and emotional content authoring fun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small. Can be.

또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대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끊김없이 표현하는 기능 및 화면 분할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unction of seamlessly displaying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a screen division fun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large. It may include one or more.

또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회전, 확대, 축소, 피사심계도(DO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may include a function of sett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movement, rotation, enlargement, reduction, and depth-of-field (DOF) of an object constituting the content.

또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그림자를 이용한 곡률 표현, 다중 레이어에 따른 레이어별 설정, 콘텐츠의 내부 깊이 표현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horing function of the content may include a function of setting at least one of curvature expression using shadows of objects constituting the content, setting per layer according to multiple layers, and internal depth expression function of the content. .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에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일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or more user devices, performs an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performed authoring function through a network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being determined based on an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ntent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The content may be set to be content output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서버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관하여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일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perform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from one or more user devices in the server and the cylinder with respect to the content stored in the server Perform an authoring function on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type display device and transmit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performed authoring function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the authoring function on the content is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t is an authoring function that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to be, and the content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may be set to be the content output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n real tim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flat display content in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경우, 그 캡쳐 기능 또는 하드웨어적 한계에 의해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저작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다만, 3D 스캐너나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 캡쳐 기기 등 특정 타입의 콘텐츠를 입력받는 기기를 통해서 콘텐츠를 생성할 경우, 그에 맞는 타입으로 출력이 가능하다. In the case of general display content, it is common to author as flat display content due to its capture function or hardware limitation. However, if the content is generated through a device that receives a certain type of content, such as a 3D scanner or a 360-degree panoramic image capture device, it can be output in a type suitable for the content.

다만 본 발명에서는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생성된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기능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function of converting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flat display content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10단계에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할 수 있다.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의 일 예로는, 콘텐츠 상의 오브젝트가 있는지 유무를 판별하고, 오브젝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오브젝트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출력 면적 또는 전경과 배경을 분리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in operation 1510, the flat display content may be analyzed. As an example of a method of analyzing flat display cont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object on the conten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exists, information of the object may be analyzed.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output area of the object or the foreground and the background can be separated.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텍스트 오브젝트가 있는지를 판별하여, 텍스트가 어떤 위치에 어떠한 크기로 출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of analyzing the flat display cont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text object, and to determine in which position and in what size the text is output.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콘텐츠의 UI 기능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가상 버튼 여부, 팝업 효과, 툴팁 시각화 등 다양한 UI기능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of analyzing the flat display content, the UI function of the content may b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various UI functions such as virtual buttons, pop-up effects, and tool tip visualizations.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반응형 UI의 경우, 화면 크기 또는 화면 비율에 따라 이미지 및 텍스트가 확대/축소 또는 위치가 변경되는 콘텐츠인지 판단할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of analyzing the flat display content, in the case of the responsive UI,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image and the text are the content that is enlarged or reduc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r the aspect ratio.

이후, 단계 1520에서 콘텐츠 저작 기능으로 콘텐츠 전환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Thereafter, in operation 1520, the content conversion condition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ent authoring function.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으로, 화면 분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형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인 경우, 화면을 2분할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As a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divide the scree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arg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t may be decided to divide the screen into two.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다른 조건으로, 끊김없는(seamless) 콘텐츠로 출력할 수 있는 콘텐츠인지 결정하여, 이를 만족하는 경우, 끊김없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콘텐츠 전환 조건은 앞서 설명한 콘텐츠 저작 기능에서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another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ent can be output as seamless content, and if it is satisfied, it can be set to switch to the seamless cylindrical display content. Since various content conversion condition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described content authoring func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마지막 단계 1530에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작 도구는 다양한 저작 기능을 활용하여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고, 이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출력 기기에서 왜곡없이 출력할 수 있도록 보정할 수 있다. In the last step 1530, the flat display content may be converted in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The content authoring tool utilizes various authoring functions to convert flat display content in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 and correct it so that it can be output without distortion on the cylindrical display output device.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동작 및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The various operations and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bove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f these, including the structures disclosed herein and their structural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The description set forth in this specification presents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on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invention. The specification thus produce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Thu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vari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short,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clude all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or to follow all the order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order shown; Note that it may fall within the scope.

본 발명인 360도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다양한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Authoring tool interface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360-degree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authoring tool interface system.

100: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기기
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20: 센서부
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140: 제어부
150: 통신부
100: cylindrical display device
110: flexible display
120: sensor
130: user interface
140: control unit
150: communication unit

Claims (10)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전환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converting the flat display content to the cylinder content,
Analyzing, at one or more user terminals, planar display content;
Determining a condition for converting the analyzed planar display content in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condition, converting the flat display content in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
Transmitting the converted cylindrical display content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through a network;
Including,
Converting the flat display content in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is an authoring function that is determined based on an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output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n real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전환 기능에 관한 명령에 의하여 단일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witching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performing an authoring function on a single content by an instruction relating to a content switching func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은,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s at least one of a PC,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소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오브젝트 출력, 이미지 왜곡 보정 및 감성 콘텐츠 저작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small,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includes:
And at least one of an object output, image distortion correction, and emotional content author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가 대형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끊김없이 표현하는 기능 및 화면 분할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large, the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is:
And at least one or more of a function of seamlessly displaying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a screen division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회전, 확대, 축소, 피사심계도(DO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nditions for switching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And a function of setting at least one of movement, rotation, enlargement, reduction, and depth of field (DOF) of an object constituting the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하는 조건은,
상기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그림자를 이용한 곡률 표현, 다중 레이어에 따른 레이어별 설정, 콘텐츠의 내부 깊이 표현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nditions for switching to the cylindrical display content,
And a function of setting at least one of a curvature expression using a shadow of an object constituting the content, a layer-by-layer setting according to multiple layers, and an internal depth expression function of the content. How to switch to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된 저작 기능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ransmitting the content generated by the authoring function to a server through a network;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onverting content for a flat panel display into content for cylinders.
서버가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저작도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수행한 저작 기능에 의해서 평면형 디스플레이 콘텐츠에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콘텐츠로 전환된 콘텐츠를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은,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실제 출력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저작 기능이고,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the server to convert the content for flat display to the content for the cylinder,
Receiving, by the server,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performing an authoring function on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cylindrical display device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Providing, by the server, an authoring tool interface for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to perform an authoring function on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Transmitting content converted from flat display content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 by the authoring function performed by the one or more user terminals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uthoring function for the content is an authoring function that is determined based on an actual output size of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the content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s output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in real tim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저작 기능에 관한 명령에 의하여 단일 콘텐츠에 관한 저작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Performing an authoring function for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cylindrical display device,
And performing an authoring function on a single content by an instruction relating to the authoring function received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KR1020180032835A 2018-03-21 2018-03-21 Method for Converting Planed Display Contents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s KR1021537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35A KR102153749B1 (en) 2018-03-21 2018-03-21 Method for Converting Planed Display Contents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35A KR102153749B1 (en) 2018-03-21 2018-03-21 Method for Converting Planed Display Contents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60A true KR20190110860A (en) 2019-10-01
KR102153749B1 KR102153749B1 (en) 2020-09-08

Family

ID=6820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35A KR102153749B1 (en) 2018-03-21 2018-03-21 Method for Converting Planed Display Contents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74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629A (en) * 2014-09-11 2016-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urved Display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20160057122A (en) * 2014-11-13 2016-05-23 박성진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nonlinear interactive contents and story hub system using the same
KR101769704B1 (en) * 2016-02-26 2017-08-21 (주) 올림플래닛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display contents on cylinder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629A (en) * 2014-09-11 2016-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urved Display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20160057122A (en) * 2014-11-13 2016-05-23 박성진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nonlinear interactive contents and story hub system using the same
KR101769704B1 (en) * 2016-02-26 2017-08-21 (주) 올림플래닛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display contents on cylinder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749B1 (en)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647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740755B2 (en)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10776005B2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US10310730B2 (en)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ing of a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90251884A1 (en) Shared content display with concurrent views
US9323417B2 (en) Multi-site screen interactions
US108541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displays in virtual, mixed, and augmented reality
US20230168805A1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JP2005339560A (en) Technique for providing just-in-time user assistance
US20160034051A1 (en) Audio-visual content navigation with movement of computing device
CN103019536A (en) Interactively zooming content during a presentation
US9870139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with remote device thereof
AU2014312481A1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US11783534B2 (en) 3D simulation of a 3D drawing in virtual reality
US20170109020A1 (en) Interactive presentation system
CN105718189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page using the same
EP2965181B1 (en) Enhanced canvas environments
US20230368458A1 (en)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canning and Modeling Environments
CN109074209B (en) Details pane for user interface
US10701431B2 (en) Handheld controller gestures for virtual reality video playback
WO2022218146A1 (en) Devices,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n extended screen distributed user interface in augmented reality
US11775127B1 (en) Emissive surfaces and workspaces method and apparatus
KR102153749B1 (en) Method for Converting Planed Display Contents to Cylindrical Display Contents
US20110175908A1 (en) Image Effect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20210224525A1 (en) Hybrid display system with multiple types of displa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