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479A -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479A
KR20190110479A KR1020190031796A KR20190031796A KR20190110479A KR 20190110479 A KR20190110479 A KR 20190110479A KR 1020190031796 A KR1020190031796 A KR 1020190031796A KR 20190031796 A KR20190031796 A KR 20190031796A KR 20190110479 A KR20190110479 A KR 2019011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
bridge structure
library module
integrated libra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종
한상윤
변남주
권영웅
한휘석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11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구조물의 각 부재에 대한 다양한 타입을 통합한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로 구성되는 교량구조물 BIM객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의 부재별 형상치수를 매개변수화하여 개별 BIM객체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로, 프로파일 기반으로 상기 부재의 세부부재별 매개변수에 대한 치수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세부부재간 또는 상기 각 부재간 호환되는 연관 매개변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및 상기 연관 매개변수에 의해 상기 BIM객체가 연동되어 통합 생성된 교량구조물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3차원 부재간 연계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을 생성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SAFETY DIAGNOSIS AND MAINTENANCE METHOD OF BRIDGE STRUCTURES USING BIM}
본 발명은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라메트릭으로 정의된 각각의 라이브러리를 통합모듈형태로 생성하고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BIM객체를 구축하여 토목 교량구조물의 시공 공정과 유지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토목분야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라이브러리가 활용되고 있는데, 구조해석을 통해 단면 형상, 치수 및 각부재 간 상관관계가 연결되어 하나의 구조물 형태가 형성된다.
이에, 각 부재의 라이브러리 구축시, 연계성을 고려하여 연계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토목설계용 라이브러리는 독립적인 라이브러리 형태로 각 부재 간 연계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각 부재별 연계작업 프로세스가 추가되어 2D설계업무보다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D기술에 의한 프로세스 진행 방식으로 설계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인원이 필요하고, 다자간 설계 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설계의 효율성 및 신뢰성이 낮은 측면이 있다.
한편, 건설분야에서는 협업이 중요하나 체계적인 설계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BIM도입이 요구되는데, 특히, 인프라구축을 위한 토목설계분야에서는 BIM도입이 저조하여, 건설IT 인프라 구축을 위한 BIM 라이브러리모듈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토목분야는 BIM도입을 위한 라이브러리 구축이 아직까지 미비하고, 라이브러리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기본 라이브러리가 개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파라메트릭 기반의 라이브러리 관련 기술개발이 저조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13510호 "교량에 대한 3차원 정보모델을 위한 계층적 스키마 표현 방법" (2016년09월29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03622호 "BIM 통합설계 저작도구 활용 시스템 및 방법" (2016년03월15일 공고)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량구조물에 대한 교량설계, 시공, 안전진단, 유지관리 및 교량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파라메트릭기반 BIM 라이브러리모듈에 의한 교량설계 자동화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에에 따르면, 교량구조물의 각 부재에 대한 다양한 타입을 통합한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로 구성되는 교량구조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의 부재별 형상치수를 매개변수화하여 개별 BIM객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로, 프로파일 기반으로 상기 부재의 세부부재별 매개변수에 대한 치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각 세부부재간 또는 상기 각 부재간 호환되는 연관 매개변수가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매개변수에 의해 상기 BIM객체가 연동되어 통합 생성된 교량구조물 객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3차원 부재간 연계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교대, 교각, 거더 및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로 구분되어 생성되어 저장되고, 상기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다양한 교대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상기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다양한 교각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상기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다양한 거더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다양한 상부슬라브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교대기초콘크리트, 날개벽, 교대본체, 및 교대말뚝 객체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되고, 상기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교각기초, 코핑부, 및 교각말뚝 객체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되고, 상기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거더 객체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상부슬라브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개변수는, 상기 세부부재의 형태정보와, 치수정보인 높이, 길이, 폭 및 두께와, 속성정보와, 상기 세부부재의 배열 및 개수정보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연관 매개변수의 변경에 의해 상기 설정된 연관 매개변수가 변경되어 상기 교량구조물 객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로 상기 매개변수가 추가 설정되어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량구조물 객체가 가상건설기법에 의해 교량형상으로 사전구축되어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파일 기반으로 상기 부재의 세부부재별 매개변수에 대한 치수를 입력시, 치수 입력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파일을 연동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교량구조물 객체에 대한 정보를 공유정보형태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상기 연관 매개변수로 연관되어 통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량구조물 객체의 생성시, 자재 라이브러리모듈로부터 선택된 자재와 연동되어 구조해석을 통해 설계강도 및 설계하중 정보가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대말뚝 및 상기 교각말뚝은 상기 배열정보에 따라 입력된 개수에 따라 배열 설치되어 상기 교량구조물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량구조물 객체의 생성시, 상기 세부부재별 결합에서 발생되는 수치별 간섭 또는 오류가 상기 교량구조물 객체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량구조물 객체의 생성시, 지반조사를 통해 입력된 시공현장의 지반성층상태, 지반강도특성, 지반다짐특성, 및 토질과 암석의 지반데이터의 지반정보에 따라, 해당 지반에 적용되는 상기 교량구조물 객체의 하중 수치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목분야에 적용되는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을 생성하여 설계와 시공과 감리와 유지관리의 건설생애주기전반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부재의 형태정보, 치수정보 및 속성정보를 개별적으로 수정하더라도, 각 부재간 설정된 연계성에 의해, 설계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부재타입을 포괄하는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을 구축하여, 설계변경을 유연하게 수행하고, 교량구조물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 BIM객체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세부부재별 결합에서 발생되는 수치별 간섭 또는 오류를 생성된 교량구조물 객체에 표시하여서, 모델링되어 생성된 BIM객체들 간의 간섭을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확인하여 설계 적정성을 즉시 검토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지반데이터와 교량구조물의 설계강도 및 설계하중의 구조해석을 통해 지반 데이터에 따른 설계하중 수치와, 교량구조물의 설계강도 및 설계하중 정보가 연계되어서, 지반정보에 따른 특성에 따라 설계된 교량구조물의 실제 시공 가능여부에 정보를 제공하여 정확한 시공공정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교량구조물의 실제 시공가능성을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교량구조물 BIM객체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에 의해 구현된 교량구조물 BIM객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 및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의 개별 BIM객체의 구성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의 세부부재인 날개벽 및 교대본체의 매개변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연관 매개변수 설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말뚝개수에 대한 매개변수 설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교각형상 매개변수 입력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에 의해 구현된 교량구조물 객체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교량구조물 BIM객체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에 의해 구현된 교량구조물 BIM객체를 도시한 것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 및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의 개별 BIM객체의 구성을 각각 예시한 것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의 세부부재인 날개벽 및 교대본체의 매개변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각각 예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연관 매개변수 설정을 예시한 것이며, 도 11은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말뚝개수에 대한 매개변수 설정을 예시한 것이며, 도 12는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교각형상 매개변수 입력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며, 도 13은 도 1의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에 의해 구현된 교량구조물 객체를 예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은, 전체적으로, 교량구조물 BIM객체 생성단계(S110)와, 개별 BIM객체 생성단계(S120)와, 매개변수에 대한 치수 입력단계(S130)와, 연관 매개변수 설정단계(S140)와, 교량구조물 객체 생성단계(S150)로 구성되어서, 3차원 부재간 연계성을 확보하도록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을 생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교량구조물 BIM객체 생성단계(S110)에서는, 교량구조물의 각 부재에 대한 다양한 타입을 통합한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로 구성되는 교량구조물 BIM객체가 생성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A),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B),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C) 및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D)로 구분되어 생성되어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A)은 다양한 교대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B)은 다양한 교각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C)은 다양한 거더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D)은 다양한 상부슬라브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후속하여, 개별 BIM객체 생성단계(S120)에서는,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의 부재별 형상치수 또는 부재치수를 매개변수화하여 개별 BIM객체를 구성한다.
여기서, 매개변수는, 세부부재의 형태정보와, 치수정보인 높이(H), 길이(L), 폭(W) 및 두께(T)와, 속성정보와, 세부부재의 배열 및 개수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A)의 부재별 형상치수를 매개변수화하여 개별 BIM객체를 구성하는데, 교대기초L, 교대기초T, 교대폭W, 교좌장치단자, 교좌장치이격, 도출부L, 린T, 린W, 말뚝H(기본값), 우T, 좌T, 전열말뚝간격 및 후열말뚝간격의 형상치수와, 전열말뚝배열 및 후열말뚝개수를 매개변수화하여 교대 BIM객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B)의 부재별 형상치수를 매개변수화하여 개별 BIM객체를 구성하는데, H(기본값), 기초L 및 린T를 매개변수화하여 교대 BIM객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C)의 부재별 형상치수를 매개변수화하여 개별 BIM객체를 구성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D)의 부재별 형상치수를 매개변수화하여 개별 BIM객체를 구성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기반으로 부재의 세부부재별(교대 부재의 우측날개 세부부재) 매개변수에 대한 치수를 입력시, 치수 입력인터페이스와 프로파일을 연동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추후, 설계변경에 따라, 매개변수를 추가 설정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S121).
후속하여, 매개변수에 대한 치수 입력단계(S130)에서는,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로, 프로파일 기반으로 교대, 교각, 거더 및 상부슬라브 부재의 세부부재별 매개변수에 대한 치수가 입력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부재의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A)은 세부부재인 교대기초콘크리트(a1), 날개벽(a2), 교대본체(a3) 및 교대말뚝(a4) 객체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된다.
또한,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B)은 교각기초, 코핑부 및 교각말뚝 객체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되고,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C)은 거더 객체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되고,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D)은 상부슬라브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될 수 있다.
후속하여, 연관 매개변수 설정단계(S140)에서는, 각 세부부재간 또는 각 부재간 호환되는 연관 매개변수가 설정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A)의 교대 부재의 날개벽(a2) 세부부재를 연관 매개변수로 연동 설정하여 연관 매개변수 설정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말뚝 및 교각말뚝의 개수 매개변수(6개 또는 4개)를 지정하고, 배열정보에 따라 입력된 개수에 따라 배열 설치되어 교량구조물 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연관 매개변수, 즉 교각형상 매개변수의 변경에 의해 설정된 연관 매개변수가 변경되어 교량구조물 객체가 생성되고, 생성된 교령구조물 객체가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도 있다.
후속하여, 교량구조물 객체 생성단계(S150)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관 매개변수에 의해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이 연동되어 결합 생성된 교량구조물 객체가 생성된다.
여기서, 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연관 매개변수로 연관되어 통합되어 교량구조물 BIM객체가 구현된다.
한편, 교량구조물 객체가 가상건설기법(virtual construction)에 의해 교량형상으로 사전구축되어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교량구조물 객체에 대한 정보가 공유정보형태로 생성되어 제공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하여서, 설계프로젝트 참여자간 설계정보를 공유하도록 하여 설계 생산성을 개선하고 프로세스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량구조물 객체의 생성시, 자재 라이브러리모듈로부터 선택된 자재와 연동되어 구조해석을 통해 설계강도 및 설계하중 정보가 제공되는 단계(S151)를 더 포함하여서, 설계, 시공, 또는 유지관리에 필요한 추가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교량구조물 객체의 생성시, 세부부재별 결합에서 발생하는 수치별 간섭 또는 오류가 생성된 교량구조물 객체에 표시되는 단계(S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 및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로 입력된 세부부재별 형상치수를 이용하여 교량구조물 객체를 생성하는데, 각 세부부재별 결합에서 발생되는 수치별 간섭 또는 오류를 생성된 교량구조물 객체에 표시하여서, 모델링되어 생성된 BIM객체들 간의 간섭을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확인하여 설계 적정성을 즉시 검토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량구조물 객체의 생성시, 지반조사를 통해 입력된 시공현장의 지반성층상태, 지반강도특성, 지반다짐특성, 및 토질과 암석의 지반데이터의 지반정보에 따라(S153), 해당 지반에 적용되는 교량구조물 객체의 하중 수치가 표시되는 단계(S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지반데이터와 교량구조물의 설계강도 및 설계하중의 구조해석을 통해 지반 데이터에 따른 설계하중 수치와, 교량구조물의 설계강도 및 설계하중 정보가 연계되어서, 지반정보에 따른 특성에 따라 설계된 교량구조물의 실제 시공 가능여부에 정보를 제공하여 정확한 시공공정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교량구조물의 실제 시공가능성을 체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의 구성에 의해서, 토목분야에 적용되는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을 생성하여 설계와 시공과 감리와 유지관리의 건설생애주기전반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할 수 있으며, 각 부재의 형태정보, 치수정보 및 속성정보를 개별적으로 수정하더라도, 각 부재간 설정된 연계성에 의해, 설계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부재타입을 포괄하는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을 구축하여, 설계변경을 유연하게 수행하고, 교량구조물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 BIM객체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은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10 : 교량구조물 BIM객체 생성단계
S120 : 개별 BIM객체 생성단계
S130 : 매개변수에 대한 치수 입력단계
S140 : 연관 매개변수 설정단계
S150 : 교량구조물 객체 생성단계
A :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 B :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
C :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 D :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

Claims (10)

  1. 교량구조물의 각 부재에 대한 다양한 타입을 통합한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로 구성되는 교량구조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의 부재별 형상치수를 매개변수화하여 개별 BIM객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로, 프로파일 기반으로 상기 부재의 세부부재별 매개변수에 대한 치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각 세부부재간 또는 상기 각 부재간 호환되는 연관 매개변수가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매개변수에 의해 상기 BIM객체가 연동되어 통합 생성된 교량구조물 객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3차원 부재간 연계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교대, 교각, 거더 및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로 구분되어 생성되어 저장되고,
    상기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다양한 교대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상기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다양한 교각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상기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다양한 거더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다양한 상부슬라브타입의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교대기초콘크리트, 날개벽, 교대본체, 및 교대말뚝 객체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되고, 상기 교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교각기초, 코핑부, 및 교각말뚝 객체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되고, 상기 거더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거더 객체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슬라브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상부슬라브에 대한 BIM라이브러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변수는, 상기 세부부재의 형태정보와, 치수정보인 높이, 길이, 폭 및 두께와, 속성정보와, 상기 세부부재의 배열 및 개수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연관 매개변수의 변경에 의해 상기 설정된 연관 매개변수가 변경되어 상기 교량구조물 객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통합라이브러리모듈별로 상기 매개변수가 추가 설정되어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기반으로 상기 부재의 세부부재별 매개변수에 대한 치수를 입력시, 치수 입력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파일을 연동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교량구조물 객체에 대한 정보를 공유정보형태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통합라이브러리모듈은 상기 연관 매개변수로 연관되어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말뚝 및 상기 교각말뚝은 상기 배열정보에 따라 입력된 개수에 따라 배열 설치되어 상기 교량구조물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KR1020190031796A 2018-03-20 2019-03-20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KR20190110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31 2018-03-20
KR20180031831 2018-03-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479A true KR20190110479A (ko) 2019-09-30

Family

ID=6809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796A KR20190110479A (ko) 2018-03-20 2019-03-20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047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1550A (zh) * 2019-11-11 2020-02-11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将桥梁结构计算信息转换和优化为bim信息流的方法
CN112556760A (zh) * 2020-12-15 2021-03-26 中铁北京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裂缝监测系统
KR20210074059A (ko) 2019-12-11 2021-06-21 (주)우산씨앤씨 전자 장비 구조물에 대한 상태 모니터링 및 안전사고 발생 위험 경고 방법
KR20210111652A (ko) 2020-03-03 2021-09-13 국중교 전자 장비 구조물에 대한 상태 모니터링 및 안전사고 발생 위험 경고 방법
KR102523858B1 (ko) * 2022-11-07 2023-04-21 (주)베이시스소프트 프리팹 교량의 설계를 위한 3d 교량 설계 시스템
KR102642192B1 (ko) 2023-05-24 2024-02-29 박철수 BIM과 IoT 센서를 이용한 교량의 유지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622B1 (ko) 2014-10-21 2016-03-15 주식회사 위메이드아이앤씨 Bim 통합설계 저작도구 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3510A (ko) 2015-03-19 2016-09-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에 대한 3차원 정보모델을 위한 계층적 스키마 표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622B1 (ko) 2014-10-21 2016-03-15 주식회사 위메이드아이앤씨 Bim 통합설계 저작도구 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3510A (ko) 2015-03-19 2016-09-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량에 대한 3차원 정보모델을 위한 계층적 스키마 표현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계층적 스키마 표현 방법" (2016년09월29일 공개)
방법" (2016년03월15일 공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1550A (zh) * 2019-11-11 2020-02-11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将桥梁结构计算信息转换和优化为bim信息流的方法
KR20210074059A (ko) 2019-12-11 2021-06-21 (주)우산씨앤씨 전자 장비 구조물에 대한 상태 모니터링 및 안전사고 발생 위험 경고 방법
KR20210111652A (ko) 2020-03-03 2021-09-13 국중교 전자 장비 구조물에 대한 상태 모니터링 및 안전사고 발생 위험 경고 방법
CN112556760A (zh) * 2020-12-15 2021-03-26 中铁北京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裂缝监测系统
KR102523858B1 (ko) * 2022-11-07 2023-04-21 (주)베이시스소프트 프리팹 교량의 설계를 위한 3d 교량 설계 시스템
KR102642192B1 (ko) 2023-05-24 2024-02-29 박철수 BIM과 IoT 센서를 이용한 교량의 유지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0479A (ko) Bim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의 안전진단과 유지관리 방법
Mahalingam et al. An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4D CAD on construction projects
CN112052495B (zh) 一种基于bim技术的滑坡治理工程三维设计方法
KR20130016620A (ko) Bim 구현을 위한 3차원 공정관리방법
Song et al. Research on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tunnel engineering based on BIM technology
Barak et al. Unique requirement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cast-in-place reinforced concrete
Bhusar et al. Application of BIM in structural engineering
CN107945055A (zh) 一种基于bim技术的投标管理方法和系统
Manrique et al. Constructing a complex precast tilt-up-panel structure utilizing an optimization model, 3D CAD, and animation
Hunt The benefits of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structural engineering
KR102583020B1 (ko) Bim 기반 드릴-블라스팅 터널 정보 모델링 프레임워크
KR20230013774A (ko) 파라메트릭기반 bim 라이브러리모듈에 의한 교량설계 자동화 구축방법
CN108460838A (zh) 三维可视化技术与数值模拟技术融合的实现方法与系统
CN111143935B (zh) 一种三维混凝土高架桥的自动设计方法
Naik et al. GIS based 4D model development for planning and scheduling of a construction project
KR102112748B1 (ko)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토공량과 골조량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Zaki Parametric modeling of blockwall assemblies for automated generation of shopdrawings and detailed estimates using BIM
CN103489217A (zh) 基于柱系统的建筑物的建模方法
Wang et al. A real-time online structure-safety analysis approach consistent with dynamic construction schedule of underground caverns
CN115293535A (zh) 一种基于bim技术的多桩型施工进度及质量管理方法
CN111046471B (zh) 一种帷幕灌浆三维可视化模型构建方法
CN110838177B (zh) 一种基于Revit平台的地质勘测图和桩基图融合方法
Su et al. Formalizing the four-dimensional (4D) topology as the base for 4D analysis in construction planning
KR100963263B1 (ko) 터널의 복수 굴착면에 대한 3차원 블록 해석 방법
CN108765570A (zh) 一种三维可视化与数值模拟融合的实现方法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