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612A - Apparatus for providing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using contextual reasoning technique based ontology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using contextual reasoning technique based ontology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612A
KR20190109612A KR1020180022885A KR20180022885A KR20190109612A KR 20190109612 A KR20190109612 A KR 20190109612A KR 1020180022885 A KR1020180022885 A KR 1020180022885A KR 20180022885 A KR20180022885 A KR 20180022885A KR 20190109612 A KR20190109612 A KR 20190109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xt information
situation
information
knowledg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4259B1 (en
Inventor
박영택
박현규
전명중
방성혁
배석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2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259B1/en
Publication of KR2019010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6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5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The apparatus comprises: a management unit generating context information by applying information for environment around a user to a preset information conversion rule based on ontology to store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a reasoning unit reasoning a situ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generating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soned situation, and storing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and a control unit using the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soned situation to provide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to the user.

Description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 추론 기법을 이용한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USING CONTEXTUAL REASONING TECHNIQUE BASED ONTOLOGY AND METHOD THEREOF}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sidential space management service using ontology-based situation reasoning method

실시 예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스마트 홈은 IoT를 기반으로 여러 형태의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주거형태를 말한다. 스마트 홈은 전자제품(TV, 에어컨, 냉장고 등)을 비롯해 에너지 소비장치(수도, 전기, 냉난방 등), 보안기기(도어록, 감시카메라 등)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모든 것을 통신망으로 연결해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홈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거나 사용자의 원격 조종에 의해 집안의 모든 장치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Smart home is a new residential type that provides various types of automation services based on IoT. Smart homes can be connected and controlled in a variety of fields other than electronic products (TV, air conditioners, refrigerators, etc.), energy consumption devices (water, electricity, heating and cooling), security devices (door locks, surveillance cameras, etc.). . Accordingly, the smart home provides a service that automatically operates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or controls all devices in the house by remote control of the user.

기존의 스마트 홈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집 안에 위치해 있지 않아도 집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원격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즉, 기존 스마트 홈 서비스는 스마트 홈 컨트롤러가 설치된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집안 환경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가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집 외부에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형태이다. Existing smart home is focused on providing a remote service that can be operated from outside the house even if the user is not located in the house u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at is, the existing smart home service delivers home environment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a server on which a smart home controller is installed, and controls home appliances from outside the home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 형태는 설정된 기능 외의 상황에 대해서는 수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명령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이외의 제어는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상황에 맞춰 제공되는 명령을 선택해야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IoT를 활용한 많은 컨텐츠를 추가하고 있지만, 하드웨어 및 유연한 서비스 개발에 한계가 존재한다.However, this service typ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in a situation other than a set function. For example, the user may only perform a command provid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but other control may not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user must select a command provided according to his / her situation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service. To solve this problem, many contents using IoT are added,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developing hardware and flexible services.

따라서 사용자의 상황 추론하고 추론된 상황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적 스마트 홈 기술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telligent smart home technology that can infer a user's situation and provide a service accor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5284호(2016.10.31.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5284 (published on October 31, 2016).

실시 예는 추론된 거주자의 상황 정보에 맞춤한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지능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거주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Embodiments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for improving a user's living convenience by intelligently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tailored to the inferred occupant's situation information.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xample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bject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ution means or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will also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는 기 설정된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변환 규칙에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적용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부, 상기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며,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하는 추론부, 그리고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context information by applying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a user to a preset ontology-based information conversion rule, and stores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a common knowledge base. An inference unit for inferring a user's situation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stored in a common knowledge base, generating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and storing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and inferring the inferred situa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to the user by using the corresponding context information.

상기 추론부는, 상기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른 추론 규칙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추론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다. The inference unit, upon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selects an inference rul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and infers a situ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erence rule.

상기 추론부는, 상기 추론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응한 사용자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응답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다. When the inference unit receives a user response corresponding to a question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the inference unit may infer the situ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user respons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모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모델을 통해 상기 추론된 상황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select a servi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generate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through the selected service model,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추론된 상황을 통해 분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반영하여 상기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updating the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by reflect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analyzed throug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inferred sit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 설정된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변환 규칙에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적용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는 단계,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generating context information by applying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a user to a predetermined ontology-based information conversion rule, and storing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a common knowledge base. Inferring a user's situation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stored in a common knowledge base, generating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and storing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to the user by using the context information.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는 단계는, 상기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른 추론 규칙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추론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다. In the inferring the user's situation, upon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the inference rul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may be selected, and the user's situation may be inferred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erence rule.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는 단계는, 상기 추론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응한 사용자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응답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다. Inferring the user's situation, upon receiving a user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can infer the user's situation through the user response.

상기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모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모델을 통해 상기 추론된 상황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roviding of the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may include selecting a servi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through the selected service mode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target device. Can be.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추론된 상황을 통해 분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반영하여 상기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updating the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by reflect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analyzed throug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inferred sit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환경 정보와 행동 패턴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정확히 추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아도 상황에 알맞은 서비스를 지능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추론에 이용되는 컨텍스트 정보가 블랙보드를 통해 공유되므로 추가되는 디바이스와 쉽게 연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nfe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behavior patterns, and intelligently provide a service suitable for the situation without the user requesting the service. In addition, since context information used for situation inference is shared through the blackboard, it can be easily linked with additional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S240 단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S250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step S240 of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on S250 of FIG. 2.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and first,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 par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refers to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SIC, and '~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mean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and the like.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the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the 'par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관리부(110), 추론부(120), 제어부(130), 공용지식베이스(140) 및 업데이트부(미도시)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ment unit 110, an inference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common knowledge base 140, and an update unit ( Not shown).

관리부(110)는 기 설정된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변환 규칙에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적용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공용지식베이스(140)에 저장한다. The management unit 110 generates context information by applying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the user to a predetermined ontology-based information conversion rule and stores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140.

추론부(120)는 공용지식베이스(140)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한다. The inference unit 120 infers the user's situation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140.

구체적으로, 추론부(120)는 공용지식베이스(140)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른 추론 규칙을 선택한다. 그리고 추론부(120)는 선택된 추론 규칙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한다.In detail, when the inference unit 120 receives the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140, the inference unit 120 selects an inference rul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The inference unit 120 infers the user's situ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erence rule.

또한, 추론부(120)는 추론 규칙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응한 사용자응답을 수신하면, 사용자응답을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ference unit 120 receives a user response corresponding to a question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the inference unit 120 may infer the user's situation through the user response.

이때, 사용자의 상황이란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에서 발생한 모든 상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식사, 외출, 운동, 수면 등 사용자의 현재 행동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날씨, 교통상황, 행사정보 등 사용자 주변의 환경상황도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situation of the user includes all situations occurring in or around the user. For example, not only the user's current behavior such as eating, going out, exercising, sleeping, but also the environment around the user, such as weather, traffic conditions, and event inform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그리고, 추론부(120)는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공용지식베이스(140)에 저장한다. The inference unit 120 generates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and stores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140.

제어부(130)는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controller 130 provides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to the user by using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제어부(130)는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모델을 선택하고, 선택된 서비스모델을 통해 추론된 상황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대상 기기로 전송한다. The controller 130 selects a servi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generat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through the selected service mode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제어부(130)는 환경정보 및 상기 추론된 상황을 통해 분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반영하여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update the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by reflecting the behavioral pattern of the user analyzed throug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inferred situation.

공용지식베이스(140)는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추론부(120)나 제어부(130)에 동작 수행을 요청하는 블랙보드(blackboard)와 같은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시간정보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 공용지식베이스(140)는 추론부(120)에 시간과 관련한 현재 상황을 추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면 상황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입력되면, 공용지식베이스(140)는 수면 상황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한 주거공간관리서비스를 제어부(130)에 요청할 수 있다. The common knowledge base 140 stores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and acts as a blackboard for requesting the inference unit 120 or the controller 130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ored contex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context information regarding time information is input, the common knowledge base 140 may request the reasoning unit 120 to infer a current situation related to time. As another example, when context information regarding a sleep situation is input, the common knowledge base 140 may request the controller 130 for a housing space management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about the sleep situation.

공용지식베이스(140)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에 관한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된 상황에서 TV 시정에 관한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공용지식베이스(140)는 수면에 관한 컨텍스트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삭제하는 조건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조건의 설정은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common knowledge base 140 may delete pre-stored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t condition. For example, when context information regarding TV visibility is stored in a situation where context information regarding sleep is stored, the common knowledge base 140 may delete context information regarding sleep. In addition, a condition for deleting after a predetermined time may be used, and the setting of the condition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업데이트부(미도시)는 환경정보 및 상기 추론된 상황을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반영하여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업데이트한다. The update unit (not shown) updates the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by reflecting the user's behavior pattern analyzed throug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inferred situa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에 입실하였는데, 실내가 더운 상황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더위를 느끼는 상황을 추론한 후, 이에 대응하여 에어컨을 가동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최초에 제공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는 모든 방에 대한 에어컨을 가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suppose a user enters a home and the room is hot. Then, the controller infers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feels heat, and can provide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in response thereto. At this time, the residential space management service initially provided can operate air conditioners for all rooms.

그러나 사용자 입실 후 2시간 이상 거실에서만 있는 행동 패턴이 분석된 경우, 업데이트부는 해당 행동 패턴을 반영하여 거실에 있는 에이컨만 가동하도록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업데이트한다. However, if the behavior pattern in the living room is analyzed for more than two hours after entering the user, the update unit updates the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to operate only the Aiken in the living room to reflect the behavior pattern.

거주공간관리서비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업데이트되거나 중앙서버에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중앙서버에서 업데이트 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업데이트된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residence space management service may be updated in the residence spac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updated in the central server. When updated in the central server, the residence spac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updated residence space management service and provide it to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리부는 기 설정된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변환 규칙에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적용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한다(S210). As shown in FIG. 2, the management unit generates context information by applying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the user to a predetermined ontology-based information conversion rule (S210).

이때, 환경정보는 사용자 거주공간의 센싱 정보, 기기 동작 정보 및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환경정보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In this cas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sensing information of a user living space, device oper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Let's take a closer look at environmental information below.

우선, 사용자 거주공간의 센싱 정보는 사용자 거주공간 내에 센싱 장비로부터 감지된 정보이다. 예를 들어, 현관문에 설치된 도어개폐센서는 현관문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고 현관문 개폐에 대한 센싱 정보를 관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방에 설치된 움직임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움직임에 대한 센싱 정보를 관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First,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user living space is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sensing equipment in the user living space. For exampl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ensor installed in the front door may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ront door and transmit sensing information on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door to the management unit. As another example, the motion sensor installed in the kitchen may detect the user's movement and transmit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to the management unit.

다음으로, 사용자 거주공간의 기기 동작 정보는 거주공간 내의 기기들에 대한 동작 정보이다. 예를 들어, 보일러는 현재 가동모드(외출모드, 온도동작모드, 시간동작모드 등)에 대한 정보를 관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방의 조명은 온오프 여부나 조명 광도에 대한 정보를, 티비(Television)는 온오프 여부나 현재 채널 정보를 관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Next, devic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living space is operation information on devices in the living space. For example, the boiler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current operation mode (going out mode, temperature operation mode, time operation mode, etc.) to the management unit. As another example, the lighting of the room may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the lighting is on or off, and the television may transmit whether the lighting is on or off or the current channel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unit.

다음으로, 기상 정보는 거주공간 외부의 기상 상황 정보이다. 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는 현재 또는 주간 날씨, 온도, 습도, 미세먼지농도 정보 등을 관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Next, the weather information is weather information outside the living space. For example, the Meteorological Agency server may transmit current or weekly weather, temperature, humidity,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etc. to the management unit.

환경정보는 위에서 예시한 정보 이외에도 교통정보, 사건사고정보 등 사용자가 생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정보는 도로공사정보, 행사정보, 도로정체구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경정보는 사용자의 프로필, 예를 들어, 사용자 성별, 나이, 출퇴근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illustrated abov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affects a user's life, such as traffic information and accident accid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road construction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road congestion sec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user's profile, for example, user gender, age, commute time, and the like.

입력받은 환경정보는 로데이터(raw data)의 형태로 수신되므로, 관리부는 정보 온톨로지(ontology) 기반의 변환 규칙에 딸 입력받은 환경정보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가 이용할 수 있는 컨텍스트 정보로 변환한다.Since the received environment information is received in the form of raw data, the management unit use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d in accordance with an ontology-based conversion rule by the apparatus for providing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 to contextual information.

예를 들어, 시간정보의 경우, 컨텍스트 정보는 정보 변환 규칙에 따라 '년/월/일/시/분/초'의 형태로 '2018/04/08/13/25/22/'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현관문 개폐 정보의 경우, 컨텍스트 정보는 정보 변환 규칙에 따라 '현관문/열림'이나 '현관문/닫힘'과 같은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정보의 경우, 컨텍스트 정보는 정보 변환 규칙에 따라 '동작/감지' 또는 '동작/미감지'와 같은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ime information, context information is generated as '2018/04/08/13/25/22 /' in the form of 'year / month / day / hour / minute / secon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nversion rule. Can be. In the case of the front door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the contex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front door / open' or 'front door / clos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nversion rule. In the case of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the contex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a form such as 'motion / detection' or 'motion / undetec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nversion rule.

그러면, 관리부는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한다(S220). 공용지식베이스는 블랙보드(blackboard)일 수 있다. 공용지식베이스는 이전에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Then, the management unit stores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S220). The common knowledge base may be a blackboard. The common knowledge base may store previously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다음으로, 추론부는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한다(S230). Next, the inference unit infers the situ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S230).

구체적으로,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면, 추론부는 수신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른 추론 규칙을 선택하고, 선택된 추론 규칙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한다. Specifically, upon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the inference unit selects an inference rul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and infers the user's situ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erence rule.

예를 들어,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현관문/열림'이라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면, 추론부는 '외출'에 관한 추론 규칙을 선택한다. 그리고, 추론부는 '외출'에 관한 추론 규칙에 따라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상황 추론에 필요한 컨텍스트 정보인 '현관문/열림'과 '동작/감지'를 수신한다. '현관문/열림'과 '동작/감지' 컨텍스트가 모두 수신된 경우 추론부는 사용자의 상황을 외출로 추론한다. 반면 '동작/감지' 컨텍스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추론부는 추론을 중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upon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of 'door / open'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the reasoning unit selects an inference rule regarding 'going out'. In addition, the inference unit receives 'front door / open' and 'action / detection', context information necessary for situation inference,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regarding 'going out'. If both the 'door / open' and the 'action / detection' context are received, the reasoning unit infers the user's situation by going out. On the other hand, if the 'action / detection' context is not received, the reasoning unit may stop the reasoning.

다른 예로,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외출'이라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면, 추론부는 '운동'에 관한 추론 규칙을 선택한다. 그리고, 추론부는 '운동'에 관한 추론 규칙에 따라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상황 추론에 필요한 컨텍스트 정보인 '시간/주말', '시간/아침'을 수신한다. '외출', '시간/주말', '시간/아침' 컨텍스트가 모두 수신되면, 추론부는 사용자의 상황을 아침 운동 중으로 추론한다. As another example, upon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of 'going out'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the inference unit selects an inference rule regarding 'movement'. In addition, the inference unit receives 'time / weekend' and 'time / morning', contextual information required for situation inference,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regarding 'movement'. When all of the 'going out', 'time / weekend', and 'time / morning' contexts are received, the inference unit infers the user's situation as a morning exercise.

또 다른 예로, '2018/07/14/06/10/22'이라는 시간정보에 관한 컨텍스트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추론부는 시간에 관한 추론 규칙에 따라 계절, 때, 요일, 휴일에 관한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계절에 대한 추론 규칙에 따라 '여름', 때에 대한 추론 규칙에 따라 '아침', 요일에 대한 추론 규칙에 따라 '토', 휴일 여부에 대한 추론 규칙에 따라 '휴일'이라는 컨텍스트 정보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sume that a context regarding time information '2018/07/14/06/10/22' is input. Then, the inference unit generates context information about seasons, times, days of the week, and holidays in accordance with the inference rules regarding time. Specifically, context information such as 'summer'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for the season, 'morning'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for the time, 'saturday'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for the day, and 'holiday'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for the holiday Can be generated.

그리고, 추론부는 추론 규칙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응한 사용자응답을 수신하면, 사용자응답을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론부는 사용자의 외출 상황이 추론된 후, 외출 상황이 장기 외출인지 단기 외출인지를 추론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장기 외출 여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질문에 대응해 사용자응답이 수신되면, 추론부는 사용자응답을 통해 장기 외출인지 단기 외출인지를 추론할 수 있다. If the inference unit receives a user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the inference unit may infer the user's situation through the user response. For example, after the user's outing situation is inferred, the inference unit may provide the user with a question about whether the outing situation is a long outing or a short outing. When the user response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question, the inference unit may infer whether the user is going out for a long time or a short time out through the user response.

한편, 추론부는 동일한 컨텍스트 정보를 통해 서로 다른 추론 규칙을 선택할 수 있다. 추론부는 복수의 추론 규칙이 선택되는 경우 복수의 추론 규칙 각각에 따라 사용자 상황을 추론할 수 있다. 그리고 추론 규칙은 하나 이상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다. The inference unit may select different inference rules through the same context information. The inference unit may infer a user situation accor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ference rules when a plurality of inference rules are selected. The inference rule can infer the situation of the user using one or more context information.

그리고, 추론부는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한다(S24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 중이라는 상황을 추론한 경우, 추론부는 '외출'이라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The inference unit generates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and stores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S240). For example, if the user infers a situation that the user is going out, the inference unit may generate context information of 'going out' and store it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제어부는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S250). The control unit provides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to the user using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S250).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모델을 선택하고, 선택된 서비스모델을 통해 추론된 상황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대상 기기로 전달한다. 이때, 서비스 모델은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selects a servi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generat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through the selected service model, and delivers the control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In this case, the service model may provide the user with li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여기서, 서비스모델은 주거공간 내에 전자제품(TV, 에어컨, 냉장고 등), 에너지 소비장치(수도, 전기, 냉난방 등), 보안기기(도어록, 감시카메라 등)와 같이 사용자의 주거에 필요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Here, the service model controls the devices necessary for the user's residence, such as electronic products (TV, air conditioners, refrigerators, etc.), energy consumption devices (water supply, electricity, heating and cooling), security devices (door locks, surveillance cameras, etc.) in the residential space. May be an algorithm.

예를 들어, S240 단계에서 '외출/약속/6시간'이라는 컨텍스트 정보가 생성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단기 외출 상황에 대응하는 서비스모델을 선택하고, 보일러를 5시간동안 외출모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보일러로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e that context information of 'going out / promising / 6 hours' is generated in step S240. Then, the controller may select a servi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short-term outing situation,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boiler in the outing mode for five hours, and transmit it to the boiler.

한편, 제어부는 사용자의 질문이나 명령에 대응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사용자의 질문이나 명령을 수신하면,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컨텍스트 정보를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질문이나 명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provid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s question or command.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ler receives a user's question or command, the controller receives context information for genera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The controller may provide information on a question or command using the contex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늘 바깥 공기는 어때?'라는 질문을 한 경우, 제어부는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미세먼지농도/나쁨'이라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후, '오늘 미세먼지 농도가 높습니다. 마스크를 꼭 착용하고 외출하세요'라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asks' How is the air outside today? ',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ontext information of' fine dust concentration / bad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and then the' high dust concentration is high today. Please wear a mask and go out.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 추론과 거주공간관리서비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situation inference and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사용자가 외출하는 상황이 추론된 이후, 단기 외출인지 장기 외출인지에 대한 상황을 추론하고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3 illustrates a process of inferring a situation regarding whether a user is going out for a short time or a long outing and providing a service corresponding thereto after the situation where the user goes out is inferred.

우선, 추론부에서 외출 상황이 추론되면, 제어부는 '외출'이라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외출'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서비스모델을 선택한다. 제어부는 서비스모델에 따라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날씨에 관한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오후에 강수확률이 80%입니다. 우산을 챙기십시오.'라는 생활정보를 제공한다.First, when the outing situation is inferred by the inference uni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ontext information of 'outing' and selects a servi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outing' contex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ontext information on the weather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l, and based on this, the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in the afternoon is 80%. Get your umbrella. '

그리고, 추론부는 장기 출장 여부에 대한 상황을 추론하기 위하여 '장기 외출이세요?'라는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아니, 출근이야.'라는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면, 추론부는 단기외출 상황을 추론하고 '외출/단기'라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And, the reasoning unit provides the user with a question, 'Are you going out for a long time?' Upon receiving the user response 'No, I'm going to work', the inference unit infers the short-term outing situation and generates context information of 'going out / short-term'.

그러면, 제어부는 '외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모델과 '외출/단기'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스마트 TV - OFF' '공기청정기 - OFF' '스마트 청소기 - OFF' '보일러/에어컨 - 외출모드' '스마트 플러그 - OFF' '스마트 조명 - OFF' 의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각 기기로 전달한다. The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going out' context information and 'going out / short-term' context information 'smart TV-OFF' 'air cleaner-OFF' 'smart cleaner-OFF' 'boiler / air conditioning-outing mode' 'Smart Plug-OFF' 'Smart Lighting-OFF' generates control commands and sends them to each device.

반면, '응, 출장이야'라는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면, 추론부는 장기외출상황을 추론하고, '외출/장기' 컨텍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추론부는 '몇 일 후에 돌아오세요?'라는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5일 후에 돌아와.'라는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면, 추론부는 5일간 출장이라는 상황을 추론하고, '외출/장기/5일'이라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On the other hand, upon receiving the user response 'Yes, it's a business trip', the inference unit infers the long-term outing situation and creates a 'going out / long-term' context. And the reasoning unit asks the user, 'How many days do you want to come back?' When receiving a user response of 'returning after 5 days', the inference unit infers the situation of a business trip for 5 days and generates context information of 'going out / long term / 5 days'.

그러면, 제어부는 '외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모델과 '외출/장기/5일'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스마트 TV - OFF' '공기청정기 - 4일 후 동작 예약' '스마트 청소기 - 4일 후 동작 예약' '보일러/에어컨 - OFF' '스마트 플러그 - OFF' '스마트 조명 - OFF' 의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각 기기로 전달한다. . The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going out' context information and 'going out / long-term / 5 days' context information' smart TV-OFF '' air purifier-after 4 days operation reservation '' smart cleaner-after 4 days Operation reservation '' Boiler / Air conditioner-OFF '' Smart plug-OFF '' Smart lighting-OFF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each device. .

만약, '장기 외출이세요?'라는 질문에 '응, 5일간 출장이야' 라는 응답을 수신하면, '몇 일 후에 돌아오세요?'라는 질문과 응답 수신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If the answer to the question, 'Are you going out for a long time?', 'Yes, it's a business trip for 5 days', you may skip the question 'How many days are you coming back?'

한편 거주공간관리서비스는 환경정보 및 추론된 상황을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반영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sidential space management service may be updated to reflect the user's behavior pattern analyzed throug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inferred situ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는 하위 컨텍스트 정보와 상위 컨텐스트 정보로 이루어진 계층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ing of lower context information and higher context information.

하위 컨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통해 생성되는 컨텍스트 정보로서, 도 4의 년, 월, 일, 시간, 동작센서의 off, 도어락센서의 off 노드가 이에 해당한다. The lower context information is context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the user, and corresponds to year, month, day, time, off of the motion sensor, and off node of the door lock sensor of FIG. 4.

상위 컨텍스트 정보는 하위 컨텍스트 정보나 하위 컨텍스트 정보와 다른 상위 컨텍스트 정보의 조합을 통해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이다. 도 4의 주중/주말, 계절, 외출/여행, 사용자 profile 정보 노드들이 이에 해당한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위 컨텍스트 정보는 다른 상위 컨텍스트 정보들의 조합을 통해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일 수도 있다. The upper context information is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ferred through lower context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lower context information and other higher context information. Weekdays / weekends, seasons, outings / travels, and user profile information nodes of FIG. 4 correspond to this.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upper context information may be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ferred through a combination of other higher context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환경 정보와 행동 패턴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정확히 추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아도 상황에 알맞은 서비스를 지능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추론에 이용되는 컨텍스트 정보가 블랙보드를 통해 공유되므로 추가되는 디바이스와 쉽게 연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nfe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behavior patterns, and intelligently provide a service suitable for the situation without the user requesting the service. In addition, since context information used for situation inference is shared through the blackboard, it can be easily linked with additional devices.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embodiment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not have been exemplifi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any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hav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
110 : 관리부 120 : 추론부
130 : 제어부 140 : 공용지식베이스
100: residence spac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management unit 120: inference unit
130: control unit 140: common knowledge base

Claims (10)

기 설정된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변환 규칙에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적용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부,
상기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며,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하는 추론부,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
A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context information by applying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the user to a preset ontology-based information conversion rule and storing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a common knowledge base;
An inference unit for inferring a user's situation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generating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and storing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to a user using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부는,
상기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른 추론 규칙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추론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erence unit,
And receiving inference information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selecting an inference rul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and inferring the user's situ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erence r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부는,
상기 추론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응한 사용자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응답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ference unit,
And receiving a user response corresponding to a question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and inferring the user's situation through the user respon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모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모델을 통해 상기 추론된 상황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a servi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context, and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inferred context through the selected service mode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a targe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추론된 상황을 통해 분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반영하여 상기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updating the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by reflect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analyzed throug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inferred situation.
기 설정된 온톨로지 기반의 정보 변환 규칙에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적용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는 단계,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공용지식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Generating context information by applying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the user to a predetermined ontology-based information conversion rule and storing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a common knowledge base;
Inferring a user's situation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Generating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and storing the generated context information in the common knowledge base;
And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to a user using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는 단계는,
상기 공용지식베이스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른 추론 규칙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추론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ferring the situation of the user,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from the common knowledge base, selecting the inference rul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ext information, and inferring the user's situ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erence rule providing a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는 단계는,
상기 추론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응한 사용자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응답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ferring the situation of the user,
And receiving a user response corresponding to a question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inference rule, and inferring the user's situation through the user respons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론된 상황에 대응하는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모델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모델을 통해 상기 추론된 상황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Providing the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And selecting a service model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through the selected service mode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a targe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추론된 상황을 통해 분석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반영하여 상기 거주공간관리서비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거주공간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nd updating the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by reflecting the behavioral pattern of the user analyzed throug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inferred situation.
KR1020180022885A 2018-02-26 2018-02-26 Apparatus for providing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using contextual reasoning technique based ontology and method thereof KR102074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885A KR102074259B1 (en) 2018-02-26 2018-02-26 Apparatus for providing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using contextual reasoning technique based ontology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885A KR102074259B1 (en) 2018-02-26 2018-02-26 Apparatus for providing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using contextual reasoning technique based ontology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612A true KR20190109612A (en) 2019-09-26
KR102074259B1 KR102074259B1 (en) 2020-02-06

Family

ID=6806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885A KR102074259B1 (en) 2018-02-26 2018-02-26 Apparatus for providing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using contextual reasoning technique based ontology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25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367A (en) * 2010-06-25 2012-01-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User-centered context awareness system, context translation method therefor and case-based inference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367A (en) * 2010-06-25 2012-01-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User-centered context awareness system, context translation method therefor and case-based inference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259B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5349B2 (en)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using a relationship graph
US107647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smart environment devices via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US11050577B2 (en) Automatically learning and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Feng et al. Smart home: Cognitive interactive people-centric Internet of Things
US9869484B2 (en) Predictively controlling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11243502B2 (en) Interactive environmental controller
US9933177B2 (en) Enhanced automate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scheduling using a preference function
US10375150B2 (en) Crowd-based device trust establishment in a connected environment
US9772116B2 (en) Enhanced automated control scheduling
US20180227620A1 (en) Camera Data Access based on Subscription Status
US9857238B2 (en) Thermodynamic model generation and implementation using observed HVAC and/or enclosure characteristics
US20160201933A1 (en) Predictively controlling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WO2019133908A1 (en) Intelligent identification and provisioning of devices and services for a smart home environment
US201402970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automated resourc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US20140316582A1 (en) Automate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having Occupant Relative Feedback
WO201520034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smart environment devices via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US10605470B1 (en)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using an optimization function
Hua et al. Copi: enabling probabilistic conflict prediction in smart space through context-awareness
Li et al. Intelligent home heating controller using fuzzy rule interpolation
KR102074259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living space management service using contextual reasoning technique based ontology and method thereof
Hagera et al.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automation with enhanced security
WO2016073312A1 (en) Enhanced automated control scheduling
Niragire et al. Power Optimization Based on Fuzzy Inference System and IoT, Case Study of University of Rwanda,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Agaciro Block Building
CN112540540A (en) Action resource creating method, action resource execut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