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941A - Curved Impression Coping - Google Patents

Curved Impression Co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941A
KR20190108941A KR1020180030636A KR20180030636A KR20190108941A KR 20190108941 A KR20190108941 A KR 20190108941A KR 1020180030636 A KR1020180030636 A KR 1020180030636A KR 20180030636 A KR20180030636 A KR 20180030636A KR 20190108941 A KR20190108941 A KR 2019010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ing
impression
extension
swivel screw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0084B1 (en
Inventor
김주현
김주식
김소연
이설옥
Original Assignee
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현 filed Critical 김주현
Priority to KR102018003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084B1/en
Publication of KR2019010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0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which can easily take impression when two or more implants are crossly implanted, or an implant is implanted in the direction of an adjacent tooth during implant procedures. For an implant assembly comprising a fixture implanted in an alveolar bone and an abutment coupled to the fixture, the abutment comprises: an abutment body which has a screw mounting hole penetrated to an inner center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a lower end of the abutment body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xture; and a screw which is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abutment body to have a lower end thereof coupled to the fixture, and has an upper end thereof protruding a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body. A protection cap or an impression cap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crew protruding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body.

Description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Curved Impression Coping}Curved Impression Coping with Swivel Screws

본 발명은 치주골에 유착된 픽스츄어의 상부로 체결하여 인상채득 과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임플란트가 교차 식립된 경우, 또는 근접해있는 치아의 방향으로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있는 경우에도 인상채득 과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스위블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to fasten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bonded to the periodontal bone to facilitate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more specifically, two or more implants are cross-inser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which facilitates an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even when the implant is 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adjacent tooth.

치아란, 입안의 위턱과 아래턱에 활 모양으로 배열되게 위치하여 입안으로 넣어지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소화를 돕는 단단한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다.Tooth refers to a rigid structure that is arranged in a bow shape on 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mouth to break down the food put into the mouth and help digestion.

이러한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확을 하는 것으로, 치아가 소실되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어 음식물의 소화가 잘 안되므로 음식의 섭취는 물론이고, 이에 따른 영양분의 원활한 섭치가 곤란하게 된다.Tooth digestion is to help digestion by crushing or grinding foods. When teeth are lost, food cannot be chewed properly because food is not digested well. It becomes difficult.

따라서, 치아는 예로부터 신체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Thus, teeth have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body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ding a healthy life.

위와 같은 치아는 아동기를 거쳐 영구치로 교환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파손이 이루어지거나, 손상된 치아는 별도의 치과 치료과정을 거쳐 치아를 복원하거나 손상된 부위를 회복할 수 있는 치료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Since such teeth do not develop new teeth after they have been exchanged for permanent teeth through childhood, damage can occur, or damaged teeth must undergo a course of treatment that can restore or repair the damaged area through a separate dental procedure. .

그러나 치과 치료를 위한 일반적인 종래 방법들은 치과 치료과정에서 인접해 있는 치아나 주위 잇몸 뼈, 뼈 조직 등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환자가 이를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conventional methods for dental treatment have a problem that can cause damage to adjacent teeth, surrounding gum bones, bone tissue, etc. in the course of dental treatment, and even if such a problem occurs, the patient has to take it. .

그리고 치과 치료를 이루기 힘든 경우에는 치아를 이루는 틀니를 사용하나, 이러한 인공치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연 치아에 비하여 치아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이루기 힘들었으며, 입안에 장착된 틀니의 이물감에 따라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When it is difficult to achieve dental treatment, dentures that form teeth are used.However, when such artificial teeth are us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roper function of teeth as compared to natural teeth. There was a problem to feel uncomfortable.

이에 따라,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인공치아의 이식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method of implanting artificial teeth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인공치아 이삭방법이란, 결손이 이루어진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도 자연치아와 동일한 기능과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환자의 치조골에 인공치아를 이식하는 임플란트가 있다.The artificial tooth earing method is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function and shape as a natural tooth without damaging the defective tooth or tissue, and typically, there is an implant that implants an artificial tooth into the alveolar bone of a patient.

이러한 임플란트는 대개, 치조골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의 역할을 하는 픽스츄어(fixture)와, 상기 픽스츄어(fixture)에 결합되어 환자의 잇몸 위로 올라오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상기 어버트먼트(abutment)에 체결되는 인공치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Such implants are usually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act as artificial roots, abutments that are coupled to the fixture and rise above the patient's gums, and the abutment ( It consists of three parts of an artificial tooth that are fastened to an abutment.

상술한 픽스츄어(fixture)는 자연치아의 치근과 같이 결손이 이루어진 치아부위의 치조골 속에 심어져 인공치아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체이며, 상기 어버트먼트(abutment)는 지대치라고도 불리며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fixture)와 인공치아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공치아는 어버트먼트(abutment)에 의해 구강내에 고정되어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above-described fixture is a fixture configured to support artificial teeth by being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defective tooth, such as the root of a natural tooth, and the abutment is also called abutment and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It is configured to connect a fixture and an artificial tooth, and the artificial tooth is fixed in the oral cavity by an abutment and configured to reproduce the same shape and function as a natural tooth.

이러한 임플란트의 치료과정은 인공치아를 고정하고자 하는 잇몸의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일정기간이 지나 치조골과 픽스츄어(fixture)가 단단히 굳어지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상기 픽스츄어(fixture)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체결하여 픽스츄어(fixture)가 식립된 잇몸이 어버트먼트(abutment)의 하단부로 생성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이후에 어버트먼트(abutment)의 스크류를 제거하고, 임프레션 코핑을 체결하여 인상채득(치과 진단 및 치료를 위해 구강 내 조직의 모습을 본뜸)과정을 거치는 것이다.In the treatment of such implants, a fixture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gum to fix the artificial tooth,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are fixed firmly, and the abutment is fixed to the fixture. The abutment is fastened so that the gum with the fixture fixed thereon is created as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and then the abutment screw is removed and the impression coping It will go through the process of impression acquisition (similar to the appearance of tissue in the oral cavity for dental diagnosis and treatment).

그리고 인상채득 과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다시 임프레션 코핑을 제거한 후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연결하는 과정을 거친다.After the acquisition process, the impression coping is removed again and the abutment is connected to the fixture.

그러나 종래의 임프레션 코핑의 체결을 통한 인상채득 과정은 환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서로 교차되게 식립되거나 인접치에 근접하게 교차 위치된 경우에는 일직선으로 길게 뻗어있는 임프레션 코핑의 형상으로 인하여 임프레션 코핑의 체결을 통한 인상채득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고, 인상채득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을 하나하나 체결과 분리를 반복하며 인상채득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through the fastening of the impression coping, when the implants ar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to cross each other or are positioned close to the adjacent teeth, the impression coping is fastened due to the shape of the impression coping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is not easy to achieve,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mpression acquisition has to be repeated by repeatedly tightening and separating impression coping for acquisition.

이에 따라, 인상채득을 이루기 위한 치료과정이 번거로워 환자의 치료시기가 증가 되고, 이에 따른 비용 증대가 발생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인상채득을 이루는 과정에서 임프레션 코핑의 위치변화에 따라 정확한 인상채득과정을 거치기 위한 환자의 내원횟수와 체어타임이 증대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이루기 위한 전체적인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Accordingly, the treatment process to achieve the impression acquisition is cumbersome, the treatment time of the patient is increas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ncreases accordingly, and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impression acquisition, the exact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change of the impression cop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otal cost and time to achieve the implant procedure was wast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atients and the chair time for the pati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121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84121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3-06036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3-0603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2개 이상의 임플란트가 서로 교차 식립된 경우에도 인상채득 과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First, even if two or more implants cross each other,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can be easily achieved.

둘째, 근접해 있는 치아의 방향으로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기존의 임플레션 코핑으로는 체결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이를 대체하여 용이한 인상채득과정을 이루고, 이에 따른 인상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Second, the implant is 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adjacent teeth, even if it is impossible to fasten by the existing implant coping to replace it to achieve an easy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thereby obtaining an impression body.

셋째, 임플란트를 교차 식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임프레션 코핑의 식립 각도 변화에 따른 인상체의 변화를 최소화하며 안정적인 인상채득 과정을 이루고, 이에 따른 인상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ird, even when the implant is intended to cross-insert, the change of the impression body due to the change of the implantation angle of the impression coping is minimized, thereby achieving a stabl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thereby obtaining an impression body.

넷째,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임프레션 코핑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임프레션 코핑의 구조로 인하여 체결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인상채득과정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Fourth, even when trying to fasten the impression coping to the fixtur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 due to the structure of the impression coping, so that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chieved.

다섯째, 인상채득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시술시간 증대를 방지하여 환자의 내원횟수 증가에 따른 시술시간과 이에 따른 비용증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술시간 단축에 따라 의사의 체어타임 증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Fifth, to prevent unnecessary treatment time increase in the acquisition process to prevent the increase of the treatment time and the cost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s to the patient, and to increase the chair time of the doctor by reducing the treatment time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핑몸체와, 상기 코핑몸체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인상채득 과정에서 트레이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환자의 치조골에 유착된 픽스츄어의 상부로 스위블스크류를 통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임프레션 코핑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코핑몸체와 돌출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코핑몸체의 내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ping body, an extension part formed to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ping body, and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extend above the extension part to protrude to the top of the tray in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In the impression coping is fastened through the swivel screw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bonded to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the extension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coping body and the protrusion, bent upwards based on the inner center line of the coping body Can be formed.

이때, 상기 코핑몸체와 연장부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코핑몸체는 상기 스위블스크류가 삽입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의 내측에 절곡 형성되며 측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체결홈과 밀착되도록 연장부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측부에는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안내공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ping body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he coping body includes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swivel screw is inserted, and a bend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hole and a threaded groove formed at the side, the extension portion An insertion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 a protrus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groove, and a coupling end portion formed at a side thereof with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guide hol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Can be configured.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코핑몸체의 내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1~50 이내의 절곡각을 형성하며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may be configured to form a bending angle within 1 to 50 with respect to the inner center line of the coping body.

또한, 상기 연장부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may be formed in a bellows structure.

또한, 상기 체결홈에는 안착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에는 상기 체결단부의 과다한 체결을 방지하는 보호링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hole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seating hol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ring for preventing excessive fastening of the fastening end portion.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는 상기 코핑몸체와 연장부 간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체결확인선이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And the outer side of the extens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form a fastening confirmation line arou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heck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ping body and the extens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2개 이상의 임플란트가 서로 교차 식립된 경우에도 인상채득 과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First, even if two or more implants cross each other,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can be easily achieved.

둘째, 근접해 있는 치아의 방향으로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기존의 임플레션 코핑으로는 체결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이를 대체하여 용이한 인상채득과정을 이루고, 이에 따른 인상체를 얻을 수 있다.Second, the implant is 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adjacent teeth, even if it is impossible to tighten with the existing implant coping,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asy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by replacing it, thereby obtaining an impression body.

셋째, 임플란트를 교차 식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임프레션 코핑의 식립 각도 변화에 따른 인상체의 변화를 최소화하며 안정적인 인상채득 과정을 이루고, 이에 따른 인상체를 얻을 수 있다.Third, even when the implant is intended to cross-insert, the impression body can be obtained by minimizing the change of the impression body due to the change in the implantation angle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thus obtaining the impression body.

넷째,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에 임프레션 코핑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임프레션 코핑의 구조로 인하여 체결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인상채득과정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룰 수 있다.Fourth, even when trying to fasten the impression coping to the fixtur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by solving the difficult problem due to the structure of the impression coping,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easily and conveniently.

다섯째, 인상채득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시술시간 증대를 방지하여 환자의 내원횟수 증가에 따른 시술시간과 이에 따른 비용증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술시간 단축에 따라 의사의 체어타임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Fifth,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treatment time increase during the acquisition process to prevent the increase of the treatment time and the cost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visited, and to increase the chair time of the doctor by reducing the treatment tim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이 픽스츄어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이 치주골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의 안착공과 보호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upling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upling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fixture.
5 is a coupling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the swivel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periodontal bone.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nlarged excerpt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seating hole and the protective ring of the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the present invention swivel screw.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s will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코핑몸체(11)와, 상기 코핑몸체(11)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2)와, 상기 연장부(12)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인상채득 과정에서 트레이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환자의 치조골(1)에 유착된 픽스츄어(2)의 상부로 스위블스크류(3)를 통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임프레션 코핑(10)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는 상기 코핑몸체(11)와 돌출부(13)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코핑몸체(11)의 내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oping body 11, the extension portion 12 is formed to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ping body 11, and is formed to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2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in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In the impression coping 10 which is fastened through the swivel screw 3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2 adhered to the alveolar bone 1 of the patient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rotruding protrusion 13, the extension part ( 12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coping body 11 and the protrusion 13, it is formed to be bent upward based on the inner center line of the coping body (11).

상기 코핑몸체(11)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치조골(1)에 식립된 픽스츄어(2)의 상부로 스위블스크류(3)를 통하여 체결되는 것이다.The coping body 11 is fastened through the swivel screw 3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2 placed in the alveolar bone 1, as shown in Figs.

이때, 상기 코핑몸체(11)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연장부(1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스위블스크류(3)가 삽입되는 결합공(11a)과, 상기 결합공(11a)의 내측에 절곡 형성되며 측부에는 나사산(11b)이 형성된 체결홈(1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oping body 11 i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ortion 12, as shown in Figure 8, the coupling hole (11a) is inserted into the swivel screw (3), and the coupling hole (11a) It is formed to be bent inside the side and includes a fastening groove (11c) is formed on the side thread (11b).

또한, 상기 연장부(12)는 도 1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핑몸체(11)의 상부에 체결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코핑몸체(11)와 연장부(12)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도 8과 같이,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12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ping body 11, as shown in Figures 1 to 8, this configuration is the coping body 11 and the extension ( 12) integrally formed or as shown in Figure 8, it can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form that can be combined.

상기 연장부(12)는 상기 결합공(11a)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공(12a)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11c)과 밀착될 수 있게 연장부(12)의 하단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측부에는 상기 나사산(11b)과 대응되는 나사산(12b)이 형성된 체결단부(1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tension part 12 forms an insertion hole 12a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 11a and protrudes toward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1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groove 11c. The side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end portion 12c having a threaded portion 12b corresponding to the threaded portion 11b.

이러한 구성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코핑몸체(11)와 연결부(12)가 스위블스크류(3)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감싸는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코핑몸체(11)와 연결부(12)의 구성을 통하여 스위블스크류(3)의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8 and 9, the coping body 1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to form a form that wraps so that the swivel screw (3) is located inside,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oping body 1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to make the coupling of the swivel screw 3 more easily.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코핑몸체(11)와 연장부(12)는 프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연장부(12)는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코핑몸체(11)의 내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1~50도 이내의 절곡각을 형성하며 연결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ping body 11 and the extension portion 12 can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 extension portion 12 in Figures 1 to 8 As such,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form a bending angle within 1 ~ 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ner center line of the coping body (11).

이는 즉,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2)의 상부로 스위블스크류(3)를 통하여 코핑몸체(11)와 연장부(12)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장부(12)의 절곡된 형상을 통하여 2개 이상의 임플란트가 서로 교차 식립되는 경우에도 상호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인상채득 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ping body 11 and the extension part 12 can be easily fastened through the swivel screw 3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2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bending of the extension part 12 is performed. Through this shape, even when two or more implants cross each other, they ar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and a stabl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돌출부(13)는 상기 삽입공(12a)과 대응되는 안내공(13a)을 형성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3 is formed by forming a guide hole (13a)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2a).

상기 돌출부(13)는 본 발명에서 상기 연장부(12)의 상부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게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연장부(12)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protrusion 13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integrally formed as an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1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part 13 may be detachably configured with the extension part 12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코핑몸체(11), 연장부(12), 돌출부(13)의 결합이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코핑몸체(11), 연장부(12), 돌출부(13)의 내측으로 스위블스크류(3)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스위블스크류(3)와 픽스츄어(2)의 결합을 통하여 코핑몸체(11), 연장부(12), 돌출부(13)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is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ping body 11, the extension portion 12, the projection 13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coping body 11, the extension portion 12, the protrusion 13 The coupling of the swivel screw (3) and the fixture (2) to facilitate the fastening of the swivel screw (3) to the inner side of the coping body (11), extension (12), protrusions (13) Is to achieve a tightly coupled state.

그리고 상기 연장부(1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바라 구조로 형성된다.The extension part 12 is formed in a bellows structur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치조골(1) 식립된 픽스츄어(2)의 상부로 본 발명에 따른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을 체결하여 인상채득 과정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환자의 잇몸이나 치아 상태에 따라 연장부(12)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인상채득 과정을 이루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식립된 픽스츄어(2)와 임프레션 코핑(10)의 체결 각도에 의하여 임프레션 코핑(10)의 체결이 어렵거나, 체결된 임프레션 코핑(10)이 부딪히거나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인상채득 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5 and 7, the user intends to achieve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by tightening the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the swivel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2) implanted alveolar bone (1) In this case, the angle of the extension part 12 is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gum or tooth condition, so that the angle of the fixation 2 and the impression coping 10 placed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may be adjusted to achieve the impression taking process. By this, the fastening of the impression coping 10 is difficult, or to prevent the fastened impression coping (10) to hit or close to achieve a stabl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또한, 상기 코핑몸체(11)를 이루는 체결홈(11c)에는 안착공(11c-1)을 더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안착공(11c-1)에는 상기 체결단부(12c)의 과다한 체결을 방지하는 보호링(14)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 (11c) constituting the coping body 11 is formed by forming a mounting hole (11c-1), and prevents excessive fastening of the fastening end portion (12c) in the mounting hole (11c-1). The protection ring 14 is further provided is configured.

이러한 구성은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핑몸체(11)와 연장부(12)를 결합하는 경우에도 코핑몸체(11)와 연장부(12)가 체결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착공(11c-1)에 위치된 보호링(14)을 통하여 코핑몸체(11)의 체결홈(11c)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장부(12)의 체결단부(12c)가 과다하게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Such a configuration is to prevent the coping body 11 and the extension part 12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even when the coping body 11 and the extension part 12 are coupled as shown in FIG. 9. The excessively fastening end portion 12c of the extension portion 1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1c of the coping body 11 through the protection ring 14 located in the seating hole (11c-1) is excessively fastened To prevent that.

더하여, 상기 연장부(12)의 외측에는 상기 코핑몸체(11)와 연장부(12) 간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체결확인선(12d)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12 is formed by forming a fastening confirmation line 12d arou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nfirm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ping body 11 and the extension portion 12.

상기 체결확인선(12d)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연장부(12)의 외측에 형성하여 코핑몸체(11)와 연장부(12)의 결합이 지정된 위치까지 체결되었는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코핑몸체(11)와 연장부(12)의 과다한 체결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fastening confirmation line 12d is formed outside the extension part 12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coupling of the coping body 11 and the extension part 12 is faste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to be formed, an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o prevent excessive fastening of the coping body 11 and the extension portion 12 is to achieve a stable coupl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인상채득(치과 진단 및 치료를 위해 구강 내 조직의 모습을 본뜸)과정을 이루는 경우에도 환자의 치아상태 또는 임플란트의 식립 방향으로 인하여 임프레션 코핑의 체결이 어려운 경우에도 환자의 구강내에 위치된 픽스츄어의 상부로 용이하게 체결하여 설치된 임프레션 코핑의 부딪힘 없이 안정적인 인상채득 과정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tient even when the impression coping is difficult due to the dental condition of the patient or the implantation direction of the patient even when the impression acquisition (similar to the appearance of tissue in the oral cavity for dental diagnosis and treatment) Easily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located in the mouth of the has the advantage of achieving a stabl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without hitting the installed installation of the impression coping.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1: 치조골 2: 픽스츄어
3: 스위블스크류 10: 임프레션 코핑
11: 코핑몸체 11a: 결합공
11b,12b: 나사산 11c: 체결홈
11c-1: 안착공 12: 연장부
12a: 삽입공 12c: 체결단부
12d: 체결확인선 13: 돌출부
13a: 안내공 14: 보호링
1: alveolar bone 2: fixture
3: swivel screw 10: impression coping
11: coping body 11a: coupling hole
11b, 12b: Thread 11c: Tightening groove
11c-1: seating hole 12: extension part
12a: insertion hole 12c: fastening end
12d: Tightening line 13: protrusion
13a: Pilot 14: Protective Ring

Claims (6)

코핑몸체(11)와, 상기 코핑몸체(11)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2)와, 상기 연장부(12)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인상채득 과정에서 트레이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환자의 치조골(1)에 유착된 픽스츄어(2)의 상부로 스위블스크류(3)를 통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임프레션 코핑(10)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는 상기 코핑몸체(11)와 돌출부(13)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코핑몸체(11)의 내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Coping body 11, an extension portion 12 is formed to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ping body 11, and a protrusion formed to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2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during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 In the impression coping 10 which is fastened through the swivel screw 3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2 adhered to the alveolar bone 1 of the patient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13),
The extension part 12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coping body 11 and the protrusion 13, the swivel screw,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bent upwards based on the inner center line of the coping body (11) Curved Impression Cop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핑몸체(11)와 연장부(12)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코핑몸체(11)는 상기 스위블스크류(3)가 삽입되는 결합공(11a)과, 상기 결합공(11a)의 내측에 절곡 형성되며 측부에는 나사산(11b)이 형성된 체결홈(11c)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12)는 상기 결합공(11a)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공(12a)과, 상기 체결홈(11c)과 밀착되도록 연장부(12)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측부에는 상기 나사산(11b)과 대응되는 나사산(12b)이 형성된 체결단부(12c)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3)는 상기 삽입공(12a)과 대응되는 안내공(13a)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The method of claim 1,
The coping body 11 and the extension 12 is detachably coupled,
The coping body 11 includes a coupling hole 11a into which the swivel screw 3 is inserted, and a coupling groove 11c formed at a side of the coupling hole 11a and having a thread 11b formed at a side thereof. and,
The extension part 12 is formed to protrude at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1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ion hole 12a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 (11a) and the fastening groove (11c) and the side thread ( A fastening end 12c having a thread 12b corresponding to 11b),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13 is formed by forming a guide hole (13a)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2a).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는
상기 코핑몸체(11)의 내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1~50 이내의 절곡각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xtension part 12
Curved impression coping with a swivel screw,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form a bending angle within 1 ~ 50 based on the inner center line of the coping body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urved impression coping with a swivel screw,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portion 12 is formed of a bellows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11c)에는 안착공(11c-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11c-1)에는 상기 체결단부(12c)의 과다한 체결을 방지하는 보호링(1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The method of claim 2,
A seating hole 11c-1 is further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11c,
Curved impression coping with a swivel screw,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hole (11c-1)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ective ring (14) to prevent excessive fastening of the fastening end (12c).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의 외측에는
상기 코핑몸체(11)와 연장부(12) 간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체결확인선(12d)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The method of claim 2,
On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12
Curved impression coping using a swivel screw,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confirmation line (12d) is further formed arou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ping body 11 and the extension portion 12 can be confirmed.
KR1020180030636A 2018-03-16 2018-03-16 Curved Impression Coping KR1020800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36A KR102080084B1 (en) 2018-03-16 2018-03-16 Curved Impression Co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36A KR102080084B1 (en) 2018-03-16 2018-03-16 Curved Impression Cop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41A true KR20190108941A (en) 2019-09-25
KR102080084B1 KR102080084B1 (en) 2020-02-21

Family

ID=6806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636A KR102080084B1 (en) 2018-03-16 2018-03-16 Curved Impression Co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08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34B1 (en) 2001-10-11 2004-04-29 주식회사 덴티움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operation
KR100841218B1 (en) * 2007-03-30 2008-06-26 이상직 Dental implant apparatus
KR101056357B1 (en) 2009-07-08 2011-08-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s
US20120322030A1 (en) * 2010-02-18 2012-12-20 Alpha Bio Tec Ltd. Modular abutment system for tilted dental implants
JP2013540001A (en) * 2010-09-24 2013-10-31 ジンマー デンタ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Dental implant and abutment system
KR20150033995A (en) * 2013-09-25 2015-04-02 김용상 Dental Impla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34B1 (en) 2001-10-11 2004-04-29 주식회사 덴티움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operation
KR100841218B1 (en) * 2007-03-30 2008-06-26 이상직 Dental implant apparatus
KR101056357B1 (en) 2009-07-08 2011-08-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s
US20120322030A1 (en) * 2010-02-18 2012-12-20 Alpha Bio Tec Ltd. Modular abutment system for tilted dental implants
JP2013540001A (en) * 2010-09-24 2013-10-31 ジンマー デンタ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Dental implant and abutment system
KR20150033995A (en) * 2013-09-25 2015-04-02 김용상 Dental Impla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084B1 (en)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395B1 (en) Structure of dental implant
KR102278335B1 (en) Abutment system and dental methods
KR101539089B1 (en)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3d printer
KR101311250B1 (en) Attachment for denture
US20180353270A1 (en)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S2934791T3 (en) Coupling set, in particular for dental implants
JP2006512179A (en) Improved components for removable and adjustable permanent dentures and bridges
KR20130097036A (en) Fixture for implantation having elastic adaptor for combining abutment
KR20120027604A (en) Temporary clamping member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implant theraphy
KR20120020405A (en) Hook type attachment for false teeth
KR102068525B1 (e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102369161B1 (en) Abutments to prevent rotation of implant crowns
KR100807150B1 (en) Implant for overdenture
CN211023229U (en) Durable complete porcelain artificial tooth
KR102280897B1 (e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101476698B1 (en) The prosthetic components and thereof connection method
US20190321141A1 (en) Dental technology kit
KR20090016560A (en) Method and system for single tooth replacement in a growing individual
US20180280121A1 (e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US8323022B2 (en) Instant dental bridge
KR20150115057A (en) Fixture for implant
KR101524192B1 (en) Cervical Shap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102080084B1 (en) Curved Impression Coping
ES2216935T3 (en) DEVICE FOR DENTAL IMPLEMENTATION.
KR200392276Y1 (en)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