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856A -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having chair unit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having chai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856A
KR20190108856A KR1020180030457A KR20180030457A KR20190108856A KR 20190108856 A KR20190108856 A KR 20190108856A KR 1020180030457 A KR1020180030457 A KR 1020180030457A KR 20180030457 A KR20180030457 A KR 20180030457A KR 20190108856 A KR20190108856 A KR 20190108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seat frame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규태
남보현
손정규
유선일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856A/en
Publication of KR2019010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8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having a chai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provides a chair unit having: a seat on which a user is seated; a seat frame which supports the seat; and a support link which supports the seat frame to be able to rotat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user convenience since a user can be seated on the seat of the chair unit to wear a muscle assist device. Moreover, in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having the chai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frame of the chair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wherein a reinforcing frame for strength reinforcement is inserted between the frames. The seat frame is able to support the weight of a muscle assist device and a user by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link supported by the link frame and a link bracket.

Description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HAVING CHAIR UNIT}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with chair unit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HAVING CHAIR UNI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석 시 사용자와 근력 보조 장치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having a chair unit capable of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e strength assistance device when the user is seated.

최근 로봇 관련 기술의 폭넓은 적용에 따라, 장애나 노화 등으로 근력이 저하되어 보행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보행보조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ccording to the wide application of robot-related technology, a walking aid device for people who have difficulty walking due to muscle strength is lowered due to disability or aging.

일반적으로 보행보조장치는 사용자가 탑승한 후 전동식으로 구동되는 탑승식 장치와, 사용자가 착용하고 보행 등의 재활 훈련을 하는 착용식 장치가 있다.In general, the walking aid device is a riding device that is electrically driven after the user boarded, and a wearable device that the user wears and rehabilitation training such as walking.

착용식(wearable type) 장치는 다관절의 골격 구조를 갖는 일종의 로봇으로,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근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착용식 장치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근력을 보조한다. 착용식 로봇의 일 예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33284호(등록일 2014.08.18)에 개시되어 있다.A wearable type device is a kind of robot having a multi-joint skeletal structure, and serves to assist muscle strength when worn by a user. The wearable device assists muscle strength by providing a user with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An example of a wearable robo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33284 (Registration Date 2014.08.18).

전술한 선행특허에 개시된 보행보조기는 전후 이동 가능한 베이스 유닛, 베이스 유닛에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프레임 유닛, 프레임 유닛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다리가 안착되는 보행보조유닛으로 구성된다.The walking aid disclosed in the above-described patent includes a base unit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 frame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walking aid unit connected to the frame unit to which the user's legs are seated.

이러한 보행보조기는 앉아서 착용하기 어려운 구조이며, 각종 구성품으로 인해 수kg 내지 수십 kg의 무게를 갖는다. 따라서 여러 사람의 도움이 있어야 로봇을 착용할 수 있다.  Such walking aids are difficult to sit and wear, and have a weight of several kilograms to several tens of kilograms due to various components. Therefore, the robot can be worn only with the help of several people.

또한, 보행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 서서 착용하기가 어려우므로 보행보조기의 착용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uncomfortable to walk, it is difficult to wear stan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aring of the walking aid itself is difficul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행이 불편하거나 하지 근력이 약화된 사용자를 위해 탑승용 의자가 구비된 보행보조 로봇이 사용되기도 한다. 탑승용 의자가 구비된 보행보조 로봇의 일 예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17292호(등록일 2015.04.27)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walking aid robot equipped with a riding chair may be used for a user who is uncomfortable to walk or has weakened leg muscle strength. An example of a walking aid robot equipped with a riding chai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17292 (Registration Date 2015.04.27).

도 1은 종래의 탑승용 의자가 구비된 보행보조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탑승용 의자가 구비된 보행보조 로봇의 탑승용 의자를 분리한 사시도이다(도 1 및 도 2에 사용된 도번은 도 1 및 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적용되는 도번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aid robot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riding chai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of the riding chair of the walking aid robot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riding chair (Fig. 1 and 2 is a diagram applied only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2).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행보조 로봇은 프레임(100) 하부에 전륜(110) 및 후륜(120)이 구비되며, 상부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200)가 구비된다. 손잡이의 후방측으로 사용자가 탑승하는 의자(800)와, 의자(800)를 지지하는 지지대(810)가 설치된다. 의자(800)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conventional walking assistance robot includes a front wheel 110 and a rear wheel 120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0, and a handle 200 that a user can grasp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 A chair 800 on which the user boards and a support 810 for supporting the chair 800 are installed to the rear side of the handle. Chair 800 is installed detachably.

사용자가 탑승해 사용할 때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의자를 부착해 사용한다.When the user boards and uses, the chair is attached and used as shown in FIG. 1.

사용자가 보행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의자를 분리한 후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보행보조 로봇을 지지해 보행한다. 그러나 의자의 탈착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의자의 사용 시 과정이 복잡하고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When the user uses for walking, after separating the chair as shown in Figure 2, the user grabs the handle and supports the walking aid robot to walk. However, since the detachment of the chair is made manu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time taken for using the chair is long.

그런데 전술한 보행보조 로봇은 보행이 어려운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보행 시 지지하는 역할로는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근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역할은 할 수 없다. 따라서 근력 보조를 위해서는 별도의 근력 보조 장치가 필요하나, 보행보조 로봇의 구조가 복잡해 근력 보조 장치를 착용할 때 착석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the above-mentioned walking assistance robot can be used as a role that supports a user walking or walking difficult. However, it cannot play a role in supporting the strength of the user who lacks strength. Therefore, a separate strength assistance device is required for strength assistanc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walking aid robot cannot be used for sitting when the muscle assistance apparatus is worn.

즉, 전술한 보행 보조 장치들은 구조가 복잡하거나 착석할 수 있는 부분이 없어 근력 보조를 위한 장치를 사용자가 앉아서 착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walking aid devic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not sit and wear the device for strength assistance because the structure is not complicated or can be seated.

따라서 전술한 보행 보조 장치들은 근력 보조를 위한 장치를 착용할 때 별도의 의자가 필요한 구조이므로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 above-mentioned walking assistance devic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convenience is inferior because a separate chair is required when wearing a device for muscle strength assistance.

또한, 전술한 보행 보조 장치들은 몇 개의 사각 프레임 만으로 의자를 지지하므로, 사용자와 근력 보조를 위한 장치의 무게를 지지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walking aid devices support the chair with only a few rectangular frame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device for assisting the user and muscle strength.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석해서 근력 보조 장치를 착용할 수 있는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having a chair unit in which a user can be seated and wear a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근력 보조 장치를 사용할 때 별도의 의자를 구비하지 않도록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having a chair unit that can be seated by a user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a separate chair when using the strength aid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착석 시 사용자와 근력 보조 장치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having a chair unit capable of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e strength assistance device when the user is seat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와,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링크를 구비한 체어 유닛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체어 유닛의 시트에 착석해 근력 보조 장치를 착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having a chai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r unit having a seat on which a user is seated, a seat frame for supporting the seat, and a support link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eat frame. Accordingly, the user may be seated on the seat of the chair unit to wear the muscle assist device,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는 복수의 바퀴가 구비된 로어 서포팅 유닛과, 근력 보조 장치가 거치되는 어퍼 서포팅 유닛과, 이들을 연결하는 드라이빙 유닛이 구비된다. 체어 유닛의 시트 프레임이 드라이빙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포트 링크는 시트 프레임 및 드라이빙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근력 보조 장치를 사용할 때 별도의 의자를 구비하지 않고 근력 보조 장치를 거치하는 복합 지지 장치의 체어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having a chai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 unit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an upper support unit on which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is mounted, and a driving unit connecting them. The seat frame of the chair un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unit, and the support lin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frame and the driving unit. Therefore, when using the strength assist device, it is possible to use a chair unit of the composite support device for mounting the muscle assist device without having a separate ch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는 체어 유닛의 시트 프레임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프레임 사이에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프레임이 삽입된다. 시트 프레임은 링크 브라켓 및 링크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서포트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 및 근력 보조 장치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Further, i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having the chai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frame of the chair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a reinforcement frame for strength reinforcement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rames. The seat fram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supported by the link bracket and the link frame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e muscle assist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해서 근력 보조 장치를 착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having a chai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ecause the user can be seated and wear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는 선택적으로 사용 또는 비사용되는 체어 유닛을 구비하므로, 별도의 의자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사용자 편의성 및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having a chai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ir unit that is selectively used or not use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hair, thereby reducing costs and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space utilization.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는 시트 프레임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강도 보강 및 무게 분산, 지지를 위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착석 시 사용자의 무게뿐만 아니라 근력 보조 장치의 무게까지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having a chai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t fr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has a configuration for strength reinforcement, weight distribution, and support. Therefore, when the user is sea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ort not only the weight of the user but also the weight of the strength assist device.

도 1은 도 1은 종래의 탑승용 의자가 구비된 보행보조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탑승용 의자가 구비된 보행보조 로봇의 탑승용 의자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에 결합되는 근력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거치 이동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보행 보조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체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변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근력 보조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근력 보조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aid robot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riding chai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of the riding chair of the walking aid robot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riding chai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coupled to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ounting movement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ir using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alking assistance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ir unit of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when using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ide view when using the chair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bottom view of the chair when using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view showing a chair conversion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when using the chair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when using the chair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최근 장애나 노화 등으로 근력이 저하되어 보행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타입(wearable type)의 근력 보조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된다.Recently, wearable typ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s that are worn on the body for people who have difficulty walking due to a decrease in muscle strength due to disability or aging are developed and used.

이하에서는 근력 보조 장치는 하체 근력이 저하된 사용자를 위한 하체 착용식 근력 보조 장치를 예로 하여 그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이하에서 사용자는 근력 보조 장치를 착용하는 사람, 보조자는 근력 보조 장치의 착용을 돕거나 근력 보조 장치를 이송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Hereinafter, the strength assist device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lower body worn type muscle assist device for a user whose lower body strength has been reduced (hereinafter, the user is a person who wears the strength assist device and the assistant is a strength assist device). Defined as the person who assists in the wearing of or transports strength aids).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에 결합되는 근력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coupled to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력 보조 장치(1)는 사용자가 하체에 착용하고 보행 등의 재활 훈련을 할 때 사용자의 하체 근력을 보조한다. 근력 보조 장치(1)는 크게 기능 제어를 위한 메인 컨트롤 유닛(2)과 서브 컨트롤 유닛(3), 사용자의 골반과 허리측에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 유닛(4)과 서브 프레임 유닛(5), 사용자의 다리 쪽에 장착되는 레그 유닛(6)과, 신발을 고정하기 위한 신발 고정 유닛(7)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 assists the user's lower body strength when the user wears the lower body and performs rehabilitation training such as walking.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is mainly composed of a main control unit 2 and a sub control unit 3 for function control, a main frame unit 4 and a sub frame unit 5 mounted on the user's pelvis and waist side, and a user. Leg unit 6 mounted on the leg side of the, and a shoe fixing unit 7 for fixing the shoe.

메인 컨트롤 유닛(2)은 메인 프레임 유닛(4) 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허리 쪽에 위치한다. 메인 컨트롤 유닛(2)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메인 프레임 유닛(4)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2)은 근력 보조 장치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팩을 구비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 유닛(2)에는 서브 프레임 유닛(5)이 결합된다.The main control unit 2 is provided on the main frame unit 4 and is located on the waist side of the user. The main control unit 2 may adjust the width of the main frame unit 4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2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pack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The sub frame unit 5 is coupled to the main control unit 2.

서브 프레임 유닛(5)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고, 허리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서브 프레임 유닛(5)은 원터치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벨트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된다. 사용자의 허리와 접촉되는 부분은 충격 흡수가 가능한 소재가 부착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ub frame unit 5 supports the waist of the user and is a part coupled to the waist. The sub-frame unit 5 is mounted on the waist of the user by a belt which is adjustable in length in a one-touch manner.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waist of the user may be attached with a shock absorbing material to improve the user's wearing comfort.

메인 프레임 유닛(4)은 메인 컨트롤 유닛(2)을 지지하며, 사용자의 골반 일측에서 타측까지를 감싸는 형태를 갖는다. 메인 프레임 유닛(4)은 대략 'U'자 형상으로, 벤딩(bending)된 부분에 메인 컨트롤 유닛(2)이 장착된다. 메인 프레임 유닛(4)의 벤딩된 부분은 사용자의 허리 쪽에 위치한다. 메인 프레임 유닛(4)의 양단부는 사용자의 다리를 향해 하향 배치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 유닛(4)은 양측에 경사진 부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부분에 서브 컨트롤 유닛(3)이 각각 구비된다.The main frame unit 4 supports the main control unit 2 and has a form surrounding the user's pelvi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main frame unit 4 has a substantially 'U' shape, and the main control unit 2 is mounted at the bent portion. The bent part of the main frame unit 4 is located at the waist side of the user. Both ends of the main frame unit 4 are disposed downward toward the user's leg. Therefore, the main frame unit 4 has inclined portions on both sides, and the sub control unit 3 is provided at each of these portions.

서브 컨트롤 유닛(3)은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보조력의 강약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서브 컨트롤 유닛(3)은 회전 다이얼 방식으로 보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서브 컨트롤 유닛(3)에는 보조력의 정도를 램프로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서브 컨트롤 유닛(3) 내부에 보조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서브 컨트롤 유닛(3)의 하측에 레그 유닛(6)이 결합된다.The sub control unit 3 is a part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assisting power to assist the muscle strength of the user. The sub control unit 3 can adjust the assist force by the rotary dial method. The sub control unit 3 may be provided with an indicator indicating the degree of the assisting force by a lamp. A drive means for providing assistance in the sub control unit 3 may be provided. The leg unit 6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b control unit 3.

레그 유닛(6)은 사용자의 양쪽 다리에 각각 착용되어야 하므로 한 쌍으로 구비된다. 레그 유닛(6)은 사용자의 허벅지 쪽에 장착되는 어퍼 레그 프레임(6a)과, 어퍼 레그 프레임(6a) 상에 구비되어 보조력을 제공하는 레그 구동부(6b)와, 사용자의 종아리 쪽에 장착되는 로어 레그 프레임(6d)과,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벨트(6c)를 포함한다. The leg units 6 are provided in pairs because they must be worn on both legs of the user. The leg unit 6 includes an upper leg frame 6a mounted on the thigh side of the user, a leg drive part 6b provided on the upper leg frame 6a to provide assistance, and a lower leg mounted on the calf side of the user. The frame 6d and a belt 6c surrounding the user's leg are included.

어퍼 레그 프레임(6a) 및 로어 레그 프레임(6d), 레그 구동부(6b)는 사용자의 보행 시 관절 부위의 원활한 굽힘 운동을 위해 사용자의 다리 측면에 배치된다. 어퍼 레그 프레임(6a) 및 로어 레그 프레임(6d)에는 원터치 다이얼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벨트(6c)가 각각 구비된다. The upper leg frame 6a, the lower leg frame 6d, and the leg drive part 6b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ser's leg for smooth bending motion of the joint portion when the user walks. The upper leg frame 6a and the lower leg frame 6d are each provided with a belt 6c whose length is adjusted by a one-touch dial method.

어퍼 레그 프레임(6a) 및 로어 레그 프레임(6d)은 벨트(6c)에 의해 사용자의 다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어퍼 레그 프레임(6a) 및 로어 레그 프레임(6d)은 레그 구동부(6b)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무릎 관절 운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upper leg frame 6a and the lower leg frame 6d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user's leg by the belt 6c. The upper leg frame 6a and the lower leg frame 6d are rotat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knee joint movement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leg driver 6b.

어퍼 레그 프레임(6a)의 상측은 메인 프레임 유닛(4)의 고관절 구조에 의해 바깥쪽으로 소정 각도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어퍼 레그 프레임(6a) 및 로어 레그 프레임(6d)은 사용자의 다리 각도에 대응하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다관절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upper side of the upper leg frame 6a may be opened at an angle outward by the hip joint structure of the main frame unit 4. In addition, the upper leg frame 6a and the lower leg frame 6d may have a multi-joint structure that can be angled inward or outward in correspondence with a user's leg angle.

레그 구동부(6b)는 모터와 기어 세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리를 움직일 때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는 보조력을 발생시킨다. 레그 구동부(6b)는 적절한 보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및 기어 세트 이외에 다른 구성품으로 대체될 수 있다. 로어 레그 프레임(6d)의 하단에 신발 고정 유닛(7)이 결합된다.The leg drive unit 6b may be composed of a motor, a gear set, and the like, and generates an assisting force for assisting the muscle strength of the user when the user moves the leg. The leg drive 6b can be replaced with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otor and gear set that can generate an appropriate assist force. The shoe fixing unit 7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leg frame 6d.

신발 고정 유닛(7)은 레그 유닛(6)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한다. 사용자의 신발이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신발 고정 유닛(7)은 신발 사이즈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의 신발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shoe fixing unit 7 is coupled to the leg unit 6 and supports the foot of the user while the user is wearing shoes. The length of the part where the user's shoes are inserted is adjustable. Therefore, the shoe fixing unit 7 can fix the shoes of all users regardless of the shoe size.

전술한 바와 같이, 근력 보조 장치는 각종 구성품을 구비하므로 수 kg 내지 수십 kg의 무게가 나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has a variety of components and thus weighs several kilograms to several tens of kilograms.

이러한 근력 보조 장치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장소에 보관되며, 필요시 보관 장소로부터 이송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하체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의 경우, 앉아 있는 자세로 근력 보조 장치를 착용해야 한다.Such strength assistance devices are generally stored in separate locations and, if necessary, transferred from the storage location and provided to the user. For users who are uncomfortable with lower body movements, they should wear strength aids in a sitting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는 사용자가 근력 보조 장치를 착용할 때 앉아서 착용할 수 있는 의자 기능을 할 수 있다.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는 근력 보조 장치가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는 의자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having a chai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nction as a chair that the user can sit and wear when wearing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having a chair unit can be conveyed to the user while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is mounted.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having the chair unit can be converted into a state where the chair can be used.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거치 이동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보행 보조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ounting movement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ir using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alking assistance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근력 보조 장치(1)는 하나의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에 거치될 수 있다. 근력 보조 장치(1)의 사용 시 보조자(의료인 등)는 하나의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를 분리해 이송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on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may be mounted on one multifunction composite support device 10. In the us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 an assistant (medical person, etc.) may separate and transport on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보조자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의 일측에 근력 보조 장치(1)가 거치된 상태에서 일측에 구비된 핸들을 잡고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assistant may move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by holding a handle provided at one side while the muscle power assist device 1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 device 1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가 이동된 후, 의자를 펼쳐 의자에 근력 보조 장치(1)가 앉은 자세로 세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근력 보조 장치(1)의 각 부위를 조절한다. 사용자는 근력 보조 장치(1)를 착용한 후 일어나서 보행 등의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fter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is moved, the chair may be set to a sitting position by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sitting on the chair. In this state, each part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he user may wake up after wearing th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and perform rehabilitation training such as walk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근력 보조 장치(1)가 거치되었던 부분의 핸들을 잡고 보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user may walk by holding the handle of the portion where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is moun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는 하나의 장치로 근력 보조 장치(1)의 거치, 사용자의 착석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는 근력 보조 장치(1)의 착용을 위해 별도의 의자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의자의 사용, 비사용 상태의 전환이 손쉽에 이루어지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having the chai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eat for a user's seating and mounting of th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as one device.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having a chair unit does not have to prepare a separate chair for wearing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since the use of the chair is switched to the non-use state,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어 유닛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세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본 발명의 주요 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함).Hereinafter, a detailed structure of a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having a chai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not corresponding to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A 방향을 전방, B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A direction will be defined as the front and the B direction as the rear.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는 하측에서 무게를 지탱하는 로어 서포팅 유닛(lower supporting unit)(100)과, 로어 서포팅 유닛(100)의 상측에서 근력 보조 장치(1) 또는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하는 어퍼 서포팅 유닛(upper supporting unit)(200)과, 이들의 사이에 구비되며 어퍼 서포팅 유닛(200)을 승강시키는 드라이빙 유닛(300)과, 의자 기능 사용 시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하는 체어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7 to 10,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support unit (lower supporting unit) 100 to support the weight from the lower side,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unit 100 The upper support unit (200) for supporting the muscle strength support device (1) or the user of the, and the driving unit 300 is provided between them and to lift the upper support unit 200, and the chair When using the function may include a chair unit 400 for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user.

이하에서는 먼저 로어 서포팅 유닛(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ower support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로어 서포팅 유닛(100)은 하측에서 전체적인 무게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U'자형의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U'자형의 서브 프레임(130)과, 베이스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114)와, 드라이빙 유닛(300)을 보호 및 지지하는 로어 하우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upporting unit 100 is a portion that supports the overall weight from the lower side, the 'U'-shaped base frame 110, and the' U'-shaped subframe 130 disposed to face the base frame 110 and A plurality of wheels 114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10 and the sub frame 130 may also include a lower housing part 150 that protects and supports the driving unit 300.

로어 서포팅 유닛(100)은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 자체의 무게, 근력 보조 장치(1) 및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30)은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30)은 이들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30)의 벤딩된 중앙 부분을 편의상 프레임 중심점이라고 정의한다.Lower support unit 100 should be able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multi-function composite support device 10 itself,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and the weight of the user. Therefore, the base frame 110 and the sub frame 130 may have a certain intensity or more. In addition, the base frame 110 and the sub-frame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sufficiently support their weight. Hereinafter, the bent center portions of the base frame 110 and the subframe 130 are defined as frame center points for convenience.

프레임 중심점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단 사이에는 사용자 또는 근력 보조 장치(1)가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근력 보조 장치(1)를 착용하는 경우, 베이스 프레임(110)의 프레임 중심점과 양단의 사이에 사용자가 위치한다. A user or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may be located between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10 with respect to the frame center point. When the user wears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the us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center point of the base frame 110 and both ends.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의 폭(W1)은 후술할 의자 기능의 사용 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다리를 편안하게 벌릴 수 있는 사이즈로 설계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L1)은 사용자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사이즈로 만들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dth W1 of the base frame 110 may be designed in such a size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open his / her legs while sitting on a chair when using a chair func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length L1 of the base frame 110 may be made to a siz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alking of the user.

전술한 베이스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30)은 로어 하우징부(150)에 결합된다.The base frame 110 and the sub frame 130 described above are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part 150.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하우징부(1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쉘(outer shell, 152)과, 드라이빙 유닛(300)을 지지하는 이너 쉘(inner shell, 154)과,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156)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10, the lower housing part 150 includes an outer shell 152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 inner shell 154 supporting the driving unit 300, and an inner shell 154. It may include a balance weight (156) to grasp the center of gravity.

아우터 쉘(152)은 대략 원통형 또는 타원형의 통 형상으로, 조립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조각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편의상 아우터 쉘(152)을 제1 쉘(152a), 제2 쉘(152b), 제3 쉘(152c)의 3개 조각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The outer shell 152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oval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pieces may be combined for convenience of assembly. In FIG. 10, the outer shell 152 is divided into three pieces of the first shell 152a, the second shell 152b, and the third shell 152c for convenience.

제1 쉘(152a)은 후방(도 7의 B 방향) 쪽에 위치하며, 후술할 체어 유닛(400)을 지지하는 링크 구조가 관통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1 쉘(152a)의 외주면에는 제1 홀(152a')이 형성된다. The first shell 152a is located at the rear side (B direction in FIG. 7), and a link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chair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rethrough. To this end, a first hole 152a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ell 152a.

제1 쉘(152a)의 제1 홀(152a')에 체어 유닛(400)의 서포트 링크(450)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One end of the support link 450 of the chair unit 4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ole 152a 'of the first shell 152a (to be described later).

제2 쉘(152b)은 제1 쉘(152a)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2 쉘(152b)이 제1 쉘(152a)과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30)이 이들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1 쉘(152a)과 제2 쉘(152b)은 판면의 일부가 절개된다. 제1 쉘(152a) 및 제2 쉘(152b)이 결합된 상태에서 절개된 부분이 제2 홀(152b')을 형성한다(제2 홀의 형상은 도 7 및 도 8 참조).The second shell 152b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hell 152a. The base frame 110 and the sub-frame 130 are inserted through them while the second shell 152b is coupled with the first shell 152a. To this end, a portion of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shell 152a and the second shell 152b is cut away.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shell 152a and the second shell 152b are coupled, the cutout portion forms the second hole 152b '(see FIGS. 7 and 8 for the shape of the second hole).

제3 쉘(152c)은 제1 쉘(152a)의 타측에 결합되며, 제2 쉘(152b)과 마주보게 설치된다. 제3 쉘(152c)이 제1 쉘(152a)과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30)이 이들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1 쉘(152a)과 제3 쉘(152c)은 판면의 일부가 절개된다. 제1 쉘(152a) 및 제3 쉘(152c)이 결합된 상태에서 절개된 부분이 제3 홀(미도시)을 형성한다(제3 홀의 형상은 제2 홀과 동일함).The third shell 152c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hell 152a and is installed to face the second shell 152b. In the state where the third shell 152c is coupled with the first shell 152a, the base frame 110 and the subframe 130 are inserted therethrough. To this end, a portion of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shell 152a and the third shell 152c is cut away.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shell 152a and the third shell 152c are coupled, the cut portion forms a third hole (not shown) (the shape of the third hole is the same as the second hole).

제1 쉘(152a) 내지 제3 쉘(152c)은 내면에 후크 구조나, 결합 돌기와 수용홈의 결합 구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쉘(152a) 내지 제3 쉘(152c)은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first shell 152a to the third shell 152c may have a hook structure or a coupling structure of a coupling protrusion and a receiving groove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he first shells 152a to 152c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such a coupling structure.

이너 쉘(154)은 아우터 쉘(15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대략 원통형 또는 타원형의 통 형상이다. 이너 쉘(154) 역시 조립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조각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편의상 이너 쉘(154)을 제1 블록(154a) 및 제2 블록(154b)의 2개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The inner shell 154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hell 152 and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oval cylindrical shape. Inner shell 154 may also b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pieces for ease of assembly. In FIG. 10, the inner shell 154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first block 154a and the second block 154b for convenience.

제1 블록(154a) 및 제2 블록(154b)은 후술할 드라이빙 유닛(300)의 로어 파이프(310)를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상호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블록(154a) 및 제2 블록(154b)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로어 파이프(3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파이프 홈(154c)이 형성된다. The first block 154a and the second block 154b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lower pipe 310 of the driv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on both sides. To this end, pipe grooves 154c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pipe 3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lock 154a and the second block 154b.

제1 블록(154a) 및 제2 블록(154b) 역시 후크 구조나, 결합 돌기와 수용홈의 결합 구조 등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block 154a and the second block 154b may also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hook structure or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receiving groove.

제1 블록(154a) 및 제2 블록(154b)에는 아우터 쉘(152)에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10) 및 서브 프레임(130)이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 홀(152a', 152b')에 대응하는 삽입홀(154d)이 형성된다. The first block 154a and the second block 154b are formed in the outer shell 152 and are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holes 152a 'and 152b' through which the base frame 110 and the subframe 130 are inserted. The corresponding insertion hole 154d is formed.

밸런스 웨이트(156)는 제1 블록(154a) 및 제2 블록(154b)의 하부에 삽입되며, 로어 파이프(31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밸런스 웨이트(156) 역시 복수 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결합되어 대략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밸런스 웨이트(156)가 2개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The balance weight 156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lock 154a and the second block 154b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lower pipe 310. Therefore, the balance weight 156 may also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In FIG. 10, two balance weights 156 are illustrated.

밸런스 웨이트(156)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에 중량을 부가해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밸런스 웨이트(156)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 내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156)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에 중량을 부가할 수 있다면 그 재질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The balance weight 156 serves to hold the center of gravity by adding weight to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Therefore, the balance weight 156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ultifunction composite support device 10. The balance weight 156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add weight to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다음으로 어퍼 서포팅 유닛(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서포팅 유닛(200)은 근력 보조 장치(1)를 거치할 때 근력 보조 장치(1)가 실질적으로 거치되는 부분이다. As illustrated in FIGS. 7 to 10,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is a portion where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 is substantially mounted when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 is mounted.

또한, 어퍼 서포팅 유닛(200)은 핸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보행 시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unit 200 has a handle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when the user walks.

어퍼 서포팅 유닛(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서포팅 프레임(210)과, 메인 서포팅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제1 핸들부(230) 및 제2 핸들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may include a main supporting frame 210 forming an appearance, a first handle portion 230 and a second handle portion 250 coupled to the main supporting frame 210.

메인 서포팅 프레임(210)은 외벽부(211), 외벽부(211)와 대향되는 내벽부(212), 외벽부(211)와 내벽부(212)를 연결하는 측면부(213), 내벽부(212) 및 외벽부(211)의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되는 상면부(214) 및 하면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외벽부(211), 내벽부(212), 측면부(213) 및 상면부(214)가 하나로 연결되어 메인 서포팅 프레임(210)을 구성한다. 이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서포팅 프레임(210)의 후방(도 9의 B 방향) 및 전방(도 9의 A 방향)에 각각 제1 핸들부(230) 및 제2 핸들부(250)가 구비된다.The main supporting frame 210 has an outer wall portion 211, an inner wall portion 212 facing the outer wall portion 211, a side portion 213 connecting the outer wall portion 211 and the inner wall portion 212, and an inner wall portion 212. )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214 and a lower surface portion 215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wall portion 211. The outer wall portion 211, the inner wall portion 212, the side portion 213,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214 are connected together to form a main supporting frame 210. In the combined state, the first handle part 230 and the second handle part 250 are provided at the rear (the B direction of FIG. 9) and the front (the A direction of FIG. 9) of the main supporting frame 210, respectively.

외벽부(211) 및 내벽부(212)는 사용자가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를 의자로 사용할 때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대응하기 위해 유선형의 형상을 갖는다.The outer wall portion 211 and the inner wall portion 212 has a streamlined shape to cope with the user's body bending when the user uses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10 as a chair.

내벽부(212)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를 의자로 사용할 때 등받이가 되는 부분이다.  The inner wall part 212 is a part which becomes a backrest when using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10 as a chair.

측면부(213)는 외벽부(211)와 내벽부(212)를 연결하는 면이다. 측면부(213)는 상면부(214)에서부터 메인 서포팅 프레임(210)의 양단부까지 유선형으로 연결된다. 측면부(213)의 양단 상측은 근력 보조 장치(1)의 거치 시 서브 컨트롤 유닛(3)의 하부에 접촉된다. 근력 보조 장치(1)가 접촉되는 영역을 접촉부(213a)로 정의한다. The side portion 213 is a surface connecting the outer wall portion 211 and the inner wall portion 212. The side part 213 is connected in a streamline form from an upper surface part 214 to both ends of the main supporting frame 210. Both ends of the side portion 213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ub control unit 3 when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is mounted. The area where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1 is contacted is defined as the contact portion 213a.

상면부(214)는 근력 보조 장치(1)의 거치 시 메인 컨트롤 유닛(2)이 접촉 및 지지되는 면이다. The upper surface portion 214 is a surface on which the main control unit 2 is contacted and supported when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is mounted.

하면부(215)는 외벽부(211), 내벽부(212), 측면부(213) 및 상면부(214)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벽부(211) 및 내벽부(212)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렇게 모든 면이 결합되어 메인 서포팅 프레임(210)을 구성한다. The lower surface portion 215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portion 211 and the inner wall portion 212 in a state where the outer wall portion 211, the inner wall portion 212, the side portion 213,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214 are coupled to each other. All surfaces are combined to form the main supporting frame 210.

한편, 메인 서포팅 프레임(210)은 레그 유닛(6)이 지지되는 레그 지지부(216)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supporting frame 210 includes a leg support 216 on which the leg unit 6 is supported.

레그 지지부(216)는 메인 서포팅 프레임(210)의 내벽부(212) 쪽 양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레그 지지부(216)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며, 근력 보조 장치(1)의 어퍼 레그 프레임(6a)이 삽입된다. The leg support 216 is concave forward from both ends of the inner wall portion 212 of the main supporting frame 210. The leg support 21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 shape, and the upper leg frame 6a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is inserted.

레그 지지부(216)에 어퍼 레그 프레임(6a)이 삽입된 상태에서, 서브 컨트롤 유닛(3)은 측면부(213)의 접촉부(213a)에 접촉된다. 즉, 근력 보조 장치(1)가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에 거치될 때, 어퍼 서포팅 유닛(200)의 상면부(214), 접촉부(213a), 레그 지지부(216)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근력 보조 장치(1)는 관절 부위가 자연스럽게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In a state where the upper leg frame 6a is inserted into the leg support part 216, the sub control unit 3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art 213a of the side part 213. That is, when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is mounted o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it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portion 214, the contact portion 213a, and the leg support portion 216 of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In this state,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 maintains the state where the joint is naturally stretched.

또한, 근력 보조 장치(1)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에 거치된 상태에서 체어 유닛(400)이 펴지면 체어 유닛(400)에 의해 한번 더 지지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is supported by the chair unit 400 once more when the chair unit 400 is unfold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어퍼 서포팅 유닛(200)에는 제1 핸들부(230) 및 제2 핸들부(250)가 구비된다.Meanwhile,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handle part 230 and a second handle part 25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핸들부(230)는 베이스 프레임(110) 쪽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핸들부(250)는 서브 프레임(130) 쪽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핸들부(230)는 사용자가 보행 시 잡는 부분이고, 제2 핸들부(250)는 근력 보조 장치(1)의 이송 시 보조자가 잡는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7, the first handle part 230 is formed toward the base frame 110 and the second handle part 250 is formed toward the sub frame 130. The first handle part 230 is a part that the user grabs while walking, and the second handle part 250 is a part that the assistant grabs during the transfer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어퍼 서포팅 유닛(200)은 드라이빙 유닛(30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드라이빙 유닛(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y be height-adjusted by the driving unit 300. Hereinafter, the driving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드라이빙 유닛(300)은 어퍼 서포팅 유닛(200)의 높이 조절 시 구동된다. 근력 보조 장치(1)를 착용하는 사용자마다 키가 다르므로,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어퍼 서포팅 유닛(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빙 유닛(300)은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를 거치대에서 의자로 변환하여 사용될 때 구동된다.The driving unit 300 is driven when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is adjusted. Since the height varies for each user who wears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00 is driven whe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is converted from a cradle to a chair and used.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 유닛(300)은 로어 하우징부(150)에 결합되는 로어 파이프(310)와, 어퍼 서포팅 유닛(200)에 결합되는 어퍼 파이프(330)와, 어퍼 파이프(330)를 승강시키는 구동 수단(35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o FIG. 10, the driving unit 300 includes a lower pipe 310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part 150, an upper pipe 330 coupled to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and upper It may include a drive means 350 for lifting the pipe 330.

로어 파이프(3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속이 비어 있는 파이프이다. 로어 파이프(310)는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로어 하우징부(150)의 밸런스 웨이트(156)에 1차로 결합될 수 있다. 그 후 로어 파이프(310)를 결합시키는 브라켓과 아우터 쉘(152)이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로어 파이프(310)를 고정할 수 있다. 로어 파이프(310)에는 어퍼 파이프(33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로어 파이프(310)의 일부가 어퍼 파이프(3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관계에 따라 로어 파이프(310)와 어퍼 파이프(330)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다.The lower pipe 3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 hollow pipe. The lower pipe 310 may be primarily coupled to the balance weight 156 of the lower housing part 150 by a separate bracket. Thereafter, the bracket for coupling the lower pipe 310 and the outer shell 15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separate bracket to fix the lower pipe 310. A portion of the upper pipe 330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pipe 310. Alternatively, a part of the lower pipe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pipe 330. According to such a coupling relationship, the diameters of the lower pipe 310 and the upper pipe 330 may vary.

어퍼 파이프(3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속이 비어 있는 파이프이다. 어퍼 파이프(330)는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메인 서포팅 프레임(210)의 하면부(215)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파이프(330)는 외주면 일측에 시트 힌지부(332)가 결합되는 시트 결합홈(330a)이 형성된다. 시트 결합홈(330a)에 체어 유닛(400)의 시트 프레임(41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upper pipe 3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 hollow pipe. The upper pipe 33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215 of the main supporting frame 210 by a separate bracket. The upper pipe 330 has a sheet engaging groove 330a to which the seat hinge 33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seat frame 410 of the chair unit 4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coupling groove 330a.

시트 결합홈(330a)은 어퍼 파이프(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으로, 후술할 시트 힌지부(33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시트 결합홈(330a)에는 시트 힌지부(332)가 결합된다.The sheet coupling groove 330a is a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ipe 330 and is formed to have a shape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heet hinge portion 332 to be described later. The sheet hinge portion 332 is coupled to the sheet coupling groove 330a.

시트 힌지부(332)는 시트 결합홈(330a)에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힌지 브라켓(332a)과, 힌지 브라켓(332a)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시트 힌지(33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결합부(332b)를 포함한다.The seat hinge portion 332 protrudes from the hinge bracket 332a fastened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to the seat coupling groove 330a and the hinge bracket 332a and hinges rotatably supporting the seat hinge 334. The coupling part 332b is included.

힌지 브라켓(332a)은 바(bar) 형상이며, 시트 결합홈(330a)에 결합된다. 힌지 브라켓(332a)은 어퍼 파이프(33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된다. 힌지 브라켓(332a)의 중앙으로부터 시트(420)를 향해 힌지 결합부(332b)가 돌출된다.The hinge bracket 332a has a bar shape and is coupled to the seat coupling groove 330a. The hinge bracket 332a is formed to a thickness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ipe 330. The hinge coupler 332b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hinge bracket 332a toward the seat 420.

힌지 결합부(332b)는 중공을 구비한 링 형상으로, 중공에 시트 힌지(334)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힌지 결합부(332b)에 시트 힌지(334)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시트 힌지(334)가 후술할 링크 브라켓(4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 프레임(410)이 어퍼 파이프(3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hinge coupler 332b has a ring shape having a hollow, and the sheet hinge 334 is inserted into the hollow to be rotatably supported. The seat hinge 334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inge coupler 332b, and the seat hinge 33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bracket 4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eat frame 410 is connected to the upper pipe 330. It is combin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동 수단(350)은 어퍼 파이프(3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 수단(350)은 유압 실린더 또는 모터와 기어 세트의 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 수단(350)은 어퍼 파이프(330)를 승강시킬 수 있다면 그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 수단(350)은 스위치 역할을 하는 페달(352)을 통해 구동 및 구동 중지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riving means 350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raising or lowering the upper pipe 330. The driving means 350 may be implemented by a hydraulic cylinder or a combination of a motor and a gear set. The driving means 350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lift the upper pipe 330. The driving means 350 may be driven and stopped by the pedal 352 serving as a switch.

어퍼 파이프(330)의 상승은 구동 수단(35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적절한 높이에서 구동 수단(350)의 구동을 멈추어 어퍼 파이프(330)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The upper pipe 330 may be raised by driving the driving means 350, and may stop the driving of the driving means 350 at an appropriate height to set the height of the upper pipe 330.

어퍼 파이프(330)의 하강은 구동 수단(35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조자가 어퍼 서포팅 유닛(200)을 일정한 힘 이상으로 가압하면, 어퍼 파이프(330)가 하강할 수 있다. 어퍼 파이프(330)가 원래의 높이로 복귀되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구조에 의해 어퍼 파이프(33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The lowering of the upper pipe 330 may be performed by the driving means 350 or may be made manually. When the assistant presses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to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upper pipe 330 may descend. When the upper pipe 330 returns to its original height, the movement of the upper pipe 330 may be limited by a fixing structure not shown in the drawing.

페달(352)은 드라이빙 유닛(300)의 하측에 구비되며, 로어 하우징부(150)의 외부로 노출된다. 페달(352)은 사용자가 한번 밟으면 구동 수단(350)을 구동시키고, 다시 한번 밟으면 구동 수단(350)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pedal 352 is provided below the driving unit 30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housing part 150. The pedal 352 may drive the driving means 350 when the user presses once, and stop the driving means 350 when the user presses once again.

전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빙 유닛(300)에 의해 어퍼 서포팅 유닛(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어퍼 서포팅 유닛(20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 또는 원래의 위치에서 보조자가 어퍼 서포팅 유닛(200)을 한번 더 가압하면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가 의자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may be adjusted by the driving unit 300. If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is adjusted or the assistant presses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once more in the original positio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may be converted into a chair state.

이하에서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체어 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hair unit of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체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변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근력 보조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근력 보조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14를 기준으로 A 방향을 전방, B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ir unit of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when using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ide view when using the chair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bottom view of the chair when using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view showing a chair conversion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when using the chair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when using the chair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the A direction is defined as the front and the B direction is defined as the rear of FIG. 14.

도 11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어 유닛(400)은 의자 형태를 형성하는 시트 프레임(410)과, 시트 프레임(4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420)와, 시트 프레임(4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보조 지지부(430)와, 시트 프레임(410)의 하측에 결합되는 링크 프레임(440)과, 링크 프레임(440)에 결합되는 서포트 링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체어 유닛(400)은 시트 프레임(410)의 추가적인 지지와 서포트 링크(450)의 연결을 위해 링크 브라켓(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 프레임(410)은 힌지에 의해 어퍼 파이프(330)의 시트 결합부(3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1 to 16, the chair unit 400 includes a seat frame 410 forming a chair shape, a seat 4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at frame 410, and a seat frame 410. It may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430 coupled to the upper side, a link frame 44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frame 410, and a support link 450 coupled to the link frame 440. The chair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link bracket 460 for additional support of the seat frame 410 and connection of the support link 450. The seat frame 4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coupling portion 332 of the upper pipe 330 by a hinge.

여기서, 시트(420)가 펴진 상태는 시트 프레임(410)이 어퍼 파이프(330)와 수직인 상태를 의미한다. 즉, 시트 프레임(410)이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가 시트(420)가 펴진 상태이다. 시트(420)가 접힌 상태는 시트 프레임(410)이 어퍼 파이프(330)와 수평을 이루는 상태를 의미한다. Here, the unfolded state of the sheet 420 means a state in which the seat frame 410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pipe 330. That is, the sheet frame 410 i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is the sheet 420 is unfolded. The state in which the sheet 420 is folded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heet frame 410 is horizontal with the upper pipe 330.

시트(420)가 펴진 상태를 의자 사용 상태, 시트(420)가 접힌 상태를 의자 비사용 상태로 정의한다.A state in which the seat 420 is opened is defined as a chair use state, and a state in which the seat 420 is folded is defined as a chair nonuse state.

시트 프레임(410)은 의자의 외관을 형성하며,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시트 프레임(410)은 전방을 향하는 부분의 면적이 후방을 향하는 부분의 면적보다 넓다. 즉, 시트 프레임(410)은 드라이빙 유닛(300)에서 멀어질수록 그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시트 프레임(410)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 역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갖는다.The seat frame 4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hair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The seat frame 410 has an area of the front facing portion wider than that of the rear facing portion. That is, the seat frame 410 has a form in which the area becomes smaller as it moves away from the driving unit 300. The overall shape of each frame constituting the seat frame 410 also has a form in which the area thereof decreases from front to back.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면 자연스럽게 다리가 바깥쪽으로 약간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시트 프레임(410)은 드라이빙 유닛(300)에서 멀어질수록 그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사용자의 다리가 벌어진 형태에 자연스럽게 대응하도록 시트 프레임(410)의 후방 쪽 단부는 중앙 부위의 높이가 그 주변보다 약간 높게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the legs naturally spread slightly outward. Accordingly, the seat frame 410 has a form in which its area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driving unit 300. In addi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at frame 410 may have a height slightly higher than its periphery so as to naturally correspond to the user's open legs.

시트 프레임(410)은 후방 쪽 단부가 주변보다 높게 형성된 전술한 형태를 나타내는 메인 시트 프레임(412)과, 시트(420)와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보강 프레임(414)과,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하측에 결합되는 서브 시트 프레임(416)과, 서브 시트 프레임(416)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보강 프레임(418)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t frame 410 has a main seat frame 412 having the rear end portion formed higher than the periphery, and a first reinforcement frame 414 inserted between the seat 420 and the main seat frame 412. And a sub seat frame 416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main seat frame 412, and a second reinforcement frame 418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b seat frame 416.

메인 시트 프레임(412)은 시트 프레임(410)의 뼈대가 되는 부분으로, 메인 시트 프레임(412)을 중심으로 다른 프레임들이 결합되어 시트 프레임(410)을 형성한다.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상면에는 시트(420)가 결합되며, 시트(4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메인 시트 프레임(412) 상면의 홈은 시트(420) 및 제1 보강 프레임(414)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된다. The main seat frame 412 is a skeleton of the seat frame 410, and other frames are combined around the main seat frame 412 to form the seat frame 410. The sheet 420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seat frame 412,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heet 420 is formed.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eat frame 412 are form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eat 420 and the first reinforcing frame 414.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측면은 소정의 폭으로 하향 연장되며, 연장된 측면에 의해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하면은 오목한 형상이 된다. 즉,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하부는 측면에 의해 둘러 싸인 형태이므로, 서브 시트 프레임(416)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side surface of the main seat frame 412 extends downwar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seat frame 412 becomes concave by the extended side surface. That is,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seat frame 412 is surrounded by the side, it forms a receiving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sub seat frame 416.

메인 시트 프레임(412)은 어퍼 파이프(330)를 향하는 전방 쪽에 어퍼 파이프(330)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홈(412a)이 형성된다. 이 홈(412a)은 각 프레임 및 시트(420)에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각각에 형성된 홈(412a, 414a, 416a)은 의자 사용 상태에서 시트 프레임(410) 및 시트(420)가 어퍼 파이프(33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The main seat frame 412 has a semicircular groove 412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pipe 330 on the front side facing the upper pipe 330. This groove 412a is also formed in each frame and sheet 420 in the same manner. The grooves 412a, 414a, and 416a formed in each are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eat frame 410 and the seat 420 from interfering with the upper pipe 330 in a chair use state.

메인 시트 프레임(412)은 하향 연장된 양측면에 각각 측면홈(412b)이 형성된다. 측면홈(412b)은 보조 지지부(430)의 안착 시 보조 지지부(43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형성한 홈이다.The main seat frame 412 has side grooves 412b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extending downward. The side groove 412b is a groove formed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auxiliary support 430 when the auxiliary support 430 is seated.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상면에 제1 보강 프레임(414)이 삽입되고,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하측에 서브 시트 프레임(416)이 결합된다.The first reinforcement frame 414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eat frame 412, and the sub seat frame 416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seat frame 412.

제1 보강 프레임(414)은 시트(420)와 메인 시트 프레임(412) 사이에 삽입되므로 시트(420)의 형상에 대응하되 시트(42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보강 프레임(414)은 시트(420)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Since the first reinforcement frame 414 is inserted between the seat 420 and the main seat frame 412, the first reinforcement frame 414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seat 420, but preferably has a smaller size than the seat 420. Therefore, the first reinforcement frame 414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eet 420.

제1 보강 프레임(414)은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보강 프레임(414)은 메인 시트 프레임(412)과 이형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보강 프레임(414)은 별도로 만들어져 메인 시트 프레임(412)에 안착될 수도 있고, 이중 사출 등의 방법으로 메인 시트 프레임(41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보강 프레임(414) 역시 어퍼 파이프(330)를 향하는 전방 쪽에 메인 시트 프레임(412)과 동일한 홈(414a)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ement frame 414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main seat frame 412. Therefore, the first reinforcement frame 414 may be made of the main sheet frame 412 and a release material. The first reinforcement frame 414 may be separately made and seated on the main seat frame 412, or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main seat frame 412 by a double injection method. The first reinforcement frame 414 may also have the same groove 414a as the main seat frame 412 in the front side facing the upper pipe 330.

서브 시트 프레임(416)은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하부에 결합되며, 메인 시트 프레임(412)과 거의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서브 시트 프레임(416)은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측면과 하면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수용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메인 시트 프레임(412)보다 다소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sub seat frame 416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seat frame 412 and has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main seat frame 412. Since the sub seat frame 416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ncave accommodation space formed by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main seat frame 412, the sub seat frame 416 may have a size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seat frame 412.

서브 시트 프레임(416)은 메인 시트 프레임(412)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이종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서브 시트 프레임(416)은 메인 시트 프레임(412)과 별도로 만들어지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ub seat frame 416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seat frame 412 or may be made of a heterogeneous material. In addition, the sub seat frame 416 may be formed as one frame without being made separately from the main seat frame 412.

서브 시트 프레임(416) 역시 어퍼 파이프(330)를 향하는 전방 쪽에 메인 시트 프레임(412)과 동일한 홈(416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시트 프레임(416)은 양측에 각각 보조 지지부(430)가 안착되는 안착부(416b)가 형성될 수 있다.The sub seat frame 416 may also have the same groove 416 a as the main seat frame 412 on the front side facing the upper pipe 330. In addition, the sub seat frame 416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416b on which both sides of the auxiliary support 430 are seated.

안착부(416b)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블록 형상일 수 있으며, 메인 시트 프레임(412)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시트 프레임(412)에 형성된 측면홈(412b)이 서브 시트 프레임(416)과 안착부(416b)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측면홈(412b)은 서브 시트 프레임(416)과 안착부(416b) 사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416b may have a bloc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protrude outward from the main seat frame 412. Therefore, the side groove 412b formed in the main seat frame 412 is positioned between the sub seat frame 416 and the seating portion 416b. To this end, the side groove 412b may be formed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between the sub seat frame 416 and the seating portion 416b.

안착부(416b)는 보조 지지부(43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보조 지지부(430)는 도 11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안착부(416b)에 삽입된다. 보조 지지부(430)는 안착부(416b)를 위에서 감싸는 형태로 삽입된다. The seating part 416b is a part to which the auxiliary support part 430 is coupled, and the auxiliary support part 43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art 416b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with reference to FIG. 11. Auxiliary support 430 is inserted in a form surrounding the seating portion 416b from above.

전술한 구성을 갖는 서브 시트 프레임(416)의 하부에 제2 보강 프레임(418)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서브 시트 프레임(416)의 하부에는 제2 보강 프레임(418)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einforcement frame 418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b seat frame 416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o this end, a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econd reinforcement frame 418 may be formed below the sub seat frame 416.

제2 보강 프레임(418)은 서브 시트 프레임(416)의 하부에 결합되며, 서브 시트 프레임(416)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보강 프레임(418)은 서브 시트 프레임(416)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제2 보강 프레임(418)은 서포트 링크(450)와 직접 결합되는 링크 브라켓(460)이 장착되는 장착부 역할도 한다. 따라서 제2 보강 프레임(418)은 서브 시트 프레임(416)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2 보강 프레임(418)은 별도로 만들어져 서브 시트 프레임(416)에 결합될 수도 있고, 이중 사출 등의 방법으로 서브 시트 프레임(416)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reinforcement frame 418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b seat frame 416, and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ub seat frame 416. The second reinforcement frame 418 has a smaller size than the sub seat frame 416. In addition, the second reinforcing frame 418 also serves as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link bracket 460 is directly coupled to the support link 450. Therefore, the second reinforcement frame 418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sub seat frame 416. The second reinforcement frame 418 may be made separately and coupled to the sub seat frame 416, or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sub seat frame 416 by a double injection method.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보강 프레임(418)에 링크 브라켓(460)이 결합되므로, 제2 보강 프레임(418)은 별도로 만들어져 서브 시트 프레임(416)에 결합된다. 제2 보강 프레임(418)에 볼트 등으로 링크 브라켓(460)이 결합되므로 서브 시트 프레임(416)에 체결력이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 시트 프레임(416)의 파손 없이 링크 브라켓(460)을 설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ince the link bracket 460 is coupled to the second reinforcement frame 418, the second reinforcement frame 418 is separately formed and coupled to the sub seat frame 416. Since the link bracket 460 is coupled to the second reinforcing frame 418 by a bolt or the like, a fastening force or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ub seat frame 416. Therefore, the link bracket 460 can be installed without damaging the sub seat frame 416.

제2 보강 프레임(418)은 메인 시트 프레임(412)의 어퍼 파이프(330) 방향 홈(412a)과 대응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einforcement frame 418 may have a groov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412a in the upper pipe 330 direction of the main seat frame 412.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시트 프레임(410)은 드라이빙 유닛(300)에 인접한 중앙 부위가 드라이빙 유닛(300)의 어퍼 파이프(330) 상에 결합된다. 어퍼 파이프(330)의 승강 시 시트(420)가 펴지거나 접힌 상태가 되어야 하므로, 시트 프레임(410)은 어퍼 파이프(3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In the seat frame 4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central portion adjacent to the driving unit 300 is coupled to the upper pipe 330 of the driving unit 300. The seat frame 4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ipe 330 because the seat 420 should be opened or folded when the upper pipe 330 is elevated.

시트 프레임(410)의 상부에는 시트(420)가 구비된다.The sheet 420 is provided on the sheet frame 410.

시트(420)는 시트 프레임(4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시트 프레임(4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시트(420)는 시트 프레임(4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시트 프레임(41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sheet 420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heet frame 410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heet frame 410. The sheet 4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eet frame 410,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upled to the sheet frame 410.

시트(420)는 사용자가 앉을 때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시트(420)에는 충격 흡수가 가능한 소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시트(420) 자체가 충격 흡수가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seat 420 is a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body when the user sits down. Therefore, a material capable of shock absorption may be attached to the sheet 420. Alternatively, the sheet 420 itself may be made of a shock absorbing material.

시트 프레임(410)과 시트(420)가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의 후방 쪽(B 방향)의 폭이 좁고 전방 쪽(A 방향)의 폭이 넓으므로, 사용자는 B 방향인 후방을 바라보는 형태로 시트(420)에 앉게 된다. Since the seat frame 410 and the seat 420 have a narrow width on the rear side (B direction) and a wide width on the front side (A direction)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10, the user faces the rear in the B direction. It sits on the seat 420 in the form.

시트(420)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가 거치대나 보행 보조 장치로 사용될 때에는 비사용 상태가 된다. 시트(420)의 양측에는 보조 지지부(430)가 구비된다.The seat 420 is in an unused state whe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is used as a cradle or a walking assistance device. Auxiliary support parts 430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heet 420.

보조 지지부(430)는 시트(4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시트(420)의 좌우 양측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이는 주변 구성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430 i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eet 420 and has a length shorter tha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eet 420.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components.

보조 지지부(430)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보조 지지부(430)의 각 모서리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지지부(430)는 서브 시트 프레임(416)의 안착부(416b)를 커버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속이 비어 있고 하향 개방된 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 part 43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Each corner of the auxiliary support 430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The auxiliary support part 430 may have a hollow and downwardly open hexahedron shape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 part 430 may be coupled to cover the seating part 416 b of the sub seat frame 416.

보조 지지부(430)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가 거치대나 보행 보조 장치로 사용될 때에는 레그 유닛(6)에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나 보조 지지부(430)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가 의자로 변환될 때, 레그 유닛(6)과 접촉된다. 또한, 보조 지지부(430)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가 의자로 완전히 변환된 상태에서 레그 유닛(6)의 일측을 지지한다. 이때 보조 지지부(430)는 어퍼 서포팅 유닛(200)의 레그 지지부(216)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The auxiliary support 430 does not contact the leg unit 6 whe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is used as a cradle or a walking aid. However, the auxiliary support 430 is in contact with the leg unit 6 whe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is converted into a chair. In addition, the auxiliary support part 430 supports one side of the leg unit 6 in a state in which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is completely converted into a chair. At this time, the auxiliary support 430 is positioned between the leg support 216 of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즉, 보조 지지부(430)는 근력 보조 장치(1)의 레그 유닛(6)의 무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auxiliary support 430 serve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leg unit 6 of the muscle power assistance device (1).

한편, 시트 프레임(410)의 하면에는 링크 프레임(440), 링크 브라켓(460) 및 서포트 링크(450)가 결합된다.Meanwhile, the link frame 440, the link bracket 460, and the support link 450 ar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frame 410.

링크 프레임(440)은 시트 프레임(410)의 하면에 결합되며, 서포트 링크(450)의 일단이 삽입된다. 링크 프레임(440)은 일측이 절개되어 서포트 링크(45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절개된 부분을 관통해 서포트 링크(450)의 일단이 링크 브라켓(46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링크 프레임(440)은 타측이 절개되어 어퍼 파이프(330)의 시트 결합부(332)가 삽입될 수 있다. The link frame 44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frame 410, one end of the support link 450 is inserted. One end of the link frame 440 may be cut to insert one end of the support link 450. One end of the support link 450 may be coupled to the link bracket 460 through the cut portion.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frame 440 is cut so that the seat coupling portion 332 of the upper pipe 330 may be inserted.

또는, 링크 프레임(440)에는 링크 프레임(440)의 일측 및 타측이 절개된 형태가 아닌 홀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link frame 440 may be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ink frame 440 are not cut.

그러나 링크 프레임(440)을 구비하지 않고 시트 프레임(410)이 링크 프레임(440)의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다.However, the seat frame 410 may replace the function of the link frame 440 without the link frame 440.

링크 프레임(440)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시트 프레임(410)을 향하는 면에 결합 구조가 구비되어 시트 프레임(410)과 결합될 수 있다. Since the link frame 440 is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 coupl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seat frame 410 to be coupled to the seat frame 410.

서포트 링크(450)는 일단이 아우터 쉘(152)의 제1 홀(152a', 도 10 참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포트 링크(450)는 타단이 연장되어 링크 프레임(440)의 홀을 관통해 링크 브라켓(4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One end of the support link 4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ole 152a ′ (see FIG. 10) of the outer shell 152. The support link 4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bracket 460 through the other end thereof and extending through the hole of the link frame 440.

서포트 링크(450)는 서로 다른 각도로 복수 회 벤딩된 바(bar) 형상이다. 서포트 링크(450)의 이러한 형상은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upport link 450 is a bar shape bent a plurality of times at different angles. This shape of the support link 450 i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서포트 링크(450)는 일단에 제1 힌지부(451a)가 구비되고, 타단에 제2 힌지부(455a)가 구비된다. 제1 힌지부(451a)는 아우터 쉘(152)에 형성된 제1 홀(152a')에 결합되고, 제2 힌지부(455a)는 제2 힌지(455b)에 의해 제1 힌지(451b)에 의해 링크 브라켓(460)에 결합된다.The support link 450 is provided with a first hinge part 451a at one end and a second hinge part 455a at the other end. The first hinge portion 451a is coupled to the first hole 152a 'formed in the outer shell 152,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455a is formed by the second hinge 455b by the first hinge 451b. Is coupled to the link bracket 460.

한편, 서포트 링크(450)는 시트 프레임(410)과 링크 프레임(440) 사이에 삽입되는 링크 브라켓(460)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link 45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bracket 460 inserted between the seat frame 410 and the link frame 440.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410)과 링크 프레임(440)의 사이에는 바(bar) 형태의 링크 브라켓(46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링크 브라켓(460)은 시트 프레임(410)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링크 브라켓(460)은 서포트 링크(450)의 길이 방향 배치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1 to 13, a bar-shaped link bracket 46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the seat frame 410 and the link frame 440. The link bracket 460 may be disposed to cross the seat frame 4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link bracket 46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link 450.

링크 브라켓(460)은 시트 프레임(410)에 가해지는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이다. 링크 브라켓(460)은 시트 프레임(410)에 복수의 스크류로 결합될 수 있다. The link bracket 460 is a structure for stably supporting the weight applied to the seat frame 410 and reinforcing strength. The link bracket 460 may be coupled to the seat frame 410 with a plurality of screws.

링크 브라켓(460)은 시트 프레임(410)과 링크 프레임(440)의 사이에 삽입되므로, 그 길이가 링크 프레임(440)의 길이를 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링크 브라켓(460)의 폭과 높이 역시 시트 프레임(410)과 링크 프레임(440)의 결합 시 간격, 서포트 링크(450)의 폭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Since the link bracket 460 is inserted between the seat frame 410 and the link frame 440, its length should not exceed the length of the link frame 440. In additio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link bracket 460 may also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val when the seat frame 410 and the link frame 440 are coupled and the width of the support link 450.

링크 브라켓(460)은 길이 방향 일측에 링크 회전 지지부(462)가 형성되고, 타측에 시트 회전 지지부(464)가 형성될 수 있다.The link bracket 460 may be formed with a link rotation support part 462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heet rotation support part 464 on the other side.

링크 브라켓(460)은 일단의 길이 방향 양측면이 링크 프레임(440)을 향해 연장된다. 링크 브라켓(460)은 연장된 면에 각각 제1 힌지(451b)가 삽입되는 홀이 관통 형성되어 링크 회전 지지부(462)를 형성한다.The link bracket 460 extends toward one side of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 frame 440. The link bracket 460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hinge 451b is inserted into the extended surface to form the link rotation support part 462.

또한, 링크 브라켓(460)은 타단이 어퍼 파이프(33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링크 브라켓(460)은 유선형의 단부와 인접한 길이 방향 양측면이 링크 프레임(440)을 향해 연장된다. 링크 브라켓(460)은 연장된 면에 각각 제2 힌지(455b)가 삽입되는 홀이 관통 형성되어 시트 회전 지지부(464)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link bracket 460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upper pipe 330. The link bracket 460 extends toward both sides of the link frame 440 in both longitudinal sides adjacent to the streamlined end. The link bracket 460 has holes through which the second hinges 455b are inserted in the extended surface to form the sheet rotation support part 46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어 유닛(400)은 강도 보강을 위해 복수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또한 시트 프레임(410)이 서포트 링크(450) 및 시트 힌지부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므로 사용자 및 근력 보조 장치(1)의 무게를 분산해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근력 보조 장치(1)를 거치하고 사용자가 착석해서 근력 보조 장치(1)를 착용하더라도 사용자와 근력 보조 장치(1)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ir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frame structures for strength reinforcement. In addition, since the seat frame 410 is supported at both sides by the support link 450 and the seat hinge portion,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and support the weights of the user and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Therefore, even if the user is seated or mounted on th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and the user is seated and wears th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may be sufficiently supported.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을 갖는 체어 유닛(400)은 시트 프레임(410)의 상면에 시트(420)가 결합되고, 시트 프레임(410)의 하면에 링크 브라켓(460)과 링크 프레임(440)이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서포트 링크(450)의 일단이 링크 브라켓(4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포트 링크(450)의 타단은 로어 하우징부(150)의 아우터 쉘(15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12 to 15, in the chair unit 4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eat 4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frame 410, and the link bracket 46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frame 410. ) And the link frame 440 are combined. In this state, one end of the support link 4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ink bracket 46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link 4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hell 152 of the lower housing part 150.

의자 사용 상태에서 체어 유닛(400)의 시트(420)는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420)에 착석하게 된다. 사용자는 근력 보조 장치(1)의 미착용 상태에서 착석할 수도 있고, 근력 보조 장치(1)의 착용을 위해 시트(420)에 착석할 수도 있다. 근력 보조 장치(1)의 착용을 위해 시트(420)에 착석할 경우, 근력 보조 장치(1)를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에 거치한 상태에서 의자 사용 상태로 전환해 착석하게 된다.In the chair using state, the seat 420 of the chair unit 400 is in a state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in which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420. The user may be seated in the non-wearing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or may be seated on the seat 420 for wearing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When the seat 420 is seated for the wearing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device 1 is switched to a chair use state while being mounted o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apparatus 10.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근력 보조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의 의자 사용 시 근력 보조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when using the chair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when using the chair of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력 보조 장치(1)는 보관 및 이동 시에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에 거치된다. 이때 근력 보조 장치(1)는 사람이 서있는 형태로 거치된다.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is mounted on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during storage and movement. At this time, the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1 is mounted in the form of a person standing.

보조자가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사용자에게 근력 보조 장치(1)를 착용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하체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를 의자로 사용하게 된다.After the assistant moves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to a desired position, the user may wear the muscle assist device 1. At this time, since the user is not smooth movement of the lower body,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support device 10 is used as a chair.

보조자는 어퍼 서포팅 유닛(200)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해 어퍼 서포팅 유닛(2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는, 보조자가 페달(352) 또는 스위치를 작동해 구동 수단(350)을 구동하여 어퍼 서포팅 유닛(2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The assistant may lower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o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Alternatively, the assistant may operate the pedal 352 or the switch to drive the driving means 350 to lower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어퍼 서포팅 유닛(200)이 하강하면서 어퍼 서포팅 유닛(200)에 결합된 어퍼 파이프(330)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어퍼 파이프(330)에는 시트 프레임(410)이 결합되므로 시트 프레임(410)도 함께 하강한다. As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descends, the upper pipe 330 coupled to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descends together. Since the seat frame 410 is coupled to the upper pipe 330, the seat frame 410 is also lowered together.

어퍼 서포팅 유닛(200)이 하강함에 따라 근력 보조 장치(1)의 메인 프레임 유닛(4) 역시 함께 하강한다. 메인 프레임 유닛(4)이 하강하면서 레그 유닛(6)은 바닥면과 경사를 이루며 하강하게 된다. 이때, 어퍼 파이프(330)에 결합된 시트 프레임(410)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시트 프레임(410)이 하강하면서 시트 프레임(410)의 후방(도 12의 B 방향) 쪽이 점차 낮아진다. As the upper supporting unit 200 descends, the main frame unit 4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also descends together. As the main frame unit 4 descends, the leg unit 6 descends while making a slope with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the seat frame 410 coupled to the upper pipe 330 is also lowered together. As the seat frame 410 descends, the rear side of the seat frame 410 (B direction in FIG. 12) is gradually lowered.

시트 프레임(410)이 완전히 하강하여 어퍼 파이프(330)와 수직을 이룬다. 따라서 시트(420)가 어퍼 파이프(330)와 수직을 이루게 되고, 바닥면과는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때 근력 보조 장치(1)의 레그 유닛(6)은 어퍼 레그 프레임(6a)이 시트(420)와 평행한 상태가 된다. 또한, 레그 유닛(6)은 사용자의 앉는 자세에 대응하여 레그 유닛(6)이 바깥쪽으로 소정 각도 벌어지도록 세팅된다. 사용자가 앉을 때 다리가 바깥쪽으로 약간 벌어지는 자세가 편안한 자세이므로, 레그 유닛(6) 역시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세팅된다.The seat frame 410 descends completely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pipe 330. Therefore, the sheet 420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pipe 330, and is horizontal to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the leg unit 6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is in a state where the upper leg frame 6a is parallel to the seat 420. In addition, the leg unit 6 is set so that the leg unit 6 opens outwar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sitting posture of the user. The leg unit 6 is also set to the corresponding shape, since the posture of the leg slightly spreading outward when the user sits down is a comfortable posture.

또한, 레그 유닛(6)은 로어 레그 프레임(6d)이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420)에 앉아 근력 보조 장치(1)를 착용하게 된다.In the leg unit 6, the lower leg frame 6d 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In this state, the user sits on the seat 420 and wears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를 의자에서 거치대 또는 보행 보조 장치로 사용하려면, 전술한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를 조작하면 된다.In order to use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as a cradle or a walking assistance device in a chair, th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 may be operated in a reverse order to the above-described order.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착석해서 근력 보조 장치(1)를 착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sit comfortably and wear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또한, 사용자는 별도의 의자를 구비하지 않고 근력 보조 장치(1)를 거치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10)의 체어 유닛(400)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user can use the chair unit 400 of the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 device 10 that mounts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1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chair,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또한, 어퍼 서포팅 유닛(200)을 가압하거나 페달(352) 또는 스위치를 구동함으로써 간편하게 의자 사용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by pressing the upper support unit 200 or driving the pedal 352 or the switch can be easily switched to the chair using state,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1: 근력 보조 장치 2: 메인 컨트롤 유닛
3: 서브 컨트롤 유닛 4: 메인 프레임 유닛
5: 서브 프레임 유닛 6: 레그 유닛
7: 신발 고정 유닛
10: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100: 로어 서포팅 유닛
110: 베이스 프레임 130: 서브 프레임
150: 로어 하우징부 200: 어퍼 서포팅 유닛
300: 드라이빙 유닛 310: 로어 파이프
330: 어퍼 파이프 400: 체어 유닛
410: 시트 프레임 420: 시트
430: 보조 지지부 440: 링크 프레임
450: 서포트 링크 451: 제1 링크부
452: 제2 링크부 453: 제3 링크부
454: 제4 링크부 455: 제5 링크부
460: 링크 브라켓
1: strength aid 2: main control unit
3: sub control unit 4: main frame unit
5: sub-frame unit 6: leg unit
7: shoe fixing unit
10: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100: lower support unit
110: base frame 130: subframe
150: lower housing unit 200: upper support unit
300: driving unit 310: lower pipe
330: upper pipe 400: chair unit
410: sheet frame 420: sheet
430: auxiliary support 440: link frame
450: support link 451: first link portion
452: second link portion 453: third link portion
454: fourth link portion 455: fifth link portion
460: link bracket

Claims (15)

복수의 바퀴가 구비된 로어 서포팅 유닛;
상기 로어 서포팅 유닛의 상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근력 보조 장치가 거치되는 어퍼 서포팅 유닛;
상기 로어 서포팅 유닛과 상기 어퍼 서포팅 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어퍼 서포팅 유닛을 승강시키는 드라이빙 유닛; 및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에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드라이빙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트 프레임을 구비한 체어 유닛을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A lower support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n upper supporting unit disposed above the lower supporting unit and mounted with a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worn on a user's body;
A driving unit connecting the lower supporting unit and the upper supporting unit and elevating the upper supporting unit; And
And a seat unit having a seat seated by the user, and a seat frame coupled to the seat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the seat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 보조 장치가 거치되는 경우,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기 드라이빙 유닛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기 드라이빙 유닛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시트는 상향 배치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muscle strength assistance device is mounted, the seat frame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When the user is seated, the seat frame is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iving unit, and the seat is disposed upward.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면에 상기 시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시트와 결합되는 메인 시트 프레임과,
상기 메인 시트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시트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서브 시트 프레임과,
상기 메인 시트 프레임 및 상기 서브 시트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시트 프레임 및 상기 서브 시트 프레임과 다른 재질로 만들어지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at frame
A main sheet frame having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heet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coupled to the sheet;
A sub seat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seat fram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seat frame;
A reinforcement fram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seat frame and the sub seat frame and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in seat frame and the sub seat fram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서포팅 유닛은
상기 드라이빙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는 로어 하우징부와,
상기 로어 하우징부에 결합되어 상기 어퍼 서포팅 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ower supporting unit
A lower hous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A base frame and a sub frame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part to support the upper supporting unit;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 유닛은
일단이 상기 로어 하우징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 링크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ir uni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housing portion,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es a support lin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at fram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 유닛은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링크 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며, 일단에 상기 서포트 링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시트 프레임을 상기 드라이빙 유닛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가 결합되는 링크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hair unit
It is inserted between the seat frame and the link frame, the support link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es a link bracket coupled to the hing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eat frame relative to the driving unit doing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 유닛은
상기 시트 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 링크의 일단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 형성되는 링크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hair unit
The link fram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link frame through which a hole into which one end of the support link is inserted is formed.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 유닛은
상기 시트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시트의 양측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근력 보조 장치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해 상기 시트가 상향 배치될 때 상기 근력 보조 장치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hair unit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and has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both sides of the seat, the auxiliary support for supporting the muscle power assist device when the seat is placed upward for the user to sit in the state that the strength aid is mounted Containing mor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시트 프레임은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시트 프레임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ub seat frame
It includes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main seat frame from both sides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보조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블록 형상이고,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를 상측에서 감싸는 형태를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seating portion is a block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uxiliary support,
The auxiliary support has a form surrounding the seating portion from abov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유닛은
일단이 상기 로어 하우징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어퍼 서포팅 유닛을 향해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로어 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어퍼 서포팅 유닛의 상기 하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로어 파이프에 수용되는 어퍼 파이프와,
상기 로어 파이프의 내부 또는 상기 로어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어퍼 파이프를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ing unit
A pipe-shaped lower pipe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lower housing par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upper supporting unit;
An upper pip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ing unit and the other end accommodated in the lower pipe;
A driving means installed in the lower pipe or in the lower housing part and for elevating the upper pip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파이프는
외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시트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드라이빙 유닛은
상기 시트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시트 힌지와, 상기 시트 결합홈에 체결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시트 힌지와 결합되어 상기 시트 힌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결합부를 구비한 시트 힌지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upper pipe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ovided with a sheet engaging groove formed conca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riving unit
A seat hinge rotatably supporting the seat frame, a hinge bracket fastened to the seat coupling groove, and a hinge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hinge bracket and coupled to the seat hinge to rotatably support the seat hinge. Including one seat hing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메인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시트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1 보강 프레임과,
상기 서브 시트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 시트 프레임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inforcement frame
A first reinforcement frame inserted between the main seat frame and the sheet and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seat;
A second reinforcement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b seat frame and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sub seat fram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기 어퍼 파이프를 향하는 일측에 상기 어퍼 파이프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at frame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hape of the upper pipe is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upper pip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브라켓은
상기 드라이빙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부가 상기 어퍼 파이프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링크 브라켓은 상기 어퍼 파이프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유선형의 단부를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link bracket
An end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un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pipe,
The link bracket has a streamlined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hape of the upper pipe.
Multifunctional compound support device.
KR1020180030457A 2018-03-15 2018-03-15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having chair unit KR201901088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57A KR20190108856A (en) 2018-03-15 2018-03-15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having chai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57A KR20190108856A (en) 2018-03-15 2018-03-15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having chair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56A true KR20190108856A (en) 2019-09-25

Family

ID=6806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57A KR20190108856A (en) 2018-03-15 2018-03-15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having chair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85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1557B (en) Damping device and wheel structure thereof
EP1902700B1 (en) Walking assisting device
CA2595557C (en) Walking assisting device
DK2438894T3 (en) TRANSFER AND MOBILITY DEVICE
CA2598091C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TWI589287B (en) Moving car
CN110270979A (en) Wearable auxiliary device
JP6366049B2 (en) Leg assist device
EP3539527B1 (en) Controlling position of wearable assistive device depending on operation mode
ITRM20060684A1 (en) DEAMBULATOR WITH SEAT AND ADJUSTABLE BACKREST
KR20190108856A (en)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having chair unit
KR102520677B1 (en)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for power assisting robot having chair unit
KR102331569B1 (en) Movable user standing assist device
CN113509328B (en) Multi-pose rehabilitation four-foot robot adaptable to various complex pavements
KR20190044391A (en) Walking supporter using air pressure
KR20190098010A (en)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KR20190109184A (en) Power assisting apparatus performing protection operation for drive system
KR20190101255A (en)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WO2019091498A1 (en) Assistance robot without fixed seat, assistanc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107326A (en)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adjustable to height
JP6160415B2 (en) Chair for walking assist device
KR20190098012A (en)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having 2way handle structure
KR20190108385A (en) Multi-function compound supporting device adjustable to height
TW201315457A (en) Manually operated moving vehicle
CN211750870U (en) Hand-free walking st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