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627A - 제어 영역에서의 데이터 송신 - Google Patents

제어 영역에서의 데이터 송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627A
KR20190108627A KR1020197025769A KR20197025769A KR20190108627A KR 20190108627 A KR20190108627 A KR 20190108627A KR 1020197025769 A KR1020197025769 A KR 1020197025769A KR 20197025769 A KR20197025769 A KR 20197025769A KR 20190108627 A KR20190108627 A KR 20190108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control resource
region
control
re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554B1 (ko
Inventor
소로우르 파라하티
로버트 발데마이르
정-후 쳉
캐롤라 파로니우스
하비쉬 쿠라파티
프레드릭 오베스요
스테판 파르크발
크리스티안 스케르비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9010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가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제어 자원 세트(CORESET))과 중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는 데이터 송신 영역에 대해 배제/포함된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에서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 영역에서의 데이터 송신
본 출원은 2017년 2월 6일자로 출원된 명칭이 "제어 영역에서의 데이터 송신(DATA TRANSMISSIONS IN CONTROL REGIONS)"인 미국 가출원 제62/455,5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특정 실시예는 무선 통신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제어 영역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에 관한 것이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fifth generation) NR(New Radio) 시스템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예를 들어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 및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uplink scheduling grant)을 위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사용한다. PDCCH는 일반적으로 슬롯의 시작 부분에서 송신되며, 동일하거나 이후의 슬롯에 있는 데이터에 관련된다(미니 슬롯의 경우 PDCCH는 또한 보통의 슬롯 내에서 송신될 수 있음). PDCCH의 상이한 포맷(크기)은 상이한 DCI 페이로드 크기 및 상이한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즉, 주어진 페이로드 크기에 대한 상이한 코드 레이트)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는 상이한 집성 레벨 및 DCI 페이로드 크기의 다수의 PDCCH 후보를 블라인드하게(blindly) 모니터링(또는 검색)하도록 (암시적 및/또는 명시적으로) 구성된다. 유효한 DCI 메시지를 검출하면(즉, 후보의 디코딩이 성공적이고, DCI는 UE가 모니터링하는 아이덴티티(ID)를 포함함), UE는 DCI를 따른다(예를 들어, 상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업링크에서 송신함). 블라인드 디코딩 프로세스는 UE의 복잡성에 비용이 들지만 상이한 DCI 페이로드 크기의 유연한 스케줄링 및 처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NR은 UE가 PDCCH 송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제어 자원 영역을 구성하는 방법 및 UE가 다중 제어 자원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사양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영역 중 일부는 다수의 UE를 위해 의도된 공통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일부는 UE 특정 제어 메시지를 위해 의도될 수 있다. 제어 영역은 공통 및 UE 특정 제어 메시지 모두를 서빙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와 NR의 하나의 차이점은 반송파 대역폭이 더 클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 영역이 반송파의 전체 대역폭을 스패닝(spanning)하지 않을 경우에 유리하다. 따라서, 제어 영역은 시간 및 주파수가 제한될 수 있다.
제어 영역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UE가 영역 내에서 확실히 시그널링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이를 위해, 제어 메시지를 검색하기 위해 제어 영역에 할당된 UE의 수가 제어 영역에서 이용 가능한 자원보다 훨씬 큰 경우 통계적 멀티플렉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UE에 대한 검색 공간은 임의의 특정 UE가 스케줄링될 필요가 있을 때 블로킹 확률(blocking probability)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계적 멀티플렉싱이 사용될 수 있도록 랜덤화된다. 따라서, 제어 영역은 다수의 UE에 대한 PDCCH를 동시에 시그널링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고, 제어 영역을 모니터링하도록 할당되는 UE의 수는 동시에 시그널링될 수 있는 UE의 수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UE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 영역이 구성될 수 있으며, UE는 하나 이상의 PDCCH의 잠재적 수신을 모니터링한다. 하나의 UE 또는 상이한 UE에 대한 제어 영역은 원칙적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기존의 솔루션은 UE에 다중 제어 영역이 구성되는 상황을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한다. 이는 또한 제어 자원를 재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원하는 옵션에 대한 시그널링 복잡성을 최적화하지 못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제어 영역 자원이 재사용되어야 하는 방법을 UE에게 알려주는 3가지 양태에 대한 사용자 장치(UE)로의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이것은 데이터 송신의 시작 위치,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 및 제어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자원을 재사용하지 않는 옵션을 포함하여 UE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어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자원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옵션이다.
특정 실시예는 가능한 적은 비트를 갖는 필드를 사용하고, 상술한 3가지 양태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제어 자원의 재사용을 위한 특정 옵션을 가진 필드에 대한 값을 인코딩함으로써 이러한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최적화한다. 특정 실시예는 UE에 대해 정의된 하나 이상의 제어 영역에서 전적으로 발생하도록 매우 낮은 대기 시간(latency)으로 긴급하게 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은 반송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각각의 제어 자원 영역은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포함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제 1 제어 자원 영역에서 제어 채널 영역(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어 채널 영역은 제 1 제어 자원 영역의 시간 주파수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의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제어 채널 영역에 대한 자원을 배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외부의 자원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동일할 수 있거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배제한다.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모든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비트맵을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트맵은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특정 실시예에서,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는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제어 자원 영역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반송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각각의 제어 자원 영역은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제 1 제어 자원 영역에서 제어 채널 영역(예를 들어, PDCCH)을 결정하도록 더 동작 가능하다. 제어 채널 영역은 제 1 제어 자원 영역의 시간 주파수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하고, 및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하도록 더 동작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의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제어 채널 영역에 대한 자원을 배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외부의 자원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동일할 수 있거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배제한다.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모든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처리 회로는 비트맵을 시그널링함으로써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비트맵은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특정 실시예에서, 처리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를 시그널링함으로써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는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제어 자원 영역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가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과 중첩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에서의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자원을 배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 및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동일할 수 있거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배제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 내의 모든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한다. 비트맵은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자원 영역, 및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배제된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가 제어 자원 영역과 중첩하는 것을 결정하며;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는 결정 모듈 및 시그널링 모듈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은 반송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각각의 제어 자원 영역은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 모듈은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제 1 제어 자원 영역에서 제어 채널 영역을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하도록 더 동작 가능하다. 시그널링 모듈은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수신 모듈 및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은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결정 모듈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가 제어 자원 영역과 중첩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수신 모듈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더 동작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또한 개시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반송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제 1 제어 자원 영역에서 제어 채널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한다.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가 제어 자원 영역과 중첩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는 다음의 기술적 이점 중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는 구성된 제어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은 자원을 재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량을 최대화하는 유연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는 낮은 대기 시간 송신이 데이터 송신과 멀티플렉싱될 수 있게 하는 강력한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기술적 이점은 다음의 도면, 설명 및 청구 범위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및 이의 특징 및 이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링된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 및 데이터에 대한 시작 심볼에 의해 나타내어진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내의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링된 PRB 및 데이터에 대한 시작 심볼에 의해 나타내어진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내에서만 CORESET에서의 자원의 재사용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링된 PRB 내에서만 CORESET에서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 CORESET 내에서만 CORESET 내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다른 UE에 대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기 위해 CORESET 내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UE)에 의해 데이터를 위해 재사용되는 자원의 펑처링(puncturing)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CORESET 외부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임의의 자원할당 없이 데이터 송신을 위한 CORESET에서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PDCCH가 수신된 심볼에서 CORESET 외부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임의의 자원 할당 없이 데이터 송신을 위한 CORESET에서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 CORESET 외부의 데이터 송신의 임의의 자원 할당 없이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CORESET에서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a는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b는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a는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b는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fifth generation) NR(New Radio)은 사용자 장치(UE)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송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제어 자원 영역을 구성하는 방법 및 UE가 다중 제어 자원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사양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영역 중 일부는 다수의 UE를 위해 의도된 공통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일부는 UE 특정 제어 메시지를 위해 의도될 수 있다. 제어 영역은 공통 및 UE 특정 제어 메시지 모두를 서빙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와 NR의 하나의 차이점은 반송파 대역폭이 더 클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반송파의 전체 대역폭을 스패닝하지 않는 제어 영역에서 이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 영역은 시간 및 주파수가 제한될 수 있다.
제어 영역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UE가 영역 내에서 확실히 시그널링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상이한 UE에 대한 검색 공간은 임의의 특정 UE가 스케줄링될 필요가 있을 때 블로킹 확률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계적 멀티플렉싱이 사용될 수 있도록 랜덤화된다.
그러나, 저 부하 조건에서, 제어 영역에서 PDCCH가 송신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UE만이 종종 있을 수 있다. 이러한 UE는 제어 영역 외부의 슬롯의 나머지 부분에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어 영역 내에서 사용되지 않은 자원은 낭비된다. 따라서, 스케줄링된 UE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제어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은 자원을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RESET는 UE에 구성되는 제어 자원 세트이다. CORESET는 주파수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세트를 시간적으로(in time) 스패닝하는 RE 세트이다. UE는 UE가 하나 이상의 PDCCH의 잠재적 수신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CORESET를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UE 또는 상이한 UE에 대한 CORESET는 원칙적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간단히 하기 위해, 아래의 도면에서, CORESET은 부분적으로 중첩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기존의 솔루션은 UE에 다중 제어 영역이 구성되는 상황을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한다. 이는 또한 제어 자원를 재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원하는 옵션에 대한 시그널링 복잡성을 최적화하지 못한다.
특정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하고, 제어 영역 자원이 재사용되어야 하는 방법을 UE에게 알려주는 3가지 양태에 대한 UE로의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이것은 데이터 송신의 시작 위치,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 및 제어 영역에서 임의의 사용되지 않는 자원을 재사용하지 않는 옵션을 포함하여 UE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어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자원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옵션이다.
특정 실시예는 가능한 적은 비트를 갖는 필드를 사용하고, 상술한 3가지 양태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제어 자원의 재사용을 위한 특정 옵션을 가진 필드에 대한 값을 인코딩함으로써 이러한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최적화한다. 특정 실시예는 UE에 대해 정의된 하나 이상의 제어 영역에서 전적으로 발생하도록 매우 낮은 대기 시간으로 긴급하게 송신되어야 하는 데이터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실시예는 구성된 제어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은 자원을 재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량을 최대화하는 유연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는 낮은 대기 시간 송신이 데이터 송신과 멀티플렉싱될 수 있게 하는 강력한 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의 설명은 수많은 특정 상세 사항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상세 사항없이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다른 인스턴스(instance)에서, 잘 알려진 회로, 구조 및 기술은 이러한 설명의 이해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다. 통상의 기술자는, 포함된 설명으로, 과도한 실험없이 적절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등에 대한 참조는 설명된 실시예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모든 실시예가 반드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는 없음을 나타낸다. 더욱이, 이러한 문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때, 명시적으로 설명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구현하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의 지식 내에 있다고 제시된다.
특정 실시예는 도면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유사한 도면 부호는 다양한 도면의 동일 및 상응하는 부분에 사용된다. LTE는 예시적인 셀룰러 시스템으로서 본 개시의 전반에 걸쳐 사용되지만, 본 명세서에 제시된 아이디어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10)(예컨대, 휴대 전화, 스마트 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MTC 디바이스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및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120)(예컨대, 기지국 또는 eNodeB)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UE로서 지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커버리지 영역(115)(또한 셀(115)라고 함)을 서빙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서빙되는 셀(115) 내에 있는) 네트워크 노드(120)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무선 디바이스(110)는 무선 신호(130)를 송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 노드(12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 및 네트워크 노드(120)는 음성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 및/또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130)를 전달할 수 있다. 음성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 및/또는 제어 신호를 무선 디바이스(110)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노드(120)는 무선 디바이스(110)용 서빙 네트워크 노드(120)로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와 네트워크 노드(120) 사이의 통신은 셀룰러 통신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신호(130)는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10)로의) 다운링크 송신 및(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네트워크 노드(120)로의) 업링크 송신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20)는 신호(130)를 무선 디바이스(110)로 송신하는 단일 송신기(140) 또는 다중 송신기(140)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EMO)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노드(120)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신호(130)를 수신하는 단일 수신기 또는 다중 수신기를 가질 수 있다.
무선 신호(130)는 제어 자원으로서 할당된 특정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은 제어 영역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제어 자원으로서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일례는 CORESET이다. 다른 실시예는 다른 타입의 제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반송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을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자원 영역은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물리적 자원 블록, OFDM 심볼, 주파수 범위 등에 의해 설명됨)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어 자원 영역에서 제어 채널 영역(예를 들어, PDCCH)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채널 영역은 제 1 제어 자원 영역의 시간 주파수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어 자원 영역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110)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어 영역 자원이 재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무선 디바이스(110)에 알려주는 3가지 양태에 대한 무선 디바이스(110)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것은 데이터 송신의 시작 위치,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 및 제어 영역에서 임의의 사용되지 않는 자원을 재사용하지 않는 옵션을 포함하여 무선 디바이스(110)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어 영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자원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옵션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의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제어 채널 영역에 대한 자원을 배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비트맵을 사용하여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110)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비트맵은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또는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영역과 관련하여 포함하거나 배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110)는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을 수신한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가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과 중첩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에서 데이터 송신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자원을 사용하고 재사용하기 위한 특정 방법은 도 2-9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20)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UMTS, HSPA, GSM, cdma2000, NR, WiMax, WiFi 및/또는 다른 적절한 무선 액세스 기술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기술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위해, 다양한 실시예가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의 맥락 내에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는 이러한 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 사이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다른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유선 전화(landline telephone))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에적절한 임의의 부가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1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는 아래의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는 아래의 도 11과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한다. PDCCH 메시지가 주파수의 자원, 즉 UE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를 나타낼 수 있고, PDCCH 메시지가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작 심볼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일부 시그널링의 부분이 알려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또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UE에 구성된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에서 사용되지 않은 자원을 재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CORESET의 관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서의 예이지만, 이러한 예 및 실시예는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또는 임의의 다른 정의된 자원 영역에 적용된다.
제 1 그룹의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작 심볼의 해석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작 심볼은 UE에 구성된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 외부에 완전히 있는 PRB에만 적용 가능하다. 즉, 아래의 실시예에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방법에 의해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UE는 데이터 송신(PDSCH)이 할당된 PRB 및 시작 심볼에 의해 나타내어진 시간 및 주파수의 RE에 매핑되지만, UE에 구성된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의 일부인 임의의 RE를 배제한다고 가정한다.
제 2 그룹의 실시예는 UE가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을 수신하는 자원을 피하기 위한 제어 영역 재사용을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재사용되는 제어 자원 영역의 자원은 PDCCH가 수신된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그룹의 실시예는 UE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시작 심볼 및 RB에 의해 주어진 자원 할당을 따른다는 점에서 제 1 그룹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할당으로부터 전체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에서 모든 RE를 배제하는 대신에, UE가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을 검출한 RE만이 배제된다.
제 3 그룹의 실시예는 스케줄링된 PRB 및 데이터에 대한 시작 심볼에 의해 나타내어진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내의 제어 영역 재사용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의 자원은 스케줄링된 PRB 및 데이터에 대한 시작 심볼에 의해 나타내어진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내에서만 재사용된다. 이것은 UE가 CORESET에서 PDCCH를 수신하지만, UE가 CORESET 대역폭의 일부만을 스패닝하는 PRB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링된 PRB 및 데이터에 대한 시작 심볼에 의해 나타내어진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내에서만 CORESET에서의 자원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는 복수의 OFDM 심볼(42)을 포함하는 송신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송신 시간 간격은 제어 자원 영역(10)(예를 들어, 10a 및 10b), 제어 채널(12) 및 데이터 송신 영역(14)을 포함한다.
스케줄링된 데이터 송신 영역(14a)에 대한 제어 채널(12)(예를 들어, PDCCH(12))을 수신하는 UE에는 2개의 제어 자원 영역(10a)(예를 들어, CORESET(10a))이 구성된다. 제어 자원 영역(10a)은 첫 번째 2개의 OFDM 심볼에서 2개의 PRB 그룹을 포함한다. 제어 자원 영역(10B)은 첫 번째 2개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그룹을 포함한다. 상술한 네트워크 노드(120)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는 상술한 무선 디바이스(110)와 같이 제어 채널을 UE에 송신하기 위해 제어 자원 영역(10)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다운링크 송신(예를 들어, DCI를 갖는 PDC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제어 채널(12)을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될 것임을 UE에 나타낸다.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은 데이터 송신 영역(14)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 1 OFDM 심볼에서 시작하여, 송신 시간 간격의 각각의 OFDM 심볼로 계속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외부 제어 자원 영역(10a)과 동일한 내부 제어 자원 영역(10a)이다. 제어 자원 영역(10a) 내부의 데이터 송신 영역(14)의 부분은 제어 채널 영역(12)과 중첩되지 않는다.
도 3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링된 PRB 및 데이터에 대한 시작 심볼에 의해 나타내어진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내에서만 CORESET에서의 자원 재사용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는 복수의 OFDM 심볼(42), 제어 자원 영역(10), 제어 채널(12 및 16), 및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 18)을 포함하는 송신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스케줄링된 데이터 송신 영역(14)에 대한 제어 채널(12)(예를 들어, PDCCH(12))을 수신하는 제 1 UE에는 첫 번째 2개의 OFDM 심볼에서의 2개의 제어 자원 영역(10a)(예를 들어, CORESET(10a))이 구성된다. 스케줄링된 데이터 송신 영역(18)에 대한 제 2 UE 수신 제어 채널(16)(예를 들어, PDCCH(16))에는 첫 번째 2개의 OFDM 심볼에서의 2개의 제어 자원 영역(10a)(예를 들어, CORESET(10a))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12)(예를 들어, PDCCH(12))을 제 1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하여 데이터 송신 영역(14)에 의해 나타내어진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16)(예를 들어, PDCCH(16))을 제 2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하여 데이터 송신 영역(18)에 의해 나타내어진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 1 OFDM 심볼에서 시작하여 송신 시간 간격의 각각의 OFDM 심볼로 계속된다.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또한 제 1 OFDM 심볼에서 시작하여 송신 시간 간격의 각각의 OFDM 심볼로 계속되지만, 데이터 송신 영역(14)과 상이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한다.
도시된 예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외부 제어 자원 영역(10a)과 상이한 내부 제어 자원 영역(10a)이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외부 제어 자원 영역(10b)과 동일한 내부 제어 자원 영역(10b)이다. 제어 자원 영역(10a) 내부의 데이터 송신 영역(14)의 부분은 제어 채널 영역(12)을 배제한다. 제어 자원 영역(10a) 내부의 데이터 송신 영역(18)의 부분은 제어 채널 영역(16)을 배제한다.
제 4 그룹의 실시예는 스케줄링된 PRB에 의해 나타내어진 주파수 영역과 무관한 제어 영역 재사용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의 자원은 스케줄링된 PRB에 의해 나타내어진 주파수 영역과 무관하게 재사용된다. 이것은 UE가 CORESET에서 PDCCH를 수신하지만, UE가 CORESET 대역폭의 일부만을 스패닝하는 PRB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도 4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CORESET 내의 자원은 데이터 수신을 위해 스케줄링된 PRB의 주파수 영역을 벗어나는 PRB를 포함하여 완전히 재사용된다.
도 4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링된 PRB 내에서만 CORESET에서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복수의 OFDM 심볼(42), 제어 자원 영역(10), 제어 채널(12) 및 데이터 송신 영역(14)을 포함하는 송신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스케줄링된 데이터 송신 영역(14)에 대한 제어 채널(12)(예를 들어, PDCCH(12))을 수신하는 UE에는 첫 번째 2개의 OFDM 심볼에서 2개의 제어 자원 영역(10a)(예를 들어, CORESET(10a))이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외부 제어 자원 영역(10a)과 상이한 내부 제어 자원 영역(10a)이다. 예를 들어, 제어 자원 영역(10a)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제어 자원 영역(10a) 외부에 있는 데이터 송신 영역(14)의 부분에 사용되는 대역폭보다 크다. 제어 자원(10a) 내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어 자원 영역(10a)의 전체 대역폭을 사용한다(제어 채널 영역(12)에 사용되는 자원을 배제함).
도 5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 CORESET 내에서만 CORESET 내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복수의 OFDM 심볼(42), 제어 자원 영역(10), 제어 채널(12 및 16), 및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 18)을 포함하는 송신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스케줄링된 데이터 송신 영역(14)에 대한 제어 채널(12)(예를 들어, PDCCH(12))을 수신하는 UE에는 첫 번째 2개의 OFDM 심볼에서 2개의 제어 자원 영역(10a)(예를 들어, CORESET(10a))이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외부 제어 자원 영역(10a)과 상이한 내부 제어 자원 영역(10a)이다.
예를 들어, 제어 자원 영역(10a)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제어 자원 영역(10a) 외부에 있는 데이터 송신 영역(14)의 부분에 사용되는 대역폭보다 작다. 유사하게, 제어 자원 영역(10a)의 주파수 도메인 대역폭은 제어 자원 영역(10a) 외부에 있는 데이터 송신 영역(18)의 부분에 사용되는 대역폭보다 작다. 제어 자원(10a) 내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 18)은 (제어 채널 영역(12 및 16)에 사용되는 자원을 배제한) 제어 자원 영역(10a)의 전체 대역폭을 사용한다.
제 5 그룹의 실시예는 다른 UE에 대한 PDCCH를 송신하기 위해 하나의 UE에 의해 제어 영역에서 재사용되는 데이터 자원을 펑처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2개의 UE는 CORESET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첩될 수 있는 PDCCH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UE는 다른 UE에 대한 PDCCH 송신에 사용되는 자원이 자체 데이터 송신의 일부라고 가정한다. gNB는 각각의 UE에 대한 PDSCH 송신의 코딩 레이트를 조정함으로써 이러한 펑처링으로 인한 성능의 손실을 조정한다. 이것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UE 중 하나에 대한 PDCCH(예를 들어, 제어 채널(12))에 사용되는 자원은 다른 UE에 의한 데이터 RE라고 가정된다(이의 PDCCH 및 데이터 송신은 각각 제어 채널(16) 및 데이터 송신 영역(18)에 의해 예시됨).
도 6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다른 UE에 대한 PDCCH를 송신하기 위해 CORESET에서 하나의 UE에 의해 데이터에 재사용된 자원의 펑처링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는 상술한 것과 유사하게 복수의 OFDM 심볼(42), 제어 자원 영역(10), 제어 채널(12 및 16), 및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 18)을 포함하는 송신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스케줄링된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 18))에 대한 제어 채널(12 및 16)(예를 들어, PDCCH(12 및 16))을 수신하는 2개의 UE에는 각각이 완전히 중첩되는 첫 번째 2개의 OFDM 심볼에서 2개의 제어 자원 영역(10a)(예를 들어, CORESET(10a))이 구성된다.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 3 OFDM 심볼에서 시작하여 송신 시간 간격의 끝까지 계속된다.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어 자원 영역(10) 내에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다. 데이터 송신 영역(18)은 제 1 OFDM 심볼에서 시작하여 송신 시간 간격의 끝까지 계속된다. 데이터 송신 영역(18)은 제어 자원 영역(10a 및 10b) 내에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포함한다. 제어 자원 영역(10a) 내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18)은 제어 자원 영역(16)을 배제하지만, 제어 자원 영역(12)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제 6 그룹의 실시예는 제어 영역 외부의 임의의 스케줄링된 데이터없이 데이터에 대한 제어 영역 자원의 재사용을 포함한다. 전체 데이터 송신은 UE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CORESET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UE는 CORESET 외부의 영역에서 데이터에 할당된 임의의 RE 없이 데이터에 대한 제어 영역 자원의 재사용을 나타내는 필드를 갖는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UE는 PDCCH가 수신된 CORESET 내의 자원 및 또한 가능하게는 gNB에 의해 송신된 제어 메시지의 필드에 나타내어진 것에 따라 다른 구성된 CORESET에서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것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CORESET 외부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임의의 자원 할당없이 데이터 송신을 위한 CORESET에서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는 상술한 것과 유사하게 복수의 OFDM 심볼(42), 제어 자원 영역(10), 제어 채널(12 및 16), 및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 18)을 포함하는 송신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PDCCH 및 스케줄링된 데이터 송신을 갖는 UE는 각각 제어 채널(12) 및 데이터 송신 영역(14)으로서 도시된다. 스케줄링된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 18))에 대한 제어 채널(12 및 16)(예를 들어, PDCCH(12 및 16))을 수신하는 2개의 UE에는 각각 완전히 중첩되는 첫 번째 2개의 OFDM 심볼에서 2개의 제어 자원 영역(10a)(예를 들어, CORESET(10a))이 구성된다.
데이터 송신 영역(18)은 제 1 OFDM 심볼에서 시작하여 송신 시간 간격의 끝까지 계속된다. 데이터 송신 영역(18)은 제어 자원 영역(10a 및 10b) 내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포함한다(제어 채널 영역(16)을 배제함).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어 자원 영역(10a) 내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만을 포함한다(제어 자원 영역(12)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배제함).
본 실시예의 특징에서, gNB는 매우 낮은 대기 시간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고, 동일한 슬롯에서 수신된 PDCCH를 통하거나 이전의 슬롯으로부터 해당 슬롯에 스케줄링될 수 있는 다른 UE가 있을 때에도 특정 슬롯으로 송신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트래픽을 제공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일부 CORESET에서 이러한 데이터 송신의 표현 목적을 위해 UE에 다수의 CORESET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서, MB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대 TBS(transport block size) 매핑은 상술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ORESET에서만 발생하는 데이터 송신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ARQ는 DCI 메시지로 송신되는 이러한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HARQ ID를 갖는 이러한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의 추가의 특징에서, CORESET 내에서만 데이터 송신을 위해 부가적인 독립형(self-contained) DMRS가 CORESET에 포함된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DMDC 패턴 및 PDCCH에 대한 것과 일치하는 위치를 삽입하는 것이다.
제 7 그룹의 실시예는 PDCCH와 동일한 심볼에서 제어 영역 외부의 임의의 스케줄링된 데이터 없이 데이터에 대한 제어 영역 자원의 재사용을 포함한다. 전체 데이터 송신은 UE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CORESET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CORESET 외부 영역에서 데이터에 대해 할당된 임의의 RE 없이 PDCCH가 발견된 것과 동일한 심볼에서 데이터에 대한 제어 영역 자원의 재사용을 나타내는 필드를 갖는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예가 도 8에 도시된다.
도 8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PDCCH가 수신된 심볼에서 CORESET 외부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임의의 자원 할당 없이 데이터 송신을 위한 CORESET에서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는 상술한 것과 유사하게 복수의 OFDM 심볼(42), 제어 자원 영역(10), 제어 채널(12 및 16), 및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 18)을 포함하는 송신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PDCCH 및 스케줄링된 데이터 송신을 갖는 제 1 UE은 각각 제어 채널(12) 및 데이터 송신 영역(14)으로서 도시되고, PDCCH 및 스케줄링된 데이터 송신을 갖는 제 2 UE은 각각 제어 채널(16) 및 데이터 송신 영역(18)으로서 도시된다.
스케줄링된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 18))에 대한 PDCCH(예를 들어, 제어 채널(12 및 16))을 수신하는 2개의 UE에는 각각이 완전히 중첩되는 첫 번째 2개의 OFDM 심볼에서 2개의 제어 자원 영역(10a)(예를 들어, CORESET(10a))이 구성된다.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 1 OFDM 심볼로 구성되고, 제어 자원 영역(10a)의 대역폭을 포함한다(제어 자원 영역(12)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배제함). 데이터 송신 영역(18)은 제 2 OFDM 심볼로 구성되고, 제어 자원 영역(10a)의 대역폭을 포함한다(제어 자원 영역(16)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배제함).
제 8 그룹의 실시예는 시작 시간 및 제어 영역 재사용 옵션의 공동 인코딩을 포함한다. 주파수 영역은 다수의(아마 동일하지 않은 크기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에 대해, 시그널링은 CORESET에 의해 스패닝된 OFDM 심볼 동안 해당 주파수 영역 내의 RE가 자원 할당으로부터 배제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UE에 통지한다. 이는 제 1 그룹의 실시예와 어느 정도 유사하지만, CORESET을 배제하는 대신에, gNB에 의해 나타내어진 영역은 배제된다. 하나의 이점은 gNB가 다른 사용자의 CORESET과의 중첩을 알고 있는 자원을 또한 배제하기 위해 gNB가 UE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파수 영역은 총 대역폭의 각 1/4인 4/4로 분할될 수 있다. 비트맵은 특정 분기(quarter)가 자원 할당으로부터 배제될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9 그룹의 실시예는 시작 시간 및 제어 영역 재사용 옵션의 공동 인코딩을 포함한다. 단일 필드는 데이터가 시작되는 OFDM 심볼 및 UE에 구성된 제어 영역이 데이터 송신을 위해 재사용되어야 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필드의 값에 대한 인코딩의 예는 아래에서 설명되며, 여기서는 3비트가 사용된다. 다음에서, CORESET는 PDCCH 메시지가 수신되는 제어 영역을 지칭한다.
Figure pct00001
000: 시작 심볼은 스케줄링된 모든 PRB에 대해 CORESET 뒤에 있고 스케줄링된 PRB에서 스케줄링된 CORESET에서의 PDCCH 외부의 모든 RE가 데이터를 위해 사용된다.
Figure pct00002
001: 시작 심볼은 스케줄링된 모든 PRB에 대해 0이고 스케줄링된 PRB에서 스케줄링된 CORESET에서의 PDCCH 외부의 모든 RE가 데이터를 위해 사용된다.
Figure pct00003
010: 시작 심볼은 스케줄링된 모든 PRB에 대해 1이고 스케줄링된 CORESET에서의 PDCCH 외부의 모든 RE가 데이터를 위해 사용된다.
Figure pct00004
011: 시작 심볼은 스케줄링된 모든 PRB에 대해 CORESET 뒤에 있고 UE에 구성된 모든 CORESET에서의 PDCCH 외부의 모든 RE가 데이터를 위해 사용된다.
Figure pct00005
100: 시작 심볼은 스케줄링된 모든 PRB에 대해 CORESET 뒤에 있고 CORESET의 제 1 심볼를 배제한 스케줄링된 CORESET에서의 PDCCH 외부의 모든 RE가 데이터를 위해 사용된다.
Figure pct00006
101: 시작 심볼은 스케줄링된 모든 PRB에 대해 CORESET 뒤에 있고 임의의 구성된 CORESET에서의 RE가 데이터를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07
110: 데이터는 스케줄링된 CORESET에서만 송신되고 PDCCH 외부의 RE는 데이터를 위해 사용된다.
Figure pct00008
111: 시작 심볼은 스케줄링된 모든 PRB에 대해 CORESET 뒤에 있고 스케줄링된 CORESET에서의 PDCCH 외부의 모든 RE는 데이터를 위해 사용된다.
제 10 그룹의 실시예는 제어 영역을 스패닝하는 OFDM 심볼의 자원의 재사용을 나타내는 비트맵의 명시적인 사용을 포함한다. 구성된 CORESET이 상주하는 제어 영역을 스패닝하는 OFDM 심볼의 특정 자원 그룹에는 이러한 자원이 데이터 할당의 일부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별개의 비트가 할당될 수 있다. 비트가 할당될 수 있는 영역은,
1) PDCCH 스케줄링 데이터가 수신된 것과 다른 OFDM 심볼에 있는 CORESET의 RE;
2) PDCCH 스케줄링 데이터가 수신된 OFDM 심볼 내에 있는 CORESET의 RE; 및
3) 특정 OFDM 심볼에서 스케줄링된 PRB에 있지만 CORESET 외부에 있는 RE를 포함한다.
제 11 그룹의 실시예는 업링크 송신을 위한 제어 자원 세트의 사용을 포함한다. 전체 데이터 송신은 업링크 송신을 위해 UE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CORESET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체 데이터 송신은 업링크 송신을 위해 UE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모든 CORESET 외부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슬롯에서, DCI 메시지는 해당 슬롯의 제 1 심볼과 상이한 심볼로부터 시작하여 다음의 슬롯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또한, 이전의 슬롯에서의 업링크 승인은 다운링크 송신 전에 다음의 슬롯에서 업링크 송신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 CORESET 외부의 데이터 송신의 임의의 자원 할당없이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CORESET에서의 자원의 재사용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는 복수의 OFDM 심볼, 제어 자원, 영역(10), 제어 채널(12, 16 및 20), 및 데이터 송신 영역(14, 18 및 22)을 포함하는 송신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120)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110)와 같이 제어 채널을 UE에 송신하기 위해 제어 자원 영역(10)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어 채널(12)을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하여 업링크 송신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예를 들어, DCI를 갖는 PDCCH).
일례로서, 제어 자원 영역(10b)에서 제어 채널(20)을 수신하는 UE는 제어 자원 영역(10b)(예를 들어, CORESET(10b)) 외부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임의의 자원없이 업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영역(22))에 대해 (화살표(22)에 의해 나타내어진) 다음 제어 자원 영역(10b)(예를 들어, CORESET(10b))의 자원을 재사용한다. 슬롯 n+1의 UE는 이전의 슬롯 n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 영역(12 및 16)은 (도 9에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n 및 슬롯 n+1에 대한 스케줄링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또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7 및 8의 그룹은 이전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UE에 대한 다수의 PDDCH 송신뿐만 아니라 제어 자원 세트에서 UE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및 동기화 신호와 같은 다른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송신과 다른 어떤 것을 위해 사용되는 UE에 알려진 모든 자원은 제어 자원 세트에서 사용된 자원으로 간주된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10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무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단계(106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는 반송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어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CORESET(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제어 자원)(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도시된 제어 자원 영역(10))을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100)의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시그널링 또는 다른 통신을 수신하는 것과 같이) 제어 자원 영역(10)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 노드(120)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거나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단계(1064)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제 1 제어 자원 영역에서의 제어 채널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어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 자원 영역에서 PDCCH(예를 들어,도 2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도시된 제어 채널(12, 16 또는 18))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채널은 제어 자원 영역을 포함하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나머지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은 다른 제어 채널에 사용되거나,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100)의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시그널링 또는 다른 통신을 수신하는 것과 같이) 제어 자원 영역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 노드(120)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거나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단계(1066)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제어 자원 영역(10)이 사용되지 않은 자원(즉,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은 자원)을 포함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이러한 자원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일부 사용된 자원(예를 들어, 더 낮은 우선 순위의 사용자 또는 서비스를 위한 제어 채널이 더 높은 우선 순위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펑처링될 수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의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 영역(14)이 제어 자원 영역(10a)에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제어 채널 영역에 대한 자원을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관련하여,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어 채널 영역(12)을 배제한다. 다른 예로서,도 3과 관련하여,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어 채널 영역(12)에 의해 사용되는 자원을 제외한 제어 영역(10a)의 모든 자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외부의 자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6은 모두 제어 자원 영역(10)의 내부 및 외부의 자원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또는 18)을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도 2의 데이터 송신 영역(14))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동일할 수 있거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도 3의 데이터 송신 영역(14))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배제한다(예를 들어, 도 7의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어 자원 영역(10a) 내에 완전히 포함됨).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 모든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7의 데이터 송신 영역(18)은 제어 자원 영역(10b)의 모든 자원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 또는 예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1068)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20)는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110)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그널링은 시작 심볼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다수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자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알려진 제어 영역에 기초하여 배제된 영역을 암시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배제된 자원 영역을 명시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비트맵을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트맵은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및/또는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는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된 제어 자원 영역, 및/또는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제어 자원 영역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도 2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 또는 예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데이터 송신 영역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방법(1000)에 대한 수정, 부가 또는 생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1의 방법(1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병렬 또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1000)의 단계는 필요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 11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무선 네트워크(100)의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단계(116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1164)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가 제어 자원 영역과 중첩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송신 영역이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10)의 자원을 포함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 영역(14)이 제어 자원 영역(10a)에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예는 도 2에 도시된다.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제어 채널 영역에 대한 자원을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관련하여,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어 채널 영역(12)을 배제한다. 다른 예로서, 도 3과 관련하여,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어 채널 영역(12)에 의해 사용되는 자원을 제외한 모든 제어 영역(10a)의 자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외부의 자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6은 모두 제어 자원 영역(10)의 내부 및 외부 둘 다에 자원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영역(14 및/또는 18)을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도 2의 데이터 송신 영역(14))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동일할 수 있거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도 3의 데이터 송신 영역(14))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배제한다(예를 들어, 도 7의 데이터 송신 영역(14)은 제어 자원 영역(10a) 내에 완전히 포함됨).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 모든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7의 데이터 송신 영역(18)은 제어 자원 영역(10b)의 모든 자원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 또는 예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송신의 특정 영역이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알려진 제어 영역에 기초하여 암시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배제된 자원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시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비트맵으로 무선 디바이스(110)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비트맵은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및/또는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는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로 무선 디바이스(110)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는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된 제어 자원 영역 및/또는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제어 자원 영역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도 2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 또는 예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데이터 송신 영역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단계(1166)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에서 데이터 송신을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에서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특정 영역을 무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방법(1100)에 대한 수정, 부가 또는 생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11의 방법(1100)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병렬 또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1100)의 단계는 필요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도 12a는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110)의 일례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 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의 특정 예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컴퓨터(예를 들어, 랩톱, 태블릿), 센서, 모뎀, MTC(machine type) 디바이스/M2M(machine to machine) 디바이스, LEE(laptop embedded equipment),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dongle),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가능 디바이스, 차량 대 차량 디바이스,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송수신기(1010), 처리 회로(1020), 메모리(1030) 및 전원(104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010)는 무선 신호를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120)로 송신하고 무선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처리 회로(1020)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실행하고, 메모리(1030)는 처리 회로(10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전원(1040)은 송수신기(1010), 처리 회로(1020) 및/또는 메모리(103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처리 회로(1020)는 무선 디바이스의 설명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또는 모듈로 구현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 회로(10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다른 로직, 및/또는 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1020)는 무선 디바이스(110)의 설명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1020)는 저항기, 커패시터, 인덕터,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회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1020)는 아래의 방법 청구항의 단계 중 임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1030)의 예는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대용량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이동식 저장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또는 DVD(Digital Video Disk),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전원(1040)은 일반적으로 전력을 무선 디바이스(110)의 구성 요소에 공급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전원(1040)은 리튬-이온, 리튬-공기, 리튬 폴리머, 니켈 카드뮴, 니켈 금속 수소화물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배터리, 또는 전력을 무선 디바이스에 공급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010)와 통신하는 처리 회로(1020)는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 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무선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기능 중 임의의 기능 및/또는 임의의 부가적인 기능(상술한 솔루션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임의의 기능을 포함함)을 포함하여 특정 양태의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공하는 (도 12a에 도시된 구성 요소 이외의) 부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b는 무선 디바이스(110)의 예시적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성 요소는 수신 모듈(1050) 및 결정 모듈(105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050)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모듈(1050)은 무선 디바이스(110)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1050)은 상술한 예 및 실시예 중 임의의 것(예를 들어, 도 11의 단계(1162))에 따라 제어 채널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1050)은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예를 들어, 도 11의 단계(1166))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1050)은 처리 회로(1020)를 포함하거나 처리 회로(1020)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1050)은 결정 모듈(1052)과 통신할 수 있다.
결정 모듈(1052)은 무선 디바이스(110)의 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052)은 상술한 예 및 실시예 중 임의의 것(예를 들어, 도 11의 단계(1164))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가 제어 자원 영역과 중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1052)은 처리 회로(1020)를 포함하거나 처리 회로(1020)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1052)은 수신 모듈(1050)과 통신할 수 있다.
도 13a는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120)의 일례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 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20)는 eNodeB, nodeB,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 저전력 노드, BTS(base transceiver station), 송신 포인트 또는 노드 일 수 있다. 원격 RF 유닛(remote RF unit, RRU),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1110), 처리 회로(1120),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130), 및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110)는 무선 신호를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110)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처리 회로(1120)는 네트워크 노드(120)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상술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를 실행하고; 메모리(1130)는 처리 회로(11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는 게이트웨이, 스위치, 라우터, 인터넷,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제어기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120)와 같은 백엔드(backend)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신호를 전달한다. 처리 회로(1120) 및 메모리(1130)는 상술한 도 12a의 처리 회로(1020) 및 메모리(1030)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타입일 수 있다. 처리 회로(1120)는 아래의 방법 청구항의 단계 중 임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는 처리 회로(11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네트워크 노드(12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노드(120)로부터의 출력을 송신하고, 입력 또는 출력 또는 둘 다의 적절한 처리를 수행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부로 전달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기 위해 프로토콜 변환 및 데이터 처리 능력을 포함하여 적절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포트, 모뎀, 네트워크 인터레이스 카드 등)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110)와 통신하는 처리 회로(1120)는 제어 자원 영역(예를 들어, CORESET) 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한다.
네트워크 노드(120)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기능 중 임의의 기능 및/또는 임의의 부가적인 기능(상술한 솔루션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임의의 기능을 포함함)을 포함하여 특정 양태의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을 제공하는 (도 13a에 도시된 구성 요소 이외의) 부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다양한 상이한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지만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지원하도록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성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이한 물리적 구성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3b는 네트워크 노드(120)의 예시적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성 요소는 결정 모듈(1150) 및 시그널링 모듈(1152)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 모듈(1150)은 네트워크 노드(120)의 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모듈(1150)은 반송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을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제 1 제어 자원 영역에서 제어 채널 영역을 결정하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 모듈(1150)은 상술한 예 및 실시예 중 임의의 것(예를 들어, 도 1의 단계(1062-1066))에 따라 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1150)은 처리 회로(1120)를 포함하거나 처리 회로(112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1150)은 시그널링 모듈(1152)과 통신할 수 있다.
시그널링 모듈(1152)은 네트워크 노드(120)의 시그널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모듈(1152)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 및 예 중 임의의 것(예를 들어, 도 10의 단계(1068))에 따라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시그널링 모듈(1152)은 처리 회로(1120)를 포함하거나 처리 회로(112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시그널링 모듈(1152)은 결정 모듈(1150)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 및 장치에 대한 수정, 부가 또는 생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 및 장치의 구성 요소는 통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 및 장치의 동작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 및 장치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로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각각(each)"은 세트의 각각의 멤버 또는 세트의 서브세트의 각각의 멤버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대한 수정, 부가 또는 생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법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계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실시예의 변경 및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아래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화,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사용된 약어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CK 확인 응답(Acknowledgement)
BLER Block Error Rate
BTS 송수신 기지국
CRC Cyclic Redundancy Check
CSI 채널 상태 정보
D2D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CI 다운링크 제어 정보
DL 다운링크
DMRS 복조 기준 신호
ePDCCH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NB eNodeB
FDD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HARQ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LTE Long Term Evolution
M2M machine to machine
MAC 매체 액세스 제어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IM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NAK Negative Acknowledgement
NR New Radio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PDC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S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PMI 프리코딩 행렬 인디케이터
PRB 물리적 자원 블록
PUC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PUS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RA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T 무선 액세스 기술
RB 자원 블록
RBS 무선 기지국
RE 자원 요소
RI 랭크 인덱스
RNC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RC 무선 자원 제어
RRH 원격 무선 헤드
RRU 원격 무선 유닛
RS 기준 신호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D 시분할 듀플렉스
TTI 송신 시간 간격
UCI 업링크 제어 정보
UE 사용자 장치
UL 업링크
UTRAN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WA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aims (44)

  1.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반송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1062)로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각각의 제어 자원 영역은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포함하는, 결정하는 단계(1062);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제 1 제어 자원 영역에서 제어 채널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1064);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1066); 및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하는 단계(1068)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제어 채널 영역에 대한 자원을 배제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배제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 모든 자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은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세트(CORESETS)를 포함하고, 제어 채널 영역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비트맵을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비트맵은,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는,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제어 자원 영역,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12. 처리 회로(112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20)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반송파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10) -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각각의 제어 자원 영역은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포함함 - 을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의 제 1 제어 자원 영역에서 제어 채널 영역을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서 데이터 송신 영역을 결정하며;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120).
  13. 제 12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20).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제어 채널 영역에 대한 자원을 배제하는, 네트워크 노드(120).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20).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120).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 중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120).
  18.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배제하는, 네트워크 노드(120).
  19. 제 12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에 모든 자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20).
  20. 제 12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영역은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세트(CORESETS)를 포함하고, 제어 채널 영역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20).
  21. 제 12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비트맵을 시그널링함으로써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비트맵은,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노드(120).
  22. 제 12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를 시그널링함으로써 결정된 데이터 송신 영역을 무선 디바이스로 시그널링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는,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제어 자원 영역,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노드(120).
  23.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1162);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가 제어 자원 영역과 중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1164);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1166)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에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자원을 배제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26.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 및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동일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29.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배제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30. 제 23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에 모든 자원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31. 제 23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자원 영역은 제어 자원 세트(CORESET)를 포함하고, 제어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32. 제 23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비트맵은,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33. 제 23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는,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제어 자원 영역,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34. 처리 회로(1020)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10)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가 제어 자원 영역(10)과 중첩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110).
  35. 제 34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에 자원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10).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자원을 배제하는, 무선 디바이스(110).
  37. 제 34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 및 임의의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10).
  38. 제 37 항에 있어서,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동일한, 무선 디바이스(110).
  39. 제 37 항에 있어서,
    제어 자원 영역 내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는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의 주파수 범위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110).
  40. 제 34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 외부의 자원을 배제하는, 무선 디바이스(110).
  41. 제 34 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세트는 제어 자원 영역에 모든 자원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10).
  42. 제 34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자원 영역은 제어 자원 세트(CORESET)를 포함하고, 제어 채널 영역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10).
  43. 제 34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비트맵은,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하나 이상의 시간 및 주파수 자원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110).
  44. 제 34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영역의 식별자는,
    데이터 송신 영역에 사용되는 제어 자원 영역, 및
    데이터 송신 영역으로부터 배제된 제어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무선 디바이스(110).
KR1020197025769A 2017-02-06 2018-02-06 제어 영역에서의 데이터 송신 KR102257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55508P 2017-02-06 2017-02-06
US62/455,508 2017-02-06
PCT/IB2018/050739 WO2018142377A1 (en) 2017-02-06 2018-02-06 Data transmissions in control reg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627A true KR20190108627A (ko) 2019-09-24
KR102257554B1 KR102257554B1 (ko) 2021-05-27

Family

ID=6124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769A KR102257554B1 (ko) 2017-02-06 2018-02-06 제어 영역에서의 데이터 송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395279B2 (ko)
EP (3) EP3577831B1 (ko)
JP (1) JP7008077B2 (ko)
KR (1) KR102257554B1 (ko)
CN (2) CN116667986A (ko)
BR (1) BR112019016214A2 (ko)
ES (2) ES2955340T3 (ko)
PL (1) PL4099604T3 (ko)
WO (1) WO2018142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35B1 (ko) 2016-11-04 2022-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 감소를 위한 적응적 재전송 방법 및 장치
US10512080B2 (en) * 2017-03-17 2019-12-17 Qualcomm Incorporated MCS/rank adjustment when multiplexing data in a control region
SG11201910087XA (en) 2017-05-02 2019-11-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control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9152020B (zh) * 2017-06-16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接收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11271701B2 (en) * 2018-01-12 2022-03-08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monitoring with overlapping resources
EP3811554A4 (en) * 2018-08-20 2022-03-23 Apple Inc. SELECTION OF A CONTROL RESOURCE SET FOR CHANNEL CONDITION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BASED RADIO LINK MONITORING
CN111586857B (zh) * 2019-02-15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通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4458A1 (en) * 2011-10-13 2013-04-1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20160308648A1 (en) * 2013-11-22 2016-10-20 Zte Corporation Downlink Resource Ind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ultiple-Point-Coordination Network in LT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2069B2 (en) * 2008-04-14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enable uplink control for restricted association networks
CN101841851B (zh) * 2009-03-18 2013-06-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多小区传输数据的方法及装置
US9622228B2 (en) * 2009-05-04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1626625B (zh) * 2009-08-05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载波控制域的实现方法
US9237583B2 (en) * 2010-05-03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vailability for PDSCH in relay backhaul transmissions
EP3982585A1 (en) * 2011-05-03 2022-04-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data in a communications system
CN102202400B (zh) * 2011-05-31 2013-10-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资源占用方式的指示及处理方法及装置
KR101510582B1 (ko) * 2011-06-15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확장
KR101492380B1 (ko) * 2011-10-12 2015-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채널의 탐색 영역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9769800B2 (en) * 2012-07-12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control channel for transceiving data between devices in wireless access system
GB2504544A (en) 2012-08-02 2014-02-05 Nec Corp Resource allocation signalling within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WO2014067583A1 (en) * 2012-11-02 2014-05-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source allocation signalling in a network control
CN103702429B (zh) * 2013-12-26 2017-11-07 上海无线通信研究中心 利用lte/lte‑a物理下行控制域闲置资源发送数据的方法
KR102488966B1 (ko) * 2017-09-08 2023-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을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4458A1 (en) * 2011-10-13 2013-04-1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20160308648A1 (en) * 2013-11-22 2016-10-20 Zte Corporation Downlink Resource Ind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ultiple-Point-Coordination Network in LTE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0562* *
3GPP R1-170073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29312A1 (en) 2020-01-23
ES2924708T3 (es) 2022-10-10
WO2018142377A1 (en) 2018-08-09
EP4099604B1 (en) 2023-06-21
EP3577831A1 (en) 2019-12-11
ES2955340T3 (es) 2023-11-30
EP4262129A1 (en) 2023-10-18
US11395279B2 (en) 2022-07-19
JP7008077B2 (ja) 2022-02-10
CN116667986A (zh) 2023-08-29
JP2020507265A (ja) 2020-03-05
PL4099604T3 (pl) 2023-11-27
CN110268670A (zh) 2019-09-20
US20220377716A1 (en) 2022-11-24
EP4099604A1 (en) 2022-12-07
KR102257554B1 (ko) 2021-05-27
EP3577831B1 (en) 2022-06-22
BR112019016214A2 (pt)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138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KR102257554B1 (ko) 제어 영역에서의 데이터 송신
US11147057B2 (en) PDCCH monitoring periodicity
EP3646511B1 (en) Signaling reference signal locations in slots and mini-slots
RU2718120C1 (ru) Динамичное смещение mcs для короткого tti
US11558867B2 (en) PDCCH monitoring periodicity
CN110495126B (zh) 用于NB-IoT的非锚定载波配置
US103683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ink scheduling that mitigate PDCCH congestion
KR102467757B1 (ko) 동일한 사이즈 코드 블록에 대한 전송 블록 사이즈 결정
EP3507929B1 (en) Downlink assignment with different processing ti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