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913A -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913A
KR20190107913A KR1020180029239A KR20180029239A KR20190107913A KR 20190107913 A KR20190107913 A KR 20190107913A KR 1020180029239 A KR1020180029239 A KR 1020180029239A KR 20180029239 A KR20180029239 A KR 20180029239A KR 20190107913 A KR20190107913 A KR 2019010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op box
terminal
viewing reques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455B1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4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6Monitoring of piracy processes or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TV 서비스 기반의 단말과 셋탑박스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시청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입자의 컨텐츠 구매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PTV 서비스 기반의 단말과 셋탑박스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시청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는 초고속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수백개 이상의 채널을 제공하는 양방향 정보 서비스로서, 셋탑박스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IPTV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Program Provider) 또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다시 말해, IPTV 서비스는 주로 TV 포탈을 VOD 서비스를 중심으로 제공되며, PC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기능과 다채널 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기능이 통합된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IPTV 서비스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탑박스(Set-top Box)를 통해서 가입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최근에는 가입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예: 스마트폰, PC)과 셋탑박스 간의 연동을 통해서, 단말에서 구매한 컨텐츠(예: VOD)를 셋탑박스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헌데, 여기서의 단말과 셋탑박스 간의 연동이란 단말과 셋탑박스 간 페어링(Pairing)을 의미하는데, 가입자는 이러한 페어링에서 요구되는 다소 복잡한 절차(예: 메뉴 설정)로 인해 단말과 셋탑박스 간의 연동, 또는 연동 시 컨텐츠 이중 구매에 대해서 심리적 부담감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연동하고자 하는 셋탑박스에 이미 타 단말이 페어링된 경우라면, 해당 셋탑박스와의 신규 페어링 절차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 또한 있다.
또한, 기존 IPTV 서비스에서는 컨텐츠 구매자의 개념이 셋탑박스에 귀속됨에 따라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등록된 특정 장소(가입자가 개통한 셋탑박스)이외의 다른 장소에서는 시청이 불가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 시청에 있어서 단말과 셋탑박스 간의 페어링 절차가 요구되지 않으며,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타 셋탑박스에서도 컨텐츠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플랫폼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IPTV 서비스 기반의 단말과 셋탑박스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시청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는, 단말로부터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수신한 셋탑박스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상기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상기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셋탑박스가 연결된 공유기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 공유기로부터 상기 셋탑박스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기 컨텐츠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상기 단말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이 구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지정되는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루터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며, 상기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부터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수신한 셋탑박스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상기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단계; 및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상기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상기 셋탑박스가 연결된 공유기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 공유기로부터 상기 셋탑박스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기 컨텐츠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상기 단말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이 구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지정되는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루터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며, 상기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IPTV 서비스 기반의 단말과 셋탑박스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시청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입자의 컨텐츠 구매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지원 플랫폼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 기반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은, 공유기(20)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10)로부터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에 따라 컨텐츠시청요청을 전달하는 셋탑박스(30), 및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셋탑박스(30)에 대해 단말(10)에서 요청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장치(50), 및 셋탑박스(30)에서 특정 컨텐츠의 수신을 위한 권한(DRM, Digital Right Management)을 부여하는 권한부여장치(도시안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은 가입자에게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IPTV 서비스(예: 모바일 VOD)를 제공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30)와는 별도로 IPTV 서비스를 수신하거나, 셋탑박스(30)와의 연동을 통해 IPTV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0)로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와이브로(Wibro) 단말기, 플렉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공유기(20)는 셋탑박스(30)에 대한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30)와는 유선 접속되며,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게 되는 단말(10)에 대해서도 무선 접속 기반의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셋탑박스(30)는 IPTV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장소(예: 댁내)에 설치되는 일종의 중계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공유기(20)를 통해 IPTV 헤드엔드 시스템(도시안됨)으로부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단말(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여, 단말(10)로부터 요청된 특정 컨텐츠를 셋탑박스(30)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참고로, 이러한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서비스 기반 컨텐츠 재생 관리 시스템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단말(10)과 셋탑박스(30)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30)에서 시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 IPTV 서비스에서는 단말(10)에서 구매한 특정 컨텐츠를 셋탑박스(30)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10)과 셋탑박스(30) 간의 페어링을 절차를 통해 단말(10)을 셋탑박스(30)에 등록해야만 하는 다소 복잡한 절차가 요구된다.
이로 인해, 가입자는 이러한 단말(10)과 셋탑박스(30) 간의 연동과, 연동 시 혹시 모를 컨텐츠 이중 구매에 대해서 심리적 부담감을 가질 수 있으며, 만약 셋탑박스(30)에 이미 타 단말이 페어링된 경우라면, 이러한 페어링 절차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 또한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셋탑박스(30)에 단말(10)을 등록하는 별도 과정 없이 단말(10)에서 구매한 특정 컨텐츠를 셋탑박스(3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단말(10)을 확인하는 확인부(41),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부(42), 및 유효성 검증 결과에 따른 시청허가응답을 전달하는 전달부(4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단말(10)로부터 요청되는 특정 컨텐츠와 유사한 컨텐츠를 단말(10)에 대한 추천 컨텐츠로서 선별하는 선별부(도시안됨), 및 추천 컨텐츠 또는 기타 알림을 위한 메시지를 단말(10)에 전송하는 전송부(도시안됨)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확인부(41), 검증부(42), 및 전달부(43)를 포함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에서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잇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셋탑박스(30)와의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44)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7)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는 전술한 구성에 따라 셋탑박스(30)에 단말(10)을 등록하는 별도 과정 없이도 단말(10)에서 구매한 특정 컨텐츠를 셋탑박스(3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 검증에 앞서, 단말(10)은 셋탑박스(30)에 대해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전달하게 되는데, 여기서의 특정 컨텐츠는 단말(10)에서 해당 컨텐츠를 구매한 구매 시점 이후 재생 시작이 가능한 허용일자인 재생가능일자, 및 재생 시작 이후 시청이 가능한 허용시간인 재생유효시간 등이 지정되는 일회성 컨텐츠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0)이 셋탑박스(30)에 대해 시청을 요청하는 특정 컨텐츠를 일회성 컨텐츠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하기로 한다.
확인부(41)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단말(10)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확인부(41)는 셋탑박스(30)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 단말(10)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확인부(41)는 컨텐츠시청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예: 요청자 ID, 기기식별정보, 전화번호)로부터 셋탑박스(30)에 대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 단말(10)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10)은 셋탑박스(30)가 연결된 공유기(20)로의 접속에 따라 공유기(20)와 연결된 셋탑박스(30)를 확인하게 되며, 이처럼 셋탑박스(30)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자신이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예: 구매이력, 재생요청시간, 요청자 ID 등)를 셋탑박스(3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단말(10)은 컨텐츠정보의 전달에 앞서 일회성 컨텐츠 구매 시 지정된 재생가능일자를 확인하게 되며, 재생가능일자가 유효한 경우에 한해 컨텐츠정보를 셋탑박스(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에서 이루어지는 셋탑박스(30)에 대한 확인은, 예컨대, 공유기(20)가 지원하는 제로 구성 네트워킹(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기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셋탑박스(30)는 단말(10)로부터 컨텐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게 되며, 이처럼 단말(10)에 대해 생성된 컨텐츠시청요청을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셋탑박스(30)는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 생성에 앞서,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임을 판단하기 위해, 컨텐츠정보를 전달한 단말(10)이 가입자(구매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확인 결과 단말(10)에 대한 등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셋탑박스(30)는 단말(10)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로부터 단말(10)이 가입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 단말(10)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위 방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단말(10)에서 일회성 컨텐츠 재생 요청을 위한 별도의 식별자를 컨텐츠정보에 삽입하고, 셋탑박스(30)에서 이를 인지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검증부(42)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검증부(42)는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을 요청한 단말(10)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 관리되고 있는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게 된다.
여기서, 컨텐츠재생관리정보에는, 단말(10)에서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와 관련하여 예컨대,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 시작 여부, 일회성 컨텐츠가 재생된 셋탑박스에 대한 정보, 일회성 컨텐츠가 실제 재생된 구간에 대한 정보 등이 이력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다.
한편, 검증부(42)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을 요청한 단말(10)이 확인되는 경우, 컨텐츠재생관리정보에 기초한 유효성 검증에 앞서 단말(10)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구매하였으며, 일회성 컨텐츠에 지정된 재생가능일자 내에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즉, 검증부(42)는 단말(10)에서의 일회성 컨텐츠 구매와, 재생가능일자 내 컨텐츠시청요청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단말(10)에 대해 관리되고 있는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일회성 컨텐츠의 구매 여부 등에 대한 확인은, 사용자인증 및 구매 확인 등을 처리하는 별도의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검증부(42)는 단말(10)에서의 일회성 컨텐츠 구매와, 재생가능일자 내 컨텐츠시청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실질적인 유효성을 검증하게 되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검증부(42)는 단말(10)의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에 지정된 재생유효시간의 경과하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검증부(42)는 단말(10)의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셋탑박스(30)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을 확인하게 되며,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다만, 검증부(42)는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확인하게 되며, 확인된 재생구간이 전체 재생구간 중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에는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이처럼,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과 재생 시작 시 실제 재생구간을 확인하는 것은, 일회성 컨텐츠 특성 상, 다수의 셋탑박스를 통해 일회성 컨텐츠를 반복하여 재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취지에서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한 이력이 존재하더라도 그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시청 구간이 짧음)라면 예외적으로 복수의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이러한 검증 과정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과정 간 연계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달부(43)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달부(43)는 단말(10)의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는 경우에는, 셋탑박스(30)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셋탑박스(3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시청허가응답에는 셋탑박스(30)에서 시청허가응답 수신 시점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시작할 수 있는 허용시간인 시작유효시간에 대한 제한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셋탑박스(30)에서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이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권한부여장치(도시안됨)로부터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권한(DRM)을 부여 받게 되며, 부여된 권한에 따라 컨텐츠제공장치(50)로부터 단말(10)에서 시청 요청한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게 된다.
한편, 전달부(43)는 단말(10)의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는 경우에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불가응답을 전달하여 셋탑박스(30)로 전달하여, 셋탑박스(30)에서 일회성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구성에 따르면, 셋탑박스(30)에 단말(10)을 등록하는 별도 과정 없이도 단말(10)에서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를 셋탑박스(3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므로 가입자의 컨텐츠 구매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확인부(41)는 셋탑박스(30)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 단말(10)을 확인한다(S10-S20).
이때, 확인부(41)는 컨텐츠시청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예: 요청자 ID, 기기식별정보, 전화번호)로부터 셋탑박스(30)에 대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 단말(10)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10)은 셋탑박스(30)가 연결된 공유기(20)로의 접속에 따라 공유기(20)와 연결된 셋탑박스(30)를 확인하게 되며, 이처럼 셋탑박스(30)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자신이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예: 구매이력, 재생요청시간, 요청자 ID 등)를 셋탑박스(3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단말(10)은 컨텐츠정보의 전달에 앞서 일회성 컨텐츠 구매 시 지정된 재생가능일자를 확인하게 되며, 재생가능일자가 유효한 경우에 한해 컨텐츠정보를 셋탑박스(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에서 이루어지는 셋탑박스(30)에 대한 확인은, 예컨대, 공유기(20)가 지원하는 제로 구성 네트워킹(Zero configuration networking) 기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셋탑박스(30)는 단말(10)로부터 컨텐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게 되며, 이처럼 단말(10)에 대해 생성된 컨텐츠시청요청을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셋탑박스(30)는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 생성에 앞서,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임을 판단하기 위해, 컨텐츠정보를 전달한 단말(10)이 가입자(구매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확인 결과 단말(10)에 대한 등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단말(10)에 대한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셋탑박스(30)는 단말(10)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로부터 단말(10)이 가입자 단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 단말(10)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단말(10)이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위 방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단말(10)에서 일회성 컨텐츠 재생 요청을 위한 별도의 식별자를 컨텐츠정보에 삽입하고, 셋탑박스(30)에서 이를 인지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검증부(42)는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을 요청한 단말(10)이 확인되는 경우, 단말(10)에 대해 관리되고 있는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셋탑박스(3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다(S30).
여기서, 컨텐츠재생관리정보에는, 단말(10)에서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와 관련하여 예컨대,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 시작 여부, 일회성 컨텐츠가 재생된 셋탑박스에 대한 정보, 일회성 컨텐츠가 실제 재생된 구간에 대한 정보 등이 이력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증부(42)는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의 시청을 요청한 단말(10)이 확인되는 경우, 컨텐츠재생관리정보에 기초한 유효성 검증에 앞서 단말(10)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구매하였으며, 일회성 컨텐츠에 지정된 재생가능일자 내에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한다(S31).
즉, 검증부(42)는 단말(10)에서의 일회성 컨텐츠 구매와, 재생가능일자 내 컨텐츠시청요청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단말(10)에 대해 관리되고 있는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일회성 컨텐츠의 구매 여부 등에 대한 확인은, 사용자인증 및 구매 확인 등을 처리하는 별도의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검증부(42)는 단말(10)에서의 일회성 컨텐츠 구매와, 재생가능일자 내 컨텐츠시청요청이 확인되는 경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실질적인 유효성을 검증하게 되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검증부(42)는 단말(10)의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일회성 컨텐츠에 지정된 재생유효시간의 경과하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32).
또한, 검증부(42)는 단말(10)의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셋탑박스(30)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을 확인하게 되며,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해당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33).
다만, 검증부(42)는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일회성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확인하게 되며, 확인된 재생구간이 전체 재생구간 중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에는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S34).
이처럼,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과 재생 시작 시 실제 재생구간을 확인하는 것은, 일회성 컨텐츠 특성 상, 다수의 셋탑박스를 통해 일회성 컨텐츠를 반복하여 재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취지에서 타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한 이력이 존재하더라도 그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시청 구간이 짧음)라면 예외적으로 복수의 셋탑박스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단계 S31 내지 S34를 통한 검증 과정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과정 간 연계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달부(43)는 단말(10)의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는 경우에는, 셋탑박스(30)에서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셋탑박스(30)로 전달한다(S40).
이때, 시청허가응답에는 셋탑박스(30)에서 시청허가응답 수신 시점으로부터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시작할 수 있는 허용시간인 시작유효시간에 대한 제한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셋탑박스(30)에서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이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권한부여장치(도시안됨)로부터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권한(DRM)을 부여 받게 되며, 부여된 권한에 따라 컨텐츠제공장치(50)로부터 단말(10)에서 시청 요청한 일회성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게 된다.
한편, 전달부(43)는 단말(10)의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는 경우에는,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불가응답을 전달하여 셋탑박스(30)로 전달하여, 셋탑박스(30)에서 일회성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4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셋탑박스(30)에 단말(10)을 등록하는 별도 과정 없이도 단말(10)에서 구매한 일회성 컨텐츠를 셋탑박스(3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므로 가입자의 컨텐츠 구매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IPTV 서비스 기반의 단말과 셋탑박스와의 연동 환경에서 가입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가입자(구매자) 등록된 셋탑박스 이외의 다른 셋탑박스에서도 시청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단말
20: 공유기
30: 셋탑박스
40: 컨텐츠재생관리장치
41: 확인부 42: 검증부
43: 전달부

Claims (12)

  1. 단말로부터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수신한 셋탑박스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상기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상기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셋탑박스가 연결된 공유기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 공유기로부터 상기 셋탑박스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기 컨텐츠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상기 단말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이 구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지정되는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루터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며, 상기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
  7. 단말로부터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시청 요청을 수신한 셋탑박스로부터 컨텐츠시청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으로부터 상기 단말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텐츠재생관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단계; 및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는 경우, 상기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에 대한 시청허가응답을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셋탑박스가 연결된 공유기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 공유기로부터 상기 셋탑박스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시청 요청을 위한 컨텐츠정보를 상기 셋탑박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상기 컨텐츠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 상태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상기 단말과 페어링 상태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단말이 구매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지정되는 재생유효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루터 상기 컨텐츠재생관리정보로부터 상기 셋탑박스와는 별도의 타 셋탑박스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재생 시작한 이력이 확인되며, 상기 타 셋탑박스에서 기 재생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재생구간이 임계구간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텐츠시청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재생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029239A 2018-03-13 2018-03-13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52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39A KR102052455B1 (ko) 2018-03-13 2018-03-13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39A KR102052455B1 (ko) 2018-03-13 2018-03-13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13A true KR20190107913A (ko) 2019-09-23
KR102052455B1 KR102052455B1 (ko) 2020-01-07

Family

ID=6806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239A KR102052455B1 (ko) 2018-03-13 2018-03-13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4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600A (ko) * 2011-10-17 2013-04-25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플랫폼 단말 간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54961A (ko) * 2012-10-30 2014-05-09 주식회사 케이티 Iptv 방송 시청을 위한 무선 공유기 및 시청 방법
KR101656613B1 (ko) * 2015-04-09 2016-09-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N-스크린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600A (ko) * 2011-10-17 2013-04-25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플랫폼 단말 간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54961A (ko) * 2012-10-30 2014-05-09 주식회사 케이티 Iptv 방송 시청을 위한 무선 공유기 및 시청 방법
KR101656613B1 (ko) * 2015-04-09 2016-09-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N-스크린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455B1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8856B2 (ja) 家庭用電子装置、管理サーバ及びインターネットビデオのクライアントのための認証と認可の方法
US8839376B2 (en) Application authorization for video services
EP2194691B1 (en) Remote access of drm protected internet protocol (ip)-based content over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based network
US8949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with hyperlinks in a television broadcast
US9258587B2 (en) Content blackout determinations for playback of video streams on portable devices
US8763154B2 (en) Federated authentication
US201303470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amless playback of content
US20100211793A1 (en) Secure signing method, secure authentication method and iptv system
US20110289537A1 (en) Temporary authorization for a user device to remotely access a video on-demand service
CN102986239B (zh) 用于使用从订户设备获得的信息来授权对网络服务的接入的系统及方法
US9571876B2 (en) Virtual set-top box device methods and systems
EP2700225A1 (en) Location based user aware video on demand sessions
US20120121090A1 (en) Content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30114683A (ko) 플레이스쉬프팅을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로 분배 접속 시스템 및 방법
US20110191796A1 (en) Media Player-Based Authentication
US201501955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 User to Access Multimedia Content
US20130160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ownloada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a content service
KR20120062550A (ko) 단말 인증 기반 멀티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9217370A (ja) コンテンツ視聴端末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コンテンツ視聴権利移譲方法
US20090064249A1 (en) Distribution network and method
US874565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gital rights for content
KR102052455B1 (ko) 컨텐츠재생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107397A (zh) 基于播控平台的集成加密内容播放系统与方法
KR101958663B1 (ko) 게이트웨이 서버 및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US97942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service providers to communicate with a primary service prov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