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293A - 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 - Google Patents

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293A
KR20190107293A KR1020190109809A KR20190109809A KR20190107293A KR 20190107293 A KR20190107293 A KR 20190107293A KR 1020190109809 A KR1020190109809 A KR 1020190109809A KR 20190109809 A KR20190109809 A KR 20190109809A KR 20190107293 A KR20190107293 A KR 2019010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housing
plate
top plate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4217B1 (en
Inventor
배광호
Original Assignee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액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217B1/en
Publication of KR2019010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2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2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distribution device comprising: a housing; and a bus-bar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housing.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housing; a second side surface housing loca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surface housing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housing block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housing and the second side surface housing; and a protection cover covering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is connected with a circuit breaker and can simply and safely branch power into a plurality of the same.

Description

전원분배장치{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Power Distributing Device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와 접속되면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전원을 복수로 분기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distribu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distribution device capable of branching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simply and safely while being connected to a circuit breaker.

일반적으로, 빌딩, 공장 또는 아파트 등에는 전력회사에서 공급하는 전기를 받아들여 각 수용가의 부하로 배전하는 수배전장치가 구비된다. 수배전장치는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공급받아 용도에 맞게 감압한 뒤 수용가의 각 부하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 각종 차단기와 보호장비, 그리고 변류기, 전력계, 영상 변류기, 전류계, 전압계 등과 같은 각종 계전장비가 설치된다.In general, a building, a factory, or an apartment is provided with a water distribution apparatus that receives electricity supplied by a power company and distributes the power to a load of each customer. The water distribution device is supplied with high voltage or extra high voltage to reduce the pressure to suit the purpose and send it to each load of the customer, and various relay equipment such as current transformers, power meters, video current transformers, ammeters, voltmeters, etc. Is installed.

이러한 수배전장치는 소정의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 차단기와, 이 메인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배전용 차단기와, 복수의 부스바로 구성된다.The water distribution apparatus includes a main circuit breaker installed inside a predetermined cabinet,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reaker, and a plurality of busbars.

또한, 통상적으로 부스바를 통해 전기를 배분하여 공급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부스바에 전원분배를 위한 전기선을 접속하여 사용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distribute electricity through bus bars, electric wires for power distribution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us bars.

따라서, 전기접속 및 분배를 위한 부스바는 접속시 항상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노출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미관상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busbars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distribution are always provided in the exposed state when connected, there is always a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exposure, there is a problem such as not aesthetically good.

한국등록특허 10-154374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43741

본 발명은 차단기와 접속되면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전원을 복수로 분기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distribution device that can be branched to a plurality of power simply and safely while being connected to a breake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정 공간에 삽입되는 버스바(Bus-Bar)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측면 하우징;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측면 하우징;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의 일정 간격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및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the housing; And a bus bar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first side housing; A second side hous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hous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housing blocks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side housing and the second side housing; And a protective cover covering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체결되는 제1하우징 블럭; 상기 제2측면 하우징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 블럭을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lurality of housing blocks comprising: a first housing block fastened to the first side housing; It provides a power distribution device comprising a second housing block coupled to the second side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블럭은, 하면 플레이트; 상기 하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배면 플레이트; 상기 배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높이를 갖는 제1상면 플레이트;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정면 플레이트;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높이를 갖는 제2상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정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block, the bottom plate; A back plate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A first top plate extending from the back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ck plate and having a first height; A first front plate extending from the first top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top plate; A second top plate extending from the first front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ront plate and having a second height; And a second front plate extending from the second top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top pl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3높이를 갖는 제3상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정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The housing block may further include a third top plate extending from the second front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front plate, and having a third height; And a third front plate extending from the third top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top plate, and connected to the back pl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보조 플레이트;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block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upper plate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upper plate;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op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es a second auxiliary plat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top pla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스바는, 제1버스바; 및 상기 제1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는, 복수개의 제1접점을 포함하고, 제1높이를 갖는 제1전원분배부; 상기 제1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높이 조절부; 상기 제1높이 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버스바는, 복수개의 제2접점을 포함하고, 제2높이를 갖는 제2전원분배부; 상기 제2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높이 조절부; 상기 제2높이 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분배부 및 상기 제2전원분배부의 높이는 상이하고, 상기 제1단자부 및 상기 제2단자부의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bar, the first bus bar; And a second bus ba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us bar, wherein the first bus ba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having a first height; A first height adjusting unit extending from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A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including a first terminal extending from the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the second bus bar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and having a second height; A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extending from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height adjusting portion, wherein the heights of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portion and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portion are different, and the heights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re the same. Provide a distribu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1보조 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1버스바의 제1전원분배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2보조 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2버스바의 제2전원분배부가 삽입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portion of the first bus bar is inserted into the spac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top plate and the first auxiliary plate, and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top plate and the second auxiliary plate Provided is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nto which a second power distribution portion of a second bus bar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 및 상기 제1개구홀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개구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3개구홀; 상기 제3개구홀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반개구홀 및 상기 제3개구홀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반개구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제1개구홀 및 제2개구홀의 사이 영역에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제3개구홀이 위치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top plate may include a first opening hole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top plate and a second opening hol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hole, and the second top surface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top plate. The plate may include a third opening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cond top plate; And a half opening hole located at one side of the third opening hole and the other half opening hole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third opening hole, wherein the half opening hole is located in the reg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hole and the second opening hole of the first upper plate. Provided is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n which the third opening hole of the second upper plate is loca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 블럭의 반개구홀과 다른 하나의 반개구홀이 만나, 하나의 개구홀을 구성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n which the half-opening hole of one of the housing blocks and the other half-opening hole of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meet to form one opening ho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은, 제1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 및 상기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높이 조절부 안착부는,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 및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은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 및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의 제1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의 제2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버스바의 제1단자부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버스바의 제2단자부는 상기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housing, the first side plate; A bus bar height adjusting part seating part located inside the first side plate; And a bus bar terminal insertion hole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bus bar height adjusting part seating part and penetrating the first side plate, wherein the bus bar height adjusting part seating part is seated on the first bus bar first height adjusting part part; And a seating part of a second bus bar second height adjustment part, wherein the bus bar terminal insertion hole includes: a first bus bar first terminal par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bus bar second terminal part insertion hole, wherein the first height adjusting part of the first bus bar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first bus bar first height adjusting part, and the second height of the second bus bar is provided. The adjusting par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second bus bar second height adjustment part, and the first terminal part of the first bus ba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plate through the first bus bar first terminal part insertion hole. The second terminal part of the second bus bar provides a power distribution devic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plate through the second bus bar second terminal part insertion ho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은 제2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는,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 및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에는 상기 제1버스바의 제1전원분배부의 일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에는 상기 제2버스바의 제2전원분배부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cond side housing comprising: a second side plate; A bus bar end seating part located inside the second side plate, wherein the bus bar end seating part comprises: a first bus bar end seating part; And a second bus bar end seating part, one end of a first power distribution part of the first bus bar seated on one end seating part of the first bus bar, and a second bus bar end seating part. Provided is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n which one end of a second power distribution portion of a bus bar is se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와 접속되면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전원을 복수로 분기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distribution device capable of branching a plurality of power simply and safely while being connected to a circuit break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일정 공간에 버스바(Bus-Bar)를 삽입함으로써, 미관을 좋게하고, 버스바의 노출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 bus bar (Bus-Bar)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due to exposure of the bus ba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plurality of housing blocks constituting the housing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 하우징의 타측 상단으로부터 상기 보호커버를 분리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오픈하는 것은 2단 오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보호커버가 의도하지 않게 클로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the protective cover from the other side upper end of the side housing, opening the protectiv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stage opening, thereby preventing the protective cover from being inadvertently closed. Can b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의 보호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제1분리사시도이고,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제2분리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의 일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의 타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이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 및 제2측면 하우징과 보호커버의 분리 또는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구조의 차단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A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protective cover in FIG. 1A, and FIG. 1C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D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hous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plan view showing a hous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id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id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the separation or fastening of the first side housing and the second side housing and the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it breaker of a general structur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items mentioned.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specifically defined clearly.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 below ", " beneath ", " lower ", " above ", " upper "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erms in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be.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encompass both an orientation of above and below. The components can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s well,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일반적인 구조의 차단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it breaker of a general structure.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조의 차단기(100)는 상기 차단기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입력단자부(120) 및 상기 차단기 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출력단자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circuit breaker 100 having a general structure includes an input terminal 120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circuit breaker body and an output terminal 140 positioned at the other side of the circuit breaker body.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단자부(120)는 제1입력단자부(120a), 상기 제1입력단자부(120a)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입력단자부(120b) 및 상기 제2입력단자부(120b)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입력단자부(120c)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put terminal portion 120 is adjacen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portion 120a, the second input terminal portion 120b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portion 120a,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portion 120b. It may include a third input terminal portion (120c) which is positioned to.

또한, 상기 출력단자부(140)는 제1출력단자부(140a), 상기 제1출력단자부(140a)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출력단자부(140b) 및 상기 제2출력단자부(120b)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3출력단자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unit 14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unit 140a, the second output terminal unit 140b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unit 140a,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unit 120b. It may include a third output terminal 140c.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입력단자부 및 상기 출력단자부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단자부 및 상기 출력단자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일 수 있다.In this case, although the input terminal part and the output terminal part are illustrated as thre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terminal part and the output terminal part may be at least one or m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는 상기 출력단자부(140)를 커버하는 단자커버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커버부(130)는 상기 출력단자부(140)를 커버하여, 상기 출력단자부 및 상기 출력단자부와 연결되는 전원분배장치의 연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over portion 130 covering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40, the terminal cover portion 130 covers the output terminal portion 140, the output terminal portion and the It can protect the connection part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part.

또한, 상기 차단기 몸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스위치부(11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reaker body portion includes a switch unit 110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상술한 차단기의 구성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described above is obvious in the art,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전원분배장치는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차단기로부터의 전원을 다수개로 분배할 수 있다.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기 차단기와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연결관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reaker, thereby distributing power from the circuit breaker to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Since this is obvious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breaker and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will be omitted.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의 보호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제1분리사시도이고,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제2분리사시도이다.1A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protective cover in FIG. 1A, and FIG. 1C i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D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200)는, 하우징(210); 및 상기 하우징(210)의 일정 공간에 삽입되는 버스바(Bus-Bar, 400)를 포함한다.1A to 1D,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10; And a bus bar 400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housing 21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0)은, 제1측면 하우징(210);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측면 하우징(220);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상기 제2측면 하우징(220)의 일정 간격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300); 및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300)을 커버하는 보호커버(24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210, the first side housing 210; A second side housing 2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housing 2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housing blocks (300) disposed in spaced space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housing (210) and the second side housing (220); And a protective cover 240 covering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300.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300)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1하우징 블럭(310); 상기 제2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 블럭(320); 및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까지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제3하우징 블럭(330), 제4하우징 블럭(340) 및 제5하우징 블럭(3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300 includes a first housing block 310 coupled to the first side housing 210; A second housing block 320 coupled to the second side housing 210; And a third housing block 330, a fourth housing block 340, and a fifth housing block 350 which are sequentially fastened from the first housing block 310 to the second housing block 320. have.

즉,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 및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과 체결되고,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은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 및 상기 제4하우징 블럭(340)과 체결되며, 상기 제4하우징 블럭(340)은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 및 상기 제5하우징 블럭(350)과 체결되고, 상기 제5하우징 블럭(350)은 상기 제4하우징 블럭(340) 및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과 체결되며,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은 상기 제5하우징 블럭(35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using block 310 is fastened to the first side housing 210 and the third housing block 330, and the third housing block 330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block 310 and the first housing block 310. The fourth housing block 340 is fastened, and the fourth housing block 340 is fastened to the third housing block 330 and the fifth housing block 350, and the fifth housing block 350 is fastened. Is fastened to the fourth housing block 340 and the second housing block 320, and the second housing block 320 is fastened to the fifth housing block 350 and the second side housing 210. Can be.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하우징 블럭(300)의 개수가 5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하우징 블럭(300)은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블럭(300)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although the number of the housing block 300 is illustrated as five, alternatively, the housing block 300 may be at least two or mor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limit the number.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블럭(300)의 개수가 2개인 경우는,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1하우징 블럭(31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 블럭(3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과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이 상호 체결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he housing blocks 300 is tw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may include a first housing block 310 coupled to the first side housing 210; And a second housing block 320 fastened to the second side housing 210, and the first housing block 310 and the second housing block 32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블럭(300)의 개수가 3개인 경우는,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1하우징 블럭(310); 상기 제2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 블럭(320);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과 일측이 체결되고,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과 타측이 체결되는 제3하우징 블럭(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the housing blocks 300 is three,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may include a first housing block 310 coupled to the first side housing 210; A second housing block 320 coupled to the second side housing 210; The first housing block 310 and one side is fastened, and the second housing block 32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mposed of a third housing block 330 is fastened.

즉,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 및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과 체결되고,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은 상기 제1하우징 블럭(310) 및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과 체결되며, 상기 제2하우징 블럭(320)은 상기 제3하우징 블럭(33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10)과 체결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using block 310 is fastened to the first side housing 210 and the third housing block 330, and the third housing block 330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block 310 and the first housing block 310. The second housing block 320 may be fastened, and the second housing block 320 may be fastened to the third housing block 330 and the second side housing 2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의 개수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길이(X 방향)를 조절할 수 있으며, 즉, 상기 하우징(210)의 일정 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버스바(Bus-Bar, 400)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길이(X 방향)의 전원분배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X direction) of the housing 210 may be adjusted through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that is, the bus bar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housing 21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us bar 400,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00 having various lengths (X direction) can be configur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의 일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의 타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이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hous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plan view showing a hous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한편, 상술한 도 1에서의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은 모두 동일한 형상이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하우징 블럭은 도 1에서 설명한 하우징 블럭을 의미한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in FIG. 1 described above are all the same shape, and the housing block described below means the housing block described in FIG. 1.

먼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600)은, 하면 플레이트(610); 상기 하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배면 플레이트(620); 상기 배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높이를 갖는 제1상면 플레이트(631);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정면 플레이트(641);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높이를 갖는 제2상면 플레이트(632);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정면 플레이트(642);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3높이를 갖는 제3상면 플레이트(633); 및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63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정면 플레이트(643)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2A to 2C, the housing block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610; A back plate 620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A first upper plate 631 extending from the rear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plate and having a first height; A first front plate 641 extending from the first top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top plate; A second top plate 632 extending from the first front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ront plate and having a second height; A second front plate 642 extending from the second top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top plate; A third top plate 633 extending from the second front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front plate and having a third height; And a third front plate 643 extending from the third top plate 633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top plate and connected to the back plate.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가 각각 3개씩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어, 각각의 상면 플레이트가 제1높이, 제2높이 및 제3높이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상면 플레이트가 이루는 단차가 3 단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front plate and the top plate are shown as three each, and each top plate includes a first height, a second height and a third height, so that the step formed by the top plate is 3 Although illustrated as being sing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late and the top plate may be at least two or more,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the front plate and the top plate.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상면 플레이트가 제1높이, 제2높이 및 제3높이를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복수개의 상면 플레이트의 계단형 배치를 통해, 상기 하우징 블록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면서, 분배되는 전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top plate includes a first height, a second height and a third height, the number of power to be distributed while minimizing the size of the housing block through the steppe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top plate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상면 플레이트가 2개인 경우, 즉, 제1정면 플레이트, 제2정면 플레이트, 제1상면 플레이트, 제2상면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술한 제2정면 플레이트는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ront plate and the top plate are two, that is, the first front plate, the second front plate, the first top plate, and the second top plate, the above-described second front plate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plate. Can be connected.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310)은,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보조 플레이트(65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보조 플레이트(652)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보조 플레이트(653)를 포함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S. 2A to 2C, the housing block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op pl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top plate. And a second auxiliary plate 652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the second top plate and positioned below the second top plate, and further fixed from the third top plate. It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a third auxiliary plate 653 positioned below the third upper surface plate.

즉, 상기 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각각의 이격 간격에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전원분배부가 삽입된다.That is, the power distribution portion of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spaced apart interval of the upper plate and the auxiliary pla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제1버스바(410); 상기 제1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버스바(420); 및 상기 제2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3버스바(430)를 포함한다.4,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s bar 410; A second bus bar 4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us bar; And a third bus bar 430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us bar.

상기 제1버스바(410)는, 복수개의 제1접점(411a)을 포함하고, 제1높이를 갖는 제1전원분배부(411); 상기 제1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높이 조절부(412); 상기 제1높이 조절부(412)로부터 연장되는 제1단자부(413)를 포함한다.The first bus bar 410 includes a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411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411a and having a first height; A first height adjusting unit 412 extending from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It includes a first terminal portion 413 extending from the first height adjusting portion 412.

또한, 상기 제2버스바(420)는, 복수개의 제2접점(412a)을 포함하고, 제2높이를 갖는 제2전원분배부(412); 상기 제2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높이 조절부(422); 상기 제2높이 조절부(422)로부터 연장되는 제2단자부(42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us bar 420 may include a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412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412a and having a second height; A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422 extending from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423 extending from the second height adjusting portion 422.

또한, 상기 제3버스바(430)는, 복수개의 제3접점(413a)을 포함하고, 제3높이를 갖는 제3전원분배부(413); 상기 제3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높이 조절부(432); 상기 제3높이 조절부(432)로부터 연장되는 제3단자부(433)를 포함한다.The third bus bar 430 may include a third power distribution unit 413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contacts 413a and having a third height; A third height adjusting part 432 extending from the third power distribution part; And a third terminal portion 433 extending from the third height adjusting portion 432.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전원분배부(411) 내지 상기 제3전원분배부(413)의 높이는 각각 상이하나, 상기 제1단자부(413) 내지 상기 제3단자부(433)의 높이는 동일하며, 이는 상기 제1높이 조절부(412) 내지 제3높이 조절부(432)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s of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411 to the third power distribution unit 41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heights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413 to the third terminal portion 433 are the same. This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412 to the third height adjusting unit 432.

한편, 상기 제1단자부(413) 내지 상기 제3단자부(433)는 각각 상술한 도 6의 차단기의 상기 제1출력단자부(140a) 내지 상기 제3출력단자부(140c)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차단기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를 통해 분배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erminal portion 413 to the third terminal portion 43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portion 140a to the third output terminal portion 140c of the circuit breaker of FIG. The input power may be distributed through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631)와 상기 제1보조 플레이트(651)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1버스바(410)의 제1전원분배부(411)가 삽입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632)와 상기 제2보조 플레이트(652)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2버스바(420)의 제2전원분배부(421)가 삽입되며,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633)와 상기 제3보조 플레이트(653)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3버스바(430)의 제3전원분배부(431)가 삽입된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411 of the first bus bar 410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interval between the first top plate 631 and the first auxiliary plate 651, the second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421 of the second bus bar 420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632 and the second auxiliary plate 652, and the third upper plate 633 and the third upper plate 633 are inserted therein. The third power distribution unit 431 of the third bus bar 430 is inserted into the interval between the three auxiliary plates 653.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631)는,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63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661a) 및 상기 제1개구홀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개구홀(661b)을 포함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S. 2A to 2C, the first top plate 631 may include a first opening 661a and the first opening located at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top plate 631. And a second opening 661b positioned adjacent thereto.

또한,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632)는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632)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3개구홀(662a); 상기 제3개구홀(662a)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반개구홀(662b) 및 상기 제3개구홀(662a)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반개구홀(662c)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top plate 632 may include a third opening hole 662a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cond top plate 632; One half opening hole 662b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third opening hole 662a and the other half opening hole 662c positioned at the other side of the third opening hole 662a.

이때, 반개구홀이라 함은 개구홀의 사이즈를 정의하기 위한 명칭으로, 본 발명에서는 반개구홀과 반개구홀이 만나, 하나의 개구홀을 구성한다.In this case, the half-opening hole is a name for defining the size of the opening ho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lf-opening hole and the half-opening hole meet to form one opening hole.

즉,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 블럭(600a)의 반개구홀과 제2하우징 블럭(600b)의 반개구홀이 만나, 하나의 개구홀을 구성하며, 제2하우징 블럭(600b)의 반개구홀과 제3하우징 블럭(600c)의 반개구홀이 만나 하나의 개구홀을 구성한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D, the half-opening hole of the first housing block 600a and the half-opening hole of the second housing block 600b meet to form one opening hole, and the second housing block 600b. The half-opening hole of) and the half-opening hole of the third housing block 600c meet to form one opening hol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631)의 제1개구홀(661a) 및 제2개구홀(661b)의 사이 영역에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632)의 제3개구홀(662a)이 위치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631)의 개구홀을 통해 노출된 제1버스바의 복수개의 제1접점(411a) 영역과,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632)의 개구홀을 통해 노출된 제2버스바의 복수개의 제2접점(412a) 영역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하여, 제1상면 플레이트와 제2상면 플레이트의 각각의 접점에 연결되는 배선들이 서로 간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opening hole 662a of the second top plate 632 is formed in an area between the first opening 661a and the second opening 661b of the first top plate 631. Through this, through th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oint 411a of the first bus bar exposed through the opening hole of the first top plate 631 and the opening of the second top plate 632.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oints 412a of the exposed second bus bar may be located in a zigzag shape, thereby preventing the wire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ntacts of the first top plate and the second top plate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

한편,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633)는,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633)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4개구홀(663a) 및 상기 제4개구홀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5개구홀(663b)을 포함하며, 이는 제1상면 플레이트의 개구홀과 동일하다.The third top plate 633 may include a fourth opening 663a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third top plate 633 and a fifth opening 663b positioned adjacent to the fourth opening hole. ), Which is the same as the opening hole of the first top plate.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310)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670a, 670b, 670c, 670d, 670e)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671a, 671b, 671c, 671d, 671e)를 포함한다.2A to 2C, the housing block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ortions 670a, 670b, 670c, 670d, and 670e locat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 And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arts 671a, 671b, 671c, 671d and 671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즉,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하우징 블럭(600a)의 복수개의 제2체결부와 제2하우징 블럭(600b)의 제1체결부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제1하우징 블럭(600a)과 제2하우징 블럭(600b)이 체결될 수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ortions of the first housing block 600a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of the second housing block 600b are fastened to each other, whereby the first housing block ( 600a) and the second housing block 600b may be fastened.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단면적은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부 중 다른 하나의 단면적 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단면적이 큰 체결부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있어, 단면적이 적은 체결부가 단면적이 큰 체결부의 체결공에 삽입됨으로써,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체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ortions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ortions. The larg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hole,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can be fastened by inserting the fastening portion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astening portion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또한, 상기 단면적이 큰 체결부의 삽입공의 형태를 육각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단면적이 적은 체결부의 단면 형태는 원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단면적이 적은 체결부가 단면적이 큰 체결부의 체결공에 삽입됨에 있어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상기 육각형태의 삽입공에 원형형태인 단면적이 적은 체결부를 삽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astening portion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is configured in a hexagonal shap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astening portion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is circular,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of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By the interference fit method,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small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can be inserted into the hexagonal insertion hole.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블럭(310)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1삽입부(680a, 680b, 680c)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2삽입부(681a, 681b, 681c)를 포함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S. 2A to 2C, the housing block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first inserts 680a, 680b, and 680c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second insertion parts 681a, 681b, and 681c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즉,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하우징 블럭(600a)의 체결핀 제1삽입부와 제2하우징 블럭(600b)의 체결핀 제2삽입부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제1하우징 블럭(600a)과 제2하우징 블럭(600b)이 체결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1하우징 블럭(600a)의 체결핀 제1삽입부와 제2하우징 블럭(600b)의 체결핀 제2삽입부의 연속적인 배치에 의해, 체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D, for example, the first pins of the fastening pins of the first housing block 600a and the second pins of the fastening pins of the second housing block 600b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housings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block 600a and the second housing block 600b may be fast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fastening pin first insertion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block 600a and the fastening pin second insertion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block 600b. By continuous place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in can be insert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제1측면 하우징(210);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측면 하우징(220); 상기 제1측면 하우징(210)과 상기 제2측면 하우징(220)의 일정 간격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30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측면 하우징,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을 체결한 후에, 이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핀(510a, 510b, 510c)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1d,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housing 210; A second side housing 2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housing 2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housing blocks 300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side housing 210 and the second side housing 220, wherein the first side housing,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and the first side housing are disposed. After fastening the two-sided housing, it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pins (510a, 510b, 510c) for fixing so as not to separate.

이때, 상기 복수개의 체결핀은, 도 2d에서와 같이, 제1하우징 블럭(600a)의 체결핀 제1삽입부와 제2하우징 블럭(600b)의 체결핀 제2삽입부의 연속적인 배치에 의해 제공되는, 체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경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측면 하우징,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을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astening pins, as shown in Figure 2d, is provided by the continuous arrangement of the fastening pin first inserting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block 600a and the fastening pin second inserting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block 600b. The first side housing,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and the second side housing may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a path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in may be inserted.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면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id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id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220)은 제1측면 플레이트(211);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212); 상기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213)을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3A, the first side housing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ide plate 211; A bus bar height adjusting part seating part 212 positioned inside the first side plate 211; The bus bar height adjusting part includes a bus bar terminal portion insertion hole 213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region and penetrating the first side pl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스바 높이 조절부 안착부(212)는,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212a);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212b); 및 제3버스바 제3높이조절부 안착부(212c)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213)은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213a);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213b); 제3버스바 제3단자부 삽입공(213c)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bus bar height adjustment unit seating portion 212, the first bus bar first height adjustment unit seating portion (212a); A second bus bar second height adjusting part seating part 212b; And a third bus bar third height adjustment part seating part 212c, wherein the bus bar terminal part insertion hole 213 includes a first bus bar first terminal part insertion hole 213a; A second bus bar second terminal portion insertion hole 213b; The third bus bar includes a third terminal portion insertion hole 213c.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제1버스바(410); 상기 제1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버스바(420); 및 상기 제2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3버스바(430)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s bar 410; A second bus bar 4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us bar; And a third bus bar 430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us bar.

상기 제1버스바(410)는, 복수개의 제1접점(411a)을 포함하고, 제1높이를 갖는 제1전원분배부(411); 상기 제1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높이 조절부(412); 상기 제1높이 조절부(412)로부터 연장되는 제1단자부(413)를 포함한다.The first bus bar 410 includes a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411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411a and having a first height; A first height adjusting unit 412 extending from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It includes a first terminal portion 413 extending from the first height adjusting portion 412.

또한, 상기 제2버스바(420)는, 복수개의 제2접점(412a)을 포함하고, 제2높이를 갖는 제2전원분배부(412); 상기 제2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높이 조절부(422); 상기 제2높이 조절부(422)로부터 연장되는 제2단자부(42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us bar 420 may include a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412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412a and having a second height; A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422 extending from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423 extending from the second height adjusting portion 422.

또한, 상기 제3버스바(430)는, 복수개의 제3접점(413a)을 포함하고, 제3높이를 갖는 제3전원분배부(413); 상기 제3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높이 조절부(432); 상기 제3높이 조절부(432)로부터 연장되는 제3단자부(433)를 포함한다.The third bus bar 430 may include a third power distribution unit 413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contacts 413a and having a third height; A third height adjusting part 432 extending from the third power distribution part; And a third terminal portion 433 extending from the third height adjusting portion 432.

이때, 상기 제1버스바(410)의 제1높이 조절부(412)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212a)에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420)의 제2높이 조절부(422)는 상기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212b)에 안착되며, 상기 제3버스바(430)의 제3높이 조절부(432)는 상기 제3버스바 제3높이조절부 안착부(212c)에 안착된다.In this case, the first height adjusting part 412 of the first bus bar 41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212a of the first height adjusting part of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of the second bus bar 420. The height adjusting part 422 is seated on the second bus bar second height adjusting part seating part 212b, and the third height adjusting part 432 of the third bus bar 430 is formed of the third bus bar. 3 is seated on the height adjusting part seating part 212c.

또한, 상기 제1버스바(410)의 제1단자부(413)은 상기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213a)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버스바(420)의 제2단자부(423)은 상기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213b)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3버스바(430)의 제3단자부(433)은 상기 제3버스바 제3단자부 삽입공(213c)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413 of the first bus bar 4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plate 211 through the first bus bar first terminal portion insertion hole (213a), the second The second terminal part 423 of the bus bar 4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plate 211 through the second bus bar second terminal part insertion hole 213b and the third bus bar 430. The third terminal portion 43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plate 211 through the third bus bar third terminal portion insertion hole (213c).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전원분배부(411) 내지 상기 제3전원분배부(413)의 높이는 각각 상이하나, 상기 제1단자부(413) 내지 상기 제3단자부(433)의 높이는 동일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s of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411 to the third power distribution unit 41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first terminal portion 413 to the third terminal portion 43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height of is the same.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단자부(413) 내지 상기 제3단자부(433)의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단자부가 삽입되어 노출되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213a) 내지 상기 제3버스바 제3단자부 삽입공(213c)의 높이도 동일하게 구성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s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413 to the third terminal portion 433 are the same, the first bus bar first terminal portion insertion holes 213a to the third inserted through the terminal portion are exposed. The height of the bus bar third terminal portion insertion hole 213c is also configured in the same way.

계속해서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220)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3체결부(214a, 214b, 214c, 214d, 214e)를 포함한다.3A, the first side housing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portions 214a, 214b, 214c, 214d, and 214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211. It includ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220)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211)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3삽입부(215a, 215b, 215c)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side housing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third insertion parts 215a, 215b, and 215c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211.

상술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은 하우징 블럭과 체결된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side housing is coupled to the housing block.

이때, 상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671a, 671b, 671c, 671d, 671e)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3체결부(214a, 214b, 214c, 214d, 214e)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671a, 671b, 671c, 671d, 671e)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블럭과 체결될 수 있다.2, the housing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ortions 671a, 671b, 671c, 671d, and 671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parts 214a, 214b, 214c, 214d, and 214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and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art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are provided. As the first and second side housings 671a, 671b, 671c, 671d, and 671e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first side housing may be fastened to the housing block.

또한, 상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2삽입부(681a, 681b, 681c)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3삽입부(215a, 215b, 215c)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2삽입부(681a, 681b, 681c)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블럭의 체결핀 제2삽입부와 제1측면 하우징(220)의 체결핀 제3삽입부의 연속적인 배치에 의해, 체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housing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second insertion portions 681a, 681b, and 681c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third inserting parts 215a, 215b, and 215c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second inserting parts 681a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 681b, 681c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in can be inserted by the continuous arrangement of the fastening pin second insertion portion of the housing block and the fastening pin third insertion portion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can do.

이는 상술한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i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면 하우징(230)은 제2측면 플레이트(221);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221)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를 포함한다.Next, referring to FIG. 3B, the second side housing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ide plate 221; The bus bar includes one end seating part 222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side plate 22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는,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a);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b); 및 제3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c)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bus bar one end mounting portion 222, the first bus bar one end mounting portion (222a); A second bus bar seating portion 222b; And a third bus bar end portion mounting portion (222c).

이때, 버스바의 일단부라 함은, 각 버스바의 전원분배부의 일단부를 의미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bus bar means one end of the power distribution unit of each bus bar.

즉, 각 버스바의 전원분배부의 타단부에는 각각 높이 조절부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은, 각 버스바의 전원분배부의 일단부에 해당한다.That is, since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s continuously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power distribution portion of each bus bar, what is seated on the one end portion of the bus bar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power distribution portion of each bus bar.

따라서, 상기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a)에는 상기 제1버스바(410)의 제1전원분배부(411)의 일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b)에는 상기 제2버스바(420)의 제2전원분배부(412)의 일단부가 안착되며, 상기 제3버스바 일단부 안착부(222c)에는 상기 제3버스바(430)의 제3전원분배부(413)의 일단부가 안착된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part 411 of the first bus bar 410 is seated on one end of the first bus bar seating part 222a, and one end of the second bus bar seating part 222b. One end of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412 of the second bus bar 420 is seated, and a third power source of the third bus bar 430 is mounted on the one end seating part 222c of the third bus bar. One end of the back portion 413 is seated.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면 하우징(230)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221)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4체결부(224a, 224b, 224c, 224d, 224e)를 포함한다.3B, the second side housing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ourth fastening portions 224a, 224b, 224c, 224d, and 224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221. It includ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측면 하우징(230)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221)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4삽입부(225a, 225b, 225c)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ide housing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fourth inserting portions 225a, 225b, and 225c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221.

상술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은 하우징 블럭과 체결된다.As shown in FIG. 1, the second side housing is coupled to the housing block.

이때, 상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670a, 670b, 670c, 670d, 670e)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4체결부(224a, 224b, 224c, 224d, 224e)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670a, 670b, 670c, 670d, 670e)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블럭과 체결될 수 있다.2, the housing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arts 670a, 670b, 670c, 670d, and 670e locat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ourth fastening parts 224a, 224b, 224c, 224d, and 224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ide housing 230 and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arts loca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are provided. 670a, 670b, 670c, 670d, and 670e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side housing may be fastened to the housing block.

또한, 상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1삽입부(680a, 680b, 680c)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4삽입부(225a, 225b, 225c)와 상기 하우징 블럭(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체결핀 제1삽입부(680a, 680b, 680c)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블럭의 체결핀 제1삽입부와 제2측면 하우징(230)의 체결핀 제4삽입부의 연속적인 배치에 의해, 체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housing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first insertion parts 680a, 680b, and 680c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and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fourth inserting parts 225a, 225b, and 225c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ide housing 23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first inserting parts 680a loca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block 310; , 680b and 680c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in can be inserted by a continuous arrangement of the fastening pin first inserting portion of the housing block and the fastening pin fourth inserting portion of the second side housing 230. can do.

이는 상술한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i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계속해서,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장치의 하우징(210)은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300)을 커버하는 보호커버(240)을 포함한다.1A to 1D, the housing 210 of the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ective cover 240 covering a plurality of housing blocks 300.

이때, 상기 보호커버(240)는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타측과 체결 또는 분리된다.In this case, the protective cover 240 is hinged to each side of each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and the second side housing 230, the first side housing 220 and the second side housing ( Fastened or separated with each other of 230).

즉,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보호커버(240)의 타측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타측과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That is,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240 is hinged to each side of each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and the second side housing 230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the hinge axis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240 may be fasten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side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and the second side housing 230.

이하에서는 보호커버의 분리 또는 체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eparation or fastening of the protective cover will be described.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측면 하우징 및 제2측면 하우징과 보호커버의 분리 또는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단,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측면 하우징과 보호커버의 분리 또는 체결을 도시하였으며, 제2측면 하우징과 보호커버의 분리 또는 체결은 이하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5A and 5B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the separation or fastening of the first side housing and the second side housing and the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side housing and the protective cover are illustrated as being separated or fastened, and the second side housing and the protective cover can be referred to the following contents.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240)는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 및 상기 제2측면 하우징(230)의 각각의 타측과 체결 또는 분리된다.5A and 5B, 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cover 240 is hing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and the second side housing 230, and the first It is fasten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side of the side housing 220 and the second side housing 2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커버(240)는 일측(243)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일측 상단(도면부호 미도시)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217)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힌지축(217)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보호커버(240)의 타측(241)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타측 상단(218)과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rotective cover 240 is one side 243 is hinged to one side upper end (not shown)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217, the Through a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hinge shaft 217, the other side 241 of the protective cover 240 may be fastened or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218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이때, 상기 보호커버(240)의 타측(241)은 결합돌기(2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타측 상단(218)은 결합홈(218a)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결합돌기(242)가 상기 결합홈(218a)에 억지끼움됨(B-B' 영역)에 의하여,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상기 보호커버를 체결(도 5b의 Z)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241 of the protective cover 240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242, the other top 218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includes a coupling groove 218a, the coupling The protrusion 242 may be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218a (BB ′ region) to fasten the first side housing and the protective cover (Z in FIG. 5B).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의 타측 상단으로부터 상기 보호커버를 분리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오픈하는 것은 2단 오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00°의 각도로 오픈하는 1단 오픈 및 120°의 각도로 오픈하는 2단 오픈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the protective cover from the other upper end of the first side housing, opening the protectiv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stages open, that is, as shown in Figures 5a and 5b Likewise, for example, one stage open to open at an angle of 100 ° and two stage open to open at an angle of 120 ° can be performed.

다만, 상기 100° 및 120°의 각도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각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다만, 상기 각도는 둔각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angles of the 100 ° and 120 ° is an example, it does not limit the angle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angle is preferably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the obtuse angle.

계속해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측면 하우징(220)의 일측 상단(도면부호 미도시)은 수평 플레이트부(219a), 상기 수평 플레이트부(219a)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플레이트부(219b)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219b)로부터 연장되는 제1돌출부(219c) 및 상기 제1돌출부(219c)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돌출부(219d)를 포함한다.5A and 5B, one side upper end (not shown) of the first side housing 220 is a horizontal plate portion 219a and a vertical plat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219a. 219b and a first protrusion 219c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late portion 219b and a second protrusion 219d continuously disposed with the first protrusion 219c.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19c) 및 상기 제2돌출부(219d)는 반 원형의 돌출부의 형태로, 상기 제1돌출부(219c) 및 상기 제2돌출부(219d)는 반 원형의 돌출부가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에 해당하여, 상기 제1돌출부(219c) 및 상기 제2돌출부(219c)의 연결지점에 곡선형태의 제1요(凹)부가 형성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protrusion 219c and the second protrusion 219d are in the form of a semi-circular protrusion, and the first protrusion 219c and the second protrusion 219d are half. The circular protrusions correspond to the for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219c and 219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 curved first recess is formed.

또한,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219b)와 상기 제1돌출부(219c)의 연결지점에는 곡선형태와 직선형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형태의 제2요(凹)부가 형성되며, 상기 곡선형태는 상기 제2돌출부에 의해 곡선형태의 요(凹)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219c)로부터 연장되는 직선 플레이트(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직선형태의 요(凹)부가 형성되어, 이들 곡선형태의 요(凹)부와 직선형태의 요(凹)부의 연결에 의해 제2요(凹)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vertical plate portion 219b and the first protrusion 219c, a second yaw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and a straight line shape is continuously formed, and the curved shape is the second curved portion. Curved yaw portions are formed by the protruding portions, and linear yaw portions are formed by straight plates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late portion 219c to form curved yaw portions. The second yaw portion can be formed by connecting the yaw portion with the straight yaw portion.

한편,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은 철(凸)부(X)를 포함하며, 상기 철(凸)부(X)는 반 원형의 돌출부의 형태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240 includes an iron (X), the iron (X)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emi-circular projection.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에 형성된 철(凸)부(X)와 상기 제1요(凹)부가 결합하여 1단 오픈이 되며,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에 형성된 철(凸)부(X)와 상기 제2요(凹)부가 결합하여 2단 오픈이 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ron portion X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240 and the first yaw portion are combined to be opened in one stage,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240. The iron portion X and the second yaw portion are combined to be open in two stages.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에 형성된 철(凸)부(X)가 상기 제1돌출부(219c) 및 상기 제2돌출부(219d)의 연결지점에 곡선형태의 제1요(凹)부에 위치하여 100°의 각도로 오픈하는 1단 오픈이 가능하며,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240)의 일측에 형성된 철(凸)부(X)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219b)와 상기 제1돌출부(219c)의 연결지점에 위치하는, 곡선형태와 직선형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형태의 제2요(凹)부에 위치하여 120°의 각도로 오픈하는 2단 오픈이 가능하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5a, the iron (X)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240 is curved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projection 219c and the second projection (219d) It is located in the first yaw portion of the first stage opening is possible to open at an angle of 100 °, as shown in Figure 5b, the iron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240 (X) is locat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vertical plate portion 219b and the first protrusion 219c, and is located at the second yaw portion of the form in which the curved form and the straight form are continuously arranged. Two stages of opening are possible.

본 발명에서 이러한 2단 오픈 구조를 작업의 편의성을 위함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two-stage open structure for convenience of work.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및 전원분배장치는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For example, the circuit breaker and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ften installed on the wall and used.

즉, 전원분배장치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한다고 가정시, 1단 오픈 구조에서는 상기 보호커버가 다시 클로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That is, assuming that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wall and used, the protective cover may be closed again in the first stage open structur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2단 오픈 구조인, 약 120°의 각도로 보호커버를 오픈하는 경우, 상기 보호커버가 다시 클로즈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며, 클로즈되더라도, 2단 오픈 구조에서 1단 오픈 구조로 순차적으로 클로즈되기 때문에, 보호커버가 의도하지 않게 클로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tective cover is opened at an angle of about 120 °, which is a two-stage open structure, the protective cover does not occur again. Since it is closed sequentially, the protective cov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advertently closed.

한편, 도 5b의 Y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가 120°의 각도를 초과하여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의 수평플레이트부(219a)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the region Y of FIG. 5B, in order to prevent the protective cover from being opened beyond an angle of 120 °, the horizontal plate part 219a of the first side housing may serve as a stopper.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단기와 접속되면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전원을 복수로 분기시킬 수 있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ower distribution device capable of branching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simply and safely while being connected to a circuit break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일정 공간에 버스바(Bus-Bar)를 삽입함으로써, 미관을 좋게하고, 버스바의 노출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 bus bar (Bus-Bar)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due to exposure of the bus ba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plurality of housing blocks constituting the housing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 하우징의 타측 상단으로부터 상기 보호커버를 분리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오픈하는 것은 2단 오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보호커버가 의도하지 않게 클로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the protective cover from the other side upper end of the side housing, opening the protectiv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stage opening, thereby preventing the protective cover from being inadvertently closed. Can be.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0)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정 공간에 삽입되는 버스바(Bus-Bar)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제1버스바; 및 상기 제1버스바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는, 복수개의 제1접점을 포함하고, 제1높이를 갖는 제1전원분배부; 상기 제1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높이 조절부; 상기 제1높이 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버스바는, 복수개의 제2접점을 포함하고, 제2높이를 갖는 제2전원분배부; 상기 제2전원분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높이 조절부; 상기 제2높이 조절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분배부 및 상기 제2전원분배부의 높이는 상이하고, 상기 제1단자부 및 상기 제2단자부의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분배장치.
housing; And
It includes a bus bar (Bus-Bar)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housing,
The bus bar includes a first bus bar; And a second bus ba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us bar,
The first bus bar may include a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contacts and having a first height; A first height adjusting unit extending from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It includes a first terminal extending from the first height adjustment,
The second bus bar may include a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s and having a second height; A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extending from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It includes a second terminal extending from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And the heights of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unit and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are different, and the heights of the first terminal unit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are the s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체결되는 제1하우징 블럭; 상기 제2측면 하우징과 체결되는 제2하우징 블럭을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may include a first housing block coupled to the first side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block coupled to the second sid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측면 하우징;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측면 하우징; 및 상기 제1측면 하우징과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의 일정 간격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블럭은, 하면 플레이트; 상기 하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배면 플레이트; 상기 배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높이를 갖는 제1상면 플레이트;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정면 플레이트;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높이를 갖는 제2상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정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may include a first side housing; A second side hous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hous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housing blocks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side housing and the second side housing.
The housing block, the bottom plate; A back plate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A first top plate extending from the back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ck plate and having a first height; A first front plate extending from the first top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top plate; A second top plate extending from the first front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ront plate and having a second height; And a second front plate extending from the second top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top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정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3높이를 갖는 제3상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상면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면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정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using block may further include: a third top plate extending from the second front plate an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front plate and having a third height; And a third front plate extending from the third top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top plate, and connected to the back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블럭은,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보조 플레이트;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using block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top plate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top plate; And a second auxiliary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the second top plate and positioned below the second top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1보조 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1버스바의 제1전원분배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2보조 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상기 제2버스바의 제2전원분배부가 삽입되는 전원분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part of the first bus bar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first top plate and the first auxiliary plate, and the second bus bar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second top plate and the second auxiliary plate.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nto which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unit is insert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홀 및 상기 제1개구홀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개구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3개구홀; 상기 제3개구홀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반개구홀 및 상기 제3개구홀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반개구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상면 플레이트의 제1개구홀 및 제2개구홀의 사이 영역에 상기 제2상면 플레이트의 제3개구홀이 위치하는 전원분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top plate includes a first opening hole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top plate and a second opening hol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hole,
The second top plate may include a third opening hole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cond top plate; And a half opening hole located at one side of the third opening hole and the other half opening hole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third opening hole,
And a third opening of the second top plate is located in an area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first top pla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 블럭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 블럭의 반개구홀과 다른 하나의 반개구홀이 만나, 하나의 개구홀을 구성하는 전원분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half-opening hole of one of the housing blocks and the other half-opening hole of the plurality of housing blocks to form one opening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하우징은, 제1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 및 상기 버스바 높이조절부 안착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높이 조절부 안착부는,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 및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단자부 삽입공은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 및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바의 제1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높이조절부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의 제2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2버스바 제2높이조절부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버스바의 제1단자부는 상기 제1버스바 제1단자부 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버스바의 제2단자부는 상기 제2버스바 제2단자부 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전원분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ide housing includes: a first side plate; A bus bar height adjusting part seating part located inside the first side plate; And a bus bar terminal portion insertion hole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ting portion of the bus bar height adjusting part and penetrating the first side plate.
The bus bar height adjusting part seating part may include: a first bus bar height adjusting part seating part; And a seating part of a second bus bar second height adjustment part, wherein the bus bar terminal insertion hole includes: a first bus bar first terminal par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bus bar second terminal portion insertion hole,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art of the first bus bar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first bus bar first height adjustment part, and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part of the second bus bar is seated on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part of the second bus bar. Is seated in,
The first terminal part of the first bus ba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plate through the first bus bar first terminal par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terminal part of the second bus bar is second to the second bus bar.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plate through the terminal insertion ho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하우징은 제2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는,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 및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스바 일단부 안착부에는 상기 제1버스바의 제1전원분배부의 일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제2버스바 일단부 안착부에는 상기 제2버스바의 제2전원분배부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전원분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side housing may include a second side plate; It includes a bus bar end mounting portion located inside the second side plate,
The busbar one end mounting portion, the first busbar one end mounting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of one end of the second bus bar,
One end of the first power distribution portion of the first bus bar is seated on one end of the first bus bar, and one end of the second power distribution portion of the second bus bar is seated on the first bus bar. Power distribution device.
KR1020190109809A 2019-09-04 2019-09-04 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 KR1020542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09A KR102054217B1 (en) 2019-09-04 2019-09-04 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09A KR102054217B1 (en) 2019-09-04 2019-09-04 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556A Division KR102020680B1 (en) 2017-11-27 2017-11-27 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93A true KR20190107293A (en) 2019-09-19
KR102054217B1 KR102054217B1 (en) 2019-12-10

Family

ID=6806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809A KR102054217B1 (en) 2019-09-04 2019-09-04 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21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4333A (en) * 2006-04-27 2007-11-08 Osada:Kk Branch terminal block device
KR200464646Y1 (en) * 2012-07-17 2013-01-11 권영로 Power controller for distributing case
KR101543741B1 (en) 2014-03-03 2015-08-11 윤여관 Terminal Block for Distibuting Electric Power
KR20150103453A (en) * 2014-03-03 2015-09-11 김용학 Diverging Connector Kit for Power Distribution Board
KR20160052103A (en) * 2014-11-04 2016-05-12 원상연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dual multi distribution panelboar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4333A (en) * 2006-04-27 2007-11-08 Osada:Kk Branch terminal block device
KR200464646Y1 (en) * 2012-07-17 2013-01-11 권영로 Power controller for distributing case
KR101543741B1 (en) 2014-03-03 2015-08-11 윤여관 Terminal Block for Distibuting Electric Power
KR20150103453A (en) * 2014-03-03 2015-09-11 김용학 Diverging Connector Kit for Power Distribution Board
KR20160052103A (en) * 2014-11-04 2016-05-12 원상연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dual multi distribution panel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217B1 (en)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5257B2 (en) Plug-in system
US9716372B2 (en) Switchboard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553946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10141147B2 (en) Touch safe panel board system
US8642885B2 (en) Electrical enclosures with removable end plate
EP2903015A1 (en) Circuit breaker
US20110176258A1 (en) Configurable deadfront fusible panelboard
KR20100017368A (en) High-voltage switchgear
US5011033A (en) Electrical service center
RU2247454C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feeding electric loads
JP2972276B2 (en) switchboard
US11342692B2 (en) Modular junction boxes
KR102054217B1 (en) 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
KR102020680B1 (en) 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Device
US11637413B2 (en) Methods for making an energized parts guard system
KR102246825B1 (en) Connecting Clip and MCC with the same
JPWO2008136112A1 (en) Metal closed switchgear
US9692213B2 (en) Doorless modular panelboard
KR101082328B1 (en) Motor control center using a breaker integrated with stab connectors
KR20210157762A (en) Busbar branch device
KR100822266B1 (en) Power receiving and transforming device
KR102435410B1 (en) Distributing Board
US10297985B2 (en) Modular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same
KR101029293B1 (en) Distributing borad using detachable multi adapter assembly
WO2021130529A1 (en) Four pole outgoing plugg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