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737A - 내연 기관의 피스톤 조립체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피스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737A
KR20190106737A KR1020190025129A KR20190025129A KR20190106737A KR 20190106737 A KR20190106737 A KR 20190106737A KR 1020190025129 A KR1020190025129 A KR 1020190025129A KR 20190025129 A KR20190025129 A KR 20190025129A KR 20190106737 A KR20190106737 A KR 20190106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iston
slide shoe
piston assembly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1590B1 (ko
Inventor
요헨 코르타스
마누엘 로이체
벤야민 뮐러
Original Assignee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06Arrangements for cooling pistons
    • F01P3/10Cooling by flow of coolant through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32Engines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main shafts and not specific to preceding main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0015Multi-part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16Pistons  having cooling means
    • F02F3/20Pistons  having cooling means the means being a fluid flowing through or along piston
    • F02F3/22Pistons  having cooling means the means being a fluid flowing through or along piston the fluid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16Pistons  having cooling means
    • F02F3/20Pistons  having cooling means the means being a fluid flowing through or along piston
    • F02F3/22Pistons  having cooling means the means being a fluid flowing through or along piston the fluid being liquid
    • F02F3/225Pistons  having cooling means the means being a fluid flowing through or along piston the fluid being liquid the liquid being directed into blind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26Pistons  having combustion chamber in piston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3)을 가진 내연 기관(2)의 피스톤 조립체(1)에 관한 것이고, 상기 피스톤 조립체는
- 상부 피스톤 부분(4), 하부 피스톤 부분(5) 및 커넥팅 로드(6)를 가지며,
- 상부 피스톤 부분(4)와 하부 피스톤 부분(5) 사이에 형성되고 피스톤(3)을 냉각하기 위한 내부 냉각 챔버(7)를 가지고,
- 스프링 부재(9)에 의해 커넥팅 로드(6)의 로드 헤드(10)에 가압되고 냉각 오일을 내부 냉각 챔버(7)속으로 전달하며 하부 피스톤 부분(5)에 장착된 슬라이드 슈(8)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 스프링 부재(9)가 슬라이드 슈(8)의 일체 부품을 형성하는 특징, 또는
- 슬라이드 슈(8)와 하부 피스톤 부분(5) 사이에 슬리브(12)가 배열되며, 상기 스프링 부재(9)는 슬리브(12)의 일체 부품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피스톤 조립체{PISTON ASSEMBLY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제1항의 전제부를 따르고 상부 피스톤 부분 및 상부 피스톤 부분이 연결된 하부 피스톤 부분을 포함한 피스톤을 갖는 내연 기관의 피스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피스톤 조립체를 가진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선박 엔진과 같은) 산업용 적용예들을 위한 비교적 큰 피스톤들에 있어서, 소위 슬라이드 슈(slide shoe)를 통해 오일이 공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피스톤은 연소 보울(combustion bowl) 아래 및 반경 방향으로 중간 영역에 배열된 내부 냉각 챔버를 가진다. 또한, 냉각 덕트는 반경 방향으로 외측부에 배열되며, 상기 냉각 덕트는 공지된 방식으로 형성되고 교차 포트(crossover ports)를 통해 내부 냉각 챔버과 연결된다. 오일 공급은 커넥팅 로드내에서 형성된 통로 개구부/보어(borehoel)를 통해 이루어지며, 냉각 오일은 깔때기 형상의 슬리브를 통해 냉각 챔버로 공급된다.
문헌 제 DE 10 2012 208 090 A1호에 공개된 상기 형태의 내연 기관용 피스톤은 상부 피스톤 부분분과 하부 피스톤 부분을 가지며, 피스톤 볼트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 볼트는 하부 피스톤 부분내에 장착되고, 피스톤을 내연 기관의 커넥팅 로드에 연결한다. 또한, 하부 피스톤 부분내에 슬라이드 슈(slide shoe)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슈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커넥팅 로드의 로드 헤드에 대해 가압되고 커넥팅 로드내부의 통로 개구부/보어에 의해 전달되는 냉각 오일을 상기 상부 피스톤 부분와 상기 하부 피스톤 부분 사이에 형성된 내부 냉각 챔버로 전달한다. 슬라이드 슈와 하부 피스톤 부분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 슈를 위한 안내표면이 형성된다.
문헌 제 DE 10 2013 002 232 A1호에 상부 피스톤 부분 및 하부 피스톤 부분뿐만 아니라 커넥팅 로드를 포함한 내연기관의 피스톤이 공지되고, 냉각 오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냉각 챔버가 하부 피스톤 부분과 상부 피스톤 부분사이에 형성된다. 하부 피스톤 부분내에 슬롯구조를 가진 냉각 오일 슬리브로 설계된 슬라이드 슈가 배열된다. 슬롯에 의해 냉각 오일 슬리브는 상당히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지만 냉각 오일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피스톤이 가지는 문제점에 의하면, 냉각 오일이 누출되거나 슬라이드 슈를 로드 헤드에 대해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제공해야 하며, 제조 창고 보관 및 설치되어야 하는 여분의 구성 부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류의 피스톤에 대해, 특히 단순화된 구조적 설계를 가지며 개선되거나 적어도 선택적인 구성을 제시하는 과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의 주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이 기초로 하는 일반적인 기술사상에 의하면, 자체로서 공지된 내연 기관의 피스톤 조립체내에서, 피스톤은 상부 피스톤 부분, 하부 피스톤 부분 및 커넥팅 로드를 가지며, 스프링 부재에 의해 커넥팅 로드의 로드 헤드에 가압되고 냉각 오일을 내부 냉각 챔버속으로 전달하며 하부 피스톤 부분에 장착된 슬라이드 슈를 가진다. 본 발명을 따르는 스프링 부재는 슬라이드 슈의 일체 부품을 형성하거나 슬라이드 슈와 하부 피스톤 부분 사이에 슬리브가 배열되며, 상기 스프링 부재는 슬리브의 일체 부품을 형성한다.
커넥팅 로드의 로드 헤드에 대해 슬라이드 슈를 가압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를 슬라이드 슈 또는 슬리브 속에 일체화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스프링 부재와 함께 관련 창고, 물류 및 조립비용이 제거될 수 있다. 제2 선택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슈를 위한 안내 표면은 슬라이드 슈와 하부 피스톤 부분 사이에 제공되고 슬라이드 슈와 하부 피스톤 부분 사이에 위치한 슬리브 상에 형성된다. 제1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슈가 스프링 부재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수행하고 이 경우 슬라이드 슈는 예를 들어 비용 -효과적인 몰딩 시트 금속 부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제2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슬리브 상에 구성된 안내 표면이 하부 피스톤 부분과 분리된 안내 표면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슈의 영역에서 하부 피스톤 부분에 마모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수명이 훨씬 더 길어지므로 유리하다. 이 경우 마모가 발생하면 슬리브만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또한, 두 개의 선택적인 실시예들에서, 피스톤의 압축 높이 및/또는 피스톤 보울의 깊이뿐만 아니라 피스톤 중량은 스프링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슬롯구조를 가진 슬라이드 슈와 비교하여, 냉각 및 윤활 오일의 누출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따라서 현저히 향상된 냉각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특징들과 함께 스프링 부재가 슬라이드 슈의 일부분이 아니고 따라서 2개의 상이한 재료들이 이용되며, 즉 슬라이드 슈를 위해 경량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 스프링 부재 또는 슬리브를 위해 스프링 탄성 재료 (예를 들어, 강(steel))가 이용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의 제2 선택적 실시예는 상당히 유리하다.
제1 선택적 실시예를 따르고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하나의 유리한 변형 예에서, 스프링 부재는 스프링 돌출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돌출요소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며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 냉각 챔버를 향한다. 상기 스프링 돌출요소는 제조 측면으로부터 비교적 용이하게 슬라이드 슈속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스프링 돌출요소들의 예비 인장(pretensioning)은 로드 헤드에 대해 슬라이드 슈를 가압한다.
유리하게, 인접한 2개의 스프링 돌출요소들은 스프링 돌출요소들사이에 배열된 슬롯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슬롯은 슬롯의 내측 단부에서 슬롯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 리세스속으로 통과한다. 원형 리세스에 의해 특히 슬롯 단부 영역에서 피크 응력이 크게 줄어들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슈의 사용 수명이 상당히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리세스가 가지는 직경의 개별 크기에 의해, 개별 스프링 돌출요소의 스프링 하중이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원형 리세스 및 슬롯에 의해 하부 피스톤 부분 상에 형성된 안내 표면위에서 슬라이드 슈의 내부로부터 냉각 오일의 적어도 경미한 오버 플로우(overflow)가 가능하여, 하부 피스톤 부분상에서 슬라이드 슈와 안내 표면 사이의 윤활이 보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돌출요소의 하나의 자유 단부에 후크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 형상부는 하부 피스톤 부분상의 변부 주위에 도달한다. 이렇게 하여, 스프링 돌출요소의 후크 윤곽이 상기 변부 주위에 도달하고 외측을 향해 튀어 나오며 상기 변부와 상호 구속(interlocked)될 때까지 상기 슬라이드 슈는 하부로부터 하부 피스톤 부분 속으로 단지 가압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하부 피스톤 부분내에 슬라이드 슈를 비교적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제1 선택예로서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스프링 돌출요소는 구 형상을 가지고 즉 외측을 향해 팽창되고, 하부 피스톤 부분내에 스프링 돌출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이 제공되고 수용 영역은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스프링 돌출요소의 구 형상과 짝을 이루는 볼록 형상을 가져서, 스프링 돌출요소들은 적어도 일부분을 위해 상기 수용 영역에 대해 평평하게 배열된다. 이렇게 하여, 하부 피스톤 부분 상에 슬라이드 슈가 신뢰성 있게 고정될 수 있다. 볼록한 형태를 갖는 수용 영역은 로드 헤드를 향해 원통형 형상을 갖는 추가의 수용 영역 속으로 통과하며, 이 경우에 슬라이드 슈는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영역에서 외부 원통형 표면을 가지며, 하부 피스톤 부분내에서 슬라이드 슈는 축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2 선택예에 따라, 본 발명을 따르는 해결책의 유리한 변형 예에서, 스프링 부재는 로드 헤드를 향하고 슬라이드 슈를 둘러싸는 스프링 영역을 갖는다. 이 경우, 스프링 부재는 슬리브와 일체 구성되는 부품이며 스프링 영역에 의해 로드 헤드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슈를 가압한다. 상기 스프링 영역은 리세스를 갖는 원형 계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 영역의 스프링 하중은 리세스의 크기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리세스는 윤활유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여, 왕복 운동 하는 동안 슬라이드 슈의 윤활이 지원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세스는 슬롯으로서 구성되고, 각각의 슬롯은 인접한 2개의 스프링 돌출요소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슬롯의 갯수 및/또는 스프링 돌출요소의 반경 방향 벽 두께에 따라, 스프링 영역의 가압력은 슬라이드 슈에 대해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해결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슬리브위에 배열된 고정 링이 슬리브, 특히 안내 슬리브를 상기 하부 피스톤 부분위에 고정한다. 또한, 슬라이드 슈 상에 배열된 고정 링이 슬라이드 슈를 슬리브위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대응하는 환상 요홈이 슬라이드 슈와 슬리브내에 각각 형성된다. 고정 링에 의해 슬라이드 슈와 슬리브가 상대적으로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조립체를 가진 내연 기관을 개조하여 피스톤 조립체에 관한 상기 장점을 내연 기관에 제공하는 일반적인 발명사상을 기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특징 및 이점은 종속 청구항, 도면 및 도면들을 참고하는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된다.
물론, 상기 특징 및 이후 설명될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특정 조합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이용되거나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 및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며, 동일한 도면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피스톤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과 유사하지만 슬리브의 도면으로서 도시된 또 다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따르는 피스톤 조립체의 제1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과 유사한 또 다른 단면도.
도 5는 도 4와 유사한 편향된 로드 헤드를 도시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내연 기관(2)의 피스톤 조립체(1)는 상부 피스톤 부분(4) 및 하부 피스톤 부분(5)을 포함한 피스톤(3)뿐만 아니라 커넥팅 로드(6)를 갖는다. 상부 피스톤 부분(4) 및 하부 피스톤 부분(5) 사이에 피스톤(3)을 냉각시키기 위해 오일을 냉각시키는 냉각 챔버(7)이 배열된다. 하부 피스톤 부분(5)내에 장착된 슬라이드 슈(8)가 커넥팅 로드(6)의 로드 헤드(10)에 대해 스프링 부재(9)에 의해 가압되고 냉각 오일(11)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부재(9)는 슬라이드 슈(8)의 일체 부품을 형성(도 3 내지 도 5 참고)하거나 슬리브(12)의 일체 부품을 형성(도 1 및 도 2 참고)한다. 스프링 부재(9)가 슬라이드 슈(8) 또는 슬리브(12) 중 하나에 기능적으로 일체화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필요한 별도의 스프링 부재가 제거되어 다양한 부품 및 관련된 창고 및 물류비용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을 감소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일체" 구성은 재료가 균일하거나 단일 부품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피스톤(3)의 제2 선택적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슈(8)를 위한 안내 표면(13)이 슬라이드 슈(8)와 하부 피스톤 부분(5) 사이에 제공되고, 슬라이드 슈(8)와 하부 피스톤 부분(5) 사이에 배열된 슬리브(12) 상에 형성된다. 슬리브(12) 상에 안내표면(13)이 형성되면, 슬라이드 슈(8)가 더이상 하부 피스톤 부분(5)위에 직접 장착되지 않아서 거의 슬라이드 슈(8)와 슬리브(12) 사이에서만 마찰 마모가 발생하고, 과도한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 슬리브(12)만 교환하면 되므로 유리하다.
상기 모든 특징과 함께 추가로 본 발명을 따르는 피스톤(3)의 제2 선택적 실시예는 스프링 부재(9)가 슬라이드 슈(8)의 부분이 아니므로 2개의 상이한 재료, 즉 슬라이드 슈(8)를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재료 및 스프링 부재(9) 또는 슬리브(12)를 위해 (강과 같은)스프링 탄성 재료가 이용될 수 있어서 상당히 유리하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스프링 부재(9)를 확인해 보면, 스프링 부재는 슬라이드 슈(8)를 둘러싸는 로드 영역(10)을 향하는 스프링 영역(14)을 가진다. 스프링 영역(14)은 슬롯 형상을 가진 리세스(16)를 가진 원형 계단부(15)를 포함하고, 각각의 슬롯은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돌출 요소(17)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각각의 슬롯은 내측 단부에서 슬롯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형 리세스(18)를 포함하고, 개별 스프링 돌출요소(17)의 폭 및 이에 따른 스프링 하중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원형 리세스(18)의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원형 리세스(18)는 상기 영역에서 발생하는 노치 효과를 감소시켜 스프링 부재(9)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할 때, 고정 링(19)이 슬리브(12) 상에 배열되고 슬리브(12)상의 대응하는 원형 요홈과 연결되며 슬리브(12)를 하부 피스톤 부분(5)에 고정 시킨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슈(8)는 또한 고정 링(19')(도 1 참고)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링은 슬라이드 슈(8)상의 대응하는 원형 홈과 연결되고 슬리브(12) 상에 슬라이드 슈(8)를 고정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부 피스톤 부분(5)에 상부 피스톤 부분(4)을 서로 나사체결하여 연결하기 전에 하부 피스톤 부분(5)위에 슬라이드 슈(8) 및 슬리브(12)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고 본 발명을 따르는 피스톤 조립체(1)의 제1 선택적인 실시예를 고려할 때, 스프링 부재(9)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고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 냉각 챔버(7)를 향하는 스프링 돌출요소(17)들을 포함한다. 인접한 두 개의 스프링 돌출요소(17)들사이에 슬롯이 배열되며, 상기 슬롯은 또한 내측 단부에서 원형 리세스(18) 내로 통과하고 상기 원형 리세스의 직경은 슬롯 폭보다 크다. 또한, 슬롯의 갯수, 따라서 스프링 돌출요소(17)의 갯수 및 슬롯 또는 리세스(18)의 크기 및/또는 스프링 돌출요소(17)의 반경 방향 벽 두께에 의해 개별 스프링 돌출요소(17)의 스프링 하중이 변화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에 도시된 제1 선택적 실시예에서, 별도의 스프링 부재 또는 별도의 슬리브가 필요 없으므로 다양한 부품 및 그에 따른 창고 및 물류비용뿐만 아니라 조립 비용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스프링 돌출요소(17)를 더 확인해 보면, 상기 스프링 돌출 요소(17)들은 하나의 자유 단부에서 후크 형상부(20)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형상부는 하부 피스톤 부분(5)상에서 변부(21) 주위에 도달한다. 하부 피스톤 부분의 측부에서 개구부(22) 속으로 슬라이드 슈(8)를 간단하게 가압하면, 하부 피스톤 부분(5) 상에 상기 슬라이드 슈(8)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변부(21) 주위에서 하부 피스톤 부분(5)에 도달할 때까지 우선 개별 스프링 돌출 요소(17)들이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하고 예비 인장(pretensioned)되고 스프링 작용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로 이동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스프링 돌출요소(17)는 구 형상이고, 즉 외측을 향해 팽창된 형상을 가진다. 하부 피스톤 부분(5) 내에서 개구부(22)의 영역내에 스프링 돌출요소(17)의 구 형상과 짝을 이루는 볼록 형상을 가지며 스프링 돌출요소(17)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23)이 형성되어 스프링 돌출요소(17)는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개구부(22)의 수용 영역(23)에 대해 평평하게 배열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될 수 있는 구름(rolling) 구성에 의하면, 축 방향 변위가 발생하는 동안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힘이 증가되고 축 방향 변위가 발생하는 동안 구조적 부품상의 변형 증가가 적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로드 헤드(6)를 향하여 볼록한 수용 영역(23)은 슬라이드 슈(8)를 위한 축 방향 안내 표면을 형성하는 원통형 안내 영역(24)속으로 통과한다.
특정 선택적 실시예와 무관하게, 슬라이드 슈(8)는 단부에서 로드 헤드(10)를 향하는 수용 영역을 가지고 피스톤(3)에 대한 로드 헤드(10)의 회전 위치와 무관하게 해당 오일 공급 덕트(25)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 오일(11)을 슬라이드 슈(8)가 수용하기 위해 상기 수용 영역은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특히, 도 2 및 도 5 참고). 특히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선택적 실시예에서 수용 영역은 (특히 둥근 원형 개구부와 비교하여) 기다란(oblong) 개구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고려할 때, 수용 영역은 도 4 및 도 5와 비교하여 더 큰 폭을 가지며 예를 들어, 슬라이드 슈(8)의 리세스(26)에 의해 확대되고 이에 따라 기다란 개구부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용 영역의 폭(B)이 도 3에 도시되고, 수용영역의 길이(L)가 도 5에 도시된다. 길이(L)는 폭(B)보다 커서 기다란 개구부 또는 기다란 수용 영역을 생성한다. 상기 구조는 또한 문헌 제 DE 10 2013 002 232 A1호의 설계에 비해 중요한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을 따르는 피스톤 조립체(1) 및 특히 본 발명을 따르는 슬라이드 슈(8) 또는 슬리브(12)에 의하면, 예를 들어 다양한 부품 및 높은 조립 비용과 같은 종래 기술로의 공지된 단점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비교적 작은 설계 높이가 달성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피스톤의 압축 높이 및 피스톤 보울 깊이뿐만 아니라 피스톤 중량이 유리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3.......피스톤,
2.......내연 기관,
1.......피스톤 조립체,
4.......상부 피스톤 부분,
5.......하부 피스톤 부분,
6.......커넥팅 로드,
7.......냉각 챔버,
9.......스프링 부재,
10.......로드 헤드,
8.......슬라이드 슈,
12.......슬리브.

Claims (11)

  1. 피스톤(3)을 가진 내연 기관(2)의 피스톤 조립체(1)로서,
    - 상부 피스톤 부분(4), 하부 피스톤 부분(5) 및 커넥팅 로드(6)를 가지며,
    - 상부 피스톤 부분(4)와 하부 피스톤 부분(5) 사이에 형성되고 피스톤(3)을 냉각하기 위한 내부 냉각 챔버(7)를 가지고,
    - 스프링 부재(9)에 의해 커넥팅 로드(6)의 로드 헤드(10)에 가압되고 냉각 오일을 내부 냉각 챔버(7)속으로 전달하며 하부 피스톤 부분(5)에 장착된 슬라이드 슈(8)를 가지는 피스톤 조립체에 있어서,
    - 스프링 부재(9)가 슬라이드 슈(8)의 일체 부품을 형성하는 특징, 또는
    - 슬라이드 슈(8)와 하부 피스톤 부분(5) 사이에 슬리브(12)가 배열되며, 상기 스프링 부재(9)는 슬리브(12)의 일체 부품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는 피스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프링 부재(9)는 스프링 돌출요소(17)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돌출요소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며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 냉각 챔버(7)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스프링 돌출요소(17)들은 스프링 돌출요소들사이에 배열된 슬롯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슬롯은 슬롯의 내측 단부에서 슬롯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 리세스(18) 속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돌출요소(17)의 하나의 자유 단부에 후크 형상부(20)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 형상부는 설치 상태에서 하부 피스톤 부분(5)상의 변부(21) 주위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돌출요소(17)는 구 형상을 가지고 외측을 향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하부 피스톤 부분(5)내에 스프링 돌출요소(17)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23)이 스프링 돌출요소(17)의 구 형상과 짝을 이루는 볼록 형상을 가져서, 스프링 돌출요소(17)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용 영역(23)에 대해 평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제2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프링 부재(9)는 로드 헤드(10)를 향하고 슬라이드 슈(8)를 둘러싸는 스프링 영역(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영역(14)은 리세스(16)를 갖는 원형 계단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리세스(16)는 슬롯으로서 구성되고, 각각의 슬롯은 인접한 2개의 스프링 돌출요소(17)들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 슬리브(12)위에 배열된 고정 링(19)이 슬리브(12)를 상기 하부 피스톤 부분(5)위에 고정하고,
    - 슬라이드 슈(8) 상에 배열된 고정 링(19')이 슬라이드 슈(8)를 슬리브(12)위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조립체(1)를 갖는 내연 기관(2).
KR1020190025129A 2018-03-07 2019-03-05 내연 기관의 피스톤 조립체 KR102671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3417.6 2018-03-07
DE102018203417.6A DE102018203417A1 (de) 2018-03-07 2018-03-07 Kolbenanordnung einer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737A true KR20190106737A (ko) 2019-09-18
KR102671590B1 KR102671590B1 (ko) 2024-05-31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42438A (zh) 2019-09-17
CN110242438B (zh) 2022-10-18
DE102018203417A1 (de)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923A (en) Tensioner for belts and chains
US10018124B2 (en) Ball bearing, in particular piston rod ball bearing and piston rod with ball bearing
US7302927B1 (en) Two-part 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80043300A (ko) 내연 기관용 피스톤
US3053595A (en) Variable curvature wrist pin bearing
KR20060123586A (ko) 내연 기관의 피스톤용 피스톤 핀 베어링
US7975601B2 (en) Engine cylinder liner
CN110500374B (zh) 带有液压的端部挡块的减振器
US9057341B2 (en) Engine cylinder mid-stop
CN110242438B (zh) 内燃机的活塞组件
CN109312863B (zh) 单件式油控制环
CN101238313A (zh) 由两个部件组成的内燃机刮油环
US9920787B2 (en) Connecting rod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671590B1 (ko) 내연 기관의 피스톤 조립체
FI126961B (fi) Polttomoottorikoneen mäntä
KR102389308B1 (ko) 오일 씰
US8701618B2 (en) Piston/piston ring arrangement
KR20170098696A (ko) 내연 기관의 피스톤
EP1288464A2 (en) Piston assembly for free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864274A1 (en) Unique block rib geometry for reducing liner distortion
EP2216534A1 (en) Method of lining a cylinder and a cylinder liner therefor
US7938058B2 (en) Engine piston with rolling element skirt
CN114630953B (zh) 用于内燃机的具有摩擦损失降低的活塞
CN116324231B (zh) 活塞环的组合以及活塞与活塞环的组合结构
US1773372A (en) Pis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