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224A -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224A
KR20190106224A KR1020180027395A KR20180027395A KR20190106224A KR 20190106224 A KR20190106224 A KR 20190106224A KR 1020180027395 A KR1020180027395 A KR 1020180027395A KR 20180027395 A KR20180027395 A KR 20180027395A KR 20190106224 A KR20190106224 A KR 20190106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card
card company
owned
merch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151B1 (ko
Inventor
조정범
김정언
Original Assignee
비씨카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씨카드(주) filed Critical 비씨카드(주)
Priority to KR102018002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151B1/ko
Priority to PCT/KR2018/008231 priority patent/WO2019172489A1/ko
Publication of KR2019010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가 가맹점에 카드 매출금을 지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당일의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매출 자료가 생성되면, 소정의 시간 후 상기 카드 매출금을 상기 카드사가 소유하는 계좌로 입금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맹점과 관련된 단말로 상기 입금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AYING THE CARD SALES PRICE USING CARD COMPANY OWNING ACCOUNT}
본 발명은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사 서버가 가맹점의 카드 매출대금을 카드사 소유의 계좌에 상시적으로 지급하여, 가맹점으로 하여금 해당 계좌 내 대금을 가용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용카드 가맹점들은 카드결제로 인한 매출 발생 시, VAN사를 거쳐 카드사에 전표가 매입되는 소정의 기간이 소요되며, 카드사에 전표가 매입된 후 해당 전표 매입일로부터 2영업일 째에 해당하는 날에 해당 매출대금이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전표 매입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VAN사의 별도 청구작업 없이 카드리더기를 통해 발생한 카드승인거래데이터를 기준으로 카드사가 직접 매입을 해주는 방식인 EDC(Electronic Data Capture) 서비스가 도입되었으나, 이 또한 매입 과정 중 휴일이 포함되었을 시, 대금 지급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사로부터의 매출대금 지급이 지연됨에 따라, 가맹점주들은 자신의 매출대금을 이용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그 이용에 곤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드사가 서비스 대상 가맹점에 카드사 소유의 계좌를 발급하고, 가맹점의 카드 매출금을 휴일의 유무와 관계없이 매입일 익일에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로 지급함으로써, 가맹점주가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와 연동된 카드를 이용하여 평일·휴일 구분없이 가맹점의 매출금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맹점주에 의해 지정된 가맹점주 소유 계좌 및 가맹점의 카드사 소유 계좌를 연동함으로써,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의 잔액 및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선불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카드사 소유 계좌에서 가맹점주 소유 계좌로 자동이체, 개별이체 등의 방법과 별도로 지정된 방법에 의해 출금 가능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가 가맹점에 카드 매출금을 지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당일의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매출 자료가 생성되면, 소정의 시간 후 상기 카드 매출금을 상기 카드사가 소유하는 계좌로 입금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맹점과 관련된 단말로 상기 입금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매출 자료 생성 및 상기 입금은, 당일 및 익일이 휴일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는 선불계좌이고, 상기 선불계좌에 연결된 선불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선불계좌 잔액 범위 내에서 상기 결제 요청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가 소유하는 계좌로부터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상기 카드 매출금의 적어도 일부를 이체하거나 이체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에 연결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 또는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로부터의 출금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및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하여 상기 결제 요청 또는 상기 출금 요청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이 기 지정된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적어도 일부를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소정 금액에 대한 이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상기 소정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기 지정된 입금일자가 되었을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로부터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상기 카드 매출금의 적어도 일부가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이 소정의 한도를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상기 소정의 한도에 해당하는 금액이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에 카드 매출금을 지급하는 카드사 서버에 있어서,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당일의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매출 자료가 생성되면, 소정의 시간 후 상기 카드 매출금을 상기 카드사가 소유하는 계좌로 입금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가맹점과 관련된 단말로 상기 입금 사실을 통지하는 매출 정산부를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매출 자료 생성 및 상기 입금은, 당일 및 익일이 휴일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는 선불계좌이고, 상기 선불계좌에 연결된 선불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선불계좌 잔액 범위 내에서 상기 결제 요청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가 소유하는 계좌로부터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상기 카드 매출금의 적어도 일부를 이체하거나 이체하도록 지원하는 이체 관리부; 및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에 연결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 또는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로부터의 출금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및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하여 상기 결제 요청 또는 상기 출금 요청이 처리되도록 하는 카드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이 기 지정된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적어도 일부를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이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소정 금액에 대한 이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상기 소정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이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기 지정된 입금일자가 되었을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로부터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상기 카드 매출금의 적어도 일부가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이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이 소정의 한도를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상기 소정의 한도에 해당하는 금액이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이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가 서비스 대상 가맹점에 카드사 소유의 계좌를 발급하고, 가맹점의 카드 매출금을 휴일의 유무와 관계없이 매입일 익일에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로 지급함으로써, 가맹점주가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와 연동된 카드를 이용하여 평일·휴일 구분없이 가맹점의 매출금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주에 의해 지정된 가맹점주 소유 계좌 및 가맹점의 카드사 소유 계좌를 연동함으로써,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의 잔액 및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선불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소유 계좌에서 가맹점주 소유 계좌로 자동이체, 개별이체 등의 방법과 별도로 지정된 방법에 의해 출금 가능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대금 지급 시스템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 등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불계좌에 매출대금이 지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체 서비스 및 카드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선불계좌"란, 카드사가 소유하는 계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카드사에 의해 자유롭게 입출금 될 수 있는 계좌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맹점주에게 발급되는 카드사 소유 계좌가 선불계좌의 형태인 실시예에 대하여만 서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대금 지급 시스템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대금 지급 시스템은 가맹점 단말기(100), 카드사 서버(200) 및 은행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맹점 단말기(100), 카드사 서버(200) 및 은행 서버(300)는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맹점 단말기(100)는 특정 가맹점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카드(선불카드, 체크카드, 신용카드 등)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를 당해 매출 정보와 함께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가맹점 단말기(100)는 가맹점과 관련된 단말로서, POS 단말 또는 CAT(Credit AuthorizationTerminal) 단말일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이 가능하고, 웹 접속이 가능한 모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가맹점 단말기(100)에는 카드사 서버(200)를 통해 수행되는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드 되어 있는 앱 스토어 서버(미도시)에 접속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의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맹점 단말기(10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제공 웹 페이지를 요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맹점 단말기(100)로 설명하나, 가맹점이 온라인 가맹점인 경우에는 가맹점 단말기(100)가 가맹점 서버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카드사 서버(200)는 가맹점 단말기(100)를 통해 발생하는 카드결제를 처리하고, 해당 가맹점의 매출금을 정산하여 지급하는 등 카드 서비스와 관련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카드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카드사 서버(200)는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본 발명의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가맹점 및 가맹점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 서비스 가입 조건을 만족할 경우 해당 가맹점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등록이 완료된 가맹점일지라도, 특정 사유로 인해 서비스 가입 조건을 위반하거나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대상에서 해지 처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200)는 카드사 소유의 계좌, 바람직하게는 기명식 선불계좌를 서비스 등록 대상인 가맹점주에게 발급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200)는 가맹점 단말기(100)를 통해 발생한 가맹점의 당일 매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가맹점의 당일 카드 매출금을 정산하여 매출 자료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카드 매출금이 익일에 가맹점주의 선불계좌로 지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매출 정보 발생일이 휴일이라 하더라도 상기 매출금 지급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 서버(200)는 가맹점주로부터 가맹점 단말기(100)를 통해 가맹점주 소유의 특정 은행계좌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해당 은행계좌와 해당 가맹점주의 선불계좌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200)는 가맹점주에게 선불계좌와 연동되는 선불카드를 발급할 수 있으며, 선불계좌 및 은행계좌 모두와 연동되는 체크카드를 발급하거나, 은행 서버(300)를 통해 발급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가맹점주는 상기 발급받은 선불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이용하여 자신의 선불계좌에 예치된 금액을 자유롭게 사용(결제, 출금 등)하는 카드 서비스를 카드사 서버(200) 또는 은행 서버(3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카드사 서버(200)는 즉시이체, 자동이체, 한도초과이체 등과 같은 다양한 이체 방법에 의해 선불계좌 내의 소정 금액이 해당 선불계좌와 연동된 은행계좌로 이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200)는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가 제공된 내역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가맹점주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내역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은행 서버(300)는 가맹점주에게 특정 은행계좌를 발급한 은행,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카드사와 제휴 계약을 체결한 은행이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은행 서버(300)는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가맹점주의 특정 선불계좌와 연동된 은행계좌의 잔액 정보를 조회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은행계좌의 잔액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은행 서버(300)는 은행 내 단말기(미도시) 또는 ATM(미도시)으로부터 가맹점주의 체크카드를 이용하여 소정 금액을 출금하고자 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은행 서버(300)는 상기 출금 요청된 금액이 해당 체크카드에 대응되는 은행계좌의 잔액 내일 경우 해당 금액이 가맹점주에게 출금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출금 요청된 금액이 은행계좌의 잔액을 초과할 경우, 은행 서버(300)는 카드사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체크카드에 연동된 선불계좌의 잔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출금 요청된 금액이 상기 은행계좌의 잔액 및 상기 선불계좌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 내일 경우 해당 금액이 출금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은행 서버(300)는 카드사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 즉, 은행계좌의 잔액 및 선불계좌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체크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200)는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 매출 정산부(220), 이체 관리부(230),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 서비스 내역 제공부(250), 제어부(260) 및 통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특정 가맹점을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의 제공 대상으로 등록하거나, 서비스 제공 대상에서 해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가맹점을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의 제공 대상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요청인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 가입 요청은 가맹점의 이름, 주소, 매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가맹점 관련 정보와 가맹점주의 이름, 연락처, 은행계좌 정보, 사업자 등록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가맹점주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상기 서비스 가입 요청이 수신될 시, 상기 가맹점 관련 정보 및 가맹점주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가맹점 및 가맹점주가 서비스 가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사업자 가맹점인지 여부, 전자매입 특약 가맹점인지 여부, 가맹점 매출관련 심사 조건을 충족하는 가맹점인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가맹점주에 대한 본인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가맹점주의 카드(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정보 또는 개인 단말기(휴대폰 등)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해당 정보들을 기반으로 가맹점주에 대한 본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약관에 대한 동의 요청을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 관련 약관에 대한 동의 여부를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관련 약관은 가맹점주 명의의 기명식 선불계좌 발급 및 이에 대한 매출대금 입금 관련 정보, 상기 선불계좌 및 가맹점주의 은행계좌에 대한 제신고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관련 약관은 카드사 서버(200)가 서비스 가입 안내 정보와 이의 변경사항 안내 정보, 서비스 해지 안내 정보, 선불계좌에 대한 지급액, 누적금액 및 이체 가능 금액 안내 정보 등을 이메일, SMS, 애플리케이션 PUSH 알림 등의 안내 수단을 통해 가맹점주에게 제공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상기 안내 정보들 각각에 대한 수신 동의 여부와 그 안내 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가맹점 및 가맹점주가 서비스 가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고, 해당 가맹점주에 대한 본인인증이 완료되었으며, 서비스 관련 약관이 적어도 일부 이상 동의 되었을 시, 해당 가맹점주에게 선불계좌를 발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불계좌는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에 의해 신규로 발급되는 계좌일 수 있으며, 가맹점 단말기(100)가 가맹점주주로부터 입력 받을 가맹점주 명의의 기존 은행계좌일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선불계좌 발급이 완료되었을 시, 해당 선불계좌를 가맹점주에 의해 지정된 가맹점주 소유의 계좌인 특정 은행계좌와 연동시킴으로써, 추후 이체 관리부(230)를 통해 상기 선불계좌의 소정 금액이 상기 은행계좌로 이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상기 이체 관리부(230)를 통해 선불계좌 및 은행계좌 간 자동이체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선택 받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불계좌 및 은행계좌의 연동을 통해 추후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에 의해 상기 선불계좌의 잔액 및 상기 은행계좌의 잔액이 합산된 금액 내에서 카드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가맹점주에게 상기 선불계좌와 연동되는 선불카드, 또는 상기 선불계좌 및 이와 연동된 은행계좌 모두와 연동되는 체크카드를 발급하거나, 해당 은행계좌를 발급한 은행을 통해 발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서비스 가입 완료 안내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에 등록 완료된 가맹점에 대하여 서비스 해지 사유가 발생하였을 시, 해당 가맹점을 서비스 제공 대상에서 해지시키는 절차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가입 요청 시 입력된 가맹점 관련 정보 및 가맹점주 관련 정보 중 허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가입기간 중 해당 가맹점의 조건이 변경된 경우, 소정 사유로 인하여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가 유지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을 시,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해당 가맹점을 서비스 제공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상기 서비스 해지 사유가 발생한 당시를 기준으로 익일부터 해당 가맹점이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에 등록되기 이전의 방식으로 매출금을 지급받도록 처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가맹점에 대한 서비스 해지 처리가 완료되었을 시,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이와 관련된 해지 안내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매출 정산부(220)는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에 등록 완료된 가맹점에 대하여 상시적으로 카드 매출금을 정산하고, 상기 정산된 카드 매출금을 해당 가맹점에 대응되는 선불계좌에 지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출 정산부(220)는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매출 정보가 수신될 시, 해당 매출금으로부터 수수료 등을 제함으로써 해당 매출 정보에 따른 최종 지급액을 산정, 다시 말해, 상기 매출 정보를 정산하여 그에 대응되는 매출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출 정산부(220)는 매출 정보 수신일이 휴일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상시적으로 매출 자료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매출 정보 발생일을 기준으로 익일에 상기 매출 자료에 대응되는 최종 지급액이 해당 가맹점의 선불계좌로 지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출 정산부(220)는 가맹점주로 하여금 자신의 선불계좌를 통해, 가맹점의 매출 발생일이 평일인지 휴일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언제나 당일의 매출금을 익일에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출 정산부(220)는 상기 최종 지급액이 선불계좌로 지급 완료되었을 시, 당해 지급 내역 안내 정보를 상기 선불계좌에 대응되는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체 관리부(230)는 선불계좌 및 이와 연동된 은행계좌 간의 이체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체 관리부(230)는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선불계좌의 잔액 중 소정 금액을 상기 선불계좌와 연동된 은행계좌로 이체하고자 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체 관리부(230)는 선불계좌의 잔액을 한도로 하여, 상기 소정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불계좌로부터 은행계좌로 즉시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체 관리부(230)는 사전에 가맹점 단말기(100)를 통해 설정된 자동이체 방식에 따라 선불계좌의 잔액이 상기 선불계좌와 연동된 은행계좌로 자동이체 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이체 방식은 지정금액 방식으로, 선불계좌의 잔액이 기 지정된 일정 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선불계좌 잔액 중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정된 금액이 은행계좌로 자동이체 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금액이 100만원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매출 정산부(220)에 의해 당해 매출금이 정산된 결과 선불계좌의 잔액이 110만원이 되었을 수 있다. 이때, 이체 관리부(230)는 상기 110만원 중 상기 지정금액인 100만원이 은행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이체 방식은 지정입금일 방식으로, 사전에 지정된 일자가 되었을 경우 선불계좌 잔액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은행계좌로 자동이체 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입금일이 10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체 관리부(230)는 매월 10일에 선불계좌의 잔액이 은행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불계좌에는 소정의 입금 한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체 관리부(230)는 상기 선불계좌의 잔액이 상기 입금 한도를 초과하였을 시, 상기 입금 한도에 해당하는 금액이 선불계좌로부터 이에 연동된 은행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체 관리부(230)는 가맹점주로 하여금 선불계좌에 예치된 금액을 자동이체, 개별이체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자신의 은행계좌로 자유롭게 이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이체 프로세스가 완료되었을 시, 이체 관리부(230)는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안내 수단에 따라, 당해 이체 내역 안내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가맹점주에게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를 통해 발급된 선불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이용한 결제, 출금 등과 같은 카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에 의해 가맹점주에게 선불계좌와 연동된 선불카드가 발급되었을 수 있다.
가맹점주는 상기 선불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결제하고자 할 수 있으며,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상기 선불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이 수신될 시, 해당 선불카드와 연동된 선불계좌의 잔액을 한도로 하여 해당 선불카드 결제 요청을 승인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외부 ATM(미도시)으로부터 선불카드를 이용한 출금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출금 요청된 금액이 해당 선불카드와 연동된 선불계좌의 잔액 한도 이내일 경우, 상기 출금 요청을 승인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불카드를 이용한 출금 요청은 사전에 카드사 서버(200)에 의해 지정된 ATM(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었을 시에만 승인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선불계좌 및 이와 연동된 은행계좌와 연동되는 체크카드를 가맹점주에게 발급하였을 수 있다.
가맹점주는 상기 체크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를 결제하고자 할 수 있으며,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상기 체크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이 수신될 시, 해당 체크카드와 연동된 선불계좌 및 은행계좌 중 어느 하나의 잔액을 먼저 확인한 뒤, 결제 요청된 금액이 상기 확인된 계좌의 잔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선불계좌 및 은행계좌 모두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하여 해당 체크카드 결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200만원을 결제 요청하는 체크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해당 체크카드와 연동된 선불계좌의 잔액이 100만원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제 요청된 금액이 선불계좌의 잔액을 초과하므로, 은행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해당 체크카드와 연동된 은행계좌의 잔액이 200만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상기 선불계좌의 잔액 100만원 및 은행계좌의 잔액 200만원을 합산한 300만원의 한도 내에서 상기 결제 요청을 승인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은행 서버(300) 또는 외부 ATM(미도시)으로부터 체크카드를 이용한 출금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체크카드와 연동된 선불계좌 및 은행계좌 중 어느 하나의 잔액을 먼저 확인한 뒤, 출금 요청된 금액이 상기 확인된 계좌의 잔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선불계좌 및 은행계좌 모두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하여 해당 체크카드 출금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200만원을 출금 요청하는 체크카드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은행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해당 체크카드와 연동된 은행계좌의 잔액이 100만원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금 요청된 금액이 은행계좌의 잔액을 초과하므로, 해당 체크카드와 연동된 선불계좌의 잔액이 200만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상기 은행계좌의 잔액 100만원 및 선불계좌의 잔액 200만원을 합산한 300만원의 한도 내에서 상기 출금 요청을 승인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가맹점주에게 카드 서비스를 제공할 시, 해당 카드와 연동된 은행계좌의 잔액 및 선불계좌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선불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카드사 서버(200)가 선불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 또는 출금 요청을 수신하고, 은행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은행계좌의 잔액을 확인하는 구성에 대하여만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은행 서버(300)가 선불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 또는 출금 요청을 수신하고, 카드사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선불계좌의 잔액을 확인하여 해당 요청들을 처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선불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이용한 카드 서비스가 처리 완료되었을 경우,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는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안내 수단에 따라, 당해 카드 서비스 완료 내역 안내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내역 제공부(250)는 카드사 서버(200)에 의해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가 운용된 내역을 총체적으로 가맹점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내역 제공부(250)는 선불계좌에 가맹점의 매출금이 입금된 내역 정보를 결제 승인일별, 매입일별 및 입금일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내역 제공부(250)는 선불계좌로부터 은행계좌로 이체된 내역 정보를 이체된 일자별, 이체 유형별 및 이체 요청된 채널(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콜센터 등)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선불계좌로부터 출금이 이루어진 내역 정보를 출금된 일자별, 사용 카드 유형별, 출금 요청된 채널별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 매출 정산부(220), 이체 관리부(230),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 서비스 내역 제공부(250) 및 통신부(27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 매출 정산부(220), 이체 관리부(230), 카드 서비스 제공부(240), 서비스 내역 제공부(250) 및 통신부(270)에서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70)는 카드사 서버(200)와 외부 서버 및 외부 장치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카드사 서버(200)가 가맹점 단말기(100) 및 은행 서버(30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 등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가맹점 단말기(100)는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또는 콜센터를 통해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가입 요청을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301).
상기 서비스 가입 요청은 가맹점의 이름, 주소, 매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가맹점 관련 정보와 가맹점주의 이름, 연락처, 은행계좌 정보, 사업자 등록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가맹점주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S301 단계를 통해 수신한 서비스 가입 요청을 기반으로 하여, 해당 가맹점 및 가맹점주가 서비스 가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으며, 가맹점주에 대한 본인인증 절차 또한 수행할 수 있다(S302).
상기 S302 단계 수행 결과, 가맹점 및 가맹점주가 서비스 가입 조건을 만족하며, 가맹점주에 대한 본인인증 또한 완료되었을 경우, 카드사 서버(200)는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약관에 대한 동의 요청을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303), 가맹점 단말기(100)는 상기 서비스 관련 약관에 대한 동의 여부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304).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관련 약관은 카드사 서버(200)가 서비스 가입 안내 정보와 이의 변경사항 안내 정보, 서비스 해지 안내 정보, 선불계좌에 대한 지급액, 누적금액 및 이체 가능 금액 안내 정보 등을 이메일, SMS, 애플리케이션 PUSH 알림 등의 안내 수단을 통해 가맹점주에게 제공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등록 관리부(210)는 상기 안내 정보들 각각에 대한 수신 동의 여부와 그 안내 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S304 단계를 통해 서비스 관련 약관이 적어도 일부 이상 동의 되었을 시, 해당 가맹점주에게 선불계좌를 발급하고, 해당 선불계좌에 대하여 상기 S301 단계를 통해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 받은 가맹점주 소유의 은행계좌를 연동시킬 수 있다(S305).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S305 단계에서 발급된 선불계좌와 연동되는 선불카드 또는 상기 선불계좌 및 상기 은행계좌와 연동되는 체크카드를 가맹점주에게 발급할 수 있다(S306).
이에 따라,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S305 단계를 통해 상기 선불계좌 및 상기 은행계좌가 연동된 정보와, 가맹점주에게 상기 선불카드 또는 상기 체크카드가 발급된 정보를 은행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307), 은행 서버(300)는 상기 S307 단계를 통해 수신한 계좌 연동 정보 및 카드 발급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해당 선불계좌 및 해당 은행계좌 잔액이 연동되는 카드 서비스가 가맹점주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308).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S301 단계에서 요청된 가맹점의 서비스 가입이 완료되었음을 안내하는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309).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불계좌에 매출대금이 지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맹점 단말기(100)는 가맹점에서 발생한 매출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401).
이에 따라,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매출 정보를 정산하여, 최종적으로 해당 가맹점의 선불계좌에 지급될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매출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S402).
상기 S401 단계가 수행된 시점을 기준으로 익일이 되었을 시,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S402 단계를 통해 생성된 매출 자료에 대응되는 최종 지급액이 해당 가맹점의 선불계좌로 입금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S403).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402 단계 및 상기 S403 단계는 수행되는 시점이 휴일인지 평일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상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맹점주는 자신의 선불계좌를 통해, 가맹점의 매출 발생일이 평일인지 휴일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언제나 당일의 매출금을 익일에 지급받을 수 있다.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S403 단계를 통해 해당 가맹점의 매출금이 정산 및 입금된 내역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40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체 서비스 및 카드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200)는 특정 가맹점을 서비스 대상으로 등록할 시, 가맹점주로부터 가맹점 단말기(100)를 통해 해당 가맹점의 선불계좌 및 이와 연동된 은행계좌 간에 자동이체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선택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선택된 방식으로 상기 선불계좌 및 은행계좌 간 자동이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S50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이체 방식은 지정금액 방식으로, 선불계좌의 잔액이 기 지정된 일정 금액을 초과할 경우, 해당 지정금액이 은행계좌로 자동이체 되는 방식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자동이체 방식은 지정입금일 방식으로, 사전에 지정된 일자가 되었을 경우 선불계좌 잔액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은행계좌로 자동이체 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선불계좌에는 소정의 입금 한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선불계좌의 잔액이 상기 입금 한도를 초과하였을 시, 상기 입금 한도에 해당하는 금액이 선불계좌로부터 이에 연동된 은행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 단말기(100)는 선불계좌의 잔액 중 소정 금액을 상기 선불계좌와 연동된 은행계좌로 이체하기 위한 요청을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502).
이에 따라, 카드사 서버(200)는 선불계좌의 잔액을 한도로 하여, 상기 소정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불계좌로부터 은행계좌로 즉시 이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S503).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200)에는 체크카드를 이용한 카드 결제 요청 또는 출금 요청이 수신될 수도 있다(S504).
이때, 카드사 서버(200)는 선불계좌의 잔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S505), 상기 S504 단계를 통해 결제 요청 또는 출금 요청된 금액이 상기 선불계좌의 잔액을 초과할 시, 은행 서버(300)로 상기 선불계좌와 연동된 은행계좌의 잔액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506).
은행 서버(300)는 상기 은행계좌의 잔액 정보를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507), 이를 통해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선불계좌 및 은행계좌 모두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하여 상기 카드 결제 요청 또는 출금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S508).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카드 결제 또는 출금 요청 시, 카드사 서버(200)가 선불계좌의 잔액을 먼저 확인한 후, 해당 선불계좌와 연동된 은행계좌의 잔액을 확인하는 구성에 대하여만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드사 서버(200)에 선불카드를 이용한 카드 결제 요청 또는 출금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카드사 서버(200)는 상기 S505 단계만을 수행하여 선불계좌 잔액을 확인한 후, 해당 선불계좌의 잔액만을 한도로 하여 상기 선불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 또는 출금 요청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후, 카드사 서버(200)는 선불계좌를 이용한 매출대금 지급 서비스가 운용된 내역을 총체적으로 가맹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509).
구체적으로, 카드사 서버(200)는 선불계좌에 가맹점의 매출금이 입금된 내역 정보를 결제 승인일별, 매입일별 및 입금일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 서버(200)는 선불계좌로부터 은행계좌로 이체된 내역 정보를 이체된 일자별, 이체 유형별 및 이체 요청된 채널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선불계좌로부터 출금이 이루어진 내역 정보를 출금된 일자별, 사용 카드 유형별, 출금 요청된 채널별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가 서비스 대상 가맹점에 카드사 소유의 계좌를 발급하고, 가맹점의 카드 매출금을 휴일의 유무와 관계없이 매입일 익일에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로 지급함으로써, 가맹점주가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와 연동된 카드를 이용하여 평일·휴일 구분없이 가맹점의 매출금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주에 의해 지정된 가맹점주 소유 계좌 및 가맹점의 카드사 소유 계좌를 연동함으로써,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의 잔액 및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선불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소유 계좌에서 가맹점주 소유 계좌로 자동이체, 개별이체 등의 방법과 별도로 지정된 방법에 의해 출금 가능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맹점 단말기
200 : 카드사 서버
210 : 서비스 등록 관리부
220 : 매출 정산부
230 : 이체 관리부
240 : 카드 서비스 제공부
250 : 서비스 내역 제공부
260 : 제어부
270 : 통신부
300 : 은행 서버

Claims (16)

  1. 카드사 서버가 가맹점에 카드 매출금을 지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당일의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매출 자료가 생성되면, 소정의 시간 후 상기 카드 매출금을 상기 카드사가 소유하는 계좌로 입금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맹점과 관련된 단말로 상기 입금 사실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출 자료 생성 및 상기 입금은,
    당일 및 익일이 휴일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는 선불계좌이고,
    상기 선불계좌에 연결된 선불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선불계좌 잔액 범위 내에서 상기 결제 요청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가 소유하는 계좌로부터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상기 카드 매출금의 적어도 일부를 이체하거나 이체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에 연결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 또는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로부터의 출금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및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하여 상기 결제 요청 또는 상기 출금 요청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이 기 지정된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적어도 일부를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소정 금액에 대한 이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상기 소정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기 지정된 입금일자가 되었을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로부터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상기 카드 매출금의 적어도 일부가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이 소정의 한도를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상기 소정의 한도에 해당하는 금액이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가맹점에 카드 매출금을 지급하는 카드사 서버에 있어서,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당일의 매출 정보에 기초하여 매출 자료가 생성되면, 소정의 시간 후 상기 카드 매출금을 상기 카드사가 소유하는 계좌로 입금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가맹점과 관련된 단말로 상기 입금 사실을 통지하는 매출 정산부를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출 자료 생성 및 상기 입금은,
    당일 및 익일이 휴일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사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는 선불계좌이고,
    상기 선불계좌에 연결된 선불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선불계좌 잔액 범위 내에서 상기 결제 요청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사 서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가 소유하는 계좌로부터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상기 카드 매출금의 적어도 일부를 이체하거나 이체하도록 지원하는 이체 관리부; 및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에 연결된 카드를 이용한 결제 요청 또는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로부터의 출금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및 상기 가맹점주 소유 계좌의 잔액을 합산한 금액을 한도로 하여 상기 결제 요청 또는 상기 출금 요청이 처리되도록 하는 카드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이 기 지정된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적어도 일부를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이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소정 금액에 대한 이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상기 소정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이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기 지정된 입금일자가 되었을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로부터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상기 카드 매출금의 적어도 일부가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이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이 소정의 한도를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카드사 소유 계좌의 잔액 중 상기 소정의 한도에 해당하는 금액이 가맹점주가 소유하는 계좌로 이체되도록 처리하는 이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KR1020180027395A 2018-03-08 2018-03-08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 KR102079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95A KR102079151B1 (ko) 2018-03-08 2018-03-08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
PCT/KR2018/008231 WO2019172489A1 (ko) 2018-03-08 2018-07-20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95A KR102079151B1 (ko) 2018-03-08 2018-03-08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224A true KR20190106224A (ko) 2019-09-18
KR102079151B1 KR102079151B1 (ko) 2020-02-19

Family

ID=6784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395A KR102079151B1 (ko) 2018-03-08 2018-03-08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9151B1 (ko)
WO (1) WO2019172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8415B2 (en) * 2020-03-17 2022-10-1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utomated transaction processing based on cognitive lear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755A (ko) * 2009-03-14 2010-09-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매출금 선지급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68412B1 (ko) * 2015-03-12 2015-11-12 주식회사클로버세븐 즉시 입금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288A (ko) * 2010-02-12 2011-08-18 정부교 소상공인의 신용매출 바로입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2520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밴트랙스 카드 매출을 담보로 하는 대출 관리 방법, 시스템 및 관리 서버
KR20170138820A (ko) * 2016-06-08 2017-12-18 황성옥 신용카드 매출 채권의 양도를 통한 현금 유동성 확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755A (ko) * 2009-03-14 2010-09-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매출금 선지급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68412B1 (ko) * 2015-03-12 2015-11-12 주식회사클로버세븐 즉시 입금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151B1 (ko) 2020-02-19
WO2019172489A1 (ko)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96355A1 (en) Processing of electronic transactions
US9704152B1 (en) Mobile payment systems and methods
US87129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icropayments in a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US10546287B2 (en) Closed system processing connection
US20110055083A1 (en) System and method of funds transfer using a secure financial account
TWI646478B (zh) 匯款系統及方法
KR102249864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여신거래 서버 및 방법
JP2018536953A (ja) 安全な電子取引を促進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007184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媒体アクセス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79151B1 (ko)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
KR100526032B1 (ko) 카드 대금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52164B1 (ko) 모바일 상품권 즉시 발행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44590A1 (en) Real-time resource processing based on resource channel factors
KR101697850B1 (ko)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소액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20150076785A (ko) 국외 회원 대상 가맹점 청구 할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200046948A (ko) 결제 대금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 서버
KR102309650B1 (ko) 카드 가맹점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는 결제 중계 서버 및 시스템
KR20130012192A (ko) 앱신용카드를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과 방법
US11915218B2 (en) Repaymen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KR101744446B1 (ko) 휴대폰 소액 결제와 카드 결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10082981A (ko) 등록금 신용카드 납부 시스템 및 방법
KR101676635B1 (ko) 소상공인을 위한 선 결재 카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99004A (ko) 소비자와 프리랜서간의 사업자를 거치지않는 지불 중계시스템
KR101518708B1 (ko) 신용 및 외상 거래에 있어서 콜센터와 서비스제공자간 결제방법 및 장치
KR20190071090A (ko) 분할 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중계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