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159A - Pet House - Google Patents

Pet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159A
KR20190106159A KR1020180027240A KR20180027240A KR20190106159A KR 20190106159 A KR20190106159 A KR 20190106159A KR 1020180027240 A KR1020180027240 A KR 1020180027240A KR 20180027240 A KR20180027240 A KR 20180027240A KR 20190106159 A KR20190106159 A KR 2019010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rface
wall
pet house
coupled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금섭
Original Assignee
이금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섭 filed Critical 이금섭
Priority to KR102018002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159A/en
Publication of KR2019010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1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house which is easily and rapidly separated and faste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t house is arranged with a bottom coupling side in which one structure including a first bottom surfac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the other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bottom surfac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re separately fastened with one sid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at one sid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집{Pet House}Pet House {Pet House}

본 발명은 상호 분리, 체결되는 구조체를 가진 애완동물용 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빠른 분리, 체결을 통하여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분리된 구조체는 접철되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애완동물용 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house having a structure that is separat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and more particularly, the internal structure is easy to clean through fast detachment and fastening, and the separated structure is folded to facilitate movement and storage. It's about the house.

현재 저출산, 핵가족화, 1인 가구의 증가, 고령화 현상 등의 사회적 현상을 원인으로 애완동물시장의 규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국내 주요 매체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수가 1천만 명으로 인구의 21.7%에 달한다고 한다. 즉, 우리나라 인구의 5명 중 1명 꼴로 애완동물을 키우는 셈이며, 애완동물에 대한 인식은 단순한 동물이 아닌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의 의미를 지닌 반려동물(companion animal, 伴侶動物)이라는 용어로 발전되었다.The size of the pet market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social phenomena such as low fertility, nuclear family, increase of single household, and aging. According to press releases of major domestic media, the domestic population of pets is 10 million, or 21.7% of the population. In other words, one in five people in Korea's population is raising pets, and the recognition of pets has developed into the term companion animal (伴侶 動物) which means not only animals but also live animals.

따라서, 가족 구성원으로서 애완동물이 사용하는 용품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고급화된 재료를 사용한 애완동물용 집, 방석, 매트, 옷, 화장품 등의 애완용품들은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서 날로 고급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 애완동물과 함께 여행이나 나들이를 가는 경우가 빈번해 짐에 따라서 애완용품들이 점차로 휴대성과 편의성을 중시하고 있는 추세이다. Accordingly, interest in the items used by pets as a family member is increasing, and pet supplies such as pet homes, cushions, mats, clothes, and cosmetics using high-grade materials are being advanced day by day to meet consumer demand.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trips and outings with pets is increasing, pet products are increasingly focused on portability and convenience.

특히 강아지나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동물의 경우 사방이 밀폐된 안정적인 공간을 가진 집이 필요하며, 이에 다양한 형태의 애완동물용 집이 개발되고 있다.In particular, for pets such as dogs and cats, there is a need for a house having a stable space closed in all directions, and various types of pet houses have been developed.

기존의 애완동물용 집은 프레임에 벽을 결합하여 구성된 형태로 고정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이동이 불편하며, 개구가 좁고 밀폐되어있는 애완동물용 집의 특성상 청소와 내부벽면의 오염을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Existing pet house has a fixed shape in the form of combining the wall to the frame, which is inconvenient to move, and it is difficult to clean and remove the contamination of the inner wal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t house with a narrow and closed opening. There was this.

또한, 집안에서 사용하는 애완동물용 집을 야외나 여행지로 가져가서 사용하기에는 이동성이 떨어지고, 이동시 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납을 하여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mobility to take the pet house used in the house to the outdoors or travel destinations, there was a difficulty in securing space by storing when moving or not used.

그리고, 일반적으로 털이 많은 애완동물들은 더위에 취약하여 동일한 애완동물용 집을 계절의 변화에 관계없이 계속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And, in general, hairy pets are vulnerable to heat, so there is a limit to continue to use the same pet home regardless of seasonal changes.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고정된 형태의 애완동물용 집에서 이동성과 휴대성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들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876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506호 등에 나타나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echnologies featuring mobility and portability in existing fixed-type pet homes are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38761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111506. hav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8761호의 경우 본체와 뒷면판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숯성분이 함유된 숯함유판을 내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애완견집으로, 뒷면판 만이 분리되고 몸체는 한 덩어리의 폐쇄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내벽의 청소나 이동성 및 휴대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38761 is a prefabricated pet dog,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and the back plat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and the charcoal-containing plate containing charcoal components is incorporated. Is a closed form of agglomerates, and does not provide a solution for cleaning or mobility of the inner wall.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506호의 경우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갖고 이동용 끈부재를 구비하는 가방본체로 구성된 애완동물 이동용 가방으로, 이동시에만 사용할 수 있고 애완동물의 집으로 사용하기는 부적합하며 기술적 특징이 비유사하다.In the case of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11506, a pet carrying bag composed of a bag main body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pet and having a mobile strap member, which can be used only for moving and not suitable for use as a pet's house. The technical features are similar.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8761호 (2001.07.05 등록)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38761 (Registered July 5, 2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506호 (2017.10.12 공개)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11506 (published Oct. 12, 20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은 내부 청소와 쉽게 오염되는 내피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구조체의 부피를 줄여 이동성 및 사용상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internal cleaning and replacement of the easily contaminated endothelial, to propose a method for significantly improving the mobility and ease of use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바닥면을 포함하는 일구조체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바닥면을 포함하는 타구조체가 제1바닥면 일변에서 제2바닥면의 일변과 상호 분리가능하게 체결하는 바닥결합변이 배치되어 입체적 형상의 애완동물용 집을 구성한다.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tructure including a first bottom surfac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another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bottom surfac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of the second floor surface on one side of the first floor surface. Floor-bonding sides are separably fastened to one side and constitute a three-dimensional pet house.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일구조체는 제1바닥면의 변 중 바닥결합변을 제외한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1벽면으로 구성되며, 타구조체는 제2바닥면의 변 중 바닥결합변을 제외한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2벽면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제1벽면 중 일 벽면의 일변은 이웃한 타 벽면의 타변과 상호 결합되며, 복수의 제2벽면 중 일 벽면의 일변은 이웃한 타 벽면의 타변과 상호 결합되고, 제1바닥면의 바닥결합변과 제2바닥면의 바닥결합변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복수의 제1벽면 중 복수의 제2벽면에 이웃한 벽면은, 제2벽면의 이웃한 벽면과 상호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structure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first bottom side except the bottom coupling side, the other structure is the bottom coupling side of the sid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wall surface extending from the side except for, one side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 is mutually coupl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other neighboring wall surface,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ll surface is adjacent When the other side of the wall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bottom coupling sid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coupling sid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are mutually coupled, the wall surface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second wal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 the second It is preferable to be fastened to the wall adjacent to the wall adjacent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제1벽면과 제2벽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구조체와 타구조체를 체결하였을 경우 상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wall surface and the second wall surface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portion, when the one structure and the other structure is fastened, the upper end is preferably closed to form a space therein Do.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일구조체는 제1바닥면이 가요성부재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1벽면의 변에는 프레임이 형성되며 프레임 중 복수의 제1벽면 중 일 벽면과 타 벽면이 상호 결합된 변의 프레임은 상호 공유되는 공유 프레임이 배치되고, 복수의 제1벽면의 변에 형성되는 프레임 중 제2벽면과 체결되는 벽면의 변에 체결 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structure of a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ottom surface is formed of a flexible member, a frame is formed on the sides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and one wall surface and the other wal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of the frame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utually shared side frames are arranged with each other, and a fastening frame is disposed at a side of a wall surface which is coupled to a second wall surface among frames formed at sides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일구조체와 타구조체가 분리될 경우 일구조체는 공유 프레임을 중심으로 복수의 제1벽면 중 일 벽면과 이웃한 타 벽면이 접혀져서 포개지고, 제1바닥면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일 벽면과 이웃한 타 벽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one structure and the other structure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the one structure is folded and overlapped with one other wall surface adjacent to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around the shared frame, and the first bottom surface is folded.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between the one wall surface and the other neighboring wall surface moving in the upper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일구조체와 타구조체 각각의 체결프레임 하단이 스트랩을 매개로 상호연결되어 분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each fastening frame of one structure and the other structure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event loss by being interconnected via a strap.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제1벽면은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며, 내피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wall surface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outer skin and the endothel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othelial is configured to replace the replacement.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일구조체와 타구조체가 체결될 시 체결된 제1바닥면과 제2바닥면의 상부에 매트가 배치되며, 매트의 일면은 왕골로 형성되고 타면은 섬유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one structure and the other structure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he ma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ttom and the second bottom fastened, one side of the mat is formed of a royal bone and the other side is a fiber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은 일구조체와 타구조체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단부가 폐쇄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분리와 체결이 용이하고 빠르게 이루어지며, 애완동물용 집을 분리하였을 경우 넓은 개구가 형성되어 내부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structure and the other structure is fasten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upper end is closed, the inner space is formed, easy to remove and fasten, made a fast, wide opening when the pet house is separated There is an effect that is easy to clean in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일구조체의 벽면들은 벽면의 변에 배치되어 있는 공유프레임을 중심으로 접혀지고 가요성 부재의 바닥면이 상부 방향으로 수납되도록 접혀지게 구성되어 구조체들의 부피가 줄어 이동 또는 보관 시 수납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이동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ll surfaces of the structure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round the shared fram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all and fold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member is received in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volume of the structures Reduced movement or storage can reduce the storage space and has the effect of promoting mo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은 분리하였을 경우 벽면의 내피를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life of the product is configured to be replaced by separating the endothelial wall when separ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은 구조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구조체를 접고 분리된 구조체를 스트립으로 연결하여 이동 또는 보관 시 일구조체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parating the structure, folding the separated structure and connecting the separated structure in a strip to prevent the loss of one structure during movement or stor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은 구조체 구성부분의 재료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른 기온변화에 대응하여 애완동물에게 최적의 생활환경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the optimum living environment for the pet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ason by configuring the material of the structural components in various way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분리 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체결 시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구조체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구조체를 접어서 포갠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벽면 내피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을 체결 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집의 바닥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매트가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rm when the separation of the pet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from the top when fastening the pet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tructure of a pe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tructure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endothelial wall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pet house is fast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t dispos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et hom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detail.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분리 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체결 시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구조체를 접은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구조체를 접어서 포갠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의 벽면 내피를 분리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을 체결 했을 때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rm when the separation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from the top when fastening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for a p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a stat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xample which folded the structure of a house. In addi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folded and folded structure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for separating the endothelial wall of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when the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도1 내지 도6 에서 도시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1바닥면(110)과 제2바닥면(210)이 다각형 형상의 바닥면 중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술사상의 범위가 도 1 내지 6에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to 6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210 ar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mong polygonal bottom surface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S. 1 to 6.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집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바닥면(110)을 포함하는 일구조체(100)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바닥면(210)을 포함하는 타구조체(200)로 구성되며, 일구조체(100)와 타구조체(200)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스트랩(50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a pe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ucture 100 including a first bottom surface 110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a second bottom surface 210 formed in a polygonal shape. Consists of the other structure 200, including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is detachably fastened to each other and is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via the strap 500.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바닥면(110)을 포함하는 일구조체(100)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바닥면(210)을 포함하는 타구조체(200)가 제1바닥면(110) 일변에서 제2바닥면(210)의 일변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바닥결합변(300)이 배치되어 입체적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One structure 100 including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the other structure 200 including the second bottom surface 210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s one sid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The bottom coupling side 300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0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s arrang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이때, 바닥결합변(300)은 제1바닥면(110)의 일변과 제2바닥면(210)의 일변이 상호 체결되어 결합시 공유되는 변을 의미하며, 바닥결합변(300)에는 애완동물의 털 등이 바닥결합변(300)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호 분리,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벨크로(Velcro)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ottom coupling side 300 means one sid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0 is coupled to each other when shared, the bottom coupling side 300 is a pet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Velcro in order to prevent the hair from being caught in the bottom coupling edge 300 and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fastening of each other.

일구조체(100)는 제1바닥면(110)의 변 중 바닥결합변(300)을 제외한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1벽면(120)으로 구성되며, 타구조체(200)는 제2바닥면(210)의 변 중 바닥결합변(300)을 제외한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2벽면(220)으로 구성된다. 제1벽면(120) 및 제2벽면(220)은 바닥결합변(300)을 제외한 모든 바닥면의 변에서 연장되는 복수개의 벽면이다. 일구조체(100)와 타구조체(200)의 벽면이 결합되어 내부에 애완동물이 거주하는 공간이 형성된다.One structure 1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 120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except for the bottom coupling side 300, the other structure 200 is the second bottom surface The side of the 2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wall surface 220 extending from the side except the bottom coupling side 300. The first wall surface 120 and the second wall surface 220 are a plurality of wall surfaces extending from the sides of all the bottom surfaces except for the bottom coupling side 300. The wall surface of th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is combin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pet lives.

도 1에서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의 벽면에 도시된 화살표를 설명하고자 한다. 일구조체(100)의 제1벽면(120) 중 일 벽면(121)의 일변은 이웃한 타 벽면(122)의 타변과 상호 결합된다. 더 자세하게는 일 벽면(121)의 오른쪽에 표기된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은 일변을 표현한 것이고, 이웃한 타 벽면(122)의 왼쪽에 표기된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은 타변을 표현한 것이다. Before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shown in Figure 1 will be described the arrow shown on the wall of FIG. One side of one wall surface 121 of the first wall surface 120 of the structure 100 is mutual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other wall surface 122 adjacent. In more detail, the side indicated by the arrow indi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one wall 121 represents one side, and the side indicated by the arrow indi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neighboring other wall 122 represents the other side.

또한, 타구조체(200)도 일구조체(10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타 구조체(200)의 제2벽면(220) 중 일 벽면(221)의 일변은 이웃한 타 벽면(222)의 타변과 상호 결합된다. 더 자세하게는 일 벽면(221)의 오른쪽에 표기된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은 일변을 표현한 것이고, 이웃한 타 벽면(222)의 왼쪽에 표기된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은 타변을 표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other structure 200 is also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ne structure 100, so that one side of one wall surface 221 of the second wall surface 220 of the other structure 200 is mutually different from the other side of the other wall surface 222 Combined. In more detail, the side indicated by the arrow indi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one wall 221 represents one side, and the side indicated by the arrow indi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neighboring other wall 222 represents the other side.

제1바닥면(110)과 제2바닥면(210)의 바닥결합변(3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복수의 제1벽면(120) 중 복수의 제2벽면(220)에 이웃한 벽면은, 제2벽면(220)의 이웃한 벽면과 상호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도 1에서 도시된 내용을 예를 들어서 기술한다면, 도 1의 제1벽면(120)의 변 중 일 벽면(121)의 왼쪽에 표기된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은 제2벽면(220)의 변 중 타 벽면(222)의 오른쪽에 표기된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제1벽면(120)의 변 중 타 벽면(122)의 오른쪽에 표기된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은 제2벽면(220)의 변 중 일 벽면(221)의 왼쪽에 표기된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된다.When the bottom coupling edge 300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2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wall surface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second wall surfaces 220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120 is The second wall surface 2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astened to a neighboring wall surface. 1, the side indicated by an arrow marked on the left side of one wall 121 of one side of the first wall surface 120 of FIG. 1 i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all surface 220. The arrow marked on the right side of the wall surface 222 is fastened so as to be mutually separable, and the side indicated by the arrow marked on the right side of the other wall surface 122 among the sides of the first wall surface 120 is formed on the second wall surface 220. The arrow marked on the left side of the one wall surface 221 of the side is configured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벽면(120)과 제2벽면(22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벽면(120)과 제2벽면(220)의 각 벽면들은 모두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각 벽면들이 이웃한 벽면과 결합할 때 상부의 한점에서 모이도록 형성되거나 상부에 지붕면을 구성하여, 일구조체(100)와 타구조체(200)를 체결할 경우 체결된 바닥면과 벽면으로 형성된 폐쇄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first wall surface 120 and the second wall surface 220 may be formed in a narrower shape from the bottom to the top. Each wall surface of the first wall surface 120 and the second wall surface 220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so that each wall surface is formed to gather at one point of the top or when combined with the neighboring wall surface When the roof surface is configured, when th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are fastene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losed inner space formed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to be fastened.

도 1및 도 3을 참조하면 일구조체(100)의 제1바닥면(110)은 가요성부재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1벽면(120) 각 변에는 프레임(400)이 형성되고, 프레임(400) 중 복수의 제1벽면(120) 중 일 벽면과 타 벽면이 상호 결합된 변의 프레임(400)은 상호 공유되는 공유 프레임(410)이 배치된다. 이를 도 1을 예로 들어서 기술하자면 일구조체(100)의 제1벽면 중 일 벽면(121) 오른쪽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과 제1벽면의 타 벽면(122)의 왼쪽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은 제1벽면의 일 벽면(121)과 제1벽면의 타 벽면(122)이 상호 공유하는 변으로 공유 프레임(410)이 배치된다. 1 and 3,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of the structure 100 is formed of a flexible member, and each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120 has a frame 400 formed thereon.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120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120, the shared frame 410 that is mutually shared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rame 400 coupled to each other. Referring to FIG. 1 as an example, a side indicated by an arrow to the right of one wall 121 and one side of an arrow to the left of the other wall 122 of the first wall of the first wall of the structure 100 are the first wall. The shared frame 410 is disposed as a side shared between the one wall surface 121 and the other wall surface 122 of the first wall surface.

그리고, 복수의 제1벽면(120)의 변에 형성되는 프레임(400) 중 상기 제2벽면(220)과 체결되는 벽면의 변에 체결 프레임(420)이 배치된다. 이를 도 1을 예로 들어서 기술하자면 일구조체(100)에서 제1벽면(120)의 변 중 일 벽면(121)의 왼쪽에 표기된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과 타 벽면(122)의 오른쪽에 표기된 화살표가 가리키는 변에는 각각 체결 프레임(420)이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frame 42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all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220 of the frame 400 formed on the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 120. Referring to FIG. 1 as an example, a side indicated by an arrow indicated on the left side of one wall 121 of the side of the first wall 120 in one structure 100 and a side indicated by an arrow indi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other wall 122 Each fastening frame 420 is disposed.

이때, 공유 프레임(410)은 두 개의 벽면이 상호 결합된 변에 배치되는 프레임으로 한 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유 프레임(410) 양쪽의 벽을 결합하고 양측의 벽면을 공유 프레임(410)을 중심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shared frame 410 is a frame disposed on the side where the two wall surface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is formed as one frame. The shared frame 410 combines the walls of both sides of the shared frame 410 and the wall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shared frame 410. Provides the ability to be folded around the center.

상기 체결 프레임(420)을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의 두 개의 구조체로 분할되는 일 실시예의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서 일구조체(100)의 체결 프레임(420)은 한 개의 단일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일구조체(100)의 체결 프레임(420)과 대응하는 타구조체(200)의 체결 프레임(420')과 체결된다. 한개의 단일 프레임으로 형성된 각 구조체의 체결 프레임(420, 420')은 결합하여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두개의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가 된다.In order to describe the fastening frame 420 in more detail, an example of an embodiment divided into two structures of FIG. 3 will be described. In FIG. 3, the fastening frame 420 of the one structure 100 is formed as one single frame, and the fastening frame 420 ′ of the other structure 200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frame 420 of the one structure 100. Is fastened. The fastening frames 420 and 420 'of each structure formed of one single frame are combined to form a shape in which two frames are combined around the coupling portion.

체결 프레임(420)은 일구조체(100)와 타구조체(200)가 결합하는 벽면의 변에 배치되며, 분리,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호 대응하게 구성된 지퍼(zipper) 또는 벨크로(Velcro)가 배치되고 각 변에 한개씩 배치된 체결 프레임(420)이 체결되면서 결합하여 두개의 체결 프레임(420)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The fastening frame 420 is disposed at the side of the wall surface to which th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are coupled, and a zipper or velcro that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fastening is disposed. The fastening frame 420 disposed one by one is coupl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two fastening frame 420 is coupled.

체결 프레임(420)이 체결 될 경우 상단에 지퍼(zipper) 또는 벨크로(Velcro)의 접합부가 노출되는데 접합부의 상부를 프레임부재의 일부를 연장하여 덮어서 지퍼(zipper) 또는 벨크로(Velcro)의 접합부가 체결 프레임(420)의 상단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astening frame 420 is fastened, a zipper or Velcro joint is exposed at the top, and the upper part of the joint is extended by covering a part of the frame member to fasten the zipper or Velcro join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not to be exposed to the top of the frame 420.

제1바닥면(110)은 패브릭, 실리콘 등 가요성 부재로 형성된다.The first bottom surface 110 is formed of a flexible member such as fabric or silic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구조체(100)와 타구조체(200)가 분리될 시 상기 일구조체(100)는, 공유 프레임(410)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제1벽면(120) 중 일 벽면과 이웃한 타 벽면이 접혀져서 포개지고 제1바닥면(110)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일 벽면과 이웃한 타 벽면의 사이에 배치된다.4 and 5, when th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are separated, the one structure 100 is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120 around the shared frame 410. The wall surface and the neighboring other wall surface are folded and overlapped, and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moves upward and is disposed between one wall surface and the other neighboring wall surface.

이때, 일구조체(100)와 타구조체(200)는 각각 접은 뒤 적층하여 이동 및 보관 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구조체(100)와 타구조체(200)의 체결프레임(420, 420') 하단이 스트랩(500)을 매개로 상호연결되어 이동 및 보관 시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is folded and stacked respectively, there is an effect that takes up less space when moving and storage. In addition, the lower ends of the fastening frames 420 and 420 'of th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trap 500, thereby preventing loss during movement and storage.

스트랩(50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프레임(420)에 배치된 지퍼(zipper) 또는 벨크로(Velcro)를 연장하여 상호 대응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트랩(500)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5, the strap 5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extend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by extending a zipper or Velcro disposed on the fastening frame 420.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the strap 5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제1벽면(120)은 외피(600)와 내피(610)로 구성되며, 내피(61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외피(600)와 내피(610)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내피(610)를 교체함으로서 개집을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어 개집의 수명을 증가 시키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wall surface 120 includes an outer shell 600 and an inner shell 610, and is configured to separate and replace the inner shell 610. The outer shell 600 and the inner shell 610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herefore, by replacing the endothelium 610 can use the kennel longer,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life of the kennel.

또한,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본 애완동물용 집의 특성상 외피(600)의 재료를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기온과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주거환경을 만들 수 있다.In addition, by constituting the various materials of the outer shell 600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t house easy to assemble and separate, it is possible to create an optimal liv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he situation of the outside.

외피(600)의 경우 플라스틱, 철제, 왕골, 대나무, 갈대 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며, 구성재료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outer shell 60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structure such as plastic, iron, royal, bamboo, reed, and the like.

일 예로, 외피(600)를 천연소재인 왕골을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통기성이 향상되고 습도조절이 용이하여 곰팡이나 진드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무덥고 습한 여름철에 애완동물용 집의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다. 이때, 외피(600)를 왕골로 짜서 구성할 경우 외피(600)의 통기성은 향상되나 애완동물용 집의 내부에서 발생한 털이나 미세먼지 등이 외부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어 이 경우에는 내피(610)를 통기성이 있는 섬유소재의 천 등으로 구성하여 애완동물용 집의 외부로 털이나 미세먼지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한다.For example, by constructing the outer shell 600 using a royal bone which is a natural material, the air permeability is improved and the humidity can be easily controll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mold or mites. This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pet house comfortable in hot and humid summer. At this time, when the outer shell 600 is woven with a royal bon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outer shell 600 is improved,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airs or fine dust generated inside the pet house may fall out of the outer shell 610. It consists of a fabric of breathable fiber material, etc. to prevent the hair and fine dust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pet house.

일구조체(100)와 타구조체(200)의 일 벽면에는 애완동물의 출입 및 호흡을 위한 개구가 한개 이상 형성된다.One wall of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is formed with one or more openings for entering and breathing the pet.

도 7은 일구조체(100)와 타구조체(200)가 체결될 시 체결된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매트(700)가 왕골로 형성된 면을 상단으로 하여 배치할 경우와 섬유부재로 형성된 면을 상단으로 하여 배치할 경우를 예시로 도시한 것이다. 매트(700)는 다수의 재료로 구성되며 일면(710)은 왕골로 형성되며, 타면(720)은 섬유부재로 형성된다. FIG. 7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mat 70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ed bottom surface when th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are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t and the surface formed of the fiber member. The case where it is arranged as the top is shown as an example. The mat 7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terials, one surface 710 is formed of a royal bone, the other surface 720 is formed of a fiber member.

상기 매트(700)가 배치될 경우, 기온이 높고 습기가 많으며 더운 여름철에는 왕골로 형성된 일면(710)을 상단으로 하여 배치한다. 왕골로 형성된 일면(710)이 애완동물의 피부와 접촉하여 시원하고 쾌적한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온이 낮은 추운 겨울철에는 섬유부재로 형성된 매트(700)의 타면(720)을 상단으로 하여 배치한다. 이때 섬유부재는 안에 솜을 넣은 누비나 면직물 등으로 구성하며 형성된 일면(710)이 애완동물의 피부와 접촉하여 따뜻한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다.When the mat 700 is disposed, the temperature is high, the humidity is high, and in a hot summer, the one side 710 formed of the royal bone is arranged with the upper end. One side 710 formed with the royal bone is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pet has the effect of giving a cool and comfortable feeling. In addition, in the cold winter, the temperature is low, the other surface 720 of the mat 700 formed of the fiber member is arranged with the upper end. At this time, the fiber member is composed of a quilted cotton or cotton fabric, etc., and the one side 710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pet has the effect of giving a warm feeling.

그리고, 상기 매트(700)의 일면(710)은 천연소재인 왕골로 만들게 됨으로, 온도와 습도조절의 기능 및 각종 곰팡이와 집드기, 미세먼지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연소재로 구성되어 환경호르몬의 발생하지 않으며, 애완동물에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피부질병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왕골을 직접적으로 애완동물과 접촉하는 부분인 외피(600), 매트(700)의 일면(710)에 사용함으로서 애완동물의 주거환경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one surface 710 of the mat 700 is made of a natural material of the royal bone, it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various molds, house dust, fine dust. 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natural materials do not generate environmental hormones,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skin diseases that occur most frequently in pets. By using the royal bone on one side 710 of the outer shell 600, the mat 700,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e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pe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일구조체 110 : 제1바닥면
120 : 제1벽면 121 : 제1벽면의 일벽면
122 : 제1벽면의 타벽면 200 : 타구조체
210 : 제2바닥면 220 : 제2벽면
221 : 제2벽면의 일벽면 222 : 제2벽면의 타벽면
300, 300' : 바닥결합변 400 : 프레임
410, 410' : 공유 프레임 420, 420' : 체결 프레임
500 : 스트랩 600 : 외피
610 : 내피 700 : 매트
710 : 일면 720 : 타면
100: one-structure 110: the first bottom surface
120: first wall surface 121: one wall surface of the first wall surface
122: other wall surface of the first wall surface 200: other structure
210: second bottom surface 220: second wall surface
221: one wall surface of the second wall surface 222: the other wall surface of the second wall surface
300, 300 ': floor joining edge 400: frame
410, 410 ': shared frame 420, 420': fastening frame
500: strap 600: jacket
610: Nappy 700: Matt
710: one side 720: another side

Claims (7)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바닥면(110)을 포함하는 일구조체(100)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바닥면(210)을 포함하는 타구조체(200)가 상기 제1바닥면(110)일변에서 상기 제2바닥면(210)의 일변과 상호 분리가능하게 체결하는 바닥결합변(300)이 배치되어 입체적 형상을 형성하는 애완동물용 집으로,
상기 일구조체(100)는,
상기 제1바닥면(110)의 변 중 바닥결합변(300)을 제외한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1벽면(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타구조체(200)는,
상기 제2바닥면(210)의 변 중 바닥결합변(300)을 제외한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2벽면(2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벽면(120) 중 일 벽면의 일변은 이웃한 타 벽면의 타변과 상호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2벽면(220) 중 일 벽면의 일변은 이웃한 타 벽면의 타변과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1바닥면(110)과 상기 제2바닥면(210)의 바닥결합변(300)이 상호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벽면(120) 중 상기 복수의 제2벽면(220)에 이웃한 벽면은, 상기 제2벽면(220)의 이웃한 벽면과 상호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애완동물용 집.
One structure 100 including a first bottom surface 110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another structure 200 including a second bottom surface 210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re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s a pet house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s arranged on the side coupled to the bottom side coupled to the sid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0 is coupled to the side 300,
The one structure 100,
Consists of a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 120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except for the bottom coupling side 300,
The other structure 200,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cond wall surface 220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210 except for the bottom coupling side 300,
One side of one wall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120 is mutually coupled with the other side of another neighboring wall surface,
One side of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ll surfaces 22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another neighboring wall,
When the bottom coupling side 300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210 are mutually coupled,
The wall surface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second wall surface 220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 120, the pet house is coupled to the adjacent wall surface of the second wall (2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면(120)과 제2벽면(22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구조체(100)와 상기 타구조체(200)를 체결하였을 경우 상단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애완동물용 집.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wall surface 120 and the second wall surface 220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When th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is fastened the upper end is closed for the pet house is formed in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구조체(100)는,
상기 제1바닥면(110)은 가요성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벽면(120) 각 변에는 프레임(400)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400) 중 상기 복수의 제1벽면(120) 중 일 벽면과 타 벽면이 상호 결합된 변의 프레임(400)은 상호 공유되는 공유 프레임(410)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벽면(120)의 변에 형성되는 프레임(400) 중 상기 제2벽면(220)과 체결되는 벽면의 변에 체결 프레임(42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집.
The method of claim 1,
The one structure 100,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is formed of a flexible member,
Frames 400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120, and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120 of the frame 400 is coupled to one wall surface and the other wall surface. Are shared frames 410 are shared with each other,
Pet h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frame 42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all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220 of the frame 400 formed on the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구조체(100)와 상기 타구조체(200)가 분리될 시 상기 일구조체(100)는,
상기 공유 프레임(410)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제1벽면(120) 중 일 벽면과 이웃한 타 벽면이 접혀져서 포개지고,
상기 제1바닥면(110)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일 벽면과 이웃한 타 벽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집.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is separated, the one structure 100,
The other wall surface adjacent to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wall surfaces 120 is folded and stacked around the shared frame 410,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is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the pet hous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tween the one wall and the other neighboring wall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구조체(100)와 상기 타구조체(200)의 체결 프레임(420, 420') 하단이 스트랩(500)을 매개로 상호연결되어 분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애완동물용 집.
The method of claim 3,
The lower structure of the fastening frame (420, 420 ') of th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is interconnected via a strap 500 to prevent loss of the pet ho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면(120)은 외피(600)와 내피(610)로 구성되며,
내피(61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집.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wall surface 120 is composed of the outer shell 600 and the inner shell 610,
Pet hous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place the endothelial (610) to repl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구조체(100)와 상기 타구조체(200)가 체결될 시 체결된 상기 제1바닥면(110)과 상기 제2바닥면(210)의 상부에 매트(700)가 배치되며,
상기 매트(700)의 일면(710)은 왕골로 형성되고,
상기 매트(700)의 타면(720)은 섬유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집.
The method of claim 1
The mat 700 is disposed on the first bottom surface 1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210 which are fastened when the one structure 100 and the other structure 200 are fastened.
One surface 710 of the mat 700 is formed of a royal bone,
The other surface 720 of the mat 700 is a pet hou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fiber member.
KR1020180027240A 2018-03-08 2018-03-08 Pet House KR201901061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40A KR20190106159A (en) 2018-03-08 2018-03-08 Pet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40A KR20190106159A (en) 2018-03-08 2018-03-08 Pet 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59A true KR20190106159A (en) 2019-09-18

Family

ID=6807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240A KR20190106159A (en) 2018-03-08 2018-03-08 Pet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15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61Y1 (en) 2001-04-04 2001-10-10 유남석 Fabricated pet dog house
KR20170111506A (en) 2016-03-28 2017-10-12 (주)다솜코퍼레이션 Bag for transporting pet do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61Y1 (en) 2001-04-04 2001-10-10 유남석 Fabricated pet dog house
KR20170111506A (en) 2016-03-28 2017-10-12 (주)다솜코퍼레이션 Bag for transporting pet do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4911A (en) Component bed system for a pet
US7614362B2 (en) Modular pet bed assembly
US7530326B2 (en) Blanket assembly for pet bed
US5010843A (en) Pet bed
US10736300B2 (en) Dog mattress
KR101609560B1 (en) Assembly Of Multi Functional Fan Module And Pet Carrier Having Dry Room Function
US20160309678A1 (en) Nestable Pet Bed
US20150237824A1 (en) Animal Bed Assembly
US11278001B2 (en) Modular pet bed
US20020108578A1 (en) Pet housing pad with bolsters
KR101609559B1 (en) Pet Carrier With Dry Room Function
US20100043713A1 (en) Pet bed overlay having burrow feature
US6305318B1 (en) Human shaped pet bed
US20140338127A1 (en) Blanket with pet pocket
US20190069509A1 (en) Stretchable Pet Crate Cover
KR20190106159A (en) Pet House
KR101752053B1 (en) Carry for assembly type pet
US5727501A (en) Dog house apparatus
KR20170110973A (en) Mat for a pet animals
US20060249085A1 (en) Multiple function animal bed
KR20190117185A (en) Step Apparatus for PET
US11564374B2 (en) Pet resting structure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KR20180093520A (en) Eco friendly Pet House of stable shape without reinforcement
US20150374147A1 (en) Augmented bedding
JP3122804U (en) Indoor Bench Pet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