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292A - 다중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292A
KR20190105292A KR1020180025648A KR20180025648A KR20190105292A KR 20190105292 A KR20190105292 A KR 20190105292A KR 1020180025648 A KR1020180025648 A KR 1020180025648A KR 20180025648 A KR20180025648 A KR 20180025648A KR 20190105292 A KR20190105292 A KR 20190105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ouch
pen
sensing patter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섭
이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한
Priority to KR102018002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292A/ko
Publication of KR2019010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다중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는, 제1 레이어 상에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터치입력패턴과, 제1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터치입력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펜 감지패턴과, 제1 레이어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는 제2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터치센싱패턴을 포함하고, 터치입력패턴에는, 터치입력패턴과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터치입력패턴의 측단부와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다중 입력 장치{MULTIPLE INPUT DEVICE}
본 발명은, 다중 입력 장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용량 타입 터치 입력과 유도전자기장 타입 입력을 감지하되 정전용량 타입 터치 입력과 유도전자기장 타입 입력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장비의 입력 장치로 터치 패널(Touch Panel)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주로 평판 디스플레이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에 함께 구성되어 사용되며, 터치 패널의 특정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인체의 손가락의 터치와 전자펜에 의한 터치를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입력장치, 특히 정전용량 방식에 의한 입력과, 유도전자기장을 방출하는 전자펜에 의한 입력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정전용량 방식은 정전용량식 터치에 사용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 기판에 인듐주석산화물(ITO, indium tin oxide)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투명전극 패턴을 형성하고, 이 투명전극 패턴에 외부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유도전자기장의 방출에 의해 전자펜을 인식하는 방식은 전자펜에 배터리가 내장되거나, 배터리가 내장되지 않는 경우와 같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전자펜에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커패시터(Capacitor)와 코일(Coil)이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본체로부터 역시 커패시터와 코일이 연결되어 있는 전자펜으로 공진에 의해 에너지가 전달되며, 이후 입력 장치 본체에서의 에너지 전달이 끊어지면 동일한 방식 즉, 공진에 의해 전자펜으로부터 입력 장치 본체로 에너지가 전달된다. 전자펜으로부터 입력 장치 본체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입력장치가 감지하여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손가락의 터치와 전자펜에 의한 터치를 모두 감지하기 위해서 손가락의 터치와 전자펜에 의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각각의 감지센서가 개별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방식을 소위, 독립형 방식이라고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독립형 방식의 입력 장치에는, 인체의 손가락 터치를 인식하는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들과 전자펜에 의한 터치를 인식하는 유도전자기장 인식용 패턴이 마련된다.
종래의 입력 장치의 경우,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과 유도전자기장 인식용 패턴이 서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었는데(예를 들어,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은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도전자기장 인식용 패턴은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됨), 입력 인식의 정확도를 위해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과 유도전자기장 인식용 패턴 모두를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위치시키려는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렇게 전용량 인식용 패턴과 유도전자기장 인식용 패턴 모두를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위치시키기 위해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들과 유도전자기장 인식용 패턴들을 서로 이웃하게 배치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렇게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들과 유도전자기장 인식용 패턴들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경우, 이웃한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들과 유도 전자기장 인식용 패턴 사이에서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이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방생된다.
즉,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들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손가락 터치를 인식하는데,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들과 유도 전자기장 인식용 패턴 사이에서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의 정전용량 변화가 교란됨으로써, 정전용량 인식용 패턴이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0910348호, (2009.08.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전용량 타입 터치 입력과 유도전자기장 타입 입력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레이어 상에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터치입력패턴;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상기 터치입력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펜 감지패턴;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는 제2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터치센싱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입력패턴에는, 상기 터치입력패턴과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측단부와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절개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패턴은, 터치입력패턴용 돌출부; 및 상기 터치입력패턴용 돌출부에 연결되며, 측단부에서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터치입력패턴용 돌출부의 측단부에서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 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터치입력패턴용 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상기 터치센싱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펜 감지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센싱패턴은 상기 터치입력패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펜 감지패턴은 제1 펜 감지패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터치센싱패턴에는, 상기 터치센싱패턴과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측단부와 상기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와 상기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센싱패턴과 상기 터치입력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절개된 사디리꼴 형상으로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싱패턴은, 터치센싱패턴용 돌출부; 및 상기 터치센싱패턴용 돌출부에 연결되며, 측단부에서 상기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터치센싱패턴용 돌출부의 측단부에서 상기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 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터치센싱패턴용 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레이어 상에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터치입력패턴;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상기 터치입력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펜 감지패턴;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는 제2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터치센싱패턴; 및 상기 터치입력패턴과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치입력패턴과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입력패턴용 더미패턴을 포함하는 다중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입력패턴용 더미패턴은,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터치입력패턴과 상기 제1 펜 감지패턴에 비접촉되며, 상기 입력패턴용 더미패턴은 상기 제1 펜 감지패턴이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루프에 비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상기 터치센싱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펜 감지패턴; 및 상기 터치센싱패턴과 상기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치센싱패턴과 상기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패턴용 더미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패턴용 더미패턴은,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터치센싱패턴과 상기 제2 펜 감지패턴에 비접촉되며, 상기 센싱패턴용 더미패턴은 상기 제2 펜 감지패턴이 연결되는 제2 그라운드 루프에 비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입력패턴과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터치입력패턴의 측단부와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가 마련된 터치입력패턴을 구비함으로써, 정전용량 타입 터치 입력과 유도전자기장 타입 입력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입력패턴과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입력패턴과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입력패턴용 더미패턴을 구비함으로써, 정전용량 타입 터치 입력과 유도전자기장 타입 입력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터치입력패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터치센싱패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터치입력패턴과 터치센싱패턴이 교차되어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다중 입력 장치에서 사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에 의한 터치위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다중 입력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자기유도 방식에 의한 전자펜의 위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다중 입력 장치에서 복수의 제2 펜 감지패턴을 사용하여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의 입력패턴용 더미패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8의 다중 입력 장치의 센싱패턴용 더미패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입력패턴용 더미패턴과 센싱패턴용 더미패턴이 교차되어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전자펜은 코일과 커패시터가 내장되어 있는 유도전자기장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며, 배터리가 전자펜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전자펜 내부에 내장되지 않은 채 다중 입력 장치로부터 LC 공진을 통해 에너지가 전달받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터치입력패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터치센싱패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터치입력패턴과 터치센싱패턴이 교차되어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다중 입력 장치에서 사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에 의한 터치위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다중 입력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자기유도 방식에 의한 전자펜의 위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다중 입력 장치에서 복수의 제2 펜 감지패턴을 사용하여 전자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는, 정전용량 타입 터치 입력과 유도전자기장 타입 입력을 감지한다. 이러한 다중 입력 장치는, 정전용량 타입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터치입력패턴 및 터치센싱패턴과, 유도전자기장 타입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펜 감지패턴 및 제2 펜 감지패턴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전용량 타입의 터치 입력은 손가락 등의 신체를 통한 입력 또는 정전용량형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말하며, 유도전자기장 타입의 입력은 유도전자기장형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다중 입력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L1) 상에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레이어(L1) 상에 마련되고 터치입력패턴(Tx)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펜 감지패턴(110)과, 제1 레이어(L1)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는 제2 레이어(L2) 상에 마련되는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레이어(L2) 상에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펜 감지패턴(120)과,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에 연결되는 정전용량타입컨트롤유닛(150)과, 제1 펜 감지패턴(110)과 제2 펜 감지패턴(120)에 연결되는 유도전자기장타입컨트롤유닛(160)과, 정전용량타입컨트롤유닛(150)과 유도전자기장타입컨트롤유닛(160)에 연결되며 정전용량 타입의 터치 입력 또는 유도전자기장 타입의 입력 처리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컨트롤유닛(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레이어(L1)는 절연재질의 투명한 필름으로 마련되며, 터치입력패턴(Tx)은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어 제1 레이어(L1) 상에 인쇄방식으로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2 레이어(L2)도 절연재질의 투명한 필름으로 마련되며, 터치센싱패턴(Rx)은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며 제2 레이어(L2) 상에 인쇄방식으로 마련된다.
제1 레이어(L1)에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펜 감지패턴(110)이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루프(G1)가 마련된다. 또한, 제2 레이어(L2)에는 제2 펜 감지패턴(120)이 연결되는 제2 그라운드 루프(G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입력패턴(Tx)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L1)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터치입력패턴(Tx)은, 다수개로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터치센싱패턴(Rx)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레이어(L2) 상에 마련된다. 터치센싱패턴(Rx)은, 다수개로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입력패턴(Tx)은,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마련되며 세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반면에, 터치센싱패턴(Rx)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마련되며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터치센싱패턴(Rx)은 터치입력패턴(Tx)과 상호작용하여 정전용량 타입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정전용량 타입의 터치 입력은, 터치센싱패턴(Rx)에 손가락 등이 터치되는 경우[엄밀하게는 손가락이 터치센싱패턴(Rx)의 상측에 배치된 보호층 레이어(미도시)를 터치함],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신호가 입력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전하량의 변화의 감지를 통해 손가락 등의 위치가 정전용량타입컨트롤유닛(150)에 의해 계산된다.
정전용량타입컨트롤유닛(150)은, 터치센싱패턴(Rx)에서 정전용량 타입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정전용량 타입의 터치 입력을 제어한다.
우선 도 5(a) 및 도(b)를 참조하여 정전용량 타입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제1 레이어(L1)의 상부에 제2 레이어(L2)가 위치되며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은 상하 방향으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교차하게 되는데,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 사이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므로 단락(Short)이 발생되지 않는다.
여기서, 도 5(a)에 도시된 교류전압에 의한 펄스 신호(H)가 터치입력패턴(Tx)에 입력되면, 터치입력패턴(Tx)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센싱패턴(Rx)에 소정 범위의 전하가 축적된다(도 5(b) 참조).
그런데, 손가락 등이 터치센싱패턴(Rx)에 접근하게 되면 손가락 등에 의해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량이 변화하게 되며(도 5(b) 참조), 이러한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이 정전용량 타입의 터치 입력 방식이다.
여기서 정전용량타입컨트롤유닛(150)은, 손가락 등이 터치센싱패턴(Rx)을 터치하는 것을 통해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량이 변화하는 경우,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한다. 이렇게 검출된 손가락 등의 위치 정보는 메인컨트롤유닛(170)으로 전달되어 메인컨트롤유닛(170)에서 처리하게 되며 이에 대응되는 다양한 출력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펜 감지패턴(110)은 제1 레이어(L1) 상에 마련되어 유도전자기장 타입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제1 펜 감지패턴(110)은,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패턴(Tx)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펜 감지패턴(110)들은, 제1 그라운드 루프(G1)에 연결되며, 가변 스위치(S)에 의해 개별적으로 차동증폭기(T)에 연결된다. 또한 제1 펜 감지패턴(110)들 각각에는 커패시터(미도시)와 코일(미도시)이 연결된다.
한편, 제2 펜 감지패턴(120)은 제2 레이어(L2) 상에 마련되어 유도전자기장 타입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제2 펜 감지패턴(120)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싱패턴(Rx)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펜 감지패턴(120)들은, 제2 그라운드 루프(G2)에 연결되며, 가변 스위치(S)에 의해 개별적으로 차동증폭기(T)에 연결된다. 또한, 제2 펜 감지패턴(120)들 각각에는 커패시터(미도시)와 코일(미도시)이 연결된다.
제1 펜 감지패턴(110)과 제2 펜 감지패턴(120)이 유도전자기장을 통해 전자펜(P)을 감지하는 원리를 도 6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펜 감지패턴(120)을 1개만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펜 감지패턴(120) 측으로 전자펜(P)이 접근하는 경우 전자펜(P)에 의해 제2 펜 감지패턴(120)에는 유도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즉, 내부에 커패시터(P2)와 코일(P1)의 LC 공진에 의해 유도전자기장이 방사되는 전자펜(P)이 제2 펜 감지패턴(120)에 근접한 위치로 접근하게 되면, 제2 펜 감지패턴(120)에 연결된 코일(P1)와 커패시터(P2)도 LC 공진하고, 그에 따라 전자펜(P)으로부터 제2 펜 감지패턴(120)으로 에너지가 전달되어 유도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유도전압에 의해 유도전류(i1, i2)가 제2 펜 감지패턴(120)을 흐르게 되는데, 여기서 전자펜(P)이 제2 펜 감지패턴(120)의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 폐루프를 흐르게 되는 유도전류 i1과 유도전류 i2는 크기가 동일하고, 전자펜(P)이 제2 펜 감지패턴(120)의 왼쪽에 위치하는 경우 유도전류 i1이 유도전류 i2 보다 큰 값을 가지며, 전자펜(P)이 제2 펜 감지패턴(120)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경우 유도전류 i2가 유도전류 i1 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도 7는 복수의 제2 펜 감지패턴(120)에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 및 위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도 7(a)는 제2 펜 감지패턴(120)과, 가변 스위치(S)와, 차동증폭기(T)의 배치를 나타내고, 도 7(b)는 복수의 제2 펜 감지패턴(120)에 따른 전압의 크기 및 위상을 나타낸다.
도 7(a)를 참조하여 전자펜(P)이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오른쪽에 위치할 때를 가정하면, 스위치가 1번 위치에 있는 경우 도 7(b)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값을 가지지만 스위치가 오른쪽으로 이동할수록, 즉 스위치가 1번의 위치로부터 4번의 위치로 이동할수록 전압값은 (+) 방향으로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며 전자펜(P)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40)에서 0[V]의 값을 가지게 된 후 전자펜(P)의 위치로부터 오른쪽에 있는 4번 위치의 스위치에서는 (-) 방향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복수의 제2 펜 감지패턴(120)을 스위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스캐닝하게 되면 전자펜(P)의 위치에 따라 전압이 변하게 되는데, 여기서 유도전자기장타입컨트롤유닛(160)은 전압값이 0[V]인 지점에 전자펜(P)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40)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전자기장타입컨트롤유닛(160)은 전압값이 0[V]인 지점으로부터 전자펜(P)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하게 되며, 이렇게 검출된 전자펜(P)의 위치 정보는 메인컨트롤유닛(170)으로 전달되어 메인컨트롤유닛(170)에서 처리하게 되며 이에 대응되는 다양한 출력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캐닝 방식을 통해 제2 펜 감지패턴(120)은 전자펜(P)의 가로방향 위치를 감지한다. 마찬가지로, 제1 펜 감지패턴(110)도 상술한 스캐닝 방식을 통해 전자펜(P)의 세로방향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터치입력패턴(Tx)은,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패턴용 돌출부(T1)와, 터치입력패턴용 돌출부(T1)에 연결되며 측단부에서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의 간격이 터치입력패턴용 돌출부(T1)의 측단부에서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의 간격 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터치입력패턴용 넥부(T2)를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입력패턴(Tx)에는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터치입력패턴용 넥부(T2)의 측단부와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터치입력패턴용 넥부(T2)와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터치입력패턴용 넥부(T2)와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의 간격을 확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펜 감지패턴(110)은 제1 그라운드 루프(G1)에 연결되므로, 터치입력패턴(Tx)에 교류전압에 의한 펄스 신호 인가 시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에 교란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교란을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가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터치입력패턴(Tx)의 폭이 좁아지도록 터치입력패턴(Tx)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터치입력패턴(Tx)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패턴(Tx)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터치입력패턴(Tx)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절개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복수개로 마련되는데, 복수개의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패턴(Tx)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터치입력패턴(Tx)의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도 2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이 교차하는 영역에 본 실시예의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가 배치됨으로써, 터치입력패턴(Tx)에 교차하는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는 전하가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가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는 전하가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의 전기장에 교란되지 않아 손가락 터치 입력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는 전하가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터치입력패턴(Tx)의 비존재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의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와 달리 단순히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을 멀리 이격시킨 경우에는 제1 레이어(L1) 상에서 터치입력패턴(Tx)이 비존재하는 면적이 커져서 손가락 터치의 입력을 인식하지 못하는 면적이 많아진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는 전하가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터치입력패턴(Tx)의 비존재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터치센싱패턴(Rx)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싱패턴용 돌출부(R1)와, 터치센싱패턴용 돌출부(R1)에 연결되며 측단부에서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간격이 터치센싱패턴용 돌출부(R1)의 측단부에서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간격 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터치센싱패턴용 넥부(R2)를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센싱패턴(Rx)에는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터치센싱패턴용 넥부(R2)의 측단부와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터치센싱패턴용 넥부(R2)와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터치센싱패턴용 넥부(R2)의 측단부와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간격을 확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펜 감지패턴(120)은 제2 그라운드 루프(G2)에 연결되므로,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터치입력패턴(T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의한 터치센싱패턴(Rx)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교란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교란을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가 방지한다. 이러한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싱패턴(Rx)의 폭이 좁아지도록 터치센싱패턴(Rx)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터치센싱패턴(Rx)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싱패턴(Rx)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터치센싱패턴(Rx)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절개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복수개로 마련되는데, 복수개의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터치센싱패턴(Rx)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싱패턴(Rx)의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이 교차하는 영역에 본 실시예의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가 배치됨으로써, 터치입력패턴(Tx)에 교차하는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는 전하가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가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는 전하가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전기장에 교란되지 않아 손가락 터치 입력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터치센싱패턴(Rx)과 터치센싱패턴(Rx)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는 전하가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터치센싱패턴(Rx)의 비존재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와 달리 단순히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을 멀리 이격시킨 경우에는 제2 레이어(L2) 상에서 터치센싱패턴(Rx)이 비존재하는 면적이 커져서 손가락 터치의 입력을 인식하지 못하는 면적이 많아진다.
이버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는, 터치센싱패턴(Rx)과 터치센싱패턴(Rx)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는 전하가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터치센싱패턴(Rx)의 비존재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지 않은 전자펜(P)에 전자기유도 공진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파워코일(미도시)가 마련된다.
파워코일(미도시)은 공진 회로를 갖는 무전원 전자펜에 대하여 전자기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펜(P)이 자체로 배터리를 내장하고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다면 파워코일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손가락 등이 터치센싱패턴(Rx)을 터치하게 되면, 손가락 등에 의해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량이 변화하게 된다.
정전용량타입컨트롤유닛(150)은 인체의 손가락 등의 터치를 통해 터치센싱패턴(Rx)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량이 변화를 감지하여 손가락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하게 되며, 이렇게 검출된 손가락 등의 위치 정보는 메인컨트롤유닛(170)으로 전달되어 메인컨트롤유닛(170)에서 처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중 입력 장치에서 손가락 등에 의한 입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펜 감지패턴(110)은 전자기유도 공진을 통해 전자펜(P)의 가로방향 위치를 감지하며, 제2 펜 감지패턴(120)은 전자기유도 공진을 통해 전자펜(P)의 세로방향 위치를 감지한다.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패턴(Tx)의 측단부와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여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싱패턴(Rx)의 측단부와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여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는,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130)과,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140)을 구비함으로써, 정전용량 타입 터치 입력과 유도전자기장 타입 입력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력 장치의 입력패턴용 더미패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8의 다중 입력 장치의 센싱패턴용 더미패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입력패턴용 더미패턴과 센싱패턴용 더미패턴이 교차되어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터치입력패턴(Tx)과 터치센싱패턴(Rx)의 구조 및 입력패턴용 더미패턴(230)과 센싱패턴용 더미패턴(240)이 추가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7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중 입력 장치는,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사이에 배치되는 입력패턴용 더미패턴(230)과,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패턴용 더미패턴(2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입력패턴(Tx) 및 터치센싱패턴(Rx)의 측단부는, 도 8 및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을 이룬다.
입력패턴용 더미패턴(230)은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입력패턴용 더미패턴(230)은 터치입력패턴(Tx)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입력패턴용 더미패턴(230)은,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의 사이에 배치되되,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에 접촉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패턴용 더미패턴(230)은,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며, 인쇄방식을 통해 제1 레이어(L1)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입력패턴용 더미패턴(230)은 제1 그라운드 루프(G1)에 연결되는 않는 격리된 전극의 형태를 이룬다.
이렇게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의 사이에 격리된 전극 형태의 입력패턴용 더미패턴(230)이 배치됨으로써, 단순히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터치입력패턴(Tx)과 제1 펜 감지패턴(11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센싱패턴용 더미패턴(240)은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센싱패턴용 더미패턴(240)은 터치센싱패턴(Rx)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센싱패턴용 더미패턴(240)은,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의 사이에 배치되되,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에 접촉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어서 센싱패턴용 더미패턴(240)은,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며, 인쇄방식을 통해 제2 레이어(L2)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센싱패턴용 더미패턴(240)은 제2 그라운드 루프(G2)에 연결되는 않는 격리된 전극의 형태를 이룬다.
이렇게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의 사이에 격리된 전극의 형태의 센싱패턴용 더미패턴(240)이 배치됨으로써, 단순히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터치센싱패턴(Rx)과 제2 펜 감지패턴(1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제1 펜 감지패턴 120: 제2 펜 감지패턴
130: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 140: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
150: 정전용량타입컨트롤유닛 160: 유도전자기장타입컨트롤유닛
170: 메인컨트롤유닛 230: 입력패턴용 더미패턴
240: 센싱패턴용 더미패턴 G1: 제1 그라운드 루프
G2: 제2 그라운드 루프 L1: 제1 레이어
L2: 제2 레이어 Tx: 터치입력패턴
T1: 터치입력패턴용 돌출부 T2: 터치입력패턴용 넥부
Rx: 터치센싱패턴 R1: 터치센싱패턴용 돌출부
R2: 터치센싱패턴용 넥부 P: 전자펜
P1: 코일 P2: 커패시터
S: 가변 스위치 T: 차동증폭기

Claims (17)

  1. 제1 레이어 상에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터치입력패턴;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상기 터치입력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펜 감지패턴;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는 제2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터치센싱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입력패턴에는,
    상기 터치입력패턴과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측단부와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절개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패턴은,
    터치입력패턴용 돌출부; 및
    상기 터치입력패턴용 돌출부에 연결되며, 측단부에서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터치입력패턴용 돌출부의 측단부에서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 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터치입력패턴용 넥부를 포함하는 다중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상기 터치센싱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펜 감지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센싱패턴은 상기 터치입력패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펜 감지패턴은 제1 펜 감지패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터치센싱패턴에는,
    상기 터치센싱패턴과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측단부와 상기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패턴용 간격 확대부와 상기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센싱패턴과 상기 터치입력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중심영역 방향으로 절개된 사디리꼴 형상으로 절개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패턴용 간격 확대부는,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싱패턴은,
    터치센싱패턴용 돌출부; 및
    상기 터치센싱패턴용 돌출부에 연결되며, 측단부에서 상기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터치센싱패턴용 돌출부의 측단부에서 상기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의 간격 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터치센싱패턴용 넥부를 포함하는 다중 입력 장치.
  14. 제1 레이어 상에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터치입력패턴;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상기 터치입력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펜 감지패턴;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는 제2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터치센싱패턴; 및
    상기 터치입력패턴과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치입력패턴과 상기 제1 펜 감지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입력패턴용 더미패턴을 포함하는 다중 입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패턴용 더미패턴은,
    상기 터치입력패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터치입력패턴과 상기 제1 펜 감지패턴에 비접촉되며,
    상기 입력패턴용 더미패턴은 상기 제1 펜 감지패턴이 연결되는 제1 그라운드 루프에 비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 상에 마련되고, 상기 터치센싱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펜 감지패턴; 및
    상기 터치센싱패턴과 상기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치센싱패턴과 상기 제2 펜 감지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패턴용 더미패턴을 더 포함하는 다중 입력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패턴용 더미패턴은,
    상기 터치센싱패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터치센싱패턴과 상기 제2 펜 감지패턴에 비접촉되며,
    상기 센싱패턴용 더미패턴은 상기 제2 펜 감지패턴이 연결되는 제2 그라운드 루프에 비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장치.
KR1020180025648A 2018-03-05 2018-03-05 다중 입력 장치 KR20190105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648A KR20190105292A (ko) 2018-03-05 2018-03-05 다중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648A KR20190105292A (ko) 2018-03-05 2018-03-05 다중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292A true KR20190105292A (ko) 2019-09-17

Family

ID=6807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648A KR20190105292A (ko) 2018-03-05 2018-03-05 다중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2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17491A (ja) * 2021-01-29 2022-08-10 株式会社 ハイディープ タッチデバイス、その駆動方法、およびタッチシステム
US11567619B2 (en) 2020-06-26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48B1 (ko) 2007-10-01 2009-08-04 아즈마 무라카미 좌표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48B1 (ko) 2007-10-01 2009-08-04 아즈마 무라카미 좌표 입력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7619B2 (en) 2020-06-26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JP2022117491A (ja) * 2021-01-29 2022-08-10 株式会社 ハイディープ タッチデバイス、その駆動方法、およびタッチシステム
US11675446B2 (en) 2021-01-29 2023-06-13 Hideep Inc. Touch device for passive resonant stylus, driving method for the same and touch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7120B2 (en) Touch screen system
KR101618286B1 (ko) 정전용량 및 전자기유도 방식에 의한 위치검출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6605193B (zh) 用于手势检测及跟踪的电极布置
TWI525513B (zh) 用於顯示裝置之電極裝置
KR102050444B1 (ko) 터치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KR102257173B1 (ko) 감소된 기생 커패시턴스를 위한 변조된 전력 공급부
JP5345336B2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8466900B2 (en) Capacitance sensor and information input apparatus
CN109791459B (zh) 触摸面板和触摸面板系统
CN109690459B (zh) 触摸面板内置显示器
KR20150019594A (ko) 터치 감지 표시 장치
KR20190105292A (ko) 다중 입력 장치
KR101473184B1 (ko) 스와이프 방식의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JP6205489B2 (ja) タッチセンサシステム用識別体およびタッチセンサシステム
CN105549787A (zh) 触控基板及其制作方法、触控装置
KR102273683B1 (ko)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KR102153915B1 (ko) 입력 시스템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20190107495A (ko) 다중 입력 장치
KR20160047682A (ko)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11766B1 (ko) 터치 센싱 신호를 이용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2293936B1 (ko) 터치센서 모듈
KR102234249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이의 엣지 좌표 보상방법
WO2022034765A1 (ja) 電子機器
KR101900293B1 (ko) 정전용량 타입 터치 입력과 유도전자기장 타입 입력을 감지하는 다중 입력 장치
KR101490764B1 (ko) 전기적 커플링 전극구조를 갖는 터치스크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