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239A -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239A
KR20190105239A KR1020197024483A KR20197024483A KR20190105239A KR 20190105239 A KR20190105239 A KR 20190105239A KR 1020197024483 A KR1020197024483 A KR 1020197024483A KR 20197024483 A KR20197024483 A KR 20197024483A KR 20190105239 A KR20190105239 A KR 20190105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rameter
switching
node
numer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352B1 (ko
Inventor
알리 베라반
무함마드 카즈미
이아나 시오미나
페트리쟈 테스타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9010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8Variabl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무선 통신, 특히 제1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numerology)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방법, 무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무선 통신에서는 하나의 노드로부터 발신된 데이터가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의도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이라 칭하여지고, 가장 잘 알려진 예가 텔레비젼과 라디오 방송이다. LTE(Long Term Evolution)의 무선 인터페이스인 셀룰러 표준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라 칭하여지는 멀티캐스팅에 대한 지원 서비스를 갖는다.
MBMS에서,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여러 셀을 포함하는 동일한 MBMS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되고, MBMS 영역 내의 각 네트워크 노드는 자체 셀 영역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이 시간 동기화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시간-분산 채널을 통한 단일 지점의 전송으로 나타난다. LTE에서, 이러한 종류의 전송은 MBMS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MS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라 칭하여진다. MBSFN의 이점에는 증가된 수신 신호 강도, 동일한 MBSFN 영역 내의 셀 경계에서의 감소된 간섭, 및 다수의 노드로부터의 수신으로 인한 추가 다이버시티(diversity)가 포함된다.
멀티캐스트를 위한 전송 채널은 멀티캐스트 채널(multicast channel, MCH)이라 칭하여지고, 이는 두가지 논리적 채널을 포함한다: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ulticast Traffic Channel, MTCH) 및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ulticast Control Channel, MCCH).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MTCH는 MBMS 데이터를 전달하지만, MCCH는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MCH는 물리적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에 맵핑되고, 이어서 MBSFN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 전송된다. 도 1은 논리적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적 채널을 통한 MBSFN 채널 맵핑의 한 예를 설명한다.
MBMS는 MBMS 전용 캐리어 주파수에서 또는 공유 캐리어 주파수에서 (즉, MBMS와 유니캐스트(unicast) 사이에 공유되는, 다른 말로 하면 MBSFN 서브프레임과 비-MBSFN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캐리어 주파수를 공유하는) 제공될 수 있다. 전자의 시나리오(MBMS 전용 캐리어 주파수)에서는 모든 서브프레임이 MBMS 신호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공유 캐리어 주파수)에서는 MBMS가 시간 분할 멀티플렉스 방식으로 유니캐스트 (즉, 비-MBSFN 서브프레임) 서비스와 공유된다. 즉, 무선 프레임 내의 다른 서브프레임이 MBMS 및 유니캐스트 서비스에 사용된다. MBMS 서브프레임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성가능하다. 한 셀에서 MBMS에 대해 어느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가에 대한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신호전송된다. MBMS에 대해 구성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즉 MBSFN 서브프레임의 예는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에서 서브프레임 번호 1, 2, 3, 6, 7, 및 8이고,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에서 서브프레임 번호 3, 4, 7, 8, 및 9이다. 이는 서브프레임 번호 0과 서브프레임 번호 5가 항상 FDD 및 TDD에서 모두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임을 의미한다. 부가하여, LTE FDD의 경우에서, 서브프레임 번호 4와 9, LTE TDD의 경우에서, 서브프레임 번호 1, 2, 및 6도 또한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이다.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은 유니캐스트 서비스에만 사용된다.
MBSFN 서브프레임은 처음에 제어 영역을 포함하고, MCH의 전송에 사용되는 MBSFN 영역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은 예를 들어, 4.7
Figure pct00001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길이를 사용하는 하나 또는 두개의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의 길이를 갖고, MBSFN 영역은 컨텐트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MBSFN 신호의 물리적 계층은 확장된 순환 프리픽스 16.7
Figure pct00002
를 갖는 15 kHz 서브캐리어(subcarrier) 간격의 (공유 모드에서, 또한 혼합 모드로도 공지된) 또는 긴 순환 프리픽스 33.3
Figure pct00003
를 갖는 7.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전용 모드에서) OFDM을 근거로 한다.
eNB(evolved Node B)와 같은 기지국은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터티(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MCE)라 칭하여지는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MBMS 스케줄링(scheduling) 정보로 구성된다. MCE는 분리된 네트워크 노드이거나 eNB 내에 거주할 수 있다. MCE 및 eNB는 M2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한다. M2 인터페이스는 eNB와 MCE 사이의 논리적 인터페이스이다.
진화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개선
Rel-14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에서, 대형 사이트 간 거리 시나리오에서 MBMS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추가 개선 사항이 도입된다. 200
Figure pct00004
의 순환 프리픽스(Cycle Prefix, CP) 길이를 갖는 800
Figure pct00005
의 새로운 심볼 길이가 Rel-14 eMBMS(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ticast Service)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동의되었다. 새로운 1.25 kHz 서브캐리어 간격 수비학 및 7.5 kHz 서브캐리어 간격 모두에 대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는 MBSFN 서브프레임에 유니캐스트 제어 영역이 결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15, 7.5, 및 1.25 kHz 수비학을 지원하는 전용 모드에 대해,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는 40 ms의 고정된 주기를 갖는 기준 신호의 발견을 근거로 셀 취득 서브프레임(Cell Acquisition Subframe, CAS)에서 방송된다.
15 및 1.25 kHz 수비학을 지원하는 혼합 모드에 대해 (7.5 kHz도 또한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SI는 유니캐스트 제어 영역을 갖는 서브프레임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동작 모드는 증가된 수의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함을 의미한다 (서브프레임 4와 9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 서브프레임 0과 5는 항상 MBSFN이 아니고 셀은 2차 셀(Secondary Cell, SCell)로 구성된다).
뉴 라디오(New Radio)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연구되고 있는 NR(New Radio)은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원할 수 있다. 현재는 2n x 15 kHz와 같은 서브캐리어 간격의 지원을 고려하고 있고, 여기서 n은 양수 또는 음수의 정수가 될 수 있다. n의 예로는 -2, -1, 1, 2, 3, 4 등이 있다. NR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예로는 3.75 kHz, 7.5 kHz, 15 kHz, 30 kHz, 60 kHz, 120 kHz, 240 kHz, 480 kHz 등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캐리어에서 주파수-멀티플렉싱된 혼합 수비학(
Figure pct00006
)이 지원된다.
혼합 수비학을 갖는 NR에 대해 가능한 한가지 시나리오는 특정한 시간 주기 동안, 한가지 수비학, 예를 들어
Figure pct00007
이 사용되지만, 응용, 환경 등의 변화로 인하여, 일정 시간 이후에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 즉
Figure pct00008
로 통신이 실행되는 것이다.
전자 스위치 등에서 상승 및 하강 시간 (또한 "일시적인 시간(transient times)", "램프 업/다운 시간(ramp up/down times)" 등으로 공지된)과 같은 디바이스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수비학 사이에 얼마나 신속한 스위칭이 행해질 수 있는가에 대해 특정한 제한이 있다. 다른 제한과 성능의 네트워크 노드 및 단말기를 갖춘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동작을 실행하는데 어떤 종류의 노드가 가정되는가에 부가하여, 전송기 또는 수신기 측에서의 스위칭인지 여부에 따라 다른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문제는 다른 동작 모드, 즉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 사이의 스위칭이고, 여기서는 다른 수비학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은 또한 용량 최적화와 성능 보증 사이에 균형을 요구한다. 수비학의 스위칭이 예를 들어, 더 긴 CP를 요구하는 채널 조건의 변화에 의해 (통상적으로 더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 및 심볼 당 더 높은 데이터 비율을 또한 의미함) 트리거되면, 애플리케이션 비율 및 심볼 비율의 적응이 필요하여 용량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새로운 수비학 매개변수가 표준 슬롯 및 서브프레임 구조에 적절하게 맞지 않는 경우, 또한 정수 개의 심볼이 하나의 슬롯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맞도록 보장하기 위해 동일한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에서 수비학이 멀티플렉싱될 때 다른 순환 프리픽스를 갖는 심볼 사이에서, 전송 갭이 요구될수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전송 갭은 eMBMS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 사이에 놓인다. 3.7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될 때 좁은 대역-사물인터넷(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NB-Iot) 슬롯에 갭이 주어지고, 여기서 7 OFDM 심볼이 2 ms 슬롯 길이 중 1925
Figure pct00009
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는 유리하게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디바이스, 네트워크 노드, 및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에 관련된 여러 실시예를 포함한다.
한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downlink) 및 업링크(uplink)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제2 노드 및 또 다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또한 제2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근거로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no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프로세싱 회로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에 전송하게 하는 것과 통신 인터페이스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프로세싱 회로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제2 노드 및 또 다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제2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제2 무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제2 노드 및 또 다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또한 제2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근거로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프로세싱 회로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에 전송하게 하는 것과 통신 인터페이스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제2 무선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프로세싱 회로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제2 노드 및 또 다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제2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르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제2 노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제2 노드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되는 매개변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제2 노드를 구성하는 것,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2 노드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에 전송하는 것과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한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제2 노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제2 노드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되는 매개변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제2 노드를 구성하는 것,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2 노드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에 전송하는 것과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제2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제2 노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제2 노드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되는 매개변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제2 노드를 구성하는 것,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2 노드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에 전송하는 것과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제2 무선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한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제2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제2 노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제2 노드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제2 노드를 구성하는 것,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2 노드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에 전송하는 것과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제2 무선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및 또 다른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는 단계;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에 전송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및 또 다른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에 전송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또 다른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는 단계;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에 전송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또 다른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에 전송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 및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 및 스위칭된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구현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구현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및 또 다른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 및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또 다른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 및 스위칭된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 및 그에 따른 부수적인 이점 및 특징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MBSFN 채널 맵핑을 도시하는 기존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혼합 수비학을 갖는 기존 뉴 라디오(New Radio)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제2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및 또 다른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또 다른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다른 수비학을 갖는 두개의 다른 OFDM 심볼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에 대해 다른 제한을 갖는 스펙트럼의 두개 분할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및 제2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 및 제2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실시예는 주로 수비학(numerology)을 스위칭하는 것에 관련된 장치 구성성분 및 프로세싱 단계의 조합으로 존재함을 주목하게 된다. 따라서, 구성성분은 적절한 경우 도면에서 종래의 심볼로 표현되었으며, 여기서 설명의 이점을 갖는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쉽게 명백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실시예의 이해에 관련된 특정 상세 내용만을 도시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과 같은 관계형 용어는 엔터티 또는 요소 사이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고 하나의 엔터티 또는 요소를 또 다른 엔터티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오로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설명되는 개념을 제한하게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 ("a", "an", 및 "the")은 문맥상 다른 방법으로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또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포함한다는 용어 ("comprises", "comprising", "includes" 또한/또는 "including")는 명시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성분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성분, 및/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또한 이해될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 의해 공통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 및 관련 기술의 문맥에서 그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음을 또한 이해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통신하는" 등과 같은 연결 용어는 전기적 또는 데이터 통신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면, 물리적 접촉, 유도, 전자기 방사, 무선 신호전송, 적외선 신호전송, 또는 광학 신호전송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는 다수의 구성성분이 상호동작할 수 있고 전기적 및 데이터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세 내용을 설명하기 전에, 일부 일반화가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노드"란 용어가 사용된다. 기지국, 5G(5th Generation) 기지국, NR 기지국, NodeB, gNode B, 또는 eNode B 및 사용자 장비(UE)와 같은 용어는 비제한적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특히 둘 사이에 특정한 계통 관계를 암시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NodeB"는 디바이스 1 또한 "UE"는 디바이스 2로 간주될 수 있고, 이들 두 디바이스는 일부 무선 채널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는 보다 일반적인 용어가 될 수 있으며,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는 임의의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 또는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로는 NodeB, 기지국(BS), MSR BS와 같은 다중-표준 무선(multi-standard radio, MSR) 무선 노드, eNodeB, gNodeB, MeNB(Master evolved Node B), SeNB(Secondary evolved Node B), 전송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네트워크 제어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기지국 제어기(base staion controller, BSC), 릴레이, 도너(donor) 노드 제어 릴레이, 베이스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에서의 노드,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들 들면,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 이동성 관리 엔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등), 동작 및 유지보수(Operation and Maintenance, O&M), 동작 지원 시스템(Operation Support System, OSS), 자체-조직 네트워크(Self-Organizing Networks, SON), 위치지정 노드(예를 들면,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모바일 데이터 터미널(Mobile Data Terminal, MDT) 노드, 다중-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터티(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MCE), MBMS 노드 등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용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 또는 간단히 "네트워크 노드(NW 노드)"가 사용된다. 이는 기지국, 무선 기지국, 베이스 송수신국, 기지국 제어기, 네트워크 제어기, eNB(evolved Node B), Node B, 릴레이 노드, 액세스 포인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원격 무선 유닛(RRU), 원격 무선 헤드(RRH)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제한되지 않는 용어 "무선 디바이스"가 여기서 사용되고, 이는 셀룰러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또한/또는 또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임의의 종류의 무선 디바이스를 칭한다. 무선 디바이스의 예로는 LTE UE, NB-IoT(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UE, V2V(Vehicle-to-Vehicle) UE, V2X(Vehicle-to-anything) UE, 특정한 카테고리의 UE (예를 들면, UE 카테고리 NB1, UE 카테고리 M1, UE 카테고리 0 등)와 같은 사용자 장비(UE), 타켓 디바이스, D2D(device-to-device) 무선 디바이스, 기계형 무선 디바이스나 M2M(machine-to-machine) 통신이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 모바일 터미널, 스마트폰, LEE(laptop embedded equipped),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Universal Serial Bus) 동글 등이 있다.
무선 액세스 기술 또는 RAT(radio access technology)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RAT, 예를 들면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B-IoT, WiFi, 블루투스, 차세대 RAT(NR), 4G, 5G 등을 칭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노드 중 임의의 노드는 단일 또는 다수의 RAT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동작 대역폭(bandwidth BW)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동작 BW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는 한 셀 내의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신호를 전송 또한/또는 그로부터 수신한다. 동작 대역폭은 채널 대역폭, 시스템 대역폭, 전송 대역폭, 셀 대역폭, 셀 전송 BW, 캐리어 대역폭 등으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칭하여질 수 있다. 동작 BW는 다른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단위의 예로는 kHz, MHz,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의 수, 리소스 요소의 수, 서브캐리어의 수, 물리적 채널의 수, 주파수 리소스 유닛의 수 등이 있다. RAT가 동작하는 주파수 채널 또는 캐리어 주파수는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ARFCN), 예를 들면 LTE에서의 E-UTRA ARFCN(EARFCN) 등으로 공지된 채널 번호에 의해 열거되거나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신호는 업링크(UL) 신호, 다운링크(DL) 신호, 또는 사이드링크(sidelink, SL) 신호가 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는 물리적 신호 또는 물리적 채널이 될 수 있다. 업링크 물리적 신호의 예로는 사운드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등이 있다. 업링크 물리적 채널의 예로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협대역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Narrowban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NPUSCH), 협대역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Narrowban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NPUCCH),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NB-IoT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NPRACH) 등이 있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DL 신호는 물리적 신호 또는 물리적 채널이 될 수 있다. DL 물리적 신호의 예로는 셀 지정 기준 신호(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위치지정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 등이 있다.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의 예로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협대역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Narrowb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NPDSCH), 협대역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Narrowban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NPDCCH), 물리적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 등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호는 PMCH의 경우에서와 같이 MBSFN 서브프레임을, 또한/또는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통신의 경우에서와 같이 비-MBSFN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직접적인 무선 디바이스 대 무선 디바이스 동작 (또한 D2D 동작, V2V 동작 등으로도 공지된)이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사이드링크(SL) 신호는 물리적 신호 또는 물리적 채널이 될 수 있다. SL 물리적 신호의 예로는 사이드링크 동기화 신호(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LSS), DMRS 등이 있다. SL 물리적 채널의 예로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 물리적 사이드링크 발견 채널(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DCH), 물리적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BCH)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수비학(numerology)"이란 용어는 신호 특성을 정의하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속성을 칭할 수 있다. 이러한 속성의 예로는: 서브캐리어 간격, 심볼 기간, CP 기간 (또한 CP 길이로도 공지된), 시간 슬롯 기간, 서브프레임 기간, 물리적 채널 당 서브캐리어의 수, 대역폭 내의 물리적 채널의 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물리적 채널은 임의의 시간-주파수 무선 리소스를 칭한다. 물리적 채널의 예로는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RB), 물리적 RB(PRB), 가상 RB(VRB) 등이 있다.
"수비학의 스위칭"이란 용어는 한 수비학 (예를 들면, 제1 수비학, N1) 및 또 다른 수비학 (예를 들면, 제2 수비학, N2) 사이의 스위칭을 칭할 수 있다. 스위칭은 N1에서 N2로, 또는 N2에서 N1으로 일어날 수 있다. 수비학의 스위칭은 또한 수비학 스위칭,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수비학의 수정, 수비학의 변경 등으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칭하여질 수 있다. 신호 S1과 S2는 각각 N1과 N2를 사용하여 동작된다. 그러므로, 수비학에서의 변경은 또한 신호에서의 변경, 예를 들어 N1이 N2로 변경되는 경우 S1에서 S2로의 변경을 의미한다. 수비학의 변경은 수비학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이나 매개변수, 예를 들면 서브캐리어 간격, CP 길이 등의 변경 또는 수정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을 15 kHz에서 60 kHz로 변경하는 것은 "수비학 스위칭" 또는 보다 특정하게 "서브캐리어 간격 스위칭" (또는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의 스위칭)인 것으로 간주된다.
수비학 스위칭을 실행하는 노드에서의 (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비학 스위칭은 노드에서 수신된 메시지 또는 명령에 의해 초기화되거나 트리거된다. 주목할 것은 여기서 사용되는 "노드"란 용어가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메시지는 스위칭을 실행하는 노드의 하위 계층 (예를 들면, 물리적 계층)에서 내부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메시지는 노드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이어서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수단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또 다른 노드로부터 또 다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서 미리 정의된 정보 (예를 들면,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명령,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미리 구성된 정보 (예를 들면, 수비학을 스위칭할 때 시간 리소스의 패턴에 대해).
여기서 사용되는 "시간 리소스"란 용어는 임의의 종류의 물리적 리소스 또는 시간의 길이로 표현된 무선 리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시간 리소스의 예로는: 심볼, 시간 슬롯, 서브프레임, 단기 서브프레임, 미니-슬롯, 무선 프레임,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인터리빙 시간(interleaving time) 등이 있다.
비록 기능들이 노드, 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 무선 디바이스 등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구현은 단일 물리적 디바이스로 제한되지 않음을 주목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기능들은 백홀 네트워크(backhaul network)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클라우드를 통해 분리된 것을 포함하여, 다수의 물리적 디바이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제 동일한 참고 부호가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고로, 도 3에는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10)가 도시된다.
네트워크 노드(10)는 프로세싱 회로(12)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12)는 프로세서(14)와 메모리(16)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부가하여, 프로세싱 회로(1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ry)를 처리 및/또는 제어하기 위한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메모리(16)를 액세스하도록 (예를 들면, 기록 및/또는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메모리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cache) 및/또는 버퍼(buffer) 메모리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6)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 및/또는 다른 데이터, 예를 들면 노드의 구성 및/또는 어드레스 데이터 등과 같이 통신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는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10),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요소들과 통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18)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8)는 하나 이상의 전송기, 하나 이상의 수신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12)는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 중 임의의 것을 제어하도록 또한/또는 이러한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가 예를 들어 여기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노드(10)의 기능에 의해 실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는 여기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노드(10)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에 대응한다. 네트워크 노드(10)는 여기서 설명되는 데이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6)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메모리(16)는 수비학 스위칭 코드(19)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수비학 스위칭 코드(19)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14)가 여기서 논의된 실시예에 대한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저장한다. 네트워크 노드(10)는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10),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요소들과 통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18)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8)는 하나 이상의 전송기, 하나 이상의 수신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도 4는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20)의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20)는 프로세싱 회로(22)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22)는 프로세서(24)와 메모리(26)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20)는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8)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부가하여, 프로세싱 회로(2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ry)를 처리 및/또는 제어하기 위한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는 메모리(26)를 액세스하도록 (예를 들면, 기록 및/또는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메모리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 및/또는 버퍼 메모리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26)는 프로세서(24)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 및/또는 다른 데이터, 예를 들면 노드의 구성 및/또는 어드레스 데이터 등과 같이 통신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22)는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 중 임의의 것을 제어하도록 또한/또는 이러한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가 예를 들어 여기서 설명되는 무선 디바이스(20)의 기능에 의해 실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여기서 설명되는 데이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26)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메모리(26)는 수비학 스위칭 코드(30)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수비학 스위칭 코드(30)는 프로세서(24)가 여기서 논의된 실시예에 대한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실행하게 한다.
도 5는 네트워크 노드(10)의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10)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1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2),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34), 및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36)을 포함한다.
도 6은 무선 디바이스(20)의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20)의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8),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40), 및 스위칭된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20)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42)을 포함한다.
도 7은 네트워크 노드(10)의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10)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1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2)을 포함한다. 도 7의 네트워크 노드(1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구현 모듈(44)을 포함한다.
도 8은 무선 디바이스(20)의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20)의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8)을 포함한다. 도 8의 무선 디바이스(2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구현 모듈(46)을 포함한다.
도 9는 네트워크 노드(10) 및 또 다른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10)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1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48),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34), 및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10)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36)을 포함한다.
도 10은 무선 디바이스(20) 및 또 다른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20)의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60),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40), 및 스위칭된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20)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노드(10), 무선 디바이스(20), 및 방법들은 다음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동일한 캐리어에서 다수의 수비학을 구성하도록 허용한다는 이점. 수비학은 변경될 수 있지만, 네트워크 노드(10)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특정한 성능 요구조건이 유지될 수 있다. 수비학이 스위칭될 때 무선 디바이스(20)의 동작이 잘 정의될 수 있다. 전송(TX) 및 수신(RX) 노드 성능으로 확장가능한 방법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노드(노드 1)가 사용된다. 노드 1은 네트워크 노드(10) 또는 무선 디바이스(20)가 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2 노드(노드 2)가 사용된다. 노드 2도 또한 네트워크 노드(10) 또는 무선 디바이스(20)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노드가 네트워크 노드(10)나 무선 디바이스(20)가 될 수 있을 때, "노드" 또는 "노드 1" 또는 "노드 2"란 용어는 노드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이 네트워크 노드(10)나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노드 1 및 노드 2는 무선 디바이스(20)와 네트워크 노드(10)의 임의의 조합이 될 수 있다. 한 예에서, 노드 1 및 노드 2는 각각 무선 디바이스(20) 및 네트워트 노드(10)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노드 1 및 노드 2는 각각 네트워크 노드(10) 및 무선 디바이스(20)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노드 1 및 노드 2는 각각 무선 디바이스 1 및 무선 디바이스 2가 될 수 있으므로, 둘 모두가 예를 들어, D2D 또는 V2V 동작이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가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노드 1 또는 노드 2가 무선 디바이스(20)이면, 이는 DL 및/또는 UL 동작을 위해 또는 사이드링크 동작을 위해 (예를 들면, D2D 통신, V2V 통신 등) 신호를 (예를 들면, S1 및 S2) 동작시킬 수 있다. 노드 1 또는 노드 2가 네트워크 노드(10)이면, 이는 DL 및/또는 UL 동작을 위해 신호를 (예를 들면, S1 및 S2) 동작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다른 수비학이 동일한 서비스 또는 다른 서비스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S1은 유니캐스트 신호 (예를 들어, 비-MBSFN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및 멀티캐스트 신호 (예를 들어, MBSFN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중 임의의 것이 될 수 있다. 신호 S2도 또한 유니캐스트 신호 (예를 들어, 비-MBSFN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및 멀티캐스트 신호 (예를 들어, MBSFN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중 임의의 것이 될 수 있다. 실시예는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신호의 임의의 조합 사이에서, 예를 들면 S1과 S2가 모두 유니캐스트일 때, S1과 S2가 모두 멀티캐스트일 때, S1과 S2가 각각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일 때, 또는 S1과 S2가 각각 멀티캐스트와 유니캐스트일 때, 스위칭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제1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제1 노드에서의 방법.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노드(노드 1)에서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 제1 수비학(N1)과 제2 수비학(N2)으로 각각 동작되는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노드 1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P)를 결정하는 단계;
단계 2 :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S1과 S2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 및
단계 3 : 스위칭 단계 이후에, 노드 1과 제2 노드(노드 2) 사이에서 신호 S1 및 S2 중 임의의 것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의 단계들은 이후 더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 1 :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노드(노드 1)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N1)과 제2 수비학(N2)으로 각각 동작되는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노드 1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P)를, 노드 1이 네트워크 노드(10)인 경우 프로세서(14)에 의해, 또는 노드 1이 무선 디바이스(20)인 경우 프로세서(24)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첫번째 단계에서, 노드 1은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또는 변경 또는 수정 또는 적용을 위해) 노드 1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P)를 결정한다. 신호 S1과 S2는 각각 제1 수비학(N1) 및 제2 수비학(N2)으로 동작된다. 수비학의 한 예로는 서브캐리어 간격(Sp)이 있다. 예를 들면, S1과 S2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Sp1) 및 제2 서브캐리어 간격(Sp2)으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다른 수비학을 사용하는 노드 1에 의해 동작되는 임의의 수와 종류의 신호에, 예를 들면 각각 N1, N2, N3, N4 등으로 동작되는 S1, S2, 제3 신호(S3), 제4 신호(S4) 등에, 또는 보다 특정하게 각각 Sp1, Sp2, Sp3, Sp4 등으로 동작되는 S1, S2, S3, S4 등에 적용가능하다. "신호를 동작시킨다"는 용어는 신호를 전송 또한/또는 신호를 수신함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신호 S1과 S2의 동작은 예를 들면, 노드 1이 신호 S1 및/또는 신호 S2를 전송하고 또한/또는 노드 1이 신호 S1 및/또는 신호 S2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한 예로, 노드 1은 신호 S1 및/또는 신호 S2를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노드, 즉 제2 노드(노드 2)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노드 1은 적어도 노드 2로부터 신호 S1 및/또는 신호 S2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S1과 신호 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사용되는 매개변수는 시간 리소스에서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수비학에 관련되고, 노드 1과 연관된 성능 및 요구조건을 적어도 근거로 한다. 제1 노드는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이들 매개변수 중 하나 또는 조합을 사용한다. 임의의 두 수비학 사이의 (예를 들면, N1과 N2 사이) 스위칭에 관련된 요구조건과 이들 매개변수의 예가 이후 설명된다.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기 위한 수비학 스위칭 지연 또는 시간(Dn)
Dn은 신호 S1과 신호 S2 사이에서 스위칭되기 위해 노드 1에 의해 요구되는 시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스위칭 지연(Dn)은 적어도 스위칭을 초기화하는 시간(Dp) 및 일부 인터럽트 시간(Di)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Dn = f(Dp, Di) 또는 특정한 예로 Dn = Dp + Di이다. Dp는 스위칭을 실행하기 위해 노드 1에 요청하는 명령 또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메시지를 처리한 이후에, 노드 1은 수비학이 N1에서 N2로, 또는 반대로 스위칭되어야 함을 결정할 수 있다. 메시지 또는 명령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내부적으로 또는 또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위칭 지연 중 적어도 일부 동안, 즉 Di 동안, 신호 S1 및 S2는 노드 1에서 인터럽트 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노드 1은 수비학의 변경 이후에 전송될 새로운 신호의 새로운 수비학에 적응하기 위해 그 리소스 (예를 들면, 무선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Dn은 노드 1에서의 수비학 스위칭 과정의 프로세싱에 적어도 일부 관련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스위칭 지연(Dn)은 N1에서 N2로, 또는 N2에서 N1으로의 스위칭에 대해 동일하다. Dn은 N1과 N2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Dn은 특정한 수비학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Dn은 스위칭이 N1에서 N2로, 또는 N2에서 N1으로 일어나는가 여부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시간(Dn1)은 N1에서 N2로 스위칭되는데 요구되고, 스위칭 시간(Dn2)는 N2에서 N1으로 스위칭되는데 요구된다. 스위칭 지연은 다음의 특정한 예로 설명된다.
한 예에서, 서브캐리어 간격 스위칭 지연(Ds)은 Sp1에서 Sp2로, 또는 Sp2에서 Sp1으로의 스위칭에 요구되는 시간이다. Ds는 또한 Sp1과 Sp2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Ds는 또한 스위칭이 Sp1에서 Sp2로, 또는 Sp2에서 Sp1으로 일어나는가 여부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시간(Ds1)은 Sp1에서 Sp2로 스위칭되는데 요구되고, 스위칭 시간(Ds2)는 Sp2에서 Sp1으로 스위칭되는데 요구된다.
또 다른 예에서, 스위칭 시간은 스위칭에 포함되는 두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중 더 작은 것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칭이 1.25 kHz와 1 kHz 사이에서 일어나는 경우 15 kHz 대신에 1,25 kHz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스위칭 시간은 스위칭에 포함되는 두개의 수비학의 CP 길이 중 가장 큰 것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스위칭은 특정한 시간 리소스의 함수이고, 예를 들면 K1과 CP 길이의 곱(K * CP 길이), K2와 심볼 길이의 곱(K2 * 심볼 길이), K3와 시간 슬롯의 곱(K3 * 시간 슬롯), K4와 서브프레임의 곱(K4 * 서브프레임) 등이 되고, 여기서 K1, K2, K3, 및 K4는 양수값이다.
또 다른 예에서, 두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갭(즉, 스위칭 시간)이 제공되고, 여기서 수비학 사이의 변화를 근거로 갭이 두 심볼 사이에 놓인다. 이러한 요구조건의 예는 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과 같은 무선 주파수 요구조건 등이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다른 수비학 및 스위칭 갭을 갖는 두개의 다른 OFDM 심볼의 한 예를 제공한다.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Di)
이 시간 동안, 노드 1은 어떠한 신호도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없다. 인터럽트는 노드 1의 하위 계층 (예를 들면, 물리적 계층)이 실제로 N1에서 N2로, 또는 그 반대로 수비학의 변경을 실행한 이후에 일어날 수 있다. 한 예에서, 매개변수(Di)는 Y1
Figure pct00010
, Y2 ms 등과 같은 시간 주기로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Di는 특정한 수의 시간 리소스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Y3 * 시간 슬롯, 여기서 Y3
Figure pct00011
1). 또 다른 예에서, 인터럽트 시간은 노드 2에 의한 노드 1로의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 하에서 노드 1에 의해 전송된 피드백 신호 중 손실된 것의 확률로 표현될 수 있다. 피드백 신호의 예로는 ACK/NACK와 같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피드백이 있다. 예를 들어, Di는 수비학 스위칭 과정 동안 손실된 ACK/NACK의 1% 확률로 표현될 수 있다.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또는 연속적인 수비학 스위칭 사이의 최소 시간(Tn)
여기서는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이 얼마나 자주 일어날 수 있는가에 대해 연속적인 스위칭 이벤트 사이의 최소 시간(Tn)이 정의된다. 이 매개변수(Tn)는 또한 스위칭 주기라 칭하여진다. 예를 들어, N1과 N2 사이의 제1 스위칭이 제1 시간 순간(T1)에 일어나면, N1과 N2 사이의 다음 연속 스위칭은 제2 시간 순간(T2)에 일어나도록 허용되고, 이때 Tn = T2 - T1이다. 시간(Tn)은 효과적인 방법으로 필요한 과정 또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일부 시간을 노드 1에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의 예로는 필요한 신호의 획득 및/또는 전송, 동기화, 새로운 시스템 정보의 판독 등이 있다. 그러므로, 일부 실시예에서, 수비학 스위칭은 모든 Tn 보다 더 빠르게 일어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Tn의 예는 아래에 제공된다.
한 예에서, Tn은 적어도 Dn과 일부 추가 시간(Da)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Tn = f(Dn,Da) 또는 한 특정한 예에서 Tn = Dn + Da이다.
또 다른 예에서, 매개변수(Tn)은 N1 및 N2와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N1 및/또는 N2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매개변수(Tn)은 연속적인 수비학 스위칭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수비학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Tn = Ts이고, 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연속적인 스위칭 사이에서의 최소 시간이다. 예를 들어, Sp1과 Sp2 사이의 제1 스위칭이 제1 시간 순간(Ts1)에 일어나면, Sp1과 Sp2 사이의 다음 연속 스위칭은 제2 시간 순간(Ts2)에 일어나도록 허용되고, 이때 Ts = Ts2 - Ts1이다.
또 다른 예에서, 매개변수(Tn) 또는 (Ts)는 특정한 종류의 신호 또는 시간 리소스의 주기 또는 발생과 관련된다. 예를 들면, Tn = L1 * 무선 프레임이다. 한 실시예에서, Tn = L2 * Tb 이고, 여기서 Tb = 특정한 종류의 신호에 관련된 시간 리소스의 주기. 특정한 신호의 예로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채널-관련 신호전송(Channel-Associated Signaling, CAS), MCCH,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사운드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RS), CSI-RS 등이 있다.
스위칭에 대해 허용되는 특정한 시간 리소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매개변수에 따라,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은, 허용 시간 리소스라 또한 공지되는 특정한 시간 리소스에서만 보다 자주 허용, 추천, 선호, 또는 사용된다. 예를 들어, 수비학은 시스템 정보 (예를 들면, CAS)를 포함하는 시간 리소스 직후의 시간 리소스에서 또는 바로 직전의 시간 리소스에서 변경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스위칭에 대해 제한되는 (또는 금지되거나 허용되지 않는) 시간 리소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매개변수에 따라,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은, 제한 시간 리소스라 또한 공지되는 특정한 시간 리소스에서 허용되지 않거나 추천되지 않는다. 이러한 리소스의 예로는 시스템 정보 (예를 들면, CAS)를 포함하는 시간 리소스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간 리소스는 덜 확실한 전송 포맷을 갖는 신호를 포함한다. 덜 확실한 운송 포맷을 갖는 신호의 예는 더 높은 차수의 변조 및/또는 더 높은 코딩 비율로 인코딩된 신호를 포함한다. 더 높은 차수의 변조의 예로는 직교 위상 쉬프트 키잉(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또는 64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등에 비교되는 16QAM이 있다.
스위칭에 대해 허용되는 수비학
일부 실시예에서, 이 매개변수에 따라, 가능한 수비학의 서브세트만이 특정한 부분의 스펙트럼, 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을 통해 노드 1에서 동작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역(Z1)에서는 수비학 N1, N2, 및 N3가 허용되고, 대역(Z2)에서는 수비학 N1 및 N4가 허용된다. 노드 1이 대역(Z1)에서 동작되는 경우에는 N1, N2, 및 N3 중 임의의 것 사이의 스위칭이 가능하다. 그러나, 노드 1이 대역(Z2)에서 동작될 때는 N1과 N4 사이의 스위칭이 가능하다. 멀티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동작 모두에 그 제한이 적용되거나, 멀티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동작에 대해 다를 수 있다. 그 제한은 또한 노드 1이 네트워크 노드(10) 또는 무선 디바이스(20)에 있는가 여부에 의존할 수 있다.
스위칭에 대해 허용되는 스펙트럼의 일부분
일부 실시예에서, 이 매개변수에 따라,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은 노드 1에 의해 사용되는 스펙트럼 중 특정한 부분에 제한된다. 도 12는 스펙트럼의 두개 부분 (BW1 및 BW2)이 다른 수비학을 사용해 동작될 수 있고 스펙트럼의 다른 부분에서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에 대한 다른 제한이 있는 예를 도시한다. 두 수비학의 예는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의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본 예에서, BW1에서는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모두가 허용되고, 노드 1은 BW1에서 두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그러나, BW2에서는
Figure pct00016
만이 노드 1에 의해 사용되도록 허용된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예는 용도 등을 근거로 스펙트럼이 여러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는 NR(New Radio)(5G 시스템)에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펙트럼의 특정한 부분에서,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이 허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의 제한은 특정한 시간 주기에 대해 적용될 수 있고, 이는 특정한 주기 이후에, 또 다른 제한이 적용되거나 제한이 제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는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에 대해 다른 제한을 갖는 스펙트럼의 두 부분을 설명한다.
상기에 기술된 매개변수는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에 관련된 요구조건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조건은 수비학 스위칭을 행하는 노드, 예를 들면 노드 1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조건은 미리 정의되어, 구현을 근거로 제1 노드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또 다른 노드 (예를 들면,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비학 스위칭으로 인한 노드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에서의 신호의 최대 허용 인터럽트가 1 서브프레임이라는 것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노드 (예를 들면, 노드 1, 무선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는 또한 상기에 정의된 스위칭에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에 따라 노드에 의해 수비학 스위칭이 실행되는 경우 특정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에 관련되는 상기 매개변수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노드에 의해 수비학 스위칭이 실행되는 경우, 예를 들어 스위칭이 무선 프레임 당 한번만 행해지는 경우 등, 노드는 특정한 요구조건, 예를 들면 수신기 감도, 방사 요구조건, 전송 변조 품질 (예를 들면, 에러 벡터 크기(Error Vector Magnitude, EVM))을 충족시킬 수 있다.
스위칭 영향은 또한 다른 서비스에 대해 다를 수 있다. 스위칭 영향이 있는 경우, 선행되는 또한/또는 이어지는 수비학에 의존하여 두가지 다른 세트의 요구조건이 다른 서비스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사이의 스위칭에서, 심볼 또는 CP의 일부가 손실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에 대해 특정한 요구조건이 있을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에 기술된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사용되는 요구조건은 제1 노드의 다음 제한 또는 성능을 충족시키도록 정의될 수 있다:
- 노드 1의 하드웨어 성능 : 전송기 또는 수신기가 얼마나 신속하게 기저대 또는 무선 동작을 변경시킬 수 있는가. 한 예로, 전송기 또는 수신기는 얼마나 빨리 기저대 동작을 변경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특정한 하드웨어 제한을 가질 수 있다;
- 규제 요구조건 : 단위 시간 당 특정한 빈도 이상 스위칭을 금지하는 특정한 대역, 지형적 영역 등에 대한 규제 요구조건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임의의 두개의 연속적인 수비학 스위칭 동작 또는 이벤트 사이에 최소 시간을 설정하거나 정의할 수 있다;
-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요구조건 : 송수신기를 On 또는 Off로 스위칭할 때의 On/Off 시간 마스크 및/또한 상승 및 하강 시간, 방사 요구조건 등과 같이, 특정한 무선 주파수 요구조건이 있을 수 있다. 이는 노드 1의 RF 설계에 관련될 수 있다. RF 설계는 전력 증폭기, RF 필터, 안테나 등과 같은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의 예로는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회로가 있다;
- 기저대 실행 요구조건 : 복조 요구조건 등과 같이 특정한 기저대 실행 요구조건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요구조건은 특정한 양의 처리량 또는 비트 비율을 (예를 들면, 최대 처리량의 X %, 평균 처리량, 처리량의 Y번째 백분위수 등) 달성하도록 노드에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 또는 무선 디바이스(20)에서) 요구되는 수신 신호 품질에 대해 (예를 들면, 신호 대 잡음 비율(Signal to Noise Ratio, SNR), 신호-대-간섭 플러스 잡음 비율(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 등) 정의될 수 있다. 원하는 처리량을 달성하기 위해, 수비학 스위칭은 너무 자주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일부 실시예에서는 Tn 마다 한번만 실행된다.
단계 2 :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하는 S1과 S2 사이의 스위칭. 이 단계에서, 제1 노드는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 상기 단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비학 스위칭에 관련되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P)를 근거로, 각각 N1과 N2로 동작되는 신호(S1)과 신호(S2) 사이에서 스위칭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1은 지정된 시간 주기 내에서, 예를 들면 Dn 내에서 수비학 스위칭이 실행되게 한다. 또 다른 예에서, 노드 1은 최종 수비학 스위칭 이벤트 또는 동작 이래로 시간(Tn) 보다 빠르게 수비학 스위칭을 실행하지 않는다. 또 다른 예에서는 수비학 스위칭을 실행하도록 허용된 하나 이상의 특정한 시간 리소스에서 스위칭이 실행될 수 있다.
단계 3 : 이 단계에서, 노드 1은 수비학 스위칭을 실행한 이후에 노드 1과 제2 노드 사이에서 신호 S1과 S2 중 임의의 것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스위칭이 N1에서 N2로 실행되면, 노드 1은 수비학 스위칭 이후에 신호(S2)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나, 스위칭이 N2에서 N1으로 실행되면, 노드 1은 스위칭 이후에 신호(S1)을 동작시키게 된다.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신호를 동작시킨다는 용어는 신호를 또 다른 노드로 전송하고 또한/또는 신호를 또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노드 1은 신호를 노드 2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또는 신호를 노드 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신호(S1)은 또한 S11 및 S12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S11은 노드 1에 의해 전송되고 S12는 노드 1에 의해 수신된다. 유사하게, 신호(S2)도 또한 S21 및 S22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S21은 노드 1에 의해 전송되고 S22는 노드 1에 의해 수신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서, 노드 1은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서브프레임에서 DL 또는 UL의 특정한 전송의 스케쥴링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쥴링의 한가지 적응은 다른 수비학을 갖는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이전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을 비워 두도록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제1 노드에서의 방법.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노드(노드 1)(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 : 각각 제1 수비학(N1) 및 제2 수비학(N2)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노드 1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P)를 결정하는 단계.
단계 5 : 각각 N1 및 N2로 동작되는 신호 S1과 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 (노드 2)(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Q)를 결정하는 단계.
단계 6 : 적어도 P 및 Q의 함수인 매개변수(R)을 결정하는 단계.
단계 7 :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운영 작업에 결정된 매개변수(R)을 사용하는 단계,
- 결정된 매개변수(R)을 적어도 근거로 노드 2가 신호 S1과 S2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게 노드 2를 구성하는 작업; 및
-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매개변수(R)을 근거로 신호 S1과 S2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작업 등.
단계 8 : 노드 1 및 노드 2에서 수비학 스위칭 관련 매개변수 및/또는 성능이 변할 때마다 단계 4-7을 실행하는 단계.
이제 상기의 단계가 더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 4 : 이 단계에서, 노드 1은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 각각 제1 수비학(N1) 및 제2 수비학(N2)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또는 변경 또는 수정 또는 적용을 위해) 노드 1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P)를 결정한다. 이 단계는 상기 단계 1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상기 단계 1에서의 설명은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적용가능하다.
단계 5 : 이 단계에서, 노드 1은 각각 제1 수비학(N1) 및 제2 수비학(N2)으로 동작되는 신호 S1과 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또는 변경 또는 수정 또는 적용을 위해) 제2 노드 (노드 2)(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Q)를 결정한다. 노드 2에 대해 결졍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는 상기 단계 1에서 노드 1에 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단계 1의 설명은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적용가능하다. 그러나, 수비학 스위칭에 관련된 동일한 매개변수의 값은 노드 1 및 노드 2에 대해 다를 수 있다. 그들의 값은 노드가 네트워크 노드(10) 또는 무선 디바이스(20)인가 여부에 더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1 및 노드 2가 각각 네트워크 노드(10) 및 무선 디바이스(20)이면, 노드 2에 대한 매개변수 Dn 또는 Di의 값은 노드 1에 대한 것 보다 더 길 수 있다.
노드 1은 다음의 원칙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Q를 결정할 수 있다:
- 미리 정의된 정보 또는 규칙을 근거로, 예를 들어 Dn, Ds, Tn 등의 값이 미리 정의된다.
- 또 다른 노드로부터 노드 2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Q)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서. 예를 들면, 노드 2는 메시지, 예를 들면 MAC, RRC 신호전송 등을 통해 노드 1에 이러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 통계 또는 기록 데이터를 근거로.
- 내재적으로, 노드 2로부터의 피드백과 관련된 이벤트의 성과 또는 결과와 같은 관찰을 근거로. 예를 들어, 노드 1이 특정한 지연(Dx) 내에서 수비학 스위칭 이후에 노드 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면, 노드 1은 노드 2에 대한 스위칭 지연이 Dx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6 : 이 단계에서, 노드 1은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 수비학 스위칭을 위해 사용되거나 가정될 적어도 하나의 공통 매개변수(R)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매개변수(R)은 적어도 이전 단계 (단계 4 및 단계 5)에서 결정된 P 및 Q의 함수이다. 예를 들면, R은 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R = f1(P,Q) (1)
또 다른 예에서, R은 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R = f(P,Q,
Figure pct00017
) (2)
여기서,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는 각각 노드 1 및 노드 2와 연관된 구현 마진이다. 특수한 경우,
Figure pct00020
및/또는
Figure pct00021
는 무시될 수 있다.
함수의 특정한 예는 최소값, 최대값, X번째 백분위수, 평균 등이 있다.
R = MAX(P,Q) (3)
또 다른 예에서:
R = P, 즉 Q가 무시된다. (4)
또 다른 예에서:
R = Q, 즉 P가 무시된다. (5)
한 예에서, 노드 1은 수비학 스위칭에 사용되는 매개변수의 그룹 또는 모두의 값을 결정하는데 동일한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노드 1은 수비학 스위칭에 사용되는 다른 매개변수의 값을 결정하는데 다른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한 예로, Dn 및 Tn은 각각 식 (3) 및 식(4)에서의 표현을 근거로 할 수 있다.
단계 7 : 이 단계에서, 노드 1은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 하나 이상의 운영 작업 또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결정된 매개변수(R)를 사용한다. 노드 1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작업의 예는 다음과 같다:
- R의 결정된 값에 관련된 정보로 노드 2를 구성한다. 노드 2는 또한 수비학 사이, 즉 N1과 N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2가 1개 시간 슬롯 내에서 수비학 스위칭을 실행할 수 있지만 2개 시간 슬롯 내에서 스위칭을 실행하기 위해 노드 1에 의해 구성되면, 노드 2는 2개 시간 슬롯 내에서 스위칭을 실행하게 된다.
- R의 결정된 값에 관련된 정보를 또 다른 노드, 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 인접한 네트워크 노드(10), 또 다른 무선 디바이스(20) 등에 전송한다.
- 노드 2에 전송 또한/또는 그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R의 결정된 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한다.
- 결정된 매개변수(R)을 근거로 S1과 S2 사이에서 스위칭을 실행한다.
상기 단계 4-7은 노드 1 및 노드 2의 수비학 스위칭 관련 매개변수 및/또는 성능이 변경될 때마다 실행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제2 노드에서의 방법.
본 실시예에 따라, 제2 노드(노드 2)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9 : (선택적 단계) 각각 제1 수비학(N1) 및 제2 수비학(N2)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노드 2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Q)에 대한 정보를 또 다른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단계 10 : 각각 제1 수비학(N1) 및 제2 수비학(N2)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노드 2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R)에 대한 정보를 제1 노드(노드 1)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단계 11 : R에 관련된 수신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신호 S1과 S2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 및
단계 12 : 스위칭된 이후에, 노드 1과 노드 2 사이에서, 신호 S1 및 S2 중 임의의 것을 동작시키는 단계.
이제 상기의 단계가 더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 9 : 이 단계는 노드 2에 대해 선택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 단계에서, 노드 2는 수비학 스위칭이 노드 2에 의해 실행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A)에 관련된 정보를, 또 다른 노드에 (예를 들면, 노드 1) 전송한다. 정보는 성능 정보의 일부로 또 다른 노드에 전송될 수 있다. 정보는 또 다른 노드로부터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또는 능동적으로 또 다른 노드에 전송될 수 있다. 수비학 스위칭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Q)는 상기 단계 1에서 설명된 매개변수 중 임의의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계 1에서의 설명은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적용가능하다.
단계 10 : 이 단계에서, 노드 2는 각각 제1 수비학(N1) 및 제2 수비학(N2)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노드 2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R)에 대한 정보를 제1 노드(노드 1)로부터 수신한다. 제2 실시예의 상기 단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노드 1은 매개변수 P 및 Q의 함수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R)를 결정한다.
단계 11 : 이 단계에서, 노드 2는 노드 1으로부터 수신된 (단계 9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R)를 근거로, 각각 N1 및 N2로 동작되는 신호 S1과 S2 사이에서 스위칭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노드 2는, 수신된 매개변수를 근거로, 수비학 스위칭이 지정된 시간 주기 내에 실행됨을 보장한다. 또 다른 예에서, 노드 2는 스위칭 주기(Tn) 당 한번만 수비학 스위칭을 실행한다. 또 다른 예에서, 스위칭은 수비학 스위칭을 실행하도록 허용된 하나 이상의 특정한 시간 리소스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단계 12 : 이 단계에서, 노드 2는, 수비학 스위칭을 실행한 이후에, 노드 1과 노드 2 사이에서, 신호 S1 및 S2 중 임의의 것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스위칭이 N1에서 N2로 실행되면, 노드 2는 수비학 스위칭 이후에 신호 2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나, 스위칭이 N2에서 N1으로 실행되면, 노드 2는 수비학 스위칭 이후에 신호 1을 동작시키게 된다. "신호를 동작시킨다"는 용어는 여기서 또 다른 노드에 신호를 전송하고 또한/또는 또 다른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노드 2는 노드 1에 신호를 전송하고 또한/또는 노드 1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S1)은 또한 신호(S11) 및 신호(S12)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신호(S11)은 노드 2에 의해 노드 1로부터 수신되고 신호(S12)는 노드 2에 의해 노드 1로 전송된다. 유사하게, 신호(S2)도 또한 신호(S21) 및 신호(S22)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신호(S21)은 노드 2에 의해 노드 1로부터 수신되고 신호(S22)는 노드 2에 의해 노드 1로 전송된다.
도 13은 네트워크 노드(10)의 스위칭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실행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의 프로세서(14)에 의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00), 예를 들어 수비학 스위칭 코드(19)와 연관된 프로세서(1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블록 S110),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예를 들어 프로세서(14)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블록 S120)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하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14)에 의해,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4는 무선 디바이스(20)의 스위칭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실행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의 프로세서(24)에 의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30), 예를 들어 수비학 스위칭 코드(30)와 연관된 프로세서(2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블록 S140),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예를 들어 프로세서(24)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20)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와 같은 제2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블록 S150)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하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24)에 의해,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5는 네트워크 노드(10) 및 제2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실행되는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의 프로세서(14)에 의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60), 예를 들어 프로세서(14)에 의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70), 예를 들어 프로세서(1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80), 및 예를 들어 프로세서(1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단계(블록 S19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제2 노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제2 노드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제2 노드를 구성하는 것,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2 노드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6은 무선 디바이스(20) 및 제2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실행되는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의 프로세서(24)에 의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200), 예를 들어 프로세서(24)에 의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210), 예를 들어 프로세서(2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220), 및 예를 들어 프로세서(2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단계(블록 S23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제2 노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제2 노드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제2 노드를 구성하는 것,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2 노드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7은 네트워크 노드(10) 및 또 다른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실행되는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10)의 통신 인터페이스(18)에 의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블록 S240), 예를 들어 수비학 스위칭 코드(19)와 연관된 프로세서(1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는 단계(블록 S250),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예를 들어 프로세서(14)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10)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블록 S260)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18)에 의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에 전송된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도 18은 무선 디바이스(20) 및 또 다른 노드의 스위칭 성능을 적어도 근거로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실행되는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20)의 통신 인터페이스(28)에 의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블록 S270), 예를 들어 수비학 스위칭 코드(30)와 연관된 프로세서(2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는 단계(블록 S280),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예를 들어 프로세서(24)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20)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블록 S29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28)에 의해,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에 전송된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한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00);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블록 S110);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블록 S120)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10, 20)는 무선 디바이스(2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제2 노드(10, 20) 및 또 다른 노드(10, 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또한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근거로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1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12)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2)는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는 프로세싱 회로(12)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8)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12)는 통신 인터페이스(18)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게 하는 것과 통신 인터페이스(18)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10, 20)는 무선 디바이스(2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는 프로세싱 회로(12)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8)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12)는: 통신 인터페이스(18)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제2 노드(10, 20) 및 또 다른 노드(10, 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12)는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20)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30);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블록 S140);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2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블록 S150)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10, 20)는 제2 무선 디바이스(20) 및 네트워크 노드(10)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제2 노드(10, 20) 및 또 다른 노드(10, 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또한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근거로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22)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22)는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20)는 프로세싱 회로(22)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28)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22)는 통신 인터페이스(28)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게 하는 것과 통신 인터페이스(28)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10, 20)는 제2 무선 디바이스(20) 및 네트워크 노드(10)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20)는 프로세싱 회로(22)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28)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22)는: 통신 인터페이스(28)가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제2 노드(10, 20) 및 또 다른 노드(10, 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22)는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한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0) 및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60);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70);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80);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단계(블록 S190)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제2 노드(10, 2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제2 노드(10, 20)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되는 매개변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제2 노드(10, 20)를 구성하는 것,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2 노드(10, 20)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것과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10, 20)는 무선 디바이스(2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0) 및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1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12)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제2 노드(10, 2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제2 노드(10, 20)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되는 매개변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제2 노드(10, 20)를 구성하는 것,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2 노드(10, 20)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것과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10, 20)는 무선 디바이스(2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한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0) 및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20)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200);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210);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220);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단계(블록 S230)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제2 노드(10, 2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제2 노드(10, 20)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되는 매개변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제2 노드(10, 20)를 구성하는 것,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2 노드(10, 20)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것과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10, 20)는 제2 무선 디바이스(2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10, 20)는 네트워크 노드(1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한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0) 및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22)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제2 노드(10, 2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제2 노드(10, 20)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제2 노드(10, 20)를 구성하는 것,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제2 노드(10, 20)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것과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10, 20)는 제2 무선 디바이스(2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노드(10, 20)는 네트워크 노드(1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한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블록 S240);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는 단계(블록 S250);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10)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블록 S260)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에 전송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및 또 다른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10, 20)에 전송된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10, 20)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한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1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로(10, 20)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18);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10)와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12)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8)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10, 20)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10, 20)에 전송된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10, 20)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한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20)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블록 S270);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는 단계(블록 S280); 및 스위칭 단계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20)와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블록 S290)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10, 2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10, 20)에 전송된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10, 20)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한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28);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20)와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22)를 포함한다.
이 측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28)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10, 20)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노드(10, 20)에 전송된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다른 노드(10, 20)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한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1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2);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34); 및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36)을 포함한다.
한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8);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40); 및 스위칭된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2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42)을 포함한다.
한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1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2)과;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구현 모듈(44)을 포함한다.
한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8)과;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구현 모듈(46)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1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48);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34); 및 스위칭된 이후에, 네트워크 노드(10)와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36)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20)는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50);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40); 및 스위칭된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20)와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42)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여기서 설명된 개념은 방법,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된 개념은 전체 하드웨어 실시예, 전체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여기서 모두 일반적으로 "회로" 또는 "모듈"로 칭하여지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측면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유형의 컴퓨터 사용가능 저장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하드 디스크, CD-ROM, 전자 저장 디바이스, 광학 저장 디바이스, 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여기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설명 및/또는 블록도를 참고로 설명된다. 흐름도 설명 및/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 설명 및/또는 블록도 내의 블록들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의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하게 하는 기계를 만들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가 특정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지시할 수 있게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동작을 실현하는 명령 수단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을 만들게 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일련의 동작 단계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게 하도록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로드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에서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동작을 실현하는 단계를 제공하도록 컴퓨터 실현 프로세스를 만들게 된다.
블록에서 기술된 기능/동작은 동작 설명에서 기술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도시된 두개의 블록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되거나 관련된 기능/동작에 따라 때로 블록이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비록 일부 도면이 통신의 주요 방향을 도시하기 위해 통신 경로에서 화살표를 포함하고 있지만, 통신은 도시된 화살표와 반대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설명된 개념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Java 또는 C++과 같은 객체 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C"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이, 종래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부분적으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일부분 또한 원격 컴퓨터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원격 컴퓨터에서 전체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LAN(lacal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연결되거나, 외부 컴퓨터로 (예를 들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사용한 인터넷을 통해)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설명 및 도면과 연결되어 많은 다른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이들 실시예의 모든 조합과 서브 조합을 문자적으로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은 과도하게 반복적이고 이해하기 어려울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모든 실시예는 임의의 방법 및/또는 조합과 결합될 수 있고, 도면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는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의 모든 조합 및 서브 조합, 또한 이들을 구성하고 사용한 방식 및 프로세스에 대해 완전한 서면 기록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임의의 이러한 조합 또는 서브 조합에 대한 청구항을 지원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는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가 상기에 특정하게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게 된다. 부가하여, 반대로 언급되지 않은 한, 첨부된 도면 모두가 축척에 맞지 않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상기의 지시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 네트워크 노드
20 : 무선 디바이스
non-MBSFN :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no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12, 22 : 프로세싱 회로
14, 24 : 프로세서
16, 26 : 메모리
18, 28 : 통신 인터페이스
19, 30 : 수비학 스위칭 코드
32, 38 : 매개변수 결정 모듈
34, 40 : 신호 스위칭 모듈
36, 42 : 신호 동작 모듈

Claims (116)

  1.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방법으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S100);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S110); 및
    상기 스위칭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상기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10, 20)는 무선 디바이스(20)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노드(10, 20) 및 또 다른 노드(10, 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상기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더 근거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방법.
  12.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12)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14. 제12항 내지 제1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른 네트워크 노드(10).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12)는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0).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12)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12)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8)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게 하는 것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8)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상기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0).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10, 20)는 무선 디바이스(20)인 네트워크 노드(10).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12)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12)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8)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노드(10, 20) 및 또 다른 노드(10, 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0).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12)는 상기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0).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노드(10).
  23.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20)에서의 방법으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S130);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S140); 및
    상기 스위칭 단계 이후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3항 내지 제2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방법.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른 방법.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상기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10, 20)는 제2 무선 디바이스(20) 및 네트워크 노드(10) 중 하나인 방법.
  31. 제23항 내지 제3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노드(10, 20) 및 또 다른 노드(10, 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단계는 상기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더 근거로 하는 방법.
  33. 제23항 내지 제3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방법.
  34.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22)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36. 제34항 내지 제3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는 수비학 스위칭 지연 시간,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 빈도,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특정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제한된 시간 리소스,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수비학, 및 스위칭을 위해 허용된 스펙트럼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비학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수비학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다른 무선 디바이스(20).
  39. 제34항 내지 제3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22)는 다른 수비학을 갖는 멀티캐스트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스케쥴링을 제한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0).
  40.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22)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2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22)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8)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게 하는 것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8)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상기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0).
  41. 제34항 내지 제4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10, 20)는 제2 무선 디바이스(20) 및 네트워크 노드(10) 중 하나인 무선 디바이스(20).
  42. 제34항 내지 제4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22)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2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22)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8)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노드(10, 20) 및 또 다른 노드(10, 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0).
  43. 제34항 내지 제4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22)는 상기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수비학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0).
  44. 제34항 내지 제4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무선 디바이스(20).
  45. 네트워크 노드(10) 및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방법으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S160);
    상기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S17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S180);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상기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단계(S190)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47. 제45항 내지 제4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방법.
  48. 제45항 내지 제4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한 방법.
  49. 제45항 내지 제4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른 방법.
  50. 제45항 내지 제4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상기 제2 노드(10, 20)와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되는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방법.
  51. 제45항 내지 제5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상기 제2 노드(10, 20)를 구성하는 것,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상기 제2 노드(10, 20)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2. 제45항 내지 제5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것과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3. 제45항 내지 제5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10, 20)는 무선 디바이스(20)인 방법.
  54. 제45항 내지 제5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방법.
  55. 네트워크 노드(10) 및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상기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12)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57. 제55항 내지 제5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58. 제55항 내지 제5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10).
  59. 제55항 내지 제5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른 네트워크 노드(10).
  60. 제55항 내지 제5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상기 제2 노드(10, 20)와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되는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61. 제55항 내지 제6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상기 제2 노드(10, 20)를 구성하는 것,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상기 제2 노드(10, 20)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62. 제55항 내지 제6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것과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63. 제55항 내지 제6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10, 20)는 무선 디바이스(20)인 네트워크 노드(10).
  64. 제55항 내지 제6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노드(10).
  65. 무선 디바이스(20) 및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20)에서의 방법으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S200);
    상기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S2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S220);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상기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67. 제65항 내지 제6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방법.
  68.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한 방법.
  69.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른 방법.
  70. 제65항 내지 제6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상기 제2 노드(10, 20)와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되는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방법.
  71. 제65항 내지 제7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상기 제2 노드(10, 20)를 구성하는 것,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상기 제2 노드(10, 20)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2. 제65항 내지 제7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것과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3. 제65항 내지 제7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10, 20)는 제2 무선 디바이스(20)인 방법.
  74. 제65항 내지 제7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10, 20)는 네트워크 노드(10)인 방법.
  75. 제65항 내지 제7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방법.
  76. 무선 디바이스(20) 및 제2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상기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22)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78. 제76항 내지 제7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79. 제76항 내지 제7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동일한 무선 디바이스(20).
  80. 제76항 내지 제7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의 값과 다른 무선 디바이스(20).
  81. 제76항 내지 제8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는 소정의 정보, 상기 제2 노드(10, 20)와 연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해 또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한 정보, 통계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한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의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정되는 무선 디바이스(20).
  82. 제76항 내지 제8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로 상기 제2 노드(10, 20)를 구성하는 것,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상기 제2 노드(10, 20)와 교환되는 신호의 스케쥴링을 위해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는 것, 또한 상기 제3 매개변수의 결정값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83. 제76항 내지 제8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에 전송하는 것과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84. 제76항 내지 제8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10, 20)는 제2 무선 디바이스(20)인 무선 디바이스(20).
  85. 제76항 내지 제8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10, 20)는 네트워크 노드(10)인 무선 디바이스(20).
  86. 제76항 내지 제8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무선 디바이스(20).
  87. 네트워크 노드(1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10)에서의 방법으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24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는 단계(S250); 및
    상기 스위칭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상기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S260)를 포함하는 방법.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89. 제87항 내지 제8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방법.
  90. 제87항 내지 제8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방법.
  92. 제87항 내지 제9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방법.
  93. 네트워크 노드(1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상기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12)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94.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95. 제93항 내지 제9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96. 제93항 내지 제9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0).
  97.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전송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네트워크 노드(10).
  98. 제93항 내지 제9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노드(10).
  99. 무선 디바이스(2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20)에서의 방법으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27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는 단계(S280); 및
    상기 스위칭 단계 이후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와 상기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S290)를 포함하는 방법.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101. 제99항 내지 제100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방법.
  102. 제99항 내지 제101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전송된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방법.
  104. 제99항 내지 제10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방법.
  105. 무선 디바이스(2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고; 또한
    스위칭된 이후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와 상기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22)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106.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인터럽트 시간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107. 제105항 내지 제10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는 스위칭으로 인한 최대 허용 인터럽트 시간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108. 제105항 내지 제10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0).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전송된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다른 노드(10, 20)에 의한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무선 디바이스(20).
  110. 제105항 내지 제10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비-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비-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무선 디바이스(20).
  111.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34); 및
    스위칭된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36)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112.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8);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40); 및
    스위칭된 이후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와 제2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42)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113.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2);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상기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구현 모듈(44)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114.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상기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제2 노드(10, 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인 제3 매개변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결정 모듈(38); 및
    적어도 하나의 운영 작업에 상기 제3 매개변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 구현 모듈(46)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115. 네트워크 노드(1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48);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34); 및
    스위칭된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10)와 상기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36)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0).
  116. 무선 디바이스(20) 및 또 다른 노드(10, 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수비학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20)로서,
    제1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1 신호와 제2 수비학으로 동작되는 제2 신호 사이의 스위칭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노드(10, 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5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매개변수에 대해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사이에서 스위치되도록 구성된 신호 스위칭 모듈(40); 및
    스위칭된 이후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20)와 상기 다른 노드(10, 20) 사이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신호 동작 모듈(42)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0).
KR1020197024483A 2017-02-02 2017-12-21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03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53777P 2017-02-02 2017-02-02
US62/453,777 2017-02-02
PCT/IB2017/058286 WO2018142202A1 (en) 2017-02-02 2017-12-21 Apparatuses and methods of switching between different numerolog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239A true KR20190105239A (ko) 2019-09-16
KR102203352B1 KR102203352B1 (ko) 2021-01-14

Family

ID=6102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483A KR102203352B1 (ko) 2017-02-02 2017-12-21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1108614B2 (ko)
EP (1) EP3577825B1 (ko)
JP (1) JP6976342B2 (ko)
KR (1) KR102203352B1 (ko)
CN (1) CN110447194B (ko)
BR (1) BR112019015909A2 (ko)
CO (1) CO2019008464A2 (ko)
MX (1) MX2019009014A (ko)
PH (1) PH12019501801A1 (ko)
TW (1) TW201832535A (ko)
WO (1) WO20181422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4489B2 (en) * 2016-11-04 2021-07-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transmitter for resource allocation in carr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6342B2 (ja) * 2017-02-02 2021-12-0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異なるヌメロロジー間でスイッチングする装置および方法
EP4277189A1 (en) 2017-03-24 2023-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ucch structure for mixed numerology
WO2020063849A1 (zh) * 2018-09-28 2020-04-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单播资源分配方法、节点和用户设备
CN110972301B (zh) * 2018-09-28 2022-03-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单播资源分配方法和设备
KR102165873B1 (ko) * 2019-01-11 2020-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bwp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17251B2 (en) * 2019-02-05 2022-04-26 Qualcomm Incorporated Numerologies that support broadcasting over a carrier
US11245552B2 (en) 2019-03-29 2022-02-08 Skyworks Solutions, Inc. Sounding reference signal switching
WO2021029079A1 (ja) * 2019-08-15 2021-02-18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
US11502892B2 (en) * 2020-04-22 2022-11-15 Nokia Technologies Oy Modulation adjustment for 16-QAM in narrowband IoT
US11696146B1 (en) * 2020-05-07 2023-07-04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existence of OFDM technologies
CN113324328B (zh) * 2021-05-11 2022-12-13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制冷设备的屏蔽频率的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956108B2 (en) 2021-06-14 2024-04-09 Skyworks Solutions, Inc. Antenna swapping without blanking symbo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5295A1 (en) * 2015-07-06 2017-0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alloca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8263B (zh) * 2009-08-14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业务承载方法及装置、业务数据的接收方法及接收端
CN104956758B (zh) * 2013-01-10 2019-06-2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双连通性模式的同时上行链路传输
US9949181B2 (en) * 2013-02-14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terminal adaptation of handover parameter
US9572106B2 (en) * 2014-10-31 2017-02-14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bandwidth switching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1050503B2 (en) * 2015-03-31 2021-06-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waveform design for operation bandwidth extension
US10038581B2 (en) * 2015-06-01 2018-07-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scheme of scalable OFDM numerology
US10117199B2 (en) * 2015-09-24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WO2018097597A2 (en) 2016-11-22 2018-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terminal
JP6976342B2 (ja) * 2017-02-02 2021-12-0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異なるヌメロロジー間でスイッチングする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5295A1 (en) * 2015-07-06 2017-0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alloca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systems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8964 *
3GPP R1-1609051 *
3GPP R1-1609505 *
3GPP R1-1611655 *
3GPP R1-1613162 *
3GPP R1-16712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4489B2 (en) * 2016-11-04 2021-07-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transmitter for resource allocation in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9501801A1 (en) 2020-03-02
US20200274671A1 (en) 2020-08-27
MX2019009014A (es) 2020-01-30
EP3577825B1 (en) 2021-06-30
BR112019015909A2 (pt) 2020-03-24
CN110447194B (zh) 2022-04-19
EP3577825A1 (en) 2019-12-11
CO2019008464A2 (es) 2019-08-20
US11985016B2 (en) 2024-05-14
TW201832535A (zh) 2018-09-01
JP6976342B2 (ja) 2021-12-08
WO2018142202A1 (en) 2018-08-09
CN110447194A (zh) 2019-11-12
KR102203352B1 (ko) 2021-01-14
US11108614B2 (en) 2021-08-31
JP2020511023A (ja) 2020-04-09
US20210367824A1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352B1 (ko) 다른 수비학 사이의 스위칭을 위한 장치 및 방법
TWI726141B (zh) 於5g新無線電中用於經增強頻道及干擾減輕之頻寬群組
JP6911132B2 (ja) 拡張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を用いてユーザ機器の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設定を制御すること
CN109997330B (zh) 具有灵活的符号配置的pdcch设计
TWI727042B (zh) 終端、無線基地台及無線通訊方法
WO2018082544A1 (zh) 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CN109923843B (zh) 新无线电中的循环前缀管理
JP5781016B2 (ja)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4205742A1 (zh) 载波切换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20190140806A1 (en) Radio Network Node, a Wireless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US10505613B2 (en) Communication system
WO2022061544A1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TW201431335A (zh) 處理通訊運作的方法及其通訊裝置
JP2019537375A (ja) データ多重化装置、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WO2023052180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volved in monitoring of a downlink control channel
US20210377877A1 (en) Adapting resource element power control dynamic range in downlink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JP2023524891A (ja) リソース決定方法及び装置
WO2016137384A1 (en) Tdd based prose optimization
EP3952146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US20230403110A1 (en) Waveform switching for downlink transmissions
WO2024034199A1 (ja) 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CN109314613B (zh) 用于执行上行链路协作多点通信的方法和装置
WO2024068136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volved in time-division communication
CN118118862A (zh) 控制具有增强型多媒体广播组播服务的用户设备载波聚合配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