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10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104A
KR20190105104A KR1020197025048A KR20197025048A KR20190105104A KR 20190105104 A KR20190105104 A KR 20190105104A KR 1020197025048 A KR1020197025048 A KR 1020197025048A KR 20197025048 A KR20197025048 A KR 20197025048A KR 20190105104 A KR20190105104 A KR 20190105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ti
information used
communication
termin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695B1 (ko
Inventor
이승민
채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0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vehicle-to-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기존의 TTI(legacy transmission time interval; L-TTI)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TTI(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 S-TTI) 기반의 V2X 통신 수행 방법에 있어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및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L-TTI는 복수의 상기 S-TTI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 sector)에서는 3세대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Advanced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MT-Advanced는 정지 및 저속 이동 상태에서 1Gbps, 고속 이동 상태에서 100Mbps의 데이터 전송률로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IMT-Advanced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시스템 표준으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방식 기반인 LTE(Long Term Evolution)를 개선한 LTE-Advanced(LTE-A)를 준비하고 있다. LTE-A는 IMT-Advanced를 위한 유력한 후보 중의 하나이다.
최근 장치들 간 직접통신을 하는 D2D (Device-to-Device)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D2D는 공중 안전 네트워크(public safety network)을 위한 통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상업적 통신 네트워크는 빠르게 LTE로 변화하고 있으나 기존 통신 규격과의 충돌 문제와 비용 측면에서 현재의 공중 안전 네트워크는 주로 2G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간극과 개선된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공중 안전 네트워크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상술한 D2D 통신을 확장하여 차량 간의 신호 송수신에 적용할 수 있으며, 차량 (VEHICLE)과 관련된 통신을 특별히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이라고 부른다. V2X에서 'X'라는 용어는 PEDESTRIAN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DEVICE CARRIED BY AN INDIVIDUAL(예: HANDHELD TERMINAL CARRIED BY A PEDESTRIAN, CYCLIST, DRIVER OR PASSENGER), 이 때, V2X는 V2P로 표시할 수 있다), VEHICL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V2V), INFRASTRUCTURE/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OADSIDE UNIT (RSU)/NETWORK (예) RSU IS A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NTITY (예) AN ENTITY TRANSMITTING SPEED NOTIFICATIONS) IMPLEMENTED IN AN eNB OR A STATIONARY UE)) (V2I/N) 등을 의미한다. 보행자(혹은 사람)가 소지한 (V2P 통신 관련) 디바이스를 "P-UE"로 명명하고, 차량(VEHICLE)에 설치된 (V2X 통신 관련) 디바이스를 "V-UE"로 명명한다. 본 발명에서 '엔티티(ENTITY)' 용어는 P-UE, V-UE, RSU(/NETWORK/INFRASTRUCTURE) 중 적어도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TRANSMISSION TIME INTERVAL(TTI)가 1ms 단위로 결정됐었다. 앞으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에 비해 짧은 TTI 기반의 V2X 통신이 도입되는 것이 가정된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종래에는 기존의 TTI(예컨대, 1ms)에 기초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 만이 존재한다고 가정되었기 때문에, 단말이 짧은 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DMRS를 생성할 것인지, 시퀀스 제너레이션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별도의 정의가 없었다.
이에, 짧은 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어떠한 방식으로 DMRS를 생성할 것인지, 그리고 시퀀스 제너레이션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말이 S-TTI에 기반한 V2X 통신을 위해, DMRS에 대한 정보 및 스크램블링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vehicle-to-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기존의 TTI(legacy transmission time interval; L-TTI)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TTI(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 S-TTI) 기반의 V2X 통신 수행 방법에 있어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및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L-TTI는 복수의 상기 S-TTI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S-TTI 단위로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L-TTI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가 상기 S-TTI 단위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각각의 S-TTI 별로 다른 값을 가지되, 하나의 프레임에서 순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다음 수식을 따르되,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 (N*K+Q-1), 상기 N은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서 상기 L-TTI의 인덱스에 대한 값이되, 상기 N은 0보다 같거나 크고, 9보다는 같거나 작고, 상기 K는 상기 L-TTI에 포함되는 S-TTI의 개수에 대한 값이되, 상기 K는 양의 정수를 가지고, 상기 Q는 상기 S-TTI가 상기 L-TTI에서 몇 번째 S-TTI인지에 대한 값이되, 상기 Q는 상기 K보다 같거나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가 상기 L-TTI 단위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동일한 L-TTI에서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다음 수식을 따르되,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 (N*2+(J MODULO 2)), 상기 N은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서 상기 L-TTI의 인덱스에 대한 값이되, 상기 N은 0보다 같거나 크고, 9보다는 같거나 작고, 상기 J는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서 상기 L-TTI에 기반한 슬롯의 인덱스에 대한 값이되, 상기 J는 0보다 같거나 크고, 19보다는 같거나 작고, 상기 MODULO는 모듈러 연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러 연산은 나머지 값을 산출하는 연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S-TTI 단위로 결정되거나,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와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S-TTI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S-TTI가 기본 자원 유닛인 경우, 상기 L-TTI는 K개의 기본 자원 유닛의 결합이되, 상기 K는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L-TTI가 기본 자원 유닛인 경우, 상기 S-TTI는 상기 기본 자원 유닛이 X개로 분할된 것이되, 상기 X는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V2X 단말은 상기 L-TTI 기반의 V2X 통신과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이 공존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V2X 단말은 상기 L-TTI 기반의 V2X 통신과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이 공존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및 상기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V2X 단말은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L-TTI 단위로 결정하고, 상기 V2X 단말은 상기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S-TTI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MRS에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및 상기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는 단말에게 기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TTI(legacy transmission time interval; L-TTI)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TTI(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하는 V2X(Vehicle-to-X) 단말(User equipment; UE)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RF 트랜시버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및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L-TTI는 복수의 상기 S-TTI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S-TTI 기반의 단말은 DMRS 생성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S-TTI를 기준으로 삼을 것인지, 혹은 L-TTI를 기준으로 삼을지에 대해 정의된다. 채널 스크램블링에 관하여, S-TTI 기반의 단말은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S-TTI를 기준으로 삼을 것인지, 혹은 L-TTI를 기준으로 삼을지에 대해서도 정의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ProSe를 위한 기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ProSe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과 셀 커버리지의 배치 예들을 나타낸다.
도 4는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5는 D2D 발견을 위한 PC 5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6은 3GPP LTE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TDD(Time Division Duplex)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S-TTI와 L-TTI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S-TTI와 L-TTI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S-TTI와 L-TTI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TI에 기반한 V2X 통신 수행 방법의 순서도다.
도 14는 (규칙#A)에 따른, S-N_SS 값을 부여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규칙#B)에 따른, S-N_SS 값을 부여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TTI에 기반한 V2X 통신 수행 방법의 순서도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명세서의 용어의 정의와 용어의 약어들은, 별도의 기재가 있지 않는 한, 3gpp TS 36 시리즈에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이는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LTE-A 시스템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E-UTRAN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30), 보다 상세하게는 S1-MME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1-U를 통해 S-GW(Serving Gateway)와 연결된다.
EPC(30)는 MME, S-GW 및 P-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제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계층에 위치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기지국간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이제 D2D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3GPP LTE-A에서는 D2D 동작과 관련한 서비스를 근접성 기반 서비스(Proximity based Services: ProSe)라 칭한다. 이하 ProSe는 D2D 동작과 동등한 개념이며 ProSe는 D2D 동작과 혼용될 수 있다. 이제, ProSe에 대해 기술한다.
ProSe에는 ProSe 직접 통신(communication)과 ProSe 직접 발견(direct discovery)이 있다. ProSe 직접 통신은 근접한 2 이상의 단말들 간에서 수행되는 통신을 말한다. 상기 단말들은 사용자 평면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ProSe 가능 단말(ProSe-enabled UE)은 ProSe의 요구 조건과 관련된 절차를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특별한 다른 언급이 없으면 ProSe 가능 단말은 공용 안전 단말(public safety UE)와 비-공용 안전 단말(non-public safety UE)를 모두 포함한다. 공용 안전 단말은 공용 안전에 특화된 기능과 ProSe 과정을 모두 지원하는 단말이고, 비-공용 안전 단말은 ProSe 과정은 지원하나 공용 안전에 특화된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 단말이다.
ProSe 직접 발견(ProSe direct discovery)은 ProSe 가능 단말이 인접한 다른 ProSe 가능 단말을 발견하기 위한 과정이며, 이 때 상기 2개의 ProSe 가능 단말들의 능력만을 사용한다. EPC 차원의 ProSe 발견(EPC-level ProSe discovery)은 EPC가 2개의 ProSe 가능 단말들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2개의 ProSe 가능 단말들에게 그들의 근접을 알려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하, 편의상 ProSe 직접 통신은 D2D 통신, ProSe 직접 발견은 D2D 발견이라 칭할 수 있다.
도 2는 ProSe를 위한 기준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ProSe를 위한 기준 구조는 E-UTRAN, EPC, ProSe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들, ProSe 응용 서버(ProSe APP server), 및 ProSe 기능(ProSe function)을 포함한다.
EPC는 E-UTRAN 코어 네트워크 구조를 대표한다. EPC는 MME, S-GW, P-GW, 정책 및 과금 규칙(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 가정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HSS)등을 포함할 수 있다.
ProSe 응용 서버는 응용 기능을 만들기 위한 ProSe 능력의 사용자이다. ProSe 응용 서버는 단말 내의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 내의 응용 프로그램은 응용 기능을 만들기 위한 ProSe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ProSe 기능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제3자 응용 프로그램을 향한 기준점을 통한 인터워킹(Interworking via a reference point towards the 3rd party applications)
- 발견 및 직접 통신을 위한 인증 및 단말에 대한 설정(Authoriz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UE for discovery and direct communication)
- EPC 차원의 ProSe 발견의 기능(Enable the functionality of the EPC level ProSe discovery)
- ProSe 관련된 새로운 가입자 데이터 및 데이터 저장 조정, ProSe ID의 조정(ProSe related new subscriber data and handling of data storage, and also handling of ProSe identities)
- 보안 관련 기능(Security related functionality)
- 정책 관련 기능을 위하여 EPC를 향한 제어 제공(Provide control towards the EPC for policy related functionality)
- 과금을 위한 기능 제공(Provide functionality for charging (via or outside of EPC, e.g., offline charging))
이하에서는 ProSe를 위한 기준 구조에서 기준점과 기준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 PC1: 단말 내의 ProSe 응용 프로그램과 ProSe 응용 서버 내의 ProSe 응용 프로그램 간의 기준 점이다. 이는 응용 차원에서 시그널링 요구 조건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 PC2: ProSe 응용 서버와 ProSe 기능 간의 기준점이다. 이는 ProSe 응용 서버와 ProSe 기능 간의 상호 작용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ProSe 기능의 ProSe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데이터 업데이트가 상기 상호 작용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 PC3: 단말과 ProSe 기능 간의 기준점이다. 단말과 ProSe 기능 간의 상호 작용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ProSe 발견 및 통신을 위한 설정이 상기 상호 작용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 PC4: EPC와 ProSe 기능 간의 기준점이다. EPC와 ProSe 기능 간의 상호 작용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상호 작용은 단말들 간에 1:1 통신을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때, 또는 실시간 세션 관리나 이동성 관리를 위한 ProSe 서비스 인증하는 때를 예시할 수 있다.
- PC5: 단말들 간에 발견 및 통신, 중계, 1:1 통신을 위해서 제어/사용자 평면을 사용하기 위한 기준점이다.
- PC6: 서로 다른 PLMN에 속한 사용자들 간에 ProSe 발견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기준점이다.
- SGi: 응용 데이터 및 응용 차원 제어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roSe 직접 통신(D2D 통신): ProSe Direct Communication>.
ProSe 직접 통신은 2개의 공용 안전 단말들이 PC 5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모드이다. 이 통신 모드는 단말이 E-UTRAN의 커버리지 내에서 서비스를 받는 경우나 E-UTRAN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 모두에서 지원될 수 있다.
도 3은 ProSe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과 셀 커버리지의 배치 예들을 나타낸다.
도 3 (a)를 참조하면, 단말 A, B는 셀 커버리지 바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 (b)를 참조하면, 단말 A는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단말 B는 셀 커버리지 바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 (c)를 참조하면, 단말 A, B는 모두 단일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 (d)를 참조하면, 단말 A는 제1 셀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단말 B는 제2 셀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ProSe 직접 통신은 도 5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 있는 단말들 간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ProSe 직접 통신에는 다음 ID들이 사용될 수 있다.
소스 레이어-2 ID: 이 ID는 PC 5 인터페이스에서 패킷의 전송자를 식별시킨다.
목적 레이어-2 ID: 이 ID는 PC 5 인터페이스에서 패킷의 타겟을 식별시킨다.
SA L1 ID: 이 ID는 PC 5 인터페이스에서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에서의 ID이다.
도 4는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4를을 참조하면, PC 5 인터페이스는 PDCH, RLC, MAC 및 PHY 계층으로 구성된다.
ProSe 직접 통신에서는 HARQ 피드백이 없을 수 있다. MAC 헤더는 소스 레이어-2 ID 및 목적 레이어-2 ID를 포함할 수 있다.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ProSe 가능 단말은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에 대해 다음 2가지 모드들을 이용할 수 있다.
1. 모드 1
모드 1은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받는 모드이다. 모드 1에 의하여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RRC_CONNECTED 상태이여야 한다. 단말은 전송 자원을 기지국에게 요청하고, 기지국은 스케줄링 할당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고, ProSe BSR(Buffer Status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ProSe BS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ProSe 직접 통신을 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전송을 위한 자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2. 모드 2
모드 2는 단말이 직접 자원을 선택하는 모드이다. 단말은 자원 풀(resource pool)에서 직접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을 선택한다. 자원 풀은 네트워크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미리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서빙 셀을 가지고 있는 경우 즉, 단말이 기지국과 RRC_CONNECTED 상태에 있거나 RRC_IDLE 상태로 특정 셀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고 간주된다.
단말이 커버리지 밖에 있다면 상기 모드 2만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커버리지 내에 있다면,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모드 1 또는 모드 2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외적인 조건이 없다면 기지국이 설정한 때에만, 단말은 모드 1에서 모드 2로 또는 모드 2에서 모드 1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ProSe 직접 발견(D2D 발견): ProSe direct discovery>
ProSe 직접 발견은 ProSe 가능 단말이 근접한 다른 ProSe 가능 단말을 발견하는데 사용되는 절차를 말하며 D2D 직접 발견 또는 D2D 발견이라 칭하기도 한다. 이 때, PC 5 인터페이스를 통한 E-UTRA 무선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ProSe 직접 발견에 사용되는 정보를 이하 발견 정보(discovery information)라 칭한다.
도 5는 D2D 발견을 위한 PC 5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PC 5인터페이스는 MAC 계층, PHY 계층과 상위 계층인 ProSe Protocol 계층으로 구성된다. 상위 계층(ProSe Protocol)에서 발견 정보(discovery information)의 알림(anouncement: 이하 어나운스먼트) 및 모니터링(monitoring)에 대한 허가를 다루며, 발견 정보의 내용은 AS(access stratum)에 대하여 투명(transparent)하다. ProSe Protocol은 어나운스먼트를 위하여 유효한 발견 정보만 AS에 전달되도록 한다.
MAC 계층은 상위 계층(ProSe Protocol)로부터 발견 정보를 수신한다. IP 계층은 발견 정보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다. MAC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발견 정보를 어나운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원을 결정한다. MAC 계층은 발견 정보를 나르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를 만들어 물리 계층으로 보낸다. MAC 헤더는 추가되지 않는다.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하여 2가지 타입의 자원 할당이 있다.
1. 타입 1
발견 정보의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들이 단말 특정적이지 않게 할당되는 방법으로, 기지국이 단말들에게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 풀 설정을 제공한다. 이 설정은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포함되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정은 단말 특정적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정은 RRC 메시지 외 다른 계층의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단말 특정정 시그널링이 될 수도 있다.
단말은 지시된 자원 풀로부터 스스로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한 자원을 이용하여 발견 정보를 어나운스한다. 단말은 각 발견 주기(discovery period) 동안 임의로 선택한 자원을 통해 발견 정보를 어나운스할 수 있다.
2. 타입 2
발견 정보의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들이 단말 특정적으로 할당되는 방법이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는 단말은 RRC 신호를 통해 기지국에게 발견 신호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을 요청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신호로 발견 신호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단말들에게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발견 신호 모니터링을 위한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RRC_IDLE 상태에 있는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은 1)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타입 1 자원 풀을 SIB로 알려줄 수 있다. ProSe 직접 발견이 허용된 단말들은 RRC_IDLE 상태에서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하여 타입 1 자원 풀을 이용한다. 또는 기지국은 2) SIB를 통해 상기 기지국이 ProSe 직접 발견은 지원함을 알리지만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은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해서는 RRC_CONNECTED 상태로 들어가야 한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는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은 RRC 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이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하여 타입 1 자원 풀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타입 2 자원을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3GPP LTE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일 예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TTI는 스케줄링의 최소 단위일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및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TDD(Time Division Duplex)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인덱스 #1과 인덱스 #6을 갖는 서브프레임은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이라고 하며,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GP(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을 포함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GP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TDD에서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DL(downlink) 서브프레임과 UL(Uplink) 서브프레임이 공존한다. 표 1은 무선 프레임의 UL-DL 설정(UL-DL configuration)의 일 예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서 'D'는 DL 서브프레임, 'U'는 UL 서브프레임, 'S'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기지국으로부터 UL-DL 설정을 수신하면, 단말은 무선 프레임에서 각 서브프레임이 DL 서브프레임 또는 UL 서브프레임인지를 알 수 있다. 이하에서 UL-DL 설정 N(N은 0 내지 6 중 어느 하나)은 상기 표 1을 참조할 수 있다.
도 8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무선 프레임에서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한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SC-FDMA가 사용될 경우 SC-FDMA 심벌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바뀔 수 있다. 3GPP TS 36.211 V8.5.0(2008-12)에 의하면, 노멀(normal) CP에서 1 서브프레임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확장(extended) CP에서 1 서브프레임은 6 OFDM 심벌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슬롯은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자원 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자원블록에서 부반송파는 예컨대 15KHz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를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 RE)라 하며,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개의 자원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DL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도 8에서 설명한 자원 그리드는 상향링크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슬롯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이 제어 채널 (control channel)들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데이터 채널(data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data region)이다. 제어 영역은 시스템 대역에 따라 최대 4 OFDM 심벌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영역에 할당되는 제어 채널에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ion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있다. PCFICH는 제어 영역의 크기 즉, 제어 영역을 구성하는 OFDM 심벌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전송되는 제어 채널이다. PHICH는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을 나르는 제어 채널이다. PDCCH는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이를 DL 그랜트(downlink grant)라고도 한다) 및 전송 포맷,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이를 UL 그랜트(uplink grant)라고도 한다), PCH(paging channel)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UE 그룹 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transmission power control,TPC) 명령의 집합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 포맷으로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0, 하나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코드워드의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단한(compact)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A,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단일 코드워드의 랭크-1 전송에 대한 간단한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B,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매우 간단한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C,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D, 폐루프(Closed-loop)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 개루프(Open-loop)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A, PUCCH 및 PUSCH를 위한 2비트 전력 조절의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의 전송을 위한 포맷 3, 및 PUCCH 및 PUSCH를 위한 1비트 전력 조절의 TPC 명령의 전송을 위한 포맷 3A 등이 있다.
<V2X(VEHICLE-TO-X) 통신>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D2D 동작은 근접한 기기들 간의 신호 송수신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단말은 높은 전송률 및 낮은 지연을 가지며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D2D 동작은 기지국에 몰리는 트래픽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D2D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이 중계기 역할을 한다면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장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술한 D2D 통신의 확장으로 차량 간의 신호 송수신을 포함하여, 차량 (VEHICLE)과 관련된 통신을 특별히 V2X(VEHICLE-TO-X) 통신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일례로, V2X (VEHICLE-TO-X)에서 'X' 용어는 PEDESTRIAN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DEVICE CARRIED BY AN INDIVIDUAL (예) HANDHELD TERMINAL CARRIED BY A PEDESTRIAN, CYCLIST, DRIVER OR PASSENGER)) (V2P), VEHICL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V2V), INFRASTRUCTURE/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OADSIDE UNIT (RSU)/NETWORK (예) RSU IS A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NTITY (예) AN ENTITY TRANSMITTING SPEED NOTIFICATIONS) IMPLEMENTED IN AN eNB OR A STATIONARY UE)) (V2I/N) 등을 의미한다. 또한, 일례로, 제안 방식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보행자 (혹은 사람)가 소지한 (V2P 통신 관련) 디바이스를 "P-UE"로 명명하고, VEHICLE에 설치된 (V2X 통신 관련) 디바이스를 "V-UE"로 명명한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엔티티(ENTITY)' 용어는 P-UE 그리고/혹은 V-UE 그리고/혹은 RSU(/NETWORK/INFRASTRUCTURE)로 해석될 수 가 있다.
V2X 단말은 사전에 정의된(혹은 시그널링된) 리소스 풀 (RESOURCE POOL) 상에서 메시지(혹은 채널)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리소스 풀은 단말이 V2X 동작을 수행하도록 (혹은 V2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사전에 정의된 자원(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리소스 풀은 예컨대 시간-주파수 측면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S-RSSI>
사이드링크 RSSI(S-RSSI)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의 1, 2, ..., 6 SC-FDMA 심볼들 및 두 번째 슬롯의 0, 1, ..., 5 SC-FDMA에서 설정된 서브채널에서만 단말에 의해 관측된 SC-FDMA 당 전체 수신된 전력([W] 단위)의 선형 평균(linear average)으로 정의될 수 있다(Sidelink RSSI (S-RSSI) may be defined as the linear average of the total received power (in [W]) per SC-FDMA symbol observed by the UE only in the configured sub-channel in SC-FDMA symbols 1, 2, ..., 6 of the first slot and SC-FDMA symbols 0,1,..., 5 of the second slot of a subframe).
여기서, S-RSSI의 레퍼런스 포인트는 단말의 안테나 컨넥터일 수 있다.
만약, 리시버 다이버시티가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보고된 값은 임의의 개별 다이버시티 브랜치의 대응하는 S-RSSI 보다 낮지 않을 수 있다.
S-RSSI는 RRC_IDLE 인트라 주파수, RRC_IDLE 인터 주파수, RRC_CONNECTED 인트라 주파수, 및/또는 RRC_CONNECTED 인터 주파수에서 적용될 수 있다.
<PSSCH-RSRP>
PSSCH-RSRP는 관련된 PSCCH에 의해 지시된 PRB들 내에서, PSSCH와 관련된 복조 기준 신호를 운반하는 자원 요소의 전력 기여분([W] 단위)에 대한 선형 평균으로 정의될 수 있다(PSSCH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PSSCH-RSRP) may be defined as the linear average over the power contributions (in [W]) of the resource elements that carry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ssociated with PSSCH, within the PRBs indicated by the associated PSCCH).
여기서, PSSCH-RSRP에 대한 레퍼런스 포인트는 단말의 안테나 컨넥터일 수 있다.
만약, 리시버 다이버시티가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보고된 값은 임의의 개별 다이버시티 브랜치의 대응하는 PSSCH-RSRP 보다 낮지 않을 수 있다.
PSSCH-RSRP는 RRC_IDLE 인트라 주파수, RRC_IDLE 인터 주파수, RRC_CONNECTED 인트라 주파수, 및/또는 RRC_CONNECTED 인터 주파수에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요소 당 전력은 CP를 제외한, 심볼의 유용한 부분에서 수신된 에너지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채널 번잡 비율(CHANNEL BUSY RATIO; CBR)>
서브프레임 n에서 측정된 CBR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CBR은, PSSCH에 대하여, 서브프레임 [n-100, n-1] 동안 단말에 의해 측정된 S-RSSI가 기 설정된 문턱 값을 넘는 것으로 감지된 리소스 풀에서의 서브 채널의 포션(Portion)을 의미할 수 있다.
- CBR은, PSSCH에 대하여,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가 PSCCH에 대응하는 PSSCH와 함께 인접하지 않은 자원 블록들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설정된 풀에서, 서브프레임 [n-100, n-1] 동안 단말에 의해 측정된 S-RSSI가 기 설정된 문턱 값을 넘는 것으로 감지된 리소스 풀에서의 서브 채널의 포션(portion)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PSCCH 풀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2 개의 연속적인 PRB(Physical Resource Block) 쌍들의 크기를 갖는 자원들로 구성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CBR은 RRC_IDLE 인트라 주파수, RRC_IDLE 인터 주파수, RRC_CONNECTED 인트라 주파수, 및/또는 RRC_CONNECTED 인터 주파수에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물리적 서브프레임 인덱스(Physical Subframe Index)에 기초할 수 있다.
<채널 점유 비율(CHANNEL OCCUPANCY RATIO; CR)>
서브프레임 n에서 평가된 CR은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서브프레임 [n-a, n-1]에서 그리고 서브프레임 [n, n+b]에서 허가된(granted), 단말의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 채널들의 개수를, [n-a, n+b] 동안 전송 풀에서 설정된 서브 채널들의 개수로 나눈 것을 의미할 수 있다.
CR은 RRC_IDLE 인트라 주파수, RRC_IDLE 인터 주파수, RRC_CONNECTED 인트라 주파수, 및/또는 RRC_CONNECTED 인터 주파수에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양의 정수일 수 있으며, b는 0 또는 양의 정수를 의미할 수 있다. a 및 b는 단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때, 'a+b+1=1000', 'a>=500', 'n+b는 현재 전송에 대한 허가의 최종 전송 기회를 넘지 않을 것(n+b should not exceed the last transmission opportunity of the grant for the current transmission)'을 충족할 수 있다.
여기서, CR은 각각의 (재)전송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여기서, CR을 평가할 때,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서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가 패킷 드롭 없이 서브프레임 [n+1, n+b]에서의 기존 허가에 따라 재사용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물리적 서브프레임 인덱스에 기초할 수 있다.
여기서, CR은 우선 순위 레벨마다 계산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채널 스크램블링>
PSSCH 스크램블링 시퀀스 제너레이터는 매 PSSCH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에서
Figure pct00002
로 초기화될 수 있다. 여기서, nssf PSSCH는 PSSCH에 대해, 서브프레임 풀에서 (현재) 사이드링크 서브프레임 번호를 나타낸다.
이때, 사이드링크 전송 모드 3 및 4에 관하여,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의 계산식으로 도출되며, 이는 PSSCH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PSCCH 상의 CRC를 십진수로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위 수식 상의 p는 CRC 생성에서의 패리티 비트를 의미하고, L은 해당 패리티 비트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패리티 비트는 아래와 같은 사이클릭 제너레이터 다항식 중 하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 gCRC24A(D) = [D 24 + D 23 + D 18 + D 17 + D 14 + D 11 + D 10 + D 7 + D 6 + D 5 + D 4 + D 3 + D + 1];
- gCRC24B(D) = [D 24 + D 23 + D 6 + D 5 + D + 1] for a CRC length L = 24;
- gCRC16(D) = [D 16 + D 12 + D 5 + 1] for a CRC length L = 16.
- gCRC8(D) = [D 8 + D 7 + D 4 + D 3 + D + 1] for a CRC length of L = 8.
<사이드링크에서의 디모듈레이션 레퍼런스 시그널(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PSSCH, PSCCH, PSBCH에 연관된 DM-RS의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5
여기서, m은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에 대해 0, 그 이외에는 0 또는 1이다. n=0,..., Msc RS -1이다. Msc RS 는 참조 신호의 길이를 부반송파 개수로 나타낸 것이다. δ 는 0 또는 1이다. u는 슬롯 ns에서의 시퀀스 그룹 번호이고, v는 기본 시퀀스 번호이다. u는 nID RS 및 fss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αλ는 슬롯 ns에서의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값이며, 다음 식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6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에 나오는 파라미터들은 PSSCH에 대한 참조 신호(DM-RS)의 경우 다음 표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표 2]
Figure pct00007
nID RS는 시퀀스 그룹 홉핑에 관련된 ID이다. ns는 슬롯 번호, fss는 시퀀스 쉬프트 패턴을 나타낸다.
ncs,λ 는 순환 쉬프트 값이다. 사이드링크 전송 모드 3, 4에서 PSSCH 및 PSCCH에 대해, DM-RS가 맵핑되는 심볼은 첫번째 슬롯에서 l=2, 5 (즉, 세번째 심볼 및 여섯번째 심볼), 두번째 슬롯에서 l=1, 4 (즉, 두번째 심볼 및 다섯번째 심볼)일 수 있다.
사이드링크 전송 모드 3, 4에서 PSBCH에 대해, DM-RS가 맵핑되는 심볼은 첫번째 슬롯에서 l=4, 6 (즉, 다섯번째 심볼 및 일곱번째 심볼), 두번째 슬롯에서 l=2 (즉, 세번째 심볼)일 수 있다.
사이드링크 전송 모드 3, 4에서, 유사 랜덤 시퀀스 생성기(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는 nss PSSCH mod 2 = 0를 만족하는 각 슬롯의 시작에서 초기화될 수 있다. nss PSSCH 는 PSSCH에 대해, 서브프레임 풀에서 (현재) 사이드링크 슬롯 번호를 나타낸다.
사이드링크 전송 모드 3, 4에서 PSCCH에 대해, 서브프레임 내의 모든 DM-RS에 적용될 순환 쉬프트 ncs,λ 는 {0, 3, 6, 9}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전송 모드 3, 4에서 PSSCH에 대해 m=0,1,2,3일 수 있고, PSBCH에 대해 m=0,1,2일 수 있다.
사이드링크 전송 모드 3, 4에서, nID X는 PSSCH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된 PSCCH 상의 CRC의 십진법 표현과 동일하며, 다음 식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p는 페리티 비트 (parity bit)이고, L은 페리티 비트 개수이다.
Msc PSSCH는 PSSCH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된 대역을 부반송파 개수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에 나오는 파라미터들은 PSCCH에 대한 참조 신호의 경우 다음 표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표 3]
Figure pct00009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에 나오는 파라미터들은 PSBCH에 대한 참조 신호의 경우 다음 표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NID SL는 사이드링크 동기 식별자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이다.
[표 4]
Figure pct00010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일례로, 아래 제안 방식들은 (기존 (예를 들어, ““1MS””)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TRANSMISSION TIME INTERVAL (S-TTI) 기반의 V2X 통신이 수행될 경우, 효율적인 RS 시퀀스 생성/홉핑 그리고/혹은 스크램블링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일례로, V2X 통신 모드는 (대표적으로) (A) ((기지국(/네트워크)으로부터)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V2X 자원 풀 상에서) V2X 메시지 송(/수신)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이 시그널링(/제어)하는 모드 (MODE#3) (예를 들어, 기지국 통신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그리고/혹은 RRC_CONNECTED 상태의) 단말이 주된 대상임) 그리고/혹은 (B) ((기지국(/네트워크)으로부터)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V2X 자원 풀 상에서) V2X 메시지 송(/수신)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이 (독자적으로) 결정(/제어)하는 모드 (MODE#4) (예를 들어, 기지국 통신 커버리지 내/밖에 위치한 (그리고/혹은 RRC_CONNECTED/IDLE 상태의) 단말이 주된 대상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센싱 동작”” 워딩은 (디코딩 성공한 PSCCH가 스케줄링하는) PSSCH DM-RS SEQUENCE 기반의 PSSCH-RSRP 측정 동작 그리고/혹은 (V2X 자원 풀 관련 서브채널 기반의) S-RSSI 측정 동작 등으로 해석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수신”” 워딩은 (A) V2X 채널(/시그널) (예를 들어, PSCCH, PSSCH, PSBCH, PSSS/SSSS 등) 디코딩(/수신) 동작 (그리고/혹은 WAN DL 채널(/시그널) (예를 들어, PDCCH, PDSCH, PSS/SSS 등) 디코딩(/수신) 동작) 그리고/혹은 (B) 센싱 동작 그리고/혹은 (C) CBR 측정 동작 중에 (최소한) 한가지로 (확장) 해석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송신”” 워딩은 V2X 채널(/시그널) (예를 들어, PSCCH, PSSCH, PSBCH, PSSS/SSSS 등) 송신 동작 (그리고/혹은 WAN UL 채널(/시그널) (예를 들어, PUSCH, PUCCH, SRS 등) 송신 동작)으로 (확장) 해석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CARRIER”” 워딩은 (A)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CARRIER SET(/GROUP) 그리고/혹은 (B) V2X 자원 풀 등으로 (확장) 해석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RS”” 워딩은 DM-RS로 (최소한) 해석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스크램블링”” 워딩은 PSSCH(/PSCCH) 스크램블링으로 (최소한) 해석될 수 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될 명세서의 용어의 정의와 용어의 약어들은, 별도의 기재가 있지 않는 한, 3gpp TS 36 시리즈에서 정의될 수 있다. 그 중, 명세서 본문에서 보다 빈번하게 사용될 용어들을 별도로 정의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 S-PSCCH_L: S-TTI 기반의 PSCCH를 구성하는 심벌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 S-PSSCH_L: S-TTI 기반의 PSSCH를 구성하는 심벌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 S-PSCCH, S-PSSCH: S-TTI 기반의 PSCCH, PSSCH 의미할 수 있다.
- L-PSCCH, L-PSSCH: 기존 1MS TTI (혹은 S-TTI 보다 상대적으로 긴 TTI) (L-TTI) 기반의 (LEGACY) PSCCH, PSSCH 의미할 수 있다.
- L-N_SS: L-TTI (혹은 S-TTI 보다 상대적으로 긴 TTI) 기반의 전송시, (LEGACY) SLOT (L-SLOT) 상의 DM-RS 시퀀스 생성/시퀀스 (그룹) 홉핑에 사용되는 L-SLOT 인덱스 (예, nss PSSCH)
- L-N_SSF: L-TTI (혹은 S-TTI 보다 상대적으로 긴 TTI) 기반의 전송시, L-TTI 상의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L-TTI 인덱스 (예, nssf PSSCH)
- S-N_SS: S-TTI 기반의 전송시, S-TTI 상의 DM-RS 시퀀스 생성/홉핑에 사용되는 인덱스
- S-N_SSF: S-TTI 기반의 전송시, S-TTI 상의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인덱스
이하, (상대적으로) 짧은 TTI와 (상대적으로) 긴 TTI에 대한 예시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앞으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전송 커버리지/신뢰도/지연 요구 사항 등의 트레픽 (혹은 데이터)을 고려하여, 가변적인 TTI (채널/시그널)가 도입될 수 있다. 일례로, 사전에 기본 자원 유닛 (BASIC RESOURCE UNIT)이 정의(/설정)된 후, (특정 요구 사항의 데이터 관련 채널/시그널 전송) TTI가 단수 혹은 복수의 기본 자원 유닛의 결합체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TTI에 대한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0은 S-TTI와 L-TTI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따르면, S-TTI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기본 자원 유닛으로 정의된 경우, L-TTI는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K개의 S-TTI (기본 자원 유닛)가 결합된 형태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1은 S-TTI와 L-TTI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따르면, L-TTI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기본 자원 유닛으로 정의된 경우, S-TTI는 L-TTI (기본 자원 유닛)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K개로 분할된 형태 (예, 일종의 MINI-BASIC RESOURCE UNIT)로 해석될 수 있다.
위 도면의 예와는 달리, S-TTI 또한 복수의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기본 자원 유닛이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2는 S-TTI와 L-TTI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따르면, 예컨대, S-TTI 구성#A와 같이, 첫 번째 S-TTI는 3 개의 OFDM 심벌(OFDM symbol; OS)의 길이를 가지고, 두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세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네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다섯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여섯 번째 S-TTI는 3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혹은 예컨대, S-TTI 구성#B와 같이, 첫 번째 S-TTI는 7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두 번째 S-TTI는 7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 S-TTI와 L-TTI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예를 도시했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S-TTI와 L-TTI의 예시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며, S-TTI와 L-TTI의 형태는 위에 개시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으로의 통신 시스템에서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TTI 기반의 V2X 통신(/채널/시그널)이 도입될 경우, 단말이 어떠한 방식으로 (짧은 TTI 기반의 채널/시그널 관련) DMRS 시퀀스를 생성 및/또는 홉핑할 것인지, 그리고 채널 스크램블링을 수행할지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게 된다. 일례로, 해당 규칙들이 어떻게 정의되는지에 따라, 짧은 TTI 기반의 채널/시그널이 받는 (혹은 주는) 간섭 랜덤화 정도가 달라지거나, 혹은 동일 V2X 자원 풀 상에 공존하는 상이한 TTI 길이 (혹은 상대적으로 긴 TTI) 기반의 채널/시그널이 받는 간섭 (랜덤화/패턴)이 달라질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슈를 고려하여,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관하여, S-TTI 기반의 단말은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S-TTI를 기준으로 삼을 것인지, 혹은 L-TTI를 기준으로 삼을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채널 스크램블링에 관하여, S-TTI 기반의 단말은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S-TTI를 기준으로 삼을 것인지, 혹은 L-TTI를 기준으로 삼을지에 대해서도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TI에 기반한 V2X 통신 수행 방법의 순서도다.
도 13에 따르면, V2X 단말은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및/또는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결정한다(S1310). 여기서, 상기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정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정리하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파라미터'라는 용어와 '정보'라는 용어가 혼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V2X 단말은 상대적으로 짧은 TTI에 기반한 V2X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위 V2X 단말은 상대적으로 짧은 TTI에 기반한 V2X 통신뿐만이 아니라, 기존의 (혹은 상대적으로 긴) TTI에 기반한 V2X 통신 또한 지원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및/또는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각각, 단말에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혹은,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및/또는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예컨대, 기지국)로부터의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1 L-TTI가 K개의 S-TTI로 구성된다고 가정(즉, 1 RADIO FRAME 내에 총 K*10개의 S-TTI가 존재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1. DMRS 시퀀스 생성(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정보에 대한 예시들, 그리고 2.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에 대한 예시를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1.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정보
1 RADIO FRAME 내, L-TTI#N (0≤N≤9) 상의, Q번째 (Q≤K) S-TTI의 S-N_SS 값은 아래 규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S-N_SS 값은 S-TTI 상의, RS 시퀀스 그룹 홉핑 함수 관련 입력 파라미터로 사용)
그 예로 아래 설명할, 1) (규칙#A)에서와 같이, S-TTI 별로 상이한 S-N_SS가 할당하는 방법과, 2) (규칙#B)에서와 같이, 1 L-SLOT (L-N_SS#J) 내의, 복수개의 S-TTI는 공통적으로, L-N_SS#J를 S-N_SS로 가지는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규칙#A) S-TTI 별로 상이한 S-N_SS가 할당되고, 1 RADIO FRAME 내에서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방식
즉, 단말이 S-TTI에 기초하여 V2X 통신을 수행할 때, S-TTI 단위로 정의된 DMRS 시퀀스 그룹 홉핑 (및/또는 생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DMRS 시퀀스 그룹 홉핑 (및/또는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DMRS 시퀀스 그룹 홉핑 (및/또는 생성)에 대한 정보(즉, S-N_SS)를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수식적 표현]: S-N_SS = (N*K + Q - 1)
즉, 1 RADIO FRAME 내, S-TTI의 S-N_SS 값 범위는 [0, (9*K + K - 1)]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의사 난수(PSEUDO-RANDOM) 시퀀스 제너레이터를 초기화 할 때, 아래와 같은 규칙을 따를 수 있다.
(1) S-TTI (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개수의 S-TTI 묶음) 마다 초기화
(2) L-TTI 마다 초기화 (예를 들어, 기존 REL-14 동작과 동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규칙#A)에서의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규칙#A 그림 예시]: 1 L-TTI가 6개의 S-TTI로 구성된 경우 (K = 6)
도 14는 (규칙#A)에 따른, S-N_SS 값을 부여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따르면,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은 총 10개의 레거시 서브 프레임 (L-TTI)을 가질 수 있다. 이때의 레거시 서브프레임은, L-N_SSF#0부터 L-N_SSF#9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레거시 서브프레임에는 두 개의 레거시 슬롯 (L-SLOT)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 내에서는 레거시 슬롯은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에는, L-N_SS#0부터 L-N_SS#19까지의 값을 가지는 레거시 슬롯이 존재할 수 있다.
레거시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된다고 할 때, 예컨대, 첫 번째 S-TTI는 3 개의 OFDM 심벌(OFDM symbol; OS)의 길이를 가지고, 두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세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네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다섯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여섯 번째 S-TTI는 3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에는 총 60 개의 S-N_SS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의 S-N_SS의 값은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에는 S-N_SS#0부터 S-N_SS#59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규칙#A)에서와 같이, S-TTI 별로 상이한 S-N_SS가 할당되고, 1 RADIO FRAME 내에서 순차적으로 증가할 경우, DMRS 시퀀스 그룹 홉핑 (및/또는 생성)의 랜덤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S-TTI 별로 상이한 S-N_SS가 할당되고, 1 RADIO FRAME 내에서 순차적으로 증가할 경우, DMRS 시퀀스가 받는 (혹은 주는) 간섭이 효율적으로 랜덤화 될 수 있다.
2) (규칙#B) 1 L-SLOT (L-N_SS#J) 내의, 복수개의 S-TTI는 공통적으로, L-N_SS#J를 S-N_SS로 가지는 방식
즉, 단말이 S-TTI에 기초하여 V2X 통신을 수행할 때, L-SLOT 단위로 정의된 DMRS 시퀀스 그룹 홉핑 (및/또는 생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DMRS 시퀀스 그룹 홉핑 (및/또는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DMRS 시퀀스 그룹 홉핑 (및/또는 생성)에 대한 정보(즉, S-N_SS)를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예컨대, L-TTI#N 상의, Q번째 S-TTI가, L-N_SS#J (J = 2*N 혹은 J = 2*N+1)에 속한 경우를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수식적 표현]: S-N_SS = (N*2 + (J MODULO 2))   (여기서, 0 ≤ J ≤ 19)
즉, 1 RADIO FRAME 내, S-TTI의 S-N_SS 값은 [0, (9*2 + 1)] 범위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의사 난수(PSEUDO-RANDOM) 시퀀스 제너레이터를 초기화 할 때, 아래와 같은 규칙을 따를 수 있다.
(1) L-TTI 마다 초기화 (기존 REL-14 동작과 동일)
(2) L-SLOT (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개수의 L-SLOT 묶음) 마다 초기화
이때,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복수개 (X)의 S-TTI가, 동일한 S-N_SS 값을 가지는 방식으로 확장 가능하다.
이때의 DMRS 시퀀스 그룹 홉핑 (및/또는 생성)에 대한 정보(즉, S-N_SS)를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예컨대, L-TTI#N 상의 Q번째 S-TTI가, 1 RADIO FRAME 내의 총 K*10개 S-TTI 중에, W번째 (W≤≤K*10) S-TTI 일 때의 경우를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수식적 표현]: S-N_SS = (W MODULO X)
(1) X 값은 하나의 L-SLOT (혹은 L-TTI)를 구성하는 S-TTI의 총개수로 정의될 수 있음
(2) X 값은 사전에 시그널링(/설정)된 값일 수 있음
아울러, 의사 난수(PSEUDO-RANDOM) 시퀀스 제너레이터를 초기화 할 때, 아래와 같은 규칙을 따를 수 있다.
예컨대, PSEUDO-RANDOM SEQ. GENERATOR 초기화는, X개의 S-TTI 묶음 (혹은 S-TTI) 마다 초기화시키거나, 혹은 L-TTI 마다 초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규칙#B)에서의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규칙#B 그림 예시]: 1 L-TTI가 6개의 S-TTI로 구성된 경우 (K = 6)
도 15는 (규칙#B)에 따른, S-N_SS 값을 부여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따르면,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은 총 10개의 레거시 서브 프레임 (L-TTI)을 가질 수 있다. 이때의 레거시 서브프레임은, L-N_SSF#0부터 L-N_SSF#9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레거시 서브프레임에는 두 개의 레거시 슬롯 (L-SLOT)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 내에서는 레거시 슬롯은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에는, L-N_SS#0부터 L-N_SS#19까지의 값을 가지는 레거시 슬롯이 존재할 수 있다.
레거시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된다고 할 때, 예컨대, 첫 번째 S-TTI는 3 개의 OFDM 심벌(OFDM symbol; OS)의 길이를 가지고, 두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세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네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다섯 번째 S-TTI는 2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여섯 번째 S-TTI는 3개의 OFDM 심벌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동일한 레거시 슬롯의 인덱스(즉, L-N_SS)에 속하는 각각의 S-N_SS는 (레거시 슬롯 인덱스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L-N_SS#0에 대응되는 레거시 TTI에 속하는 S-TTI들은, 모두 S-N_SS#0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L-N_SS#1에 대응되는 레거시 TTI에 속하는 S-TTI들은 모두 S-N_SS#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를 경우에는,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에는 S-N_SS#1부터 S-N_SS#19까지 존재할 수 있다.
(규칙#B)에서와 같이, 1 L-SLOT (L-N_SS#J) 내의, 복수개의 S-TTI는 공통적으로, L-N_SS#J를 S-N_SS로 가지는 방식에 따를 경우, , 1 L-SLOT (L-N_SS#J) 내의, 복수개의 S-TTI는 공통적으로, L-N_SS#J를 S-N_SS로 가지는 방식에 따를 경우, S-TTI 기반의 V2X 단말이 V2X 통신을 수행할 때, 예컨대 레거시 단말에 대한 시퀀스 제너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TTI를 위한 시퀀스 제너레이터에 대한 별도의 설계가 필요 없기에, 설계의 복잡도가 감소할 수 있다.
2.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
1 RADIO FRAME 내, L-TTI#N (0≤N≤9) 상의, Q번째 (Q≤K) S-TTI의 S-N_SSF 값은 아래 규칙으로 결정될 수 있다. (S-TTI 상의, 스크램블링 함수 초기화 관련, C_INIT 값 계산시 사용)
그 예로 1) S-TTI 별로 상이한 S-N_SSF가 할당되는 방식과, 2) Q번째 S-TTI의 S-N_SS 값이 ““P””로 결정된 경우, 해당 S-TTI의 S-N_SSF 값도 동일하게 ““P””로 정해지는 방식, 3) 사전에 설정된 복수개 (X)의 S-TTI가, 동일한 S-N_SSF 값을 가지는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S-TTI 별로 상이한 S-N_SSF가 할당되는 방식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즉, S-N_SSF)의 값은 S-TTI 별로 각각의 상이한 S-N_SSF 값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일례로, 이때의 S-N_SSF 값은 하나의 프레임에서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2) (규칙#C) 해당 Q번째 S-TTI의 S-N_SS 값이 ““P””로 결정된 경우, 해당 S-TTI의 S-N_SSF 값도 동일하게 ““P””로 정해지는 방식
즉, S-N_SSF의 값은 S-N_SS 값과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이때의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수식적 표현]: S-N_SSF = S-N_SS
특히, 상기 규칙#A에 따라, S-N_SS 값이 결정될 때, 유용할 수 있다.
SCRAMBLING SEQ. GENERATOR 초기화 규칙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1) S-TTI (혹은 사전에 설정된 개수의 S-TTI 묶음) 마다 초기화
(2) L-TTI 마다 초기화 (기존 REL-14 동작과 동일)
또는, 아래와 같이 다른 예가 존재할 수 있다.
3) (규칙#D) 사전에 설정된 복수개 (X)의 S-TTI가, 동일한 S-N_SSF 값을 가지는 방식
L-TTI#N 상의 Q번째 S-TTI가, 1 RADIO FRAME 내의 총 K*10개 S-TTI 중에, W번째 (W≤≤K*10) S-TTI 일 때의 예를 수식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수식적 표현]: S-N_SSF = (W MODULO X)
(1) X 값은 하나의 L-TTI (혹은 L-SLOT)를 구성하는 S-TTI의 총개수로 정의될 수 있음
(2) X 값은 사전에 시그널링(/설정)된 값일 수 있음
SCRAMBLING SEQ. GENERATOR 초기화 규칙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1) X개의 S-TTI 묶음 (혹은 S-TTI) 마다 초기화
(2) L-TTI 마다 초기화 (기존 REL-14 동작과 동일)
이후, V2X 단말은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320).
예컨대, V2X 단말은 S-TTI 단위로 정의된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을 수행하되, 상기 V2X 단말이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할 때, S-TTI 별로 상이한 S-N_SSF가 할당되는 방식과, Q번째 S-TTI의 S-N_SS 값이 ““P””로 결정된 경우, 해당 S-TTI의 S-N_SSF 값도 동일하게 ““P””로 정해지는 방식, 또는 사전에 설정된 복수개 (X)의 S-TTI가, 동일한 S-N_SSF 값을 가지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혹은 예컨대, V2X 단말은 L-SLOT 단위로 정의된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을 수행하되, 상기 V2X 단말이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할 때, S-TTI 별로 상이한 S-N_SSF가 할당되는 방식, Q번째 S-TTI의 S-N_SS 값이 ““P””로 결정된 경우, 해당 S-TTI의 S-N_SSF 값도 동일하게 ““P””로 정해지는 방식, 또는 사전에 설정된 복수개 (X)의 S-TTI가, 동일한 S-N_SSF 값을 가지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일부) 제안 방식이 적용될 경우, S-TTI의 최대 SF(/TTI) INDEX는 ““MODULO 10 (예, SLOT INDEX 0~19) (혹은 32 (예, SLOT INDEX 0~63) 혹은 16 (예, SLOT INDEX 0~31))”” (예, PSEUDO-RANDOM SEQ. GENERATOR에 들어가는 입력 파라미터) 방식으로 결정될 수 도 있다.
(상기 (일부) 제안 방식에서) S-N_SS 그리고/혹은 S-N_SSF (그리고/혹은 L-N_SS 그리고/혹은 L-N_SSF) 등의 값은 사전에 (네트웍으로부터) 설정(/시그널링)될 수 도 있다.
상기 (일부 혹은 모든) 제안 방식을 이용한 S-TTI에 기반한 V2X 통신은, S-TTI에 따른 V2X 통신과 L-TTI에 따른 V2X 통신이 공존하는지 여부에 따라 수행될 수 도 있다. 이에 대해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TTI에 기반한 V2X 통신 수행 방법의 순서도다.
도 16에 따르면, 단말은 S-TTI에 따른 V2X 통신과, L-TTI에 따른 V2X 통신이 공존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1610). 이때, 상기 단말은 S-TTI에 기반한 V2X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즉, 어드밴스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DMRS 시퀀스 생성(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및/또는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S1620).
예컨대, S-TTI에 따른 V2X 통신과, L-TTI에 따른 V2X 통신이 공존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래거시 단말이 단말 자신의 V2X 통신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것 (혹은 단말이 레거시 단말의 V2X 통신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것)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에, 단말은 S-TTI에 기초한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정보 및 S-TTI에 기초한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S-TTI에 기초한 V2X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를 경우, DMRS 시퀀스 홉핑(및/또는 생성) 랜덤화가 증가 될 수 있다.
예컨대, S-TTI에 따른 V2X 통신과, L-TTI에 따른 V2X 통신이 공존하는 경우, 도 13에 따른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정보 및/또는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에 대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된 S-TTI에 따른 V2X 통신과, L-TTI에 따른 V2X 통신이 공존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DMRS 시퀀스 생성 및/또는 홉핑에 사용되는 정보 및/또는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에 대한 결정의 예시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위에 기재된 예시들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S-TTI에 따른 V2X 통신과, L-TTI에 따른 V2X 통신이 공존하지 않는 경우에도, 도 13에 따른 DMRS 사용되는 정보 및/또는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에 대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630).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에 대한 일례들 또한 본 발명의 구현 방법들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일종의 제안 방식들로 간주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도 있지만, 일부 제안 방식들의 조합 (혹은 병합) 형태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GPP LTE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안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제안 방식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범위는 3GPP LTE 시스템 외에 다른 시스템으로도 확장 가능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D2D 통신을 위해서도 확장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일례로, D2D 통신은 UE가 다른 UE와 직접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일례로 UE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하지만,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가 UE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역시 일종의 UE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MODE 3 V2X 동작 (그리고/혹은 MODE 4 V2X 동작)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특정) V2X 채널(/시그널) 전송 (예를 들어, PSSCH (그리고/혹은 (연동된) PSCCH 그리고/혹은 PSBCH))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PSSCH와 (연동된) PSCCH가 (주파수 영역 상에서) 인접 (ADJACENT) (그리고/혹은 이격 (NON-ADJACENT))되어 전송될 경우 (그리고/혹은 사전에 설정(/시그널링)된 MCS (그리고/혹은 코딩레이트 그리고/혹은 RB) (값(/범위)) 기반의 전송이 수행될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MODE#3 (그리고/혹은 MODE#4) V2X CARRIER (그리고/혹은 (MODE#4(/3)) SL(/UL) SPS (그리고/혹은 SL(/UL) DYNAMIC SCHEDULING) CARRIER) 간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CARRIER 간에 동기 시그널 (송신 (그리고/혹은 수신)) 자원 위치 그리고/혹은 개수 (그리고/혹은 V2X 자원 풀 관련 서브프레임 위치 그리고/혹은 개수 (그리고/혹은 서브채널 크기 그리고/혹은 개수))가 동일한 (그리고/혹은 (일부) 상이한)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통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프로세서(processor, 110), 메모리(memory, 120) 및 트랜시버(transceiver, 130)를 포함한다. 도시된 프로세서, 메모리 및 트랜시버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블록/기능이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트랜시버(13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200)은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트랜시버(2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트랜시버(23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200)은 다른 단말에게 전술한 방법에 따라 V2X 신호를 전송/재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21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2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30,230)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20,2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0,220)는 프로세서(110,2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10,2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은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에 따르면, 프로세서(1800)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정보 결정부(1810), 통신 수행부(18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결정부(1810)는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대한 정보 및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채널 스크램블링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통신 수행부(1820)은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한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장치에 대한 설명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프로세서는 다른 기능적인 요소 내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한 각 기능적인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vehicle-to-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기존의 TTI(legacy transmission time interval; L-TTI)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TTI(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 S-TTI) 기반의 V2X 통신 수행 방법에 있어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및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L-TTI는 복수의 상기 S-TTI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S-TTI 단위로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L-TTI 단위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가 상기 S-TTI 단위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각각의 S-TTI 별로 다른 값을 가지되, 하나의 프레임에서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다음 수식을 따르되,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 (N*K+Q-1),
    상기 N은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서 상기 L-TTI의 인덱스에 대한 값이되, 상기 N은 0보다 같거나 크고, 9보다는 같거나 작고,
    상기 K는 상기 L-TTI에 포함되는 S-TTI의 개수에 대한 값이되, 상기 K는 양의 정수를 가지고,
    상기 Q는 상기 S-TTI가 상기 L-TTI에서 몇 번째 S-TTI인지에 대한 값이되, 상기 Q는 상기 K보다 같거나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가 상기 L-TTI 단위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동일한 L-TTI에서는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다음 수식을 따르되,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 (N*2+(J MODULO 2)),
    상기 N은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서 상기 L-TTI의 인덱스에 대한 값이되, 상기 N은 0보다 같거나 크고, 9보다는 같거나 작고,
    상기 J는 상기 하나의 프레임에서 상기 L-TTI에 기반한 슬롯의 인덱스에 대한 값이되, 상기 J는 0보다 같거나 크고, 19보다는 같거나 작고,
    상기 MODULO는 모듈러 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연산은 나머지 값을 산출하는 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S-TTI 단위로 결정되거나,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와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된 복수 개의 S-TTI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TTI가 기본 자원 유닛인 경우, 상기 L-TTI는 K개의 기본 자원 유닛의 결합이되,
    상기 K는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TTI가 기본 자원 유닛인 경우, 상기 S-TTI는 상기 기본 자원 유닛이 X개로 분할된 것이되,
    상기 X는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2X 단말은 상기 L-TTI 기반의 V2X 통신과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이 공존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V2X 단말은 상기 L-TTI 기반의 V2X 통신과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이 공존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및 상기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2X 단말은 상기 DMRS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L-TTI 단위로 결정하고,
    상기 V2X 단말은 상기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S-TTI 단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RS에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및 상기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는 단말에게 기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기존의 TTI(legacy transmission time interval; L-TTI)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TTI(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하는 V2X(Vehicle-to-X) 단말(User equipment; UE)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RF 트랜시버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 생성에 사용되는 정보 및 채널 스크램블링에 사용되는 정보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S-TTI 기반의 V2X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L-TTI는 복수의 상기 S-TTI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 단말.
KR1020197025048A 2017-03-24 2018-03-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246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6719P 2017-03-24 2017-03-24
US62/476,719 2017-03-24
PCT/KR2018/003558 WO2018174690A2 (ko) 2017-03-24 2018-03-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104A true KR20190105104A (ko) 2019-09-11
KR102246695B1 KR102246695B1 (ko) 2021-04-30

Family

ID=6358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048A KR102246695B1 (ko) 2017-03-24 2018-03-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1144B2 (ko)
EP (1) EP3592071B1 (ko)
JP (1) JP2020511905A (ko)
KR (1) KR102246695B1 (ko)
CN (1) CN110547018B (ko)
WO (1) WO20181746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5245B (zh) 2018-07-17 2023-08-29 Lg 电子株式会社 在nr v2x中确定tbs的方法和设备
US11678154B2 (en) * 2018-07-30 2023-06-13 Lg Electronics Inc. V2X operating method based on TTI bund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US11388712B2 (en) * 2018-11-02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in vehicle-to-everything system
KR102227287B1 (ko) * 2019-08-15 202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시스템에서 차량의 멀티안테나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082053A1 (en) * 2020-02-24 2023-03-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163A (ko) * 2010-02-22 2012-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향링크 레퍼런스 신호들을 위한 시퀀스 호핑 및 직교 커버링 코드의 적용
US20160270059A1 (en) * 2015-03-13 2016-09-15 Qualcomm Incorporated Dmrs based dl for low latency
WO2016200236A1 (ko) * 2015-06-11 201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v 통신을 위한 참조 신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903A1 (ko) 2014-07-07 2016-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12612B2 (en) * 2015-05-08 2019-09-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erminal executing V2X communication to determine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tilizing the method
JPWO2017038892A1 (ja) * 2015-09-02 2018-06-2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202612B1 (ko) * 2016-05-13 2021-01-13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다운링크 송신들의 구성
US11381435B2 (en) * 2016-11-11 2022-07-05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for data a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s with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163A (ko) * 2010-02-22 2012-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향링크 레퍼런스 신호들을 위한 시퀀스 호핑 및 직교 커버링 코드의 적용
US20160270059A1 (en) * 2015-03-13 2016-09-15 Qualcomm Incorporated Dmrs based dl for low latency
WO2016200236A1 (ko) * 2015-06-11 201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v 통신을 위한 참조 신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1905A (ja) 2020-04-16
CN110547018A (zh) 2019-12-06
US20200045516A1 (en) 2020-02-06
EP3592071A2 (en) 2020-01-08
US11051144B2 (en) 2021-06-29
WO2018174690A3 (ko) 2018-12-13
CN110547018B (zh) 2023-05-05
EP3592071A4 (en) 2020-03-18
WO2018174690A2 (ko) 2018-09-27
EP3592071B1 (en) 2023-05-10
KR102246695B1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5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1490425B2 (en) Flexible grant-free resource configuration signaling
CN107736064B (zh) 用于在终端之间发送信号的方法及其设备
US11082994B2 (en) Method for V2X communication performed by means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CN10646447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其装置
KR10223466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v2x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JP623509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基地局が下りリンク制御チャネルを多重化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5222859B2 (ja) Tddシステムにおいてスケジューリング情報伝送方法
EP32161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466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2019012326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37604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101431B (zh) 一种设备到设备通信方法、装置及系统
JP202051518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送信ダイバーシティ技法により送信されたv2x信号の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上記方法を利用する端末
KR2020008763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mrs 구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