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820A -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820A
KR20190104820A KR1020180025404A KR20180025404A KR20190104820A KR 20190104820 A KR20190104820 A KR 20190104820A KR 1020180025404 A KR1020180025404 A KR 1020180025404A KR 20180025404 A KR20180025404 A KR 20180025404A KR 20190104820 A KR20190104820 A KR 20190104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user
information
sound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856B1 (ko
Inventor
한우재
송창근
김기쁨
신지훈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8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운드를 사용자 요청에 따른 음량의 크기로 출력하고, 외부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외부 소음을 입력받는 오디오 모듈 및 상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하에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시, 이어폰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콘텐츠의 음량 및 외부 소음의 음량 크기를 동시에 측정하며, 측정된 음량 크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소음 노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시 적정 음량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장치 및 시스템{VOLUME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FOR PREVENTING MUSIC-INDUCED HEARING LOSS}
본 발명은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운드 콘텐츠를 실행하는 동안 음량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출력되는 콘텐츠의 사운드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과 관련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광범위한 보급 및 확산으로 인해 현대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별도의 음향기기의 구매 없이도 자체 내장된 MP3플레이어 기능을 활용하여 음악 청취 및 동영상 시청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음악 청취는 대부분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일정 강도 이상 지속적으로 사운드에 노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절제한 음악 청취 방식은 난청의 발병 위험을 높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갖는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청각 능력이 손상될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 고강도의 소음에 지속적인 노출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성 청력 손실은 노출 양상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일시적 역치 변동은 중등도 크기의 소음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일시적인 청력 손실로써, 수분에서 수일에 거쳐 청력이 회복될 수 있다. 둘째, 영구적 역치변동은 일시적 역치 변동 후 회복 기간 내 추가적인 소음에 대한 노출 없이 청력이 3주 내에 회복되지 않을 경우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세 번째는 폭발음과 같이 120dB 이상의 강력한 소음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청력 손실인데, 이는 음향성 외상(accustic trauma)으로 정의된다.
최근 학계에서는 과도한 소음 노출이 청각 기능의 이상을 야기할 뿐 아니라, 두통, 불안감, 수면 장애 등의 부차적인 영향 또한 발생시킬 수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소음성 난청으로 인한 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정확한 실태조사 및 예방이 요구되나 종래의 연구는 사용자의 청취 음량 측정보다는 이어폰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이어폰별 음악 강도 확인에 관한 주제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출력 사운드를 조절하는 것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091460(이동통신 단말기 사운드 파일의 출력음량 조절 장치와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어폰을 통해 듣는 청취 음량에 관한 정보를 추적 조사하기 위한 목적에서 고안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들의 청취 음량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개개인의 음악 노출의 강도를 분석하고, 적절한 청취 습관을 유도하며, 궁극적으로는 음악성 난청을 예방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운드를 사용자 요청에 따른 음량의 크기로 출력하고, 외부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외부 소음을 입력받는 오디오 모듈 및 상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하에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시 이어폰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콘텐츠의 음량 및 외부 소음의 음량 크기를 동시에 측정하며, 측정된 음량 크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소음 노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시 적정 음량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가 본인의 음악 청취 패턴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며, 문제될 수 있는 청취 습관을 절제하도록 유도하므로 음악성 난청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의 평소 청취 패턴 및 외부 소음을 토대로 사용자에게 적정한 음량 수준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소음 노출량이 청각에 무리를 줄 수준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적정한 음량 수준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각하지 못하는 청각에 무리를 주는 청취 동작을 피할 수 있게 되며, 음악성 난청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동작 및 신호 전달 방식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음 노출량 산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신뢰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화면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 결과 화면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정 볼륨 추천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적정 볼륨 추천부에 의해 볼륨 제어가 수행되는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gateway)에 연결되어 IoT(Internet of Things)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장치(또는 사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무선 호출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음향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냉장고, CCTV, TV, 세탁기, 제습기, 전등, 화재 경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device)는 “기기” 또는 “장치”와 혼용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기기” 및 “장치”는 동일한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100)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오디오 모듈 (150), 카메라부 (160), 제어부 (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 (120)는 사운드 콘텐츠 (121), 사운드 재생 프로그램 (122) 및 이어폰 설정값 (123)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70)는 출력 음량 측정부 (171), 출력 보정부 (172), 외부 소음 측정부 (173), 휴식 측정부 (174) 및 소음 노출량 산출부 (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11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110)는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110)는 상기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요구되는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들을 상기 서버 측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 (170) 내지 서버 (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20)는 사운드 콘텐츠 (121), 사운드 재생 프로그램 (122) 및 이어폰 설정값 (123)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콘텐츠 (121)는 사운드가 포함된 모든 형식의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음악, 동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콘텐츠 (121)는 별도로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될 수 있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DMB 등과 같이 스트리밍을 위해 일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재생 프로그램 (122)은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DMB, 음악 재생 프로그램, 동영상 실행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운드 재생 프로그램 (122)의 음량 조절 단계에 대한 정보는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집할 수 있으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하에 상기 사운드 재생 프로그램 (122)의 음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운드 재생 프로그램 (122)은 음량 조절 단계가 5단계로 설정되는 프로그램(A)과 10단계로 설정되는 프로그램(B)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운드 재생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되는 음량 조절 단계에 대한 정보(예, A는 5단계, B는 10단계)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설정값 (123)는 이어폰 형태별 계수를 의미하며, 이어폰의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귀의 접촉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특성을 감안하여 이어폰별 사용자의 사운드 인식의 정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산출된 값이다. 상기 이어폰 설정값 (123)은 인공 귀 시뮬레이터(AES; Artificial ear simulator)에서 측정된 이어폰 형태별 인식 음량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어폰 형태는 크게 커널형, 오픈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커널형 및 오픈형 각각도 세분화되어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폰 설정값 (123)은 이어폰 외에도 헤드폰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폰도 이어폰과 마찬가지로 그 형태별로 구분되는 설정값을 보유할 수 있다. 상기 헤드폰은 예컨대, 오픈형, 밀폐형 등으로 그 형태가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이어폰과 헤드폰 간에도 형태별 계수의 차이가 존재할 것임은 매우 자명하다.
상기 이어폰 설정값 (123)은 사용자 단말기측에서 출력되는 동일한 음압에 대하여 사용자가 인식하는 음량이 착용한 이어폰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감안하여 산출된 값이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 설정값 (123)은 사용자 단말기 측에서 출력되는 동일 음압에 곱해줄 계수의 형태로 제시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손실률이 큰 오픈형 이어폰의 경우(예, 0.8)보다 손실률이 작은 커널형 이어폰의 계수(예, 0.9)가 보다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어폰 설정값은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모델명 별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같은 커널형 또는 오픈형 이어폰이라 하더라도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모델별 또는 구체적 형태별로 상기 이어폰 설정값 (123)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모델명 입력 또는 이미지 선택을 통해 자신이 사용하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과 가장 유사한 이어폰의 설정값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설정값 (123)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100)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 (200)측에만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 (13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택 타일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력부 (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130)는 이어폰 설정값 (123) 지정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130)는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40)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140)는 음량 조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 (140)는 상기 음량 조절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의 음량 청취 데이터들로부터 생성된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50)는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은,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디오 모듈 (15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운드가 포함된 콘텐츠 실행시 해당 콘텐츠의 사운드를 소정의 음량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모듈 (150)는 사운드를 포함한 콘텐츠 재생 시 외부 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마이크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 (160)는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 (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카메라부 (160)는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의 사운드를 지속적으로 청취중인지 혹은 휴식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일정 시간 간격별로 사용자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영상 재생 시 상기 전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이 확인되는 경우, 이를 청취 기간인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안면이 확인되지 않는 기간을 휴식 기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7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170)는 출력 음량 측정부 (171), 출력 보정부 (172), 외부 소음 측정부 (173), 휴식 측정부 (174), 소음 노출량 산출부 (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출력 음량 측정부 (171)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콘텐츠의 출력 음량 크기를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력 음량 측정부 (171)는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음량 측정부 (171)는 소리의 크기를 dB(데시벨) 단위로 나타내어지는 음압(Sound Pressure Level)으로 측정할 수 있다.
출력 보정부 (172)는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 (200)로부터 수신한 적정 음량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볼륨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보정부 (172)는 사용자 단말기 (1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보정부 (172)는 측정된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 (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별 적정 음량 정보에 기반하여 출력 사운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력 보정부 (172)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력 사운드 조절을 위해 사운드를 조절할 것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보정부 (172)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력 사운드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사운드가 자동 조절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출력 보정부 (172)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운드 출력값을 적정 음량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소음 측정부 (17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이어폰이 연결된 상태이고,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될 시,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소음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소음의 크기는 음압(Sound Pressure Level)로 측정될 수 있다. 외부 소음 측정 동작은 사용자가 실행중인 콘텐츠의 사운드를 이어폰을 통해 청취할 시,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 크기 외에 추가로 발생되는 소음인 외부 소음도 함께 고려하여 사용자가 인식하는 소음 노출량을 산출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휴식 측정부 (174)는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재생되는 시간 중 사용자가 사운드 청취를 중단하는 기간인 휴식 기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휴식 측정부 (174)는 예컨대, 사운드 콘텐츠 실행 중 이어폰과 사용자 단말기가 분리된 기간을 휴식 기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식 측정부 (174)는 영상 정보와 사운드가 함께 포함된 동영상 재생 시, 전면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근접 위치 및 사운드 청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동영상 재생 중에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 전면에 사용자의 안면이 인식되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안면이 인식되지 않는 시간을 체크하고 해당 시간을 휴식 기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방식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면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사용자 얼굴 인식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소음 노출량 산출부 (175)는 상기 출력 음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재생중인 콘텐츠의 출력 음량(예, 음압)에 대한 정보와, 외부 소음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외부 소음의 음량(예, 음압)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 노출량은 음량 크기에 해당 음량을 청취한 시간을 곱한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소음 노출량은 상기 두 가지 인자 외에 추가의 구성 인자(예, 시간대, 장소 정보 등)를 더 포함하는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노출량은 (시간대 계수)*(지속 시간)*(음량 크기)*(장소 계수)=(소음 노출량)의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간대 계수는 예컨대, 낮 시간대의 계수가 밤 시간대의 계수에 비해 큰 값으로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간대 계수 설정에 있어서, 낮 동안인 아침 9시부터 저녁 9시까지의 기간을 그 외의 기간보다 배경 소음이 높은 기간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낮 시간대는 상대적으로 밤 시간대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 노출량 계산에 포함되는 음량의 크기는 이어폰 형태별 계수를 적용한 콘텐츠별 출력 음량 정보와, 외부 소음 측정치를 모두 고려하여 산출된 음량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소음 노출량 산출부 (175)는 휴식 측정부 (174)에서 측정한 휴식 기간을 제외한 시간동안 제공된 음량의 크기만을 소음 노출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소음 노출량 산출부 (175)에서 산출한 소음 노출량은 출력 보정부 (172)에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소음 노출량 산출부 (175)의 동작은 서버 (200)에서 수행된 후 산출된 결과값(소음 노출량)만을 사용자 단말기 (100)에서 수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 (200)는 통신부 (210), 저장부 (220), 제어부 (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220)는 사용자별 음량 정보 221, 표준 음량 정보 222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230)는 그래프 생성부 (231), 소음 관리부 (232), 난청 판단부 (233), 적정 볼륨 추천부 (23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210)는 사용자 단말기 (1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210)는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 (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210)는 그래프 생성 및 적정 볼륨 산출에 요구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측정된 사운드 관련 정보(콘텐츠 출력 음량 정보, 외부 소음 음량 정보, 소음 노출량 정보, 청취 시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210)는 서버 (200)에서 산출된 값을 사용자 단말기 (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220)는 사용자별 음량 정보 221 및 표준 음량 정보 222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별 음량 정보 221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별 음량 관련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별 음량 정보 221는 예컨대, 사용자별 평균 소음 노출량, 사용자별 초기 설정 음량 크기, 사용자별 외부 소음 크기가 기준치 이상인 시간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준 음량 정보 222는 사용자의 청각 기능에 무리를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음량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표준 음량 정보 222는 상황별, 외부 소음 강도별, 청력 손실의 정도별로 분류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 (230)는 사용자별 적정 음량(볼륨) 산출 시 상기 표준 음량 정보 222를 참고하여 사용자 상황에 맞추어 추천되는 적정한 음량 수준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청 1단계로 판단되는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적정 볼륨은 청각 능력이 정상인 사용자에 비해 큰 수치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30)는 그래프 생성부 (231), 소음 관리부 (232), 난청 판단부 (233), 적정 볼륨 추천부 (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프 생성부 (231)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량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시각자료인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그래프 생성부 (231)는 그래프 외에 날짜별로 위험도에 대응하는 색상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방식의 색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프 생성부 (231)는 사용자의 날짜별 청취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도에 대응하는 색상을 매칭하는 방식으로 색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색상 정보는 개인별 청취 수준의 위험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도를 한눈에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그래프 생성부 (231)는 사용자별 음량 정보를 누적하여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하되, 생성된 그래프를 평균 청취 음량, 최고 청취 음량, 볼륨 단계, 주변 배경 소음 강도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래프 생성부 (231)에 의해 생성된 그래프는 기간 단위(예, 시간별, 일별, 주별, 월별)별로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그래프 생성부 (231)는 사용자의 사운드 청취 패턴의 변화가 바람직한 수준으로 변화하여 적정 수준을 유지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그래프 생성부 (231)는 생성된 그래프가 권장되는 청취 패턴에 도달하게 되고, 긍정 변화율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새로운 그래프 배경화면 등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청취 패턴 변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래프 생성부 (231)는 사용자별로 생성된 그래프를 비교하고 가장 청취 패턴의 변화율이 높은 사용자 또는 월별 또는 주별 기준으로 권장 청취 패턴을 준수하는 사용자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결과를 계정별 순위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권장 청취 패턴 준수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소음 관리부 (232)는 사용자 단말기 (100)로부터 수신된 음량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음 노출 현황 등을 판단하고 그에 관련된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소음 관리부 (232)는 예컨대, 사용자별 평균 소음 노출량, 사용자별 초기 설정 음량 크기, 사용자별 외부 소음 크기가 기준치 이상인 시간대 정보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소음 관리부 (232)는 사용자의 소음 노출 관련 생활 패턴 내지 습관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음 관리부 (232)는 사용자 단말기 (10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소음 음량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방문, 이동하는 장소 정보 및 사용자가 가는 장소의 외부 소음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음에 가장 노출되는 시간대 및 장소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음 관리부 (232)는 사용자 단말기 (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아침 6시부터 7시 30분까지의 시간대와 지하철 A역에서 B역까지의 경로에서 가장 소음의 강도가 강하다면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음 노출 패턴에 관하여 산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 관리부 (232)는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재생할 시, 사운드 청취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경우, 청취 시간대 및 해당 시간대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사운드 청취 시간이 길어지는 조건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운드 청취 기간이 길어지는 조건에 대한 정보는 위치 정보, 시간대 정보 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소음 관리부 (232)는 사용자가 소음 노출 패턴을 자각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소음 관리부 (232)는 산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볼륨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난청 판단부 (233)는 사용자의 난청 여부 및 난청 단계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난청 판단부 (233)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상에서 사용자의 청각 능력을 테스트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난청 판단부 (233)는 사용자별 난청 테스트 결과에 기반하여 난청 여부 및 난청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청 판단부 (233)는 별도의 테스트 없이 사용자의 통화 정보, 사운드 콘텐츠 청취 패턴을 기반으로 난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 (234)는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외부 소음 정보에 기반하여 위치별 외부 소음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 (234)는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소음이 발생되는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장소 구간에 접근할 시 이어폰 사용을 자제하도록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 (234)는 또한 사용자 개인별 정보(예, 평균 청취 음량,최고 청취 음량, 난청 여부, 난청 단계, 선호 음량 크기, 현재 사용자 위치에서의 외부 소음 수준 등)에 기반하여 개인별 적정 음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 (234)는 개인별 적정 음량을 사용자의 청취 패턴(예, 평소 청취 음량 크기)에 기반하여 추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 (23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언급된 개인별 정보 뿐 아니라 개인별 변화지수를 구성 인자로 추가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적정 음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개인별 변화지수는 볼륨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볼륨 제어를 적용한 기간 및 볼륨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볼륨 조절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개인별 변화지수를 적용하여 적정 볼륨을 산출하는 동작에 대하여는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정 볼륨 추천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적정 볼륨 추천부에 의해 볼륨 제어가 수행되는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 (234)는 사용자 조작유형 판단부 (2341), 개인별 변화지수 산출부 (2342) 및 추가 조작 볼륨 추천부 (23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작 유형 판단부 (234)는 상기 볼륨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볼륨 제어가 수행된 이후, 사용자의 추가 조작 여부 및 추가 조작 유형을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13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설정된 음량은 5단계(Vol.5)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 (234)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량 크기와 사운드 출력이 지속된 시간, 시간대, 장소 등의 구성 인자들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별 적정 음량(볼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 (234)는 사용자 단말기에 1315 에 도시된 인자들(음량크기, 지속시간, 시간대, 장소 등)로 산출된 사용자별 적정 음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적정 음량(예, Vol.2)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출력 음량이 자동으로 제어되면(1320)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 (234)의 사용자 조작 유형 판단부 (2341)는 사용자의 추가 조작(1325)이 어떠한 유형인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추가 조작(1325)의 유형은 기존 출력값 이상(또는 초과)인 상향 조작(예, Vol.6) 1330인지, 기존 출력값 미만(또는 이하)인 상향 조작(예, Vol.4) 1345인지, 또는 사용자 추가조작이 없는 경우 1355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인별 변화지수 산출부 (2342)는 상기 사용자 조작유형 판단부 (2341)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추가 조작 유형에 따라 추후 적정 음량 산출 계산에 포함될 변화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개인별 변화지수는 하나의 콘텐츠 당 자동 음량 제어 (1320)가 이루어진 이후의 추가 조작 (1325)이 발생된 경우에 한하여 생성 및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인별 변화지수 산출부 (2342)는 사용자의 추가 조작이 기존 출력값 미만 상향조작(예, Vol.4) (1345)로 이루어진 경우, 변화지수를 변경하지 않도록 (1350)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 해당 사용자의 적정 음량은 초기 자동음량 제어 (1320)시와 동일한 값으로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변화지수가 변경되지 않으면 초기 제어 당시와 동일한 기준으로 적정 음량이 산출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조작 유형 판단부 (2341)가 사용자의 추가 조작이 없는 것으로 판단(예, Vol.2)하면 상기 개인별 변화지수 산출부 (2342)는 사용자의 변화지수를 증가 (1360)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변화지수가 증가되면 적정볼륨 추천부 (234)는 기존에 산출된 적정 음량보다 표준 음량에 가깝도록 추후 사용자별 적정 음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음량은 0.5이나, 사용자별 적정 음량은 기존에 2로 산출되고 있다고 가정하면, 해당 사용자의 변화지수가 상승할수록 적정음량은 2에서 0.5에 가까운 1로 조절될 수 있다. 변화지수는 표준 음량인 0.5가 적정 음량으로 산출될 때까지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의 추가조작 유형이 기존 출력값 이상인 상향 조작(예, Vol.6) 1330인 경우, 추가조작 볼륨 추천부 (2343)가 즉시 추가 조작분에 대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추가조작 볼륨 추천부 (2343)는 기존 출력값(예, Vol.5) 이상인 상향 조작으로 추가 조작이 이루어짐을 판단하면, 출력값을 적정음량과 사용자가 요청한 음량값의 평균으로 절충 1335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추가 조작(예, Vol.6으로 조작)에 대한 출력값 절충 결과가 Vol. 4라고 한다면, 사용자의 2차 추가 조작(기존 출력값 이상으로 상향조작, 예 Vol.8로 조작)할 시 기존 출력값(사용자가 2차 추가 조작 전 요청한 값)은 Vol.6이고 2차 추가조작 값은 Vol. 8이므로 출력값 절충 결과는 Vol. 7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추가 조작 볼륨 추천부 (2343)는 추가 조작이 기존 출력값 이상의 상향 조작일 경우, 출력값 절충을 위해 다음의 수학식 1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Vola는 기존출력 볼륨값, Volb는 추가조작 볼륨값, Volc는 절충된 출력값)
그리고 상기 추가 조잘 볼륨 추천부 (2343)는 사용자의 추가조작 이후 절충된 출력값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출력값이 제어된 이후 또 다시 사용자가 추가조작을 하더라도 동일하게 상기 수학식 1을 적용한 출력값 절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추가 조작 볼륨 추천부 (2343)에서 수행하는 출력값 절충은 동일 콘텐츠 내에 일정 횟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추가 조작 볼륨 추천부 (2343)에서 수행하는 출력값 절충은 기 설정된 시간(예, 1분) 내 일정 횟수(예, 3회)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조작 볼륨 추천부 (2343)에 의해 출력값 절충이 발생되면, 상기 개인별 변화지수 산출부 (2342)는 변화지수를 낮추도록 제어 1340할 수 있다.
개인별 변화지수 산출부 (2342)가 1240에서와 같이 변화지수를 하향조정하면 적정볼륨 추천부 (234)는 추후 사용자별 적정 음량을 산출할 시 조정 수준을 완화할 수 있다. 즉, 변화지수의 값이 클수록 표준 음량에 가까운 적정 음량이 산출되고, 변화지수의 값이 클수록 사용자의 청취 음량에 가까운 적정 음량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음량은 2이고 사용자의 청취 음량은 6이며 변화지수가 0인 상태에서 적정 음량은 4로 산출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변화지수의 값이 0에서 1로 상향조정되면 보다 강력한 제어를 수행하여 적정 음량이 3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동일한 가정에서, 변화지수의 값이 0에서 ??1로 하향조정되면 제어 수준을 완화하여 적정 음량이 5로 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및 데이터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통합개발환경을 제공하는 도구인 Android Studio 2.2.1과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객체지향언어(Java Development Kit, JDK; Oracle, San Francisco, CA, USA) 1.8.0_66b-18 amd 64를 기반으로 Android Software Development Kits (SDK, ver. 5.1.1 및 ver. 4.4.2, Google, Mountain View, CA, USA)를 적용하여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평균 강도(LZeq), 최고 음압 강도(LCpeak), 배경 소음 강도(dB SPL)를 측정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는 일별/주별/월별로 사용자가 청취한 음량을 분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원의 평균 강도는 mp3 혹은 wav 등의 음악 파일이 재생될 때 이어폰을 통해 나오는 음압을 dB SPL로 수치화하여 사용 시간으로 나누고, 최고 음압 강도는 해당 시간(이어폰이 작동하여 실행해서 멈추는 시간까지)에 가장 높았던 dB SPL(Sound Pressure Level)을 수치화하여 얻을 수 있는데, 이는 기존 소음측정계와 유사한 알고리즘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일자를 기준으로 사용자 각자의 실제 노출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한 후 그래프와 텍스트 형식으로 표기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은 크게 서비스(Service)와 액티비티(Activity)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여부와 상관없이 무한히 실행되는 컴포넌트로서 데이터 측정과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수 있다. 액티비티(Activity)는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역할을 하며, 크게 메인 액티비티(Main Activity)와 프래그먼트(Fragment)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서비스(Service)는 측정 및 보정 부분과 이어폰 연결의 유무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부분은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량의 측정과 보정, 이어폰 연결의 유무 확인, 컴포넌트 통신, 서버 통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Sampling Meter는 음량 측정, 데이터 보정, 전송 및 정지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측정 기능의 경우, 실제 안드로이드에서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음량 데이터를 측정하며, 데이터 보정은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량과 안드로이드에서 출력하는 음량 데이터 값의 차이를 보정하고 현재 볼륨 단계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의 유무 확인은 안드로이드의 이어폰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컴포넌트 통신은 서비스(Service)에서 측정한 음량 데이터를 액비티티(Activity)로 전송하는 부분이고, 서버 통신은 측정된 음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부분이다. 사용자의 데이터는 예컨대, 1초 간격으로 측정되고, 5초 단위로 통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액티비티(Activity)는 안드로이드의 전체적인 화면 구성을 담당하고, 백그라운드 서비스(Background Service)를 실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티비티는 하위 프래그먼트(Fragment)를 관리하며 프래그먼트 간 이동을 담당할 수 있다.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Activity)는 1개의 메인 액티비티(Main Activity)로 구성될 수 있고, 하위 프래그먼트(Fragment)들의 이동을 위하여 탭 뷰를 사용할 수 있다. 각 탭은 헤드폰, 그래프, 달력, 설정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액티비티(Main Activity)는 액티비티와 프래그먼트를 총 관리하며 서비스를 시작하는 역할과 인텐트(Intent)를 통해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액티비티(Main Activity)의 화면은 옵션 바와 이미지 바 두 개로 구성될 수 있고, 하위 프래그먼트는 4개로 설정될 수 있다. 서비스 시작은 액티비티가 활성화되면, 자동으로 시작될 수 있다. 서비스(Service)에서 측정되는 음량들은 인텐트를 통해 수신하고, 그 값들을 실시간으로 샘플링 프래그먼트(Sampling Fragment)로 전송하여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의 계정 정보는 서버에 등록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액티비티(Main Activity)에서 사용자를 자동으로 구분하여 서버 시스템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며, 서버 등 록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프래그먼트(Fragment) 컴포넌트는 액티비티의 하위 개념으로 한 개의 액티비티에서 여러 개의 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컴포넌트이다. 본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측정값들을 확인할 수 있는 샘플링 프래그먼트(Sampling Fragment), 현재까지 측정된 값들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 프래그먼트(Graph Fragment), 사용자의 측정값을 토대로 위험군에 속하는지 알려주는 캘린터 프래그먼트(Calendar Fragment),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셋팅 프래그먼트(Setting Fragment)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동작 및 신호 전달 방식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은 아파치(Apache) (server system), 하이퍼텍스트 프리프로세서(Hypertext Preprocessor; PHP), My Structured Query Language (MySQL)의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 PC 를 뜻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수신 부분과 전송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데이터 수신 부분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전송한 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데이터 전송 부분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요청 데이터 형식에 맞게 조회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아파치(Apache) 서버는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서버 시스템의 PHP 페이지를 연결해주는 서버로,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요청한 부분을 PHP 페이지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저장부)는 MySQL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데이터는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Column name Date type
AVGSPL Double
PEAKSPL Double
Volume Intent
User Varchar(255byte)
Time Date time
(AVGSPL; average sound preesure level, PEAKSPL; peak sound pressure level)
이 때, 여러 데이터들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1인당 1개의 테이블을 각각 생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테이블 이름은 예컨대, 사용자의 구글계정의 아이디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동작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5는 상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 측정 및 음량 조절 동작이 수행되는 동작의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기 (100)에서 제어부 (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 요청을 확인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5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70)는 이어폰 연결을 확인하는 5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 (17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실행하는 52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에는 음악, 동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70)는 출력 사운드 및 외부 요소를 측정하는 5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 (170)는 515동작에서 이어폰이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525동작 시,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의 사운드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525동작 시 상기 제어부 (170)는 외부 요소인 외부 소음의 음량(음압) 정보, 사용자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70)는 실제 사용자가 인식하는 사운드 볼륨을 계산하는 53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제 사용자가 인식하는 사운드 볼륨은 이어폰의 형태별 계수를 출력되는 콘텐츠 음량에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70)는 기 설정된 기간 이상 해당 볼륨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53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 설정된 기간 이상 해당 볼륨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이는 유효한 사운드 청취 기능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 535동작 결과 Yes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 (170)는 소음 노출량을 측정하는 54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음 노출량은 사용자의 사운드 청취 시간을 고려한 음량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70)는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을 측정할 시, 휴식 기간을 제외한 청취시간만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음 노출량 산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음 노출량 산출 방식은 도 6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식 기간 613을 체크하고, 휴식 기간 동안 측정된 음량 정보는 소음 노출량 산출시 고려되지 않는다. 사운드 청취 기간 중 휴식기간을 별도로 체크하지 않고 소음 노출량을 산출하게 될 경우, 도 6의 A와 같이 소음 노출량이 측정될 것이므로, 측정되는 소음 노출량(그래프의 면적)은 612와 611에서 보여지는 면적의 차이만큼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70)는 소음 노출량 측정하는 540동작 이후, 측정 정보를 누적하여 기록하는 54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측정 정보는 서버 (200)에 전송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70)는 난청여부 판단 및 적정 볼륨 정보를 제공하는 55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550동작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측정된 정보들을 토대로 서버 (200)에서 분석하고 산출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측에서 수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신뢰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재생될 시 볼륨 단계에 따라 음원의 음압 강도를 정확하게 표현하는지 여부가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확인될 수 있다. 사운드 콘텐츠 재생시 스마트폰에 이어폰을 연결한 후 소음측정계(sound level meter)와 인공 귀 시뮬레이터(artificial ear simulator)에서 측정한 값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유무에 따라 혹은 어플리케이션 자체에서 계산되어 보여지는 수치에 대해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음압 강도가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소음측정계(type #2250, Bruel & Kjㅶr, Nㅶrum, Denmark)와 1/2 인치 마이크로폰(type #4192, Bruㄸel & Kjㅶr)을 사용하여 이어폰(Xiaomi PISTON 3, Beijing, China)을 통해 나오는 음압 강도는 인공 귀 시뮬레이터(type #4153, Bru el & Kjㅶr)와 2 cc 커플러(type #4946, Bruel & Kjㅶr)에 연결하여 측정될 수 있다. 더불어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들어오는 외부 소음의 값이 정확하게 표현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소음측정계와 free-field용 1/2 인치 마이크로폰 (type #4189, Bruel & Kjㅶr)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총 16단계(0~15 볼륨)로 구성된 스마트폰에서 볼륨을 한 단계씩 증가함에 따라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강도가 소음측정계를 통하여 측정되는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에서 측정하는 값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a는 음악 재생 동안 (1)소음측정계와 인공 귀 시뮬레이터에서 직접 측정 시, (2)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소음측정계와 인공 귀 시뮬레이터에서 측정 시 , (3)어플리케이션에서 측정된 수치 적용시 평균 강도(LZeq)와 소리의 최대 강도(LCpeak)가 ㅁ 5 dB 이내로 일치하는 결과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외부 소음의 측정값이 소음측정계와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스마트폰 마이크에서 측정값과 차이가 있는지 5개의 장소에서 확인한 결과 ㅁ5 dB 이내로 일치함을 도시하고 있다.
도 8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화면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살펴보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은 크게 5가지(image bar, option bar, graph view, seek bar, text view)로 구분될 수 있다. 작동 및 정지 화면의 Image bar는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에서 음량 데이터의 측정 여부를 이미지로 보여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음악을 청취할 경우 색상 버튼, 음악 정지 시 하얀 버튼으로 작동하도록 Option bar는 그래프를 출력하기 위한 기준을 선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시간별/일별/주별/월별 그래프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측정 중인 평균 음량 데이터를 이퀄라이저로 출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graph view는 음량 의 크기 및 청취 환경에 맞게 작동될 수 있으며, 안드로이드용 스마트폰의 볼륨 단계 값이 실시간으로 변화됨에 따라 달리 출력하도록 seek bar가 사용될 수 있다. 측정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의 청취 상태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text view 가 함께 표시될 수 있고, 평균 청취 음량, 최고 청취 음량, 볼륨 단계, 주변 배경 소음 강도가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a는 동작중인 상태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8b는 정지상태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옵션 바의 버튼 상태의 차이(예, 색상 차이)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를 살펴보면, 어플리케이션을 작동하여 누적된 청취 음량의 평균 및 최고 청취 음량을 시간별, 일별, 주별, 월별로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그래프로 제시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9a의 경우 시간별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으며, 시간별 그래프는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고려하여 1일을 기준으로 5:00:00 am부터 다음날 4:59:59 am까지 24시간을 1시간 단위로 총 24개의 막대그래프와 데이터로 제시될 수 있다. 도 9b에서 도시되는 일별 그래프에서는 매달 1일부터 마지막 날까지 총 31개의 데이터를 시간별과 같은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별 그래프는 매달 1주차부터 마지막 주까지 주별 평균 데이터가 제시될 수 있다. 도 9d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월별 그래프는 매년 1월에서 12월에 해당하는 각 달의 평균 음량을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달력 화면과 Setting view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달력 표기 방식을 통해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하루 동안 청취한 평균 음량 강도를 분석하여 다수개의 색(예, 3가지의 색)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인의 청취 습관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제 1색(예, 초록)은 0~50 dB SPL 이하의 강도로 안전한 청취 음량에서 음악을 청취하였음을 의미하며, 제 2색(예, 노랑)은 51~85 dB SPL 미만으로(경고 수준), 제 3색(예, 빨강)은 85 dB SPL 이상으로(위험 수준) 음악을 청취하였음을 컬러코딩으로 달리 제시하여 사용자가 개인별 청취 패턴을 스스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정보는 기 설정된 저장 정보(예, 사용자 개개인의 안드로이드에 연동되어있는 구글계정 정보)를 불러와서, text view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 결과 화면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는도 11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전송한 데이터의 평균 청취 음량, 최고 청취 음량, 볼륨 단계, 사용자 계정, 시간 데이터 항목별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는 소정의 전송 주기(예, 5초에 한번)마다 save.php 페이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구조에 맞게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입력부
140 : 표시부
150 : 오디오 모듈
160: 카메라부
170 : 제어부
171 : 출력 음량 측정부
172 : 출력 보정부
173 : 외부 소음 측정부
174 : 휴식 측정부
175 : 소음 노출량 산출부
230 : 서버의 제어부
231 : 그래프 생성부
232 : 소음 관리부
233 : 난청 판단부
234 : 적정 볼륨 추천부

Claims (11)

  1.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운드를 사용자 요청에 따른 음량의 크기로 출력하고, 외부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외부 소음을 입력받는 오디오 모듈;
    상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하에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시, 이어폰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콘텐츠의 음량 및 외부 소음의 음량 크기를 동시에 측정하며, 측정된 음량 크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소음 노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시 적정 음량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출력 음량 크기를 얻기 위해 해당 콘텐츠의 출력 음압(Sound Pressure level)을 측정하는 출력 음량 측정부;
    외부 소음의 음량 크기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의 음압(Sound Pressure level)을 측정하는 외부 소음 측정부; 및
    상기 출력 음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음압 및 외부 소음 측정부에서 측정된 음압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을 산출하는 소음 노출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노출량 산출부는
    콘텐츠 재생 시간 동안 출력되는 콘텐츠의 음압을 측정하여, 상기 재생 시간과 재생 시간 동안 출력된 음압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어폰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될 경우, 사용자의 안면이 인식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청취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안면이 인식되지 않는 기간을 휴식 기간으로 판단하는 휴식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 노출량 산출부는
    상기 휴식 측정부에서 판단한 휴식 기간이 존재하는 경우, 휴식기간 이외의 시간동안 출력된 음압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노출량 산출부는
    사용자 상기 출력 음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출력 음압에, 이어폰 형태별 계수를 적용하여 이어폰 형태에 따른 소음 노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이어폰 형태별 계수는 인공 귀 시뮬레이터(AES)에 의해 측정된 각 이어폰 형태별 인식 음량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별 적정 음량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 여부 판단하고,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출력 음량을 상기 사용자별 적정 음량으로 자동 변경하며, 상기 변경 사항을 알림으로 제공하는 출력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7.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시 출력되는 콘텐츠 사운드의 음량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별 음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 음량 정보 및 그래프를 생성하며, 표준 음량 정보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별 음량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난청 수준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난청 수준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에 기반하여 적정 음량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적정 음량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별 음량 정보를 누적하여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하되, 생성된 그래프를 평균 청취 음량, 최고 청취 음량, 볼륨 단계, 주변 배경 소음 강도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생성된 그래프를 기간 단위별로 표시되도록 제공하며, 사용자의 날짜별 청취 정보를 기반으로 위험도에 대응하는 색상을 매칭하여 개인별 청취 수준의 위험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색상 정보를 생성하는 그래프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외부 소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별 적정 음량을 산출하는 적정 볼륨 추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외부 소음 정보에 기반하여 위치별 외부 소음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소음이 발생되는 특정 위치 또는 특정 장소 구간에 접근할 시 이어폰 사용을 자제하도록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 볼륨 추천부는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재생할 시, 사운드 청취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경우, 청취 시간대 및 해당 시간대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사운드 청취 시간이 길어지는 조건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와 통신하고, 사운드를 사용자 요청에 따른 음량의 크기로 출력하고, 상기 음량 조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하에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시, 이어폰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콘텐츠의 음량 및 외부 소음의 음량 크기를 동시에 측정하며, 측정된 음량 크기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소음 노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시 적정 음량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사운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시 출력되는 콘텐츠 사운드의 음량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별 음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 음량 정보 및 그래프를 생성하며, 표준 음량 정보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별 음량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난청 수준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난청 수준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사용자의 소음 노출량에 기반하여 적정 음량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적정 음량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시스템.
KR1020180025404A 2018-03-02 2018-03-02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장치 및 시스템 KR10203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404A KR102035856B1 (ko) 2018-03-02 2018-03-02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404A KR102035856B1 (ko) 2018-03-02 2018-03-02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820A true KR20190104820A (ko) 2019-09-11
KR102035856B1 KR102035856B1 (ko) 2019-10-23

Family

ID=6794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404A KR102035856B1 (ko) 2018-03-02 2018-03-02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8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5756A (zh) * 2020-10-12 2021-01-15 安徽芯智科技有限公司 车载蓝牙声音智能控制方法
WO2021071272A1 (ko) * 2019-10-10 2021-04-1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향 노출 관리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기록 매체
CN114339544A (zh) * 2021-12-27 2022-04-12 深圳市飞科笛系统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音响的自适应音量控制系统及控制方法
WO2023085858A1 (ko) * 2020-11-11 2023-05-19 올리브유니온(주)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를 제공하는 보청 이어폰의 모드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216A (ko) * 2015-09-30 2017-04-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음향 처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180002064A (ko) * 2016-06-28 2018-01-05 (주)엠포러스 사용자 및 환경 정보 기반의 음량 최적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216A (ko) * 2015-09-30 2017-04-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음향 처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180002064A (ko) * 2016-06-28 2018-01-05 (주)엠포러스 사용자 및 환경 정보 기반의 음량 최적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272A1 (ko) * 2019-10-10 2021-04-1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향 노출 관리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기록 매체
CN112235756A (zh) * 2020-10-12 2021-01-15 安徽芯智科技有限公司 车载蓝牙声音智能控制方法
CN112235756B (zh) * 2020-10-12 2023-12-29 安徽芯智科技有限公司 车载蓝牙声音智能控制方法
WO2023085858A1 (ko) * 2020-11-11 2023-05-19 올리브유니온(주) 히어 모드 및 뮤직 모드를 제공하는 보청 이어폰의 모드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085859A1 (ko) * 2020-11-11 2023-05-19 올리브유니온(주)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339544A (zh) * 2021-12-27 2022-04-12 深圳市飞科笛系统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音响的自适应音量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4339544B (zh) * 2021-12-27 2024-08-20 深圳市飞科笛系统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音响的自适应音量控制系统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856B1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856B1 (ko) 음악성 난청 예방용 음량 조절 장치 및 시스템
US10448139B2 (en) Selective sound field environ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103565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US94684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US91381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US10750293B2 (en)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9703524B2 (en) Privacy protection in collective feedforward
US20120183164A1 (en) Social network for sharing a hearing aid setting
US11818545B2 (en) Method to acquire preferred dynamic range function for speech enhancement
US10275209B2 (en) Sharing of custom audio processing parameters
KR20160075060A (ko) 배터리 정보에 따른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7493500A (zh) 多媒体资源播放方法及装置
US20210385590A1 (en) Remotely updating a hearing aid profile
US10853025B2 (en) Sharing of custom audio processing parameters
CN113746983B (zh) 助听方法及装置、存储介质、智能终端
KR102053580B1 (ko) 사용자 청취 능력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설정하는 청능 훈련 장치
CN108810787B (zh) 基于音频设备的异物检测方法和装置、终端
US114560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dio output device type
US20150181353A1 (en) Hearing aid for playing audible advertisement or audible data
CN108270913B (zh) 一种移动终端及听力保护方法
JP2020201479A (ja) 頭部伝達関数を生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154736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iological effects of environmental sounds
EP4084500A1 (en) Electronic hearing device and method
US20190286409A1 (en) Privacy protection in collective feedforward
CN115348521A (zh) 电子听力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