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396A - Fitting connector - Google Patents

Fitting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396A
KR20190103396A KR1020197023921A KR20197023921A KR20190103396A KR 20190103396 A KR20190103396 A KR 20190103396A KR 1020197023921 A KR1020197023921 A KR 1020197023921A KR 20197023921 A KR20197023921 A KR 20197023921A KR 20190103396 A KR20190103396 A KR 20190103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unterpart
electrical connection
conductive mem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7223B1 (en
Inventor
히로타카 야마모토
고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2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8Arrangement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switch, e.g. cartridge housing
    • H01H9/085Arrangement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switch, e.g. cartridge housing contact separation effected by removing contact carry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제 1 및 제 2 단자(21,22), 및, 하우징(30)을 구비한 제 1 커넥터(11)와,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 제 1 및 제 2 상대방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도전 부재(51), 제 3 및 제 4 상대방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도전 부재(52), 및, 상대방 하우징(60)을 구비하고, 하우징과 상대방 하우징과의 사이의 삽입에 따른 상호간의 감합 상태가 완전 감합 상태일 때에, 제 1 단자에 대하여 제 1 및 제 3 상대방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함께, 제 2 단자에 대하여 제 2 및 제 4 상대방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2 커넥터(12)를 구비하며, 제 1 도전 부재는, 주 회로의 입력측 도전 부재(10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류 입력부(51c)를 갖고, 제 2 도전 부재는, 주 회로의 출력측 도전 부재(1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류 출력부(52c)를 갖는 것.To the first connector 11 having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 and 22, and the housing 30,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1-44,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part terminals. A first conductive member 5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a second conductive member 5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and a counterpart housing 60; When the mutually mating state due to insertion between the terminals is a perfect mating state, the first and third counterpart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and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or 12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has a current input portion 51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of the main circuit,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s mainly Current outpu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of the circuit And having a portion (52c).

Figure P1020197023921
Figure P1020197023921

Description

감합 커넥터Fitting connector

본 발명은 감합(嵌合)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ing connector.

종래에,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와 같은 서로 감합되는 2개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그 상호간을 감합시킴으로써 쌍방의 단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감합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감합 커넥터는, 주(主) 회로 상에 마련되고, 각각의 커넥터의 감합 상태가 해제되어 있을 때에 주 회로를 개방하여 차단시키는 한편, 각각의 커넥터가 완전 감합 상태일 때에 주 회로를 폐쇄하여 통전(通電)을 가능하게 한다. 이 감합 커넥터에 있어서는, 완전 감합 상태에서의 주 회로의 통전 경로에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의 단자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구동원으로서의 회전기를 구비한 차량(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차 등)에 있어서는, 전원 장치의 전력을 회전기에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의 주 회로(전원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이 종류의 차량에서 점검 작업이나 구원 작업을 행할 때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하여, 우선은 전원 회로를 차단시킨다. 이 때문에, 이 차량에는, 전원 회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감합 커넥터(서비스 플러그라고 불리는 전원 회로 개폐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특허문헌 1).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 conventionally known fitting connector is provided with two connectors fitted to each other such as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nd the two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fitting each other. The fitting connector is provided on the main circuit to open and shut off the main circuit when the mating state of each connector is released, while closing the main circuit when each connector is in a fully mating state. Enable (通電). In this fitting connector, the terminals of each connector are arranged in series in the energization path of the main circuit in the fully fitted state. For example, in a vehicle (electric vehicle, hybrid car, etc.) provided with a rotor as a drive source, a high voltage main circuit (power circu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of a power supply device to a rotor is provided. When performing the inspection work or the salvation work in this kind of vehicle, the power supply circuit is first interrupted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For this reason, this vehicle is provided with a fitting connector (power supply circuit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called a service plu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supply circuit (patent document 1).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3-109944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109944

그런데, 감합 커넥터에 있어서는, 통전에 따른 발열에 견딜 수 있도록, 주 회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각각의 커넥터의 단자의 허용 전류가 정해지고, 그 허용 전류에 기초한 단자가 마련된다. 단자의 허용 전류는, 주 회로를 흐르는 전류가 커질수록 커진다. 종래의 감합 커넥터에 있어서는, 통전 경로 상의 단자의 배치가 직렬이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주 회로를 흐르는 전류가 커질수록, 각각의 단자의 통전 경로에 대한 직교 방향의 단면적을 확장하여, 내구성을 담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감합 커넥터는, 내구성을 확보하는 면에서, 그 수법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By the way, in the fitting connector,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terminal of each connect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a main circuit, and the terminal based on the allowable current is provided so that the heat generation by electricity may endure.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terminal increases a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in circuit increases. In the conventional mating connector, since the arrangement of terminals on the conduction path is in series, for example, a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in circuit increases,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ortho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duction path of each terminal is expanded to provide durability. Secur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fitting connector ha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method of ensuring durability.

그래서, 본 발명은, 내구성을 용이하게 담보할 수 있는 감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n,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fitting connector which can ensure the durability easi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및,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를 보지(保持)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제 1 커넥터와,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 상기 제 1 상대방 단자 및 상기 제 2 상대방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도전 부재, 상기 제 3 상대방 단자 및 상기 제 4 상대방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도전 부재, 및, 적어도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를 보지하는 상대방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방 하우징 사이의 삽입에 따른 상호간의 감합 상태가 완전 감합 상태일 때에, 상기 제 1 단자에 대하여 상기 제 1 상대방 단자 및 상기 제 3 상대방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단자에 대하여 상기 제 2 상대방 단자 및 상기 제 4 상대방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도전 부재는, 주 회로의 입력측 도전 부재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류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 2 도전 부재는, 상기 주 회로의 출력측 도전 부재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류 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achieve the said objective, this invention is a 1st connector provided with the 1st terminal and the 2nd terminal, and the housing which hold | maintains the said 1st terminal and said 2nd terminal, and 1st-4th A first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a second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and at least A counterpart housing holding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wherein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first terminal when the mating stat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unterpart housing is fully fitted;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terminal. The key has a second connector,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has a current inpu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of the main circuit,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of the main circui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urrent output part to be connected.

여기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상대방 단자의 제 1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제 3 상대방 단자의 제 1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출력측 전기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상대방 단자의 제 1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제 4 상대방 단자의 제 1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출력측 전기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 1 도전 부재는, 상기 제 1 상대방 단자의 제 2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제 2 상대방 단자의 제 2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 2 도전 부재는, 상기 제 3 상대방 단자의 제 2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제 4 상대방 단자의 제 2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terminal is an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which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and an output side which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has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and an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that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and physically and electrically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An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to be connected,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includes a fir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fo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o a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and a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A second input side electrical contact which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has a fir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which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and a phys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have a 2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made to connect with.

또, 상기 전류 입력부와 상기 전류 출력부 사이에서는, 상기 제 1 도전 부재와 상기 제 1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3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2 도전 부재를 거쳐 전류가 흐르는 제 1 통전 경로와, 상기 제 1 도전 부재와 상기 제 2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와 상기 제 4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2 도전 부재를 거쳐 전류가 흐르는 제 2 통전 경로가 병렬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부재는, 상기 제 1 통전 경로의 저항값과 상기 제 2 통전 경로의 저항값이 동일한 값이 되도록 형성 및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etween the current input unit and the current output unit, a first conduction path through which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nd a second conduction path through which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nd is provided in parallel.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members are preferably formed and arranged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conducting path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conducting path are the same. Do.

또,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를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고,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를 각각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고, 또한, 상기 제 1 도전 부재와 상기 제 2 도전 부재를 동일 형상으로 성형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부재는, 상기 제 1 통전 경로의 경로 길이와 상기 제 2 통전 경로의 경로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said 1st terminal and the said 2nd terminal are shape | molded in the same shape, Furthermore, the said 1st-4th counterpart terminal is shape | molded in the same shape,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said 1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aid 2nd conductive member are made When molded into the same shap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members each include a path length of the first conducting path and a path of the second conducting path.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so that length may become the same.

또, 상기 주 회로는, 구동원으로서의 회전기를 구비한 차량에 마련된 회로이며, 전원 장치의 전력을 상기 회전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main circuit is a circuit provided in the vehicle provided with the rotating machine as a drive source, and is a power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of a power supply device to the said rotating machine.

본 발명에 관련된 감합 커넥터는, 완전 감합 상태일 때의 전류 입력부와 전류 출력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제 1 도전 부재와 제 1 상대방 단자와 제 1 단자와 제 3 상대방 단자와 제 2 도전 부재를 거쳐 전류가 흐르는 통전 경로(제 1 통전 경로)와, 제 1 도전 부재와 제 2 상대방 단자와 제 2 단자와 제 4 상대방 단자와 제 2 도전 부재를 거쳐 전류가 흐르는 통전 경로(제 2 통전 경로)가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감합 커넥터는, 예를 들면, 주 회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변화가 없는 경우, 종래와 같은 직렬 회로의 것과 비교하여, 제 1 통전 경로와 제 2 통전 경로에 흐르는 전류가 작아지므로, 제 1 통전 경로를 이루는 제 1 단자 등의 부품이나 제 2 통전 경로를 이루는 제 2 단자 등의 부품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그 부품의 허용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이 감합 커넥터는, 주 회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2배 미만으로 크게 하는 경우이더라도, 직렬 회로를 흐르는 전류보다 제 1 통전 경로와 제 2 통전 경로에 흐르는 전류 쪽이 작으므로, 제 1 통전 경로를 이루는 부품과 제 2 통전 경로를 이루는 부품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그 부품의 허용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이 감합 커넥터는, 커진 전류가 2배 이내이면, 직렬 회로를 흐르는 전류보다 제 1 통전 경로와 제 2 통전 경로에 흐르는 전류 쪽이 작으므로, 종래의 직렬 회로를 이루는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함으로써,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제 1 통전 경로와 제 2 통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감합 커넥터는, 커진 전류가 2배를 넘었다고 하더라도, 직렬 회로를 흐르는 전류보다 제 1 통전 경로와 제 2 통전 경로에 흐르는 전류 쪽이 작으므로, 제 1 통전 경로를 이루는 부품과 제 2 통전 경로를 이루는 부품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그 부품의 허용 전류가 커지는 것을 최소한에 그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감합 커넥터는, 예를 들면, 현상(現狀)의 적용 차량에 대하여, 주 회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변화되었다고 하더라도, 내구성을 용이하게 담보할 수 있다.The fitt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conductive member, a first counterpart terminal, a first terminal, a third counterpart terminal, and a second conductive member between the current input section and the current output section in a fully fitted state. An energization path (first energization path) through which current flows, and an electric current path (second energization path) through which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re provided in parallel. For this reason,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a main circuit, for example, this fitting connector becomes small compared with the thing of a conventional series circuit, since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in a 1st electricity supply path and a 2nd electricity supply path becomes small.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component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first terminal constituting the first conduction path and the components such as the second terminal constituting the second conduction path. Moreover, even if this fitting connector increases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a main circuit to less than 2 times, since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in a 1st electricity supply path and a 2nd electricity supply path is smaller than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a series circuit,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component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component forming the path and the component forming the second conducting path. In addition, this fitting connector is smaller tha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ries circuit when the increased current is less than 2 times,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ng paths is smaller. By using it, a 1st electricity supply path | route and a 2nd electricity supply path | route can be formed, without reducing durability. In addition, even if the increased current exceeds two tim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ng paths is smaller tha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ries circuit, so that the components forming the first conducting path and the second are smaller.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conduction path,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components can be minimized. Thus, this fitting connector can easily ensure durability, even if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a main circuit changes,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application vehicle of a phenomenon.

도 1은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감합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감합 해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완전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완전 감합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감합 커넥터가 구비하는 도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감합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감합 커넥터가 구비하는 도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완전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감합 커넥터가 구비하는 도전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완전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제 1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커넥터를 커넥터 감합시의 개구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2 커넥터를 커넥터 감합시의 개구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감합 커넥터가 구비하는 도전 부재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완전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감합 커넥터가 구비하는 도전 부재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완전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disengagement state of the 1st and 2nd connector in the fitting connector of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decoupled from each other in the fitt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fully fitted state of the 1st and 2nd connector in the fitting connector of embodime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lly fitt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n the fitting connector of the embodiment as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ductive member included in the fitting connector, illustrating a fitting release state.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ductive member included in the fitting connector, illustrating a fully fitted state.
7 is a plan view of the conductive member included in the fitting connector, illustrating a fully fitted stat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nector.
9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onnector seen from the opening side when the connector is fitted.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viewed from another angle.
It is a top view which looked at the opening side at the time of connector fitting of a 2nd connector.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electrically-conductive member with which a fitting connector is equipped, and has shown the complete fitting state.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electrically-conductive member with which a fitting connector is equipped, and has shown the complete fitting state.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된 감합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embodiment of the fitting connec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실시 형태][Embodiment]

본 발명에 관련된 감합 커넥터의 실시 형태 중 하나를 도 1 내지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One embodiment of the fitting connec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S.

도 1 내지 도 4의 부호 1은, 본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 회로의 통전 경로 상에서 회로 개폐 장치로서 이용되는 감합 커넥터(1)에 대하여 예시한다. 감합 커넥터(1)는, 완전 감합 상태(도 3 및 도 4)와 감합 해제 상태(도 1 및 도 2)를 전환함으로써, 주 회로를 개폐시킨다. 이 감합 커넥터(1)는, 그 주 회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전 부재(후술하는 제 1 단자(21) 등)를 구비하고 있다(도 5 및 도 6). 여기서는, 구동원으로서의 회전기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도시 생략)을 예로 든다. 이 예시의 주 회로란, 그 차량에 마련된 회로이며,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원 장치의 전력을 회전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이다. 이 예시의 감합 커넥터(1)란, 그 고전압의 전원 회로의 급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전원 회로 개폐 장치(소위 서비스 플러그)를 가리킨다.The code | symbol 1 of FIG. 1 thru | or 4 shows the fitting connector of this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fitting connector 1 used as a circuit switching device on the electricity supply path of a main circuit is illustrated. The fitting connector 1 opens and closes the main circuit by switching between a fully engaged state (FIGS. 3 and 4) and a decoupled state (FIGS. 1 and 2). This fitting connector 1 is equipped with the electrically-conductive member (1st terminal 21 etc. which are mentioned la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circuit (FIGS. 5 and 6). Here, the vehicle (not shown), such as an electric vehicle provided with the rotating machine as a drive source, is taken as an example. The main circuit of this example is a circuit provided in the vehicle, and is a power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of the power supply device in the drive system to the rotor. The fitting connector 1 of this example refers to the power supply circuit switchgear (what is called a service plug) arrange | positioned on the power supply path of the high voltage power supply circuit.

이 감합 커넥터(1)는, 주 회로에 있어서의 급전시의 전류 입력측(즉, 전원 장치측)의 도전 부재(이하, 「입력측 도전 부재」라고 한다.)(101)와, 주 회로에 있어서의 급전시의 전류 출력측(즉, 회전기측)의 도전 부재(이하, 「출력측 도전 부재」라고 한다.)(102)의 사이에 배치한다(도 5). 그 입력측 도전 부재(101)와 출력측 도전 부재(102)는 예를 들면, 단자 금속 도구이다. 입력측 도전 부재(101)에는, 전원 장치측의 전선(10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측 도전 부재(102)에는, 회전기측의 전선(10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fitting connector 1 is a conductive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put-side conductive member") 101 at the current input side (i.e., the power supply side) at the time of power feeding in the main circuit. It arrange | positions betwee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embers (henceforth an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of the electric current output side (namely, the rotor side) at the time of electric power feeding (FIG. 5).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and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are, for example, terminal metal tools. The electric wire 103 on the power supply device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Moreover, the electric wire 104 of the rotor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electrically-conductive member 102. FIG.

감합 커넥터(1)는, 상호간에서 감합 가능한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를 구비하고(도 1 내지 도 4), 이들이 감합 해제 상태일 때에 주 회로를 개방하여 차단시키는 한편, 이들이 완전 감합 상태일 때에 주 회로를 폐쇄하여 통전을 가능하게 한다.The fitting connector 1 includes a first connector 11 and a second connector 12 that can be mutually fitted (FIGS. 1 to 4), and open and cut off the main circuit when they are in the de-engaged state. When they are fully engaged, the main circuit is closed to enable energization.

제 1 커넥터(11)는, 제 1 단자(21)와 제 2 단자(22)를 구비한다(도 5 내지 도 9). 또한, 이 제 1 커넥터(11)는, 제 1 단자(21) 및 제 2 단자(22)를 보지하는 하우징(30)을 구비한다(도 8 및 도 9).The 1st connector 11 is equipped with 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22 (FIGS. 5-9). Moreover, this 1st connector 11 is equipped with the housing 30 holding 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22 (FIGS. 8 and 9).

한편, 제 2 커넥터(12)는,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를 구비한다(도 5 및 도 10 내지 도 12). 또한, 이 제 2 커넥터(12)는, 제 1 상대방 단자(41) 및 제 2 상대방 단자(4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도전 부재(51)와, 제 3 상대방 단자(43) 및 제 4 상대방 단자(4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도전 부재(52)를 구비한다. 또한, 이 제 2 커넥터(12)는, 적어도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를 보지하는 상대방 하우징(60)을 구비한다(도 10 내지 도 12). 이 제 2 커넥터(12)는, 제 1 커넥터(11)의 하우징(30)과 상대방 하우징(60) 사이의 삽입에 따른 상호간의 감합 상태가 완전 감합 상태일 때에, 제 1 단자(21)에 대하여 제 1 상대방 단자(41) 및 제 3 상대방 단자(43)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함께, 제 2 단자(22)에 대하여 제 2 상대방 단자(42) 및 제 4 상대방 단자(44)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도 6).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nector 12 includes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1-44 (FIGS. 5 and 10 to 12).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12 includes a first conductive member 5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41 and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42, a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and a first counterpart terminal 43.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44 is provided. Moreover, this 2nd connector 12 is equipped with the counterpart housing 60 holding the at least 1st-4th counterpart terminal 41-44 (FIGS. 10-12). The second connector 12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erminal 21 when the mating state between the housing 30 and the counterpart housing 60 of the first connector 11 is completely fitted.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41 and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42 and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4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22. (FIG. 6).

본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1)에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 사이의 감합 작업과 발거(拔去)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위 LIF 커넥터로서의 구성을 갖게 한다. 이 때문에,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 사이에는, 그 감합 작업과 발거 작업을 보조하는 소위 LIF 레버로서의 레버 부재(70)가 마련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4, 도 8 및 도 9).The fitting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as a so-called LIF connector in order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fitting operation and the extraction opera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12. do. For this reason, between the 1st connector 11 and the 2nd connector 12, the lever member 70 as a so-called LIF lever which assists the fitting operation and the extraction operation is provided (FIGS. 1-4, 8, and 9).

이하에, 이들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의 구체예를 나타낸다.Below, the specific example of these 1st connector 11 and the 2nd connector 12 is shown.

제 1 단자(21)는, 입력측 도전 부재(101)와 출력측 도전 부재(102) 사이에서, 입력측 도전 부재(10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접속부(이하, 「입력측 전기 접속부」라고 한다.)(21a)와, 출력측 도전 부재(1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접속부(이하, 「출력측 전기 접속부」라고 한다.)(21b)를 갖는다(도 5). 또한, 이 제 1 단자(21)는, 그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부(21c)를 갖는다.The first terminal 21 is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to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between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and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 21a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21b) (FIG. 5). Moreover, this 1st terminal 21 has the connection part 21c which electrically connects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1a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1b.

제 2 단자(22)는, 입력측 도전 부재(101)와 출력측 도전 부재(102) 사이에서, 입력측 도전 부재(10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접속부(이하, 「입력측 전기 접속부」라고 한다.)(22a)와, 출력측 도전 부재(1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 접속부(이하, 「출력측 전기 접속부」라고 한다.)(22b)를 갖는다(도 5). 또한, 이 제 2 단자(22)는, 그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부(22c)를 갖는다.The second terminal 22 is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to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between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and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 22a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22b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FIG. 5). Moreover, this 2nd terminal 22 has the connection part 22c which electrically connects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a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b.

제 1 단자(21)와 제 2 단자(22)는, 각각,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성형된 1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성형된 복수의 부품의 조립체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전자의 경우, 제 1 단자(21)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와 연결부(21c)가 일체로 되도록, 금속판을 모재로 하여 프레스 성형한다. 또, 제 2 단자(22)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와 연결부(22c)가 일체로 되도록, 금속판을 모재로 하여 프레스 성형한다. 한편, 후자의 경우, 제 1 단자(21)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와 연결부(21c)를 각각 개별의 부품으로서 성형하고, 이 3 부품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다. 또, 제 2 단자(22)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와 연결부(22c)를 각각 개별의 부품으로서 성형하고, 이 3 부품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의 단부끼리를 연결부(21c)에 의해 연결한 コ자 형상의 전자의 프레스 성형품으로서, 제 1 단자(21)를 준비함과 함께,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의 단부끼리를 연결부(22c)에 의해 연결한 コ자 형상의 전자의 프레스 성형품으로서, 제 2 단자(22)를 준비한다. 이와 같이, 이 예시에서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 22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 22b)가 각각 수 단자(소위 수 탭)로서 형성되어 있다. 단, 그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 22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 22b)는, 상대방이 수 단자이면, 암 단자로서 형성해도 된다.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22 may respectively consist of one component shape | molded by electro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and may be an assembly of several components shape | molded by electro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For example, in the former case, the first terminal 21 is press-molded using a metal plate as a base material so that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a,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b and the connecting portion 21c are integrated. Moreover, the 2nd terminal 22 is press-molded using the metal plate as a base material so that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a,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b, and the connection part 22c may be integr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the first terminal 21 forms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a,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b and the connecting portion 21c as separate components, respectively, and assembles and integrates these three components. Moreover, the 2nd terminal 22 shape | molds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a,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b, and the connection part 22c as separate components, respectively, and assembles and integrates these three component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21 is prepared as a U-shaped electron press-molded product in which end portions of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a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b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21c. The 2nd terminal 22 is prepared as a U-shaped former press-molded product which connected the edge part of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a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b with the connection part 22c. As described above, in this example, the input electrical contacts 21a and 22a and the output electrical contacts 21b and 22b are formed as male terminals (so-called male taps), respectively. However,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s 21a and 22a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s 21b and 22b may be formed as female terminals as long as the counterpart is a male terminal.

본 실시 형태의 제 1 단자(21)와 제 2 단자(22)는, 각각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여, 동일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22 of this embodiment are shape | molded in the same shape, respectively, and the same thing is used.

제 1 상대방 단자(41)는, 제 1 단자(21)의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전기 접속부(41a)와, 입력측 도전 부재(10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2 전기 접속부(41b)를 갖는다(도 5 내지 도 7). 이 예시의 제 1 전기 접속부(41a)는, 제 1 단자(21)의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에 감합시킴으로써, 이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예시에서는, 이 제 1 전기 접속부(41a)를 암 단자로서 형성하고 있다. 단, 제 1 전기 접속부(41a)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가 암 단자이면, 수 단자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제 2 전기 접속부(41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도전 부재(51)를 개재함으로써, 입력측 도전 부재(10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41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1a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1 to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Has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41b (FIGS. 5-7).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1a of this example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a by fitting to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1. In this example, this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1a is formed as a female terminal. However, as long as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1a is a female terminal, you may form the 1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41a as a male terminal.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1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by interposing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as described later.

제 2 상대방 단자(42)는, 제 2 단자(22)의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전기 접속부(42a)와, 입력측 도전 부재(10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2 전기 접속부(42b)를 갖는다(도 5 내지 도 7). 이 예시의 제 1 전기 접속부(42a)는, 제 2 단자(22)의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에 감합시킴으로써, 이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예시에서는, 이 제 1 전기 접속부(42a)를 암 단자로서 형성하고 있다. 단, 제 1 전기 접속부(42a)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가 암 단자이면, 수 단자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제 2 전기 접속부(42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도전 부재(51)를 개재함으로써, 입력측 도전 부재(10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42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2a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a of the second terminal 22 and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Has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42b (FIGS. 5-7).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2a of this example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a by fitting to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a of the second terminal 22. In this example, this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2a is formed as a female terminal. However, as long as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a is a female terminal, you may form the 1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42a as a male terminal.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2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by interposing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as described later.

제 3 상대방 단자(43)는, 제 1 단자(21)의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전기 접속부(43a)와, 출력측 도전 부재(1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2 전기 접속부(43b)를 갖는다(도 7). 이 예시의 제 1 전기 접속부(43a)는, 제 1 단자(21)의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에 감합시킴으로써, 이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예시에서는, 이 제 1 전기 접속부(43a)를 암 단자로서 형성하고 있다. 단, 제 1 전기 접속부(43a)는,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가 암 단자이면, 수 단자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제 2 전기 접속부(43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도전 부재(52)를 개재함으로써, 출력측 도전 부재(1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3a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b of the first terminal 21 to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Has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43b (FIG. 7).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3a in this example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b by fitting to the outpu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b of the first terminal 21. In this example, this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3a is formed as a female terminal. However, as long as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1b is a female terminal, you may form the 1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43a as a male terminal.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3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by interposing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as described later.

제 4 상대방 단자(44)는, 제 2 단자(22)의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전기 접속부(44a)와, 출력측 도전 부재(1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2 전기 접속부(44b)를 갖는다(도 5 내지 도 7). 이 예시의 제 1 전기 접속부(44a)는, 제 2 단자(22)의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에 감합시킴으로써, 이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예시에서는, 이 제 1 전기 접속부(44a)를 암 단자로서 형성하고 있다. 단, 제 1 전기 접속부(44a)는,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가 암 단자이면, 수 단자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제 2 전기 접속부(44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도전 부재(52)를 개재함으로써, 출력측 도전 부재(1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4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4a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b of the second terminal 22 to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Has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44b (FIGS. 5-7).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4a in this example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b by fitting to the outpu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b of the second terminal 22. In this example, this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4a is formed as a female terminal. However, as long as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b is a female terminal, you may form the 1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44a as a male terminal.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4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by interposing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as described later.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는, 제 1 단자(21)나 제 2 단자(22)와 같이, 각각,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성형된 1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성형된 복수의 부품의 조립체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전자의 경우,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는, 제 1 전기 접속부(41a-44a)와 제 2 전기 접속부(41b-44b)가 일체로 되도록, 금속판을 모재로 하여 프레스 성형한다. 한편, 후자의 경우,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는, 제 1 전기 접속부(41a-44a)와 제 2 전기 접속부(41b-44b)를 각각 개별의 부품으로서 성형하고, 이 2 부품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전기 접속부(41a-44a)와 제 2 전기 접속부(41b-44b)를 L자 형상으로 배치한 전자의 프레스 성형품으로서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를 준비한다.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1-44 may be made of one component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respectively, like the first terminal 21 and the second terminal 22, or the like. It may be an assembly of a plurality of parts molded of the conductiv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former case,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1-44 have a metal plate as a base material so that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s 41a-44a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s 41b-44b are integrated. Press molding.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1-44 form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s 41a-44a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s 41b-44b as separate components, respectively. Assemble and integrate part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1-44 are prepared as electronic press-molded products in which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s 41a-44a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s 41b-44b are disposed in an L shape. do.

본 실시 형태의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는, 각각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여, 동일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The 1st-4th counterpart terminals 41-44 of this embodiment are shape | molded in the same shape, respectively, and the same thing is used.

제 1 도전 부재(51)는, 제 1 상대방 단자(41)와 제 2 상대방 단자(42)와 입력측 도전 부재(10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성형한다. 이 제 1 도전 부재(51)는, 제 1 상대방 단자(41)의 제 2 전기 접속부(41b)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와, 제 2 상대방 단자(42)의 제 2 전기 접속부(42b)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를 갖는다(도 2 및 도 4 내지 도 7). 또한, 이 제 1 도전 부재(51)는, 입력측 도전 부재(10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류 입력부(51c)를 갖는다. 제 1 도전 부재(51)는,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와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또한, 그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와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 중 어느 일방(一方)과 서로 이웃하여 전류 입력부(51c)가 배치되도록 성형한다. 여기서는, 금속판을 모재로 한 프레스 성형품을 이용한다. 이 예시의 제 1 도전 부재(51)는, 전류 입력부(51c),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의 순서로 나란히 배치한다. 여기서는, 전류 입력부(51c)와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와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를 일렬로 나란히 놓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제 1 도전 부재(51)에 있어서는, 급전시에, 전류 입력부(51c),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의 순서로 전류가 흐른다.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41,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42, and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is formed of the fir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1a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1b of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41 and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42. It has the 2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b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respect to the 2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42b (FIGS. 2 and 4-7). Moreover, this 1st conductive member 51 has the electric current input part 51c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respect to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As shown in FIG. I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the first input side electrical contact 51a and the second input side electrical contact 51b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input side electrical contact 51a and the second input side electrical contact portion are arranged. It is shape | molded so that the electric current input part 51c may be arrange | positioned adjacent to any one of 51b. Here, the press-molded product which used the metal plate as a base material is used. The 1st conductive member 51 of this example is arrange | positioned side by side in order of the electric current input part 51c, the 1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a, and the 2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b. Here, the current input part 51c, the 1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a, and the 2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b are lined up in a line. For this reason, in this 1st electroconductive member 51, an electric current flows in order of the electric current input part 51c, the 1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a, and the 2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b at the time of electric power feeding.

이 예시에서는, 제 2 전기 접속부(41b)와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를 나사 고정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함께, 제 2 전기 접속부(42b)와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를 나사 고정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때문에, 제 2 전기 접속부(41b)와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와 제 2 전기 접속부(42b)와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에는, 각각, 볼트 등의 수나사 부재(B1)를 삽통(揷通)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41b1, 51a1, 42b1, 51b1)이 형성되어 있다(도 10 및 도 11). 여기서는, 각각의 수나사 부재(B1)에 대응시킨 암나사 부재(N1)가 상대방 하우징(60)에 하나씩 보지되어 있고(도 11), 암나사 부재(N1)와 수나사 부재(B1)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제 2 전기 접속부(41b)와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함께, 제 2 전기 접속부(42b)와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또한, 그 제 2 전기 접속부(41b)와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와 제 2 전기 접속부(42b)와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를 상대방 하우징(60)에 고정시킨다. 또, 이 예시에서는, 입력측 도전 부재(101)와 전류 입력부(51c)에 대해서도, 나사 고정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예를 들면, 여기서는, 전류 입력부(51c)에 스탯볼트 등의 수나사 부재(B2)를 장착하고(도 5 및 도 6), 그 수나사 부재(B2)를 삽통시키는 소위 환(丸) 단자로서 입력측 도전 부재(101)를 성형한다. 입력측 도전 부재(101)와 전류 입력부(51c)는,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 부재를 수나사 부재(B2)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In this example,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1b and the fir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1a ar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screwing,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2b and the seco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1b are connected. Screwed to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For this reason, male screw members, such as a bolt, are inserted into the 2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41b, the 1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a, the 2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42b, and the 2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b, respectively. Through-holes 41b 1 , 51a 1 , 42b 1 , 51b 1 for forming a hole are formed (FIGS. 10 and 11). Here, the female screw member N1 corresponding to each male screw member B1 is held by the other housing 60 one by one (FIG. 11), and the female screw member N1 and the male screw member B1 are screwed togethe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1b and the first input-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1a, and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2b and the second input-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1b;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portion 41b, the first input side electrical contact portion 51a,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portion 42b, and the second input side electrical contact portion 51b are fixed to the other housing 60. In this example,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and the current input part 51c are also screwed and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For example, here, as the so-called ring terminal which mounts the male screw member B2 such as a stat bolt to the current input part 51c (FIGS. 5 and 6), and inserts the male screw member B2, the input side conduction is conducted. The member 101 is molded.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1 and the current input unit 51c ar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screwing a female screw member (not shown) to the male screw member B2.

여기서, 이 예시의 제 1 도전 부재(51)는,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를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로서 이용하고, 또한,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를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성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제 1 도전 부재(51)에 있어서는, 급전시에, 전류 입력부(51c),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의 순서로 전류를 흐르게 할 수도 있다.Here, the 1st conductive member 51 of this example uses the 1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a as a 2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b, and also uses the 2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b of a 1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It is shape | molded so that it may be used as the connection part 51a. For this reason, in this 1st conductive member 51, electric current can also flow in order of the electric current input part 51c, the 2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b, and the 1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a at the time of electric power feeding. .

제 2 도전 부재(52)는, 제 3 상대방 단자(43)와 제 4 상대방 단자(44)와 출력측 도전 부재(1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성형한다. 이 제 2 도전 부재(52)는, 제 3 상대방 단자(43)의 제 2 전기 접속부(43b)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와, 제 4 상대방 단자(44)의 제 2 전기 접속부(44b)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를 갖는다(도 2 및 도 4 내지 도 7). 또한, 이 제 2 도전 부재(52)는, 출력측 도전 부재(1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류 출력부(52c)를 갖는다. 제 2 도전 부재(52)는,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와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또한, 그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와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 중 어느 일방과 서로 이웃하여 전류 출력부(52c)가 배치되도록 성형한다. 여기서는, 금속판을 모재로 한 프레스 성형품을 이용한다. 이 예시의 제 2 도전 부재(52)는,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 전류 출력부(52c)의 순서로 나란히 배치한다. 여기서는,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와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와 전류 출력부(52c)를 일렬로 나란히 놓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제 2 도전 부재(52)에 있어서는, 급전시에,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에 흘러 온 전류가,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를 개재하여 전류 출력부(52c)로 흘러 간다.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44, and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includes a fir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2a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3b of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and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44. It has the 2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b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respect to the 2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44b (FIGS. 2 and 4-7). 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has a current output unit 52c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In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the fir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2a and the seco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2b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2a and the seco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 It is shape | molded so that the current output part 52c may be arrange | positioned adjacent to any one of 52b). Here, the press-molded product which used the metal plate as a base material is used. The 2nd electroconductive member 52 of this example is arrange | positioned side by side in order of the 1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a, the 2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b, and the current output part 52c. Here, the 1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a, the 2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b, and the current output part 52c are arranged side by side. For this reason, in this 2nd electroconductive member 52,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ed into the 1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a at the time of electric power feeding to the current output part 52c via the 2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b. Flows.

이 예시에서는, 제 2 전기 접속부(43b)와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를 나사 고정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함께, 제 2 전기 접속부(44b)와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를 나사 고정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때문에, 제 2 전기 접속부(43b)와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와 제 2 전기 접속부(44b)와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에는, 각각, 수나사 부재(B1)를 삽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43b1, 52a1, 44b1, 52b1)이 형성되어 있다(도 11). 여기서는, 그 각각의 수나사 부재(B1)에 대응시킨 암나사 부재(N1)에 대해서도 상대방 하우징(60)에 보지되어 있고, 암나사 부재(N1)와 수나사 부재(B1)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제 2 전기 접속부(43b)와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함께, 제 2 전기 접속부(44b)와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를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또한, 그 제 2 전기 접속부(43b)와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와 제 2 전기 접속부(44b)와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를 상대방 하우징(60)에 고정시킨다. 또, 이 예시에서는, 출력측 도전 부재(102)와 전류 출력부(52c)에 대해서도, 나사 고정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예를 들면, 여기서는, 전류 출력부(52c)에 스탯볼트 등의 수나사 부재(B2)를 장착하고(도 5 및 도 6), 그 수나사 부재(B2)를 삽통시키는 소위 환 단자로서 출력측 도전 부재(102)를 성형한다. 출력측 도전 부재(102)와 전류 출력부(52c)는,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 부재를 수나사 부재(B2)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In this example,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3b and the fir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2a are screwed to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4b and the seco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2b are connected. Screwed to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For this reason, the penetration through which the external thread member B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3b, the fir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2a,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4b, and the seco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52b, respectively. Holes 43b 1 , 52a 1 , 44b 1 , 52b 1 are formed (FIG. 11). Here, the female screw member N1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le screw members B1 is also held by the counterpart housing 60,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y screwing the female screw member N1 and the male screw member B1 togethe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43b and the first output-side electrical contact 52a, and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electrical contact 44b and the second output-side electrical contact 52b. The 2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43b, the 1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a, the 2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44b, and the 2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b are fixed to the other housing 60. A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and the current output portion 52c are also screwed and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here, as the so-called ring terminal for attaching a male screw member B2 such as a stat bolt to the current output part 52c (FIGS. 5 and 6), and inserting the male screw member B2,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 102).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and the current output unit 52c are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crewing the female screw member (not shown) to the male screw member B2.

여기서, 이 예시의 제 2 도전 부재(52)는,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를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로서 이용하고, 또한,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를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성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제 2 도전 부재(52)에 있어서는, 급전시에,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에 흘러 온 전류를,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를 개재하여 전류 출력부(52c)에 흐르게 할 수도 있다.Here,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in this example uses the first output side electrical contact 52a as the second output side electrical contact 52b and further uses the second output side electrical contact 52b for the first output side electrical. It is shape | molded so that it may be used as the connection part 52a. For this reason, in this 2nd electroconductive member 52,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ed into the 2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b at the time of power supply is sent to the current output part 52c via the 1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2a. You can also make it flow.

본 실시 형태의 제 1 도전 부재(51)와 제 2 도전 부재(52)는, 각각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여, 동일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The 1st conductive member 51 and the 2nd conductive member 52 of this embodiment are shape | molded in the same shape, respectively, and the same thing is used.

하우징(30)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성형한다. 이 하우징(30)은, 제 1 단자(21)를 수용 및 보지하는 제 1 단자 수용실(31)과, 제 2 단자(22)를 수용 및 보지하는 제 2 단자 수용실(32)을 갖는다(도 2 및 도 9). 여기서, 이 하우징(30)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단자(21, 22)의 각각의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 22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 22b)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제 1 단자(21)와 제 2 단자(22)를 나란히 놓은 상태에서 수용한다. 제 1 단자 수용실(31)과 제 2 단자 수용실(32)은, 그 제 1 단자(21)와 제 2 단자(22)의 배치가 가능해지도록, 각각, 하우징(30)의 주체(33)의 내방(內方)에 형성한다.The housing 30 is molded from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This housing 30 has the 1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1 which accommodates and hold | maintains 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2 which accommodates and hold | maintains the 2nd terminal 22 ( 2 and 9). Here, in this housing 30,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s 21a and 22a of the 1st and 2nd terminal 21 and 22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s 21b and 22b are arrange | positioned in grid | lattice form, 1st The terminal 21 and the second terminal 22 are accommodated side by side. The main terminal 33 of the housing 30 is respectively provided so that 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22 can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1st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31 and the 2nd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32. As shown in FIG. It forms in the room of.

제 1 단자 수용실(31)은, 제 1 단자(21)를 수용한 상태에서, 이 제 1 단자(21)의 적어도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를 노출시키는 개구(31a)를 갖는다(도 2). 이 예시에서는, 그 개구(31a)로부터 제 1 상대방 단자(41)의 제 1 전기 접속부(41a)와 제 3 상대방 단자(43)의 제 1 전기 접속부(43a)가 제 1 단자 수용실(31)의 실내에 삽입되고, 그 실내에서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와 제 1 전기 접속부(41a)를 감합시킴과 함께,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와 제 1 전기 접속부(43a)를 감합시킨다.The opening 31a which exposes at least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1a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1b of this 1st terminal 21 in the state in which the 1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1 accommodated the 1st terminal 21 was carried out. ) (FIG. 2). In this example,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1a of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41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3a of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1 from the opening 31a. Of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21a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1a,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21b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3a.

또, 제 2 단자 수용실(32)은, 제 2 단자(22)를 수용한 상태에서, 이 제 2 단자(22)의 적어도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를 노출시키는 개구(32a)를 갖는다(도 2). 이 예시에서는, 그 개구(32a)로부터 제 2 상대방 단자(42)의 제 1 전기 접속부(42a)와 제 4 상대방 단자(44)의 제 1 전기 접속부(44a)가 제 2 단자 수용실(32)의 실내에 삽입되고, 그 실내에서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와 제 1 전기 접속부(42a)를 감합시킴과 함께,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와 제 1 전기 접속부(44a)를 감합시킨다.Moreover, the opening which exposes at least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a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b of this 2nd terminal 22 is the 2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2 in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2nd terminal 22. As shown in FIG. It has 32a (FIG. 2). In this example,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2a of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42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4a of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44 ar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2 from the opening 32a. Is inserted into the room, and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a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2a are fitted together,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b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4a are fitted.

이 예시의 하우징(30)에 있어서는, 주체(33)가 방체(方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방에 방체 형상의 제 1 단자 수용실(31)과 제 2 단자 수용실(32)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단(一端)이 개구된 각통(角筒) 형상의 주체(33)에, 그 내방의 공간을 제 1 단자 수용실(31)과 제 2 단자 수용실(32)로 나누는 칸막이 벽(34)이 마련되어 있다(도 2 및 도 9).In the housing 30 of this example, the main body 33 is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the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1 and the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2 having a rectangular shape are formed therein. It is. 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 which divides the inner space into the 1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1 and the 2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2 in the square cylinder main body 33 of which one end was opened. 34 is provided (FIGS. 2 and 9).

상대방 하우징(60)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성형한다. 이 상대방 하우징(60)은, 제 1 상대방 단자(41)를 수용 및 보지하는 제 1 단자 수용실(61)과, 제 2 상대방 단자(42)를 수용 및 보지하는 제 2 단자 수용실(62)과, 제 3 상대방 단자(43)를 수용 및 보지하는 제 3 단자 수용실(63)과, 제 4 상대방 단자(44)를 수용 및 보지하는 제 3 단자 수용실(64)을 갖는다(도 1, 도 10 및 도 12). 여기서, 이 상대방 하우징(60)에 있어서는,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의 각각의 제 1 전기 접속부(41a-44a)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를 격자 형상으로 나란히 놓은 상태에서 수용한다. 제 1 내지 제 4 단자 수용실(61-64)은, 그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의 배치가 가능해지도록, 각각, 상대방 하우징(60)의 주체(65)의 내방에 형성한다.The counterpart housing 60 is shape | molded with insulating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The counterpart housing 60 includes a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1 for accommodating and holding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41 and a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2 for accommodating and holding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42. And a thir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3 for accommodating and holding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and a thir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4 for accommodating and holding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44 (FIG. 1, 10 and 12). Here, in the counterpart housing 60,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1a to 44a) ar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s 41a to 44a of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1 to 44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41-44) in a grid-lined state. The 1st-4th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s 61-64 ar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65 of the counterpart housing 60, respectively, so that the 1st-4th counterpart terminal 41-44 can be arrange | positioned. do.

제 1 단자 수용실(61)은, 제 1 상대방 단자(41)를 수용한 상태에서, 이 제 1 상대방 단자(41)의 제 1 전기 접속부(41a)를 노출시키는 개구(61a)를 갖는다(도 1, 도 10 및 도 12). 이 예시에서는, 그 개구(61a)로부터 제 1 단자(21)의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가 제 1 단자 수용실(61)의 실내에 삽입되고, 그 실내에서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와 제 1 전기 접속부(41a)를 감합시킨다.The 1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1 has the opening 61a which exposes the 1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41a of this 1st counterpart terminal 41 in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1st counterpart terminal 41 (FIG. 1, FIG. 10 and FIG. 12). In this example,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a of the first terminal 21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1 from the opening 61a, and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a and the first inside the interior there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41a is fitted.

제 2 단자 수용실(62)은, 제 2 상대방 단자(42)를 수용한 상태에서, 이 제 2 상대방 단자(42)의 제 1 전기 접속부(42a)를 노출시키는 개구(62a)를 갖는다(도 12). 이 예시에서는, 그 개구(62a)로부터 제 2 단자(22)의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가 제 2 단자 수용실(62)의 실내에 삽입되고, 그 실내에서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와 제 1 전기 접속부(42a)를 감합시킨다.The 2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2 has the opening 62a which exposes the 1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42a of this 2nd counterpart terminal 42 in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2nd counterpart terminal 42 (FIG. 12). In this example,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a of the second terminal 22 is inserted into the room of the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2 from the opening 62a, and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a and the first inside the interior there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42a is fitted.

제 3 단자 수용실(63)은, 제 3 상대방 단자(43)를 수용한 상태에서, 이 제 3 상대방 단자(43)의 제 1 전기 접속부(43a)를 노출시키는 개구(63a)를 갖는다(도 1, 도 10 및 도 12). 이 예시에서는, 그 개구(63a)로부터 제 1 단자(21)의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가 제 3 단자 수용실(63)의 실내에 삽입되고, 그 실내에서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와 제 1 전기 접속부(43a)를 감합시킨다.The 3r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3 has the opening 63a which exposes the 1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43a of this 3rd counterpart terminal 43 in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3rd counterpart terminal 43 (FIG. 1, FIG. 10 and FIG. 12). In this example,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b of the first terminal 21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thir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3 from the opening 63a,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b and the first in the interior thereof. Th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3a is fitted.

제 4 단자 수용실(64)은, 제 4 상대방 단자(44)를 수용한 상태에서, 이 제 4 상대방 단자(44)의 제 1 전기 접속부(44a)를 노출시키는 개구(64a)를 갖는다(도 1, 도 10 및 도 12). 이 예시에서는, 그 개구(64a)로부터 제 2 단자(22)의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가 제 4 단자 수용실(64)의 실내에 삽입되고, 그 실내에서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와 제 1 전기 접속부(44a)를 감합시킨다.The 4th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4 has the opening 64a which exposes the 1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44a of this 4th counterpart terminal 44 in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4th counterpart terminal 44 (FIG. 1, FIG. 10 and FIG. 12). In this example,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b of the second terminal 22 is inserted into the room of the fourth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4 from the opening 64a,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b and the first inside of the fourth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64.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4a is fitted.

이 예시의 상대방 하우징(60)은, 양단(兩端)이 개구된 각통 형상의 주체(65)의 내방의 공간에, 방체 형상의 제 1 감합부(66)와 제 2 감합부(67)를 배치하고 있다(도 1, 도 10 및 도 12). 그 주체(65)의 내방의 공간에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의 감합의 진행과 함께, 하우징(30)의 주체(33)가 삽입된다.The counterpart housing 60 of this example connects the first fitting portion 66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67 having a square shape to a space inside the cylindrical main body 65 having both ends opened. It arrange | positions (FIGS. 1, 10, and 12). The main body 33 of the housing 30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65 with the progress of fitting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12.

제 1 감합부(66)는, 그 내방에 제 1 단자 수용실(61)과 제 3 단자 수용실(63)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개구(61a, 63a)를 주체(65)의 일방의 개구를 향한 상태에서, 이 주체(65)의 내방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감합부(66)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의 감합(즉, 주체(65)의 내방의 공간으로의 하우징(30)의 주체(33)의 삽입)의 진행과 함께, 하우징(30)의 제 1 단자 수용실(31)에 삽입된다. 이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는, 그 제 1 단자 수용실(31)로의 제 1 감합부(66)의 삽입의 진행과 함께,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와 제 1 전기 접속부(41a)가 감합되고, 또한,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와 제 1 전기 접속부(43a)가 감합된다.In the first fitting portion 66, the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1 and the thir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3 are formed side by side, and each of the openings 61a and 63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65.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inside of this main body 65 in the state fac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65. As shown in FIG. The first fitting portion 66 is fitted with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12 (that is, the insertion of the main body 33 of the housing 30 into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65). With the progress of,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1 of the housing 30. In this fitting connector 1,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a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1a are fitted together with the progress of the insertion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66 into the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1. In addition,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1b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3a are fitted.

제 2 감합부(67)는, 그 내방에 제 2 단자 수용실(62)과 제 4 단자 수용실(64)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개구(62a, 64a)를 주체(65)의 일방의 개구를 향한 상태에서, 이 주체(65)의 내방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감합부(67)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의 감합(즉, 주체(65)의 내방의 공간으로의 하우징(30)의 주체(33)의 삽입)의 진행과 함께, 하우징(30)의 제 2 단자 수용실(32)에 삽입된다. 이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는, 그 제 2 단자 수용실(32)로의 제 2 감합부(67)의 삽입의 진행과 함께,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와 제 1 전기 접속부(42a)가 감합되고, 또한,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와 제 1 전기 접속부(44a)가 감합된다.In the second fitting portion 67, a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2 and a fourth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64 are formed side by side, and each of the openings 62a and 64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65.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inside of this main body 65 in the state facing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65. As shown in FIG. The second fitting part 67 is a fitting of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12 (that is, the insertion of the main body 33 of the housing 30 into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65). With the progress of, the second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32 of the housing 30 is inserted. In this fitting connector 1,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a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2a are fitted together with the progress of the insertion of the second fitting portion 67 into the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32. In addition,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22b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ortion 44a are fitted.

이 상대방 하우징(60)에 있어서는, 제 1 내지 제 4 단자 수용실(61-64)이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제 1 감합부(66)와 제 2 감합부(67)가 주체(65)의 내방의 공간에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In this counterpart housing 60, the 1st fitting part 66 and the 2nd fitting part 67 are made of the main body 65 so that the 1st-4th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s 61-64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grid shape. It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interior space.

이 상대방 하우징(60)에 있어서는, 격자 형상의 배치의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를 중심으로 하여 전류 입력부(51c)와 전류 출력부(52c)가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제 1 도전 부재(51)와 제 2 도전 부재(52)가 보지되어 있다(도 12).In this counterpart housing 60, the current input part 51c and the current output part 52c are arrange |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centering on the 1st-4th counterpart terminal 41-44 of a grid-shaped arrangement, The 1st conductive member 51 and the 2nd conductive member 52 are hold | maintained (FIG. 12).

이 상대방 하우징(60)에는, 주체(65)의 외주벽을 둘러싸도록, 직사각형 환상의 플랜지부(68)가 마련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4 및 도 10 내지 도 12). 상대방 하우징(60)은, 그 플랜지부(68)를 개재하여 나사 고정 등으로 차량측에 장착된다. 또, 이 상대방 하우징(60)에는 인터록 스위치(SW)가 마련되어 있다. 그 인터록 스위치(SW)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가 감합 해제 상태로 되었을 때에, 시스템 메인 릴레이(도시 생략)를 차단한다. 시스템 메인 릴레이란, 구동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자 제어 장치(메인 ECU)의 신호에 기초하여, 주 회로(전원 회로)를 개폐시키는 것이다.The counterpart housing 60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annular flange 68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main body 65 (FIGS. 1 to 4 and 10 to 12). The counterpart housing 60 is attached to the vehicle side by screwing or the like through the flange portion 68. In addition, the other housing 60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 switch SW. The interlock switch SW cuts off the system main relay (not shown) when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12 are in the decoupled state. A system main relay opens and closes a main circuit (power supply circuit) based on the signal of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main ECU) in a drive system.

레버 부재(70)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성형한다. 이 레버 부재(70)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를 완전 감합 상태로 하거나,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를 감합 해제 상태로 하거나 하기 위하여, 하우징(30)과 상대방 하우징(60) 사이에 배치한다. 이 예시의 레버 부재(70)에는, 레버 조작부(71)(도 1 내지 도 4, 도 8 및 도 9)에 대한 작업자 등의 감합 조작(이하, 「제 1 레버 조작」이라고 한다.)에 연동하여, 하우징(30)의 주체(33)를 상대방 하우징(60)의 주체(65)의 내방의 공간에 삽입시킨다. 감합 커넥터(1)는, 그 제 1 레버 조작에 의해서,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의 감합 상태가 완전 감합 상태로 되고, 주 회로를 폐쇄하여 통전 가능한 상태로 한다. 또, 이 예시의 레버 부재(70)에는, 레버 조작부(71)에 대한 작업자 등의 발거 조작(이하, 「제 2 레버 조작」이라고 한다.)에 연동하여, 하우징(30)의 주체(33)를 상대방 하우징(60)의 주체(65)의 내방의 공간으로부터 뽑히게 한다. 감합 커넥터(1)는, 그 제 2 레버 조작에 의해서,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가 감합 해제 상태로 되고, 주 회로를 개방하여 통전 불가능한 상태로 한다.The lever member 70 is molded from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In order to make this lever member 70 make the 1st connector 11 and the 2nd connector 12 into a fully fitted state, or to make the 1st connector 11 and the 2nd connector 12 into a fitting release state, It is arranged between the housing 30 and the counterpart housing 60. In this example, the lever member 70 is interlocked with a fitting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lever operation") of an operator to the lever operating portion 71 (FIGS. 1 to 4, 8, and 9). Thus, the main body 33 of the housing 30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65 of the counterpart housing 60. By the 1st lever operation, the fitting connector 1 will be in the fully fitted state of the 1st connector 11 and the 2nd connector 12, and will be a state which can close the main circuit and enable electricity supply. Moreover, the main body 33 of the housing 30 is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70 of this example in conjunction with the extraction operation (henceforth "second lever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operation part 71 by the worker. Is extracted from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65 of the counterpart housing 60. As for the fitting connector 1, the 1st connector 11 and the 2nd connector 12 will be in a state of unfitting by the 2nd lever operation, and will open a main circuit and make it impossible to energize.

이 예시의 레버 부재(70)는, 하우징(30)의 주체(33)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장착한다. 여기서는, 주체(33)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외주벽(33a, 33b)에 레버 부재(70)가 장착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3, 도 8 및 도 9). 레버 부재(70)에는, 일방의 외주벽(33a)에 대향시켜 배치되는 제 1 보지부(72)와, 타방(他方)의 외주벽(33b)에 대향시켜 배치되는 제 2 보지부(73)를 마련하고 있다. 이 레버 부재(70)는, 그 제 1 보지부(72)와 제 2 보지부(73)에서 외주벽(33a, 33b)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주체(33)에 장착한다. 제 1 보지부(72)와 제 2 보지부(73)는, 레버 조작부(71)로부터 각각 연장시킨 판상(板狀)부이다.The lever member 70 of this example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33 of the housing 30. Here, the lever member 70 is attached to two outer peripheral walls 33a and 33b of the main body 33 which face each other (FIGS. 1 to 3, 8 and 9). The lever member 70 has a first holding portion 72 disposed to face one outer circumferential wall 33a and a second holding portion 73 disposed facing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wall 33b. To raise. The lever member 7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33 by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olding portion 72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73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s 33a and 33b side. The 1st holding part 72 and the 2nd holding part 73 are plate-shaped parts extended from the lever operation part 71, respectively.

주체(33)에는, 각각의 외주벽(33a, 33b)에, 동축 상에 배치된 회동축부(35)를 마련하고 있다(도 1 내지 도 4, 도 8 및 도 9). 각각의 회동축부(35)는, 외주벽(33a, 33b)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축선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제 1 보지부(72)와 제 2 보지부(73)에는, 각각, 회동축부(35)를 축을 중심으로 회동 자유롭게 보지하는 베어링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시의 회동축부(35)는, 원기둥을 주로 하는 형상의 것이다. 한편, 이 예시의 베어링부(74)는, 그 회동축부(35)가 삽통 상태에서 회동 자유롭게 보지되는 관통 구멍을 주로 하는 형상의 것이다. 레버 부재(70)는, 그 회동축부(35)와 베어링부(74)에 의해서, 하우징(30)의 주체(33)에 회동 자유롭게 보지된다.The main body 33 is provided with the rotating shaft part 35 arrange | positioned coaxially in each outer peripheral wall 33a, 33b (FIGS. 1-4, 8, and 9). Each rotating shaft portion 35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s 33a, 33b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In the 1st holding part 72 and the 2nd holding part 73, the bearing part 74 which hold | maintains the rotating shaft part 35 freely about an axis is formed, respectively. The rotating shaft part 35 of this example is a thing mainly made a cylinder. On the other hand, the bearing part 74 of this example is of the shape which mainly makes the through-hole which the rotational shaft part 35 hold | maintains freely in the insertion state. The lever member 70 is held freely by the main shaft 33 of the housing 30 by the pivot shaft 35 and the bearing portion 74.

또한, 이 레버 부재(70)와 상대방 하우징(60)의 주체(65)와의 사이에는, 하우징(30)의 주체(33)에 대한 레버 부재(70)의 상대 회전에 연동하여, 그 주체(33)와 주체(65)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가이드 기구를 마련하고 있다. 그 가이드 기구는, 피가이드부(69)와, 주체(33)에 대한 레버 부재(70)의 상대 회전에 연동하여, 그 피가이드부(69)를 안내하는 가이드부(75)를 구비한다(도 1 및 도 3). 이 예시의 피가이드부(69)는, 주체(65)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외주벽(65a, 65b)에 각각 마련하고 있다(도 12). 각각의 피가이드부(69)는, 외주벽(65a, 65b)으로부터 동축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가이드부(75)는, 레버 부재(70)의 제 1 보지부(72)와 제 2 보지부(73)에 각각 마련하고 있다(도 8). 각각의 가이드부(75)는, 주체(33)에 대한 레버 부재(70)의 상대 회전에 연동하여, 감합 해제 상태와 완전 감합 상태와의 사이에서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 사이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으로 한다. 여기서는, 호상(弧狀)의 관통 구멍 또는 호상의 홈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가이드부(75)는, 서로 대향하는 호상의 벽(호상 벽)을 가진 동일 형상의 것이고, 회동축부(35)의 축선 방향에서 서로의 투영 형상이 겹치도록 배치한다. 이 가이드 기구에 있어서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의 감합이 시작되었을 때에, 각각의 피가이드부(69)가 각각의 가이드부(75)에 삽입되고, 그 후의 레버 부재(70)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피가이드부(69)가 가이드부(75)를 따라서 안내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lever member 70 and the main body 65 of the counterpart housing 60, the main body 33 is interlocked with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lever member 7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3 of the housing 30. ) And a guide mechanism for chang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ain body 65 is provided. The guide mechanism includes a guide portion 69 and a guide portion 75 for guiding the guide portion 69 in association with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lever member 7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3 ( 1 and 3). The guide part 69 of this example is provided in the two outer peripheral walls 65a and 65b of the main body 65 which oppose each other (FIG. 12). Each of the guide portions 69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s 65a and 65b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same axis. The guide part 75 is provided in the 1st holding part 72 and the 2nd holding part 73 of the lever member 70, respectively (FIG. 8). Each guide portion 75 cooperates with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lever member 7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3,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12 between the disengaged state and the fully engaged state. It is set as the shape which enables relative movement between ()). Here, they are formed as arc-shaped through holes or arc-shaped grooves. Each guide part 75 is of the same shape which has arc-shaped walls (arc wall) facing each other, and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projection shape of each other may overlap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shaft part 35. In this guide mechanism, when fitting of the 1st connector 11 and the 2nd connector 12 started, each guide part 69 is inserted in each guide part 75, and the lever member after that is carried out. By the relative rotation of 70, the guide portion 69 is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75.

가이드부(75)는,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가 완전 감합 상태일 때에 회동축부(35)의 축심과 피가이드부(69)의 축심과의 사이가 가장 근접해 있고, 제 2 레버 조작과 함께, 그 회동축부(35)의 축심과 피가이드부(69)의 축심과의 사이가 멀어져 가도록 형상을 정한다. 또, 이 가이드부(75)는, 제 1 레버 조작과 함께 일방의 호상 벽을 따라서 피가이드부(69)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안내하고, 그 안내시에 피가이드부(69)와 호상 벽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 및 회동축부(35)와 베어링부(74) 사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하우징(30)의 주체(33)와 상대방 하우징(60)의 주체(65)와의 사이에 서로 근접해 가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일방의 호상 벽의 형상을 정한다. 또, 이 가이드부(75)는, 제 2 레버 조작과 함께 타방의 호상 벽을 따라서 피가이드부(69)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안내하고, 그 안내시에 피가이드부(69)와 호상 벽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 및 회동축부(35)와 베어링부(74) 사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하우징(30)의 주체(33)와 상대방 하우징(60)의 주체(65)와의 사이에 서로 멀어져 가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타방의 호상 벽의 형상을 정한다.The guide portion 75 is closest between the shaft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portion 35 and the shaft center of the guide portion 69 when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12 are in a fully fitted s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lever operation, the shape is determined so that the axis of the pivot shaft 35 and the axis of the guide portion 69 are separated.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75 guides the guide portion 69 while sliding the guide portion 69 along one arced wall with the first lever operation, and the guide portion 69 is located between the guided portion 69 and the arced wall during the guide. The force acting between the main shaft 33 of the housing 30 and the main body 65 of the counterpart housing 60 approaches each other by the force acting between the rotating shaft portion 35 and the bearing portion 74. To exert a force, the shape of one arc wall is defined.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75 guides the guide portion 75 while sliding the guide portion 69 along the other arc wall with the second lever operation, and at the time of the guide, between the guide portion 69 and the arc wall. The force exerted between the main body 33 of the housing 30 and the main body 65 of the counterpart housing 60 by the force acting on and the force acting between the rotating shaft part 35 and the bearing portion 74. To exert a force, the other arc wall is shaped.

감합 커넥터(1)는, 이와 같은 레버 부재(7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의 감합시의 감합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의 발거시의 발거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fitting connector 1 is provided with such a lever member 70, the fitting operation force at the time of fitting of the 1st connector 11 and the 2nd connector 12 can be reduced, and also the 1st connector ( 11) and the extraction operation force at the time of extracting of the 2nd connector 12 can be reduced.

여기서, 이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는, 제 1 단자(21)와 제 2 단자(22)에 판 형상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레버 부재(70)는, 그 회동축(회동축부(35)나 베어링부(74))의 축선 방향을 제 1 단자(21)의 평면이나 제 2 단자(22)의 평면에 대하여 직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는, 제 1 레버 조작이나 제 2 레버 조작을 행하고 있을 때에, 제 1 단자(21)나 제 2 단자(22)가 경도(傾倒)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경도 방향이 제 1 단자(21)의 평면이나 제 2 단자(22)의 평면을 따르는 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이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는, 제 1 단자(21)나 제 2 단자(22)가 경도되었을 때에, 제 1 단자(21)와 제 1 상대방 단자(41) 사이, 제 1 단자(21)와 제 3 상대방 단자(43) 사이, 제 2 단자(22)와 제 2 상대방 단자(42) 사이, 제 2 단자(22)와 제 4 상대방 단자(44) 사이에서, 접점이 제 1 단자(21)의 평면이나 제 2 단자(22)의 평면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그 접점에서의 하중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이들 사이에서의 물려 들어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감합 커넥터(1)는, 감합 조작력이나 발거 조작력의 증가를 억제하거나, 감합 작업이나 발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거나 할 수 있다.Here, in this fitting connector 1, a plate-like thing is used for 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22.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the lever member 70 orthogonally crosses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rotation shaft part 35 or bearing part 74)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first terminal 21 or the plane of the second terminal 22. It is preferable to make it. Thereby, in this fitting connector 1, even when 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22 are hardness, when performing the 1st lever operation or the 2nd lever operation, the hardness direction It becomes a direction along the plane of this 1st terminal 21 or the plane of the 2nd terminal 22. FIG. For this reason, in this fitting connector 1, when 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22 are hardened, between the 1st terminal 21 and the 1st counterpart terminal 41, the 1st terminal ( Between the 21 and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between the second terminal 22 and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42, an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22 and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44, the contact point is a first terminal. Since it moves along the plane of 21 and the plane of the 2nd terminal 22, the increase in the load in the contact can be suppressed, and it can suppress the biting in between them. Therefore, this fitting connector 1 can suppress the increase of a fitting operation force and an extraction operation force, or can improve the workability of a fitting operation and an extraction operation.

또한, 레버 부재(70)의 회동축은, 제 1 단자(21)의 입력측 전기 접속부(21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1b)와의 사이(제 2 단자(22)의 입력측 전기 접속부(22a)와 출력측 전기 접속부(22b)와의 사이)에서, 또한, 제 1 단자(21)의 평면(제 2 단자(22)의 평면)에 대한 직교 평면 중, 제 1 및 제 3 의 상대방 단자(41, 43)(제 2 및 제 4 상대방 단자(42, 44))에 대한 제 1 단자(21)(제 2 단자(22)의 삽발(揷拔) 방향을 따른 가상 평면 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는, 제 1 레버 조작이나 제 2 레버 조작을 행하고 있을 때에, 제 1 단자(21)나 제 2 단자(22)가 경도되었다고 하더라도, 제 1 단자(21)와 제 1 상대방 단자(41) 사이, 제 1 단자(21)와 제 3 상대방 단자(43) 사이, 제 2 단자(22)와 제 2 상대방 단자(42) 사이, 제 2 단자(22)와 제 4 상대방 단자(44) 사이에서, 그 경도에 따른 상대적인 이동량의 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서의 물려 들어감 등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감합 커넥터(1)는, 감합 조작력이나 발거 조작력의 증가의 억제 효과가 높아지고, 또한, 감합 작업이나 발거 작업의 작업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rotation shaft of the lever member 70 is between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1a of the 1st terminal 21, and the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1b (the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a of the 2nd terminal 22, and the output side).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22b), in the orthogonal plane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the 1st terminal 21 (plane of the 2nd terminal 22), the 1st and 3rd counterpart terminals 41 and 43 (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on the virtual plane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1st terminal 21 (2nd terminal 22) with respect to the 2nd and 4th counterpart terminals 42 and 44. Thereby, In this fitting connector 1, even when 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22 are hard when the 1st lever operation and the 2nd lever operation are performed, the 1st terminal 21 and the 1st terminal Between the counterpart terminal 41, between the first terminal 21 and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between the second terminal 22 and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42, the second terminal 22 and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Among 44, that Since the difference in the relative amount of movement according to the hardness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ress the entanglement between them, etc. Therefore, the fitting connector 1 has a high suppression effect of an increase in the fitting operation force and the extraction operation force, and The workability of the fitting work and the extraction work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에서 나타낸 본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1)는, 통상시에,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의 감합 상태를 완전 감합 상태로 해 둠으로써, 주 회로를 폐쇄하여 통전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이 감합 커넥터(1)는, 차량의 점검 작업시나 구원 작업시 등의 통상시 이외의 때에, 제 1 커넥터(11)와 제 2 커넥터(12)를 감합 해제 상태로 함으로써, 주 회로를 개방하여 차단시켜, 전류 입력부(51c)와 전류 출력부(52c) 사이에서의 통전을 불가능하게 한다.In the fitting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main circuit is closed by energizing the fitting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12 in a fully fitted state. Make it possible. On the other hand, the fitting connector 1 opens the main circuit by bringing the first connector 11 and the second connector 12 into the released state when the vehicle is not in the inspection work or the salvation work. And cut off, making it impossible to conduct electricity between the current input section 51c and the current output section 52c.

여기서, 완전 감합 상태일 때의 전류 입력부(51c)와 전류 출력부(52c) 사이(예를 들면, 전류 입력부(51c)의 수나사 부재(B2)와 전류 출력부(52c)의 수나사 부재(B2)와의 사이)에서는, 제 1 도전 부재(51)와 제 1 상대방 단자(41)와 제 1 단자(21)와 제 3 상대방 단자(43)와 제 2 도전 부재(52)를 거쳐 전류가 흐르는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1 도전 부재(51)와 제 2 상대방 단자(42)와 제 2 단자(22)와 제 4 상대방 단자(44)와 제 2 도전 부재(52)를 거쳐 전류가 흐르는 제 2 통전 경로(Ep2)가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도 7). 이 병렬 회로에 의해서, 본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는, 전류 입력부(51c)에 흘러 온 전류를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로 분류시키고,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의 각각의 전류를 전류 출력부(52c)에서 합류시킬 수 있다.Here, between the current input part 51c and the current output part 52c in a fully fitted state (for example, the male screw member B2 of the current input part 51c and the male screw member B2 of the current output part 52c).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41, the first terminal 21,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Current flows through the energization path Ep1,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42, the second terminal 22,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44,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The second energization path Ep2 is provided in parallel (FIG. 7). By this parallel circuit, in the fitting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ed into the electric current input part 51c is classified into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and the 2nd electricity supply path Ep2, and 1st electricity supply is carried out. The currents of the path Ep1 and the second conduction path Ep2 may be joined at the current output unit 52c.

본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1)는, 그와 같은 병렬 회로를 갖는 것이므로, 예를 들면, 주 회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종래의 직렬 회로의 것과 동일한 경우, 그 직렬 회로와 비교하여,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에 흐르는 전류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이 경우의 감합 커넥터(1)는, 그 직렬 회로를 이루는 단자 등의 부품과 비교하여, 제 1 통전 경로(Ep1)를 이루는 부품(제 1 도전 부재(51)와 제 1 상대방 단자(41)와 제 1 단자(21)와 제 3 상대방 단자(43)와 제 2 도전 부재(52)), 및, 제 2 통전 경로(Ep2)를 이루는 부품(제 1 도전 부재(51)와 제 2 상대방 단자(42)와 제 2 단자(22)와 제 4 상대방 단자(44)와 제 2 도전 부재(52))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그 부품의 허용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의 감합 커넥터(1)는, 그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에 허용 전류가 작은 부품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 부품의 박판(薄板)화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감합 커넥터(1)는, 그 박판화나 소형화에 의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외부 입력(예를 들면, 차량 주행시의 노면 입력이나 가감속에 따른 것)에 대한 내구성에 대해서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감합 커넥터(1)는, 제 1 통전 경로(Ep1)를 이루는 부품이나 제 2 통전 경로(Ep2)를 이루는 부품으로서, 작은 허용 전류에 대응시킨 기존의 부품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라면, 이를 이용함으로써, 개발 공수(工數)를 줄일 수 있고, 원가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fitting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has such a parallel circuit, for example, when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a main circuit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series circuit, compared with the series circuit, the 1s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nergization path Ep1 and the second energization path Ep2 becomes small. For this reason, the fitting connector 1 in this case is compared with components, such as a terminal which comprises the series circuit, and the component which comprises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the 1st conductive member 51 and the 1st counterpart terminal ( 41, the first terminal 21,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43,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and the parts (first conductive member 51 and second) constituting the second conduction path Ep2.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component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counterpart terminal 42, the second terminal 22,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44,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Since the fitting connector 1 in this case can use a component having a small allowable current in the first conducting path Ep1 and the second conducting path Ep2, the parts can be made thinner and smaller in size. can do. For example, since the fitting connector 1 can be reduced in weight due to its thinness and size, the fitting connector 1 is also improved in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nput (for example, road input and acceleration / deceleration when driving a vehicle). You can. The fitting connector 1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first conduction path Ep1 or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second conduction path Ep2. If there is an existing component corresponding to a small allowable current, the fitting connector 1 is used. By doing so, the development man-hour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한편, 종래의 직렬 회로의 것은, 주 회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경우, 그 전류가 직렬 회로를 이루는 부품의 허용 전류를 넘었으면, 그 부품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체격을 크게 하거나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1)는, 전류 입력부(51c)와 전류 출력부(52c) 사이가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에 의한 병렬 회로가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커진 전류가 2배보다 작으면, 직렬 회로를 흐르는 전류보다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에 흐르는 전류 쪽이 작으므로, 제 1 통전 경로(Ep1)를 이루는 부품과 제 2 통전 경로(Ep2)를 이루는 부품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그 부품의 허용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의 감합 커넥터(1)는, 그 부품의 박판화나 소형화에 의해서 경량화가 도모되고, 외부 입력에 대한 내구성에 대해서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eries circuit, whe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in circuit is increased, if the current exceeds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component of the series circuit, the plate thickness of the component needs to be thickened or the body size is increased. There is. However, in the fitting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current input part 51c and the current output part 52c become a parallel circuit by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and the 2nd electricity supply path Ep2, For example, when the increased current is less than twice, since the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conducting path Ep1 and the second conducting path Ep2 is smaller than the current flowing in the series circuit, the first conducting path Ep1 is changed.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component can be made small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component forming the component and the component forming the second conduction path Ep2. Therefore, the fitting connector 1 at this time can be reduced in weight due to the thinning and miniaturization of the parts thereof, and the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nput can be improved.

또, 본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1)는, 커진 전류가 2배 이내이면, 직렬 회로를 흐르는 전류보다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에 흐르는 전류 쪽이 작으므로, 종래의 직렬 회로를 이루는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함으로써,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를 형성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fitting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in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and the 2nd electricity supply path Ep2 is smaller than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a series circuit, when the enlarged electric current is less than 2 times, By using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conventional series circuit, the first conduction path Ep1 and the second conduction path Ep2 can be formed without deteriorating the durability.

또, 본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1)는, 커진 전류가 2배를 넘었다고 하더라도, 직렬 회로를 흐르는 전류보다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에 흐르는 전류 쪽이 작으므로, 제 1 통전 경로(Ep1)를 이루는 부품과 제 2 통전 경로(Ep2)를 이루는 부품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그 부품의 허용 전류가 커지는 것을 최소한에 그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의 감합 커넥터(1)는, 그 부품의 후육화(厚肉化)나 대형화를 최소한에 그치게 할 수 있으므로, 외부 입력에 대한 내구성에 대해서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fitting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increased current exceeds twic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conducting path Ep1 and the second conducting path Ep2 is smaller tha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ries circuit. Therefore,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irst conduction path Ep1 and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cond conduction path Ep2,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components can be minimized. Therefore, the fitting connector 1 at this time can minimize the thickening and the enlargement of the part to a minimum, and can improve also the durability with respect to an external input.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1)는, 예를 들면, 현상의 적용 차량에 대하여, 주 회로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변화되었다고 하더라도, 내구성을 용이하게 담보할 수 있다.Thus, the fitting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can easily ensure durability, even if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through a main circuit changes with respect to the application vehicle of a phenomenon, for example.

그런데, 이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는, 병렬 회로 상에서의 전류의 안정성이나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내구성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제 1 통전 경로(Ep1)의 저항값과 제 2 통전 경로(Ep2)의 저항값을 동일한 값으로 하여, 전류 입력부(51c)에 흘러 온 전류를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에 이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이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는, 제 1 통전 경로(Ep1)의 저항값과 제 2 통전 경로(Ep2)의 저항값이 동일한 값이 되도록, 제 1 및 제 2 단자(21, 22)와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와 제 1 및 제 2 도전 부재(51, 52)를 형성 및 배치한다.By the way, in this fitting connector 1, in order to aim at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 current on a parallel circuit, and the uniformity of the durability of each component in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and the 2nd electricity supply path Ep2, By sett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urrent carrying path Ep1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current carrying path Ep2 to be the same valu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urrent input unit 51c is converted into the first current carrying path Ep1 and the second current carrying path Ep2. It is preferable to divide into two. For this reason, in this fitting connector 1, the 1st and 2nd terminals 21 and 22 are made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2nd electricity supply path Ep2 may become the same value. And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1-44 and first and second conductive members 51 and 52.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단자(21)와 제 2 단자(22)를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고, 또한,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를 각각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고, 또한, 제 1 도전 부재(51)와 제 2 도전 부재(52)를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는, 제 1 통전 경로(Ep1)의 경로 길이와 제 2 통전 경로(Ep2)의 경로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제 1 및 제 2 단자(21, 22)와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와 제 1 및 제 2 도전 부재(51, 52)를 배치하여, 제 1 통전 경로(Ep1)의 저항값과 제 2 통전 경로(Ep2)의 저항값이 동일한 값이 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는,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도전 부재(51)에 대한 제 1 및 제 2 상대방 단자(41, 42)의 배치 장소와 제 2 도전 부재(52)에 대한 제 3 및 제 4 상대방 단자(43, 44)의 배치 장소를 설정하고, 또한, 전류 입력부(51c)와 전류 출력부(52c)가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제 1 도전 부재(51)와 제 2 도전 부재(52)를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감합 커넥터(1)는, 제 1 통전 경로(Ep1)의 경로 길이와 제 2 통전 경로(Ep2)의 경로 길이가 동일한 길이가 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1st terminal 21 and the 2nd terminal 22 are shape | molded in the same shape, and the 1st-4th counterpart terminal 41-44 is shape | molded in the same shap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are molded in the same shape. Therefore, in this fitting connector 1, the 1st and 2nd terminals 21 and 22 and 1st are made so that the path length of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and the path length of the 2nd electricity supply path Ep2 may become the same.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1-44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members 51 and 52 are disposed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conduction path Ep1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conduction path Ep2 It is supposed to be the same value. Here, as shown above, the arrangement place of the first and second counterpart terminals 41 and 42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and the third and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3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are described. And 44 are arranged, a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are disposed so that the current input unit 51c and the current output unit 52c are arranged on opposite sides. For this reason, in the fitting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the path length of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and the path length of the 2nd electricity supply path Ep2 become the same length.

또, 이 감합 커넥터(1)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방 하우징(60)에 있어서, 격자 형상의 배치의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41-44)를 중심으로 하여 전류 입력부(51c)와 전류 출력부(52c)가 서로 동일한 측에 배치되도록, 제 1 도전 부재(51)와 제 2 도전 부재(52)를 보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 1 도전 부재(51)에 대한 제 1 및 제 2 상대방 단자(41, 42)의 배치 장소를 앞서의 예시와 동일한 채로 하여, 제 2 도전 부재(52)에 있어서의 제 3 및 제 4 상대방 단자(43, 44)의 배치 장소(즉,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52a)와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52b)의 위치)를 각각 바꿔넣거나, 제 2 도전 부재(52)에 대한 제 3 및 제 4 상대방 단자(43, 44)의 배치 장소를 앞서의 예시와 동일한 채로 하여, 제 1 도전 부재(51)에 대한 제 1 및 제 2 상대방 단자(41, 42)의 배치 장소(즉,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51a)와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51b)의 위치)를 바꿔넣거나 하면 된다. 여기서는 전자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하더라도, 이 감합 커넥터(1)는, 앞서의 예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13 and 14, the fitting connector 1 has a current in the counterpart housing 60, centered on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1-44 in a lattice arrangement.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may be held so that the input unit 51c and the current output unit 52c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In this case, for example, in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unterpart terminals 41, 42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are lef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xample. The placement positions of the third and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3 and 44 (that is, positions of the first output side electrical contact 52a and the second output side electrical contact 52b), respectively, or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52.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unterpart terminals 41, 42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ctive member 51, with the arrangement place of the third and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3, 44 with respect to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hange a place (namely, the position of the 1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a and the 2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art 51b). Here, the former is illustrated. Even in this arrangement, the fitting connector 1 can obtain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 example.

여기서, 이 도 13 및 도 14의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도, 제 1 통전 경로(Ep1)와 제 2 통전 경로(Ep2)는, 각각의 저항값이 동일한 값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도면의 예시에서는, 제 1 통전 경로(Ep1)의 경로 길이에 대하여 제 2 통전 경로(Ep2)의 경로 길이가 길어져 있고, 제 1 통전 경로(Ep1)의 저항값이 제 2 통전 경로(Ep2)의 저항값보다 작아져 있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 1 단자(21)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여(제 1 및 제 3 상대방 단자(41, 43)의 형상도 제 1 단자(21)에 적응시킴) 통전 방향에 대한 직교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제 1 통전 경로(Ep1)의 저항값을 크게 하거나, 제 2 단자(22)의 판두께를 얇게 하여(제 2 및 제 4 상대방 단자(42, 44)의 형상도 제 2 단자(22)에 적응시킴) 통전 방향에 대한 직교 단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제 2 통전 경로(Ep2)의 저항값을 작게 하거나 하면 된다. 이에 의해, 이 도 13 및 도 14의 감합 커넥터(1)에 있어서도, 병렬 회로 상에서의 전류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Here, also in the fitting connector 1 of FIG. 13 and FIG. 14, it is preferable to set so that each resistance value may be the same value for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and the 2nd electricity supply path Ep2.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this figure, the path length of the 2nd electricity supply path Ep2 is long with respect to the path length of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1st electricity supply path Ep1 is 2nd electricity supply. It is smaller tha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path Ep2. For this reason,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plate | board thickness of the 1st terminal 21 is made thick (adapting the shape of the 1st and 3rd counterpart terminals 41 and 43 to the 1st terminal 21,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conduction path Ep1 is increased or the plate thickness of the second terminal 22 is made thin (the shapes of the second and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42, 44). It is good to mak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2nd electricity supply path | pass Ep2 small by making the orthogonal cross-sectional area with respect to the electricity supply direction small. Thereby, also in the fitting connector 1 of FIG. 13 and FIG. 14, stability of the electric current on a parallel circuit can be aimed at.

1: 감합 커넥터
11: 제 1 커넥터
12: 제 2 커넥터
21: 제 1 단자
21a: 입력측 전기 접속부
21b: 출력측 전기 접속부
22: 제 2 단자
22a: 입력측 전기 접속부
22b: 출력측 전기 접속부
30: 하우징
41: 제 1 상대방 단자
41a, 42a, 43a, 44a: 제 1 전기 접속부
41b, 42b, 43b, 44b: 제 2 전기 접속부
42: 제 2 상대방 단자
43: 제 3 상대방 단자
44: 제 4 상대방 단자
51: 제 1 도전 부재
51a: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
51b: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
51c: 전류 입력부
52: 제 2 도전 부재
52a: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
52b: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
52c: 전류 출력부
60: 상대방 하우징
101: 입력측 도전 부재
102: 출력측 도전 부재
Ep1: 제 1 통전 경로
Ep2: 제 2 통전 경로
1: fitting connector
11: first connector
12: second connector
21: first terminal
21a: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21b: output electrical connection
22: second terminal
22a: input electrical connection
22b: output electrical connection
30: housing
41: first counterpart terminal
41a, 42a, 43a, 44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41b, 42b, 43b, 44b: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42: second party terminal
43: third party terminal
44: fourth party terminal
51: first conductive member
51a: first input-side electrical connection
51b: second input-side electrical connection
51c: current input
52: second conductive member
52a: first output-side electrical connection
52b: second output-side electrical connection
52c: current output
60: counterpart housing
101: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102: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Ep1: first conduction path
Ep2: 2nd conduction path

Claims (5)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및,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를 보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제 1 커넥터와,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 상기 제 1 상대방 단자 및 상기 제 2 상대방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도전 부재, 상기 제 3 상대방 단자 및 상기 제 4 상대방 단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도전 부재, 및, 적어도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를 보지하는 상대방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방 하우징과의 사이의 삽입에 따른 상호간의 감합 상태가 완전 감합 상태일 때에, 상기 제 1 단자에 대하여 상기 제 1 상대방 단자 및 상기 제 3 상대방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함께, 상기 제 2 단자에 대하여 상기 제 2 상대방 단자 및 상기 제 4 상대방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도전 부재는, 주 회로의 입력측 도전 부재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류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 2 도전 부재는, 상기 주 회로의 출력측 도전 부재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류 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감합 커넥터.
A first connector hav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and a housing hold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 first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and a second conductivit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A member and a counterpart housing holding at least said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wherein the first terminal when the mating stat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unterpart housing is fully engaged; And a second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conductive member has a current input uni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conductive member of the main circuit,
The said 2nd conductive member has a current output part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output side conductive member of the said main circuit, The fitting connecto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상대방 단자의 제 1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제 3 상대방 단자의 제 1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출력측 전기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상대방 단자의 제 1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입력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제 4 상대방 단자의 제 1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출력측 전기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 1 도전 부재는, 상기 제 1 상대방 단자의 제 2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1 입력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제 2 상대방 단자의 제 2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2 입력측 전기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 2 도전 부재는, 상기 제 3 상대방 단자의 제 2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1 출력측 전기 접속부와, 상기 제 4 상대방 단자의 제 2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2 출력측 전기 접속부를 갖는 감합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n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fo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and an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fo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Has,
The second terminal may include an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fo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and an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fo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Has,
The first conductive member is configured to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that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Has a second in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may be configured to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that is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of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A fitting connector having a second output side electrical conn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입력부와 상기 전류 출력부 사이에서는, 상기 제 1 도전 부재와 상기 제 1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3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2 도전 부재를 거쳐 전류가 흐르는 제 1 통전 경로와, 상기 제 1 도전 부재와 상기 제 2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와 상기 제 4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2 도전 부재를 거쳐 전류가 흐르는 제 2 통전 경로가 병렬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부재는, 상기 제 1 통전 경로의 저항값과 상기 제 2 통전 경로의 저항값이 동일한 값이 되도록 형성 및 배치하는 감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Between the current input unit and the current output unit, a first conduction path through which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first counterpar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the third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 second conduction path through which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member, the second counterpar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he fourth counterpart terminal,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is provided in parallel,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members are formed such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conducting path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conducting path are the same. And mating connector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를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고,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를 각각 동일 형상으로 성형하고, 또한, 상기 제 1 도전 부재와 상기 제 2 도전 부재를 동일 형상으로 성형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대방 단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부재는, 상기 제 1 통전 경로의 경로 길이와 상기 제 2 통전 경로의 경로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배치하는 감합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molded into the same shape, and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are molded into the same shape, respectively, and the first conductive member and the second conductive member are formed into the same shape. In the case of mol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he first to fourth counterpart terminal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members, the path length of the first conducting path and the path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ng path are different. Fitting connector placed to be identical.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회로는, 구동원으로서의 회전기를 구비한 차량에 마련된 회로이며, 전원 장치의 전력을 상기 회전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인 감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or 4,
The said main circuit is a circuit provided in the vehicle provided with the rotor as a drive source, and is a power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of a power supply device to the said rotor.
KR1020197023921A 2017-03-14 2018-02-27 mating connector KR10228722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48791A JP6543293B2 (en) 2017-03-14 2017-03-14 Mating connector
JPJP-P-2017-048791 2017-03-14
PCT/JP2018/007262 WO2018168443A1 (en) 2017-03-14 2018-02-27 Fitting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396A true KR20190103396A (en) 2019-09-04
KR102287223B1 KR102287223B1 (en) 2021-08-06

Family

ID=6352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921A KR102287223B1 (en) 2017-03-14 2018-02-27 mating connect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98470A4 (en)
JP (1) JP6543293B2 (en)
KR (1) KR102287223B1 (en)
CN (1) CN110337703B (en)
WO (1) WO2018168443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9944A (en) 2011-11-21 2013-06-06 Yazaki Corp Power supply circuit breaking device
JP2015220129A (en) * 2014-05-19 2015-12-07 矢崎総業株式会社 Clip-like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lip-lik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1302U (en) * 1983-12-29 1985-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Control center terminal block device
JP4129318B2 (en) * 1998-07-22 2008-08-06 東洋技研株式会社 Safety plug device
JP5723700B2 (en) * 2011-07-01 2015-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Lever fitting type connector
JP5503611B2 (en) * 2011-09-09 2014-05-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Electric circuit breaker for vehicle
JP5503612B2 (en) * 2011-09-09 2014-05-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Electric circuit breaker for vehicle
WO2015111725A1 (en) * 2014-01-24 2015-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Service pl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9944A (en) 2011-11-21 2013-06-06 Yazaki Corp Power supply circuit breaking device
JP2015220129A (en) * 2014-05-19 2015-12-07 矢崎総業株式会社 Clip-like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lip-lik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43293B2 (en) 2019-07-10
EP3598470A1 (en) 2020-01-22
WO2018168443A1 (en) 2018-09-20
CN110337703B (en) 2021-05-04
EP3598470A4 (en) 2020-03-18
CN110337703A (en) 2019-10-15
JP2018152284A (en) 2018-09-27
KR102287223B1 (en)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7868B1 (en) Electromagnetic relay
JP6349345B2 (en) Plug connector and power circuit breaker
CN103426686B (en) Relay unit and the method for connecting relay unit
US7066763B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cam levers
JP2012238422A (en) Seal cover of in-vehicle electric apparatus
US20140062234A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CN112714984B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vehicle and method for locking a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US20220311305A1 (en) Electrical machine comprising a high-voltage connection arrangement and a safety locking device
CN107466344B (en) Actu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clutch and hybrid module
KR20190094018A (en) DC Relay with Magnet Housing
US20210111523A1 (en) Multifunctional high-voltage connector and battery product
CN115207700A (en) Connector and holding structure of electric wire with terminal
CN103219201A (en) Electric switching system
CN115207699A (en) Connector and holding structure of electric wire with terminal
KR20190103396A (en) Fitting connector
JP2012186074A (en) Power source circuit breaker device
CN102650665B (en) Contact box and electrical contact module and electric equipment and electric unit for electric unit
US7262519B1 (en) Actuator unit with at least two actuators and a secure control unit
JP2019075279A (en) Wire harness connection structure to two circuit bodies
CN103247463A (en) Switching unit for a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KR20210092431A (en) Connector
EP3404776A1 (en) Lever fitting-type connector
CN103681114A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CN110120326A (en) The method of switching of module, electric switch and electric switch
WO2017002629A1 (en) Service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