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976A -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976A
KR20190102976A KR1020180161340A KR20180161340A KR20190102976A KR 20190102976 A KR20190102976 A KR 20190102976A KR 1020180161340 A KR1020180161340 A KR 1020180161340A KR 20180161340 A KR20180161340 A KR 20180161340A KR 20190102976 A KR20190102976 A KR 2019010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aints
data
inconvenience
user
compl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김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영 filed Critical 김준영
Publication of KR2019010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제공하는 단계, 키워드에 관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불편 및 불만사항을 분류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불편 및 불만사항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기업 또는 기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고, 데이터를 제공받는 기업 또는 기관으로부터 정보 이용료를 받는다.

Description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LLECTING USER'S INCONVENIENCE AND COMPLAINT, MAKING DATA, AND PROVIDING I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관련 기업 또는 기관에 제공하여 기업 또는 기관으로 하여금 해당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에게는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용자들이 기업에서 제공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다양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지하철,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기타 공공시설을 이용하면서도 많은 불편, 불만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불편, 불만의 정도가 지나치면 이를 신고하여 보상을 얻을 수 있지만, 다수의 사용자는 복잡한 과정이 귀찮고 불편하기에 참고 그냥 넘어가려고 한다. 또한 작은 사항에도 잦은 불편, 불만을 제기하면 자칫 블랙 컨슈머로 낙인 찍힐 수 있다.
한편, Greenbook research industry trends report에 따르면 기업의 지속평가지표로 기술력, 컨설팅에 이어 고객 데이터가 3순위로 랭크되어 있다.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기업의 생존여부에 데이터가 굉장히 영향을 많이 끼친다는 의미이지만, 국내에서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는 기업은 상위 1% 대기업에 불과하고 99%의 중소기업은 고객만족관련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불편, 불만 조사 방식은 설문자가 설문지의 객관식만 체크하는 수동적이고 기계적인 방식과 설문지의 흥미를 끌만한 요소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낀 불편이나 불만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유로운 의견을 표현할 수 있고, 기업 또는 기관의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가 시장에서 성공하거나 안정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2703호(2016.09.2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기업 또는 기관이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불편 및 불만사항을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나아가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시하면서 보상까지 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 또는 기관의 입장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상품이나 서비스를 개선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제공하는 단계, 키워드에 관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불편 및 불만사항을 분류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불편 및 불만사항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기업 또는 기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고, 데이터를 제공받는 기업 또는 기관으로부터 정보 이용료를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불편 및 불만사항에서 데이터를 추출한 후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작성하고, 데이터를 기업에게 제공할 때 리포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키워드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하면 사용자에게 키워드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불편 및 불만사항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불편 및 불만사항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불편 및 불만사항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기초로 제품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아이디어에 대한 펀딩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제공하는 키워드 제공부, 키워드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신하고 분류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의 정보와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보상을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불편 및 불만사항과 관련된 기업 또는 기관의 정보를 관리하고 불편 및 불만사항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기업 또는 기관에 제공하며 기업 또는 기관으로부터 받는 정보 이용료를 관리하는 기업 또는 기관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서는 기업 또는 기관이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도 보상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업 또는 기관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개선을 유도하여 불편 및 불만사항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 및 기관으로서는 사용자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상품이나 서비스의 개선, 홍보에 활용함으로써,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기업 또는 기관에게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배치 또는 순서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메인 시스템(이하,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이라 한다)(100)은 사용자(200)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낀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화하여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련된 기업 또는 기관(300)에게 제공한다.
사용자(200)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PDA, 웹 패드와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들어 디지털 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불편했던 사항이나 불만사항들에 대한 의견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공지의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된 것 일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사용자(200)가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으로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하면 소정의 보상을 지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보상은 현금, 상품권, 쿠폰, 포인트, 할인권, 부가 서비스의 제공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급될 수 있다.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200)로부터 수집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데이터화하여 관련 로데이터(raw data) 형태 또는 리포트 형태로 기업 또는 기관(300)에 제공할 수 있다. 기업 또는 기관(300)은 해당 데이터를 소정의 정보 이용료를 지급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상품이나 서비스의 개선 사항을 도출하거나 홍보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은 키워드 제공부(110), 데이터 추출부(120), 사용자 관리부(130), 기업 또는 기관 관리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구성요소들은 그 중 적어도 일부와 외부 시스템(미도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거나,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의 키워드 제공부(110)는 불편 및 불만사항의 대상이 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키워드로는 민간 영역에서 제공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뿐만 아니라, 공공 영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등, 예를 들어 교통 서비스와 관련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최근 이슈가 되는 행사나 사회적 현상을 키워드로 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키워드는 시스템(100)의 운영자가 직접 선정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고객의 니즈나 시장 반응을 살펴보기를 원하는 기업 또는 기관으로부터 의뢰받아 키워드를 선정할 수도 있다.
키워드 제공부(110)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새로운 키워드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제공부(110)는 하루에 하나의 키워드를 제시하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새로운 키워드로 교체하여 제공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키워드에 대하여 일정한 불편 및 불만사항이 수집되면 다른 키워드로 교체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키워드 제공부(110)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제공할 때 키워드와 관련된 광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업"이라는 키워드를 제공할 때에는 취업 알선 서비스의 광고를, "소개팅" 이라는 키워드를 제공할 때에는 소개팅 애플리케이션 등 관련 서비스의 광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키워드 및 관련 서비스에 많은 관심을 갖는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집중할 수 있어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의 데이터 추출부(120)는 수신된 불편 및 불만사항을 분류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워드 제공부(110)를 통해 제시된 키워드에 관하여 다양한 불편 및 불만사항이 수신되면 데이터 추출부(120)에서는 이를 사전 설정된 기준에 의해 분류하여 데이터화함으로써 잠재되어 있는 불편 및 불만사항을 추출해내고 유의미한 데이터를 만들어낸다. 불편 및 불만사항의 분류는 사용자에 의해 가장 많은 공감 내지 추천이 이루어진 순서에 따른 분류, 해당 키워드를 의뢰한 기업 또는 기관이 제공한 기준(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별, 연령, 주거지, 상품/서비스별 세부 카테고리 등)에 따른 분류 등 키워드별로 적합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120)는 불편 및 불만사항을 단순히 정렬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이를 분석하여 별도의 리포트를 작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의 분석 및 리포트 작성을 통해 사용자의 잠재되어 있던 불편 및 불만사항을 표면화하여 이를 이용하는 기업 또는 기관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거나 상품/서비스의 개선 사항을 도출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의 사용자 관리부(130)는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의 정보와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보상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리부(130)는 제시된 키워드에 관해 불편 및 불만사항을 기재한 사용자에게 현금, 상품권, 쿠폰 또는 포인트, 시스템 내의 부가 서비스,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상품이나 서비스 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130)에서는 사용자별로 제공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관리하고 해당 불편 및 불만사항이 추후 관련 기업 또는 기관에 전달되었는지 여부와 관련 기업 또는 기관에 의해 해당 불편 및 불만사항에 관한 개선이 있는지 여부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소위 피드백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의 기업 또는 기관 관리부(140)는 불편 및 불만사항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기업 또는 기관에 정보 이용료를 받고 제공하는 일련의 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기업 또는 기관 관리부(140)는 제시되는 키워드에 따른 관련 기업 또는 기관의 정보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기업 또는 기관 관리부(140)는 제시되는 키워드가 특정 기업 또는 기관의 의뢰에 의한 경우, 해당 키워드에 관한 데이터 및 리포트의 제공, 정보 이용료의 수신, 키워드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광고의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의 통신부(150)는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이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기업 또는 기관(예를 들어, 기업 또는 기관의 서버), 기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60)는 키워드 제공부(110), 데이터 추출부(120), 사용자 관리부(130), 기업 또는 기관 관리부(1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는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시장성 검증 서버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키워드 제공부(110), 데이터 추출부(120), 사용자 관리부(130), 기업 또는 기관 관리부(140)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제공한다(S110). 이는 전술한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100)의 키워드 제공부(11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새로운 키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에 하나의 키워드를 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제시된 키워드에 대해 일정한 수준의 불편 및 불만사항이 수신되면 새로운 키워드로 교체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키워드는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이는 민간 영역, 공공 영역을 불문한다. 또한, 키워드는 최근 사용자들의 관심도가 높은 행사, 사회적 현상 등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키워드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고객의 니즈나 시장 반응을 살펴보기를 원하는 기업 또는 기관으로부터 의뢰받아 선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시된 키워드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작성하도록 하여 해당 키워드에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신한다(S120).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기 위한 키워드가 제시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는 소정의 보상을 지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상은 현금, 상품권, 쿠폰, 포인트, 할인권, 부가 서비스의 제공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해당 기업 또는 기관은 관련 키워드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 데이터 및 리포트를 통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워드 제공 시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광고를 함께 제공하여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광고를 수행함으로써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워드를 제공하고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늘의 불편 키워드로 "소개팅"이 제시된다.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하면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을 지급하면서 동시에 소개팅 애플리케이션, 즉 해당 키워드에 관한 서비스 관련 광고 화면을 제공한다. 이처럼,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면서 관련 광고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서비스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홍보를 진행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주체는 시스템 운영자일 수도 있고, 키워드를 의뢰하고 광고를 제공하는 기업 또는 기관일 수도 있다.
불편 및 불만사항이 수신되면, 수집된 불편 및 불만사항을 분류하여 데이터를 추출한다(S130). 불편 및 불만사항은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별, 연령, 주거지, 직업 등에 따라 분류되어 이로부터 유의미한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공감 내지 추천이 많은 순서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정렬하여 데이터화할 수도 있으며, 자연언어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많이 제시된 단어를 추출하여 데이터화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불편 및 불만사항에 관한 로데이터를 정렬 및 분석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불편 및 불만사항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단순히 정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리포트를 작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의 분석 및 리포트 작성을 통해 로데이터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내재된 불편 및 불만사항과 사용자의 니즈를 표면화할 수 있고, 데이터 및 리포트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 또는 기관이 원하는 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기업 또는 기관의 입장에서, 기존 리서치 업체나 컨설팅 업체를 통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개선 사항을 파악하는 것에 비하여 비용과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실제 키워드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도도 높일 수 있다.
불편 및 불만 사항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 후에는, 추출된 데이터를 관련 기업 또는 기관에게 제공한다(S140). 이때, 데이터를 분석하여 리포트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리포트를 데이터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일반적인 고객 상담센터 내지 신고센터를 통해 파악할 수 없는 상세한 데이터와 리포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소비자보호원에 보고되거나 고객센터에 접수되는 불편 사항들은 상품/서비스의 커다란 결함이 있고 이것이 적극적인 신고로 이어지는 경우로 이루어져 있으나,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제공받는 데이터 및 리포트는 사용자가 마음속에 품고 드러나지 않는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개선 사항을 파악하고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 데에 활용도가 크다.
데이터와 리포트를 기업 또는 기관에게 제공할 때에는 소정의 정보 이용료를 받을 수 있다. 이처럼, 기업 또는 기관으로부터 정보 이용료를 받아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보상 지급에 사용하여 사용자의 참여를 늘림으로써, 사용자 참여 확대와 기업 또는 기관의 참여 확대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기업 또는 기관은 데이터 또는 리포트를 기반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보완하거나 개선할 수 있고,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불편 및 불만사항이 관련 기업 또는 기관에게 제공된 내역 및 개선 사항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S1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기 제시된 키워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각각 "취업", "더위", "계곡"이라는 키워드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한 경우 이에 관한 데이터를 고용노동부, 잡코리아, 한국전력공사 및 기자 등 유관 기업 내지 기관에 전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에는 관련 내용의 전달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개선 사항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한 내용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이를 분석하여 작성된 리포트를 통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제품을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제품 제작을 위한 펀딩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키워드를 제공하고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여 제품 제작에 활용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늘의 불편 키워드로 "칫솔"이 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하면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을 지급하고 불편 및 불만사항을 데이터화한다. 이렇게 추출된 데이터를 통하여 가장 높은 빈도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아이디어, 예를 들어 치약이 내장되는 칫솔과 같은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이를 제작하기 위한 펀딩을 진행한다.
이처럼,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개선하는 방법 이외에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불편 및 불만사항 관리 시스템
110: 키워드 제공부
120: 데이터 추출부
130: 사용자 관리부
140: 기업 또는 기관 관리부
150: 통신부
160: 제어부
200: 사용자
300: 기업 또는 기관

Claims (8)

  1.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제공하는 상기 키워드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을 분류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기업 또는 기관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고, 상기 데이터를 제공받는 기업 또는 기관으로부터 정보 이용료를 받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에서 상기 데이터를 추출한 후 상기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작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기업에게 제공할 때 상기 리포트를 함께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키워드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기초로 제품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아이디어에 대한 펀딩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게 키워드를 제공하는 키워드 제공부,
    상기 키워드에 관한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신하고 분류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보상을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과 관련된 기업 또는 기관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불편 및 불만사항으로부터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기업 또는 기관에 제공하며, 기업 또는 기관으로부터 받는 정보 이용료를 관리하는 기업 또는 기관 관리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80161340A 2018-02-26 2018-12-13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90102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31 2018-02-26
KR20180023131 2018-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76A true KR20190102976A (ko) 2019-09-04

Family

ID=6795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340A KR20190102976A (ko) 2018-02-26 2018-12-13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29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703B1 (ko) 2013-11-06 2015-09-14 에임바이오 주식회사 상품 이용 후기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703B1 (ko) 2013-11-06 2015-09-14 에임바이오 주식회사 상품 이용 후기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ldberg et al. Regulating privacy online: The early impact of the GDPR on European web traffic & e-commerce outcomes
US20160239881A1 (en) Resource distribution among online entities
Lee et al. Data privacy and residential smart meters: Comparative analysis and harmonization potential
WO20171123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providing personalized marketing experiences to potential customers and users of a tax return preparation system
CA2754015A1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electronic mail with embedded optimized live content
West et al. The utility of alternative commercial data sources for survey operations and estimation: Evidence from the National Survey of Family Growth
US201401430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on-line behavior to an off-line marketing campaign
US20150106190A1 (en) Online campaign management
Jiang et al. E-Government web portal adoption: A service level and service quality perspective
Lyndon Troubling discourses of poverty in early childhood in the UK
Rajendran et al. Mining voice of customers and employees in insurance companies from online reviews: A text analytics approach
Talafuse Traditional and digital media advertising preference: a descriptive evaluation of Billings, Montana mothers
Chongvilaivan et al. Do Different Work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t Distributional Impacts on Job Satisfaction? A Study of Slope Heterogeneity in Workers’ Well‐Being
KR20200030978A (ko)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Li et al. Regulating Powerful Platforms: Evidence from Commission Fee Caps
KR20190102976A (ko) 사용자의 불편 및 불만사항을 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130091011A1 (en) Category recommendation methods and systems
WO2020026524A1 (ja) 廃棄物回収サービスと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とを統合するためのシステム
Holder et al. Paying for news: What Google and Meta owe US publishers
JP2001283087A (ja) インターネット広告評価方法及びシステム
Maniora et al. Does firms' dissemin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formation through Facebook matter for corporate reputation?
JP2019008589A (ja) 集合住宅情報提供システム
Kubicek et al. Methodology for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organisation of the back office and better electronic public services
Aridor et al. Privacy Regulation and Targeted Advertising: Evidence from Apple's App Tracking Transparency
Obeng On incentives and optimal effort to improve bus transit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