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058A -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058A
KR20190102058A KR1020197022790A KR20197022790A KR20190102058A KR 20190102058 A KR20190102058 A KR 20190102058A KR 1020197022790 A KR1020197022790 A KR 1020197022790A KR 20197022790 A KR20197022790 A KR 20197022790A KR 20190102058 A KR20190102058 A KR 20190102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sr
uplink grant
access network
grant resource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010B1 (ko
Inventor
하이펭 유
신 샤옹
펭 유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04W72/12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04W72/12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 출원은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통신 기술 분야에 관련되어, 상이한 논리적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단계(BSR은 제1 지시 정보를 반송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데에 사용됨)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는 단계(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됨)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논리적 채널 상에서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이 출원은, 본 문서에 참조에 의해 전체로서 포함되는,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라는 표제로 2017년 2월 4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0064422.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이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련되고, 특히 리소스 스케줄링(resource scheduling)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련된다.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업링크 데이터를 발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UE는 리소스를 스케줄링할 것을 기지국(base station)에 요청할 필요가 있다. 리소스 스케줄링 절차는 보통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을 기지국에 우선 발신하여, UE가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필요로 함을 기지국에 통지한다. SR을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업링크 허여(uplink grant)를 UE에 발신한다. 업링크 허여를 수신한 후에, UE는 업링크 허여에 의해 지시된(indicated) 리소스 상에서 기지국에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e Report: BSR)를 발신하여, UE가 발신할 필요가 있는 업링크 데이터의 구체적인 양을 기지국에 통지한다. BSR을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BSR에 의해 지시된 업링크 데이터 양 및 사전설정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고, 업링크 허여를 UE에 재발신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UE는 업링크 허여에 의해 지시된 업링크 허여 리소스 상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발신할 수 있다.
보통, 기지국은 복수의 UE에 의해 발신된 BSR을 동시에 수신하고, 기지국은 UE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선도착 선처리 규칙(first come first service rule)에 따라 순차적으로 할당하며, 할당된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대응하는 UE에 순차적으로 발신하여, 스케줄링 지연시간(scheduling latency)을 야기한다. 그러나, 상이한 논리적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는 상이한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전술된 리소스 스케줄링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아마도 상이한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없다. 예를 들어, 몇몇 논리적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는, 5G 네트워크에서의 신 무선(New Radio: NR) 데이터인데, 엄격한 지연시간 요구사항을 갖는다. 이것은 기지국이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신속히 스케줄링하는 것을 요구한다. 기지국이 전술된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을 여전히 사용하는 경우, UE는 아마도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제때에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논리적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NR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low-latency) 스케줄링 요구사항이 만족되지 않는다.
이 출원은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상이한 논리적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terminal device)에 의해,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access network device)에 발신하는 것(BSR은 제1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반송하고(carry), 제1 지시 정보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데에 사용됨);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는 것(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됨);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논리적 채널 상에서 발신 대상 데이터(to-be-sent data)를 발신하는 것.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지시 정보를 BSR에 추가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도록 명령한다. 그러므로, BSR을 수신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로,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여,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차별적으로 스케줄링하는바(differentially schedule), 이로써 발신 대상 데이터의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특성 정보 및 논리적 채널 간의 맵핑(mapping) 관계에 관한, 그리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맵핑 관계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특성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지시 정보는 송신 특성 정보를 포함함).
가능한 설계에서,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이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포함함);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것.
이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여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할 수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를 위해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LCG에 할당된 총 리소스 내에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판정하지 않고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직접적으로 수신하고 사용할 수 있는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획득하는 것의 지연시간을 또한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고, BSR은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 정보(data volume information)를 또한 반송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가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데이터 양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발신 대상 데이터의 비율이다.
전술된 두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 정보를 BSR에 추가하여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발신 대상 데이터를 위해 데이터 양 정보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발신하지 않고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바, 네트워크 오버헤드(network overhead)를 감소시킨다. 추가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획득하는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획득하는 것의 지연시간을 또한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는 것(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에 기반하여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에 할당된 총 리소스이고, 업링크 데이터는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포함함)을 포함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 내에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판정하는 것과,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BSR을 수신하는 것(BSR은 제1 지시 정보를 반송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데에 사용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것; 및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제1 논리적 채널 상에서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데에 사용됨).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BSR을 수신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 내에서 반송되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할 수 있다.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로 스케줄링되어,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차별적으로 스케줄링하는바, 이로써 발신 대상 데이터의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BSR을 수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특성 정보 및 제1 논리적 채널 간의 맵핑 관계에 관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것(맵핑 관계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특성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지시 정보는 송신 특성 정보를 포함함).
가능한 설계에서,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이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BSR을 수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내에,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한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것; 및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것.
이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여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할 수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를 위해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LCG에 할당된 총 리소스 내에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판정하지 않고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직접적으로 수신하고 사용할 수 있는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획득하는 것의 지연시간을 또한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priority level)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preset threshold level)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것;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이 가능한 설계에서, 각각의 BSR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과정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거나 우선적으로 발신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바, 이로써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논리적 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 LCG)에 대응하는 BSR이며, BSR은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또한 반송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것;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이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CG 내에서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 및 다른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별개로 스케줄링하고,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거나 우선적으로 발신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바, 이로써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에 기반하여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송신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것;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업링크 데이터는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포함함).
이 가능한 설계에서, 각각의 BSR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과정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거나 우선적으로 발신하여,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바, 이로써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다음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BSR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BSR은 제1 지시 정보를 반송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데에 사용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BSR을 발신하도록 구성된 발신 유닛; 및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되, 발신 유닛은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도록 또한 구성됨).
가능한 설계에서, 수신 유닛은 또한: 발신 유닛이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기 전에, 송신 특성 정보 및 논리적 채널 간의 맵핑 관계에 관한, 그리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맵핑 관계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특성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지시 정보는 송신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이고; 수신 유닛은 또한: 발신 유닛이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기 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생성 유닛은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고, BSR은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 정보를 또한 반송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가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데이터 양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발신 대상 데이터의 비율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고; 수신 유닛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는 것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는 것(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에 기반하여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에 할당된 총 리소스이고, 업링크 데이터는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포함함)을 구체적으로 포함하고; 발신 유닛이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것은: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 내에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판정하는 것과,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단말 디바이스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구현의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시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다음을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BSR은 제1 지시 정보를 반송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데에 사용됨);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처리 유닛은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도록 또한 구성되되,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데에 사용됨).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발신 유닛을 더 포함하되; 발신 유닛은: 수신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BSR을 수신하기 전에, 송신 특성 정보 및 제1 논리적 채널 간의 맵핑 관계에 관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도록 구성되되, 맵핑 관계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특성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지시 정보는 송신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이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발신 유닛을 더 포함하되; 처리 유닛은: 수신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BSR을 수신하기 전에,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내에,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발신 유닛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처리 유닛이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은 다음을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BSR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것; 또는 BSR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또는 BSR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며, BSR은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또한 반송하고; 처리 유닛이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은 다음을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것; 또는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또는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BSR은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며; 처리 유닛이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은 다음을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BSR에 기반하여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송신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것; 또는 BSR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또는 BSR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과, 스케줄링 모드로,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업링크 데이터는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포함함).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구현의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시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지시 정보는 제1 논리적 채널의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가능한 설계에서, 송신 특성 정보는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및 순환 전치 길이(cyclic prefix length)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다음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또한 제공한다: 프로세서(processor), 메모리(memory) 및 송수신기(transceiver)(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1 측면의 구현에 따라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할 수 있음).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단말 디바이스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구현의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시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제6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다음을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또한 제공한다: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2 측면의 구현에 따라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할 수 있음).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구현의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시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제7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저장 매체를 또한 제공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에,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의 실시예의 몇몇 또는 모든 단계가 구현될 수 있다.
제8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구현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및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구현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또는 제5 측면 또는 제5 측면의 구현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및 제6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구현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또한 제공한다.
도 1은 이 출원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이 출원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개략적 구조도이며,
도 3은 이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제1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4는 이 출원에 따른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도 5는 이 출원에 따른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6a는 이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제2 개략적 구조도이며,
도 6b는 이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제3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6c는 이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제4 개략적 구조도이며,
도 7a는 이 출원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7b는 이 출원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개략적 구조도이며,
도 7c는 이 출원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4 개략적 구조도이다.
우선, 이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이 명세서에서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의 기호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객체 간의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 이 출원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연관된 객체를 기술하기 위한 연관 관계를 기술하며 3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오직 A가 존재함, A 및 B 양자 모두가 존재함, 그리고 오직 B가 존재함.
추가로, 용어 "포함하는", "갖는", 또는 이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섭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디바이스는 열거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단계 또는 유닛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거나,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시스템의 다른 내재적인 단계 또는 유닛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추가로,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은 LTE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 어드밴스트(long term evolution advanced)(LTE Advanced: LTE-A) 시스템, 또는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중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추가로,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은 LTE 시스템의 차후의 진화된 시스템, 예를 들어, 5세대(5G) 시스템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출원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다양한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차량 장착형(vehicle-mounted) 디바이스,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 가정 기기, 의료 디바이스, 산업 디바이스, 농업 디바이스, 항공 디바이스, 또는 유사한 것 상의 통신 노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또는 단말 장비(terminal equipment)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이 출원에서, 위에서 언급된 디바이스는 집합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로 지칭된다.
이 출원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 배치되고 단말 디바이스를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장치일 수 있으니,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macro base station),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ast station), 중계 노드(relay node), 제어기(controll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일 수 있다.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의 이름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는 진화된 노드B(evolved NodeB, eNB 또는 eNodeB)로 지칭되고, 3세대(3G)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는 노드B(NodeB)로 지칭되거나, 5세대 통신 시스템 또는 D2D 통신에 적용되는 통신 노드이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른 유사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송신 및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일 수 있고, TRP의 구조는 기지국의 구조일 수 있거나,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 기본적 기저대역 처리 유닛(Building Baseband Unit: BBU) 및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거나, 오직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이 출원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U, BBU 및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RRU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모듈(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module)과, 송수신기 모듈(transceiver module)과, 전력 증폭 및 필터링 모듈(power amplification and filtering module)을 포함한다. 디지털 중간 주파수 모듈은 광 송신에서 변조 및 복조, 디지털 상향 및 하향 주파수 변환, A/D 변환 및 유사한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모듈은 중간 주파수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이후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전력 증폭 및 필터링 모듈을 통과하고, 안테나 포트를 통해서 송신된다. BBU는 채널 코딩 및 디코딩, 기저대역 신호의 변조 및 복조, 그리고 프로토콜 처리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위 계층 네트워크 요소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물리적 계층에서 핵심 기술 처리 프로세스, 예를 들어, 3G에서의 CDMA 처리 및 LTE에서의 OFDM/MIMO 처리를 완료한다. 안테나 시스템은 주로 안테나를 포함하며, 커플러(coupler), 듀플렉서(duplexer) 및 유사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고, RRU 및 다른 네트워크 요소, 예컨대 단말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이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메모리, RF 회로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센터이고,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선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단말 디바이스의 모든 부분에 연결된다. 메모리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가동하거나 실행하고,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프로세서는 단말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디바이스,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디바이스,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기(digital-to-analog converter)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는 이들 디바이스의 능력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및 신호 처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정보를 발신하고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F 회로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듀플렉서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및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무선 통신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와이파이(Wi-Fi) 또는 저전력 와이파이(low-power Wi-Fi), WLAN 기술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기반하여, 도 4는 이 출원에 따른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1): 단말 디바이스는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는데, BSR은 제1 지시 정보를 반송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 또는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이 사전설정된 시간 길이인 논리적 채널, 또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이 사전설정된 크기인 논리적 채널,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논리적 채널은 BSR이 개별적으로 보고될 수 있는 논리적 채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논리적 채널은 어떤 서비스 또는 어떤 유형의 서비스에 결속된(bound) 논리적 채널일 수 있고, 제1 논리적 채널에 결속된 서비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논리적 채널은 NR 서비스에 결속된 논리적 채널, 또는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어떤 유형의 서비스에 결속된 논리적 채널, 또는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갖는 어떤 유형의 서비스에 결속된 논리적 채널이다.
예를 들어, 제1 지시 정보는 제1 논리적 채널의 식별자 또는 번호일 수 있거나, 제1 논리적 채널의 우선순위 정보일 수 있다.
제1 논리적 채널의 우선순위 정보는 제1 논리적 채널의 우선순위 레벨 정보 및/또는 제1 논리적 채널에 결속된 서비스의 우선순위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제1 논리적 채널의 송신 특성 정보일 수 있다. 송신 특성 정보는 송신 시간 간격, 부반송파 간격 및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반송파 간격 및 CP 길이는 또한 뉴머롤로지(numerology) 정보로 지칭된다.
또한, 송신 특성 정보는 무선 리소스의 유형, 시분할 이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다중 액세스 모드, 프레임 구조, 변조 및 코딩 방안(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및 유사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출원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송신 특성 정보 및 제1 논리적 채널 간의 맵핑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특성을 구성할 수 있는바, 단말 디바이스는 송신 특성을 사용함으로써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맵핑 관계에 대한 정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메시지,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 추가할 수 있는바, 단말 디바이스는, 맵핑 관계에 기반하여,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특성 정보에 의해 지시된 송신 특성을 판정할 수 있다.
제1 논리적 채널 상에 발신 대상 데이터가 있음을 판정하는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는 송신 특성 정보를, 제1 지시 정보로서, BSR에 추가하고,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할 수 있는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송신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고, 스케줄링 모드로,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한다.
단계(402):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한다.
단계(403):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제1 논리적 채널 상에서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단계(404):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한다.
이 출원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 내에서 반송되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한다.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로 스케줄링되어,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차별적으로 스케줄링하는바, 이로써 발신 대상 데이터의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과, 할당된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것.
제1 논리적 채널이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인 예가 다음의 3개의 예를 참조하여 단계(403)를 기술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논리적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는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갖는다.
예 1: BSR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인 경우에, BSR은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예 1에서,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는 다음의 3개의 스케줄링 모드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 1: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한다.
스케줄링 모드 2: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한다.
스케줄링 모드 3: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한다.
예를 들어, BSR 5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고 제1 지시 정보를 반송하는 BSR이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BSR 5에 기반하여 할당된 업링크 허여 리소스 5가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임이 가정된다. BSR 5를 수신하기 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간 순으로 BSR 1, BSR 2, BSR 3 및 BSR 4를 이미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 1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1을 이미 할당하며, BSR 2, BSR 3 및 BSR 4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되도록 대기열에 인입한(queuing up) 상태에 있다.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스케줄링 모드 1인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BSR 5를 수신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 2, BSR 3 및 BSR 4 앞에 BSR 5를 배열하고, 스케줄링 모드 1에서 BSR 5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할당하며; 이후 BSR 2, BSR 3 및 BSR 4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업링크 허여 리소스 3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4를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으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되기를 기다리도록 종래의 선도착 선처리 규칙에 따라 BSR 5를 BSR 2, BSR 3 및 BSR 4 뒤에 배열하는 것 대신인바, 이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스케줄링하는 것의 지연시간을 감소시킨다.
업링크 허여 리소스 5가 할당된 후에, 만일 이미 할당된 업링크 허여 리소스 1이 여전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기를 기다리는 상태에 있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기를 기다리도록 종래의 선도착 선처리 규칙에 따라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업링크 허여 리소스 1 뒤에 배열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1을 발신한 후,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할 수 있다.
BSR 2가 제1 지시 정보를 또한 반송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또한 스케줄링 모드 1인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이후 업링크 허여 리소스 3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4를 순차적으로 할당할 필요가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R 2 및 BSR 5의 수신 순서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먼저 BSR 2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2를 할당하고, 이후 BSR 5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할당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 5 내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논리적 채널 5 및 BSR 2 내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논리적 채널 2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적 채널 5의 우선순위 레벨이 논리적 채널 2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더 높은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 5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먼저 할당하고, BSR 2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2를 이후에 할당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논리적 채널 5에 결속된 서비스 및 논리적 채널 2에 결속된 서비스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할당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 1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바, 이로써 제1 허여 리소스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켜, 이로써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BSR 5 내에서 반송되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스케줄링 모드 2인 경우, BSR 5를 수신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케줄링 모드 2에서 종래의 선도착 선처리 규칙에 따라, BSR 2, BSR 3 및 BSR 4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업링크 허여 리소스 3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4를 먼저 할당하고 BSR 5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이후에 할당할 수 있다.
업링크 허여 리소스 5가 할당된 후에, 만일 이미 할당된 업링크 허여 리소스 1,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업링크 허여 리소스 3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4가 여전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기를 기다리는 상태에 있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업링크 허여 리소스 1,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업링크 허여 리소스 3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4를 발신한 후에만 종래의 선도착 선처리 규칙에 따라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발신하는 것 대신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업링크 허여 리소스 1,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업링크 허여 리소스 3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4 앞에 배열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우선적으로 발신할 수 있는바, 업링크 허여 리소스 5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킨다.
BSR 2가 제1 지시 정보를 또한 반송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또한 스케줄링 모드 2인 경우,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할당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이후 업링크 허여 리소스 1, 업링크 허여 리소스 3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4를 순차적으로 할당할 필요가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5의 할당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2를 먼저 발신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이후에 발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논리적 채널 5 및 논리적 채널 2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적 채널 2의 우선순위 레벨이 논리적 채널 5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더 높은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2를 먼저 발신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이후에 발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논리적 채널 5에 결속된 서비스 및 논리적 채널 2에 결속된 서비스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2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발신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 2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할 수 있는바, 이로써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켜, 이로써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BSR 5 내에서 반송되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스케줄링 모드 3인 경우, BSR 5를 수신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케줄링 모드 3에서, BSR 5를 BSR 2, BSR 3 및 BSR 4 앞에 배열하고, BSR 5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우선적으로 할당한다. 추가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5가 할당된 후에, 만일 이미 할당된 업링크 허여 리소스 1이 여전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기를 기다리는 상태에 있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업링크 허여 리소스 1 앞에 배열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우선적으로 발신할 수 있다.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되도록 대기열에 인입할 필요가 없고, 할당된 후에,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도록 대기열에 인입할 필요가 없는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허여 리소스 5를 스케줄링하는 것의 지연시간을 감소시킨다.
스케줄링 모드 3은 스케줄링 모드 1 및 스케줄링 모드 2의 조합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스케줄링 모드 3에서, 각각의 BSR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과정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우선적으로 발신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바, 이로써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예 2: BSR이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인 경우에, BSR은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의 총 데이터 양을 지시하는데, 업링크 데이터는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예 2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3개의 스케줄링 모드 중 임의의 것으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 4: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송신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한다.
스케줄링 모드 5: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한다.
스케줄링 모드 6: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스케줄링 모드 4에서, BSR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송신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예 1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스케줄링 모드 1에서, BSR에 기반하여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구체적인 방식과 동일하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스케줄링 모드 5에서, BSR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송신 리소스를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예 1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스케줄링 모드 2에서, BSR에 기반하여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구체적인 방식과 동일하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스케줄링 모드 6에서, BSR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송신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예 1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스케줄링 모드 3에서, BSR에 기반하여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구체적인 방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예 2에서의 스케줄링 모드 4, 스케줄링 모드 5 및 스케줄링 모드 6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 예 1에서의 스케줄링 모드 1, 스케줄링 모드 2 및 스케줄링 모드 3의 관련된 설명을 참조하시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예 2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업링크 데이터의 총 데이터 양을 위해 요구되는 총 리소스이니, 즉,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한 후에, 단계(403)는 구체적으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 내에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판정하는 것과,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것.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방식으로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 내에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방식으로,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 및 발신 대상 데이터의 우선순위 레벨에 기반하여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 내에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가 판정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 내에 사전설정된 업링크 채널 다중화 정책에 따라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 내에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가 판정된다. 이것은 이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 3에서, BSR이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인 경우에, 예 2와 비교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 정보를 BSR에 더 추가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 및 LCG 내에서 제1 논리적 채널이 아닌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별개로 스케줄링하여,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예를 들어, 예 3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3개의 스케줄링 모드 중 임의의 것으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 7: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한다.
스케줄링 모드 8: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한다.
스케줄링 모드 9: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발신 대상 데이터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한다.
예를 들어, BSR 9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고 제1 지시 정보를 반송하는 BSR임을 가정하면, BSR 9를 수신하기 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간 순으로 BSR 6, BSR 7 및 BSR 8을 이미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 6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6을 이미 할당하며, BSR 7 및 BSR 8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되도록 대기열에 인입한 상태에 있다.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논리적 채널은 논리적 채널 91이고, BSR 9는 논리적 채널 91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데이터 양 91이라고 가정됨)에 대한 정보를 또한 반송한다. 데이터 양 91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이다. BSR 9에 대응하는 LCG 내에서 논리적 채널 91이 아닌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 92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92이다.
BSR 9 내에서 반송되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스케줄링 모드 7인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BSR 9를 수신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케줄링 모드 7에서 데이터 양 91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BSR 7, BSR 8 및 BSR 9를 수신한 순서로, 그리고 BSR 7, BSR 8 및 데이터 양 92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7, 업링크 허여 리소스 8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2를 이후에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으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되기를 기다리도록 종래의 선도착 선처리 규칙에 따라 업링크 허여 리소스 7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8 뒤에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2를 함께 배열하는 것 대신인바, 이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스케줄링하는 것의 지연시간을 감소시키고, 논리적 채널 91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이 할당된 후에, 만일 이미 할당된 업링크 허여 리소스 6이 여전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기를 기다리는 상태에 있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기를 기다리도록 종래의 선도착 선처리 규칙에 따라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업링크 허여 리소스 6 뒤에 배열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6을 발신한 후,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단말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발신할 수 있다.
BSR 7이 또한 제1 지시 정보와, 제1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논리적 채널 71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데이터 양 71이라고 가정됨)에 대한 정보를 반송하는 경우, BSR 7 내에서 반송되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는 또한 스케줄링 모드 7임이 이해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데이터 양 71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BSR 7에 대응하는 LCG 내에서 논리적 채널 71이 아닌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 72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72, 업링크 허여 리소스 8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2를 이후에 순차적으로 할당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 7 및 BSR 9의 수신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을 먼저 할당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92를 이후에 할당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논리적 채널 71 및 논리적 채널 91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적 채널 91의 우선순위 레벨이 논리적 채널 71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더 높은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먼저 할당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를 이후에 할당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논리적 채널 91에 결속된 서비스 및 논리적 채널 71에 결속된 서비스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을 할당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 7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CG 내에서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 및 다른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별개로 스케줄링하고,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키고,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BSR 9 내에서 반송되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스케줄링 모드 8인 경우, BSR 9를 수신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케줄링 모드 8에서 BSR 7 및 BSR 8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7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8을 각각 할당하고, 이후 개별적으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데이터 양 91에 기반하여 할당하고, 데이터 양 92에 기반하여 업링크 허여 리소스 92를 할당할 수 있다.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2가 할당된 후에, 만일 이미 할당된 업링크 허여 리소스 6, 업링크 허여 리소스 7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8이 여전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기를 기다리는 상태에 있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업링크 허여 리소스 6, 업링크 허여 리소스 7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8을 발신한 후에만 종래의 선도착 선처리 규칙에 따라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2를 발신하는 것 대신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업링크 허여 리소스 6, 업링크 허여 리소스 7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8 앞에 배열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우선적으로 발신할 수 있는바,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키고, 논리적 채널 91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BSR 7이 또한 제1 지시 정보 및 데이터 양 71을 반송하는 경우, BSR 7 내에서 반송되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는 또한 스케줄링 모드 8임이 이해될 수 있다.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개별적으로 할당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우선적으로 발신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6, 업링크 허여 리소스 72, 업링크 허여 리소스 8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2를 이후에 발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의 할당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을 먼저 발신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이후에 발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논리적 채널 71 및 논리적 채널 91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발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적 채널 91의 우선순위 레벨이 논리적 채널 71의 우선순위 레벨보다 높은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를 먼저 발신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를 이후에 발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논리적 채널 91에 결속된 서비스 및 논리적 채널 71에 결속된 서비스의 우선순위 레벨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71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를 발신할 수 있다.
스케줄링 모드 8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CG 내에서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 및 다른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별개로 스케줄링하고,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할 수 있는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키고,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대한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BSR 9 내에서 반송되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되는 스케줄링 모드가 스케줄링 모드 9인 경우, BSR 9를 수신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케줄링 모드 9에서 데이터 양 91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추가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이 할당된 후에, 만일 업링크 허여 리소스 6이 여전히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되기를 기다리는 상태에 있는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업링크 허여 리소스 6 앞에 배열하고,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우선적으로 발신할 수 있다. 즉,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BSR 7, BSR 8 및 BSR 9의 수신 순서로 업링크 허여 리소스 7 및 업링크 허여 리소스 8을 할당한 후에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를 할당할 필요도 없고, 발신을 위해 업링크 허여 리소스 6 뒤에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배열할 필요도 없는바, 이로써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허여 리소스 91을 스케줄링하는 것의 지연시간을 감소시키고, 논리적 채널 91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스케줄링 모드 9는 스케줄링 모드 7 및 스케줄링 모드 8의 조합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스케줄링 모드 9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CG 내에서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 및 다른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의해 요구되는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별개로 스케줄링하고,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우선적으로 발신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의 스케줄링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바, 이로써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의 저 지연시간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예 3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LCG에 기반하여 BSR을 발신하지만,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CG 내의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기 때문에, 예 2와 비교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LCG에 할당된 총 리소스 내에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판정할 필요가 없는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획득하는 것의 지연시간을 또한 감소시킴이 이해될 수 있다. 예 1과 비교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을 개별적으로 발신하지 않고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바, 이로써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논리적 채널에 기반하여 BSR을 보고하는 시나리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기능을 제1 논리적 채널이 지원하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401) 전에,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5):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내에,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구성한다.
이 출원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구성하기 위하여,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추가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도록 지령하기 위한 지시 정보, 제1 논리적 채널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BSR의 포맷 정보,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6):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한다.
단계(407): 단말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생성한다.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논리적 채널이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논리적 채널임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BSR이 촉발된(triggered)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BSR을 개별적으로 생성하고,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지시 정보를 BSR에 직접적으로 추가하지 않고,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도록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데에, BSR을 발신하는 송신 리소스 위치를 제1 지시 정보로서 사용한다.
즉,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 및 송신 리소스 위치 간의 맵핑 관계를 미리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을 발신하거나,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을 발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과의 맵핑 관계를 갖는 송신 리소스 위치에서 BSR을 발신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리소스 위치에서 BSR을 수신하는 경우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지시 정보(곧, 송신 리소스 위치)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로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지시 정보를 BSR에 추가하여,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도록 명령한다는 것을 전술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그러므로, BSR을 수신한 후에,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로,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여,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발신 대상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차별적으로 스케줄링하는바, 이로써 발신 대상 데이터의 스케줄링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해결안은 위에서 주로 네트워크 요소 간의 상호작용의 관점으로부터 기술된다. 전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요소, 예컨대 단말 디바이스 및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함이 이해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기술된 예에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와의 조합으로, 이 출원은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응당 쉽게 인지할 것이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하드웨어 구동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안의 특정한 응용 및 설계 제한에 달려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기술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한 응용을 위해 구현하는 데에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이 이 출원의 범위를 넘어간다고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이 출원에서, 단말 디바이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유사한 것은 전술된 방법 실시예에 따라 기능적 모듈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기능에 기반하여 구분을 통해서 기능적 모듈이 획득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처리 모듈 내에 집적될 수 있다. 집적된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적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출원에서, 모듈 구분은 예이며, 단지 논리적 기능 구분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제의 구현 동안에, 다른 구분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대응하는 기능에 기반하여 구분을 통해서 기능적 모듈이 획득되는 경우에, 도 6a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가능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처리 유닛, 발신 유닛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단말 디바이스가 도 5에서의 프로세스(407)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발신 유닛은 단말 디바이스가 도 4 및 도 5에서의 프로세스(401 및 404)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며, 수신 유닛은 단말 디바이스가 도 4에서의 프로세스(403) 및 도 5에서의 프로세스(403 및 406)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계의 모든 관련된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적 모듈의 기능 설명에서 인용될 수 있고,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집적된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도 6b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가능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처리 모듈(602) 및 통신 모듈(603)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602)은 단말 디바이스의 행위를 제어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602)은 단말 디바이스가 도 4에서의 프로세스(401, 403 및 404)와, 도 5에서의 프로세스(401, 403, 404, 406 및 407), 그리고/또는 이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모듈(603)은 단말 디바이스가 다른 네트워크 개체와 통신하는 것,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기능적 모듈 또는 네트워크 개체와 통신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모듈(6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602)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 예컨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일반 목적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적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논리적 디바이스,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는 이 출원에서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 모듈 및 회로를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모듈(603)은 송수신기, 송수신기 회뢰,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저장 모듈(601)은 메모리일 수 있다.
처리 모듈(602)이 프로세서이고, 통신 모듈(603)이 송수신기이며, 저장 모듈(601)이 메모리인 경우, 이 출원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는 도 6c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612), 송수신기(613), 메모리(611) 및 버스(614)를 포함한다. 송수신기(613), 프로세서(612) 및 메모리(611)는 버스(614)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연결되고, 버스(614)는 주변기기 커포넌트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et Interconnect: PCI) 버스, 확장된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버스,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버스는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및 유사한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오직 하나의 굵은 선이 도 6c에서 버스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나, 이것은 오직 하나의 버스 또는 오직 하나의 유형의 버스가 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대응하는 기능에 기반하여 구분을 통해서 기능적 모듈이 획득되는 경우에, 도 7a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가능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발신 유닛, 처리 유닛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발신 유닛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도 5에서의 프로세스(406)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도 4에서의 프로세스(402 및 403) 및 도 5에서의 프로세스(402, 403 및 405)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며, 수신 유닛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도 4 및 도 5에서의 프로세스(401 및 404)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계의 모든 관련된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적 모듈의 기능 설명에서 인용될 수 있고,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집적된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도 7b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가능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처리 모듈(702) 및 통신 모듈(703)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702)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행위를 제어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702)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도 4에서의 프로세스(401, 402, 403 및 404), 도 5에서의 프로세스(401, 402, 403, 404, 405 및 406), 그리고/또는 이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모듈(703)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다른 네트워크 개체와 통신하는 것,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기능적 모듈 또는 네트워크 개체와 통신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모듈(7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702)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PU, 일반 목적 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는 이 출원에서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 모듈 및 회로를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모듈(703)은 송수신기, 송수신기 회뢰,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저장 모듈(701)은 메모리일 수 있다.
처리 모듈(702)이 프로세서이고, 통신 모듈(703)이 송수신기이며, 저장 모듈(701)이 메모리인 경우, 이 출원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7c에 도시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712), 송수신기(713), 메모리(711) 및 버스(714)를 포함한다. 송수신기(713), 프로세서(712) 및 메모리(711)는 버스(714)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연결되고, 버스(714)는 PCI 버스, EISA 버스,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버스는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및 유사한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오직 하나의 굵은 선이 도 7c에서 버스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나, 이것은 오직 하나의 버스 또는 오직 하나의 유형의 버스가 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출원에서 개시된 내용과 조합되어 방법 또는 알고리즘 단계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레지스터(register), 하드 디스크(hard disk), 탈거가능(removable)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oy: CD-ROM), 또는 업계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는바,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 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물론,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추가로, ASIC은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내에 이산(discrete) 컴포넌트로서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본 발명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또한 제공하는데, 컴퓨터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행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s Memory: RAM),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출원은 도 6a, 도 6b 또는 도 6c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 및 도 7a, 도 7b 또는 도 7c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또한 제공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한 일반적인 하드웨어 플랫폼에 더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 출원에서의 기술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이 출원의 기술적 해결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ROM/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고, 컴퓨터 디바이스(이는 개인용 컴퓨터, 서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의 어떤 일부에서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몇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 명세서에서의 실시에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서로 참조하시오. 특별히, 장치 실시예는 방법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유사하고, 따라서 간략하게 기술되며; 관련된 부분에 대해, 방법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하시오.
전술된 설명은 본 발명의 구현이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36)

  1.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단계 - 상기 BSR은 제1 지시(indication)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scheduling mode)를 판정하는 데에 사용됨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uplink grant resource)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됨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1 논리적 채널 상에서 발신 대상 데이터(to-be-sent data)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의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특성 정보 및 상기 논리적 채널 간의 맵핑 관계에 관한, 그리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맵핑 관계는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특성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송신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특성 정보는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tnerval),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및 순환 전치 길이(cyclic prefix length)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BSR을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상기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포함함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상기 BSR을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논리적 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 LCG)에 대응하는 BSR이고,
    상기 BSR은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 정보를 또한 반송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는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양 정보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비율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된 총 리소스이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 내에서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BSR은 제1 지시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데에 사용됨 - 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데에 사용됨 -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BSR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특성 정보 및 상기 제1 논리적 채널 간의 맵핑 관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맵핑 관계는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특성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송신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특성 정보는 송신 시간 간격, 부반송파 간격 및 순환 전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BSR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내에,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상기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논리적 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 LCG)에 대응하는 BSR이며, 상기 BSR은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또한 반송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송신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포함하는,
    방법.
  17. 단말 디바이스로서,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상기 BSR은 제1 지시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데에 사용됨 - 과,
    상기 BSR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도록 구성된 발신 유닛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됨 - 을 포함하되,
    상기 발신 유닛은 또한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1 논리적 채널 상에서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의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발신 유닛이 상기 BSR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기 전에, 송신 특성 정보 및 상기 논리적 채널 간의 맵핑 관계에 관한, 그리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맵핑 관계는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특성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송신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특성 정보는 송신 시간 간격, 부반송파 간격 및 순환 전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이고,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발신 유닛이 상기 BSR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발신하기 전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상기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상기 BSR을 개별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된,
    단말 디바이스.
  22.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논리적 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 LCG)에 대응하는 BSR이고,
    상기 BSR은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 정보를 또한 반송하는,
    단말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는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양 정보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비율인,
    단말 디바이스.
  24.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고,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할당된 총 리소스이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 유닛이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 내에서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판정하는 것과,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25.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BSR은 제1 지시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는 데에 사용됨 - 과,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모드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발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논리적 채널 상의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발신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발신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기 전에, 송신 특성 정보 및 상기 제1 논리적 채널 간의 맵핑 관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맵핑 관계는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특성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송신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특성 정보는 송신 시간 간격, 부반송파 간격 및 순환 전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29.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에 대응하는 BSR이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발신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기 전에,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내에,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을 위해 상기 BSR을 개별적으로 보고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신 유닛은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발신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것, 또는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또는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31.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논리적 채널 그룹(Logical Channel Group: LCG)에 대응하는 BSR이며, 상기 BSR은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또한 반송하고,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것; 또는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개별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또는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양에 기반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32.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은 우선순위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더 높은 논리적 채널이고, 상기 BSR은 상기 제1 논리적 채널이 속한 LCG에 대응하는 BSR이며,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LCG 상의 발신 대상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송신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발신하는 것, 또는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 또는
    상기 BSR에 기반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모드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우선적으로 발신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상기 발신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업링크 허여 리소스는 상기 제1 업링크 허여 리소스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33.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및 제25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4.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상기 컴퓨터는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5.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상기 컴퓨터는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6. 통신 디바이스로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통신 디바이스.
KR1020197022790A 2017-02-04 2018-01-31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49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64422.9 2017-02-04
CN201710064422.9A CN108401302B (zh) 2017-02-04 2017-02-04 一种资源调度方法、装置及系统
PCT/CN2018/074713 WO2018141244A1 (zh) 2017-02-04 2018-01-31 一种资源调度方法、装置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058A true KR20190102058A (ko) 2019-09-02
KR102249010B1 KR102249010B1 (ko) 2021-05-06

Family

ID=6304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790A KR102249010B1 (ko) 2017-02-04 2018-01-31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24020B2 (ko)
EP (1) EP3557933B1 (ko)
KR (1) KR102249010B1 (ko)
CN (1) CN108401302B (ko)
BR (1) BR112019015305A2 (ko)
WO (1) WO2018141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7505B (zh) * 2017-01-13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方法及相关设备
CN107223360B (zh) * 2017-04-28 2021-10-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发送缓存状态的方法及装置
CN110677872B (zh) * 2017-08-11 2020-11-2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设备和通信系统
CN110944395B (zh) * 2018-09-21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调度的方法和装置
WO2020062084A1 (zh) * 2018-09-28 2020-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通信设备
US11950254B2 (en) * 2019-04-08 2024-04-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data transmission mode, and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CN110855408B (zh) * 2019-11-06 2023-02-03 东阳市人民医院 一种基于无线网络的尿常规检测系统
CN113411782A (zh) * 2020-03-16 2021-09-1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资源请求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2025425A1 (en) * 2020-07-27 2022-02-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based on multiple configured gra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54846A1 (en) * 2020-08-21 2023-08-10 Qualcomm Incorporated Delay sensitive uplink transmissions
KR102517309B1 (ko) * 2021-10-21 2023-04-03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로지컬채널그룹 매핑 정보와 버퍼상태보고 설정정보를 이용해서 버퍼상태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07229A1 (en) * 2013-03-12 2016-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nsmissio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8551B2 (en) * 2008-01-30 2013-07-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1158279B1 (ko) * 2008-12-11 2012-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캐리어 집적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 및 그것의버퍼 상태 보고 방법
CN102291771B (zh) * 2010-06-21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缓冲区状态上报的方法及系统
CN103313396B (zh) * 2012-03-07 2016-03-09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lte系统中的逻辑信道分组方法
WO2015199306A1 (ko) * 2014-06-26 2015-12-30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244680B1 (en) * 2015-01-29 2019-12-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4754524B (zh) * 2015-03-31 2018-06-15 深圳酷派技术有限公司 一种群组通信的方法、用户设备、基站设备及系统
EP3125643B1 (en) * 2015-07-31 2019-04-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scheduling mechanism for prose relays serving remote u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07229A1 (en) * 2013-03-12 2016-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nsmissio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144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010B1 (ko) 2021-05-06
EP3557933A4 (en) 2019-12-25
US20190357237A1 (en) 2019-11-21
WO2018141244A1 (zh) 2018-08-09
EP3557933B1 (en) 2023-10-04
US11324020B2 (en) 2022-05-03
CN108401302A (zh) 2018-08-14
CN108401302B (zh) 2022-07-29
EP3557933A1 (en) 2019-10-23
BR112019015305A2 (pt)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010B1 (ko) 리소스 스케줄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30199791A1 (en) Allocating resources for a device-to-device transmission
US11240837B2 (en) Transmitting a scheduling request for a device-to-device transmission
CN107734703B (zh) 一种资源调度方法和装置
CN106664693B (zh) 一种资源调度方法、基站以及用户设备
JP2020507966A (ja) リソース割振り方法ならびに関係する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JP2021064977A (ja) ユーザ機器、基地局、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データ信号、およびハンドオーバ後に強化されたsps制御および連続的なspsを提供する方法
KR20210042366A (ko) 직접 링크 통신의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CN108401304B (zh) 一种缓存状态报告的触发方法、装置及系统
WO2019042330A1 (zh) 一种探测参考信号的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及系统
JPWO2020053965A1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JP2020509700A (ja) 未使用の長期ul割り当ての利用
KR102359009B1 (ko) 서브세트 제한이 있는 광대역을 통한 ue 랜덤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3012914A1 (ja) 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22074842A1 (ja) 端末
WO2022205484A1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