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829A - 화면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829A
KR20190101829A KR1020180022250A KR20180022250A KR20190101829A KR 20190101829 A KR20190101829 A KR 20190101829A KR 1020180022250 A KR1020180022250 A KR 1020180022250A KR 20180022250 A KR20180022250 A KR 20180022250A KR 20190101829 A KR20190101829 A KR 20190101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electronic device
screen data
processo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540B1 (ko
Inventor
김현경
박홍진
강병성
김광욱
김민기
김봉규
류진봉
박종문
박지화
서준의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540B1/ko
Priority to CN201980007055.6A priority patent/CN111542822B/zh
Priority to US16/282,697 priority patent/US11200018B2/en
Priority to PCT/KR2019/002219 priority patent/WO2019164339A1/en
Priority to EP19158928.2A priority patent/EP3531659B1/en
Publication of KR2019010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8/00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secur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제1 주변 장치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상기 제1 주변 장치와 연관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하고,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와 연관된 제1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되는 화면 데이터(screen data)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화면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FOR SHARING A SCREEN DATA}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화면 데이터를 공유하는 화면 미러링 기술과 관련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예: 스마트 폰, 태블릿 PC)가 소형화되면서, 그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도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는 작은 화면을 다른 크기의 디스플레이에서 볼 수 있도록 화면 미러링(screen mirror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IoT 환경의 복수의 기기에서 그것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화면 미러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화면 미러링 기능이 이용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이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하여 노출되므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보호되기 어렵다. 그에 따라 화면 미러링 기능은, 화면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측에서 화면 미러링을 요청하는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직접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화면 미러링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제약을 가진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화면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도 화면 미러링 기능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제1 주변 장치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상기 제1 주변 장치와 연관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하고,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와 연관된 제1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되는 화면 데이터(screen data)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하는 동작;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와 연관된 제1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 되는 화면 데이터(screen data)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외부 장치의 요청에 의하여 전자 장치의 화면 미러링 기능이 개시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증 절차와 다양한 설정 항목을 통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보호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장치의 요청에 의한 화면 미러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주변 장치 사이에 인증서를 교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주변 장치를 인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주변 장치와 화면 미러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연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화면 미러링 수행 중에 전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개인 보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와 화면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화면 미러링 기능 이란, 전자 장치(100)에 표시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주변 장치(2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주로, 스마트 폰, 태블릿 PC와 같은 소형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주변 장치(200)는 주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가전 제품(예: TV, 냉장고)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전자 장치(100)사이에 화면 미러링이 수행될 수 있고, 주변 장치(200)사이에 화면 미러링이 수행될 수도 있다.
화면 미러링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 할 수 있다. 주변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 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전자 장치(100)의 화면이 외부 장치의 요청에 의하여 공유되므로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장치(200)는 연결 요청 명령이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연결 요청 명령은 주변 장치(200)에 구비된 물리 버튼이 눌려지거나(a), 리모컨의 버튼이 눌려지거나(b), 또는 명령어 발화가 수신(c)되면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주변 장치(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가 화면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주변 장치(200)사이의 화면 미러링을 시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화면 데이터를 주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변 장치(200)는 수신된 화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통신 회로(130), 및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참조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110)로하여금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주변 장치(200)와 연관된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미러링을 수행할 주변 장치(200)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정보는 주변 장치(200)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화면 미러링을 허용할 주변 장치(200)를 선택하고, 인증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리 획득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장치(200)를 인증함으로써,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별도의 서버 개입 없이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통신 회로(130)는 주변 장치(200)와 통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130)를 통하여 주변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130)를 통하여 화면 데이터를 주변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화면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과 연관된 데이터로 참조될 수 있다. 주변 장치(200)는 수신한 화면 데이터를 기초로 전자 장치(100)에 표시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30)는 주변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주변 장치(200)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전부 또는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주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회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장치의 요청에 의한 화면 미러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장치(200)의 요청에 의한 화면 미러링 방법은 동작 301 내지 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301 내지 331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작 301 내지 331의 각 동작은,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인스트럭션(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작 301 내지 331 설명에 도 2의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130)를 통해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 있는 주변 장치(200)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정해진 주기마다 제1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일정한 주기로 반복적으로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화면 미러링 기능이 이용 가능함을 주변 장치(200)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시지는 전자 장치(100)의 운영체제(OS) 정보, 전자 장치(100)의 타입 정보,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에 기반하여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메시지는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11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주변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근처에 위치된 주변 장치(200)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시지가 블루투스 통신에 기반하여 브로드캐스팅된 경우, 블루투스 통신 신호의 도달 범위 내에 위치하는 주변 장치(200)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주변 장치(200)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면, 화면 미러링이 가능한 전자 장치(100)가 근처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근처에 복수 개의 주변 장치(200)들이 있는 경우, 복수 개의 주변 장치(200)들이 모두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복수 개의 주변 장치(200)들 중에서 제1 주변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가 예시로서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주변 장치(200)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면, 화면 미러링이 가능함을 알리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주변 장치(200)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따라 화면 미러링 요청(예: 물리 버튼 입력, 발화 입력)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21에서, 전자 장치(100)는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주변 장치(200)와 연관된 제1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된 제1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주변 장치(200)를 인증할 수 있다. 제1 인증 정보는 제1 주변 장치를 인증하기 위하여 미리 저장된 정보로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증 정보는 제1 주변 장치로부터 획득된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동작 331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통신 회로(130)를 통하여 제1 주변 장치(200)로 화면 데이터(screen data)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주변 장치(200)는 수신한 화면 데이터를 기초로, 전자 장치(100)의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주변 장치 사이에 인증서를 교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주변 장치(200)와 연관된 인증 정보는, 상기 주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인증서에 기초하여 주변 장치(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와, 주변 장치(200)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300)를 통하여 주변 장치(200)의 인증서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서버(300)에 주변 장치(200)에 대한 인증서를 요청할 수 있다(401).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화면을 공유하고자 하는 주변 장치(200)에 대하여 전자 장치(100)는 미리 서버(300)에 주변 장치(200)의 인증서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주변 장치(200)와 인증서를 교환하고(403), 서버(300)가 전자 장치(100)로 인증서를 송신할 수 있다(405).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인증서를 저장할 수 있다(407). 전자 장치(100)는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이후에 주변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주변 장치(200)를 인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증서를 수신한 후, 주변 장치(200)와 관련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409). 전자 장치(100)는 수행한 설정과 연관된 설정 값을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고(411), 서버(300)는 그 설정 값을 주변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에 대하여 화면 미러링 기능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주변 장치(200)의 인증서를 수신한 경우라도, 전자 장치(100)는 상기 설정 값에 기초하여 화면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설정 값을 서버(3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300)가 주변 장치(200)와의 통신을 매개할 때, 서버(300)는 미리 수신한 설정 값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주변 장치를 인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장치(200)를 인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서버의 개입 없이 전자 장치(100)와 주변 장치(200) 사이의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변 장치(200)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와 주변 장치(2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주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블루투스 맥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에 넌스(nonce) 값을 요청할 수 있다. 넌스 값은 임의로 생성된 일회성의 숫자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넌스 값을 생성하고, 주변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507). 주변 장치(200)는 넌스와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그니처를 생성할 수 있다(509). 예를 들어, 주변 장치(100)는 인증서를 이용하여 넌스 값을 암호화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값이 시그니처로 참조될 수 있다. 주변 장치(200)는 시그니처 값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511).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시그니처 값과 미리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주변 장치(200)가 신뢰할 수 있는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13).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그니처 값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값을 미리 전송한 넌스 값과 비교할 수 있다. 양자가 같은 값을 가지면,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판단할 수 있다. 양자가 다른 값을 가지면,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를 신뢰할 수 없는 장치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주변 장치(200)를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판단한 경우, 화면 데이터를 주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주변 장치(200)를 신뢰할 수 없는 장치로 판단한 경우, 주변 장치(200)로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517). 주변 장치(200)는 동작 503에서 수립한 전자 장치(10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주변 장치와 화면 미러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연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지만, 전자 장치(100)가 연결 요청을 주변 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제1 주변 장치(201)(예: TV)로부터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주변 장치(205)(예: 냉장고)로 연결 요청을 송신한 예가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연결 요청을 한 제1 주변 장치(201)와의 화면 미러링은 상술한 도 3 내지 도 5와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동작 601 내지 동작 609).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주변 장치(205)에 대한 화면 미러링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611).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기 요청은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요청에 감지하면, 제2 주변 장치(205)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613). 전자 장치(100)는 제2 주변 장치(613)으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615), 제2 주변 장치(100)로 화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619).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와 연결을 진행하는 중에, 연결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605, 607).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와 주변 장치(200)에 연결 요청을 송신한 경우에 서로 다른 연결 안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안내 화면은 주변 장치(201, 205)와 연관된 정보 및 연결 상태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화면 (710)을 참조하면, 제1 주변 장치(201)인 '삼성 9 시리즈 TV'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되었고, 현재 연결이 진행 중임을 알림창(712)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주변 장치(205)에 연결 요청을 송신한 경우에는 화면(720)과 같은 알림창(724)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알림창(724)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가 주변 장치(200)인 '삼성 9 시리즈 TV'에 연결 요청을 송신하였고, 현재 연결이 진행 중임을 표시할 수 잇다.
연결 요청 메시지의 송신자에 따라서 알림창(712, 714)을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송신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화면 미러링 기능과 관련하여 화면(810) 내지 화면(830)과 같은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표시된 설정 화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설정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설정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화면(810)을 참조하면, 설정 화면은 화면 미러링 기능에 대한 온, 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예: visible to devic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에 의하여 화면 미러링 기능이 켜지면,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로 화면 미러링 기능이 가능함을 알리는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근처에 위치하는 주변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화면(830)을 참조하면, 화면 미러링 기능에 대한 상세 설정 화면이 예를 들어 도시되었다. 화면(830)은 화면 미러링이 가능한 주변 장치(200)의 목록(8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저장하고 있는 인증서에 대응되는 주변 장치를 연결 가능한 주변 장치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복수 개의 인증서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인증서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증서들로 참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인증서들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 개의 주변 장치들(200)을 연결 가능한 것으로 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주변 장치(200)들에 대하여, 화면 미러링 기능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장치(200)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 인증이 성공하더라도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장치(200)에 대한 화면 미러링이 허용된 우에만, 화면 데이터를 주변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특정 주변 장치(200)에 대한 인증서를 저장하고 있더라도, 설정 정보에 따라 특정 주변 장치(200)에 대한 화면 미러링 기능의 허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 실행과 연관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주변 장치(200)로 상기 알림 이벤트와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주변 장치(200)는 알림 이벤트와 연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알림 이벤트를 디스플레이(예: 디스플에이(14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장치(200)는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알림 이벤트와 연관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알림 이벤트를 화면 미러링 기능을 통하여 주변 장치(200)에 공유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정보는, 특정 주변 장치(200)에 상기 알림 이벤트와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설정 정보를 기초로 알림 이벤트의 공유가 허용된 경우에만, 상기 데이터를 주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어, 채팅 메시지가 팝업된 경우, 채팅 메시지를 알리는 이벤트가 주변 장치(200)를 통하여 공유될 경우,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이외의 사람에게도 채팅 메시지가 공개될 수 있어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이 있다. 사용자는 특정 기능 실행과 연관된 알림 이벤트를 주변 장치(200)에 공유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함으로써,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2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알림 이벤트와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화면(830)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별로 알림을 공유할지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834)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관된 알림 메시지를 공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화면 미러링 수행 중에 전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 주변 장치(200)로부터 화면 미러링 요청이 수신되면, 잠금 상태의 전자 장치(100)의 화면이 주변 장치(200)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연결된 주변 장치(200)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100)와 연관된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와 연관된 인증 정보는 특정 내용의 발화 또는 특정 숫자열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음성 암호가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화면(912)를 표시할 수 있고, 주변 장치(200)는 화면(91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 해제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 또는 주변 장치(200)에 대하여 음성 암호를 발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변 장치(200)에 대하여 발화한 경우 주변 장치(200)는 수신한 발화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발화에 기초하여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자 장치(100)에 숫자열 암호가 설정된 경우, 주변 장치(200)는 리모컨 등의 입력 장치에 의하여 수신된 숫자열을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주변 장치(200)에 의하여 잠금이 해제될 수 없는 경우에는(예: 패턴 암호가 설정된 경우), 주변 장치(200)는 화면(920)을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 장치(100)를 통하여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도 마찬가지로 사용자로 하여금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화면(922)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개인 보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주변 장치(200)에 의하여 화면 미러링 기능이 시작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화면(10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현재 화면 미러링 기능이 실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아이콘(1012)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아이콘(1012)을 통하여, 현재 화면 미러링 기능이 주변 장치(200)로부터 요청되어 수행되는 것인지 또는 전자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의 경우 아이콘(1012) 또는 아이콘(1014)가 표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아이콘(1016)이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두 경우에 대하여 아이콘의 형태를 다르게표시 할 수 있다.
화면(10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아이콘(1012)이 선택되면 현재 수행되고 있는 화면 미러링 기능과 관련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미러링 기능에 대한 중지/장치 변경/연결 해제와 같은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화면(103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화면 미러링 기능에 대한 상세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개인 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자동 화면 꺼짐 기능', '알림 공유 기능'에 대한 세부 설정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주변 장치(200)로 화면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자동 화면 꺼짐 기능으로 참조될 수 있다. 화면(1040)을 참조하면, 자동으로 화면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기 위한 시간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화면(105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에서 발생한 알림에 대하여 공유하는 방법(예: 알림의 세부 내용은 제외하고 표시, 알림이 발생한 사실만 표시)과 알림을 공유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자동 화면 꺼짐 기능', '알림 공유 기능'에 대한 세부 설정 항목에서 설정된 내용은, 전자 장치(100)가 외부의 주변 장치(200)로부터 화면 미러링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한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로부터 화면 미러링 요청이 발생된 경우에는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화면 미러링 요청이 수신되고, 자동으로 화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만 상기 설정 항목의 설정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100) 내의 전자 장치(1101)의 블럭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100)에서 전자 장치(1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주변 장치(200))는 제1 네트워크(1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104) 또는 서버(1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1)는 서버(1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1)는 프로세서(1120), 메모리(1130), 입력 장치(1150), 음향 출력 장치(1155), 표시 장치(1160), 오디오 모듈(1170), 센서 모듈(1176), 인터페이스(1177), 햅틱 모듈(1179), 카메라 모듈(1180), 전력 관리 모듈(1188), 배터리(1189), 통신 모듈(1190), 가입자 식별 모듈(1196), 또는 안테나 모듈(1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160) 또는 카메라 모듈(1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176) 또는 통신 모듈(1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20)는 메인 프로세서(1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123)은 메인 프로세서(1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123)는 메인 프로세서(1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121)와 함께, 전자 장치(1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160), 센서 모듈(1176), 또는 통신 모듈(1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180) 또는 통신 모듈(1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전자 장치(1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120) 또는 센서모듈(1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휘발성 메모리(1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140)은 메모리(1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142), 미들 웨어(1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50)는, 전자 장치(1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160)는 전자 장치(1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170)은, 입력 장치(1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155), 또는 전자 장치(1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76)은 전자 장치(1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77)는 전자 장치(1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188)은 전자 장치(1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189)는 전자 장치(1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90)은 전자 장치(1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102), 전자 장치(1104), 또는 서버(1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90)은 프로세서(1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190)은 무선 통신 모듈(1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198) 또는 제2 네트워크(1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1 네트워크 1198 또는 제2 네트워크 1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199)에 연결된 서버(1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2, 1104) 각각은 전자 장치(1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102, 1104, or 1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136) 또는 외장 메모리(1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1 주변 장치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통신 회로;
    상기 제1 주변 장치와 연관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하고,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와 연관된 제1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되는 화면 데이터(screen data)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 정보는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인증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인증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대한 인증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저장된 상기 인증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연결 가능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상기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상기 화면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과 연관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상기 알림 이벤트와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상기 알림 이벤트와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알림 이벤트와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대한 화면 미러링이 허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제2 주변 장치와 통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2 주변 장치와 연관된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주변 장치에 제2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상기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화면 데이터를 제1 주변 장치로 전송 중임을 나타내는 제1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상기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전송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와 연관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장치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와 연관된 인증 정보는,
    특정 내용의 발화, 특정 숫자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하는 동작;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와 연관된 제1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 되는 화면 데이터(screen data)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 정보는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인증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인증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변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하는 동작은,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상기 제1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상기 화면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2 주변 장치에 제2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제2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장치로 상기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화면 데이터를 제1 주변 장치로 전송 중임을 나타내는 제1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상기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제2 주변 장치로 전송 중임을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22250A 2018-02-23 2018-02-23 화면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90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50A KR102490540B1 (ko) 2018-02-23 2018-02-23 화면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201980007055.6A CN111542822B (zh) 2018-02-23 2019-02-22 用于共享屏幕数据的电子装置和方法
US16/282,697 US11200018B2 (en) 2018-02-23 2019-02-2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data
PCT/KR2019/002219 WO2019164339A1 (en) 2018-02-23 2019-02-2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data
EP19158928.2A EP3531659B1 (en) 2018-02-23 2019-02-2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50A KR102490540B1 (ko) 2018-02-23 2018-02-23 화면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829A true KR20190101829A (ko) 2019-09-02
KR102490540B1 KR102490540B1 (ko) 2023-01-19

Family

ID=6576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250A KR102490540B1 (ko) 2018-02-23 2018-02-23 화면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00018B2 (ko)
EP (1) EP3531659B1 (ko)
KR (1) KR102490540B1 (ko)
CN (1) CN111542822B (ko)
WO (1) WO20191643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51B1 (ko) * 2021-09-15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4960B2 (en) 2018-04-26 2022-05-10 West Affum Holdings Corp. Permission-based control of interfacing components with a medical device
CN111953915A (zh) * 2019-05-16 2020-11-17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视频墙控制装置及方法
KR20210050390A (ko) * 2019-10-28 2021-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주변 장치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3343193A (zh) * 2020-03-03 2021-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身份验证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4244874A (zh) * 2020-09-09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解锁控制方法、系统、计算机存储介质及电子设备
CA3194323A1 (en) * 2020-09-30 2022-04-07 Xiwen FANG Cross-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CN112269551A (zh) * 2020-10-22 2021-01-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跨设备显示信息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247924B (zh) * 2021-04-27 2023-11-03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基于智能冰箱的屏幕共享方法、装置及智能冰箱
CN113138739B (zh) * 2021-05-17 2023-06-27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系统、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938742B (zh) * 2021-10-11 2023-07-1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自动投屏内容播放的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6301516A (zh) * 2021-12-21 2023-06-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应用共享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8702A1 (en) * 2012-01-06 2013-09-1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isplay with multiscreen service
US20160182613A1 (en) * 2014-12-18 2016-06-23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information used to present content on a public display device
US20170150227A1 (en) * 2015-11-19 2017-05-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2492B2 (ja) * 2005-09-26 2010-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リモート制御方法及びリモート制御プログラム
DE602008003893D1 (de) * 2008-02-29 2011-01-20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wendung zum Erhalten eines digitalen Zertifikats für eine mobile Kommunikationsvorrichtung
JP4921404B2 (ja) * 2008-03-26 2012-04-25 ヤフー株式会社 画面共有サーバ、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画面共有方法
KR101545289B1 (ko) 2009-01-13 2015-08-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음성 송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
GB201001728D0 (en) * 2010-02-03 2010-03-24 Skype Ltd Screen sharing
JP5216810B2 (ja) * 2010-05-28 2013-06-19 株式会社オプティム 遠隔画面共有を実行する方法、ユーザ端末、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EP2584800B1 (en) * 2011-09-20 2014-11-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service data thereof
US8782398B2 (en) * 2012-06-26 2014-07-15 Intel Corporation Secure user presence detection and authentication
US9001733B2 (en) * 2012-07-17 2015-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ffloading running a needed edge application to a neighboring basestation in a mobile data network
CN104813679A (zh) * 2012-10-08 2015-07-29 英特尔公司 屏幕截图抓取和共享的方法、设备和系统
CN102883134B (zh) * 2012-11-01 2015-04-22 成都飞视美视频技术有限公司 用于视频会议系统的屏幕共享及控制方法
CN102984235A (zh) * 2012-11-20 2013-03-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数据的共享方法及系统
KR102069748B1 (ko) 2013-02-13 2020-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6323811B2 (ja) * 2013-03-15 2018-05-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ソース機器
KR20140140957A (ko) * 2013-05-30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데이터의 미러링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50025584A (ko) * 2013-08-29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392315B1 (en) * 2014-02-26 2016-07-12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display graphics
KR102223609B1 (ko) * 2014-05-09 2021-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간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776640B1 (ko) * 2014-06-23 2017-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U2015302298A1 (en) * 2014-08-15 2017-03-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US9825937B2 (en) * 2014-09-23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Certificate-based authentication
GB2530983A (en) * 2014-09-30 2016-04-13 Ibm Content mirroring
KR102277460B1 (ko) * 2014-10-10 2021-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78460B1 (ko) * 2014-10-17 202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디바이스, 컨텐츠 공유 시스템
KR102264806B1 (ko) * 2015-02-17 2021-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US9565176B2 (en) * 2015-03-10 2017-02-07 Citrix Systems, Inc. Multiscreen secure content access
JP6169642B2 (ja) * 2015-04-29 2017-07-26 株式会社オプティム 画面共有サーバ、画面共有方法及び画面共有プログラム
US10374991B2 (en) * 2015-06-22 2019-08-06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sharing electronic documents during electronic meetings
EP3319326B1 (en) 2015-07-02 2021-05-19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2389038B1 (ko) * 2015-09-02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396685B1 (ko) * 2015-10-08 2022-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483832B1 (ko) * 2016-02-19 2023-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기반 인증을 이용한 전자 장치들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US20170302876A1 (en) * 2016-04-15 2017-10-19 LimitScreen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nd enforcing screen usage
CN106371608A (zh) * 2016-09-21 2017-02-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屏幕投影的显示控制方法及装置
US10165108B1 (en) * 2016-10-11 2018-12-25 Amazon Technologies, Inc. Lock screen optimizations
CN106535194B (zh) * 2016-12-20 2019-11-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内容共享方法、装置及系统
CN107302624A (zh) * 2017-05-11 2017-10-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投影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580000A (zh) * 2017-10-20 2018-01-12 北京知道创宇信息技术有限公司 数字证书认证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8702A1 (en) * 2012-01-06 2013-09-1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isplay with multiscreen service
US20160182613A1 (en) * 2014-12-18 2016-06-23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information used to present content on a public display device
US20170150227A1 (en) * 2015-11-19 2017-05-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51B1 (ko) * 2021-09-15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65938A1 (en) 2019-08-29
US11200018B2 (en) 2021-12-14
CN111542822A (zh) 2020-08-14
CN111542822B (zh) 2024-04-09
EP3531659A1 (en) 2019-08-28
KR102490540B1 (ko) 2023-01-19
EP3531659B1 (en) 2020-09-23
WO2019164339A1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540B1 (ko) 화면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08108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key thereof
KR102400580B1 (ko) 다른 전자 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2616421B1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17305A (ko) 전자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자 펜과의 통신 연결 제어 방법
EP3709205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cure integrated circuit
US1134789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the basis of security operating system in electronic device
KR20200104043A (ko)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429366B2 (en) Electronic device for updating firmware by using security integrated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3775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peer to peer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KR102498545B1 (ko) 생체 인증과 관련된 객체의 표시에 따라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643372B1 (ko) 장치를 탐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1198922A (zh) 基于区块链的游戏资源管理方法及装置
KR20200068068A (ko) IoT 장치를 등록하는 전자 장치, 서버 및 그 작동 방법
EP4044500B1 (en) Electronic device for ensuring integrity of electronic device intrinsic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210049653A (ko)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051084A (ko) 암호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와 그 동작 방법
KR20210026233A (ko) 디바이스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570602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KR20240003681A (ko) 암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0199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p2p 서비스 수행 방법
KR20190108836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104764A (ko)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07575A (ko) 소유권을 등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095753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사용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