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711A -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 Google Patents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711A
KR20190101711A KR1020180022035A KR20180022035A KR20190101711A KR 20190101711 A KR20190101711 A KR 20190101711A KR 1020180022035 A KR1020180022035 A KR 1020180022035A KR 20180022035 A KR20180022035 A KR 20180022035A KR 20190101711 A KR20190101711 A KR 20190101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tube
path
variable
caland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495B1 (ko
Inventor
이동진
김용식
최성남
김진승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49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칼란드리아 원자로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원자로 내부에 설치된 배관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마련되는 육안검사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광원을 제공하는 레이저검사부; 및 상기 육안검사부의 하단에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사거울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칼란드리아관 내부의 영상 관측, 저장 및 평가가 가능하고, 레이저를 통해 관측값을 보정하거나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것이다.

Description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INSPECTION EQUIPMENT FOR CT/LIN GAP MEASUREMENT OF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본 발명은 중수로 칼란드리아 원자로 상부의 관측공(view port)에 삽입되어 원자로 내부에 설치된 배관의 처짐량을 측정할 수 있는 간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안 및 레이저를 활용하여 검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암중수로는 중수로를 냉각재와 감속재로 사용하는 원자로로서, 캐나다에서 개발한 Candu 모델이 대표적이며 국내에서는 월성 1,2,3,4호기가 가압중수로를 채용하고 있다.
가압중수로는 2-5%의 저농축 우라늄을 사용하는 경수로(가압경수로 및 비등경수로)와는 달리 농축하지 않은 천연 우라늄(U-325의 비율이 0.7%)을 사용하며, 냉각제와 감속재로 사용되는 중수로는 일반적인 물(經水)에 비해 중성자를 거의 흡수하지 않고 중성자 손실이 적어서 천연 우라늄을 사용한다.
한편 경수로에서는 핵연료 교환 시마다 원자로를 정지한 상태에서 연료교체가 이루어지는 반면에, 가압중수로에서는 수평형 원통모양의 원자로를 이용하여 가동 중에도 핵연료 교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가압중수형 원자로는 칼란드리아(Calandria)라고 불리는 원통형 용기로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칼란드리아 내에는 직경이 10cm 정도인 수백 개의 압력관(Pressure Tube)들이 역시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핵연료는 집합체(Fuel Bundle)형태로 압력관 안에 공급되며, 하나의 압력관 안에는 보통 12개의 핵연료 집합체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핵연료가 위치하는 칼란드리아관(CT)과 액체독물질 주입관(LIN) 등과 같은 원자로의 반응도 제어 및 중성자속 검출 역할을 하는 배관이 수평으로 서로 교차하고 있다.
이러한 원자로 내부의 배관은 중수로 원자로의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응력, 자중, 중성자 조사 및 크리프(Creep)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데, 각 배관의 처짐량이 다르기 처짐에 따른 접촉이 일어날 경우 큰 인명 내지 재산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처짐량을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장치를 사용하였으나, 초음파 탐촉자가 가지는 넓은 음장과 파장으로 인해 배관의 변형을 정밀하기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칼란드리아관의 경우 높은 중성자 조사량 및 고온의 영향으로 모양의 변형이 발생하며, 초음파의 넓은 음장과 파장으로는 이러한 배관의 변형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어렵고, 수중에서의 짧은 검사 거리로 인해 인접한 배관의 간극만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를 이용해 취득한 정보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사용자의 제어장치로 전송되는데, 고준위 방사선량으로 인한 높은 신호대 잡음비는 배관 신호를 판별하기 어렵게 만드는 일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배관 사이의 간격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육안으로 판별하지 못하는 미세한 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배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검사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육안으로 배관의 처짐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관측을 수행할 수 있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시야각과 레이저 광경로를 제어하여 구조물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칼란드리아 원자로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원자로 내부에 설치된 배관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마련되는 육안검사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광원을 제공하는 레이저검사부 및 상기 육안검사부의 하단에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사거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육안검사부는, 상기 배관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반사거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거울은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와 상기 조명 및 상기 레이저의 반사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레이저가 이동하는 레이저 가이드 관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가이드 관은 상기 육안검사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저검사부는, 상기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광부 및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적어도 한번 이상 가변시키는 경로가변부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가변부제를 통해 이동경로가 가변된 레이저는 상기 레이저 가이드 관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로가변부제는,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가변시키는 제1경로가변부제와 상기 제1경로가변부제를 통해 가변된 상기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가변시키는 제2경로가변부제 및 상기 제1경로가변부제와 제2경로가변부제의 위치를 제어하는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로가변부제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검사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로부제 및 상기 경로가변부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검사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하는 세로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육안검사부는 칼란드리아관 또는 액체독물질 주입관 중 어느 하나에 대향되게 위치한 후, 상기 칼란드리아관 또는 액체독물질 주입관 중 나머지 하나와 직교하는 위치로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육안검사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영상의 관측, 저장 및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레이저검사부를 통해 육안검사부를 통한 관측값을 보정하거나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것이다.
시야각과 레이저 광경로를 제어하여 구조물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비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육안검사부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측면 확대도이다.
도4은 도2의 정면도이다.
도5는 도1의 레이저검사부의 투시도이다.
도6은 도2의 육안검사부의 실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비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검사장비(10)는 연결부(110), 제1이음부제(120), 육안검사부(130), 제2이음부제(140), 레이저검사부(150)를 포함하며, 연결부(110)는 레이저 가이드 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0)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칼란드리아 원자로 내부로 삽입되며, 측정하고자 하는 원자로 내부 깊이에 따라 복수개의 단을 이루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부(110)의 내부에는 레이저 가이드 관(111)이 관통 삽입될 수 있으며, 레이저 가이드 관(111)은 레이저검사부(150)에서 발생된 레이저가 육안검사부(130)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육안검사부(130)는 연결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원자로 내부에 설치된 배관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부에 카메라, 모터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하나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육안검사부(130)는 육안 및 레이저검사부(150)에서 발생한 레이저로 칼란드리아 내부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다양한 장비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양한 하우징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레이저검사부(150)는 연결부(110)의 타측에 구비되어 배관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광원을 제공하며, 레이저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하나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음부재(120)는 연결부(110)와 육안검사부(130)를 연결하며, 제2이음부재(140)는 연결부(110)와 레이저검사부(15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부(110), 육안검사부(130), 레이저검사부(150)간에 방수 처리되어 체결될 수 있다.
육안검사부(130)는 연결부(110)에 대해 360도 회전할 수 있게 구비되어 연결부(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육안검사부(130)만을 회전하여 내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2는 도1의 육안검사부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측면 확대도이고, 도4은 도2의 정면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육안검사부(130)는 반사거울(131), 카메라(132), 모터(133), 램프(134)를 포함하며, 제1홀더(1110a), 리니어 샤프트(1311), 구동절 암(1312), 연결부제(1313), 회전축 브라켓(1314)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거울(131)은 육안검사부(130)의 하단에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모터(133), 리니어 샤프트(1311), 구동절 암(1312), 연결부제(1313), 회전축 브라켓(1314)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터(133)에 의해 동력이 제공되며, 상기 동력은 리니어 샤프트(187)를 밀고 당겨 육안검사부(130)의 하부 내·외측에서 구비되어 리니어 샤프트(187)에 의해 밀고 당겨지는 구동절 암(1312)에 동력이 전달된다.
구동절 암(1312)은 연결부제(1313)의 일측과 연결되어 연결부제(1313)를 밀고 당기며 연결부제(1313)의 타측은 반사거울(131)과 연결되어 반사거울(131)의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회전축 브라켓(1314)은 반사거울(131)이 육안검사부(130)의 하단면과 이루는 각도의 최대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축 브라켓(134)에 의해 반사거울(131)은 최대 90도까지 조절될 수 있다.
즉 반사거울(131)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동력의 전달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모터(133)에서 동력이 생성되어, 리니어 샤프트(1311), 구동절 암(1312), 연결부제(1313)를 통해 반사거울(131)에 전달되며 반사거울(131)의 최대각은 회전축 브라켓(13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132)는 육안검사부(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칼란드리아관 내부 배관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으며, 칼란드리아관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준위 방사선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방사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램프(134)는 육안검사부(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육안에 의한 검사 또는 레이저에 의한 검사 시 필요한 조명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홀더(1110a)는 레이저 가이드 관(111)을 고정·지지할 수 있으며, 레이저 가이드 관(111)은 육안검사부(130)를 내부에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술한바와 같이 레이저검사부(150)에서 발생된 레이저는 연결부(110)를 통해 육안검사부(130)로 레이저 가이드 관(111)을 통해 가이드 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가 가이드 되는 과정에서 분산,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육안검사부(130)의 하부까지 레이즈 가이드 관(111)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카메라(132), 램프(134), 레이저 가이드 관(111)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육안검사부(130)의 하단면은 카메라 홀(132h), 램프 홀(134h), 레이저 가이드관 홀(111h)이 각각 서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어 각 홀을 통해 칼란드리아관 내부 검사 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5는 도1의 레이저검사부의 투시도이다.
도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레이저검사부(150)는 레이저 발광부(151), 경로가변부제(152), 구동 드라이버(153), 가로부제(154), 세로부제(155), 아이볼트(156)를 포함하며, 제2홀더(1110b), 경로가변부제(152)는 제1경로가변부제(152a), 제2경로가변부제(152b)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발광부(151)는 레이저를 발생시키며, 상기 레이저는 레이저 가이드 관(111)을 통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즉 레이저 가이드 관(111)은 레이저검사부(150)의 내부 어느 일부분까지 관통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레이저 가이드 관(111)은 레이저검사부(150)의 내부 어느 일부분에서부터 연결부(110), 육안검사부(13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가이드 관(111)이 레이저검사부(150)의 내부 어느 일부분까지 관통되어 구비되는 경우 레이저 가이드 관(111)을 고정·지지하는 제2홀더(1110b)가 구비될 수 있다.
경로가변부제(152)는 레이저 발광부(151)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적어도 한번 이상 가변시킬 수 있으며, 경로가변부제(152)에 의해 이동경로가 가변된 레이저는 레이저 가이드 관(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제1경로가변부제(152a), 제2경로가변부제(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경로가변부제(152a)는 레이저 발광부(151)에서 발생한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제2경로가변부제(152b)는 제1경로가변부제(152a)를 통해 가변된 상기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가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경로가변부제(152a)는 레이저 발광부(151)에서 발생된 레이저가 직진하여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어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가변시키며, 제2경로가변부제(152b)는 제1경로가변부제(152a)에 의해 가변된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가변시켜 레이저 가이드 관(111)으로 레이저가 가이드 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어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가변시킬 수 있다.
구동 드라이버(153)는 제1경로가변부제(152a)와 제2경로가변부제(152b)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레이저의 이동경로가 가변되는 각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발광부(151)는 발생된 630nm 파장의 적색파를 발생시키고, 구동 드라이버(153)에서 제1경로가변부제(152a)와 제2경로가변부제(152b)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적색파는 제1경로가변부제(152a)에 의해 90도 반사되고, 제2경로가변부제(152b)에 의해 90도 반사된 다음 레이저 가이드 관(111)을 통해 육안검사부(130)까지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레이저 발광부(151)와 경로가변부제(152)에 의한 레이저의 이동경로의 제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레이저 발광부(151)에서 발생되는 파장은 달리할 수 있으며, 경로가변부제(152)에 의한 각도의 조절도 달리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가로부제(154)와 세로부제(155)는 레이저검사부(150)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로부제(154)는 경로가변부제(152)의 상측에 구비되어 레이저검사부(150)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로부제(154)와 세로부제(155)는 레이저 발광부(151)에서 발생된 레이저가 경로가변부제(152)에 의해 경로가 가변되어 레이저 가이드 관(111)으로 이동하는 구간에서 레이저의 이동에 간섭될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을 막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칼란드리아관과(CT)와 액체독물질 주입관(LIN)의 간격측정은 육안검사부(130)를 칼란드리아관에 수직하게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하고, 이를 기준으로 액체독물질 주입관과 직교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미세각도를 조절하여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과 육안검사부(130)의 최단거리를 이용하여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교차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 중 어느 하나에 수직하게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한 후 이를 기준으로 나머지 하나에 직교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미세각도를 조절하여 최단거리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지 반드시 상술한 순서에 구속된다고 볼 수는 없다.
즉 육안검사부(130)의 카메라(132)를 통해 배관(칼란드리아관,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최단거리 계산은 레이저검사부(150)에서 생성된 레이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검사장비
110 : 연결부
111 : 레이저 가이드 관
111h : 레이저 가이드 관 홀
1110a : 제1홀더
1110b : 제2홀더
120 : 제1이음부제
130 : 육안검사부
131 : 반사거울
1311 : 리니어 샤프트
1312 : 구동절 암
1313 : 연결부제
1314 : 회전축 브라켓
132 : 카메라
132h : 카메라 홀
133 : 모터
134 : 램프
134h : 램프 홀
140 : 제2이음부제
150 : 레이저검사부
151 : 레이저 발광부
152 : 경로가변부제
152a : 제1경로가변부제
152b : 제2경로가변부제
153 : 구동 드라이버
154 : 가로부제
155 : 세로부제

Claims (7)

  1.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칼란드리아 원자로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원자로 내부에 설치된 배관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마련되는 육안검사부;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 광원을 제공하는 레이저검사부; 및
    상기 육안검사부의 하단에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반사거울을 포함하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안검사부는,
    상기 배관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반사거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거울은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와 상기 조명 및 상기 레이저의 반사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레이저가 이동하는 레이저 가이드 관;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가이드 관은 상기 육안검사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검사부는,
    상기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광부; 및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적어도 한번 이상 가변시키는 경로가변부제;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가변부제를 통해 이동경로가 가변된 레이저는 상기 레이저 가이드 관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가변부제는,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서 발생된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가변시키는 제1경로가변부제;
    상기 제1경로가변부제를 통해 가변된 상기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가변시키는 제2경로가변부제; 및
    상기 제1경로가변부제와 제2경로가변부제의 위치를 제어하는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가변부제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검사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로부제; 및
    상기 경로가변부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검사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하는 세로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안검사부는 칼란드리아관 또는 액체독물질 주입관 중 어느 하나에 대향되게 위치한 후, 상기 칼란드리아관 또는 액체독물질 주입관 중 나머지 하나와 직교하는 위치로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KR1020180022035A 2018-02-23 2018-02-23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KR10210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035A KR102101495B1 (ko) 2018-02-23 2018-02-23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035A KR102101495B1 (ko) 2018-02-23 2018-02-23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711A true KR20190101711A (ko) 2019-09-02
KR102101495B1 KR102101495B1 (ko) 2020-05-26

Family

ID=6795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035A KR102101495B1 (ko) 2018-02-23 2018-02-23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40A (ko) * 2021-09-27 2023-04-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초음파를 이용한 가압중수로의 배관 검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009A (ko) * 2012-09-26 2014-04-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원자로 원격육안검사 시스템 및 중수로 원자로 원격육안검사 방법
KR20150017913A (ko) * 2013-08-08 2015-02-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검사로봇 정렬장치
KR101776102B1 (ko) * 2016-10-28 2017-09-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009A (ko) * 2012-09-26 2014-04-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원자로 원격육안검사 시스템 및 중수로 원자로 원격육안검사 방법
KR20150017913A (ko) * 2013-08-08 2015-02-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검사로봇 정렬장치
KR101776102B1 (ko) * 2016-10-28 2017-09-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40A (ko) * 2021-09-27 2023-04-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초음파를 이용한 가압중수로의 배관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495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7112B (zh) 扫描方法和扫描设备
KR900008662B1 (ko) 원자로의 연료 집합체 검사방법 및 검사기
KR101776102B1 (ko)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치
CN103743412B (zh) 一种光纤陀螺光路无损检测装置
KR101787411B1 (ko)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비
JPS60102608A (ja) 放射性物体の遠隔目視検査装置
KR20190101711A (ko) 중수로 칼란드리아관과 액체독물질 주입관의 간격측정을 위한 검사장비
KR101787409B1 (ko) 비커넥트형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비
EP3390960B1 (en) Scann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of circular holes in transparent liquids in ionizing radiation environment
JP2014098602A (ja) 水中観測装置及び水中観測方法とそれを用いた燃料集合体の放射能測定方法
JP2022550547A (ja) システムおよび光プローブとキャリブレーション構造との間の光結合を特徴付けるための方法
KR101857106B1 (ko)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치
KR102069738B1 (ko)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비의 방사선 피폭 방지장치
CN210198998U (zh) 一种高安全性的中子检测装置
Halpern et al. Laser fusion microballoon wall‐thickness measurements: A comparative study
De Dominicis et al. Radiation tolerant 3D laser scanner for structural inspections in nuclear reactor vessels and fuel storage pools
CN208621291U (zh) 一种高分辨率光纤缺陷检测设备
US3604529A (en) Apparatus for ultrasonic wave transmission
CN107843414B (zh) 大口径系统的波前检测方法及系统
KR102597545B1 (ko) 초음파를 이용한 가압중수로의 배관 검사장치
KR101893550B1 (ko)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비의 방사선 피폭 방지장치
GB2112260A (en) Patient-alignment devices for tomography systems
JP3073557B2 (ja) 燃料棒間隔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80761Y1 (ko) 콜리메이터용 방사선투과검사 유효영역 지시기
CN110987024B (zh) 一种利用红外光平面镜成像测量漂移的装置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