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655A - 노즐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노즐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655A
KR20190101655A KR1020180021906A KR20180021906A KR20190101655A KR 20190101655 A KR20190101655 A KR 20190101655A KR 1020180021906 A KR1020180021906 A KR 1020180021906A KR 20180021906 A KR20180021906 A KR 20180021906A KR 20190101655 A KR20190101655 A KR 2019010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luid
steam line
nozzle
fluid injection
superheated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488B1 (ko
Inventor
김재철
윤태준
정성용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4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GSUPERHEATING OF STEAM
    • F22G5/00Controlling superheat temperature
    • F22G5/12Controlling superheat temperature by attemperating the superheated steam, e.g. by injected water sprays
    • F22G5/123Water injec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노즐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은, 고압터빈에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 과열증기 라인에 설치되어, 과열증기 라인 내부로 스프레이 워터를 분사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로서, 상기 과열증기 라인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연장되고, 내부에 노즐본체부의 상단을 감싸는 구조로 지지하는 상단지지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과열증기 라인 내부로 연장된 구조이며,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며, 과열증기 라인 내부로 스프레이 워터를 분사하는 분사홀이 다수 형성된 노즐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유체 분사노즐의 고유진동수를 기존 대비 3배 정도 증가시킬 수 있어, 공진영역을 완전히 회피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냉각유체 분사노즐 구조를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즐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Cooling Fluid Spray Nozzle Having Nozzle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노즐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터빈에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 과열증기 라인에 설치되어, 과열증기 라인 내부로 스프레이 워터를 분사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고압터빈에서 요구하는 증기온도를 맞추기 위해 보일러 과열증기 라인에는 냉각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12)은 과열증기 라인(10) 내부에 형성된 유로(11)를 따라 유동하는 고압, 고압의 증기에 냉각유체를 분사하는 구조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분사노즐(12)은, 과열증기 라인의 일측으로부터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진입하고, 과열증기 라인의 일측 벽면에 지지되는 외팔보(cantilever)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공유진동수가 낮아 공진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과열증기 라인의 일측 벽면에만 고정된 구조로서 구조적 안정적이 취약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분사노즐의 경우, 과열증기 라인의 일측 벽면에 분사노즐의 조립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한 후 분사노즐을 열박음하여 제작하고 있다. 이 경우, 조립 및 제작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팔보 구조의 분사노즐의 경우,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사노즐의 연장 길이를 특정 범위 내로 한정해야 한다. 이로 인해 분사노즐의 몸체에 형성할 수 있는 냉각유체 분사홀의 갯수 및 크기에 제한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023528호 (2003년 03월 19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 과열증기 온도저감기에 설치되는 냉각유체분사 노즐의 고유진동수를 변경하여 공진영역을 회피할 수 있고, 조립, 설치, 유지 및 보수 측면에서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의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은, 고압터빈에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 과열증기 라인에 설치되어, 과열증기 라인 내부로 스프레이 워터를 분사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로서, 상기 과열증기 라인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연장되고, 노즐본체부의 상단을 감싸는 구조로 지지하는 상단지지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과열증기 라인 내부로 연장된 구조이며,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며, 과열증기 라인 내부로 스프레이 워터를 분사하는 분사홀이 다수 형성된 노즐본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열증기 라인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홀과 대응되는 높이에 노즐본체부와 인접하여 벤츄리 슬리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부는, 상기 과열증기 라인의 상단에 형성된 노즐진입홀의 외주를 감싸는 위치로부터 과열증기 라인과 일체형으로 상방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구조이고, 과열증기 라인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증기라인 연결부; 상기 증기라인 연결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내측에 노즐본체부의 외측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이격공간이 형성된 노즐연장부; 및 상기 노즐연장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단면상 경사구조이며, 노즐본체부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노즐상단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진입홀에는 노즐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사는 구조의 다이어프레임(diaphragm)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은, 과열증기 라인의 측면을 관통하는 홀 구조이고, 상기 고정홀 내측에는 노즐본체부의 하단을 감싸는 구조의 가이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구조는, 노즐본체부의 하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노즐본체부의 하단부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은, 과열증기 라인의 측면을 관통하는 홀 구조이고, 상기 고정홀에는 볼트 플러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는 구조의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고정홀의 내측 경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본체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돌기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본체부의 하단 절단면 구조는, 상기 경사구조와 상기 삽입돌기에 의해 Y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고정홀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과열증기 라인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홀과 삽입돌기를 감싸는 구조의 밀폐하우징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돌기의 일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타원형 슬릿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하우징에는 상기 슬릿홀을 관통하여 고정핀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홀의 내측 상단 및 하단은, 상기 고정핀의 상단 및 하단과 소정 길이만큼 이격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부에 형성된 분사홀은, 노즐본체부의 연장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유체 분사노즐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상단지지부, 고정홀 및 노즐본체부를 구비함으로써, 냉각유체 분사노즐의 고유진동수를 기존 대비 3배 정도 증가시킬 수 있어, 공진영역을 완전히 회피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냉각유체 분사노즐 구조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유체 분사노즐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증기라인 연결부, 노즐연장부 및 노즐상단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단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 냉각유체 분사노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유체 분사노즐에 따르면,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노즐본체부의 하단을 감싸는 구조의 가이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열변형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의 상하방향 위치변경을 안정적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측방향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 냉각유체 분사노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유체 분사노즐에 따르면,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특정 구조의 볼트 플러그를 설치함으로써,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설치함에 있어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냉각유체 분사노즐 설치 작업이 더욱 간편해지고, 결과적으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유체 분사노즐에 따르면, 고정홀의 내측 경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특정구조의 삽입돌기를 노즐본체부의 하단에 형성함으로써, 냉각유체 분사노즐의 상하방향 위치변경을 안정적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측방향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 냉각유체 분사노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유체 분사노즐에 따르면, 노즐본체부의 하단부에 삽입돌기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구조를 형성하여, 노즐본체부의 하단 절단면 구조를 경사구조와 삽입돌기에 의해 Y자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분사홀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을 극대화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 대비 절반 크기의 분사홀을 가공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 대비 손쉽게 가공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일러 과열증기 라인에 설치된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100)은, 고압터빈에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 과열증기 라인(101)에 설치되어, 과열증기 라인(101) 내부에 스프레이 워터를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100)은, 특정 구조의 상단지지부(110), 고정홀(102), 분사홀(121) 및 노즐본체부(120)를 구비함으로써, 냉각유체 분사노즐의 고유진동수를 기존 대비 3배 정도 증가시킬 수 있어, 공진영역을 완전히 회피할 수 있어, 안정적인 냉각유체 분사노즐 구조를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단지지부(110)는, 과열증기 라인(101)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연장된 구조로서, 내부에 노즐본체부(120)의 상단을 감싸는 구조로 노즐본체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지지부(110)는 특정 구조의 증기라인 연결부(111), 노즐연장부(112) 및 노즐상단 연결부(11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증기라인 연결부(111)는, 과열증기 라인(101)의 상단에 형성된 노즐진입홀(104)의 외주를 감싸는 위치로부터 과열증기 라인(101)과 일체형으로 상방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증기라인 연결부(111)의 단면 두께는 과열증기 라인(10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노즐진입홀(104)에는 노즐본체부(120)의 외주면을 감사는 구조의 다이어프레임(diaphragm, 106)이 설치될 수 있다.
노즐연장부(112)는, 증기라인 연결부(101)로부터 일체형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노즐연장부(112)의 내측에는 노즐본체부(120)의 외측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이격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연장부(112)의 상단부에 형성된 노즐상단 연결부(113)는, 상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단면상 경사구조이며, 노즐본체부(120)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냉각유체 분사노즐(100)은, 특정 구조의 증기라인 연결부(111), 노즐연장부(112) 및 노즐상단 연결부(113)를 포함하는 상단지지부(110)를 구비함으로써, 냉각유체 분사노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 냉각유체 분사노즐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본체부(120)는, 단지지부(11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과열증기 라인(101) 내부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02)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열증기 라인(101)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02)은, 과열증기 라인(101)의 측면을 관통하는 홀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102) 내측에는 노즐본체부(120)의 하단을 감싸는 구조의 가이드 구조(10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구조(105)는, 노즐본체부(120)의 하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노즐본체부(120)의 하단부를 감싸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과열증기 라인(101)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02)에 노즐본체부(120)의 하단을 감싸는 구조의 가이드 구조(105)를 형성함으로써, 열변형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100)의 상하방향 위치변경을 안정적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측방향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 냉각유체 분사노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열증기 라인의 측면을 관통하는 홀 구조의 고정홀(102)에는, 볼트 플러그(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과열증기 라인(101)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02)에 특정 구조의 볼트 플러그(130)를 설치함으로써, 냉각유체 분사노즐(100)을 설치함에 있어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냉각유체 분사노즐 설치 작업이 더욱 간편해지고, 결과적으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본체부(120)의 하단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02)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는 구조의 삽입돌기(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돌기(140)는, 상기 고정홀(102)의 내측 경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100)은, 고정홀(102)의 내측 경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특정구조의 삽입돌기(140)를 노즐본체부(120)의 하단에 형성함으로써, 노즐본체부(120)의 열변형에 의한 상하방향 위치변경을 안정적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측방향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본체부(120)의 하단부에는 삽입돌기(140)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구조(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즐본체부(120)의 하단 절단면 구조는, 상기 경사구조(122)와 상기 삽입돌기(140)에 의해 Y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분사홀(121)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을 극대화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 대비 절반 크기의 분사홀을 가공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 대비 손쉽게 가공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C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100)은, 특정 구조의 삽입돌기(140), 밀폐하우징(150) 및 고정핀(151)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돌기(140)는 고정홀(102)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과열증기 라인(101)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홀(102)와 삽입돌기(140)를 감싸는 구조의 밀폐하우징(15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돌기(140)의 일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타원형 슬릿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밀폐하우징(150)에는 상기 슬릿홀(141)을 관통하여 고정핀(151)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홀(141)의 내측 상단 및 하단은, 고정핀(151)의 상단 및 하단과 소정 길이만큼 이격된 구조일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체 분사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노즐본체부(120)의 외부면에는, 과열증기 라인 내부로 스프레이 워터를 분사하는 분사홀(121)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즐본체부(120)에 형성된 분사홀(121)은, 노즐본체부(120)의 연장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열증기 라인(101)의 내부에는, 분사홀(121)과 대응되는 높이에 노즐본체부(120)와 인접하여 벤츄리 슬리브(103)가 설치되어, 냉각유체 분사 속도 및 유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과열증기 라인
11: 내부 유로
12: 냉각유체 분사노즐
100: 냉각유체 분사노즐
101: 과열증기 라인
102: 고정홀
103: 벤츄리 슬리브
104: 노즐진입홀
105: 가이드 구조
106: 다이어프레임(diaphragm)
110: 상단지지부
111: 증기라인 연결부
112: 노즐연장부
113: 노즐상단 연결부
120: 노즐본체부
121: 분사홀
122: 경사구조
130: 볼트 플러그
140: 삽입돌기
141: 슬릿홀
150: 밀폐하우징
151: 고정핀

Claims (15)

  1. 고압터빈에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 과열증기 라인(101)에 설치되어, 과열증기 라인(101) 내부에 스프레이 워터를 분사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100)로서,
    상기 과열증기 라인(101)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연장되고, 노즐본체부(120)의 상단을 감싸는 구조로 지지하는 상단지지부(110); 및
    상기 상단지지부(11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장착되고, 과열증기 라인(101) 내부로 연장된 구조이며,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02)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며, 과열증기 라인 내부로 스프레이 워터를 분사하는 분사홀(121)이 다수 형성된 노즐본체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증기 라인(101)의 내부에는,
    상기 분사홀(121)과 대응되는 높이에 노즐본체부(120)와 인접하여 벤츄리 슬리브(10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부(110)는,
    상기 과열증기 라인(101)의 상단에 형성된 노즐진입홀(104)의 외주를 감싸는 위치로부터 과열증기 라인(101)과 일체형으로 상방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구조이고, 과열증기 라인(10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증기라인 연결부(111);
    상기 증기라인 연결부(101)로부터 일체형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내측에 노즐본체부(120)의 외측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이격공간이 형성된 노즐연장부(112); 및
    상기 노즐연장부(112)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단면상 경사구조이며, 노즐본체부(120)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노즐상단 연결부(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진입홀(104)에는 노즐본체부(120)의 외주면을 감사는 구조의 다이어프레임(diaphragm, 10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증기 라인(101)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02)은, 과열증기 라인(101)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홀 구조이고,
    상기 고정홀(102) 내측에는 노즐본체부(120)의 하단을 감싸는 구조의 가이드 구조(10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조(105)는, 노즐본체부(120)의 하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노즐본체부(120)의 하단부를 감싸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02)은, 과열증기 라인의 측면을 관통하는 홀 구조이고,
    상기 고정홀(102)에는 볼트 플러그(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부(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과열증기 라인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02)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는 구조의 삽입돌기(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140)는, 상기 고정홀(102)의 내측 경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방식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부(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돌기(140)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구조(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부(120)의 하단 절단면 구조는, 상기 경사구조(122)와 상기 삽입돌기(140)에 의해 Y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140)는 고정홀(102)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상기 과열증기 라인(101)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홀(102)와 삽입돌기(140)를 감싸는 구조의 밀폐하우징(15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140)의 일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타원형 슬릿홀(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하우징(150)에는 상기 슬릿홀(141)을 관통하여 고정핀(15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홀(141)의 내측 상단 및 하단은, 상기 고정핀(151)의 상단 및 하단과 소정 길이만큼 이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부(120)에 형성된 분사홀(121)은, 노즐본체부(120)의 연장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KR1020180021906A 2018-02-23 2018-02-23 노즐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KR102012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06A KR102012488B1 (ko) 2018-02-23 2018-02-23 노즐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06A KR102012488B1 (ko) 2018-02-23 2018-02-23 노즐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655A true KR20190101655A (ko) 2019-09-02
KR102012488B1 KR102012488B1 (ko) 2019-11-04

Family

ID=6795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906A KR102012488B1 (ko) 2018-02-23 2018-02-23 노즐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188A (ko) * 2020-06-30 2022-01-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과열저감장치의 설계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165U (ko) * 1996-10-31 1998-07-25 유상부 벤츄리형 수분무식 과열저감기
KR20030023528A (ko) 2001-09-12 2003-03-19 가부시키가이샤 이케우치 스프레이 노즐
KR20170143206A (ko) * 2016-06-21 2017-12-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과열저감기
KR20170143208A (ko) * 2016-06-21 2017-12-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과열저감기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165U (ko) * 1996-10-31 1998-07-25 유상부 벤츄리형 수분무식 과열저감기
KR20030023528A (ko) 2001-09-12 2003-03-19 가부시키가이샤 이케우치 스프레이 노즐
KR20170143206A (ko) * 2016-06-21 2017-12-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과열저감기
KR20170143208A (ko) * 2016-06-21 2017-12-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과열저감기 분사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188A (ko) * 2020-06-30 2022-01-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과열저감장치의 설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488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0845B1 (en) Gas turbine combustor
KR102012488B1 (ko) 노즐지지구조를 포함하는 냉각유체 분사노즐
CN103206328B (zh) 燃料喷射阀
US7412834B2 (en) Annular combustion chamber for a turbomachine with an improved inner fastening flange
JP6187840B2 (ja) 熱膨脹補償器具が備えられたホットランナー装置
US20140190468A1 (en) Burner cap and burner
CN105781743B (zh) 用于燃气轮机的减震器
KR101239877B1 (ko) 암모니아가 포함된 폐가스 처리장치
KR102144892B1 (ko) 샤워헤드 체결장치
JPWO2015056562A1 (ja) ガス吸収塔、ガス吸収塔の製造方法及び船舶
FI124820B (fi) Keskiöintilaite polttoaineen ruiskutussuutinta varten
KR101902619B1 (ko) 과열저감기 분사노즐
JP2009541703A (ja) 可変オリフィス黒液ノズル
KR102152991B1 (ko) 터빈용 패킹 링
KR102304682B1 (ko) 인젝터에 내장되는 아마추어
US20180216515A1 (en) Exhaust Duct
KR101976897B1 (ko) 과열저감기
KR101232608B1 (ko) 석탄 버너의 노즐 팁
KR102423621B1 (ko) 과열저감장치의 설계방법
EP3287695B1 (en) Attemperator including a spray nozzle
KR102349155B1 (ko) 버너 장치
US20200217500A1 (en) Flat-jet fuel injector for an aircraft turbine engine
KR20120111384A (ko) 스트라이킹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필링 파이프 어셈블리
KR102080015B1 (ko) 사이드 스토리지의 웨이퍼 수용 카세트용 가스 분지 유로 구조
KR102419437B1 (ko) 그라파이트 머플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