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056A - Unloading assistant implement for vehicle load product - Google Patents

Unloading assistant implement for vehicle load 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056A
KR20190101056A KR1020180020973A KR20180020973A KR20190101056A KR 20190101056 A KR20190101056 A KR 20190101056A KR 1020180020973 A KR1020180020973 A KR 1020180020973A KR 20180020973 A KR20180020973 A KR 20180020973A KR 20190101056 A KR20190101056 A KR 20190101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loading
slope member
hook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4055B1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18002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055B1/en
Publication of KR2019010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0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30Non-permanently installed loading ramps, e.g.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oaded object unloading assisting device. The vehicle loaded object unloading ass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10) having a hanger (12) hung on a loading box (2) of a vehicle, having a leg (14) at the bottom, and having a hanging bar (21) at a side surface; and a slope member (20) in which a hanging ring (2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able (10) and slopingly installed from the table (10) to the ground.

Description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Unloading assistant implement for vehicle load product}Unloading assistant implement for vehicle load product

본 발명은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적재함에서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oad unload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oad unloading aid that enables convenient and quick unloading of loads in a vehicle loading box.

택배 차량과 같은 적재물 운반용 차량은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물품을 원하는 장소에 도착하여 물품을 하역하게 된다. 이러한 적재물 운반용 차량은 다닐 수 있는 곳은 어디든지 구분없이 광범위하게 운행하고 있는 실정이다.A load transport vehicle, such as a courier vehicle, travels around the country and arrives at a desired place to unload the goods. These load-carrying vehicles are operating in a wide range regardless of where they can travel.

그런데, 기존에는 적재물을 하역하는 보조장치내지 기구가 없어서 물품 적재차량의 적재함에서 물품을 하역하는 작업이 쉽지 않다는데에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는 택배 등의 차량 적재함에서 물품을 하역하려면 작업자가 적재함에서 물품을 들어준 상태에서 차량의 적재함 바깥의 지면까지 내려놓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적재함에서 물품을 하역할 때에 많이 힘들고 작업상의 제약 등이 있어왔다. 또한, 물품의 하역을 위한 하역 장치 내지 기구는 특성상 제조 가격과 인건비 등이 적다고 할 수 없으며, 이러한 높은 제조 가격 문제와 나아가 신속하겨 편리한 하역을 도와주는 기능은 오늘날까지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며, 이로 인하여 쉽게 적재물 하역 보조장치에 대한 장애물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By the wa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unload the goods in the loading box of the goods loading vehicle because there is no auxiliary device for unloading the load. Until now, in order to unload goods from a vehicle loading box such as a courier service, a worker often lifts an item from the loading box and lowers it to the ground outside the vehicle's loading box. Has been. In addition, the unloading device or mechanism for the unloading of the goods is not a low production price and labor costs, etc. due to the nature, such a high manufacturing price problem and the ability to help the quick and convenient unloading is a problem to be solved to this day. Due to this situation, the load unloading aid is becoming an obstacle.

한국등록특허 제10-1167128호(2012년07월13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67128 (registered July 13, 2012) 한국등록특허 제10-1532958호(2015년06월25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32958 (registered June 25, 2015)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8192호(2000년04월25일 등록)Korea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188192 (registered April 25, 2000)

택배 차량이나 기타 화물차 등과 같은 적재물 운반용 차량의 경우 뒤쪽에 적재함이 구비되어, 적재함에 물건을 싣고 목적지에서 물품을 하역하게 된다. 적재된 물품을 신속하게 하역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적재물 하역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서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부의 하나인 테이블은 차량의 적재함에 결합하고, 테이블에는 슬로프 부재를 설치하여, 차량의 적재함에서 테이블로 물품을 운반하고 슬로프 부재를 타고 물품이 흘러내려가서 하역되도록 하는 새로운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a load-carrying vehicle, such as a courier vehicle or other vans, a loading box is provided at the rear to load the goods and to unload the goods at the destination. Several types of load unload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for quickly unloading loaded good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load unloading aid that allows for convenient and quick loading and unloading of loads in a vehicle loading box.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 table, which is one of the main parts, is coupled to a loading box of a vehicle, and a slope member is installed on the table to transport the goods from the loading box of the vehicle to the table and to allow the goods to flow down on the slope member to be unloaded. To provide a load unloading ai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 하역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테이블에서 지면까지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로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table is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of the goods unloading vehicle;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assistance mechanism is provided, comprising: a slope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table and installed inclined from the table to the ground.

상기 테이블의 선단부에는 행거가 구비되어, 상기 행거가 상기 물품 하역차량의 적재함에 구비된 행거 걸림부에 걸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end of the table is provided with a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er is configured to hang over the hanger engag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ading box of the article unloading vehicle.

상기 행거는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의 선단부에 상기 행거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ger is configured in a ring shap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hangers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table.

상기 슬로프 부재의 선단부에는 걸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걸고리가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end of the slope member is provided with a hook,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table.

상기 테이블에는 걸침바아가 구비되어, 상기 걸침바아에 상기 걸고리가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ble is provided with a hook ba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hooked to the hook bar.

상기 테이블에는 아래쪽으로 설치되는 레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b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legs installed downward.

상기 레그의 상단부는 힌지부에 의해 상기 테이블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end of the leg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table by a hinge portion.

상기 테이블은 복수개의 테이블부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테이블부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ble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table by the hing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old the table portion on the basis of the hinge portion.

상기 테이블의 선단부에 상기 행거가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g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table by a fastener.

상기 슬로프 부재의 양쪽 측면에는 이탈방지바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oth sides of the slop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 is further provided.

상기 슬로프 부재의 상면에는 슬로프 돌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slop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pe stone pieces are further provided.

상기 슬로프 부재는 복수개의 슬로프 패널부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슬로프 패널부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op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lope panel portion is coupled by the hinge portion, it is configured to fold the slope panel portion relative to the hinge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는 특히 적재물 차량용 하역 보조기구로서, 궁극적으로 비용이나 작업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적재물 하역 보조기루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재 국내특허출원을 진행하고자 하며, 특허출원 및 특허등록을 통하여 국내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의 수요처, 특히 택배 시장이나 기타 적재물 하역 시장에서 보다 저렴하면서도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load unloa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a load unloading aid for a vehicle, and can ultimately provide a load unloading auxiliary base which is preferable in terms of cost and workability, and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such a load unloading aid. Is currently seeking domestic patent applications, and through patent applications and patent regist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heaper and higher quality products in the demand of domestic loading and unloading aids, especially in the parcel delivery market or other loading and unloading market.

본 발명은 테이블의 전단에 구비된 행거를 차량의 적재함에 구비된 행거 결합홈에 걸쳐서 테이블을 차량의 적재함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하고, 상기 테이블의 걸침 바아에 슬로프 부재 상단에 구비된 걸고리를 걸어주면, 상기 슬로프 부재가 테이블 상면에서 바닥 지면까지 경사지게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 적재함으로부터 물품을 밀어내서 테이블 위로 올리고, 테이블에서 슬로프 부재를 따라 물품을 하강시키면 자연스럽게 물품이 바닥 지면까지 내려오게 되므로, 차량의 적재함에서 물품을 하역하기 편리하면서도 신속하며 안전성도 높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hanger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table across the hanger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loading box of the vehicle to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of the vehicle, and to hang the hook provided on the top of the slope member on the hanging bar of the table. The slope member may be long and inclined from the table top to the floor ground, and in this state, the article is pushed out of the vehicle stacker and raised on the table, and when the article is lowered along the slope member on the table, the article naturally falls to the floor surface. Therefore, it is convenient, quick and safe to unload the goods in the loading box of the vehicle has a high safety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의 주요부인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의 다른 주요부인 슬로프 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테이블에 슬로프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를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를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의 주요부인 테이블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측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의 주요부인 테이블에서 행거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의한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의 다른 주요부인 슬로프 부재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일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which is a main part of a vehicle load unloa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ope member which is another main part of the vehicle load unloa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lope member is coupled to a table illustrated in FIGS. 1 and 2, respectively.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load unloa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oading box of a vehicle;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load unloa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oading box of a vehicl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a vehicle load unloading a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of Figure 6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ructure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hanger at the tabl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vehicle load unloa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lope member which is another main part of the vehicle load unloa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of FIG. 1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For example,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는 차량의 적재함(2)에 걸쳐지는 행거(12)를 구비하고 아래쪽으로는 레그(14)를 구비하며 측면에는 걸침바아(21)를 구비한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에 걸고리(2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테이블(10)에서 지면까지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로프 부재(2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hicle load unload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ger 12 that spans the loading box 2 of the vehicle, a leg 14 downward, and a latch bar 21 on the side. Table 10 and the hook 2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able 10, the slope member 20 is provided to be inclined from the table 10 to the ground.

상기 테이블(10)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테이블(10)은 사각틀 형상으로 연결된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테두리 프레임에 결합된 테이블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10)의 테두리 프레임의 좌우 측면에 걸침바아(21)가 구비된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과 걸침바아(21) 사이에 걸고리 삽입 공간부가 확보된다.The table 10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table 10 is composed of a border frame connect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a table plate coupled to the border frame. Bars 21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frame of the table 10. A hook insertion space portion is secured between the border frame and the hook bar 21.

상기 테이블(10)의 선단부에는 행거(12)가 구비된다. 상기 행거(12)는 테이블(10)의 선단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행거(12)가 테이블(10)의 선단부에 나란하게 구비된다. 행거(12)는 테이블(1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A hanger 12 is provided at the tip end of the table 10. At least two hangers 12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table 10. Two or more hangers 12 are provided side by side at the tip of the table 10. The hanger 12 may be fixed to the table 10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테이블(10)에는 복수개의 레그(14)가 구비된다. 레그(14)의 상단부가 테이블(10)에 연결된다. 테이블(10)이 사각판 형상이어서 레그(14)는 테이블(10)의 네 군데 코너부에 인접하도록 결합된다. 테이블(10)에 전후 두 개의 레그(14)가 구비된다. 레그(14)는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그(14)가 힌지 브라켓(HM)에 의해 테이블(10)에 연결되어 있다.The table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14. The upper end of the leg 14 is connected to the table 10. Since the table 10 is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legs 14 are coupled to be adjacent to four corner portions of the table 10. The table 10 is provided with two legs 14 before and after. Leg 14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he leg 14 is connected to the table 10 by a hinge bracket (HM).

상기 슬로프 부재(20)는 좌우측 폭에 비하여 선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폭이 더 큰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slope member 20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larger width between the distal end and the proximal end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상기 슬로프 부재(20)의 선단부에는 걸고리(22)가 구비된다. 걸고리(22)는 슬로프 부재(20)의 선단부에서 앞으로 돌출된다. 슬로프 부재(20)의 선단부에 복수개의 걸고리(22)가 구비된다.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걸고리(22)가 슬로프 부재(20)의 선단부에 구비된다.Hook 22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slope member 20. The hook 22 projects forward from the tip of the slope member 20. A plurality of hooks 22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lope member 20. At least two hooks 22 are provided at the tip of the slope member 20.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물품 적재차량의 적재함(2)에서 물품을 하역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unloading the goods in the loading box (2) of the goods loading vehicle using the vehicle load unloa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 테이블(10)의 선단부에 구비된 행거(12)를 차량의 적재함(2)에 구비된 행거(12) 걸이부에 걸쳐준다. 그러면, 레그(14)가 테이블(10)을 아래에서 받치고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이 차량의 적재함(2)의 바닥면과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유지된다.The hanger 12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table 10 is placed over the hanger 12 provided in the loading box 2 of the vehicle. Then, the legs 14 support the table 10 from below, and the table 10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box 2 of the vehicle.

상기 테이블(10)에 슬로프 부재(20)를 걸어서 슬로프 부재(20)가 테이블(10)에서부터 지면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슬로프 부재(20)의 선단부에 구비된 걸고리(22)를 테이블(10)에 구비된 걸침바아(21)에 걸어준다. 테이블(10)과 걸침바아(21) 사이에 걸고리 삽입 공간부가 있어서, 상기 걸고리(22)가 테이블판에 걸리지 않고 걸침바아(21)에 걸쳐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로프 부재(20)의 선단부에 구비된 걸고리(22)를 테이블(10)에 걸어주면 슬로프 부재(20)의 선단부는 테이블(10)에 연결된 상태에서 테이블(10)에서부터 지면까지 슬로프 부재(20)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The slope member 20 is hung on the table 10 so that the slope member 20 is inclined from the table 10 to the ground. The hook 22 provided on the tip end of the slope member 20 is hooked to the hook bar 21 provided on the table 10. The hook insertion space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table 10 and the hook bar 21, so that the hook 22 can be caught over the hook bar 21 without being caught by the table board. When the hook 22 provided on the front end of the slope member 20 is hooked to the table 10, the front end of the slope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table 10 and the slope member 20 is connected from the table 10 to the ground. )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상기 테이블(10)이 물품 적재차량의 적재함(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슬로프 부재(20)까지 테이블(10)에 연결된 다음에는 상기 적재함(2)에서 물품을 테이블(10) 위로 꺼낸 다음, 상기 슬로프 부재(20) 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물품이 슬로프 부재(20)를 타고 지면까지 내려가게 된다.The table 1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loading box 2 of the goods loading vehicle, and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table 10 by the slope member 20, the goods are removed from the loading box 2 above the table 10, Moving toward the slope member 20 causes the article to descend to the ground on the slope member 20.

이처럼 다양한 장소에 물품을 운반하는 만큼 적재용 차량에서 물품을 하역하는데 도움을 주는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는 광범위한 활용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고 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는 물품 적재차량의 적재함(2)에서 물품을 테이블(10)로 꺼내서 슬로프 부재(20) 쪽으로 이동시키면 자동적으로 썰매를 타로 내려오듯이 물품이 하역되므로, 물품 하역 작업을 신속하면서도 편안하게 하역할 수 있게 된다. 물품 하역중에 물품이 손상되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load unloading aids, which help to unload goods in loading vehicles as much as transporting goods in various places, show wide application potential.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assistance mechanism, when the worker takes the goods out of the loading box 2 of the goods loading vehicle to the table 10 and moves them toward the slope member 20, the goods are unloaded as if the sled is automatically lowered. Unloading work can be quickly and comfortably unloade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goods from being damaged during unloading.

상기 슬로프 부재(20)의 양쪽 측면에는 이탈방지바아(24)가 구비된다. 이탈방지바아(24)는 슬로프 부재(20)의 상면에서 위로 더 돌출된 바아 구조이다.Both side surfaces of the slope member 20 are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ng bar 24. The anti-separation bar 24 is a bar structure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lope member 20.

따라서, 상기 슬로프 부재(20)를 타고 물품이 내려갈 때에 슬로프 부재(20)에 물품이 이탈하려고 하여도 상기 이탈방지바아(24)가 물품이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even when the article is to be removed from the slope member 20 when the article is lowered on the slope member 20, the departure preventing bar 24 prevents the article from being separated.

또한, 상기 슬로프 부재(20)의 상면에는 슬로프 돌편(2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로프 부재(20)를 타고 물품이 내려갈 때에 물품의 저면이 슬로프 돌편(26)에 접촉된 상태로 내려가고 슬로프 부재(20)의 상면에서는 물품의 저면이 위로 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슬로프 부재(20)를 물품이 더 원활하게 타고 내려가게 된다.In addition, the top surface of the slope member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pe protrusion piece 26 is further provided. When the article descends on the slope member 20,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cle descends in contact with the slope protrusion 26,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cle floats upward on the top surface of the slope member 20. 20, the goods ride down more smoothly.

한편, 본 발명에서는 레그(14)의 상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테이블(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이블(10)에 힌지 브라켓(HM)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HM)에 레그(14)의 상단부가 힌지 브라켓(HM)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HM)이 레그(14)가 테이블(10)에서 회동되는 힌지부를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leg 14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table 10 by the hinge portion. A hinge bracket HM is provided on the table 10,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leg 14 may be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HM via a hinge bracket HM. The hinge bracket HM constitutes a hinge portion in which the legs 14 are rotated on the table 10.

이러한 경우에는 레그(14)를 테이블(10) 밑으로 접어줄 수 있어서, 이동이나 보관시 편리하고 사용할 때에는 레그(14)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펼쳐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할 때에도 편리하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레그(14)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테이블(10) 쪽으로 접으면 되기 때문에, 보관이나 이동시 등에 편리하며, 사용할 때에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레그(14)가 세워지도록 펴주면 되므로, 하역 작업을 위하여 설치할 때에도 편리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legs 14 can be folded under the table 10, which is convenient when moving or storing, and when the legs 14 are used, the legs 14 can be unfolded on the basis of the hinge part, and thus convenient. When not in use, the legs 14 can be folded toward the table 10 on the basis of the hinge part, which is convenient for storage or moving, and when used, the legs 14 can be straightened up so that they stand up against the hinge part. It is also convenient for installation.

또한, 상기 테이블(10)은 복수개의 테이블부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테이블부를 접을 수 있다. 상기 테이블(10)은 적어도 두 개의 테이블부로 나뉘어지고, 두 개의 테이블부는 힌지부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의 테이블(10)을 마주하도록 접어주면, 테이블(10)을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다. 테이블(10)을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주면 역시 이동이나 적재 보관시 편리하며 사용할 때에 펼쳐주면 되므로,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able 10 may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table parts by the hinge part, and the plurality of table parts may be folded based on the hinge part. The table 10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table parts, and the two table parts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hinge part, and when folded to face at least two tables 10 based on the hinge part, the table 10 ) Can be folded into a compact size. Folding the table 10 in a compact size is also convenient when moving or storing storage and because it can be unfolded when used, there is also a convenient effect.

상기 테이블(10)을 물품 적재차량의 적재함(2)에 설치할 때에는 레그(14)를 펼쳐주면 되므로, 상기 물품 적재차량의 적재함(2)에 테이블(10)을 가지고와서 설치할 때에 편리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레그(14)를 테이블(10) 저면으로 접어줄 수 있으므로, 테이블(10)의 레그(14)를 접어서 보관 내지 적재할 때에 보다 유리하다. 즉, 테이블(10)에서 레그(14)를 접어줌으로써 테이블(10)을 들고다니기가 더 편하며, 복수개의 테이블(10)을 적층하여 보관할 때에 레그(14)끼리 걸리는 경우가 없어서 테이블(10)의 적층 보관에 있어서 더 유리하다.When the table 10 is installed in the loading box 2 of the goods loading vehicle, the legs 14 may be unfolded, so it is convenient and convenient when the table 10 is brought and installed in the loading box 2 of the goods loading vehicle. When not in use, the legs 14 can be fol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10, which is more advantageous when the legs 14 of the table 10 are folded and stored or stacked. That is, it is more convenient to carry the table 10 by folding the legs 14 from the table 10, and the legs 14 are not caught by the tables 14 when the plurality of tables 10 are stacked and stored. It is more advantageous in the lamination storage of the.

또한, 상기 행거(12)는 테이블(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테이블(10)의 선단부에 행거(12)가 볼트와 같은 체결구(BT)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BT)를 풀어주면 행거(12)를 테이블(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anger 12 may have a structure detachably coupled to the table 10. The hanger 12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table 10 by a fastener BT such as a bolt, and when the fastener BT is released, the hanger 12 can be separated from the table 10. .

이러한 경우에는 적재나 보관시 등에 행거(12)를 풀어서 적재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적재 작업이나 보관시에 행거(12)끼리 걸리적거리는 경우가 없으므로, 테이블(10)을 적재나 보관할 때에 더 편리하다.In this case, since the hangers 12 can be unloaded and stored at the time of loading or storage, the hangers 12 are not jammed with each other at the time of loading work or storage, which is more convenient when loading and storing the table 10.

한편, 상기 걸고리(22)는 슬로프 부재(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슬로프 부재(20)의 선단부에 걸고리(22)도 볼트와 같은 체결구(BT)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걸고리(22)는 슬로프 부재(20)의 선단부에 같은 체결구(BT)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BT)를 풀어주면 걸고리(22)를 슬로프 부재(20)에서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ok 22 may have a structure detachably coupled to the slope member 20. Hook 22 on the front end of the slope member 20 is also detachably coupled by a fastener BT such as a bolt. The hook 22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slope member 20 by the same fastener BT, and when the fastener BT is released, the hook 22 can be separated from the slope member 20.

따라서, 적재나 보관시 등과 같이 필요한 경우에는 걸고리(22)를 슬로프 부재(20)에서 풀어서 슬로프 부재(20)를 적재나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판형상으로 구성된 슬로프 부재(20)의 적재 작업이나 보관시에 걸고리(22)끼리 걸리적거리는 경우가 없으므로, 상기 슬로프 부재(20)를 적재하거나 보관할 때에도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necessary, such as during loading or storage, the hook 22 is released from the slope member 20 so that the slope member 20 can be loaded or stored, and the stacking work of the slope member 20 having a plate shape or Since the hooks 22 do not catch each other during storage, there is a more convenient effect even when loading or storing the slope member 20.

또한, 상기 슬로프 부재(20)도 복수개의 슬로프 패널부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슬로프 패널부를 접을 수 있다. 상기 슬로프 부재(20)는 적어도 두 개의 슬로프 패널부로 나뉘어지고, 두 개의 슬로프 패널부는 힌지부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의 슬로프 패널부를 마주하도록 접어주면, 슬로프 부재(20)를 적어도 2분의 1 사이즈와 같이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다. 슬로프 부재(20)를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주면 역시 이동이나 적재 보관시 편리하며 사용할 때에 펼쳐주면 되므로,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lope member 20 may also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lope panel portions by the hinge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lope panel portions may be folded based on the hinge portion. The slope member 20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slope panel portions, and the two slope panel portions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hinge portion, and when folded to face at least two slope panel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the slope member (20) can be folded into a compact size, such as at least a half size. When the slope member 20 is folded in a compact size, it is also convenient when moving or loading and storing and spreading when used, so that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한편, 본 발명에서 레그(1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레그(14)는 고정 레그와 인출 레그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레그와 인출 레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그에는 핀결합홀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레그에는 복수개의 조절홀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 레그에서 인출 레그를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핀결합홀과 복수개의 조절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조절홀에 동시에 고정핀을 끼움으로써 고정 레그에서 인출 레그가 인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레그(1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핀결합홀과 조절홀 및 고정핀이 레그(14)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된다. 상기 고정 레그에서 인출 레그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시켜서 렉(14)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이라면 모두 레그 조절수단으로 채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leg (14). Leg 14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xed leg and the drawing leg, at least one leg of the fixing leg and the drawing leg is provided with a pin coupling hole, the other le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justment holes, The length of the withdrawal leg is drawn out from the fixing leg can be adjusted by simultaneously inserting a fixing pin into any one of the pin coupling hole and the plurality of control holes in the state where the withdrawal leg is withdrawn from the leg. The length of the leg 14 can be adjusted. The pin coupling hole, the adjustment hole and the fixing pin is a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g (14). Any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ack 14 by maintaining the withdrawn leg from the fixed leg can be employed as the leg adjusting means.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nd thus, othe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e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테이블 12. 걸고리
14. 레그 20. 슬로프 부재
21. 걸침바아 22. 걸고리
24. 이탈방지바아 26. 슬로프 돌편
10. Table 12. Hooks
14. Leg 20. Slope member
21. Hook Bar 22. Hook
24. Breakaway Bar 26. Slope Stone

Claims (6)

물품 하역차량의 적재함(2)에 설치되는 테이블(10);
상기 테이블(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테이블(10)에서 지면까지 경사지게 설치되는 슬로프 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
A table 10 installed in the loading box 2 of the goods unloading vehicle;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assis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able (10) and the slope member (20) installed inclined from the table (10) to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선단부에는 행거(12)가 구비되어, 상기 행거(12)가 상기 물품 하역차량의 적재함(2)에 구비된 행거(12) 걸림부에 걸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 hanger 12 is provided at the tip end of the table 10 so that the hanger 12 is configured to span the hanger 12 engag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ading box 2 of the unloading vehicle. Unloading ai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12)는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10)의 선단부에 상기 행거(12)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hanger (12) is configured in a ring shape, vehicle load unload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two hangers (12) at the front end of the table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프 부재(20)의 선단부에는 걸고리(22)가 구비되어, 상기 걸고리(22)가 상기 테이블(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1,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slope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hook 22, the hook 22 is coupled to the table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에는 걸침바아(21)가 구비되어, 상기 걸침바아(21)에 상기 걸고리(22)가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able (10) is provided with a hook bar (21), vehicle hook unload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hang the hook (22) on the hook bar (2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에는 아래쪽으로 설치되는 레그(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물 하역 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Vehicle table load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table 10 is provided with a leg (14) installed downward.
KR1020180020973A 2018-02-22 2018-02-22 Unloading assistant implement for vehicle load product KR1020840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973A KR102084055B1 (en) 2018-02-22 2018-02-22 Unloading assistant implement for vehicle load 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973A KR102084055B1 (en) 2018-02-22 2018-02-22 Unloading assistant implement for vehicle load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56A true KR20190101056A (en) 2019-08-30
KR102084055B1 KR102084055B1 (en) 2020-04-23

Family

ID=6777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973A KR102084055B1 (en) 2018-02-22 2018-02-22 Unloading assistant implement for vehicle load pro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05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3984U (en) * 1989-04-13 1990-11-07
KR200188192Y1 (en) 2000-01-08 2000-07-15 이광창 Instrument for assisting of unloading from container
KR101167128B1 (en) 2009-04-27 2012-07-20 현대제철 주식회사 Continuous ship unloader
KR101532958B1 (en) 2014-12-01 2015-07-01 주식회사 아리예스코리아 A container freight unloading device
JP3213796U (en) * 2017-09-21 2017-11-30 株式会社Nsu物流サービス Handling stage with slop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3796B2 (en) * 1995-12-15 2001-10-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Servo motor control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3984U (en) * 1989-04-13 1990-11-07
KR200188192Y1 (en) 2000-01-08 2000-07-15 이광창 Instrument for assisting of unloading from container
KR101167128B1 (en) 2009-04-27 2012-07-20 현대제철 주식회사 Continuous ship unloader
KR101532958B1 (en) 2014-12-01 2015-07-01 주식회사 아리예스코리아 A container freight unloading device
JP3213796U (en) * 2017-09-21 2017-11-30 株式会社Nsu物流サービス Handling stage with sl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055B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99398A (en) Portable storage rack or pallet
TW583130B (en) Device for carrying articles of container, carrying in and carrying out method and pallet for carrying article in and out
US89314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de by side couplable pallets and carts
US8267018B2 (en) Load support
JP2020536818A (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system for items stored on warehouse shelves
US20100270298A1 (en) Collapsible Container and Hinge Used for Collapsible Container
US8668133B2 (en) Retractable container with support legs
US20140319297A1 (en) Aerial-lift-platform accessory
US20070074935A1 (en) Order picker product platform
US4368675A (en) Stacking pallet
JP2010247726A (en) Carrying device
KR20190101056A (en) Unloading assistant implement for vehicle load product
CN210793986U (en) Prefabricated component conveyer
KR101243973B1 (en) Board carrier
US20160052670A1 (en) Container
KR200475608Y1 (en) A working tray for hanging to truck container
EP2625109A2 (en)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US20130206620A1 (en)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JP2006347617A (en) Wall surface structure of box-shaped container
KR102038824B1 (en) Pallet having receipt box
CN209404245U (en) A kind of storing shelf convenient for removing upper layer article
US8485614B2 (en) Base stand with drawer
JP6597564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JP7347759B2 (en) Shelf guard belt and shelf guard device
JP5554854B1 (en) Folding luggage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