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040A -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 - Google Patents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040A
KR20190101040A KR1020180020949A KR20180020949A KR20190101040A KR 20190101040 A KR20190101040 A KR 20190101040A KR 1020180020949 A KR1020180020949 A KR 1020180020949A KR 20180020949 A KR20180020949 A KR 20180020949A KR 20190101040 A KR20190101040 A KR 20190101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exhaust
agricultural vehicle
exhaust gas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611B1 (ko
Inventor
나건영
양동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6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70/00Mixing air with exhaust gases
    • F01N2270/02Mixing air with exhaust gases for cooling exhaust gases or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은, 배기공이 형성된 배기관의 부위가 차대(車臺)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러면,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관의 배기공에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므로, 배기공에서 배기된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여 지면에 도달한다. 그러면, 배기가스가 상대적으로 많이 냉각되어 농작물측으로 배기되므로, 배기가스에 의하여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배기관의 일측 부위에, 배기관으로 유입된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부가 형성되므로, 배기관을 포함한 배기시스템이 이물질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부를 통하여 외기가 배기관의 내부로 유입되고, 배기관의 배기가스는 외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그러면, 배기관의 외측으로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저온일 수 있으므로, 배기가스에 의하여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 {AGRICULTURAL VEHICLE WITH IMPROVED EXHAUS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관의 구조를 개선한 농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농업기계란 농업을 수행하는 기계로서, 농작물을 생산하는데 직접 관여하는 기계와 생산된 농작물을 가공처리하는데 관여하는 기계로 대별된다.
농작물의 생산에 직접 관여하는 기계인 농업차량에는 다양한 작업기를 연결하여 견인력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트랙터(Tractor) 및 농토를 주행하면서 농작물의 줄기를 예취(刈取)한 다음 탈곡 및 선별하는 콤바인(Combine) 등이 있다.
종래의 농업차량에 대하여, 콤바인을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농업차량의 배기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농업차량은 차대(車臺)(11)를 포함하며, 차대(11)에는 엔진(13)이 탑재 설치된다. 엔진(13)은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생성하며, 연료의 연소시 배기가스가 발생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엔진(13)의 밀폐된 실린더 속에 공기와 기체 연료를 혼합한 혼합기체를 넣고, 압축 및 점화하여, 연료를 연소시킨다. 그 후, 발생된 가스는 엔진(13)의 외부로 배기되고, 신선한 혼합기체가 상기 실린더로 흡입되어 압축 및 점화된다. 이때, 엔진(13)의 외부로 배기되는 가스가 배기가스다.
엔진(13)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관(15)을 통하여 대기(大氣) 중으로 배기된다.
종래의 농업차량의 배기관(15)은 배기공(15a)이 형성된 단부측이 차대(11)의 하측에 위치되며, 지면을 향한다. 그러면, 배기관(15)에서 배기되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냉각될 여유도 없이 즉시 농작물로 배기되므로, 농작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력해 짐에 따라, 선택적 환원촉매(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를 이용하여 배기가스를 정화한 다음, 배기가스를 배기하고 있다. 상기 선택적 환원촉매는 요소수를 이용한 것으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기 선택적 환원촉매의 경우, 고온에서 원활한 기능을 발휘한다. 이로 인해, 상기 선택적 환원촉매가 고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선택적 환원촉매는 엔진(13)과 인접되게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선택적 환원촉매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더 고온 상태로 배기되므로, 배기가스에 의하여 농작물이 더욱 더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되는 배기가스에 의하여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관의 배기공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을 배기관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는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차량은, 차대(車臺); 상기 차대에 설치되며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발생부; 지면과 접촉하고, 상기 차대를 지지하여 상기 차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동력발생부측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하는 주행부; 일측은 상기 동력발생부측과 연통되고, 타측 단부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기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관의 타측 부위는 상기 차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은, 배기공이 형성된 배기관의 부위가 차대(車臺)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러면,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관의 배기공에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므로, 배기공에서 배기된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여 지면에 도달한다. 그러면, 배기가스가 상대적으로 많이 냉각되어 농작물측으로 배기되므로, 배기가스에 의하여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배기관의 일측 부위에, 배기관으로 유입된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부가 형성되므로, 배기관을 포함한 배기시스템이 이물질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부를 통하여 외기가 배기관의 내부로 유입되고, 배기관의 배기가스는 외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그러면, 배기관의 외측으로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저온일 수 있으므로, 배기가스에 의하여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업차량의 배기관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이 적용된 농업차량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의 개략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배기관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개략 결합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개략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개략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기관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농작물의 생산에 직접 관여하는 농업차량에는 트랙터(Tractor) 및 콤바인(Combine) 등이 있으며, 이하에서는, 콤바인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이 적용된 농업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차대(車臺)(1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대(110)를 포함한 구성 요소들의 방향 및 면을 지칭함에 있어서, 농업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하고, 후진하는 방향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한다.
차대(110)의 전방측에는 농작물의 줄기 등을 절단하기 위한 예취부(刈取部)(120)가 설치될 수 있고, 차대(110)와 예취부(120) 사이에는 절단된 농작물을 차대(110)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등으로 마련된 운반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대(110)의 내부에는 운반부(130)를 통하여 운반된 농작물을 탈곡하기 위한 탈곡부(140), 탈곡부(140)에서 탈곡되어 생성된 곡립(穀粒)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곡립을 포장하여 저장하는 저장부(15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차대(110)의 전면 우측 부위에는 엔진 등으로 마련되어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발생부(160)(도 3 참조), 동력발생부(160)에서 발생된 동력을 변환하여 동력을 필요로 하는 피구동부로 전달하는 변속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대(110)의 하측에는 상기 변속부를 매개로 동력발생부(160)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하는 주행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주행부(170)는 지면과 접촉할 수 있고, 차대(110)를 지지하여 차대(1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며, 차대(1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주행부(170)는 캐터필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차대(110)에는 작업자가 농업차량을 운전하기 위한 운전부(1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운전부(180)의 대략 하측 부위에 동력발생부(1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으로 마련된 동력발생부(160)는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생성하므로, 연료의 연소시 가스가 발생되어 대기 중으로 배기된다. 이때, 대기 중으로 배기되는 가스(이하, "배기가스"라 함)에는 유해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선택적 환원촉매(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19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 환원촉매(191)는 요소수(Urea)를 이용한 것으로, 배기되는 질소산화물(NOx) 선택적으로 저감시킨다. 요소수를 이용한 선택적 환원촉매(191)는 요소수가 가수분해 반응을 일으켜 암모니아(NH3)와 이산화탄소(CO2)로 변환된 후, 선택적 환원촉매(191)에서 질소산화물이 질소와 물로 변환되어 질소산화물이 저감된다.
선택적 환원촉매(191)는 대략 500℃ 이상에서 원활한 기능을 발휘하므로, 선택적 환원촉매(191)가 고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선택적 환원촉매(191)는 동력발생부(160)와 인접되게 설치된다. 그러면, 선택적 환원촉매(191)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고온의 상태로 배기되므로, 배기가스에 의하여 농작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배기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기되는 것을 안내하는 배기관(210)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기가스에 의하여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관(21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배기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개략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배기관(210)은 차대(110)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배기관(210)의 전단부측은 선택적 환원촉매(191)측과 연통될 수 있고, 후단부측은 차대(110)의 후면측을 향할 수 있다. 배기관(210)의 후단면(後端面)에는 배기관(210)의 외측과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공(21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기공(215a)이 형성된 배기관(210)의 후단부측 부위는 차대(1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지면과 상대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러면, 배기공(215a)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므로, 배기공(215a)을 통하여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여 지면에 도달한다. 이로 인해, 배기공(215a)을 통하여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상대적으로 많이 냉각되어 농작물로 배기되므로,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공(215a)이 형성된 배기관(210)의 후단면은 지면을 향할 수 있고,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배기공(215a)을 통하여 배기관(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면, 배기관(210)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배기관(210)을 포함한 배기시스템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배출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의 배기관(210)에는, 배기관(21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배기관(2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 배출부(220)가 마련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배기관(210)은 상호 연통 결합된 제1배기관(211)과 제2배기관(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배기관(211) 및 제2배기관(215)이 유동하지 않도록, 제1배기관(211) 및 제2배기관(215)은 각각 차대(11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배기관(211)의 전단부측은 동력발생부(160)측인 선택적 환원촉매(191)측과 연통될 수 있고, 후단부측은 제2배기관(215)의 전단부측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배기관(211)과 제2배기관(215)은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제2배기관(215)의 후단면에는 전술한 배기공(21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배기관(211)의 후단부(211a)측 외면과 제2배기관(215)의 전단부측 내면은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배기공(215a)을 통하여 배기관(21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제1배기관(211)과 제2배기관(215) 사이를 통하여, 제2배기관(215)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제1배기관(211)과 제2배기관(215) 사이의 간격(222)이 이물질 배출부(220)이다.
배기공(215a)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부(220)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기될 수 있도록, 제2배기관(215)의 전단부측 부위는 차대(110)의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배기공(215a)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낙하하여 이물질 배출부(220)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2배기관(215)의 후단부측은 제2배기관(215)의 전단부측 보다 상측에 위치되므로, 배기공(215a)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은 제2배기관(215)을 따라 낙하하여 제2배기관(215)의 전단부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배기관(215)의 전단부측으로 이동된 이물질은 자중에 의하여 대부분 제2배기관(215)의 하측 부위에 집중된다. 그러므로, 제1배기관(211)과 제2배기관(215) 사이의 간격(222)은 상대적으로 지면과 인접한 하측 부위에만 존재해도 무방하다. 즉, 이물질 배출부(220)는 지면과 인접한 제1배기관(211)과 제2배기관(215)의 하측 부위에만 존재해도 무방하다.
제1배기관(211)과 제2배기관(215)의 연통 부위에는 배기공(215a)으로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압력차를 이용하여 배기관(210) 외측의 공기를 제1배기관(211)과 제2배기관(215)의 연통 부위로 유입시켜 배기가스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제1배기관(211)의 후단부(211a)측과 제2배기관(215)의 전단부측 사이에 형성된 이물질 배출부(220)의 압력을 대기 보다 낮게 형성하여, 이물질 배출부(220)를 통하여 외기가 배기관(210)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배기가스를 냉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배기관(211)의 후단부(211a)측은 차대(110)의 후면측인 제2배기관(215)의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1배기관(211)의 후단부(211a)에서 배기된 배기가스가, 제1배기관(211)의 후단부(211a) 주위를 고속으로 통과하는 반면, 제1배기관(211)의 후단부(211a) 주위는 압력이 강하된다. 그러면, 이물질 배출부(220)의 압력이 배기관(210) 외측의 압력 보다 낮으므로, 외기가 이물질 배출부(220)를 통하여 배기관(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면, 배기공(215a)측으로 흘러가는 배기가스가 외기에 의하여 냉각되므로, 배기공(215a)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냉각되어 배기된다.
그리고, 이물질 배출부(220)를 통하여 배기관(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는 배기가스가 배기공(215a)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되는 것을 도와줄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은, 배기공(215a)이 형성된 배기관(210)의 부위가 차대(110)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러면, 배기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관(210)의 배기공(215a)의 부위와 지면이 상대적으로 멀므로,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여 지면에 도달한다. 그러면, 배기공(215a)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상대적으로 많이 냉각되어 농작물측으로 배기되므로, 배기가스에 의하여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관(210)의 일측 부위에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배기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부(220)가 형성되므로, 배기관(210)을 포함한 배기시스템이 이물질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배출부(220)를 통하여 외기가 배기관(21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배기관(210)의 배기가스는 외기에 의하여 냉각되므로, 배기관(210)의 외측으로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저온일 수 있다. 그러므로, 배기가스에 의하여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개략 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공(215a)이 형성된 배기관(210)의 제2배기관(215)의 후단면이 지면을 향할 경우, 배기공(215a)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지면측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차량은 배기공(215a)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지면의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고, 안내부재(230)는 경사판(231), 하판(233) 및 측판(235)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판(231)은 제2배기관(215)의 후단면과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배기관(215)의 후단면과 대향할 수 있다. 하판(233)은 경사판(231)의 하단면에서 벤딩 연장되어 제2배기관(215)의 후단부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측판(235)은 경사판(231) 및 하판(233)의 양측면에서 벤딩 형성되어 제2배기관(215)의 후단부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경사판(231)은 제2배기관(215)의 후단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간격(C1)을 가질 수 있고, 하판(233)은 제2배기관(215)의 후단부 하측 부위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간격(C2)을 가질 수 있다.
안내부재(230)의 상측 부위는 개방되어 있고, 경사판(231)과 제2배기관(215)의 후단면 사이 및 하판(233)과 제2배기관(215)의 후단부 하측 부위 사이에는 간격(C1, C2)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배기공(215a)으로부터 배기된 배기가스는 경사판(231)에 부딪힌 다음, 대부분은 경사판(231)을 따라 경사판(231)의 상측으로 배기되고, 일부는 하판(235)을 따라 하판(235)의 외측으로 배기된다. 배기공(215a)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대부분이 지면의 상측으로 배기되면, 배기가스가 대기 중에서 부유한 후, 농작물측으로 이동하므로,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판(231)과 제2배기관(215)의 후단면 사이의 간격(C1)으로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나, 이물질은 하판(233)과 제2배기관(215)의 후단부 하측 부위 사이의 간격(C2)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개략 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대(110)(도 3 참조)에 각각 지지되어 상호 연통된 제1배기관(211)과 제2배기관(215)이 더욱 안정되게 결합되어 연통될 수 있도록, 제1배기관(211)의 후단부(211a)측과 제2배기관(215)의 전단부측 사이에는 지지부재(240)가 개재될 수 있다.
지지부재(24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배기관(211)의 후단부(211a)측 외면과 접촉하는 내측테(241),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배기관(215)의 내면과 접촉하는 외측테(243) 및 내측테(241)와 외측테(243)를 연결하는 연결바(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면측을 향하는 외측테(243)의 부위는 이물질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지지부재(240)를 제2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기관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공(255a)이 형성된 배기관(250)의 제2배기관(255)의 후단면(後端面)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공(265a)이 형성된 배기관(260)의 제2배기관(265)의 후단면은 지면의 상측을 향할 수 있다. 그러면, 배기공(265a)을 통하여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대기 중에서 부유한 후, 농작물측으로 이동하므로, 농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60: 동력발생부
210: 배기관
211, 215: 제1배기관, 제2배기관
220: 이물질 배출부
230: 안내부재
240: 지지부재

Claims (8)

  1. 차대(車臺)(110);
    상기 차대(110)에 설치되며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발생부(160);
    지면과 접촉하고, 상기 차대(110)를 지지하여 상기 차대(1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동력발생부(160)측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하는 주행부(170);
    일측은 상기 동력발생부(160)측과 연통되고, 타측 단부에는 배기공(215a)이 형성되어 상기 동력발생부(160)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기하는 배기관(210)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관(210)의 타측 부위는 상기 차대(110)의 상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210)에는 상기 배기공(215a)을 통하여 상기 배기관(210)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210)은,
    일단부측이 상기 동력발생부(160)측과 연통된 제1배기관(211);
    일단부측은 상기 제1배기관(211)의 타단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1배기관(211)의 외면과 간격을 가지고, 타단부에는 상기 배기공(215a)이 형성된 제2배기관(215)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배출부(220)는 상기 제1배기관(211)의 타단부측 외면과 상기 제2배기관(215)의 일단부측 내면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부(220)의 압력은 상기 배기관(210) 외부의 압력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관(211)의 타단부측은 상기 제2배기관(215)의 타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관(211)의 타측 부위와 상기 제2배기관(215)의 일측 부위 사이에는 상기 제1배기관(211)과 상기 제2배기관(215)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215a)이 형성된 상기 배기관(210)의 타측 단면(他端面)은 지면을 향하고,
    상기 배기관(210)의 타단부측에는 상기 배기공(215a)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지면의 상측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2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265a)이 형성된 상기 배기관(260)의 타측 단면(他端面)은 지면의 상측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차량.
KR1020180020949A 2018-02-22 2018-02-22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 KR102470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949A KR102470611B1 (ko) 2018-02-22 2018-02-22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949A KR102470611B1 (ko) 2018-02-22 2018-02-22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040A true KR20190101040A (ko) 2019-08-30
KR102470611B1 KR102470611B1 (ko) 2022-11-23

Family

ID=6777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949A KR102470611B1 (ko) 2018-02-22 2018-02-22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6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424A (ko) * 1994-06-27 1996-01-25 김태구 배기를 가속시키는 구조를 갖는 배기파이프
JP2015507132A (ja) * 2012-02-14 2015-03-05 ディーア・アンド・カンパニーDeere And Company 排気組立体
KR20170052310A (ko) * 2015-11-04 2017-05-12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424A (ko) * 1994-06-27 1996-01-25 김태구 배기를 가속시키는 구조를 갖는 배기파이프
JP2015507132A (ja) * 2012-02-14 2015-03-05 ディーア・アンド・カンパニーDeere And Company 排気組立体
KR20170052310A (ko) * 2015-11-04 2017-05-12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611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51340B (zh) 作业车辆的发动机装置
CN108135130B (zh) 联合收割机
CN102356223B (zh) 发动机装置
WO2014142223A1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KR102568127B1 (ko) 콤바인
KR102649574B1 (ko) 콤바인
JP2016158591A (ja) コンバイン
KR102470611B1 (ko) 개선된 배기구조를 가진 농업차량
JP2013172720A (ja) コンバイン
US9534355B2 (en) Hydraulic excavator
CN208724407U (zh) 收割机
JP2016088377A (ja)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KR20210134085A (ko) 콤바인
KR20150083671A (ko) 콤바인
KR20170052310A (ko) 콤바인
JP2017074026A (ja) コンバイン
KR20190109776A (ko) 개선된 공기흡기라인을 구비한 농업차량
KR20190101559A (ko) 농업차량
KR20160102155A (ko) 콤바인
CN205349493U (zh) 排气喷嘴头、排气歧管组件及动力源
KR20200004023A (ko) 배기가스 후처리유닛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농업차량
JP2020072660A (ja) コンバイン
TWM557502U (zh) 聯合收割機
US20210229546A1 (en) Fluid tank system
JP2015121229A (ja) 作業車両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