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617A -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617A
KR20190100617A KR1020180020391A KR20180020391A KR20190100617A KR 20190100617 A KR20190100617 A KR 20190100617A KR 1020180020391 A KR1020180020391 A KR 1020180020391A KR 20180020391 A KR20180020391 A KR 20180020391A KR 20190100617 A KR20190100617 A KR 20190100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thtub
generator
b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413B1 (ko
Inventor
김형의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앤피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앤피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에이치앤피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102018002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41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3Ozone
    • B01F3/0412
    • B01F2003/0488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조에 탈부착되어 사용 가능한 에어 버블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욕조의 외부에 배치된 에어생성기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욕조 내부의 바닥에 안착되는 베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드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에서 분출되는 에어는 욕조에 담겨진 물에서 폭기되어 버블 형태로 사용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구성을 하여, 사용자의 근육 이완 효과 및 피부의 노폐물 배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Air bubblegenerator for bathtub}
본 발명은 욕조에 탈부착되어 사용 가능한 에어 버블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욕조의 외부에 배치된 에어생성기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를 욕조 내부의 바닥에 안착되는 베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드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에서 분출되는 에어는 욕조에 담겨진 물에서 폭기되어 버블 형태로 사용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구성을 하여, 사용자의 근육 이완 효과 및 피부의 노폐물 배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에어 생성장치로부터 발생한 압축 에어를 욕조의 목욕물에 불어넣어 버블을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버블 속에 몸을 담궈 목욕하는 버블 목욕은 근육의 스트레스 및 긴장을 풀어주며, 쓰리고 부은 피부를 달래주며, 화상 및 동상치료에 도움을 주며, 피로회복, 신경통, 류마티즘, 어깨걸림, 요통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물속에 압축 에어를 불어넣어 넣게 되면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방울인 버블이 발생하게 되며, 물속에서 버블이 터지면서 미약한 파장의 초음파를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버블이 터지면서 발생되는 초음파는 피부와 근육을 자극하며 피부속으로 침투되어 근육피로, 근육의 긴장완화와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하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목욕물과 같이 따뜻한 물속에서 발생되는 버블은 그 효과가 높은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중 목욕탕이나 온천 등에 있어서는 욕조에 버블을 발생하는 장치를 설치한 곳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다음은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7843호는 기포발생 욕조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의 길다란 제1 공동을 형성하는 몸체로서, 그 주위에 외부 에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공동 내에 내부의 제2 공동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제2 공동과 상기 커버의 외부 에지 사이에 맞도록 되어 있는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동이, 매트의 중심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채널과, 상기 주 채널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주 채널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부속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주 채널 및 상기 복수의 부속 채널이 복수의 구멍을 가지며 환형 벌브로 종결되고; 상기 주 채널이 제1 단부에서 폐쇄되어 있고, 제2 대향 단부에서 압축된 공기를 상기 주 채널 내로 그리고 복수의 작은 구멍을 통하여 공급하는 메카니즘을 수용하여 맞물림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 욕조 매트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압축공기원으로부터 통로로 공급되어 통로를 통해 가압되고 통로 윗면의 복수의 작은 구멍을 통해 나가게 되어 치료용 기포 마사지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매트의 상부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매트에서 분출되는 에어가 물에서 원활하기 폭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7843호(2004.02.2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4665호(2005.05.1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7017호(2005.09.2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117호(2011.12.01.)
본 발명은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는 욕조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에어 버블 생성장치의 고장 또는 욕조의 파손 시에 욕조와 에어 버블 생성장치를 일괄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종래 에어 버블 생성장치의 베드가 욕조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베드의 상부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베드에서 분출되는 에어가 물에서 원활하기 폭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욕조의 외부에 배치되고, 에어를 압축시켜 고압의 에어를 생성시키는 에어생성부가 구비되는 에어생성기 및; 욕조 내부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에어 생성기에서 공급받은 에어를 유동시키는 복수 개의 에어 유동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유동로에서 유동되는 에어를 에어 유동로의 외부로 분출시키는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이 형성된 베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드의 상부에는 상부면이 상기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보다 더 높은 수직위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쿠션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욕조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에어 버블 생성장치의 고장 또는 욕조의 파손 시에 에어 버블 생성장치 또는 욕조 중 어느 하나만을 교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눕는 베드의 상부에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 분사공보다 높은 수직위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쿠션대가 구비되어, 베드의 상부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도 에어 분사공에서 분출된 에어가 욕조에 수용된 물에서 원활하게 폭기되어 입도가 매우 작은 버블 형태로 변화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가 욕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의 에어생성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의 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의 베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의 쿠션대에 보강부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본 발명은 욕조에 탈부착되어 사용 가능한 에어 버블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욕조의 외부에 배치되고, 에어를 압축시켜 고압의 에어를 생성시키는 에어생성부(11)가 구비되는 에어생성기(10) 및; 욕조 내부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에어 생성기에서 공급받은 에어를 유동시키는 복수 개의 에어 유동로(21)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유동로(21)에서 유동되는 에어를 에어 유동로(21)의 외부로 분출시키는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22)이 형성된 베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드(20)의 상부에는 상부면이 상기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22)보다 더 높은 수직위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쿠션대(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존의 욕조에서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욕조에 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물에 에어를 폭기시켜 폭기된 에어에 의하여 형성된 에어 버블을 통하여 사용자가 마사지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는 거시적으로 욕조의 외부에 배치되는 에어생성기(10)와 욕조의 내부 바닥에 안착되는 베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생성기(10)는 욕조의 외부에 배치되고, 에어를 압축시켜 고압의 에어를 생성시키는 에어생성부(11)가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대기중의 에어를 압축시켜 욕조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기 베드(20)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에어생성기(10)의 에어생성부(11)는 대기중의 에어를 압축시켜 에어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어를 압축시키는 압축펌프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펌프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대기중의 에어를 압축시키는 장치로서, 압축실린더를 이용한 방식 또는 임펠러를 이용한 방식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방식의 압출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축펌프에서 생성된 에어의 압력은 압축펌프의 작동 세기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의 에어의 압력을 ‘고압’이라 칭함은 대기압보다 고압인 상태이고, 보다 상세하면 에어생성기(10)에서 생성된 일정의 압력을 가지는 에어가 욕조 내부에 담겨진 물에서 폭기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취양에 따라 압축펌프의 작동 세기를 조절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에어생성기(10)는 상기 구성의 에어생성부(11)를 내재시키는 케이싱(12) 및; 상기 에어생성부(11)의 작동시키는 콘트롤러(13);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싱(12)은 상기 에어생성부(11)인 압축펌프를 내재시키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에어생성기(10)의 외형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케이싱(12)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외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 압축펌프를 내재시켜 압축펌프의 작동으로 인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시킴과 동시에 압축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도 실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콘트롤러(13)는 상기 에어생성부(11)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상기 에어생성부(11)인 압축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콘트롤러(13)의 스위칭 부분이 상기 케이싱(12)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압축펌프의 작동 여부, 작동세기 또는 작동 시간 등과 같은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콘트롤러(13)의 스위칭 부분은 전원 및 타이머 스위치(13a)와 압축펌프 작동세기 조절 스위치(13b)로 구분되어 케이싱(12)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 및 타이머 스위치(13a)는 상기 압축펌프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공급여부 및 공급시간을 조절하여, 압축펌프의 작동 여부 및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압축펌프 작동세기 조절 스위치(13b)는 압축펌프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압축펌프에서 생성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에어생성기(10)에는 오존생성부(15)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오존생성부(15)에서 생성된 오존은 상기 에어생성부(11)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와 함께 상기 베드(20)의 에어 유동로(21)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오존생성부(15)는 대기중의 에어에 포함된 산소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시키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오존생성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오존생성부(15)는 상기 케이싱(12)의 내부공간에 내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오존생성부(15)에서 생성된 오존은 상기 압축펌프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에 혼합되어 베드(20)로 공급되고, 상기 고압의 에어와 오존은 케이싱(12)에 구비된 에어 호스 커넥터(14)에서 혼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 호스 커넥터(14)에는 하기의 에어 호스(40)의 일측이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베드(20)는 욕조 내부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에어 생성기에서 공급받은 에어를 유동시키는 복수 개의 에어 유동로(21)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유동로(21)에서 유동되는 에어를 에어 유동로(21)의 외부로 분출시키는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22)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에어생성기(10)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아 욕조에 담겨진 물로 분출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베드(20)는 일정의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평평한 상태를 가지는 욕조 내부의 바닥에 하부가 안착되는 구성을 하고, 상부에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하는 일정의 면적을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베드(20)는 사용자의 착좌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에는 베드(2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에어 유동로(21)가 복수 개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드(20)의 일측에는 상기 에어생성기(10)의 압축펌프와 연결된 에어 호스(40)가 연결되고, 상기 베드(20)의 내부에는 에어 호스(40)에서 공급받은 에어를 베드(20)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에어 유동로(21)가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베드(20)의 일측에는 에어 호스(40)의 타측이 분리 또는 고정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 호스 커넥터(24)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 호스 커넥터(24)에는 상기 복수 개의 에어 유동로(21)의 일측들이 연결되는 구성을 하여, 에어 호스 커넥터(24)로 공급된 고압의 에어가 복수 개의 에어 유동로(21)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복수 개의 에어 유동로(21)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어, 하기의 쿠션대(30)가 서로 인접된 에어 유동로(21)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에어 분사공(22)은 상기 에어 유동로(21)에 형성되어 에어 유동로(21)에서 유동되는 고압의 에어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구성으로서, 에어 유동로(21)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에어 유동로(21)로 유동된 고압의 에어가 항상 일정의 압력을 유지하며 에어 분사공(22)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 분사공(22)은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되어 에어 유동로(21)에 해당하는 베드(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22)의 이격 간격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드(2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흡착판(23)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판(23)은 욕조 내부의 바닥면에 흡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착판(23)은 욕조 내부의 바닥면에 베드(20)의 하부면을 견고히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흡착판(23)의 내측 하부에는 빈공간이 형성된 반구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의 외주는 욕조 내부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부의 중앙은 베드(20)의 하부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흡착판(23)은 베드(20) 하부의 다수 부분에 구비되어, 베드(20)의 전체적인 부분이 안정적으로 욕조 내부의 바닥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베드(20)의 상부에는, 상부면이 상기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22)보다 더 높은 수직위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쿠션대(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쿠션대(30)는 베드(20)의 상부에 누운 사용자가 베드(20)에 대한 향상된 착좌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에어 분사공(22)을 통하여 베드(20)의 상부로 분출되는 고압의 에어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가해지지 않고 물에서 폭기된 후 버블 형태로 사용자의 피부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쿠션대(30)는 사용자가 일정의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베드(20)와 같이 탄성의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드(20)와 동일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되, 베드(20)의 상부면보다 더 상부로 돌출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쿠션대(3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베드(20)의 상부 전체적인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몸을 균일하게 지지시켜 주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쿠션대(30)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22)보다 더 높은 수직위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쿠션대(30)의 상부면과 에어 분사공(22)의 외측 사이에 일정의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성의 쿠션대(30)는 에어 분사공(22)과 쿠션대(3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몸 사이에 일정의 빈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에어 분사공(22)에서 분출된 고압의 에어가 사용자의 몸에 닿기 이전에 상기 빈공간에 수용된 물에 폭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빈공간에서 폭기된 물은 입도가 매우 작은 버블 형태로 변화되어 물 입자의 진동을 유발시키며, 물 입자의 진동 에너지는 사용자의 근육 및 피부에 가해져 근육 이완 효과 및 피부 노폐물 배출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쿠션대(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쿠션대(30)의 내부에는 상기 쿠션대(30)보다 더 강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보강부재(31)가 더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보강부재(31)는 상기 쿠션대(30)의 상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한 지속적인 가압력에 의하여 복수 개의 쿠션대(30)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가 쿠션대(30)보다 더 강한 재질 또는 상기 쿠션대(30)와 동일한 재질이지만 더 강한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31)는 상기 쿠션대(3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쿠션대(30)보다는 작은 부피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쿠션대(30)의 내부에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쿠션대(30) 모두의 내부에 내입되는 구성을 하거나 복수 개의 쿠션대(30) 중 사용자의 몸무게가 집중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쿠션대(30)의 내부에만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에어생성기 11 : 에어생성부
12 : 케이싱 13 : 콘트롤러
13a : 전원 및 타이머 스위치 13b : 압축펌프 작동세기 조절 스위치
14 : 에어 호스 커넥터 15 : 오존생성부
20 : 베드 21 : 에어 유동로
22 : 에어 분사공 23 : 흡착판
24 : 에어 호스 커넥터 30 : 쿠션대
31 : 보강부재 40 : 에어 호스

Claims (4)

  1. 욕조의 외부에 배치되고, 에어를 압축시켜 고압의 에어를 생성시키는 에어생성부(11)가 구비되는 에어생성기(10) 및;
    욕조 내부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에어 생성기에서 공급받은 에어를 유동시키는 복수 개의 에어 유동로(21)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유동로(21)에서 유동되는 에어를 에어 유동로(21)의 외부로 분출시키는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22)이 형성된 베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드(20)의 상부에는,
    상부면이 상기 복수 개의 에어 분사공(22)보다 더 높은 수직위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쿠션대(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생성기(10)는,
    오존생성부(15)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오존생성부(15)에서 생성된 오존은 상기 에어생성부(11)에서 생성된 고압의 에어와 함께 상기 베드(20)의 에어 유동로(21)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2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흡착판(23)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판(23)은 욕조 내부의 바닥면에 흡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쿠션대(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쿠션대(30)의 내부에는,
    상기 쿠션대(30)보다 더 강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보강부재(31)가 더 내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KR1020180020391A 2018-02-21 2018-02-21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KR102026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391A KR102026413B1 (ko) 2018-02-21 2018-02-21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391A KR102026413B1 (ko) 2018-02-21 2018-02-21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617A true KR20190100617A (ko) 2019-08-29
KR102026413B1 KR102026413B1 (ko) 2019-09-27

Family

ID=6777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391A KR102026413B1 (ko) 2018-02-21 2018-02-21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80B1 (ko) 2020-11-19 2023-04-06 주식회사 기술융합 버블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 치료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0U (ja) * 1992-06-09 1994-01-11 株式会社クボタ 気泡浴槽
KR20040017843A (ko) 2001-07-31 2004-02-27 콘에어 코포레이션 기포발생 욕조 매트
KR200349584Y1 (ko) * 2004-02-23 2004-05-06 류동훈 욕조용 공기분사장치
KR200384665Y1 (ko) 2005-03-07 2005-05-17 임경순 기포발생 욕조매트
KR200397017Y1 (ko) 2005-07-14 2005-09-28 이상배 공기분사식 안마욕조
KR20110011117U (ko) 2010-05-25 2011-12-01 장기봉 욕조용 에어버블 공급구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0U (ja) * 1992-06-09 1994-01-11 株式会社クボタ 気泡浴槽
KR20040017843A (ko) 2001-07-31 2004-02-27 콘에어 코포레이션 기포발생 욕조 매트
KR200349584Y1 (ko) * 2004-02-23 2004-05-06 류동훈 욕조용 공기분사장치
KR200384665Y1 (ko) 2005-03-07 2005-05-17 임경순 기포발생 욕조매트
KR200397017Y1 (ko) 2005-07-14 2005-09-28 이상배 공기분사식 안마욕조
KR20110011117U (ko) 2010-05-25 2011-12-01 장기봉 욕조용 에어버블 공급구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413B1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262B1 (ko) 다목적 기능성 베개
JP6487116B2 (ja) 鼻炎改善用マッサージ器
CN1985784A (zh) 带有指压凸头的按摩气囊
KR20130078338A (ko) 족욕기용 미세기포 생성장치
US6698039B1 (en) Footcare whirlpool massage instrument equipped with an ozone generator
KR102026413B1 (ko) 욕조용 에어 버블 생성장치
CN210521332U (zh) 一种可升降与倒立的超声敷药按摩装置
US9849058B2 (en) Device for treating cellulite and stretch marks
KR102390563B1 (ko) 복부 및 손마사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안마모듈과 이 안마모듈이 설치된 안마 의자
KR20090004859U (ko) 다수인이 동시에 사용가능한 건강 증진 기기
KR200384665Y1 (ko) 기포발생 욕조매트
CN115701966A (zh) 具有会阴部按摩功能的按摩器及其控制方法
ITBO20090180A1 (it) Apparecchiatura per il massaggio del corpo mediante liquidi e/o soluzioni liquide
KR102168708B1 (ko) 등 통증자용 수중헬스케어 욕조
KR20090046324A (ko) 진동자를 구비한 레이져 치료기
CN218419568U (zh) 一种分段式按摩浴缸
KR200444398Y1 (ko) 에어백을 이용한 결합형 발 마사지기
KR100575136B1 (ko) 안마용 조끼
KR100823425B1 (ko) 공기압 마사지기
KR20200017090A (ko) 등 통증자용 수중헬스케어 욕조
KR20130067800A (ko) 욕조용 마사지 장치
KR20190043673A (ko) 엘이디 근적외선의 복부지방관리 및 온열기능과 복부지압 돌기를 활용한 복부 마사지 장치
KR200289241Y1 (ko) 건강보조수단을 구비한 다기능 쇼파
KR100503673B1 (ko) 적외선 조사기 겸용 저주파 치료기
KR101780787B1 (ko) 간이 제트스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