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505A -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505A
KR20190100505A KR1020180014696A KR20180014696A KR20190100505A KR 20190100505 A KR20190100505 A KR 20190100505A KR 1020180014696 A KR1020180014696 A KR 1020180014696A KR 20180014696 A KR20180014696 A KR 20180014696A KR 20190100505 A KR20190100505 A KR 20190100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information
bathroom
user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혜
이관엽
조진명
박용규
최우진
김중식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0505A/ko
Publication of KR2019010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센서가 설치되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화장실과,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할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와, 화장실 검색 및 현재의 화장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단말과 현재의 화장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관리자단말로 구성되어, 화장실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할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며, 화장실 이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화장실 정보를 제공하고, 화장실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실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화장실 이용자에게는 각 화장실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관리자에게는 관리에 필요한 화장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화장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ILET INFORMATION BASED ON IoT}
본 발명은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신뢰도 높은 화장실 정보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 시설물의 현대화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에는 화장실이 필요하다. 특히, 사람이 많은 곳에는 반드시 존재하도록 되어 있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공중화장실이 그것이다.
다양한 화장실이 존재하지만, 일례로서 공중화장실의 경우에는 통상 성별에 의해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나뉘며, 다수의 소변기, 대변기, 세면대, 손 건조기 등의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공중화장실은 무인 또는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중화장실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위생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공중화장실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관리자가 전담 배치되기도 한다. 이에 공중화장실을 관리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관리자 역시 수시로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한편, 공중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중화장실의 위치를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물론, 최초 방문지에서는 표지판에 의존하거나 현지 거주자의 도움을 받아 공중화장실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공중화장실의 위치를 안내하는 서비스가 개시된 바 있다. 또한, 해당 서비스는 공중화장실의 내부 정보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해당 서비스는 단순 위치 정보만 제공하거나 미리 만들어진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제공할 뿐,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즉, 공중화장실의 현재 이용 상황 또는 현재 관리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공중화장실 이용자와 공중화장실 관리자 각자에게 필요한 화장실 정보가 제공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화장실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화장실 정보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27426호(공개일 2015.11.1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11014호(공개일 2016.01.2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필요한 화장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화장실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센서가 설치되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화장실;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할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화장실 검색 및 현재의 화장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및 현재의 화장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관리자단말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화장실에는, 해당 화장실의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설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센서로 구성되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송제어하는 제어부; 및 감지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군은,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화장실 이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센서; 화장실 문에 설치되어 대변기 이용 상황을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 센서; 및 화장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감지신호로부터 화장실 이용자를 위한 화장실 정보와 화장실 관리자를 위한 화장실 정보를 각각 생성하며, 시설물 고장에 따른 화장실 관리자의 조치에 대응하여 갱신된 화장실 정보를 화장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방법은, 화장실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할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화장실 이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화장실 정보를 제공하고, 화장실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화장실 이용자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해당 화장실의 시설물 이용 상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화장실 이용자 수를 고려하여 해당 시설물의 이용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시설물이 고장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해당 시설물의 고장여부를 지시하는 경보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화장실 이용자 수를 고려하여 화장실 이용자용 화장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이용자 수는 인체감지 센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장실 관리자의 관리자단말에 설치된 화장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장실 시설물의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화장실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화장실 이용자에게는 각 화장실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화장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관리자에게는 관리에 필요한 화장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화장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다양한 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대해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필요한 화장실 정보를 각각 생성함으로써 화장실 정보에 대한 신뢰도 향상 및 화장실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각 화장실에 구성된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센서 및 시설물의 배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장실 이용자 수를 카운팅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대변기 이용 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장실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장실 검색 과정의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장실 정보를 분리하여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화장실 이용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이용자 수 및 시설물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이용자 편의를 증대시키고 시설물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즉, 화장실 병목현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시설물 수리, 휴지 비치, 절전, 환기 등의 화장실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이는 사용자단말 및 관리자단말의 화장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화장실을 구현하기 위해 IoT 및 모바일 통신 기술을 이용하며, 여러 곳에 산재되어 있는 화장실의 상황을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일례로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 화장실의 현재 이용 상황 및 현재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시설물이 파손되었을 경우 온라인(인터넷) 및 현장 화장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알림으로써 이용자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장실 내에 휴지 등이 없을 경우에 관리자에게 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화장실 이용자는 대기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화장실 내부 환경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 관리자는 직접 현장에 가지 않아도 사용자단말을 통해 화장실의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노력으로 화장실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필요한 화장실 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센서가 설치되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화장실(1)과,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할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2)와, 화장실 검색 및 현재의 화장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단말(3)과, 현재의 화장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관리자단말(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화장실(1)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센서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를 서버(2)로 전송한다. 이에 서버(2)에서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저장 및 갱신함과 아울러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할 화장실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사용자단말(3)에 설치된 화장실 이용 어플리케이션과 관리자단말(4)에 설치된 화장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온라인을 통해 화장실 정보를 요청할 경우, 서버(2)에서는 사용자단말(3)로 화장실 검색 및 현재의 화장실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자단말(4)로 관리에 필요한 현재의 화장실 정보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각 화장실에 구성된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장실(1)에 구성된 제어회로는, 화장실(1)의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설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센서(11)로 구성되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군과,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송제어하는 제어부(12)와, 감지신호를 서버(2)로 전송하는 통신부(13)를 포함한다.
한편, 화장실(1)의 시설물은, 소변기, 대변기, 세면대, 손 건조기, 환풍기, 공조기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어회로는, 소변기, 대변기, 세면대, 손 건조기, 환풍기, 공조기 등에 설치된 센서(11)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를 제어부(12)로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12)에서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통신부(13)를 통한 전송제어를 수행한다. 이어서 통신부(13)에서는 서버(2)로 해당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센서 및 시설물의 배치도이다.
도 3은 화장실(1) 전체 평면에 위치하는 센서(11) 및 시설물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원 형태로 표시된 부분에 센서(11) 및 시설물을 위치시킬 수 있다.
먼저, 센서(11)로서, 파랑색 원으로 표시된 곳에는 인체감지 센서(센서 1)가 위치한다. 인체감지 센서로는 PIR(Passive InfraRed sensor)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인체감지 센서는 LED 및 피에조부저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PIR 센서는 인체 적외선 센서로서, 적외선을 방출하는 사람의 이동을 감지한다. 따라서 PIR 센서는 화장실(1)의 입구에 설치되어 화장실 이용자의 화장실(1) 출입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화장실(1)에 들어가는 사람과 나오는 사람의 움직임을 통해 화장실(1)의 출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장실 이용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현재 화장실(1)을 이용 중인 이용자 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 수를 카운팅하여 제어부(12)를 경유하여 서버(2)로 전송한다.
빨강색 원으로 표시된 곳에는 도어개폐감지 센서가 위치한다. 도어개폐감지 센서로는 자석 센서 혹은 레이저 센서(센서 2)를 이용할 수 있다. 자석 센서 및 레이저 센서는 화장실(1) 문에 설치되며, 각 칸의 사용여부를 파악하는데 사용한다. 레이저 센서는 레이저가 피사체에 도달하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레이저센서로부터 화장실(1) 문이 닫혔을 때의 거리와 화장실(1) 문이 열렸을 때의 거리를 미리 측정하여, 거리가 설정값보다 낮으면 화장실(1) 문이 닫혔다는 감지신호를 제어부(12)를 경유하여 서버(2)로 전송하고, 거리가 설정값보다 높으면 화장실(1) 문이 열렸다는 감지신호를 제어부(12)를 경유하여 서버(2)로 전송한다. 즉, 대변기의 현재 이용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자석 센서는 자석과 붙어있는 경우와 떨어져 있는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이다. 자석 센서 역시 감지신호를 제어부(12)를 경유하여 서버(2)로 전송한다.
주황색 원으로 표시된 곳에는 온습도 센서(센서 3)가 위치한다. 여기서, 온습도 센서는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의미한다. 먼저, 습도 센서는 두 전극 사이의 저항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공기 중의 습도 변화를 알 수 있다. 즉, 습도 센서의 표면에는 전극이 부착된 얇은 판이 있으며, 이 판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게 되고, 표면에 부착된 수분의 양에 의해 변화되는 전극의 전도도를 통해 습도의 정도를 감지한다. 한편, 온도 센서는 고온에서 소결된 반도체 세라믹으로서, 온도에 따라서 물질의 저항값이 변하는 소재를 이용해서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해서 온도를 측정한다.
한편, 시설물로서, 보라색 원으로 표시된 곳에는 LED(시설물 1)가 위치한다. LED(Light Emitted Diode)는 인체감지 센서의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즉, 화장실 이용자가 있을 경우에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남색 원으로 표시된 곳에는 모터와 프로펠러(시설물 2)가 위치한다. 모터와 프로펠러는 환풍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인체감지 센서에 의해 화장실 이용자가 감지되면 모터의 구동을 통해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화장실(1)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 때, 모터의 구동은 화장실 관리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초록색 원으로 표시된 곳에는 LCD 표지판(시설물 3)이 위치한다. LCD 표지판은 전광판의 기능을 수행하며, 화장실(1) 외부 또는 입구에 설치하여 센서(11) 또는 서버(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즉, 현재 이용자 수, 대변기 이용 상황, 온습도 상태, 시설물 상태 등을 포함하는 화장실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화장실 이용자가 출입할 때 소리로 알려주는 피에조부저를 더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장실(1)에 설치된 센서(11)들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를 서버(2)로 전송제어한다(S1).
이에 서버(2)에서는 감지신호를 저장 및 갱신한다(S2). 한편,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화장실 정보를 제공한다(S3).
이 때, 화장실 정보는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 각각에게 필요한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즉, 화장실 이용자에게는 이용자 수 등을 포함한 현재의 화장실 이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화장실 관리자에게는 시설물의 동작 상태, 휴지 비치 여부 등을 포함한 시설물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장실 이용자 수를 카운팅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체감지 센서를 통해 화장실 이용자를 감지한다(S11).
이용자가 감지되면, 이용자 수를 카운팅한다(S12). 이 때, 이용자의 화장실(1) 출입에 대응하여 카운팅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카운팅 값은 제어부(12)를 경유하여 서버(2)로 전송된다(S13). 이에 서버(2)에서는 해당 화장실(1)의 이용자 수를 포함한 화장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4).
한편, 이용자가 화장실(1)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되면, LED, 환풍기의 모터, 피에조 부저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모든 이용자가 화장실(1) 외부로 나간 것으로 판단되면, 시설물들의 센싱을 중지시키고, LED, 환풍기의 모터, 피에조 부저도 작동을 중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대변기 이용 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레이저 센서 또는 자석 센서를 이용하여 도어개폐 여부를 판단한다(S21).
도어개폐 여부에 따라 생성된 감지신호는 제어부(12)를 경유하여 서버(2)로 전송된다(S22). 이에 서버(2)에서는 해당 화장실(1)의 대변기 이용 상황을 포함한 화장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3).
한편, 대변기 이용 상황은 LCD 표지판에도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장실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화장실 이용자의 사용자단말(3)에 화장실 이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31).
화장실 이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주변 화장실(1)을 검색한다(S32). 이 때, 화장실 이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GPS 구동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 주변 화장실(1)을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화장실 이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단말(3)에서 GPS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권한을 설정해야 한다. 이에 GPS가 연결되면 자동으로 사용자단말(3)의 위치를 파악하고 IoT로 구현된 주변 화장실(1)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주변 화장실(1)이 검색되면, 주변 화장실(1)을 사용자단말(3)에 표시하고(S33), 이에 화장실 이용자는 특정 화장실(1)을 선택하여 화장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34 ~ S35).
화장실 정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화장실(1)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화장실 이용자 수, 대변기 이용 상황 등을 확인하여 특정 화장실(1)을 이용하면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장실 검색 과정의 화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위치를 기반으로 화장실(1)을 찾고 있으므로 화장실 이용자의 위치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첫 번째 방법으로, 사용자단말(3) GPS 기능을 실행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방법으로, 사용자가 직접 지도 어플리케이션에서 자신의 위치를 지정하여 위치를 알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 상태에서 사용자단말(3)의 화장실 이용 어플리케이션을 클릭하여 실행한다.
화장실 이용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표시되는 메뉴와 이용 순서는 다음과 같다.
'화장실 목록'메뉴에서 화장실 이용자는 자신의 위치를 중심으로 또는 설정한 위치에서 가까운 화장실(1)의 목록을 받을 수 있으며, 클릭할 때 마다 자동으로 갱신된다. 화장실 목록은 맨왼쪽에 화장실(1) 썸네일이 위치하며 화장실(1)의 이름 또는 근처 랜드마크의 이름이 표시되는 방법과 지도를 통해 나타내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이때에 각 화장실(1)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이용자가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화장실(1)을 선택해야만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설정'메뉴를 통해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화장실 이용 어플리케이션의 테마, 계정 정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화장실 목록표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지도에 표현하는 것과 단순한 화장실 목록의 나열,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최초 설치 시 지도에 표시하는 기능으로 기본값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빠른 화장실 검색 및 선택을 위하여 이용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지나가는 화장실(1)을 별도로 지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장실 관리자는 관리자단말(4)의 화장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클릭하여 실행한다(S41).
화장실 관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표시되는 메뉴와 이용 순서는 다음과 같다.
'화장실 목록'메뉴에서 시설물 상태의 목록을 받을 수 있으며, 클릭할 때 마다 자동으로 갱신된다. 관리자가 목록 중 특정 시설물을 선택하면 상세정보를 알 수 있다(S42 ~ S43).
'설정'메뉴를 통해 화장실 관리자는 화장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테마, 계정 정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목록표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화장실 관리자는 직접 화장실(1)에 가지 않고 화장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등, 환풍기 등을 원격으로 구동제어함으로써 관리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S44).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장실 정보를 분리하여 제공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실(1)의 시설물 중에서 대변기 사용 상황에 따라 화장실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례로서, 화장실(1)에 들어간 이용자 수와 화장실(1)을 나가는 이용자 수를 카운팅하고(S51), 카운팅 값이 설정값보다 클 경우(이용자가 많을 경우)에는 다음으로 대변기 이용 상황을 판단한다(S52 ~ S53). 대변기 이용 상황은 레이저 센서 또는 자석 센서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를 분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설정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대변기가 있는지 확인한다(S54). 만약, 특정 대변기가 설정시간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대변기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S55). 제어부(12)에서는 대변기 고장 상태를 LCD 표지판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서버(2)에서는 대변기 이용 상황을 갱신한다. 이어서 서버(2)에서는 온라인을 통해 화장실 이용자에게 제공할 화장실 정보를 생성한다(S56). 즉, 고장 대변기를 표시하거나 사용 가능한 대변기 수를 화장실 정보로 제공한다. 또한, 서버(2)에서는 관리자단말(4)로 특정 대변기의 고장여부를 지시하는 경보메시지를 전송한다(S57).
한편, 화장실 이용자 수 카운팅 값이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이용자가 많지 않을 경우)에는 대변기 이용 상황을 판단하는데 있어, 특정 대변기가 설정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가를 판단한다(S58). 만약, 특정 대변기가 설정시간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화장실 이용자를 위한 화장실 정보에는 모든 대변기를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화장실 정보를 유지하고, 화장실 관리자를 위한 화장실 정보에는 특정 대변기의 고장여부를 지시하는 경보메시지를 전송한다(S59 ~ S60).
이와 같이, 화장실 이용자 수를 고려하여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화장실 정보를 다르게 생성 및 갱신함으로써 효율적인 화장실(1) 관리 및 신뢰도 높은 화장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화장실(1)과 연동하는 기술로서 스마트 화장실(1)에 설치된 각 센서(11)의 값을 받아 운영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IoT 센서(11)로 구현되어 있는 스마트 화장실(1)과 연동하여 사용자단말(3)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화장실(1)을 검색할 수 있으며, 해당 화장실(1)에 이용자 수, 대변기 이용 상황, 시설물의 고장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이 원하거나 가장 가까운 화장실(1)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장 가까운 화장실(1)을 찾는 방법은 각각의 스마트 화장실(1)에 위치 표시용 비콘 혹은 스마트 화장실(1) WIFI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단말(3) GPS 기능과 연동시킨 후, 가장 가까운 화장실(1)을 탐색하고, 구글 맵 혹은 여러 인터넷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와 최단 거리에 있는 화장실 목록(일례로서, 10항목 이하)을 표시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화장실(1)을 선택하면 길찾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 화장실(1)에 들어올 경우 사용자단말(3)이 비콘을 인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휴지 요청 기능이 활성화된다. 이 기능이 활성화되면, 화장실(1)에 휴지가 없는 경우 관리자단말(4)로 휴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각 화장실(1)에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현재 위치 스마트 화장실(1)의 설정 반경(일례로서, 3km)에 있는 화장실 이용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게 휴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평소 사용자의 사용자단말(3) 이용패턴을 활용한 타겟광고가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도중 위급상황시 비콘을 인식한 사용자단말(3)의 신고기능이 활성화되며, 주변 경찰서 혹은 관리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하여 개방 및 공중화장실(1)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각 화장실(1) 칸의 문에는 QR 코드가 부착되어 있고, 이를 스캔함으로써 간단한 게임을 실행하여 즐길 수 있다. 또한 각 화장실(1)마다 랭킹시스템을 유지하고, 화장실(1)을 사용함에 있어서 무료한 시간을 달래는 것을 과자를 먹듯 5 ~ 15분의 짧은 시간에 문화 컨텐츠를 소비하는 뜻의 스낵컬쳐를 앱에서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이 화장실(1) 이용 중에도 핸드폰 앱을 사용하면서도 무료함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화장실(1)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별도로 제공된 관리자 전용의 화장실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시설물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즉각적인 대처를 통해 시설물 보수 정보를 전송하면, 서버(2)는 이를 갱신하여 온라인을 통해 화장실 이용자를 위한 화장실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빠르고 신뢰도 높은 화장실(1) 관리를 수행할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의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2),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술한 다양한 예시적인 엘리먼트, 컴포넌트, 논리블록, 모듈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소자들, 블록, 모듈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물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기재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하여,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의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및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범용 목적의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범용-목적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법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의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은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또는 명령들의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물은 임의의 적절한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센서
12 : 제어부
13 : 통신부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센서가 설치되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화장실;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할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화장실 검색 및 현재의 화장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및
    현재의 화장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관리자단말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에는,
    해당 화장실의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설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센서로 구성되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송제어하는 제어부; 및
    감지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군은,
    화장실 입구에 설치되어 화장실 이용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센서;
    화장실 문에 설치되어 대변기 이용 상황을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 센서; 및
    화장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감지신호로부터 화장실 이용자를 위한 화장실 정보와 화장실 관리자를 위한 화장실 정보를 각각 생성하며, 시설물 고장에 따른 화장실 관리자의 조치에 대응하여 갱신된 화장실 정보를 화장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5. 화장실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화장실 이용자와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할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화장실 이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화장실 정보를 제공하고, 화장실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화장실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화장실 이용자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해당 화장실의 시설물 이용 상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화장실 이용자 수를 고려하여 해당 시설물의 이용 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시설물이 고장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해당 시설물의 고장여부를 지시하는 경보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화장실 이용자 수를 고려하여 화장실 이용자용 화장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방법.
  7. 제6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이용자 수는 인체감지 센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관리자의 관리자단말에 설치된 화장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장실 시설물의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방법.
KR1020180014696A 2018-02-06 2018-02-06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0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696A KR20190100505A (ko) 2018-02-06 2018-02-06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696A KR20190100505A (ko) 2018-02-06 2018-02-06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505A true KR20190100505A (ko) 2019-08-29

Family

ID=6777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696A KR20190100505A (ko) 2018-02-06 2018-02-06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05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3668A (zh) * 2021-06-17 2021-08-20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厕所使用信息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426A (ko) 2014-05-07 2015-11-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지능통신을 이용한 공중화장실 관리장치
KR20160011014A (ko) 2014-07-21 2016-01-29 양완석 화장실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426A (ko) 2014-05-07 2015-11-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지능통신을 이용한 공중화장실 관리장치
KR20160011014A (ko) 2014-07-21 2016-01-29 양완석 화장실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3668A (zh) * 2021-06-17 2021-08-20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厕所使用信息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773B2 (en) Home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context-sensitive transition to different modes
US10290191B2 (en) Alarm arming with open entry point
US101473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events across sensors
US988357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US11575752B2 (en) Using in-home location awareness
US11100786B2 (en) Sensor bypass
US10074248B2 (en) Guided installation for an opening sensor
US20160189527A1 (en) Intelligent Object-Based Alarm System
CN101103611B (zh) 使用继承的配置数据自动配置网络内的装置的系统和方法
US20160189513A1 (en) Situationally Aware Alarm
US10012548B2 (en) Passive infrared sensor self test with known heat source
US20220027725A1 (en) Sound model localization within an environment
KR20170066114A (ko)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한 기기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90100505A (ko) 사물인터넷 기반 화장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67481A1 (en) Light source status detection
US2021021729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security system access and sharing temporal event-based notifications and access to devices of designated persons
WO2018193856A1 (ja) 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WO2023224622A1 (en) Privacy-preserving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ersonalized sound discovery within an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