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162A -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162A
KR20190100162A KR1020197010863A KR20197010863A KR20190100162A KR 20190100162 A KR20190100162 A KR 20190100162A KR 1020197010863 A KR1020197010863 A KR 1020197010863A KR 20197010863 A KR20197010863 A KR 20197010863A KR 20190100162 A KR20190100162 A KR 20190100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transmission resource
channel
reception result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난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송신하는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네트워크 장치가 적시적으로 채널의 수신 상황을 취득하여, 현재의 채널 수신 상황에 의하여 후속의 채널 전송의 과정에 대하여 지도를 진행하도록 하여, 채널의 변조성능 및 전송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을 송신한 후, 일반적으로 시스템 내 각 단말 장치의 수신 효과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스케줄링을 진행할 때 효과적으로 각 단말 장치를 위하여 상응한 스케줄링 정보, 예를 들면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등급, 송신 전력 등을 구성할 수 없어, 채널의 복조 성능이 떨어지고, 시스템의 전송 효율이 낮은 등 문제를 초래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채널의 복조 성능 및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방면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송신하는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에 대한 채널 수신 상황을 피드백하는 것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적시적으로 채널의 수신 상황을 취득하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채널 수신 상황에 의하여 후속의 채널 전송의 과정에 대하여 지도를 진행하도록 하여, 채널의 변조성능 및 전송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단말 장치는 또한 연속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어느 한 사전 설정된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로 확정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상기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로 확정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M의 값은 네트워크 장치가 확정하고 또한 단말 장치에 지시한 것일 수 있고, 또한 사전에 약정한 것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프로토콜에 규정된 것일 수 있다.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하여 MCS 측정을 진행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측정된 MCS의 등급과 상기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에 의하여 상기 MCS 조정량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MCS 조정량이 하기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바, 즉
상기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하여 MCS 측정을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에 포함된 복조 참조 신호(DMRS)에 의하여 상기 MCS 측정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는 바, 서로 다른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의 값이 다르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 그룹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을 확정하고, 또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특정 파라미터는 단말 장치의 특유의 전송 파라미터, 자원 파라미터, 장치 파라미터 등이고, 서로 다른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의 값이 다르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특정 전송 파라미터는 단말 장치의 아이디(Identity, "ID"로 약칭)이거나, 또는 단말 장치가 그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자원의 번호이거나, 또는 단말 장치가 통신 과정에 점용한 어느 한 물리 자원 블럭의 번호이거나, 또는 단말 장치의 전송 과정에 사용되는 기타 파라미터의 값 등일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자신의 특정 파라미터, 및 사전 설정된 파라미터 값과 전송 자원의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고, 또한 해당 목표 전송 자원 사에서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가 확정하고 또한 단말 장치에 지시한 것일 수 있고, 또한 사전에 약정한 것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프로토콜에 규정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과 코드 도메인 자원 중의 적어도 한 가지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모두 다르다.
제2 방면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목표 채널을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며;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해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한다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확정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상기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 조정량이 포함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MCS 조정량이 하기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킨다고 확정하는 바, 즉
상기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및 전송 자원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이 속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 및 전송 자원 그룹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하여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제2 방면의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과 코드 도메인 자원 중의 적어도 한 가지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모두 다르다.
제3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단말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단말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부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거나, 해당 단말 장치가 제3 방면에서 제공하는 단말을 구현한다.
제6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부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거나,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4 방면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현한다.
제7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방면, 및 여러 가지 구현방식 중의 어느 한 무면허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8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방면, 및 여러 가지 구현방식 중의 어느 한 무면허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9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 중의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방면 및 그 여러 가지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0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 중의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방면 및 그 여러 가지 구현 방식 중의 어느 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안을 바탕으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에 대한 채널 수신 상황을 피드백하는 것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통하여 적시적으로 채널의 수신 상황을 취득하고, 또한 단말 장치가 채널 수신 상황을 통하여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또한 해당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에 의하여 구체적인 채널 수신 상황을 확정하도록 한다. 이로써 현재의 채널 수신 상황에 의하여 후속의 채널 전송의 과정에 대하여 지도를 진행하도록 하여, 채널의 변조성능 및 전송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의 예시적 구조도.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 상호작용 도면.
도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및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단말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말 장치는 또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라 부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GSM 시스템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는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등일 수 있다.
도1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이다. 도1 중의 통신 시스템에는 네트워크 장치(10)와 단말 장치(20)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는 단말 장치(20)를 위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장치(20)는 네트워크 장치(10)가 송신하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장치(20)와 네트워크 장치(10) 사이의 셀룰로우스 링크를 통하여 진행하되는 업로드/다운로드 전송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또는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네트워크 또는 기계 대 기계/인간(Machine to Machine/Man, M2M) 네트워크 또는 기타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도1은 단지 예시적인 개략도이고, 네트워크에는 또한 기타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도1에 도시하지 않았다.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 상호작용 도면이다. 도2는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면 도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10)일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는 예를 들면 도1에 도시된 단말 장치(20)일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흐름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210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목표 채널을 송신하는 바, 해당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된다.
220에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목표 채널을 수신한다.
230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을 수신한 후, 해당 채널에 대하여 수신 처리를 진행하고 또한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즉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처리의 결과에 의하여 판단을 진행하여, 만일 해당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면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채널의 처리 결과를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세 가지 방식을 제공하여 해당 목표 정보의 송신을 확정하는 바, 아래 세 가지 방식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방식1
선택적으로,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해당 단말 장치의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다.
이때, 단말 장치가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하고, 만일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통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확정한다.
예를 들면, 만일 제1 역치가 1이라면, 이는 단말 장치가 해당 디코딩 유닛을 단위로 수신된 목표 채널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할 때, 어느 한 디코딩 유닛이 디코딩에 실패한 것을 발견하기만 하면, 바로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 중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디코딩 유닛은 전송 블럭일 수도 있고, 또는 전송 시간 유닛 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등일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유닛의 수량 N은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 N을 가리키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속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의 수량 N을 가리킨다. 만일 어느 한 전송 시간 유닛에서 다수의 전송 블럭이 전송되었다면, 해당 다수의 전송 블럭 중의 한 전송 블럭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했다면, 해당 전송 시간 유닛 상의 디코딩 실패를 뜻한다.
또 예를 들면, 만일 제1 역치가 5라면, 단말 장치가 목표 채널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할 때,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5에 도달할 때에만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통지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을 전송하는 제1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하고, 제2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성공하며, 제3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하고, 제4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성공하며, 제5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하고, 제6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하며, 제7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한다면, 제7 전송 블럭에 대하여 제7회 디코딩을 진행할 때 N이 비로소 5에 도달하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한 가지 상황으로는, 단말 장치는 또한 연속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어느 한 사전 설정된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로 확정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을 기록할 때, 해당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연속적이어야 한다. 여전히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을 전송하는 제1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하고, 제2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성공하며, 제3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하고, 제4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성공하며, 제5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하고, 제6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하며, 제7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한다고 가정하면, 제7 전송 블럭에 대하여 제7회 디코딩을 진행할 때, 연속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3이고, 단말 장치가 만일 제8 전송 블럭에 대한 디코딩과 제9 전송 블럭에 대한 디코딩에도 실패한다면, 연속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비로소 5에 도달하기 때문에, 이때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한다.
방식2
선택적으로,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해당 단말 장치의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다.
이때, 단말 장치가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할 때, 만일 연속으로 적어도 M개의 전송 블럭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하는 과정에, 디코딩에 실패한 비례 P가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할 것을 확정한다. 그 중에서, P=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적어도 M개 전송 블럭의 총 수량이다.
예를 들면, 제1 역치의 값이 20%이고, M=5라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할 때, 연속으로 5개의 전송 블럭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한 후, 이 5회 디코딩 중에 디코딩에 실패한 비례 P를 계산하고, 만일 P=20%라면,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할 것을 확정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연속으로 5개의 전송 블럭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한 후, 만일 이 5회 디코딩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이 2인 것을 발견하면, P=40%=20%를 계산하고, 이로써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로 확정하며; 만일 이 5회 디코딩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이 0인 것을 발견하면, P=0<20%이기 때문에, 목표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다.
또 예를 들면, 제1 역치의 값이 20%이고, M=5라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할 때, 1개 전송 블럭의 디코딩에 실패한 것을 확정한 후 바로 P=20%를 만족시키기 때문에, 이로써 단말 장치가 해당 전송 블럭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후 바로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할 것을 확정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피드백하여 채널 수신 상황을 피드백하며; 만일 이 5회 디코딩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이 0인 것을 발견하면, P=0<20%이기 때문에,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로 확정하기 전, 해당 방법에는 또한,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M의 값은 네트워크 장치가 확정하고 또한 단말 장치에 지시한 것일 수 있고, 또한 사전에 약정한 것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프로토콜에 규정된 것일 수 있다.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단말 장치의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는 연속 M개의 전송 블럭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한 후 디코딩 실패 비례 P를 확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M개 이상의 전송 블럭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한 후 디코딩에 실패 비례 P를 확정할 수도 있다. M의 값은 단말 장치가 P를 계산하기 위한 디코딩한 전송 블럭의 수량의 하한 값일 수 있다.
방식3
선택적으로,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의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에 대한 조정량이 포함된다.
이때, 단말 장치가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하여 MCS 측정을 진행하며; 단말 장치가 측정된 MCS의 등급과 해당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에 의하여 해당 MCS 조정량을 확정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MCS 조정량이 하기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킬 때, 해당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바, 즉
해당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해당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 또는 해당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할 때, 우선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하여 MCS 측정을 진행하는 바, 예를 들면 해당 목표 채널에 포함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또는 해당 목표 채널에 포함된 변조 참조 신호(De 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에 의하여 MCS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측정된 MCS는 이상적인 필요한 MCS이다. 단말 장치가 측정된 MCS의 등급 및 해당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에 의하여 해당 MCS 조정량 즉 MCS 조정 급수를 확정하고, 또한 해당 MCS 조정 급수가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바, 예를 들면 해당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또는 해당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 또는 해당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다.
예를 들면, 해당 MCS 조정 급수가 만족시키는 사전 설정된 조건이 MCS 조정량이 0이 아닌 것이라면, 해당 MCS 조정량이 0이 아닐 때,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며; 해당 MCS 조정량이 0일 때, MCS 조정이 필요가 없고,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다.
또 예를 들면, 해당 MCS 조정량이 측정된 MCS의 등급에서 해당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을 감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만일 단말 장치가 계산 후 해당 MCS 조정량이 값이 양수인 것을 발견하면, 단말 장치가 해당 MCS 조정량의 값이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후속의 전송 중에 MCS 등급을 증가할 수 있다고 지시하고, 나아가 네트워크 장치가 MCS 등급을 증가하는 수량 즉 MCS 등급의 증가량은 제3 역치와 같을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해당 MCS 조정량이 측정된 MCS의 등급에서 해당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을 감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만일 해당 MCS 조정량 즉 조정 급수의 값이 음수라면, 단말 장치가 해당 MCS 조정량의 값이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을 때,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후속의 전송 중에 MCS 등급을 감소할 수 있다고 지시하고, 나아가 MCS 등급을 감소하는 수량 즉 MCS 등급의 감소량은 제4 역치와 같을 수 있다. 여기에 제3 역치와 제4 역치가 있는 것은 네트워크 장치의 MCS 등급에 대한 높임과 MCS 등급에 대한 낮춤의 감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 예를 들면, 해당 MCS 조정량이 측정된 MCS의 등급에서 해당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을 감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해당 MCS 조정량이 만족시키는 사전 설정된 조건은 해당 MCS 조정량 즉 조정 급수의 값이 0보다 크거나 또는 0보다 작은 것이다. 만일 단말 장치가 계산 후 해당 MSC 조정량의 값이 0보다 크다는 것을 발견하면,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해당 목표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로 후속의 전송 중에 MCS 등급을 증가할 수 있다고 지시하며; 만일 해당 MSC 조정량 즉 조정 급수의 값이 0보다 작다면,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해당 목표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로 후속의 전송 중에 MCS 등급을 감소할 수 있다고 지시한다
240에서,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해당 목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한다고 확정한 후,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해당 목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한다. 단말 장치는 구체적으로 다섯 가지 방식을 통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할 수 있는 바, 아래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방식1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한다.
그 중에서, 240 중의 해당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은 예를 들면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통하여 취득한 것일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면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해당 제2 지시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의하여, 해당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서 해당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가 확정하고 또한 단말 장치에 지시한 것일 수 있고, 또한 사전에 약정한 것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프로토콜에 규정된 것일 수 있다.
방식2
단말 장치가 해당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한다.
그 중에서, 해당 특정 파라미터는 단말 장치의 특유의 전송 파라미터, 자원 파라미터, 장치 파라미터 등이고, 서로 다른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의 값이 다르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특정 전송 파라미터는 단말 장치의 아이디(Identity, "ID"로 약칭)이거나, 또는 단말 장치가 그의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자원의 번호이거나, 또는 단말 장치가 통신 과정에 점용한 어느 한 물리 자원 블럭의 번호이거나, 또는 단말 장치의 전송 과정에 사용되는 기타 파라미터의 값 등일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자신의 특정 파라미터, 및 사전 설정된 파라미터 값과 전송 자원의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고, 또한 해당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한다.
방식3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해당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한다. 여기에서의 수신 결과는 예를 들면 상기 230 단계에 관한 설명 중의 방식1 내지 방식3 중의 어느 한 가지 방식에서의 수신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단말 장치의 목표 채널에 대하여 연속 디코딩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 Q가 포함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Q개 전송 블럭에 대하여 디코딩 실패한 후, 표1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서 Q의 값에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검색하여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Q=8이라고 가정하면, 표1에 의하여 전송 자원2가 목표 전송 자원이다.
Figure pct00001
또 예를 들면,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해당 단말 장치의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한 M개 전송 블럭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이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된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단말 장치가 P를 확정한 후, 표2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서 P의 값에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검색하여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30%라고 가정하면, 표2에 의하여 전송 자원2가 목표 전송 자원이다.
Figure pct00002
또 예를 들면,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MCS 조정 급수가 포함되고, 또한 해당 MCS 조정량이 단말 장치에 의해 측정된 MCS의 등급에서 해당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을 감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단말 장치가 MCS 조정 급수를 확정한 후, 표3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서 해당 MCS 조정 급수의 값에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검색하여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CS 조정 급수의 값이 +2(즉 2급 증가)라고 가정하면, 표3에 의하여 전송 자원3이 목표 전송 자원이다.
Figure pct00003
방식4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 그룹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을 확정한다. 단말 장치가 목표 전송 그룹을 확정한 후, 해당 목표 전송 자원 그룹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며; 또는 단말 장치가 또한 해당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 그룹에서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한다.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전송 자원 그룹을 확정하는 방식은 단말 장치가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예를 들면,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단말 장치의 목표 채널에 대하여 연속 디코딩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 Q가 포함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Q개 전송 블럭에 대하여 연속 Q회 디코딩 실패한 후, 표4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그룹에서 Q의 값에 대응되는 전송 자원 그룹을 검색하여 목표 전송 자원 그룹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Q=18이라고 가정하면, 표4에 의하여, 전송 자원 그룹4가 목표 전송 자원 그룹이고, 단말 장치가 전송 그룹4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거나, 또는 해당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 그룹에서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한다.
Figure pct00004
또 예를 들면,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해당 단말 장치의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한 M개 전송 블럭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이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된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단말 장치가 P를 확정한 후, 표5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그룹에서 P의 값에 대응되는 전송 자원 그룹을 검색하여 목표 전송 자원 그룹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60%라고 가정하면, 표5에 의하여, 전송 자원 그룹3이 목표 전송 자원 그룹이고, 단말 장치가 전송 그룹3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거나, 또는 해당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 그룹에서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한다.
Figure pct00005
또 예를 들면,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MCS 조정 급수가 포함되고, 또한 해당 MCS 조정량이 단말 장치에 의해 측정된 MCS의 등급에서 해당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을 감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단말 장치가 MCS 조정 급수를 확정한 후, 표6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그룹에서 해당 MCS 조정 급수의 값에 대응되는 전송 자원 그룹을 검색하여 목표 전송 자원 그룹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CS 조정 급수의 값이 +2(즉 2급 증가)라고 가정하면, 표6에 의하여, 전송 자원 그룹3이 목표 전송 자원 그룹이고, 단말 장치가 전송 그룹3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거나, 또는 해당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 그룹에서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해당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한다.
Figure pct00006
250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 장치가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한 후, 해당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이가 송신하는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지시한다.
260에서,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해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한다면,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해당 목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한다.
해당 목표 정보는 해당 단말 장치가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송신한 것이고, 또한 해당 목표 전송 자원이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서 확정한 것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목표 정보에 의하여 단말 장치의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한 수신 결과의 피드백을 취득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세 가지 방식은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기 때문에, 아래 세 가지 방식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방식1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해당 단말 장치의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가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해당 목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방식2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해당 단말 장치의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해당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다.
이때,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방식3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해당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 조정량이 포함되며, 이때,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해당 목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MCS 조정량이 하기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킨다고 확정하는 바, 즉
해당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해당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 해당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포함된다.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해당 목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바, 그 중에서 해당 목표 정보의 수신과 해당 목표 정보의 수신 결과 사이의 관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230 단계에 관한 설명 중의 방식1 내지 방식3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위에서는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의하여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을 설명하였는 바, 예를 들면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연속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이 어느 한 역치보다 크다고 확정하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비례가 어느 한 역치보다 크다고 확정한다. 하지만 네트워크 장치가 또한 구체적으로 연속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과 디코딩 실패 비례가 구체적으로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 아는 것이 필요하다면,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나아가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해당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에 의하여 해당 목표 채널의 상세한 수신 결과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해당 목표 전송 자원, 및 전송 자원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하며;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해당 목표 전송 자원이 속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 및 전송 자원 그룹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 그룹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해당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여기에서의 수신 결과는 예를 들면 상기 260 단계에 관한 설명 중의 방식1 내지 방식3 중의 어느 한 가지 방식에서의 수신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단말 장치의 목표 채널에 대하여 연속 디코딩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 Q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가 전송 자원2 상에서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한다면, 표1에 의하여 전송 자원2에 대응되는 값을 검색한 것이 8이고, 그렇다면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목표 채널의 연속 디코딩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 Q가 8=Q<12를 만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해당 단말 장치의 해당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한 적어도 M개 전송 블럭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의 수량이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된다고 가정한다. 네트워크 장치가 만일 전송 자원2 상에서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한다면, 표2에 표시된 맵핑 관계에 의하여, 해당 목표 채널의 디코딩 실패한 비례가 25%<P=50%이라는 것을 검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MCS 조정 급수가 포함되고, 또한 해당 MCS 조정량이 단말 장치에 의해 측정된 MCS의 등급에서 해당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을 감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네트워크 장치가 만일 전송 자원3 상에서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한다면, 표3에 표시된 맵핑 관계에 의하여, 해당 MCS 조정 급수의 값이 +2(즉 2급 증가)라는 것을 검색할 수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 장치는 후속으로 채널을 송신할 때, 2급 증가된 후의 MCS 급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가 또한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해당 목표 전송 자원이 속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 및 전송 자원 그룹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해당 목표 전송 자원 그룹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전송 자원과 채널 수신 결과 사이의 맵핑 관계, 및 전송 자원 그룹과 채널 수신 결과 사이의 맵핑 관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240 단계에 관한 설명 중의 방식3과 방식4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에 대한 채널 수신 상황을 피드백하는 것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통하여 적시적으로 채널의 수신 상황을 취득하고, 또한 단말 장치가 채널 수신 상황을 통하여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고 또한 해당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네트워크 장치로 해당 목표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에 의하여 상세한 채널 수신 상황을 확정하도록 한다. 이로써 현재의 채널 수신 상황에 의하여 후속의 채널 전송의 과정에 대하여 지도를 진행하도록 하여, 채널의 변조성능 및 전송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3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300)에는 전송 유닛(310)과 확정 유닛(32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전송 유닛(310)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며;
확정 유닛(320)는 상기 전송 유닛이 수신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전송 유닛(310)은 또한, 상기 확정 유닛(320)이 확정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송신하는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에 대한 채널 수신 상황을 피드백하는 것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적시적으로 채널의 수신 상황을 취득하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채널 수신 상황에 의하여 후속의 채널 전송의 과정에 대하여 지도를 진행하도록 하여, 채널의 변조성능 및 전송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며,
상기 확정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상기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며,
상기 확정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닛(310)은 또한, 상기 확정 유닛(310)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로 확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 조정량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하여 MCS 측정을 진행하며; 측정된 MCS의 등급과 상기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에 의하여 상기 MCS 조정량을 확정하며; 상기 MCS 조정량이 하기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바, 즉
상기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에 포함된 복조 참조 신호(DMRS)에 의하여 상기 MCS 측정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는 바, 서로 다른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의 값이 다르며; 또는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며; 또는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 그룹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을 확정하고, 또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닛(310)은 또한, 상기 확정 유닛(320)이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과 코드 도메인 자원 중의 적어도 한 가지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모두 다르다.
해당 단말 장치(300)는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의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4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400)에는 전송 유닛(410)과 확정 유닛(42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전송 유닛(410)은 단말 장치로 목표 채널을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며;
확정 유닛(420)은 만일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해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한다면,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확정한 것이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채널 전송 상황과 관련된 목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통하여, 적시적으로 채널의 수신 상황을 취득하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채널 수신 상황에 의하여 후속의 채널 전송의 과정에 대하여 지도를 진행하도록 하여, 채널의 변조성능 및 전송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며;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전송 유닛(410)이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상기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며;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전송 유닛(410)이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닛(410)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 조정량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전송 유닛(410)이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MCS 조정량이 하기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킨다고 확정하는 바, 즉
상기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및 전송 자원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하며; 또는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이 속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 및 전송 자원 그룹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닛(410)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하여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과 코드 도메인 자원 중의 적어도 한 가지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모두 다르다.
해당 네트워크 장치(400)는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해당 네트워크 장치의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5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510), 송수신기(520)와 기억장치(5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510), 송수신기(520)와 기억장치(5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5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510)는 해당 기억장치(5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5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송수신기(520)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며;
해당 프로세서(510)는 상기 전송 유닛이 수신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해당 송수신기(520)는 또한, 상기 확정 유닛이 확정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송신하는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며, 상기 프로세서(510)는 구체적으로,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상기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며, 상기 프로세서(510)는 구체적으로,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520)는 또한, 상기 프로세서(510)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로 확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 조정량이 포함되며, 상기 프로세서(5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하여 MCS 측정을 진행하며; 측정된 MCS의 등급과 상기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에 의하여 상기 MCS 조정량을 확정하며; 상기 MCS 조정량이 하기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바, 즉
상기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5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에 포함된 복조 참조 신호(DMRS)에 의하여 상기 MCS 측정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5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는 바, 서로 다른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의 값이 다르며; 또는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며; 또는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 그룹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을 확정하고, 또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520)는 또한, 상기 프로세서(510)가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과 코드 도메인 자원 중의 적어도 한 가지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모두 다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5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5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5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5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5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53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5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5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5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510)가 기억장치(5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500)는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3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 장치(5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6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610), 송수신기(620)와 기억장치(6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610), 송수신기(620)와 기억장치(6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6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610)는 해당 기억장치(6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6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송수신기(620)는 단말 장치로 목표 채널을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며;
해당 프로세서(610)는 만일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해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한다면,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확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며;
상기 프로세서(610)는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송수신기(620)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상기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며;
상기 프로세서(610)는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송수신기(620)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620)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 조정량이 포함되며, 상기 프로세서(610)는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송수신기(620)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MCS 조정량이 하기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킨다고 확정하는 바, 즉
상기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및 전송 자원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하며; 또는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이 속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 및 전송 자원 그룹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620)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하여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과 코드 도메인 자원 중의 적어도 한 가지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모두 다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6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6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6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6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6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63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6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6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6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610)가 기억장치(6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600)는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4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4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일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7의 시스템 칩(7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701), 출력 인터페이스(7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03), 기억장치(704)가 포함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701), 출력 인터페이스(702), 상기 프로세서(703) 및 기억장치(704)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703)는 상기 기억장치(704) 중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7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7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확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확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의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해당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직접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직접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해당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4)

  1.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송신하는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상기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로 확정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 조정량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하여 MCS 측정을 진행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측정된 MCS의 등급과 상기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에 의하여 상기 MCS 조정량을 확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MCS 조정량이
    상기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하여 MCS 측정을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에 포함된 복조 참조 신호(DMRS)에 의하여 상기 MCS 측정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는 바, 서로 다른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의 값이 다르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 그룹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을 확정하고, 또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과 코드 도메인 자원 중의 적어도 한 가지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0.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목표 채널을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며;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해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한다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확정한 것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상기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 조정량이 포함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MCS 조정량이
    상기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은 것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킨다고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및 전송 자원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이 속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 및 전송 자원 그룹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하여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과 코드 도메인 자원 중의 적어도 한 가지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8. 단말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는 전송 유닛;
    상기 전송 유닛이 수신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가 약정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확정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며;
    상기 전송 유닛은 또한, 상기 확정 유닛이 확정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송신하는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상기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또한,
    상기 확정 유닛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목표 정보를 송신하기로 확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 조정량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하여 MCS 측정을 진행하며;
    측정된 MCS의 등급과 상기 목표 채널이 사용하는 MCS의 등급에 의하여 상기 MCS 조정량을 확정하며;
    상기 MCS 조정량이
    상기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킬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하도록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채널에 포함된 복조 참조 신호(DMRS)에 의하여 상기 MCS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4. 제18항 내지 제2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는 바, 서로 다른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의 값이 다르며; 또는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며; 또는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 및 채널 수신 결과와 전송 자원 그룹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와 대응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을 확정하고, 또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특정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전송 자원을 상기 목표 전송 자원으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5. 제18항 내지 제2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또한,
    상기 확정 유닛이 목표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6. 제18항 내지 제2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과 코드 도메인 자원 중의 적어도 한 가지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7.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단말 장치로 목표 채널을 송신하는 바, 상기 목표 채널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이 포함되는 전송 유닛;
    만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목표 전송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해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한다면, 목표 시간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한 상기 목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를 확정하는 바, 상기 목표 전송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 중에서 확정한 것인 확정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 N이 포함되고,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N은 정정수이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전송 유닛이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N이 제1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기 목표 채널에 대해 디코딩하는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 중에서,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의 수량이 상기 적어도 M개 디코딩 유닛에서 차지하는 비례 P가 포함되고, 상기 디코딩에 실패한 디코딩 유닛은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이거나, 또는 디코딩에 실패한 전송 블럭을 포함하는 전송 시간 유닛이며, M은 정정수이고, 0=P=1이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전송 유닛이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P가 제2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고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M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는 상기 목표 채널에 대응되는 변조 코딩 방식(MCS) 조정량이 포함되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전송 유닛이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MCS 조정량이
    상기 MCS 조정량이 0이 아니며; 상기 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가 아니고 또한 제3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MCS 조정량의 값이 음수이고 또한 제4 역치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중의 어느 한 가지를 만족시킨다고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2. 제27항 내지 제3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 및 전송 자원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하며; 또는
    상기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목표 전송 자원이 속하는 목표 전송 자원 그룹, 및 전송 자원 그룹과 채널 수신 결과의 맵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목표 전송 자원 그룹과 대응되는 채널 수신 결과를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3. 제27항 내지 제3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의 수신 결과에 의하여 송신하는 목표 정보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4. 제27항 내지 제3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 주파수 도메인 자원과 코드 도메인 자원 중의 적어도 한 가지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모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KR1020197010863A 2016-12-30 2016-12-30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20190100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13825 WO2018120159A1 (zh) 2016-12-30 2016-12-30 传输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162A true KR20190100162A (ko) 2019-08-28

Family

ID=6270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863A KR20190100162A (ko) 2016-12-30 2016-12-30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06678B2 (ko)
EP (1) EP3512238B1 (ko)
JP (1) JP7046933B2 (ko)
KR (1) KR20190100162A (ko)
CN (1) CN109845316B (ko)
TW (1) TWI741089B (ko)
WO (1) WO2018120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7025A (zh) * 2019-11-27 2021-05-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网络设备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837B1 (ko) * 2005-06-24 2011-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수행 방법
US20070147371A1 (en) 2005-09-26 2007-06-28 The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Multicast packet video system and hardware
KR101369135B1 (ko) 2006-06-21 2014-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및 방송서비스의 품질보장 방법 및 그 단말
US8050701B2 (en) * 2006-10-13 2011-11-01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568703B1 (ko) * 2008-08-26 2015-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E-mbs의 적응을 위한 mbms피드백 방법
CN101795436B (zh) * 2009-02-04 2012-12-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重传方法、装置及系统
KR101639407B1 (ko) * 2009-07-30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2957516B (zh) * 2011-08-26 2015-06-10 大唐联诚信息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的自适应重传方法和装置
US9450773B2 (en) * 2011-12-22 2016-09-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ulticast resource optimization
US9241338B2 (en) * 2012-06-05 2016-01-19 Apple Inc. Link adaptation resumption based on CQI offset
WO2014020798A1 (ja) * 2012-07-31 2014-02-0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並びにharq応答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EP2912906B1 (en) * 2012-10-29 2019-06-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CN103096255B (zh) * 2013-01-11 2016-05-1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广播消息发送方法及一种基站
US9450844B2 (en) * 2014-06-26 2016-09-20 Alcatel Lucent Physical layer measurements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US9774465B2 (en) * 2014-12-24 2017-09-26 Intel Corporation Media content streaming
JP6626846B2 (ja) * 2015-01-28 2019-12-25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方法
CN105991235B (zh) * 2015-03-04 2020-10-30 株式会社Ntt都科摩 一种调整编码调制方案的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10440771B2 (en) * 2015-03-06 2019-10-08 Qualcomm Incorporated Conditional HARQ feedback
CN106211086B (zh) * 2015-05-07 2019-09-10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pucch的群组业务传输方法
CN108024366A (zh) * 2016-11-04 2018-05-1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基于免调度的数据传输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2238B1 (en) 2021-10-06
EP3512238A4 (en) 2019-10-16
WO2018120159A1 (zh) 2018-07-05
JP2020516088A (ja) 2020-05-28
TWI741089B (zh) 2021-10-01
CN109845316B (zh) 2020-08-18
US11206678B2 (en) 2021-12-21
US20190289619A1 (en) 2019-09-19
EP3512238A1 (en) 2019-07-17
TW201824834A (zh) 2018-07-01
JP7046933B2 (ja) 2022-04-04
CN109845316A (zh)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69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475099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092420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065196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2134649B (zh) 传输数据的方法和发送端设备
KR102329006B1 (ko)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190100162A (ko)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20220054457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