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667A - Low-profile DC-DC Converter - Google Patents

Low-profile DC-DC Conve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667A
KR20190099667A KR1020180019373A KR20180019373A KR20190099667A KR 20190099667 A KR20190099667 A KR 20190099667A KR 1020180019373 A KR1020180019373 A KR 1020180019373A KR 20180019373 A KR20180019373 A KR 20180019373A KR 20190099667 A KR20190099667 A KR 20190099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transformer
voltage
pcb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7245B1 (en
Inventor
안태영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245B1/en
Publication of KR20190099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6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2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19Planar transformers with printed windings, e.g. surrounded by two cores and to be mounted on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profile DC-DC converter capable of size re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profile DC-DC converter comprises: a switch unit to switch an input voltage; a primary transformer including a multi-layer PCB with a primary coil,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by a voltage received from the switch unit; a secondary transformer including a multi-layer PCB with a secondary coil, and outputting a voltage induc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rimary transformer; a rectifying unit to rectify a voltage outputted from the secondary transformer; a secondary wireless control unit to detect an output voltage of the rectifying unit to transmit the output voltage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rimary wireless control unit to receive an output voltage transmitted from the secondary wireless control unit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a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to the switch unit to adjust the output voltage. The switch unit, the primary transformer, and the primary wireless control unit are realized on a primary PCB. The secondary transformer, the rectifying unit, and the secondary wireless control unit are realized on a secondary PCB. An insulation layer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PCB.

Description

박형 DC-DC 컨버터{Low-profile DC-DC Converter}Thin DC-DC Converters {Low-profile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박형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출력 전압의 피드백을 제어하는 박형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in DC-DC conver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in DC-DC converter that transmits wireless power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controls feedback of an output voltage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전자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더불어 SMPS(Switch-mode Power Supply) 전원장치를 사용하는 컴퓨터, 전자계산기, 전자교환기, 음향영상기기, 통신장비 등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기술적 진보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역률개선 회로, 전동기 구동회로, 전자식 안정기 회로 등 산업분야에서 필요 전압의 다양화와 장비의 소형화,경량화가 요구되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특히, 휴대형 제품에서의 소형, 경량화는 제품의 성능과 같이 상품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이러한 휴대형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장치는 고유한 특징 때문에 소형, 경량화가 어려웠다. 그리고 온-보드형 전원장치 등에서 요구되고 있는 박형화(Low Profile)는 전체 시스템의 밀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중요한 연구 개발목표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스위칭 방식의 DC/DC 컨버터에서는 에너지를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마그네트 와이어 권선을 가진 큰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는데 따른 변압기의 크기로 인해 장치의 높이가 제한되고, 개발기간이 길어지며, 제품의 원가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s industry, a wide range of technological advances are being widely used in computers, calculators, electronic exchangers, audiovisual equipment, and communication equipments using switch-mode power supply (SMPS) power supplies. Recently, it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 the industrial field such as power factor improvement circuit, motor driving circuit, electronic ballast circuit, and the like, which requires diversification of required voltage and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equipment. In particular, the small size and light weight in portable products have become an important goal to improve the productability, such as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Th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s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s been difficult to compact and lightweight due to its unique characteristics. Low profile, which is required for on-board power supply, is one of the important R & D goals because it improves the density of the whole system. However, in switching DC / DC converter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energy, the size of the device is limited due to the size of the transformer, which is generally due to the use of a large ferrite core with a magnet wire winding. There are times when it is difficult to influence the cost much.

기존의 전원모듈의 고밀도, 소형 및 경량화를 위해서는 고주파에서의 구동과 더불어, 전력변환을 위한 트랜스의 최적화 설계 및 제작 방열 등의 실제 운전 조건을 고려한 전원모듈의 설계 및 제작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종래의 고밀도 전원모듈의 경우 일반적으로 스위칭 주파수가 100~300kHz 구동되며 일반 권선형의 트랜스포머의 적용으로 인해서 소자 특성의 오차, 동작 특성의 편차, 양산 제작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발열문제에 의한 방열문제 해소와 함께 신뢰성에 있어 문제가 되는 요인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high density, small size and light weight of existing power module, design and manufacture of power module considering actual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heat dissipation and optimized design of transformer for power conversion and heat dissip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igh-density power supply module, the switching frequency is generally driven from 100 to 300 kHz, and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general winding type transform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heat dissipation problem due to the heat generation problem as well as the error of the device characteristics, the deviation of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the difficulty of mass production. In addition, the situation includes a number of factors that are problematic in reliability.

또한, 스위칭 방식의 DC/DC 컨버터는 변압기를 사용하여 입력 및 출력 전압 차와 전기적 절연을 극복하므로, 특히 높은 출력 전압 또는 전기 안전 목적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다 안전한 전기 절연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 사이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하지만, 절연 거리가 길어질수록 변압기의 구조가 복잡해져 스위칭 전원 변환기의 크기 최소화가 어려워진다.In addition, switching DC / DC converters use transformers to overcome input and output voltage differences and electrical isolation, requiring safer electrical isolation, especially when high output voltages or electrical safety objectives are required. In order to satisfy this requirement,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must be maintained. However, the longer the insulation distance, the more complicated the structure of the transformer becomes, and it becomes difficult to minimize the size of the switching power converter.

따라서, 권선형의 변압기 적용으로 인해서 소자 특성의 오차, 동작 특성의 편차, 양산 제작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발열문제에 의한 방열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DC-DC 컨버터의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winding-type transformer,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ology of a DC-DC converter that can solve the heat dissipation problem due to the heat generation problem as well as the error of the device characteristics, the deviation of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the mass production.

이에 관련하여, 발명의 명칭이 "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 갖는 구동 장치 "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8973호가 존재한다.In this regard, there is a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8973 named "DC / DC converter and a driv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변압기의 절연 전압을 높이고, 소형화가 가능한 박형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in DC-DC converter capable of increasing the insulation voltage of the transformer and miniaturiz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 DC-DC 컨버터는 입력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 1차측 권선이 형성된 다층 PCB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압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는 1차측 변압기, 2차측 권선이 형성된 다층 PCB로 구성되며, 상기 1차측 변압기에서 발생된 자계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출력하는 2차측 변압기, 상기 2차측 변압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2차측 무선 제어부, 상기 2차측 무선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출력 전압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출력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부에 전송하여 상기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1차측 무선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 1차측 변압기 및 1차측 무선 제어부는 1차측 PCB상에 구현되고, 상기 2차측 변압기, 정류부 및 2차측 무선 제어부는 2차측 PCB상에 구현되며, 상기 1차측 PCB와 상기 2차측 PCB 사이에는 절연층이 삽입될 수 있다. The thin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composed of a switch unit for switching the input voltage, a multilayer PCB with a primary winding is formed, the magnetic field by the voltage input from the switch unit It consists of a primary side transformer for generating a multi-layer PCB, the secondary side winding is forme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for outputting the voltage induc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the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The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detects an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and transmit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the output voltage transmitted from the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And a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switch unit to adjust the output voltage. The transformer and the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are implemented on the primary side PCB,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rectifying unit and the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are implemented on the secondary side PCB, and an insulating layer is inserted between the primary side PCB and the secondary side PCB. Can be.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측 변압기는 상기 1차측 권선이 패턴으로 형성된 1차측 다층 PCB, 상기 1차측 다층 PCB의 가장 자리를 둘러싸는 1차측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변압기는 상기 2차측 권선이 패턴으로 형성된 2차측 다층 PCB, 상기 2차측 다층 PCB의 가장 자리를 둘러싸는 2차측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includes a primary side multilayer PCB in which the primary side winding is formed in a pattern, and a primary side core surrounding an edge of the primary side multilayer PCB, wherein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includes: It may include a secondary side multilayer PCB formed in a pattern, the secondary side cor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econdary side multilayer PCB.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측 무선 제어부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분배모듈, 상기 전압 분배모듈에서 검출된 출력 전압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른 차이를 PWM 신호로 출력하는 전압 변환 모듈,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서 출력된 PWM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상기 1차측 무선 제어부로 전송하는 2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ary-side wireless control unit compares the output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distribution module and the output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distribution module with the preset reference voltage,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s a PWM signal It may include a voltage conversion module for outputting, the second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PWM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version module to the primary wireless control unit 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측 무선 제어부는, 상기 2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된 PWM 신호를 수신하는 1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상기 1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PWM 신호를 증폭하는 PWM 증폭모듈, 상기 PWM 증폭모듈에서 증폭된 PWM 신호를 필터링하여 아날로그의 제어 전압으로 변환하는 PWM 신호 필터모듈, 상기 PWM 신호 필터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전압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주파수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PFM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rimary wireless control unit, the prim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PW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WM for amplifying the PWM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rim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 amplification module, a PWM signal filter module for filtering the PWM signal amplified by the PWM amplification module and converting it into an analog control voltage, and changing a frequency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ontrol voltage provided from the PWM signal filter module, It may include a PFM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층은 상기 1차측 변압기와 2차측 변압기 사이에 위치하여, 1차측 변압기와 2차측 변압기의 절연 및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sulating layer may be located between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to transf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insulation and the inside of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형 DC-DC 컨버터는 상기 스위치부와 1차측 변압기 사이에 입력 임피던스 매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thin DC-DC convert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mpedance matching unit between the switch unit and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형 DC-DC 컨버터는 상기 2차측 변압기와 상기 정류부 사이에 출력 임피던스 매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thin DC-DC converter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impedance matching unit between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and the rectifi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형 DC-DC 컨버터는 상기 1차측 무선 제어부 또는 2차측 무선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박형 DC-DC 컨버터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thin DC-DC converter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or the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real time monitoring of the thin DC-DC converter. .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를 다층 PCB로 구성함으로써, 적은 누설 인덕턴스, 우수한 열적 특성, 최소의 표피효과, 고전력밀도, 낮은 기생 리액턴스, 경량, 낮은 높이(Low profile) 등의 여러 장점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transformer as a multilayer PCB, it can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low leakage inductance, excellent thermal properties, minimum skin effect, high power density, low parasitic reactance, light weight, low profile.

또한, 다층 PCB 변압기에 PCB타입의 권선을 사용함으로써, 변압기 및 인덕터의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 가격과 시간이 절약되며, 주어진 도체 무게에 대해 최대 전류밀도와 효율을 얻을 수 있고, 기생적인 요소의 영향이 감소되어 출력전압에서의 고주파 ringing이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 of PCB-type windings in multi-layer PCB transformers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nsformers and inductors, saves manufacturing cost and time, achieves maximum current density and efficiency for a given conductor weight, and eliminates parasitic factors. The effect is reduced to minimize high frequency ringing at the output voltage.

또한, 다층 PCB에 절연층(세라믹층)을 삽입함으로써,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간의 절연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어, 발열문제에 의한 방열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inserting an insulating layer (ceramic layer) in the multilayer PCB, the insulation effect betwee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can be increased, and heat generated inside can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ereby eliminating the heat dissipation problem caused by heat generation problems. can do.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로 구현된 변압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1차측 무선 제어부와 2차측 무선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에서 사용하는 소자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제어부를 제외한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컨버터의 전력 손실 분석을 위한 주요 소자의 도통 저항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WTP(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verter의 출력 전력 상태에 따른 이론적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WTP Converter의 출력 전력 상태에 따른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출력 및 고출력에서의 시뮬레이션 컨버터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n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thin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 transformer implemented with a multilayer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and a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in a thin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vice used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of a DC-DC converter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controlle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conduction resistance of main elements for power loss analysis of the converter illustrated in FIG. 6.
8 is a graph showing the theoretic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state of the WTP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verter.
9 is a graph showing the loss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state of the WTP converter.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ng waveforms of a simulation converter at low power and high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PCB로 구현된 변압기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1차측 무선 제어부와 2차측 무선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에서 사용하는 소자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n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thin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transformer implemented with a multilayer PCB according to an example,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and a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in a thin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vice used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Low-profile)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스위치부(110), 변압기(120), 정류부(130), 2차측 무선제어부(160), 1차측 무선제어부(170), 절연층(180)을 포함한다. 또한,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스위치부(110)와 변압기(120) 사이에 입력 임피던스 정합부(140), 변압기(120)와 정류부(130) 사이에 출력 임피던스 정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low-profile DC-DC converter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unit 110, a transformer 120, a rectifier 130, and a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ler 160. ), The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170, and the insulating layer 180. In addition, the thin DC-DC converter 100 includes an input impedance matching unit 140 between the switch unit 110 and the transformer 120, and an output impedance matching unit 150 between the transformer 120 and the rectifying unit 130. It may further include.

이러한 구성의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상에 구현된다. 즉, 1차측 PCB에는 스위치부(110), 1차측 변압기(120a)), 입력 임피던스 매칭부(140), 1차측 무선 제어부(170)가 구현되고, 2차측 PCB에는 2차측 변압기(120b), 출력 임피던스 매칭부(150), 2차측 무선 제어부(160)가 구현되며, 1차측 PCB와 2차측 PCB 사이에는 절연층(180)이 삽입된다.The thin DC-DC converter of this configuration is implemented on the PCB as shown in FIG. That is, a switch unit 110, a primary side transformer 120a), an input impedance matching unit 140, and a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170 are implemented in the primary side PCB,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120b is implemented in the secondary side PCB. The output impedance matching unit 150 and the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160 are implemented, and an insulating layer 180 is inserted between the primary side PCB and the secondary side PCB.

스위치부(110)는 입력 전압을 스위칭한다. The switch unit 110 switches the input voltage.

스위치부(110)는 2개의 스위치(Q1, Q2)를 갖는 하프 브리지(half bridge)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2개의 스위치는 1차측 무선 제어부(170)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스위칭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즉, 스위치부(100)의 2개의 스위치(Q1, Q2)는 1차측 무선 제어부(17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교대로 턴온(Turn on)/턴오프(Turn)되어 변압기(120)의 1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하프 브리지(half bridge)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스위치 구조이므로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witch unit 110 may be configured as a half bridge structure having two switches Q 1 and Q 2 , and the two switches may be switched on and under the switching control of the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170. Can be turned off. That is, the two switches Q 1 and Q 2 of the switch unit 100 are alternately turned on / turned off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170 to convert a transformer ( The voltage applied to the primary winding of 120 is controlled. Since the half bridge is generally a well-known switch structu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omitted.

변압기(120)는 1차측 PCB 상에 1차측 권선이 다층 PCB로 형성된 1차측 변압기(120a), 2차측 PCB 상에 2차측 권선이 다층 PCB로 형성된 2차측 변압기(120b)를 포함하고, 스위치부(110)로부터 1차측 권선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2차측 권선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변압기(120)는 1차측 권선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1차측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변환하여 2차측 권선을 통해 출력한다. 다층 PCB 변압기 내부는 일반적인 권선을 PCB로 대신하고, 각 한층이 권선 1턴을 의미한다. The transformer 120 includes a primary side transformer 120a having a primary winding formed of a multilayer PCB on a primary side PCB, a secondary side transformer 120b having a secondary winding formed of a multilayer PCB on a secondary side PCB, and a switch unit. The voltage input from the 110 through the primary winding is output through the secondary winding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At this time, the transformer 120 converts the voltage input through the primary side winding according to the turns ratio of the primary side winding and outputs it through the secondary side winding. Inside a multilayer PCB transformer, the common winding is replaced by a PCB, with each layer representing one turn of the winding.

변압기(120)는 다층 PCB로 구성함으로써, 적은 누설 인덕턴스, 우수한 열적 특성, 최소의 표피효과, 고전력밀도, 낮은 기생 리액턴스, 경량, 낮은 높이(Low profile)등의 여러 장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층 PCB 변압기에 사용된 PCB타입의 권선은 주어진 도체 무게에 대해 최대 전류밀도와 효율을 얻을 수 있게 최적화된다. 또한 기생적인 요소의 영향이 감소되어 출력전압에서의 고주파 ringing이 최소화 된다.The transformer 120 is made of a multi-layer PCB, thereby having several advantages such as low leakage inductance, excellent thermal properties, minimal skin effect, high power density, low parasitic reactance, light weight, low profile. In addition, PCB-type windings used in multilayer PCB transformers are optimized to achieve maximum current density and efficiency for a given conductor weight. In addition, the effects of parasitic elements are reduced, minimizing high frequency ringing at the output voltage.

이러한 변압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변압기(120a)와 2차측 변압기(120b)를 포함하고, 1차측 변압기(120a)는 1차측 코어(121a), 1차측 다층 PCB(122)를 포함하고, 2차측 변압기(120b)는 2차측 코어(121b), 2차측 다층 PCB(123)를 포함한다.The transformer 120 includes a primary side transformer 120a and a secondary side transformer 120b as shown in FIG. 2, and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120a includes a primary side core 121a and a primary side multilayer PCB 122. ),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120b includes a secondary side core 121b and a secondary side multilayer PCB 123.

1차측 코어(121a)는 1차측 다층 PCB(122)의 가장 자리를 둘러싸고, 2차측 코어(121b)는 2차측 다층 PCB(123)의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이러한 1차측 코어(121a) 및 2차측 코어(121b)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평면(E-plane) 코어일 수 있다.The primary side core 121a surrounds the edge of the primary side multilayer PCB 122 and the secondary side core 121b surrounds the edge of the secondary side multilayer PCB 123. The primary core 121a and the secondary core 121b may be, for example, an E-plane core as shown in FIG. 3.

변압기(120)의 1차측 코어(121a) 및 2차측 코어(121b)는 수직으로 유지하고, 뛰어난 전기적 절연 특성을 갖는 절연층(180)에 직접 고정시킨다.The primary core 121a and the secondary core 121b of the transformer 120 are vertically held and directly fixed to the insulating layer 180 having excellent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ies.

1차측 다층 PCB(122)는 1차측 권선이 패턴으로 형성되고, 스위치부(110)와 연결된다. 따라서, 1차측 다층 PCB(122)는 스위치부(110)로부터 스위칭된 전압을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전압으로 유기되어 시간에 따라 자속을 변화시킨다.The primary side multilayer PCB 122 has a primary winding formed in a pattern and is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110. Accordingly, the primary side multilayer PCB 122 receives the switched voltage from the switch unit 110, is induced to the input voltage, and changes the magnetic flux with time.

2차측 다층 PCB(123)는 2차측 권선이 패턴으로 형성되고, 1차측 다층 PCB(122)에 평형하게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1차측 다층 PCB(122)로부터 제공되는 자속을 공유한다.The secondary side multilayer PCB 123 has a secondary winding formed in a pattern,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to the primary side multilayer PCB 122, and shares the magnetic flux provided from the primary side multilayer PCB 122.

1차측 다층 PCB(122)와 2차측 다층 PCB(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복수의 PCB로 구성되고, 각 PCB는 전도층을 형성할 수 있다. The primary multilayer PCB 122 and the secondary multilayer PCB 123 are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PCBs as shown in FIG. 3, and each PCB may form a conductive layer.

상술한 구성을 갖는 1차측 변압기(120a)와 2차측 변압기(120b) 사이에는 절연층(180)이 위치하여 1차측 변압기(120a)와 2차측 변압기(120b) 간의 절연을 구현한다. 이때, 절연층(180)은 예컨대, 세라믹으로 구현된 세라믹층일 수 있다. An insulating layer 180 is positioned between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120a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120b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o implement insulation between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120a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120b. In this case, the insulating layer 180 may be, for example, a ceramic layer made of ceramic.

이에, 1차측 변압기(120a)와 2차측 변압기(120b)는 절연층(180)을 중심으로 상하로 분리되어 있어, 전기적 절연 특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180)은 PCB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직류-직류 변환기(100)는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및 2차 변압기(120a, 120b)의 권선 및 코어는 절연층(180)에 접촉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절연층(180)이 히트파이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변압기(120) 코어(12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코어(121)의 소형화가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120a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120b are separated up and down around the insulating layer 180, the electrical insulation characteristics may be increased. Since the insulating layer 180 is formed in a PCB state, the DC-DC converter 100 may be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In addition, the windings and the core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transformers 120a and 120b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layer 180 to transfer heat generated therein to the outside. That is, the insulating layer 180 serves as a heat pipe. Through this, since heat generated in the core 121 of the transformer 120 may be reduced, the core 121 may be miniaturized.

이처럼 변압기(120)는 1차측 변압기(120a)와 2차측 변압기(120b) 사이에 절연층(180)을 삽입하여 완벽한 절연 및 물리적 분리를 이루어 무선 전력 전송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1차측 변압기(120a)와 2차측 변압기(120b)의 사이에 절연층(180)을 구성하면 전원장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게 되어 하나의 히트 파이프 역할까지 갖게된다.As such, the transformer 120 inserts an insulating layer 180 between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120a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120b to achieve complete insulation and physical separation to achie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addition, if the insulating layer 180 is formed between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120a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120b, the heat generated when the power supply is driven is effectively discharged and thus serves as one heat pipe.

또한 절연층(180)의 두께를 조정하여 무선 전력 전송용 공진 네트워크의 인덕턴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180)의 두께는 예컨대, 최저 0.2T에서 최대 1.0T 까지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uctance of the resonance network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180.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180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from a minimum of 0.2T to a maximum of 1.0T.

스위치부(110)의 제1 및 제2 스위치(Q1, Q2)가 제어된 주파수 및 듀티 비로 동작하여 공진 펄스 전압이 생성되고, 그 공진 펄스 전압은 1차측 권선에 입력되어 권선비와 결합 계수에 따라 일정량의 전압이 2차측 권선에 전달된다. 그러면, 변압기(120)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 사이의 공진현상을 이용하여 전압(전력)을 전송한다. 즉, 변압기(120)는 자기공진 방식으로 무선전력을 전송한다.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Q 1 and Q 2 of the switch unit 110 operate at a controlled frequency and duty ratio to generate a resonant pulse voltage, and the resonant pulse voltage is input to the primary winding to form a turns ratio and a coupling coefficient. As a result, a certain amount of voltage is delivered to the secondary winding. Then, the transformer 120 transmits a voltage (power) by using a resonance phenomenon between the primary winding and the secondary winding. That is, the transformer 120 transmits wireless power in a magnetic resonance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이 변압기(120)는 1차측 변압기(120a)와 2차측 변압기(120b) 사이에 절연층(180)을 삽입함으로써, 효율을 높이고 프로토 타입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변압기(120)의 권선을 PCB 패턴으로 설계함으로써,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former 120 may increase the efficiency and lower the prototype height by inserting the insulating layer 180 between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120a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120b. In addition, by designing the winding of the transformer 120 in a PCB patter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eight.

변압기(120)는 납작한 PCB 형태(flat PCB type)의 층으로 구성함으로써 적은 누설 인덕턴스, 우수한 열적 특성, 최소의 표피효과, 고전력밀도, 낮은 기생 리액턴스, 경량, 낮은 높이(Low profile)등의 여러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다층 PCB 변압기에 사용된 PCB타입의 권선은 주어진 도체 무게에 대해 최대 전류밀도와 효율을 얻을 수 있게 최적화된다. 또한 기생적인 요소의 영향이 감소되어 출력전압에서의 고주파 ringing이 최소화 된다.The transformer 120 is composed of flat PCB type layers, such as low leakage inductance, excellent thermal characteristics, minimal skin effect, high power density, low parasitic reactance, light weight and low profile. May have PCB-type windings used in multilayer PCB transformers are optimized to achieve maximum current density and efficiency for a given conductor weight. In addition, the effects of parasitic elements are reduced, minimizing high frequency ringing at the output voltage.

PCB 변압기(120)는 권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변압기 및 인덕터의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며 제조 가격과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높은 스위칭 주파수에서 모든 종류의 전원장치 토플러지에 사용되게 설계된다. 오랜 동작 시간동안 높은 신뢰성과 일정동작을 보장하며 높은 전력밀도를 얻을 수 있고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Since the PCB transformer 120 does not use winding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ransformer and the inductor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are saved. It is also designed to be used for all types of power supply topologies at high switching frequencies. It guarantees high reliability and constant operation for a long time, and can get high power density, and can be made smaller and lighter.

정류부(130)는 변압기(120)의 2차측 권선으로부터의 변압된 전압을 정류한다. 즉, 정류부(130)는 변압기(120)의 2차측 권선에 접속되며, 1차측 권선의 권선비에 따른 유도전압을 인가받아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The rectifier 130 rectifies the transformed voltage from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120. That is, the rectifi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120 and may output a DC voltage by receiving an induced voltage according to the winding ratio of the primary winding.

이러한, 정류부(130)는 4개의 다이오드(D1, D2, D3, D4)와 커패시터(Capacitor)를 이용하여 변압기(120)로부터 제공받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을 생성한다. 즉, 정류부(130)는 변압기(120)의 2차 권선로부터 제공받은 전압을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정류한다. 이후, 정류부(130)는 커패시터를 통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여 직류 전압을 생성한다. 여기서, 다이오드는 순방향 전류 능력과 역방향 전압에 견딜수 있어야 하며, 커패시터는 고주파 잡음 제거를 수행한다.The rectifier 130 generates a DC voltage using energy provided from the transformer 120 using four diodes D 1 , D 2 , D 3 , and D 4 and a capacitor. That is, the rectifier 130 rectifies the voltage provided from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120 by using a diode. Thereafter, the rectifier 130 smoothes the voltage rectified through the capacitor to generate a DC voltage. Here, the diode must be able to withstand forward current capability and reverse voltage, and the capacitor performs high frequency noise cancellation.

즉, 정류부(130)는 변압기(120)로부터 전송된 고주파 펄스를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전파 정류회로로 구성이 가능하다. That is, the rectifier 130 rectifies the high frequency pulse transmitted from the transformer 120 and converts it into a DC voltage. For example, the rectifier 130 may be configured as a full-wave rectifier circuit.

상술한 바와 같이, 변압기(120)의 1차측 권선에 인가된 전원은 자계(magnetic field)를 발생시키고, 이 자계는 변압기(120)의 2차측 권선에 기전력을 유도한다. 변압기(120) 2차측 권선에 유도된 기전력은 다이오드와 캐패시터로 구성된 정류부(130)에 의해 직류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applied to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120 generates a magnetic field, which induces electromotive force on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120. The electromotive force induced in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120 is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by the rectifier 130 composed of a diode and a capacitor and output.

이때, 변압기(120)는 1차측과 2차측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1차측과 2차측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1차측과 2차측의 전력 전달은 1차 측에서 발생한 자속이 매개가 되며, 분리된 변압기(120)가 가까울수록 전력 전달 효율과 결합율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변압기(120)는 무접촉 충전기 등, 전기적 접촉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전달시켜야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nsformer 120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so that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can be separated as necessary. In this case, the power transfer betwee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is mediated by the magnetic flux generated at the primary side, and the closer the separated transformer 120 is, the higher the power transfer efficiency and the coupling ratio are. Such a transformer 120 may be used where it is necessary to transfer energy efficiently without using electrical contact such as a contactless charger.

입력 임피던스 매칭부(140)는 공진 소자로 구성되고, 변압기(120)의 전류 파형을 안정화된 정현파가 되도록 한다. The input impedance matching unit 140 is composed of a resonant element and makes the current waveform of the transformer 120 a stabilized sinusoidal wave.

출력 임피던스 매칭부(150)는 변압기 2차측 권선의 출력 파형이 안정화된 정현파가 되도록 한다.The output impedance matching unit 150 allows the output waveform of the transformer secondary winding to be a stabilized sinusoidal wave.

한편, 본 발명은 전력변환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력 손실로 인한 발열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선전력전송용 변압기 사이에 세라믹 또는 절연과 방열을 해결하는 절연층(180)이 구비된다. 변압기(120)의 1차측과 2차측은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지만, 그 사이에 구비된 절연층(180)으로 인해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전용의 무선 통신용 소자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의 피드백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신호전달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별도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설치가 필요 없고, 외부의 무선 간섭 영향도 적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solv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power loss generated during the power conversion process is provided with an insulating layer 180 to solve the ceramic or insulation and heat dissipation between the transform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lthough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120 are in a very close positio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is not technically easy due to the insulating layer 180 provided therebetween. Thus,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ignal for feedback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Bluetooth, Wi-Fi, and the like. In this case, since the signal transmission distance is clos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n antenna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influence of external radio interference is small.

즉, 본 발명에 따른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출력 전압의 피드백 제어를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2차측 무선 제어부(160)와 1차측 무선 제어부(170)를 포함한다.That is, the thin DC-DC conver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160 and a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17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feedback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2차측 무선 제어부(160)는 2차측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63)이 구비되며, 정류부(130)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2차측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62)을 통해 1차측 무선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The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160 includes a secondary sid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3 and detects an output voltage of the rectifying unit 130 to the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secondary sid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2. send.

이러한 2차측 무선 제어부(160)는 전압 분배모듈(161), 전압변환모듈(162), 2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63)을 포함한다.The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160 includes a voltage distribution module 161, a voltage conversion module 162, and a secondary sid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3.

전압 분배모듈(161)은 정류부(130)의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전압변환모듈(162)로 전송한다. 즉, 전압 분배모듈(16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R1) 및 저항(R2)을 구비하고, 두개의 저항(R1, R2)을 이용해서 정류부(13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서 기설정된 비율의 전압을 분배해서 전압변환모듈(162)로 전송한다. 이때, 전압 분배모듈(161)에서 출력된 전압은 아날로그 전압값일 수 있다. 도 4에는 전압 분배모듈(161)을 두개의 저항(R1, R2)으로 구성하였으나, 저항 조건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The voltage distribution module 161 measures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130 and transmits it to the voltage conversion module 162. That is, the voltage distribution module 161 is provided with a resistor (R1) and a resistor (R2)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as shown in Figure 4, by using two resistors (R1, R2) The voltage of the predetermined ratio is distributed from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ctifier 130 and transmitted to the voltage conversion module 162. In this case, the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distribution module 161 may be an analog voltage value. In FIG. 4, the voltage distribution module 161 is composed of two resistors R1 and R2, but resistance conditions may be variously configured.

전압 변환 모듈(162)는 전압 분배 모듈(161)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출력 전압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른 차이를 PWM 신호로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 변환 모듈(162)는 예컨대, LMZ21700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The voltage conversion module 162 compares the analog output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distribution module 161 with a preset reference voltage, and output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s a PWM signal. Here, the voltage conversion module 162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n LMZ21700 device.

2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63)은 전압 변환 모듈(162)에서 출력된 PWM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1차측 무선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때, 2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63)은 예컨대, 블루투스, 와이파이, ESP32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3 transmits the PWM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version module 162 to the primary wireless controller 17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t this time, the second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3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Bluetooth, Wi-Fi, ESP32.

1차측 무선 제어부(170)는 1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71)이 구비되며, 2차측 무선 제어부(160)로부터 전송된 PWM 신호를 1차측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71)을 통해 수신하고, 출력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제어신호를 스위치부(110)에 전송하여 출력전압을 조절한다.The primary wireless controller 170 is provided with a prim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receives the PW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ary wireless control unit 160 through the prim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and outputs an output voltage.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trol unit 110 transmits the output voltage.

이러한 1차측 무선 제어부(170)는 1차측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71), PWM(Pulse Width Modulator) 증폭모듈(172), PWM 신호 필터모듈(173),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모듈(174), 스위치 절연 구동모듈(175)을 포함한다.The primary wireless controller 170 may include a prim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a pulse width modulator (PWM) amplification module 172, a PWM signal filter module 173, and a 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control module 174. And a switch insulation driving module 175.

1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71)은 2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63)을 통해 전송된 PWM 신호를 수신하여 PWM 증폭모듈(172)로 전송한다. 이때, 1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71)은 예컨대, 블루투스, 와이파이, ESP32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rim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receives the PWM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3 and transmits the PWM signal to the PWM amplification module 172. At this time, the prim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Bluetooth, Wi-Fi, ESP32.

PWM 증폭모듈(172)은 1차측 근거리 통신모듈(171)을 통해 수신한 PWM 신호를 증폭한다. 이때, PWM 증폭모듈(172)은 예컨대,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WM amplification module 172 amplifies the PWM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rimary sid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71. In this case, the PWM amplification module 172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 transistor.

PWM 신호 필터모듈(173)은 PWM 증폭모듈(172)에서 증폭된 PWM 신호를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아날로그 신호는 제어전압일 수 있고, PWM 신호 필터모듈(173)은 예컨대, LPF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WM signal filter module 173 filters and converts the PWM signal amplified by the PWM amplification module 172 into an analog signal. Here, the analog signal may be a control voltage, and the PWM signal filter module 173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LPF.

PFM 제어모듈(174)은 PWM 신호 필터모듈(173)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전압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를 변경하고, 변경한 주파수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PFM 제어모듈(174)은 스위치부(110)의 스위칭 주파수를 변동시켜서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PFM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PFM 제어모듈(174)은 PWM 신호 필터모듈(173)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전압에 따라 출력전압이 기준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스위치 절연 구동부(175)로 하여금 스위치부(110)를 제어하도록 한다. 즉, PFM 제어모듈(174)은 출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은 경우 스위치부(110)를 동작시키고, 출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 스위치부(110)를 동작시키지 않음으로써, 출력전압을 기준전압으로 유지시킨다. 이때, 스위치부(110)가 동작하는 구간이 버스트(Burst) 구간이 되고, 스위치부(110)가 동작하지 않는 구간이 아이들(Idle) 구간이 된다. 따라서, PFM 모드는 크게 버스트 구간과 아이들 구간으로 나누어지게 된다.The PFM control module 174 changes the frequency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ontrol voltage provided from the PWM signal filter module 173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d frequency. That is, the PFM control module 174 uses the PFM method to control the output voltage by varying the switching frequency of the switch unit 110. Accordingly, the PFM control module 174 causes the switch isolation driver 175 to control the switch 110 so that the output voltage is maintained at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the control voltage provided from the PWM signal filter module 173. . That is, the PFM control module 174 operates the switch unit 110 when the out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and does not operate the switch unit 110 when the out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Keep it. In this case, a section in which the switch unit 110 operates becomes a burst section, and a section in which the switch unit 110 does not operate becomes an idle section. Therefore, the PFM mode is largely divided into a burst section and an idle section.

이러한 PFM 제어모듈(174)은 예컨대, NCP1395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FM control module 174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n NCP1395 device.

스위치 절연 구동부(175)는 PFM 제어모듈(174)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스위치부(110)의 제어 단자로 출력한다. 그러면, 스위치부(110)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switch insulation driver 175 outputs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FM control module 174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witch unit 110. Then, the switch 110 performs an on / off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는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1차측 또는 2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63, 171)을 도 5와 같은 ESP32 소자로 구현된 경우, ESP32의 내부 기능 중에서 외부와 유선 통신이 가능한 I2C, CAN, 이더넷 등의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으므로, 전원장치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ESP32 소자는 한 개의 소자에서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듀얼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소형화가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동작 온도 범위도 넓어서 신뢰성이 높다. On the other hand, the thin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190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enable real-time monitoring of the thin DC-DC converter. For example, when the primary side or secondary sid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3, 171) is implemented with the ESP32 element as shown in Figure 5, the internal function of the ESP32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I2C, CAN, Ethernet, etc. that can be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refore, real time monitoring necessary for maintenance of power supply is possible. The ESP32 device i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Wi-Fi in one device, and can be miniaturized by incorporating dual microprocessor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측 및 2차측 무선 제어부를 제외한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컨버터의 전력 손실 분석을 위한 주요 소자의 도통 저항을 나타낸 회로도, 도 8은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력 상태에 따른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박형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력 상태에 따른 이론적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6 is a circuit diagram of a DC-DC converter exclud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wireless controller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conduction resistance of main elements for power loss analysis of the converter illustrated in FIG. 6. 8 is a graph showing the loss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state of the thin DC-DC converter, 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theoretic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state of the thin DC-DC converter.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Low-profile DC-DC Converter를 설계함에 있어서 반도체 부품의 최적 설계 및 전원장치의 전력손실 파악이 중요하다. 이에 도 6과 같은 DC-DC Converter의 각각의 소자의 on저항과 소자에 흐르는 RMS 전류를 이용하여 DC-DC 컨버터에서 손실되는 전력 PL을 도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DC-DC Converter의 회로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DC-DC 컨버터에서 손실되는 전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In designing a low-profile DC-DC convert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design the optimal semiconductor components and to understand the power loss of the power supply. Accordingly, the power P L lost in the DC-DC converter may be derived using the on resistance of each device of the DC-DC converter as shown in FIG. 6 and the RMS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evice. Since the circuit of the DC-DC converter shown in FIG. 6 is a general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power lost in the DC-DC converter will be described.

스위치부의 제1 스위치(S1)에 흐르는 RMS 전류(IS1 rms)는 아래 수학식 1과 같고, 제2 스위치(S2)에 흐르는 RMS 전류(IS2 rms)는 아래 수학식 2와 같다.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는 출력전류(Io), 트랜스포머의 Turns ratio, LM 공진 주파수(fR)에 따라 결정된다.RMS current I S1 flowing through the first switch S1 of the switch unit rms is equal to Equation 1 below, and the RMS current I S2 flowing through the second switch S2. rms ) is shown in Equation 2 below.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 is determined by the output current (Io), the transformer's turns ratio, and the L M resonant frequency (f R ).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변압기의 1차측 공진 인덕터(LR)에 흐르는 RMS 전류(ILR rms)는 아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고, 자기 인덕터(LM)에 흐르는 RMS 전류(ILM rms)는 아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RMS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former's primary resonant inductor (L R ) (I LR) rms )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3 below, and the RMS current I LM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inductor L M rms )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4 below.

[수학식 3][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4][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따라서 변압기의 1차측에 흐르는 전류 실효값(IP rms)은 아래 기재된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urrent effective value I P rms flowing in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5 described below.

[수학식 5][Equation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그리고 2차측의 각 정류 다이오드에 흐르는 실효 전류값(ID1 rms)는 아래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고, 컨버터에서 사용한 정류 다이오드의 전력 손실은 다이오드에 흐르는 실효 전류값과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VF)에 의해 결정된다.The effective current value (I D1 rms ) flowing through each rectifier diode of the secondary side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6 below, and the power loss of the rectifier diode used in the converter is the effectiv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diode and the forward voltage of the diode. Is determined by (V F ).

[수학식 6][Equation 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이렇게 WTP(Wireless Power Transmission)를 위한 Low-profile DC-DC Converter에 흐르는 RMS 전류를 수학식으로써 정리하여 각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도 손실을 구할 수 있는데, 그 수식은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의 기본 전력 수식에 대입하여 알 수 있다.In this way, the RMS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ow-profile DC-DC converter for WTP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an be summarized as a mathematical formula to calculate the conduction loss occurring in each device.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This can be found by substituting the basic power equation for.

도 7은 WPT Converter 회로 구성소자들의 주요 저항 값을 나타낸다. 각 주요 소자에 흐르는 실효 전류값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으므로, Low-profile DC-DC Converter의 전력손실에 대한 이론적 값을 도출할 수 있다. 7 shows the main resistance values of the WPT Converter circuit components. Since the effectiv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each major element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s 1 to 6, the theoretical value for power loss of the low-profile DC-DC converter can be deri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입출력 특성 및 주요 소자의 사양은 표 1과 같다. The input and output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main elements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1.

[표 1]TABLE 1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표 1에서의 실제 WPT Converter의 스펙 및 사양을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에 대입하여 모듈에 흐르는 실효 전류를 구할 수 있고, 컨버터의 on 저항값을 이용하여 그 도출된 값을 아래 수학식 7 내지 9에 대입하여 WTP Converter의 효율 및 전력손실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Low-profile DC-DC Converter의 출력 전력 상태에 따른 이론적 효율 및 손실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며 그 특성은 도 8 및 도 9와 같다. The actua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odule can b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specifications and specifications of the actual WPT converter in Table 1 into Equations 1 to 6, and the derived value is obtained by using the on resistance of the converter. By substituting 9, the efficiency and power loss of the WTP converter can be obtained. And the theoretical efficiency and loss graph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state of the low-profile DC-DC converter can be drawn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s shown in Figs.

[수학식 7][Equation 7]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여기서, PIN은 입력 전력, PO은 출력 전력, PL은 손실 전력일 수 있다. Here, P IN may be input power, P O may be output power, and P L may be lost power.

[수학식 8][Equation 8]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수학식 9][Equation 9]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상술한 수학식을 이용하여 WPT Converter의 전력 손실을 분석한 결과 출력 전력 500W일 때 최대 효율 약 93%의 값이 나오며 이때 전력 손실은 35W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치를 기준으로 WPT Converter의 방열 분석과 소자 선정에 반영하여 Low-profile DC-DC Converter의 최적 설계를 이룰 수 있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wer loss of the WPT converter using the above equation, a maximum efficiency of about 93% is obtained when the output power is 500W, and power loss is generated at 35W. Based on these values, the optimal design of the low-profile DC-DC converter can be achieved by reflecting the heat radiation analysis and device selection of the WPT convert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출력 및 고출력에서의 시뮬레이션 컨버터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ng waveforms of a simulation converter at low power and high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스위치 제어 전압의 파형(VGS1, VGS2), 변압기의 1 차측의 공진 전류(iLR , iLM ), 변압기의 2 차측의 전압(VT)을 표시 하였다. (a)는 입력 전압이 약 400V이고 스위칭 주파수가 1MHz인 조건에서 동작 파형이다. 공진 전류 파형은 낮은 출력 전류에 의해 유도된 자화 인덕턴스 때문에 삼각형 모양임을 알 수 있다. (b)는 중간 출력과 400V의 입력 전압 조건에서 측정된 파형이다. (c)는 최대 출력과 400V의 입력 전압 조건에서 측정된 파형이다. 변압기의 1 차측과 2 차측의 전류 파형은 1MHz의 스위칭 주파수와 공진하기 때문에 사인파 형태임을 알 수 있다.10, the waveform (V GS1, V GS2), the resonant current (i LR, LM i) of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of the switch control voltage, and indicate the voltage (V T) of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 is an operating waveform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input voltage is about 400V and the switching frequency is 1MHz. It can be seen that the resonant current waveform is triangular because of the magnetizing inductance induced by the low output current. (b) is the waveform measured under the condition of medium output and input voltage of 400V. (c) is the waveform measured under the maximum output and 400V input voltage. The current waveforms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ides of the transformer are sinusoidal because they resonate with a switching frequency of 1 MHz.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박형(Low-profile) 직류-직류 컨버터
110 : 스위치부
120 : 변압기
130 : 정류부
140 : 입력 임피던스 정합부
150 : 출력 임피던스 정합부
160 : 2차측 무선 제어부
170 : 1차측 무선 제어부
180 : 절연층
190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00: low-profile DC-DC converter
110: switch unit
120: transformer
130: rectifier
140: input impedance matching unit
150: output impedance matching unit
160: secondary wireless control unit
170: primary wireless control unit
180: insulation layer
190: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laims (8)

입력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
1차측 권선이 형성된 다층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압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는 1차측 변압기;
2차측 권선이 형성된 다층 PCB로 구성되며, 상기 1차측 변압기에서 발생된 자계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출력하는 2차측 변압기;
상기 2차측 변압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2차측 무선 제어부; 및
상기 2차측 무선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출력 전압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출력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부에 전송하여 상기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1차측 무선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 1차측 변압기 및 1차측 무선 제어부는 1차측 PCB상에 구현되고, 상기 2차측 변압기, 정류부 및 2차측 무선 제어부는 2차측 PCB상에 구현되며, 상기 1차측 PCB와 상기 2차측 PCB 사이에는 절연층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DC-DC 컨버터.
A switch unit for switching an input voltage;
A primary side transformer formed of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PCB) having a primary winding,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by a voltage input from the switch unit;
A secondary side transformer formed of a multilayer PCB having secondary side windings and outputting a voltage induc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ary transformer;
A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which detects an output voltage of the rectifying unit and transmits the output voltage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d a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output voltage transmitted from the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to the switch unit to adjust the output voltage.
The switch unit,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and the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are implemented on the primary side PCB, and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the rectifying unit and the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are implemented on the secondary side PCB, and the primary side PCB and the secondary side PCB Thin DC-DC conver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layer is inserted 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변압기는,
상기 1차측 권선이 패턴으로 형성된 1차측 다층 PCB; 및
상기 1차측 다층 PCB의 가장 자리를 둘러싸는 1차측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2차측 변압기는,
상기 2차측 권선이 패턴으로 형성된 2차측 다층 PCB; 및
상기 2차측 다층 PCB의 가장 자리를 둘러싸는 2차측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DC-DC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mary side transformer,
A primary multilayer PCB in which the primary winding is formed in a pattern; And
A primary core surrounding an edge of the primary multilayer PCB,
The secondary side transformer,
A secondary multilayer PCB in which the secondary winding is formed in a pattern; And
And a secondary side cor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secondary side multilayer PC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무선 제어부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분배모듈;
상기 전압 분배모듈에서 검출된 출력 전압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른 차이를 PWM(Pulse Width Modulator) 신호로 출력하는 전압 변환 모듈; 및
상기 전압 변환 모듈에서 출력된 PWM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상기 1차측 무선 제어부로 전송하는 2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DC-DC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A voltage distribution module detecting an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A voltage conversion module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distribution module with a preset reference voltage and outputting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s a pulse width modulator (PWM) signal; And
And a second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PWM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version module to the primary wireless control unit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무선 제어부는,
상기 2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된 PWM 신호를 수신하는 1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상기 1차측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PWM 신호를 증폭하는 PWM 증폭모듈;
상기 PWM 증폭모듈에서 증폭된 PWM 신호를 필터링하여 아날로그의 제어 전압으로 변환하는 PWM 신호 필터모듈; 및
상기 PWM 신호 필터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전압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주파수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DC-DC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primary side wireless control unit,
A prim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PW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PWM amplification module for amplifying the PWM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rimar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PWM signal filter module for filtering the PWM signal amplified by the PWM amplification module and converting the PWM signal into an analog control voltag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FM (Pulse Frequency Modulation) control module for changing the frequency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control voltage provided from the PWM signal filter modul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d frequency to control the switch unit DC-DC conve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1차측 변압기와 2차측 변압기 사이에 위치하여, 1차측 변압기와 2차측 변압기의 절연 및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DC-DC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ulating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primary transformer and the secondary transformer, a thin DC-DC converter,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nsulation and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transformer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와 1차측 변압기 사이에 입력 임피던스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DC-DC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n DC-DC converter further comprises an input impedance matching unit between the switch unit and the primary transfor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변압기와 상기 정류부 사이에 출력 임피던스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DC-DC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n DC-DC converter further comprises an output impedance matching unit between the secondary transformer and the rectify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무선 제어부 또는 2차측 무선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박형 DC-DC 컨버터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DC-DC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primary wireless control unit or the secondary wireless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real-time monitoring of the thin DC-DC converter.
KR1020180019373A 2018-02-19 2018-02-19 Low-profile DC-DC Converter KR1020472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373A KR102047245B1 (en) 2018-02-19 2018-02-19 Low-profile DC-DC Co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373A KR102047245B1 (en) 2018-02-19 2018-02-19 Low-profile DC-DC Conve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667A true KR20190099667A (en) 2019-08-28
KR102047245B1 KR102047245B1 (en) 2019-11-21

Family

ID=6777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373A KR102047245B1 (en) 2018-02-19 2018-02-19 Low-profile DC-DC Conve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24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6042A (en) * 2004-11-02 2006-05-25 Taiyo Yuden Co Ltd Power supply circuit
WO2011154993A1 (en) * 2010-06-08 2011-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solation transformer and power source device
KR20170078034A (en) * 2015-12-29 2017-07-07 전자부품연구원 Power converter for high density pow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6042A (en) * 2004-11-02 2006-05-25 Taiyo Yuden Co Ltd Power supply circuit
WO2011154993A1 (en) * 2010-06-08 2011-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solation transformer and power source device
KR20170078034A (en) * 2015-12-29 2017-07-07 전자부품연구원 Power converter for high density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245B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824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hereof
US10325714B2 (en) Integrated magnetic component and switched mode power converter
EP1797632B1 (en) Power converter for led large area light source lamp
AU2006276331B2 (en) Resonant inverter
TWI473382B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079753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7915757B2 (en) Multi-output DC/DC converter
CN104079175B (en) New electric energy manages integrated circuit configuration
US20030095026A1 (en) Transformer
WO2014199691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KR20130132175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supplying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35528B1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laminated structure
WO2014045873A1 (en) Power receiving device and contactless power transmitting equipment
US9287794B2 (en) Resonance-type power supply apparatus
KR102047245B1 (en) Low-profile DC-DC Converter
CN218633697U (en) Circuit for zero-voltage starting of flyback power supply
KR20170078034A (en) Power converter for high density power
KR101339621B1 (en) Dc/dc converter having multi-piuput
EP4162778B1 (en) Electronic circuit with isolation
KR101394018B1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LAUDATU et al. COMPARISON OF INDUCTIVE AND CAPACITIVE COUPLINGS USED TO CLOSE THE FEEDBACK LOOP USED IN SWITCH MODE POWER SUPPLIES
JP2014150690A (en) Current resonance type switching power source
TW201737592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1454486B1 (en) Power supply having multiple outputs
CN115447409A (en) Wireless charging automobile secondary side voltage feedback system based on additional coupling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