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381A -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381A
KR20190099381A KR1020190096362A KR20190096362A KR20190099381A KR 20190099381 A KR20190099381 A KR 20190099381A KR 1020190096362 A KR1020190096362 A KR 1020190096362A KR 20190096362 A KR20190096362 A KR 20190096362A KR 20190099381 A KR20190099381 A KR 20190099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area
heating device
pow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6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9381A/ko
Publication of KR2019009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381A/ko
Priority to US16/572,452 priority patent/US1154313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Abstract

본 발명은 5G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도 동작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가열 장치 및 이러한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장치는 인공지능의 머신 러닝을 통해 훈련된 심층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 터치의 의도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는, 가열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상판,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대상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판에 표시되어 상기 가열 장치의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기 위한 입력부,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가열 장치의 온, 오프, 및 가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는 전원 터치 영역, 및 잠금 터치 영역을 포함하며, 제어부는, 전원 터치 영역이 터치되면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도록 구성되면서,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는 상황에서는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의 입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가열 장치 및 이러한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려고 하는 의도를 가진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해서만 전원이 켜지고 다른 우연한 터치의 경우에는 전원이 켜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사고 예방 가열 장치 및 이러한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열 장치는 사용자의 모니터링 없이 일정 시간 이상 가열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화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최근에는 전기 레인지와 같은 가열 장치의 조작이 터치 기반으로 변경되면서, 의도되지 않은 터치로 인한 오작동 확률이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가정에 아이나 반려 동물이 있는 경우, 아이나 반려 동물의 우연한 터치로 인해 전기 레인지의 전원이 켜지고, 가열 동작을 시작되고, 가열 동작이 방치되어 화재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90,397호는 "주방 조리기기의 안전 제어 장치 및 안전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가열기 본체 위에 CCD 카메라를 설치하여 조리되는 음식물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해석하여 음식이 끓어 넘치려고 하면 가열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된 문헌에서 개시된 기술을 구현하려면 가열기를 위에서부터 바라볼 수 있도록 별도의 CCD 카메라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프로세싱 리소스가 필요하다. 또한, 상술된 문헌의 기술은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오동작 자체를 방지하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미국공개특허공보 제8,723,085호는 "전기적 요리 기구를 위한 온도 제어/제한 가열 엘리먼트"에 대한 발명으로서, 온도 제한 스위치를 이용하여 일정 이상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된 문헌에서 개시된 기술에서는 과도한 가열로 인한 안전 사고는 예방할 수 있지만 잘못된 조작으로 인한 오동작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예방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위와 같은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에 대해서는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가열 장치의 동작들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해결책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한편, 전술한 선행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도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지고 가열 동작이 시작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열 장치의 오작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가열 장치에 추가적인 별도 장치를 구성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는 현재 UI가 전원 온(on), 가열 레벨의 조절 및 안전을 위한 잠금 등 여러가지 단계를 거쳐서 조작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불편함과 번거러움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는 오동작 방지를 위해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며 사용하더라도 추가적인 버튼을 눌러야 하는 잠금 기능을 매 동작시 마다 기억하고 눌러야 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선택하도록 설정된 제스처가 사용자의 의도를 직관적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주요 동작인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는 동작 및 가열 레벨을 증가시키는 동작의 경우 의도적인 터치 동작이 해당 동작에 대한 지시가 되도록 매칭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터치 영역들이 함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어야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터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잠금 터치 영역으로 감싸지고,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에는 다른 터치 입력은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는, 가열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상판,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열대상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판에 표시되어 가열 장치의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기 위한 입력부,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가열 장치의 온, 오프, 및 가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는 전원 터치 영역, 및 잠금 터치 영역을 포함하며, 제어부는, 전원 터치 영역이 터치되면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도록 구성되면서,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는 상황에서는 전원 터치 영역의 입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 터치 영역은 전원 터치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원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원 터치 영역이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어야 전기 레인지의 전원을 켜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 터치 영역은 서로 분리된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되어야 전원을 켜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어부는, 제 1 터치 영역의 하부와 제 2 터치 영역의 하부가 함께 터치되면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가열 장치의 가열 레벨을 높이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는,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제 2 터치 영역만 터치된 상태에서 제 2 터치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가열 장치의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터치 영역은 원이고, 제 2 터치 영역은 잘린 부채꼴 형태로 제 1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잠금 영역은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면 가열 장치를 켜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제 2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가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가열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는,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제 2 터치 영역만 터치된 상태에서, 제 2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가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가열 장치의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은, 가열 장치의 상판에 표시되는 입력부 중 전원 터치 영역 및 잠금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지 않으면서 전원 터치 영역이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는 단계, 및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전원 터치 영역을 통한 입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전원 터치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 터치 영역은 서로 분리된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을 켜는 단계는,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터치 영역은 서로 분리된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을 켜는 단계는, 제 1 터치 영역의 하부와 제 2 터치 영역의 하부가 함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가열 장치의 가열 레벨을 높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제 2 터치 영역만 터치된 상태에서 제 2 터치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가열 장치의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 터치 영역은 서로 분리된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잠금 터치 영역은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 1 터치 영역은 원이고, 제 2 터치 영역은 잘린 부채꼴 형태로 제 1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있고, 잠금 영역은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을 켜는 단계는,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제 1 터치 영역과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제 2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가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가열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상기 제 2 터치 영역만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가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가열 장치의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가열 장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상술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된 터치와 우연한 터치에 대해 구분이 가능하게 되어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지고 가열 동작이 시작되어 발생하게 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도 의도를 가지는 사용자의 터치와 우연한 터치에 대해 구분이 가능하고 우연한 터치에 대해서는 전원이 켜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 장치의 동작을 선택하도록 설정된 제스처가 사용자의 의도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 장치의 조작에 있어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여 여러단계를 거치지 않고 한 동작으로 이어지는 터치로 전원과 가열 레벨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의도된 터치에 의한 조작을 감별하도록 하여 안전 사고 예방까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 장치의 전원과 가열 레벨을 원 터치로 이어지는 동작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별도로 잠금 기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잠금 효과가 나올 수 있게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인터페이스 관련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전원 켜짐 동작 및 가열 레벨 증가 동작을 위한 터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가열 동작 시간 증가를 위한 터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잠금 모드가 별도로 설정된 가열 장치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에서 터치 제스처에 따라 동작 실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심층 신경망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는, 요리, 실험, 제품 제조 등 여러 목적에서 사용되는 가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전기 레인지를 예시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설치된 가정에서 인공지능 스피커(3000)와 통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5000) 및 외부 서버(7000)와 통신할 수 있다.
전기 레인지(1000)가 배치된 가정에는 5G 통신을 통해 IoT 환경이 구현되어 각종 가전 기기들 및 사용자 단말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1000)는 인공지능 스피커(3000)를 통해 음성으로 지시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을 수도 있고, 반대로 전기 레인지(1000)에서 발생하는 상태를 인공지능 스피커(3000)를 통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전기 레인지(1000)는 사용자 단말(5000)을 통해 사용자의 지시를 수신할 수도 있고, 반대로 전기 레인지(1000)에서 발생하는 상태를 사용자 단말(50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 레인지(1000)는 홈 네트워크 서버와 같은 서버(7000)와 통신하여 다른 가전 기기들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 가정의 온도, 습도, 공기 청정도, 조명 상태 등 가정 내의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전기 레인지(1000) 또한 자신의 동작 이력을 서버(7000)에게 통지하여 다른 가전 기기들 및 사용자 단말(5000)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전기 레인지(1000)는 가열 동작이 지나치게 오래 지속되어 온도가 일정 정도 이상 올라간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등의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인공지능 스피커(3000) 또는 사용자 단말(5000)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을 켜고 끄거나 가열 레벨을 증가하고 감소시키거나, 동작 타이머를 설정하는 등의 동작을 위한 제스처가 사용자 단말(5000)을 이용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00)을 통해 전기 레인지(1000)를 켜기 위한 제스처를 온(on) 버튼 2개가 함께 3초 이상 눌러지는 것으로 설정하거나, 전기 레인지(1000)의 가열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스처를 2개의 온 버튼 위로 슬라이딩 업 하는 동작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0)는 가열 대상이 되는 음식을 담은 조리 도구를 지지하기 위한 상판과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열 대상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레인지(1000)의 상판에는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되어 전기 레인지(1000)의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기 위한 입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전기 레인지의 온, 오프, 및 가열 동작에 대한 명령이 전기 레인지의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에 의해 전기 레인지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입력부에는 제 1 버튼(120) 및 제 2 버튼(130)이 배치될 수 있고, 전기 레인지(1000)는 제 1 및 제 2 버튼(120, 130) 2개가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만 전원이 켜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온 버튼이 하나만 있고, 하나의 온 버튼이 터치되면 전원이 켜지는 경우에는 반려 동물이 전기 레인지 위를 지나가면서 온 버튼을 밟거나 혀로 핥을 경우 전기 레인지가 의도치 않게 켜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입력부에는 온 버튼(120, 130)이 복수개가 있고, 복수 개의 온 버튼(120, 130)이 모두 터치되어야 전기 레인지가 켜지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한 지점에서의 터치보다는 두 지점에서의 터치가 의도성을 가지는 행위인지를 판단하는데 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상술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온 버튼이 모두 터치될때에 전기 레인지가 켜지도록 하는 구성은 의도치 않은 터치에 의한 오동작 확률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온 버튼(120, 130) 모두가 일정 시간 이상(예를 들어, 3초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되는 경우에만 전기 레인지의 전원이 켜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성이 보다 확실히 구분될 수 있다.
전원을 끌 경우의 제스처는, 제 1 버튼(120)만 터치되는 경우로 설정되어, 제 1 버튼(120)만 터치되는 경우 전기 레인지의 전원이 꺼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버튼(120) 및 제 2 버튼(130)이 위치한 영역을 전원 터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전기 레인지의 제어부는 제 1 버튼(120)과 제 2 버튼(130)에 인접한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에는 제 1 버튼(120)과 제 2 버튼(130)에서의 터치 입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우연히 제 1 버튼(120) 및 제 2 버튼(130)이 모두 터치되더라도 인접한 영역이 전혀 터치되고 있지 않아야 전원이 켜지며, 만약 인접 영역이 터치된다면 전원은 켜질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 터치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을 잠금 터치 영역이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잠금 터치 영역은 전원 터치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원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기 레인지의 제어부는 전원 터치 영역이 터치되면 전기 레인지의 전원을 켜도록 구성되면서도,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는 상황에서는 전원 터치 영역의 입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도되지 않은 터치에 의한 전기 레인지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버튼(120) 및 제 2 버튼(130)이 일정 시간 이상 함께 터치된 후, 전기 레인지의 전원이 켜지면, 사용자는 두 손가락을 슬라이딩 업하여 가열 레벨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열 레벨 표시부(140)의 숫자 중 하나에 불이 들어오면서 가열 레벨이 표시될 수 있다.
제 2 버튼(130)만 눌려진 후에 하나의 손가락이 슬라이딩 업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에는 가열 지속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이머 표시부(150)의 숫자 중 하나에 불이 들어오면서 가열 지속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화구 표시부(160)에서는 동작하고 있는 화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각 화구의 지속 시간 또는 가열 레벨은 무엇인지 표시될 수 있다.
상태 표시부(170)에서는 전기 레인지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 잠금 상태인지, 자동감지 모드가 활성화되었는지, 임시 낮춤 기능이 동작하고 있는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원 터치 영역 및 잠금 터치 영역을 가지는 터치 패널(100)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는 제 1 터치 영역(125) 및 제 2 터치 영역(135)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터치 영역(125)과 제 2 터치 영역(135)은 도 3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터치 영역(125) 및 제 2 터치 영역(135)은 서로 떨어져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격 거리는 도 5와 같이 손가락 2개로 터치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설계될 수 있다.
제 1 터치 영역(125)의 하부와 제 2 터치 영역(135)의 하부는 온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버튼(120) 및 제 2 버튼(130)으로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터치 영역(125)의 하부와 제 2 터치 영역(135)의 하부가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면 전기 레인지의 전원이 켜질 수 있다.
한편, 제 1 터치 영역(125)과 제 2 터치 영역(135)을 둘러싸는 영역은 잠금 터치 영역(110)으로서, 잠금 터치 영역(110) 중 어느 한 곳이라도 터치되면, 제 1 터치 영역(125) 및 제 2 터치 영역(135)에의 터치 입력은 모두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잠금 터치 영역(110)은 제 1 터치 영역(125) 및 제 2 터치 영역(135)을 모두 둘러싸고 있으나, 잠금 터치 영역(110)은 제 1 터치 영역(125) 및 제 2 터치 영역(135)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디자인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원을 켜려는 의도를 가진 사용자는 전원을 켜기 위해 제 1 버튼(120) 및 제 2 버튼(130)만을 터치하고, 그 주변부는 터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아이나 반려동물이 우연히 제 1 버튼(120) 및 제 2 버튼(130)을 함께 터치한다고 하더라도 인접한 잠금 터치 영역(110)을 터치하지 않아야만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이 켜지게 된다.
그러나, 의도하지 않은 터치 활동에서는 우연히 제 1 버튼(120) 및 제 2 버튼(130)이 모두 터치되더라도 잠금 터치 영역(110) 중 어느 한 부분도 터치될 확률이 높으므로, 이러한 구성은 전기 레인지(1000)의 오동작을 예방하여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인터페이스 관련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로 동작하는 전기 레인지(1000)는 메인터치 MCU(410), 메인터치 MCU(410)와 연결되는 입력 터치 Pcb(420), 잠금 터치 Pcb(430), 세그먼트들(455, 465, 475)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 세그먼트 MCU(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터치 Pcb(420)는 제 1 터치 영역(125) 및 제 2 터치 영역(135) 등과 같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잠금 터치 Pcb(430)는 잠금 터치 영역(110)과 같이 입력 터치 Pcb(42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터치 MCU(410)는 입력 터치 Pcb(420)의 터치에 따라 수행되어야 할 동작에 대해 서브 세그먼트 MCU(440)로 전달하고, 서브 세그먼트 MCU(440)는 스위치들(450, 460, 470)을 통해 세그먼트들(455, 465, 475)를 조정하여 목적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메인터치 MCU(410)는 터치 입력에 따라 전기 레인지(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 터치 Pcb(420)에서 터치 신호가 입력된다고 하더라도, 잠금 터치 Pcb(430)에서 터치 신호가 입력되고 있다면, 메인터치 MCU(410)는 입력 터치 Pcb(420)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신호를 차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전원 켜짐 동작 및 가열 레벨 증가 동작을 위한 터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 1 터치 영역(125) 및 제 2 터치 영역(135)의 하부 영역인 제 1 버튼(120) 및 제 2 버튼(130)을 함께 터치하고 일정 시간 이상 터치가 지속되면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이 켜질 수 있다.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이 켜진 후, 제 1 터치 영역(125)과 제 2 터치 영역(135)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제 1 터치 영역(125) 및 제 2 터치 영역(135)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전기 레인지(1000)의 가열 레벨을 높이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 1 터치 영역(125)과 제 2 터치 영역(135)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손가락이 슬라이딩 업 동작으로 상부로 올라갈수록 더 높은 가열 레벨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을 켜기 위해 터치한 상태에서 바로 가열 레벨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전기레인지(1000)를 제어할 수 있므며, 손사락을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가열 레벨을 올리는 동작이므로 직관적으로 전기 레인지(1000)에 지시하는 동작을 이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가열 동작 시간 증가를 위한 터치 제스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이 켜진 후, 사용자는 가열이 지속되는 시간을 설정하기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터치 영역(135)만 터치된 상태에서 제 2 터치 영역(135)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전기 레인지(1000)의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제어부가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을 켜기 위해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하나만 뗀 후, 바로 가열 지속 시간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전기레인지(1000)를 제어할 수 있므며, 손사락을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는 동작이므로 직관적으로 전기 레인지(1000)에 지시하는 동작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6과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200)의 차이는, 도 5 및 6의 실시예가 수직으로 배치된 반면 도 7의 실시예는 수평으로 배치되었다는 차이점이 있을 뿐이다.
사용자는 하단 터치 영역(220) 및 상단 터치 영역(230)의 좌측 끝을 동시에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여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을 켤 수 있고, 하단 터치 영역(220) 및 상단 터치 영역(230)을 함께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딩함으로써 가열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잠금 터치 영역(210)이 터치된다면 하단 터치 영역(220) 및 상단 터치 영역(230)의 터치를 통한 입력은 모두 차단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내측 터치 영역(330)은 원의 형태이고, 외측 터치 영역(320)은 잘린 부채꼴 형태로 내측 터치 영역(3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잠금 터치 영역(310)은 내측 터치 영역(330)과 외측 터치 영역(320) 사이에 배치되어 내측 터치 영역(3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터치 영역(330)과 외측 터치 영역(320)이 함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면 전기 레인지(1000)가 켜질 수 있다.
그러나, 잠금 터치 영역(310)이 터치되는 상태에서는 내측 터치 영역(330)과 외측 터치 영역(320)에서의 터치 입력이 차단되게 된다.
전기 레인지(1000)의 제어부는,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이 켜진 후, 내측 터치 영역(330)과 외측 터치 영역(320)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외측 터치 영역(320)에서의 터치가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가열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열 지속 시간을 설정하기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이 켜진 후, 외측 터치 영역(320)만 터치된 상태에서, 외측 터치 영역(320)에서의 터치를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전기 레인지(1000)의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잠금 모드가 별도로 설정된 가열 장치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실시예는 도 5 및 6의 터치 패널의 구성에 액티브 잠금 터치 영역(140)이 추가로 배치된 것이다.
사용자는 전기 레인지(10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 중인 상태에서 다른 명령이 입력되지 않도록 능동적으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구성에서 사용자는 액티브 잠금 터치 영역(140)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터치함으로써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액티브 잠금 설정 이후에는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하기 전까지는 다른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새로운 명령이 전기 레인지(1000)에 입력되지 않게 된다.
잠금 해제는 액티브 잠금 터치 영역(140)을 사용자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슬라이딩 터치하는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먼저 전기 레인지(1000)는 전원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스템이 온(on) 되기를 대기할 수 있다(S710). 전기 레인지(1000)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면(S720), 온 버튼 2개가 모두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S725), 2개가 모두 터치되었다면, 잠금 터치 영역인 락 플레인이 터치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727). 락 플레인이 터치되고 있다면, 온 버튼의 터치는 모두 차단되고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은 켜지지 않고, 대기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온 버튼 2개가 동시에 터치되지 않았다면, 역시 대기 상태가 유지된다.
온 버튼 2개가 동시에 터치되고, 락 플레인이 터치되지 않고 있다면,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이 켜질 수 있다.
즉, 전기 레인지(1000)의 상판에 표시되는 입력부 중 전원 터치 영역 및 잠금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여,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지 않으면서 전원 터치 영역이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전기 레인지(1000)의 전원이 켜지고,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전원 터치 영역을 통한 입력이 차단되어 전원이 켜지지 않는다.
이후, 가열을 위한 전력 레벨(Power Level)에 대한 조절 대기 상태로 변환된다(S730).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S740), 전력 레벨에 대한 버튼 2개가 동시에 터치되는지가 판별되고(S745), 그렇다면 락 플레인이 터치되고 있는지 판별한 후(S747), 락 플레인이 터치되고 있지 않으면, 터치의 움직임에 따라 가열 정도를 조정하기 위해 결정된 전력 레벨을 공급하도록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다.
전력 레벨에 대한 버튼 2개가 동시에 터치되지 않는다면 시스템은 대기 상태로 유지되고, 락 플레인이 터치되고 있어도 마찬가지로 시스템은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력 레벨이 결정된 후에 추가 터치 대기 상태에서(S750),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S760), 타이머 세팅을 위한 터치가 온 되었는지 판단하고(S765), 그렇다면 락 플레인이 동시 터치되고 있는지 판단하여, 터치 동작에 따라 가열 지속 시간을 설정한다(S767).
타이머 터치가 온이 되지 않은 경우 또는 락 플레인이 터치되는 경우에는 타이머 설정이 되지 않고 대기 상태가 유지된다.
요리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사용자는 오프 버튼을 터치하고 요리는 종료된다(S78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에서 터치 제스처에 따라 동작 실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심층 신경망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기 레인지(1000)는 감지되는 터치 제스처가 실제 동작을 의도하는 것인지 아니면 우발적으로 이루어진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인공지능의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미리 훈련된 심층 신경망 모델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계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공지능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다른 분야와 직간접으로 많은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정보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적 요소를 도입하여, 그 분야의 문제 풀이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에 명시적인 프로그램 없이 배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연구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머신 러닝은,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예측을 수행하고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의 알고리즘들은 엄격하게 정해진 정적인 프로그램 명령들을 수행하는 것이라기보다,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이나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정한 모델을 구축하는 방식을 취한다.
용어 '머신 러닝'은 용어 '기계 학습'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기계 학습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를 놓고, 많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나 베이지안 망(Bayesian network), 서포트벡터머신(SVM: support vector machine), 그리고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등이 대표적이다.
의사결정나무는 의사결정규칙(Decision Rule)을 나무구조로 도표화하여 분류와 예측을 수행하는 분석방법이다.
베이지안 망은 다수의 변수들 사이의 확률적 관계(조건부독립성: conditional independence)를 그래프 구조로 표현하는 모델이다. 베이지안 망은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통한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에 적합하다.
서포트벡터머신은 패턴인식과 자료분석을 위한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의 모델이며, 주로 분류와 회귀분석을 위해 사용한다.
인공신경망은 생물학적 뉴런의 동작원리와 뉴런간의 연결 관계를 모델링한 것으로 노드(node) 또는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라고 하는 다수의 뉴런들이 레이어(layer) 구조의 형태로 연결된 정보처리 시스템이다.
인공 신경망은 기계 학습에서 사용되는 모델로써, 기계학습과 인지과학에서 생물학의 신경망(동물의 중추신경계 중 특히 뇌)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이다.
구체적으로 인공신경망은 시냅스(synapse)의 결합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인공 뉴런(노드)이 학습을 통해 시냅스의 결합 세기를 변화시켜,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는 모델 전반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인공신경망은 용어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은 복수의 레이어(layer)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뉴런(neur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은 뉴런과 뉴런을 연결하는 시냅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가지 인자, 즉 (1) 다른 레이어의 뉴런들 사이의 연결 패턴 (2) 연결의 가중치를 갱신하는 학습 과정 (3) 이전 레이어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대한 가중 합으로부터 출력값을 생성하는 활성화 함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MLP(Multilayer Perceptron),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와 같은 방식의 네트워크 모델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레이어'는 용어 '계층'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은 계층 수에 따라 단층 신경망(Single-Layer Neural Networks)과 다층 신경망(Multi-Layer Neural Networks)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단층 신경망은, 입력층과 출력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인 다층 신경망은 입력층(Input Layer)과 하나 이상의 은닉층(Hidden Layer), 출력층(Output Layer)으로 구성된다.
입력층은 외부의 자료들을 받아들이는 층으로서, 입력층의 뉴런 수는 입력되는 변수의 수와 동일하며, 은닉층은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위치하며 입력층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특성을 추출하여 출력층으로 전달한다. 출력층은 은닉층으로부터 신호를 받고, 수신한 신호에 기반한 출력 값을 출력한다. 뉴런간의 입력신호는 각각의 연결강도(가중치)와 곱해진 후 합산되며 이 합이 뉴런의 임계치보다 크면 뉴런이 활성화되어 활성화 함수를 통하여 획득한 출력값을 출력한다.
한편 입력층과 출력 층 사이에 복수의 은닉층을 포함하는 심층 신경망은, 기계 학습 기술의 한 종류인 딥 러닝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인공 신경망일 수 있다.
한편 용어 '딥 러닝'은 용어 '심층 학습'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를 이용하여 학습(training)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이란, 입력 데이터를 분류(classification)하거나 회귀분석(regression)하거나 군집화(clustering)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의 파라미터(parameter)를 결정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의 파라미터의 대표적인 예시로써, 시냅스에 부여되는 가중치(weight)나 뉴런에 적용되는 편향(bias)을 들 수 있다.
훈련 데이터에 의하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은, 입력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가 가지는 패턴에 따라 분류하거나 군집화 할 수 있다.
한편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본 명세서에서는 학습 모델(a trained model)이라 명칭 할 수 있다.
다음은 인공 신경망의 학습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공 신경망의 학습 방식은 크게, 지도 학습, 비 지도 학습, 준 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으로 분류될 수 있다.
지도 학습은 훈련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함수를 유추해내기 위한 기계 학습의 한 방법이다.
그리고 이렇게 유추되는 함수 중, 연속 적인 값을 출력하는 것을 회귀분석(Regression)이라 하고, 입력 벡터의 클래스(class)를 예측하여 출력하는 것을 분류(Classification)라고 할 수 있다.
지도 학습에서는, 훈련 데이터에 대한 레이블(label)이 주어진 상태에서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킨다.
여기서 레이블이란, 훈련 데이터가 인공 신경망에 입력되는 경우 인공 신경망이 추론해 내야 하는 정답(또는 결과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훈련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인공 신경망이 추론해 내야 하는 정답(또는 결과값)을 레이블 또는 레이블링 데이터(labeling data)이라 명칭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인공 신경망의 학습을 위하여 훈련 데이터에 레이블을 설정하는 것을, 훈련 데이터에 레이블링 데이터를 레이블링(labeling) 한다고 명칭 한다.
이 경우 훈련 데이터와 훈련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블)은 하나의 트레이닝 셋(training set)을 구성하고, 인공 신경망에는 트레이닝 셋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훈련 데이터는 복수의 특징(feature)을 나타내고, 훈련 데이터에 레이블이 레이블링 된다는 것은 훈련 데이터가 나타내는 특징에 레이블이 달린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훈련 데이터는 입력 객체의 특징을 벡터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훈련 데이터와 레이블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훈련 데이터와 레이블링 데이터의 연관 관계에 대한 함수를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공 신경망에서 유추된 함수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인공 신경망의 파라미터가 결정(최적화)될 수 있다.
비 지도 학습은 기계 학습의 일종으로, 훈련 데이터에 대한 레이블이 주어지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비 지도 학습은, 훈련 데이터 및 훈련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블의 연관 관계 보다는, 훈련 데이터 자체에서 패턴을 찾아 분류하도록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학습 방법일 수 있다.
비 지도 학습의 예로는, 군집화 또는 독립 성분 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군집화'는 용어 '클러스터링'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지도 학습을 이용하는 인공 신경망의 일례로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오토 인코더(AE: Autoencoder)를 들 수 있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이란, 생성기(generator)와 판별기(discriminator), 두 개의 서로 다른 인공지능이 경쟁하며 성능을 개선하는 머신 러닝 방법이다.
이 경우 생성기는 새로운 데이터를 창조하는 모형으로, 원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판별기는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하는 모형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원본 데이터인지 또는 생성기에서 생성한 새로운 데이터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기는 판별기를 속이지 못한 데이터를 입력 받아 학습하며, 판별기는 생성기로부터 속은 데이터를 입력 받아 학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기는 판별기를 최대한 잘 속이도록 진화할 수 있고, 판별기는 원본 데이터와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잘 구분하도록 진화할 수 있다.
오토 인코더는 입력 자체를 출력으로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신경망이다.
오토 인코더는 입력층, 적어도 하나의 은닉층 및 출력층을 포함한다.
이 경우 은닉 계층의 노드 수가 입력 계층의 노드 수보다 적으므로 데이터의 차원이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압축 또는 인코딩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은닉 계층에서 출력한 데이터는 출력 계층으로 들어간다. 이 경우 출력 계층의 노드 수는 은닉 계층의 노드 수보다 많으므로, 데이터의 차원이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압축 해제 또는 디코딩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오토 인코더는 학습을 통해 뉴런의 연결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입력 데이터가 은닉층 데이터로 표현된다. 은닉층에서는 입력층보다 적은 수의 뉴런으로 정보를 표현하는데 입력 데이터를 출력으로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은닉층이 입력 데이터로부터 숨은 패턴을 발견하여 표현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준 지도 학습은 기계 학습의 일종으로, 레이블이 주어진 훈련 데이터와 레이블이 주어지지 않은 훈련 데이터를 모두 사용하는 학습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준 지도 학습의 기법 중 하나로, 레이블이 주어지지 않은 훈련 데이터의 레이블을 추론한 후 추론된 라벨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기법이 있으며, 이러한 기법은 레이블링에 소요되는 비용이 큰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강화 학습은, 에이전트(Agent)가 매 순간 어떤 행동을 해야 좋을지 판단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진다면, 데이터 없이 경험으로 가장 좋을 길을 찾을 수 있다는 이론이다.
강화 학습은 주로 마르코프 결정 과정(MDP: Markov Decision Process)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마르코프 결정 과정을 설명하면, 첫 번째로 에이전트가 다음 행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구성된 환경이 주어지며, 두 번째로 그 환경에서 에이전트가 어떻게 행동할지 정의하고, 세 번째로 에이전트가 무엇을 잘하면 보상(reward)를 주고 무엇을 못하면 벌점(penalty)을 줄지 정의하며, 네 번째로 미래의 보상이 최고점에 이를 때까지 반복 경험하여 최적의 정책(policy)을 도출하게 된다.
인공 신경망은 모델의 구성, 활성 함수(Activation Function), 손실 함수(Loss Function) 또는 비용 함수(Cost Function), 학습 알고리즘, 최적화 알고리즘 등에 의해 그 구조가 특정되며, 학습 전에 하이퍼파라미터(Hyperparameter)가 미리 설정되고, 이후에 학습을 통해 모델 파라미터(Model Parameter)가 설정되어 내용이 특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인공 신경망의 구조를 결정하는 요소에는 은닉층의 개수, 각 은닉층에 포함된 은닉 노드의 개수, 입력 특징 벡터(Input Feature Vector), 대상 특징 벡터(Target Feature Vec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이퍼파라미터는 모델 파라미터의 초기값 등과 같이 학습을 위하여 초기에 설정하여야 하는 여러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모델 파라미터는 학습을 통하여 결정하고자 하는 여러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하이퍼파라미터에는 노드 간 가중치 초기값, 노드 간 편향 초기값, 미니 배치(Mini-batch) 크기, 학습 반복 횟수, 학습률(Learning Rat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모델 파라미터에는 노드 간 가중치, 노드 간 편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손실 함수는 인공 신경망의 학습 과정에서 최적의 모델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지표(기준)로 이용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에서 학습은 손실 함수를 줄이기 위하여 모델 파라미터들을 조작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학습의 목적은 손실 함수를 최소화하는 모델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손실 함수는 주로 평균 제곱 오차(MSE: Mean Squared Error) 또는 교차 엔트로피 오차(CEE, Cross Entropy Error)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교차 엔트로피 오차는 정답 레이블이 원 핫 인코딩(one-hot encoding)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원 핫 인코딩은 정답에 해당하는 뉴런에 대하여만 정답 레이블 값을 1로, 정답이 아닌 뉴런은 정답 레이블 값이 0으로 설정하는 인코딩 방법이다.
머신 러닝 또는 딥 러닝에서는 손실 함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학습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학습 최적화 알고리즘에는 경사 하강법(GD: Gradient Descent), 확률적 경사 하강법(SGD: Stochastic Gradient Descent), 모멘텀(Momentum), NAG(Nesterov Accelerate Gradient), Adagrad, AdaDelta, RMSProp, Adam, Nadam 등이 있다.
경사 하강법은 현재 상태에서 손실 함수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손실 함수값을 줄이는 방향으로 모델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기법이다.
모델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방향은 스텝(step) 방향, 조정하는 크기는 스텝 사이즈(size)라고 칭한다.
이때, 스텝 사이즈는 학습률을 의미할 수 있다.
경사 하강법은 손실 함수를 각 모델 파라미터들로 편미분하여 기울기를 획득하고, 모델 파라미터들을 획득한 기울기 방향으로 학습률만큼 변경하여 갱신할 수 있다.
확률적 경사 하강법은 학습 데이터를 미니 배치로 나누고, 각 미니 배치마다 경사 하강법을 수행하여 경사 하강의 빈도를 높인 기법이다.
Adagrad, AdaDelta 및 RMSProp는 SGD에서 스텝 사이즈를 조절하여 최적화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이다. SGD에서 모멘텀 및 NAG는 스텝 방향을 조절하여 최적화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이다. Adam은 모멘텀과 RMSProp를 조합하여 스텝 사이즈와 스텝 방향을 조절하여 최적화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이다. Nadam은 NAG와 RMSProp를 조합하여 스텝 사이즈와 스텝 방향을 조절하여 최적화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이다.
인공 신경망의 학습 속도와 정확도는 인공 신경망의 구조와 학습 최적화 알고리즘의 종류뿐만 아니라, 하이퍼파라미터에 크게 좌우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좋은 학습 모델을 획득하기 위하여는 적당한 인공 신경망의 구조와 학습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적당한 하이퍼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하이퍼파라미터는 실험적으로 다양한 값으로 설정해가며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켜보고, 학습 결과 안정적인 학습 속도와 정확도를 제공하는 최적의 값으로 설정한다.
위와 같은 방식들을 이용하면 피가열체의 상태에 대한 추정이 더욱 정교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기 위한 심층 신경망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할 수 있으나, 지도 학습의 경우에는 사전 작업으로서 아래와 같은 훈련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1000)는 일정 기간 동안 전기 레인지(100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 터치 시간, 터치 강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가 실제 의도한 터치인지 아니면 우발적 터치인지를 레이블링하게 하여 훈련 데이터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 데이터로 심층 신경망 모델을 훈련시키면, 훈련된 학습 모델은 이후 사용자의 특징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적용되었을 때, 이러한 터치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지 말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심층 신경망 모델의 판단 결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줌으로써, 이러한 학습 모델을 보다 정교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로서,
    가열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대상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상판에 표시되어 상기 가열 장치의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가열 장치의 온, 오프, 및 가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전원 터치 영역, 및 잠금 터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는 상황에서는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의 입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가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전원 터치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가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이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어야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가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은 서로 분리된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되어야 전원을 켜도록 구성되고,
    가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하부와 상기 제 2 터치 영역의 하부가 함께 터치되면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가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열 장치의 가열 레벨을 높이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가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상기 제 2 터치 영역만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터치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열 장치의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가열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영역은 원이고,
    상기 제 2 터치 영역은 잘린 부채꼴 형태로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면 상기 가열 장치를 켜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가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가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가열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가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상기 제 2 터치 영역만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가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가열 장치의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가열 장치.
  11.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열 장치의 상판에 표시되는 입력부 중 전원 터치 영역 및 잠금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지 않으면서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이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는 단계; 및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이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을 통한 입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전원 터치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은 서로 분리된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원을 켜는 단계는,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은 서로 분리된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원을 켜는 단계는,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하부와 상기 제 2 터치 영역의 하부가 함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가열 장치의 가열 레벨을 높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상기 제 2 터치 영역만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터치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가열 장치의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터치 영역은 서로 분리된 제 1 터치 영역 및 제 2 터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 2 터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터치 영역은 원이고,
    상기 제 2 터치 영역은 잘린 부채꼴 형태로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잠금 터치 영역은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원을 켜는 단계는,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일정 시간 이상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을 켜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상기 제 1 터치 영역과 상기 제 2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가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가열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상기 제 2 터치 영역만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터치 영역에서의 터치가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가열 장치의 가열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 11 항 내지 제 19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90096362A 2019-08-07 2019-08-07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90099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362A KR20190099381A (ko) 2019-08-07 2019-08-07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US16/572,452 US11543134B2 (en) 2019-08-07 2019-09-16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362A KR20190099381A (ko) 2019-08-07 2019-08-07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381A true KR20190099381A (ko) 2019-08-27

Family

ID=6780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362A KR20190099381A (ko) 2019-08-07 2019-08-07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43134B2 (ko)
KR (1) KR201900993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64889B1 (es) * 2014-09-24 2017-01-04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de aparato doméstico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dispositivo de aparato doméstico
EP3410016A1 (en) * 2017-06-02 2018-12-0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User interface for a hob
US11788729B2 (en) 2020-11-10 2023-10-17 Midea Group Co., Ltd. Cooking appliance with integrated touch sensing controls
CN112347704B (zh) * 2020-12-03 2023-10-20 北京工业大学 一种高效的基于贝叶斯理论的人工神经网络微波器件建模方法
US11486574B2 (en) 2020-12-04 2022-11-01 Midea Group Co., Ltd. Gas cooking appliance with ignition position indicator
US11639796B2 (en) 2020-12-04 2023-05-02 Midea Group Co., Ltd. Gas cooking appliance with active igniter indicator
US11441782B2 (en) 2020-12-10 2022-09-13 Midea Group Co., Ltd. Cooking appliance user control integrated with rate of movement detection
EP4108993A1 (en) * 2021-06-25 2022-12-28 BSH Hausgeräte GmbH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a lock system of a household appliance
US11747022B2 (en) 2021-09-30 2023-09-05 Midea Group Co., Ltd. Cooking appliance with unintentional control activation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406A1 (ja) * 2010-02-18 2011-08-25 ロー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US8723085B2 (en) 2010-11-24 2014-05-13 Pioneering Technology Corp. Temperature controlled/limiting heating element for an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101973631B1 (ko) * 2012-02-01 201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390397B1 (ko) 2012-06-05 2014-04-30 주식회사 컴투루 주방 조리기기의 안전 제어 장치 및 안전 제어 방법
US20160320068A1 (en) * 2015-04-29 2016-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Cooktop user interface
US20170023255A1 (en) * 2015-07-20 2017-01-26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power setting lock feature
DE102017113661B4 (de) * 2017-06-21 2021-03-04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Gmbh Kraftfahrzeugbedien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11534A1 (en) 2020-01-09
US11543134B2 (en)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9381A (ko)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US11531891B2 (en) Cook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cooked-state of cooking materi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49022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false touch on a touch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n AI model
KR20190085890A (ko) 제스처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618721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39900B1 (ko) 공기 조화기
US109289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control using eye tracking
US11064857B2 (en) Cleaner capable of controlling motor p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8786A (ko) 인공지능 조리 기기
KR20190092333A (ko) 음성 인식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장치, 음성 인식 능력을 가진 장치 및 음성 인식 능력을 가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107621A (ko) 상황 인식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 추천을 위한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8983625B (zh) 一种智能家居系统及服务生成方法
KR20190096851A (ko) 비전 인식 기반의 조리기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20190094318A (ko) 인공 지능 청소기 및 그의 동작 방법
EP3767182A1 (en) Method and heating apparatus for estimating status of heated object
US11409997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KR20190109341A (ko) 노이즈 관리가 가능한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10209465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cooking device
KR20190116188A (ko) 상황 인식에 기반한 방해 금지 모드 추천을 위한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94319A (ko) 음성 추출 필터를 이용하여 음성 제어를 수행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KR102573023B1 (ko) 수면 유도 장치
KR101399199B1 (ko) 소프트웨어 로봇의 유전자 코드 구성 방법
US11539546B2 (en)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KR20210041306A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3070121A (ja) タッチレス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