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966A -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 - Google Patents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966A
KR20190097966A KR1020180018049A KR20180018049A KR20190097966A KR 20190097966 A KR20190097966 A KR 20190097966A KR 1020180018049 A KR1020180018049 A KR 1020180018049A KR 20180018049 A KR20180018049 A KR 20180018049A KR 20190097966 A KR20190097966 A KR 20190097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erminal
payer
payer terminal
symmetric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덕화
오준혁
Original Assignee
창원문성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문성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문성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7966A/ko
Publication of KR2019009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3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combining multiple encryption tools for a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방법은 결제자 단말에 스마트 카드의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번호에 이용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결제자 단말과 가맹점 단말이 호스트 카드 에뮬레이션 방식을 통해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에 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METHOD FOR PAYMENT AND DEVICE OF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가맹점 단말 없이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신용카드가 등장하고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카드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카드 단말기 설치비용과 높은 카드 수수료로 인해 전통시장 등 소규모 영세업자들의 경우는 카드 단말기를 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빈번하다.
종래에는 물리적인 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결제가 가능한 결제방법 및 시스템(한국공개특허 10-2002-0096730)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기술은 여전히 가맹점에 별도의 단말기가 존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맹점에 별도의 결제용 단말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소지한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가맹점에 별도의 카드 단말기가 비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가맹점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함으로써, 카드 단말기 비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간소화된 기기와 절차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카드 결제 시마다 개별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고 정액의 수수료를 부과하여 결제를 처리함으로써, 카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제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스마트기기의 고유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의 고유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암호화하고, 생성된 대칭키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해 두지 않음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세션을 생성하지 않고, 액세스 토큰(access token)을 이용하여 결제 과정을 처리함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방법은, 결제자 단말에 스마트 카드의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번호에 이용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결제자 단말과 가맹점 단말이 호스트 카드 에뮬레이션 방식을 통해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에 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자 단말의 ID, 상기 결제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토큰 및 상기 결제자 단말의 통신 번호를 조합한 대칭키를 생성하여 대칭키 암호화 방식으로 결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액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자 단말이 상기 가맹점 단말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단말기는, 결제자 단말과 호스트 카드 에뮬레이션 방식을 통해 접속하는 결제접속부 및 상기 결제자 단말로부터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처리부는, 상기 결제자 단말의 ID, 상기 결제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토큰 및 상기 결제자 단말의 통신 번호를 조합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대칭키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칭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에 별도의 카드 단말기가 비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가맹점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함으로써, 카드 단말기 비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간소화된 기기와 절차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결제 시마다 개별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고 정액의 수수료를 부과하여 결제를 처리함으로써, 카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스마트기기의 고유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의 고유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암호화하고, 생성된 대칭키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해 두지 않음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세션을 생성하지 않고, 액세스 토큰(access token)을 이용하여 결제 과정을 처리함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결제자 단말과 가맹점 단말이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기존의 결제시스템은 체크카드, 신용카드, 교통카드(티머니, 캐시비 등) 등의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시 PC에 결제를 위한 추가 프로그램(ex. ACTIVE X)을 설치하고, 공인인증서를 통해 접속해야 하는 등 결제를 위해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특정 기업의 프로그램(ex. MS사의 OS와 인터넷 익스플로러)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는 등 결제 진행과정에서 호환성 문제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별도의 인증서나 추가 프로그램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고, 카드 결제를 위한 별도의 단말기가 구비될 필요 없는 결제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단계(S110)에서는 결제자 단말에 스마트 카드의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번호에 이용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자는 본인의 스마트 폰 단말에 일반이용자 앱(application program)을 설치하고, 상기 앱을 통해 결제를 위한 스마트 카드를 생성하며, 상기 스마트 카드 생성을 통해 마련된 카드 번호에 이용하고자 하는 금액을 충전하여 향후 결제에 사용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는 결제자 단말과 가맹점 단말이 호스트 카드 에뮬레이션(HCE:Host Card Emulation) 방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즉, 결제를 위해서는 결제자 단말이 가맹점 단말에 접속하여 결제정보를 송신해야 하는데, 상기 접속을 위해 호스트 카드 에뮬레이션(HCE:Host Card Emulation)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 단말은, 일예로 가맹점주의 스마트 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폰에 결제를 위한 가맹점 앱을 설치하고, 상기 결제자 단말에 설치된 일반이용자 앱으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접속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자 단말이 상기 가맹점 단말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액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접속을 진행할 수 있다. 기존에는 세션을 이용하여 결제 과정을 처리하였으나, 이는 IP와 브라우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었으므로, IP와 브라우저가 바뀌면 접속이 유지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결제자 단말의 ID와 통신 번호(ex. 휴대폰 전화번호)를 조합해 생성하는 액세스 토큰(access token)을 이용함으로써, IP 또는 브라우저가 바뀌어도 결제 처리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액세스 토큰(access token)은 결제자의 정보 및 앱 내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액세스 토큰이 변조되면 상기 기능을 이용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상기 결제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에 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즉, 결제자 단말과 가맹점 단말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가맹점 단말은 결제자 단말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결제정보 송수신 과정에서의 보안강화를 위해 AES256 대칭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대칭키는 상기 결제자 단말의 ID, 상기 결제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토큰 및 상기 결제자 단말의 통신 번호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칭키는 서버에 저장해두지 않고, 결제자 단말이 바뀌거나, 앱이 재설치되는 경우 변동이 발생하게 되며, 대칭키가 바뀌는 경우에는 휴대폰 문자인증 등을 통해 인증을 받은 후에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결제자 단말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대칭키가 결정되므로, 결제자마다 대칭키가 달라지게 되어 보안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에 별도의 카드 단말기가 비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가맹점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함으로써, 카드 단말기 비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간소화된 기기와 절차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결제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스마트기기의 고유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의 고유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암호화하고, 생성된 대칭키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해 두지 않음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세션을 생성하지 않고, 액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결제 과정을 처리함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가맹점 단말의 구성과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단말기(가맹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결제자 단말과 가맹점 단말이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가맹점 단말(102)은 결제자 단말(101)과 호스트 카드 에뮬레이션 방식을 통해 접속하는 결제접속부(110) 및 상기 결제자 단말로부터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HCE방식으로 결제자 단말에 접속한 후 결제정보를 수신한 가맹점 단말은 서버(103)와 통신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 처리하게 된다. 상기 서버는 일예로, 데이터베이스와 아파치 웹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결제자 정보와 결제이력 등이 저장될 수 있고, 아파치 웹 서버는 실질적으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연산작업 등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결제처리부(120)는,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자 단말의 ID, 상기 결제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토큰 및 상기 결제자 단말의 통신 번호를 조합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대칭키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칭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으로 가맹점에 비치될 카드 단말기를 마련할 수 있는데, 이는 결제자 단말과 가맹점 단말이 모두 스마트 폰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다수의 결제자 접속에 많은 시간과 리소스가 소요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카드 단말기를 두고, 상기 카드 단말기가 결제자 단말의 카드 정보를 인식하여 보다 빠르게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에 별도의 카드 단말기가 비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가맹점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함으로써, 카드 단말기 비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간소화된 기기와 절차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결제 시마다 개별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고 정액의 수수료를 부과하여 결제를 처리함으로써, 카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스마트기기의 고유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의 고유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암호화하고, 생성된 대칭키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해 두지 않음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세션을 생성하지 않고, 액세스 토큰(access token)을 이용하여 결제 과정을 처리함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결제접속부
120 : 결제처리부

Claims (4)

  1. 결제자 단말에 스마트 카드의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번호에 이용금액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결제자 단말과 가맹점 단말이 호스트 카드 에뮬레이션 방식을 통해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에 결제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자 단말의 ID, 상기 결제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토큰 및 상기 결제자 단말의 통신 번호를 조합한 대칭키를 생성하여 대칭키 암호화 방식으로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액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자 단말이 상기 가맹점 단말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방법.
  4. 결제자 단말과 호스트 카드 에뮬레이션 방식을 통해 접속하는 결제접속부; 및
    상기 결제자 단말로부터 결제정보를 전송받아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처리부는,
    상기 결제자 단말의 ID, 상기 결제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토큰 및 상기 결제자 단말의 통신 번호를 조합한 대칭키를 이용하여 대칭키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칭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단말기.
KR1020180018049A 2018-02-13 2018-02-13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 KR20190097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49A KR20190097966A (ko) 2018-02-13 2018-02-13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49A KR20190097966A (ko) 2018-02-13 2018-02-13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66A true KR20190097966A (ko) 2019-08-21

Family

ID=6780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049A KR20190097966A (ko) 2018-02-13 2018-02-13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79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5430B2 (en) Over-the-air provisioning of application library
CN109074582B (zh) 用于利用主令牌生成子令牌的系统和方法
US20130054473A1 (en) Secure Payment Method, Mobile Device and Secure Payment System
US20160239842A1 (en) Peer forward authorization of digital requests
KR101138283B1 (ko) 모바일 결제 방법 및 시스템
US20140122344A1 (en) Secure Computing Environment
CN113344570A (zh) 传输和处理交易消息的方法及数据处理装置
AU20164037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ush transactions
CN107210912B (zh) 对应用程序库的授权访问
KR101409860B1 (ko) 스마트 통신단말기 및 금융카드 판독단말기를 이용한 전자금융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전자금융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40104550A1 (en) Mobile wallet with offline payment
KR101607668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에서의 결제 처리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2970234B (zh) 账户断言
KR101795849B1 (ko) 핀테크 서비스 연동을 위한 인증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30100811A (ko) 결제 승인 방법
KR20190097966A (ko) 결제방법 및 결제단말기
KR101850705B1 (ko) 앱 방식을 이용한 교통카드 발급 및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526578B1 (ko) 단말의 인터넷 결제에 대한 보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90139045A1 (en) Securing Multi-Part Network Transactions with Automated Multi-Phase Network Traversal
Cruz Nfc and mobile payments today
KR102103733B1 (ko) 안전 결제를 위한 장치
KR20190003292A (ko) 앱 방식을 이용한 교통카드 발급 및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0869A (ko) 결제 처리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결제 시스템
KR20160039168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에서의 결제 처리 장치
KR20160000259A (ko) 서비스 제공 장치, 이의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