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855A -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 Google Patents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855A
KR20190097855A KR1020180017786A KR20180017786A KR20190097855A KR 20190097855 A KR20190097855 A KR 20190097855A KR 1020180017786 A KR1020180017786 A KR 1020180017786A KR 20180017786 A KR20180017786 A KR 20180017786A KR 20190097855 A KR20190097855 A KR 20190097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elt
sound
user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614B1 (ko
Inventor
조용석
이보경
안민환
박희대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6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허리에 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면 전, 후, 좌, 우에 각각 형성되어 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소리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벨트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Vibration belt for detecting sound and informing}
본 발명은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소리가 오는 방향과 거리를 알려줄 수 있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는 바지가 내려가지 않게 바지 주위에 두르는 끈을 지칭하며, 벨트의 한쪽 끝에는 버클이 달려 있고, 반대쪽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반대쪽을 이 버클 안에 넣은 후 버클에 달려 있는 핀을 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형태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청각 또는 시각 장애인과의 대화는 오감 중 청각 혹은 시각을 제외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방법들은 청각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이 보유한 단말기나 손목시계 등을 통해 제외되는 감각을 대신 수행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137831호는 청각장애인용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고,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7230호는 손목시계를 이용한 청각장애인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단말기 혹은 손목시계로는 일정 거리 이상의 음성은 인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성의 거리가 어느 정도이며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 알려줄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목소리가 어느 방향으로부터 오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손목시계와 같은 경우 진동으로 사용자의 손목에 미미하게 알려주는 정도이기 때문에 방향성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137831호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723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타인의 목소리가 감지되면, 목소리가 감지된 위치를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줄 수 있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된 목소리의 크기에 따라 목소리를 발생한 사람의 위치가 청각 또는 시각장애인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알려줄 수 있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각 또는 시각장애인이 진동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보조 수단을 이용하여 알려줄 수 있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는 사용자의 허리에 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면 전, 후, 좌, 우에 각각 형성되어 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소리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벨트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상기 감지부는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를 입력받고 이를 감지하는 음성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음성센서를 통해 감지된 음성의 주파수와 크기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주파수에 대응하면 상기 출력부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위치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사람과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사물의 존재유무를 파악한 후 상기 출력부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상기 출력부는 진동모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감지부에 입력된 소리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하여 소리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상기 출력부는 다수의 진동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진동 패턴에 의해 주위의 사람과 사물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진동을 느끼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외부 단말기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방향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으로 알리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에 의하면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타인의 목소리가 감지되면, 목소리가 감지된 위치를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에 의하면 감지된 목소리의 크기에 따라 목소리를 발생한 사람의 위치가 청각 또는 시각장애인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에 의하면 청각 또는 시각장애인이 진동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보조 수단을 이용하여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감지부와 출력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전원제어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소리가 오는 방향과 거리를 알려줄 수 있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감지부와 출력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의 전원제어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100)는 사용자의 허리에 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벨트(100)와, 벨트(100)의 외면 전, 후, 좌, 우에 각각 형성되어 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200)와, 하우징(110)의 전면 타측에 형성되며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소리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출력부(300)와, 벨트(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감지부(200) 및 출력부(3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트(100)의 내면은 사용자의 신체가 밀착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지 않는 외면의 전, 후, 좌, 우에는 다수의 하우징(110)이 형성되고, 각 하우징(110)에는 감지부(200)와 출력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벨트(100)의 전, 후, 좌, 우에 형성된 하우징(110)에 감지부(200)와 출력부(30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전, 후, 좌, 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각 하우징(110)에 형성된 감지부(200)가 감지할 수 있게 되고, 감지부(200) 중 어느 하나가 인식하면 해당 감지부(200)와 함께 하우징(110)에 설치된 출력부(300)가 하우징(110)을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소리가 발생된 위치를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각 하우징(110)에 형성된 감지부(200)와 출력부(300)를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벨트(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감지부(200)와 출력부(300)를 구동하기 위해 내부에는 배터리(410)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장치(400)에 형성된 배터리(410)는 1차전지 또는 2차전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1차전지의 경우 배터리(410)가 방전된 경우 시중에서 쉽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2차 전지의 경우 배터리(410)의 용량이 크고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배터리(410)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2차 전지로 이용하는 경우 제어장치(400)에 충전단자가 형성되어 있어 배터리(410)를 쉽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지부(200)는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를 입력받고 이를 감지하는 음성센서(210)를 더 포함하며, 제어장치(400)는 음성센서(210)를 통해 감지된 음성의 주파수와 크기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주파수에 대응하면 출력부(300)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위치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력부(300)는 진동모터(310)가 형성되어 있어 감지부(200)에 입력된 소리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하여 소리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력부(300)는 다수의 진동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진동 패턴에 의해 주위의 사람과 사물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성센서(210)는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주변에서 소리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주파수와 크기를 판단하여 제어장치(40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음성센서(210)에 의해 파악된 주파수가 일반적인 사람의 목소리 범위 사이인 경우 제어장치(400)는 음성을 감지한 음성센서(210)와 동일한 하우징(110)에 형성된 출력부(300)를 동작시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목소리가 발생된 방향을 사용자가 전, 후, 좌, 우 중 어느 한 곳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성센서(210)는 소리의 주파수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음성인식을 통해 주파수를 통해 목소리를 내는 화자가 여자인지, 남자인지, 아이인지, 어른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장치(400)는 사용자의 가족 또는 주변 지인의 주파수를 미리 저장함으로써 음성센서(210)를 통해 감지된 주파수가 가족 또는 지인인지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출력부(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다른 패턴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음성센서(210)를 통해 입력된 소리의 크기가 큰 경우 출력부(300)의 진동 세기를 크게 하고, 소리의 크기가 작은 경우 출력부(300)의 진동 세기를 작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거리를 짐작할 수 있도록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소리의 크기에 따라 진동 세기가 변화되므로 사용자는 목소리를 낸 사람이 사용자에게 다가오는지 멀어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지부(200)는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사람과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22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거리센서(220)를 통해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사물의 존재유무를 파악한 후 출력부(300)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리센서(220)는 벨트(100)에 형성된 각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주위를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여 주변에 사물이나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 중에 사물에 부딪히거나 후방에서 다가오는 물체를 인지하여 피할 수 있게 된다.
거리센서(220)에 의해 주변 사람이나 사물이 감지되면 제어장치(400)는 감지된 위치의 하우징(110)에 형성된 출력부(300)의 진동모터(310)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거리센서(220)와 음성센서(210) 모두 진동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므로 진동 패턴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혼동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력부(300)는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진동을 느끼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소자(320)는 벨트(100) 전면에 있는 하우징(110)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감지부(200)에 의해 소리, 사람, 사물이 감지되어 출력부(300)의 진동모터(310)가 동작될 때 발광소자(320)도 함께 동작되게 된다.
즉,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감지된 방향을 알려주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벨트(100)의 밀착력이나 진동의 세기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발광소자(320)가 안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400)에 형성되며 외부 단말기(510)와 무선통신하여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방향을 단말기(510)의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으로 알리는 통신모듈(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모듈(500)은 제어장치(400)에 형성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받기 위해 형성된다.
이때 통신모듈(500)과 연결되는 단말기(51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감지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의 경우 단말기(510)에 형성된 점자 출력장치로 확인하거나 진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에 의하면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타인의 목소리가 감지되면, 목소리가 감지된 위치를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줄 수 있으며, 감지된 목소리의 크기에 따라 목소리를 발생한 사람의 위치가 청각 또는 시각장애인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알려줄 수 있고, 청각 또는 시각장애인이 진동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보조 수단을 이용하여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벨트
110 : 하우징
200 : 감지부
210 : 음성센서
220 : 거리센서
230 : 온도센서
300 : 출력부
310 : 진동모터
320 : 발광소자
400 : 제어장치
410 : 배터리
500 : 통신모듈
510 : 단말기

Claims (7)

  1. 사용자의 허리에 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면 전, 후, 좌, 우에 각각 형성되어 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소리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벨트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외부에서 발생된 소리를 입력받고 이를 감지하는 음성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음성센서를 통해 감지된 음성의 주파수와 크기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주파수에 대응하면 상기 출력부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위치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사람과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센서를 통해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사람이나 사물의 존재유무를 파악한 후 상기 출력부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진동모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감지부에 입력된 소리의 크기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달리하여 소리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다수의 진동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진동 패턴에 의해 주위의 사람과 사물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진동을 느끼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 형성되며 외부 단말기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방향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으로 알리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KR1020180017786A 2018-02-13 2018-02-13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KR10202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86A KR102026614B1 (ko) 2018-02-13 2018-02-13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86A KR102026614B1 (ko) 2018-02-13 2018-02-13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855A true KR20190097855A (ko) 2019-08-21
KR102026614B1 KR102026614B1 (ko) 2019-11-04

Family

ID=6780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86A KR102026614B1 (ko) 2018-02-13 2018-02-13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2340A (ko) 2022-09-24 2024-04-02 오누리 한손 빗자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30Y1 (ko) 2003-10-02 2003-12-31 주식회사 테크노.티 청각장애인용 진동장치
KR20140147177A (ko) * 2013-06-18 2014-12-30 한국기계연구원 청각 보조시스템
KR20150137831A (ko) 2014-05-30 2015-12-0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7753A (ko) * 2015-09-25 2017-04-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용 알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30Y1 (ko) 2003-10-02 2003-12-31 주식회사 테크노.티 청각장애인용 진동장치
KR20140147177A (ko) * 2013-06-18 2014-12-30 한국기계연구원 청각 보조시스템
KR20150137831A (ko) 2014-05-30 2015-12-0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7753A (ko) * 2015-09-25 2017-04-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용 알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2340A (ko) 2022-09-24 2024-04-02 오누리 한손 빗자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614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582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JP2016186786A (ja) 画像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に基づいた危険の検出及び警告用のウェアラブルスマート装置
JP2008547317A (ja) 装着型電子装置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426384Y1 (ko) 시각장애인용 물체탐지장치
KR102026614B1 (ko)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TW201717865A (zh) 穿戴式人體周圍物件距離偵測輔具
KR20190004490A (ko) 보행 안내 시스템
KR101662914B1 (ko) 안경형 전방탐지장치
US11792315B2 (en) Advanced eyesight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Mishra et al. Clear Vision-Obstacle detection using Bat Algorithm Optimization Technique
KR20140060764A (ko)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KR101968408B1 (ko) 반려동물용 장난감 관리장치 및 그와 연동하는 반려동물 장난감
KR20180033484A (ko) 시각장애인용 웨어러블 정보제공장치
KR101525468B1 (ko) 청각 보조시스템
KR101628599B1 (ko) 다기능 스마트 패션벨트
TW201703743A (zh) 方向指示穿戴裝置及其方位辨視與控制方法
KR101484955B1 (ko) 이동체 탐지장치
KR20130115042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장애물 경고 시스템 및 경고방법
Altaha et al. Blindness support using a 3D sound system based on a proximity sensor
KR102470136B1 (ko) 스마트 인공후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15563A (ko) 안경 위치 알림이
KR20120017204A (ko) 도난방지시스템
JP6295187B2 (ja) 補聴器チェッカ
KR20200066916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후방 위험 감지 장치 및 방법
JP6293252B2 (ja) 補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