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101A - boot - Google Patents

bo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101A
KR20190096101A KR1020180015647A KR20180015647A KR20190096101A KR 20190096101 A KR20190096101 A KR 20190096101A KR 1020180015647 A KR1020180015647 A KR 1020180015647A KR 20180015647 A KR20180015647 A KR 20180015647A KR 20190096101 A KR20190096101 A KR 20190096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large diameter
diameter portion
cover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2776B1 (en
Inventor
조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1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776B1/en
Publication of KR2019009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7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8Details or arrangements of seal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3/8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A boot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to the boot is reduced, wherein the damage is caused as the boot is in contact with a foreign substance, dust, and an external structure. Moreover, when the boot is assembled, a coupling force between components is increased, and coupl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부트{boot}Boot {boot}

본 발명은 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이나 먼지의 유입으로 인한 부트의 파손 가능성을 낮추고, 부품간 체결 성능을 높이며,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ot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boot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or dust, improve the fastening performance between parts, and improve the durability.

차량의 구동방식은 어느 쪽의 휠(wheel)을 구동하는가에 따라서 전륜(前輪)구동방식이나 후륜(後輪)구동방식 또는 사륜(四輪)구동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사륜구동방식은 다른 차량과 달리 차에 달린 네 개의 바퀴 모두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고, 특히 험난한 지형을 헤쳐나가는데 유리하다.The driving method of the vehicle may be classified into a front wheel driving method, a rear wheel driving method, a four wheel driving method, or the like depending on which wheel is driven. Of these, the four-wheel drive system, unlike other vehicles, transmits power to all four wheels of the car, so it is highly stable, and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navigating rough terrain.

상시 사륜구동 방식은 AWD(all wheel drive)라고 칭하기도 한다. 보통 4WD(4 wheel drive)는 일시 사륜구동 방식 등에서 별도의 험로 주파용 로우 기어가 있는 경우를 지칭한다.The all-time four-wheel drive system is sometimes called AWD (all wheel drive). Normally, 4WD (4 wheel drive) refers to the case where there is a separate hum road frequency low gear in a temporary four-wheel drive system.

트랜스퍼 케이스(transfer case)는 상기한 사륜구동 차량에 부가되는 구동장치로서, 엔진의 동력을 앞뒤 모든 차축에 전달하는 장치를 말한다.The transfer case is a driving device added to the four-wheel drive vehicle described above and refers to a device that transmits power of the engine to all the axles before and after.

이러한 트랜스퍼 케이스는, 특히 사륜구동 자동차의 경우, 엔진에 의해 발생하여 트랜스퍼 케이스의 구동 샤프트로 공급되는 토크를 트랜스퍼 케이스의 2개의 종동 샤프트 및 그와 더불어 하나를 초과하는 종동 차축(driven axle)으로 분배하는 데 이용된다. 이 경우, 종동 샤프트들 각각이 자동차의 하나의 차축을 구동하거나, (자동차가 2개를 초과하는 종동 차축을 구비한 경우에는) 직접 구동식 트랜스액슬(trnasaxle with direct drive)을 구동한다.This transfer case distributes the torque generated by the engine and supplied to the drive shaft of the transfer case to the two driven shafts of the transfer case and more than one driven axle, especially in four wheel drive vehicles. Used to. In this case, each of the driven shafts drives one axle of the motor vehicle, or drives a trnasaxle with direct drive (if the motor vehicle has more than two driven axles).

트랜스퍼 케이스는 통상, 엔진에서부터 종동 차축까지의 동력 흐름을 따라 구동 엔진의 메인 변속기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변속기는 구동 엔진에 의해 발생한 토크를 전달하는 데 이용된다.The transfer case is typically disposed downstream of the main transmission of the drive engine along the power flow from the engine to the driven axle, which is used to transmit the torque generated by the drive engine.

트랜스퍼 케이스의 구동방식은 파트타임 방식과 풀타임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파트타임 방식은 필요에 따라서 수동 조작 등에 의해 전·후륜을 기계적으로 직결하는 것으로서, 구동력 분배는 전·후륜의 동적 하중 분배에 비례해 이루어진다. 전·후륜의 어느 쪽인가가 슬립해도 타이어의 그립력에 따라 구동력이 분배된다.The driving method of the transfer case may be classified into a part time method and a full time method. In the part-time system,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mechanically connected directly by manual operation or the like as necessary, and the driving force distribution is proportional to the dynamic load distribution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Even if one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slips, the driving force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grip force of the tire.

풀타임 방식은 전·후륜의 회전 속도차를 흡수하면서 구동력을 전·후륜에 상시 전달하는 것으로서, 전·후륜의 구동력 배분이 항상 일정한 비율로 되는 고정 분배식과 노면 상황이나 주행 상태 등에 따라서 구동력 분배가 가변으로 되는 가변 분배식으로 분류된다.The full-time method always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while absorbing the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ront and rear wheels.The driving force distribution is always fixed according to the fixed road type and road conditions and driving conditions. It is classified into variable distribution type which becomes variable.

한편, 트랜스퍼 케이스와 연결되는 구동축 즉, 샤프트(shaft)는 등속 조인트(continuous velocity joint) 또는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ial joint)에 의해 연결된다. 유니버셜 조인트, 그리고 특히 등속 조인트는 두 개의 회전하는 부재 사이에서 각도변화에 상관없이 토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e shaft that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case, that is, the shaft (shaft) is connected by a constant velocity joint (continuous velocity joint) or a universal joint (universial joint). Universal joints, and in particular constant velocity joints, serve to transmit torque regardless of the angular change between the two rotating members.

이러한 등속 조인트 또는 유니버셜 조인트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미끄럼 운동하고 있으므로, 이 부분의 원할한 윤활을 위하여 그리스와 같은 윤활제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고, 이 윤활제의 오염과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부트(boot)가 마련된다.Since the constant velocity joint or the universal joint is sliding at a high speed, a grease such as grease is necessary for smooth lubrication of this part, and a boot is provided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leakage of the lubricant. do.

그런데 종래의 부트는 차량 하부에 위치함으로 인해 노면의 이물질이나 먼지에 노출되어 차량 부트가 손상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물질이나 먼지 및 외부 구조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트의 손상 가능성을 낮추고 내구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 부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boot is located under the vehicle, the vehicle boot may be damaged by being exposed to foreign matter or dust on the road surfa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vehicle boot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boot due to contact with foreign matter, dust and external structures and ensure dur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물질이나 먼지 및 외부 구조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트의 손상 가능성을 낮추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reduce the likelihood of damage to the boot due to contact with foreign objects or dust and external structures.

또한, 부트의 조립 시 부품간 결합력을 높이고 체결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boot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parts and improve the fastening performan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하우징과 샤프트를 연결하는 조인트에 구비되는 부트(boot)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대경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대경부와 동일한 중심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대경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소경부; 및, 상기 대경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주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외부 먼지 또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oot (boot) provided in the joint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shaft, the large diameter portion connected to the housing; A small diameter portion connected to the shaft and formed on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large diameter portion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art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o block external dust or foreign matter.

상기 커버부재는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member may be made of steel.

상기 커버부재와 대경부는 가류 접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and the large diameter part may be coupled by vulcanization.

상기 샤프트와 소경부는 밴드체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대경부와 커버부재의 결합부측으로 압입결합될 수 있다.The shaft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may be connected by band fastening, and the housing may be press-fitted to the coupling portion sid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the cover member.

상기 대경부는, 상기 커버부재와의 결합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1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만곡부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만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large diameter part may include a first curved portion bent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cover member, and the cover member may include a second curved portion bent in a radi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curved portion. .

상기 커버부재는 외주측 단부에서 하우징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커버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may have a cover portion which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end portion to the housing si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물질이나 먼지 및 외부 구조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트의 손상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boot due to contact with foreign matter or dust and external structures.

또한, 부트의 조립 시 부품간 결합력을 높이고 체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boot can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parts and improve the fastening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케이스에 구비된 부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를 소경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를 대경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가 샤프트 및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t provided in a transf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o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mall diameter portion sid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o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ot is coupled to the shaft and th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 케이스에 구비된 부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를 소경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를 대경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가 샤프트 및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t provided in a transf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mall diameter side, Figure 3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b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een from a large diameter sid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with the shaft and the housin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100)는 크게 트랜스퍼 케이스 등의 하우징(1)과 연결되는 대경부(110); 샤프트(2)에 연결되며, 상기 대경부(110)와 동일한 중심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대경부(110)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소경부(120); 및 상기 대경부(110)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주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외부 먼지 또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커버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to 5, the boot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arge diameter part 110 connected to a housing 1 such as a transfer case; A small diameter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shaft 2 and formed on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And a cover member 130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art 110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to block external dust or foreign matt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트(100)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트랜스퍼 케이스에 장착되는 구동축에 적용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구동축 연결에 적용되는 등속 조인트 내지 유니버셜 조인트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Boo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pplied to the drive shaft mounted on the transfer case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the constant velocity joint or the universal joint applied to the general drive shaft connection. .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은 전술한 트랜스퍼 케이스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는 트랜스퍼 케이스의 아웃풋 샤프트(output shaft) 또는 프로펠러 샤프트(propeller shaft)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샤프트 연결 구조에 본 발명의 부트(100)가 적용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housing 1 may be a housing 1 forming the outline of the transfer case described above. The shaft 2 may be an output shaft or a propeller shaft of the transfer ca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o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shaft connection structures.

상기 대경부(110)와 소경부(120)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대경부(110)와 소경부(120)는 동일한 중심축 상에 위치하며, 대경부(110)가 소경부(120)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is made of a hollow cylinder extends a certain length. Here,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central axis,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may have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경부(110)는 소경부(120)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지만, 그 연장되는 길이는 소경부(120)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소경부(120)는 대경부(110)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그 연장되는 길이는 대경부(110)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but an extended length thereof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On the other h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the length of the extension may be form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상기 대경부(110)와 소경부(120)는 이음부(1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경부(120)와 대경부(110)는 동일한 중심축 상에 위치하며, 일정 길이 중첩되는 구간(L)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소경부(120)의 일부분은 상기 대경부(110)의 내주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may be connected by a joint 102. Since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are located on the same central axis, and have a section L overlapping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portion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may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It is located at.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이음부(102)는 일측은 상기 소경부(120)의 단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대경부(110) 중앙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102)는 상기 대경부(110)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joint portion 102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and the other side thereof to a central sid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The joint portion 102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o form a convex shape toward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30)가 상기 대경부(110)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외주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외부 먼지 또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memb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The cover member 130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o serve to block external dust or foreign matter.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경부(110)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2)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부재(130)에 형성된 제2 결합부(132) 내주면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대경부(110) 커버부재(13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arge diameter portion is formed by bring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2 formed in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2 formed in the cover member 130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ver member 1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대경부(110)와 소경부(120) 및 이음부(102)는 고무(rubber)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130)는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30)와 대경부(110)는 가류 접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and the fitting portion 102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he cover member 130 may be made of steel. The cover member 130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may be coupled by vulcanization.

고무와 금속의 접착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가류 접착제를 이용한 직접 접착법과 간접 접착법이 있다. 직접 가류 접착법은 고무와 금속을 접착제 없이 고무와 금속을 금형에 넣고 고무를 가교시켜 고무와 금속을 접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금속과 고무의 접착에는 금속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성형 금형에 금속과 미가류 고무를 넣어 고무의 가류 성형과 동시에 금속과의 접착을 완결시키는 간접 가류 접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re are two methods for producing a rubber-metal adhesive product, a direct adhesive method using a vulcanizing adhesive and an indirect adhesive method. Direct vulcanization is a method of bonding rubber and metal to the mold by putting rubber and metal into the mold without adhesive and crosslinking the rubber. However, the indirect vulcanization bonding method is widely used to bond the metal and rubber to the metal mold and then to the metal mold and the unvulcanized rubber in the molding die to vulcanize the rubber and to complete the adhesion to the metal.

특히, 간접 가류 접착법에 의한 고무와 금속의 접착은 최종제품이 온도, 물, 기름, 각종 약품 등에 접하게 되거나 인장, 압축, 전단, 교반과 같이 응력이 작용되는 가혹한 환경에 적용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이용된다.In particular, the adhesion of rubber and metal by the indirect vulcanization method is generally applied when the end product is exposed to temperature, water, oil, various chemicals, or is subjected to stressful environments such as tension, compression, shear, and agitation. Is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130)와 대경부(110)간의 가류 접착은 간접 가류 접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커버부재(130)의 제2 결합부(132)의 내주면에 가류 접착제를 도포하고 성형 금형에 함께 넣은 후 가류 성형을 통해 상기 대경부(110)의 제1 결합부(112)의 외주면과 결합하게 된다.Indirect vulcanization may be applied to vulcanization between the cover member 130 and the large diameter part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by applying a vulcanizing adhesiv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2 of the cover member 130 made of steel and put it together in a molding die,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through vulcanization molding (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12).

이때, 간접 가류 접착제는 상대 고무와 접착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상대 고무재료의 사용 환경 조건에 적합할 필요가 있다. 간접 가류 접착제를 조성별로 분류하면 염화고무계,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CSM)계, 변성 올레핀계 등이 있다.At this time, the indirect vulcanizing adhesive needs to be suitable for the use environment conditions of the counterpart rubber material under the premise of causing an adhesive reaction with the counterpart rubber. Indirect vulcanizing adhesives are classified by composition, such as rubber chloride,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CSM), and modified olefin.

이들은 범용 고무인 CR(Chloroprene Rubber), AEM(VAMAC), NR(Ntural Rubber), SBR(Styrene-Butadiene Rubber), BR(Butyl Rubber), IIR(Isobutylene-Isoprene Rubber) 등의 간접 가류 접착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se are mainly used as indirect vulcanizing adhesives such as chloroprene rubber (CR), AEM (VAMAC), NR (Ntural Rubber), Styrene-Butadiene Rubber (SBR), Butyl Rubber (BR), and Isobutylene-Isoprene Rubber (IIR). .

내유성이나 내열성을 요구하는 Urethane,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ECO(Epichloro-hydrine Rubber), H-NBR(Hydrogenated NBR), ACM(Acryl Rubber) 등의 고무에는 전술한 접착제가 접착의 내구성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내열성이 있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내열성을 요구하는 불소고무(FKM), 실리콘고무(VMQ), 불화실리콘고무(FVMQ) 등에는 실리콘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 adhesives satisfy the durability of adhesives for rubbers such as urethane,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epichloro-hydrine rubber (ECO), hydrogenated NBR (H-NBR), and acryl rubber (ACM) that require oil resistance or heat resistance. In some cases, an adhesive using a thermosetting resin having heat resistance may be used. In addition, a silicone-based adhesive may be used for fluorine rubber (FKM), silicone rubber (VMQ), silicon fluoride rubber (FVMQ), and the like, which require heat resistance.

열경화 수지계 접착제는 금속에 대한 침적 도포에서도 접착 피막이 균일하게 도포되므로 소형물의 대량처리가 가능하고 도포 작업성이 양호한 편이다. 또한, 수지의 종류에 따라 150℃~200℃의 온도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기본적으로 3차원 경화반응을 하는 타입이 사용되고 있어 내유성 또한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접착 피막은 딱딱하기 때문에 굽힘 가공이 있는 부품에는 사용이 힘들다.The thermosetting resin-based adhesive is evenly coated even on the deposition of metal, so that a large amount of small items can be processed and the coating workability is good.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50 ℃ ~ 200 ℃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n, and the type of three-dimensional curing reaction is basically used, oil resistance is also good. However, since the adhesive coating is hard, it is difficult to use for bending parts.

특히, NBR 고무에 대한 접착제로서는 다양한 염화 고무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염화 고무계 접착제는 극성 고분자인 염화 고무를 기본으로 한 접착제이기 때문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고온에서 베이킹(baking) 할 수 없다.In particular, various chlorinated rubber adhesives are used as adhesives for NBR rubber. Since the chlorinated rubber adhesive is an adhesive based on chlorinated rubber which is a polar polymer, it cannot be baked at a high temperature after applying the adhesive.

따라서 염화 고무계 접착제는 상온 또는 70℃ 부근에서 건조 수준의 처리를 하므로 180℃정도의 성형 금형에 투입 후 고무와의 접착이 일어나기 전에 접착제가 금형에 녹아내려 금형을 오염시킨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금형 세척을 자주 하여야 하며 오염된 금형 표면에 의하여 제품 외관을 오염시켜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하락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chlorinated rubber adhesi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dhesive is melted in the mold and contaminated the mold before adhesion to the rubber occurs after the injection into the molding mold at about 180 ° C because the dry-level treatment i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or near 70 ° C. Therefore, the mold should be washed frequently and contaminated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by the contaminated mold surface to reduce the value as a product.

그러나 열경화성 수지계 접착제인 페놀 수지계 접착제의 경우 페놀 수지의 내열성이 높아 금속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염화 고무계 접착제와는 달리 고온(180℃~200℃)에서 베이킹할 수 있어 180℃정도의 성형금형에 투입 후 고무와의 가류 접착이 일어나기 전에 접착제가 금형에 녹아내리는 현상이 없다.However, phenolic resin adhesive, which is a thermosetting resin adhesive, has high heat resistance of phenolic resin, so it can be baked at high temperature (180 ℃ ~ 200 ℃), unlike chlorinated rubber adhesive, and then put into molding mold around 180 ℃.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adhesive melts in the mold before vulcanization adhesion with the rubber.

이와 같이 페놀 수지계 접착제는 높은 내열성으로 인하여 금형 오염을 시키지 않으므로 금형 세척 주기를 연장할 수 있으며 제품의 외관을 오염시키지 않으므로 상품가치를 하락시키지 않는다.As such, the phenolic resin-based adhesive does not cause mold contamination due to high heat resistance, and thus, mold cleaning cycle may be extended, and it does not degrade product value because it does not contaminate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따라서 이러한 가류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대경부(110)와 커버부재(130)의 가류 접착 성형에 적용할 접착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vulcanizing adhesiv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an adhesive to be applied to the vulcanization adhesive molding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and the cover member 130.

한편, 상기 대경부(110)는, 상기 제1 결합부(11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1 만곡부(114)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제1 만곡부(114)에 대응되도록 제2 결합부(1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만곡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rge-diameter portion 110, the first curved portion 114 is bent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2, the cover member 130 is provided with the first curved portion 114 The second curved portion 134 may be bent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2 to correspond.

상기 제1 만곡부(114)와 제2 만곡부(134)는 상기 제1 결합부(112)와 제2 결합부(132)가 가류 접착에 의해 결합할 때, 함께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만곡부(114)와 제2 만곡부(134)도 가류 접착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다.The first curved portion 114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34 may be coupled together wh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2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2 are coupled by vulcanization. That is, the first curved portion 114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34 are also bonded by vulcanization.

상기 제1 만곡부(114)와 제2 만곡부(134)가 구비됨으로써, 대경부(110)와 커버부재(130)간의 결합면적을 넓힐 수 있고, 결합되는 면의 방향이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뿐만 아니라 그와 수직인 방향까지 연장되므로 결합력을 높이고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first curved portion 114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34 are provided, the engagement area between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and the cover member 130 can be widened, and the direction of the combined surface is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But it extends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it has the advantag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and improve the durability performance.

상기 커버부재(130)는 외주측 단부에서 하우징(1)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커버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36)는 상기 하우징(1)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1)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130 may include a cover part 136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to the housing 1 side. 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cover portion 136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housing 1 side, thereby effectively blocking the foreign matter or dust flowing into the housing 1 side.

상기 샤프트(2)와 소경부(120)는 밴드체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은 상기 대경부(110)와 커버부재(130)의 결합부측으로 압입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와 결합되는 소경부(120) 부분에는 클램핑 밴드(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밴드 안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The shaft 2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may be connected by band fastening, and the housing 1 may be press-fitted to the coupling portion sid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10 and the cover member 130. A band seating portion 122 to which a clamping band (not shown) may be coupled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20 that is coupled to the shaft 2.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30)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하우징(1)을 상기 커버부재(130)의 제2 결합부(132) 외주면측으로 압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결합부(132)의 외경과 하우징(1)의 결합부 내경은 적정한 마이너스 공차를 갖도록 설계되어 압입 공정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Since the cover member 130 is made of steel, the housing 1 may be press-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32 of the cover member 130 to be coupled. In this case,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2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ousing 1 may be designed to have an appropriate negative tolerance and may be coupled by a press-fit process.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과 부트(100)가 압입결합되어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하우징(1) 내부에 충진되는 그리스(grease) 등의 윤활제에 대한 실링(seal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하우징(1) 부트(100)의 조립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샤프트(2) 내부에 대한 이물질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s such, the housing 1 and the boot 100 may be press-fitted to increase a bonding force, thereby improving sealing performance of a lubricant such as grease filled in the housing 1, and the housing. (1)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ssembly performance of the boot 10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foreign matter penetration into the shaft (2).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부트에 따르면, 이물질이나 먼지 및 외부 구조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트의 손상 가능성을 낮추며, 부트의 조립 시 부품간 결합력을 높이고 체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boot due to contact with foreign matter or dust and the external structure, and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arts when assembling the boot and improve the fastening performan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can do it. Therefore, it should be seen that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하우징 2 : 샤프트
100 : 부트 102 : 이음부
110 : 대경부 112 : 제1 결합부
114 : 제1 만곡부 120 : 소경부
122 : 밴드 안착부 130 : 커버부재
132 : 제2 결합부 134 : 제2 만곡부
136 : 커버부
1: housing 2: shaft
100: boot 102: seam
110: large diameter portion 112: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4: first curved portion 120: small diameter portion
122: band seating portion 130: cover member
132: second coupling portion 134: second bending portion
136: cover

Claims (6)

하우징과 샤프트를 연결하는 조인트에 구비되는 부트(boot)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대경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대경부와 동일한 중심축상에 위치하여 상기 대경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소경부; 및,
상기 대경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주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외부 먼지 또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In the boot (boot) provided in the joint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shaft,
A large diameter part connected to the housing;
A small diameter portion connected to the shaft and formed on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large diameter portion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part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o block external dust or foreign ma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The method of claim 1,
Boot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member is made of steel (steel)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대경부는 가류 접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member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boo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by vulcaniz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소경부는 밴드체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대경부와 커버부재의 결합부측으로 압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haft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are connected by band fastening, and the housing is press-fitted to the coupling portion sid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the cov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상기 커버부재와의 결합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1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만곡부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large diameter portion has a first curved portion that is bent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cover member,
The cov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ot having a second curved portion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curv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외주측 단부에서 하우징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ot having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bent toward the housing side.
KR1020180015647A 2018-02-08 2018-02-08 boot KR1020427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47A KR102042776B1 (en) 2018-02-08 2018-02-08 bo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47A KR102042776B1 (en) 2018-02-08 2018-02-08 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01A true KR20190096101A (en) 2019-08-19
KR102042776B1 KR102042776B1 (en) 2019-11-08

Family

ID=6780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647A KR102042776B1 (en) 2018-02-08 2018-02-08 bo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77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266B2 (en) * 1986-12-23 1994-08-03 松下電工株式会社 High frequency magnetic therapy device
JP2007504410A (en) * 2003-09-01 2007-03-01 シャフト−フォーム−エンジニアリ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Constant velocity joint with sealing device
JP2007056995A (en) * 2005-08-24 2007-03-08 Ntn Corp Flexible boot for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KR20130141439A (en) * 2010-07-19 2013-12-26 데이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그룹 엘엘씨 Constant velocity joint assembly and method of securing a shaft to the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266B2 (en) * 1986-12-23 1994-08-03 松下電工株式会社 High frequency magnetic therapy device
JP2007504410A (en) * 2003-09-01 2007-03-01 シャフト−フォーム−エンジニアリ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Constant velocity joint with sealing device
JP2007056995A (en) * 2005-08-24 2007-03-08 Ntn Corp Flexible boot for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KR20130141439A (en) * 2010-07-19 2013-12-26 데이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그룹 엘엘씨 Constant velocity joint assembly and method of securing a shaft to th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776B1 (en)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38749A1 (en) Stabilizer bush
US5961388A (en) Seal for slip yoke assembly
JP5118792B2 (en) Dam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553238B2 (en) Connecting assembly between a shaft journal and a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20140213374A1 (en) High angle constant velocity joint and boot
US10309446B2 (en) Connecting shaf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ng shaft
EP3455514B1 (en) Boot assembly for a constant velocity joint
KR102042776B1 (en) boot
JPH0694046A (en) Method of mounting seal on cylindrical type housing
US6926612B2 (en) Joint assembly and sealing boot
JPH1151099A (en) Rubber bushing
US7784796B2 (en) Shaft interface debris seal
US20200109740A1 (en) Spline telescopic shaft of vehicular propeller shaft
US9744805B1 (en) Axle assembly and contamination self-trapping seal
JP2019505741A (en) Direct pinion mount constant velocity joint
US11761493B2 (en) Co-molded CVJ boot skirt for anti-slip performance
US11053984B2 (en) Boot and retention member assembly for a constant velocity joint
JP2000320529A (en) Propeller shaft
JPH01144485A (en) Torsional damper
JPH11210794A (en) Rubber bush
JP4005463B2 (en) Fixing fixture for resin boot for constant velocity joint and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CN117227363A (en) Anti-icing structure, driving assembly and vehicle
KR100211694B1 (en) Constant velocity structure for a vehicle
JPH0542793U (en) damper
JP2011099498A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nd join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